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492B1 - Manufacturing Method of a composite bogie frame with bolt hole parts by Resin Transfer Moulding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a composite bogie frame with bolt hole parts by Resin Transfer Mou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1492B1 KR101281492B1 KR1020110079754A KR20110079754A KR101281492B1 KR 101281492 B1 KR101281492 B1 KR 101281492B1 KR 1020110079754 A KR1020110079754 A KR 1020110079754A KR 20110079754 A KR20110079754 A KR 20110079754A KR 101281492 B1 KR101281492 B1 KR 1012814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gie frame
- resin
- fastening hole
- manufacturing
- composi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 B61F5/52—Bogie fram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볼트 체결홀부를 갖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화섬유로 이루어지는 종축지지대용 채움재 및 종축지지대용 채움재를 결합하여 접착제를 이용하여 일체로 결합하거나 체결부재의 체결을 통해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후, 상기 기본구조재에 하나 이상의 가공홀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고 그 가공홀에 성형용 폴을 관통되게 설치하고 상기 기본구조재의 표면에 프리폼(prefrom)을 적층하여 스킨부를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후, 상기 기본구조재를 상부몰드와 하부몰드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상부몰드와 하부몰드의 사이에 수지와 경화재를 혼합한 혼합수지를 주입하고 경화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폴을 제거하여 볼트를 체결가능한 체결홀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는 제4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작 과정에서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홀을 형성하므로 볼트 체결홀에서의 강화섬유의 연속성을 유지하여 체결홀부의 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bogie frame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portion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A first step of combining the longitudinal supporter filling material and the longitudinal supporter filling material made of reinforcing fibers to be integrally coupled using an adhesive or to form a basic structural material for a composite bogie frame by fastening a fastening member; After the first step, at least one processing hole is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in the basic structural member, and a molding pole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processing hole and a preform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ic structural member to form a skin part. Second step; A third step of installing the basic structural material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fter the second step, and injecting and curing a mixed resin mixed with a resin and a hardening material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nd after the third step, removing the pole to form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bolt can be fasten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the reinforcing fiber in the bolt fastening hole, thereby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fastening hole part because the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bolt is form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mposite bogie frame using the resin transfer method. ha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볼트 체결홀부를 갖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핵심부품 중의 하나인 대차에 적용되는 대차프레임을 복합소재를 이용한 수지이송법(RTM, Resin Transfer Moulding)을 이용하여 제작시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홀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material bogie frame having bolt fastening holes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a resin transfer method using a composite material for a bogie frame applied to a bogie, one of the core parts of a railway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bogie frame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which can improve the strength of a fastening hole in which a bolt is fastened during manufacturing by using (RTM, Resin Transfer Molding).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대차프레임은 철도차량에서 스프링 하중량을 제외한 모든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품으로 차량의 안전운행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품이다. In general, the bogie frame of a railroad car is a part that supports the load of all vehicles except the unloaded weight of the railroad car and is the part most closely related to the safe operation of the vehicle.
이러한 대차프레임은 주로 지지하는 하중의 크기와 운행시 발생하는 힘의 크기에 따라 강성이 큰 철강소재를 이용하여 용접 구조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재 대차프레임을 제작할 경우 무게는 대략 1.3 ~ 2톤으로 무겁고 강성이 크다. Such a bogie frame is generally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welded structure using a steel material having a large rigidity according to the size of a supporting load and a force generated during operation. However, when manufacturing such a metal bogie frame weight is about 1.3 ~ 2 tons heavy and rigid.
물론, 이러한 기존의 대차프레임을 경량화하기 위해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대차프레임 적용하는 시도들이 있었다. 이 경우 기존 금속재 대차프레임 대비 무게를 25 ~ 50%까지 줄일 수 있다. Of course, there have been attempts to apply the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to the balance frame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existing balance frame. In this case, the weight can be reduced by 25-50% compared to the existing metal balance frame.
