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3536B1 - Connect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and sliding door - Google Patents

Connect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and sliding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536B1
KR101583536B1 KR1020140082600A KR20140082600A KR101583536B1 KR 101583536 B1 KR101583536 B1 KR 101583536B1 KR 1020140082600 A KR1020140082600 A KR 1020140082600A KR 20140082600 A KR20140082600 A KR 20140082600A KR 101583536 B1 KR101583536 B1 KR 101583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urtain wall
wall
frame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6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14008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5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53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전면 벽체를 구성하는 커튼월에 현관 자동 출입문인 미서기 문을 설치할 경우 미서기 문의 문틀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문틀이 연결되는 부분을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연결프레임으로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외관이 깔끔하고 미려한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는, 커튼월 벽체와 미서기 문 사이에 연결프레임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측으로 커튼월 벽체와 미서기 문이 각각 설치되는 구조인데, 상기 연결프레임은, 실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본체; 실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실외측 단부 부분에 커튼월의 벽체가 설치되게 되는 제2본체; 상기 커튼월의 벽체가 설치되는 쪽으로 위치하면서, 양단이 제1본체와 제2본체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는 내측커버; 상기 미서기 문이 설치되는 쪽으로 위치하면서,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제1본체와 체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외측 제1커버; 상기 미서기 문이 설치되는 쪽으로 위치하면서, 제2본체의 양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제2본체와 체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외측 제2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door door, which is an automatic entrance door, is installed in a curtain wall constituting a front wall of a building, a door frame of a door locker is not separately install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structure of a curtain wall and a microwave oven door which are not only easy to construct by constructing with a connection frame, but also have a neat appearance and a beautiful appearance.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curtain wall and the microwave oven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ng frame is provided between the curtain wall wall and the microwave oven door and the curtain wall wall and the microwave door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frame, The connection frame includes a first body installed to be positioned on the indoor side; A second body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so that a wall of the curtain wall is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end portion; An inner cover which is located at a side where the wall of the curtain wall is installed and both ends of which are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 outer first cover fixed to the first body and fixed to the first body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an outer second cover which is fixed to the second body in a space formed between both ends of the second body while being positioned on the side where the front door is installed.

Description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and sliding doo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tain wall and a sliding door,

본 발명은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전면 벽체를 구성하는 커튼월에 건물의 출입을 위한 자동문인 미서기 문을 설치할 경우 미서기 문의 문틀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문틀이 연결되는 부분을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연결프레임에 의해 설치되도록 구성한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a curtain wall and a microwave oven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rtain wall constituting a front wall of a building, in which a door frame of a microwave oven door is installed separate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structure of a curtain wall and a microwave oven door, wherein a curtain wall and a portion to which a door frame of a microwave oven door is connected are formed by a single connecting frame formed integrally.

건물에서 골격을 이루는 구조체인 기둥과 보는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인 반면, 특히 고층건물에서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는 외벽은 하중을 지지하지 않고 단지 공간만을 구획하고 있는 비내력벽으로, 벽체가 마치 커튼과 같이 칸막이 역할만 하기 때문에 커튼월(curtain wall)이라고 한다. 커튼월은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과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유리 등으로 마감함으로써 외장용(外粧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It is a structure that supports horizontal loads due to vertical load, wind, earthquake, etc., which are the structures that form the skeleton in the building, and the outer walls that divide the inside and the outside in the high-rise building, The wall is called a curtain wall because it acts as a partition just like a curtain. The curtain wall functions to block rain and wind from the outside, to block noise and heat, and to function as an external cosmetic by closing the column and the beam with glass or the like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근래들어 시공되었거나 시공되고 있는 대형 고층 건물들은 외벽을 유리 벽체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통상 수평바와 수직바의 프레임이 격자 형상으로 설치된 커튼월은 격자 형상의 공간에 유리를 끼워서 건물의 벽체로 시공되고, 건물로 출입하기 위한 스윙도어로 된 현관문은 건물의 전면에 커튼월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은 커튼월에 관한 기술로 특허등록 제959063호 "커튼월 및 창호시스템의 프레임 보강용 장치", 특허등록 제989934호 "조립식 커튼월 모듈의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특허등록 제993209호 "외관이 개선된 보강 일체형 커튼월 구조"와 같은 많은 기술들이 출현했다.
Large-scale high-rise buildings that have been recently constructed or constructed have many outer walls made of glass walls. Curtain walls, in which a horizontal bar and a frame of a vertical bar are installed in a lattice shape, are installed in a lattice- , The entrance door made of a swing door for accessing the building is installed between the frames of the curtain wall on the front side of the building. Patent No. 959063 entitled " Device for Frame Reinforcement of Curtain Wall and Window System ", Patent Registration No. 989934, "Structure of Prefabricated Curtain Wall Modul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Patent Registration No. 993209, Reinforced monolithic curtain wall structure with improved appearance ".

