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13398A -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398A
KR20110113398A KR1020100032767A KR20100032767A KR20110113398A KR 20110113398 A KR20110113398 A KR 20110113398A KR 1020100032767 A KR1020100032767 A KR 1020100032767A KR 20100032767 A KR20100032767 A KR 20100032767A KR 20110113398 A KR20110113398 A KR 20110113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electrode
source
pad
dr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5022B1 (ko
Inventor
이충훈
이성민
정의현
강지원
서완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2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02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3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0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29Thin-film transistors [TF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6/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ple TFTs
    • H10D86/023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ple TFTs using masks, e.g. half-tone mas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사용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게이트 요소; 상기 게이트 요소를 덮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서 반도체 물질, 소스-드레인 물질, 및 보조 도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소스-드레인 요소; 상기 소스-드레인 요소를 덮는 보호막;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게이트 요소의 상부 표면 일부 및 상기 소스-드레인 요소의 상부 표면 일부를 노출하는 콘택홀 요소; 그리고 상기 보호막 위에서 상기 게이트 요소 및 상기 소스-드레인 요소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는 단자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패드부에서는 데이터 패드와 데이터 패드 단자 사이에 충분한 면접촉을 유지하여, 접촉 저항을 낮추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Fringe Field Switching Typ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평 전계형 액정표시장치에 사용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소스-드레인 금속층과 패드 단자 또는 소스-드레인 금속층과 연결 단자 사이에서 접촉면적을 확보한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을 구동시키는 전계의 방향에 따라 수직 전계형과 수평 전계형으로 구분한다.
수직 전계형 액정표시장치는 상하부 기판에 대향하게 배치된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 전계에 의해 TN(Twistred Nematic) 모드의 액정을 구동한다. 이러한 수직전계형 액정표시장치는 개구율이 큰 장점을 가지는 반면, 시야각이 90도 정도로 좁은 단점이 있다.
수평 전계형 액정표시장치는 하부 기판에 평행하게 배치된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수평 전계를 형성하여 인 플레인 스위치(In Plane Switching: IPS) 모드의 액정을 구동한다. 이러한 IPS 모드의 액정표시장치는 시야각이 160도 정도로 넓은 장점이 있으나, 개구율 및 투과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IPS 모드의 액정표시장치는 인 플레인 필드(In Plane Field)를 형성하기 위해서 공통전극과 화소전극간의 간격을 상하부 기판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하고, 적정한 세기의 전계를 얻기 위해서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을 일정한 너비를 갖는 띠 형태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IPS 모드의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 사이에는 기판과 거의 평행한 전계가 형성되지만, 너비를 갖는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들 상부의 액정에는 전계가 형성되지 않는다. 즉,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 상부에 놓인 액정분자들은 구동되지 않고 초기 배열 상태를 유지한다. 초기상태를 유지하는 액정은 광을 투과시키지 못하여 개구율 및 투과율을 저하 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IPS 모드의 액정표시장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프린지 필드(Fringe Field)에 의해 동작되는 프린지 필드 스위칭(Fringe Field Switching: FFS) 타입의 액정표시장치가 제안되었다. FFS 타입의 액정표시장치는 각 화소 영역에 절연막을 사이에 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을 구비하고, 그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의 간격을 상하부 기판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하여 공통전극과 화소전극 상부에 포물선 형태의 프린지 필드를 형성하도록 만든다. 프린지 필드에 의해 상하부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 분자들은 모두 동작함으로써 개구율 및 투과율이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FFS 타입의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절취선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하부 기판(1) 위에 게이트 절연막(11)을 사이에 두고 교차하는 게이트 배선(13) 및 데이터 배선(23)과, 그 교차부마다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7)를 구비한다. 그리고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게이트 배선(13) 및 데이터 배선(23)의 교차 구조로 화소 영역을 정의한다. 이 화소 영역에는 프린지 필드를 형성하도록 보호막(11)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화소전극(45)과 공통전극(55)이 구비된다. 여기서는, 화소전극(45)은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대략 장방형의 모양을 갖고, 공통전극(55)은 평행한 다수 개의 띠 모양으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공통전극이 화소전극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공통전극이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장방형 모양을 갖고, 화소전극이 평행한 다수 개의 띠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공통전극(55)은 게이트 배선과 나란하게 배열된 공통 배선(53)과 접속된다. 공통전극(55)은 공통 배선(53)을 통해 액정 구동을 위한 기준 전압(혹은 공통 전압)을 공급받는다.
박막 트랜지스터(7)는 게이트 배선(13)의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배선(23)의 화소 신호가 화소전극(45)에 충전되어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박막 트랜지스터(7)는 게이트 배선(13)에서 분기한 게이트 전극(15), 데이터 배선(23)에서 분기된 소스 전극(25), 소스 전극(25)과 대향하며 화소전극(45)과 접속된 드레인 전극(35), 그리고 게이트 절연막(11) 위에서 게이트 전극(15)과 중첩하며 소스 전극(25)과 드레인 전극(35) 사이에 채널을 형성하는 반도체 층(37)을 포함한다. 반도체 층(37)과 소스 전극(25) 사이에 그리고 반도체 층(37)과 드레인 전극(35) 사이에는 오믹 접촉을 위한 오믹 접촉층을 더 포함하기도 한다.
게이트 배선(13)의 일측 단부에는 외부로부터 게이트 신호를 인가 받기 위한 게이트 패드(17)를 포함한다. 게이트 패드(17)는 게이트 절연막(11)과 보호막(41)을 관통하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71)을 통해 게이트 패드 단자(19)와 접촉한다. 한편, 데이터 배선(23)의 일측 단부에는 외부로부터 화소 신호를 인가 받기 위한 데이터 패드(27)을 포함한다. 데이터 패드(27)는 보호막(41)을 관통하는 데이터 패드 콘택홀(73)을 통해 데이터 패드 단자(29)와 접촉한다.
