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20344A -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344A
KR20110120344A KR1020117022255A KR20117022255A KR20110120344A KR 20110120344 A KR20110120344 A KR 20110120344A KR 1020117022255 A KR1020117022255 A KR 1020117022255A KR 20117022255 A KR20117022255 A KR 20117022255A KR 20110120344 A KR20110120344 A KR 20110120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aterial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substrate
bo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마사 에구찌
조지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34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1Manufacturing of individual cells out of a plurality of cells, e.g. by dic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02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G02F1/0107Gaskets, spacers or sealing of cells; Filling and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공정 중에, 가요성의 기판에 네 귀퉁이로부터 떼어내는 것과 같은 힘이 가해지더라도, 기판이 박리되기 어려운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2매 1조로 이용하는 기판 (2,3) 중 적어도 1매가 가요성의 기판이고, 1조의 기판 (2,3) 사이에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 (4)를 갖고, 이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 (4)를 제1 밀봉재 (5a)로 둘러싼 표시 장치 (1)의 제조 방법이고, 복수개의 표시 장치 (1)을, 이들의 외부를 온도 20 ℃ 내지 30 ℃의 범위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1×107 Pa 이하인 제2 밀봉재 (5b)로 접착한 상기 1조의 기판 (2,3) 중에서 제작하는 제작 공정과, 제작한 후에 복수개의 표시 장치 (1)을 개별로 절단하여 제조하는 절단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가요성 기판을 이용한 액정 표시 패널, 유기 EL 표시 패널 등의 제조에 바람직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 등의 액정 표시 장치는 박형 경량, 저소비 전력과 같은 특징을 가져 널리 보급되어 있고, 이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을 2매 1조의 기판 사이에 봉입하기 위해서 밀봉재라고 불리는 접착제를 이용하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이나 유기 EL 표시 패널의 기판에는, 일반적으로는 유리가 이용되지만, 곡면 표시를 가능하게 하거나, 추가적인 박형 경량의 표시 패널을 제조하기 위해서, 기판에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예를 들면 플라스틱 필름 기판을 이용한 액정 표시 패널을 제조할 때에는 기판이 유연하기 때문에, 네 귀퉁이로부터 떼어내는 것과 같은 힘이 가해지면 밀봉재에 국소적인 응력이 가해져 기판이 박리되기 쉽고, 반송 공정 중 등에 기판이 박리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72224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예를 들면 기판이 큰 크기로 복수개의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경우에, 반송 중에 휘어짐 등에 의해 박리되는 힘이 가해져, 주위(특히 네 귀퉁이)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조 공정 중 등에, 기판이 박리되기 어려운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하였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2매 1조로 이용하는 기판 중 적어도 1매가 가요성의 기판이고,
상기 1조의 기판 사이에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를 갖고, 이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를 제1 밀봉재로 둘러싼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며,
복수개의 상기 표시 장치를, 이들의 외부를 온도 20 ℃ 내지 30 ℃의 범위에서의 탄성률이 1×107 Pa 이하인 제2 밀봉재로 접착한 상기 1조의 기판 중에서 제작하는 제작 공정과,
상기 제작한 후에 상기 복수개의 상기 표시 장치를 개별로 절단하여 제조하는 절단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1 밀봉재는 온도 20 ℃ 내지 30 ℃의 범위에서의 탄성률이 1×108 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표시 장치가 유기 EL 표시 장치인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표시 장치가 전기 영동식 표시 장치인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1매의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밀봉재를 부여하고,
다른쪽의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2 밀봉재를 부여한 후에,
2매의 상기 기판을 접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1매의 동일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밀봉재와 상기 제2 밀봉재를 부여한 후에,
