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365A - Bicycle Lock - Google Patents
Bicycle 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4365A KR20110074365A KR1020090131302A KR20090131302A KR20110074365A KR 20110074365 A KR20110074365 A KR 20110074365A KR 1020090131302 A KR1020090131302 A KR 1020090131302A KR 20090131302 A KR20090131302 A KR 20090131302A KR 20110074365 A KR20110074365 A KR 201100743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handle grip
- bicycle
- grip part
- locking pi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1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 B62H5/18—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acting on a braking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26—Handlebar gr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6—Means for locking the actuat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레버를 당길 경우 자전거 바퀴의 구동이 정지되는 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 레버를 당겨 바퀴를 구속시킨 상태에서 핸들그립부에 적용된 자물쇠를 통해 상기 브레이크 레버를 잠금 처리할 수 있는 자전거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locking device, wherein the brake lever is locked through a lock applied to a handle grip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lever is pulled to restrain the wheel by using the action of stopping the driving of the bicycle wheel when the brake lever is pulled. It relates to a bicycle lock that can be process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브레이크 레버의 내측에 잠금핀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핀부; 및 상기 잠금핀에 대응하는 핀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핀삽입홀에 삽입되는 잠금핀을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들그립부 내부에 수용되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전거용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lock pin portion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hinge lock pin inside the brake lever; And a pin inser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in, to lock or release the locking pin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and to provide a bicycle locking device including a locking part accommodated in the handle grip part.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전거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 핸들그립부와 브레이크 레버를 이용한 자전거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 loc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cycle locking device using a bicycle handle grip and a brake lever.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간단한 교통수단의 역할뿐 아니라, 취미와 레저활동을 위해 현대인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그 자체에 도난을 방지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자전거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물쇠를 준비하여야 한다.In general, bicycles are not only used as simple means of transportation, but also used by modern people for hobbies and leisure activities. However, the bicycle itself has no function to prevent theft, so a lock must be prepared to prevent theft of the bicycle. .
이와 같은 자물쇠는 대부분 자전거와는 별도로 이루어진 독립된 제품으로서, 통상적으로 링 자물쇠와 U자형 자물쇠를 사용하고 있다. Most of these locks are independent products made from bicycles, and ring locks and U-shaped locks are commonly used.
상기 링 자물쇠는 바퀴와 프레임을 건물난간의 쇠파이프 등과 같은 고정부재나 특별한 시설물에 연결하여 자전거의 이동까지 방지하고, U자형 자물쇠는 바퀴와 프레임을 관통하여 고정하므로 바퀴의 구동만을 방지하게 된다. The ring lock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bicycle by connecting the wheel and the frame to a fixing member such as a steel pipe of a building railing or a special facility, and the U-shaped lock fixes the wheel and the frame to prevent driving only of the wheel.
그런데, 대부분의 자물쇠는 자전거를 장시간 보관 시에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지만 이를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다. 즉, 자전거를 타고 주행 중일 경우 자물 쇠를 따로 휴대하거나 자전거에 거추장스럽게 묶고 다녀야 하므로 휴대가 불편하고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most locks give psychological stability when the bicycle is stored for a long time, but there are inconveniences in using them. In other words, when driving on a bicycle,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is not good in appearance because it is necessary to carry the lock separately or carry it on the bicycl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레버를 당겨 바퀴를 구속시킨 상태에서 핸들그립부에 설치한 자물쇠를 통해 상기 브레이크 레버를 잠금 처리할 수 있는 자전거용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bicycle locking device that can lock the brake lever through a lock installed on the handle grip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lever is pulled to restrain the wheel. I would like t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잠금장치는, 브레이크 레버의 내측에 마련되며 잠금핀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핀부; 및 핸들그립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잠금핀에 대응하는 핀삽입홀과 상기 핀삽입홀에 삽입되는 잠금핀을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Locking device for a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ocking pin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rake lever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hinge lock pin; And a locking part accommodated in the handle grip part and locking or releasing the pin inser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in and the locking pin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상기 잠금핀부는 상기 잠금핀과 힌지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pin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locking pin and the hinge.
상기 브레이크 레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잠금핀을 구속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ner surface of the brake le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is formed to restrain the locking pin.
상기 잠금부는, 핸들그립부의 외측 선단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된 버튼; 상기 버튼의 누름 작용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연동되는 이송축; 상기 이송축의 단부에 형성되며 잠금핀의 걸림홈에 잠금 또는 해제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이송축 에 교차되도록 수용되어 이송축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복수개의 다이얼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unit, the button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on the outer end of the handle grip portion; A feed shaft interlo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pressing action of the button;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an end of the transfer shaft and locked or released to a locking groove of the locking pin; And a plurality of dialings accommodated to intersect the feed shaft to lock or release the feed shaft.
