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35351A -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순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순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5351A
KR20110135351A KR1020110056193A KR20110056193A KR20110135351A KR 20110135351 A KR20110135351 A KR 20110135351A KR 1020110056193 A KR1020110056193 A KR 1020110056193A KR 20110056193 A KR20110056193 A KR 20110056193A KR 20110135351 A KR20110135351 A KR 20110135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dae
starch
composition
contents
prepar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고
Original Assignee
김재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고 filed Critical 김재고
Publication of KR20110135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35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14Working-up animal intestines ; Treatment thereof for the manufacture of natural sausage casings; Apparatus for cutting intestines; Machines for pulling intestines to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16Cleaning of intestines; Machines for removing fat or slime from intest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8Addition of flavours, spices, colours, amino acids or their salts, peptides, vitamin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nucleic acid or derivatives, organic acidifying agents or their salts or acidogens, sweeteners, e.g. sugars or sugar alcohols; Addition of alcohol-containing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대에 대한 것으로, 특히 순대 재료 간의 내부 결착력을 높이기 위한 순대 조성물에 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전분을 이용하되 찰옥수수전분을 가열처리하여 호화(糊化)한 알파전분(Pregelatinazed Waxy Starch) 및 덱스트린(dextrin)전분을 포함시킨 순대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순대 재료가 부서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냉동상태의 순대를 전자렌지에서 가열하여도 순대 내용물이 순대외피 밖으로 빠져나오거나 초기 형상에 변형이 생기지 않으며 더 나아가서는 순대외피가 없는 순대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순대 제조방법{Sunda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nner Cohe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ndae Produc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순대에 대한 것으로, 특히 순대 재료 간의 내부 결착력을 높이기 위한 순대 조성물에 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전분을 이용하되 특정한 전분을 포함시킨 순대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순대를 찌거나 냉동상태가 해동되어도 순대 재료가 부서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패의 순대를 제공하거나 더 나아가 순대외피가 없이도 다양한 형태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순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순대는 돼지창자를 깨끗히 세척하여 순대외피(皮)를 만들고, 돼지고기, 당면, 두부 및 갖은 양념으로 혼합한 내용물을 만든 다음, 이 내용물을 순대외피에 충진하여 뜨거운 물 또는 증기에 익혀 식용하는 한국의 고유 음식물이다. 이러한 순대는 음식문화의 발달로 높은 영양가와 맛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기 위해 순대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일예로서, 특허공개 제91-17975호에는 소, 돼지피(血), 김치, 파, 소금, 생강을 적정량 혼합하여 순대외피에 투입한 후 110~130℃의 열을 가하여 익힘과 동시에 살균처리하는 순대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순대의 제조방법은 순대외피에 내용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100℃ 이상의 고온에서 내용물을 찌고 냉동시키기 때문에, 내용물은 부피가 늘어나는 반면 순대외피는 자체적인 성질에 의해 순간적으로 오므려드는 현상이 발생하여 순대 외피 틈 사이 또는 부분적으로 찢어져 내용물이 순대외피의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순대외피의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간의 결착력이 결여되여 일정크기로 절단할 경우 내용물이 순대외피로부터 이탈되어 부스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제226519호에는 내용물간의 결착력을 향상시켜 일정크기로 절단할 경우 내용물이 순대외피로부터 이탈되어 부스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순대의 제조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즉, 대한민국 특허 제226519호에는 찹쌀, 좁쌀, 밤 등을 추가하여 내용물의 영양분과 맛을 더욱 향상시킴은 물론, 순대의 내용물에 백회양 열매의 삶은 물을 첨가시켜 돼지고기와 순대피로부터 발생되는 돼지의 고유 냄새를 제거하고, 또한 순대의 내용물을 혼합할 때 우뭇가사리의 삶은 물(한천)을 소정량 투입하여 제조함에 따라 내용물의 결착력을 높임으로써 절단시 내용물이 순대외피로부터 이탈하여 부스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순대의 제조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제226519호의 방법으로 순대를 제조할지라도 내용물의 결착력이 크게 향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우뭇가사리를 삶고 그 물(한천)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순대 재료 간의 내부 결착력이 종래보다 우수한 순대를 제조하는 것이 목적이다. 즉, 본 발명은 전분을 이용하되 특정한 전분을 포함시킨 순대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순대 재료가 쉽게 부서지거나 이탈되지 않는 순대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통하여 찌거나 냉동상태에서 해동되어도 초기 순대 형상의 변형없이 다양한 형상의 순대를 제공하거나 더 나아가 순대외피가 없어도 순대의 초기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순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조당면과 전분을 포함하는 순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전분이 찰옥수수전분을 가열처리하여 호화(糊化)한 알파전분(Pregelatinazed Waxy Starch) 및 덱스트린(dextrin)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 조성물이다.
