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100A - car - Google Patents
c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87100A KR20110087100A KR1020100006572A KR20100006572A KR20110087100A KR 20110087100 A KR20110087100 A KR 20110087100A KR 1020100006572 A KR1020100006572 A KR 1020100006572A KR 20100006572 A KR20100006572 A KR 20100006572A KR 20110087100 A KR20110087100 A KR 201100871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column
- wheel
- hole
- steering whe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2—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the inflator or inflatable member not being rotatable with the steering wheel; Arrangements using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rim for storing, supplying or evacuating the inflation gas or for storing the inflatable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조향을 위해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켜도 에어백 모듈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서, 상기 에어백 모듈에 수납된 에어백 쿠션을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비정형으로 설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운전자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한 스티어링 휠과, 상기 스티어링 휠과 결합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는 휠 기어와, 상기 휠 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휠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는 컬럼 기어와, 상기 컬럼 기어와 결합되고 상기 컬럼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어 바퀴를 조향하는 컬럼 샤프트와, 상기 컬럼 샤프트가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고 에어백 모듈이 고정되는 컬럼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and the airbag module is prevented from rotating even when the steering wheel is rotated for steering of the vehicle. Thus, the airbag cushion accommodated in the airbag module can be atypically designed according to the driver's physical conditio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ring wheel rotatable by a driver operation, a wheel gear coupled with the steering wheel is rotated as the steering wheel rotates, and is rotated as the wheel gear is engaged with the wheel gear It provides a vehicle comprising a column gear, a column shaft coupled to the column gear and rotated as the column gear rotates to steer the wheels, and a column housing in which the column shaft is rotatable and an airbag module is fixed. .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켜도 에어백 모듈이 회전하지 않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obile in which the airbag module does not rotate even when the steering wheel is rotated.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 사고시에 자동차 구조물과 탑승자와의 사이에서 에어백 쿠션이 팽창함으로서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인 에어백 모듈이 구비된다.In general,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n airbag module that is a safety device to protect the occupant by inflating the airbag cushion between the vehicle structure and the occupant during the car accident.
이러한, 에어백 모듈은 필요에 따라 자동차의 각 부위에 설치되는데, 전방 충돌시 운전석에 탑승한 탑승자의 상체 및 머리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과, 글로브 박스 상측에 장착되어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자를 보호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과, 측면 충돌시 탑승자와 도어의 사이에서 전개되어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측면에 설치되는 커튼 에어백 모듈 등이 제안되고 있다.The airbag module is installed in each part of the vehicle as needed, and the driver's seat airbag module mounted inside the steering wheel to protect the upper body and head of the occupant in the driver's seat during a front collis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glove box. A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that is mounted and protects a passenger occupying a passenger seat, and a curtain airbag module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occupant and the door and protects the occupant in the event of a side collision are proposed.
이 중에서 상기 운전석 에어백 모듈은 자동차의 조향을 위해 운전석의 전방에 배치된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과 함게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스티어링 휠을 우회전시키면 상기 운전석 에어백 모듈도 상기 스티어링 휠과 함께 우회전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을 좌회전시키면 상기 운전석 에어백 모듈도 상기 스티어링 휠과 함께 좌회전한다.Among these, the driver's seat airbag module is mounted to a steering wheel dispos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for steering of the vehicle, and is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teering wheel. That is, when the steering wheel is turned to the right, the driver's seat airbag module also turns to the right together with the steering wheel. When the steering wheel is turned to the left, the driver's seat airbag module also turns left together with the steering wheel.
한편, 유럽 및 북미 지역에서는 탑승자의 상해치를 최소화하기 위해, 탑승자의 안전에 대한 법규를 강화하고 있는 바, 에어백 쿠션을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원형이 아닌 비정형으로 설계하도록 요구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Europe and North America, in order to minimize the injury of the occupants, the law on the safety of the occupants is tightened, and the airbag cushion is required to be designed atypical rather than circular to fit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occupants.
예를 들면, 운전자의 가슴 상해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에어백 쿠션 중 운전자의 가슴과 대향되는 부위가 더 많이 팽창하도록 설계하여, 유럽 및 북미 지역의 법규만족에 노력하고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minimize the driver's chest injury, the airbag cushion is designed to expand more in a portion of the airbag cushion facing the driver's chest, so as to satisfy the legislation in Europe and North America.
