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78861A -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 Google Patents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8861A
KR20110078861A KR1020090135773A KR20090135773A KR20110078861A KR 20110078861 A KR20110078861 A KR 20110078861A KR 1020090135773 A KR1020090135773 A KR 1020090135773A KR 20090135773 A KR20090135773 A KR 20090135773A KR 20110078861 A KR20110078861 A KR 20110078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ity type
region
drift region
type
field insul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090135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8861A/ko
Publication of KR20110078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86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4Double-diffused metal-oxide semiconductor [DMOS] FETs
    • H10D30/65Lateral DMOS [LDMOS] F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2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10D64/23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sources, drains, anodes or cathodes
    • H10D64/251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2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10D64/27Electrode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gates
    • H10D64/3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BV(Breakdown Voltage)와 낮은 온저항(Ron)을 얻을 수 있는 수평형 디모스(LDMOS; Lateral Double 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는 제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과,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과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된 제2 도전형의 바디 영역과, 상기 제 2 도전형의 바디 영역 내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소오스 영역과,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 내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드레인 영역과, 상기 제 1 도전형의 소오스 영역과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레인 영역 사이의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 내에 액티브 영역과 교대로 배치되도록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된 다수의 필드 절연층과, 상기 필드 절연층 사이의 제 1 도전형 드리프트 영역 표면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과, 상기 제 2 도전형의 바디 영역과 상기 필드 절연층 상에 걸쳐서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

Description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Lateral Double 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은 BV(Breakdown Voltage)와 낮은 온저항(Ron)을 얻을 수 있는 수평형 디모스(LDMOS; Lateral Double 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 향상과 그에 따른 제조 설계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반도체 칩을 하나로 시스템을 구성하려는 시도가 크게 일어나고 있다. 시스템의 1칩화는 콘트롤러와 메모리 기타 저전압에서 동작하는 회로를 하나의 칩으로 통합하는 기술 위주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시스템의 경량화, 소형화가 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전원을 조절하는 회로부, 즉, 입력단과 출력단과의 주요 기능을 하는 회로와 1개 칩화를 하여야 가능하게 된다. 입력단과 출력단은 고전압이 인가되는 회로이므로 일반적인 저전압CMOS 회로로는 구성할 수 없어 고전압 파워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크기나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는 전원의 입력/출력단과 콘트롤러를 1개 칩으로 구성해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파워 IC로, 이는 고전압 트랜지스터와 저전압 CMOS트랜지스터 회로를 하나의 칩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파워 IC 기술은 종래의 불연속 파워트랜지스터(Discrete Power Transistor)인 VDMOS(Vertical DMOS) 소자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전류를 수평으로 흐르게 하기 위하여 드레인을 수평으로 배치하고 드리프트(Drift)영역을 채널과 드레인 사이에 두어 고전압 브레이크다운(Breakdown)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LDMOS(Lateral DMOS) 소자가 구현된다.
이와 같은 LDMOS 소자에서 BV(Breakdown Voltage)와 온저항(Ron)은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특성으로 높은 BV와 낮은 온저항을 구현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은 BV(Breakdown Voltage)와 낮은 온저항(Ron)을 얻을 수 있는 수평형 디모스(LDMOS; Lateral Double 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는 제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과,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과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된 제2 도전형의 바디 영역과, 상기 제 2 도전형의 바디 영역 내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소오스 영역과,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 내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드레인 영역과, 상기 제 1 도전형의 소오스 영역과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레인 영역 사이의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 내에 액티브 영역과 교대로 배치되도록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된 다수의 필드 절연층과, 상기 필드 절연층 사이의 제 1 도전형 드리프트 영역 표면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과, 상기 제 2 도전형의 바디 영역과 상기 필드 절연층 상에 걸쳐서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은 액티브 영역과 필드 영역으로 정의되는 반도체 기판 내에 액티브 영역과 교대로 배치되도록 일정거리 이격하여 다수의 필드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제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필드 절연층 사이의 제 1 도전형 드리 프트 영역 표면에 제 2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과 일정거리 이격하며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제2 도전형의 바디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도전형의 바디 영역 내에 제1 도전형의 소오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 내에 제1 도전형의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도전형의 바디 영역과 상기 필드 절연층 상에 걸쳐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는 필드 절연층 계면과 N형 드리프트 영역 사이에서는 절연 리서프(dielectric resurf)가 일어나고 N형 드리프트 영역과 P형 드리프트 영역 사이에서는 정션 디플레이션(junction depletion)에 의한 슈퍼 정션(super-junction) 구조를 가지게 되어 높은 N형 드리프트 영역 사이에서도 높은 BV를 얻을 수 있으며, 높은 N형 드리프트 영역에 의해 낮은 온저항을 가지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는 P형 반도체 기판(101) 상부에 매몰 절연층으로서 매몰 산화막(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N형 드리프트 영역(105) 및 P형 바디 영역(107)이 형성되어 활성 영역을 이루고 있다.