2매의 상기 기판을 접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1 밀봉재를 부여할 때,
시린지에 넣은 액상의 상기를 압출하면서 도포하는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2 밀봉재를 부여할 때,
시린지에 넣은 액상의 상기 제2 밀봉재를 압출하면서 도포하는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표시 장치를, 이들의 외부를 온도 20 ℃ 내지 30 ℃의 범위에서의 탄성률이 1×107 Pa 이하인 제2 밀봉재로 접착한 1조의 기판 중에서 제작하고, 제작한 후에 복수개의 표시 장치를 개별로 절단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 공정 중에 가요성의 기판에 네 귀퉁이로부터 떼어내는 것과 같은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2 밀봉재에 의해서 기판이 박리되기 어렵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1 밀봉재가 온도 20 ℃ 내지 30 ℃의 범위에서의 탄성률이 1×108 Pa 이상이고, 장치의 사용 중에 제1 밀봉재를 통해서 내부로의 불순물의 용출이나 가스의 투과 등이 발생하기 어렵고, 제조되는 표시 장치의 전기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이고, 액정 표시 장치를 반송 공정 중 등에 기판이 박리되기 어렵고, 또한 제조되는 표시 장치의 전기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표시 장치가 유기 EL 표시 장치이고, 유기 EL 표시 장치를 반송 공정 중 등에 기판이 박리되기 어렵고, 또한 제조되는 표시 장치의 전기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표시 장치가 전기 영동식 표시 장치이고, 전기 영동식 표시 장치를 반송 공정 중 등에 기판이 박리되기 어렵고, 또한 제조되는 표시 장치의 전기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1매의 기판 상에 제1 밀봉재를 부여하고, 다른쪽의 기판 상에 제2 밀봉재를 부여함으로써, 각각 따로따로의 부품으로서 품질 관리를 할 수 있고, 신속한 제조가 가능하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1매의 동일한 기판 상에 제1 밀봉재와 제2 밀봉재를 부여함으로써, 1 부품으로서 품질 관리를 할 수 있고, 신속한 제조가 가능하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1 밀봉재를 부여할 때, 시린지에 넣은 액상의 접착제를 압출하면서 도포하는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행함으로써, 제1 밀봉재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2 밀봉재를 부여할 때, 시린지에 넣은 액상의 밀봉재를 압출하면서 도포하는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행함으로써, 밀봉재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작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제작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의 제작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의 제작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전극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기판 상의 전극의 배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은 기판 상의 전극과 제1 밀봉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9는 제1 밀봉재와 제2 밀봉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의 절단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표시 장치 (1)의 제조 방법은 2매 1조로 이용하는 기판 (2,3) 중 적어도 1매가 가요성의 기판이고, 1조의 기판 (2,3) 사이에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 (4)를 갖는 표시 장치 (1)의 제조 방법이다.
이 표시 장치 (1)의 제조 방법은 복수개의 표시 장치 (1)을,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 (4)의 외부를 제1 밀봉재 (5a)로 둘러싸도록 접착하고, 이들 복수개의 표시 장치 (1)의 외부를 제2 밀봉재 (5b)로 접착한 1조의 기판 (2,3) 중에서 제작하는 제작 공정(도 1(a))과, 제작한 후에 복수개의 표시 장치 (1)을 개별로 절단하여 제조하는 절단 공정(도 1(b))을 포함한다.
제1 밀봉재 (5a)는 실온에서의 탄성률이 낮은 것이거나, 높은 것일 수도 있지만, 실온에서의 탄성률이 높은 것은 수증기나 산소 등의 가스를 투과하기 어렵고,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온도 20 ℃ 내지 30 ℃의 범위에서의 탄성률이 1×108 Pa 이상이고, 탄성률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밀봉재 (5b)는 온도 20 ℃ 내지 30 ℃의 범위에서의 탄성률이 1×107 Pa 이하이고, 실온에서의 탄성률이 낮은 것을 이용함으로써, 특히 기판이 큰 크기에서는 반송 중에 휘어짐 등에 의해 박리되는 힘이 가해지기 쉽고, 주위(특히 네 귀퉁이)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지지만, 제2 밀봉재 (5b)에 의해서 박리를 막을 수 있다.
제작 공정(도 1(a))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매의 기판 (2) 상에 개별의 표시 장치 (1)의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 (4)를 부여하고, 이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 (4)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제1 밀봉재 (5a)를 부여한다(도 2(a)).