여기서, 상기 알파전분 및 덱스트린전분은 상기 건조당면 2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1~1.0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0.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의 제조방법으로써, 건조당면을 포함하는 순대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순대 재료에 찰옥수수전분을 가열처리하여 호화(糊化)한 알파전분(Pregelatinazed Waxy Starch) 및 덱스트린(dextrin)전분을 혼합하여 순대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순대 조성물을 성형기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고형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형화된 순대 조성물을 성형기에서 분리하고,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순대 재료는 선지, 카레 및 파프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외피 없이 고형화된 순대 조성물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일 수도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순대 재료 간의 내부 결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전분을 이용하되, 특히 찰옥수수전분을 가열처리하여 호화(糊化)한 알파전분(Pregelatinazed Waxy Starch) 및 덱스트린(dextrin)전분이 혼합된 순대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종래보다 현저히 우수하게 순대 내부 재료 간의 결착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순대 내부 재료 간의 결착력을 높일 수 있게 되어, 냉동식품의 형태로 공급된후에 전자렌지에서 가열하여도 종래와 같이 순대 내용물이 외피 사이 또는 찢어진 틈사이로 빠져 나오지 않고, 초기 다양한 형태로 세팅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 조성물을 이용하여, 외피 없이도 가열이나 해동시에도 순대의 초기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순대 내용물만으로 이루어진 일명 "누드 순대"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순대의 기본 재료에 선지, 파프리카, 카레 등을 더 포함시켜서 상기 순대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찰순대, 파프리카순대, 카레순대 등을 외피가 있거나 없는 다양한 형태의 순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건조당면과 전분을 포함하는 순대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순대를 제조하기 위한 순대 내용물에 대한 것이며, 그 중에서도 건조당면과 전분을 기본재료로 포함하는 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순대는 돼지 내장이나 창자 등으로 만들어진 순대 외피와, 그 속에 포함되는 내부 재료, 예를 들어 주내용물(당면 등등)과 부내용물(돈육, 야채, 찹쌀 등등) 및 양념(마늘, 생강, 양파 등등) 등의 순대 내용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순대 내용물에 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순대 조성물은 주내용물로서 건조된 마른 당면과 전분 이외에, 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다른 주내용물과 부내용물 및 양념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돼지 창자 등으로 이루어진 순대 외피는, 청소년들에게 외적으로 불결하거나 혐오스러운 느낌을 가지게 하는 것이 보통이었고, 이에 따라 청소년들은 순대를 먹을때 순대 외피를 벗겨내고 먹는 일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일반일들조차 위생적인 관점에서 외피를 제거하고 내용물만 먹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이와 함께, 냉동된 순대를 다시 따뜻하게 하고자 전자렌지에 넣고 데우면 순대 내용물이 외피 밖으로 이탈되거나 내용물이 부스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와 같이 돼지 창자를 이용한 경우 위생적인 문제가 있어 보다 위생적인 순대외피를 콜라겐으로 형성하여 사용하고, 순대 내용물간 결집력을 증가시켜서 전자렌지에 돌려도 순대 내용물이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고 초기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순대외피가 없어도 조리후 순대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일명 "누드 순대"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순대 재료 간의 내부 결착력이 높은 순대 내용물 또는 순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필요함을 깨닫게 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순대의 내용물간의 결착력이 약해 부스러지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축육제품 등에서 결착제로 사용되고 있는 난백, 전분, 카라기난 및 인산염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순대를 제조해 보았으나, 순대 내용물 간의 결착력은 쉽게 개선되지 않았다. 