이와 같은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대차프레임 적용한 예로 유럽공개특허 제EP0260440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철도차량용 복합소재 대차프레임(composite bogie frame)의 제작에 관련된 것으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종축 지지대(2, 4)와 횡축 지지대(6)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철도차량용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채움재(4, 10, 12, 16, 18로 구성됨)를 먼저 제작하고, 여기에 강화섬유를 수지에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로 적층하거나, 미리 강화시켜 놓은 표면부(skin)(22, 26, 44)를 차례로 접착하여 제작한다. As an example of applying the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to the balance frame, the European Patent Publication No. EP02604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has been presented. The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the manufacture of a composite bogie frame for a railway vehicle as shown in FIG. 1, and consists of longitudinal supporters 2 and 4 and a
한편, 일반적으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은 제작 후 주요 구성품을 설치하기 위해 볼트체결기법을 적용하게 된다. 이와 관련된 볼트체결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완료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1)에 축상장치, 제동장치 브라켓 및 댐퍼와 같은 주요 구성품을 설치하기 위해 드릴(50)을 이용해서 볼트를 체결가능한 체결홀을 후(後) 가공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general, composite bogie frame is to apply the bolt fastening method to install the main components after manufacturing. In order to apply the related bolting method, a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체결을 위해 가공되는 체결홀(11)은 강화섬유(3)의 단절 및 응력집중을 유발하게 되며 주 하중을 감당하는 강화섬유(탄소섬유, 유리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 등)가 절단(11a)되어 연속성이 단절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따라서, 볼트 체결에 의해 볼트에 의한 베어링 하중(bearing force)이 볼트 체결홀(11)에 작용할 경우 층간분리 및 섬유파단과 같은 대차프프레임의 손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a bearing force due to the bolt acts o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 체결을 위해 가공되는 볼트 체결홀을 제작된 대차프레임에 가공하지 않고 대차프레임의 제작단계에서 형성함으로써 볼트 체결홀 형성을 위한 후(後) 가공 공정을 제거하고 볼트 체결홀에서의 강화섬유의 연속성을 유지하여 체결홀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수지이송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s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bolt fastening hole by forming a bolt fastening hole to be processed for bolt fastening 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bogie frame without processing the manufactured bogie fra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bogie frame manufactured by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to remove the post-processing process and maintain the continuity of the reinforcing fiber in the bolt fastening hole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fastening hole.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In order to solve such a technical problem,
강화섬유로 이루어지는 종축지지대용 채움재 및 횡축지지대용 채움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일체로 결합하거나 체결부재의 체결을 통해 결합하여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후, 상기 기본구조재에 하나 이상의 가공홀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고 그 가공홀에 성형용 폴을 관통되게 설치하고 상기 기본구조재의 표면에 프리폼(prefrom)을 적층하여 스킨부를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후, 상기 기본구조재를 상부몰드와 하부몰드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상부몰드와 하부몰드의 사이에 수지와 경화재를 혼합한 혼합수지를 주입하고 경화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폴을 제거하여 볼트를 체결가능한 체결홀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는 제4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볼트 체결홀부를 갖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A first step of forming the basic structural material for the composite bogie frame by integrally combining the longitudinal support material and the transverse support material, which are made of reinforcing fibers, by using an adhesive or by engaging a fastening member; After the first step, at least one processing hole is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in the basic structural member, and a molding pole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processing hole and a preform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ic structural member to form a skin part. Second step; A third step of installing the basic structural material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fter the second step, and injecting and curing a mixed resin mixed with a resin and a hardening material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fter the third step, the fourth step of removing the pole to form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bolt can be fastened up and down; and a bolt of the composite material frame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It provides a manufacturing method.
이때, 상기 가공홀은 상기 종축지지대용 채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processing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iller for the longitudinal support.
그리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폴은 이형 필름으로 감거나 이형제를 도포한 후 상기 가공홀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econd step, the pawl is wound into a release film or coated with a release agent, and then inserted into the processing hole.
또한, 상기 종축지지대용 채움재는 복합소재 리브 사이에 포상물질을 메워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support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by filling the foam material between the composite ribs.
아울러, 상기 복합소재 리브는 강화섬유가 기지재료에 함침된 프리프레그(prepreg)를 적층하여 경화시키거나, 강화섬유 프리폼(preform)에 수지를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 원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mposite rib is manufactured by laminating a prepreg impregnated with a reinforcing fiber in a base material, or by injecting a resin into a reinforcing fiber preform and curing it to a desired size and shap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횡축지지대용 채움재는 강화섬유에 에폭시, 폴리에스터 및 페놀 등의 기지재료에 함침된 프리프레그(prepreg)를 적층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ling material for the transverse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produce a prepreg impregnated with a base material such as epoxy, polyester and phenol on the reinforcing fiber.
