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697A - table - Google Patents
tab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4697A KR20120014697A KR1020100076825A KR20100076825A KR20120014697A KR 20120014697 A KR20120014697 A KR 20120014697A KR 1020100076825 A KR1020100076825 A KR 1020100076825A KR 20100076825 A KR20100076825 A KR 20100076825A KR 20120014697 A KR20120014697 A KR 201200146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fixing
- frame
- hole
- le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교의 구내식당이나 급식소 또는 휴게소에 설치되는 식탁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학교의 구내 식당이나 급식소 및 휴게소 등에 구비되는 식탁의 상판과 상판의 사방 저면에 결합되는 다리가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직접 상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어서, 외부의 충격이 식탁에 가해지면 상판과 다리의 결합상태가 쉽게 느슨해져서 식탁이 흔들거리거나, 또는 식탁 상판과 다리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공(210)을 통해 상판고정볼트(220)로 상판(100)의 사방 저면에 부착되며, 측면에는 다리결합홀(230)을 중심으로 고정홀(280)이 형성되는 한쌍의 결합돌기(240)가 직각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하부에는 다리결합공(250)이 형성되는 결합부재(200);와 양끝단에 형성되는 결합홀(310)에 결합부재(200)의 결합돌기(240)가 각각 결합되고, 고정홀(280)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공(390)이 볼트(380)결합되어 사방의 결합부재(200)를 서로 연결하는 측면프레임(300);과 결합부재(200) 하부의 다리결합공(250)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나선공(410)이 결합부재(200)의 다리결합홀(230)과 관통되어 고정볼트(450)로 고정결합되고, 나선공(410) 하부에는 고정볼트공(420)이 형성되는 다리(400);와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프레임 결합홀(51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양끝단에는 고정너트(520)가 설치되며, 고정볼트(550)가 고정부재(530)와 다리(400)의 고정볼트공(420)을 통해 양 끝단의 고정너트(520)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세로프레임(500);과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한쌍의 세로프레임(500)의 프레임 결합홀(510)에 양 끝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가로프레임(6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ning table installed in a cafeteria, a lunch room, or a rest area of a school, and conventionally, a leg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a table and a top plate of a dining table provided in a school cafeteria, a lunch room, a rest area, etc. of a school without a separate coupling member. Direct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op plate, when the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table, the coupling state of the top plate and legs easily loosen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able shake or the table top and legs separat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four sides of the top plate 100 through the plurality of bolt holes 210 formed in the upper surfac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plate 100, the side fixing the center around the leg coupling hole 230 A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240 in which the holes 280 are formed are provided at right angles, and a coupling member 200 having a leg coupling hole 250 formed therein; and coupling holes 310 formed at both ends thereof. Coupling protrusions 240 of the coupling member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hole 390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hole 280 is coupled to the bolt 380 side to connect the coupling member 200 in all directions to each other Frame 300; and is coupled to the bridge coupling hole 250 of the lower coupling member 200, the spiral hole 410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member 200 is penetrated through the bridge coupling hole 230 of the coupling member 200 Fixed to the fixing bolt 450, the spiral ball 410, the lower portion of the leg 400, the fixing bolt hole 420 is formed; and a pluralit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ame coupling holes 510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ixing nuts 520 are installed at both ends, and fixing bolts 550 fix the fixing bolts 420 of the fixing member 530 and the leg 400. Vertical frames 500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nuts 520 at both ends through each other; and horizontal frames having both ends fitted into the frame coupling holes 510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500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 600);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Description
본 발명은 학교의 구내식당이나 급식소 또는 휴게소에 설치되는 식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측면에 다리결합홀을 중심으로 한쌍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하부에 다리결합홀이 형성되는 결합부재를 상판 저면 사방과 다리 사이에 설치하고, 결합부재의 결합돌기 사이에는 상판 저면 사방에 구비되는 각각의 결합부재를 연결시켜주는 측면프레임을 설치하며, 세로방향으로 마주보는 한쌍의 다리 사이에는 세로프레임을 고정볼트로 고정결합시켜주며, 세로프레임에는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프레임결합홀을 형성하여 마주보게 설치되는 세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 사이에 다수개의 가로프레임을 결합시켜서, 상판과 디리를 견고하게 결합시켜줌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상판과 다리의 결합이 느슨해져 식탁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식탁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식탁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ning table installed in a cafeteria, a lunch room, or a rest area of a school, and more specifically, a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a side of a bridge coupling hole, and a coupling member having a bridge coupling hole formed on a lower side thereof. It is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of the four sides and the legs, and between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coupling member is installed a side frame connecting each coupling member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top plate, and fixed the vertical frame between a pair of legs fac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fixed by bolts, and in the vertical frame by forming a plurality of frame coupling hol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combin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between the vertic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to face each other, by firmly coupling the top plate and Diri, External impact or prolonged use will loosen the top plate and legs, preventing the table from breaking. Rock and will extend the life of the table and on the table was to prevent the user's safety.