화소전극(45)은 게이트 절연막(11) 위에서 드레인 전극(35)과 접속한다. 한편, 공통전극(55)은 화소전극(45)을 덮는 보호막(41)을 사이에 두고 화소전극(45)과 중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화소전극(45)과 공통전극(55) 사이에서 전계가 형성되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칼라 필터 기판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액정분자들이 유전 이방성에 의해 회전한다. 그리고, 액정 분자들의 회전 정도에 따라 화소 영역을 투과하는 광 투과율이 달라져 계조를 구현한다.
이하, 이와 같은 FFS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도 3a 내지 3f는, 도 1의 I-I'로 자른 단면도들로서, 종래 기술에 의한 FFS 타입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투명한 하부 기판(1) 위에 게이트 금속을 증착한다. 제1 마스크 공정으로 게이트 금속을 패턴하여 게이트 요소를 형성한다. 게이트 요소에는 게이트 배선(13), 게이트 배선(13)에서 분기하는 게이트 전극(15), 게이트 배선(13)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게이트 패드(17)를 포함한다. (도 3a)
게이트 물질들이 형성된 기판(1) 위에, 게이트 절연막(11)을 전면 도포한다. 이어서, 반도체 물질을 연속으로 증착한다. 제2 마스크 공정으로, 반도체 물질을 패턴하여, 반도체 층(37)을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반도체 층(37)은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 채널을 형성하는 활성층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들이 활성층과 오믹접촉을 하도록 하는 오믹 접촉층을 포함한다. (도 3b)
반도체 층(37)이 형성된 기판(1) 위에 소스-드레인 금속을 증착한다. 제3 마스크 공정으로, 소스-드레인 금속을 패턴하여, 소스-드레인 요소를 형성한다. 소스-드레인 요소에는 게이트 배선(13)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데이터 배선(23), 데이터 배선(23)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27), 데이터 배선(23)에서 분기하고 반도체 층(37)의 일측변과 접촉하는 소스 전극(25), 그리고 반도체층(37)의 타측변과 접촉하고 소스 전극(25)와 대향하는 드레인 전극(35)를 포함한다. 특히, 소스 전극(25)과 드레인 전극(35)은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되어있으나, 그 하부에서 게이트 절연막(11)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15)과 중첩하는 반도체 층(37)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도 3c)
소스-드레인 요소가 형성된 기판(1) 전면에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 물질을 증착한다. 제4 마스크 공정으로, 투명 도전물질을 패턴하여 화소 전극(45)을 형성한다. 화소 전극(45)은 드레인 전극(35)의 일부를 덮으면서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화소 전극(45)은 게이트 배선(13)과 데이터 배선(23)이 교차하여 형성한 화소 영역 내에서 대략 장방형의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d)
화소 전극(45)이 형성된 기판(1) 전면에 보호막(41)을 도포한다. 제5 마스크 공정으로, 보호막(41)을 패턴하여 데이터 패드(27) 일부를 노출하는 데이터 패드 콘택홀(73)을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보호막(41)과 게이트 절연막(11)을 패턴하여, 게이트 패드(17)의 일부를 노출하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71)을 형성한다. 여기서, 데이터 패드 콘택홀(73)이 형성된 후에, 게이트 절연막(11)에 대한 식각공정을 계속 진행하여 게이트 패드 콘택홀(71)을 형성한다. 따라서, 데이터 패드 콘택홀(73)을 통해 노출된 데이터 패드(27)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71)이 완성될 때까지 계속 식각 상태에 노출된다. 예를 들어, 보호막(41)과 게이트 절연막(11)에 유기절연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콘택홀들을 형성할 때 주로 건식 식각법을 사용한다. 이 때, 식각 반응 가스로는 SF6, O2, HCl 및 H 가스를 혼합해서 사용한다. 이럴 경우, 데이터 패드(27)가 식각 가스에 노출되는데, 소스-드레인 금속을 몰리브덴(Mo)와 같은 금속물질로 형성하는 경우, 게이트 절연막(11)을 식각하는 도중에 데이터 패드(27)도 함께 식각된다. 그 결과, 데이터 패드(27)는 거의 대부분이 식각되고, 식각 측면만 데이터 패드 콘택홀(73)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도 3e)
보호막(41) 위에 ITO와 같은 투명 도전물질을 다시 증착한다. 제6 마스크 공정으로, 투명 도전물질을 패턴하여, 공통 전극(55), 게이트 패드 단자(19) 및 데이터 패드 단자(29)를 형성한다. 공통 전극(55)은 보호막(41)을 사이에 두고 화소 전극(45)과 중첩하도록 형성한다. 특히,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나열된 막대 모양으로 형성한다. 게이트 패드 단자(19)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71)을 통해 노출된 게이트 패드(17)와 접촉한다. 그리고, 데이터 패드 단자(29)는 데이터 패드 콘택홀(73)을 통해 노출된 데이터 패드(27)와 접촉한다. 특히, 데이터 패드(27)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7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모두 식각될 수 있다. 이 경우, 원형으로 표시한 확대 도면에서와 같이, 데이터 패드 단자(29)는 데이터 패드(27)의 식각된 측면하고만 접촉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f)
이후,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화소전극(55)과 공통전극(55)이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은 배향막 공정 챔버로 이송하여, 배향막을 도포한다. 그리고 액정층을 도포하고 칼라 필터 기판과 합착하여 액정표시패널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FFS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사용하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을 제조하는데 6번의 마스크 공정을 사용한다. 마스크 공정이 많을수록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불량 발생 가능성도 높아진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에서 구성 요소를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원형으로 표시한 확대 도면에서와 같이, 데이터 패드 단자가 데이터 패드의 식각 측벽과 접촉하는 구조를 갖는 경우, 전기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FFS 타입의 액정표시패널이 갖는 특성으로 인해 모바일 제품군에 주로 적용되는데, 모바일 제품군의 기본 요구조건인 저전력 구동 모드에서는 데이터 패드부의 접촉면적이 제한 됨으로 인해 전기적 특성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많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을 5 마스크 공정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을 5 마스크 공정으로 제조하면서, 소스-드레인 금속층과 패드 단자 또는 소스-드레인 금속층과 연결 단자 사이에서 접촉면적을 확보하는 5 마스크 공정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한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게이트 