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34393A - 정제 피더의 가루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정제 피더의 가루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393A
KR20110134393A KR1020117019666A KR20117019666A KR20110134393A KR 20110134393 A KR20110134393 A KR 20110134393A KR 1020117019666 A KR1020117019666 A KR 1020117019666A KR 20117019666 A KR20117019666 A KR 20117019666A KR 20110134393 A KR20110134393 A KR 20110134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powder
powder removing
passa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코이케
미츠히로 미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134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07Pill breaking or crus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06Separating single articles from loose masses of articles
    • B65B35/08Separating single articles from loose masses of articles using pocketed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정제(T1, T2)에 부착된 절단가루(b)를 원활하게 제거한다. 로터의 회전에 따라 그 수납 포켓 내의 정제(T)를 고정날에 의해 둘로 잘라 분할하는 정제 분할 피더(A1)이다. 상기 피더의 공급 정제 통로(14)에 가루제거판(64a, 64b, 66)을 설치한다. 가루제거판(64b)은 진동모터(71)에 의해 진동하여 그 위의 정제에 부착된 가루(b)를 벗겨내어 슬릿(a)으로부터 낙하시킨다. 상기 벗겨내는 작용은, 한 쌍의 가루제거판(64a, 64b) 사이에 일시적으로 정제(T1, T2)를 머물게 하여 행한다. 플런저에 의해 가루제거판(64b)이 요동하며, 그 요동에 의해, 정제를 머물러 있게 하고 또한 정제를 낙하시킨다. 상기 낙하된 정제는 또한 가루제거판(66)을 따라 낙하하여 부착가루가 벗겨져 공급구(90)를 통해 포장공정 등으로 인도된다.

Description

정제 피더의 가루제거장치{POWDER REMOVING DEVICE FOR TABLET FEEDER}
본 발명은, 병원, 진료소, 약국 등에서, 처방전에 근거하여, 정제 피더(feeder)에 의해 정제(錠劑)를 공급하여 조제할 때의, 그 정제 분할 피더의 가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처방전에 근거하여 정제를 조제할 때의 약제공급장치로서는, 정제 수납 케이스 내에 있어서, 전체 둘레의 복수 단(段)에 내부에 로터를 가지는 정제 피더를 설치하고, 처방전에 근거하여, 각 정제 피더로부터 선택적으로 정제를 공급하여 포장하거나(특허문헌 1의 도 1 참조, 본원의 도 23 참조), 상기 정제 피더를 트레이(棚段, tray)형상으로 배치하고, 마찬가지로, 처방전에 근거하여, 각 정제 피더로부터 선택적으로 정제를 공급하는 것 등이 있다(특허문헌 2의 도 6 참조).
그 정제 피더로서는, 다수의 정제를 수납하는 용기에 회전 로터를 수납하고, 그 로터에는 그 측면 전체 둘레에 걸쳐 등간격으로 정제를 수납하는 수납홈(오목부)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용기 속의 정제를 상기 수납홈에 수납하여 회전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배출구에 그 수납홈이 마주보게 되면, 수납홈으로부터 그 속의 정제를 한 알씩 배출구로 낙하시켜 공급하는 것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한편, 처방에 따라서는, 1회에 복용하는 정제가 반 알(절반)인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미리 반으로 분할한 정제를 공급장치에 세팅시켜 두고 공급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정제분할기로서는, 한 쌍의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정제를 끼워서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그 이동 도중에 회전 커터에 의해 정제를 이분할하거나(특허문헌 4의 도 1 참조), 튜브 내로 정제를 이동시키며, 그 도중에, 셔터에 의해 정제를 정지시키고, 커터에 의해 그 정제를 이분할한 후, 하측 절반에 해당하는 정제편을 낙하시키는 동시에, 상측 절반에 해당하는 정제편은 커터 상에 머물도록 하고, 커터의 퇴거에 의해, 그 상측 절반에 해당하는 정제편을 낙하시키는 것이 있다(특허문헌 5의 도 6 참조).
이러한 정제 피더에서는, 그 공급시 등에 있어서, 정제의 일부가 결여되거나, 마찰 등에 의해 조각이 떨어져 나와 가루가 생기는 일이 있다. 특히, 상기 정제를 분할하는 피더에 있어서는, 그 분할시에 절단가루가 생긴다. 이러한 가루가 정제의 포장봉지에 들어가면, 그것을 싫어하는 복용자 등도 있어 문제가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정제 피더의 로터로부터의 공급통로의 도중에 브러시로 그 분진(粉塵)을 긁어모아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기술이 있다(특허문헌 6의 청구항 3, 단락 0024 및 도 2 참조).
또한, 정제의 제조공정이나 검사공정에서는, 정제에 부착되는 분진을 흡인이나 공기분사에 의해 제거하는 기술이 있다(특허문헌 7의 요약 및 특허문헌 8의 요약 참조).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63503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8-162609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5-59903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H2-29257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H11-226089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6-306430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8-200234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7-135982호
상기한 종래의 정제분할기에 있어서, 약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예컨대, 당의정 등과 같이 표면이 코팅된 약제는, 절단날이 한쪽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제가 절단날 상에서 움직이거나 하여 상기 코팅층이 확실하게 절단되지 못하고, 그대로 배출위치로 이동하여,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코팅층에 거스러미(splinter)가 생긴 채로 배출되거나(도 24(a)), 그 코팅층이 반 알(T1, T2)에 연결된 거스러미(e)로서 남아, 그 거스러미(e)를 통해 반 알(T1, T2)끼리 서로 연결된 채 절단날 상에 남아 배출되지 않거나(도 24(b)), 반 알(T1, T2)끼리 연결된 채 배출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도면에 있어서, 3은 절단날이다.
일부가 거스러미상태로 남으면, 이분할된 반 알(T1, T2)의 크기가 달라져, 복용량에 문제가 생긴다. 또한, 양(兩) 정제편(T1, T2)이 연결되어 있으면, 그 정제편을 나누어 분포(分包)할 경우, 손으로 그 연결을 해소할 필요가 있어 번거롭다.
또한, 이와 같이 거스러미(e)가 생기면, 확실하게 반 알(T1, T2)로 분할된 경우에 비해, 절단가루 등의 가루도 많아지기 쉽다.
또한, 상기한 전자(前者)의 정제분할기는, 정제를 상하방향에서 분할하므로, 그 분할과 동시에, 정제가 좌우로 갈라져 2개의 정제편으로서 낙하된다. 이 때문에, 그 이분할된 정제편을 손으로 나누거나, 복용하는 정제편이 홀수인 경우는, 하나의 정제편은 불필요해지므로, 손으로 제거하거나 하게 된다.
한편, 후자(後者)의 정제분할기는, 상하의 정제편을 개별적으로 낙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커터 상에 상측 절반에 해당하는 정제편을 머물도록 해두면, 낙하되는 일없이, 다음 공급까지 대기할 수 있다. 즉, 전자의 정제분할기와 같이 하나의 정제편을 제거하는 등의 불편은 없다.
그러나, 커터를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그 동작이 번잡하다.
