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71374A -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374A
KR20110071374A KR1020090127928A KR20090127928A KR20110071374A KR 20110071374 A KR20110071374 A KR 20110071374A KR 1020090127928 A KR1020090127928 A KR 1020090127928A KR 20090127928 A KR20090127928 A KR 20090127928A KR 20110071374 A KR20110071374 A KR 20110071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ity type
junction region
substrate
solar cell
ty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수미
노성봉
송석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7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1374A/ko
Priority to DE112010004923T priority patent/DE112010004923T5/de
Priority to US13/516,959 priority patent/US20120255608A1/en
Priority to PCT/KR2010/009060 priority patent/WO2011078520A2/ko
Priority to CN2010800642094A priority patent/CN102763227A/zh
Priority to JP2012544394A priority patent/JP2013513965A/ja
Publication of KR20110071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37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0/00Individual photovoltaic cells, e.g. solar cells
    • H10F10/10Individual photovoltaic cells, e.g. solar cell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F10/16Photovoltaic cells having only PN heterojunction potential barri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1/121The active layers comprising only Group IV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0/00Individual photovoltaic cells, e.g. solar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0/00Individual photovoltaic cells, e.g. solar cells
    • H10F10/10Individual photovoltaic cells, e.g. solar cell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F10/14Photovoltaic cells having only PN homojunction potential barriers
    • H10F10/146Back-junction photovoltaic cells, e.g. having interdigitated base-emitter regions on the back 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7Monocrystalline silicon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8Amorphous silicon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접합형 태양전지와 후면전계형 태양전지를 접목시켜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는 제 1 도전형의 결정질 실리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전면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진성층, 제 1 도전형의 비정질 실리콘층과, 상기 제 2 도전형의 비정질 실리콘 상에 적층된 반사방지막과, 상기 기판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기판 내부의 일정 깊이로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접합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접합영역 및 상기 제 1 도전형의 접합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접합영역 상에 각각 구비된 제 1 도전형 전극과 제 2 도전형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도전형 전극과 제 2 도전형 전극은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종접합, 후면전계

