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562U - Windows and doors - Google Patents
Windows and doo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0562U KR20120000562U KR2020100007425U KR20100007425U KR20120000562U KR 20120000562 U KR20120000562 U KR 20120000562U KR 2020100007425 U KR2020100007425 U KR 2020100007425U KR 20100007425 U KR20100007425 U KR 20100007425U KR 20120000562 U KR20120000562 U KR 2012000056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section
- vertical
- door frame
- cros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0 fire resist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대피공간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개폐공간이 확보되고, 원가절감을 할 수 있는 창호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창호는, 건물벽체의 창호개구에 설치되는 창호프레임과, 상기 창호프레임에 서로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좌측 창호문틀 및 우측 창호문틀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창호문틀은, 좌측 창호문유리의 상하측에 배치된 좌측 수평창호문틀과, 상기 좌측 창호문유리의 좌우측에 배치된 좌측 수직창호문틀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창호문틀은, 우측 창호문유리의 상하측에 배치된 우측 수평창호문틀과, 상기 우측 창호문유리의 좌우측에 배치된 우측 수직창호문틀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수직창호문틀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다른 하나와 탈착되고, 상기 좌측 수직창호문틀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중간띠를 포함한다.Opening and closing space is secured to evacuate to the evacuation space, and windows are provided to reduce the cost.
To this end, the windows and do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ow frame installed in the window opening of the building wall, and the left window door frame and the right window door frame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o each other in the window frame, the left door The window and door frame includes a left horizontal window door fram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ft window door glass, and a left vertical window door fram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ft window glass door, and the right window door frame is a top and bottom of the right window glass door A right horizontal window door frame disposed on the side, and a right vertical window door fram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ight window glass door, coupled to any one of the left vertical window door frame and the right vertical window door frame, and detached from the other. And an intermediate band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left vertical window and the right window.
Description
본 고안은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피공간으로 대피하기 위해 설치되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ndow that is installed to evacuate to the evacuation space.
최근, 발코니(balcony)가 구비된 주택에서는 발코니 확장의 구조변경을 통해 보다 넓은 주거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발코니 확장의 구조변경시에는 화재시에 대피할 수 있는 대피공간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Recently, homes with balcony have secured a wider residential space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balcony extension. In case of structural change of balcony expansion, it is mandatory to install evacuation space in case of fire.
상기 대피공간은 거실 각 부분에서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며, 출입구에 설치되는 갑종 방화문은 거실쪽에서만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대피공간을 향해 열리는 밖여닫이로 하도록 하고 있다.The evacuation space is to be installed in a place that is easy to access from each part of the living room, the first type fire door is installed in the entrance to the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ly in the living room, it is to open and close to the evacuation space.
또한, 상기 대피공간은 1시간 이상의 내화성능을 갖는 내화구조의 벽으로 구획되어야 하며, 벽, 천장 및 바닥의 내부마감재료는 준불연재료 또는 불연재료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evacuation space is to be partitioned into a wall of a fire resistant structure having a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more than 1 hour, and the internal finishing material of the wall, ceiling and floor is to use a semi-combustible material or non-combustible material.
또한, 상기 대피공간에 창호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폭 0.9미터, 높이 1.2미터 이상은 반드시 개폐가능하도록 하여, 비상시 외부의 도움을 받는 경우 피난에 장애가 없도록 하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installing a window in the evacuation space, a width of 0.9 meters and a height of 1.2 meters or more must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re is no obstacle to evacuation in case of external assistance in case of emergency.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대피공간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개폐공간이 확보되고, 원가절감을 할 수 있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that can secure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to be evacuated to the evacuation space, cost reduction.
