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23213A -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3213A
KR20110123213A KR1020110041320A KR20110041320A KR20110123213A KR 20110123213 A KR20110123213 A KR 20110123213A KR 1020110041320 A KR1020110041320 A KR 1020110041320A KR 20110041320 A KR20110041320 A KR 20110041320A KR 20110123213 A KR20110123213 A KR 20110123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interval
sheet
recording head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0088B1 (ko
Inventor
유지 카노메
타카시 호리바
히카루 와타나베
에이이치로 쓰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3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0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Landscapes

  • Ink Jet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Abstract

기록전에, 잉크 노즐들과 시트 사이의 간격을 제1간격으로 하고, 가습 기체를 단시간에 공급한다. 그 후에, 상기 간격을 제1간격보다 작은 제2간격을 상기 제1간격을 바꾸고나서, 기록을 시작한다.

Description

기록장치{RECOR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잉크젯 기록헤드를 구비한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6-44021호에는, 복수의 잉크젯 기록헤드가 반송 방향으로 배치된 프린터에 있어서 잉크 노즐의 근방에 가습 기체를 공급해서 노즐 건조를 억제하는 수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프린터에서, 2개의 인접한 기록헤드 사이의 각 공간에는, 지지부재로 채워져, 기록헤드가 지지부재와 동일 평면에 있음으로써, 소정 거리로 연장되는 좁은 간격(gap) 영역을 형성한다. 이 간격 영역에 다습의 가습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각 기록헤드를 보습해서 그 헤드가 건조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6-44021호에 개시된 프린터에서는, 시트(sheet)를 유지해서 반송하는 유닛이, 흡착 벨트 또는 흡착 롤러이며, 정전흡착 방식이나 배큐엄(vacuum) 흡착 방식을 사용하여 시트의 이면을 흡착하면서 그 시트를 유지한다. 그러나, 시트의 이면만이 유지되기 때문에, 사용하는 시트의 종류나 성질에 따라서는 흡착 불량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6-44021호에 개시된 프린터에서는, 흡착 벨트 또는 흡착 롤러에 다습의 가습 기체가 도입되므로, 습도로 인해 흡착면으로부터 전하가 달아난다. 유지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 때문에, 강성이 높고 또한 강한 컬(curl)을 갖는 시트에서는, 시트 이면의 흡착만으로는 그 시트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 그 시트가 부분적으로 뜬다. 뜨는 부분 위에 기록된 화상품위는 열화된다. 그 시트가 뜨는 양이 큰 경우에는, 기록헤드에 시트가 접촉하기도 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6-44021호에 개시된 프린터에서 상기 시트를 유지하는데 배큐엄 흡착 방식을 채용하면, 시트를 흡착하기 전에, 도입된 가습 기체를 배큐엄에서 흡인해버리고, 가습 효율이 현저하게 열화한다.
