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81278A - 전동 칫솔 및 전동 칫솔용 브러시 헤드 - Google Patents

전동 칫솔 및 전동 칫솔용 브러시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1278A
KR20110081278A KR1020117010235A KR20117010235A KR20110081278A KR 20110081278 A KR20110081278 A KR 20110081278A KR 1020117010235 A KR1020117010235 A KR 1020117010235A KR 20117010235 A KR20117010235 A KR 20117010235A KR 20110081278 A KR20110081278 A KR 20110081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
tufts
tuft
section
cro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5392B1 (ko
Inventor
게오르게스 드리젠
미하엘 슈미트
노르베르트 쉐퍼
한스외르크 라이크
슈테판 샴베르크
에파 주잔네 투르나이
로리 맥게리
Original Assignee
브라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브라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81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3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2Brush body details, e.g. the shape thereof or connection to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모 지지부와, 강모 지지부에 배열된 복수의 강모 터프트를 갖고, 강모 지지부는 강모 지지부의 이동가능한 장착을 위한 장착 수단을 갖는 전동 칫솔 및 구동가능 브러시 헤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강모 지지부의 중심 영역은 중심 영역에 인접하는 중간 강모 터프트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는 두 개의 중심 강모 터프트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강모 섹션을 포함하고, 중심 강모 터프트는 각각이 서로를 보완하는 긴, 특히 반달형, 바나나형 또는 콩팥 형상을 가져서, 중심 영역의 강모 섹션은 대략 원형, 계란형 또는 타원형 구조를 갖는다. 복수의 강모 터프트는 몇몇 포개진 링 또는 구역 내에 제공될 수 있는데, 외부 링에는 긴 터프트 단면의 외부 강모 터프트가 장착되고, 중간 링에는 외부 링의 긴 강모 터프트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각각 갖는 중간 강모 터프트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심 강모 터프트는 중심 강모 영역의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여, 중심 강모 터프트는 치아에 대해 터프트를 미는 힘 하에서 쉽게 굽혀지지 않고 이러한 힘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칫솔 및 전동 칫솔용 브러시 헤드{Electric Toothbrush and Brush Head for an Electric Toothbrush}
본 발명은 강모 지지부와, 강모 지지부에 배열된 복수의 강모 터프트를 갖고, 강모 지지부는 강모 지지부의 이동가능한 장착을 위한 장착 수단을 포함하는 전동 칫솔 및 전동 칫솔용 구동가능 브러시 헤드에 관한 것이다.
구동가능 강모 섹션으로, 특히 고정 터프트형성(anchor tufting)으로 지칭되는 기술을 이용하여 강모 지지부에 강모 터프트를 고정시키는 것이 요구될 때, 강모 지지부 상에 높은 강모 밀도를 달성하는 것이 때때로 어렵다. 한편으로, 전동 칫솔의 구동가능 강모 지지부는, 특히 구동부가 진동 회전 운동을 수행할 때, 치아 표면 상의 구동 운동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비교적 작은 표면적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특정 터프트 구성이 구동가능 강모 섹션에 대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회전 운동으로 진동되는 둥근 강모 지지부에는 칫솔 종축의 영역에 전동 팁, 즉 더 높은 높이를 갖고 치간 공간(interproximal space) 내로 침투할 수 있도록 다른 터프트 너머로 돌출된 칫솔 터프트가 종종 설치된다. 강모 지지부의 외주 상의 이러한 강모 터프트는 종래에는 좁고 종방향으로 연장된 터프트 단면을 갖는 긴 윤곽을 가져서, 강모 섹션에 적용된 치약이 작업 표면에서 보다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에 부가하여 치간 세척 효과가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EP0835081 B1호에서는 종축의 구역 내에 원형의 회전 구동가능 강모 섹션의 원주 상에 배열되고 더 내측에 배열된 터프트를 지나서 돌출된 터프트가 개시되어 있다. 강모 섹션의 외주 상의 이러한 연장된 터프트는 사실 치간 공간에 대한 세척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 한편, 치간 공간에 인접하는 치아 플랭크(flank) 섹션에 대한 세정 작용은 아직 최적이지 못하다. 다른 한편으로, 강모 섹션의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치아에서 다른 치아로 실제로 부드럽게 이동될 수 없어서, 칫솔 종방향의 브러시 헤드의 브러시 운동은 찌르는 느낌을 생성한다.
회전 구동가능하고 강모 섹션의 작업 표면 내에 중심 리세스 또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유사하게 구성된 브러시 헤드가 미국 디자인 특허 D 478,214호, 미국 디자인 특허 D 517,325호 또는 미국 디자인 특허 US-D 455,556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강모 섹션의 외주 상에 긴 강모 터프트를 제공하는 것은 고정 터프트형성 기술에 의해 터프트를 고정할 때 강모 지지부 상에 높은 강모 밀도를 달성할 수 있는 전술한 문제점을 악화시키는데, 이는 이러한 긴 강모 터프트가 대응하는 공간 요구에 따라 몇몇 고정 와이어로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나아가, 유리한 방식으로 기술을 더 개선하면서 종래 기술의 단점을 방지하는 개선된 전동 칫솔과 개선된 브러시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구이다. 특히, 고정 터프트형성 기술에 의해 강모 터프트를 고정시키는 전술한 가능성이 없이 강모 지지부 상에 높은 강모 밀도를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 청구항 17 또는 청구항 18에 따른 브러시 헤드 및 청구항 20에 따른 전동 칫솔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브러시 헤드는 강모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안되는데, 강모 지지부는 강모 지지부의 이동가능한 장착을 위한 장착 수단을 갖는다. 강모 지지부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플레이트형이다. 일 실시예에서, 강모 지지부의 회전 진동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 수단이 배열된다. 복수의 강모 터프트가 강모 지지부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강모 지지부는 중심 영역을 갖고, 중심 영역은 중심 영역에 인접하여 배열된 중간 강모 지지부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는 두 개의 중심 강모 터프트로 구성된 강모 섹션을 포함한다. 중심 강모 터프트는 긴 형상을 갖고, 특히 이는 대략 반달과 같은 형상 또는 바나나와 같은 형상 또는 콩팥과 같은 형상을 갖지만, 중심 터프트가 선형으로 연장된 터프트인 것을 제외하지는 않아야 한다. 두 개의 중심 터프트는, 그 단면 형태가 서로를 보완하여 특히 강모 섹션이 대략 원형, 계란형 또는 타원형 구조(이러한 구조는 두 개의 중심 강모 터프트를 포함하는 볼록한 감싸는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를 갖도록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중심 강모 터프트에 의해 형성된 강모 섹션의 측방향 치수는, 제1 측방향 폭이 제1 측방향 폭에 직각인 제2 측방향 폭의 약 50% 내지 100%로 측정되고 특히 제1 측방향 폭이 제2 측방향 폭의 약 70% 내지 약 90%로 측정되는 치수이다. 용어 "강모 터프트"가 반드시 (예를 들어 고정 터프트형성에 의한) 단일 단계로 강모 지지부에 고정된 필라멘트의 단일 터프트로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작은 강모 터프트가 큰 크기의 강모 터프트("복합 강모 터프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다단계 공정으로 구성될 수 있더라도 본질적으로 단일 터프트로서 나타나는 강모 터프트에 관한 것이다. 강모 터프트의 (터프트) 단면이 복합 강모 터프트가 단일 강모 터프트로 보이는 것으로 가정되는 강모 지지부의 강모 터프트 지지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 형성된다는 점에 또한 주의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강모 지지부에 배열된 복수의 강모 터프트는 서로에 포개진 링 또는 구역 내에 제공된다. 따라서, 외부 강모 터프트가 장착되는 외부 링 또는 구역이 존재하고, 중간 강모 터프트가 장착되고 외부 링 내에 포개진 중간 링 또는 구역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태양에서, 외부 강모 터프트는 긴 터프트 단면을 갖고, 외부 강모 터프트는 외부 링 또는 구역의 대향 측에 배열된다. 또한, 중간 강모 터프트는 외부 강모 터프트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태양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두 개의 중심 강모를 포함하는 중심 영역은 중간 링 또는 구역의 중심에 제공되고, 중심 영역에 인접하는 중간 강모 터프트는 외부 강모 터프트 및 중심 강모 터프트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다.
큰 크기의 중심 강모 터프트의 제공은 동작 중에 브러시 헤드의 중심 영역의 개선된 안정성을 가져온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치아 표면에 대해 브러시 헤드의 중심 영역을 누르고, 중심 영역의 강모는 강모 밀도(터프트 안정성)가 너무 낮으면 인가된 힘 하에서 굽혀질 것이어서, 이는 이어서 세정 효능을 감소시킨다. 함께 대략 원형, 계란형 또는 타원형 단면 구조를 갖는 제안된 중심 강모 터프트는 서로에 대해 충분한 안정성을 제공하여 중심 영역의 강모의 굽힘이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중심 강모 터프트 둘레에 작은 크기의 중간 강모 터프트를 제공하는 것은 강모 캐리어 상의 강모 터프트의 높은 밀도를 얻도록 한다. 긴 외부 강모 터프트의 추가 제공은 강모 캐리어 상의 높은 강모 밀도를 추가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전체 강모 터프트 필드의 원주 경계 상의 전체 강모 필드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그러한 한, 큰 크기의 중심 강모 터프트의 제공은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높은 강모 밀도와 높은 중심 안정성을 야기한다. 포개진 링 또는 구역에 제공되는 제안된 바와 같은 중간 강모 터프트와 외부 강모 터프트의 추가 제공은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높은 강모 밀도와 원주 안정성을 가져온다.