다른쪽의 기판 (3) 상에 기판 (2)의 복수의 표시 장치 (1)의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 (4)의 전체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제2 밀봉재 (5b)를 부여하고(도 2(b)), 이 제2 밀봉재 (5b)를 부여한 후에, 2매의 기판 (2,3)을 접합시키는 공정(도 2(c))을 갖는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1매의 기판 (2) 상에 제1 밀봉재 (5a)를 부여하고, 다른쪽의 기판 (3) 상에 제2 밀봉재 (5b)를 부여함으로써, 각각 따로따로의 부품으로서 품질 관리를 할 수 있고, 신속한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매의 동일한 기판 (2) 상에 개별의 표시 장치 (1)의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 (4)를 부여하고, 이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 (4)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제1 밀봉재 (5a)를 부여한다(도 3(a)). 이와 같이, 1매의 동일한 기판 (2) 상에 제1 밀봉재 (5b)를 부여하고, 또한 제2 밀봉재 (5a)를 부여한 후에, 2매의 기판 (2,3)을 접합시키는 공정(도 3(b))을 갖는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1매의 동일한 기판 (2) 상에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 (4), 제1 밀봉재 (5a), 제2 밀봉재 (5b)를 부여함으로써, 1 부품으로서 품질 관리를 할 수 있고, 신속한 제조가 가능하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시린지에 넣은 액상의 제1 밀봉재 (5a), 제2 밀봉재 (5b)를 디스펜서의 개구부로부터 토출시켜 도포한다. 이 디스펜서는 개구부열의 폭 방향, 각 위치의 개구부의 토출량의 변동이 작은 것을 이용하여, 시린지에 넣은 액상의 제1 밀봉재 (5a), 제2 밀봉재 (5b)를 압출하면서 도포함으로써, 제1 밀봉재 (5a), 제2 밀봉재 (5b)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절단 공정(도 1(b))에서는 절단 장치(다이싱 톱)를 이용하여, 제1 밀봉재 (5a)의 주변을 절단하여, 복수개의 표시 장치 (1)을 개별로 제조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표시 장치 (1)을, 이들의 외부를 온도 20 ℃ 내지 30 ℃의 범위에서의 탄성률이 1×107 Pa 이하인 제2 밀봉재 (5b)로 접착한 1조의 기판 (2,3) 중에서 제작하고, 제작한 후에 제1 밀봉재 (5a)의 주변을 절단하여, 복수개의 표시 장치 (1)을 제조함으로써, 제조 공정 중에, 가요성의 기판에 네 귀퉁이로부터 떼어내는 것과 같은 힘이 가해지더라도, 탄성률이 낮은 제2 밀봉재 (5b)에 의해서 기판이 박리되기 어렵다.
더구나, 온도 20 ℃ 내지 30 ℃의 범위에서의 탄성률이 1×108 Pa 이상이고, 탄성률이 높은 제1 밀봉재 (5a)를 이용하여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 (4)를 둘러싸므로써, 장치의 사용 중에 제1 밀봉재 (5a)를 통해서 내부로의 불순물의 용출이나 수증기나 산소 등의 가스를 투과하기 어렵고, 표시 장치 (1)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 표시 장치 (1)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전기 영동식 표시 장치 등이고,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 (4)를 갖는다. 액정 표시 장치는 그의 전력 절약화, 경량, 박형 등과 같은 특징을 갖고,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로서는 입사측의 편광판과 출사측의 편광판의 기판과,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의 액정을 갖는 것이 대표적이다. 유기 EL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고속 응답 속도, 광 시야각, 자발광 소자 특유의 시인성의 장점, 또한 구동 가능한 온도 범위가 넓은 등의 디스플레이로서 유리한 특성을 수많이 갖는다. 이 유기 EL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형성된 각 화소 내에, 기판측에서 하부 전극,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의 유기 EL층, 및 상부 전극이 적층된 구성을 구비하고, 유기 EL층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발광하는 유기 EL에서의 광을, 적어도 전극 중 한쪽의 전극(투광성의 도전막)을 통해서 인식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 영동식 표시 장치는 전기 영동 현상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하나로서, 마이크로 캡슐형 전기 영동 방식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 방식의 표시 장치는 투명 용매가 충족된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의 마이크로 캡슐 중에 플러스, 마이너스로 대전한 흰 입자와 검은 입자를 넣어, 외부 전압의 인가에 의해서 각각의 입자를 표시면에 인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2매 1조의 기판 (2,3)은 표시 장치 (1)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전기 영동식 표시 장치 등에 따른 것으로, 적어도 1매가 가요성의 기판이다. 이 가요성의 기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필름 기판 등이 있고, 다른 기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밀봉재 (5a)는 복수개의 표시 장치 (1)의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 (4)를 각각 그의 외부 전체를 둘러싸도록 부여하고, 제2 밀봉재 (5b)는 복수개의 표시 장치 (1)의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 (4)의 외부 전체를 둘러싸도록 부여하고 있다. 이 제1 밀봉재 (5a) 및 제2 밀봉재 (5b)는 각각 외부 전체를 둘러싸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외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부여할 수도 있다.