그런데, 상기와 같이 에어백 쿠션을 비정형으로 설계하더라도, 자동차 조향을 위해 상기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키면, 상기 스티어링 휠과 함께 상기 에어백 모듈이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 모듈에 수납되는 상기 에어백 쿠션이 설계의도대로 운전자를 보호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By the way, even if the airbag cushion is designed to be atypica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eering wheel is rotated for the steering of the vehicle, the airbag cushion is accommodated in the airbag module because the airbag module rotates together with the steering wheel.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can not protect the driver.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켜도 상기 에어백 모듈이 회전하지 않는 자동차의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Therefore, recently, development of a vehicle in which the airbag module does not rotate even when the steering wheel is rotated continues.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켜도 에어백 모듈이 회전하지 않는 자동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in which the airbag module does not rotate even when the steering wheel is rotate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자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한 스티어링 휠과, 상기 스티어링 휠과 결합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는 휠 기어와, 상기 휠 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휠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는 컬럼 기어와, 상기 컬럼 기어와 결합되고 상기 컬럼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어 바퀴를 조향하는 컬럼 샤프트와, 상기 컬럼 샤프트가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고 에어백 모듈이 고정되는 컬럼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steering wheel rotatable by the driver operation, the wheel gear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and rotated as the steering wheel rotates, the wheel gear is engaged with the wheel gear A column gear rotated as it rotates, a column shaft coupled to the column gear and rotated as the column gear rotates to steer wheels, and a column housing to which the column shaft is rotatable and to which an airbag module is fixed; To provide cars.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컬럼 하우징에 에어백 모듈이 고정되고, 휠 기어에 스티어링 휠이 결합되며, 컬럼 샤프트와 결합된 컬럼 기어가 상기 휠 기어와 치합함으로서, 상기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켜도 상기 에어백 모듈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 모듈에 수납되는 에어백 쿠션을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비정형으로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bag module is fixed to the column housing, the steering wheel is coupled to the wheel gear, and the column gear coupled to the column shaft meshes with the wheel gear, so that the airbag module is rotated even if the steering wheel is rotated. Since it does not rotate, the airbag cushion accommodated in the airbag module has an effect that can be designed to be atypical to fit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dri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휠 기어, 컬럼 기어 및 마운팅 브래킷의 결합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마운팅 브래킷의 상세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FIG.
3 is a detailed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wheel gear, column gear and mounting bracket shown in FIG.
4 is a detailed view of a mounting bracke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휠 기어, 컬럼 기어 및 마운팅 브래킷의 결합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마운팅 브래킷의 상세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FIG. 1, and FIG. 3 is a detailed view of coupling of a wheel gear, a column gear, and a mounting bracket shown in FIG. 2. 4 is a detailed view of a mounting bracke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에는, 운전석 전방에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차의 조향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10)이 배치된다. 즉, 스티어링 휠(10)이 상기 운전자 조작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스티어링 휠(10)과 연결기구(100)를 통해 연결된 스티어링 컬럼(20)이 구동되고, 이에 따라 바퀴가 조향되어 자동차가 우회전하거나 좌회전하게 된다.1 to 4,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스티어링 컬럼(20)은 차체에 고정되는 컬럼 하우징(22)과, 컬럼 하우징(22) 내에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어 연결기구(100)를 통해 스티어링 휠(10)에 연결됨으로서 스티어링 휠(10)과 함께 회전하여서 바퀴를 조향하는 컬럼 샤프트(24)를 포함한다.The steering column 20 is arranged together with the
