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919A - 폴리우레탄 입자와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입자와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97919A KR20110097919A KR1020117015280A KR20117015280A KR20110097919A KR 20110097919 A KR20110097919 A KR 20110097919A KR 1020117015280 A KR1020117015280 A KR 1020117015280A KR 20117015280 A KR20117015280 A KR 20117015280A KR 20110097919 A KR20110097919 A KR 201100979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urethane
- group
- particle
- polyurethane particle
- silica fin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0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150000003077 polyo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1 polytetram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12948 isocyan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150000002513 isocyanat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5056 polyisocyan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29920001228 polyisocyanat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306 compon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7764 o/w emul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OTBHHUPVCYLGQO-UHFFFAOYSA-N bis(3-aminopropyl)amine Chemical compound NCCCNCCCN OTBHHUPVCYLGQ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5058 Isophorone diisocya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NIMLQBUJDJZYEJ-UHFFFAOYSA-N isophorone diisocyanate Chemical compound CC1(C)CC(N=C=O)CC(C)(CN=C=O)C1 NIMLQBUJDJZY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426 pharmaceutical compon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009 polyurethane dispersi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WYURNTSHIVDZCO-UHFFFAOYSA-N Tetrahydrofuran Chemical compound C1CCOC1 WYURNTSHIVDZC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5667 attrac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1902 chemoattractant acti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claims 1
- 239000008177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1694 spray dr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IQPQWNKOIGAROB-UHFFFAOYSA-N isocyanate group Chemical group [N-]=C=O IQPQWNKOIGARO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2374 sebum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WRIDQFICGBMAFQ-UHFFFAOYSA-N (E)-8-Octadec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WRIDQFICGBMA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LQJBNNIYVWPHFW-UHFFFAOYSA-N 20:1omega9c fatty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LQJBNNIYVWPH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QSBYPNXLFMSGKH-UHFFFAOYSA-N 9-Heptadecensaeur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O)=O QSBYPNXLFMSG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ZQPPMHVWECSIRJ-UHFFFAOYSA-N 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5642 O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QXJSBBXBKPUZAA-UHFFFAOYSA-N iso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QXJSBBXBKPUZ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ZQPPMHVWECSIRJ-KTKRTIGZSA-N 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KTKRTIGZ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PRAKJMSDJKAYCZ-UHFFFAOYSA-N squal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PRAKJMSDJKAY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016 Aerosil® 200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367 deionis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641 deionized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MTHSVFCYNBDYFN-UHFFFAOYSA-N di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 MTHSVFCYNBDY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JXTPJDDICSTXJX-UHFFFAOYSA-N n-Triaconta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JXTPJDDICSTXJ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40032094 squalane Drugs 0.000 description 3
- WADSJYLPJPTMLN-UHFFFAOYSA-N 3-(cycloundecen-1-yl)-1,2-diazacycloundec-2-ene Chemical compound C1CCCCCCCCC=C1C1=NNCCCCCCCC1 WADSJYLPJPTML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12 Aerosi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RPNUMPOLZDHAAY-UHFFFAOYSA-N Diethylenetriamine Chemical compound NCCNCCN RPNUMPOLZDHAA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KLDJPRMSDWDSL-UHFFFAOYSA-L [dibutyl(dodecanoyloxy)stannyl] dodecano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O)O[Sn](CCCC)(CCCC)OC(=O)CCCCCCCCCCC UKLDJPRMSDWDSL-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277 amino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975 dibutyltin dilau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009 di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127 sapon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DUXYWXYOBMKGIN-UHFFFAOYSA-N trimyristin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O)OCC(OC(=O)CCCCCCCCCCCCC)COC(=O)CCCCCCCCCCCCC DUXYWXYOBMKGI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YGNTYWPHWGJRM-UHFFFAOYSA-N (6E,10E,14E,18E)-2,6,10,15,19,23-hexamethyltetracosa-2,6,10,14,18,22-hexa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YYGNTYWPHWGJR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ZAZXIUFBCPZGB-QZOPMXJLSA-N (z)-octadec-9-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YZAZXIUFBCPZGB-QZOPMXJL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08841 1,6-hexamethylene diisocya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VILCJCGEZXAXTO-UHFFFAOYSA-N 2,2,2-tetramine Chemical compound NCCNCCNCCN VILCJCGEZXAXT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HEOSNUKNHRBNM-UHFFFAOYSA-N Tetramethylsqual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BHEOSNUKNHRB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AECOWNUKCLBPZ-HIUWNOOHSA-N Triolein Natural products O([C@H](OCC(=O)CCCCCCC/C=C\CCCCCCCC)COC(=O)CCCCCCC/C=C\CCCCCCCC)C(=O)CCCCCCC/C=C\CCCCCCCC BAECOWNUKCLBPZ-HIUWNOOHSA-N 0.000 description 1
- PHYFQTYBJUILEZ-UHFFFAOYSA-N Trioleoylglycer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CC(OC(=O)CCCCCCCC=CCCCCCCCC)COC(=O)CCCCCCCC=CCCCCCCCC PHYFQTYBJUIL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723 ali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89 atom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8 bifun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CWZPGMMKDANPKU-UHFFFAOYSA-L butyl-di(dodecanoyloxy)tin Chemical class CCCC[Sn+2].CCCCCCCCCCCC([O-])=O.CCCCCCCCCCCC([O-])=O CWZPGMMKDANPKU-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59 casto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38 casto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037 cross link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42 deionis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ZEMPKEQAKRGZGQ-XOQCFJPHSA-N glycerol triricinoleate Natural products CCCCCC[C@@H](O)CC=CCCCCCCCC(=O)OC[C@@H](COC(=O)CCCCCCCC=CC[C@@H](O)CCCCCC)OC(=O)CCCCCCCC=CC[C@H](O)CCCCCC ZEMPKEQAKRGZGQ-XOQCFJPH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6 hair prepar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RAMGCGOFNQTLD-UHFFFAOYSA-N hexamethylene diisocyanate Chemical compound O=C=NCCCCCCN=C=O RRAMGCGOFNQT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165 hydrophob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21 myrist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6 no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06 polyester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1439 squal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TUHBEKDERLKLEC-UHFFFAOYSA-N squal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TUHBEKDERLKL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FAGUFWYHJQFNRV-UHFFFAOYSA-N tetraethylenepentamine Chemical compound NCCNCCNCCNCCN FAGUFWYHJQFN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HYFQTYBJUILEZ-IUPFWZBJSA-N triolein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OC(=O)CCCCCCC\C=C/CCCCCCCC)COC(=O)CCCCCCC\C=C/CCCCCCCC PHYFQTYBJUILEZ-IUPFWZBJ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17972 triolein Drug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5 wor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05D1/12—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02—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dividing the liquid material into drops, e.g. by spraying, and solidifying the drops