일반적으로 한국에서의 식탁은 방바닥이나 마루에 앉아서 먹도록 낮게 만들었으며 상 또는 소반이라 한다. In general, the table in Korea is made low to eat sitting on the floor or the floor and is called a table or plate.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식탁 상판의 모양, 식탁 다리의 모양, 생산지, 크기, 칠, 재질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There are many kind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table top, the shape of the table legs, the place of origin, size, fill, material, etc.
이에 반해 현재 사용되는 식탁은 서양식 식탁으로써 의자에 앉아 식사를 하게 되어 있는데 대개 직사각형의 것이 많다. On the other hand, the dining table that is currently used is a western style dining table that sits in a chair and is usually rectangular.
이러한 식탁은 중세의 것은 굵은 발이 중앙에 하나 있거나, 또는 4개의 발이 있어 그 위에 두꺼운 나무판을 올려놓게 되어 있었으나, 16세기 이후에는 나무판을 접어 넣었다가 빼내어 식탁 상판을 확장시킬 수 있는 형식의 것이 고안되어 널리 보급되었다. These tables were of the Middle Ages, with one thick foot in the middle, or four feet, which had a thick wooden board on top of it, but after the 16th century the wooden boards could be folded and removed to extend the table top. It was designed and spread widely.
오늘날에는 모양은 단순하나 재료나 구조가 기능적인 것이 많이 이용된다. Today, shapes are simple but materials or structures are functional.
최근에는 상판의 저면 사방에 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형태로 형성되는 다리를 결합시켜 식탁을 형성하게 된다.Recently, a table is formed by combining leg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le or a square on all sides of the top plate.
도 1 은 종래의 식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ining table.
즉, 상판(10)의 저면 사방에 볼트 또는 못 등으로 다리(40)를 결합시켜 식탁을 형성하며, 식탁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중판 중앙에 다리(40)를 추가하여 설치하기도 하는 것이다.That is, to form a dining table by coupling the
하지만, 이와 같은 식탁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table had the following problems.
상판의 저면 사방에 다리를 결합시켜 식탁을 형성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거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식탁의 상판과 다리의 결합이 느슨해져 식탁이 흔들거리거나 파손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Since a table is formed by combining legs on all sides of the bottom of the top plate, a shock is applied from the outside or the coupling of the table and legs of the table is loose due to long-term use, causing the table to shake or be damaged, resulting in a safety accident.
