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03718A -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718A
KR20110103718A KR1020100022920A KR20100022920A KR20110103718A KR 20110103718 A KR20110103718 A KR 20110103718A KR 1020100022920 A KR1020100022920 A KR 1020100022920A KR 20100022920 A KR20100022920 A KR 20100022920A KR 20110103718 A KR20110103718 A KR 20110103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user
dynamic
external device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연
권용환
윤여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2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3718A/ko
Priority to US12/847,867 priority patent/US20110221686A1/en
Priority to EP10171590.2A priority patent/EP2367098A3/en
Priority to EP17185494.6A priority patent/EP3270276A1/en
Publication of KR2011010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71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는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연속된 터치 입력이 터치시작의 제1위치와 터치종료의 제2위치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정적터치 또는 동적터치로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두 위치가 동일한 정적터치이면, 상기 터치위치에 대응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두 위치가 상이한 동적터치이면, 상기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동적터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동적터치 입력에 따른 외부장치의 제어신호 송신의 경우,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을 보지 않고도 외부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점점 터치 스크린화 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의하여, TV, STB 등 외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 역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경우, 외부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는 사용자는 반드시 상기 외부장치의 화면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터치 스크린에 포함된 GUI를 반드시 교대로 확인하면서 특정 GUI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외부장치를 제어하여야만 하였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이 가중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장치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판단하여 터치 스크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를 실행시키거나, 외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터치입력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어, 사용자가 반드시 포터블 디바이스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을 보지 않고, 외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는,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연속된 터치 입력이 터치시작의 제1위치와 터치종료의 제2위치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정적터치 또는 동적터치로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두 위치가 동일한 정적터치이면, 상기 터치위치에 대응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두 위치가 상이한 동적터치이면, 상기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동적터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거리 및 제1위치의 터치시작부터 제2위치의 터치종료까지의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정적 또는 동적 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터치 동작의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적터치인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한 터치 동작의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 동작의 방향은 상하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장치는 방송수신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 동작의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는,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채널 전환, 볼륨 조정 및 메뉴 선택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동적터치로 판단된 터치입력이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동적터치에 대응하는 동작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한 사용자의 연속된 터치입력이 터치시작의 제1위치와 터치종료의 제2위치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정적터치 또는 동적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상기 두 위치가 동일한 정적터치이면, 상기 터치위치에 대응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두 위치가 상이한 동적터치이면, 상기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동적터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판단계는,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거리 및 제1위치의 터치시작부터 제2위치의 터치종료까지의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정적 또는 동적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방법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터치 동작의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동적터치인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한 터치 동작의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 동작의 방향은 상하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장치는 방송수신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 동작의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는,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채널 전환, 볼륨 조정 및 메뉴 선택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단계는, 동적터치로 판단된 터치입력이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동적터치에 대응하는 동작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종류를 판단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를 실행시키거나, 또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의 화면이 세로방향(Portrait direction) 또는 가로방향(landscape direction)인지 여부와는 관계없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방향을 파악함으로써,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반드시 포터블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을 보지 않고 외부장치의 화면에 시선을 고정한 채 외부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터치를 보여주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터치 후 연속키 입력을 보여주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동작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 시스템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 시스템은 포터블 디바이스(100) 및 외부장치(200)를 포함한다.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외부장치(200)는 소정의 통신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부를 통하여 각종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외부장치(200)로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터치입력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외부장치(200)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어떠한 휴대용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시로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스마트 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를 실행시키거나 또는 외부장치(100)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장치(200)는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는 텔레비전으로 구현할 수 있다. 외부장치가 텔레비전으로 구현되는 경우, 외부장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100)와 연결되어 있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지 않는 셋탑 박스(Set Top Box)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장치(200)는 포터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포터블 디바이스(100)에 대한 제어블록도인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터치 스크린(120), 제어부(130) 및 센서(14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외부장치(200)와 통신하며, 외부장치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외부장치(200)와 IR 신호로 통신하지 않고, RF, 유무선 LAN (특히,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같은 신호로 통신한다.