더욱이, 상기 정제 피더에 있어서의 분진의 처리는, 정제에 부착된 분진을 벗겨내는(제거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부착된 가루는 정제와 함께 정제 피더로부터 공급되게 된다. 즉, 정제의 포장봉지에 그 부착된 분진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지는 않다.
정제 피더의 정제통과로에 상기 흡인이나 공기를 분사하는 수단을 부설하여, 정제로부터 부착가루를 제거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그 흡인·분사기구가 대규모가 될 뿐만 아니라, 제거한 분진의 처리도 용이하지 않다. 즉, 소형화되는 정제 피더에는 그 수단을 채용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정제에 부착된 가루(분진)의 제거를 간단한 구조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제 1의 과제로 하며, 상기 코팅재료 등에 의해 거스러미상태가 발생하거나, 그 거스러미에 의해 절단 분할 정제(정제편) 끼리 서로 연결된 채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 2의 과제로 한다.
상기 제 1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제 피더의 정제배출통로(정제통로)에, 그 통로의 정제낙하면을 정제가 통과되지 않는 크기의 다공(多孔) 또는 슬릿을 가지는 가루제거판으로 형성하도록 하였다.
상기 가루제거판을 따라 정제가 구르면서 낙하하면, 정제가 가루제거판의 구멍 또는 슬릿의 가장자리에 접촉함으로써 부착된 가루가 벗겨지거나, 자중(自重)의 차이에 따른 낙하속도의 차이에 의해 벗겨지거나 하여, 부착가루가 그 구멍 또는 슬릿을 통해 가루제거판의 하방으로 낙하한다. 즉, 정제에 부착되는 가루는 정제통로를 지나는 사이에 제거된다.
가루제거판을 통해 낙하된 가루는 그 하방에 설치된 가루 수집 박스 등에 낙하시켜 모은다.
본 발명의 구성으로서는, 정제 수용 케이스 내로부터 정제를 차례차례 배출구로 공급하는 정제 피더의 상기 배출구에 정제통로를 연속하여 설치하고, 그 정제통로에, 상기 정제를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의 다공 또는 슬릿을 가지는 가루제거판을 그 정제통로를 가로지르듯이 개재(介在)시킴으로써, 상기 정제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그 가루제거판에 도달되고, 그 가루제거판을 따라 낙하하여 정제통로의 공급구(배출구)에 이르게 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가루제거판을, 정제통로의 하방을 향해 지그재그형상으로 복수 개 설치하면, 가루제거 경로를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루제거판에 진동수단을 설치하면, 그 제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수단은, 복수의 가루제거판이 있을 경우에는, 그 모두에 설치하거나, 그 일부에만 설치하거나 할 수 있다. 일부에만 설치하는 경우, 최상단(最上段)에 설치하면, 부착가루가 많은 상태에서 진동을 부여하게 되므로, 그 가루 제거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진동수단으로서는, 진동모터 등과 같은 주지의 수단을 채용한다. 또한, 진동수단은 가루제거판에 직접 설치해도 좋고, 간접적으로 예컨대 가루제거판을 부착시킨 케이스 등에 설치해도 좋다. 요컨대, 가루제거판을 진동시키는 위치라면, 어디라도 좋다.
상기 진동수단을 채용한 경우, 그 진동수단을 설치한 가루제거판을 상기 정제통로를 완전히 폐쇄하여 하향으로 가로지르듯이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가루제거판을 정제통로를 폐쇄한 상태로부터 개방하는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상기 가루제거판에는,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 및 그 반대로의 이동을 행하는 이동수단을 설치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가루제거판 상에 일시적으로 정제를 머물게 하여 진동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가루 제거 효율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통로 내에, 그 정제통로를 폐쇄하는 가루제거판을, 상기 정제를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의 다공 또는 슬릿을 가지는 한 쌍의 가루제거판을 역삼각형으로 배치하여 구성하는 동시에, 그 양 가루제거판의 하단은 정제가 낙하되지 않는 틈새를 가지거나 또는 접하고 있으며, 그 양 가루제거판 중 적어도 일방에 진동수단을 설치하는 동시에, 양 가루제거판 중 적어도 일방을 양자의 하단 틈새가 정제의 낙하를 허용하는 정도로 벌어지도록 이동가능하게 하고, 그 이동하는 가루제거판에는 이동수단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면, 마찬가지로, 상기 가루제거판 상에 일시적으로 정제를 머물게 하여 진동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가루 제거 효율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진동수단을 설치하지 않는 가루제거판은 다공 또는 슬릿을 가지지 않는, 즉 정제가루가 통과하지 않는 판이어도 좋다.
이러한 정제를 머물게 하는 시간은, 실험 등에 의해, 부착가루를 제거할 수 있는 정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한다.
상기 가루제거판의 이동구조로서는, 여러 가지의 양태를 고려할 수 있으나, 예컨대, 가루제거판을 상기 정제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스에 그 상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회전에 의해, 정제의 낙하를 허용하도록 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때, 그 회전을 위한 수단은,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나 모터 등과 같은 주지의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상기 가루제거판의 하단에 상단이 접촉하는 회동판을 그 하방으로의 경사방향이 상기 가루제거판의 반대방향이 되어 그 가루제거판의 하방이 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하고, 그 회동판을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정제의 낙하를 방지하거나, 정제의 낙하를 허용하거나 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루제거장치는, 각종 정제 피더에 부설(附設)할 수 있는데, 정제를 잘라 분할하여 공급하는 정제 분할 피더에 있어서는, 그 분할시의 절단가루의 제거가 중요하므로, 그 정제 분할 피더에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제 분할 피더의 구성으로서는, 정제를, 수평 등의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그 중도에 고정날을 위치시켜, 그 정제의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날에 의해 정제를 잘라 분할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날에 의한 분할에 의해, 하측의 정제편은 배출되는 한편, 상측의 정제편은 상기 고정날에 연속되는 지지편에 그 고정날 상으로부터 옮겨 탄 채로 유지되며, 그 상측의 정제편은 추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지지편으로부터 배출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단용 고정날이 한쪽에만 형성되어 있으면, 예컨대, 상기 도 2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된 정제(T)(반 알(T1, T2))가 그 분할상태에 있어서 반드시 고정날(3)을 개재시켜 빠져나가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상하의 정제편(T1, T2)이 서로 잡아당겨서 거스러미(e)가 생기지만, 절단용 고정날이 양쪽에 형성되어 있으면, 정제(T)는, 그 마주보는 양 날끝의 내측으로 보내져 일방의 날끝으로부터 절단작용을 받은 후 타방의 날끝에 의해 절단작용을 받거나, 또는 양 날끝에 의해 절단작용을 받게 되고, 이후, 그 양 날끝이 합류하는 점부터는 분할된 정제는 절단날을 지나 더욱 이동하게 된다(도 20 참조). 이 때문에, 분할된 분할 정제(T1, T2)는 반드시 고정날에 의해 분단(分斷)되게 되어, 당의정 등과 같이 표면이 코팅된 정제(T)라 하더라도, 그 코팅층까지 확실하게 절단되어 거스러미(e)가 생기는 일도 최대한 없어지므로, 정제는 고정날에 의해 확실하게 분할된다. 이와 같이 거스러미(e)가 사라지고 절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절단가루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상기 제 1의 과제 달성에 도움이 되는 동시에, 본 발명의 제 2의 과제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작용을 발휘하는 정제 분할 피더용 정제 절단날로서는, 상대이동하는 정제를 향하는 가장자리부부터, 그 상대이동방향을 향해 서서히 끝이 좁아지는 노치를 가지며, 그 노치의 마주보는 가장자리가 날끝을 이루며 그 양 날끝의 상기 끝이 좁아지는 방향의 선단은 합류되어 소멸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절단날은, 1장으로 이루어진 것이어도 좋지만(도 21의 부호 33a로 나타낸 상측 날 참조), 2장의 서로 겹쳐진 절단날로 이루어지고, 그 양 절단날은 상기 서로 겹쳐진 상태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 그 일방의 절단날의 날끝에 의해 일방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의 날끝이 형성되고, 타방의 절단날의 날끝에 의해 타방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의 날끝이 형성되며, 그 양 날끝 사이에 상기 노치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도 21 참조).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정제배출통로에 가루제거수단을 설치하였으므로, 정제 피더로부터는 부착가루가 최대한 제거된 정제가 공급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양 날의 절단날에 의해 정제를 분할(절단)하도록 하였으므로, 그 절단이 원활해지고, 그 절단가루의 발생이 감소되는 동시에, 거스러미(e)에 의한 분할 정제(정제편) 간의 연결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제 피더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의 정제 카세트와 그 장착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정제 카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정제 카세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정제 카세트를 절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정제 카세트를 절단하여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정제 카세트를 절단하여 나타낸 일부 평면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상기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정제 분할 기구의 주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형태의 정제 검출 회로도이다.