요소; 상기 게이트 요소를 덮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서 소스-드레인 물질 및 보조 도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소스-드레인 요소; 상기 소스-드레인 요소를 덮는 보호막;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게이트 요소의 상부 표면 일부 및 상기 소스-드레인 요소의 상부 표면 일부를 노출하는 콘택홀 요소; 그리고 상기 보호막 위에서 상기 게이트 요소 및 상기 소스-드레인 요소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는 단자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요소는, 게이트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게이트 패드, 그리고 상기 게이트 배선에서 분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드레인 요소는, 상기 게이트 배선과 직교하는 데이터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 상기 데이터 패드 위에 적층된 보조 데이터 패드, 상기 데이터 배선에서 분기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일측부와 중첩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소스 전극과 대향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의 타측부와 중첩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홀 요소는, 상기 보호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게이트 패드를 노출하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 그리고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데이터 패드를 노출하는 데이터 패드 콘택홀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요소는, 상기 게이트 패드 콘택홀을 통해 상기 게이트 패드의 상부 표면과 면 접촉을 하는 게이트 패드 단자,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드 콘택홀을 통해 상기 보조 데이터 패드의 상부 표면과 면 접촉을 하는 데이터 패드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서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직교하며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게이트 패드 및 상기 데이터 배선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촉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된 화소전극,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드 상부 표면을 덮는 보조 도전층; 상기 보조 도전층 및 상기 화소 전극을 덮는 보호막;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도전층 일부를 노출하는 데이터 패드 콘택홀, 그리고 상기 보호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게이트 패드 일부를 노출하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 그리고 상기 보호막 위에서, 상기 화소전극과 중첩하면서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평행 배열된 다수 개의 공통 전극, 상기 게이트 패드 콘택홀을 통해 상기 게이트 패드와 접촉하는 게이트 패드 단자,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드 콘택홀을 통해 상기 보조 도전층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데이터 패드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배선에서 분기된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과 중첩되는 반도체 층;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배선에서 분기하여 상기 반도체 층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데이터 배선과 소스 전극 하부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 층에서 연장된 더미 소스; 그리고 상기 반도체 층의 타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소스 전극과 대향하는 드레인 전극, 그리고 상기 반도체 층에서 연장되어 상기 드레인 전극 하부에 형성된 더미 드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게이트 물질을 증착하고 패턴하여 게이트 요소를 형성하는 제1 마스크 공정; 상기 게이트 요소를 덮는 게이트 절연막, 반도체 물질, 및 소스-드레인 물질을 연속으로 증착하고, 상기 반도체 물질과 상기 소스-드레인 물질을 패턴하여 소스-드레인 요소를 형성하는 제2 마스크 공정; 상기 소스-드레인 요소 위에 제1 투명 도전물질을 증착하고 패턴하여, 상기 소스-드레인 물질과 면 접촉하는 전극요소를 형성하는 제3 마스크 공정; 상기 전극요소 위에 보호막을 증착하고 패턴하여, 상기 게이트 요소의 상부 표면 일부 및 상기 전극 요소의 상부 표면 일부를 노출하는 콘택홀 요소를 형성하는 제4 마스크 공정; 그리고 상기 보호막 위에 제2 투명 도전물질을 증착하고 패턴하여, 상기 게이트 요소 및 상기 전극 요소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는 단자 요소를 형성하는 제5 마스크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마스크 공정의 상기 게이트 요소는, 게이트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게이트 패드, 그리고 상기 게이트 배선에서 분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스크 공정의 상기 소스-드레인 요소는, 상기 게이트 배선과 직교하는 데이터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 상기 데이터 배선에서 분기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일측부와 중첩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소스 전극과 대향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의 타측부와 중첩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마스크 공정의 상기 전극 요소는,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화소전극,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드와 면 접촉하면서 상부 표면을 덮는 보조 데이터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마스크 공정의 상기 콘택홀 요소는, 상기 보호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게이트 패드의 상부 표면 일부를 노출하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 그리고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데이터 패드를 덮는 상기 보조 데이터 패드의 상부 표면 일부를 노출하는 데이터 패드 콘택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5 마스크 공정의 상기 단자 요소는, 상기 게이트 패드의 상부 표면과 면 접촉을 하는 게이트 패드 단자,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드와 면 접촉을 하는 상기 보조 데이터 패드의 상부 표면과 면접촉을 하는 데이터 패드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은 데이터 패드를 형성한 후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패드를 덮는 보조 데이터 패드를 더 형성하였다. 