터치 스크린(120)은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는 하기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는 외부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UI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장치가 방송수신장치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는, 방송수신장치의 메뉴 선택 UI; 방송수신장치와 연결되는 BD 및/또는 DVD 연결의 UI; 동영상, MP3, 사진과 같은 컨텐츠 재생 UI; 화질, 음향, 채널 목록 등의 셋팅 메뉴 UI; 채널전환 또는 볼륨조정의 UI 메뉴; 업다운 또는 숫자 UI 등 일반적인 리모트 컨트롤러에 포함된 항목들이 터치 스크린 상의 UI 메뉴로써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는 스마트 폰 고유의 UI 메뉴로서, 전화통화를 위한 UI; SMS/MMS를 위한 UI; 인터넷 연결 UI; MP3/비디오 재생 UI; 스마트 폰 셋팅 UI; 기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UI 등을 포함하며, 터치 스크린 상의 UI 메뉴로써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터치 스크린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저항막식, 표면저항식 또는 정전용량식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터치시작 및 터치 종료의 연속적인 터치 입력의 위치 및/또는 시간을 감지하여 후술할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터치 스크린(120)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연속된 터치 입력이 터치시작의 제1위치와 터치종료의 제2위치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정적터치 또는 동적터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두 위치가 동일한 정적터치이면, 상기 터치위치에 대응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두 위치가 상이한 동적터치이면, 상기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동적터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터치 스크린(120)으로부터 감지된 터치시작의 제1위치 및 터치종료의 제2위치의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 사이의 거리 및/또는 시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위치 및 제2위치의 동일성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상기 제1위치 및 제2위치의 동일성은 상기 두 위치의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의 숫자적인 완벽한 동일뿐만 아니라, 상기 두 위치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UI 메뉴가 차지하는 면적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의 좌표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여, 소정 거리의 범위 내이면 상기 두 위치는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1위치의 터치 시작과 제2위치의 터치 종료 사이의 시간을 판단하여, 소정 시간의 범위 내이면 상기 두 위치는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제1위치 및 제2위치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정적터치로 판단하고, 제1위치 및 제2위치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동적터치로 판단한다.
사용자에 의한 연속적인 터치입력이 정적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위치 및 제2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시킨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외부장치(200)를 제어하는 UI 메뉴들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되고, 외부장치(200)가 TV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연속적인 터치 입력이 정적터치로 판단되고, 상기 터치위치에 대응하는 UI 메뉴가 DVD 연결의 UI 메뉴인 경우, 제어부는 DVD 연결의 제어신호를 상기 TV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다라, 포터블 디바이스(100)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UI 메뉴들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연속적인 터치 입력이 정적터치로 판단되고, 상기 터치위치에 대응하는 UI 메뉴가 SMS를 위한 UI인 경우, 제어부는 SMS를 위한 UI에 대응하여 SMS 메시지 동작을 실행시킨다.