도 11a는 상기 실시형태의 정제 카세트 장착대의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b는 상기 실시형태의 정제 카세트 장착대의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정제 카세트 장착대의 일부를 제거하고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정제 카세트 장착대의 일부를 잘라내고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카세트 장착대에 부설한 정제가루 제거장치의 일부를 절단하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제거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제거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제거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제거장치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9의 (a)∼(d)는 각각 상기 실시형태의 정제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0의 (a)∼(d)는 각각 상기 정제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1은 고정날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분할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정제가루 제거장치의 다른 예로서, (a)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b)는 케이스에 커버를 끼운 사시도이다.
도 23은 약제공급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
도 24는 종래의 정제 절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는, 도 23에 나타낸, 정제 수납 케이스 내에 있어서 전체 둘레의 복수 단에 내부에 로터를 가지는 정제 피더(A)를 설치한 정제전용 공급기 등의 약제 공급기에 채용한 것으로서, 그 정제 피더(A) 중 적어도 하나를 정제 분할 피더(A1)로 교환하거나, 정제 분할 피더(A1)를 별개로 설치하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가능하면, 정제 피더(A)와 정제 분할 피더(A1)의 모터 베이스(장착대; 11)는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통상, 정제의 절단에는 파워가 강한 모터가 필요하며, 그 전달 피니언 등도 금속 등에 의해 강고한 것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후자 쪽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 정제 분할 피더(A1)의 모터 베이스는 전용이 된다.
상기 약제공급장치는, 처방전에 근거하여, 정제 피더(A) 수납부로부터 필요한 만큼의 정제가 호퍼(H)에 모아진 후, 그 정제를 약제포장부(E)로 이송하여 포장하거나, 수동 살포 유닛(도시 생략)에서, 상기 정제 피더(A, A1) 수납부에 없는 정제 또는 그 유무에 관계없이 정제(편)(T(T1, T2))을 상기 호퍼(H)로 보내고, 이후 약제포장부(E)로 보내어 포장하거나 한다(특허문헌 1의 도 1 참조).
정제 분할 피더(A1)(정제 피더(A))는, 도 1∼도 20에 나타낸 구성을 하고 있으며, 그 모터 베이스는, 정제 분할 피더(A1)의 정제 카세트(용기)(20)가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합성수지제의 장착대(11)로 이루어지며,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제공급(충전)기 본체에 고정되어 트레이(棚段)의 일부에 설치된다. 장착대(11)의 부착면(11a)의 상면에는 정제 카세트(20)의 U자 형상 지지부(22)가 그 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부(12)가 설치되어 있다(도 1∼도 4 참조).
또한, 장착대(11)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구동제어되는 모터(도시 생략)가 수용되어 있다. 모터의 회전축은, 장착대(11)의 정제 카세트 부착면(11a)의 코너에 돌출되어 피니언(13)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또한, 장착대(11)에는 정제 카세트(20)의 배출구(27)에 연이어 통하는(연속되는) 하측으로 경사진 제 2 통로(정제통로)(14)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통로(14)는, 통과하는 정제(편)(T(T1, T2))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18)가 그 양측면에 설치되며, 약제분포기의 상기 호퍼(H)에 통하는 정제통로에 연속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특허문헌 3의 단락 0047 및 도 1 참조).
장착대(11)의 제 2 통로(14)의 앞벽 양측에는 정제 카세트(20) 하면의 쌍을 이루는 클로부재(29)(도 2, 도 3 참조)가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구멍(클로)(17)이 설치되어 있어, 정제 카세트(20)를 장착대(11)에 세팅하면, 클로(29″)가 상기 걸림고정구멍(17)에 끼워져, 양자(11, 20)가 일체가 된다. 상기 클로부재(29)의 정제 카세트(20) 측면으로 돌출되는 돌기(버튼)(29′)를 누르면, 상기 클로(29″)가 걸림고정구멍(17)으로부터 빠져나와(양자의 걸림고정이 해제되어), 장착대(11)로부터 정제 카세트(20)를 분리해낼 수 있다.
또한, 제 2 통로(14)의 중도에는, 자기센서를 설치하여, 만일 후술하는 고정날(33)이 파손되어, 그 파편이 약제와 함께 공급되더라도, 그 통과하는 금속파편을 검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자석을 통로(14)에 설치하여 적극적으로 금속파편이 부착되도록 해도 좋다.
정제 카세트(20)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부터 순서대로 직사각형부(21a), 원뿔부(21b) 및 유저(有底)형 원통부(21c)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제 용기(정제 수용 케이스)(21)와, 상기 용기(21)에 일체화되며 상면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인 합성수지제의 지지부(22)로 이루어져 있다. 용기(21)의 내부에는 다수의 정제(T)가 수용된다. 직사각형부(21a)의 상면 개구는 덮개체(23)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다. 원통부(21c) 내에는 합성수지제 로터(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터(24)는 상면이 원뿔형이고,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켓부(수납홈)(25)가 등간격으로 복수 군데(실시형태에서는 8개)에 형성되어 있다. 포켓부(25)는, 한 개의 정제(T)만을 보유할 수 있는 폭을 가지며 상방에서 보았을 때 바닥면을 향해 볼록한 원호형상의 단면이 되도록 한 것이며(도 3 참조), 정제(T)는 그 표면이 통상 원호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원호형상 바닥면(25c)에 정제(T)가 딱맞게 끼워지며 안정적으로 용기(21) 내의 정제(T)가 로터(24)의 회전에 따라 하나씩 차례차례 상하로 겹쳐지도록 들어가게 된다. 이 때문에, 각 포켓부(25)와 원통부(21c)의 내주면 사이는 정제(T)가 통과하는 제 1 통로(26)가 되며(도 5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의 제 1 통로(26)가 형성되게 된다. 용기(21)의 하부(원통부(21c)의 바닥판)에는 배출구(27)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배출구(27)는, 상기 로터(24)의 하나의 포켓부(25)의 폭의 2배보다 조금 큰 폭 사이즈를 가진다(도 19 참조).
