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62943A - 퀴나졸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제 - Google Patents

퀴나졸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943A
KR20110062943A KR1020090119829A KR20090119829A KR20110062943A KR 20110062943 A KR20110062943 A KR 20110062943A KR 1020090119829 A KR1020090119829 A KR 1020090119829A KR 20090119829 A KR20090119829 A KR 20090119829A KR 20110062943 A KR20110062943 A KR 20110062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rostate
pde
treatment
preven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숙
이재광
최호진
김영훈
이경주
문승기
김수진
하니나
김세미
황인창
김달현
강성권
이홍우
임대식
이선우
김영민
임인택
유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종근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종근당 filed Critical 주식회사종근당
Priority to KR102009011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2943A/ko
Priority to PCT/KR2010/002240 priority patent/WO2011068288A1/en
Publication of KR20110062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94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7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quinazoline, perim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퀴나졸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는 PDE 5 억제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PDE5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용량에서 PDE 6 및 PDE 11에 대한 억제활성이 적어서 이로 인한 부작용이 적으며, 다른 PDE 5 저해제와 비교시 적당한 혈중 반감기를 가져 약물 축적의 걱정 없이 1일 1회 투약으로도 충분한 약효를 발휘 할 수 있어 복약 순응도가 증대되고, 대사 안정성이 우수하다.
전립선 비대증, 하부요로증상, PDE5 억제제, 퀴나졸린 유도체

Description

퀴나졸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제{Ag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containing quinazoline derivative}
본 발명은 전립선 비대증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의 예방 및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전립선 비대증은 과거에는 전립선이 비대해져 방광 하부의 소변이 나오는 통로를 막아 요도 폐색을 일으켜 소변의 흐름이 감소된 상태로 정의하였고, 조직학적으로는 전립선 간질이나 전립선의 상피조직 세포가 증식된 것으로 정의되었으나, 최근에는 이와 같은 정의나 개념으로 설명하기에는 질병의 병태 생리가 너무 복잡하여, 현재 '50세 이상의 남성에서 하루 8회 이상 소변을 보는 빈뇨, 야간 빈뇨, 강하고 갑작스런 요의(오줌이 마려운 느낌)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절박뇨, 절박요실금, 야간 빈뇨, 배뇨통 등의 방광 저장 장애 증상과 지연뇨(소변을 볼 때 뜸을 들여야 소변이 나오는 현상), 단절뇨(소변의 흐름이 끊기는 현상), 복압배뇨(배뇨 시 힘을 주어야 하는 현상), 요선약화, 배뇨감, 요폐 등의 방광의 배출 장애 증상을 통칭한 하부 요로증상(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을 나타내는 것을 전립선 비대증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립선 비대증의 큰 원인 중 하나는 전립선 평활근 또는 요도 평활근의 수축과 이완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며, 가장 큰 유발인자로는 연령증가와 남성호르몬의 존재이다. 그 외에 인종과 환경, 식생활, 유전적 요인들도 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30~40대에 시작하여 대개 60세 이후에 증상이 나타나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현미경적 비대전립선의 50% 이상이 촉지 가능한 비대전립선으로 발전한다(Prostate 1996 (suppl. 6)67-73).
전립선 비대증의 진단은 증상의 정도 및 직장 내 전립선 촉진 등에 의해 이루어지며, 방광출구폐색 및 방광자극증상 정도를 요류 역학이나 초음파를 통해 정밀검사를 참고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한다.
현재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제로 알파차단제와 5-알파환원효소억제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알파차단제로는 앨푸조신(alfuzosin), 테라조신(terazosin), 독사조신(doxazosin), 프라조신(prazosin), 탐술로신(tamsulosin) 등이 대표적이며, 이는 전립선 조직 내의 평활근의 긴장도를 감소시켜 폐색증상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알파 차단제는 요도를 직접적으로 확장시켜 배뇨장애를 해결하므로 투약 중단시 원점으로 돌아가는 결점이 있다. 또한 기립성 저혈압을 일으키고 역행사정의 부작용으로 인해 전립선비대증과 발기부전을 동반한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제가 아니다. 또한, 중증 간기능과 신기능 장애 환자에게 신중한 투여가 고려된다.
