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234A - Longitudinal support for rolling stock fr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Longitudinal support for rolling stock fr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9234A KR20110069234A KR1020090125871A KR20090125871A KR20110069234A KR 20110069234 A KR20110069234 A KR 20110069234A KR 1020090125871 A KR1020090125871 A KR 1020090125871A KR 20090125871 A KR20090125871 A KR 20090125871A KR 20110069234 A KR20110069234 A KR 201100692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ngitudinal support
- mold
- bogie frame
- resin
- sk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 B61F5/52—Bogie frames
- B61F5/523—Bogie frames comprising parts made from fibre-reinforced matrix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70/46—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 B29C70/48—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and impregnating the reinforcements in the closed mould, e.g. resin transfer moulding [RTM], e.g. by vacu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8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by moulding material on preformed parts to be join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2/00—Fram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리브와 상기 리브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가볍고 변형이 쉬운 포상물질로 이루어지는 채움재와, 상기 채움재의 외부면에 구조적인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강화섬유로 이루어지는 프리폼을 이용해 일체로 형성되는 스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와; 그와 같은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ngitudinal support for a railroad vehicle bogie fr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 plurality of ribs made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a filling material made of a lightweight, easily deformed foam material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ribs, and a preform made of reinforcing fibers to secure structural rigidit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ling material. And longitudinal support for the railroad vehicle bogi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kin formed; Provided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ongitudinal support for such a railway vehicle bogie frame.
본 발명에 따른 종축지지대를 이루는 채움재에 굽힘 하중에 저항하기 위한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리브가 다수 포함되고, 그 외부에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스킨을 더 구비함으로서 구조 강도적인 측면에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fill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longitudina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ibs made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for resisting bending load, and further provided with a skin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on the outside thereof to ensure safety in terms of structural strength. .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종축지지대 Rolling stock, bogie frames, longitudinal suppo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철도차량용 대차프레임에 적용되는 유연구조 종축지지대를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이들의 혼합재 등의 강화섬유와 에폭시, 폴리에스터 및 페놀 등의 기지재료를 이용하여 가볍고 탄성이 존재하는 구조로 제작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 및 그와 같은 종축지지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ngitudinal support for a railway vehicle bogie fr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flexible structure longitudinal support for a railway vehicle bogie frame, such as carbon fiber, glass fiber, aramid fiber, and mixtures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ngitudinal support for a railroad vehicle bogie fr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longitudinal support, which are manufactured using a known material such as fiber, epoxy, polyester, and phenol.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대차프레임은 철도차량에서 스프링 하중량을 제외한 모든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품으로 차량의 안전운행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품이다. In general, the bogie frame of a railroad car is a part that supports the load of all vehicles except the unloaded weight of the railroad car and is the most closely related to the safe operation of the vehicle.
이러한 대차프레임은 주로 지지하는 하중의 크기와 운행시 발생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강고한 철강소재를 이용하여 용접 구조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 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재 대차프레임을 제작할 경우 무게는 대략 1.3 ~ 2톤으로 무겁고 강고하다. Such a bogie frame is generally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welded structure using a rigid steel materia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pporting load and the load generated during operation. However, when the metal balance frame is manufactured, the weight is about 1.3 to 2 tons, which is heavy and strong.
물론, 이러한 기존의 대차프레임을 경량화하기 위해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대차프레임에 적용하는 시도들이 있었다. 이 경우 기존 금속재 대차프레임 대비 무게를 25 ~ 50%까지 줄일 수 있다. Of course, there have been attempts to apply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to the balance fram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existing balance frame. In this case, the weight can be reduced by 25-50% compared to the existing metal balance frame.
이와 같은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대차프레임은 두 개의 종축지지대(side frame)와, 그 종축지지대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횡축지지대(cross beam)로 구성된다. 특히, 종축지지대는 수직방향의 차체하중에 의한 굽힘, 궤도 비틀림에 의한 비틀림 하중 및 댐퍼 등 기타 장치에 의해 유발되는 편심하중 등을 감당해야 한다.The bogie frame made of such a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is composed of two side frames and one or more cross beams connecting the longitudinal supports. In particular, the longitudinal support shall bear the bending caused by the vehicle body loa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orsional load caused by the orbital torsion, and the eccentric load caused by other devices such as dampers.