상기 이송축은, 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 및 원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과 교차되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eed shaft,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rossing the guide grooves.
상기 이송축의 하부에는 다이얼링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획되며 다이얼링에 대응하는 지지홈을 갖는 고정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portion of the feed shaft is partitioned to support the dia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having a support groove corresponding to the dialing is installed.
상기 잠금핀에는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치형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pi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th structure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상기 핸들그립부는 그 일부가 절개되어 내측에 잠금부가 장착되는 핸들그립부 본체와 상기 잠금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핸들그립부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핸들그립부 커버는 핸들그립부 커버에 고정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ndle grip part may be formed of a handle grip part body in which part of the handle is cut and mounted therein, and a handle grip part cover covering the lock part so that the lock par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상기 핸들그립부 본체는 그 상부면에 다이얼링의 상측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다이얼링의 설치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ndle grip part main body has a through hole formed at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ialing so that an upper portion of the dialing is exposed to the outside on its upper surface.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핸들그립부 본체에 형성되는 제1요소; 및 상기 핸들그립부 커버에 형성되며 제1요소와 상호 작용하여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제2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part comprises a first element formed in the handle grip part main body; And a second element formed in the handle grip part cover and interacting with the first element to generate a bonding force.
상기 제1요소는 돌기부이고, 제2요소는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element is a projection, and the second element is a groov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자전거의 브레이크 레버 및 핸들그립부에 잠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자물쇠를 별도로 휴대하거나 자전거에 묶고 다닐 필요가 없고, 그 위치가 사람의 허리 부근인 까닭에 사용이 편리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ocking device for a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locking device to the brake lever and the handle grip of the bicycle, there is no need to carry the lock separately or to carry it around the bicycle, the position is near the waist of a person Because of the ease of us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잠금장치의 잠금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잠금장치의 잠금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device for a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cking pin of the locking device for a bicy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lock of the locking device for a bicy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negative.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거의 브레이크 레버(1)를 당기면 자전거 바퀴의 구동이 정지되는 작용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레버(1)를 당겨 바퀴를 구속시킨 상태에서 핸들그립부(2)에 설치된 자물쇠를 통해 상기 브레이크 레버(1)를 잠금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이 있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브레이크 레버(1)의 내측에 잠금핀부(10)를 설치하고, 자전거 핸들그립부(2)에 예컨대 다이얼식 자물쇠로 이루어진 잠금부(20)를 적용하여 상기 잠금핀부(10)를 잠금부(20)에 잠금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 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상기 잠금핀부(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 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레버(1)의 내측에 수용된 잠금핀(11)을 포함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잠금핀(11)은 자전거를 잠금시키고자 할 경우, 핸들그립부(2) 방향으로 회전하여 돌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브레이크 레버(1)의 양측면에 힌지(12)를 두어 상기 잠금핀(11)이 힌지(1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토록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힌지(12)를 통한 잠금핀(11)의 고정 방식은 통상적인 고정 방식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상기 힌지(12)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잠금핀(11)은 상기 핸들그립부(2) 방향으로 지속적인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힌지(12)와 잠금핀(11) 사이에 탄성부재(13)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3)는 일측이 상기 힌지(12)의 어느 한 지점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잠금핀(11)의 어느 한 지점에 고정되어 잠금핀(11)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이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잠금핀(11)이 탄성부재(13)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1)의 내측에 구속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12)와 인접하는 브레이크 레버(1)의 안쪽 양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1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ner side of the