반면,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즉, 5-알파환원효소억제제는 전립선을 비후시키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를 차단시켜 전립선 조직의 분화를 감소시키고, 그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서 장기적으로 요속을 증가시키고 배뇨장애증상을 완화시킨다. 그러나 최소 6개월 이상 장기 복용하여야 약효가 발현되며 발기부전, 성욕감소, 사정장애 및 여성형 유방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약제는 폐색 증상에 대하여는 어느 정도 효과적이나 빈뇨, 요절박과 같은 저장 증상에 대한 개선 효과는 거의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최근 전립선비대증에 따른 방광기능을 개선하고자 항콜린제가 사용되기도 하나 그 효과 또한 제한적이고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항상 존재하고 있어 이를 개선할 약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cyclic nucleotide인 cAMP와 cGMP가 평활근의 긴장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은 세포내 cAMP와 cGMP 농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s (PDEs)에 의하여 분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DE 5 억제제는 c-GMP (cyclic guanosin monophosphate)의 분해를 저해함으로서 전립선 평활근 및 방광 평활근을 이완시켜 전립선 비대증으로 인해 수반되는 하부요로증상을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Curr Opin Urol 2009 19:7-12, Eur J Pharmacol 1994 266:269-275), 사람 전립선 간질세포의 증식을 억제(BJU Int 2006 98;1259-1263)하여 전립선의 비정상적인 비대를 억제한다고 보고 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11 가지의 PDE 유형이 발견되었으며 각각은 구조 및 그 특이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여러 가지 PDE 유형 중 PDE 5가 방광에도 존 재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의 변화가 임상적으로 과활동성방광 등 하부요로증상의 발현에 관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세계 최초로 개발된 PDE 5 저해제인 실데나필(sildenafil, Viagra, Pfizer)은 PDE 5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c-GMP의 분해를 억제하여, 산화질소와 연관된 c-GMP 경로를 통해 전립선 평활근을 이완시켜 하부요로증상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고 보고 된 바 있다(BJU International 2002 90:836-839).
또한, 현재 발기부전 치료제로서 사용중인 타다라필(tadalafil, Cialis, Lilly ICOS)과 바데나필(vardenafil, Levitra, GSK)이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및 과활동성방광 치료제로서 적응증을 추가해가고 있다. 바데나필은 220명의 45세에서 65세의 양성전립선 비대증 환자에게 1일 2회 8주간 투여한 결과 IPSS (International Prostatic Symptom Score)와 QoL (Quality of Life)를 유의하게 개선하였다(Euro Urol 2008;1236-44). 또한, 타다라필은 양성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로서 임상 2상 시험결과 281명의 양성전립선 비대증 환자에게 1일 1회 6주 동안 5 mg을 투약하고 이후 20 mg으로 증량한 결과 6주와 12주 모두에서 placebo 군과 비교해서 유의하게 IPSS을 개선하였고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한 하부요로증상도 개선하였다(J Uro 2007;1401-7). 또한, 유데나필(Udenafil) 역시 PDE 5 저해제로 공지된 이후,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로 개발 중에 있다(한국 등록특허 공보 제10-0792126호).