일 실시예에서, 두 개의 중심 터프트를 포함하는 감싸는 원형 영역 내의 강모 영역은 감싸는 원형 영역의 적어도 약 40% 내지 약 80%인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강모 영역은 상기 감싸는 원형 영역의 적어도 약 50%의 부분을 포함하고, 특히 강모 영역은 적어도 약 60%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감싸는 원형 영역은 강모 지지부의 전체 영역의 약 5% 내지 약 15%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감싸는 원형 영역은 강모 지지부의 영역의 약 7% 내지 약 9%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 강모 터프트는 대략 동일한 크기의 단면적을 갖는다. 이는 모든 중간 강모 터프트가 동일한 터프트형성 기계를 이용하여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단순한 제조를 허용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강모 터프트, 중간 강모 터프트 및 중심 강모 터프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강모 터프트의 각각의 강모 터프트는 기부 영역과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기부 영역의 정수배인 단면적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 모든 강모 터프트는 동일한 터프트형성 기계를 이용하여 장착될 수 있는데, 큰 크기의 강모 터프트는 긴 장착 구멍 내에 나란히 장착되는 두 개 이상의 강모 터프트로부터 조립되어서, 복합 강모 터프트를 형성한다.
달리 말하면, 중심 영역에서, 강모(또는 강모 터프트)의 증가된 패킹 밀도가 제공되어, 중심 치아 결합 영역을 형성하고, 강모 밀도의 결과로서, 강모 길이를 따라서 추가로 주저앉는 것을 방지한다. 중심 강모 섹션의 강모 단부에서의 이러한 증가된 밀도는 (약 1.5 ㎜ 미만 또는 특히 약 1 ㎜의 거리를 갖는) 복수의 바로 인접하는 강모 터프트에 의해 달성가능하다. 중심 영역에 장착된 강모 터프트는 조합되어 두 개의 큰 크기의 복합 강모 터프트(그러나 이들의 고정을 위해 하나 이상의 고정 터프트형성 와이어가 요구됨) 및/또는 서로를 향해 경사질 수 있는, 플레이트형 강모 지지부로부터 진행하는 중심 강모 터프트를 형성하여서, 강모 단부는 실질적으로 어떠한 터프트형성 간극도 없이 조밀한 강모 섹션을 형성한다. 따라서, 전술한 조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또는 전술한 3가지 접근법의 임의의 원하는 조합에 의해, 중심 강모 섹션에서 높은 밀도의 강모 단부가 달성가능하다.
따라서, 강모 지지부의 원주 외부 에지(외부 강모 터프트)에서 그리고 중심 영역(중심 강모 터프트)에서 큰 단면적의 강모 터프트를 집중시키고, 추가로 터프트의 중간 링(중간 강모 터프트)의 에지에서의 그리고 중심 내의 이들 큰 면적의 강모 터프트들 사이에 작은 단면적의 터프트를 제공하고, 강모가 조밀하게 채워진 경우에도 단면 형상과 그의 상대적인 배향의 적합한 선택에 의해 터프트 고정 수단의 충돌을 방지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링 상의 긴 외부 강모 터프트 내에서, 긴 강모 터프트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의 몇몇 중간 강모 터프트가 중간 링 상에 배열되고, 중간 링 상의 이들 작은 터프트 내에서, 중간 링 상의 터프트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터프트가 제공된다.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터프트 단면의 이러한 규칙적인 교번에 의해, 높은 강모 밀도가 달성 가능하고, 고정 수단의 충돌이 보다 우수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세정 효과에 대한 이점이 결과로서 생긴다. 강모가 강모 터프트 이외의 조합으로 또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강모 터프트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전술 및 후술되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부분의 강모에 대한 언급으로 대안적으로 여겨질 수 있다. 더욱이, 다른 유형의 치아용 세정 요소가 강모 대신에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강모 터프트는 외부, 중간 및 내부 링 대신에 상대적으로 배열 외부, 중간 또는 내부 구역에 배열될 수 있다.
다른 것들 중에서, 강모 섹션의 중심에 통상 적용되는 치약은 작업 표면 상에 보다 잘 보유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변하는 단면 형상의 중간 강모 터프트가 강모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 링 상에 배열된다.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 링 상에는, 중간 강모 터프트가 대략 정사각형 터프트 단면을 갖고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중간 링은 또한 둥근 단면, 특히 원형 단면을 갖는 중간 강모 터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각진, 특히 정사각형인 그리고 둥근, 특히 원형인 강모 터프트가 상기 중간 링 상에 배열되면, 유리하게 이들은 각각 상이한 섹터(sector)에 집중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반적으로 다양한 선택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둥근 중간 강모 터프트는 대향 섹터에서 중간 링 상에 배열되고, 강모 지지부의 편향되지 않은 중립 위치에서 칫솔 종축을 포함한다. 이에 반해서, 중간 링 상의 각진 강모 터프트는 유리하게는, 강모 지지부의 중립 위치에서 횡방향 축에 대칭으로 배열된 강모 지지부의 대향 섹터에 배열된다.
강모 터프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유리한 공간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중간 링의 각진 강모 터프트는, 적어도 그의 일부는, 강모 지지부의 주축에 대해, 그리고 또한 이들이 배열되는 링의 환형 윤곽에 대해 예각으로 회전된다. 특히 각진 강모 터프트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제2 각진 강모 터프트는 강모 터프트 단면의 주축이 중간 링에 대한 접선에 예각으로 경사지는 방식으로 회전된 그의 주축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대응하는 고정 플레이트는 다른 고정 플레이트의 충돌 범위에서 벗어난다. 또한, 강모 섹션의 굽힘 거동은 전체적으로 보다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방향에 덜 의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의 상이한 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중간 링의 강모 터프트는 적어도 대략 동일한 단면적 근사치를 갖는데, 단면적은 바람직하게는 약 +/-25% 미만, 특히 약 +/-10% 미만, 특히 약 +/-3% 미만의 범위로 변화한다.
중간 링의 강모 터프트의 단면적에 비해, 외부 링 상의 외부 긴 강모 터프트뿐만 아니라 중심 영역 내의 적어도 두 개의 최내부 중심 강모 터프트는 적어도 두 배 큰 단면적을 갖는다.
이러한 배열에서, 강모 섹션의 외부 링 상에는, 긴 외부 강모 터프트의 몇몇 대향하여 놓인 쌍들이 배열될 수 있다. 강모 섹션의 상이한 영역의 상이한 세정 작업에 대한 강모 구성의 개선된 적응을 위해, 상기 외부 링은 강모 길이 및/또는 높이 및/또는 단면적에 대해 상이한, 상이하게 설계된 쌍들의 긴 강모 터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편향되지 않은 중립 위치에서 칫솔 종축을 포함하는 강모 지지부의 대향 섹터는, 칫솔 종축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그에 직각으로 배향된 섹터의 터프트보다 더 큰 단면적의 긴 강모 터프트 및/또는 더 긴 강모 터프트를 포함한다.
긴 외부 강모 터프트에 더하여, 외부 링은 긴 강모 터프트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의 대략 둥글거나 정사각형인 단면을 가질 수 있는 길지 않은 윤곽을 갖는 추가의 외부 강모 터프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강모 섹션의 중심 영역은 두 개의 동일하게 긴 중심 강모 터프트를 포함하고, 그의 종축, 즉 긴 단면의 길이방향 치수는 강모 지지부의 주축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특히, 상기 최내부 강모 터프트는 그의 종축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강모 지지부의 편향되지 않은 중립 위치에서 칫솔 종축에 평행하게 배향된 그리고/또는 외부 링 상에 가장 높은 높이 및/또는 가장 큰 단면적을 갖는 외부 링 상의 긴 강모 터프트를 향하여 배향된다.
강모 지지부 및/또는 강모 지지부 상에 형성된 강모 섹션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외부 윤곽을 가질 수 있고, 강모 지지부는 유리하게는 특히 회전 구동될 때 둥근 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다른 태양에서, 강모 지지부는 원형이 아니고 원형 형태로부터 벗어난 형상이다. 특히, 강모 지지부는 계란형 또는 타원형 구성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다소 평탄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강모 터프트의 적어도 외부 열 또는 외부 링은 유사한 방식으로 평탄화된 링형이나, 계란형이나, 타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강모 지지부의 상부에서 볼 때, 강모 터프트는 강모 지지부의 주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특히 강모 터프트 또는 강모 지지부 상의 부착 지점이 180도 회전함으로써 하나가 다른 하나로 변환 가능하도록 회전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그러나, 특히 높이 프로파일이 다른 측보다도 일 측으로 보다 집중적으로 상승되는 방식으로, 측면도, 특히 칫솔 종축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볼 때, 강모 섹션은 비대칭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강모 섹션은 강모 터프트의 자유 단부에 의해 형성된 작업 표면에 중심 오목부를 가져서, 유리하게는 일 방향으로 만곡되고 그에 직각인 방향으로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홈형 저부를 가질 수 있다. 강모 섹션 또는 그의 작업 표면의 중간부에 그러한 사실상 단일 축으로 만곡된 오목부를 통하여, 치약 또는 유사한 젤형 치아용 세척제의 우수한 보유력뿐만 아니라 더 쾌적하고 더 부드러운 세정 느낌이 동반하는 치아에 대한 더 나은 세정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대향하는 원주측들로 상승된 작업 표면의 윤곽은, 특히 치간 공간에 인접한 치아 플랭크 섹션이 더 잘 세정되도록, 말하자면, 꼭 맞게 감싸인 측방향 치아 플랭크에 더욱 맞댄다.