- B01J2/04—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dividing the liquid material into drops, e.g. by spraying, and solidifying the drops in a gaseous medi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comprising silic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2—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26—Particles within, immobilised, dispersed, entrapped in or on a matrix, e.g. a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6—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08—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12—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consisting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34—Inorganic material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91—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arrier, the coating or the obtained coated product
- B01J20/3295—Coatings made of particles, nanoparticles, fibers, nanofib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38—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 C08G18/0842—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 C08G18/0861—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a dispersing phase for the polymers or a phase dispersed in the polymers
- C08G18/0866—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a dispersing phase for the polymers or a phase dispersed in the polymers the dispersing or dispersed phase being an aqueous med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54—Polyethers containing oxyalkylene groups having four carbon atoms in the alkylene group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rmatolog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Glanulating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입자와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폴리우레탄 입자는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와 입자 본체 표면을 피복하는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으로 이루어지며,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민으로 3차원적으로 고분자화하여 이루는 것이다. 이 폴리우레탄 입자군은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과 상기와 같이 3차원적으로 고분자화하여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구체군을 수 중에 분산시켜 이루어진 혼합 수성 분산액을 분무 건조기로 분무 건조함으로써 수득되며, 제조 시, 취급 시, 보관 시 및 수송 시에 있어서, 입자들이 융착 또는 응집하기 어려운 유분 흡수 능력을 가진 폴리우레탄 입자를 제공하는 것 및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폴리우레탄 입자는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와 입자 본체 표면을 피복하는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으로 이루어지며,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민으로 3차원적으로 고분자화하여 이루는 것이다. 이 폴리우레탄 입자군은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과 상기와 같이 3차원적으로 고분자화하여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구체군을 수 중에 분산시켜 이루어진 혼합 수성 분산액을 분무 건조기로 분무 건조함으로써 수득되며, 제조 시, 취급 시, 보관 시 및 수송 시에 있어서, 입자들이 융착 또는 응집하기 어려운 유분 흡수 능력을 가진 폴리우레탄 입자를 제공하는 것 및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입자와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지나 올레인산 등의 유분 성분을 양호하게 흡수하는 폴리우레탄 입자와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지나 올레인산 등의 유분 성분을 흡수하는 유분 흡수 입자로서,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입자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탄소수 18~24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비닐 모노머와, 가교성 모노머를 중합시켜 이루어진 아크릴레이트계 가교 중합체 입자로 이루어진 팽윤형 흡유 폴리머 입자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가 아니라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유분 흡수 입자를 수득하는 것을 시도한 바, 폴리우레탄을 구성하는 폴리올 성분으로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oly(tetramethylene ether)glycol]을 이용하면, 피지나 올레인산 등의 유분 성분을 양호하게 흡수하는 것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입자로 이루어진 유분 흡수 입자가 수득되는 것을 발견했다. 즉,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폴리올 성분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수득한다. 계속해서 이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수 중에 분산시켜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수득한다. 이 수중유적형 에멀젼에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민을 첨가하고, 유적(油滴)을 형성하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다관능 아민을 반응시켜 유적을 3 차원적으로 고분자화된 폴리우레탄 구체로 한다. 그 후, 에멀젼 중의 물을 건조 등의 수단으로 제거하여 폴리우레탄 구체를 폴리우레탄 입자로 취출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특히 폴리우레탄 구체가 유연하거나 표면이 점착질인 경우는 에멀젼 중의 물을 제거할 때, 폴리우레탄 구체들이 융착하기 쉬운 것이 있었다. 또한, 취출한 폴리우레탄 입자를 장기간 보관하면 입자들이 응집하기 쉬운 것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유분 흡수 등의 용도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입자는 다수의 입자의 집합체인 입자군으로서 사용되므로 그것이 융착하거나 응집하면 취급하기 어렵고, 또한 입자군의 표면적이 적어지므로 유분 흡수 능력도 저하하는 것이 있었다. 이 때문에 폴리우레탄 입자의 제조 시, 취급 시, 보관 시 및 수송 시 등에 있어서 주의 깊게 조건 설정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조 시, 취급 시, 보관 시 및 수송 시 등에 있어서, 엄밀한 조건 설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입자들이 융착 또는 응집하기 어려운 폴리우레탄 입자를 제공하는 것 및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여러 가지 검토한 바, 수 중에 폴리우레탄 구체가 분산되어 있는 에멀젼 중에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을 첨가 혼합하여 분산시키고, 또한 에멀젼 중의 물을 분무 건조에 의해 제거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지견에 기초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민으로 3 차원적으로 고분자화하여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구체군을 수 중에 분산시켜 이루어진 혼합 수성 분산액을 고온 분위기 중에 분무하여 물을 증발시키고, 상기 폴리우레탄 구체군으로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군을 형성하며, 또한 각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 표면에 상기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을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된 특정의 구성을 가진 폴리우레탄 입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된 폴리우레탄 입자군으로 이루어진 흡유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된 폴리우레탄 입자군에 향유(香油)를 흡수 유지시켜 이루어진 향료 및 유성의 농약 성분, 유성의 유인제 성분 및 유성의 기피제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성의 약제 성분을 흡수 유지시켜 이루어진 약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이란 SiO2를 주체로 하는 것으로 그 표면에 소수기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미세 분말이다. 이와 같은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은 종래 공지된 것이며, 예를 들면 일본 에어로실사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에어로실 200, 200V, 200CF, 200FAD, 300, 300CF, 380, 50, 90G, 130, 0X50, MOX80, MOX170, COK84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종래 공지된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이 이용된다. 또한,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의 입자 직경은 수득되는 폴리우레탄 입자의 입자 직경 보다도 미세한 것이면 좋다. 이는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 표면을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에 의해 피복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는 수득되는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평균 입자직경이 1~500 ㎛이고,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의 평균 입자직경이 5~40 nm이므로, 대략 폴리우레탄 입자의 입자 직경은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의 입자 직경 보다도 적어도 30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의 평균 입자직경에 대해서는 공칭값이다.
