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72441A - 냉장고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441A
KR20110072441A KR1020090129359A KR20090129359A KR20110072441A KR 20110072441 A KR20110072441 A KR 20110072441A KR 1020090129359 A KR1020090129359 A KR 1020090129359A KR 20090129359 A KR20090129359 A KR 20090129359A KR 20110072441 A KR20110072441 A KR 20110072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refrigerator
freezer compartment
freez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국정
윤원재
김용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2441A/ko
Priority to EP20100186706 priority patent/EP2339274A3/en
Priority to US12/923,901 priority patent/US20110146303A1/en
Priority to CN201010535001.8A priority patent/CN102102933B/zh
Publication of KR20110072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4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two or more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9Pumping down refrigerant from one part of the cycle to another part of the cycle, e.g. when the cycle is changed from cooling to heating, or before a defrost cycle is sta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1Evaporator distributio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냉동실과 냉장실에 증발기를 별도로 설치하여 냉동실과 냉장실을 독립적으로 운전 제어하는 냉장고 및 그 운전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유로 전환 밸브(3-Way Valve)를 이용하여 냉동실과 냉장실의 운전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Parallel 사이클에서 냉장고의 기동 시, 냉동실 운전을 먼저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또한 냉동실 증발기 쪽으로 냉매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삭제하여 원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운전 제어 방법{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운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실과 냉장실에 증발기를 별도로 설치하여 냉동실과 냉장실을 독립적으로 운전 제어하는 냉장고 및 그 운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그 내부로 냉매가 순환되는 통상의 냉동사이클이 적용되어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화할 때에 주위의 열을 흡수함에 따라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과 냉장실 같은 식품 저장실로 공급하여 각종 식품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냉동실은 약 -20℃, 냉장실은 약 3℃의 저온으로 유지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냉장고 중 냉동실과 냉장실에 증발기를 별도로 설치하고, 삼방밸브(3-Way Valve)를 이용하여 냉동실과 냉장실의 운전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Parallel 사이클 방식의 냉장고가 개시되었다.
Parallel 사이클 방식의 냉장고는 냉장실의 운전을 냉동실과 관계없이 별도로 구현함으로써 증발온도를 높게 유지하여 냉장실 운전 시, 에너지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냉동실 증발기의 온도가 냉장실 증발기의 온도에 비해 현저히 낮기 때문에 압축기가 운전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일정량의 냉매가 냉동실 증발기로 이동하여 냉동실 증발기에 갇혀 있는 상태(Trap된 상태)로 분포하여 다음에 냉장실 운전 시, 냉매가 부족한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종래 Parallel 사이클 방식의 냉장고에서는 냉장실과 냉동실의 운전 후에, 삼방밸브의 양방향 즉, 냉동실과 냉장실 측 유로를 모두 닫고 압축기를 운전시켜 저압측(냉동실 증발기와 냉장실 증발기)에 분포된 냉매를 고압측(응축기 측)으로 이송시키는 냉매 회수 운전(Pump Down)을 수행한 후 압축기의 운전을 종료하였다.
