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27623A - Electronic device printing device capable of bidirectional printing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printing device capable of bidirectional prin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623A
KR20110127623A KR1020110047514A KR20110047514A KR20110127623A KR 20110127623 A KR20110127623 A KR 20110127623A KR 1020110047514 A KR1020110047514 A KR 1020110047514A KR 20110047514 A KR20110047514 A KR 20110047514A KR 20110127623 A KR20110127623 A KR 20110127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roller
disposed
printed object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69431B1 (en
Inventor
김동수
김충환
이택민
김인영
조정대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10127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6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43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41F17/1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18Impression cylinders
    • B41F13/187Impression cylinders for rotograv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30Arrangements for tripping, lifting, adjusting, or removing inking rollers; Supports, bearings, or forks therefor
    • B41F31/3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소자 인쇄시 정방향 및 역방향 인쇄가 가능한 인쇄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피 인쇄체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송하여 하나의 인쇄장치에 의해서도 복수개의 층을 인쇄할 수 있어 장비의 저가화를 도모하여 전자 소자를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양방향 인쇄가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printing when printing electronic devices, an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layers can be printed by a single printing device by transferring the printed material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equipment. It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printing device capable of bi-directional printing that can be produced at low cost.

Description

양방향 인쇄가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Reverse printing type apparatus for printed electronics}Reverse printing type apparatus for printed electronics

본 발명은 전자 소자 인쇄시 정방향 및 역방향 인쇄가 가능한 인쇄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피 인쇄체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송하여 하나의 인쇄장치에 의해서도 복수개의 층을 인쇄할 수 있어 장비의 저가화를 도모하여 전자 소자를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양방향 인쇄가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printing when printing electronic devices, an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layers can be printed by a single printing device by transferring the printed material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equipment. It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printing device capable of bi-directional printing that can be produced at low cost.

최근 인쇄 방식으로 전자 소자 등을 생산하는 인쇄 전자(Printed Electronics) 분야가 큰 각광을 받고 있으며 여기에는 RFID 안테나, 폴리머 트랜지스터, 유연성 디스플레이, 솔라 셀 등의 대량 저가 생산을 포함한다. 기존의 인쇄기의 개념으로 인쇄 전자 소자를 생산하되 정밀도를 수~수십 마이크로로 높여야 전자 소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술은 정밀한 정렬 제어로, 절연성, 반도체성, 전도성 등의 기능성 잉크를 중첩 인쇄하여 트랜지스터 등의 전자소자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각 잉크층의 정렬 맞춤 정밀도가 수~수십 마이크로 수준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Recently, the field of printed electronics, which produces electronic devices by printing method, has gained much attention, including mass production of low-cost products such as RFID antennas, polymer transistors, flexible displays, and solar cells.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roduct that can play the role of an electronic device only by producing printed electronic devices with the concept of a conventional printing press, but increasing the precision to several tens of microns. The most important technology in such a printing machine is precise alignment control. In order to manufacture electronic devices such as transistors by superimposing printing of functional inks such as insulating, semiconducting, and conductive materials, the alignment accuracy of each ink layer may be in the order of several to several tens of micrometers. It must be secured.

그런데, 기존의 인쇄기에서는 중첩 인쇄가 필요한 층의 개수에 맞게 인쇄 유닛을 설치하여 복수의 층을 인쇄하게 되어 다층 인쇄가 이루어질 경우 장비의 가격이 상승하고 장비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적층 인쇄하는 경우에라도 복수의 인쇄 유닛과 여기에 맞는 제판 실린더가 필요하여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inting press, the printing unit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layers requiring overlap printing to print a plurality of layers, so that the multilayer printing is performed, the price of equipment increases and the size of the equipment increases.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simply laminating printing, a plurality of printing units and a plate making cylinder matching the same are required, which causes a problem of price increas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 인쇄체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인쇄하여 하나의 인쇄 유닛으로서 다층 인쇄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장비의 저가화 및 전자 소자의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인쇄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vides a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cost of equipment and the production cost of electronic devices by printing a printed object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so that multi-layer printing can be performed as one printing unit.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방향 이송이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100)로서, 와인더 또는 언와인더로서 작동할 수 있는 제1권취 롤러(110) 및 제2권취 롤러(120)와, 상기 제1권취 롤러(110) 및 제2권취 롤러(120)사이에 배치되어 피 인쇄체(1)를 인쇄하는 제판 롤러(132)와 상기 제판 롤러(132)에 피 인쇄체(1)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131)를 포함하는 인쇄 유닛(130)과, 상기 인쇄 유닛(130)을 통과한 피 인쇄체(1)를 건조하는 건조부(140)와, 상기 건조부(140) 내부에 배치되되 탈부착이 가능한 제1아이들러(151) 및 제2아이들러(152)를 구비하는 아이들러(150)와, 상기 제판 롤러(132)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닥터링 장치(D1) 및 제2닥터링 장치(D2)를 구비하는 닥터링 장치(D)를 포함하는 양방향 인쇄가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electronic device printing apparatus 100 capable of bi-directional transfer, the first winding roller 110 and the second winding roller 120 which can operate as a winder or an unwinder, and Pressing to press the to-be-printed object 1 to the plate-making roller 132 and the plate-making roller 132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nding roller 110 and the second winding roller 120 to print the printed object (1). A printing unit 130 including a roller 131, a drying unit 140 for drying the printed object 1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inting unit 130, and a detaching unit 140 disposed inside the drying unit 140. An idler 150 having a first idler 151 and a second idler 152, and a first doctoring device D1 and a second doctoring device dispos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making roller 132, respectively. An electronic device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bidirectional printing including a doctoring device D having a D2) is featured.