그 결과, 데이터 패드를 덮는 보호막을 패턴하여 데이터 패드 콘택홀을 형성한 후, 계속 식각하여 게이트 절연막을 패턴하여 게이트 패드 콘택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식각액에 의해 데이터 패드가 식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데이터 패드의 상부 표면이 데이터 패드 콘택홀에 의해 노출되고, 데이터 패드 단자가 보조 데이터 패드의 노출된 상부 표면과 접촉한다. 그 결과, 데이터 패드부에서는 데이터 패드와 데이터 패드 단자 사이에 충분한 면접촉을 유지하여, 접촉 저항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저전력 구동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패드부에서 접촉 저항을 줄여 전기적 신호 전달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양호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FFS 타입의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절취선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3a 내지 3f는 종래 기술에 의한 FFS 타입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 1의 I-I'로 자른 단면도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FFS 타입의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FFS 타입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 4의 II-II'로 자른 단면도들.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서 게이트 층과 소스-드레인 층을 연결하는 점핑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서 게이트 층과 소스-드레인 층을 연결하는 점핑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서 소스-드레인 층이 일부 식각된 상태에서 게이트 층과 소스-드레인 층을 연결하는 점핑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의한 FFS 타입의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의한 FFS 타입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의한 FFS 타입의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평면도 상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종래 기술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큰 차이가 없다. 본 발명은 FFS 타입의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마스크 공정 수를 줄인 것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단면도에서 그 차이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의한 FFS 타입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f는 도 4의 절취선 II-II'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
기판(SUB) 위에 게이트 금속을 증착한다. 제1 마스크 공정으로, 게이트 금속을 패턴하여 게이트 요소를 형성한다. 게이트 요소에는 게이트 배선(GL), 게이트 배선(GL)에서 분기하는 게이트 전극(G), 그리고 게이트 배선(GL)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게이트 패드(GP)들을 포함한다. (도 5a)
게이트 요소가 형성된 기판(SUB) 위에 게이트 절연막(GI)을 전면 도포한다. 이어서, 반도체 물질(AM)과 소스-드레인 금속(SDM)을 연속으로 증착한다. 제2 마스크 공정으로, 반도체 물질(AM) 및 소스-드레인 금속(SDM)을 패턴하여, 소스-드레인 요소를 형성한다. 소스-드레인 요소에는 게이트 배선(GL)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데이터 배선(DL), 데이터 배선(DL)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DP), 데이터 배선(DL)에서 분기하고 게이트 전극(G)의 일측변과 중첩하는 소스 전극(S), 그리고 게이트 전극(G)의 타측변과 중첩하고 소스 전극(S)과 대향하는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한다. 특히, 소스 전극(S)과 드레인 전극(D)은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으나, 그 하부에서 게이트 절연막(G)를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G)과 중첩하는 반도체 층(A)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소스 전극(S)과 드레인 전극(D) 사이의 소스-드레인 금속을 제거하되, 그 하부의 반도체 물질은 남겨두어야 하므로, 하프-톤 마스크(HTM)를 사용한다.
하프톤 마스크(HTM)는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을 완전히 차단하는 블랙 부분(BT)과 자외선을 온전히 통과시키는 화이트 부분(WT), 그리고 자외선을 일부만 통과 시키는 회색조인 하프톤(HT) 부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하프톤 마스크(HTM)를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PR)을 패턴하면, 화이트 부분(WT)에는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없앨 수 있고, 블랙 부분(BT)는 포토레지스트(PR)가 그대로 남는다. 반면에, 하프톤(HT) 부분에는 얇은 두께를 갖는 포토레지스트(PR)가 남는다. (도 5b)
이와 같이 현상된 포토레지스트(PR)를 이용하여, 반도체 물질(AM)과 소스-드레인 금속(SDM)을 동시에 패턴한다. 그러면, 화이트 부분(WT)에 대응하는 부분의 반도체 물질(AM)과 소스-드레인 금속(SDM)은 모두 식각되고, 블랙 부분(BT)에 대응하는 부분의 반도체 물질(AM)과 소스-드레인 금속(SDM)은 그대로 남는다. 한편, 하프톤(HT) 부분은 얇은 포토레지스트(PR)와 소스-드레인 금속(SDM)이 제거되는 반면, 반도체 물질(AM)은 제거되지 않고 남는다.
즉, 소스 전극(S)과 드레인 전극(D) 사이의 반도체 물질(AM)은 반도체 층(A)으로 채널을 형성한다. 한편, 소스 전극(S) 및 데이터 배선(DL) 하부에 남는 반도체 물질(AM)은 더미 소스(DS)로 남는다. 마찬가지로, 드레인 전극(D) 하부에도 반도체 물질(AM)로 이루어진 더미 드레인(DD)이 남는다. 그리고, 데이터 패드(DP) 하부에도 더미 데이터 패드(DDP)가 남는다. 즉, 드레인 전극(D)의 가장자리는 더미 드레인(DD)의 가장자리와 거의 일치하여 패턴된 형상을 갖는다. (도 5c)
소스-드레인 요소들이 형성된 기판(SUB) 전면에 ITO와 같은 투명 도전물질을 증착한다. 제3 마스크 공정으로 투명 도전물질을 패턴하여, 게이트 절연막(GI) 위의 화소 영역 내에 화소전극(PXL)을 형성한다. 화소전극(PXL)은 드레인 전극의 일부를 덮으면서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화소 전극(PXL)은 게이트 배선(GL)과 데이터 배선(DL)이 교차하여 형성한 화소 영역 내에서 대략 장방형의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데이터 패드(DP) 위에 보조 데이터 패드(ADP)를 형성한다. 특히, 보조 데이터 패드(ADP)는 데이터 패드(DP)와 더미 데이터 패드(DDP)를 완전히 덮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d)
화소 전극(PXL)이 형성된 기판(SUB) 전면에 보호막(PAS)을 도포한다. 제4 마스크 공정으로, 보호막(PAS)을 패턴하여 보조 데이터 패드(ADP) 일부를 노출하는 데이터 패드 콘택홀(DPCH)을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보호막(PAS)과 게이트 절연막(GI)을 패턴하여, 게이트 패드(GP)의 일부를 노출하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GPCH)을 형성한다.