연결기구(100)는 기어 커버(40)와, 기어 커버(40)에 수용되고 스티어링 휠(10)과 결합되어 스티어링 휠(1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는 휠 기어(50)와, 휠 기어(50)와 함께 기어 커버(40)에 수용된 채로 휠 기어(50)와 치합하여 회전하고, 컬럼 샤프트(24)와 결합되어 컬럼 샤프트(24)를 회전시키는 컬럼 기어(6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운전자가 상기 바퀴를 조향하기 위해 스티어링 휠(10)을 회전시키면 휠 기어(50)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휠 기어(50)와 치합된 컬럼 기어(60)가 회전됨으로서, 컬럼 샤프트(24)가 회전되어 상기 바퀴를 조향하게 된다.The
한편, 스티어링 휠(10)에는 자동차의 사고시에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모듈(30)이 배치된다. 에어백 모듈(30)은 에어백 하우징(32)과, 에어백 하우징(32)에 접혀져서 수납된 후 자동차의 사고시에 인플레이터(미도시)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 전개되어 상기 운전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러한 에어백 모듈(30)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주지관용기술이므로 상기 인플레이터 및 에어백 쿠션의 도시를 생략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 모듈(30)은 스티어링 휠(10)의 가운데에 배치되어 컬럼 하우징(22)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운전자가 컬럼 샤프트(24)를 회전시키기 위해 스티어링 휠(10)을 회전시켜도, 에어백 모듈(30)이 컬럼 하우징(22)에 고정되어 있어서 스티어링 휠(10)과 함께 회전하지 않으므로, 상기 에어백 쿠션을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원형이 아닌 비정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자세하게 살펴보면, 휠 기어(50)에는 가운데가 관통되어 제1 관통홀(55)이 형성된다.In detail, the center of the
또한, 휠 기어(50)는 하단부에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기어이(52)가 형성된 치차부(54)와, 치차부(54)의 맞은편에 형성되어 기어 커버(4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삽입부(56)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컬럼 기어(60)는 제1 관통홀(55)에 삽입되어 휠 기어(50)의 복수개의 기어이(52)에 치합하는 복수개의 기어이(62)가 상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치차부(64)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컬럼 기어(60)는 휠 기어(50)의 제1 관통홀(55)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관통홀(55)보다 작게 형성되고, 컬럼 기어(60)가 제1 관통홀(55)에 삽입되어 휠 기어(50)의 기어이(52)와 컬럼 기어(60)의 기어이(62)가 치합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럼 기어(60)는 제1 관통홀(55)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배치된다.The
휠 기어(50)는 복수개의 기어이(52) 중 서로 이웃하는 기어이(52) 사이에 컬럼 기어(60)의 복수개의 기어이(62)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홀(53)이 형성된다.The
휠 기어(50)는 기어 커버(40)의 상측으로 돌출된 삽입부(56)의 둘레면에 휠 브래킷(70)이 결합되고, 휠 브래킷(70)에는 스티어링 휠(10)이 결합된다. 휠 브래킷(70)에는 휠 기어(50)의 삽입부(56)의 둘레면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관통홀(75)이 형성되어서, 휠 브래킷(70)은 휠 기어(50)의 삽입부(56)의 둘레면에 결합되어 스티어링 휠(10)을 휠 기어(50)에 결합시킨다.The
휠 기어(50)와 휠 브래킷(70)의 결합방식은, 삽입부(56)의 둘레면과 제2 관통홀(75)이 형성된 내주면에 각각 나선을 형성하여 나사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부(56)가 제2 관통홀(75)에 끼움 결합된다.In the coupling method of the
기어 커버(40)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그 내부에 휠 기어(50)가 회전 가능토록 수용된다. 즉, 휠 기어(50)의 둘레면에 베어링(58)을 배치하여서, 베어링(58)이 휠 기어(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채로 기어 커버(4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후, 베어링(58)이 기어 커버(40)의 내측면에 고정됨으로서 휠 기어(50)는 기어 커버(4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한편, 에어백 모듈(30)은 스티어링 휠(10)의 가운데에 배치되어서 마운팅 브래킷(80)과 결합된다. 즉, 마운팅 브래킷(80)의 상단에는 에어백 모듈(30)이 고정되고, 마운팅 브래킷(80)의 하단에는 고정부(85)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부(85)는 휠 기어(50)의 제1 관통홀(55)에 삽입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후술할 컬럼 브래킷(90)에 고정됨으로서, 에어백 모듈(30)이 마운팅 브래킷(80) 및 컬럼 브래킷(90)을 통해 컬럼 하우징(22)에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고정부(85)는 제1 관통홀(55)에 삽입되어 컬럼 기어(6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컬럼 기어(60)를 향하는 면이 오목하게 호 형상으로 함입된다.The
한편, 에어백 모듈(30)은 자동차의 사고시에 ACU(Air-bag Control Unit;미도시)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서 작동하게 되는 데, 상기 인플레이터에는 상기 ACU의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전선(미도시)이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최근에는 스티어링 휠(10)에 운전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하기 위해, 운전자가 주행 중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거나, 오디오 볼륨을 조절할 수 있도록 리모콘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상기 리모콘 스위치에도 전선(미도시)이 연결된다.In addition, rec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driver to the