따라서, 사용자가 브레이크 레버(1)의 내측에 손가락 또는 도구을 넣어 잠금핀(11)을 잡아당길 경우 상기 돌기(14)로부터 잠금핀(11)이 이탈되면서 쉽게 핸들 그립부(2) 방향으로 돌출된다(도 4 참조). Therefore, when the user pulls the
또한, 상기 잠금핀(11)의 표면에는 톱니와 같은 걸림홈(11a)이 다수개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홈(11a)은 후술하는 잠금부(20)의 걸림돌기(24c)와 대향되게 형성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한편, 상기 잠금핀(11)에 대응하는 핀삽입홀(21)을 갖는 잠금부(20)가 자전거 핸들그립부(2)에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a
상기 잠금부(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그립부(2) 내에 구비되며, 핸들그립부(2)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2a)를 갖는 버튼(22)에 의해 작동된다. 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상기 버튼(22)을 지속적으로 핸들그립부(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부재(23)가 상기 핸들그립부(2) 내에서 버튼(22)의 돌출부(22a)에 대응하는 반대 면에 고정되어 상기 버튼(22)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버튼(22)은 상기 탄성부재(23)의 탄성력에 의하여 핸들그립부(2)의 외측 밖으로 그 돌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23)는 버튼(2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압축 코일스프링이다. In addition, an
또한, 상기 핸들그립부(2) 내에는 상기 버튼(22)의 단부에 연결되어 버튼(22)의 누름 작동에 의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축(24)이 구비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이송축(24)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가이드홈(24a)이 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원주면에 상기 가이드홈(24a)과 교차되는 복수개의 안착홈(2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튼(22)과 연결되는 단부에 대응하는 반대편의 이송축(24)에는 상기 잠금핀(11)의 걸림홈(11a)을 걸어주는 걸림돌기(24c)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24a)은 상기 이송축(24)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의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핀(11)의 걸림홈(11a)은 복수개의 치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와 대응하는 상기 이송축(24)의 걸림돌기(24c)는 상기 걸림홈(11a)의 치형구조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5 and 6, the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홈(11a)의 치형구조는 잠금핀(11)의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잠금핀(11)이 잠금부(20)의 핀삽입홀(21)에 삽입되어 이송축(24)의 걸림돌기(24c)에 닿게 되면 상기 잠금핀(11)의 걸림홈(11a)은 걸림돌기(24c)에 순차적으로 맞물리면서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는 핸들그립부(2)에 대한 브레이크 레버(1)의 잠김 위치가 다양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브레이크 레버(1)가 더 이상 당겨지지 않을 때까지 당긴 상태에서 잠금핀(11)이 걸림돌기(24c)에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Specifically, the tooth structure of the locking groove (11a)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of the locking pin (11). As a result, the
또한, 상기 이송축(24)에 형성된 각각의 안착홈(24b)에는 링 형상의 다이얼링(25)이 수용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다이얼링(25)의 내주면에는 상기 안착홈(24b)에 수용되어 회전하면서 가이드홈(24a)에 선택적으로 일치되거나 불일치되어 상기 이송축(24)을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돌기(25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안착홈(24b)은 적어도 3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다이얼링(25)을 하나 또는 두 개만 설치할 경우 비밀번호의 경우의 수가 적기 때문에 타인이 손쉽게 비밀번호를 알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 ring-
또한, 상기 다이얼링(25)은 외경의 원주면 상에 0에서부터 9까지 10개의 숫자가 등분으로 배열된 것으로, 그 내경은 이송축(24)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안착홈(24b)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잠금돌기(25a)는 다이얼링(25)의 외주면에 부여된 특정한 숫자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잠금돌기(25a)는 이송축(24)에 일직선 상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4a)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잠금돌기(25a)는 가이드홈(24a)과의 일치에 의하여 이송축(24)이 연동 가능한 길이 방향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가이드홈(24a)의 불일치에 의하여 이송축(24)을 잠금시키게 된다. The
그리고, 상기 이송축(24)의 하부에는 상기 다이얼링(25)이 상기 안착홈(24b)에서만 회전 가능토록 다이얼링(25)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획된 지지홈(26a)을 갖는 고정부재(26)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fixing
이와 같이 구성된 잠금부(20)는 다이얼링(25)의 비밀번호를 알고 있는 사용자가 다이얼링(25)을 회전시켜 비밀번호를 일치시키게 될 경우 상기 다이얼링(25)의 잠금돌기(25a)와 이송축(24)의 가이드홈(24a)이 서로 일직선 상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이송축(24)이 이동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상기 다이얼링(25)의 잠금돌기(25a)와 이송축(24)의 가이드홈(24a)을 일치시킨다는 것은 비밀번호를 맞춘 상태로 버튼(22)의 누름 작용에 의하여 이송축(24)이 전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The locking