기록 위치에 있어서 시트를 유지해서 반송하는 유닛으로서, 시트를 사이에 집는 한 쌍의 롤러를 사용하여도 된다. 그러나, 그 롤러 한 쌍 중 한쪽의 롤러가 기록헤드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도입된 가습 기체의 기류가 롤러에 의해 차단된다. 이에 따라서, 기록헤드들과 시트와의 사이의 공간의 전체를 단시간에 원하는 값의 습도로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상기 기록헤드들 중, 가습 기체가 도입되는 쪽으로부터 기록헤드가 멀어지므로, 기록헤드를 가습하는 것이 늦어진다. 따라서, 모든 기록헤드가 적절하게 보습되는 환경이 제공될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 이것은, 상기 장치의 기동 시간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국면들 중 하나는, 기록헤드들과 시트와의 사이의 공간에 가습 기체를 도입해서 잉크 노즐의 건조를 억제할 때에, 그 시트의 종류와 성질에 상관없이 시트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기 가습 기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록장치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은, 여러 가지 성질의 시트의 여러 가지 종류를 지원할 수 있고, 또 기록헤드들을 적절하게 단시간에 보습하는 환경을 단시간에 제공할 수 있어, 기동 시간이 짧은 기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기록장치는, 반송 방향으로 배치되고 잉크 노즐들을 각각 갖는 제1기록헤드 유닛 및 제2기록헤드 유닛을 포함한다. 반송부는, 적어도 제1롤러와 제2롤러를 구비하고, 그 롤러들은, 상기 제1기록헤드 유닛의 기록 위치와 상기 제2기록헤드 유닛의 기록 위치 사이의 시트(sheet)를 집고, 상기 제1롤러는 적어도 기록시에 상기 제1기록헤드 유닛과 상기 제2기록헤드 유닛 사이에 위치된다. 가습부는, 상기 제1기록헤드 유닛 및 상기 제2기록헤드 유닛의 상기 잉크 노즐들이 노출하는 공간에 가습 기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조정 기구는, 상기 잉크 노즐들과 상기 기록 위치를 시트가 통과하는 레벨과의 간격을 가변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는,기록하기 전에, 상기 가습부가 상기 간격을 제1간격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가습 기체를 공급하고, 상기 조정 기구가 해 상기 간격을 상기 제1간격보다도 작은 제2간격으로 가변하고 나서, 상기 기록부가 상기 시트에 기록을 시작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대기 상태에서의 기록장치의 개략도다.
도 2는 기록부와 시트 반송부의 확대도다.
도 3은 기록장치의 동작의 시퀀스의 흐름도다.
도 4는 기록 동작전의 가습 상태에서의 기록장치의 개략도다.
도 5는 기록 동작중의 가습 상태에서의 기록장치의 개략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기록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기록장치는, 반송 방향으로 상기 시트에 반복적으로 프린트되는 프린트 단위(1페이지 혹은 단위 화상이라고 한다)보다 긴 긴 연속 시트를 사용한 고속 라인 프린터다. 기록장치는, 예를 들면 프린트 래버러토리(laboratory)에 있어서의 다수의 시트를 프린트하는 분야에 적합하다.
도 1은 대기 상태에서의 본 실시예의 기록장치의 개략도다. 도 2는 기록부와 시트 반송부의 확대도다. 그 기록장치는, 크게는, 시트 공급부(41), 기록부, 2로 나타낸 시트 반송부, 시트 권취부(42), 가습부(10) 및 제어부(15)를 구비한다. 시트 반송 경로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시트 공급부(41)에 가까운 측을 "상류", 그 반대측을 "하류"라고 한다.
시트 공급부(41)는, 롤 모양으로 감긴 연속 시트를 유지해서 공급한다. 사용가능한 시트는, 상기 롤 모양으로 감긴 시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위길이마다 배치된 천공을 갖는 연속 시트가 그 천공에서 접히면서 적층되어도 되고, 시트 공급부(41)에 수납되어도 된다. 상기 사용가능한 시트는, 그 연속 시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트(cut) 시트를 사용하여도 된다. 시트 권취부(42)는, 화상이 기록된 그 연속 시트를 롤 모양으로 감아 올린다.