여기서, 데이터 패드 콘택홀(DPCH)이 형성된 후에, 게이트 절연막(GI)에 대한 식각공정을 계속 진행하여 게이트 패드 콘택홀(GPCH)을 형성한다. 따라서, 데이터 패드 콘택홀(DPCH)을 통해 노출된 보조 데이터 패드(ADP)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GPCH)이 완성될 때까지 계속 식각 상태에 노출된다. 그러나, 보조 데이터 패드(ADP)를 이루는 투명 도전물질인 ITO는 절연막을 식각하는 식각액에 대해서 소스-드레인 금속보다도 더 강한 내식각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게이트 절연막(GI)을 식각하는 도중에도 식각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건식 식각법을 사용할 경우 식각 반응 가스로는 SF6, O2, HCl 및 H 가스를 혼합해서 사용한다. 패드부를 보면,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소스-드레인 물질로 만들어진 데이터 패드(DP)를 ITO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 패드(ADP)가 보호하고 있다. 몰리브덴은 식각 반응 가스인 SF6, O2, HCl 및 H의 혼합 가스에 대해 쉽게 반응하여 식각되지만, ITO는 내 식성이 강해서 게이트 절연막(GI)를 식각하는 동안 보조 데이터 패드(ADP)가 데이터 패드(DP)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습식 식각을 사용하여 무기 혹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막(PAS) 및 게이트 절연막(GI)을 패턴할 때도, 식각액의 조성을 조절하여 ITO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 패드(ADP)가 데이터 패드(DP)를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FFS 타입의 경우와 같이, 보호막(PAS)의 두께가 6000Å 정도로 이어서 보호막(PAS) 식각 속도를 높이기 위해 강산성 식각액을 사용하더라도, 보조 데이터 패드(ADP)는 충분한 내식성을 갖도록 식각액의 조성을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보조 데이터 패드(ADP)는 데이터 패드(DP) 및 더미 데이터 패드(DDP)를 온전히 보호한 상태를 유지하여, 보조 데이터 패드(ADP)의 상부 표면이 데이터 패드 콘택홀(73)에 노출된다.(도 5e)
보호막(PAS) 위에 ITO와 같은 투명 도전물질을 다시 증착한다. 제5 마스크 공정으로, 투명 도전물질을 패턴하여, 게이트 배선(GL)과 나란하게 진행하는 공통 배선(CL), 공통 배선(CL)에서 분기하는 공통 전극(COM), 게이트 패드 단자(GPT) 및 데이터 패드 단자(DPT)를 형성한다. 공통 전극(COM)은 보호막(PAS)을 사이에 두고 화소 전극(PXL)과 중첩하도록 형성한다. 특히,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나열된 막대 모양으로 형성한다. 게이트 패드 단자(GPT)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GPCH)을 통해 노출된 게이트 패드(GP)와 접촉한다. 그리고, 데이터 패드 단자(DPT)는 데이터 패드 콘택홀(DPCH)을 통해 노출된 데이터 패드(DP)와 접촉한다. (도 5f)
본 실시 예에서는 공통 배선(CL)을 공통 전극(COM)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층에 형성하였다. 그러나, 편의에 따라서는 공통 배선(CL)을 게이트 요소와 동일한 물질 및 동일한 층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GPCH)을 형성할 때 공통 배선(CL)의 일부를 노출하는 공통 콘택홀을 더 형성하고, 공통 전극(COM)이 공통 콘택홀을 통해 공통 배선(CL)과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FFS 타입의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제조 방법은 하프톤 마스크를 사용하여 마스크 공정 수를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소스-드레인 층에 형성되는 데이터 패드를 화소 전극을 형성할 때, 보조 데이터 패드로 보호한다. 보조 데이터 패드는 데이터 패드를 노출하는 콘택홀을 형성하는 식각액에 대한 충분한 내식성을 가지므로, 콘택홀을 통해 보조 데이터 패드의 상부 면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최종 패드 단자가 콘택홀을 통해 보조 데이터 패드의 상부 표면과 면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데이터 패드와 데이터 패드 단자 사이에 접촉 저항이 낮아지며, 전기 신호 인가시 과부하나 전기 신호 지연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데이터 패드부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할 때, 구동 IC를 별도로 실장하지 않고, 액정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기판 위에 함께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된 도전물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특히, 게이트 층과 소스-드레인 층 사이에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점핑을 구성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의 게이트 구동 IC 일부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하는 GIP(Gate In Panel) 구조를 살펴본다. 이 경우, 게이트 층에 GSP(Gate Signal Pulse), GE(Gate Enable), GSC(Gate Signal Clock) 등과 같은 신호를 전송하는 연결 배선을 유리 기판 위에 LOG(Line On Glass) 방식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게이트 구동 IC를 구성하는 TFT의 소스부와 연결하는 경우가 있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FFS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서 게이트 층과 소스-드레인 층을 연결하는 점핑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FFS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서 게이트 층과 소스-드레인 층을 연결하는 점핑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종래의 경우와 본 발명의 경우를 비교하는데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종래의 도면과 본 발명의 도면들에서 도면 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SUB) 위에 게이트 요소(GE)가 형성된다. 여기서 게이트 요소(GE)는 GIP 구조를 갖는 액정패널에서 LOG 방식으로 형성된 배선일 수 있다. 특히, GSP, GE, GSC 등과 같은 게이트 구동 IC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일 수 있다. 게이트 요소(GE)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GI)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GI) 위에 반도체 물질(AM)과 소스-드레인 금속(SDM)으로 이루어진 소스-드레인 요소(SDE)가 형성된다. 소스-드레인 요소(SDE)는 GIP 구조를 갖는 게이트 구동 IC의 소스 전극일 수 있다. 소스-드레인 요소(SDE) 위에는 보호막(PAS)가 전면 도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게이트 요소(GE)와 소스-드레인 요소(SDE)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할 때, 게이트 요소(GE)의 일부를 노출하는 게이트 콘택홀(GCH)과 소스-드레인 요소(SDE)의 일부를 노출하는 소스-드레인 콘택홀(SDCH)을 형성한다.