다시, 상기한 결착제 중 전분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류의 전분을 혼합시켜서 배합한 결과, 순대 내용물 간의 결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료를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건조당면을 기본재료로 하고, 여기에 전분을 포함하되 상기 전분은 알파전분(Pregelatinazed Waxy Starch)과 덱스트린(dextrin)전분의 혼합물인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자들은 찰옥수수전분을 가열처리하여 호화(糊化)한 알파전분과 녹말보다 분자량이 작은 다당류인 덱스트린전분을 함께 순대 내용물에 혼합하는 경우, 내용물간의 결착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알파전분이라 함은 찰옥수수전분을 가열처리하여 호화(알파)한 전분을 뜻한다. 특징적으로 그 호액은 노화가 거의 없고, 팽화력, 점탄성, 점도안정성이 우수하며, 음식물 제조시 팽창력이 향상되고 적당한 수분량을 유지해 줌으로써 제품의 유연성과 응집성을 향상시켜 주고, 반죽성형능력을 높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덱스트린전분이라 함은 호정(糊精)이라고도 하는데, 녹말보다 분자량이 작은 다당류를 총칭하는 것이다. 가용성 녹말도 덱스트린의 일종이다. 가수분해의 정도에 따라 흰색·담황색·노란색의 3종류가 있다. 흰색 덱스트린은 찬물에 40% 이상 녹고, 더운물에는 완전히 녹으며, 주로 견직물의 끝마무리풀 또는 약의 부형제(賦形劑)로 사용된다. 담황색 및 노란색 덱스트린은 찬물에 완전히 녹고 점성도는 낮으며, 용도는 사무용 풀, 수성도료, 제과(製菓)의 조합용이나 약품의 부형제, 연탄의 점결제 등으로 사용되는 등 다양하다.
여기서, 상기 알파전분 및 덱스트린전분은 상기 건조당면이 20kg 이면 이에 대하여 각각 0.1kg~1.0kg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0.5kg 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덱스트린전분이 0.1kg 미만으로 포함되면 엉기는 힘이 미약할 수 있고, 1.0kg 를 초과하면 순대가 냉각시 딱딱해질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파전분을 통하여 순대의 엉기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덱스트린전분만을 사용할때 발생하는 순대가 식을 경우 딱딱해지는 현상을 막아줄 수 있다. 즉, 상기 알파전분은 점도안정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수분량을 유지해 주는 성질이 있는바, 냉각시에도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하여 식은 후에도 순대의 식감을 유지시켜 줄 수가 있다. 상기 알파전분이 0.1kg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엉기는 힘이 약해질 수 있고, 1.0kg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조된 후 다시 데웠을때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순대가 다시 풀어져 버릴 염려가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순대 내용물을 콜라겐으로 형성된 외피에 삽입하여 찐후에 이를 냉동시켜 냉동식품 형태로 제공한 후에, 전자렌지에 돌려서 조리하는 경우에도 초기 순대의 형상에 변형이 생기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순대 조성물을 이용하여,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외피 없는 순대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순대 조성물은 내부 결착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외피가 없어도 내용물이 부서지거나 흐트러지지 않고, 이에 따라 구형, 타원형 또는 원통형 등과 같은 형태로 외피가 없는 "누드 순대"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건조당면을 포함하는 순대 재료를 준비한다(S100). 건조당면은 본 발명에 따른 순대의 기본 주내용물이 되는 것이고, 이외에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른 모든 부내용물 및 양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별히, 선지를 포함하는 경우 찰순대를 제조할 수 있고, 카레분말을 포함하는 경우 카레순대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 파프리카 분대(파프리카를 3~5mm 크기로 갈은 분말 형태)를 포함하는 경우 파프리카순대를 제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재료로서 대파는 상기 건조당면 20kg 에 대하여 200~25g, 부추는 400~500g, 숙주는 500~700g, 두부는 700~800g, 돼지고기는 700~800g, 배추속은 1000~1100g, 찹쌀은 1000~1100g 범위 내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념으로써 후추는 상기 건조당면 20kg에 대하여 5~55g, 생강은 10~250g, 미원은 10~50g, 고운소금은 300~400g, 다시마는 30~50g, 식초는 0~10g, 된장은 100~15g, 미향은 50~200g, 계피는 10~30g, 육수는 50~3,000g, 통깨는 50~100g, 참기름은 50~200g, 간마늘은 100~500g, 새우젖은 200~300g, 설탕은 100~200g, 땡초는 30~90g 범위 내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는, 상기 준비된 순대 재료에 본 발명에 따른 알파전분과 덱스트린전분을 혼합하여 순대 조성물을 준비한다(S200). 본 발명은 전분을 포함하되 그 중에서도 알파전분과 덱스트린전분을 함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한 바와 같다.