그러나, 냉매 회수 운전에 의해 회수된 냉매는 다음의 냉장실 운전이 수행되기 전에 냉동실 증발기로 재유입되어 냉장실 운전 시, 냉매 부족 현상은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arallel 사이클에서 냉동실 증발기 쪽으로 냉매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Check Valve)를 냉동실 증발기의 출구에 설치하여 회수된 냉매가 냉동실 증발기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체크 밸브의 설치는 원가 상승을 초래하고, 냉동실 운전 시 냉매의 압력 강하를 유발하여 압축기의 흡입측과 토출측 간의 압축비를 확대함으로써 냉동사이클의 전체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Parallel 사이클에서 냉동실 증발기 쪽으로 냉매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삭제하여도 냉장실 운전 시 냉매 부족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운전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압축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냉동실 및 냉장실;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설치되어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는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 운전 모드에 따라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로 흐르는 냉매의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 냉장고의 기동 시, 냉동실의 운전을 먼저 수행하도록 유로 전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로 전환 밸브는 응축기의 출구측 배관과,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의 입구측 배관에 각각 연결된 삼방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냉장실의 운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냉동실의 운전 후에 냉매 회수 운전을 행하고 냉장실의 운전을 수행하도록 유로전환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매 회수 운전은 유로 전환 밸브의 방향을 모두 닫은 상태에서 압축기를 운전시켜 냉동실 증발기에 분포된 냉매를 응축기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냉동실 및 냉장실;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설치되어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는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로 흐르는 냉매의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를 구비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의 운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Parallel 사이클을 구성하고, Parallel 사이클에서 냉동실의 운전을 먼저 수행하도록 냉매의 유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냉동실의 운전 후에는 냉동실 증발기에 분포된 냉매를 회수하는 냉매 회수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냉동실 및 냉장실;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설치되어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는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 운전 모드에 따라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로 흐르는 냉매의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 냉장실의 운전 전에 냉매 회수 운전을 수행하도록 유로 전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를 더 포함하고, 유로 전환 밸브는 응축기의 출구측 배관과,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의 입구측 배관에 각각 연결된 삼방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매 회수 운전은 유로 전환 밸브의 방향을 모두 닫은 상태에서 압축기를 운전시켜 저압측에 분포된 냉매를 고압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압측은 냉동실 증발기 측이고, 고압측은 응축기 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냉동실 및 냉장실;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설치되어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는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로 흐르는 냉매의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를 구비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의 운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Parallel 사이클을 구성하고, Parallel 사이클에서 냉장실의 운전을 수행하기 전에 냉매 회수 운전을 수행하도록 냉매의 유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은, 냉동실 및 냉장실,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는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를 각각 구비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냉장고의 기동 시점인가 판단하고; 냉장고의 기동 시점인 경우, 냉동실의 운전을 먼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동실의 운전을 먼저 수행하는 것은,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로 흐르는 냉매의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의 방향을 냉동실 방향으로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은, 냉동실 및 냉장실,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는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를 각각 구비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냉장실의 운전 시점인가 판단하고; 냉장실의 운전 시점인 경우, 저압측에 분포된 냉매를 회수하는 냉매 회수 운전을 먼저 수행하고; 냉매 회수 운전 후에는 냉장실의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냉장고 및 그 운전 제어 방법에 의하면, 냉동실과 냉장실에 증발기를 별도로 설치하고, 유로 전환 밸브(3-Way Valve)를 이용하여 냉동실과 냉장실의 운 전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냉매의 유로를 전환하는 Parallel 사이클에서 냉장고의 기동 시, 냉동실 운전을 먼저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냉동실 증발기 쪽으로 냉매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삭제하여 원가 절감 효과는 물론, 냉장실 운전 시 필요한 냉매 회수 운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부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내부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냉동실(12)과 냉장실(14)이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냉동실(12)과 냉장실(14)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13, 15)를 구비한다.
냉동실(12)과 냉장실(14)은 본체(10)에 배치된 격벽(11)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 각 실(12, 14)의 냉기가 서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하고, 냉동실(12)과 냉장실(14)의 내측 후방에는 각 실(12, 14)의 냉각을 위한 냉동실 증발기(32)와 냉장실 증발기(34)가 별도로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Parallel 사이클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Parallel 사이클은 압축기(20), 응축기(22), 핫 파이프(24), 유로 전환 밸브(26), 냉동실 및 냉장실 팽창장치(28, 30),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32, 34)를 포함한다.
압축기(20)는 흡입되는 저온저압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 기체상태로 토출한다.
응축기(22)는 압축기(20)의 고압측 토출 배관에 연결되어 압축기(20)에서 압축된 고온고압 기체상태의 냉매를 주변 공기와 열교환하여 액체상태로 응축시킨다.
핫 파이프(24)는 응축기(22)로부터 연장되어 유로 전환 밸브(26)의 입구에 연결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유동하는 냉매의 방열에 의하여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한 본체 전면의 이슬 맺힘을 방지한다.
유로 전환 밸브(26)는 응축기(22)를 거친 냉매의 유로를 운전 모드(냉동실 운전 또는 냉장실 운전)에 따라 선택하여 절환하는 것으로, 1개의 입구와 2개의 출구를 가지는 삼방밸브(3-Way Valve)로 이루어진다. 1개의 입구는 핫 파이프(24)에 연결되고, 2개의 출구는 냉동실 및 냉장실 팽창장치(28, 30)에 연결된다. 냉동실 팽창장치(28)에 연결되는 냉동실(12) 측 유로를 F방향이라 하고, 냉장실 팽창장치(30)에 연결되는 냉장실(14) 측 유로를 R방향이라고 하며, 냉동실(12) 측 유로의 개폐를 F방향의 온/오프로, 냉장실(14) 측 유로의 개폐를 R방향의 온/오프로 지칭한다.