이 때, 보호막(PAS)를 먼저 식각하여 소스-드레인 콘택홀(SDCH)을 형성한 다음, 계속 식각을 진행해서 게이트 콘택홀(GCH)을 형성한다. 그러면, 식각액에 노출된 소스-드레인 요소(SDE)가 게이트 절연막(GI)를 패턴하는 동안 같이 식각되어 소스-드레인 콘택홀(SDCH)을 통해서는 소스-드레인 금속(SDM)의 식각 측벽만이 노출된다. 이 후에, 연결 단자(CT)를 형성하여 게이트 요소(GE)와 소스-드레인 요소(SDE)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러면, 도 6에서와 같이, 연결 단자(CT)는 게이트 요소(GE)와는 노출된 상부 표면과 면 접촉을 이루지만, 소스-드레인 요소(SDE)와는 소스-드레인 금속(SDM)의 식각된 측변과 접촉을 이룬다. 즉, 소스-드레인 요소(SDE)와 연결 단자(CT)와의 전기적 연결은 충분한 면 접촉을 이루지 못해 접촉 저항이 증가하여 접촉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반면에,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 단자는 소스-드레인 요소와 면 접촉을 이룰 수 있다. 기판(SUB) 위에 게이트 요소(GE)가 형성된다. 여기서 게이트 요소(GE)는 GIP 구조를 갖는 액정패널에서 LOG 방식으로 형성된 배선일 수 있다. 특히, GSP, GE, GSC 등과 같은 게이트 구동 IC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일 수 있다. 게이트 요소(GE)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GI)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GI) 위에 반도체 물질(AM)과 소스-드레인 금속(SDM) 그리고, 보조 소스-드레인 물질(ASDM)이 차례로 적층된 소스-드레인 요소(SDE)가 형성된다. 여기서, 소스-드레인 요소(SDE)는 GIP 구조를 갖는 게이트 구동 IC의 소스 전극일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소스-드레인 물질(ASDM)은 패드 단자를 형성할 때 사용하는 ITO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스-드레인 요소(SDE) 위에는 보호막(PAS)이 전면 도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게이트 요소(GE)와 소스-드레인 요소(SDE)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할 때, 게이트 요소(GE)의 일부를 노출하는 게이트 콘택홀(GCH)과 소스-드레인 요소(SDE)의 일부를 노출하는 소스-드레인 콘택홀(SDCH)을 형성한다.
이 때, 보호막(PAS)를 먼저 식각하여 소스-드레인 콘택홀(SDCH)을 형성한 다음, 계속 식각을 진행해서 게이트 콘택홀(GCH)을 형성한다. 소스-드레인 콘택홀(SDCH)에 노출된 보조 소드스드레 물질(ASDM)은 보호막(PAS) 및 게이트 절연막(GI)를 식각하는 식각액에 대한 내식각성이 우수하여 게이트 콘택홀(GCH)이 형성되는 동안 식각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이 후에, 연결 단자(CT)를 형성하여 게이트 요소(GE)와 소스-드레인 요소(SDE)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러면, 도 7에서와 같이, 연결 단자(CT)는 게이트 요소(GE) 및 소스-드레인 요소(SDE) 모두에 대해서 노출된 상부 표면과 면 접촉을 이룬다.
만일, 보호막(PAS)이나 게이트 절연막(GI)의 두께를 더욱 두껍게 형성해야 하는 경우, 식각액의 식각 성능을 높일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스-드레인 요소(SDE)를 형성하는 반도체 물질(AM)과 소스-드레인 물질(SDM) 그리고, 보조 소스-드레인 물질(ASDM) 중에서 보조 소스-드레인 물질(ASDM)이 식각될 수 있다. 심지어는 소스-드레인 물질(SDM)의 일부도 식각될 수 있다. 그러나, 소스-드레인 물질(SDM)이 완전히 식각되지는 않고, 일부 두께가 남아 소스-드레인 요소(SDE)는 상부 표면이 소스-드레인 콘택홀(SDCH)를 통해 노출된다. 이 경우에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단자(CT)는 게이트 요소(GE) 및 소스-드레인 요소(SDE) 모두에 대해서 노출된 상부 표면과 면 접촉을 이룬다.