로터(24)의 외면에는, 후술하는 간막이부재(32) 및 고정날(33)이 끼워져 들어가는 상하의 둘레홈(24a, 24b)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정제 카세트(20)의 용기(21)의 배출구(27) 상측(원통부(21c)의 측면)에 정제 분할 기구(30)가 설치되어 있다(도 3 및 도 8 참조). 상기 정제 분할 기구(30)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 개의 평판편(31a, 31b, 31c)을 겹친 부착 블록(31)과, 상기 블록(31)의 상측 2장의 평판편(31a, 31b)에 파지(把持)되어 고정된 브러시로 이루어진 간막이부재(32)와, 상기 블록(31)의 하측 2장의 평판편(31b, 31c)에 파지되어 고정된 고정날(33)과, 고정날(33)과 하측 평판편(31c) 및 간막이부재(32)와 중간 평판편(31b)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35, 36)와, 유저형 원통부(21c)의 바닥부 내면에 비스(screw)로 고정된 스프링편으로 이루어진 편상(片狀)의 하부 가이드(37)로 이루어진다(도 8(b) 참조).
상기 스페이서(35, 36)는 그 장수를 적절히 설정하여, 고정날(33)이 포켓부(25) 내의 하부 가이드(37)에 의해 상하방향의 위치결정이 되어 있는 정제(T)의 상하방향 중앙에 위치해서 그 정제(T)를 정확히 절반(반 알(T1, T2))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간막이부재(32)가 포켓부(25) 내에 상하의 정제(T, T)의 정확히 사이에 위치하여 양자(T1, T2)를 분리하도록 한다. 상기 스페이서(35, 36)에 의한 고정날(33)과 간막이부재(32)의 위치조정은, 정제 분할 기구(30)(블록(31))를 카세트(20)로부터 분리하고 행한다.
간막이부재(32)는, 브러시 모(毛) 형상이며, 로터(24) 측면의 상측 둘레홈(24a)으로 끼워져 들어가는 것으로서, 로터(24)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구(27)에 마주보는 포켓부(25)로 들어가서 포켓부(25)를 상하로 나누고, 포켓부(25) 내의 최하위치에 있는 정제(T)를 그보다 상측의 정제(T)와 분리한다(도 19(a) 내지 (b) 참조).
고정날(33)은, 도 8(a)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제(T)를 향하는 가장자리부(도 8(a)에서의 좌측단 가장자리)로부터, 그 정제 이동방향(도 8(a)에서의 우측방향)을 향해 서서히 끝이 좁아지는 노치(34)를 가지며, 상기 노치(34)의 마주보는 가장자리가 원호형상의 날끝(34a, 34b)이 되고 그 양 날끝(34a, 34b)의 끝이 좁아지는 방향의 선단은 일치하고 있다(합류하여 소멸되어 있다). 상기 양 날끝(33a, 33b)의 개각도(開角度; 노치(34)의 개방된 각도), 길이 및 원호의 정도는, 정제(T)의 이동 궤적이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한다.
상기 고정날(33)은 로터(24) 측면의 하측 둘레홈(24b)으로 들어가서, 로터(24)의 수평방향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구(27)에 마주보는 포켓부(25) 내의 정제(T)의 상하방향 중앙을 절단한다(도 19(a) 내지 (c) 참조).
양 날끝(34a, 34b)을 가지는 고정날(양날 고정날)(33)로서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장의 고정날(33a, 33b)을 겹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2장의 서로 겹쳐진 절단날(33a, 33b)로 이루어지며, 그 양 절단날(33a, 33b)은 서로 겹쳐진 상태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 그 일방의 절단날(33a)의 날끝에 의해 상기 일방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의 날끝(34a)이 형성되고, 타방의 절단날(33b)의 날끝에 의해 상기 타방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의 날끝(34b)이 형성되고, 그 양 날끝(34a, 34b) 사이에 상기 노치(34)가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하부 가이드(37)는, 배출구(27)에 마주보려고 하는 포켓부(25) 내의 정제(T)가 접촉하며, 로터(24)의 회전에 따라 서서히 상방으로 눌러서 정제(T)를 고정날(33)에 가압접촉(壓接)시킨다. 이때, 하부 가이드(37)의 정제 슬라이딩 접촉면(상면)은,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이다가 상향으로 경사진 후 다시 수평으로 되어 있으며, 그 전자의 수평면으로부터 경사면에 있어서 정제(T)의 중앙으로 고정날(33)(날끝(34a, 34b))이 파고들어가고(도 19(a) 및 도 20(a) 참조), 이후, 정제(T)는 후자의 수평면을 이동하는 중에, 그 하부 가이드(37)의 가압력에 의해 고정날(33)에 가압접촉하는 동시에, 고정날(33)이 정제(T)에 대해 삽입되는 간격(eating clearance) 만큼을 하부 가이드(37)가 하방으로 휨으로써 흡수한다(도 19(a) 내지 (b) 참조).
이와 같이 안내되는 정제(T)의 상기 고정날(33)에 의한 절단은, 로터(24)의 회전에 따라, 도 19(a) 및 도 2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일방의 날끝(34a)이 정제(T)에 서서히 파고드는 동시에, 마침내, 다른 날끝(34b)도 정제(T)에 서서히 파고들어가서, 양 날끝(34a, 34b)에 의해 정제(T)를 절단한다(도 20(a) 내지 (c) 참조).
상기 로터(24)의 회전에 따라, 정제(T)는 이분할되며, 하측의 정제편(T1)은 그 이분할됨과 동시에 배출구(27)로 낙하되고(도 19(c)), 상측의 정제편(T2)은, 추가적인 로터(24)의 회전에 의해 지지편을 겸하는 고정날(33)의 선단부로부터 배출구(27)로 낙하된다(도 19 (d)).
이때, 하부 가이드(37)의 스프링성에 의해, 정제(T)의 상하방향 중앙에 고정날(33)이 파고들어가서, 파편(조각이나 절단가루(b))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원활하게 분할된다.
또한, 절단된 후 낙하하기 전의 상하 정제(T1, T2) 사이에는 반드시 고정날(33)이 개재되기 때문에(도 20(a)∼(c)), 당의정 등과 같이 표면이 코팅된 정제(T)이더라도, 그 코팅층까지 확실하게 절단되어 거스러미(e)가 쉽게 생기지 않게 되고, 설사 거스러미(e)가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양 날끝(34a, 34b)의 합류점에서 그 거스러미(e)는 절단된다. 이 때문에,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거스러미(e)가 생기거나, 거스러미(e)에 의해 분할 정제(T1, T2)가 연결되거나 하는 상태는 최대한 사라진다.