그리고, 상기 횡축지지대용 채움재는 금속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lling material for the transverse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또한, 상기 횡축지지대용 채움재는 그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실린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ling member for the transverse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is a cylindrical shape of a circular or polygonal.
그리고, 상기 프리폼은 탄소, 유리, 아라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preform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carbon, glass, aramid or mixed fibers thereof.
아울러, 상기 상부몰드와 하부몰드에는 혼합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주입된 혼합수지가 배출가능한 퇴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혼합수지는 순수수지와 경화재를 펌프로 강제이송시켜 믹서에서 혼합한 후 상기 주입구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is formed with an inlet for injecting the mixed resin and the outlet for discharging the injected mixed resin, the mixed resin is forced to transfer the pure resin and the hardening material by a pump to mix in the mix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port.
또한, 상기 혼합수지의 상부몰드와 하부몰드내 주입압력은 1기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jection pressure i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of the mixed resin is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1 atm.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작 과정에서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홀을 형성하므로 볼트 체결홀에서의 강화섬유의 연속성을 유지하여 체결홀부의 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the reinforcing fiber in the bolt fastening hole, thereby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fastening hole part because the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bolt is form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mposite bogie frame using the resin transfer method. have.
도 1 및 도 2는 종래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대차프레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종래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대차프레임에 볼트 체결홀을 형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송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종축지지대용 채움재와 횡축지지대용 채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종축지지대용 채움재와 횡축지지대용 채움재를 결합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에 스킨부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볼트 체결홀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상부몰드 및 하부몰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철도차량용 유연구조 복합소재 대차프레임 제작을 위한 수지이송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볼트 체결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ogie frame made of a conventional composite material.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forming a bolt fastening hole in the bogie frame made of a conventional composite material.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upport material filling material and a transverse support material for preparing a composite material balance frame produced using the resin transf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basic structural material for a composite bogie frame combined with a longitudinal support material filling material and a transverse support material fill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kin portion is formed in the basic structural material for a composite bogi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bolt fastening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resin transport structure for manufacturing a flexible structural composite bogie frame for a railway vehicle using the resin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bolt fastening hole portion of the composite bogi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볼트 체결홀부를 갖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material frame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part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송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종축지지대용 채움재와 횡축지지대용 채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종축지지대용 채움재와 횡축지지대용 채움재를 결합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에 스킨부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볼트 체결홀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상부몰드 및 하부몰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철도차량용 유연구조 복합소재 대차프레임 제작을 위한 수지이송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볼트 체결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upport member filling material and a transverse support member for preparing a composite material balance frame produced using the resin transf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ongitudinal support member filling material and a horizontal axi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basic structural material for a composite bogie frame incorporating a support material for filling,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kin part is formed in the basic structural material for a composite bogi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bol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llustrating a fastening hole part,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resin for manufacturing a flexible structural composite bogie frame for a railway vehicle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transfer configuration, Figure 11 is a view showing a bolt fastening hole of the composite bogie fram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먼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볼트 체결홀부를 갖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을 제작하기 이전에 준비된 종축지지대용 채움재(110)와 횡축지지대용 채움재(120)를 나타낸 것이다. First, Figure 5 shows the longitudinal support
