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437U - 저항 미세 조정 구조를 갖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저항 미세 조정 구조를 갖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6437U KR20120006437U KR2020110009165U KR20110009165U KR20120006437U KR 20120006437 U KR20120006437 U KR 20120006437U KR 2020110009165 U KR2020110009165 U KR 2020110009165U KR 20110009165 U KR20110009165 U KR 20110009165U KR 20120006437 U KR20120006437 U KR 2012000643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is
- width
- electrode
- arrays
- electrod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저항 미세 조정 구조를 갖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은 X-축 센싱층 및 Y-축 센싱층을 가진다. X-축 센싱층 및 Y-축 센싱층은 각각 복수의 X-축 전극 어레이들 및 복수의 Y-축 전극 어레이들을 가진다. 각각의 X-축 전극 어레이 또는 각각의 Y-축 전극 어레이는 복수의 전극들 및 복수의 연결부들로 구성된다. 각각의 연결부는 X-축 또는 Y-축 전극 어레이들 중에서 하나 전극 어레이의 전극들 중 인접한 2 개의 전극들 사이에 연결된다. X-축 전극 어레이들 및 Y-축 전극 어레이들의 연결부들의 폭을 변화시키고 저항을 조정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민감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의 사이즈도 확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projected capacitive touch panel)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민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접 전극들 간에 저항 또는 정전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터치 패널의 확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은 기판(70), X-축 센싱층(80; X-axis sensing layer) 및 Y-축 센싱층(90; Y-axis sensing layer)을 가진다.
기판(70)은 투명하다. X-축 센싱층(80)은 기판(70)의 상면에 장착되고 수평으로 서로 정렬된 복수의 센싱행들(sensing rows)을 가진다. 각 센싱행은 복수의 마름모꼴 X-축 전극들(81)로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좁은 연결부(810)는 인접한 2 개의 X-축 전극들(81) 각각 사이에 서로 연결되어 있고, 각 센싱행은 X-축 구동 라인(82)과 연결된다.
Y-축 센싱층(90)은 기판(70)의 하면에 장착되고, 수직으로 서로 정렬된 복수의 센싱열들(sensing columns)을 가진다. 각 센싱열은 복수의 마름모꼴 Y-축 전극들(91)로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좁은 연결부(910)는 인접한 2 개의 Y-축 전극들(91) 각각 사이에 연결되고, 각 센싱열은 Y-축 구동 라인(92)과 연결된다. Y-축 센싱층(90)의 Y-축 전극(91) 각각은 X-축 전극들(81) 중 하나와 직접 정렬되거나 또는 X-축 전극들(81) 중 인접한 2 개 사이에 정렬된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Y-축 센싱층(90)의 Y-축 전극(91) 각각은 X-축 전극들(81)의 인접한 2 개 사이에 정렬된다.
X-축 센싱층(80)의 X-축 구동 라인들(82) 및 Y-축 센싱층(90)의 Y-축 구동라인들(92)은 보통 기판(70) 상에, 그리고, 기판(70)의 측면 에지를 따라 형성되어 기판(70)의 공통 에지로 연장되며, 제어기가 X-축 센싱층(80) 및 Y-축 센싱층(90) 상의 각 정전용량 노드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공통 에지(common edge) 상에 장착된 연결 포트를 통해 제어기에 연결된다. 보통,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들은 X-축 센싱층(80) 및 Y-축 센싱층(90)과 같은 센싱 인터페이스와 제어기 간에 높은 협업 요구할 필요가 있다. X-축 구동 라인들(82) 및 Y-축 구동 라인들(92)은 보통 기판(70)의 측면 에지를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제어기로의 X-축 구동 라인들(82) 및 Y-축 구동 라인들(92)은 동일하지는 않으며, 길이 면에서 상당히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X-축 구동 라인들(82) 및 Y-축 구동 라인들(92)의 와이어(wire) 저항의 크기는 그 길이에 비례한다. 터치 패널의 사이즈가 크면 클수록, 구동 라인은 더 길어지고 구동 라인들의 와이어 저항은 더 커지게 된다. 제어기에 의해 결정되는 터치 민감도는 와이어 저항의 증가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는 터치되는 위치를 결정하는데 에러를 야기할 수도 있다.