또한, 본 발명은 양방향 이송이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100)로서, 와인더 또는 언와인더로서 작동할 수 있는 제1권취 롤러(110) 및 제2권취 롤러(120)와, 상기 제1권취 롤러(110) 및 제2권취 롤러(120)사이에 배치되어 피 인쇄체(1)를 인쇄하는 블랑켓 롤러(162)와 상기 블랑켓 롤러(162)에 피 인쇄체(1)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161)와, 상기 블랑켓 롤러(162)에 잉크를 전사하는 제판 롤러(163)를 포함하는 인쇄 유닛(160)과, 상기 인쇄 유닛(160)을 통과한 피 인쇄체(1)를 건조하는 건조부(140)와, 상기 건조부(140) 내부에 배치되되 탈부착이 가능한 제1아이들러(151) 및 제2아이들러(152)를 구비하는 아이들러(150)와, 상기 블랑켓 롤러(162)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닥터링 장치(D1) 및 제2닥터링 장치(D2)를 구비하는 닥터링 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양방향 인쇄가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device printing apparatus 100 capable of bidirectional transfer, the first winding roller 110 and the second winding roller 120 which can operate as a winder or unwinder and the first winding A blanket roller 162 disposed between the roller 110 and the second winding roller 120 to print the printed object 1 and a pressure roller for pressing the printed object 1 onto the blanket roller 162 ( 161, a printing unit 160 including a plate making roller 163 transferring ink to the blanket roller 162, and a drying unit for drying the printed object 1 passing through the printing unit 160. 140, an idler 150 disposed inside the drying unit 140 and having a detachable first idler 151 and a second idler 152,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lanket roller 162. A bidirectional printing capable of including a doctoring device 200 having a first doctoring device (D1) and a second doctoring device (D2) disposed respectively. A print element unit has another feature.

이때, 상기 인쇄 유닛(130,160)의 전 또는 후에 배치되는 피더(F)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feeder (F) disposed before or after the printing unit (130,160).

또한, 상기 제판 롤러(132,163)에 장치되어 상기 피 인쇄체(1)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제판 롤러(132,163)를 이동시키는 진행 방향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traveling direction actuator which is installed on the plate-making rollers 132 and 163 to move the plate-making rollers 132 and 163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rinted object 1.

또한, 상기 제판 롤러(132,163)에 장치되어 상기 피 인쇄체(1)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판 롤러(132,163)를 이동시키는 폭 방향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width direction actuator mounted on the plate-making rollers 132 and 163 to move the plate-making rollers 132 and 163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inted object 1.

이때, 상기 닥터링 장치(200)는 상기 제판 롤러(132)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 일측에 장치되어 상기 제판 롤러(132)에 접하는 닥터 블레이드(230)를 수용하는 하우징(22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210) 중 상기 하우징(220)이 장치되는 일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지대(21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211)와, 상기 그루브(211)에 장치되어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를 상기 제판 롤러(132)에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블레이드 이송 장치(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octoring device 200 is a supporter 210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ngraving roller 132 and the doctor blade 2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210 to contact the engraving roller 132 And a housing 220 for accommodating a groove 211 extending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while being recess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210, in which the housing 220 is mounted. It may further include a blade conveying device 240 is provided in the groove 211 to close or space the doctor blade 230 to the engraving plate 132.

이때, 상기 블레이드 이송 장치(240)는 상기 그루브(211)일측에 배치되는 회전 액츄에이터(241)와, 상기 회전 액츄에이터(241)를 제어하는 제어부(CON)와, 상기 회전 액츄에이터(241)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그루브(211)에 설치되는 볼 스크류(243)와, 상기 볼 스크류(243)에 장치되어 상기 볼 스크류(243)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220)에 고정되는 스크류 너트(244)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lade transfer device 240 is connected to the rotary actuator 24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roove 211, the controller (CON) for controlling the rotary actuator 241, and the rotary actuator 241 Meanwhile, a ball screw 243 installed in the groove 211 and a screw nut mounted on the ball screw 243 are moved up and down by rotation of the ball screw 243 and fixed to the housing 220. 244).

또한, 상기 그루브(211)의 바닥면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볼 스크류(243)가 회동가능하게 장치되는 엔드 너트(245)와, 상기 그루브(211)의 상단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액츄에이터(241)가 고정되는 브라켓(2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nd nut 245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211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ball screw 243, and disposed on an upper end surface of the groove 211 to rotate the actuator 241. It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242 is fixed.