Description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Back contact type hetero-junction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접합형 태양전지와 후면전계형 태양전지를 접목시켜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직접 전기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발전의 핵심소자로서, 기본적으로 p-n 접합으로 이루어진 다이오드(diode)라 할 수 있다. 태양광이 태양전지에 의해 전기로 변환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태양전지의 p-n 접합부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전자-정공 쌍이 생성되고, 전기장에 의해 전자는 n층으로, 정공은 p층으로 이동하게 되어 p-n 접합부 사이에 광기전력이 발생되며, 태양전지의 양단에 부하나 시스템을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인 태양전지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전면전극과 후면전극이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수광면인 전면에 전면전극이 구비됨에 따라, 전면전극의 면적만큼 수광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은 수광면적이 축소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후면전계형 태양전지가 제안되었다. 후면전계형 태양전지는 태양전지의 후면 상에 (+)전극과 (-)전극을 구비시켜 태양전지 전면의 수광면적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는 p-n 접합으로 이루어진 다이오드라 할 수 있는데, 이는 p형 반도체층과 n형 반도체층의 접합 구조로 이루어진다. 통상, p형 기판에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p형 반도체층을 형성하여(또는 그 반대) p-n 접합을 구현한다. 이와 같이, 태양전지의 p-n 접합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불순물 이온이 주입된 반도체층이 요구된다.
그러나, 광전변환에 의해 생성된 전하가 이동 중에 태양전지의 반도체층에 존재하는 침입형 사이트(interstitial sites) 또는 대체형 사이트(substitutional sites)에 포집되어 재결합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는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에 악영향을 끼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형 반도체층과 n형 반도체층 사이에 진성층(intrinsic layer)을 구비시키는 이른바, 이종접합형(hetero-junction) 태양전지가 제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캐리어(carrier)의 재결합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종접합형 태양전지와 후면전계형 태양전지를 접목시켜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는 제 1 도전형의 결정질 실리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전면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진성층, 제 1 도전형의 비정질 실리콘층과, 상기 제 2 도전형의 비정질 실리콘 상에 적층된 반사방지막과, 상기 기판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기판 내부의 일정 깊이로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접합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접합영역 및 상기 제 1 도전형의 접합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접합영역 상에 각각 구비된 제 1 도전형 전극과 제 2 도전형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도전형 전극과 제 2 도전형 전극은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제 1 도전형의 결정질 실리콘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후면 내부에 제 1 도전형의 접합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접합영역을 교번하여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전면 상에 진성층과 제 1 도전형의 비정질 실리콘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도전형의 비정질 실리콘층 상에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도전형의 접합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접합영역 상에 각각 제 1 도전형 전극과 제 2 도전형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도전형의 접합영역 또는 제 2 도전형의 접합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기판의 후면 상에 제 1 도전형의 접합영역 또는 제 2 도전형의 접합영역이 형성될 부위의 기판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스크린 마스크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스크린 마스크를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액상의 제 1 도전형 또는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기판을 열처리하여 제 1 도전형의 접합영역 또는 제 2 도전형의 접합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 1 도전형의 비정질 실리콘층 상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태양전지의 후면 상에 (+) 전극과 (-) 전극이 모두 구비됨에 따라 수광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지 않은 진성층이 구비됨으로 인해 캐리어의 재결합률을 최소화하여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는 제 1 도전형의 결정질 실리콘 기판(101)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도전형은 p형 또는 n형일 수 있으며, 제 2 도전형은 제 1 도전형의 반대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도전형이 n형, 제 2 도전형이 p형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n형 기판(101)(n-) 상에는 진성층(108)(intrinsic layer)과 n형 비정질 반도체층(109)(n+ a-Si:H)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상기 진성층(108)은 상기 n형 비정질 반도체층(109)과 마찬가지로 비정질 실리콘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형 비정질 반도체층(109) 상에는 실리콘 산화막 등으로 이루어진 반사방지막(111)이 구비된다. 상기 n형 비정질 반도체층(109)과 실리콘 산화막 사이에 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버퍼층(110)으로서 실리콘 산화막층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판(101)의 후면으로부터 기판(101) 내부의 일정 깊이까지의 영역에 p 접합영역(104)과 n 접합영역(107)이 구비된다. 상기 p 접합영역(104)과 n 접합영역(107)은 각각 n형 기판(101)에 p형 불순물 이온과 n형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어 형성된 반도체 영역을 일컬으며, 상기 p 접합영역(104)과 n 접합영역(107)은 상기 기판(101)의 후면에 교번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p 접합영역(104)과 n 접 합영역(107) 상에는 각각 p 전극(112)과 n 전극(113)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도전형 예를 들어, n형의 결정질 실리콘 기판(101)을 준비한다. 그런 다음, 상기 기판(101)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텍스쳐링(texturing)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텍스쳐링 공정은 광흡수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며, 습식 식각 또는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등의 건식 식각 방법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어, p 접합영역(104) 및 n 접합영역(107) 형성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p 접합영역(104) 형성공정과 n 접합영역(107) 형성공정은 독립적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그 순서는 무관하다.
p 접합영역(104) 형성공정을 먼저 진행하는 경우,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1)의 후면 상에 p 접합영역(104)이 형성될 부위의 기판(101)을 노출시키는 제 1 스크린 마스크(102)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액상의 p형 불순물(103)을 롤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스크린 마스크(102)를 포함한 기판(101) 전면 상에 도포한다. 이어,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p형 불순물을 상기 기판(101) 내부로 확산시켜 p 접합영역(104)을 형성한다(도 2c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스크린 마스 크(102)를 제거하고 제 2 스크린 마스크(105)를 상기 기판(101) 상에 형성한다. 상기 제 2 스크린 마스크(105)는 n 접합영역(107)이 형성될 부위의 기판(101)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킨다. 상기 제 2 스크린 마스크(105)가 형성된 상태에서, 기판(101) 전면 상에 액상의 n형 불순물(106)을 도포한다. 이 때, 액상의 n형 불순물(106)은 상기 p형 불순물과 마찬가지로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n형 불순물을 상기 기판(101) 내부로 확산시켜 n 접합영역(107)을 형성한다(도 2e 참조). 이어, 제 2 스크린 마스크(105)를 제거한다.
상기 p 접합영역(104) 및 n 접합영역(107)이 형성된 상태에서, 도 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1) 전면 상에 비정질 실리콘 재질의 진성층(108)(intrinsic layer)을 적층한다. 상기 진성층(108)은 플라즈마 강화 화학기상증착법(PEC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진성층(108) 상에 n형 비정질 실리콘층(n+ a-Si:H)을 형성한다. 상기 n형 비정질 실리콘층은 비정질 실리콘층의 형성시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n형 비정질 실리콘층 상에 실리콘 질화막 재질의 반사방지막(111)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반사방지막(111)과 n형 비정질 실리콘층 사이의 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반사방지막(111) 형성 전에 실리콘 산화막 재질의 버퍼층(110)을 상기 n형 비정질 실리콘층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 도 2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p 접합영역(104)과 n 접합영역(107) 상에 각각 p 전극(112)과 n 전극(113)을 형성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전계형 이종접 합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완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1 : n형 결정질 실리콘 기판 104 : p 접합영역
107 : n 접합영역 108 : 진성층
109 : n형 비정질 반도체층 110 : 버퍼층
111 : 반사방지막 112 : p 전극
113 : n 전극

Claims (5)