이때, 상기 본 발명의 수지이송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은 두 개의 종축지지대와 이 종축지지대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횡축지지대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종축지지대와 횡축지지대를 구성하는 종축지지대용 채움재(110)와 횡축지지대용 채움재(120)는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composite bogie frame produced by the resin transfe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longitudinal support and one or more horizontal support connecting the longitudinal support, the longitudinal support constituting such longitudinal suppo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먼저, 상기 종축지지대용 채움재(110)는 복합소재 리브(112)의 사이에 포상물질(114)을 메워서 이루어진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종축지지대용 채움재(110)를 구성하는 복합소재 리브(112)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이들의 혼합재 등의 강화섬유가 기지재료에 함침된 프리프레그(prepreg)를 적층하여 경화시키거나, 강화섬유 프리폼(preform)에 수지를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 원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포상물질(foam)(114)은 복합소재 리브(112)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가볍고 변형이 쉬운 물질(foam)로 구성된다. First, the longitudinal
이와 같은 종축지지대용 채움재(110)의 구성요소들의 두께, 길이 및 폭 등은 적용되는 철도차량의 하중크기에 따라 변하게 된다. 그리고, 종축지지대용 채움재(11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종축지지대용 채움재(110)를 구성하는 복합소재 리브(112) 및 포상물질(114)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게 된다.The thickness, length, and width of the components of the longitudinal
한편, 상기 횡축지지대용 채움재(120)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및 이들의 혼합재 등의 강화섬유에 에폭시, 폴리에스터 및 페놀 등의 기지재료에 함침된 프리프레그(prepreg)를 적층하여 제작하거나 알루미늄이나 강재 등의 금속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특히, 상기 횡축지지대용 채움재(120)는 종축지지대용 채움재(110)를 연결하기 위해 1개 이상이 이용되며, 그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horizontal support
이와 같은 종축지지대용 채움재(110)와 횡축지지대용 채움재(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일체로 결합하거나 리벳이나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의 체결을 통해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100)를 제작하게 된다.Such longitudinal
그리고, 종축지지대용 채움재(110)와 횡축지지대용 채움재(120)를 체결하여서 이루어지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100)의 표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섬유로 구성된 프리폼(prefrom)을 적층하여 스킨부(130)를 형성하게 된다. Then, the preform (prefrom) consisting of a reinforcing fiber as shown in Figure 7 on the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프리폼은 탄소, 유리, 아라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프리폼은 요구되는 두께를 만족하도록 적층하여 스킨부(130)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킨부(130)를 원하는 두께만큼 적층 형성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전에 제작된 상부몰드(200) 및 하부몰드(202)의 사이에 삽입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preform is made of carbon, glass, aramid or mixed fibers thereof, the preform is laminated to satisfy the required thickness to form the
한편, 프리폼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100)에 축상장치, 제동장치 브라켓 및 댐퍼와 같은 주요 구성품을 설치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를 체결가능한 체결홀(101)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가공홀(111)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고 그 가공홀(111)에 성형용 폴(140)을 삽입하여 양단부가 상하로 노출되도록 관통되게 설치하여 그 폴(140) 주위로 스킨부(130)인 강화섬유가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Meanwhile, when preforms are stacked, fastening holes 101 for fastening bolts as shown in FIG. 11 to install main components such as an axial device, a braking device bracket, and a damper on the basic
이때, 상기 폴(140)은 체결홀(101)을 대차프레임의 종축지지대 양단부 상하측에 다수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종축지지대용 채움재(110)에 가공홀(111)을 형성하고 그 가공홀(111)에 설치한다. At this time, the
특히, 추후 성형중 수지가 주입되고 성형이 완료된후 폴(140)은 제거되어야 하므로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폴(140)에 이형 필름으로 감거나 이형제를 도포한 후 가공홀(111)에 삽입한다.In particular, after the resin is injected during the molding and after the molding is completed, the
이와 같이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100)의 표면에 프리폼(prefrom)을 적층하여 스킨부(130) 형성을 완료된 후의 체결홀부(101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101) 주위에서 강화섬유는 연속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와 같이 스킨부(130)를 원하는 두께만큼 적층 형성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몰드(200) 및 하부몰드(202)의 사이에 삽입하게 된다. After the
즉, 도 9에 의하면, 본 발명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해 수지이송법을 이용한다. 이때, 스킨부(130)가 형성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100)는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의 사이에 설치한다.That is, according to Figure 9, the resin transfer method is used to fabricate the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bogi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basic
상기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는 일반적으로 금속을 CNC가공을 통해 제작하거나 또는 유리섬유 강화복합소재에 금속재 보강재를 적용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The
이때, 수지이송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을 제작하는 경우 일정기압(예를 들면 1기압) 이상의 압력으로 에폭시, 폴리에스터, 페놀 등의 수지와 경화재를 혼합한 혼합수지를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의 사이에 이송 및 주입시키기 때문에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는 이러한 기압하에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At this time, when manufacturing the composite material balanc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resin transfer method, the upper mold of the mixed resin mixed with a resin such as epoxy, polyester, phenol and a hardening material at a pressure of a certain pressure (for example 1 atm) or more Since the
한편, 상기 스킨부(130)가 형성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100)를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의 사이에 설치하기 전에 몰드의 내부면에 윤활제 등을 도포해주어 최종적으로 성형되는 본 발명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을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 사이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before installing the basic