이와 같이, 로터(24)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정제(T)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정제(T)는 확실하게 이분할되는 동시에, 상하로 분할된 정제편(T1, T2)이 시간차(22.5도의 회전차)를 두고 공급된다. 이 때문에, 한 사람의 환자에 대한 일회 복용마다 반 알을 포함시킨 처방이면서, 분포(分包) 수가 홀수인 반 알이 9개(예컨대, 하루 세 번(아침·낮·밤) 복용하는 3일분)가 되는 홀수 처방이면, 상측 정제편(T2)이 고정날(33)의 선단부에 올라간 상태에서 로터(24)를 정지시키고, 예컨대, 하루 두 번(아침·낮) 복용하는 4일분의 분포 수가 8인 짝수 처방이면, 상측 정제편(T2)이 고정날(33)의 선단부로부터 공급된 시점에서 로터(24)를 정지시킨다. 홀수의 공급이 끝난 다음 번의 반 알 공급 동작시에는, 상측의 정제편(T2)을 최초의 반 알로서 공급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급 타이밍에 의해 포켓부(25) 내의 정제(T1, T2) 유무를 판별하며, 그 판별은, 통로(14)를 지나는 정제(T(T1, T2))를 검출하는 검출 센서(18)의 검출신호와 공급 타이밍의 대조에 의해 행한다. 상기 공급 타이밍의 설정은 딥 스위치(DIP switch)에 의해 행한다.
상기 딥 스위치는, 장착대(모터 베이스)(11) 측에 플랫 접점(46(46a, 46b, 46c, 46d))을 설치하고, 카세트(20) 측에 기복(起伏)가능한 접점(47(47a, 47b, 47c, 47d))을 설치하고, 그 카세트측 접점(47)에는 또한 ON·OFF(통전·비통전)의 설정이 가능한 스위치(48(48a, 48b, 48c))를 그 회로 사이에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도 2, 도 10 참조).
상기 딥 스위치는, 스위치(48)의 각 접점(48a, 48b, 48c)을 적절히 ON·OFF로 설정함으로써 8가지의 설정이 가능하며, 상기 설정은, 카세트에 수납하는 정제(T)의 크기·형상 등에 따라 설정하며, 그 설정(정제(T)의 크기 등)에 따른 타이밍(문턱값)이 로터(24)의 회전제어부에 전달(설정)된다(회전제어부가 카세트 내의 정제(T)의 크기 등을 판독한다).
이 때문에, 상기 카세트(20)를 장착대(11)에 세팅하면, 그 카세트측의 접점(47)이 장착대측의 접점(46)에 접하여 양자(46, 47)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카세트(20)에 수납되는 정제(T)에 대응하여, 스위치(48)의 각 접점(48a, 48b, 48c)을 적절히 ON·OFF로 설정하고, 그 설정된 타이밍(문턱값)이 로터(24)의 회전제어부에 전달되어 그 타이밍에 의해 로터(24)가 회전함으로써 정제(T1, T2)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정제(T)의 크기 등에 근거하여 설정된 타이밍에 공급되는 정제(T1, T2)를 계수하며, 그 타이밍을 벗어난, 예컨대 조각(b)의 공급(낙하)은 계수하지 않는다(생략한다).
상기 접점(46, 47)의 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설정가능한 정제(T)의 크기 등(타이밍)의 수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설명하자면, 통상, 카세트(20)의 수납 정제(T)가 동일한 것인 경우(스위치(48)의 설정이 동일한 경우)는, 카세트(20)를 분리했다가 다시 세팅하더라도, 지금까지의 정제 계수나 정제유무의 기록은 리셋(reset)되지 않고, 스위치(48)의 설정이 상이하면, 카세트(20)를 다시 세팅할 때 이러한 기록은 리셋된다.
로터(24)의 회전축(28)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21)의 바닥벽 하면(원통부(21c)의 바닥판)의 거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그 하단에 키(key; 53) 등을 통해 대(大)기어(51)가 멈춤링(retaining ring; 52)에 의해 고정된다. 이 때문에, 정제 카세트(20)를 장착대(11)에 장착하면, 상기 대기어(51)에 상기 피니언(13)이 맞물리고, 모터에 의해 상기 맞물림(대기어(51)와 피니언(13)의 맞물림)을 통해 로터(24)가 회전한다.
또한, 도 11a∼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제 분할 피더(A1)의 배면에는 가루제거장치(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루제거장치는, 장착대(11)에 탈부착가능한 케이스(61)와, 상기 케이스(61)의 커버(91)와, 상기 케이스(61) 내에 내장된 가루제거판 등과, 상기 커버(91) 하부의 가루 수집용 받이접시(가루 수집 박스)(62)로 이루어진다. 케이스(61)는, 정제 분할 피더(A1)의 배면에 끼워 넣어진 후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된다. 커버(91)는 케이스(61)의 배면에 맞대고, 그 손잡이(91a)를 케이스(61) 내에 끼움으로써 케이스(61)에 부착된다. 손잡이(91a)를 잡고 휘게 함으로써 커버(91)는 케이스(61)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정제통로(14)의 상부는 사각통형상부재(92)로 구성되고, 상기 사각통형상부재(92)의 내측면에 상기 센서(18)를 돌출시키는 구멍(92a)을 가지며, 그 내측 하면은 하방으로 개구되지 않은 경사 슬릿판(93)으로 되어 있어, 정제 분할 피더(A1)의 배출구(27)로부터 배출된(공급된) 정제(T1, T2)가 상기 슬릿판(93) 상으로 낙하하고, 또한, 상기 정제(T1, T2)는 상기 가루제거장치(케이스(61)) 내로 낙하한다.
케이스(61) 내의 상기 가루제거판(64a, 64b)은, 한 쌍의 슬릿판으로 이루어져 역삼각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하단은 정제(T1, T2)가 낙하하지 않는 틈새(t)를 가지거나 또는 접해 있다. 이 때문에, 정제통로(14)로부터 낙하한 정제(T1, T2)는 상기 양 가루제거판(64a, 64b) 사이에 머무르게 된다. 이때, 일방의 가루제거판(64a)은 슬릿(a)이 없는 평판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일방의 가루제거판(64a)의 하단으로부터는 더욱 하방이면서 역방향으로 경사진 가루낙하받이판(65)이 설치되며, 상기 가루낙하받이판(65)의 하단은 도중부터 하방으로 똑바로 내려와 상기 가루 수집용 받이접시(62)의 상면에 도달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가루제거판(64a, 64b)의 하방에는 전측에서 후측(도 11a의 앞쪽) 하방으로 경사진 슬릿판으로 이루어진 가루제거판(6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루제거판(66)의 하면은 상기 가루 수집용 받이접시(62)의 상면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가루 수집용 받이접시(62)는 커버(91)와 별개로서 케이스(61)에 탈부착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루제거판(64a, 64b)의 한쪽(64b)은 케이스(61)에 그 상단에 의해 축(67)을 통해 회동(요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 12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이면(裏面)에 진동모터(7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동모터(71)는 회전축에 편심편(72)을 가지며, 회전(구동)함으로써, 그 편심편(72)에 의해 진동한다. 이러한 진동에 의해 가루제거판(64b)도 진동한다. 진동모터(71) 등은, 일방의 가루제거판(64a)에도 설치하거나, 그 일방의 가루제거판(64a)에만 설치하거나, 도 12에 쇄선(鎖線)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61)에 설치하거나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정제가루를 가장 잘 제거할 수 있는 진동이 주어지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축(67)에는 스프링(68)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68)에 의해 가루제거판(64b)이 그 하단이 일방의 가루제거판(64a)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스토퍼(69)가 케이스(61) 내면의 붙임판(69a)에 접촉하여, 상기 가루제거판(64a)과의 틈새(접촉)(t)가 확보된다(도 12 및 도 15 참조).