기록부는, 반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기록헤드 유닛(1)을 갖는다. 각 기록헤드 유닛(1)은, 사용되는 시트의 최대 기록 폭을 커버하는 범위에서 잉크젯 방식의 선형 배열의 잉크 노즐들을 포함하는 라인형 기록헤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라이트 시안(LC), 라이트 마젠타(LM), 및 블랙(K)의 6색에 대응한 6개의 기록헤드 유닛(1a∼1f)(도 2 참조)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컬러수 및 기록헤드의 수는 6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잉크젯 방식은, 발열소자를 사용한 방식, 압전소자를 사용한 방식, 정전소자를 사용한 방식, 또는 미세 전자 기계 시스템(MEMS)소자를 사용한 방식을 사용하여도 된다. 각 색의 잉크는, 잉크 탱크로부터 잉크 튜브를 거쳐서 대응한 기록헤드 유닛에 공급된다. 기록헤드 유닛(1)은, 본 실시예의 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기록헤드 유닛은, 기록헤드와 잉크 탱크가 일체가 되도록 기록헤드와 잉크 탱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기록헤드 유닛들(1)은 헤드 홀더(6)에 의해 일체로 유지되어 있다. 헤드 홀더(6)는 6개의 기록헤드 유닛(1)을 삽입하는 6개 개구를 구비한 판자 모양의 부재이며, 그 개구에 기록헤드 유닛(1)을 삽입할 때 각 기록헤드 유닛과 대응한 개구 사이의 틈이 없는 기록헤드 유닛(1) 기밀로 유지한다. 이에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위쪽으로의 가스의 누설은 없고, 후술하는 가습 기체 및 기록시에 상기 노즐들로부터 발생한 잉크 미스트(mist)가 헤드 홀더(6)에 대해 위쪽으로 산란하는 것을 막는다. 헤드 홀더(6)는, 각 기록헤드 유닛(1)의 잉크 노즐과 기록 위치를 시트가 통과하는 레벨간의 틈을 가변하기 위해서, 상하 방향(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구(조정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다. 기록 위치에 시트가 있는 상태에서는, 잉크 노즐들과 시트와의 틈이 가변된다. 기록 위치에 시트가 없는 상태에서는, 잉크 노즐들과 시트가 통과하는 레벨과의 간격이 가변된다.
시트 반송부(2)는, 기록 위치의 근방에 있어서, 사이에서 시트S를 집는 7쌍의 롤러를 구비한다. 각 쌍의 롤러는, 구동되는 상부의 핀치(pinch) 롤러(3)(제1롤러)와, 구동력이 가해진 하부의 구동 롤러(4)(제2롤러)를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핀치 롤러(3)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의 순서로 핀치 롤러(3a∼3g)를 갖고, 구동 롤러(4)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의 순서로 구동 롤러(4a∼4g)를 갖는다. 이것들 구동 롤러는,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핀치 롤러(3a∼3g)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구동 롤러(4b∼4g)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최상류의 구동 롤러(4a)는, 기타의 구동 롤러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다. 시트 반송부(2)는, 기록 위치에 있어서, 시트S를 밑에서부터 지지하기 위한 플래튼(platen)(5)을 더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래튼(5)은 6개의 세그먼트, 즉 플래튼 세그먼트 5a∼5f를 포함한다. 플래튼 세그먼트 5a∼5f는, 복수의 구동 롤러 4a∼4g의 2개의 인접한 구동 롤러 사이에 각 세그먼트가 위치하도록, 각각 6개의 기록헤드 유닛 1a∼1f에 대향한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구동 롤러(4)는, 플래튼(5)의 개구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각 구동 롤러(4)와 플래튼(5) 사이의 틈이 작으므로, 틈으로부터의 가스의 누설은 적다. 기록헤드 유닛(1a∼1f)이 플래튼 세그먼트(5a∼5f)에 각각 대향하는 기록위치 각각에 있어서, 시트S는, 그 시트의 상류측 및 하류측 각각이 상기 롤러 쌍 사이에 물리는 동안 상기 플래튼으로 지지된다. 그래서, 반송된 시트의 거동이 안정화된다. 특히, 최초에 시트가 도입될 때, 시트 선단이 짧은 주기로 복수의 닙(nip) 위치를 통과하다. 이에 따라서, 시트 선단이 뜨는 것이 억제되어서, 시트 도입이 안정화된다.
노즐 캡(7)은, 기록 동작을 행하지 않는 장치 대기시에 잉크 노즐을 밀봉해서, 그 노즐들의 건조를 막는다. 제어부(15)의 제어하에, 간격 조정 기구에 의해 상기 잉크 노즐과 상기 시트가 통과하는 레벨간의 간격을 넓힌 상태에서, 노즐 캡(7)을 기록부 밑에 놓고, 잉크 노즐 전체를 덮는다. 습도센서(9)는, 최하류의 기록헤드 유닛(1f)의 근방에서, 기체의 습도를 검출한다.