폴리우레탄 제조를 위해 사용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는 분자 내에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진 화합물이면, 종래 공지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 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물 첨가 MDI 등이 이용된다.
폴리우레탄 제조를 위해 사용하는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본 발명에서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이 이용된다. 물론,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과 함께 그 외의 폴리올 성분이 적절히 혼합되어 있어도 좋다. 그 외의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종래부터 폴리우레탄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수평균 분자량은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수평균 분자량이 650~3000인 것이 이용된다.
폴리우레탄 제조를 위해 사용하는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민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켜 수득된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3차원적으로 고분자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민으로서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3,3'-디아미노디프로필아민 등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입자는 상기 원료를 사용하여 단락 0007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공정 순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수득하는 공정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분산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첨가 및 교반하여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수득하는 공정과, 상기 수중유적형 에멀젼에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민을 첨가하여 유적군을 구성하고 있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3 차원적으로 고분자화하여 폴리우레탄 구체군을 수득한 후에 수 중에서 상기 분산제를 제거하여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을 수득하는 공정과, 상기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과,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을 수 중에 분산시킨 실리카 수성 분산액을 혼합하여 혼합 수성 분산액을 수득하는 공정과, 상기 혼합 수성 분산액을 분무 건조기를 이용하여 고온 분위기 중에 분무하여 물을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폴리우레탄 구체군으로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군을 형성하고, 또한 각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 표면에 상기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을 피복하는 공정을 거쳐 폴리우레탄 입자군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예를 들면 이하와 같다. 우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을 주지의 방법으로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수득한다.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말단을 이소시아네이트기로 하기 위해서는 폴리올 성분의 OH기의 몰 수에 대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NCO기의 몰 수를 과잉으로 하여 반응시키면 좋다. 일반적으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NCO기: 폴리올 성분의 OH기=1.5~3.0:1이다. 또한, 이 반응은 아세트산에틸이나 메틸에틸케톤 등의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고, 또한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등의 주석계나 디아자비시클로운데센 등의 아민계의 촉매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지만,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과 그 외의 폴리올과의 혼합물이라도 좋다. 그 외의 폴리올로서는 종래 공지된 다가 알콜,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폴리올레핀폴리올, 폴리아크릴폴리올 또는 피마자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외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경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은 50 질량% 이상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이 유분 흡수 능력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므로 이것이 50 질량% 미만이면 유분 흡수 능력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생긴다. 또한, 폴리우레탄 구체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의 성상의 관점에서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100 질량%를 이용하면,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는 유연하게 되기 쉽고, 그 외의 폴리올로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을 혼합하면, 이것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서서히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가 단단해져 간다.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기(NCO기) 함유량은 2.0~10 질량% 정도이고, 특히 2.5~3.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율이 10 질량%를 초과하면, 우레탄 결합의 함유율이 너무 많아져, 유분 흡수 능력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생긴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율이 2.0 질량% 미만이면,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분자량이 높아지고, 점도가 증대하므로 취급성이나 작업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생긴다.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수득한 후, 이것을 분산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첨가 및 교반하여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수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수득한다.
우선, 분산제를 용해하고 있는 수용액을 조제한다. 분산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수 중에서 유화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의 각종 계면활성제나 폴리비닐알콜 등의 각종 고분자 분산제 등의 공지된 것이 이용된다. 그리고, 이 분산제를 물에 용해시켜 수용액을 수득한다. 분산제를 물에 용해시킬 때, 분산제가 용해하기 쉽도록 물을 가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산제가 완전히 용해된 후, 실온으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온의 정도는 분산제의 용해성에 의해 적절히 결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검화도 86.5~89.0 정도의 폴리비닐알콜을 이용한 경우, 90 ℃ 정도이다. 분산제의 농도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가 유화 분산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3~20 질량% 정도의 농도이다.