한편, 자동 미서기 문은 각종 사무용 건물이나 쇼핑용 건물의 입구에 출입문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최근에는 많은 공공시설물의 입구에도 설치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는데, 자동 미서기 문은 개폐문의 개폐동작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문으로, 일반적으로 출입자가 개폐문에 일정 거리 내로 접근했는지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어 개폐문이 열리고, 문이 개방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문이 닫히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문을 말한다.
On the other hand, in many cases, the automatic door lock door is installed as a door at the entrance of various office buildings or shopping buildings, and in recent years, the automatic door lock door is also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many public facilities. This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by driving the motor. Normally, the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door is opened by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door within a certain distance. When the door is ope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door is automatically closed It is the door that works.

지금까지 자동 미서기 문과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2011-121769호, 특허등록 제752096호, 특허등록 제1041161호 등과 같이 수많은 기술이 출현했는데, 이들의 공통적인 구조는, 벽체나 커튼월과 상관없이 미서기 문의 문틀이 별도로 설치되고, 개폐구동수단에 행거식으로 매달린 미서기 문의 개폐문이 슬라이딩하여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A number of technologies have appeared in the past, such as the open patent No. 2011-121769, the patent registration No. 752096, and the patent registration No. 1041161, which are related to the automatic door opener, The door frame of the clerk door is separately installed and the door opening / closing door of the hanging door hanging on the hanger type is slid on the opening / closing drive means to open / close the door.

이와 같이 커튼월 및 미서기 문에 관하여 많은 기술들이 출현했지만, 지금까지 커튼월과 함께 시공된 모든 미서기 문은 커튼월의 프레임과는 별도로 미서기 문의 문틀 프레임을 설치하여 시공되어 있다. 따라서 커튼월의 프레임을 시공하고 난 뒤에 현관문 설치 공사를 할 때 다시 미서기 문 문틀의 프레임을 설치하기 위한 공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기간과 비용 및 자재비가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커튼월의 프레임과 미서기 문 문틀의 프레임이 크기와 폭(두께) 및 구조가 서로 다른 별개의 구성이기 때문에 건물의 전면에서 미서기 문이 설치된 현관 부분만 프레임이 이중으로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의 크기와 두께(폭) 및 구조가 달라서 건물의 얼굴과 같은 현관 부분의 외관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Although many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regarding the curtain wall and the door opener, all the door openers constructed with the curtain wall have been constructed by installing the door frame of the door door separately from the curtain wall fram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cost, and material cost are excessively required because the frame for the curtain wall frame must be constructed after the frame of the curtain wall is installed. Since the frame of the curtain wall and the frame of the door frame of the door opening doo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size, width (thickness), and structure, only the front portion of the building is provided with a double- The size and thickness (width) of the fram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of the entrance portion such as the face of the building is po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전면 벽체를 구성하는 커튼월에 현관 자동 출입문인 미서기 문을 설치할 경우 미서기 문의 문틀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문틀이 연결되는 부분을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연결프레임으로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외관이 깔끔하고 미려한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door for an automatic door opening door which is installed in a curtain wall constituting a front wall of a building, The curtain wall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door frame of the non-clerical door are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connecting frame, thereby providing a curtain wall with a beautiful appearance and a beautiful connection structure.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과 미서기 문 사이의 연결구조는, 커튼월 벽체와 미서기 문 사이에 연결프레임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측으로 커튼월의 벽체와 미서기 문이 각각 설치되는 구조인데, 상기 연결프레임은, 실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본체; 실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실외측 단부(端部) 부분에 커튼월의 벽체가 설치되게 되는 제2본체; 상기 커튼월의 벽체가 설치되는 쪽으로 위치하면서, 양단(兩端)이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는 내측커버; 상기 미서기 문이 설치되는 쪽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제1본체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쌍의 제1체결돌부와 체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외측 제1커버; 상기 미서기 문이 설치되는 쪽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제2본체의 양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제2본체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쌍의 제2체결돌부와 체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외측 제2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미서기 문의 개폐문 도어프레임의 측면이 외측 제1커버의 표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측 제2커버의 표면은 제1 및 제2본체의 미서기 문측 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2본체의 실외측 단부(端部) 부분과 상기 내측커버의 실외측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커튼월의 벽체 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curtain wall and a doorway door, wherein a connection frame is provided between the curtain wall wall and the doorway door, The connecting frame includes a first body installed to be positioned on a side of a room; A second body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so that a wall of the curtain wall is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end portion; An inner cover positioned at a side where the wall of the curtain wall is installed and having both ends fixedly install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 outer first cover which is fixed to the first body by being fastened to a pair of first fasten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body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an outer second cover fastened and fixed to a pair of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second main body in a space formed between both ends of the second main body, Wherein a surface of the outer second cover is flush with a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outdoor side end portion of the second body and the outdoor side of the inner cover, and the wall end portion of the curtain wall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바람직하게는, 연결프레임의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서기 문이 설치되는 쪽에서 제1 및 제2본체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1단열재를 삽입하고, 내측커버는 상하방향을 따라 분리되어 그 사이에 제2단열재를 삽입한다.
Preferably,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of the connecting frame, a first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serted into 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side where the door is opened, and the inner cover is separat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sert the secondary insulation.

