KR20120017103A - 발광 소자 및 그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소자 및 그 형성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7103A KR20120017103A KR1020100079580A KR20100079580A KR20120017103A KR 20120017103 A KR20120017103 A KR 20120017103A KR 1020100079580 A KR1020100079580 A KR 1020100079580A KR 20100079580 A KR20100079580 A KR 20100079580A KR 20120017103 A KR20120017103 A KR 201200171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layer
- light emitting
- semiconductor layer
- form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1—Bodies having quantum effect structures or superlattices, e.g. tunnel junctions
- H10H20/812—Bodies having quantum effect structures or superlattices, e.g. tunnel junctions within the light-emitting regions, e.g. having quantum confinement structur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H2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 H10H20/013—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215—Bodies characterised by crystalline imperfections, e.g. dislocations; characterised by the distribution of dopants, e.g. delta-doping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기판, 기판 상에 제1 반도체층, 제1 반도체 상에 제2 반도체층, 및 제1 반도체층과 제2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된 발광층을 포함하고, 발광층은, 우물층과 장벽층이 교대로 반복 적층된 다중양자우물 구조를 갖고,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구비하며, 제1 영역은 제1 반도체층과 제2 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영역은 제1 영역과 제2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되며, 제1 영역의 우물층의 에너지 밴드갭은 제2 영역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제2 영역의 우물층의 에너지 밴드갭은 제1 영역의 우물층 중에서 가장 작은 밴드갭보다 낮고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a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B 영역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첫 번째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두 번째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발광소자의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210: 기판
220: 제1 반도체층
225: 제1 전극 패드부
230: 발광층
240: 제2 반도체층
245: 제2 전극 패드부
Claims (11)
-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1 반도체층;
상기 제1 반도체 상에 제2 반도체층; 및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된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우물층과 장벽층이 교대로 반복 적층된 다중양자우물 구조를 갖고,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영역의 우물층의 에너지 밴드갭은 상기 제2 영역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상기 제2 영역의 우물층의 에너지 밴드갭은 상기 제1 영역의 우물층 중에서 가장 작은 밴드갭보다 낮고 일정한 발광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우물층의 인듐 조성은 상기 제2 영역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상기 제2 영역의 우물층의 인듐 조성은 상기 제1 영역에서 가장 큰 인듐 조성값보다 크고 일정한, 발광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은 그 일부가 노출된 영역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제1 반도체층의 노출된 영역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패드부는 Al, Au, Pt, Ti, Cr, 및 W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된, 발광 소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패드부는 발광 소자의 모서리에 형성된, 발광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 패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 패드부는 ITO, CTO, SnO2, ZnO, RuOx, TiOx, IrOx, GaxOy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은 n 형 반도체층이고,
상기 제2 반도체층은 p 형 반도체인, 발광 소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층은 상기 제2 반도체층의 에너지 밴드갭보다 큰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전자 블록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블록층은 p-AlGaN 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
- 기판 상에 제1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광층 상에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반도체층 상에 제1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 상에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의 우물층의 인듐 조성이 상기 제2 영역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인듐 가스를 유입하고,
상기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역의 우물층의 인듐 조성이 상기 제1 영역의 우물층의 인듐 조성보다 크고 일정해지도록 인듐 가스를 유입하는 발광 소자의 형성방법.
- 기판 상에 제1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광층 상에 제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반도체층 상에 제1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 상에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의 우물층의 인듐 조성이 상기 제2 영역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성정 온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제2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역의 우물층의 인듐 조성이 상기 제1 영역의 우물층의 인듐 조성보다 크고 일정해지도록 성장 온도를 조절하는 발광 소자의 형성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9580A KR20120017103A (ko) | 2010-08-18 | 2010-08-18 | 발광 소자 및 그 형성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9580A KR20120017103A (ko) | 2010-08-18 | 2010-08-18 | 발광 소자 및 그 형성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7103A true KR20120017103A (ko) | 2012-02-28 |
Family
ID=4583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9580A Ceased KR20120017103A (ko) | 2010-08-18 | 2010-08-18 | 발광 소자 및 그 형성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17103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7254B1 (ko) * | 2013-02-15 | 2014-02-03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도체 발광소자 |
WO2014065530A1 (ko) * | 2012-10-22 | 2014-05-01 | 일진엘이디(주) | 휘도 및 esd 보호 특성이 우수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
KR20160039754A (ko) * | 2014-10-01 | 2016-04-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
KR20160112372A (ko) * | 2015-03-19 | 2016-09-2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자외선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
KR20170050446A (ko) * | 2015-10-30 | 2017-05-1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
-
2010
- 2010-08-18 KR KR1020100079580A patent/KR20120017103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65530A1 (ko) * | 2012-10-22 | 2014-05-01 | 일진엘이디(주) | 휘도 및 esd 보호 특성이 우수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
KR101357254B1 (ko) * | 2013-02-15 | 2014-02-03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도체 발광소자 |
KR20160039754A (ko) * | 2014-10-01 | 2016-04-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
KR20160112372A (ko) * | 2015-03-19 | 2016-09-2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자외선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
KR20170050446A (ko) * | 2015-10-30 | 2017-05-1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7136B1 (ko) | 발광 소자, 발광 소자 패키지 및 발광 소자 제조방법 | |
KR101081135B1 (ko) |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 |
KR101110937B1 (ko) |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 |
KR101646255B1 (ko) | 발광 소자, 발광 소자 패키지 및 발광 소자 제조방법 | |
KR101039904B1 (ko) | 발광 소자, 발광 소자 패키지 및 발광 소자 제조방법 | |
KR20120006410A (ko) |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KR20140020028A (ko) | 자외선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 |
US9166100B2 (en) | Light emitting device | |
KR20120017103A (ko) | 발광 소자 및 그 형성방법 | |
KR101981119B1 (ko) | 자외선 반도체 발광 소자 | |
KR20130066308A (ko) | 발광소자 | |
US9112092B2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 |
KR101125026B1 (ko) | 발광소자 및 그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 |
KR20140013249A (ko) | 자외선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 |
JP6948494B2 (ja) | 紫外線発光素子及び発光素子パッケージ | |
KR20150140938A (ko) | 발광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 |
KR102342713B1 (ko) | 발광 소자 | |
KR101754906B1 (ko) | 발광 소자 | |
KR101745996B1 (ko) | 발광소자 | |
KR20120046374A (ko) | 발광소자 | |
KR101874873B1 (ko) | 발광 소자 | |
KR20160046186A (ko) |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 |
KR20120005296A (ko) | 발광 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 |
KR101701115B1 (ko) | 발광소자 패키지 | |
KR102014172B1 (ko) | 자외선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8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8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6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3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