제1 밀봉재 (5a)는, 예를 들면 두께 2 ㎛ 내지 10 ㎛의 열 경화 수지, 광 경화성 수지 등에 의해 구성된다. 기판에 폭 약 1 mm로 도포되어, 기판 갭 및 기판면 내의 어긋남을 방지함과 동시에, 액정의 누설을 방지한다. 제1 밀봉재 (5a)의 일부에 액정을 충전하기 위한 액정 주입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제1 밀봉재 (5a)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중합체,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 고무계 등, 적절한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와 같이, 투명성, 습윤성, 응집성, 내열성, 내습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밀봉재 (5b)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10-265547호 공보에 기재된 밀봉재 조성물이 이용된다. 이 밀봉재 조성물은 밀봉재가 주요제, 경화제에 분리되는 이액 타입의 구성의 경우, 주요제에 에폭시 수지와 같이 (a) 분자 내에 지방족 에스테르 결합을 포함하는 지방족 환상 에폭시 수지를 배합하고, 경화제측에는 에폭시 수지 경화제와 같이 (b) 3관능 티올 화합물을 배합한다. 이 결과, 밀봉재 조성물은 가교 밀도를 내리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연성, 가요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가요성의 기판이 갖는 유연성에 추종 가능한 경화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다음으로,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두께 0.2 mm, 크기 300 mm×300 mm의 폴리에테르술폰제 플라스틱 필름(이하 PES 필름이라고 함)을 기판으로서 준비하였다. 이 PES 필름은 양호한 가요성을 나타내었다. 이 PES 필름 상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두께 100 nm의 이산화규소 박막을 성막하였다(도 4(a)).
다음으로, 이 PES 필름의 이산화규소 박막면 상에, 두께 150 nm의 산화인듐주석(이하, ITO라고 함)을, 메탈 마스크를 이용한 스퍼터링법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10 mm×10 mm의 작동 영역과 단자 영역을 갖는 전극 패턴을 도 4(b) 및 도 7에 나타내는 배치와 같이 성막하였다.
이 ITO 부착 PES 필름을 순수 중에서 초음파 세정하고, 에어 나이프로 순수를 제거한 후, 액정 배향제를 플렉소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 패턴 상의 10 mm×10 mm의 작동 영역을 중심으로 한 30 mm×30 mm의 범위로 인쇄하여 소성하고, 두께 50 nm의 배향막을 성막하였다(도 4(c) 및 도 7). 배향막을 러빙에 의해 배향 처리한 후, 순수 중에서 초음파 세정하여, 에어 나이프로 순수를 제거하였다.
동일하게 하여 배향 처리한 배향막을 갖는 기판을 또한 1매 제작하고(도 5), 2매 1조의 기판으로 하였다.