또한, 상기 그루브(211)는 상기 지지대(210)의 폭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그루브(211)에 장치되는 블레이드 이송 장치(240) 역시 상기 각 그루브(211)에 각각 장치되며, 상기 그루브(211)와 접촉하는 하우징(220) 일 영역의 내부에는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와 접촉하여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한편 제어부(CON)와 연결되는 압력 감지 수단(290)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ove 211 is formed in a pluralit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while the blade conveying device 240 provided in the groove 211 is also provided in each of the grooves 211, respectively The pressure sensing mean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ON while detect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octor blade 230 in contact with the doctor blade 230 inside the housing 220 in contact with the groove 211 ( 290 may be installed.

또한, 상기 압력 감지 수단(290)은 로드셀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sensing means 290 may use a load cell.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1개의 인쇄 유닛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다층 인쇄를 할 수 있어, 장비의 저가화 및 전자 소자의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erform multi-layer printing by one printing unit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the equipment and the production cost of the electronic devic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판 롤러를 이동시키는 것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닥터링 장치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1 and 2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moving the plate making 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and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doc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Before describing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and carried out in other embodiments and carried out in various ways.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device or element orientation (e.g., "front", "back", "up", "down", "top", "bottom" The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herein with respect to terms such as "," left "," right "," lateral ", etc. are used merely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element does not simply indicate or mean that it should have a particular dir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실시예1Example 1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방향 이송이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100)로서, 와인더 또는 언와인더로서 작동할 수 있는 제1권취 롤러(110) 및 제2권취 롤러(12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device printing apparatus 100 capable of bidirectional transfer, and includes a first winding roller 110 and a second winding roller 120 that can operate as a winder or an unwinder.

상술한 와인더(winder)는 피 인쇄체를 감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1에서 피 인쇄체(1)가 정방향(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 도면상 우측에 있는 제2권취 롤러(120)가 와인더가 된다.The above-described winder refers to winding a printed object. For example, in FIG. 1, when the printed object 1 is conveyed in the forward direction (rightward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second winding roller 120 on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is shown. Becomes the winder.

만일 상기 피 인쇄체(1)가 역방향(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 도면상 좌측에 있는 제1권취 롤러(110)가 와인더가 된다.If the to-be-printed object 1 is conveyed in the reverse direction (left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first winding roller 110 on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becomes a winder.

물론 정방향인 경우 제1권취 롤러(110)가 피 인쇄체(1)를 공급하는 언와인더가 되고 역방향의 경우 제2권취 롤러(120)가 언와인더가 된다.Of course,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irst winding roller 110 becomes the unwinder for supplying the printed object 1, an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econd winding roller 120 becomes the unwinder.

한편 본 발명의 인쇄 유닛(130)은 상기 제1권취 롤러(110) 및 제2권취 롤러(120)사이에 배치되어 피 인쇄체(1)를 인쇄하는 제판 롤러(132)와 상기 제판 롤러(132)에 피 인쇄체(1)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131)를 포함하여 이른바, 그라비아 인쇄 유닛의 형태를 가진다.On the other hand, the printing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nding roller 110 and the second winding roller 120, the plate-making roller 132 and the plate-making roller 132 for printing the printed object (1). It includes a pressure roller 131 for pressing the printed matter 1 to have a form of a so-called gravure printing unit.

이때, 상기 인쇄 유닛(130)을 통과한 피 인쇄체(1)를 건조하는 건조부(140)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drying unit 140 for drying the printed object 1 passed through the printing unit 130 is provided.

상술한 인쇄 유닛(130)과 건조부(140)는 롤투롤 인쇄 기법에서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aforementioned printing unit 130 and the drying unit 140 are well known in the roll-to-roll printing technique,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건조부(140) 내부에 배치되되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인쇄 유닛(13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1아이들러(151) 및 제2아이들러(152)를 구비하는 아이들러(150)를 포함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ler is disposed inside the drying unit 140 and is detachable, and includes an idler 151 and a second idler 152 disposed in front and rear of the printing unit 130, respectively. And 150.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아이들러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As mentioned above, the reason why two idlers are needed is demonstrated.

우선 건조부(140)와 인쇄 유닛(130)의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positions of the drying unit 140 and the print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상술한 건조부(140)는 상기 인쇄 유닛(130)에 의해 인쇄된 전자 소자를 건조하기 위한 것이므로 피 인쇄체(1)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건조부(140)가 항상 인쇄 유닛(130)의 후방에 위치해야 한다.Since the drying unit 140 is for drying the electronic device printed by the printing unit 130, the drying unit 140 always maintains the printing unit 130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rinted object 1. It should be located in the rear.