이러한 종축지지대를 기존 금속재와 같은 강체 구조가 아닌 유연(flexible)구조로 제작할 경우에는 종축지지대가 스프링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종축지지대는 다양한 하중조건과 변형을 허용하면서 내구성을 만족하기 위해서 종축지지대는 고강성과 고강도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재료로 제작되어야 하며 제작비용 역시 저렴해야 한다. When the longitudinal support is manufactured in a flexible structure rather than a rigid structure such as the existing metal, the longitudinal support plays the role of a spring at the same time. 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the durability while allowing various load conditions and deformations, the longitudinal support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satisfying both high rigidity and high strength conditions and the manufacturing cost should be low.
이와 관련해서 미국특허 US6305297과, US6338300 등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 미국특허 US6305297에는 도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구조 종축지지대를 복합소재로 제작하며 이는 강화 섬유를 두 개의 못(101, 102)에 걸어 그 둘레로 최소 한 바퀴 돌려 하나의 루프를 만들고, 그 섬유를 따라 합성수지 매트릭스를 중합한다. In this regard, US Patent US6305297, US6338300 and the like have been presented. In the US patent US6305297,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flexible longitudinal longitudinal support is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which hangs the reinforcing fiber on two
이때, 못과 못 사이의 거리(E)는 바퀴의 기반 또는 종축지지대에 부여될 하중에 따라 달라진다. 두 못 둘레에 감는 횟수 즉 두께 (e)는 종축지지대에 요구되는 사전에 정한 강도에 따라 결정된다. At this time, the distance (E) between the nail and the nail depends on the load to be applied to the base or longitudinal support of the wheel. The number of turns around the two nails, or thickness (e), depends on the predetermined strength required for the longitudinal support.
또 다른 미국특허 US6338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축지지대(6)가 최소 한 개의 상호 교환이 가능한 탄성리프(leaf)형태로 제작되며, 탄성리프는 수지에 함침된 섬유강화 복합재료로 만들어진다. 최소 한 개의 에폭시 또는 기타 수지에 기초한 매트릭스에 끼여 있는 유리, 탄소, 기타 아라미드 등의 섬유로 이루어지며 굽은 모양이 선호되는 단독의 탄성리프로 구성된다. Another US Pat. No. 6,383,300 is shown in Figure 3, wherein the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못과 못 사이를 강화섬유로 감아서 원하는 두께를 만들고 여기에 수지를 중합하여 종축지지대를 제조함에 따라 복합소재 적층판형태의 평판구조물로 제작된다. 이와같은 단순한 평판형태의 구조로는 대차프레임과 같이 고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기에는 부적절하다. 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by winding the nail and nail between the reinforcing fibers to make a desired thickness and to polymerize the resin therein to produce a longitudinal support, it is made of a composite plate-like flat plate structure. Such a simple plate-like structure is inadequate to support the load of a structure that is subjected to high loads such as a bogie frame.
또한, 강화섬유의 방향을 못과 못 사이의 길이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수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강화섬유를 감아 원하는 두께를 맞추더라도 수지를 함침하여 성형하게 되면 수지의 수축현상으로 인해 원하는 두께를 정확히 맞추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대량생산시 제품의 재현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modify the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fibers in the direction other tha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nail and nails, and even if the reinforcing fibers are wound to meet the desired thickness, the impregnated resin may be used to precisely set the desired thickness due to the shrinkage of the resin. It is impossible to match.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reproducibility of the product during mass produ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양한 하중조건과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고강성과 고강도 조건을 만족하여 경제적이고 재현성이 우수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 및 그와 같은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the object is to satisfy the high rigidity and high-strength conditions while allowing various load conditions and deformation, the longitudinal support for the railway vehicle bogie frame capable of mass production with excellent economical and reproducible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ongitudinal support for the bogie frame such as.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is technical problem;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리브와 상기 리브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가볍고 변형이 쉬운 포상물질로 이루어지는 채움재와; 상기 채움재의 외부면에 구조적인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강화섬유로 이루어지는 프리폼을 이용해 일체로 형성되는 스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를 제공한다.Filler made of a plurality of ribs made of a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a lightweight, easy-to-deform foam material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ribs; It provides a longitudinal support for a railway vehicle bogi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skin formed integrally using a preform made of reinforcing fibers to ensure structural rigidit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ler.