이와 같이 윤활제 등을 도포한 후, 스킨부(130)가 형성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100)를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를 볼트 등의 체결수단(미도시됨)으로 체결하여 내부공기가 밖으로 새나오지 않도록 밀폐시키게 된다. After applying a lubricant or the like in this way, the basic
이 경우 에폭시, 폴리에스터, 페놀 등의 수지와 경화재를 혼합한 혼합수지를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의 사이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상부몰드(200) 또는 하부몰드(202)의 변형에 의한 누설(leakage)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몰드(200) 또는 하부몰드(202)의 테두리 결합부(200a,202a)의 사이에는 실링용 고무패킹(미도시도됨)을 삽입하고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이상과 같이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의 사이에 스킨부(130)가 형성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100)를 설치하고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를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폭시, 폴리에스터, 페놀 등의 수지와 경화재를 혼합한 혼합수지를 주입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asic
이때, 상기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에는 혼합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주입구(204)와 주입된 혼합수지가 배출가능한 퇴출구(206)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즉,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에 설치되는 주입구(204)와 퇴출구(206)의 수와 위치는 대차프레임의 형상 및 혼합수지의 유동을 고려하여 1개 이상씩 적절한 수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따라서, 혼합수지를 스킨부(130)가 형성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100)가 삽입된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의 주입구(204)내부로 주입하면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의 내부를 채우면서 퇴출구(206)쪽으로 이동한다.
Accordingly, when the mixed resin is injected into the
이때, 상기 혼합수지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에폭시, 폴리에스터, 페놀 등의 순수수지(210)와 경화재(212)를 펌프(214)로 강제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펌프(214)로 이송되는 순수수지(210)와 경화재(212)는 믹서(216)에서 혼합된다. In this case, in order to inject the mixed resin, the
이와 같이 믹서(216)에서 혼합된 순수수지와 경화제의 혼합수지는 분배기(218)를 통해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에 형성된 다수의 주입구(204)로 동시에 주입된다.As such, the mixed resin of the pure resin mixed with the curing agent in the
이렇게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의 내부로 주입된 혼합수지는 스킨부(130)가 형성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100)의 프리폼 스킨부(130)를 통해 유동하여 퇴출구(206)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혼합수지의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내 주입압력은 1기압 이상으로 주입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way, the mixed resin injected into the
이상과 같이 혼합수지를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내에 주입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스킨부(130)가 형성된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용 기본구조재(100)의 프리폼 스킨부(130) 전체에 골고루 혼합수지가 스며들면 수지의 주입과 퇴출을 중단하고 혼합수지를 경화시키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mixed resin is injected into the
이 경우 혼합수지를 경화시키는 방법은 상온에서 경화하는 자연경화 방법과 히터(heater) 등을 이용해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202)를 가열하여 경화하는 강제경화 방법 등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uring method of the mixed resin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by a natural curing method of curing at room temperature and a forced curing method of heating and curing the
물론, 수지가 주입이 완료되고 경화되어 성형이 완료된 대차프레임으로부터 폴(140)을 제거하면 제동장치 브라켓 및 댐퍼와 같은 주요 구성품을 설치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를 체결가능한 체결홀(10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Of course, when the resin is injected and cured to remove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10: 종축지지대용 채움재 111: 관통공
120: 횡축지지대용 채움재 130: 스킨부
140: 폴 200: 상부몰드
202: 하부몰드 204: 주입구
206: 퇴출구 210: 순수수지
212: 경화재 214: 펌프
216: 믹서 218: 분배기110: filler for longitudinal support 111: through hole
120: filler for the transverse support 130: skin portion
140: pole 200: upper mold
202: lower mold 204: injection hole
206: exit 210: pure resin
212: hardener 214: pump
216
Claims (11)
상기 제1단계 후, 상기 기본구조재에 하나 이상의 가공홀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고 그 가공홀에 성형용 폴을 관통되게 설치하고 상기 기본구조재의 표면에 프리폼(prefrom)을 적층하여 스킨부를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후, 상기 기본구조재를 상부몰드와 하부몰드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상부몰드와 하부몰드의 사이에 수지와 경화재를 혼합한 혼합수지를 주입하고 경화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폴을 제거하여 볼트를 체결가능한 체결홀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는 제4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볼트 체결홀부를 갖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
A first step of forming the basic structural material for the composite bogie frame by integrally combining the longitudinal support material and the transverse support material, which are made of reinforcing fibers, by using an adhesive or by engaging a fastening member;
After the first step, at least one processing hole is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in the basic structural member, and a molding pole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processing hole and a preform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ic structural member to form a skin part. Second step;
A third step of installing the basic structural material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fter the second step, and injecting and curing a mixed resin mixed with a resin and a hardening material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fter the third step, the fourth step of removing the pole to form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bolt can be fastened up and down; and a bolt of the composite material frame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Manufacturing method.