따라서 상기 피 인쇄체(1)가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 상기 건조부(140)가 상기 인쇄 유닛(130)의 후방(도면상 우측)에 위치해야 하므로 상기 아이들러(150) 중 인쇄 유닛(1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아이들러(152)가 설치되어야 하고 제1아이들러(151)는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Therefore, when the to-be-printed object 1 is convey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drying unit 140 should be located at the rear (right side in the drawing) of the printing unit 130, so that the right side of the printing unit 130 of the idler 150 may be located. The second idler 152 to be disposed in should be installed and the first idler 151 should be separated.

만일 상기 피 인쇄체(1)가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 반대로 제2아이들러(152)는 분리되어 있고 제1아이들러(151)가 설치되어야 한다(도 2참조)If the printed object 1 is conveyed in the reverse direction, on the contrary, the second idler 152 should be separated and the first idler 151 should be installed (see FIG. 2).

이는 후술되는 실시예2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is also applies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later, so the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닥터링 장치(200)의 경우 상기 제판 롤러(132)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닥터링 장치(D1) 및 제2닥터링 장치(D2)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doctor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octor device (D1) and a second doctor device (D2)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making roller 132, respectively.

상기 피 인쇄체(1)가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 상기 제판 롤러(13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고 그렇다면 상기 제판 롤러(132)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닥터링 장치(D1)가 필요하다.If the to-be-printed object 1 is convey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engraving roller 132 will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if so, a first doctoring device D1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engraving roller 132 is required.

만일 피 인쇄체(1)가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 상기 제판 롤러(13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고 그렇다면 상기 제판 롤러(132)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닥터링 장치(D2)가 필요하다.If the printed object 1 is convey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engraving roller 132 will rotate counterclockwise, and if so, a second doctoring device D2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engraving roller 132 is required.

따라서 상기 제판 롤러(132)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닥터링 장치(D1) 및 제2닥터링 장치(D2)가 필요한 것이다.Therefore, the first doctoring device D1 and the second doctoring device D2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making roller 132 are required.

이 역시 후술되는 실시예2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This also applies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to be described later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인쇄 유닛(130)의 전 또는 후에 배치되는 피더(F)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feeder (F) disposed before or after the printing unit 130.

상기 피더(F)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피 인쇄체(1)의 이송을 돕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유닛(1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피더(F1) 또는 상기 인쇄 유닛(1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피더(F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eeder F is a first feeder F1 or the printing unit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printing unit 130 as shown in FIG. 1 to assist the transfer of the printed object 1 as is widely known. 130 may include a second feeder F2 disposed on the right side.

이 역시 후술되는 실시예2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This also applies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to be described later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제판 롤러(132)에 장치되어 상기 피 인쇄체(1)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제판 롤러(132)를 이동시키는 진행 방향 액츄에이터(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3참조)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traveling direction actuator (not shown) mounted on the plate-making roller 132 to move the plate-making roller 132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rinted object 1 (see Fig. 3).

또한, 상기 제판 롤러(132)에 장치되어 상기 피 인쇄체(1)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판 롤러(132)를 이동시키는 폭 방향 액츄에이터(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3참조)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width direction actuator (not shown) installed in the plate-making roller 132 to move the plate-making roller 132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inted object 1 (see Fig. 3). )

이러한 진행 방향 액츄에이터와 폭 방향 액츄에이터에 의해 피 인쇄체(1)상에 인쇄되는 전자 소자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element printed on the printed object 1 can be variously changed by the traveling direction actuator and the width direction actuator.

또한, 상기 진행 방향 액츄에이터와 폭 방향 액츄에이터의 경우 아래의 실시예2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raveling direction actuator and the width direction actuator is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below, overlapping description is omitt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 인쇄체(1)가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 상기 제판 롤러(132)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닥터링 장치(D1)가 필요하고, 반대의 경우 상기 제판 롤러(132)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닥터링 장치(D2)가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inted object 1 is transferr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irst doctoring device D1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engraving roller 132 is required. The second doctoring device D2 disposed on the right side is required.

이때, 상기 제1닥터링 장치(D1)가 작동되는 경우 상기 제2닥터링 장치(D2)는 상기 제판 롤러(132)로부터 이격되어야 하고 반대의 경우 제1닥터링 장치(D1)가 이격되어 야 한다.In this case, when the first doctoring device D1 is operated, the second doctoring device D2 should be spaced apart from the platemaking roller 132, and in the opposite case, the first doctoring device D1 should be spaced apart. do.

이를 위해 상기 닥터링 장치(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판 롤러(132)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 일측에 장치되어 상기 제판 롤러(132)에 접하는 닥터 블레이드(230)를 수용하는 하우징(220)을 포함하되,To this end, the doctoring device 200 is provided on the support 210 and the support 210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making roller 132,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 4 on the plate making roller 132 Including a housing 220 for receiving the doctor blade 230 in contact with,

상기 지지대(210) 중 상기 하우징(220)이 장치되는 일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지대(21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211)와, 상기 그루브(211)에 장치되어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를 상기 제판 롤러(132)에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블레이드 이송 장치(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roove 210 of the support 210 is formed concave on one side where the housing 220 is installed, and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and the groove 211 is installed in the doctor blade. It may further include a blade conveying device 240 for approaching or spaced 230 to the engraving roller 132.