그러나, 지금까지 공지된 PDE5 저해제로 인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는 PDE6 선택성 부재로 인한 시각장애 및 PDE 11 선택성 부재로 인한 요통, 근육통 및 정자수 감소와 같은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퀴나졸린 유도체들을 합성하였고, 이 화합물이 PDE 5 저해효과가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18 (2008) 6279-6282). 그러나 상기 문헌의 화합물은 높은 약효에도 불구하고 사람 간 마이크로솜에 노출시켰을 때 대사 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대사 불안정성으로 인해 상기 문헌의 화합물들은 임상 시험에서 그 효과가 현저히 떨어질 것으로 판단하였고, 이후 대사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킨 퀴나졸린 유도체에 대한 연구를 계속 수행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퀴나졸린 유도체가 전립선 비대증 및 이에 수반되는 하부요로증상에 대하여, 종래의 개발물질 중 PDE 5 억제능이 가장 우수한 바데나필보다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사효소 선택성이 기존의 물질들과 비교해 월등하여 부작용의 우려가 없고, 다른 PDE 5 저해제와 비교 시 적당한 생체 내 반감기를 가져, 약물 축적의 걱정 없이 1일 1회 투약으로도 충분한 약효를 발휘할 수 있어 복약 순응도가 증대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퀴나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퀴나졸린 유도체 {methyl 4-(3-chloro-4-methoxybenzylamino)-8-(2-hydroxyethyl)-7-methoxyquinazolin-6-yl(methyl)carbamate}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5068267-PAT00001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 화합물은 국제공개번호(WO 08/020711) 또는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8-0015594호의 실시예 79 화합물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되거나,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통상의 제약업자에게 알려진 약제 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벤젠설폰산(Benzensulfonic acid), 벤조산(Benzoic acid), 캄포르산(Camphoric acid), 캄포설폰산(Camphorsulfonic acid), 신남산(Cinnam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포름산(Formic acid), 푸말산(Fumaric acid), 브롬산(Hydrobromic acid), 염산(Hydrochloric acid), 락트산(Lact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말산(Mal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메탄설폰산(Methanesulfulfonic acid), 옥살산(Oxalic acid), 포스포르산(Phosphoric acid), 황산(Sulfur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및 p-톨루엔설폰산(p-Toluenesulfonic acid) 등으로부터 제조된 염일 수 있다. 염산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립선 비대증은 빈뇨, 야간 빈뇨, 절박뇨, 절박요실금, 배뇨통, 지연뇨, 단절뇨, 복압배뇨, 요선약화, 잔뇨감 또는 요폐 중에서 선택된 하부요로증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립선 비대증 치료 및 예방은 전립선 평활근 또는 요도 평활근의 이완 작용에 의한 것이거나 또는 PDE 5 활성 억제 작용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1의 퀴나졸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는 전립선 비대증의 증상인 하부요로증상의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립선 평활근 또는 요도 평활근 이완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는 PDE 6(phosphodiesterase 6) 및 PDE5(phosphodiesterase 5)의 IC50 값의 비율이 300 내지 100 : 1인 것인, 바람직하게는 약 200 : 1인 것인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는 PDE 11(phosphodiesterase 11) 및 PDE 5(phosphodiesterase 5)의 IC50 값의 비율이 20,000 내지 10,000 : 1인 것인, 바람직하게는 약 17,000: 1 인 것인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립선 비대증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용량에서 PDE6 활성으로 인한 시각 장애 또는 PDE 11 활성으로 인한 고환 독성 또는 근육통을 나타내지 않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과활동성 방광을 개선시키는 것에 의한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1회의 투약 빈도로 약물의 축적 없이 5~10시간 약효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혈중 최고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15~35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1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에게 투여하여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 위한 약제학적 제제를 제 조하는데 화학식 1 화합물을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전립선 비대증"은 전립선이 비대해져 방광 하부의 소변이 나오는 통로를 막아 요도 폐색을 일으켜 소변의 흐름이 감소된 상태로 정의하였고, 조직학적으로는 전립선 간질이나 전립선의 상피조직 세포가 증식된 것 뿐만아니라, 빈뇨, 야간 빈뇨, 강하고 갑작스런 요의(오줌이 마려운 느낌)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절박뇨, 