그 타방의 가루제거판(64b)의 하방에, 그 상단이 타방의 가루제거판(64b)의 하단 전면에 위치하는 회동판(75)이 그 하단 가까이의 축(76)에 의해 케이스(61)에 회동(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판(75)의 하단의 작동축(77)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61)의 슬라이딩구멍(78)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상기 작동축(77)의 일단에 슬라이더(79)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79)는, 가이드(80)(도 17 참조)와 상기 작동축(77)의 슬라이딩구멍(78) 내의 슬라이딩 안내에 의해, 도 18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79)는 코일스프링(81)에 의해, 도 18의 우측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압에 의해, 동 도면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타방의 가루제거판(64b)의 하단과 이격된 상태 또는 가볍게 접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스프링(81)은 지지재(82)에 대해 나사식으로 삽입되는 양의 정도에 따라 그 가압력을 조정한다.
슬라이더(79)에는 와이어(83)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83)의 타단은 안내회전롤러(84)를 통해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85)의 플런저(85a)에 고정되어 있다. 도 17 및 도 18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85a)가 후퇴하면(흡인되면), 상기 스프링(81)에 저항하여 슬라이더(79)가 슬라이딩함으로써, 회동판(75)이 실선으로부터 쇄선과 같이 요동한다(도 12 및 도 18 참조).
이때, 슬라이더(79)의 이동량은, 플런저(85a)의 와이어(83)의 인입(引入)량에 의해 결정된다. 즉, 회동판(75)의 요동량이 결정된다. 안내회전롤러(84)에는 와이어(83)가 어긋나지 않도록 안내홈(8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회전롤러(84)는 회전하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요동에 의해 타방의 가루제거판(64b)도 요동하여 일방의 가루제거판(64a)과의 틈새(t)가 커져서 그 가루제거판(64a, 64b) 사이의 정제(T1, T2)가 그 틈새(t)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한다(틈새(t)가 벌어져 정제의 낙하를 허용한다). 한편, 플런저(85a)의 흡인이 해제되면, 스프링(81)에 의해 슬라이더(79)는 복귀하고, 동 도면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판(75)과 타방의 가루제거판(64b)이 요동하여 복귀한다.
상기 가루 제거 기구를 구비한 정제 분할 피더(A1)의 구성은 이상과 같고, 그 공급작용은 상술한 대로이며, 그 공급시의 정제 분할 공급은, 그 정제 분할 피더(A1)에 공급정보가 입력되면, 로터(24)가 필요 회전수만큼 회전하여, 상기 분할작용에 의해 필요한 수의 반 알짜리 정제편(T1, T2)을 배출구(27)로부터 정제통로(14)로 공급한다.
상기 로터(24)는, 공급할 정제편(T1, T2)의 수에 따른 회전각도로 회전한다. 예컨대, 로터 주위에 8개의 수납홈(25)이 있으므로, 로터(24)가 1회전하면, 정제편(반 알)(T1, T2)은 16개(정)가 공급되기 때문에, 14개의 반 알이면, 360도/(14/16)=315도 회전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는 그 공급 개수에 따른 회전각도까지 연속회전하지만, 반 알의 공급시마다 22.5도 만큼 간헐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로터(24)로부터 공급된 정제(T1, T2)는, 정제통로(14)의 상부로부터 한 쌍의 가루제거판(64a, 64b) 사이로 낙하한다. 그러면, 타방의 가루제거판(64b)이 진동되고 있음으로써 정제(T1, T2)는 그 사이에서 요동하여, 그 정제에 부착되어 있는 가루(조각도 포함)(b)가 벗겨지며, 그 가루(b)는 양 가루제거판(64a, 64b)의 슬릿(a)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한다. 상기 가루(b)는 양측의 낙하통로(65a)를 지나 가루 수집용 받이접시(62)로 낙하하여 모인다. 이와 같이 가루 수집용 받이접시(62) 내에 절단가루(조각)(b)가 모이면, 커버(91)를 벗겨냄으로써 그 폐기처리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때, 타방의 가루제거판(64b)을 지나 낙하하는 가루(b)는 회동판(75) 상으로 떨어져 그 하방의 낙하통로(65a)로 인도된다.
가루제거판(64a, 64b, 66)을 따라 낙하하는 정제(T1, T2)는 해당 기구의 공급구(90)(커버(91)의 하측 개구)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호퍼(H)로 보내지며, 그 호퍼(H)로부터 포장공정(E)으로 인도된다.
참고로, 정제 피더(A)(정제 분할 피더(A1))는, 로터(24)로부터 정제(T(T1, T2))가 통로(14)로 공급되어 그 통로(14)의 통과를 검출하면, 상기 통로(14)를 정제(T)가 통과한 것으로 간주하여, 로터(24)를 정지시키며, 정제(T)가 상기 케이스(61) 내의 가루제거장치 내를 통과하여 포장부(E)에 다다른 시점, 예컨대, 상기 공급구(90) 또는 상기 공급구(90)로부터 포장부에 이르는 통로의 센서에 의해 그 정제(T)를 검출하면, 그 신호에 의해, 다음의 정제 공급 작용으로 이행한다.
본 실시형태의 가루제거장치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모터(71) 등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루제거판(64a, 64b, 66) 등을 정제통로(14)를 가로지르듯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각통형상부재(92)에 의해 정제통로(14)의 상부를 구성하지 않고, 그 배면은 커버판(92′)으로 폐쇄하였다. 물론, 사각통형상부재(92)로 구성해도 좋고, 반대로, 상기 도 11a 및 도 11b의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도 22에 나타낸 정제통로(14)의 상부구조로 할 수 있다. 양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가루제거판은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탈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루제거판(64a, 64b, 66)이 하방을 향해 전후좌우의 지그재그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절단가루(조각)(b)의 제거 경로가 길게 되어 있다. 또한, 정제(T1, T2)는 그 가루제거판(64a, 64b, 66)을 따라 낙하하고, 절단가루(b)는 상기 가루제거판 후면의 낙하통로(65a)로 낙하하여 정제(T1, T2)에 혼합되는 일 없이, 커버(91) 하부의 수집 포켓(가루 수집용 받이접시(62))에 모인다.