이와 같은 블레이드 이송 장치(240)에 의해 닥터 블레이드(230)를 상기 제판 롤러(132)측에 접촉시키거나 이격시켜 회전 방향에 따라 적절한 닥터 블레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By using the blade transfer device 240 as described above, the doctor blade 230 may be contacted or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plate making roller 132 so that an appropriate doctor blade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한편 상술한 닥터링 장치(200)는 상기 제1닥터링 장치(D1) 및 제2닥터링 장치(D2)에 똑같이 적용되며, 이를 위해 별도의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doctoring device 200 is equally applied to the first doctoring device D1 and the second doctoring device D2, and has been given a separate reference numeral for this purpose.

한편, 상기 블레이드 이송 장치(240)는 상기 그루브(211)일측에 배치되는 회전 액츄에이터(241)와, 상기 회전 액츄에이터(241)를 제어하는 제어부(CON)와, 상기 회전 액츄에이터(241)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그루브(211)에 설치되는 볼 스크류(243)와, 상기 볼 스크류(243)에 장치되어 상기 볼 스크류(243)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220)에 고정되는 스크류 너트(244)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ade transfer device 240 is connected to the rotary actuator 24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roove 211, the control unit (CON) for controlling the rotary actuator 241, and the rotary actuator 241 Meanwhile, a ball screw 243 installed in the groove 211 and a screw nut mounted on the ball screw 243 are moved up and down by rotation of the ball screw 243 and fixed to the housing 220. 244).

즉, 상기 볼 스크류(243)가 상기 회전 액츄에이터(241)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볼 스크류(243)에 장치되는 스크류 너트(244)는 승하강한다.That is, when the ball screw 243 is rotated by the rotary actuator 241, the screw nut 244 installed on the ball screw 243 is raised and lowered.

이때, 상기 스크류 너트(244)는 하우징(2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하우징(220)이 승하강되고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220)에 장치되는 닥터 블레이드(230)가 승하강된다.At this time, since the screw nut 244 is fixed to the housing 220, the housing 220 is raised and lowered, thereby raising and lowering the doctor blade 230 mounted on the housing 220.

한편 상기 볼 스크류(243)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 액츄에이터(241)로서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a motor may be used as the rotary actuator 241 for rotating the ball screw 243.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가 하강하면 상기 제판 롤러(132)와 접촉하게 되고, 상승하면 상기 제판 롤러(132)로부터 이격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octor blade 230 descends, the doctor blade 2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graving roller 132, and when raised, the doctor blade 230 is spaced apart from the engraving roller 132.

즉, 상기 제1닥터링 장치(D1)를 작동시키려면 상기 제1닥터링 장치(D1)의 닥터 블레이드를 하강시키고 제2닥터링 장치(D2)의 닥터 블레이드는 상승시키면 피 인쇄체(1)의 진행 방향에 따라 필요한 닥터링 장치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operate the first doctoring device D1, the doctor blade of the first doctoring device D1 is lowered and the doctor blade of the second doctoring device D2 is raised to raise the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progress, the required doctoring device can be selected and used.

한편 상기 그루브(211)의 바닥면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볼 스크류(243)가 회동가능하게 장치되는 엔드 너트(245)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n end nut 245 which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211 and the ball screw 243 is rotatably mounted.

이는 상기 볼 스크류(243)가 엔드 너트(245)에 장치되어 회전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the ball screw 243 is mounted on the end nut 245 to rotate more stable rotation.

한편, 상기 그루브(211)의 상단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액츄에이터(241)가 고정되는 브라켓(242)을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 액츄에이터(241)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242 is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groove 211 is fixed to the rotary actuator 241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rotary actuator 241.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10)의 경우 상기 제판 롤러(132)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의 폭방향에 따라 길게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4, the support 210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making roller 132, respectively, it may be install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ctor blade 230.

다만 상기 지지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20)과 닥터 블레이드(230)를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지지대(210)가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However, the support 210 is intended to support the housing 220 and the doctor blade 230 as described above, as long as the support 210 achieves this purpose, even if the support 210 has a different shape. All belo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지지대(210)의 그루브(211)의 경우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는데, 이는 상기 볼 스크류(243)가 장착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220)이 접촉하여 승하강할 수 있는 하나의 예시를 든 것에 불과하다.On the other hand, the groove 211 of the support 210 is shown to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which is an example that the ball screw 243 is mounted while the housing 220 can be in contact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It's just that.

한편, 상기 브라켓(242)은 사각형 판체 형상일 수 있으나, 상기 브라켓(242)은 상기 회전 액츄에이터(241)를 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브라켓(242)이 다른 형상인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Meanwhile, the bracket 242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but the bracket 242 is intended to fix the rotary actuator 241. The bracket 242 may have a different shape as long as the bracket 242 achieves this purpose. Even if it is natural that a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블레이드 이송 장치(240)에 의해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를 상기 제판 롤러(132)에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킬 수 이는데, 이러한 블레이드 이송 장치(240)를 다수개 설치하여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의 이송이 보다 원활히 될수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doctor blade 230 can approach or separate the doctor blade 230 from the plate making roller 132 by the blade transfer device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facilitate the transfer of the doctor blade 230 more smoothly.