와이어 저항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센싱행들 및 센싱열들의 내부 저항과 X-축 구동 라인들(82) 및 Y-축 구동 라인들(92)의 와이어 저항이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즉, X-축 구동 라인들(82) 및 Y-축 구동 라인들(92)의 더 높은 와이어 저항은 센싱행들 및 센싱열들의 더 낮은 저항에 의해 보상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민감도 문제 및 터치 패널의 사이즈 제한을 해결할 수 있다.
고안의 명칭이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인 대만 실용신안등록 번호 M400618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X-축 구동 라인들 및 Y-축 구동 라인들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신호를 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부분적으로는 X-축 구동 라인들 및 Y-축 구동 라인들의 길이에 비례하여 와이어 저항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X-축 변환 모듈(20) 및 Y-축 변환 모듈(30)에도 불구하고, 와이어 저항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한 다른 접근법을 이용하여 개선을 할 필요성은 여전히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터치 민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접 전극들 사이의 저항 또는 정전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터치 패널의 확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항을 미세 조정 구조를 갖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은 제 1 센싱층 및 제 2 센싱층을 가진다.
제 1 센싱층은 제 1 축을 따라 평행하게 정렬된 복수의 제 1 전극 어레이들을 가진다. 각각의 제 1 전극 어레이는 복수의 제 1 전극들 및 복수의 제 1 연결부들을 가진다. 각각의 제 1 연결부는 제 1 전극 어레이들 중에서 하나의 제 1 전극 어레이의 제 1 전극들 중 인접한 2 개의 제 1 전극 사이에 연결되며, 제 1 폭을 가진다.
제 2 센싱층은 제 1 축에 수직인 제 2 축을 따라 평행하게 정렬된 복수의 제 2 전극 어레이들을 가진다. 각각의 제 2 전극 어레이는 복수의 제 2 전극들 및 복수의 제 2 연결부들을 가진다. 제 2 전극들은 각각의 제 1 전극 어레이의 제 1 전극들보다 개수가 더 많다. 각각의 제 2 연결부는 제 2 전극 어레이들 중에서 하나의 제 2 전극 어레이의 제 2 전극들 중 인접한 2 개의 제 2 전극 사이에 연결된다. 제 2 전극 어레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 2 전극 어레이의 제 2 전극 연결부들 중 하나 이상의 연결부는 제 2 폭을 가지며, 제 2 폭은 제 1 폭보다 더 크다.
상술한 터치 패널에서, 각각의 제 2 연결부는 제 2 전극 어레이들 중에서 하나의 제 2 전극 어레이의 제 2 전극들 중 인접한 2 개의 제 2 전극 사이에서 신호 전송 채널로서 기능한다. 제 2 연결부의 제 2 폭이 좁아 질 때, 제 2 연결부의 채널 저항은 감소된다. 따라서, 더 긴 제 2 전극 어레이들의 저항 또한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 패널의 터치 민감도를 향상시키고 터치 패널의 확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방식으로, 저항 미세 조정 구조를 갖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터치 패널은 제 1 센싱층 및 제 2 센싱층을 가진다.
제 1 센싱층은 제 1 축을 따라 평행하게 정렬된 복수의 제 1 전극 어레이들을 가진다. 각각의 제 1 전극 어레이는 제 1 축을 따라 병렬로 연결되어 정렬된 2 개의 제 1 전극 서브-어레이들을 가진다. 각각의 제 1 전극 서브-어레이는 복수의 제 1 전극들 및 복수의 제 1 연결부들을 가진다. 각각의 제 1 연결부는 제 1 전극 어레이들 중에서 하나의 제 1 전극 어레이의 제 1 전극들 중 인접한 2 개의 제 1 전극 사이에 연결되며, 제 1 폭을 가진다.
제 2 센싱층은 제 1 축과 수직인 제 2 축을 따라 평행하게 정렬된 복수의 제 2 전극 어레이들을 가진다. 각각의 제 2 전극 어레이는 제 2 축을 따라 병렬로 연결되어 정렬된 2 개의 제 2 전극 서브-어레이들을 가진다. 각각의 제 2 전극 서브-어레이는 복수의 제 2 전극들 및 복수의 제 2 연결부들을 가진다. 각각의 제 2 전극 서브-어레이의 제 2 전극들은 각각의 제 1 전극 서브-어레이의 제 1 전극들보다 개수가 더 많다. 각각의 제 2 연결부는 제 2 전극 서브-어레이들 중에서 하나의 제 2 전극 서브-어레이의 제 2 전극들 중 인접한 2 개의 제 2 전극 사이에 연결된다. 제 2 전극 서브-어레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 2 전극 서브-어레이의 제 2 연결부들 중 하나 이상의 제 2 연결부는 제 2 폭을 가지며, 제 2 폭은 제 1 폭 보다 더 크다.