그리고, 실온으로 냉각한 분산제 수용액 중에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첨가하여 교반한다.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첨가량은 임의라도 좋고, 일반적으로는 분산제 수용액 100 질량부에 대해 3~20 질량부 정도이다. 또한, 교반 수단이나 교반의 정도도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가 원하는 입자 직경으로 유화 분산하도록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교반 수단으로서는 호모믹서, 호모디나이저, 고압 호모디나이저 또는 초음파 분산기 등의 공지된 교반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교반의 정도로서는 예를 들면 호모믹서를 이용한 경우, 8000rpm 정도로 5 분간 정도이다. 또한, 첨가 교반은 통상 실온하에서 실시되지만 특히 교반하기 쉽게 하기 위해 약간 가온하여 실시해도 좋다.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수득한 후, 여기에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민을 첨가한다.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민은 단락 0011(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3 차원적으로 고분자화하여 그물코 구조의 폴리우레탄을 수득하기 위한 것이며, 여러 가지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다관능 아민은 그대로 또는 물 등의 용매에 용해한 용액의 형태로 첨가한다. 다관능 아민의 첨가량은 수중유적형 에멀젼 중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당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관능 아민의 아미노기와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당량이 되는 첨가량으로 다관능 아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다관능 아민의 아미노기와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반응하여 3 차원적으로 고분자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3 차원적 고분자화를 억제하기 위해 다관능 아민의 첨가량을 당량 보다도 약간 적게, 예를 들면 0.8 당량 이상 1.0 당량 미만으로 해도 좋다. 또한, 3차원적 고분자화를 확실히 하기 위해 다관능 아민의 첨가량을 당량 보다도 약간 많게, 예를 들면 1.0 당량을 초과하여 1.2 당량 이하로 해도 좋다.
또한,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민만을 첨가하는 것이 아니라 다관능 아민과 함께 2 관능의 아민이나 다가 알콜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는 화합물을 첨가해도 지장없다. 이들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3차원적 고분자화를 억제하거나 또는 촉진하기 위해 3 차원적 고분자화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민을 첨가하여 유적을 구성하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3차원적으로 고분자화하는 데에는 고분자화 반응 촉진을 위해 일반적으로 가열하여 실시한다. 가열 온도는 다관능 아민의 반응성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다관능 아민으로서 3,3'-디아미노디프로필아민을 채용한 경우, 수중유적형 에멀젼의 온도를 80 ℃ 정도로 하면, 약 20 시간에 3 차원적 고분자화 반응이 대략 완료된다.
3 차원적 고분자화 반응이 대략 완료되면, 수중유적형 에멀젼 중의 유적은 폴리우레탄 구체가 된다. 즉, 폴리우레탄 구체군이 분산된 분산액이 된다. 이 분산액 중에는 분산제가 잔존하므로 이를 제거한다. 분산제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분산액에 여과 또는 원심 분리 등의 수단을 실시하여 폴리우레탄 구체군을 회수하고, 또한 이것에 물을 첨가하여 재분산한 분산액에 여과 또는 원심 분리 등의 수단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반복 실시함으로써 분산제가 거의 완전히 제거되고, 물에 폴리우레탄 구체군이 분산된 폴리우레판 구체 수성 분산액이 수득된다.
한편,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을 수 중에 분산시킨 실리카 수성 분산액을 조제한다. 실리카 수성 분산액은 수 중에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을 첨가하여 교반하면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 이 첨가 교반의 조건 등이나 실리카 수성 분산액 중의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의 농도는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이 응집하지 않고 균일하게 수 중에 분산되도록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판품인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에어로실 200」을 5 질량%의 농도로 수 중에 분산시키는 데에는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10000 rpm으로 10 분간 교반하면, 용이하게 실리카 수성 분산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득된 실리카 수성 분산액과, 상기에서 수득된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을 혼합하여 혼합 수성 분산액을 수득한다. 양자의 혼합 비율은 고형분인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과 폴리우레탄 구체군의 양이 적절하다면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며 임의이다. 또한, 양자의 혼합 시에 물을 추가로 첨가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구체군이나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이 응집하기 어렵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첨가량도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지만,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과 동질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것들을 혼합할 때에도 교반하여 응집이 발생하기 어렵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득된 혼합 수성 분산액을 분무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한다. 이와 같은 건조 형태는 일반적으로는 분무 건조라고 일컬어지며, 노즐 분무 방식과 디스크 분무 방식이 있다. 전자는 혼합 수성 분산액을 노즐 등의 구멍으로 고온 분위기하에서 분무하여 건조하는 것이다. 후자는 디스크를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혼합 수성 분산액을 고온 분위기하에 분무하여 건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분무 건조의 특징은 혼합 수성 분산액 중에 존재하는 폴리우레탄 구체군의 각각이 그대로의 형태로, 즉 분무 시에 미립화되지 않고, 분무되는 점이다. 이는 혼합 수성이 분산액 중의 폴리우레탄 구체가 3 차원적으로 고분자화된 것이므로 분무되어도 파괴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폴리우레탄을 구체 표면에 물이 부착한 상태로 분무되면, 그 수 중에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이 존재하므로 건조 시에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이 폴리우레탄 구체 표면에 부착하는 것이다. 또한, 이 부착은 폴리우레탄 구체가 부드러우면 부드러울수록 폴리우레탄 구체 표면에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이 매립된 상태로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분무 시에 폴리우레탄 구체가 파괴되지 않으므로 분무의 조건을 엄밀하게 정할 필요성은 적다. 즉, 미립화를 위한 압력 조건, 원심 조건, 노즐 등의 구멍 직경의 조건을 엄밀하게 정할 필요성은 적다. 이 때문에 또한, 노즐 분무 방식이라도 디스크 분무 방식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분무한 후, 건조를 위해 도입되는 고온 분위기는 원하는 수분 증발 능력이 되도록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채용되어 있는 고온 분위기 중에 분무함으로써 충분히 건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풍의 입구 온도는 140 ℃ 정도로 하고, 건조실 내 온도는 70 ℃ 정도로 한 고온 분위기를 채용하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하여 폴리우레탄 구체가 분무되어 건조되면, 폴리우레탄 구체가 1 개 그대로, 또는 2 개 이상의 복수개가 결합되어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구체가 부드럽거나 또는 그 표면이 점착질이면, 2 개 이상의 복수개가 결합하여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가 되기 쉽다. 반대로 폴리우레탄 구체가 단단하면, 1 개 그대로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가 되기 쉽다.