참고로, 가루제거판(64a, 64b, 66)이나 케이스(61) 및 커버(91)를 분리하였을 때, 그 분리한 사실을 검출하거나, 또는 그것들이 세팅되어 있음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면, 그 센서의 신호에 의해, 그것들이 분리되어 있는 한, 정제의 공급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청소 등에 의해 그것들을 분리해 낸 후 다시 세팅하는 것을 잊어버림으로 인해, 불필요한 조각(절단가루(b))이 장치 주변으로 누설되는 등의 문제를 없앨 수 있다.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날(33)은, 양 날이 아니라, 한쪽 날(예컨대, 도 21(a)의 상측에 나타낸 날(33a) 뿐)이어도 좋다. 또한, 가루제거판(64a, 64b, 66)은, 슬릿이 아니라 복수의 작은 구멍을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일본 특허출원 제2010-504097호의 도 34 및 도 35의 부호 80으로 나타낸 용기의 바닥판 참조). 요컨대, 정제(T, T1, T2)는 통과시키지 않고 정제가루(b)는 통과시키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가루제거장치는, 정제 분할 피더(A1)에 한정되지 않으며, 정제(T)를 잘라 분할하지 않는 정제 피더(A)에도 부설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정제 피더(A, A1)의 가루제거장치는, 도 23에 나타낸 트레이형상으로 정제 피더(A, A1)를 배치한 약제공급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정제 피더(A, A1)를 트레이형상으로 배치한 약제공급장치 등의 정제 피더를 가지는 각 양태의 약제공급장치에 있어서의 정제 피더에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덧붙여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가루제거장치는, 정제 피더(A, A1)의 배출구(27)에 연속되는 정제통로(14)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정제통로(14)로부터 호퍼(H)로 통하는 정제통로나 상기 호퍼(H)로부터 포장 공정(E)으로 이어지는 정제통로 등의 모든 정제통로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정제에 부착된 가루(b)를 제거할 수 있다.
A : 정제 피더
A1 : 정제 분할 피더
a : 슬릿
b : 절단가루(조각)
T : 정제
T1, T2 : 반 알
11 : 정제 카세트 장착대
11a : 정제 카세트 장착면
13 : 피니언
14 : 정제통로
18 : 정제통과 센서
20 : 정제 카세트(용기)
21 : 정제용기(정제 수용 케이스)
21c : 로터 수납부
24 : 로터
24a : 브러시(간막이부재)용 둘레홈
24b : 고정날용 둘레홈
25 : 포켓부(수납홈)
27 : 정제배출구
28 : 로터 회전축
30 : 정제 분할 기구
32 : 정제 간막이부재(브러시)
33 : 고정날(절단날)
33a, 33b : 2매 고정날
34a, 34b : 고정날의 날끝
61 : 가루제거장치의 케이스
62 : 가루 수집 박스(가루 수집용 받이접시)
64a, 64b, 66 : 가루제거판
71 : 진동 부여 모터
72 : 진동용 편심편
75 : 회동판
76 : 회동축
77 : 작동축
85 :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90 : 가루제거장치(정제 피더)의 정제 공급구

Claims (8)

  1. 정제 수용 케이스(21) 내로부터 정제(T, T1, T2)를 차례차례 배출구(27)로 공급하는 정제 피더(A, A1)의 상기 배출구(27)에 정제통로(14)를 연속하여 설치하고, 그 정제통로(14)에, 상기 정제(T, T1, T2)를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의 다공 또는 슬릿을 가지는 가루제거판(64a, 64b, 66)을 그 정제통로(14)를 가로지르듯이 개재(介在)시키며, 상기 정제(T, T1, T2)는, 상기 배출구(27)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가루제거판(64a, 64b, 66)에 도달되고, 상기 가루제거판(64a, 64b, 66)을 따라 낙하하여 상기 정제통로(14)의 공급구(90)에 이르는 정제 피더의 가루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루제거판(64a, 64b, 66)에 진동수단(71, 7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피더의 가루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71, 72)이 설치된 가루제거판을 상기 정제통로(14)를 폐쇄하여 하향으로 가로지르듯이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가루제거판을 상기 폐쇄상태로부터 상기 정제통로(14)를 개방시키도록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상기 가루제거판에는, 상기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 및 그 반대로의 이동을 행하는 이동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피더의 가루제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통로(14) 내에, 상기 정제통로(14)를 폐쇄하는 가루제거판을, 상기 정제(T, T1, T2)를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의 다공 또는 슬릿을 가지는 한 쌍의 가루제거판(64a, 64b)을 역삼각형으로 배치하여 구성하는 동시에, 그 양 가루제거판(64a, 64b)의 하단은 정제(T, T1, T2)가 낙하되지 않는 틈새(t)를 가지거나 또는 접하고 있으며, 그 양 가루제거판(64a, 64b) 중 적어도 일방에 진동수단(71, 72)을 설치하는 동시에, 양 가루제거판(64a, 64b) 중 적어도 일방을 양자의 하단의 틈새(t)가 정제(T, T1, T2)의 낙하를 허용하는 정도로 벌어지도록 이동가능하게 하고, 그 이동하는 가루제거판(64b)에는 이동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피더의 가루제거장치.
  5.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71, 72)이 설치된 가루제거판(64b)을 상기 정제통로(14)를 형성하는 케이스(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그 회전을 행하여 상기 정제(T, T1, T2)의 낙하를 허용하는 정도로 벌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피더의 가루제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71, 72)을 설치한 가루제거판(64b)을 상기 정제통로(14)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그 상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가루제거판(64b)의 하단에 상단이 접촉하는 회동판(75)을 그 하방으로의 경사방향이 상기 가루제거판(64b)의 반대방향이 되어 상기 가루제거판(64b)의 하방이 되도록 상기 케이스(61)에 설치하고, 상기 회동판(75)을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85)에 의해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 및 그 반대의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피더의 가루제거장치.
  7. 제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루제거판(64a, 64b, 66)을, 정제통로(14)의 하방을 향해 지그재그형상으로 복수 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피더의 가루제거장치.
  8. 제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피더(A1)가 정제(T)를 잘라 분할하여 상기 배출구(27)에 공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피더의 가루제거장치.