상술한 터치 패널에서, 제 1 센싱층의 제 1 전극 어레이들 및 제 2 센싱층의 제 2 전극 어레이들 각각은 병렬로 연결된 2 개의 전극 서브-어레이들로 구성된다. 전극 서브-어레이들은 내부 저항을 가지므로, 2 개의 전극 서브-어레이들이 병렬로 연결된 후 내부 저항은 감소된다. 또한, 각각의 제 2 연결부는 제 2 전극 서브-어레이들 중에서 하나의 제 2 전극 서브-어레이의 제 2 전극들 중 인접한 2 개의 제 2 전극 사이에서 신호 전송 채널로서 기능한다. 제 2 연결부의 제 2 폭이 좁아질 때, 제 2 연결부의 채널 저항은 감소되고, 더 긴 제 2 전극 서브-어레이들의 저항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터치 패널의 터치 민감도는 향상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의 사이즈도 확대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은 인접 전극들 사이의 저항 또는 정전용량을 감소시켜 터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터치 패널의 확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 이점들 및 신규한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제 1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확대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제 2 실시형태이다.
도 4는 도 3의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확대된 평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종래의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확대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확대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제 2 실시형태이다.
도 4는 도 3의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확대된 평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종래의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확대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제 1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기판, 제 1-축 센싱층, 제 2-축 센싱층 및 복수의 연결 포트들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 1-축 센싱층은 X-축 센싱층(XS)이고, 제 2-축 센싱층은 Y-축 센싱층(YS)이다. X-축 센싱층 및 Y-축 센싱층은 각각 기판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각각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기판들의 양면에 형성된다. 연결 포트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기판에 형성된다. X-축 센싱층(XS)은 X-축을 따라 평행하게 정렬된 복수의 X-축 전극 어레이들(10)을 가진다.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은 하나 이상의 기판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X-축 구동 라인들(12)을 더 가진다. 각각의 X-축 전극 어레이(10)의 일단은 X-축 구동 라인들(12) 중 하나와 연결된다. 각각의 X-축 전극 어레이(10)는 복수의 X-축 전극들(11) 및 복수의 X-축 연결부들(11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X-축 연결부(110)는 X-축 전극 어레이들 중에서 하나 X-축 전극 어레이의 X-축 전극들(11) 중 인접한 2 개의 X-축 전극 사이에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모든 X-축 연결부들(110)은 제 1 폭(W1)을 가진다.
Y-축 센싱층(YS)은 복수의 Y-축 전극 어레이들(20)을 가진다.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은 하나 이상의 기판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Y-축 구동 라인들(22)을 더 가진다. 각각의 Y-축 전극 어레이(20)의 일단은 Y-축 구동 라인들(22) 중 하나와 연결된다. 각각의 Y-축 전극 어레이(20)는 복수의 Y-축 전극들(21) 및 복수의 Y-축 연결부들(210)로 구성된다. Y-축 전극들(21)은 Y-축을 따라 평행하게 정렬되고, Y-축은 X-축과 수직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Y-축 전극 어레이(20)의 Y-축 전극들(21)은 각각의 X-축 전극 어레이(10)의 X-축 전극들(11)보다 개수가 더 많다. 전체 X-축 전극들(11)의 개수와 전체 Y-축 전극들(21)의 개수의 비는 16:9 일 수 있다. 각각의 Y-축 연결부(210)는 Y-축 전극 어레이들(20) 중에서 하나 Y-축 전극 어레이의 Y-축 전극들(21) 중 인접한 2 개의 Y-축 전극 사이에 연결된다. Y-축 전극 어레이들(20) 중에서 하나 이상 Y-축 전극 어레이의 Y-축 연결부들(210) 중 하나 이상의 Y-축 연결부는 제 2 폭(W2)을 가진다. 제 2 폭(W2)은 X-축 연결부들(110)의 제 1 폭(W1)보다 더 넓다. 본 실시형태에서, Y-축 전극 어레이들(20)의 모든 Y-축 연결부들(210)은 제 2 폭(W2)을 가진다. 제 2 폭(W2)과 제 1 폭(W1)의 비는 터치 패널의 길이와 폭의 비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의 길이와 폭의 비가 16:9 일 때, 제 2 폭(W2)과 제 1 폭(W1)의 비는 16:9 이거나, 또는 제 2 폭(W2)이 제 1 폭(W1)의 1.78 배이다.