따라서, 마운팅 브래킷(80)에는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된 전선 및 상기 리모콘 스위치와 연결되는 전선이 빠져나오는 전선 관통공(82)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들은 전선 관통공(82)을 관통한 후 후술할 컬럼 브래킷(90)의 일측으로 빠져나오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기존의 클럭 스프링(clock spring)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와 같은 전선들의 단선이나 꼬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상기 클럭 스프링은 코일 형상으로 감긴 판체에 얇은 배선을 부착한 장치로서, 스티어링 휠(10)의 좌우 조향시에 스티어링 휠(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코일 형상으로 감기거나 풀리기 때문에, 스티어링 휠(10)의 좌우 조향시에 발생할 수 있는 배선의 단선이나 꼬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종의 배선장치이다. 이러한 클럭 스프링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주지관용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lock spring is a device in which a thin wire is attached to a coil wound in a coil shape. The clock spring is wound or unwound in a coil shap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또한, 기어 커버(40)와 스티어링 컬럼(20) 사이에는 컬럼 브래킷(90)이 배치되어서, 컬럼 브래킷(90)의 상단에 기어 커버(40)가 결합되어 기어 커버(40)를 컬럼 하우징(22)에 결합시킨다.In addition, a
컬럼 브래킷(90)에는 컬럼 샤프트(24)가 삽입되는 제3 관통홀(95)이 형성된다.The
컬럼 기어(60)는 둘레면에 베어링(68)이 배치되고, 베어링(68)이 컬럼 기어(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채로 컬럼 브래킷(90)의 내부에 삽입된 후, 베어링(68)이 컬럼 브래킷(90)의 내측면에 고정됨으로서 컬럼 기어(60)는 컬럼 브래킷(9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컬럼 기어(60)는 치차부(64)가 휠 기어(50)의 치차부(54)와 치합할 수 있도록, 컬럼 브래킷(90)의 내부에 삽입될 때 치차부(64)가 컬럼 브래킷(9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The
컬럼 샤프트(24)는 컬럼 브래킷(90)의 제3 관통홀(95)로 삽입되어 컬럼 기어(60)와 결합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a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운전자가 자동차 조향을 위해 스티어링 휠(10)을 회전시키면, 휠 기어(50)가 스티어링 휠(10)과 함게 회전하고, 휠 기어(50)와 치합된 컬럼 기어(60)가 휠 기어(5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When the driver rotates the
이 때, 에어백 모듈(30)은 마운팅 브래킷(80) 및 컬럼 브래킷(90)을 통해 컬럼 하우징(2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컬럼 기어(60)와 결합된 컬럼 샤프트(24)만이 스티어링 휠(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서 바퀴를 조향하게 된다.Thus, only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는, 에어백 모듈(30)이 컬럼 하우징(22)에 고정되고, 스티어링 휠(10)만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서, 스티어링 휠(10)을 회전시켜도 에어백 모듈(30)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에어백 모듈(30)에 수납되는 상기 에어백 쿠션을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원형이 아닌 비정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스티어링 휠 20: 스티어링 컬럼
22: 컬럼 하우징 24: 컬럼 샤프트
30: 에어백 모듈 32: 에어백 하우징
40: 기어 커버 50: 휠 기어
52: 휠 기어의 기어이 53: 홀
54: 휠 기어의 치차부 55: 제1 관통홀
56: 삽입부 58: 베어링
60: 컬럼 기어 62: 컬럼 기어의 기어이
64: 컬럼 기어의 치차부 68: 베어링
70: 휠 브래킷 75: 제2 관통홀
80: 마운팅 브래킷 82: 전선 관통공
85: 고정부 90: 컬럼 브래킷
95: 제3 관통홀 100: 연결기구10: steering wheel 20: steering column
22: column housing 24: column shaft
30: airbag module 32: airbag housing
40: gear cover 50: wheel gear
52: gear of the wheel gear 53: hole
54: gear part of wheel gear 55: first through hole
56: insert 58: bearing
60: column gear 62: column gear
64: tooth of column gear 68: bearing
70: wheel bracket 75: second through hole
80: mounting bracket 82: wire through hole
85: fixing part 90: column bracket
95: third through hole 100: connecting mechanism
Claims (10)
상기 스티어링 휠과 결합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는 휠 기어;
상기 휠 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휠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는 컬럼 기어;
상기 컬럼 기어와 결합되고, 상기 컬럼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어 바퀴를 조향하는 컬럼 샤프트; 및
상기 컬럼 샤프트가 회전 가능토록 배치되고, 에어백 모듈이 고정되는 컬럼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차.A steering wheel rotatable by driver operation;
A wheel gear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to rotate as the steering wheel rotates;
A column gear engaged with the wheel gear and rotated as the wheel gear rotates;
A column shaft coupled to the column gear and rotating as the column gear rotates to steer wheels; And
And a column housing in which the column shaft is rotatably arranged and in which an airbag module is fixed.
상기 휠 기어에는 가운데가 관통되어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복수개의 기어이가 형성되며,
상기 컬럼 기어는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휠 기어의 복수개의 기어이에 치합하는 복수개의 기어이가 형성된 자동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enter of the wheel gear is formed a first through hole, a plurality of gears are formed at the lower end,
And the column gear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has a plurality of gear teeth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gear teeth of the wheel gear.