KR1020117019666A 2009-03-05 2010-03-01 정제 피더의 가루제거장치 KR201101343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51850 2009-03-05
JP2009051850 2009-03-05
JPJP-P-2009-175990 2009-07-29
JP2009175990 2009-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393A true KR20110134393A (ko) 2011-12-14

Family

ID=42709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666A KR20110134393A (ko) 2009-03-05 2010-03-01 정제 피더의 가루제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78197B2 (ko)
EP (1) EP2404828B1 (ko)
JP (1) JP5252072B2 (ko)
KR (1) KR20110134393A (ko)
CN (1) CN102341307B (ko)
WO (1) WO20101010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399B1 (ko) * 2021-02-19 2022-06-22 주식회사 인스텍 레이저 성형 장치용 파우더 공급 관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603B1 (ko) * 2008-09-18 2011-04-06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정제 피더
CN102770348B (zh) * 2010-03-01 2014-07-30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分配器的除粉装置
WO2013024903A1 (ja) * 2011-08-16 2013-02-21 株式会社 トーショー 錠剤分割装置
AU2014322142A1 (en) 2013-09-20 2016-03-31 Takazono Technology Incorporated Drug supply body, and drug supply unit
EP3047835A4 (en) 2013-09-20 2017-05-10 Takazono Technology Incorporated Drug supply unit and drug supply device
AU2014322145A1 (en) 2013-09-20 2016-03-31 Takazono Technology Incorporated Drug supply unit
US10010485B2 (en) 2013-09-20 2018-07-03 Takazono Technology Incorporated Medicine feeding unit
US9663260B2 (en) * 2014-01-31 2017-05-30 Yuyama Mfg. Co., Ltd. Drug feeder
US10421566B2 (en) 2014-07-03 2019-09-24 Carefusion Germany 326 Gmbh Storage container for automated dispensing of individual medicament portions
US20160009436A1 (en) * 2014-07-14 2016-01-14 Victor Basso Machine for packing medical products and printing medical instructions for a nurse in a hospital environment
CN107106411B (zh) * 2014-11-11 2020-09-18 株式会社东商 散药配给装置
JP6724906B2 (ja) * 2015-04-11 2020-07-1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い出しカセット
US9697335B2 (en) * 2015-07-23 2017-07-04 Express Script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pharmaceutical dispensing
BE1024079B1 (fr) * 2015-09-07 2017-11-13 Pharma Technology S.A. Dispositif de separation de cassons de particules desdites particules
JP6569909B2 (ja) * 2016-01-21 2019-09-04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カセット
CA3091890A1 (en) * 2018-02-21 2019-08-29 Tosho, Inc. Tablet cassette
US11498761B1 (en) 2021-06-22 2022-11-15 Vmi Holland B.V. Method for dispensing discrete medicaments, a test station for testing a feeder unit,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fill level of a feeder unit
US11673700B2 (en) 2021-06-22 2023-06-13 Vmi Holland B.V. Device and methods for packaging medicaments with fault detection
US11273103B1 (en) 2021-06-22 2022-03-15 Vmi Holland B.V.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discrete medicaments
CN117002772B (zh) * 2023-09-14 2023-12-26 河南佑民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饲料灌装装置
CN118753603B (zh) * 2024-08-30 2024-11-12 风之虎研盐实验室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高纯粉盐生产用多级筛分输运包装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057A (en) * 1897-06-29 1901-05-28 Thomas A Edison Apparatus for screening pulverized material.
US940212A (en) * 1907-11-18 1909-11-16 John M Stone Separator.
US2203152A (en) * 1938-06-20 1940-06-04 Harry L Johnson Grain separator
US2617137A (en) * 1948-03-22 1952-11-11 Bodnar Alexander Apparatus for dusting capsules
JPS5339870U (ko) * 1976-09-10 1978-04-06
JPS5339870A (en) 1976-09-24 1978-04-12 Hitachi Ltd Semiconductor device
JPH0239498B2 (ja) 1982-02-01 1990-09-05 Chisso Corp 44*toransuu4**arukiruokishimechirushikurohekishiru*ansokukosanesuterukagobutsu
JPS58131942U (ja) * 1982-12-28 1983-09-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ラスタ−除去装置
JPS6279888A (ja) * 1985-10-02 1987-04-13 日本興産株式会社 固形物表面の付着物除去装置
JP2656805B2 (ja) 1988-07-19 1997-09-24 園部 尚俊 錠剤分割機
US5098557A (en) * 1990-02-09 1992-03-24 Hirschler Dan E Granular material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US5469971A (en) * 1992-02-26 1995-11-28 Estee Laud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agglomerating powder
JPH06262150A (ja) * 1992-05-12 1994-09-20 Matsui Mfg Co 付着物除去方法とその装置
JP3445330B2 (ja) * 1993-11-15 2003-09-08 株式会社松井製作所 付着物除去装置及び付着物除去方法
JP3554580B2 (ja) 1994-03-01 2004-08-18 塩野義製薬株式会社 粉末材料圧縮成形装置の排出シュート
JP2835290B2 (ja) * 1994-11-22 1998-12-14 正二 湯山 錠剤フィーダ
JP2831951B2 (ja) * 1995-08-02 1998-12-0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フィーダ
DE19739204A1 (de) 1997-09-08 1999-03-11 Haarmann & Reimer Gmbh Duftstoff-enthaltende Zubereitung
JP3969825B2 (ja) 1998-02-12 2007-09-05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分包機および錠剤供給装置
JP3790688B2 (ja) * 2001-08-21 2006-06-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フィーダ
JP2005059903A (ja) 2003-08-13 2005-03-10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フィーダ
JP4429752B2 (ja) * 2004-01-30 2010-03-1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収納取出装置
JP4473170B2 (ja) 2005-04-27 2010-06-02 高園産業株式会社 錠剤カセッタ
JP2007135982A (ja) 2005-11-21 2007-06-07 Bushu Seiyaku Kk 錠剤搬送装置
CA2635141C (en) * 2005-12-21 2014-12-02 Catalyst Services, Inc. Providing automated delivery of catalyst and/or particulate to any filling system device used to fill tubes
WO2008039370A1 (en) 2006-09-22 2008-04-03 Danisco Us, Inc., Genencor Division Acetolactate synthase (als) selectable marker from trichoderma reesei
JP4952241B2 (ja) 2006-12-27 2012-06-1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分包機におけるホッパー装置
JP4952291B2 (ja) * 2007-02-20 2012-06-13 大正製薬株式会社 錠剤の搬送ガイド方法
KR101027603B1 (ko) 2008-09-18 2011-04-06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정제 피더
CN102770348B (zh) * 2010-03-01 2014-07-30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分配器的除粉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399B1 (ko) * 2021-02-19 2022-06-22 주식회사 인스텍 레이저 성형 장치용 파우더 공급 관리 장치
WO2022177308A1 (ko) * 2021-02-19 2022-08-25 주식회사 인스텍 레이저 성형 장치용 파우더 공급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101098A1 (ja) 2012-09-10
US20110309101A1 (en) 2011-12-22
CN102341307B (zh) 2014-12-17
EP2404828B1 (en) 2016-02-24
CN102341307A (zh) 2012-02-01
JP5252072B2 (ja) 2013-07-31
EP2404828A4 (en) 2014-06-11
EP2404828A1 (en) 2012-01-11
WO2010101098A1 (ja) 2010-09-10
US8678197B2 (en)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4393A (ko) 정제 피더의 가루제거장치
TWI536983B (zh) A medicine discharge device and a medicine filling device
KR101860578B1 (ko) 약제 불출기의 가루 제거 장치
US10065788B2 (en) Pill dispenser with cylindrical package holder for array-type packages
JP4568082B2 (ja) 薬剤包装装置
JP7580686B2 (ja) 錠剤分割装置
JPWO2017043430A1 (ja) 錠剤分包装置
JP7535695B2 (ja) 散薬供給装置
TW200303280A (en) Powder scrap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2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