구체적으로, X-축 센싱층(XS)의 X-축 연결부들(110)은 원래의 폭(제 1 폭(W1))을 유지하는 반면, Y-축 센싱층(YS)의 Y-축 연결부들은 제 1 폭보다 더 넓은 폭(제 2 폭(W2))을 가진다. Y-축 연결부들(210)은 2 개의 Y-축 전극들(21) 중 인접한 2 개의 Y-축 전극을 연결하여 신호 전송을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며, 그 저항에 반비례하는 면적을 가진다. Y-축 연결부들(210)의 폭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때, 그 저항은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이에 따라, 긴 구동 라인들로부터 발생하는 큰 저항에 의해 터치 민감도가 영향을 받는 문제를 해결하여 터치 패널의 확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모든 Y-축 연결부들(210)의 폭을 증가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특정 위치에서 Y-축 전극 어레이들(20)에 인접한 Y-축 연결부들(210)은 더 긴 폭(제 2 폭(W2))을 가질 수 있으며, 다른 위치에서는 Y-축 전극 어레이들(20)이 더 짧은 폭(제 1 폭(W1))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위치는 대응하는 구동 라인들에 의해 더 먼 연결 포트들에 연결된 Y-축 전극 어레이들(20)을 가리킨다. 구동 라인들의 저항은 더 긴 구동 라인들로 인해 증가한다. 상술한 접근법에 의하면, 연결 포트로부터 멀리 떨어진 Y-축 전극 어레이의 저항은 미세 조정될 수 있다.
Y-축 센싱층(YS)의 Y-축 연결부들(210)은 X-축 센싱층(XS)의 X-축 연결부들(110)에 의해 절연된 상태로 중첩되기 때문에, Y-축 연결부들(210) 및 X-축 연결부들(110)이 2 개의 플레이트를 구성할 만큼 충분히 클 때 기생 정전용량이 발생할 수 있다. 기생 정전용량의 발생을 막기 위하여, Y-축 연결부들(210)의 제 2 폭(W2)이 증가할 때 X-축 연결부들의 제 1 폭은 적절히 감소될 수 있다. 필요 조건으로서, 그러한 폭의 변화는 Y-축 전극 어레이들의 저항을 두드러지게 변화시켜서는 안되며 또한 그것들의 민감도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Y-축 연결부들(210)의 제 2 폭(W2)은 원래 폭의 105%로 넓어지는 반면, X-축 연결부들(110)의 제 1 폭(W1)은 원래 폭의 95%로 줄어든다. 따라서, X-축 연결부와 Y-축 연결부의 중첩된 영역은 원래의 상태로 회복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기생 정전용량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Y-축 연결부들(210)의 제 2 폭(W2)은 원래 폭의 110% 및 115%로 넓어질 수 있는 반면, X-축 연결부들(110)의 제 1 폭(W1)은 원래 폭의 90% 및 85%로 줄어들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제 2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기판, 제 1-축 센싱층, 제 2-축 센싱층 및 복수의 연결부들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 1-축 센싱층은 X-축 센싱층(XS)이고, 제 2-축 센싱층은 Y-축 센싱층(YS)이다. X-축 센싱층 및 Y-축 센싱층은 기판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거나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기판들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다.
X-축 센싱층(XS)는 X-축을 따라 정렬된 복수의 X-축 전극 어레이들(30)을 가진다.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터치 패널은 하나 이상의 기판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X-축 구동 라인들(32)을 더 가진다. 각각의 X-축 전극 어레이(30)의 일단은 X-축 구동 라인들(32) 중 하나와 연결된다. 각각의 X-축 전극 어레이(30)는 복수의 X-축 전극 서브-어레이들(301, 302)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각각의 X-축 전극 어레이(30)는 X-축을 따라 평행하게 연결되어 정렬된 2 개의 X-축 전극 서브-어레이들(301, 302)로 구성되며, 각각의 X-축 전극 서브-어레이(301, 302)는 복수의 X-축 전극들(31) 및 복수의 X-축 연결부들(310)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X-축 연결부(310)는 X-축 전극 서브-어레이들(301, 302) 중에서 하나의 X-축 전극 서브-어레이의 X-축 전극들(31) 중 인접한 2 개의 X-축 전극 사이에 연결되며, X-축 연결부들(310)은 제 1 폭(W1)을 가진다.