이때, 상기 스킨의 외부면에 경화재가 혼합된 수지를 도포 및 경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n and the cured resin mixed with the curing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kin.
또한, 상기 리브의 가장자리에는 코어를 더 구비하여, 상기 리브와 코어 사이의 공간을 상기 포상물질로 메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edge of the rib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re, and the space between the rib and the core is filled with the foam material.
특히, 상기 리브와 코어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rib and the cor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그리고, 상기 리브 및 코어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이들의 혼합재 등의 강화섬유에 에폭시, 폴리에스터 및 페놀 등의 기지재료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prepreg)를 적층하여 경화시키거나 강화섬유 프리폼에 수지를 주입하여 경화시킨 복합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ibs and cores are cured by laminating a prepreg, which is semi-cured by impregnating known materials such as epoxy, polyester, and phenol into reinforcing fibers such as carbon fibers, glass fibers, aramid fibers, and mixtures thereof. 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e material cured by injecting a resin into the reinforced fiber preform.
또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리브와 상기 리브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가볍고 변형이 쉬운 포상물질로 이루어지는 채움재를 제작하는 제1단계; 상기 채움재의 외부면에 강화섬유 프리폼을 적층하여 스킨을 형성하는 제2단계; 몰드내에 채움재의 외부면에 스킨을 형성한 상태로 설치하는 제3단계; 상기 몰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구를 통해 에폭시, 폴리에스터, 페놀 등의 순수수지에 경화를 촉진시켜 주기 위한 경화재를 혼합하여 몰드 내에 투입 및 유동시킨 후 퇴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제4단계; 상기 스킨에 스며든 수지를 경화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의 제조방법도 제공한다.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filling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ribs made of a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a lightweight and easily deformable foam material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ribs; A second step of forming a skin by laminating a reinforcing fiber preform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ller; A third step of installing the ski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ling material in the mold; A fourth step of mixing a hardening material for promoting hardening with pure resins such as epoxy, polyester, and phenol through an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mold, injecting and flowing into the mold, and then discharging it through the outlet; It also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ongitudinal support for a railway vehicle bogi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fifth step of curing the resin impregnated in the skin.
이때,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순수수지와 경화재를 펌프로 강제 흡입 이송하여 믹서로 보내 혼합시킨 후, 상기 몰드의 유입구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ourth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re resin and the hardening material is forced suction transported by a pump and mixed to send to the mixer,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inlet of the mold.
또한, 상기 유입구는 상기 몰드에 다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믹서에서 혼합된 수지는 분배기를 거쳐 다수의 주입구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le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in the mold, the resin mixed in the mix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inlet through the distributor.
그리고, 상기 제4단계의 경화제가 혼합된 상태의 수지 주입압력은 1기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resin injection pressure in the state that the curing agent of the fourth step is mixed is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1 atm.
그리고, 상기 제5단계는 상온에서 경화하거나 또는 히터(heater)를 통해 몰드를 가열하여 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fth step may be cured at room temperature or by heating the mold through a heater.
본 발명에 따른 종축지지대를 이루는 채움재에 굽힘 하중에 저항하기 위한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리브가 다수 포함되고, 그 외부에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스킨을 더 구비함으로서 구조 강도적인 측면에서 종래에 비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fill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longitudina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ibs made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for resisting bending load, and further has a skin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on the outside thereof, thereby securing safe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in terms of structural strength. can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축지지대는 CNC가공 등을 통해 정확한 치수로 제작된 몰드를 이용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몰드내에서 성형되는 복합소재 종축지지대가 원하는 치수를 정확히 만족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ongitudina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using a mold manufactured to precise dimensions through CNC machining, the longitudinal longitudinal support of the composite material molded in the mold can accurately satisfy the desired dimensions.