본 고안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ask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창호는, 건물벽체의 창호개구에 설치되는 창호프레임과, 상기 창호프레임에 서로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좌측 창호문틀 및 우측 창호문틀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창호문틀은, 좌측 창호문유리의 상하측에 배치된 좌측 수평창호문틀과, 상기 좌측 창호문유리의 좌우측에 배치된 좌측 수직창호문틀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창호문틀은, 우측 창호문유리의 상하측에 배치된 우측 수평창호문틀과, 상기 우측 창호문유리의 좌우측에 배치된 우측 수직창호문틀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수직창호문틀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다른 하나와 탈착되고, 상기 좌측 수직창호문틀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중간띠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indows and door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s and door frames are installed in the window opening of the building wall, and the left and right door door frame and the right window door door frame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o each other in the window frame. The left window and door frame includes a left horizontal window door fram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ft window glass door, and a left vertical window door fram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ft window glass door. A right horizontal window door fram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oor glass, and a right vertical window door fram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ight window glass door, and coupled to any one of the left vertical window door frame and the right vertical window door frame. Detachable and comprises a middle band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left vertical window and the right door frame.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창호는, 중간띠가 좌측 창호문과 우측창호문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함께 여닫이식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대피공간으로 대피하기 위한 개폐공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iddle band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left window and the right window an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togeth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for evacuation to the evacuation space is secured.
또한, 상기 중간띠가 좌측 수직창호문틀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중간띠, 좌측 수직창호문틀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을 하나의 금형에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된다.In addition, since the intermediate band is made of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left vertical window frame and the right vertical window frame, since the middle strip, the left vertical window frame and the right vertical window frame can be used in one mold, the cost is Savings.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창호가 도시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창호가 도시된 단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is embodiment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한 창호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window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창호가 도시된 정면도로서 대피공간(50)에서 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창호(100)는 대피공간(50)으로 통하도록 설치된다. 관련법령에서 대피공간(50)은 거실(60) 각 부분에서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바, 창호(100)는 대피공간(50)과 거실(60) 사이의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1 and 2, the
창호(100)는 상기 건물벽체의 창호개구에 설치되는 창호프레임(10)과, 창호프레임(10)에 서로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좌측 창호문(20) 및 우측 창호문(30)을 포함한다.The
창호프레임(10)은 좌측 창호문(20) 및 우측 창호문(3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가운데가 사각형상으로 개구되어, 사각띠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좌측 창호문(20)은 좌측이 창호프레임(10)의 좌측에 힌지축(12)으로 결합되고, 우측 창호문(30)의 우측은 창호프레임(10)의 우측에 힌지축(14)으로 결합된다. 또한, 창호프레임(10)의 좌측에는 좌측 단턱부(16)가 형성되어 좌측 단턱부(16)에 좌측 창호문(20)의 좌측이 걸림되고, 창호프레임(10)의 우측에는 우측 단턱부(18)가 형성되어 우측 단턱부(18)에 우측 창호문(30)의 우측이 걸림된다. 따라서, 좌측 창호문(20)은 힌지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서 대피공간(50) 쪽으로 여닫이식으로 개폐되고, 우측 창호문(30)은 힌지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서 대피공간(50) 쪽으로 여닫이식으로 개폐된다.The
좌측 창호문(20)은 좌측 창호문유리(22)와, 좌측 창호문유리(22)의 둘레에 배치되어 창호프레임(10)에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좌측 창호문틀(24)을 포함한다.The
또한, 우측 창호문(30)은 우측 창호문유리(32)와, 우측 창호문유리(32)의 둘레에 배치되어 창호프레임(10)에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우측 창호문틀(34)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ight window and