즉, 상기 그루브(211)를 상기 지지대(210)의 폭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한 후, 상기 그루브(211)에 장치되는 블레이드 이송 장치(240) 역시 상기 각 그루브(211)에 각각 장치한다.That is, after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211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the blade transfer device 240 mounted on the grooves 211 is also mounted to each of the grooves 211, respectively.

이러한 경우 상기 각 그루브(211)에 설치된 블레이드 이송 장치(240)에 의해 상기 하우징(220)을 승하강 시키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하우징(220) 및 닥터 블레이드(230)를 이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housing 22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blade transfer devices 240 installed in the grooves 211, the housing 220 and the doctor blade 230 can be more stably transferred.

한편, 상기 그루브(211)와 접촉하는 하우징(220) 일 영역의 내부에는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와 접촉하여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한편 제어부(CON)와 연결되는 압력 감지 수단(290)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220 in contact with the groove 211 is in contact with the doctor blade 230 to sen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octor blade 230 and the pressu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ON)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ensing means 290.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0)과 닥터 블레이드(230)사이에 압력 감지 수단(290)을 설치하면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pressure sensing means 290 is installed between the housing 220 and the doctor blade 230,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octor blade 230 may be sensed.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가 제판 롤러(132)에 밀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최적의 접촉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doctor blade 230 may be adjus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making roller 132 to be in an optimal contact state.

다시 말해서,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가 제판 롤러(132)에 과도하게 밀착되면 상기 닥터 블레이드 이송 장치(240)를 작동하여 상기 하우징(220) 및 닥터 블레이드(230)을 방향II로 이동시키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doctor blade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making roller 132, the doctor blade transfer device 240 is operated to move the housing 220 and the doctor blade 230 in the direction II.

반대로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가 제판 롤러(132)에 충분히 밀착되지 못하면 상기 하우징(220) 및 닥터 블레이드(230)을 방향I로 이동시켜 최적의 접촉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if the doctor blade 230 is not sufficiently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emaking roller 132, the housing 220 and the doctor blade 230 may be moved in the direction I to achieve an optimal contact state.

또한, 각 지점별로 상기 압력 감지 수단(290)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여 각 닥터 블레이드 이송 장치(240)를 제어부(CON)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최적의 접촉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detecting the pressure by the pressure sensing means 290 for each point by each control the doctor blade transfer device 240 using the control unit (CON) to be in the optimum contact state as described above. have.

한편, 상기 압력 감지 수단(290)은 로드셀을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 sensing means 290 may use a load cell.

실시예2Example 2

본 실시예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다만 본 실시예의 인쇄 장치의 경우 인쇄 유닛(160)이 실시예1과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상기 인쇄 유닛(160)만을 설명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nt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printing unit 160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only the printing unit 160 will be described.

상기 인쇄 유닛(160)은 상기 제1권취 롤러(110) 및 제2권취 롤러(120)사이에 배치되어 피 인쇄체(1)를 인쇄하는 블랑켓 롤러(162)와 상기 블랑켓 롤러(162)에 피 인쇄체(1)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161)와, 상기 블랑켓 롤러(162)에 잉크를 전사하는 제판 롤러(163)를 포함하며, 이른바 그라비아 옵셋 방식의 인쇄 유닛이다.The printing unit 160 is disposed between the blanket roller 162 and the blanket roller 162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nding roller 110 and the second winding roller 120 to print the printed object 1. And a pressure roller 161 for pressing the printed object 1 and a plate making roller 163 for transferring ink to the blanket roller 162, which is a printing unit of a so-called gravure offset method.

다만 상기 닥터링 장치(D)의 경우 상기 블랑켓 롤러(162)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닥터링 장치(D1) 및 제2닥터링 장치(D2)를 포함하는 점 역시 실시예1과 상이하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doctoring device (D), the first doctoring device (D1) and the second doctoring device (D2)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lanket roller 162, respectively, is also different from Example 1 Do.

그 외에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Since it is the same other than that, overlapping description is omitted.