중간에 평면 오목부를 갖는 강모 섹션과 달리, 최내부, 즉 중간 및 중심 강모 터프트는 우선적으로 굽혀질 필요가 없다. 오히려, 중간 중심 강모 터프트는 굽힘 없이 치아의 측방향 플랭크에 대해 꼭 맞게 놓인다. 더욱이, 중심 구역에서도 변하는 터프트 높이로 인하여 브러시가 치아 플랭크에 대해 스위핑(sweeping)할 때 개별 터프트가 연속적으로 밀리기 때문에, 말하자면 브러시 헤드가 말하자면 오목부 내로 빠지지 않고 다음 치아의 플랭크 둘레의 오목부의 만곡면을 따라 브러시 헤드가 밀리기 때문에, 특히 브러시 헤드가 하나의 치아에서 다음 치아로 이동할 때 더 부드러운 세정 느낌이 결과로서 생긴다. 특히, 강모 섹션의 회전 구동으로, 부드러운 와이핑(wiping) 운동이 그에 더하여 결과로서 생기는데, 이는 치아 플랭크를 감싸고 있는 터프트가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서 더 강하게 굽혀지기 때문이다.
강모 섹션 표면의 오목한 중심부의 홈형 곡률부는 통상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프트가 균일한 길이를 갖는 한편, 대응하여 만곡된 강모 지지부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터프트와, 특히 내부에 놓인 터프트는, 이들이 그의 자유 단부로 상기 홈형 곡률부를 형성하도록 그 길이가 변화한다. 특히 내부에 놓인 터프트의 길이는, 예를 들어 중심 오목부의 상기 홈형 곡률부를 형성하도록, 강모 지지부의 중심점으로부터 증가된 거리를 갖는 자유 단부에 의해 형성된 작업 표면의 곡률부의 방향으로 증가될 수 있다. 터프트의 이러한 변하는 길이를 통해, 더 돌출된 강모가 그의 긴 길이로 인해 보다 쉽게 굽혀질 수 있기 때문에, 부드러운 세정 느낌과 치아 위에서의 강모 섹션의 부드러운 이동을 달성할 수 있다.
중심 오목부의 표면의 가장 연속적인 곡률부를 얻기 위해, 오목부의 구역 내에 상기 작업 표면을 형성하는 내부 터프트의 자유 단부는 강모 지지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단부면을 갖지 않고 상이한 내부 터프트가 상이하게 경사진 단부면을 갖는 강모 지지부 표면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 단부면을 가져서, 상이하게 경사진 단부면은 상호 보완적으로 중심 오목부의 상기 홈형 윤곽의 통로를 형성한다. 특히 터프트의 자유 단부의 단부면의 경사는 강모 지지부의 중심으로부터 터프트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식으로 더 두드러지게 될 수 있어서, 강모 섹션의 원주 에지의 방향으로 홈형 저부의 점점 더 가파른 벽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터프트는 그의 자유 단부에서 평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부 터프트는 상기 홈형 곡률부를, 말하자면 터프트에서 터프트로 단차식으로 비스듬하게 증가하는 등뼈형(chine-type) 구조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태양에서, 내부 터프트의 자유 단부는 그의 자유 단부에서 평면이 아닌 아치형으로 만곡된 단부면을 가질 수 있어서, 이웃하는 터프트의 상호 보완적인 자유 단부는 전술한 홈형 오목부를 형성하는 연속으로 만곡된 감싸는 표면을 형성한다. 개별 터프트의 만곡 단부면은 유리하게는 단일 축으로 만곡되는데, 즉 단부면은 홈형으로 이미 만곡되어, 이들은 일 방향으로 직선으로 진행하면서 이에 직각인 방향으로 곡률부를 갖는다.
강모 섹션의 작업 표면의 중심 구역의 홈형 만곡 저부는 일반적으로 대칭 구성, 즉 사실상 포물선형으로 연장되는 대칭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부 터프트는 그의 자유 단부와 함께 강모 섹션의 대향 원주측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비율로 상승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강모 섹션의 작업 표면에 중심 오목부의 곡률부의 비대칭 경로를 위해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특히 바나나형 홈 곡률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강모 섹션의 작업 표면에 중심 오목부를 형성하는 터프트는 대향 원주측에 대해 불균일하게 상승하여, 홈형 오목부의 하나의 상부 에지는 대향 에지보다 더 높다. 무엇보다도, 이는, 예를 들어 정확하게 접선이 아니고 대안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다소 V자형 배향으로 치아 플랭크에 대해 브러시 헤드를 위치시키도록 하는 사용자의 경향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더 크게 개선된 치아 간격 세정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외부의 더 긴 또는 더 높은 터프트는 그의 자유 단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사면(bevel)을 갖는다. 특히 단부면의 측방향 에지는 모따기 방식으로 경사질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긴 외부 강모 터프트는 치간 공간 내로 더 잘 침투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브러시 헤드는 하나의 치아로부터 다음 치아로 보다 용이하고 보다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는데, 이는 말하자면 다음 치아 플랭크 상의 쐐기형 경사 표면의 방식으로 원주 외부에 놓인 터프트의 사면이 강모 섹션을 상승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열에서, 외부의 긴 터프트는 대체로 내측과 외측 둘 모두로 치아를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지 하나의 사면만이 각각의 터프트의 측면 중 하나에 제공되어, 충분히 넓고 경사지지 않은 단부면이 남아 있게 되어, 그 결과로서 세정 효과가 치간 공간과 치아 플랭크에서 동일하게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다른 태양에서, 터프트의 자유 단부의 외부 에지, 즉 내부 터프트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에지가 경사진다. 그 결과, 브러시 헤드는 하나의 치아로부터 다음 치아로 특히 부드럽게 밀릴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외부의 긴 터프트의 단부면의 내측 에지는 또한 경사질 수 있다. 그 결과, 강모 섹션의 작업 표면은 둥근 몸체의 치아 플랭크에 대해 특히 꼭 맞게 놓인다. 내측 사면은, 말하자면 강모 섹션의 작업 표면의 중심에서 홈형으로 만곡된 오목부에 연속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브러시의 종방향에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외부의 짧은 터프트의 단부면의 내측 에지는 또한 경사질 수 있다. 이는 치은-치아 영역의 세정 효과를 개선한다.
터프트의 응용 및 구성에 따라, 원주의 긴 터프트의 사면은 다양하게 표명될 수 있다. 상기 터프트의 비경사 단부면에 대해, 원주 터프트의 상기 사면이 대략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25°내지 40°의 각도로 경사질 때, 치아들 사이와 그의 표면들 둘 모두에 대한 우수한 세정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사면이 그의 단부에서 터프트 폭의 대략 25% 내지 75%에 걸쳐 연장되면, 치간 공간 내로의 용이한 진입과 치아 플랭크의 세정 능력의 달성을 유지하는 것 사이에서 유리하게 절충하여, 상기 사면의 깊이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폭"은 그 종축에 수직이고 사면의 종방향에 횡방향인 터프트의 치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적어도 터프트의 외측이 강모 지지부 상의 수직에 대해 예각으로, 바람직하게 이는 1.5°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대략 3° 내지 10°의 범위의 각도로, 외주 측을 향하도록 상기 터프트가 경사질 때, 특히 상기 사면과 조합한 원주의 긴 외부 강모 터프트가 특히 효과적이다. 그 결과 브러시 헤드의 왕복 운동 동안 터프트는 일 방향으로 좌굴에 대한 감소된 저항을 얻어서, 치간 공간 내로의 보다 우수한 삽입을 일으킨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상기 긴 외부 강모 터프트는 이들이 강모 지지부로부터 전진함에 따라 펼쳐지는 그의 자유 단부 및/또는 측방향 플랭크를 향하여 더 크게 성장하는 단면적을 갖는다. 특히 상기 원주 외부 강모 터프트는 종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어서, 터프트의 자유 단부는 강모 지지부 상의 터프트의 기부보다 더 넓다. 한편으로, 이러한 사다리꼴 구성은 터프트가 그의 자유 단부 상에 더 큰 작업 표면을 갖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부채꼴로 펼쳐짐에 따라 터프트 내의 강모는 매우 쉽게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그 결과 전반적으로 치아 윤곽에 대한 보다 우수한 적응 및 개선된 세정 능력을 얻는다. 특히 터프트의 자유 단부의 측방향 사면으로, 상기 터프트는 치아의 경계 윤곽에 대해 더 맞대는 더 확실한 에지를 갖는 우수한 기하학적인 균형을 얻는다.
외부 긴 터프트의 사다리꼴 구성은 유리하게는 강모 지지부 상의 수직에 대해 비대칭이다. 특히 내부 터프트와 대면하는 상기 터프트의 내부 플랭크가 강모 지지부 표면에 사실상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는 한편, 내부 터프트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각각의 터프트의 외측은 강모 지지부 상의 수직에 대해 예각으로 외측을 향하여 경사진다. 따라서, 외부 플랭크는 일정 각도로 외향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반면, 내부 플랭크는 직립하는데, 즉 이들은 강모 지지부 표면에 사실상 수직으로 정렬된다.