이 중의 1매의 기판 상에,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기판 상에, 제1 밀봉재로서 세키스이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액정 밀봉재 「포토렉 S-WB」를,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도 8 및 도 4(d)에 나타내느 바와 같은 패턴으로 묘화하였다. 이 기판에, 제2 밀봉재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10-265547호 공보에 기재되는 밀봉재를,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도 9 및 도 4(e)에 나타내는 패턴으로 묘화하였다.
밀봉재를 디스펜스하지 않은 기판에는 고착성을 갖는 직경 5 ㎛의 스페이서 비드를 산포하여 가열하고, 고착 처리를 행하였다(도 5(d)). 이들 1조의 기판을 러빙 방향이 직교하여, 10 mm×10 mm의 구동 영역이 중첩되도록 위치 정렬을 행하고, 액정 적하 방식에 의해 액정의 적하로부터 접합까지를 행하였다(도 10(a)). 계속해서 120 ℃로 가열하여 액정의 어닐링 처리 및 밀봉재의 포스트 베이킹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절단 장치(다이싱 톱)를 이용하여, 도 10(b)의 제1 밀봉재의 주변을 절단하고, 액정 셀을 개편으로 절단하였다. 이 공정 중에서의 기판의 박리는 없었다. 또한 액정 셀의 양면에 편광판을 그의 광 흡수축이 직교하는 배치로 접합시켜, 평가용의 액정 표시 장치를 얻었다.
액정 표시 장치의 전기 특성인 전압 유지율을, 가부시끼가이샤 도요테크니카 제조 6254형 액정 물성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바, 99.5%였다. 그 후, 이 액정 표시 장치를 60 ℃ 90% RH로 제어한 항온 항습조에 넣어 480시간 처리한 후에 재차 전압 유지율의 측정을 행한 바, 98.7%였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265547호 공보에 기재되는 제2 밀봉재를 필름형으로 하고 120 ℃로 가열하여 경화한 시료의 30 ℃의 범위에서의 탄성률을 TMA에 의해 측정한 바, 1×105 Pa였다.
(실시예 2)
제1 밀봉재로서 세키스이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액정 밀봉재 「포토렉 S-WB」를 이용하지 않고, 일본 특허 공개 (평)10-265547호 공보에 기재된 재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의 액정 표시 장치를 얻었다. 공정 중에서의 기판의 박리는 없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압 유지율을 측정한 바, 89.5%였다. 그 후, 이 액정 표시 장치를 60 ℃ 90% RH로 제어한 항온 항습조에 넣고 480시간 처리한 후에 재차 전압 유지율의 측정을 행한 바, 전압 유지율은 35%로 낮았다.
(비교예 1)
제2 밀봉재를 묘화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액정의 어닐링 처리 및 밀봉재의 포스트 베이킹까지를 행하였다. 다음으로 절단을 행한 바, 절단 전의 반송 공정에서 기판이 박리되어 버리는 불량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가요성 기판을 이용한 액정 표시 패널, 유기 EL 표시 패널 등의 제조에 바람직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적용 가능하고, 제조 공정 중 등에, 네 귀퉁이로부터 떼어내는 것과 같은 힘이 가해져 기반이 박리되기 어렵다.