또한, 식탁 상판에 무거운 무게의 물건이 적재될 경우 다리와 다리 사이에 별도의 지지부재가 없기 때문에 상판이 하부로 처져 상판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a heavy weight is placed on the table top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op plate is broken down due to the absence of a separate support member between the legs and legs, or the safety plate is broke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과 다리를 직접 결합시키지 않고, 측면에 다리결합홀을 중심으로 한쌍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하부에 다리결합홀이 형성되는 결합부재를 상판 저면 사방과 다리 사이에 설치하여 상판과 다리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며, 결합부재의 결합돌기 사이에는 상판 저면 사방에 구비되는 각각의 결합부재를 연결시켜주는 측면프레임을 설치하여 상판이 하부로 처치는 것을 방지하며, 세로방향으로 마주보는 한쌍의 다리 사이에는 세로프레임을 고정볼트로 고정결합시키고, 세로프레임에는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프레임결합홀을 형성하여 마주보게 설치되는 세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 사이에 다수개의 가로프레임을 결합시켜서 상판 저면 사방에 각각 형성되는 다리를 연결시켜 줌으로써,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거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식탁의 상판과 다리의 결합이 느슨해져 식탁이 흔들거리거나 파손되거나, 식탁 상판에 무거운 무게의 물건이 적재될 경우 다리와 다리 사이에 별도의 지지부재가 없기 때문에 상판이 하부로 처져 상판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학교의 구내식당이나 급식소 또는 휴게소에 설치되는 식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direct coupling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leg, a pair of engaging projections are formed around the leg coupling hole on the side,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between the four sides of the top plate bottom and legs are formed in the lower leg coupling hole The upper plate and the legs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and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s of the coupling member, a side frame connecting each coupling member provided on all sides of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is installed to prevent the upper plate from being treated downward and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vertical frame is fixedly fixed between the pair of legs with a fixed bolt, and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re formed between the vertical frames and the vertical frames that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by forming a plurality of frame coupling hol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connecting the bridges formed on each side, the impact from the outside or long-term use Due to the loose coupling of the table top and legs, the table shakes or breaks, or when a heavy object is loaded on the table top, there is no separate support member between the legs and legs. In order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 of a safety accident is to provide a table that is installed in the cafeteria, lunch or rest area of a school.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판과 상판의 저면 사방을 받쳐주는 다리로 학교의 구내식당 및 급식소 또는 휴게소에 설치되는 식탁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공을 통해 상판고정볼트로 상판의 사방 저면에 부착되며, 측면에는 다리결합홀을 중심으로 고정홀이 형성되는 한쌍의 결합돌기가 직각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하부에는 다리결합공이 형성되는 결합부재;와 양끝단에 형성되는 결합홀에 결합부재의 결합돌기가 각각 결합되고, 고정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공이 측면볼트로 결합되어 사방의 결합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측면프레임;과 결합부재 하부의 다리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나선공이 결합부재의 다리결합홀과 관통되어 고정볼트로 고정결합되고, 나선공 하부에는 고정볼트공이 형성되는 다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dining table installed in a cafeteria and a lunch room or a rest area of a school as a leg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top plate and the top plate. It is attached to, the pair is provided with a pair of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fixing hole around the bridge coupling hole,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with a bridge coupling hole; and the coupling hol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member Coupling projec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hole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holes are coupled to the side bolts to connect the coupling members of the four sides; and the fitting coupled to the leg coupling hole of the coupling member lower,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 spiral hole penetrates through the leg coupling hole of the coupling member and is fixedly