냉동실 및 냉장실 팽창장치(28, 30)는 유로 전환 밸브(26)를 통해 응축기(22)에서 응축되어 오는 상온고압 액체상태의 냉매를 저온저압으로서 액체성분과 기체성분이 혼합된 2상 냉매로 팽창시켜 감압하는 것으로, 모세관 또는 팽창밸브로 이루어진다.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32, 34)는 냉동실 및 냉장실 팽창장치(28, 30)에서 팽창된 저온저압 액체상태의 냉매를 기체상태로 증발시켜 냉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유로 전환 밸브(26)를 이용하여 냉동실(12) 운전과 냉장실(14) 운전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Parallel 사이클 방식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운전 제어 블록도로서, 입력부(50), 감지부(52), 제어부(54), 구동부(56) 및 메모리부(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50)는 사용자 제어 명령을 제어부(54)에 입력하는 것으로, 냉동실(12)과 냉장실(14)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모드선택버튼과, 냉동실(12)과 냉장실(14)을 원하는 온도로 설정하기 위한 온도설정버튼 등 다수의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감지부(52)는 냉동실(12)과 냉장실(14)의 고내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54)에 전달하는 것으로, 냉동실(12)과 냉장실(14)의 운전 조건(동시 운전 또는 개별 운전)을 판단하는 데이터가 된다.
제어부(54)는 냉장고의 제반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감지부(52)에 의해 감지된 냉동실(12)과 냉장실(14)의 고내온도에 따라 냉동실(12)과 냉장실(14)의 운전 조건(동시 운전 또는 개별 운전)을 판단하여 냉동실(12)과 냉장실(14)을 각각 독립적으로 운전하는 Parallel 사이클 방식으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4)는 냉장고의 기동 시, 냉동실(12) 운전이 먼저 수행되도록 유로 전환 밸브(26)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압축기(20) 종료 시에 행하였던 냉매 회수 운전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냉동실(12) 운전이 수행된 직후 에는 냉동실 증발기(32)에 분포된 냉매를 고압측(응축기 측)으로 이송시키는 냉매 회수 운전을 바로 수행함으로써 냉동실(12) 운전 중에 응축기(22)에 분포하는 냉매를 회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냉매 회수 운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냉매 회수 운전은 단순히 냉매 분포를 이동시키는 운전으로 압축기(20)는 운전하지만 냉각 효과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운전 시간을 최소화시킬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존 운전 방식에 비하여 압축기(20) 종료 시 행하였던 냉매 회수 운전을 방지하고, 또한 냉각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압축기(20)의 운전시간(냉매 회수 운전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약, 2%)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냉동실(12) 운전을 항상 먼저 수행함으로써, 냉동실 증발기(32) 쪽으로 냉매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삭제할 수 있기 때문에 원가 절감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54)는 유로 전환 밸브(26)를 제어하여 냉장실(14) 운전 직전에 냉매 회수 운전을 수행함으로써 냉장실(14) 운전 시 냉매 부족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구동부(56)는 제어부(54)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압축기(20), 유로 전환 밸브(26) 등을 구동시킨다.
메모리부(58)는 제어부(54)에서 판단된 냉동실(12)과 냉장실(14)의 운전 조건에 따른 온도의 제어 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냉장고의 기동 시, 냉동실(12) 운전을 먼저 수행하고 냉동실(12) 운전이 수행된 직후 냉매 회수 운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Parallel 사이클 운전에 대한 제어팩터를 저장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 및 그 운전 제어 방법의 동작과정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운전 제어 동작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Parallel 사이클 제어 타이밍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냉장고에 전원이 입력되면, 감지부(52)는 냉동실(12)과 냉장실(14)의 고내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54)에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54)는 감지부(52)에 의해 감지된 냉동실(12)과 냉장실(14)의 고내온도를 설정된 온도와 비교하여 냉장고의 기동 시점인가를 판단한다(100).
냉장고의 기동 시점은 냉동실(12) 또는 냉장실(14)의 고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소정온도 이상 높은 경우, 온도차에 따라 각 고내의 부하를 계산한 후 압축기(20)를 운전시키는 시점이다.