이상과 같이, 혼합 수성 분산액을 분무 건조하면, 폴리우레탄 구체는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가 되고, 이 입자 본체 표면에는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이 피복된다.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은 입자 본체 표면을 단지 피복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의 일부가 입자 본체 내에 매립된 상태로 피복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후자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은 폴리우레탄 구체 내지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가 비교적 부드러운 경우이다. 수득되는 폴리우레탄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혼합 수성 분산액을 조제할 때, 생성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구체의 평균 입자 직경, 폴리우레탄 입자가 부드럽거나 표면이 점착질인 성상 및 분무 건조의 조건 등을 조정함으로써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1~500 ㎛ 정도로 하고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평균 입자 직경이란 폴리우레탄 입자군을 탈이온화에 의해 분산시키고, 레이저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호리바 세이사쿠쇼제, 상품명 「LA-920」)을 이용하여 체적 기준 모드로 구하는 메디안 직경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입자는 유분 흡수 입자로서 이용되며, 이 다수의 입자의 집합체는 흡유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흡유재는 피지를 잘 흡수할 수 있는 성질을 이용하여 메이크업 화장료, 스킨케어 화장료, 제한제 화장료, 자외선 방어 화장료, 두발 화장료 등의 일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올레인산 등의 유분을 잘 흡수할 수 있는 성질을 이용하여 공장이나 가정에서 폐유 처리재의 일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분을 잘 흡수하여 유지하므로 향유 등의 향료 성분을 함유시켜 실내 등에 두면, 향료 성분이 폴리우레탄 입자로부터 서서히 방출되어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향료가 수득된다. 또한, 유성의 농약 성분, 유성의 흡인제 성분 및 유성의 기피제 성분 등의 유성의 약제 성분을 함유시켜 통상의 환경 중에 산포 등을 해두면, 약제 성분이 폴리우레탄 입자로부터 서서히 방출되어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약제가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입자는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 표면이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으로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은 보송보송한 감촉을 갖고 있으므로 폴리우레탄 입자는 유동성이 양호한 것으로서 취급할 수 있고, 또한 보관 시나 수송 시에도 폴리우레탄 입자들이 융착하거나 응집하는 것이 적고, 양호한 유동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입자의 본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민으로 3 차원적으로 고분자화하여 이룬 것이다. 따라서, 입자 본체 중에는 구성 단위로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피지나 올레인산 등의 유분 성분을 잘 흡수하는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구성 단위로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함유하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다관능 아민으로 3차원적으로 고분자화되어 있으므로 유분 성분을 흡수해도 용해하지 않고 팽윤할 뿐이다. 따라서, 유분 성분을 흡수해도 입자 본체는 팽윤할 뿐이며, 또한 입자 본체가 보송보송한 감촉이 있는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으로 피복되어 있으므로, 유출되거나 또는 끈적이는 것이 적은 작용 효과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방법은 3 차원적으로 고분자화하여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구체군과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을 수 중에 분산시켜 이루어진 혼합 수성 분산액을 고온 분위기 중에 분무하는 것이다. 따라서, 혼합 수성 분산액을 분무해도 폴리우레탄 구체는 3 차원적으로 고분자화되어 있으므로 그 구체의 형상이 파괴되지 않는다. 따라서, 폴리우레탄 구체를 형성시킨 단계에서 그 입자 직경을 조정해두면 분무한 후에도 대략 원하는 입자 직경의 폴리우레탄 입자가 수득되는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폴리우레탄 구체군을 분무했을 때, 폴리우레탄 구체 표면을 덮는 수 중에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이 존재하고, 건조에 의해 물이 증발하면,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은 폴리우레탄 구체 표면에 충돌한다. 따라서 폴리우레탄 구체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가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으로 피복되므로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들이 융착하거나 응집하는 것이 적고, 보송보송한 폴리우레탄 입자군이 합리적으로 수득되는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실시예 1)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조제]
교반 장치,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컨덴서를 부착한 4구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에테르(수평균 분자량 1000) 300 질량부 및 아세트산에틸 20 질량부를 넣고,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04.6 질량부 및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0.04 질량부를 첨가하고, 75~80 ℃의 온도에서 질소 기류하 5 시간 반응을 실시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율이 3.6%인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수득했다.
[수중유적형 에멀젼의 조제]
교반 장치,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컨덴서를 부착한 4구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분산제인 폴리비닐알콜(쿠라레사제 「PVA-205」: 검화도 86.5~89.0) 100 질량부 및 탈이온수 900 질량부를 넣고, 90 ℃로 가열하여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을 수득했다. 이 폴리비닐알콜 수용액 중에 상기에서 수득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 100 질량부를 첨가한 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8000 rpm으로 5 분간 교반 혼합했다. 그리고,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가 유적이 되어 존재하는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수득했다.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의 조제]
상기에서 수득된 수중유적형 에멀젼에 3,3'-디아미노디프로필아민의 10% 수용액 35.7 질량부를 첨가했다. 그리고, 교반하면서 80 ℃까지 승온하고, 동일 온도를 유지하면서 20 시간 반응시켰다. 그 결과, 유적 중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디에틸렌트리아민이 반응하고,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3 차원적으로 고분자화되어 폴리우레탄 구체가 생성되었다. 그 후, 원심 분리를 실시하여 폴리우레탄 구체를 침강시킨 후, 폴리우레탄 구체를 회수하고, 물을 첨가하여 재분산하며, 원심 분리의 사이클을 6회 실시하여 분산제인 폴리비닐알콜의 제거를 실시하여 폴리우레탄 구체를 40 질량%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을 수득했다.