100 : 인쇄 장치 110 : 제1권취 롤러
120 : 제2권취 롤러 130,160 : 인쇄 유닛
200 : 닥터링 장치 240 : 블레이드 이송 장치
100: printing apparatus 110: first winding roller
120: second winding roller 130, 160: printing unit
200: doctoring device 240: blade transfer device

Claims (10)

양방향 이송이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100)로서,
와인더 또는 언와인더로서 작동할 수 있는 제1권취 롤러(110) 및 제2권취 롤러(120)와,
상기 제1권취 롤러(110) 및 제2권취 롤러(120)사이에 배치되어 피 인쇄체(1)를 인쇄하는 제판 롤러(132)와 상기 제판 롤러(132)에 피 인쇄체(1)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131)를 포함하는 인쇄 유닛(130)과,
상기 인쇄 유닛(130)을 통과한 피 인쇄체(1)를 건조하는 건조부(140)와,
상기 건조부(140) 내부에 배치되되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인쇄 유닛(13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1아이들러(151) 및 제2아이들러(152)를 구비하는 아이들러(150)와,
상기 제판 롤러(132)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닥터링 장치(D1) 및 제2닥터링 장치(D2)를 구비하는 닥터링 장치(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쇄가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
An electronic device printing apparatus 100 capable of bidirectional transfer,
A first winding roller 110 and a second winding roller 120 which can operate as a winder or an unwinder,
Pressing to press the to-be-printed object 1 to the plate-making roller 132 and the plate-making roller 132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nding roller 110 and the second winding roller 120 to print the printed object (1). A printing unit 130 including a roller 131,
A drying unit 140 for drying the printed object 1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inting unit 130;
An idler 150 disposed inside the drying unit 140 and detachable and having a first idler 151 and a second idler 152 disposed at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printing unit 130, respectively;
And a doctoring device (D) including a first doctoring device (D1) and a second doctoring device (D2)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making roller 132, respectively. Device printing device.
양방향 이송이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100)로서,
와인더 또는 언와인더로서 작동할 수 있는 제1권취 롤러(110) 및 제2권취 롤러(120)와,
상기 제1권취 롤러(110) 및 제2권취 롤러(120)사이에 배치되어 피 인쇄체(1)를 인쇄하는 블랑켓 롤러(162)와 상기 블랑켓 롤러(162)에 피 인쇄체(1)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161)와, 상기 블랑켓 롤러(162)에 잉크를 전사하는 제판 롤러(163)를 포함하는 인쇄 유닛(160)과,
상기 인쇄 유닛(160)을 통과한 피 인쇄체(1)를 건조하는 건조부(140)와,
상기 건조부(140) 내부에 배치되되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인쇄 유닛(16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1아이들러(151) 및 제2아이들러(152)를 구비하는 아이들러(150)와,
상기 블랑켓 롤러(162)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닥터링 장치(D1) 및 제2닥터링 장치(D2)를 구비하는 닥터링 장치(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쇄가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
An electronic device printing apparatus 100 capable of bidirectional transfer,
A first winding roller 110 and a second winding roller 120 which can operate as a winder or an unwinder,
Pressing the printed object 1 on the blanket roller 162 and the blanket roller 162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nding roller 110 and the second winding roller 120 to print the printed object 1. A printing unit 160 including a pressure roller 161, a plate making roller 163 for transferring ink to the blanket roller 162, and
A drying unit 140 for drying the to-be-printed object 1 passing through the printing unit 160;
An idler 150 disposed inside the drying unit 140 and detachable and having a first idler 151 and a second idler 152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printing unit 160;
Bi-directional printing is possible, comprising a doctoring device (D) having a first doctoring device (D1) and a second doctoring device (D2)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lanket roller 162, respectively. Electronic device printing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유닛(130,160)의 전 또는 후에 배치되는 피더(F)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쇄가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electronic device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bidirectional printing, further comprising a feeder (F) disposed before or after the printing unit (130,16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판 롤러(132,163)에 장치되어 상기 피 인쇄체(1)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제판 롤러(132,163)를 이동시키는 진행 방향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쇄가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n advancing direction actuator which is installed in said engraving roller (132, 163) and moves said engraving roller (132, 163)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said printed object (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판 롤러(132,163)에 장치되어 상기 피 인쇄체(1)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판 롤러(132,163)를 이동시키는 폭 방향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쇄가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width direction actuator mounted on the plate making rollers (132, 163) to move the plate making rollers (132, 163)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inted object (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닥터링 장치(200)는 상기 제판 롤러(132)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 일측에 장치되어 상기 제판 롤러(132)에 접하는 닥터 블레이드(230)를 수용하는 하우징(22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210) 중 상기 하우징(220)이 장치되는 일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지대(21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211)와,
상기 그루브(211)에 장치되어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를 상기 제판 롤러(132)에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블레이드 이송 장치(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쇄가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octoring device 200 accommodates a doctor blade 230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ngraving roller 132 and a doctor blade 23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210 to be in contact with the engraving roller 132. Including a housing 220,
A groove 211 which is formed concave on one side of the support 210 in which the housing 220 is installed and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And a blade conveying device (240) attached to the groove (211) to close or space the doctor blade (230) to the plate making roller (13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이송 장치(240)는 상기 그루브(211)일측에 배치되는 회전 액츄에이터(241)와,
상기 회전 액츄에이터(241)를 제어하는 제어부(CON)와,
상기 회전 액츄에이터(241)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그루브(211)에 설치되는 볼 스크류(243)와,
상기 볼 스크류(243)에 장치되어 상기 볼 스크류(243)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220)에 고정되는 스크류 너트(2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쇄가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blade transfer device 240 and the rotary actuator 241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roove 211,
A controller CON for controlling the rotary actuator 241,
A ball screw 243 connected to the rotary actuator 241 and installed in the groove 211;
Bi-directional printing capable of printing th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crew nut 244 is mounted to the ball screw 243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ball screw 243 and fixed to the housing 220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211)의 바닥면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볼 스크류(243)가 회동가능하게 장치되는 엔드 너트(245)와,
상기 그루브(211)의 상단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액츄에이터(241)가 고정되는 브라켓(24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쇄가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 end nut 245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211 while the ball screw 243 is rotatably mounted;
The electronic device printing apparatus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bracket (242)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groove (211) to which the rotary actuator (241) is fix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211)는 상기 지지대(210)의 폭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그루브(211)에 장치되는 블레이드 이송 장치(240) 역시 상기 각 그루브(211)에 각각 장치되며,
상기 그루브(211)와 접촉하는 하우징(220) 일 영역의 내부에는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와 접촉하여 상기 닥터 블레이드(23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한편 제어부(CON)와 연결되는 압력 감지 수단(29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쇄가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grooves 211 are formed in a pluralit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while the blade conveying device 240 provided in the grooves 211 is also provided in each of the grooves 211,
The pressure sensing mean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CON while sen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octor blade 230 in contact with the doctor blade 230 in an area of the housing 220 in contact with the groove 211. An electronic device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bidirectional printing, characterized in that (290) is provid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 수단(290)은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쇄가 가능한 전자 소자 인쇄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essure sensing means 290 is an electronic device printing device capable of bidirectional prin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load cell.
KR1020110047514A 2010-05-19 2011-05-19 Reverse printing type apparatus for printed electronics Active KR10126943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6907 2010-05-19
KR1020100046907 2010-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623A true KR20110127623A (en) 2011-11-25
KR101269431B1 KR101269431B1 (en) 2013-05-30