P형 바디 영역(107)내에는 N+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소오스 영역(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오스 영역(113)과 인접하여 P+형 소오스 콘택 영역(1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도체 기판(101)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미도시)을 개재하여 게이트 전극(115)이 형성되어 있고, N형 드리프트 영역(105)의 표면에는 내압특성 향상을 위한 필드 절연층(119)이 형성되어 있다.
필드 절연층(119)은 필드 산화물로 형성되며 N형 드리프트 영역(105)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되며, P형 바디 영역(107)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한다.
게이트 전극(115)은 일단은 P-형 바디영역(107)의 표면 상으로 연장되며, 타단은 필드 절연층(119) 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N형 드리프트 영역(105)은 횡방향으로는 N+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N형 얕은 웰(108), 드레인 영역(109) 및 필드 절연층(119)이 형성되고, 종방향으로는 필드 절연층(119) 및 액티브 영역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즉, 필드 절연층(119)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액티브 영역은 N형 드리프트 영역(105)을 형성하는 이온주입과 동시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이온주입하여 필드 절연층(119) 사이에 일정거리 이격되는 부분에 P형 드리프트 영역(120)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결정 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기판(101)에 필드 절연층(119)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필드 절연층(119)은 횡방향으로는 후속공정에서 형성될 N형 드리프트 영역(105)의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되며, 후속공정에서 형성될 P형 바디영역으 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한다. 또한, 종방향으로는 필드 절연층(119) 및 액티브 영역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즉,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한다.
이어서, 활성영역이 형성될 반도체 기판(101)에 웰 형성을 위한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N형 드리프트 영역(105)을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필드 절연층(119) 사이에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P형 드리프트 영역(120)을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필드 절연층(119) 사이에 N형-P형-N형 드리프트 영역(105,120,105)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후속 공정에서의 열적 공정에 의해 N형 드리프트 영역(105)은 필드 절연층(119) 계면에 파일업(Pile-up)되고, P형 드리프트 영역(120)은 필드 절연층(119) 계면에 분리(segregation)가 일어나게 되어 순도핑(net doping) 영역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필드 절연층(119) 계면과 N형 드리프트 영역(105) 사이에서는 절연 리서프(dielectric resurf)가 일어나고 N형 드리프트 영역(105)과 P형 드리프트 영역(120) 사이에서는 정션 디플레이션(junction depletion)에 의한 슈퍼 정션(super-junction) 구조를 가지게 되어 높은 N형 드리프트 영역(105) 사이에서도 높은 BV를 얻을 수 있으며, 높은 N형 드리프트 영역(105)에 의해 낮은 온저항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후속 공정들에서 일어나는 자연적인 열적 공정에 의한 현상으로 설명하였지만,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N형 드리프트 영역(105) 및 P형 드리프 트 영역(120)을 형성한 후, 별도의 열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이온주입 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P형 불순물 이온, 예를 들어 보론(B)을 소정의 도즈량으로 이온주입하여 N형 드리프트 영역(105)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하는 P형 바디 영역(107)을 형성한다.