바람직하게는, 외측 제1커버는 외측 제2커버의 표면 보다 들어가도록 형성하고, 제1본체와 제2본체에는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각각 모헤야를 장착하여 미서기 문의 도어프레임과 연결프레임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Preferably, the outer first cover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urface of the outer second cover, an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respectively mounted with a moiré toward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t improves the airtightness between door frame and connecting frame.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는, 커튼월 벽체와 미서기 문 사이에 연결프레임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측으로 커튼월의 벽체와 미서기 문이 각각 설치되는 구조인데, 상기 연결프레임은 커튼월 벽체와 미서기 문 사이에 설치되는 일체형 연결프레임이고, 상기 일체형 연결프레임은 미서기 문의 도어프레임이 설치되는 쪽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제1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체형 연결프레임의 커튼월의 벽체가 설치되는 쪽으로 실외측 단부(端部) 부분 상하방향을 따라 제2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공간부에 커튼월의 벽체 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curtain wall and the laund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ng frame is provided between the curtain wall wall and the door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wall and the door of the curtain wall are installed Wherein the connection frame is an integral connection frame installed between the curtain wall wall and the door gate, the integrated connection frame is formed with a first space portio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door frame of the door frame, The second space portion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utdoor side end portion on the side where the wall of the curtain wall of the integral connection frame is installed and the wall end portion of the curtain wall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

바람직하게는, 연결프레임을 합성수지제의 실내측과 금속제의 실외측으로 분리하여 제작해서, 실외측과 실내측 연결프레임을 서로 체결 고정시켜 일체형으로 만들어 이형재질의 연결프레임을 형성한다.
Preferably, the connecting frame is manufactured by separating the inside of the synthetic resin from the outside of the metal, and the outdoor side and the indoor side connecting frame are fastened and fix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tegrated type connection frame.

건물의 전면 벽체를 구성하는 커튼월에 현관 자동 출입문인 미서기 문을 설치할 경우, 지금까지 시공되었던 모든 구조는 커튼월과 미서기 문 문틀이 각각 별도의 프레임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건물 전면에서 보면 현관 부분에서만 프레임의 폭과 크기 및 구조가 달라서 건물의 얼굴과 같은 현관 부분의 외관이 좋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는, 현관 자동문인 미서기 문의 문틀을 커튼월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문틀이 연결되는 부분을 폭과 크기 및 외관이 나머지 커튼월의 프레임과 동일한 형태의 하나의 연결프레임으로 시공한 것이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도 절약될 뿐만 아니라 외관이 깔끔하고 미려하다.
In the case of installing a door in the curtain wall which constitutes the front wall of the building, all the structures that have been constructed so far have been installed as separate frames of the curtain wall and the door frame of the front door, The width and size of the frame and the structure thereof are different,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portion of the entrance such as the face of the building is not good. However,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curtain wall and th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urtain wall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urtain wall and the door frame of the door frame is constructed by one connecting frame having the same width, size and appearance as the frame of the remaining curtain wall, so that the construction is simple and the cost is saved, This is neat and beautifu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에 의해 커튼월과 미서기 문이 설치된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으로 자른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으로 자른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에 적용되는 연결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provided with a curtain wall and a door opening door by a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cut along the line A-A 'in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cut along the line A-A 'in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frame applied to th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건물의 현관 자동문인 미서기 문의 문틀을 커튼월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문틀이 연결되는 부분을 폭과 크기가 나머지 커튼월의 프레임과 동일한 하나의 연결프레임으로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며 외관을 깔끔하고 미려하게 했다는 점이다.
The most significant technical feature of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curtain wall and the microwave oven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oor frame of the microwave oven door which is the automatic door entrance of the building is not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curtain wall, And the size is the same as that of the remaining curtain wall, so that the construction is simple and the appearance is neat and beautiful.