  1. 제 1 도전형의 결정질 실리콘 기판;
    상기 기판의 전면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진성층, 제 1 도전형의 비정질 실리콘층;
    상기 제 2 도전형의 비정질 실리콘 상에 적층된 반사방지막;
    상기 기판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기판 내부의 일정 깊이로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접합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접합영역; 및
    상기 제 1 도전형의 접합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접합영역 상에 각각 구비된 제 1 도전형 전극과 제 2 도전형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도전형 전극과 제 2 도전형 전극은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의 비정질 실리콘층과 반사방지막 사이에 버퍼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3. 제 1 도전형의 결정질 실리콘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후면 내부에 제 1 도전형의 접합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접합영역 을 교번하여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 상에 진성층과 제 1 도전형의 비정질 실리콘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 1 도전형의 비정질 실리콘층 상에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도전형의 접합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접합영역 상에 각각 제 1 도전형 전극과 제 2 도전형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도전형의 접합영역 또는 제 2 도전형의 접합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기판의 후면 상에 제 1 도전형의 접합영역 또는 제 2 도전형의 접합영역이 형성될 부위의 기판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스크린 마스크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스크린 마스크를 포함한 기판 전면 상에 액상의 제 1 도전형 또는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기판을 열처리하여 제 1 도전형의 접합영역 또는 제 2 도전형의 접합영역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 1 도전형의 비정질 실리콘층 상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20090127928A 2009-12-21 2009-12-21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Withdrawn KR20110071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928A KR20110071374A (ko) 2009-12-21 2009-12-21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DE112010004923T DE112010004923T5 (de) 2009-12-21 2010-12-17 Rückseitenfeld-Typ einer Heteroübergangssolarzelle und ein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US13/516,959 US20120255608A1 (en) 2009-12-21 2010-12-17 Back-surface-field type of heterojunction solar cell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PCT/KR2010/009060 WO2011078520A2 (ko) 2009-12-21 2010-12-17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2010800642094A CN102763227A (zh) 2009-12-21 2010-12-17 背面场型异质结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JP2012544394A JP2013513965A (ja) 2009-12-21 2010-12-17 裏面電界型のヘテロ接合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928A KR20110071374A (ko) 2009-12-21 2009-12-21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374A true KR20110071374A (ko) 2011-06-29

Family

ID=4419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928A Withdrawn KR20110071374A (ko) 2009-12-21 2009-12-21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255608A1 (ko)
JP (1) JP2013513965A (ko)
KR (1) KR20110071374A (ko)
CN (1) CN102763227A (ko)
DE (1) DE112010004923T5 (ko)
WO (1) WO201107852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002B1 (ko) * 2011-12-30 2014-02-18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판처리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11316B (zh) * 2015-02-13 2015-12-01 Neo Solar Power Corp 異質接面太陽能電池及其製造方法
US20160284913A1 (en) * 2015-03-27 2016-09-29 Staffan WESTERBERG Solar cell emitter region fabrication using substrate-level ion implan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638A (ja) * 1991-07-22 1993-02-05 Sharp Corp 光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
JP3468670B2 (ja) * 1997-04-28 2003-11-17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312814A (ja) * 1998-04-28 1999-11-09 Toyota Motor Corp 太陽電池素子
JP4171428B2 (ja) * 2003-03-20 2008-10-22 三洋電機株式会社 光起電力装置
US7700400B2 (en) * 2004-12-27 2010-04-20 Naoetsu Electronics Co., Ltd. Back junction solar cel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4684056B2 (ja) * 2005-09-16 2011-05-18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の製造方法
US20080000522A1 (en) * 2006-06-30 2008-01-03 General Electric Company Photovoltaic device which includes all-back-contact configuration; and related processes
CN101548392A (zh) * 2006-12-01 2009-09-30 夏普株式会社 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JP5127252B2 (ja) * 2007-02-02 2013-01-23 京セラ株式会社 光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
US20090293948A1 (en) * 2008-05-28 2009-12-03 Stichting Energieonderzoek Centrum Nederl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morphous/crystalline silicon heterojunction solar cell
JP2010258043A (ja) * 2009-04-21 2010-11-11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002B1 (ko) * 2011-12-30 2014-02-18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판처리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8520A2 (ko) 2011-06-30
US20120255608A1 (en) 2012-10-11
WO2011078520A3 (ko) 2011-11-10
CN102763227A (zh) 2012-10-31
JP2013513965A (ja) 2013-04-22
DE112010004923T5 (de)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064B1 (ko)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TWI474494B (zh) 多晶矽發射極太陽能電池所用的圖案化摻雜
KR20110071375A (ko)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7258A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9164544A (ja) 太陽電池のパッシベーション層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072530A (ja) 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7023976B2 (ja) P型perc両面太陽電池の製造方法
KR101612133B1 (ko) Mwt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148427B1 (ko) 광전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547804B1 (ko) 양면 수광형 실리콘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238988B1 (ko) 후면전극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198438B1 (ko) 양면 수광형 국부화 에미터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71374A (ko)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22508A (ko) 후면전극형 이종접합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JP7248856B1 (ja) 太陽電池および太陽電池の製造方法、光起電力モジュール
KR101155192B1 (ko)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20120062432A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115104B1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1378A (ko)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20110071379A (ko)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20110071377A (ko) 후면전계형 이종접합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1172611B1 (ko) 태양전지 제조 방법
KR20100111064A (ko) 태양전지
KR20110018687A (ko)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1069961B1 (ko) 태양전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