가습부(10)는, 가습 기체(공기)를 생성하여, 기록헤드 유닛들(1)과 시트의 사이의 공간에 공급한다. 가습 기체에 의해 기록헤드 유닛(1)의 잉크 노즐의 건조를 막는다. 본 실시예는, 높은 흡수성의 회전체(11)가 하우징의 밑바닥에 축적된 물을 흡수하면서 회전하고, 외부에서 받아들인 공기가 회전체(11)에 충돌하면서 통과하여 가습이 이루어지는 기화식의 가습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가습부(10)의 가습 방식은, 상기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기화식, 물 분무식 또는 증기식을 사용하여도 된다. 기화식은, 상술한 회전식, 투습막식, 적하침투식 및 모세관식을 포함한다. 물 분무식은, 초음파식, 원심식, 고압 스프레이식 및 2유체 분무식을 포함한다. 증기식은, 증기배관식, 전열식 및 전극식을 포함한다.
가습부(10)에서 생성된 가습 기체는, 팬(12)에 의해 송출되고, 덕트(13)를 통과하고 나서, 분출구(14)로부터 분출한다. 그리고, 그 가습 기체는, 기록부와 시트 반송부(2)의 사이의 협공간(50)에 가습 기체가 공급된다. 분출구(14)로부터 분출한 가습 기체의 일부는, 협공간(50)에 있어서 최상류의 기록헤드 유닛(1a)과 시트S와의 사이의 공간을 흐른다. 그 후, 가습 기체는, 핀치 롤러(3b)와 헤드 홀더(6)와의 사이의 공간, 다음의 기록헤드 유닛(1b)과 시트S와의 사이의 공간 등을 통해 순차로 흘러, 그 기체의 기류는 상하로 구불구불거린다. 협공간(50)에서, 복수의 기록헤드 유닛(1)의 잉크 노즐들이 노출되고, 공급된 가습 기체는 잉크 노즐을 보습해서 잉크 노즐이 건조로 인해 잉크를 분출시키지 못하게 하는 것을 막는다.
제어부(15)는, 기록장치의 부들을 제어한다. 제어부(15)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각종 제어부를 구비한 콘트롤러, 외부 인터페이스,및 유저가 입출력을 행하는 조작부를 갖는다.
이하, 기록 동작의 시퀀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기록장치의 동작의 시퀀스의 흐름도다. 이 시퀀스는, 제어부(15)의 제어하에 행해진다. 도 4는 기록장치의 기록 동작전의 가습 상태(제2 가습 모드)를 나타내는 개략도다. 도 5는 기록장치의 기록 동작중의 다른 가습 상태(제1 가습 모드)를 나타내는 개략도다.
기록장치의 대기 상태에서는, 도 1과 같이 노즐 캡(7)으로 잉크 노즐들이 덮인다. 이 때의 헤드 홀더(6)의 레벨을, "대기 포지션"이라고 한다. 단계S101에서는, 기록장치가 기록 시작의 지령을 받는다. 단계S102에서는, 노즐 캡(7)이 캐핑(capping) 상태를 해제하고 나서, 퇴피시킨다(즉, 그 캡이 개방된다). 도 4는 노즐 캡(7)이 퇴피한 상태를 나타낸다.
단계S103에서는, 상기 조정 기구에 의해 헤드 홀더(6)를, 도 1의 대기 포지션으로부터, 보다 간격이 작은, 즉 보다 소정 간격(제1간격)이 작은 가습 포지션으로 이동시킨다.