이와 같이, GIP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 패널에서 LOG 방식으로 게이트 층에 형성된 배선과, 게이트 구동 IC의 소스 전극을 콘택홀을 통해 점핑하고자 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스 전극과 점핑 전극이 면 접촉을 이루기 때문에 접촉 저항을 낮게 유지할 수 있고, 전기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소스-드레인 요소(SDE)와 연결 단자(CT) 그리고, 게이트 요소(GE)와 연결 단자(CT)와의 전기적 연결은 항상 충분한 면 접촉을 이루기 때문에, 접촉 저항을 낮게 유지할 수 있고, 전기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양호한 품질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7, TFT: 박막트랜지스터 1, SUB: 기판
13, GL: 게이트 라인 53, CL: 공통 라인
23, DL: 데이터 라인 45, PXL: 화소 전극
55, COM: 공통 전극 17, GP: 게이트 패드
27, DP: 데이터 패드 19, GPT: 게이트 패드 단자
DDP: 더미 데이터 패드 ADP: 보조 데이터 패드
29, DPT: 데이터 패드 단자 71, GPCH: 게이트 패드 콘택홀
73, DPCH: 데이터 패드 콘택홀 COMCH: 공통 콘택홀
GCH: 게이트 콘택홀 SDCH: 소스-드레인 콘택홀
GE: 게이트 요소 SDE: 소스-드레인 요소
AM: 반도체 물질 SDM: 소스-드레인 물질
15, G: 게이트전극 25, S: 소스전극
35, D: 드레인전극 37, A: 반도체 층
11, GI: 게이트 절연막 41, PAS: 보호막
PR: 포토레지스트 HTM: 하프톤 마스크
HT: 하프톤 부분 CT: 연결단자

Claims (9)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게이트 요소;
    상기 게이트 요소를 덮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서 소스-드레인 물질 및 보조 도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소스-드레인 요소;
    상기 소스-드레인 요소를 덮는 보호막;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게이트 요소의 상부 표면 일부 및 상기 소스-드레인 요소의 상부 표면 일부를 노출하는 콘택홀 요소; 그리고
    상기 보호막 위에서 상기 게이트 요소 및 상기 소스-드레인 요소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는 단자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요소는,
    게이트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게이트 패드, 그리고 상기 게이트 배선에서 분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드레인 요소는,
    상기 게이트 배선과 직교하는 데이터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 상기 데이터 패드 위에 적층된 보조 데이터 패드, 상기 데이터 배선에서 분기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일측부와 중첩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소스 전극과 대향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의 타측부와 중첩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콘택홀 요소는,
    상기 보호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게이트 패드를 노출하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 그리고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데이터 패드를 노출하는 데이터 패드 콘택홀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요소는,
    상기 게이트 패드 콘택홀을 통해 상기 게이트 패드의 상부 표면과 면 접촉을 하는 게이트 패드 단자,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드 콘택홀을 통해 상기 보조 데이터 패드의 상부 표면과 면 접촉을 하는 데이터 패드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3. 기판;
    상기 기판 위에서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직교하며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게이트 패드 및 상기 데이터 배선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촉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된 화소전극,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드 상부 표면을 덮는 보조 도전층;
    상기 보조 도전층 및 상기 화소 전극을 덮는 보호막;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도전층 일부를 노출하는 데이터 패드 콘택홀, 그리고 상기 보호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게이트 패드 일부를 노출하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 그리고
    상기 보호막 위에서, 상기 화소전극과 중첩하면서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평행 배열된 다수 개의 공통 전극, 상기 게이트 패드 콘택홀을 통해 상기 게이트 패드와 접촉하는 게이트 패드 단자,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드 콘택홀을 통해 상기 보조 도전층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데이터 패드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배선에서 분기된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과 중첩되는 반도체 층;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배선에서 분기하여 상기 반도체 층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데이터 배선과 소스 전극 하부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 층에서 연장된 더미 소스; 그리고
    상기 반도체 층의 타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소스 전극과 대향하는 드레인 전극, 그리고 상기 반도체 층에서 연장되어 상기 드레인 전극 하부에 형성된 더미 드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5. 기판 위에 게이트 물질을 증착하고 패턴하여 게이트 요소를 형성하는 제1 마스크 공정;
    상기 게이트 요소를 덮는 게이트 절연막, 반도체 물질, 및 소스-드레인 물질을 연속으로 증착하고, 상기 반도체 물질과 상기 소스-드레인 물질을 패턴하여 소스-드레인 요소를 형성하는 제2 마스크 공정;
    상기 소스-드레인 요소 위에 제1 투명 도전물질을 증착하고 패턴하여, 상기 소스-드레인 물질과 면 접촉하는 전극요소를 형성하는 제3 마스크 공정;
    상기 전극요소 위에 보호막을 증착하고 패턴하여, 상기 게이트 요소의 상부 표면 일부 및 상기 전극 요소의 상부 표면 일부를 노출하는 콘택홀 요소를 형성하는 제4 마스크 공정; 그리고
    상기 보호막 위에 제2 투명 도전물질을 증착하고 패턴하여, 상기 게이트 요소 및 상기 전극 요소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는 단자 요소를 형성하는 제5 마스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크 공정의 상기 게이트 요소는,
    게이트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게이트 패드, 그리고 상기 게이트 배선에서 분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스크 공정의 상기 소스-드레인 요소는,
    상기 게이트 배선과 직교하는 데이터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 상기 데이터 배선에서 분기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일측부와 중첩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소스 전극과 대향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의 타측부와 중첩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마스크 공정의 상기 전극 요소는,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화소전극,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드와 면 접촉하면서 상부 표면을 덮는 보조 데이터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마스크 공정의 상기 콘택홀 요소는,
    상기 보호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게이트 패드의 상부 표면 일부를 노출하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 그리고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데이터 패드를 덮는 상기 보조 데이터 패드의 상부 표면 일부를 노출하는 데이터 패드 콘택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5 마스크 공정의 상기 단자 요소는,
    상기 게이트 패드의 상부 표면과 면 접촉을 하는 게이트 패드 단자,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드와 면 접촉을 하는 상기 보조 데이터 패드의 상부 표면과 면접촉을 하는 데이터 패드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제조 방법.