좌측 창호문틀(24)은 가운데가 사각형상으로 개구되어, 사각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좌측 창호문틀(24)은 좌측 창호문유리(22)의 상하측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 좌측 수평창호문틀(25,26)과, 좌측 창호문유리(22)의 좌우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된 좌측 수직창호문틀(27,28)을 포함한다.The left window and
또한, 우측 창호문틀(34)은 가운데가 사각형상으로 개구되어, 사각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우측 창호문틀(34)은 우측 창호문유리(32)의 상하측에 좌우로 길게 배치된 우측 수평창호문틀(35,36)과, 우측 창호문유리(32)의 좌우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된 우측 수직창호문틀(37,38)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ight
좌측 수직창호문틀(27,28)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37,38)은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동일한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하, 좌측 수직창호문틀(27,28)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37,38)은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동일한 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좌측 수직창호문틀(28)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37)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left vertical windows and
좌측 수직창호문틀(28)에는 좌측 창호문유리(22)를 고정하기 위한 실러(71) 및 결합부재(72)가 배치된다.The
또한, 우측 수직창호문틀(37)에는 우측 창호문유리(32)를 고정하기 위한 실러(73) 및 결합부재(74)가 배치된다.In addition, a
좌측 수직창호문틀(28)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37) 사이에는 중간띠(80)가 상하로 길게 배치된다.Between the left vertical window and
중간띠(80)는 좌측 수직창호문틀(28)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37)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다른 하나와 탈착된다. 이하, 설명의 이해를 위해 중간띠(80)는 우측 수직창호문틀(37)에 결합되어 좌측 수직창호문틀(28)에 탈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중간띠(80)는 우측 수직창호문틀(37)에 결합되어 우측 창호문(30)과 함께 이동된다. 따라서, 중간띠(80)는 우측 창호문(30)이 개폐될 때 우측 창호문(30)과 함께 개폐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좌측 창호문(20)이 중간띠(80)로부터 떨어지면서 대피공간(50)을 향해 먼저 개방되고, 우측 창호문(30) 및 중간띠(80)는 좌측 창호문(20)이 개방된 후 대피공간(50)을 향해 개방된다. 반대로, 우측 창호문(30) 및 중간띠(80)가 거실(60)을 향해 먼저 닫히고, 좌측 창호문(20)은 우측 창호문(30) 및 중간띠(80)가 닫힌 후 거실(60)을 향해 닫혀서 중간띠(80)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중간띠(80)가 우측 창호문(30)과 함께 이동되어 개폐되기 때문에, 대피공간(50)으로 대피할 수 있는 개폐공간이 확보된다.The
또한, 중간띠(80)는 좌측 수직창호문틀(28)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37)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동일한 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중간띠(80), 좌측 수직창호문틀(28)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37)을 하나의 금형에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된다.In addition, the
중간띠(80)는 좌측 수직창호문틀(28)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37)과 대칭되게 배치된다.The
자세하게 살펴보면, 좌측 수직창호문틀(28), 우측 수직창호문틀(37) 및 중간띠(80)는 모두 단면형상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Looking in detail, the left vertical window and
좌측 수직창호문틀(28)은 대피공간(50) 쪽에 수평하게 배치된 제1 수평단면부(28a)와, 제1 수평단면부(28a)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거실(60) 쪽에 배치된 제1 수직단면부(28b)를 포함한다.The left vertical window and
또한, 우측 수직창호문틀(37)은 대피공간(50) 쪽에서 제1 수평단면부(28a)와 일직선상에 배치된 제2 수평단면부(37a)와, 제2 수평단면부(37a)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수직단면부(28b)와 나란하게 거실(60)에 배치된 제2 수직단면부(37b)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ight vertical
또한, 중간띠(80)는 거실(60) 쪽에서 제1 수직단면부(28b) 및 제2 수직단면부(37b)의 끝단에 배치된 제3 수평단면부(80a)와, 제3 수평단면부(80a)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수직단면부(28b) 및 제2 수직단면부(37b) 사이에서 끝단이 제1 수평단면부(28a) 및 제2 수평단면부(37a)에 배치되는 제3 수직단면부(80b)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좌측 수직창호문틀(28)에는 좌측 창호문틀(24)을 중간띠(80)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기 위한 잠금장치(40)가 배치된다.The left vertical
잠금장치(40)는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핸들(42)과, 좌측 수직창호문틀(28)의 내부에서 핸들(42)과 연결된 걸림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재는 핸들(42)이 잠금위치에 있을 때 중간띠(80)에 삽입되어 걸림되고, 핸들(42)이 잠금해제위치에 있을 때 중간띠(80)로부터 빠져나와 걸림해제될 수 있다. 물론, 중간띠(80)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별도의 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The locking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간띠(80)에는 사용자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창호프레임(10)에 삽입되어서 우측 창호문틀(34)을 창호프레임(10)에 잠금하고, 하측으로 이동되어 창호프레임(10)으로부터 빠져나와서 우측 창호문틀(34)을 창호프레임(10)에 잠금해제하는 걸림쇠(미도시)가 배치된다. 중간띠(80)에는 상기 걸림쇠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홈(82)이 형성된다. 물론, 창호프레임(10)에는 상기 걸림쇠가 삽입될 수 있는 별도의 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핸들(42)은 대피자가 거실(60) 쪽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제1 수직단면부(28b)에 배치된다. 그런데, 제1 수직단면부(28b)는 제1 수평단면부(28a)보다 좌우 길이가 짧기 때문에, 핸들(42)이 배치되기 위한 제1 수직단면부(28b)의 좌우 길이가 확보되어야 한다.The