단계S104에서는, 가습부(10)에 의해 가습을 시작하여, 분출구(14)로부터 가습 기체를 공급한다. 이 때, 가습부(10)의 가습 출력은, 최대값(제1 가습 출력)으로 설정하여, 대량의 가습 기체를 공급한다. 가습 출력은, 회전체(11)의 회전속도와 팬(12)의 회전속도에 의해 제어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가습 포지션에 있어서의 제1간격은, 핀치 롤러(3)(동일 직경을 가짐)의 직경보다 크다. 이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은, 복수의 핀치 롤러(3)의 최상부와 기록헤드 유닛(1)의 잉크 노즐이 배치된 면과의 사이에,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해물이 없는 곧은 기체유로(8)를 제공한다. 곧은 기체유로(8)에는, 상류측으로부터 공급된 가습 기체는 부드럽게 하류로 흐른다. 이 곧은 기체유로(8)와, 상기 가습부의 최대 출력으로 대량의 가습 기체의 공급으로, 협공간(50)을 단시간에 원하는 가습 상태로 할 수 있다.
단계S105에서는, 노즐 주변의 습도가 소정의 습도이상이 된 것인가 아닌가를, 습도센서(9)의 검지 결과에 근거해서 판단한다. 그 시퀀스는, 그 습도가 소정의 값이상이 될 때까지 기다린다. 그 습도가 소정의 값이상이면, 그 시퀀스는 단계S106으로 이행한다. 실험에 의하면, 기체유로(8)의 두께d는 2mm이상으로 설정한다. 그 두께d가 2mm미만이면, 기체유로의 흐름 저항이 커져, 노즐 주변의 습도가 소정의 값에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이 급격하게 커진다. 예를 들면, 장치 기동시에, 가습 기체를 공급해 시작하고 나서부터, 최하류점에 두어진 습도센서(9)가 소정의 습도를 검출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두께d가 20mm일 때 10초이고, 두께d가 2mm일 때는 30초이고, 두께d가 0mm일 때는 100초이며, 두께d가 -30mm일 때 400초이다. 두께d가 작아짐에 따라서, 소비 시간은 급격하게 증가한다. 특히, 두께d가 네가티브 값(이러한 상태는, 기록헤드 유닛(1)의 밑면이 핀치 롤러(3)의 상부 아래에 위치될 때 생긴다)이 되면, 현저하게 긴 시간을 소비한다. 그 두께d를 지나치게 크게 하면, 상기 조정 기구가 헤드 홀더(6)를 이동하는데 걸린 시간이 증가된다. 그 두께 d의 상한은 50mm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d를 20mm로 한다. 상기와 같이, 가습 포지션에 있어서의 잉크 노즐과 기록 위치의 시트의 사이의 간격(제1간격)은, 적어도 핀치 롤러(3)의 직경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1간격은, 핀치 롤러(3)의 직경보다도 2mm∼50mm만큼 크다.
단계S106에서는, 상기 조정 기구에 의해 헤드 홀더(6)를, 도 4에 나타낸 가습 포지션으로부터, 도 5 및 도 2에 나타낸 보다 갭이 작은, 즉 보다 작은 소정간격(제2간격)의 기록 포지션에 이동시킨다. 기록 포지션에서는, 기록헤드 유닛(1)의 노즐 배열이, 시트S에 접근하여, 잉크를 토출 및 기록하는데 알맞은 간격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간격을 1mm로 한다. 이 때,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트 반송 방향으로 핀치 롤러(3a∼3g) 사이의 공간에 기록헤드 유닛(1a∼1f)이 들어가서, 핀치 롤러와 기록헤드 유닛이 교대로 배열된다. 즉, 시트 반송 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임의의 기록헤드 유닛(제1기록헤드 유닛과 제2기록헤드 유닛)의 사이에, 1개의 핀치 롤러(3)가 놓인다.