  7. 기판 위에 게이트 금속을 증착하고 패턴하여 게이트 요소를 형성하는 제1 마스크 공정;
    상기 게이트 물질위에 게이트 절연막, 반도체 물질 및 소스-드레인 금속을 연속으로 도포하고, 상기 반도체 물질 및 소스-드레인 금속을 패턴하여 소스-드레인 요소를 형성함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를 완성하는 제2 마스크 공정;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제1 투명 도전물질을 증착하고 패턴하여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일부와 연결된 화소전극 및 상기 소스-드레인 요소 일부의 상부 표면과 면 접촉하는 보조 전극을 형성하는 제3 마스크 공정;
    상기 화소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이 형성된 상기 기판 전면을 덮는 보호막을 도포하고 패턴하여 게이트 요소의 일부를 노출하는 게이트 콘택홀 및 소스-드레인 요소를 덮는 상기 보조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데이터 콘택홀을 형성하는 제4 마스크 공정; 그리고
    상기 보호막 위에 제2 투명 도전물질을 증착하고 패턴하여 상기 화소전극과 중첩하며 일정 간격 떨어져 평행하게 배열된 공통전극, 상기 게이트 콘택홀을 통해 상기 게이트 요소 일부와 면 접촉하는 게이트 단자, 그리고 상기 데이터 콘택홀을 통해 상기 데이터 요소를 덮는 상기 보조 전극의 일부와 면 접촉하는 데이터 단자를 형성하는 제5 마스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크 공정은
    게이트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에서 분기된 게이트 전극; 그리고
    상기 게이트 배선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게이트 패드를 포함하는 상기 게이트 요소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마스크 공정은 상기 하프톤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과 중첩되는 반도체 층;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서 상기 게이트 배선과 직교하는 데이터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 상기 데이터 배선에서 분기하여 상기 반도체 층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데이터 배선과 소스 전극 하부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도체 층에서 연장된 더미 소스; 그리고
    상기 반도체 층의 타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소스 전극과 대향하는 드레인 전극, 그리고 상기 반도체 층에서 연장되어 상기 드레인 전극 하부에 형성된 더미 드레인을 형성하며,
    상기 제3 마스크 공정의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데이터 패드를 덮으면서 면 접촉하는 보조 데이터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마스크 공정의 상기 게이트 콘택홀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게이트 패드 일부를 노출하는 게이트 패드 콘택홀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콘택홀은,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데이터 패드를 덮는 상기 보조 데이터 패드의 상부 표면 일부를 노출하는 데이터 패드 콘택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5 마스크 공정의 게이트 단자는, 상기 게이트 패드 콘택홀을 통해 상기 게이트 패드와 면 접촉하는 게이트 패드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단자는, 상기 데이터 패드 콘택홀을 통해 상기 데이터 패드를 덮는 상기 보조 데이터 패드의 상부 표면과 면 접촉하는 데이터 패드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크 공정의 게이트 요소는, 상기 게이트 배선과 평행하게 배열된 공통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마스크 공정의 게이트 콘택홀은, 상기 보호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공통 배선의 일부를 노출하는 공통 콘택홀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5 마스크 공정의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공통 콘택홀을 통해 상기 공통 배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제조 방법.
KR1020100032767A 2010-04-09 2010-04-09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Active KR101695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767A KR101695022B1 (ko) 2010-04-09 2010-04-09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767A KR101695022B1 (ko) 2010-04-09 2010-04-09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398A true KR20110113398A (ko) 2011-10-17
KR101695022B1 KR101695022B1 (ko) 2017-01-11

Family

ID=4502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767A Active KR101695022B1 (ko) 2010-04-09 2010-04-09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02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1997A (ko) * 2011-12-21 2013-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97685A (ko) * 2013-01-28 2014-08-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00139A (ko) * 2013-06-24 2015-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01140A (ko) * 2013-06-26 2015-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EP2854176A1 (en) * 2013-09-30 2015-04-0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4681587A (zh) * 2013-12-02 2015-06-03 三星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60029226A (ko) * 2014-09-04 2016-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협지 연결 단자를 갖는 협 베젤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US9746725B2 (en) 2013-02-15 2017-08-29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541A (ko) * 2004-09-24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080476A (ko) * 2006-02-07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3 마스크 공정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080062123A (ko) * 2006-12-29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80855A (ko) * 2007-03-02 2008-09-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541A (ko) * 2004-09-24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080476A (ko) * 2006-02-07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3 마스크 공정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080062123A (ko) * 2006-12-29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80855A (ko) * 2007-03-02 2008-09-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1997A (ko) * 2011-12-21 2013-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97685A (ko) * 2013-01-28 2014-08-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US9746725B2 (en) 2013-02-15 2017-08-29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00139A (ko) * 2013-06-24 2015-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01140A (ko) * 2013-06-26 2015-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EP2854176A1 (en) * 2013-09-30 2015-04-0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150091101A1 (en) * 2013-09-30 2015-04-0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9818767B2 (en) 2013-09-30 2017-11-14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jumping structure with connection electrod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4681587A (zh) * 2013-12-02 2015-06-03 三星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60029226A (ko) * 2014-09-04 2016-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협지 연결 단자를 갖는 협 베젤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022B1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44864B (zh) 用于面内切换模式液晶显示设备的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
US8754415B2 (en) High light transmittance in-plane switch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113398A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0378547C (zh) 垂直排列模式的液晶显示装置
US8502945B2 (en) Array substrate of fringe field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031283B2 (en) Active matrix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599348B2 (en) High light transmittance in-plane switch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57972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831491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exposure mask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CN101482677A (zh) 液晶显示装置以及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1973753B1 (ko)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8350975B2 (en) Array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61444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3467145A (zh) 阵列基板及制作方法、显示面板
KR20120115837A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방식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00582A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20081273A1 (en) Pixel structure, pixel array and display panel
US9684216B2 (en) Pixel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386189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05180B1 (ko) 프린지 수평 전계형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43019B1 (ko) 액정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080020100A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5520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3377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97758B1 (ko) 프린지 수평 전계형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3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4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