[실리카 수성 분산액의 조제]
별도로 교반 장치에 탈이온수 95 질량부를 넣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100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닛폰 에어로실사제, 상품명 「에어로실 200」, 평균 입자직경 약 20 nm) 5 질량부를 첨가하여 10 분간 교반 혼합하여 실리카 수성 분산액을 수득했다.
[혼합 수성 분산액의 조제]
상기에서 수득된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 100 질량부, 상기에서 수득된 실리카 수성 분산액 80 질량부, 및 별도 탈이온수 110 질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수성 분산액을 수득했다.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상기에서 수득된 혼합 수성 분산액을 분무 건조기(오카와라 가코우키사제, 형번 「L-8i」)를 이용하여 분무 압력 0.3 MPa, 열풍의 입구 온도 140 ℃, 건조실 내 온도 70 ℃의 조건으로 분무 건조를 실시하여 폴리우레탄 입자군을 수득했다. 이 분무 건조에 의해 혼합 수성 분산액 중의 물이 증발하고, 폴리우레탄 구체군은 건조하여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군을 형성함과 동시에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은 각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 표면에 매립된 상태로 부착했다. 따라서 각 폴리우레탄 입자는 입자 본체 표면이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으로 피복된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리고, 각 폴리우레탄 입자군은 거의 융착되지 않고, 또한 거의 응집되지 않으며, 1 개씩 분리된 보송보송한 상태였다. 또한, 폴리우레탄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약 12 ㎛이었다.
(실시예 2)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조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에테르로서 수평균 분자량 3000의 것을 사용하고, 또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첨가량을 45.0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율이 2.5%인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수득했다.
[수중유적형 에멀젼의 조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수득했다.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의 조제]
상기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이용하고, 또한 3,3'-디아미노디프로필아민의 10% 수용액의 첨가량을 24.5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을 수득했다.
[실리카 수성 분산액의 조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리카 수성 분산액을 수득했다.
[혼합 수성 분산액의 조제]
상기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 수성 분산액을 수득했다.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상기 혼합 수성 분산액을 이용한 것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입자군을 수득했다. 이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성상은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것과 동일했다. 또한, 폴리우레탄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약 15 ㎛이었다.
(실시예 3)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조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수득했다.
[그 외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조제]
교반 장치,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컨덴서를 부착한 4구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폴리카보네이트디올(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사제, 상품명 「PCDL T-6002」, 수평균 분자량 2000) 300 질량부 및 아세트산에틸 20 질량부를 넣고,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67.4 질량부 및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0.04 질량부를 첨가하고, 75~80 ℃의 온도로 질소 기류하 5시간 반응을 실시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율이 3.5%인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수득했다.
[수중유적형 에멀젼의 조제]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 52 질량부와, 상기에서 수득된 그 외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 48 질량부를 혼합한 혼합물 100 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수득했다.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의 조제]
상기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이용하고, 또한 3,3'-디아미노디프로필렌아민의 10% 수용액의 첨가량을 34.6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을 수득했다.
[실리카 수성 분산액의 조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리카 수성 분산액을 수득했다.
[혼합 수성 분산액의 조제]
상기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 수성 분산액을 수득했다.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상기 혼합 수성 분산액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입자군을 수득했다. 이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성상은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것과 동일했다. 또한, 폴리우레탄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약 14㎛이었다.
(실시예 4)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조제]
교반 장치,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컨덴서를 부착한 4구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에테르(수평균 분자량 1000) 150 질량부, 폴리카보네이트디올(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사제, 상품명 「PCDL T-6002」, 수평균 분자량 2000) 150 질량부 및 아세트산에틸 20 질량부를 넣고,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85.4 질량부 및 디아자비시클로운데센 0.1 질량부를 첨가하고, 75~80 ℃의 온도로 질소 기류하 5 시간 반응을 실시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율이 3.5%인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수득했다.
[수중유적형 에멀젼의 조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수득했다.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의 조제]
상기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이용하고, 또한 3,3'-디아미노디프로필아민의 10% 수용액의 첨가량을 34.7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을 수득했다.
[실리카 수성 분산액의 조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리카 수성 분산액을 수득했다.
[혼합 수성 분산액의 조제]
상기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 수성 분산액을 수득했다.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상기 혼합 수성 분산액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입자군을 수득했다. 이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성상은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것과 동일했다. 또한, 폴리우레탄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약 13 ㎛이었다.
(비교예 1)
[그 외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조제]
실시예 3의 [그 외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조제]와 동일한 방법으로 그 외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수득했다.
[수중유적형 에멀젼의 조제]
상기 그 외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수득했다.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의 조제]
상기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이용하고, 또한 3,3'-디아미노디프로필아민의 10% 수용액의 첨가량을 34.6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을 수득했다.
[실리카 수성 분산액의 조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리카 수성 분산액을 수득했다.