단계S107에서는, 가습부(10)의 출력을 변경하여, 제1 가습 출력을, 그 제1 가습 출력보다도 작은 제2 가습 출력으로 바꾼다. 단계S108에서는, 기록을 시작한다. 기록중에, 제2 가습 출력을 유지하면서 가습 기체를 계속해서 공급한다. 분출구(14)로부터 분출한 가습 기체는, 협공간(50)에 있어서 상기 기체 기류가 상하로 구불구불하면서 흐른다. 그 때문에, 최상류점에서 최하류점으로의 협공간(50)에서의 습도가 소정의 값에 도달할 때까지는 긴 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노즐 주변의 습도가 소정의 값으로 미리 설정되므로(단계S102∼S105), 그 노즐 주변의 소정의 습도를 유지하는 상기 가습 기체의 최소 공급은 협공간(50)에서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기록 동작중, 제1 가습 출력보다도 작은 제2 가습 출력으로 가습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소비 전력의 저감과 함께, 가습부(10)에서의 물의 소비를 저감한다. 기록중에 잉크 노즐 주변의 유속(flow speed)이 지나치게 커지면, 그 고유속은 노즐로부터 토출된 잉크의 비상에 영향을 끼쳐서, 잉크의 착탄 정밀도가 악화한다. 이 착탄 정밀도의 악화를 억제할 목적으로도, 기록중에 가습부의 출력을 저감시켜서 가습 기체의 유속을 낮추는 것은 효과적이다.
단계S108에서 예정된 모든 화상 기록이 완료하면, 단계S109의 시퀀스로 이행한다. 단계S109에서는, 상기 조정 기구에 의해 헤드 홀더(6)를, 기록 포지션으로부터, 도 1에 나타낸 초기의 대기 포지션으로 되돌린다. 노즐 캡(7)은, 이 기록부가 잉크 노즐을 덮을 때 캐핑 위치로 이동된다(즉, 그 캡은 폐쇄된다). 이렇게 해서 시퀀스를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록장치에서는, 복수의 롤러 쌍으로 시트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그 시트가 강성이 높고 강한 컬을 가진 경우에도, 그 시트가 뜨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기록장치는, 여러 가지 성질을 갖는 여러 가지 종류의 시트를 지지하고 높은 화상품위로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덧붙여, 기록헤드를 적절하게 보습하는 환경을 단시간에 만들 수 있으므로, 기동 시간이 짧은 기록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9)

  1. 반송 방향으로 배치되고 잉크 노즐들을 각각 갖는 제1기록헤드 유닛 및 제2기록헤드 유닛을 포함하는 기록부;
    상기 제1기록헤드 유닛의 기록 위치와 상기 제2기록헤드 유닛의 기록 위치 사이의 시트(sheet)를 집는(nip) 제1롤러와 제2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롤러가 적어도 기록시에 상기 제1기록헤드 유닛과 상기 제2기록헤드 유닛 사이에 위치되는, 반송부;
    상기 제1기록헤드 유닛 및 상기 제2기록헤드 유닛의 상기 잉크 노즐들이 노출하는 공간에 가습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가습부;
    상기 잉크 노즐들과 상기 기록 위치를 시트가 통과하는 레벨과의 간격을 가변하기 위한 조정 기구; 및
    기록하기 전에, 상기 가습부가 상기 간격을 제1간격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가습 기체를 공급하고, 상기 조정 기구가 해 상기 간격을 상기 제1간격보다도 작은 제2간격으로 가변하고 나서, 상기 기록부가 상기 시트에 기록을 시작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기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제1롤러의 직경보다 작은, 기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격은 상기 제1롤러의 직경보다 큰, 기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격은 상기 제1롤러의 직경보다 약 2mm∼50mm만큼 큰, 기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기체의 일부는, 상기 공간에 있어서 상기 제1기록헤드 유닛과 상기 시트와의 간격을 통해 흐르고 나서, 상기 제2기록헤드 유닛과 상기 시트와의 간격을 통해 흐르는, 기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록헤드 유닛의 근방에서 상기 기체의 습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간격을 상기 제1간격으로부터 상기 제2간격으로 변하게 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기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기체가 기록중에 계속해서 공급되는, 기록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간격으로 상기 가습 기체를 공급할 때 상기 가습부의 출력이, 상기 제2간격으로 상기 가습 기체를 공급할 때 상기 가습부의 출력보다 크도록 제어를 행하는, 기록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노즐을 덮는 노즐 캡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조정 기구가 상기 간격을 상기 제1간격보다 큰 간격으로 가변하고, 상기 노즐 캡이 상기 기록부 밑에 놓이고, 상기 잉크 노즐이 상기 노즐 캡으로 덮이도록, 제어를 행하는, 기록장치.