Y-축 센싱층(YS)은 Y-축을 따라 정렬된 복수의 Y-축 전극 어레이들(40)을 가진다.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터치 패널은 하나 이상의 기판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Y-축 구동 라인들(42)을 더 가진다. 각각의 Y-축 전극 어레이(40)의 일단은 Y-축 구동 라인들(42) 중 하나와 연결된다. 각각의 Y-축 전극 어레이(40)는 복수의 Y-축 전극 서브-어레이들(401, 402)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각각의 Y-축 전극 어레이(40)는 Y-축을 따라 평행하게 연결되어 정렬된 2 개의 Y-축 전극 서브-어레이들(401, 402)로 구성되며, 각각의 Y-축 전극 서브-어레이(401, 402)는 복수의 Y-축 전극들(41) 및 복수의 Y-축 연결부들(410)로 구성된다. 각각의 Y-축 연결부(410)는 Y-축 전극 서브-어레이들(401, 402) 중에서 하나 Y-축 전극 서브-어레이의 Y-축 전극들(41) 중 인접한 2 개의 Y-축 전극 사이에 연결된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Y-축 전극 서브-어레이들(401, 402)들 중 전부 또는 일부의 Y-축 연결부들(410)은 제 2 폭(W2)을 가지며, 제 2 폭(W2)은 X-축 연결부들(310)의 제 1 폭(W1)보다 더 크다.
병렬 저항 공식에 따르면, 병렬로 연결된 2 개 저항의 저항값은 2 개 저항 중 어느 하나의 저항값보다 작다. 또한, X-축 및 Y-축 전극 서브-어레이들(301, 302, 401, 402)는 산화 인듐-주석(ITO; Indium Tin Oxide)으로 만들어지며, 그 내부에 내부 저항을 가진다. 이에 따라, 각각의 X-축 전극 어레이(30)의 병렬 연결된 X-축 전극 서브-어레이들(301, 302) 및 각각의 Y-축 전극 어레이(40)의 병렬 연결된 Y-축 전극 서브-어레이들(401, 402)은 X-축 전극 어레이들(30) 및 Y-축 전극 어레이들(40)의 저항값을 감소시킨다. 또한, Y-축 전극 어레이들(40)과 연결된 Y-축 연결부들(410)은 넓어져서 Y-축 전극 어레이들(40) 중 전부 또는 일부의 저항값을 더욱 작게 한다. 따라서, 터치 민감도는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기생 정전용량의 발생을 막기 위하여, X-축 전극 어레이들(30)의 X-축 연결부들(310) 중 전부 또는 일부의 폭은 적절히 감소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많은 특징들 및 이점들이 본 고안의 구조 및 기능의 상세한 점들과 함께 설명되었지만, 개시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일 뿐이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된 용어들의 최광의 일반적 의미에 의해 나타나는 전체 범위까지는 본 고안의 원리 내에서 세부 사항의 변경, 특히 형상, 사이즈 및 구성요소들의 배열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10: X-축 전극 어레이 20: Y-축 전극 어레이
11: X-축 전극 21: Y-축 전극
12: X-축 구동 라인 22: Y-축 구동 라인
110: X-축 연결부 210: Y-축 연결부
11: X-축 전극 21: Y-축 전극
12: X-축 구동 라인 22: Y-축 구동 라인
110: X-축 연결부 210: Y-축 연결부
Claims (16)
- 저항 미세 조정 구조를 갖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 있어서,
제 1 축을 따라 평행하게 정렬되는 복수의 제 1 전극 어레이들을 갖는 제 1 센싱층; 및
상기 제 1 축에 수직인 제 2 축을 따라 평행하게 정렬되는 복수의 제 2 전극 어레이들을 갖는 제 2 센싱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 각각은,
복수의 제 1 전극들; 및
복수의 제 1 연결부들을 가지며,
상기 제 1 연결부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들 중에서 하나의 제 1 전극 어레이의 제 1 전극들 중 인접한 2 개의 제 1 전극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폭을 가지며,
상기 제 2 전극 어레이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 각각의 제 1 전극들보다 개수가 더 많은 복수의 제 2 전극들; 및
복수의 제 2 연결부들을 가지며,
상기 제 2 연결부 각각은 상기 제 2 전극 어레이들 중에서 하나의 제 2 전극 어레이의 제 2 전극들 중 인접한 2 개의 제 2 전극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전극 어레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 2 전극 어레이의 제 2 연결부들 중 하나 이상의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폭 보다 더 큰 제 2 폭을 가지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 어레이 각각의 제 2 연결부들은 제 2 폭을 가지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센싱층 및 상기 제 2 센싱층은 각각 상기 기판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