따라서, 제품의 재현성 측면에서도 동일한 몰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항상 동일한 품질의 종축지지대를 생산할 수 있다. 특히, 채움재가 준비되어 있는 경우 신속하게 수지주입과 퇴출을 통해 대량생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Therefore, since the same mold is used also in terms of reproducibility of the product, it is possible to always produce longitudinal supports of the same quality. In particular, when the filler is prepared,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can be mass-produced through the resin injection and withdrawal quickl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longitudinal support for the railroad vehicle bogi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이때,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축지지대가 적용된 철도차량용 복합소재 대 차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축지지대를 구성하는 채움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채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종축지지대를 구성하는 채움재의 다양한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종축지지대에 스킨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종축지지대를 제작하기 위한 몰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몰드의 내부에 스킨이 형성된 반가공상태의 종축지지대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축지지대를 수지이송법으로 성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At this tim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site frame for the vehicle frame to which the longitudinal support is appli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ler constituting the longitudina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ller of FIG. 5,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various modified examples of the filler constituting the longitudina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llustrates a process of forming a skin on the longitudinal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llustrating a mold for manufacturing a longitudinal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ongitudinal machining support of a semi-processed state in which a skin is formed is installed in the mold. 11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olding the longitudinal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resin transfer method.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100)가 적용된 철도차량용 복합소재 대차프레임(1)은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품으로서,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이들의 혼합재 등의 강화섬유에 에폭시, 폴리에스터 및 페놀 등의 기지재료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를 적용하여서 제조되는 것으로,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종축지지대(side frame)(100)와, 상기 종축지지대(100)의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축지지대(cross beam)(2)로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Figure 4, the railway vehicle composite frame bogie frame (1) to which the longitudinal support for
이와 같은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을 구성하는 종축지지대(100)와 횡축지지대(2)는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다.The
도 5 및 도 6에 의하면, 상기 종축지지대(100)는 강화섬유 프리폼(preform)에 수지를 주입하여 경화시키거나 강화섬유 프리폼(preform)에 수지를 주입하여 경 화시킨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하중지지용 리브(rib)(112) 및 코어(114)와, 그 리브(112) 및 코어(114)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가볍고 변형이 쉬운 포상물질(foam)(116)로 이루어지는 채움재(110)와, 상기 채움재(110)의 외부면에 구조적인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강화섬유 등의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프리폼(preform)(122)을 이용해 스킨(120)을 형성하고, 그 외부면에 순수수지와 경화재를 혼합한 상태로 도포하여서 이루어진다.5 and 6, the
한편, 상기 종축지지대(100)를 구성하는 채움재(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채움재(110)는 리브(112)와 코어(114)를 일체화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을 가볍고 변형이 쉬운 포상물질(foam)(116)로 메워서 형성한다. On the other hand, the
특히, 리브(112)와 코어(114)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통형상으로 일체로 제작하거나, 리브(112)의 상하단에 코어(114)를 일체화하여 포상물질(116)과 리브(112) 및 코어(114)를 순차적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In particular, the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100)의 제조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도 5 및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종축지지대(100)를 구성하는 채움재(110)를 도시한 도면으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5 and 6, the
이에 의하면, 상기 채움재(110)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이 들의 혼합재 등의 강화섬유에 에폭시, 폴리에스터 및 페놀 등의 기지재료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prepreg)를 적층하여 경화시키거나 강화섬유 프리폼(preform)에 수지를 주입하여 경화시킨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리브(112)와, 상기 리브(112)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코어(114)와, 상기 리브(112)와 코어(114)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가볍고 변형이 쉬운 포상물질(foam)(116)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is, the