[혼합 수성 분산액의 조제]
상기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 수성 분산액을 수득했다.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상기 혼합 수성 분산액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입자군을 수득했다. 이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성상은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것과 동일했다. 또한, 폴리우레탄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약 16 ㎛이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에서 수득된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흡유량을 인공 피지, 올레인산 및 스쿠알란을 이용하여 평가했다. 흡유량의 측정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실시했다. 즉, 실온하에서 폴리우레탄 입자군 0.2g을 인공 피지 10 ml에 침지하고, 3 일간 방치하여 인공 피지를 충분히 흡수시킨 후, 막 필터를 이용하여 10 분간 흡인 여과를 실시하여 과잉량의 인공 피지를 제거하고, 인공 피지를 흡수한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중량을 측정하여, 중량 증가분을 흡수량(g/100g)으로서 산출했다. 또한, 인공 피지를 대신하여 올레인산 및 스쿠알란을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그 흡수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인공 피지란 트리올레인 29 질량부, 올레인산 28.5 질량부, 올레인산 올레일 18.5 질량부, 스쿠알렌 14 질량부, 콜레스테롤 7 질량부 및 미리스틴산미리스틸 3 질량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
인공 피지 218 293 119 129 25 올레인산 342 439 202 224 54 스쿠알란 20 11 22 21 24 |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킨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이용하여 수득된 실시예 1~3에 따른 폴리우레탄 입자군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이외의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킨 그 외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이용하여 수득된 비교예 1에 따른 폴리우레탄 입자군에 비해 인공 피지 및 올레인산을 선택적으로 잘 흡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6)
-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 표면에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을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입자로서,
상기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oly(tetramethylene ether)glycol]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의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민으로 3차원적으로 고분자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입자. -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 표면에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이 매립된 상태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입자. -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수평균 분자량은 650~3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입자. -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하고, 폴리올 성분으로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입자. - 제 1 항에 있어서,
다관능 아민으로서 3,3'-디아미노디프로필아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입자. -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입자의 입자 직경은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의 입자 직경의 30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입자. - 제 1 항에 기재된 폴리우레탄 입자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유재.
- 제 1 항에 기재된 폴리우레탄 입자의 집합체에 향유를 흡수 유지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 제 1 항에 기재된 폴리우레탄 입자의 집합체에 유성의 농약 성분, 유성의 유인제 성분 및 유성의 기피제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성의 약제 성분을 흡수 유지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방법으로서,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의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민으로 3 차원적으로 고분자화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구체군을 수 중에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혼합 수성 분산액을 고온 분위기 중에 분무하여 물을 증발시키고, 상기 폴리우레탄 구체군으로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군을 형성하고 각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 표면에 상기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을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방법. -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수득하는 공정;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분산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첨가 및 교반하여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수득하는 공정;
상기 수중유적형 에멀젼에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민을 첨가하여 유적군을 구성하고 있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3차원적으로 고분자화하여 폴리우레탄 구체군을 수득한 후, 수 중에서 상기 분산제를 제거하여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을 수득하는 공정;
상기 폴리우레탄 구체 수성 분산액과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을 수 중에 분산시킨 실리카 수성 분산액을 혼합하여 혼합 수성 분산액을 수득하는 공정; 및
상기 혼합 수성 분산액을 분무 건조기를 이용하여 고온 분위기 중에 분무하여 물을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폴리우레탄 구체군으로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군을 형성함과 동시에 각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 표면에 상기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을 피복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방법.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입자 본체 표면에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을 매립한 상태로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분산제로서 폴리비닐알콜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방법.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친수성 실리카 미세 분말군의 평균 입자 직경은 5~40 nm이고,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평균 입자 직경은 1~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방법.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수득된 폴리우레탄 입자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유재.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수득된 폴리우레탄 입자군에 유성의 농약 성분, 유성의 흡유제 성분 및 유성의 기피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성의 약제 성분을 흡수 유지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8310341A JP5317181B2 (ja) | 2008-12-05 | 2008-12-05 | ポリウレタン粒子及びポリウレタン粒子群の製造方法 |
JPJP-P-2008-310341 | 2008-12-0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7919A true KR20110097919A (ko) | 2011-08-31 |
Family
ID=42233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15280A KR20110097919A (ko) | 2008-12-05 | 2009-12-04 | 폴리우레탄 입자와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2) | US20110262514A1 (ko) |
EP (1) | EP2365024B1 (ko) |
JP (1) | JP5317181B2 (ko) |
KR (1) | KR20110097919A (ko) |
CN (1) | CN102292380B (ko) |