따라서, 좌측 수직창호문틀(28)과 중간띠(80)는 제1 수직단면부(28b) 및 제3 수직단면부(80b) 사이에 여유공간(S)이 형성되게 최대한 이격되어져서, 제1 수평단면부(28a) 및 제3 수직단면부(80b)가 배치되고, 제1 수직단면부(28b) 및 제3 수평단면부(80a)가 배치된다.Therefore, the left vertical window and
한편, 제1 수평단면부에는 제1 실러(90)가 배치되고, 제2 수평단면부(37a)에는 제2 실러(92)가 배치된다. 또한, 제3 수평단면부(80a)에는 제3 수직단면부(80b)를 기준으로 좌측에 제3 실러(94)가 배치되고, 제3 수직단면부(80b)를 기준으로 우측에 제4 실러(96)가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좌측 창호문틀(24) 및 우측 창호문틀(34)이 모두 닫혀진 상태에서 제1 실러(90)는 제1 수평단면부(28a) 및 제3 수직단면부(80b) 사이를 밀폐하고, 제3 실러(94)는 제3 수평단면부(80a) 및 제1 수직단면부(28b) 사이를 밀폐한다. 물론, 좌측 창호문틀(24)이 개방되면 제1 실러(90)는 좌측 수직창호문틀(28)을 따라 이동되어 제3 수직단면부(80b)로부터 밀착이 해제되고, 제3 실러(94)는 제3 수평단면부(80a)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되어 제1 수직단면부(28b)로부터 밀착이 해제된다.The
또한, 중간띠(80)가 우측 창호문틀(34)이 개폐될 때 우측 창호문틀(34)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우측 수직창호문틀(37)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실러(92)는 제2 수평단면부(37a) 및 제3 수직단면부(80b) 사이를 항시 밀폐하고 있고, 제4 실러(96)는 제3 수평단면부(80a) 및 제2 수직단면부(37b) 사이를 항시 밀폐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창호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member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창호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좌측 창호문(20)이 힌지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서 대피공간(50) 쪽으로 여닫이식으로 개폐되고, 우측 창호문(30)이 힌지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서 대피공간(50) 쪽으로 여닫이식으로 개폐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창호문(20)이 힌지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서 거실(60) 쪽으로 여닫이식으로 개폐되고, 우측 창호문(30)이 힌지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서 거실(60) 쪽으로 여닫이식으로 개폐된다.Referring to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the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좌측 수직창호문틀(28)은 거실(60) 쪽에 수평하게 배치된 제1 수평단면부(28a)와, 제1 수평단면부(28a)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대피공간(50) 쪽에 배치된 제1 수직단면부(28b)를 포함한다.The left vertical window and
또한, 우측 수직창호문틀(37)은 거실(60) 쪽에서 제1 수평단면부(28a)와 일직선상에 배치된 제2 수평단면부(37a)와, 제2 수평단면부(37a)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수직단면부(28b)와 나란하게 대피공간(50)에 배치된 제2 수직단면부(37b)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ight vertical window and
또한, 중간띠(80)는 대피공간(50) 쪽에서 제1 수직단면부(28b) 및 제2 수직단면부(37b)의 끝단에 배치된 제3 수평단면부(80a)와, 제3 수평단면부(80a)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수직단면부(28b) 및 제2 수직단면부(37b) 사이에서 끝단이 제1 수평단면부(28a) 및 제2 수평단면부(37a)에 배치되는 제3 수직단면부(80b)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잠금장치(40)의 핸들(42)은 대피자가 거실(60) 쪽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제1 수평단면부(28a)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호(100)는, 중간띠(80)가 좌측 창호문(20)과 우측 창호문(3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함께 여닫이식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대피공간(50)으로 대피하기 위한 개폐공간이 확보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중간띠(80)가 좌측 수직창호문틀(28)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37)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간띠(80), 좌측 수직창호문틀(28)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37)을 하나의 금형에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된다.In addition, since the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창호프레임 20: 좌측 창호문
22: 좌측 창호문유리 24: 좌측 창호문틀
25,26: 좌측 수평창호문틀 27,28: 좌측 수직창호문틀
28a: 제1 수평단면부 28b: 제1 수직단면부
30: 우측 창호문 32: 우측 창호문유리
34: 우측 창호문틀 35,36: 우측 수평창호문틀
37,38: 우측 수직창호문틀 37a: 제2 수평단면부
37b: 제2 수직단면부 40: 잠금장치
42: 핸들 80: 중간띠
80a: 제3 수평단면부 80b: 제3 수직단면부
90: 제1 실러 92: 제2 실러
94: 제3 실러 96: 제4 실러
100: 창호 S: 여유공간10: window frame 20: left window door
22: left window and door glass 24: left window and door frame
25,26: Left
28a: first
30: right window and door 32: right window and door
34: right
37, 38: right vertical
37b: second vertical section 40: locking device
42: handle 80: middle band
80a: third
90: first sealer 92: second sealer
94: third sealer 96: fourth sealer
100: window S: free space
Claims (8)