상기 휠 기어는 상기 복수개의 기어이 중 서로 이웃하는 기어이 사이에 상기 컬럼 기어의 복수개의 기어이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자동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wheel gear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in which a plurality of gears of the column gear are inserted between neighboring gears among the plurality of gears.
상기 스티어링 휠을 상기 휠 기어에 결합시키는 휠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휠 브래킷에는 상기 휠 기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자동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heel bracket coupling the steering wheel to the wheel gear,
The wheel bracket has a second through-hole is formed in which the wheel gear is inserted and coupled.
상기 에어백 모듈과 결합되는 마운팅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는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자동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bracket coupled to the airbag module,
The mounting bracket has a fix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컬럼 기어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호 형상을 포함하는 자동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nd the fixing part has an arc shap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spaced apart from the column gear.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는 전선이 관통할 수 있게 전선 관통공이 형성된 자동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mounting bracket has a wire through hole formed so that the wire can pass through.
상기 휠 기어 및 상기 컬럼 기어가 수용되는 기어 커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nd a gear cover in which the wheel gear and the column gear are accommodated.
상기 기어 커버를 상기 컬럼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컬럼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컬럼 브래킷에 고정되는 자동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column bracket coupling the gear cover to the column housing,
The fix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is fixed to the column bracket.
상기 컬럼 브래킷에는 상기 컬럼 샤프트가 삽입되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컬럼 샤프트는 상기 제3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컬럼 기어와 결합되는 자동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column bracket has a thir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lumn shaft is inserted,
And the column shaft is inserted into the third through hole and coupled with the column gea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6572A KR20110087100A (en) | 2010-01-25 | 2010-01-25 | c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6572A KR20110087100A (en) | 2010-01-25 | 2010-01-25 | ca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7100A true KR20110087100A (en) | 2011-08-02 |
Family
ID=44925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6572A Withdrawn KR20110087100A (en) | 2010-01-25 | 2010-01-25 | c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87100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54418A (en) * | 2014-12-22 | 2015-04-29 | 张招敏 | Multifunctional steering wheel |
CN113734271A (en) * | 2021-09-13 | 2021-12-03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Steering mechanism for vehicle and vehicle |
-
2010
- 2010-01-25 KR KR1020100006572A patent/KR20110087100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54418A (en) * | 2014-12-22 | 2015-04-29 | 张招敏 | Multifunctional steering wheel |
CN113734271A (en) * | 2021-09-13 | 2021-12-03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Steering mechanism for vehicle and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0928B1 (en) | Vehicle steering with non-rotating airbag module | |
JP5495367B2 (en) | Side airbag unit for vehicles | |
JP4674714B2 (en) | Seat belt retractor, seat belt device, vehicle with seat belt device | |
US20200130641A1 (en) | Seat belt retractor | |
KR20110087100A (en) | car | |
EP1982872B1 (en) | Airbag folding method, airbag accommodating method, and airbag apparatus | |
KR20140014804A (en) | Automobile | |
JP2008221925A (en) | Knee airbag device with column | |
JP4671673B2 (en) | Seat belt retractor, seat belt device, vehicle with seat belt device | |
KR20100115191A (en) | Structure for connecting with steering-wheel and driver air-bag | |
JP2006159969A (en) | Seat belt retractor, seat belt device and vehicle with seat belt device | |
JPH11240411A (en) | Knee air bag unit for vehicle | |
JP4671674B2 (en) | Seat belt retractor, seat belt device, vehicle with seat belt device | |
JP4584680B2 (en) | Seat belt retractor, seat belt device, vehicle with seat belt device | |
JP4563142B2 (en) | Seat belt retractor, seat belt device, vehicle with seat belt device | |
JP6288203B1 (en) | Knee airbag device | |
KR20060054684A (en) | Seat Belt Anchor Integrated Retractor Pretensioner | |
JP4584679B2 (en) | Seat belt retractor, seat belt device, vehicle with seat belt device | |
JP2007508974A (en) | Device for mounting modules on steering wheels for automobiles | |
KR100527761B1 (en) | bracket structure for receiving curtain airbag | |
KR100552769B1 (en) | Steering column with double pipe structure | |
KR20050038163A (en) | A steering wheel for vehicle | |
KR0175245B1 (en) | Pretensioner for a vehicle's seat belt | |
KR100599572B1 (en) | Structure of Inflator Assembly for Driver's Seat Airbag Module | |
KR101329009B1 (en) | Air-bag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