이러한 상태에서, 버튼(22)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잠금부(20)는 잠금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즉, 상기 핀삽입홀(21)에 잠금핀(11)이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22)을 누를 경우 자전거 핸들그립부(2)의 내측에 구비된 탄성부재(23)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버튼(22)과 연결된 이송축(24)이 연동하여 브레이크 레버(1)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잠금핀(11)의 걸림홈(11a)에 걸림돌기(24c)가 걸렸을 때 다이얼링(25)을 회전시키면 잠금부(20)의 잠금 상태가 가능하게 된다.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다시 말해, 상기 이송축(24)의 걸림돌기(24c)가 잠금핀(11)의 걸림홈(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이얼링(25)을 무작위로 회전시키게 되면 각각의 다이얼링(25) 내주면에 형성된 잠금돌기(25a)가 이송축(24)의 가이드홈(24a)과 불일치한 상태가 되어 이송축(24)이 전후로 유동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이송축(24)은 잠금 상태가 되어 해제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locking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의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의 풀림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로서, 도 7은 브레이크 레버(1)를 잡아당겨 핸들그립부(2)의 잠금부(20)에 잠금핀(11)을 잠금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다이얼링(25)을 무작위로 회전시켜 놓으면 각각의 다이얼링(25)의 내주면에 형성된 잠금돌기(25a)가 이송축(24)의 가이드홈(24a)과 불일치한 상태 가 되어 이송축(24)이 전후로 유동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7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unlocked state of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handle grip part by pulling the brake lever 1 ( The locking
반면, 도 8은 비밀번호를 맞추어 잠금돌기(25a)와 가이드홈(24a)을 일치시킨 상태로, 탄성부재(23)의 탄성 작용에 의해 이송축(24)이 핸들그립부(2) 외측 단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잠금핀(11)의 걸림홈(11a)으로부터 잠금부(20)의 걸림돌기(24c)가 분리되어 브레이크 레버(1)를 해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 state in which the lock projection (25a) and the guide groove (24a) in accordance with the password, the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그립부(2)는 그 일부분이 절개되어 내측에 잠금부(20)가 장착되는 핸들그립부 본체(200)와, 상기 잠금부(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핸들그립부 커버(210)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핸들그립부(2)에 구성된 핸들그립부 본체(200)는 상기 다이얼링(25)의 상측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야 하므로 핸들그립부 본체(200)의 상부면은 다이얼링(25)의 설치 위치에 관통홀(201)이 형성된다(도 3참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핸들그립부 본체(200) 위로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다이얼링(25)을 회전시켜 브레이크 레버(1)를 잠금시키거나, 해제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9, the
상기 핸들그립부 커버(210)는 상기 핸들그립부 본체(200)와 회동결합부(220)를 매개로 결합된다. 즉, 상기 핸들그립부 커버(210)는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핸들그립부 본체(200)로부터 회전 가능토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그립부 본체(200) 및 핸들그립부 커버(210)에는 핸들그립부 커버(210)의 양측면을 상기 핸들그립부 본체(2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240)가 각각 구비된다. The handle
상기 고정부(240)는 상기 핸들그립부 본체(200)의 한정되는 면에 형성되는 제1요소 및 상기 핸들그립부 커버(210)에 마련되며 상기 제1요소와 상호 작용하여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제2요소를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요소는 상기 핸들그립부 본체(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부(241)이며, 상기 제2요소는 핸들그립부 커버(210)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241)에 대응되는 홈부(242)이다. 그러나, 상기 고정부(24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핸들그립부 본체(200)와 핸들그립부 커버(21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라면 어떠한 결합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예컨대, 상기 제1요소가 홈부(242)이고, 제2요소가 돌기부(241)일 수도 있다. The fixing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그립부 본체(200)에 대하여 핸들그립부 커버(210)는 그 개폐 방향이 전후 또는 좌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회동결합부(220)의 설치 위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9, with respect to the handle grip unit
그리고, 상기 핸들그립부 본체(200)와 핸들그립부 커버(210)의 둘레면에는 통상적인 코팅 방식을 통해 그립(G)이 부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함이 당연하다. 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the grip G is attach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handle grip part
한편, 전술한 설명에서는 자전거용 잠금장치가 한쪽 핸들그립부(2)에만 적용한 것이었으나, 양쪽 핸들그립부(2)에 모두 적용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bicycle locking device is applied to only on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the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yone having a variety of modifications can be made, as well as such change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device for a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잠금장치의 잠금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cking pin of the locking device for a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잠금장치의 잠금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part of the locking device for a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핀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pi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5 and 6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의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7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의 풀림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8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unlocked state of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그립부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grip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잠금핀부 11 : 잠금핀10: lock pin portion 11: lock pin