이때, 상기 채움재(110)를 구성하는 리브(112)와 코어(114)는 강화섬유가 기지재료에 함침된 프리프레그(prepreg)를 적층하여 경화시키거나, 강화섬유 프리폼(preform)에 수지를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 원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작된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포상물질(116)은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리브(112)와 코어(114)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가볍고 변형이 쉬운 물질(foam)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채움재(110)를 구성하는 리브(112)와 코어(114) 및 포상물질(116)의 두께, 길이, 폭 등은 적용되는 철도차량의 하중크기에 따라 다르게 설계함은 당연하다. The thickness, length, width, etc. of the
한편, 상기 채움재(1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인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리브(112) 및 코어(114)와 포상물질(116)들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여 채움재(110)의 제작을 완료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채움재(110)의 단면을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다수의 리브(112) 및 코어(114)와 포상물질(116)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looking at the cross section of the
그리고, 상기 리브(112) 및 코어(114)와 포상물질(116)을 접착제로 일체화함으로서 제작된 채움재(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채움재(110)의 외부면에 강화섬유 프리폼(122)을 적층하여 스킨(120)을 형성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illing
이때, 상기 스킨(120)은 채움재(110) 주위를 기계적 강성 및 강도조건을 만족하는 두께만큼 강화섬유 프리폼(122)을 적어도 한번 이상 감거나 한 층씩 쌓아서 반가공 상태의 종축지지대(100)를 형성한다. In this case, the
상기 스킨(120)을 일정 두께만큼 쌓은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 제작된 몰드(200)에 삽입하게 된다. The
이때, 상기 몰드(200)는 상부몰드(202) 및 하부몰드(204)로 분할제작되며, 수지이송법으로 유연구조를 가지는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종축지지대(100)를 제작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몰드(200)는 금속을 CNC가공을 통해 제작하거나 유리섬유 강화복합소재에 금속재 보강재를 적용한 형태로 제작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작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은 몰드(200)는 수지이송법을 이용하여 종축지지대(100)를 제작하는 경우 1기압 이상의 압력으로 수지를 이송시키기 때문에 몰드(200)는 이러한 기압하에서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Since the
이상의 조건을 갖춘 몰드(200)내에 채움재(110)의 외부면에 스킨(120)을 형성한 상태의 복합소재 종축지지대(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하부몰드(204)의 내측에 채움재(110)의 외부면에 스킨(120)을 형성한 상태의 복합소재 종축지지대(100)를 삽입하고 상부몰드(202)를 덮고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하여 내부공기가 밖으로 세어나오지 않도록 일체로 고정하게 된다. The composite
이때, 복합소재 종축지지대(100)를 몰드(200)에 설치하기 전에 몰드(200)의 내부면에 최종성형되는 종축지지대(100)를 몰드(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약품처리 및 물질을 도포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before the composite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200)의 내부에 복합소재 종축지지대(100)를 삽입하고 일체로 고정한 상태에서 몰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구(210)를 통해 에폭시, 폴리에스터, 페놀 등의 순수수지(220)에 경화를 촉진시켜 주기 위한 경화재(222)를 혼합하여 복합소재 종축지지대(100)에 주입하여 몰드(200) 내에서 유동하게 하고 이를 퇴출구(212)를 통해 빠져나가게 한다.In such a state, as shown in FIG. 11, epoxy, polyester, and the like through the
이를 위해 에폭시, 폴리에스터, 페놀 등과 같은 순수수지(220)와 경화재(222)를 펌프(230)로 강제 흡입 이송하여 믹서(232)로 보내 혼합시킨다.To this end,
이와 같이 경화제가 혼합된 상태의 수지는 믹서(232)에서 몰드(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구(210)로 안내되는데, 이때, 다수의 유입구(210)로 경화제가 혼합된 상태의 수지를 균일하게 투입하기 위해 분배기(234)를 더 구비한다. 좀더 상 세하게는 몰드(200)에 설치되는 주입구(210)와 퇴출구(212)의 수와 위치는 종축지지대(100)의 형상 및 수지 유동을 고려하여 1개 이상으로 설치하게 된다.In this way, the resin in a state in which the curing agent is mixed is guided to the
따라서, 상기 몰드(200)에서 경화제가 혼합된 상태의 수지는 분배기(234)를 거쳐 분배되어 다수의 주입구(210)를 통해 몰드(200)의 내부로 주입된다. 이렇게 주입된 경화제가 혼합된 상태의 수지는 복합소재 종축지지대(100)의 스킨(120)을 통해 유동하여 퇴출구(212)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경화제가 혼합된 상태의 수지의 주입압력은 1기압 이상으로 주입한다. Therefore, the resin in a state in which the curing agent is mixed in the
이와 같은 과정 중에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복합소재 종축지지대(100)의 스킨(120) 전체에 골고루 수지가 스며들면 수지주입과 퇴출을 중단하고 수지를 경화시키게 된다. 수지를 경화시키는 방법은 상온에서 경화하는 방법과, 히터(heater)를 통해 상하몰드를 가열하여 경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If a predetermined time passes during this process, the resin is evenly infiltrated into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의 제조방법을 정리한다.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ongitudinal support for the railroad vehicle bogi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리브(112)와 상기 리브(112)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가볍고 변형이 쉬운 포상물질(116)로 이루어지는 채움재(110)를 제작하는 제1단계와, 상기 채움재(110)의 외부면에 강화섬유 프리폼을 적층하여 스킨(120)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몰드(200)내에 채움재(110)의 외부면에 스킨(120)을 형성한 상태로 설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몰드(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구(210)를 통해 에폭시, 폴리에스터, 페놀 등의 순수수지에 경화를 촉진시켜 주기 위한 경화재를 혼합하여 몰드(200) 내에 투입 및 유동시킨 후 퇴출구(212)를 통해 배출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스킨(120)에 스며든 수지를 경화시키는 제5단계로 구성된다.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여기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순수수지와 경화재를 펌프(230)로 강제 흡입 이송하여 믹서(232)로 보내 혼합시킨 후, 상기 몰드(200)의 유입구(210)로 투입하는 것이다.Here, the fourth step is to force the suction and transfer the pure resin and the hardener to the