fixed with a fixed bolt, and a lower bolt is formed with a fixed bolt hole; I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그리고,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프레임 결합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양끝단에는 고정너트가 설치되며, 고정볼트가 고정부재와 다리의 고정볼트공을 통해 양 끝단의 고정너트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세로프레임;과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한쌍의 세로프레임의 프레임 결합홀에 양 끝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가로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다리의 상부 일측에 고정볼트홀을 형성하고, 중앙의 관통공에 의해 다리에 끼워지는 프레임고정부재을 구비하되 프레임고정부재의 외주면 일측에는 고정볼트홀과 일치되는 프레임고정볼트공을 구비하여 볼트로 고정되게 하고, 프레임고정부재의 외주면 타측에는 세로프레임의 양끝단이 끼워지는 고정홈과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세로프레임의 양끝단이 프레임고정부재의 고정돌기와 고정홈에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rame coupling hol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ixing nuts are installed at both ends, and the fixing bolts are fixed to the fixing nuts at both ends through fixing bolt holes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legs, respectively. A frame; a horizontal frame having both ends fitted into the frame coupling holes of a pair of vertical frames that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is formed of a fixed bolt hole in one upper portion of the leg, and the leg is formed by a central through hole. It is provided with a frame fixing member to be fitted in the frame fixing membe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me fixing bolt hol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bolt hole to be fixed by bolts, the other side of the frame fixing member fixed to the both ends of the vertical frame is fitted By forming grooves and fixing projections, both ends of the vertical frame are fitted into the fixing projections and the fixing grooves of the frame fixing member, respectively. By forming to be assigned it will be capable of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식탁의 상판과 다리를 직접 결합시키지 않고, 측면에 다리결합홀을 중심으로 한쌍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하부에 다리결합홀이 형성되는 결합부재를 상판 저면 사방과 다리 사이에 설치하고, 결합부재의 결합돌기 사이에는 상판 저면 사방에 구비되는 각각의 결합부재를 연결시켜주는 측면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상판이 하부로 처치는 것을 방지하여 상판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식탁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Such a present invention is not direct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and legs of the table, a pair of engaging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leg coupling hole,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top plate and the four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at the bottom By installing a side frame that connects each coupling member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between the coupling projections of the coupling member to prevent the upper plate from being treated downward to extend the life of the top plate and to prevent breakage of the dining table. It works.
그리고, 세로방향으로 마주보는 한쌍의 다리 사이에는 세로프레임을 고정볼트로 고정결합시키고, 세로프레임에는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프레임결합홀을 형성하여 마주보게 설치되는 세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 사이에 다수개의 가로프레임을 결합시켜서 상판 저면 사방에 각각 형성되는 다리를 연결시켜 줌으로써,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거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식탁의 상판과 다리의 결합이 느슨해져 식탁이 흔들거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And, between the pair of legs fac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ixed to the vertical frame fixed bolts, and in the vertical frame to form a plurality of frame coupling hol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 between the vertic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By joining the frame to connect the legs formed on each side of the bottom of the top plate, there is also an effect to prevent the table from rocking or breaking due to the impact from the outside or loose coupling of the table top and legs due to long-term use.