TW (1) | TW201033238A (ko) |
WO (1) | WO201006469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085218B2 (ja) * | 2007-07-25 | 2012-11-28 | コニシ株式会社 | 膨潤型吸油性ポリマー粒子 |
EP2716675A4 (en) | 2011-05-31 | 2014-11-26 | Ube Industries | AQUEOUS POLYURETHANE-DISPERSION AND COATING COMPOSITION THEREWITH |
JP2016017136A (ja) * | 2014-07-08 | 2016-02-01 | Dic株式会社 | 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
WO2019111839A1 (ja) * | 2017-12-04 | 2019-06-13 | 住友精化株式会社 | 揮発性物質放散用組成物 |
JP7045876B2 (ja) * | 2018-02-05 | 2022-04-01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現像ローラ及び画像形成装置 |
JP7111047B2 (ja) | 2019-04-05 | 2022-08-02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スルホニウム化合物、化学増幅レジスト組成物、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
JP2020186203A (ja) * | 2019-05-14 | 2020-11-19 | 東色ピグメント株式会社 | 毛髪用化粧料とその使用方法 |
JP7147687B2 (ja) | 2019-05-27 | 2022-10-05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分子レジスト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るパターン形成方法 |
JP7385470B2 (ja) * | 2019-12-27 | 2023-11-22 | 花王株式会社 | 化粧料 |
CN115135392A (zh) * | 2020-02-19 | 2022-09-30 | 生物辐射实验室股份有限公司 | 制备聚合物填充的色谱树脂的方法 |
CN112011080A (zh) * | 2020-09-02 | 2020-12-01 | 河北环境工程学院 | 用于污水处理的亲水性聚氨酯海绵 |
CN112250830B (zh) * | 2020-09-24 | 2022-09-23 | 长安大学 | 一种环保型路用微胶囊及其制备方法和地沟油的应用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72049A (en) * | 1973-10-02 | 1975-03-18 | Textron Inc | Method for preparing urea urethane polymer particles |
US4049636A (en) * | 1976-02-25 | 1977-09-20 | Uniroyal, Inc. | Thermally stable polyurethane elastomer useful in molding flexible automobile exterior body parts |
US4335029A (en) * | 1980-12-15 | 1982-06-15 | Witco Chemical Corporation | Aqueous polyurethane compositions |
JPH05209017A (ja) * | 1991-11-14 | 1993-08-20 | Mitsubishi Petrochem Co Ltd | 自己膨潤型吸油性ポリマーの製造方法と油性物質回収剤および油性物質吸収徐放基材 |
JP3214078B2 (ja) * | 1992-07-24 | 2001-10-02 |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 粉末状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
CA2110559A1 (en) * | 1993-03-17 | 1994-09-18 | Toru Inaoka | Oil-absorbed composition, particulate oil absorber, oil-absorbent material and oil-absorbent pack |
JPH1067958A (ja) * | 1996-08-28 | 1998-03-10 | Dainippon Ink & Chem Inc | ポリマー微粒子 |
US6458372B1 (en) * | 2000-03-08 | 2002-10-01 | Color Access, Inc. | Gel powder composition |
DE10210027A1 (de) * | 2002-03-07 | 2003-09-18 | Creavis Tech & Innovation Gmbh | Hydrophile Oberflächen |
DE10254600B4 (de) * | 2002-11-22 | 2007-12-27 | Bayer Materialscience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n, nicht klebenden Polyurethanen |
KR101182024B1 (ko) * | 2003-12-03 | 2012-09-11 | 고니시 가부시키가이샤 | 비닐계?우레탄계 공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
JP2006008757A (ja) * | 2004-06-23 | 2006-01-12 | Kao Corp | 膨潤型吸油ポリマー粒子 |
JP4635054B2 (ja) * | 2005-01-24 | 2011-02-16 | ルブリゾル アドバンス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ナノ粒子/ポリウレタンコンボジットの水性分散物 |
US20060183850A1 (en) * | 2005-02-11 | 2006-08-17 | Invista North America S.A.R.L. | Solvent free aqueous polyurethane dispersions and shaped articles therefrom |
JP2006321830A (ja) * | 2005-05-17 | 2006-11-30 | Sanyo Chem Ind Ltd | 樹脂粒子及びその製造法 |
JP5085218B2 (ja) * | 2007-07-25 | 2012-11-28 | コニシ株式会社 | 膨潤型吸油性ポリマー粒子 |
-
2008
- 2008-12-05 JP JP2008310341A patent/JP5317181B2/ja active Active
-
2009
- 2009-12-04 KR KR1020117015280A patent/KR2011009791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12-04 EP EP09830464.5A patent/EP2365024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9-12-04 CN CN2009801552567A patent/CN10229238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12-04 TW TW098141484A patent/TW201033238A/zh unknown
- 2009-12-04 WO PCT/JP2009/070378 patent/WO201006469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
- 2011-06-03 US US13/152,659 patent/US2011026251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
- 2013-04-16 US US13/863,895 patent/US20130224376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0132779A (ja) | 2010-06-17 |
TW201033238A (en) | 2010-09-16 |
EP2365024A1 (en) | 2011-09-14 |
JP5317181B2 (ja) | 2013-10-16 |
CN102292380A (zh) | 2011-12-21 |
US20130224376A1 (en) | 2013-08-29 |
WO2010064698A1 (ja) | 2010-06-10 |
US20110262514A1 (en) | 2011-10-27 |
EP2365024A4 (en) | 2012-12-26 |
EP2365024B1 (en) | 2014-07-09 |
CN102292380B (zh) | 2013-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97919A (ko) | 폴리우레탄 입자와 폴리우레탄 입자군의 제조 방법 | |
TWI483745B (zh) | Cosmetics | |
EP1221839B1 (en) | Hydrogel microbeads having a secondary layer | |
US4230809A (en) | Pressure-resistant polyurethane-polyurea particles for the encapsulation of active ingredients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 |
JPH01161053A (ja) | 抗菌性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 |
JP2020157185A (ja) | 分散体 | |
JP5532116B2 (ja) | 被覆粒状農薬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 |
JP2007119442A (ja) | 被覆粒状農薬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 |
JP5045046B2 (ja) | 被覆粉状農薬 | |
KR100356890B1 (ko) | 소수성약제마이크로캡슐의제조방법 | |
JP2010131212A (ja) | 皮膚貼付材 | |
JP5085218B2 (ja) | 膨潤型吸油性ポリマー粒子 | |
US20230064054A1 (en) | Controlled Release Polymer Encapsulated Fragrances | |
EP2534187A1 (de) | Wirkstofffreisetzende wundauflage | |
JP5045047B2 (ja) | 被覆粉状農薬の製造方法 | |
CN115735917A (zh) | 一种囊壁可降解的农药微囊悬浮剂及其制备方法 | |
Sicilino | Polymer entrapment powders for topical delivery | |
JP3102442B2 (ja) | 反応性ポリウレタンポリ尿素架橋粒子の製造方法 | |
KR100200942B1 (ko) | 휘산성 물질을 내포하고 있는 마이크로 캡슐 및 그 분산액 및 그 제법 | |
CN105636684A (zh) | 用于制备优选水溶性活性剂的浓缩物的方法 | |
Stefanescu et al. | CONTROLLED DELIVERY MATERIALS: FABRICATION OF LOADED CAPSULES, PARTICLES AND FILMS | |
JP2004155953A5 (ko) | ||
KR20030048716A (ko) | 활성 성분을 함유한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접착용폴리우레탄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7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