그런 다음, 상기 준비된 순대 조성물을 성형기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고형화시키는 단계를 거친다(S300). 예를 들어, 순대 모양의 케이싱을 가지는 성형기에 외피를 넣고 그 안에 상기 준비된 순대 조성물을 넣은 후, 상기 성형기를 가열함으로써 순대 조성물을 찌는 것이다. 이렇게 찌고난 다음에는 상온에서 식히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하다.
이어서, 상기 고형화된 순대 조성물을 성형기에서 분리하고, 냉각시킴으로써(S400), 외피가 없는 누드 순대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싱을 고정시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순대 조성물을 넣은 반대 방향으로 에어를 불어넣으면, 외피는 케이스에 남아있는 상태로 순대 내용물만 빠져 나오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얻은 순대 내용물을 식혀서 누드 순대를 얻을 수 있고, 이것을 급속 냉동시키면 냉동식품으로 제조된 누드 순대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제조된 순대는 내부 결착력이 우수하여, 외피 없이 고형화된 순대 조성물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콜라겐으로 형성된 순대외피를 가지는 순대나 순대외피가 없는 일명 누드순대에도 모두 적용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찰순대의 제조
기본적으로, 순대의 주내용물로서 건조된 마른 당면 20kg을 준비하였고, 여기에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부내용물을 혼합하였다.
대파 부추 숙주 두부 돼지고기 배추속 찹쌀
225 450 600 750 750 1050 1050
* 단위는 g 임
그런 다음, 찰순대 제조를 위한 선지 1.5kg 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양념을 혼합하였다.
후추 생강 미원 고운소금 다시다 식초 된장 미향 계피 육수 통깨 참기름 간마늘 새우젖 설탕 땡초
실시예1-1 7.5 15 30 346.5 45 - 112.5 75 15 2600 75 75 150 281.25 - -
실시예1-2 52.5 231 30 346.5 45 - 112.5 152 15 2600 75 168 346.5 281.25 168 60
실시예1-3 52.5 231 30 346.5 - - 112.5 152 15 2600 - 168 346.5 281.25 168 60
실시예1-4 7.5 15 30 346.5 45 - 112.5 75 15 60 75 75 150 281.25 - -
실시예1-5 7.5 15 30 346.5 45 - 112.5 75 15 60 75 75 150 281.25 - -
여기에, 본 발명에 따른 알파전분 500g과 덱스트린전분 200g을 함께 혼합하여, 순대 내용물을 위한 순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순대 조성물을 순대 모양의 케이싱을 가지는 성형기에 넣고 가열하여 고형화시킨 다음, 상온에서 식힌 후, 상기 고형화된 순대 조성물을 성형기에서 분리하고, 냉각시켰다.
실시예 2: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카레순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건조된 마른 당면과 부내용물이 혼합된 순대 재료를 준비하였다.
그런 다음, 카레순대 제조를 위한 카레분말 600g 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양념을 혼합하였다.