도 1 은 종래의 식탁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식탁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식탁의 모습을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식탁의 모습을 조립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식탁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식탁의 모습을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식탁의 모습을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conventional dining tabl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in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n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of the din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in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ppearance of a din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ppearance of a din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도 1 은 종래의 식탁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식탁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식탁의 모습을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식탁의 모습을 조립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식탁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식탁의 모습을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식탁의 모습을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That i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dining tabl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in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the din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din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ppearance of a din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n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ppearanc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판(100)과 상판(100)의 저면 사방을 받쳐주는 다리로 학교의 구내식당 및 급식소 또는 휴게소에 설치되는 식탁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공(210)을 통해 상판고정볼트(220)로 상판(100)의 사방 저면에 부착되며, 측면에는 다리결합홀(230)을 중심으로 고정홀(280)이 형성되는 한쌍의 결합돌기(240)가 직각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하부에는 다리결합공(250)이 형성되는 결합부재(200);와 양끝단에 형성되는 결합홀(310)에 결합부재(200)의 결합돌기(240)가 각각 결합되고, 고정홀(280)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공(390)이 측면볼트(380)로 결합되어 사방의 결합부재(200)를 서로 연결하는 측면프레임(3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ining table installed in the cafeteria and school lunch or rest area of the school as a leg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또한, 결합부재(200) 하부의 다리결합공(250)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나선공(410)이 결합부재(200)의 다리결합홀(230)과 관통되어 고정볼트(450)로 고정결합되고, 나선공(410) 하부에는 고정볼트공(420)이 형성되는 다리(400);와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프레임 결합홀(51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양끝단에는 고정너트(520)가 설치되며, 고정볼트(550)가 고정부재(530)와 다리(400)의 고정볼트공(420)을 통해 양 끝단의 고정너트(520)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세로프레임(5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threaded
그리고,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한쌍의 세로프레임(500)의 프레임 결합홀(510)에 양 끝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가로프레임(600)으로 이루어지게 형성하며, 다리(400)의 상부 일측에 고정볼트홀(470)을 형성하고, 중앙의 관통공(810)에 의해 다리(400)에 끼워지는 프레임고정부재(800)을 구비하되, 프레임고정부재(800)의 외주면 일측에는 고정볼트홀(470)과 일치되는 프레임고정볼트공(820)을 구비하여 볼트(850)로 고정되게 하고, 프레임고정부재(800)의 외주면 타측에는 세로프레임(500)의 양끝단이 끼워지는 고정홈(830)과 고정돌기(840)를 형성하여, 세로프레임(500)의 양끝단이 프레임고정부재(800)의 고정돌기(840)와 고정홈(830)에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both ends are fitted into the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결합부재(200)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볼트공(210)을 통해 상판(100)의 저면 사방에 결합부재(200)를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이렇게 상판(100)의 사방 저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00)에는 각각 고정홀(280)이 형성되는 한쌍의 결합돌기(240)가 구비되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상판(100) 저면 사방에 결합부재(200)가 결합되면 각각의 결합부재(200) 사이에 측면프레임(300)이 설치되는데, 측면프레임(300)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결합홀(310)이 각각 양쪽 결합부재(200)의 결합돌기(240)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When the
결합부재(200)의 결합돌기(240)에 측면프레임(300)이 결합된 후, 측면볼트(380)로 측면프레임(300)의 결합홀(390)과 결합돌기(240)의 고정홀(280)을 통해 측면프레임(300)을 상판(100)에 고정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After the
그리고 결합부재(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리결합공(250)에 다리(400)를 결합시킨 후, 결합부재(200)에 형성되는 다리결합홀(230)과 다리(400)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나선공(410)을 고정볼트(450)로 결합하여 결합부재(200)와 다리(400)를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And after the
이렇게 결합부재(200)와 다리(400)가 결합되면, 상판(100) 저면 사방에 설치되는 각각의 다리(400)를 결합시켜주기 위해 세로로 마주보는 한쌍의 다리(400)를 세로프레임(500)으로 결합시켜주게 되는 것이다.When the