커튼월의 격자 형상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는 유리나 판넬 등이 끼워져서 벽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벽체'라고 기재하였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벽체'는 격자 형상의 프레임 사이에 끼워지는 유리나 판넬 등을 의미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
In the space between the lattice-shaped frames of the curtain wall, glass, panels and the like are sandwiched to form a wall surface, which is described as "wall"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noted in advance that the term " wall " in this specification means glass, panel or the like sandwiched between lattice-shaped frames.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과 미서기 문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는, 커튼월(10)의 프레임과 미서기 문(20)의 문틀 프레임을 각각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외관으로 보아 커튼월의 다른 프레임(11)과 동일한 폭과 크기 및 외관을 갖는 하나의 연결프레임(30)으로 하고, 연결프레임(30) 양측에는 커튼월의 벽체(12)와 미서기 문(20)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외관상 커튼월 프레임의 크기와 폭이 동일하여 외관이 깔끔하고 미려하며, 하나의 연결프레임만 사용하기 때문에 자재비도 적게 소요되고, 커튼월 시공 후 현관 자동 미서기 문의 문틀 시공을 다시 하는 것이 아니라 한번의 시공으로 현관 자동 미서기 문의 문틀까지 시공이 끝나기 때문에 시공도 매우 간편하며 공사기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ng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curtain wall and the unseasonab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one for installing the frame of the curtain wall 10 and the door frame of the tail gate 20, The wall 12 of the curtain wall and the door gate 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frame 30 so that the curtain wall frame 20 It is not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door frame of the entrance door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curtain wall. It is not necessary to re-install the door frame automatically because the size and the width of the curtain wall are the same. Because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to the door frame of the clerk, it is very easy to construct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연결프레임(30)은 제1 및 제2본체(31, 32)와, 커튼월 쪽에서 제1본체(31)와 제2본체(32) 사이에 체결 고정되는 내측커버(33, 33')와, 미서기 문(20) 쪽에서 제1 및 제2본체(31, 32)와 체결 고정되는 외측 제1 및 제2커버(34, 35)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하게 된다. 제1 및 제2본체(31, 32)는 동일한 재질을 사용해도 되지만,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1본체(31)는 합성수지로 하고,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2본체(32)는 금속으로 하여 이형재질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다.
The connecting frame 30 includes first and second main bodies 31 and 32 and inner covers 33 and 33 'fastened and fixed between the first main body 31 and the second main body 32 at the curtain wall side, And the outer first and second covers 34 and 35 fastened and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bodies 31 and 32 on the side of the front door 20.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bodies 31 and 32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first body 31 disposed on the indoor side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second body 32 disposed on the outdoor side is made of metal A frame of a releasing material may be constituted.

본 명세서에서는 외측 제1커버(34)는 미서기 문의 도어프레임(21) 측면과 마주하는 커버이고, 외측 제2커버(35)는 미서기 문의 도어프레임(21)의 외측에 위치하여 미서기 문(20)이 닫혔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라는 점을 밝혀둔다. 여기서 외측 제2커버(35)를 제2본체(32)와 일체형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외측 제2커버(35) 자체가 없어진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uter first cover 34 is a cover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frame 21 of the door locker, and the outer second cover 35 is located outside the door frame 21 of the door lock door, The cover 20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20 is closed. Here, when the outer second cover 35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main body 32, the outer second cover 35 itself is eliminated.