단계 100의 판단 결과, 냉장고의 기동 시점인 경우, 제어부(54)는 냉동실(12)을 먼저 운전하도록 유로 전환 밸브(26)를 도 3에 도시한 F방향(냉동실 방향)으로 온 시킨다. 이 경우에 실제로 냉동실(12)의 냉각이 필요하지 않더라도 냉동실(12) 측을 먼저 운전하도록 작용한다.
유로 전환 밸브(26)가 F방향(냉동실 방향)으로 온 되면, 냉매가 압축기(20)→ 응축기(22)→ 핫 파이프(24)→ 유로 전환 밸브(26)→ 냉동실 팽창장치(28)→ 냉동실 증발기(32)→ 압축기(20) 순으로 흐르는 냉동실(12) 운전 모드로 순환한다.
따라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는 응축기(22)로 유입되어 고압의 액상 냉매로 응축된 후, 핫 파이프(24)를 통과하여 유로 전환 밸 브(26)로 흐르게 된다.
이때, 유로 전환 밸브(26)는 F방향의 냉동실(12) 측 유로만을 개방시킨 상태에 있으므로, 유로 전환 밸브(26)로 유입된 냉매는 냉동실 팽창장치(28)를 통해 냉동실 증발기(32)로 유입되어 냉동실(12)을 냉각시킨 후 다시 압축기(20)로 복귀하는 냉동실(12) 운전을 수행한다(102).
이와 같이, 냉장고의 기동 시, 냉동실 운전 모드로 냉동실(12)을 먼저 냉각시키게 되면, 냉동실 증발기(32)에 분포해 있던 냉매의 상당량을 바로 회수하게 됨으로써, 기존 응축기(22)에 분포해 있던 냉매를 회수하는 경우에 비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동실(12)의 냉각 후에 냉장실(14)의 냉각 운전도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54)는 냉동실(12) 운전 직후에 냉동실 증발기(32)에 분포하는 냉매를 응축기(22) 측으로 회수하기 위한 냉매 회수 운전을 수행한다(104).
냉매 회수 운전은 유로 전환 밸브(26)의 양방향(F방향, R방향)을 모두 닫고 압축기(20)를 온 시켜 냉동실 증발기(32)에 분포하는 냉매를 응축기(22) 측으로 이동시키는 운전으로, 이러한 냉매 회수 운전을 통해 냉동실(12)의 냉각에 사용된 냉매가 냉동실(12)을 냉각하는 사이클상에 남아 있지 않도록 하고, 모두 냉장실(14)의 냉각에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냉장실(14)을 냉각하는데 필요한 냉매가 부족하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냉매 회수 운전 시간(△t)은 약 1~2분 동안 수행되는데, 이 시간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장고의 용량이나 설계 구조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 다.
냉매 회수 운전을 통해 냉동실 증발기(32)에 분포하는 냉매를 응축기(22) 측으로 이동시킨 후, 제어부(54)는 냉장실(14)을 운전하도록 유로 전환 밸브(26)를 도 3에 도시한 R방향(냉장실 방향)으로 온 시킨다.
유로 전환 밸브(26)가 R방향(냉장실 방향)으로 온 되면, 냉매가 압축기(20)→ 응축기(22)→ 핫 파이프(24)→ 유로 전환 밸브(26)→ 냉장실 팽창장치(30)→ 냉장실 증발기(34)→ 압축기(20) 순으로 흐르는 냉장실 운전 모드로 순환한다.
따라서, 압축기(20)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는 응축기(22)로 유입되어 고압의 액상 냉매로 응축된 후, 핫 파이프(24)를 통과하여 유로 전환 밸브(26)로 흐르게 된다.
이때, 유로 전환 밸브(26)는 R방향의 냉장실(14) 측 유로만을 개방시킨 상태에 있으므로, 유로 전환 밸브(26)로 유입된 냉매는 냉장실 팽창장치(30)를 통해 냉장실 증발기(34)로 유입되어 냉장실(14)을 냉각시킨 후 다시 압축기(20)로 복귀하는 냉장실(14) 운전을 수행한다(106).