긴 강모 터프트 상에서, 터프트의 자유 단부 상의 전술된 사면은 유리하게는 터프트의 긴 단부면의 종축에 평행하게 그리고/또는 접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긴 외부 강모 터프트는 대향 원주측 상의 대향 원주 섹터 내의 외주 상에 제공되어, 강모 섹션의 작업 표면 내의 중심 오목부는 대향하는 긴 원주 터프트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긴 외부 강모 터프트는 유리하게는 강모 섹션의 전체 원주를 따라 제공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섹터 각도 당 60° 미만의 제한된 각 섹터(angular sector) 내에만 제공되는 반면, 중심 구역 내의 홈형 만곡 오목부가 그의 가장 깊은 곳이 있는 중간 섹터에는 어떠한 긴 상승된 외부 강모 터프트도 원주 방향으로 위치되지 않는다. 홈형 중심 오목부는, 말하자면 전체 강모 섹션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홈형 오목부가 그의 가장 깊은 곳이 있는 상기 섹터에서, 외주 터프트는 홈형 오목부 윤곽의 구성에 적응되거나 또는 그의 일부를 형성한다.
브러시 헤드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칫솔 및 그 구동부의구성에 따라 다양한 구동 역학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다른 태양에서, 구동 운동은 강모 지지부를 통해 연장되는 회전축에 대한 진동 회전 운동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은 그 중심점 또는 무게 중심을 통하여 강모 지지부의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회전축이 편심으로 위치되어 상이한 크기의 운동 성분이 강모 섹션의 상이한 원주측에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태양에서, 긴 외부 강모 터프트에 편심이 적용되는데, 즉 회전축은 대향하는 외부의 긴 터프트를 통해 연결선에 평행하게 변위된다. 강모 섹션의 구성에 따라서, 회전축이 강모 지지부의 직경 선을 55% 내지 45%에서 최대 70% 내지 30%까지의 길이비로 분할할 때, 한편으로는 상이한 원주측의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크기의 세정 운동과, 다른 한편으로는 또한 허용 가능한 진동 운동 사이에서 잘 절충하여 편심이 다양하게 표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강모 지지부의 평면에 대해 89° 내지 65°, 특히 88° 내지 82° 범위인 경사각으로, 강모 지지부의 회전축이 상기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강모 섹션의 홈형 만곡면 프로파일과 함께, 회전 운동 중에 쑤심 운동(poking motion)을 중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강모 섹션이 칫솔의 핸드피스(handpiece)로부터 멀어지게 기울도록 회전축이 기울어진다. 이는 특히 어금니 및 앞니의 내부 표면에 관한 세정하기 어려운 치아 영역에 대한 보다 우수한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강모 섹션의 회전 진동이 주어지면, 평면도에서 길게 보이는 원주 방향으로 외부의 긴 터프트의 단부면은 회전축에 대한 호형으로, 특히 회전축에 대한 원호형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긴 외부 강모 터프트의 외부 단부의 전술한 사면은 직선으로, 바람직하게는 터프트의 아치형으로 만곡된 긴 단부면에 실질적으로 접하여 연장될 수 있다. 한편으로, 이는 터프트의 제조를 단순화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는, 쐐기 표면에 의해 대응하는 터프트가 치간 공간 내로 연속적으로 삽입되고 치간 공간으로부터 후퇴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사면과 이에 수반하는 경사지지 않은 단부면의 원주 방향으로 변하는 폭을 가져온다.
그러나,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축 둘레에 아치형 곡선으로 동등하게 사면이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여, 특히 터프트의 사면 및/또는 나머지 경사지지 않은 단부면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윤곽 및 폭을 갖는다. 그 결과, 치아 플랭크와 터프트의 특히 부드러운 접촉과 치간 공간 내로의 적절하거나 균일한 침투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부의 긴 터프트는 강모 지지부 또는 강모 섹션의 원주의 대략 25% 내지 75%에 걸쳐 있는 거리를 따라 내부 터프트를 둘러싼다.
작업 표면의 상기 중심 오목부를 형성하는 자유 단부를 갖는 내부 터프트는, 그의 자유 단부로 실질적으로 연속인 표면을 형성할 수 있어서, 실제로는 연속인 홈형 오목부를 얻는다. 따라서, 한편으로, 치아 플랭크의 전체 표면 둘레에 맞대어지는 것을 이룰 수 있고 큰 영역에 걸쳐 세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는, 강모 섹션의 작업 표면에 보다 우수하게 보유되고 터프트들 사이에서 강모 지지부로 쉽게 흘러내리지 않는 치약 또는 치아 세정 작용제의 위치설정에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다른 태양에서, 상기 내부 터프트는 그의 자유 단부로 개별 단부면을 형성할 수 있어서, 그 결과 제거된 파편의 보다 우수한 배출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추가 특징부는 그들의 요지에 관계없이 특허청구범위에서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하위 조합으로 사용될 때 본 발명의 주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이하의 설명과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동가능 브러시 헤드를 갖는 전동 칫솔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
도 2는 도 1의 칫솔의 브러시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3>
도 3은 칫솔 종축에 평행한 도 2의 선 B-B를 따라 취한 브러시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도 2의 선 A-A를 따라 취한 도 2의 브러시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5>
도 5는 터프트의 경사각을 도시하는 확대된 개략도로서 도 3의 외부 긴 강모 터프트 중 하나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6>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칫솔의 브러시 헤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7>
도 7은 칫솔 종축에 평행한 도 6의 선 B-B를 따라 취한 칫솔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8>
도 8은 도 6의 선 A-A를 따라 취한 브러시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9>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칫솔의 브러시 헤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
도 10은 칫솔 종축에 평행한 도 9의 선 B-B를 따라 취한 칫솔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11>
도 11은 도 9의 선 A-A를 따라 취한 브러시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12>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칫솔의 브러시 헤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3>
도 13은 칫솔 종축에 평행한 도 12의 선 B-B를 따라 취한 칫솔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14>
도 14는 도 12의 선 A-A를 따라 취한 브러시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15>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칫솔의 브러시 헤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6>
도 16은 칫솔 종축에 평행한 도 15의 선 B-B를 따라 취한 칫솔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17>
도 17은 도 15의 선 A-A를 따라 취한 브러시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18>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칫솔의 브러시 헤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9>
도 19는 칫솔 종축에 평행한 도 18의 선 B-B를 따라 취한 칫솔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20>
도 20은 도 18의 선 A-A를 따라 취한 브러시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21>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칫솔의 브러시 헤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2>
도 22는 칫솔 종축에 평행한 도 21의 선 B-B를 따라 취한 칫솔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23>
도 23은 도 2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브러시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24>
도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칫솔의 브러시 헤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5>
도 25는 칫솔 종축에 평행한 도 24의 선 B-B를 따라 취한 칫솔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26>
도 26은 도 24의 선 A-A를 따라 취한 브러시 헤드의 종단면도이다.
<도 27>
도 27은 외주의 긴 강모 터프트가 그의 외부 단부에서 내측 사면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칫솔의 브러시 헤드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28>
도 28은 강모 섹션의 만곡된 작업 표면이 치아 플랭크를 감싸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 27의 브러시 헤드의 개략 기능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전동 칫솔(1)은 손잡이 섹션(2)과 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브러시 헤드(4)를 포함한다. 브러시 헤드(4)는 손잡이 섹션(2)에 연결되는 칫솔(1)의 목부 섹션(3)을 포함하고, 상기 목부 섹션(3)은 부분적으로 중공인 튜브의 형태로 구성된다.
손잡이 섹션(2)은 그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충전식 배터리 형태인 에너지원(20)과,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 형태인 모터(5)와, 제어 장치(21)를 수용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터(5)의 회전 운동은 기어장치(22)에 의해, 목부 섹션(3)을 통해 브러시 헤드(4)의 말단부로 연장되는 구동 샤프트(23)의 진동 회전 운동으로 변환된다. 칫솔(1)은 손잡이 섹션(2)에 장착된 스위치(24)에 의해 작동 및 작동해제될 수 있다.
적절한 기어장치(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달리 베벨 기어장치(25))를 이용하는 공지된 방식으로, 구동 샤프트(23)의 단부에서, 강모 캐리어(7)가 칫솔 종축(26)에 실질적으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9)에 대한 진동 회전 운동으로 구동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브러시 헤드(4)의 강모 지지부(7)에 의해 스위핑되는 각도 범위는, 대략, ±35°±5° 범위의 값을 갖는데, ±10° 내지 ±100° 범위의 진동이 또한 가능하다. 진동 주파수는, 예를 들어 10㎐와 100㎐ 사이에서 변화하고 그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축(9)은 칫솔 종축(26)과 직각을 형성한다. 또한, 브러시 헤드(4)의 구동은 회전 또는 진동의 축의 방향으로 그의 펄스 운동에 대해 3차원으로 제공된다.
칫솔(1)의 브러시 헤드(4)의 사용을 위한 브러시부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2 내지 5에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강모 지지부(7)는 둥글지만, (원형 형상이 배제되지 않더라도) 원형은 아니고, 칫솔 종축(26)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강모 지지부(7)의 중립 위치에서 계란형 또는 타원형의 장축과, 그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계란형 또는 타원형의 단축을 갖는, 다소 계란형 및/또는 타원형이다. 도 2에서, 계란형 또는 타원형의 장축은 선 B-B에 평행하다.
강모 지지부(7)에는, 몇 개의 링(12, 14, 15)으로 배열되고 강모 섹션(10)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복수의 강모 터프트가 배열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외부 링(12)에는, 8개의 외부 강모 터프트가 위치되는데, 그 중 4개는 긴 윤곽을 갖는 반면, 다른 4개는 대략적으로 말해서 둥글거나 등변인 단면 윤곽을 갖는다. 상기 외부 링(12) 상의 터프트의 길이는,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달라지는데, 대략적으로 말해서, 도 2를 참조할 때, 강모 지지부(7)의 초기 위치에서 칫솔 종축(26)을 포함하는 대향 섹터(27, 28) 사이에 놓이거나 종축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향된 섹터(29, 30)보다는 상기 섹터(27, 28) 사이에 긴 터프트들이 일반적으로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축 B-B 및 A-A의 외부 링(12)에 놓인 터프트(11, 31)는 각각 평면도에서 볼 때 길고, 그 사이에 놓인 터프트(32)는 대략 등변인 윤곽 또는 대략 입방체 또는 둥근 단면을 갖는다. 상기 긴 터프트(11, 31)는, 도 2를 참조하면, 진동/회전축(9) 둘레에 아치형 곡선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긴 주축 B-B에 놓인 외부 강모 터프트(11)는 대략 5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대략 70°의 원주 섹션에서 연장되지만, 짧은 주축 A-A에 놓인 외부 강모 터프트(31)는 대략 2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대략 30°의 원주 섹션에서 연장된다.