상기 창호프레임에 서로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좌측 창호문틀 및 우측 창호문틀;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창호문틀은, 좌측 창호문유리의 상하측에 배치된 좌측 수평창호문틀과, 상기 좌측 창호문유리의 좌우측에 배치된 좌측 수직창호문틀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창호문틀은, 우측 창호문유리의 상하측에 배치된 우측 수평창호문틀과, 상기 우측 창호문유리의 좌우측에 배치된 우측 수직창호문틀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수직창호문틀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다른 하나와 탈착되고, 상기 좌측 수직창호문틀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중간띠;를 포함하는 창호.A window frame installed at the window opening of the building wall;
And a left window door frame and a right window door frame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o each other in the window frame.
The left window door frame includes a left horizontal window door fram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ft window glass door, and a left vertical window door fram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ft window glass door,
The right window and door frame comprises a right horizontal window door fram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ight window glass door, and the right vertical window door fram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ight window glass door,
And an intermediate band coupled to any one of the left vertical window door frame and the right vertical window door frame, and detachable from the other,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left vertical window door frame and the right vertical window door frame.
상기 중간띠는 상기 좌측 수직창호문틀 및 우측 수직창호문틀과 대칭되게 배치되는 창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iddle strip is a window that is disposed symmetrically with the left vertical window and the right window frame.
상기 좌측 수직창호문틀, 우측 수직창호문틀 및 중간띠는 모두 단면형상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좌측 수직창호문틀은, 수평하게 배치된 제1 수평단면부와, 상기 제1 수평단면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수직단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수직창호문틀은, 상기 제1 수평단면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된 제2 수평단면부와, 상기 제2 수평단면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직단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제2 수직단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띠는, 상기 제1 수직단면부 및 제2 수직단면부의 끝단에 배치된 제3 수평단면부와, 상기 제3 수평단면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직단면부 및 제2 수직단면부 사이에서 끝단이 상기 제1 수평단면부 및 제2 수평단면부에 배치되는 제3 수직단면부를 포함하는 창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left vertical window door frame, the right vertical window door frame and the middle band all have a cross-sectional shape 'T' shape,
The left vertical window and door frame includes a first horizontal cross-section portion arranged horizontally, and a first vertical cross-section portion protru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irst horizontal cross-section portion,
The right vertical window and door frame, the second horizontal cross-section portion disposed in line with the first horizontal cross-section portion, and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horizontal cross-section portion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vertical cross-section portion A second vertical cross section,
The intermediate band may include a third horizontal cross-section portion disposed at ends of the first vertical cross-s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vertical cross-section portion, and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rd horizontal cross-section portion to form the first vertical cross-section portion and the first vertical cross-section portion. 2. A window comprising a third vertical cross-section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cross-section portions and disposed at the first horizontal cross-s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cross-section portion.
상기 중간띠는 상기 우측 수직창호문틀에 결합되어 상기 좌측 수직창호문틀과 탈착되고,
상기 좌측 수직창호문틀에는 상기 좌측 창호문틀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배치되는 창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intermediate band is coupled to the right vertical window door frame and detached from the left vertical window door frame,
The left and right windows and doors window frame is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left window and door door frame.
상기 제1 수직단면부에는 상기 잠금장치 중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이 배치되는 창호.The method of claim 4,
A window door is disposed in the first vertical cross-section portion of the locking device which is operated by a user.