그리고, 상기 제4단계의 경화제가 혼합된 상태의 수지 주입압력은 1기압 이상이고, 상기 제5단계는 상온에서 경화하거나 또는 히터(heater)를 통해 몰드(200)를 가열하여 경화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sin injection pressure in a state in which the curing agent of the fourth step is mixed is 1 atm or more, and the fifth step is curing at room temperature or by heating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대차프레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1 to 3 are diagrams showing bogie frames made of a conventional composite materia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축지지대가 적용된 철도차량용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site material bogie frame for a railway vehicle applied longitudinal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축지지대를 구성하는 채움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longitudinal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채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ller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종축지지대를 구성하는 채움재의 다양한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fill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longitudinal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종축지지대에 스킨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skin on the longitudinal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종축지지대를 제작하기 위한 몰드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mold for producing a longitudinal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몰드의 내부에 스킨이 형성된 반가공상태의 종축지지대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ongitudinal support in a semi-processed state in which a skin is formed in the mold is installe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축지지대를 수지이송법으로 성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olding the longitudinal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resin transfer metho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0: 종축지지대 110: 채움재100: longitudinal support 110: filler
112: 리브 114: 코어112: rib 114: core
116: 포상물질 120: 스킨116: reward material 120: skin
122: 프리폼 200: 몰드122: preform 200: mold
210: 유입구 212: 퇴출구210: inlet 212: exit
220: 순수수지 222: 경화재220: pure resin 222: hardening material
230: 펌프 232: 믹서230: pump 232: mixer
234: 분배기 234: distributor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5871A KR101172734B1 (en) | 2009-12-17 | 2009-12-17 | side beam and the Fabrication method for the railway bogie fr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5871A KR101172734B1 (en) | 2009-12-17 | 2009-12-17 | side beam and the Fabrication method for the railway bogie fr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9234A true KR20110069234A (en) | 2011-06-23 |
KR101172734B1 KR101172734B1 (en) | 2012-08-14 |
Family
ID=4440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5871A Active KR101172734B1 (en) | 2009-12-17 | 2009-12-17 | side beam and the Fabrication method for the railway bogie fr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2734B1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7981B1 (en) * | 2012-12-24 | 2014-07-0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hock absorption strutcure for bogie of railway vehicle |
US8936844B2 (en) | 2011-12-14 | 2015-01-20 | Hyundai Motor Company | Composite chassis fr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N108045393A (en) * | 2018-01-15 | 2018-05-18 | 西南交通大学 | A kind of bogie simple in structure |
KR20180105297A (en) * | 2017-03-14 | 2018-09-2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andrel with variable par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vehicle body parts using the same |
US10946554B2 (en) | 2016-02-03 | 2021-03-16 | Lg Hausys, Ltd. | Prepreg manufacturing device and prepreg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
CN113830121A (en) * | 2021-11-01 | 2021-12-24 |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 Carbon fiber material framework |
CN114194242A (en) * | 2022-01-04 | 2022-03-18 | 常州市新创智能科技有限公司 | Rail train bogie frame structure and forming method |
KR102383910B1 (en) * | 2020-12-10 | 2022-04-08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material for railway vehicles |
KR20220082409A (en) * | 2020-12-10 | 2022-06-17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Composite material for railway vehicles |