1 표시 장치
2,3 기판
4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
5a 제1 밀봉재
5b 제2 밀봉재
10 접착제

Claims (9)

  1. 2매 1조로 이용하는 기판 중 적어도 1매가 가요성의 기판이고,
    상기 1조의 기판 사이에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를 갖고, 이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부위를 제1 밀봉재로 둘러싼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며,
    복수개의 상기 표시 장치를, 이들의 외부를 온도 20 ℃ 내지 30 ℃의 범위에서의 탄성률이 1×107 Pa 이하인 제2 밀봉재로 접착한 상기 1조의 기판 중에서 제작하는 제작 공정과,
    상기 제작한 후에 상기 복수개의 상기 표시 장치를 개별로 절단하여 제조하는 절단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재는 온도 20 ℃ 내지 30 ℃의 범위에서의 탄성률이 1×108 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유기 EL 표시 장치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전기 영동식 표시 장치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매의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밀봉재를 부여하고,
    다른쪽의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2 밀봉재를 부여한 후에,
    2매의 상기 기판을 접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매의 동일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밀봉재와 상기 제2 밀봉재를 부여한 후에,
    2매의 상기 기판을 접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재를 부여할 때,
    시린지에 넣은 액상의 제1 밀봉재를 압출하면서 도포하는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재를 부여할 때,
    시린지에 넣은 액상의 상기 제2 밀봉재를 압출하면서 도포하는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17022255A 2009-03-26 2009-04-09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eased KR201101203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77242 2009-03-26
JP2009077242A JP4623685B2 (ja) 2009-03-26 2009-03-26 表示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344A true KR20110120344A (ko) 2011-11-03

Family

ID=42780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255A Ceased KR20110120344A (ko) 2009-03-26 2009-04-09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23685B2 (ko)
KR (1) KR20110120344A (ko)
CN (1) CN102369563B (ko)
WO (1) WO2010109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1824B2 (ja) * 2007-04-09 2014-01-2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5791098B2 (ja) * 2011-03-08 2015-10-0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光学素子
DE112014007325B3 (de) 2013-12-02 2021-04-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nzeigevorrichtung und deren Herstellungsverfahren
CN107077018A (zh) * 2014-06-25 2017-08-18 兰斯维克托公司 晶片级制造和组装液晶的电光学装置的电连接的方法
CN107204405A (zh) * 2016-03-18 2017-09-26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及其封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821A (ja) * 1984-07-20 1986-02-10 Ricoh Co Ltd 液晶表示素子
JPH10268329A (ja) * 1997-03-21 1998-10-09 Optrex Corp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2000241821A (ja) * 1999-02-24 2000-09-08 Seiko Epson Corp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JP3358606B2 (ja) * 1999-12-14 2002-12-24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4698815B2 (ja) * 2000-10-31 2011-06-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385300C (zh) * 2002-02-20 2008-04-30 Lg.菲利浦Lcd株式会社 液晶显示器的制造方法
JP2003302644A (ja) * 2002-04-10 2003-10-24 Shin-Etsu Engineering Co Ltd 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430811C (zh) * 2005-07-29 2008-11-05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泳显示板、电泳显示装置及电泳显示板的制造方法
JP2007073459A (ja) * 2005-09-09 2007-03-22 Seiko Eps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7119542A (ja) * 2005-10-26 2007-05-17 Sekisui Fuller Kk 紫外線反応型接着剤およびこの紫外線反応型接着剤を用いた液晶パネル
JP4564472B2 (ja) * 2006-07-11 2010-10-20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116299B2 (ja) * 2006-12-20 2013-01-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接着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69563B (zh) 2015-04-22
CN102369563A (zh) 2012-03-07
JP2010230901A (ja) 2010-10-14
JP4623685B2 (ja) 2011-02-02
WO2010109682A1 (ja)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4153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4640583A (en) Display panel having an inner and an outer seal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832306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JP4993973B2 (ja) 液晶表示装置
CN108281387A (zh) 柔性显示装置的制作方法及柔性显示装置
KR20090017014A (ko)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I480165B (zh) Manufacture of electronic devices
WO2012060199A1 (ja) 積層体、支持板付き表示装置用パネル、表示装置用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1107556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WO2012105061A1 (ja) 光学素子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KR20110120344A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79369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10429123A (zh)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862329A (zh) 柔性显示器的制造方法
WO2012176608A1 (ja) 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1128224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JP2008209529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33912A (ja) 表示装置
KR2011005275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JP2010237354A (ja) 表示素子
CN100478765C (zh) 液晶显示器的制造方法
KR10185952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CN105022197A (zh) 母板堆叠结构及其制造方法
KR20120026316A (ko) 전자종이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N114545688B (zh) 显示面板及配向膜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9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3101005625

Request date: 20130729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07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01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9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0904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11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729

Effective date: 2014112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0100562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729

Effective date: 20141124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41124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30729

Decision date: 20141124

Appeal identifier: 2013101005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