상기 가공홀은 상기 종축지지대용 채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볼트 체결홀부를 갖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ing hole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composite material bogie frame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portion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ngitudinal support member filling material.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폴은 이형 필름으로 감거나 이형제를 도포한 후 상기 가공홀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볼트 체결홀부를 갖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cond step, the pole is wound with a release film or coated with a release agent is inserted into the processi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e bogie frame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상기 종축지지대용 채움재는 복합소재 리브 사이에 포상물질을 메워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볼트 체결홀부를 갖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longitudinal support member filling material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material bogie frame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portion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by filling the foam material between the composite material ribs.
상기 복합소재 리브는 강화섬유가 기지재료에 함침된 프리프레그(prepreg)를 적층하여 경화시키거나, 강화섬유 프리폼(preform)에 수지를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 원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볼트 체결홀부를 갖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mposite rib may be manufactured by stacking a prepreg impregnated with a reinforcing fiber and then cutting it into a desired size and shape after injecting a resin into a reinforcing fiber preform.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material bogie frame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상기 횡축지지대용 채움재는 강화섬유에 에폭시, 폴리에스터 및 페놀 등의 기지재료에 함침된 프리프레그(prepreg)를 적층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볼트 체결홀부를 갖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ling material for the transverse support is a composite material balance frame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preg impregnated with a base material such as epoxy, polyester and phenol on the reinforcing fiber laminated Method of preparation.
상기 횡축지지대용 채움재는 금속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볼트 체결홀부를 갖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illing material for the transverse support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composite material bogie frame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etal material.
상기 횡축지지대용 채움재는 그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실린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볼트 체결홀부를 갖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illing material for the transverse support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material bogie frame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is a circular or polygonal cylinder shape.
상기 강화섬유 프리폼은 탄소, 유리, 아라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볼트 체결홀부를 갖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inforcing fiber preform is a carbon, glass, aramid or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material bogie frame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se fibers.
상기 상부몰드와 하부몰드에는 혼합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주입된 혼합수지가 배출가능한 퇴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혼합수지는 순수수지와 경화재를 펌프로 강제이송시켜 믹서에서 혼합한 후 상기 주입구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볼트 체결홀부를 갖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is formed with an inlet for injecting the mixed resin and the outlet for discharging the injected mixed resin,
The mixed resin forcibly transfer the pure resin and the hardened material by a pump and mixed in the mixer and then injected into the injection hol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material bogie frame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상기 혼합수지의 상부몰드와 하부몰드내 주입압력은 1기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이송법을 이용한 볼트 체결홀부를 갖는 복합소재 대차프레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njection pressure i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of the mixed resi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material bogie frame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portion using a resin transfe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1 at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9754A KR101281492B1 (en) | 2011-08-10 | 2011-08-10 | Manufacturing Method of a composite bogie frame with bolt hole parts by Resin Transfer Mou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9754A KR101281492B1 (en) | 2011-08-10 | 2011-08-10 | Manufacturing Method of a composite bogie frame with bolt hole parts by Resin Transfer Mould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7370A KR20130017370A (en) | 2013-02-20 |
KR101281492B1 true KR101281492B1 (en) | 2013-07-03 |
Family
ID=4789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9754A Active KR101281492B1 (en) | 2011-08-10 | 2011-08-10 | Manufacturing Method of a composite bogie frame with bolt hole parts by Resin Transfer Moul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149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00216101A1 (en) * | 2017-09-22 | 2020-07-09 |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 Running Gear with a Steering Actuator, Associated Rail Vehicle and Control Method |