2 개의 기판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센싱층 및 상기 제 2 센싱층은 각각 서로 대향하는 상기 기판들의 양면에 형성되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폭과 상기 제 1 폭의 비는 16 대 9인,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폭은 상기 제 2 폭의 원래 폭의 105%로 확장된 것이며, 상기 제 1 폭은 상기 제 1 폭의 원래 폭의 95%로 줄어든 것인,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폭은 상기 제 2 폭의 원래 폭의 110%로 확장된 것이며, 상기 제 1 폭은 상기 제 1 폭의 원래 폭의 90%로 줄어든 것인,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폭은 상기 제 2 폭의 원래 폭의 115%로 확장된 것이며, 상기 제 1 폭은 상기 제 1 폭의 원래 폭의 85%로 줄어든 것인,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저항 미세 조정 구조를 갖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 있어서,
제 1 축을 따라 평행하게 정렬되는 복수의 제 1 전극 어레이들을 갖는 제 1 센싱층; 및
상기 제 1 축에 수직인 제 2 축을 따라 평행하게 정렬되는 복수의 제 2 전극 어레이들을 갖는 제 2 센싱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 각각은,
상기 제 1 축을 따라 병렬로 연결되어 정렬되는 2 개의 제 1 전극 서브-어레이들을 가지고,
상기 제 1 전극 서브-어레이 각각은,
복수의 제 1 전극들; 및
복수의 제 1 연결부들을 가지며,
상기 제 1 연결부 각각은 상기 제 1 전극 어레이들 중에서 하나의 제 1 전극 어레이의 제 1 전극들 중 인접한 2 개 제 1 전극 사이에 연결되며, 제 1 폭을 가지고,
상기 제 2 전극 어레이 각각은,
상기 제 2 축을 따라 병렬로 연결되어 정렬되는 2 개의 제 2 전극 서브-어레이들을 가지며,
상기 제 2 전극 서브-어레이 각각은,
복수의 제 2 전극들; 및
복수의 제 2 연결부들 가지며,
상기 제 2 전극 서브-어레이 각각의 제 2 전극들은 상기 제 1 전극 서브-어레이 각각의 제 1 전극들의 개수보다 더 많으며,
상기 제 2 연결부 각각은 상기 제 2 전극 서브-어레이들 중에서 하나의 제 2 전극 서브-어레이의 제 2 전극들 중 인접한 2 개의 제 2 전극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전극 서브-어레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 2 전극 서브-어레이의 제 2 연결부들 중 하나 이상의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폭보다 더 큰 제 2 폭을 가지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 어레이 각각의 제 2 연결부들은 제 2 폭을 가지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제 9 항에 있어서,
하나의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센싱층 및 상기 제 2 센싱층은 각각 상기 기판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제 9 항에 있어서,
2 개의 기판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센싱층 및 상기 제 2 센싱층은 각각 서로 대향하는 상기 기판들의 양면에 형성되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폭과 상기 제 1 폭의 비는 16 대 9인,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폭은 상기 제 2 폭의 원래 폭의 105%로 확장된 것이며, 상기 제 1 폭은 상기 제 1 폭의 원래 폭의 95%로 줄어든 것인,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폭은 상기 제 2 폭의 원래 폭의 110%로 확장된 것이며, 상기 제 1 폭은 상기 제 1 폭의 원래 폭의 90%로 줄어든 것인,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폭은 상기 제 2 폭의 원래 폭의 115%로 확장된 것이며, 상기 제 1 폭은 상기 제 1 폭의 원래 폭의 85%로 줄어든 것인,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00204155 | 2011-03-09 | ||
TW100204155U TWM410274U (en) | 2011-03-09 | 2011-03-09 | Projection-type capacitive touch panel with impedance fine-tuning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6437U true KR20120006437U (ko) | 2012-09-19 |
Family
ID=4508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9165U KR20120006437U (ko) | 2011-03-09 | 2011-10-14 | 저항 미세 조정 구조를 갖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229148A1 (ko) |
JP (1) | JP3172554U (ko) |
KR (1) | KR20120006437U (ko) |
TW (1) | TWM410274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141357A1 (en) * | 2011-12-05 | 2013-06-06 | Htc Corporation | Touch panel |
US9323092B2 (en) | 2011-12-05 | 2016-04-26 | Htc Corporation | Touch panel |
EP2839362B1 (en) | 2012-04-19 | 2022-11-23 | Elo Touch Solutions, Inc. | Projected capacitive touch sensor with asymmetric bridge pattern |
US9197208B2 (en) | 2012-04-19 | 2015-11-24 | Elo Touch Solutions, Inc. | Projected capacitive touch sensor with asymmetric bridge pattern |