연결프레임(30)에서 제1본체(31)는 실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제2본체(32)는 실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연결프레임(30)의 일측으로는 커튼월의 벽체(12)가 곧바로 끼워져서 설치되게 되는데, 벽체(12)는 연결프레임의 실외측 쪽으로 제2본체(32)의 단부(端部) 부분에 설치되게 된다. 이때 제2본체(32)의 실외측 단부(端部) 부분과 내측커버(33')의 실외측 사이에는 공간부(38)가 형성되어, 공간부(38)에 커튼월의 벽체(12) 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되게 된다. 벽체(12)를 끼우고 고정 및 실링 처리하는 것은 이미 실시되고 있는 공지되어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미서기 문(20)은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연결프레임(30)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벽체(12) 보다 실내측으로 설치되게 된다(도 2, 3 참조).
In the connecting frame 30, the first main body 31 is installed to be located on the indoor side, and the second main body 32 is installed to be located on the outdoor side. The wall 12 of the curtain wall is directly fit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frame 30. The wall 12 is installed on the end of the second main body 32 toward the outdoor side of the connection frame . At this time, a space portion 38 is formed between the outdoor side end portion of the second body 32 and the outdoor side of the inner cover 33 ', and the wall portion 12 of the curtain wall is formed in the space portion 38. [ The end portion is inserted and installed. Since it is a well-known method which has already been carried out for fixing and sealing the wall 12,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front door 20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connecting frames 30 located on both sides, the front door 20 is installed closer to the inside than the wall 12 (see FIGS. 2 and 3).

내측커버(33, 33')는 커튼월의 벽체(12)가 설치되는 쪽으로 위치하면서, 양단(兩端)이 제1본체(31)와 제2본체(32)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게 된다. 제1 및 제2본체(31, 32)와 내측커버(33, 33')의 결합 구조는 여러 방식으로 할 수 있지만,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 오목부와 돌출부를 각각 형성하여 서로 대응하는 부분끼리 맞대고 밀어서 결합시키는 원터치 방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제1 및 제2커버(34, 35)의 체결 방식도 동일하다.
The inner covers 33 and 33 'are positioned on the side where the wall 12 of the curtain wall is installed and both ends of the inner covers 33 and 33' are coupled to the first body 31 and the second body 32 to be fixedly installed .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31 and 32 and the inner cover 33 and 33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However, as shown in the figure, recesses and protrusions Touch manner in which por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pushed against each other and engaged with each other. The fastening method of the outer first and second covers (34, 35) is also the same.

미서기 문(20)이 설치되는 쪽에서 제1 및 제2본체(31, 32)는 직접 연결시켜도 되지만, 연결프레임(30)의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본체(31, 32)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제1단열재(36)를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내측커버(33, 33')도 일체로 형성해도 되지만, 내측커버(33, 33')를 상하방향을 따라 분리하여 그 사이에 제2단열재(36')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second bodies 31 and 3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side where the front door 20 is installed. 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of the connecting frame 30, the first and second bodies 31 and 32 The inner covers 33 and 33 'may be integrally formed by inserting and inserting the first heat insulating material 36 in the portion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However, the inner covers 33 and 33' It is preferable to insert the second heat insulator 36 '.

외측 제1 및 제2커버(34. 35)는 연결프레임(30) 측면에서 미서기 문(20)이 설치되는 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외측 제1커버(34)는 미서기 문의 도어프레임(23) 측면과 마주하는 커버로, 도어프레임(23)의 측면에는 가스켓(24)을 장착하여 미서기 문(20)의 개폐문(22)이 닫혔을 때 가스켓(24)의 단부가 외측 제1커버(34)의 표면에 접하도록 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개폐문이 닫히면서 커버와 접촉할 때 쿠션 역할을 해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21은 미서기 문(20)에서 고정되어 있는 고정문이다.
The outer first and second covers 34 and 35 are locat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ng frame 30 where the door 20 is installed. A gasket 24 is moun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frame 23 so that the end of the gasket 24 is closed when the door 22 of the front door 20 is closed by the outer first cover 34 So as to improve the hermeticity and to serve as a cushion when contacting the cover when the door is closed. Reference numeral 21 denotes a fixed door fixed at the non-door gate 20.

외측 제1커버(34)는 판상(板狀)의 부재에 일측으로 한쌍의 제1체결단(341)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외측 제1커버(34)에 돌출 형성된 한쌍의 제1체결단(341)은 제1본체(31)와 제2본체(32)의 실내측 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제1본체(31)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쌍의 제1체결돌부(311)와 체결되어 고정 설치되게 된다.
The first outer cover 34 has a pair of first fastening ends 341 protruding from one side of a plate member and a pair of first fastening ends 341 projecting from the outer first cover 34 341 are fastened to a pair of first fastening protrusions 311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body 31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31 and the interior side end portions of the second body 32, .