KR1020110041320A 2010-05-06 2011-05-02 기록장치 Active KR101360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06718A JP4991906B2 (ja) 2010-05-06 2010-05-06 記録装置
JPJP-P-2010-106718 2010-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213A true KR20110123213A (ko) 2011-11-14
KR101360088B1 KR101360088B1 (ko) 2014-02-11

Family

ID=4430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320A Active KR101360088B1 (ko) 2010-05-06 2011-05-02 기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29002B2 (ko)
EP (1) EP2384894B1 (ko)
JP (1) JP4991906B2 (ko)
KR (1) KR101360088B1 (ko)
CN (1) CN102241193B (ko)
BR (1) BRPI1102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1877B2 (ja) * 2010-05-06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加湿装置
JP5953817B2 (ja) * 2012-02-29 2016-07-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5953816B2 (ja) * 2012-02-29 2016-07-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6115357B2 (ja) * 2013-06-28 2017-04-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CN106604822B (zh) 2014-06-27 2019-07-09 富士胶卷迪马蒂克斯股份有限公司 高高度喷墨打印
JP2016078250A (ja) * 2014-10-10 2016-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およびプリント方法
JP6581832B2 (ja) 2015-07-29 2019-09-25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IT201600127393A1 (it) * 2016-12-16 2018-06-16 Miroglio Textile S R L Macchina per la stampa di immagini su tessuti, con sistema di nebulizzazione d'acqua.
CN109049986A (zh) * 2018-10-10 2018-12-21 东莞统领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喷墨印花机的横梁加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8256A (ja) * 1998-03-20 1999-10-05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0255053A (ja) * 1999-03-11 2000-09-19 Canon Aptex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544705B2 (ja) * 2000-06-22 2010-09-15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回復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4142280A (ja) * 2002-10-25 2004-05-20 Ricoh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5044021A (ja) 2003-07-24 2005-02-17 Hiroto Inoue ネットワークセキュリティー方法、ネットワークセキュリティープログラム、ネットワーク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装置
JP4352915B2 (ja) 2004-01-30 2009-10-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滴吐出装置、液滴吐出装置の処理方法
JP2005271316A (ja) 2004-03-23 2005-10-06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6044021A (ja) * 2004-08-04 2006-02-16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7191701A (ja) * 2005-12-20 2007-08-0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4815292B2 (ja) * 2006-07-21 2011-11-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87400A (ja) * 2006-10-04 2008-04-17 Brother Ind Ltd 記録装置
JP2009006682A (ja) 2007-06-29 2009-01-15 Seiko Epson Corp 液体吐出装置
JP5054139B2 (ja) * 2010-02-26 2012-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およびシート処理装置
JP5371877B2 (ja) * 2010-05-06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加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35469A (ja) 2011-11-24
KR101360088B1 (ko) 2014-02-11
CN102241193B (zh) 2014-01-15
US8529002B2 (en) 2013-09-10
BRPI1102293B1 (pt) 2020-05-26
US20110273496A1 (en) 2011-11-10
JP4991906B2 (ja) 2012-08-08
EP2384894B1 (en) 2014-04-30
CN102241193A (zh) 2011-11-16
EP2384894A1 (en) 2011-11-09
BRPI1102293A2 (pt) 201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088B1 (ko) 기록장치
EP2433800B1 (en) Recording apparatus
JP5451322B2 (ja) 記録装置
JP5489659B2 (ja) 記録装置
CN105500928B (zh) 打印装置及打印方法
US8398201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humidification device
US9085172B2 (en)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apparatus
JP5538832B2 (ja) 記録装置
JP5328329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214208B2 (ja) 画像形成装置
JP536687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装置
US8714683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method including a humidifying unit
JP2007223139A (ja) 記録装置
US9527323B2 (en) Liquid discharging apparatus
JP6028411B2 (ja) 液体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5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5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