외측에서부터 볼 때, 터프트의 제2 링(15)에는 일부가 원형 단면을 갖고 다른 부분은 각진 단면을 갖는 총 10개의 중간 강모 터프트(13a, 13b)가 위치된다. 특히 원형 단면을 갖는 중간 강모 터프트(13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링(12)의 긴 외부 강모 터프트(11)가 놓이는 섹터(27, 28)에 배열되는 한편, 각진 터프트는 제2 링(14)의 강모 지지부(7)의 중간 섹터(29, 30)에 구비된다. 또한, 제2 링(14)의 이들 중간 강모 터프트(13a, 13b)의 길이는 짧은 주축에 놓인 섹터(29, 30)에서보다는 상기 섹터(27, 28)에 긴 터프트가 구비되는 방식으로, 링(14)의 원주를 따라서 터프트 단위로 순환식으로 변한다.
중간 링(14)의 둥근 중간 강모 터프트(13a)뿐만 아니라 각지고 대략 정사각형인 (또는 각진) 중간 강모 터프트(13b)는 그의 상이한 단면 윤곽에 관계없이 적어도 대략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모 터프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유리한 공간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중간 링(14)의 각진 중간 강모 터프트(13b)는, 적어도 그의 일부는, 강모 지지부(7)의 주축 A-A 및 B-B에 대해, 그리고 또한 이들이 배열되는 링(14)의 환형 윤곽에 대해 예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각진 중간 강모 터프트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2 각진 중간 강모 터프트(13b)는 강모 터프트 단면의 주축(37)이 중간 링(14)에 대한 접선에 예각으로 경사지는 방식으로 회전된 그의 주축(37)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대응하는 고정 플레이트가 다른 고정 플레이트의 충돌 범위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또한, 강모 섹션의 굽힘 작용은 전체에서 보다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방향에 덜 의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최종적으로, 외측에서 볼 때 터프트의 제3 링 또는 최내부 영역에는, 두 개의 긴 중심 강모 터프트(13c)가 긴 주축 B-B에 평행한 그의 종축(38)을 갖고 연장되어 제공된다.
중심 강모 터프트(13c)는 중간 링의 중간 강모 터프트(13a, 13b)보다 상당히 큰 단면적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들 단면적은 중간 링(14)의 중간 강모 터프트(13a, 13b)의 단면적의 200% 내지 400% 사이로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중심 강모 터프트(13c)는 긴 구성을 가져서, 이들의 종방향 치수(38)는 그의 횡방향 치수보다 150%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150% 내지 300%로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심 강모 터프트(13c)는 유리하게는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외부 윤곽을 갖고 내부 윤곽은 직선이어서, 내부 및 외부 윤곽은 유리하게는 둥근 단부 윤곽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중심 강모 터프트(13c)의 전체 형상은 대략 바나나형이다. 두 개의 대략 반달형 중심 강모 터프트(13c)는, 그 형상이 서로를 보완하는 방식으로 배열되어 이들은 함께 대략 계란형의 강모 섹션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중심 강모 터프트의 형상은 대략 반달형 또는 바나나형 또는 콩팥형일 수 있고, 이들은 두 개의 중심 강모 터프트 둘레에 그려지는 감싸는 볼록 곡선으로 형성된 대체로 둥근, 예를 들어 원형, 계란형 또는 타원형 강모 섹션을 형성하도록 이들 형상이 서로를 보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중심 강모 터프트(13c)는, 강모 지지부(7)의 편향되지 않은 중립 위치에서 칫솔 종축 (26) 또는 이를 통과하는 종방향 중심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강모 지지부의 주축에 평행하게 정렬된 종축(38)을 갖는다. 터프트는 그의 강모 단부와 함께,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조밀하게 채워진 강모 단부면을 형성한다. 이는 약 1° 내지 2°의 각도로 회전축을 향하여 내향 경사진 터프트 구멍 벽(13d)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그에 의해 중심 강모 터프트가 서로를 향해 경사지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모 섹션(10)의 터프트는 그 길이 및/또는 높이에 대해 서로 조화되거나 윤곽이 형성된 자유 단부를 가져서, 터프트의 자유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바와 같이 강모 섹션(10)의 작업 표면(34)은 일 방향으로 만곡되어 이에 수직인 방향으로 직선인 홈형 저부(17)를 갖는 중심 오목부(16)를 갖는다. 강모 지지부(7)가 그의 편향되지 않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곡률부는 유리하게는 긴 주축 B-B의 방향 또는 칫솔 종축(26)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에 수직인 방향, 즉 강모 지지부(7)가 그의 편향되지 않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강모 지지부(7)의 짧은 주축 A-A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칫솔 종축(26)에 횡단하여 연장되는 방향으로, 오목부(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윤곽을 갖는다.
중심 오목부(16)는 다양한 깊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 태양에서, 오목부(16)의 가장 깊은 지점은, 강모 섹션(10)의 가장 높은 지점보다 깊은, 대략 1 ㎜ 내지 3 ㎜, 바람직하게는 대략 2 ㎜ 값으로 설정된다. 오목부(16)의 저부(17)의 홈형 윤곽은 일반적으로 상이한 곡률부를 가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8 ㎜ 내지 17 ㎜ , 바람직하게는 대략 10 ㎜ 내지 14 ㎜ 범위의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형 윤곽이 제공되지만, 이는 강모 섹션의 치수 및 구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및 중심 강모 터프트(13a, 13b, 13c)의 단부면과, 홈형 저부(17)를 형성하도록 이와 유사하게 조합되는 짧은 외부 강모 터프트(31)의 단부면은 평표면으로 구성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그 자체로 홈형으로 만곡된다. 홈형 만곡 단부면(35)은 서로를 보완하고, 조합하여 중심 오목부(16)의 저부(17)의 상기 홈형 윤곽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중간 및 중심 강모 터프트(13a 내지 13c)의 단부면의 경사는, 도 3을 참조하면, 주축 B-B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축(9)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된다. 다시 말하면, 횡방향으로 연장된 주축 A-A에 배열된 터프트는 그의 자유 단부에서 다소 만곡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모 지지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한편, 상기 주축 A-A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자유 단부의 경사는 증가한다.
도 3에도 또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섹터(27, 28)의 외부 링(12)에 배열된 외부 강모 터프트(11)는 다른 터프트에 대해 연장되거나 또는 다른 터프트를 지나서 돌출되도록 더 높은 높이를 갖는다. 이는 도 3을 참조하면 중심 오목부(16)에 대해 높이 단차를 야기하는데, 즉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중심 오목부(16)는 상기 외부 강모 터프트(11)의 단부면과 매끄럽게 합쳐지지 않는다.
강모 지지부의 중립 위치에서 칫솔 종축(26)을 포함하는 대향 섹터(27, 28)의 상기 외부 강모 터프트(11)는 유리하게는, 상기 단부면(36)이 외측을 향하여 경사진 사면(18)뿐만 아니라 터프트(11)의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 평탄 섹션(19)을 포함하는 단부면(36)을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면(18)은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대략 30° 내지 40° 범위의 각도(γ)로 연장된다. 사면(18)은 유리하게는 각각의 터프트(11)의 폭(W)의 대략 25% 내지 75%에 걸쳐 있도록 깊고 넓다. 이러한 경우, 도 5를 참조하면 터프트의 자유 단부의 구역에서, 폭(W)은 터프트의 종축에 수직이고 사면(18)의 종방향 치수에 수직인 터프트의 치수인 것으로 이해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면은 (종축 B-B를 따라 측정한) 폭(W)의 대략 1/4 내지 3/4에 걸쳐 연장된다.
상기 긴 외부 강모 터프트(11)는 그 종방향 섹션에서 볼 때 대체로 사다리꼴 구성이다. 터프트(11)의 내부에 놓인 플랭크가 강모 지지부(7)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사실상 수직으로 연장하면서, 터프트(11)의 단면이 그의 자유 단부를 향하여 증가하도록, 즉 터프트가 그의 자유 단부를 향하여 넓어지도록, 외부에 놓인 플랭크는 대략 1.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대략 3° 내지 5°의 각도(α)로 강모 지지부(7)에 수직을 향하여 경사진다. 그 결과, 강모 지지부(7)의 제한된 크기로 큰 작업 표면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터프트의 사면(18)에 대한 터프트(11)의 자유 단부에서 유리한 기하학적 균형을 얻는다.