후추 생강 미원 고운소금 다시다 식초 미향 계피 육수 통깨 참기름 간마늘 새우젖 설탕 땡초
실시예1-1 7.5 15 30 346.5 45 - 75 15 2600 75 75 150 281.25 - -
실시예1-2 52.5 231 30 346.5 45 - 152 15 2600 75 168 346.5 281.25 168 60
실시예1-3 52.5 231 30 346.5 - - 152 15 2600 - 168 346.5 281.25 168 60
실시예1-4 7.5 15 30 346.5 45 - 75 15 60 75 75 150 281.25 - -
실시예1-5 7.5 15 30 346.5 45 - 75 15 60 75 75 150 281.25 - -
여기에, 본 발명에 따른 알파전분 500g과 덱스트린전분 350g을 함께 혼합하여, 순대 내용물을 위한 순대 조성물을 준비한 후,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순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파프리카순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건조된 마른 당면과 부내용물이 혼합된 순대 재료를 준비하였다.
그런 다음, 파프리카순대 제조를 위한 파프리카 분데 400g 과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양념을 혼합하였다.
여기에, 본 발명에 따른 알파전분 500g과 덱스트린전분 500g을 함께 혼합하여, 순대 내용물을 위한 순대 조성물을 준비한 후,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순대를 제조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 1~3에 따라 제조된 찰순대, 카레순대, 파프리카 순대는 모두 내부 결착력이 종래보다 현저히 우수하게 향상되었고, 그 중에서도 알파전분과 덱스트린전분을 각각 500g으로 포함하는 경우 가장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알파전분 (70% ~ 80%), 덱스트린(dextrin)전분(15%~20%) 및 타피오카 전분 (5%~10%)으로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종래에는 급속냉동 생산후 해동시(찜, 전자랜지), 튀김시, 풀어지거나 분해되는 문제점. 해동후에 굳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타피오카 전분에 의하여 급속냉동 생산후 해동시(찜, 전자랜지)에도 풀어지지 않고 탄력 유지되고 해동후에도 굳어지지 않고 탄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순대는 냉동보관이 상기 문제점으로 인하여 불가능하여 냉장처리 함으로써 생산, 물류, 장기 보관 등에 문제가 있었으나 타피오카 전분의 결착제 성분을 첨가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모두 극복하여 냉동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각 성분의 첨가율 범위는 찰순대, 짜장순대, 파프리카순대, 카레순대 등의 제품 응용에 있어서 그 특성이 있으므로 상기한 첨가비율을 상기한 바와 같은 범위 내에서 조정함으로써 제품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찰순대(되지창자), 누드찰순대, 짜장순대, 카레순대, 고추장순대, 불고기순대, 야채순대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순대 재료 간의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냉동상태에서 전자렌지에서 데워도 순대외피 틈 사이나 찢어진 틈 사이로 순대 내용물이 빠져나와 초기 순대의 외형에 변형이 생기지 않는 순대를 제조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순대 외피가 없이도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누드순대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6)

  1. 건조당면과 전분을 포함하는 순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찰옥수수전분을 가열처리하여 호화(糊化)한 알파전분(Pregelatinazed Waxy Starch) 및, 덱스트린(dextrin)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전분 및 덱스트린전분은 상기 건조당면 2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1~1.0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한 순대 조성물을, 콜라겐으로 형성된 순대 외피 내부로 삽입하여 제조된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
  4. 건조당면을 포함하는 순대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순대 재료에 찰옥수수전분을 가열처리하여 호화(糊化)한 알파전분(Pregelatinazed Waxy Starch) 및 덱스트린(dextrin)전분을 혼합하여 순대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순대 조성물을 성형기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고형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형화된 순대 조성물을 성형기에서 분리하고,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순대 재료는 선지, 카레 및 파프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의 제조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외피 없이 고형화된 순대 조성물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