CN112644542A (en) * | 2019-10-10 | 2021-04-13 |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 Steering frame |
CN112644550A (en) * | 2019-10-10 | 2021-04-13 |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 Steering fr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70890B (en) * | 2022-03-18 | 2022-10-11 | 常州市新创智能科技有限公司 | Bogie frame, manufacturing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264935A (en) * | 1986-05-12 | 1987-11-17 | Kawasaki Heavy Ind Ltd | Fiber-reinforced structural member |
JP2006095727A (en) * | 2004-09-28 | 2006-04-13 | Toray Ind Inc | Rtm molding machine and rtm molding method |
KR100920811B1 (en) * | 2008-07-29 | 2009-10-08 | (주) 우성정공 | Multi injection mold and its injection method |
KR101199412B1 (en) * | 2010-09-17 | 2012-11-0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anufacturing method of a flexible composite bogie frame of a bogie for a railway vehicle using Resin Transfer Moulding |
-
2011
- 2011-08-10 KR KR1020110079754A patent/KR10128149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264935A (en) * | 1986-05-12 | 1987-11-17 | Kawasaki Heavy Ind Ltd | Fiber-reinforced structural member |
JP2006095727A (en) * | 2004-09-28 | 2006-04-13 | Toray Ind Inc | Rtm molding machine and rtm molding method |
KR100920811B1 (en) * | 2008-07-29 | 2009-10-08 | (주) 우성정공 | Multi injection mold and its injection method |
KR101199412B1 (en) * | 2010-09-17 | 2012-11-0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anufacturing method of a flexible composite bogie frame of a bogie for a railway vehicle using Resin Transfer Moulding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00216101A1 (en) * | 2017-09-22 | 2020-07-09 |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 Running Gear with a Steering Actuator, Associated Rail Vehicle and Control Method |
US11691653B2 (en) * | 2017-09-22 | 2023-07-04 |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 Running gear with a steering actuator, associated rail vehicle and control method |
CN112644542A (en) * | 2019-10-10 | 2021-04-13 |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 Steering frame |
CN112644550A (en) * | 2019-10-10 | 2021-04-13 |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 Steering frame |
CN112644542B (en) * | 2019-10-10 | 2022-07-22 |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 Steering frame |
CN112644550B (en) * | 2019-10-10 | 2022-07-22 |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 Steering fr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7370A (en) | 2013-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49476B1 (en) | Molded preforms for spoke parts of composite wheels | |
US9359060B2 (en) | Laminated composite radius filler with geometric shaped filler elemen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US7758715B2 (en) | Method of forming a composite structure | |
US9387918B2 (en) | Fr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frame | |
KR101172734B1 (en) | side beam and the Fabrication method for the railway bogie frame | |
KR101175953B1 (en) | a manufacturing method of FRP products, and FRP products | |
US8795578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fibre reinforced composite structures | |
KR101281492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a composite bogie frame with bolt hole parts by Resin Transfer Moulding | |
EP2928768A1 (en) | Composite material structures with integral composite fittings and methods of manufacture | |
TWI744119B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fiber reinforced resin molded article,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 |
CN107645984B (en) | Actuating surface element | |
KR101199412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a flexible composite bogie frame of a bogie for a railway vehicle using Resin Transfer Moulding | |
US20060280927A1 (en) | Lightweight composite fairing bar a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184329B1 (en) | Dimensional tolerance minimization apparatus of a composite bogie frame using bolt tightening force | |
KR20160053297A (en) | composite railway bogie frame manufacturing method using resin flow | |
JP4487239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FRP structure | |
EP1829661A1 (en) | Molding precursor, process for producing molded fiber-reinforced resin, and molded fiber-reinforced resin | |
CN113382849B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beams, in particular spar beams for wind turbine rotor blades | |
US10711763B2 (en) | Wind-turbine rotor blade and method for producing a wind-turbine rotor blade | |
US20140374012A1 (en) |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a bonded component with fibre-reinforced plastics and also a method | |
KR101290644B1 (en) | a mold forming of FRP products | |
JP2014188953A (en) | Preforming body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and fiber-reinforced resin molding using the same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20130019635A (en) | Dimensional accuracy improvement apparatus of a composite bogie frame manufactured by autoclave cur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