한편, 사용자에 의한 연속적인 터치입력이 동적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외부장치(200)를 제어하는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동적터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외부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한 연속적인 터치입력이, 터치시작의 제1위치 및 터치종료의 제2위치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 상의 좌표 상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상이면, 또는 상기 두 위치 사이에 소정의 시간 범위 이상이면, 동적터치로 판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터치 동작의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터치동작의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는 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한 연속적인 터치입력이 동적터치로 판단되면, 상기 센서(140)에 의해 감지된 터치동작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터치동작의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외부장치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이 때, 터치동작의 방향은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터치동작의 방향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화면의 방향이 세로방향(portrait direction)이고, 사용자에 의한 연속적인 터치입력이 동적터치로 판단되고, 터치시작의 제1위치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 쪽에 위치하고, 터치종료의 제2위치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제1위치보다 사용자로부터 더욱 멀어지는 경우, 터치동작은 하(下)에서 상(上)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터치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가 서로 역이 되면, 이는 상(上)에서 하(下)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터치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화면의 방향이 세로방향(portrait direction)이고, 사용자에 의한 연속적인 터치입력이 동적터치로 판단되고, 터치시작의 제1위치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좌측에 위치하고, 터치종료의 제2위치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제1위치보다 사용자의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터치동작은 좌(左)에서 우(右)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터치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가 서로 역이 되면, 이는 우(右)에서 좌(左)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터치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터치동작의 방향이 터치 스크린의 화면 방향이 아닌 사용자 기준 방향임을 더욱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
도 4의 (A)의 경우, 터치화면의 방향이 세로방향(portrait direction)인 도 3(A)와는 달리, 터치 화면이 가로방향(landscape direction)으로 되어 있다. 그렇다 할지라도, 사용자에 의한 연속적인 터치입력이 동적터치로 판단되고, 터치시작의 제1위치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 쪽에 위치하고, 터치종료의 제2위치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제1위치보다 사용자로부터 더욱 멀어지는 경우, 터치동작은 하에서 상(上)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터치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어부(130)는, 도 3(A)에서와 동일한 터치동작의 방향으로 판단한다.
또한, 도 4(B)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도 3(B)와 달리 터치화면이 가로방향(landscape direction)으로 되어 있다. 그렇다 할지라도, 사용자에 의한 연속적인 터치입력이 동적터치로 판단되고, 터치시작의 제1위치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좌측에 위치하고, 터치종료의 제2위치가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제1위치보다 사용자의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터치동작은 좌(左)에서 우(右)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터치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어부(130)는, 도 3(B)에서와 동일한 터치동작의 방향으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는, 외부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동적터치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보지 않고 상하좌우의 터치동작의 입력만으로도 상기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5의 경우, 연속키 입력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로부터 동적터치로 판단된 터치입력이 소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동적터치에 대응하는 동작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상방향의 동적터치로 판단된 터치입력이 소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상기 상방향의 동적터치에 대응하는 동작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기 터치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외부장치가 TV, STB 등을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이고,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스마트 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터치동작의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는,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채널전환, 볼륨조정 및 메뉴 선택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특정 채널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있고, 사용자에 의한 연속적인 터치 입력이 동적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140)에 의해 감지된 터치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동작의 방향이 사용자 기준으로 상하(上下)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채널전환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즉, 도 3(A) 또는 도 4(A)와 같이, 터치동작의 방향이 상(上)방향이면, 제어부는, 상기 특정 채널보다 +1의 상위 넘버의 채널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상방향의 터치동작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 시간 입력이 지속되는 경우, 상기 특정 채널로부터 상위 넘버로의 채널전환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또는,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특정 채널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있고, 사용자에 의한 연속적인 터치 입력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좌우(左右)방향의 동적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볼륨조정의 제어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즉, 도 3(B) 또는 도 4(B)와 같이, 터치동작의 방향이 우(右)방향이면, 제어부는, 볼륨의 크기를 +1 높이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우(右)방향의 터치동작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 시간 입력이 지속되는 경우, 상기 볼륨의 크기를 지속적으로 높이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한편, 방송수신장치가 메뉴 설정의 화면/EPG 화면을 표시하고 있고, 사용자에 의한 연속적인 터치 입력이 동적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동작의 상하좌우방향을 상기 메뉴 설정 화면/EPG화면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하좌우 방향키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즉, 도 3(A) 또는 도 4(A)와 같이, 터치동작의 방향이 상(上)방향 또는 그 역인 하(下)방향은 up/down 키에 대응하고, 도 3(B) 또는 도 4(B)와 같이, 터치동작의 방향이 우(右)방향 또는 그 역인 좌(左)방향은 right/left 키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연속적인 터치입력이 감지되면(S11), 상기 연속적인 터치입력이 터치시작의 제1위치와 터치종료의 제2위치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정적터치인지, 동적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제1위치 및 제2위치가 동일한 정적터치이면, 사기 터치위치에 대응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S13),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제1위치 및 제2위치가 서로 상이한 동적터치이면, 상기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동적터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S14).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포터블 디바이스 110: 통신부