외측 제2커버(35)는 판상(板狀)의 부재에 일측으로 한쌍의 제2체결단(351)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외측 제2커버(35)에 돌출 형성된 한쌍의 제2체결단(351)은 제2본체(32)의 양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제2본체(32)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쌍의 제2체결돌부(321)와 체결되어 고정 설치되게 된다.
The outer second cover 35 has a pair of second fastening ends 351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and a pair of second fastening ends 351 projecting from the outer second cover 35 351 are fastened and fixed by a pair of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321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second body 32 in a space formed between both ends of the second body 32.

제1본체(31)에 체결되는 외측 제1커버(34)는 미서기 문(20)의 개폐문이 닫혔을 때 도어프레임(21)의 단부와 마주하는 커버이고, 제2본체(32)에 체결되는 외측 제2커버(35)는 미서기 문(20)의 도어프레임(21)의 외측에서 미서기 문(20)이 닫혔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인데, 외측 제1커버(34)와 외측 제2커버(35)의 차이는 외측 제1커버(34)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체결단(341)의 돌출된 길이가 외측 제2커버(35)에 형성된 한 쌍의 제2체결단(351)의 돌출된 길이 보다 짧다는 점이다.
The outer first cover 34 which is fastened to the first main body 31 is a cover facing the end of the door frame 21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front door 20 is closed, The outer second cover 35 is a cover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oor stopper 20 is closed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frame 21 of the door lock door 20, The difference of the second cover 35 is that the projected length of the pair of first fastening ends 341 formed on the outer first cover 34 is larger than the projected length of the pair of second fastening ends 341 formed on the outer second cover 35 351, respectively.

그러므로 연결프레임(30)에서 외측 제2커버(35)의 표면은 제1 및 제2본체(31, 32)의 미서기 창문측 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지만, 외측 제1커버(34)의 표면은 외측 제2커버(35) 보다 더 들어가서 마치 요홈과 같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외측 제1커버(34)는 연결프레임(30) 측면에 요홈을 형성한 것과 같은 형태로 체결되기 때문에, 미서기 문의 개폐문(22)이 닫힐 때 도어프레임(23) 단부가 요홈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미서기 문이 닫혔을 때 도어프레임(23)과 연결프레임(30) 사이의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밀폐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본체(31)와 제2본체(32)에는 제1본체(31)와 제2본체(3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각각 모헤야(37, 37')를 장착하여 모헤야(37, 37')의 선단(先端)이 도어프레임(21)의 측면에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surface of the outer second cover 35 in the connection frame 30 has the same height a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31 and 32, but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first cover 34 The second outer cover 35 is formed so as to become more like a groove. Since the outer first cover 34 is fastened in the form of a groov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ng frame 30, when the opening / closing door 22 is closed, the end of the door frame 23 is inserted into the groove do. The first body 31 and the second body 32 are provided with the first body 31 and the second body 32 so as to improve the hermeticity and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by preventing the clearance between the door frame 23 and the connecting frame 30 from being generated when the non- 37 and 37 'are mounted on the side of the door frame 21 by mounting the mohaires 37 and 37' to the space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in bodies 31 and 32, It is preferable to contact them.

도 2에 도시한 커튼월의 프레임(11)은 실내측에 위치하는 프레임과 실외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을 일체형으로 형성한 실시예이고, 도 3에 도시한 커튼월의 프레임(11)은 실내측에 위치하는 프레임과 실외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을 분리형으로 형성한 실시예인데, 연결프레임(30)을 제외한 커튼월의 프레임은 어떤 형태의 것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The curtain wall frame 11 shown in Fig. 2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frame located on the indoor side and the frame located on the outdoor side are integrally formed. The frame 11 of the curtain wall shown in Fig. And the frame located at the outdoor side is formed as a separate type. The frame of the curtain wall except for the connecting frame 30 may be any type of fram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조에 적용되는 연결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앞에서 설명한 연결프레임과 다른 점은 연결프레임을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분리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제작했다는 점이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frame applied to th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frame differs from the connection frame described above in that the connection frame is integrally formed without being divided into an indoor side and an outdoor side. same.