가능한 한 완전하게 치아 플랭크를 둘러싸고 넓은 면적에 걸쳐 브러시 압력을 분포시키고 작업 표면(34)에 치약 등을 보유하기 위해, 터프트는 그의 자유 단부가 유리하게는, 강모 지지부(7)에 의해 형성된 면적의 적어도 35% 내지 55%,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으로 점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링(12) 상의 터프트는 모든 터프트의 연장부가 함께 추가될 때에, 대략 200° 내지 300°의 원주 섹션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외측에서 볼 때 터프트의 제2 링(14)은, 원주를 따르는 모든 터프트의 연장부가 함께 추가될 때에, 대략 총 200° 내지 300°의 원주에 걸쳐 유사하게 연장될 수 있다. 최내부 터프트는 그의 자유 단부가 유리하게는 그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폐쇄된 영역을 덮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브러시 헤드(4)의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대응하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6 내지 도 8의 실시예는, 작은 곡률 반경으로 만곡된 중심 홈형 오목부(16)의 다소 더 깊은 윤곽과, 터프트의 외부 링(12)의 길지 않은 터프트(32)의 전체 둥근 윤곽만이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상이하다.
도 9 내지 도 11의 브러시 헤드(4)의 다른 실시예는 도 6 내지 도 8의 실시예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그의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상기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그의 편향되지 않은 중립 위치에서 칫솔 종축(25)을 포함하는 강모 지지부(7)의 섹터(27, 28) 내의 긴 외부 강모 터프트(11)는, 이들 터프트(11)의 치간 공간으로의 보다 우수한 침투를 허용하기 위해, 단부면(36)의 평탄 섹션(19)에 대해 55°의 각도(γ)로 경사진 보다 두드러진 사면(18)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그의 자유 단부로 중심 오목부(16)의 홈형 저부를 형성하는, 일부 및/또는 모든 내부 터프트(13), 특히 중간 및 중심 강모 터프트(13b, 13c)는 특별히 구성된 자유 단부를 갖는다. 상기 중간 및 중심 강모 터프트(13b, 13c)는 단부가 부채꼴로 펼쳐져서, 말하자면 연질 파일(pile) 및/또는 플리스(fleece)가 자유 단부에 생성된 필라멘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여, 그 결과 치약이 특히 이러한 구역에 잘 보유되고, 터프트가 치아 표면 둘레에 그의 거의 전체의 영역에 걸쳐 맞댄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1의 실시예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그의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이러한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오목부(16)의 가장 깊은 지점과 강모 섹션의 가장 높은 지점 사이의 최대 높이 차는 더 크고, 오목부(16)의 저부(17)의 동일한 곡률에 대해 대략 2 ㎜에 이른다. 섹터(27, 28)의 구역 내의 강모는 길이가 상이하다. 이는 어금니 및 앞니의 내부 치아 표면에 대한 보다 우수한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강모의 외부 경사는 3° 내지 5°이다.
도 15 내지 도 17의 브러시 헤드(4)의 다른 실시예는 도 12 내지 도 14의 전술한 실시예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그의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이러한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강모 지지부(7)의 최내부 링(15)은, 사실상 다소 계란형인 단면을 갖고 종축이 주축 B-B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2개의 매우 길지는 않은 터프트(13c)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내부 터프트(13c)는 보다 두드러진 테이퍼로 넓어져서, 그 단면은 자유 단부를 향하여 증가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및 중심 강모 터프트(13a, 13b, 13c)는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대략 1.5° 내지 5° 범위의 개방 각도로 펼쳐져서, 자유 단부의 구역에서 두 개의 중심 강모 터프트(13c)는 말하자면 결합하여 접합면을 형성하면서, 이들은 강모 지지부(7)의 하단부에서 서로 이격된다.
도 18 내지 도 20의 실시예는 도 15 내지 도 17의 전술한 실시예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그의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섹터(27, 28) 내의 상승된 외부 강모 터프트(11)의 사면(18)은 상이한 구성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사면(18)은 직선으로 연장되고, 즉 평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터프트(11)의 아치 형상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평면을 형성한 반면, 도 18 내지 도 20의 실시예의 사면(18)은 아치형으로 만곡되고, 사면(18)은 터프트(11)의 만곡 형상에 따라 회전축(9) 둘레에서 마찬가지로 만곡되어, 터프트(11)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경사가 결과로서 생긴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터프트(11)는 실질적으로 그 전체 길이를 따라 동일한 양만큼, 즉 원주 방향으로의 그의 치수만큼 경사지는데, 이는 사면(18)이 터프트(11)의 형상을 따르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설명된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1 내지 도 23의 실시예는 도 12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그의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21 내지 도 23의 실시예에서, 긴 외부 강모 터프트(11)에 대한 오목부(16)는 도 15 내지 도 17에 비해 더 깊게 형성되어, 오목부(16)의 가장 깊은 지점과 터프트(11)의 가장 높은 지점 사이에서 대략 2 ㎜의 높이 차를 야기한다.
도 24 내지 도 26의 실시예는 도 18 내지 도 20의 전술한 실시예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그의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상기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오목부(16)는 긴 외부 강모 터프트(11)에 대해 더 깊게 이루어져, 대략 2 ㎜의 최대 높이 차를 야기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 종축(26)이 바람직하게는 강모 지지부(7)의 편향되지 않은 중립 위치에 놓이는 섹터(27, 28)와 섹터(29, 30)에 각각 배열되는, 긴 외부 강모 터프트(11)와 짧은 외부 강모(31)는 내측에, 즉 회전축에 근접한 측에도 또한 사면(18)을 가질 수 있고, 사면(18)의 폭과 각도는 전술한 기하학적 균형에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프트(11)는 마찬가지로 사다리꼴 형상이지만 사면이 내측에 제공되는 것으로, 즉 터프트(11)의 내부 플랭크는 3° 내지 10° 범위의 예각으로 강모 지지부(7)에 수직을 향하여 경사지는 한편, 외부 플랭크는 강모 지지부(7)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직립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외부 강모 터프트(11)의 내측의 상기 사면(18)의 결과로서, 강모의 자유 단부는 특히 캠버(camber) 형성된 치아 플랭크 윤곽에 대해 편안하게 놓인다.
내부 사면을 포함하는 변형은 치은연상 치아 영역(supra-gingival tooth area)에 대한 세정 작용을 개선시키기 위한 그의 능력 때문에, 짧은 외부 강모 터프트(31)와 함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다른 태양은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고, 청구항의 특징, 특히 이들 청구항의 특성적 특징을 보충하거나 또는 이에 독립적이다. 중심 강모 터프트의 단면적이 중간 구역에 배열된 강모 터프트(13a, 13b, 32)의 단면적의 1 내지 4 사이의 정수배인 브러시 헤드. 중간 강모 터프트(13a, 13b, 32)의 단면적이 1.75 ± 0.25 ㎟의 범위에 있는 브러시 헤드. 13a, 13b 또는 32에 대한 브러시 터프트(11)의 단면적이 4 대 1의 비율인 동시에, 13a, 13b 또는 32에 대한 브러시 터프트(31)의 단면적은 2 대 1의 비율인 브러시 헤드. 강모 터프트의 단면적의 비(13c 대 13a, 13b 또는 32)가 2 대 1인 브러시 헤드. 곡률부가 8 내지 17 ㎜ 또는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4 ㎜의 반경을 갖는 원통형 구성인 브러시 헤드. 사용되는 강모가 0.01 내지 0.025 ㎟ 범의의 단면적 또는 4.5 내지 7 밀(mil) 사이의 직경을 갖는 브러시 헤드. 평탄 섹션(19)에 대한 강모 터프트(11)의 강모 길이가 8.55 ㎜ ± 0.25 ㎜가 되는 브러시 헤드. 오목부(16)의 가장 깊은 지점 또는 강모 섹션의 중심 구역에서, 6.85 ± 0.25 ㎜의 최소 강모 길이가 제공되는 브러시 헤드. 외측으로 강모 섹션의 외부 강모(11)의 최대 강모 길이가 8.8 ± 0.25 ㎜가 되고, 유사하게 강모 섹션의 외측 상의 대향하는 강모 터프트(11)의 최대 강모 길이는 8.15 ± 0.25 ㎜가 되는 브러시 헤드. 강모 섹션의 중심 구역 내의 강모가 부채꼴로 펼쳐질 수 있고, 특히 1 내지 2.5 ㎜의 범위에서 강모 단부로부터 부채꼴로 펼쳐지기 시작하는 것이 제공되는 브러시 헤드. 강모 터프트(11, 31)가 강모 섹션의 중심과 대면하는 내측의 사면(18)을 포함하는 브러시 헤드. 강모 터프트가 외부 구역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다리꼴 구조를 갖는 브러시 헤드. 강모 터프트(31, 32)의 예각(α) 또는 경사가 강모 터프트(11)의 각도보다 작은 브러시 헤드. 바람직하게는 강모 터프트(11)가 3°의 예각(α)을 갖고, 강모 터프트(31, 32)는 강모 지지부(7)에 대해 직각인 브러시 헤드. 모든 터프트의 단면적의 강모 밀도가 강모 지지부(7)의 표면의 35 내지 50%가 되는 브러시 헤드. 강모 터프트(13c)가 1 내지 5°의 범위로 회전축을 향하여 또는 내향으로 예각으로 강모 지지부 상의 수직에 대해 강모 터프트의 외측으로 경사진 브러시 헤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수 및 값은 인용된 정확한 수치로 엄격하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대신, 달리 특정되지 않으면, 각각의 이러한 치수는 인용된 값과 이 값 주변의 기능적으로 등가인 범위 둘 모두를 의미하려는 것이다. 예를 들어 "40 ㎜"로 개시된 치수는 "약 40 ㎜"를 의미하려는 것이다.