상기 제1 수평단면부에는 상기 잠금장치 중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이 배치되는 창호.The method of claim 4,
A window door is disposed on the first horizontal cross-section portion of the locking device which is operated by a user.
상기 제1 수직단면부에 상기 핸들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직단면부 및 제3 수직단면부 사이에 여유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제1 수평단면부 및 제3 수직단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수직단면부 및 제3 수평단면부가 배치되는 창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the third vertical cross section are arranged such that a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cross section and the third vertical cross section so that the handle can be disposed on the first vertical cross section. A window comprising a first vertical cross section and a third horizontal cross section.
상기 제1 수평단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수평단면부 및 제3 수직단면부 사이를 밀폐하는 제1 실러와,
상기 제2 수평단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평단면부 및 제3 수직단면부 사이를 밀폐하는 제2 실러와,
상기 제3 수평단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수평단면부 및 제1 수직단면부 사이를 밀폐하는 제3 실러와,
상기 제3 수평단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수평단면부 및 제2 수직단면부 사이를 밀폐하는 제4 실러를 포함하는 창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 first sealer disposed in the first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sealing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a third vertical cross section;
A second sealer disposed in the second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sealing between the second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the third vertical cross section;
A third sealer disposed on the third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third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the first vertical cross section;
And a fourth sealer disposed in the third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third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the second vertical cross s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7425U KR200464215Y1 (en) | 2010-07-14 | 2010-07-14 | Windo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7425U KR200464215Y1 (en) | 2010-07-14 | 2010-07-14 | Window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0562U true KR20120000562U (en) | 2012-01-20 |
KR200464215Y1 KR200464215Y1 (en) | 2012-12-18 |
Family
ID=45843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7425U KR200464215Y1 (en) | 2010-07-14 | 2010-07-14 | Window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4215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7142A (en) * | 2016-12-12 | 2018-06-20 | 안병창 |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window |
KR102345622B1 (en) * | 2021-06-04 | 2021-12-31 | 주식회사 에프알인더스 | Window for fireproof and insulatio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4188Y1 (en) * | 2002-07-15 | 2003-02-19 | (주)대능환경개발 | Slim type high performance light sound-proofing door |
KR200331756Y1 (en) | 2003-07-04 | 2003-11-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Window and door having improved airtight and insulation using auxiliary member |
KR200373245Y1 (en) | 2004-11-01 | 2005-01-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Hidden frame window |
-
2010
- 2010-07-14 KR KR2020100007425U patent/KR200464215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7142A (en) * | 2016-12-12 | 2018-06-20 | 안병창 |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window |
KR102345622B1 (en) * | 2021-06-04 | 2021-12-31 | 주식회사 에프알인더스 | Window for fireproof and insul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4215Y1 (en) | 2012-1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50247358A1 (en) | Window and door system having easily changeable structure | |
CA2832546A1 (en) | Sliding door with ramp | |
JP2020066906A (en) | Sash with screen door | |
KR200464215Y1 (en) | Window | |
KR101194338B1 (en) | Complex Hinged Window | |
KR101234284B1 (en) | Fixing the glass window outside the frame | |
KR101234273B1 (en) | Door frame structure | |
KR101249214B1 (en) | Auto Locking crescent for sealing of window | |
JP7041458B2 (en) | Joinery | |
KR100943028B1 (en) | Windows and doors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that use gear method | |
KR101583536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and sliding door | |
JP6718810B2 (en) | Joinery | |
KR200459040Y1 (en) | A double lock installation crescent for window | |
CA2896945C (en) | Recessed handle for sliding window and door | |
JP7081954B2 (en) | Joinery | |
KR101305312B1 (en) | Fixing window glass inside the frame | |
JP6423299B2 (en) | Sash with screen door | |
JPH10311185A (en) | Door device for escaping in case of earthquake disaster | |
JPH031981Y2 (en) | ||
KR101234282B1 (en) | Window and door independent frame | |
JP2018003392A (en) | Fixture | |
JP3130462U (en) | Surface lattice sash with blindfold panel | |
JP2807974B2 (en) | Sliding window | |
JPH0658062A (en) | Airtight structure of the draw sash | |
JP2017048589A (en) | Door arrang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71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412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12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121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