Family

ID=4539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514A Active KR101269431B1 (en) 2010-05-19 2011-05-19 Reverse printing type apparatus for printed electronic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43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948B1 (en) * 2013-05-03 2014-06-26 성안기계 (주) Roll-to-roll printing device of possible to turnaround of printing direction
WO2014189192A1 (en) * 2013-05-24 2014-11-27 한국기계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roll-to-roll transfer equipment
CN108749279A (en) * 2018-08-24 2018-11-06 庞国全 A kind of continuous color spreading instrument of gravure ink
CN108861698B (en) * 2018-08-16 2020-09-15 郑州新世纪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Flag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6528A (en) 2000-12-04 2002-06-11 Dainippon Printing Co Ltd Converting apparatu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948B1 (en) * 2013-05-03 2014-06-26 성안기계 (주) Roll-to-roll printing device of possible to turnaround of printing direction
WO2014189192A1 (en) * 2013-05-24 2014-11-27 한국기계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roll-to-roll transfer equipment
CN105246695A (en) * 2013-05-24 2016-01-13 韩国机械研究院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roll-to-roll transfer devices
US9511581B2 (en) 2013-05-24 2016-12-06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 roll-to-roll transfer device
CN108861698B (en) * 2018-08-16 2020-09-15 郑州新世纪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Flag printer
CN108749279A (en) * 2018-08-24 2018-11-06 庞国全 A kind of continuous color spreading instrument of gravure ink
CN108749279B (en) * 2018-08-24 2024-01-12 上海金赤机电设备科技有限公司 Gravure ink continuous color development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431B1 (en)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1639B2 (en) Gravure printing device
CN101531088B (en) Printing unit and press
US8596509B2 (en) High speed and fine substrate alignment apparatus in roll to roll system
KR101269431B1 (en) Reverse printing type apparatus for printed electronics
CN101117188B (en) Wrap-around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CN103391849A (en) Printer,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KR102125829B1 (en) Roll-to-roll printing apparatus having high-precision printing force controller
KR101479940B1 (en) Imprinter
KR101544507B1 (en) Web guide apparatus having porous non-contact proceed rollers
JP201403301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 and manufacturing device
CN103129103A (en) Gravure printing apparatus
CN102315021A (en) The manufacturing approach of laminated electronic component manufacturing installation and laminated electronic component
KR101520415B1 (en) Roll to roll gravure stop and go circuit printing machine
KR101545500B1 (en) Imprinter
KR101479939B1 (en) Imprinter
KR20130075480A (en) Both sided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JP5250721B2 (en) Print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printing paper feeder
JP2017024338A (en) Letterpress printing machine
KR101544506B1 (en) Web guide apparatus having porous non-contact control rollers
CN204701264U (en) Steering-type conveying device
KR101294298B1 (en) Printing system
KR101411948B1 (en) Roll-to-roll printing device of possible to turnaround of printing direction
KR20100067432A (en) Printing apparatus
KR101128079B1 (en) Printing apparatus of both side for web
JP5830146B1 (en) Prin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