임의의 상호 참조 또는 관련 특허 또는 특허출원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문헌은 명백히 배제되거나 달리 한정되지 않는 한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임의의 문헌의 인용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거나 청구되는 임의의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이거나, 단독 또는 임의의 다른 참고문헌 또는 참고문헌들과의 임의의 조합으로 임의의 이러한 발명을 교시, 제안 또는 개시하는 것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의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고로서 포함된 문헌의 동일한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충돌하면, 본 명세서의 용어에 대해 부여된 의미 또는 정의에 따른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다른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 및 변형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Claims (21)

  1. 강모 지지부(7)와;
    서로에 포개진 적어도 두 개의 링 또는 구역 내에서 강모 지지부(7)에 배열되는 복수의 강모 터프트(11, 13a, 13b, 13c)를 포함하고,강모 지지부(7)는 강모 지지부(7)의 이동가능한 장착을 위한 장착 수단(8)을 갖고,
    외부 링(12) 또는 구역이 긴 터프트 단면을 갖는 외부 강모 터프트(11)를 포함하고, 외부 강모 터프트(11)는 외부 링 또는 구역의 대향 측에 장착되고,
    외부 링(12) 또는 구역에 포개진 중간 링(14) 또는 구역이 외부 강모 터프트(11)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각각이 갖는 몇몇 중간 강모 터프트(13a, 13b)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링(14) 또는 구역의 중심 영역이 중간 링(14) 또는 구역의 중간 강모 터프트(13a, 13b)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는 두 개의 중심 강모 터프트(13c)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강모 섹션을 포함하고, 중심 강모 터프트(13c)는 각각이 서로를 보완하는 긴, 특히 반달형, 바나나형 또는 콩팥형 형태를 가져서, 중심 영역의 강모 섹션은 대략 원형, 계란형 또는 타원형 구조를 갖는, 전동 칫솔(1)용 브러시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중심 강모 터프트(13c)를 포함하는 감싸는 원형 영역 내의 강모 영역은 적어도 약 40% 내지 약 80%인 브러시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감싸는 원형 영역은 강모 지지부(7) 영역의 약 5% 내지 약 15%인 브러시 헤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강모 터프트(13a, 13b)는 대략 동일한 크기의 단면적을 갖는 브러시 헤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강모 터프트(11, 13a, 13b, 13c)의 각각의 강모 터프트는, 기부 영역과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기부 영역의 정수배인 단면적을 갖는 브러시 헤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링(14) 상의 강모 터프트(13)는 변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 브러시 헤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강모 터프트(13a, 13b)는, 각진,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특히 대략 정사각형인 단면을 갖고 중간 링(14)의 대향 측에 배열된 직사각형 강모 터프트(13b)를 포함하는 브러시 헤드.
  8. 제7항에 있어서, 중간 링(14)의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 강모 터프트(13b)는 그의 주축(37)이 중간 링(14)에 대한 접선에 예각으로 경사지는 방식으로 회전된 주축을 갖고, 상기 각도는 약 3° 내지 약 30°,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5°의 범위에 있는 브러시 헤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강모 터프트(11)와 적어도 두 개의 중심 강모 터프트(13c)의 단면적은, 중간 링 상의 강모 터프트(13a, 13b)의 터프트 단면적의 적어도 2배만큼 큰 브러시 헤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강모 터프트(11)들 사이에는, 외부 강모 터프트(11)의 단면적보다 작은 대략 둥글거나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강모 터프트(32)가 배열되는 브러시 헤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 강모 터프트(13c)는,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또는 강모 지지부(7)의 주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외부 링(12) 상의 두 개의 대향하는 외부 강모 터프트(11)를 연결하는 연결선에 평행하게 정렬된 종축(38)을 갖는 브러시 헤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모 지지부(7)는 원형이 아닌 특히 계란형 또는 타원형 형상인 둥근 형상을 갖는 브러시 헤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강모 터프트(11, 13, 31, 32)는, 강모 지지부(7)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강모 지지부(7)의 주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되고 그리고/또는 강모 지지부(7) 상의 강모 터프트의 부착 지점이 180° 회전함으로써 하나가 다른 하나로 변환 가능한 방식으로 회전 대칭으로 배열되는 브러시 헤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강모 터프트(11)는, 터프트의 자유 단부에 의해 형성된 작업 표면(34)에서 중심 오목부(16)를 형성하도록 중간 및 중심 강모 터프트(13a, 13b, 13c)보다 높이가 높고, 높이의 단차형 점프(jump)가 바람직하게는 중심 오목부(16)와 상기 외부 강모 터프트(11) 사이에 마련된 브러시 헤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모 지지부(7)의 장착 수단(8)은 구동된 상태에서 강모 지지부의 진동 회전 운동을 생성하는데 적절한 상기 강모 지지부(7)를 위한 회전축(9)을 형성하는 브러시 헤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모 지지부(7)는 계란형 또는 타원 형상이고 그리고/또는 복수의 강모 터프트의 적어도 하나의 링, 바람직하게는 강모 터프트의 외부 링(12)은 상기 회전축(9) 둘레에 계란형 또는 타원형을 그리는 브러시 헤드.
  17. 바람직하게는 대략 플레이트형인 강모 지지부(7)와 몇몇 포개진 링 또는 구역에서 강모 지지부(7) 상에 배열된 대부분의 강모 터프트(11, 13a, 13b, 13c)를 갖고, 강모 지지부(7)는 강모 지지부(7)의 이동가능한 장착을 위한 장착 수단(8)을 포함하고, 외부 링(12) 또는 구역에는 긴 터프트 단면의 긴 강모 터프트(11)를 대향 측에 장착하고, 외부 링(12) 또는 구역 내의 중간 링(14) 또는 구역에는 외부 링(12) 또는 구역의 긴 강모 터프트(11)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각각 갖는 몇몇 강모 터프트(13a, 13b)를 장착하는 전동 칫솔(1)용 브러시 헤드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링(14) 또는 구역의 중심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강모 섹션, 특히 중간 링(14) 또는 구역의 강모 터프트(13a, 13b)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는, 강모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강모 터프트(13c)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 헤드.
  18. 강모 지지부(7)와;
    상기 강모 지지부(7)에 배열되는 복수의 강모 터프트(11, 13a, 13b, 13c)를 포함하고,강모 지지부(7)는 강모 지지부(7)의 이동가능한 장착을 위한 장착 수단(8)을 갖고,
    상기 강모 지지부의 중심 영역이 중심 영역에 인접하는 중간 강모 터프트(13a, 13b)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는 두 개의 중심 강모 터프트(13c)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강모 섹션을 포함하고, 중심 강모 터프트(13c)는 각각이 서로를 보완하는 긴, 특히 반달형, 바나나형 또는 콩팥 형상을 가져서, 중심 영역의 강모 섹션은 대략 원형, 계란형 또는 타원형 구조를 갖는 전동 칫솔(1)용 브러시 헤드.
  19. 제19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부가적인 특징부를 갖는 브러시 헤드.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러시 헤드를 갖는 전동 칫솔.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칫솔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진동 방식으로 강모 지지부(7)를 구동하도록 배열되는, 브러시 헤드에 결합된 구동 장치를 갖는 전동 칫솔.
KR1020117010235A 2008-11-05 2009-11-04 전동 칫솔 및 전동 칫솔용 브러시 헤드 Active KR101365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019330.3 2008-11-05
EP08019330A EP2184032A1 (de) 2008-11-05 2008-11-05 Elektrische Zahnbürste sowie Bürstenkopf hierfür
PCT/IB2009/054899 WO2010052653A1 (en) 2008-11-05 2009-11-04 Electric toothbrush and brush head for an electric tooth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278A true KR20110081278A (ko) 2011-07-13
KR101365392B1 KR101365392B1 (ko) 2014-02-19

Family

ID=4055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235A Active KR101365392B1 (ko) 2008-11-05 2009-11-04 전동 칫솔 및 전동 칫솔용 브러시 헤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813292B2 (ko)
EP (2) EP2184032A1 (ko)
JP (1) JP5373097B2 (ko)
KR (1) KR101365392B1 (ko)
CN (1) CN102202602B (ko)
AU (1) AU2009312455B2 (ko)
BR (1) BRPI0921643B8 (ko)
CA (1) CA2741832C (ko)
DK (1) DK2349069T3 (ko)
ES (1) ES2787549T3 (ko)
MX (1) MX2011004757A (ko)
PL (1) PL2349069T3 (ko)
RU (1) RU2485913C2 (ko)
WO (1) WO2010052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2671A (ja) * 2005-09-30 2007-07-05 Ricoh Co Ltd パワー決定方法、片面多層光ディスク、記録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並びに光ディスク装置
US8484788B2 (en) * 2011-03-14 2013-07-16 L'oreal Sa Brushhead for electric skin brush appliance
DE102011122106A1 (de) * 2011-12-22 2013-06-27 Carl Freudenberg Kg Besenblock mit Borstenstruktur
CN105792702B (zh) * 2013-12-05 2018-01-26 高露洁-棕榄公司 具有覆盖构件的口腔护理器具
JP6446981B2 (ja) * 2014-10-09 2019-01-09 サンスター株式会社 シングルタフトブラシ
USD780457S1 (en) 2014-12-23 2017-03-0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RU2677062C1 (ru) 2014-12-23 2019-01-15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US10226118B2 (en) 2014-12-23 2019-03-1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EP3223655B1 (en) 2014-12-23 2024-10-0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EP3223651B1 (en) 2014-12-23 2023-05-3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RU2673769C1 (ru) 2014-12-23 2018-11-29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BR112017010792B1 (pt) 2014-12-23 2021-10-05 Colgate-Palmolive Company Instrumento de higiene bucal
CN106998896B (zh) 2014-12-23 2019-11-05 高露洁-棕榄公司 口腔护理器具
BR112017010947A2 (pt) 2014-12-23 2018-07-03 Colgate Palmolive Co instrumento para higiene bucal
RU2674724C1 (ru) 2014-12-23 2018-12-12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EP3223652B1 (en) 2014-12-23 2021-07-2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US11291293B2 (en) 2014-12-23 2022-04-0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SE539869C2 (en) 2016-01-14 2017-12-27 Fosieborg Ab Brush head and method of operating the brush head
USD802935S1 (en) * 2016-03-09 2017-11-21 Noksibcho Aloe Co., Ltd. Electric toothbrush
EP3445205B1 (de) * 2016-04-20 2022-02-09 Trisa Holding AG Bürstenprodukt
USD812912S1 (en) * 2016-05-06 2018-03-20 Stefan Eidenbenz Interdental cleaner
US10022025B2 (en) 2016-05-20 2018-07-17 Chirp Products, LLC Dual motor cleansing brush
EP3272310B1 (en) 2016-07-22 2020-06-17 Braun GmbH Brush head and electric toothbrush
USD830699S1 (en) 2017-02-03 2018-10-16 Harria Investment Group Ltd. Brush head for an electric toothbrush
USD838990S1 (en) 2017-05-11 2019-01-29 Harria Investment Group Ltd Brush head for an electric toothbrush
CN109223230B (zh) 2017-07-11 2020-09-25 Js控股股份有限公司 用于电动牙刷的可移除的刷头
WO2019014573A1 (en) 2017-07-13 2019-01-17 Chirp Products LLC CLEANING BRUSH HEAD
EP3461367B1 (en) * 2017-09-28 2020-04-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unitary brush head and unitary toothbrush head
CA3021410C (en) * 2017-10-27 2023-12-12 Sunstar Americas, Inc. Powered toothbrush bristle head
EP3479733B1 (en) * 2017-11-02 2024-08-07 Braun GmbH Brush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US10631964B2 (en) 2017-12-12 2020-04-2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0709533B2 (en) 2017-12-12 2020-07-1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nd handle and refill head thereof
USD846883S1 (en) 2017-12-12 2019-04-30 Colgate-Palmolive Company Handle of an oral care implement
CN304701695S (ko) 2017-12-21 2018-06-29
USD898370S1 (en) 2018-10-09 2020-10-13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7684S1 (en) 2018-10-09 2020-10-06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8369S1 (en) 2018-10-09 2020-10-13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8371S1 (en) 2018-11-16 2020-10-13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7685S1 (en) 2018-11-16 2020-10-06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85060S1 (en) * 2018-11-29 2020-05-26 Afuw Llc Toothbrush head
MX2021006780A (es) 2018-12-13 2021-07-15 Colgate Palmolive Co Implemento para el cuidado bucal.