120: 터치 스크린 130: 제어부
140: 센서 200: 외부장치

Claims (14)

  1.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연속된 터치 입력이 터치시작의 제1위치와 터치종료의 제2위치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정적터치 또는 동적터치로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두 위치가 동일한 정적터치이면, 상기 터치위치에 대응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두 위치가 상이한 동적터치이면, 상기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동적터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거리 및 제1위치의 터치시작부터 제2위치의 터치종료까지의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정적 또는 동적 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터치 동작의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적터치인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한 터치 동작의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의 방향은 상하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방송수신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의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는,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채널 전환, 볼륨 조정 및 메뉴 선택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적터치로 판단된 터치입력이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동적터치에 대응하는 동작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8.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한 사용자의 연속된 터치입력이 터치시작의 제1위치와 터치종료의 제2위치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정적터치 또는 동적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상기 두 위치가 동일한 정적터치이면, 상기 터치위치에 대응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I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두 위치가 상이한 동적터치이면, 상기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동적터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계는,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거리 및 제1위치의 터치시작부터 제2위치의 터치종료까지의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정적 또는 동적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터치 동작의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동적터치인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한 터치 동작의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의 방향은 상하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방송수신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의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는,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채널 전환, 볼륨 조정 및 메뉴 선택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동적터치로 판단된 터치입력이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동적터치에 대응하는 동작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KR1020100022920A 2010-03-15 2010-03-15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Ceased KR20110103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920A KR20110103718A (ko) 2010-03-15 2010-03-15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US12/847,867 US20110221686A1 (en) 2010-03-15 2010-07-30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0171590.2A EP2367098A3 (en) 2010-03-15 2010-08-02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7185494.6A EP3270276A1 (en) 2010-03-15 2010-08-02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920A KR20110103718A (ko) 2010-03-15 2010-03-15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169A Division KR20170039640A (ko) 2017-03-31 2017-03-31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718A true KR20110103718A (ko) 2011-09-21

Family

ID=4267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920A Ceased KR20110103718A (ko) 2010-03-15 2010-03-15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221686A1 (ko)
EP (2) EP3270276A1 (ko)
KR (1) KR201101037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473A (ko) * 2013-06-20 201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2471A1 (en) * 2010-09-13 2012-03-15 Philip Poulidis Handheld device with gesture-based video interac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20120081615A1 (en) * 2010-09-30 2012-04-05 Starr Ephraim D Remote control
KR20120100045A (ko) * 2011-03-02 2012-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그 ui 제공 방법 및 제어 방법
CN103135920A (zh) * 2011-11-22 2013-06-05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作动位置的设定方法及系统
CN103959763B (zh) * 2011-12-09 2017-06-09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基于定向来生成图像的装置和方法
JP6011937B2 (ja) * 2012-01-05 2016-10-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ッドを介する入力装置
US9507512B1 (en) * 2012-04-25 2016-11-29 Amazon Technologies, Inc. Using gestures to deliver content to predefined destinations
CN103505240B (zh) * 2012-06-29 2018-05-22 通用电气公司 超声成像设备和用于自动调整用户界面布局的装置及方法
US9785217B2 (en) 2012-09-28 2017-10-10 Synaptic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low power input object detection and interaction
US9128575B2 (en) * 2012-11-14 2015-09-08 Apacer Technology Inc. Intelligent input method
US10216402B2 (en) * 2012-12-21 2019-02-2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ted user inputs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CN103500065B (zh) * 2013-09-27 2016-06-08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的坐标变换方法和装置以及移动终端