이러한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장실 운전 모드로 냉장실(14)을 냉각시키면, 냉매 부족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20) 오프 상태에서 냉동실(12) 운전→ 냉매 회수 운전→ 냉장실(14) 운전의 순으로 Parallel 사이클을 구성하여 냉동실(12)과 냉장실(14)의 운전을 독립적으로 수행한 후, 압축기(20) 오프 조건인가를 판단하여(108), 압축기(20) 오프 조건인 경우 압축기(20)를 오프시키면서(110) Parallel 사이클의 운전 을 종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부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내부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Parallel 사이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운전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운전 제어 동작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Parallel 사이클 제어 타이밍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냉동실 14 : 냉장실
20 : 압축기 22 : 응축기
24 : 핫 파이프 26 : 유로 전환 밸브
28, 30 : 냉동실 및 냉장실 팽창장치 32, 34 :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
50 : 입력부 52 : 감지부
54 : 제어부

Claims (16)

  1.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냉동실 및 냉장실;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는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로 흐르는 냉매의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
    냉장고의 기동 시, 상기 냉동실의 운전을 먼저 수행하도록 상기 유로 전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전환 밸브는 상기 응축기의 출구측 배관과,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의 입구측 배관에 각각 연결된 삼방밸브인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실의 운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냉동실의 운전 후에 냉매 회수 운전을 행하고 상기 냉장실의 운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를 제어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회수 운전은 상기 유로 전환 밸브의 방향을 모두 닫은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를 운전시켜 상기 냉동실 증발기에 분포된 냉매를 상기 응축기 측으로 이동시키는 냉장고.
  5. 냉동실 및 냉장실;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는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로 흐르는 냉매의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의 운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Parallel 사이클을 구성하고,
    상기 Parallel 사이클에서 상기 냉동실의 운전을 먼저 수행하도록 상기 냉매의 유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동실의 운전 후에는 상기 냉동실 증발기에 분포된 냉매를 회수하는 냉매 회수 운전을 수행하는 냉장고.
  7. 냉동실 및 냉장실;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는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로 흐르는 냉매의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
    상기 냉장실의 운전 전에 냉매 회수 운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유로 전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 전환 밸브는 상기 응축기의 출구측 배관과,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의 입구측 배관에 각각 연결된 삼방밸브인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회수 운전은 상기 유로 전환 밸브의 방향을 모두 닫은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를 운전시켜 저압측에 분포된 냉매를 고압측으로 이동시키는 냉장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측은 상기 냉동실 증발기 측인 냉장고.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측은 상기 응축기 측인 냉장고.
  12. 냉동실 및 냉장실;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는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로 흐르는 냉매의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의 운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Parallel 사이클을 구성하고,
    상기 Parallel 사이클에서 상기 냉장실의 운전을 수행하기 전에 냉매 회수 운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냉매의 유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냉동실 및 냉장실,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는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를 각각 구비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기동 시점인가 판단하고;
    상기 냉장고의 기동 시점인 경우, 상기 냉동실의 운전을 먼저 수행하는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의 운전을 먼저 수행하는 것은,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로 흐르는 냉매의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의 방향을 상기 냉동실 방향으로 개방시키는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회수 운전은 상기 유로 전환 밸브의 방향을 모두 닫은 상태에서 압축기를 운전시켜 상기 냉동실 증발기에 분포된 냉매를 고압측으로 이동시키는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16. 냉동실 및 냉장실,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시키는 냉동실 및 냉장실 증발기를 각각 구비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의 운전 시점인가 판단하고;
    상기 냉장실의 운전 시점인 경우, 저압측에 분포된 냉매를 회수하는 냉매 회수 운전을 먼저 수행하고;
    상기 냉매 회수 운전 후에는 상기 냉장실의 운전을 수행하는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KR1020090129359A 2009-12-22 2009-12-22 냉장고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2011007244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359A KR20110072441A (ko) 2009-12-22 2009-12-22 냉장고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EP20100186706 EP2339274A3 (en) 2009-12-22 2010-10-06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12/923,901 US20110146303A1 (en) 2009-12-22 2010-10-13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CN201010535001.8A CN102102933B (zh) 2009-12-22 2010-11-01 冰箱和控制其操作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359A KR20110072441A (ko) 2009-12-22 2009-12-22 냉장고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441A true KR20110072441A (ko) 2011-06-29

Family

ID=4392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359A KR20110072441A (ko) 2009-12-22 2009-12-22 냉장고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46303A1 (ko)
EP (1) EP2339274A3 (ko)
KR (1) KR20110072441A (ko)
CN (1) CN102102933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618A (ko) * 2013-06-27 2015-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운전방법