CN114670890A (en) * | 2022-03-18 | 2022-06-28 | 常州市新创智能科技有限公司 | Bogie frame, manufacturing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77763B2 (en) | 1986-05-12 | 1995-08-23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Beam-shaped structural members reinforced with fibers |
JP2006095727A (en) | 2004-09-28 | 2006-04-13 | Toray Ind Inc | Rtm molding machine and rtm molding method |
-
2009
- 2009-12-17 KR KR1020090125871A patent/KR101172734B1/en active Active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36844B2 (en) | 2011-12-14 | 2015-01-20 | Hyundai Motor Company | Composite chassis fr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101417981B1 (en) * | 2012-12-24 | 2014-07-0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hock absorption strutcure for bogie of railway vehicle |
US10946554B2 (en) | 2016-02-03 | 2021-03-16 | Lg Hausys, Ltd. | Prepreg manufacturing device and prepreg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
KR20180105297A (en) * | 2017-03-14 | 2018-09-2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andrel with variable par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vehicle body parts using the same |
CN108045393A (en) * | 2018-01-15 | 2018-05-18 | 西南交通大学 | A kind of bogie simple in structure |
KR102383910B1 (en) * | 2020-12-10 | 2022-04-08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material for railway vehicles |
KR20220082409A (en) * | 2020-12-10 | 2022-06-17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Composite material for railway vehicles |
CN113830121A (en) * | 2021-11-01 | 2021-12-24 |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 Carbon fiber material framework |
CN113830121B (en) * | 2021-11-01 | 2023-10-27 |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 Carbon fiber material framework |
CN114194242A (en) * | 2022-01-04 | 2022-03-18 | 常州市新创智能科技有限公司 | Rail train bogie frame structure and forming method |
CN114670890A (en) * | 2022-03-18 | 2022-06-28 | 常州市新创智能科技有限公司 | Bogie frame, manufacturing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72734B1 (en) | 2012-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2734B1 (en) | side beam and the Fabrication method for the railway bogie frame | |
US10399307B2 (en) | Reinforced composite structure | |
KR101151966B1 (en) | Rtm molding method and device | |
CN101992566B (en) | The method of fiber reinforced plastic structure and producd fibers reinforced plastics structure | |
CA2958839A1 (en) | Composites formed from co-cure adhesive | |
US4665678A (en) | Lightweight constructions of increased strength and dimensional stability | |
JP2001310798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fuselage structure made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fuselage structure manufactured thereby | |
CN101171122A (en) |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of a hollow fiber reinforced structural member | |
US7090737B2 (en) | Component consisting of a fiber-reinforced synthetic materi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same | |
WO2015096831A1 (en) | Method for the in situ production of sandwich components reinforced by means of reinforcing fibers | |
US7105120B2 (en) | Moulding methods | |
KR101184329B1 (en) | Dimensional tolerance minimization apparatus of a composite bogie frame using bolt tightening force | |
CN109689403B (en) | Structural member | |
JPH05156507A (en) | Fiber resin-impregnation | |
KR101281492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a composite bogie frame with bolt hole parts by Resin Transfer Moulding | |
KR101199411B1 (en) | Composite bogie frame with metal structure for air reservoir | |
KR101199412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a flexible composite bogie frame of a bogie for a railway vehicle using Resin Transfer Moulding | |
JP2006083355A (en) | Fiber-reinforced resin structure and railroad tie | |
KR20160053297A (en) | composite railway bogie frame manufacturing method using resin flow | |
JP3590346B2 (en) | FRP structure | |
WO1989003731A1 (en) | Sheet metal pressing resin mol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KR101281489B1 (en) | Dimensional Accuracy Improvement Apparatus of a Composite Bogie Frame Manufactured by Autoclave Curing Method | |
JPH03166921A (en) | Method for producing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 |
KR102507820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fiber reinforced resin composite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 |
KR102347729B1 (en) | RTM Mold Structure for Rapid Impregnation of matrix res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