이때, 다리(400)에는 고정볼트공(420)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볼트(550)를 고정부재(530)에 끼워 다리(400)의 고정볼트공(420)을 통해 세로프레임(500)의 양끝단에 구비되는 고정너트(520)에 체결시킴으로써 다리(400)와 세로프레임(500)을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두개의 다리(400)가 각각 세로프레임(500)에 의해 마주보고 결합되면, 마주보게 형성되는 한쌍의 세로프레임(500) 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결합홀(510)에 가로프레임(600)의 양끝단을 끼워 한쌍의 가로프레임(500)을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When the two
세로프레임(500)과 가로프레임(600)에 의해 상판(100) 저면 사방에 결합되는 각각의 다리(400) 모두 결합되면, 외부의 충격이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식탁이 흔들거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식탁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되며,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식탁에서 식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both
특히, 식탁 저면 사방에 설치되는 다리(400)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세로프레임(500)을 직접 다리(400)에 고정볼트(550)로 결합시키지 않고, 중앙에 다리(400)가 끼워지는 관통공(810)을 구비하는 프레임고정부재(800)를 구비하여 다리(400)와 세로프레임(500)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프레임고정부재(800) 외주면 일측에는 다리(400)의 고정볼트홀(470)과 일치되는 프레임고정볼트공(820)이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850)를 이용하여 프레임고정부재(800)를 다리(400)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One side of the
이렇게 프레임고정부재(800)를 각각의 다리(400)에 고정시킨 후, 프레임고정부재(800)에 구비되는 고정돌기(840)에 세로프레임(500)의 끝단을 끼워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고정돌기(840)의 외주면 타측에는 세로프레임(500)의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830)이 형성되어 있어서, 세로프레임(500)을 프레임고정부재(80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fter fixing the
한쌍의 프레임고정부재(800)에 양끝단이 끼워져 고정결합된 세로프레임(500)의 프레임결합홀(510)과 마주보게 형성되는 세로프레임(500)의 프레임결합홀(510) 사이에 가로프레임(600)을 사이에 가로프레임(600)을 결합시켜 각각의 다리(400)를 고정결합하게 되는 것이다.Both ends are fitted to the pair of
100 : 상판 200 : 결합부재
210 : 볼트공 230 : 다리결합홀
240 : 결합돌기 250 : 다리결합공
300 : 측면프레임 310 : 결합홀
400 : 다리 410 : 나선공
420 : 고정볼트공 500 : 세로프레임
510 : 프레임결합홀 520 : 고정너트
600 : 가로프레임 800 : 프레임고정부재
810 : 관통공 820 : 프레임고정볼트공
830 : 고정홈 850 : 볼트100: top plate 200: coupling member
210: bolt hole 230: bridge coupling hole
240: coupling protrusion 250: bridge coupling hole
300: side frame 310: coupling hole
400: bridge 410: helix
420: fixed bolt ball 500: vertical frame
510: frame coupling hole 520: fixing nut
600: horizontal frame 800: frame fixing member
810: through hole 820: frame fixing bolt ball
830: fixing groove 850: bolt
Claims (2)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공(210)을 통해 상판고정볼트(220)로 상판(100)의 사방 저면에 부착되며, 측면에는 다리결합홀(230)을 중심으로 고정홀(280)이 형성되는 한쌍의 결합돌기(240)가 직각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하부에는 다리결합공(250)이 형성되는 결합부재(200);와
양끝단에 형성되는 결합홀(310)에 결합부재(200)의 결합돌기(240)가 각각 결합되고, 고정홀(280)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공(390)이 측면볼트(380)로 결합되어 사방의 결합부재(200)를 서로 연결하는 측면프레임(300);과
결합부재(200) 하부의 다리결합공(250)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나선공(410)이 결합부재(200)의 다리결합홀(230)과 관통되어 고정볼트(450)로 고정결합되고, 나선공(410) 하부에는 고정볼트공(420)이 형성되는 다리(400);와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프레임 결합홀(51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양끝단에는 고정너트(520)가 설치되며, 고정볼트(550)가 고정부재(530)와 다리(400)의 고정볼트공(420)을 통해 양 끝단의 고정너트(520)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세로프레임(500);과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한쌍의 세로프레임(500)의 프레임 결합홀(510)에 양 끝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가로프레임(60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
In configuring the dining table with legs that support the bottom of the top plate 100 and the top plate 100,
A pair of fixing holes 280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plate 100 through the plurality of bolt holes 21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by fixing the upper plate bolts 220. The coupling protrusion 240 is provided to form a right angle, the coupling member 200 is formed in the lower leg coupling hole 250;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240 of the coupling member 200 ar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310 formed at both ends, respectively, and the coupling holes 390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holes 280 are coupled to the side bolts 380. Side frames 300 for connecting the coupling members 200 to each other; and