이어서, 게이트 전극(115), 소오스 영역(113), 드레인 영역(109), 소오스콘택 영역(111)을 형성하는 공지된 후속 공정을 통해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를 완성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Claims (7)

  1.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는 제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과,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과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된 제2 도전형의 바디 영역과,
    상기 제 2 도전형의 바디 영역 내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소오스 영역과,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 내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드레인 영역과,
    상기 제 1 도전형의 소오스 영역과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레인 영역 사이의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 내에 액티브 영역과 교대로 배치되도록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된 다수의 필드 절연층과,
    상기 필드 절연층 사이의 제 1 도전형 드리프트 영역 표면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과,
    상기 제 2 도전형의 바디 영역과 상기 필드 절연층 상에 걸쳐서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 절연층은 상기 제 2 도전형의 바디 영역과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은 상기 필드 절연층 사이에 일정거리 이격되는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 표면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일단은 제 2 도전형 바디영역의 표면 상으로 연장되며, 타단은 상기 필드 절연층 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5. 액티브 영역과 필드 영역으로 정의되는 반도체 기판 내에 액티브 영역과 교대로 배치되도록 일정거리 이격하여 다수의 필드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제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필드 절연층 사이의 제 1 도전형 드리프트 영역 표면에 제 2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과 일정거리 이격하며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제2 도전형의 바디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도전형의 바디 영역 내에 제1 도전형의 소오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 내에 제1 도전형의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 는 단계와,
    상기 제 2 도전형의 바디 영역과 상기 필드 절연층 상에 걸쳐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 드리프트 영역과 제 2 도전형 드리프트 영역을 형성한 후,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은 상기 필드 절연층 사이에 일정거리 이격되는 상기 제 1 도전형의 드리프트 영역 표면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20090135773A 2009-12-31 2009-12-31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Withdrawn KR20110078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773A KR20110078861A (ko) 2009-12-31 2009-12-31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773A KR20110078861A (ko) 2009-12-31 2009-12-31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861A true KR20110078861A (ko) 2011-07-07

Family

ID=44918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773A Withdrawn KR20110078861A (ko) 2009-12-31 2009-12-31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88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0481A (zh) * 2011-08-01 2011-12-14 上海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横向双扩散金属氧化物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KR20170030292A (ko) * 2015-09-09 2017-03-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모스 버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소자
CN106531802A (zh) * 2016-04-08 2017-03-22 长沙理工大学 低比导的新型高压sj功率器件
US9627518B2 (en) 2014-06-27 2017-04-18 SK Hynix Inc. Power integrated devices,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and electronic systems includ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0481A (zh) * 2011-08-01 2011-12-14 上海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横向双扩散金属氧化物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CN102280481B (zh) * 2011-08-01 2016-04-20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横向双扩散金属氧化物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US9627518B2 (en) 2014-06-27 2017-04-18 SK Hynix Inc. Power integrated devices,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and electronic systems including the same
KR20170030292A (ko) * 2015-09-09 2017-03-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모스 버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소자
CN106531802A (zh) * 2016-04-08 2017-03-22 长沙理工大学 低比导的新型高压sj功率器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007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DMOS devices with cascaded RESURF implants and double buffers
US8803235B2 (en) Lateral-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device (LDMO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TW201409698A (zh) 半導體裝置
US8698237B2 (en) Superjunction LDMO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11322617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1699585B1 (ko) 고전압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13964188A (zh) 横向双扩散金属氧化物半导体场效应管及其制作方法
KR101531884B1 (ko)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CN101207125A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US8723256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877674B1 (ko) Ldmos 소자
KR20110078621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78861A (ko)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CN104157690B (zh) 一种带槽型结构的应变nldmos器件及其制作方法
CN108574014B (zh) Ldmos器件及其制造方法
CN102130162A (zh) Ldmos及其制造方法
KR20100046354A (ko) Ldmos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9390409B (zh) 一种阈值可调式高压金属氧化物半导体器件及其制备方法
KR20090025757A (ko) Dmos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9780171B2 (en) Fabricating method of lateral-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device
KR101262853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78879A (ko)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110078885A (ko) 수평형 디모스 트랜지스터
KR101585964B1 (ko) 고전압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20110037030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