구체적으로는, 커튼월 벽체(12)와 미서기 문(20)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프레임이 하나의 프레임으로 된 일체형 연결프레임(40)이다. 일체형 연결프레임(40)은 미서기 문의 도어프레임(21)이 설치되는 쪽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제1공간부(41)가 형성되고, 일체형 연결프레임(40)의 커튼월의 벽체(12)가 설치되는 쪽으로 실외측 단부(端部) 부분 상하방향을 따라 제2공간부(48)가 형성되어, 제2공간부(48)에 커튼월의 벽체(12) 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나머지 부분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Concretely, the connecting frame provided between the curtain wall wall 12 and the tail gate 20 is an integral connection frame 40 formed of one frame. The integral connection frame 40 is formed with a first space portion 41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side where the door frame 21 of the door stop frame is installed and the wall 12 of the curtain wall of the integral connection frame 40 is installed The second space portion 48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utdoor side end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wall 12 of the curtain wall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portion 48. [ The remaining part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and duplicate explanations are omitted.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체형 연결프레임(40)을 실내측 연결프레임과 실외측 연결프레임으로 분리하여 제작한 다음, 이들 실내측과 실외측 연결프레임을 서로 체결 고정시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고정 체결하는 방법은 널링 등 다양한 방법이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실내측 연결프레임의 재질은 합성수지로 하고, 실외측 연결프레임의 재질은 금속으로 하여, 실외측과 실내측 연결프레임이 서로 다른 재질로 된 이형재질의 연결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프레임에 단열재를 삽입하지 않더라도 합성수지에 의한 프레임의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integral connection frame 40 may be manufactured by separating the indoor connection frame and the outdoor connection frame, and then the indoor connection and the outdoor connection frame may be integrally formed by fastening them together. Since various methods such as knurling are already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case, the material of the indoor side connection frame is made of synthetic resin, the material of the outdoor side connection frame is made of metal, and the connection frame of the diaphragm made of the material different from the outdoor side and the indoor side connection frame is formed, The insulation effect of the frame by the synthetic resin can be enhanced.

또, 일체형 연결프레임(40)의 단열성 향상을 위해 일체형 연결프레임(40)은 커튼월 벽체(12)가 설치되는 쪽과 미서기 문(20)이 설치되는 쪽에서 연결프레임이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그 사이에 단열재를 삽입하여 이들을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of the integral type connection frame 40, the integral type connection frame 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nection frame is separated from the side where the curtain wall wall 12 is installed and the side where the door gate 20 is installed, It is also possible to integrally insulate them.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커튼월 11 : 프레임
12 : 벽체
20 : 미서기 문 21 : 고정문
22 : 개폐문 23 : 도어프레임
24 : 가스켓
30 : 연결프레임 31 : 제1본체
32 : 제2본체 33, 33' : 내측커버
34 : 외측 제1커버 35 : 외측 제2커버
36, 36' : 제1 및 제2단열재 37 : 모헤야
38 : 공간부
40 : 일체형 연결프레임 41 : 제1공간부
47 : 모헤야 48 : 제2공간부
10: Curtain wall 11: Frame
12: Wall
20: Doors door 21: Fixed doors
22: opening and closing door 23: door frame
24: Gasket
30: connection frame 31: first body
32: second body 33, 33 ': inner cover
34: outer first cover 35: outer second cover
36, 36 ': first and second insulation 37:
38:
40: integral type connection frame 41: first space part
47: Moya. 48: Second space section

Claims (7)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조는, 커튼월 벽체와 미서기 문 사이에 연결프레임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측으로 커튼월 벽체와 미서기 문이 각각 설치되는 구조인데,
상기 연결프레임은,
실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본체;
실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실외측 단부(端部) 부분에 커튼월의 벽체가 설치되게 되는 제2본체;
상기 커튼월의 벽체가 설치되는 쪽으로 위치하면서, 양단(兩端)이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는 내측커버;
상기 미서기 문이 설치되는 쪽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제1본체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쌍의 제1체결돌부와 체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외측 제1커버;
상기 미서기 문이 설치되는 쪽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제2본체의 양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제2본체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쌍의 제2체결돌부와 체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외측 제2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미서기 문의 개폐문 도어프레임의 측면이 외측 제1커버의 표면과 마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측 제2커버의 표면은 제1 및 제2본체의 미서기 문측 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2본체의 실외측 단부(端部) 부분과 상기 내측커버의 실외측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커튼월의 벽체 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
In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curtain wall and the unseasonable door,
The connecting structure is such that a connecting frame is provided between the curtain wall wall and the door gate and the curtain wall wall and the door gate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frame,
The connection frame includes:
A first body installed to be positioned on an indoor side;
A second body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so that a wall of the curtain wall is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end portion;
An inner cover positioned at a side where the wall of the curtain wall is installed and having both ends fixedly install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 outer first cover which is fixed to the first body by being fastened to a pair of first fasten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body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 outer second cover fixed to the second body by a pair of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second body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opposite ends of the second body,
, ≪ / RTI >
Wherein the side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rame of the non-clerical door is set to face the surface of the outer first cover, the surface of the outer second cover has the same height as th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Wherein a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outdoor side end portion of the second body and the outdoor side portion of the inner cover so that the wall end portion of the curtain wall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US secretary.
제1항에 있어서,
미서기 문이 설치되는 쪽에서 상기 제1 및 제2본체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1단열재가 삽입되고, 상기 내측커버는 상하방향을 따라 분리되어 그 사이에 제2단열재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heat insulator is inserted into 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second heat insulato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urtain wall and the door of th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제1커버는 외측 제2커버의 표면 보다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에는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각각 모헤야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first cover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a surface of the outer second cover, an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each provided with a mohair toward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urtain wall and the door of th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의 재질은 합성수지이고, 상기 제2본체의 재질은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과 미서기 문의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ody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second body is made of met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82600A 2014-07-02 2014-07-02 Connect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and sliding door Active KR1015835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600A KR101583536B1 (en) 2014-07-02 2014-07-02 Connect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and sliding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600A KR101583536B1 (en) 2014-07-02 2014-07-02 Connect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and sliding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536B1 true KR101583536B1 (en) 2016-01-08