Fitted into the leg coupling hole 250 of the lower coupling member 200, the spiral hole 410 formed on one side is penetrated through the leg coupling hole 230 of the coupling member 200 to the fixing bolt 450 Fixed and coupled, the spiral 400, the lower leg 400 is formed with a fixed bolt hole 420; and
A plurality of frame coupling holes 510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fixing nuts 520 are installed at both ends, and fixing bolts 550 are fixed bolt holes of the fixing member 530 and the leg 400. Vertical frame 500 is fixed to each of the fixing nuts 520 at both ends through the 420; And
A horizontal frame 600 having both end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frame coupling holes 510 of a pair of vertical frames 500 facing each other;
Din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다리(400)의 상부 일측에 고정볼트홀(470)을 형성하고,
중앙의 관통공(810)에 의해 다리(400)에 끼워지는 프레임고정부재(800)을 구비하되, 프레임고정부재(800)의 외주면 일측에는 고정볼트홀(470)과 일치되는 프레임고정볼트공(820)을 구비하여 볼트(850)로 고정되게 하고, 프레임고정부재(800)의 외주면 타측에는 세로프레임(500)의 양끝단이 끼워지는 고정홈(830)과 고정돌기(840)를 형성하여,
세로프레임(500)의 양끝단이 프레임고정부재(800)의 고정돌기(840)와 고정홈(830)에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bolt hole 47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g 400,
The frame fixing member 800 is fitted to the leg 400 by the through-hole 810 in the center, and the frame fixing bolt hole coincides with the fixing bolt hole 470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me fixing member 800 ( 820 and fixed to the bolt 850, and the other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me fixing member 800 to form a fixing groove 830 and the fixing projections 840 to be fitted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frame 500,
Both ends of the vertical frame 500, the din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rotrusion 840 and the fixing groove 830 of the frame fixing member 800 can be fitted and fixed respective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6825A KR101188797B1 (en) | 2010-08-10 | 2010-08-10 | tab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6825A KR101188797B1 (en) | 2010-08-10 | 2010-08-10 | tab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4697A true KR20120014697A (en) | 2012-02-20 |
KR101188797B1 KR101188797B1 (en) | 2012-10-10 |
Family
ID=4583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6825A KR101188797B1 (en) | 2010-08-10 | 2010-08-10 | tab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879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6548B1 (en) * | 2014-07-04 | 2014-10-31 | 주식회사 퍼스코 | table |
KR20210013967A (en) | 2019-07-29 | 2021-02-08 | 양택훈 | hygiene dining table and method for cleaning table |
KR102253896B1 (en) | 2020-10-22 | 2021-05-18 | 이동철 | chain-connected table |
KR102581267B1 (en) | 2023-04-06 | 2023-09-21 | 영남강철 주식회사 | Surface-reinforced eco-friendly dining table |
-
2010
- 2010-08-10 KR KR1020100076825A patent/KR101188797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8797B1 (en) | 2012-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64575B1 (en) | Trampoline arena | |
CA3065132C (en) | Bedding/seating product with locked corners | |
KR101188797B1 (en) | table | |
CA1075586A (en) | Chair and base frame therefor | |
KR101636551B1 (en) | Prefabricated outdoor table | |
KR200482159Y1 (en) | Sectional furniture | |
KR101997755B1 (en) | Desk with reinforced fastening structure | |
KR200447453Y1 (en) | Assembly structure of bed frame | |
KR20160133080A (en) | Prefabricated table frame | |
KR101287403B1 (en) | Prefabricated table | |
KR102157463B1 (en) | Bed having simple connecting structure | |
KR102080238B1 (en) | Height adjustable bed | |
KR200367622Y1 (en) | A frame for bed | |
KR102626366B1 (en) | A table leg | |
US20060117702A1 (en) | Table jointing device | |
KR20050009431A (en) | prefab-iron bed capable of joining or disjoining | |
KR100981408B1 (en) | Deck coupling structure | |
KR200441590Y1 (en) | Portable flat | |
KR200487267Y1 (en) | assemblable multi-purpose hanger | |
KR102253896B1 (en) | chain-connected table | |
KR200438516Y1 (en) | Adjustable Table | |
KR200496229Y1 (en) | Bed frame having simple folding structure | |
KR950002070Y1 (en) | Table leg structure | |
KR101589152B1 (en) | A baluster | |
KR0129572Y1 (en) | Feet uniformed with underframes for ta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