USD883677S1 (en) 2018-12-13 2020-05-12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EP3876786B1 (en) * 2018-12-13 2023-12-0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897687S1 (en) 2018-12-14 2020-10-06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927191S1 (en) 2018-12-14 2021-08-10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7686S1 (en) 2018-12-14 2020-10-06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891784S1 (en) 2018-12-18 2020-08-04 Colgate-Palmolive Company Electric toothbrush handle
USD898372S1 (en) 2019-01-10 2020-10-13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USD906687S1 (en) 2019-01-10 2021-01-05 World Wide Daily Holdings Company Limited Toothbrush
CN111480970B (zh) * 2020-03-31 2022-07-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牙刷、牙刷控制方法和牙刷控制系统
USD961269S1 (en) 2020-07-31 2022-08-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960582S1 (en) 2020-12-10 2022-08-1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refill head
CN112972040A (zh) * 2021-02-08 2021-06-18 好维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牙刷头及其制作方法
CN113576150B (zh) * 2021-07-31 2023-07-21 好维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清洁抛光牙面功能的牙刷头及牙刷
USD962650S1 (en) * 2022-01-27 2022-09-06 Shenzhen E-WORLD Technology Limited Electric toothbrush head
USD1024571S1 (en) 2022-06-17 2024-04-3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1024572S1 (en) 2022-06-24 2024-04-3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3016C5 (de) * 1995-06-24 2005-04-07 Braun Gmbh Bürstenteil für eine elektrische Zahnbürste
US6058541A (en) * 1996-07-03 2000-05-09 Gillette Canada Inc. Crimped bristle toothbrush
HUP0201707A2 (en) * 1999-07-02 2002-09-28 Unilever Nv Electric toothbrush
AU2001272072A1 (en) * 2000-02-15 2001-08-27 Smithkline Beecham Gmbh & Co. Kg Brush part for an electric toothbrush
DE10015062B4 (de) * 2000-03-25 2010-05-12 Braun Gmbh Bürstenkopf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Bürstenkopfs
DE10044031A1 (de) * 2000-09-06 2002-03-21 Braun Gmbh Motorisch angetriebene Zahnbürste und Bürstenkopf hierfür
USD455010S1 (en) 2000-12-27 2002-04-02 Braun Gmbh Battery toothbrush
US6735804B2 (en) * 2001-01-12 2004-05-18 Conair Corporation Toothbrush bristle disk
US20020138926A1 (en) * 2001-04-02 2002-10-03 Braun Gmbh Electric toothbrush head
DE10123258A1 (de) * 2001-05-12 2002-11-21 Braun Gmbh Zahnbürstenkopf
US6848141B2 (en) * 2001-06-08 2005-02-01 Colgate-Palmolive Company Brush section for an electric toothbrush
DE10211391A1 (de) * 2002-03-15 2003-10-02 Braun Gmbh Elektrische Zahnbürste und Zahnbürstenkopf hierfür
AU151174S (en) 2002-03-22 2003-03-21 Braun G M B H Toothbrush head
WO2004000155A1 (en) * 2002-06-20 2003-12-31 Unilever N.V. Electric toothbrush
US7089621B2 (en) * 2002-09-20 2006-08-15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DE10253532A1 (de) * 2002-11-16 2004-05-27 Braun Gmbh Elektrische Zahnbürste und Zahnbürstenkopf hierfür
CN2614048Y (zh) * 2003-05-09 2004-05-05 戴晓国 电动牙刷
US7941886B2 (en) * 2003-09-19 2011-05-17 Braun Gmbh Toothbrushes
KR100577105B1 (ko) * 2004-03-16 2006-05-08 주식회사 베스트화성 기능성 칫솔
USD517325S1 (en) 2004-04-30 2006-03-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Toothbrush head and neck unit with dispensing valves
US8317424B2 (en) * 2004-06-03 2012-11-27 The Gillette Company Oral care device
JP4854280B2 (ja) * 2005-11-29 2012-01-18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DE202008004017U1 (de) * 2007-12-13 2008-06-12 Häusler, Wolfgang Bürstenkopf für eine Zahnbürste
DE202007017676U1 (de) * 2007-12-13 2008-03-06 Häusler, Wolfgang Bürstenkopf für eine Zahnbürste
WO2010023660A1 (en) * 2008-08-24 2010-03-04 Hadasit Medical Research Services And Development Ltd. A maneuvarable bristle toothbrush
EP2184033A1 (de) * 2008-11-05 2010-05-12 Braun Gmbh Elektrische Zahnbürste sowie Bürstenkopf hierfür
EP2184031A1 (de) * 2008-11-05 2010-05-12 Braun Gmbh Elektrische Zahnbürste sowie Bürstenkopf hierfür
EP2186434B1 (de) * 2008-11-05 2016-10-12 Braun GmbH Zahnbürste sowie Borste und Bürstenkopf für eine Zahnbürste
USD611711S1 (en) * 2008-11-06 2010-03-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othbrush head
USD606758S1 (en) * 2008-11-06 2009-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othbrush head
USD606318S1 (en) * 2008-11-06 2009-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othbrush head
USD606316S1 (en) * 2008-11-06 2009-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othbrush head
EP2409598B1 (en) * 2010-07-22 2018-09-26 Braun GmbH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ead
PL2543277T3 (pl) * 2011-07-06 2016-12-30 Sekcja czyszcząca elektrycznego urządzenia do higieny jamy ustnej
WO2013005190A1 (en) * 2011-07-06 2013-01-10 Braun Gmbh Cleaning section for an electric oral hygien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349069T3 (da) 2020-05-04
CA2741832C (en) 2014-05-20
WO2010052653A1 (en) 2010-05-14
MX2011004757A (es) 2011-06-01
RU2485913C2 (ru) 2013-06-27
PL2349069T3 (pl) 2020-07-13
AU2009312455A1 (en) 2010-05-14
CA2741832A1 (en) 2010-05-14
RU2011117020A (ru) 2012-12-20
CN102202602B (zh) 2013-07-10
EP2349069B1 (en) 2020-02-12
EP2184032A1 (de) 2010-05-12
US8813292B2 (en) 2014-08-26
BRPI0921643B8 (pt) 2021-06-22
BRPI0921643B1 (pt) 2020-01-21
CN102202602A (zh) 2011-09-28
BRPI0921643A2 (pt) 2016-02-10
JP2012506752A (ja) 2012-03-22
ES2787549T3 (es) 2020-10-16
JP5373097B2 (ja) 2013-12-18
AU2009312455B2 (en) 2014-09-04
US20110239391A1 (en) 2011-10-06
EP2349069A1 (en) 2011-08-03
KR101365392B1 (ko)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392B1 (ko) 전동 칫솔 및 전동 칫솔용 브러시 헤드
KR101365312B1 (ko) 전동 칫솔 및 전동 칫솔용 브러시 헤드
KR101340759B1 (ko) 전동 칫솔 및 전동 칫솔용 브러시 헤드
US20120036654A1 (en) Toothbrush and bristle and brush head for a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9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3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5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10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3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5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