KR1020110056193A 2010-06-10 2011-06-10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순대 제조방법 Withdrawn KR201101353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021 2010-06-10
KR20100055021 2010-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351A true KR20110135351A (ko) 2011-12-16

Family

ID=4550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193A Withdrawn KR20110135351A (ko) 2010-06-10 2011-06-10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순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535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313A (ko) * 2014-02-28 2015-09-0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색소를 함유한 순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07714A (ko) * 2014-06-25 2016-01-21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돼지 부산물 및 짜장 소스를 활용한 짜장 순대의 제조방법
KR101684655B1 (ko) 2015-06-24 2016-12-12 주식회사진주햄 콜라겐 케이싱을 이용한 핫바형 순대식품 제조방법
KR101701167B1 (ko) * 2015-09-10 2017-02-01 정지용 다수개의 단위포장으로 제조되는 순대제조방법
KR20230081472A (ko) * 2021-11-30 2023-06-07 씨제이제일제당 (주) 결착력과 바삭한 식감을 강화한 시즈닝
CN116723772A (zh) * 2021-01-15 2023-09-08 Cj第一制糖株式会社 制造冷冻块的方法,冷冻块和冷冻食品
KR20240098500A (ko) * 2022-12-21 2024-06-28 주식회사 희스토리푸드 타피오카 펄과 타피오카 전분 및 홍국분말을 사용한 순대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313A (ko) * 2014-02-28 2015-09-0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색소를 함유한 순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07714A (ko) * 2014-06-25 2016-01-21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돼지 부산물 및 짜장 소스를 활용한 짜장 순대의 제조방법
KR101684655B1 (ko) 2015-06-24 2016-12-12 주식회사진주햄 콜라겐 케이싱을 이용한 핫바형 순대식품 제조방법
KR101701167B1 (ko) * 2015-09-10 2017-02-01 정지용 다수개의 단위포장으로 제조되는 순대제조방법
CN116723772A (zh) * 2021-01-15 2023-09-08 Cj第一制糖株式会社 制造冷冻块的方法,冷冻块和冷冻食品
JP2024504659A (ja) * 2021-01-15 2024-02-01 シージェイ チェイルジェダン コーポレーション 冷凍ブロックの製造方法、冷凍ブロック、及び冷凍食品
EP4278902A4 (en) * 2021-01-15 2024-12-18 CJ Cheiljedang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A FROZEN BLOCK, FROZEN BLOCK AND FROZEN FOOD
KR20230081472A (ko) * 2021-11-30 2023-06-07 씨제이제일제당 (주) 결착력과 바삭한 식감을 강화한 시즈닝
KR20240098500A (ko) * 2022-12-21 2024-06-28 주식회사 희스토리푸드 타피오카 펄과 타피오카 전분 및 홍국분말을 사용한 순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5351A (ko) 내부 결착력이 우수한 순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순대 제조방법
JP4797893B2 (ja) 畜肉及び魚肉を使用しないハンバーグ様食品の製造方法
JP5494900B1 (ja) 粒状澱粉組成物
WO2023277147A1 (ja) カードを含む代用肉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54719A (ja) 挽肉加工食品類似の畜肉を使用しない加工食品用生地、及び加工食品
JP7290216B2 (ja) ウナギ様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71158B1 (ko) 돼지부산물 대체 소재 개발을 통한 수출용 순대 및 그 제조방법
CN116322362A (zh) 干燥肉样蛋白加工食品及其制造方法
JP7623126B2 (ja) 乾燥食肉様製品の製造方法
KR102444859B1 (ko) 육류용 튀김옷 분말
JP2791141B2 (ja) 膨化食品
JP2007202458A (ja) ジューシーな鶏肉の唐揚げとその製造方法
JP2012205518A (ja) 練製品及びその製造法
CN105746724A (zh) 一种人工肠衣的黄豆素肉肠的生产方法
KR20070105460A (ko) 돈육과 우육을 재구성한 육포의 제조방법
JP4882130B2 (ja) 調味パン粉の製造方法及び調味パン粉
JP2002186468A (ja) 小麦粉焼成食品用ミックス及び小麦粉焼成食品
KR101314908B1 (ko) 식육을 이용한 미트페이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트페이퍼
JP7619992B2 (ja) 冷凍お好み焼き
JP4529003B2 (ja) 肉含量の高いスナック風食品
JP7680238B2 (ja) 乾燥肉様蛋白加工食品の製造方法
JP7680239B2 (ja) 肉様蛋白加工食品の製造方法
JP7163314B2 (ja) たこ焼き用ミックス
KR100728523B1 (ko) 만두피의 냄새 제거용 조성물, 그 조성물로 제조된 만두피및 만두
JPH09201170A (ja) ジェランガム含有α化澱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