Family

ID=5517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600A Active KR101583536B1 (en) 2014-07-02 2014-07-02 Connect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and sliding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53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749B1 (en) * 2020-08-21 2021-04-08 주식회사 한맥창호 Composite window joint structure with improved insulation and watertightness
KR20230057111A (en) * 2021-10-21 2023-04-28 최병성 Door frame of gate with improved safety and airtightne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6367A (en) * 1995-04-26 1996-11-12 Ykk Architect Prod Kk Mounting structure of vertical frame for door in curtain wall
KR100823663B1 (en) * 2007-12-28 2008-04-21 (주)거산토탈시스템 Transparent finish curtain wall structure with sliding window
KR20100009281A (en) * 2008-07-18 2010-01-27 롯데건설 주식회사 The structure of system window having two heat insulating layer and bar
KR101302093B1 (en) * 2013-02-25 2013-08-30 김순석 Multipurpose windows and doors device that have deformed frame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6367A (en) * 1995-04-26 1996-11-12 Ykk Architect Prod Kk Mounting structure of vertical frame for door in curtain wall
KR100823663B1 (en) * 2007-12-28 2008-04-21 (주)거산토탈시스템 Transparent finish curtain wall structure with sliding window
KR20100009281A (en) * 2008-07-18 2010-01-27 롯데건설 주식회사 The structure of system window having two heat insulating layer and bar
KR101302093B1 (en) * 2013-02-25 2013-08-30 김순석 Multipurpose windows and doors device that have deformed frame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749B1 (en) * 2020-08-21 2021-04-08 주식회사 한맥창호 Composite window joint structure with improved insulation and watertightness
KR20230057111A (en) * 2021-10-21 2023-04-28 최병성 Door frame of gate with improved safety and airtightness
KR102687018B1 (en) * 2021-10-21 2024-07-22 최병성 Door frame of gate with improved safety and airtightn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077B1 (en) Windows and doors curtain wall insulation system
KR101721411B1 (en) Automatic sliding door assembly structure having improved airtight and insulation
JP2004308416A (en) Container with window
KR101554922B1 (en) Sistem windows with enhanced insulation and structure
KR101591862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and swing door
KR101769180B1 (en) Structure reinforcement assembly for fittings
KR101583536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and sliding door
JP6512870B2 (en) Door frame refurbished structure and refurbished door
KR101234284B1 (en) Fixing the glass window outside the frame
KR102058920B1 (en) Insulation structure of cover plate installed on hidden rail type window
KR101234273B1 (en) Door frame structure
KR101728752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liding door and swing door
KR100943028B1 (en) Windows and doors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that use gear method
JP6489806B2 (en) door
KR20180065305A (en) Window
KR102018426B1 (en) Dividing window being easy to adjust and assemble
KR102003274B1 (en) Ready to asseble construction for building metal panel
KR20220114273A (en) Curtain wall with opening and closing window
KR101687173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liding door and swing door
US20200173224A1 (en) Cover assembly for windows
KR101305312B1 (en) Fixing window glass inside the frame
JP2020070656A (en) Fireproof structure of sliding door device
KR20120000562U (en) Windows and doors
KR102690917B1 (en) Energy saving facade system with multifunctional frame joint
KR101127636B1 (en) Finishing device for frame joint of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