KR20170004351A (ko) * 2015-07-02 201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N107869871A (zh) * 2016-09-28 2018-04-03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KR20210075922A (ko) * 2013-08-06 202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2098876B2 (en) 2020-12-28 2024-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21243A1 (de) 2012-11-21 2014-05-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zwei Verdampfern
EP2869004B1 (en) * 2013-11-04 2019-05-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E102014213183A1 (de) 2014-07-08 2016-01-14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zwei Verdichtern
CN105042985B (zh) * 2015-07-10 2017-09-22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并联双系统冰箱流量的分配方法
KR102480701B1 (ko) 2015-07-28 2022-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5972915A (zh) * 2016-05-25 2016-09-2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制冷系统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冰箱
CN106642922B (zh) * 2016-12-28 2019-03-1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用于冰箱的制冷控制方法及冰箱
WO2019233814A1 (en) * 2018-06-05 2019-12-12 Arc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system
CN113834280A (zh) * 2021-09-24 2021-1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冷冻冷藏系统的控制方法和装置、冰箱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6902B2 (ja) * 1998-09-08 2003-10-14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2001082851A (ja) * 1999-09-13 2001-03-30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の冷凍サイクル装置
JP3464949B2 (ja) * 1999-09-21 2003-11-10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3462156B2 (ja) * 1999-11-30 2003-11-05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4028688B2 (ja) * 2001-03-21 2007-12-26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US20050086952A1 (en) * 2001-09-19 2005-04-28 Hikaru Nonaka Refrigerator-freezer controller of refrigenator-freezer,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leakage of refrigerant
JP3999961B2 (ja) * 2001-11-01 2007-10-31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EP1496322B1 (en) * 2002-03-29 2017-06-14 Toshiba Lifestyle Products & Services Corporation Refrigerator
DE10260350B4 (de) * 2002-07-04 2015-11-26 Lg Electronics Inc.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Betriebs eines mit zwei Verdampfern ausgebildeten Kühlsystems
US7237395B2 (en) * 2003-12-22 2007-07-0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rigerators
JP2005214505A (ja) * 2004-01-29 2005-08-11 Toshiba Corp 冷蔵庫
JP4568062B2 (ja) * 2004-09-24 2010-10-27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2006275496A (ja) * 2005-03-30 2006-10-12 Sanyo Electric Co Ltd 冷凍装置及び冷蔵庫
KR20070054462A (ko) * 2005-11-23 2007-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01617184B (zh) * 2007-03-12 2011-03-02 星崎电机株式会社 冷却贮藏库
KR100870540B1 (ko) * 2007-03-30 2008-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806314B1 (ko) * 2007-03-30 200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1314622B1 (ko) * 2007-11-05 2013-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618A (ko) * 2013-06-27 2015-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운전방법
KR20210075922A (ko) * 2013-08-06 202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70004351A (ko) * 2015-07-02 201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N107869871A (zh) * 2016-09-28 2018-04-03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US12098876B2 (en) 2020-12-28 2024-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9274A2 (en) 2011-06-29
CN102102933B (zh) 2016-02-24
CN102102933A (zh) 2011-06-22
EP2339274A3 (en) 2014-01-08
US20110146303A1 (en)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2441A (ko) 냉장고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101095554B1 (ko)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US7765815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12613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918224B1 (ko) 냉장고 및 그 제상 운전 방법
EP1243880A1 (en) Refrigerator with a plurality of parallel refrigerant passages
KR102341711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9857103B2 (en) Refrigerator having a condensation loop between a receiver and an evaporator
JP2015068564A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ヒートポンプ式給湯器
KR100569891B1 (ko) 냉장고의 송풍팬 운전 제어방법
KR101275182B1 (ko)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60110687A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JP2007309585A (ja) 冷凍装置
KR102617277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55743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751109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CN100572992C (zh) 冰箱
KR102153056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70107858A (ko) 냉장고
KR100366450B1 (ko) 스테핑모터밸브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508773B1 (ko) 독립 냉각 냉장고
KR101392075B1 (ko) 독립 냉각 냉장고
KR20070072968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0377754B1 (ko) 냉각사이클 제어방법
KR20060021631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2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7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7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0912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03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123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2I

Patent event date: 201609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8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7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01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09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