11a : 걸림홈 12 : 힌지11a: hanging groove 12: hinge
13 : 탄성부재 14 : 돌기13: elastic member 14: protrusion
20 : 잠금부 21 : 핀삽입홀20: locking portion 21: pin insertion hole
22 : 버튼 22a : 돌출부22:
23 : 탄성부재 24 : 이송축23: elastic member 24: feed shaft
24a : 가이드홈 24b : 안착홈24a: guide
24c : 걸림돌기 25 : 다이얼링24c: Jamming 25: Dialing
25a : 잠금돌기 26 : 고정부재25a: locking projection 26: fixing member
26a : 지지홈 200 : 핸들그립부 본체26a: support groove 200: handle grip part main body
201 : 관통홀 210 : 핸들그립부 커버201: through hole 210: handle grip part cover
220 : 회동결합부 230 : 힌지부220: rotating coupling 230: hinge
240 : 고정부 241 : 돌기부240: fixing part 241: protrusion
242 : 홈부242: groove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1302A KR101220114B1 (en) | 2009-12-24 | 2009-12-24 | Locking device for bicy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1302A KR101220114B1 (en) | 2009-12-24 | 2009-12-24 | Locking device for bicy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4365A true KR20110074365A (en) | 2011-06-30 |
KR101220114B1 KR101220114B1 (en) | 2013-01-18 |
Family
ID=4440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1302A KR101220114B1 (en) | 2009-12-24 | 2009-12-24 | Locking device for bicy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0114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6656B1 (en) * | 2013-08-21 | 2015-02-04 | (주)동양산기 | Brake lever device for a vehicle |
CN108791648A (en) * | 2018-06-20 | 2018-11-13 | 浙江跃进机械有限公司 | A kind of handle bar structure convenient for braking |
KR101994033B1 (en) * | 2018-01-27 | 2019-09-27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bicycle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using device |
KR20220170221A (en) * | 2021-06-22 | 2022-12-29 | 김성태 | Bicycle Lock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5434B1 (en) | 2015-02-25 | 2017-02-13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Handle brake lever apparatus for bicycle having parking brake function |
US10899405B2 (en) | 2016-03-30 | 2021-01-26 | Raporter | Bicycle brake lock device and bicycle brake assembly comprising same |
KR101726419B1 (en) | 2016-10-07 | 2017-04-13 | 홍석영 | Bike Brake Assembly with Locking Function |
KR101845501B1 (en) * | 2016-12-12 | 2018-04-04 | 장찬우 | Bicycle lock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27196U (en) | 1979-08-10 | 1981-03-13 | ||
JP2502693Y2 (en) * | 1992-03-16 | 1996-06-26 | 五輪工業株式会社 | Bicycle lock |
JPH0687483A (en) * | 1992-09-08 | 1994-03-29 | Kenichi Usuda | Brake lever fixing lock for bicycle |
KR20090020750A (en) * | 2007-08-24 | 2009-02-27 | 조민제 | Built-in bicycle lock with bicycle brake |
-
2009
- 2009-12-24 KR KR1020090131302A patent/KR10122011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6656B1 (en) * | 2013-08-21 | 2015-02-04 | (주)동양산기 | Brake lever device for a vehicle |
KR101994033B1 (en) * | 2018-01-27 | 2019-09-27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bicycle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using device |
CN108791648A (en) * | 2018-06-20 | 2018-11-13 | 浙江跃进机械有限公司 | A kind of handle bar structure convenient for braking |
KR20220170221A (en) * | 2021-06-22 | 2022-12-29 | 김성태 | Bicycle Lo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0114B1 (en) | 2013-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0114B1 (en) | Locking device for bicycle | |
US6848283B1 (en) | Combination lock capable of being opened by a key or inhibited the same | |
US7444844B1 (en) | Dual-mode lock for lockers | |
US20070163315A1 (en) | Door lock having reinforced strength | |
US9840856B2 (en) | Handcuff apparatus | |
US20080066500A1 (en) | Cable lock that is opened forcibly | |
GB2517288A (en) | Joint device | |
US20050155397A1 (en) | Woven strap lock structure | |
JP6553737B2 (en) | Safety fixing system, carabiner that can be used in the safety fixing system, and fixing assembly including the safety fixing system | |
JP4871262B2 (en) | Slide and snap clamp | |
US20130192314A1 (en) | Pick-resistant handcuffs | |
US6471232B2 (en) | Locking device for a detachable bicycle top tube assembly | |
US20100275417A1 (en) | Slipping-free one-way buckle | |
KR100976367B1 (en) | Three Way Door Locking Device for Locker | |
KR101936332B1 (en) | Push Pull Door Lock | |
US359219A (en) | Edmund lyoi | |
CN204782369U (en) | gift box combination lock | |
KR200437756Y1 (en) | Door locks for lockers | |
KR200449259Y1 (en) | Locking device for bicycle | |
TWI672237B (en) | Concealed lock | |
US6352289B1 (en) | Lock apparatus for a door | |
KR20100104600A (en) | A door handle for anti-panic type digital door lock | |
CN110185337B (en) | A sunken zipper lock | |
US11135479B2 (en) | Anchors for climbing and related activities | |
KR200358448Y1 (en) | Door 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