CN104345997B (zh) * | 2013-07-23 | 2017-08-25 |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 触控面板 |
TWI505167B (zh) * | 2014-02-10 | 2015-10-21 | Quanta Comp Inc | 電容式觸控面板 |
CN104375730A (zh) * | 2014-11-26 | 2015-02-25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触控面板以及触控显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26903B2 (en) * | 2007-01-03 | 2011-09-27 | Apple Inc. | Double-sided touch sensitive panel and flex circuit bonding |
JP2010039515A (ja) * | 2008-07-31 | 2010-02-18 | Dmc:Kk | タッチパネル |
TWI378376B (en) * | 2008-09-23 | 2012-12-01 | Au Optronics Corp | Multi-touch positioning method for capacitive touch panel |
KR101066111B1 (ko) * | 2009-01-09 | 2011-09-20 | 전자부품연구원 |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
US8519970B2 (en) * | 2010-07-16 | 2013-08-27 | Perceptive Pixel Inc. | Capacitive touch sensor having correlation with a receiver |
KR20120035490A (ko) * | 2010-10-05 | 2012-04-16 | 삼성전기주식회사 | 디지털 저항막방식 터치패널 |
US20120090757A1 (en) * | 2010-10-18 | 2012-04-19 |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 Fabrication of touch, handwriting and fingerprint sensor |
-
2011
- 2011-03-09 TW TW100204155U patent/TWM410274U/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9-23 US US13/241,640 patent/US2012022914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10-13 JP JP2011005985U patent/JP3172554U/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10-14 KR KR2020110009165U patent/KR20120006437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229148A1 (en) | 2012-09-13 |
JP3172554U (ja) | 2011-12-22 |
TWM410274U (en) | 2011-08-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06437U (ko) | 저항 미세 조정 구조를 갖는 프로젝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 |
CN104503633B (zh) | 一种内嵌式触摸屏、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 |
KR102081318B1 (ko) | 터치센서 내장형 액정 표시장치 | |
CN104020912B (zh) | 电容式触摸结构、内嵌式触摸屏、显示装置及其扫描方法 | |
TWI396120B (zh) | 多頻道觸控面板 | |
CN101957701B (zh) | 具多个区块的电容式触控面板 | |
WO2016119323A1 (zh) | 阵列基板、内嵌式触摸屏和显示装置 | |
US10101832B2 (en) |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 |
CN111930266B (zh) | 一种触控面板及显示装置 | |
JP3174557U (ja) | 感度調節構造をもった投影型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 | |
US20140293163A1 (en) | Touch panel | |
WO2014166260A1 (zh) | 电容式内嵌触摸屏及显示装置 | |
US11086454B2 (en) | Touch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 |
CN104951143A (zh) | 一种阵列基板、触控面板及显示装置 | |
US10013126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single-layer multi-point mutual capacitive touch screen thereof | |
TWI546721B (zh) | 觸控面板及其電極配置方法 | |
CN102799329A (zh) | 具有单层铟锡化合物电极的投射电容触摸屏面板 | |
CN104571767A (zh) | 触控面板、显示装置及触摸驱动方法 | |
WO2021092993A1 (zh) | 显示装置和终端 | |
CN103105990A (zh) | 单层电容触摸传感器及触控终端 | |
CN204790951U (zh) | 一种单层互电容触控电极结构及触控装置 | |
US9733771B2 (en) | Touch panel | |
CN102855043A (zh) | 一种单导电层多点识别电容屏 | |
US9335876B2 (en) | Cross-shaped touchscreen pattern | |
US20120139618A1 (en) | Projected capacitive touch pa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101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523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