AU2015279545B2 (en) 2014-06-27 2018-02-22 Apple Inc. Manipulation of calendar application in device with touch screen
EP3195098B1 (en) 2014-07-21 2024-10-23 Apple Inc. Remote user interface
KR20160015843A (ko) * 2014-07-3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511376B1 (ko) 2014-08-02 2023-03-17 애플 인크. 상황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EP4050467A1 (en) 2014-09-02 2022-08-31 Apple Inc. Phone user interface
WO2016036603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TWI600322B (zh) 2014-09-02 2017-09-21 蘋果公司 用於操作具有整合式相機之電子器件之方法及相關電子器件,以及非暫時性電腦可讀取儲存媒體
US10055121B2 (en) 2015-03-07 2018-08-21 Apple Inc. Activity based thresholds and feedbacks
US10216351B2 (en) 2015-03-08 2019-02-26 Apple Inc. Device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AU2017100667A4 (en) 2016-06-11 2017-07-06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CN106504776A (zh) * 2016-10-31 2017-03-15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录音功能的启动的方法及装置
US10887193B2 (en) 2018-06-03 2021-01-0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network connection settings of external devices
KR102393717B1 (ko) 2019-05-06 2022-05-03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의 제한된 동작
DK201970533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6892B2 (ja) * 2002-10-31 2009-10-2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方法および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4192635B2 (ja) * 2003-03-04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解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7814419B2 (en) * 2003-11-26 2010-10-12 Nokia Corporation Changing an orientation of a user interface via a course of motion
US20050140696A1 (en) * 2003-12-31 2005-06-30 Buxton William A.S. Split user interface
US7481910B2 (en) * 2004-06-30 2009-01-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plating film impurities
US20060007176A1 (en) * 2004-07-06 2006-01-12 Chung-Yi Shen Input method and control module defined with an initial position and moving directions and electronic product thereof
US7266777B2 (en) * 2004-09-08 2007-09-04 Universal Electronics Inc. Configurable controlling device having an associated editing program
KR20070113025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US20090262074A1 (en) * 2007-01-05 2009-10-22 Invensense Inc. Controlling and accessing content using motion processing on mobile devices
KR101397152B1 (ko) * 2007-06-12 201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681104B2 (en) * 2007-06-13 2014-03-25 Apple Inc. Pinch-throw and translation gestures
US20090002218A1 (en) * 2007-06-28 2009-01-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rection and holding-style invariant, symmetric design, touch and button based remote user interaction device
JP5239328B2 (ja) * 2007-12-21 2013-07-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タッチ動作認識方法
KR100900295B1 (ko) * 2008-04-17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디바이스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US9454256B2 (en) * 2008-03-14 2016-09-27 Apple Inc. Sensor configurations of an input device that are switchable based on mode
US9503562B2 (en) * 2008-03-19 2016-11-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personal communication or entertainmen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473A (ko) * 2013-06-20 201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7098A2 (en) 2011-09-21
EP2367098A3 (en) 2014-07-30
EP3270276A1 (en) 2018-01-17
US20110221686A1 (en)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3718A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JP5823400B2 (ja) 複数のタッチセンサを用いたui提供方法、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携帯端末機
US7565628B2 (en) Functional icon display system and method
KR102270007B1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
CN105573628B (zh) 用户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和用于提供内容的系统
US913118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3564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632642B2 (en) Terminal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automated scroll based on moving speed
CN101290554A (zh) 提供图形用户界面的方法及其电子装置
KR20110117979A (ko)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40240263A1 (en)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341492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9142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MX2015006286A (es) Dispositivo de entrada, aparato de despliegue, sistema de despliegue y metodo para controlar los mismos.
KR101864276B1 (ko)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JP2015114760A (ja) 電子機器
JP2013143139A (ja) 入力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95755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ouch input in mobile terminal
KR201600531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164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접속 제어방법
JP2013152566A (ja) リモコン装置
KR101771837B1 (ko)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포스 입력을 제공하는 리모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2118652A (ja) メニュー表示制御装置
WO2013008330A1 (ja) 対話型画面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及び対話型画面データ送受信プログラム
US2015014954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3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3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8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1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33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