절박요실금, 야간 빈뇨, 배뇨통 등의 방광 저장 장애 증상과 지연뇨(소변을 볼 때 뜸을 들여야 소변이 나오는 현상), 단절뇨(소변의 흐름이 끊기는 현상), 복압배뇨(배뇨 시 힘을 주어야 하는 현상), 요선약화, 배뇨감, 요폐 등의 방광의 배출 장애 증상을 통칭한 하부 요로증상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제는 화학식 1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추가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제는, 투여를 위해서 상기한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제는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 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합물의 일일 투여량은 약 0.1 내지 300mg 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제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데나필, 바데나필, 유데나필은 PDE 6 을 저해하여 시각장애의 부작용이 있으며, 타다라필은 PDE 11을 저해하여 근육통 및 정자 생성 감소 등의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PDE 6 와 PDE 11에 대비 PED 5에 대한 선택성이 크기 매우 때문에 이와 같은 부작용이 발현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합물은 수축된 랫드의 전립선 평활근을 유의하게 이완시키고, 방광출구폐색으로 유발한 전립선비대증 및 하부요로증상 랫드 모델 에서 단회 투여로 수축간격 및 불수의적 방광수축을 개선시키며, 그 효과는 기존 개발물질인 바데나필과 타다라필보다 우수하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은 5~10 시간의 반감기를 가지며 7일 반복투여시도 약물축적이 관찰되지 않아, 약물 축적의 걱정 없이 1일 1회 투약으로도 충분한 약효를 발휘할 수 있어 복약 순응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사람의 간 마이크로솜에서도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합물은 전립선 비대증 및 이와 관련된 하부요로증상의 예방 및 치료제, 또는 전립선 평활근 이완제로서 효과적이면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전립선 비대증 치료 효과 및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 개발물질인 실데나필, 타다나필, 바데나필, 유데나필을 대조군으로 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 일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의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학식 1 화합물의 PDE 효소 억제 효과 확인 ( in vitro )
A. PDE 5 효소 활성 측정 시험 방법
PDE 5 효소(phosphodiesterase 5)는 소 혈소판(Thrombosis Research, 1991, 62, 31,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90, 265, 14964, Molecular Pharmacology, 1999, 56, 124)에서 추출하여 효소활성 측정 완충용액(40 mM MOPS pH7.5, 10 mM MgCl2, 1 mM DTT)으로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소혈청 알부민 0.2 mg/mL가 포함된 완충용액 140μL와 이 효소의 기질인 약 0.13 μM의 [8-3H]표지-guanosine 3', 5'-cyclic phosphate와 0.5 μM cold guanosine 3', 5'-cyclic phosphate가 포함된 기질용액 60 μL를 넣었다. 양성대조군인 well에는 완충용액 90 μL, 효소의 기질용액 60 μL와 효소용액 50 μL를 첨가하였다. 이와 같이 용출된 효소용액, 기질 및 효소 활성측정 완충용액을 다 넣은 후 35℃로 맞춘 항온조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이 후, 5 mM MOPS 완충 용액( 3-(N-morpholino) propanesulfonic acid buffer solution, pH 7.5)에 10 mg/mL로 용해된 사독 20 μL를 각 well에 첨가하여 잘 흔들어 섞어 35℃로 맞춘 항온조에서 30분간 추가적으로 반응시켰다. 효소 활성의 결과 생성된 [8-3H] 표지-구아노신(guanosine)을 미반응된 [8-3 H] 표지-cGMP 등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활성화된 음이온교환 수지가 100 μL 부피로 충진된 96-well 여과 플레이트에 well당 반응액 100 μL를 로딩한 후 여과하여 여액(filtrate)을 세포배양용 96-well 플레이트에 수집하였다. 수집된 여액 중 20 μL를 취하여 96-well 방사능 측정용 플레이트에 옮긴 다음 방사능 측정용 칵테일을 well당 100 μL씩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저속교반한 후 베타선 검출기로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B. PDE 6 효소 활성 측정 시험 방법
PDE 6 효소(phosphodiesterase 6)는 소 안구 망막(Journal of Cell Biology, 1965, 27, 459 , PNAS, 1980, 77, 2500 ,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82, 257, 11094)에서 추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효소활성 측정 완충용액(10 mM HEPES pH 7.5, 77 mM KCl, 35 mM NaCl, 2 mM MgCl2, 1 mM CaCl2, 1.25 mM EGTA([Ca2+]free = 240 nM), 1 mM DTT)로 희석한 후 trypsin을 최종 농도 50 μg/mL 로 첨가하였다. Ice bath에서 30분간 반응한 후 2.5 mg/mL의 trypsin inhibitor를 최종 농도가 250 μg/mL이 되도록 첨가하여 5분간 추가 반응한 후, 완충용액으로 희석하여 활성화된 PDE 6 효소용액을 제조하였다. 효소활성 측정방법은 PDE 5 효소활성측정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C. PDE 11 효소 활성 측정 시험 방법
PDE 11 효소(phosphodiesterase 11)는 촉매활성부분유전자 포함 발현벡터를 유전공학적 방법으로 제조하여(PNAS, 2000, 97, 3702-3707) 곤충세포에서 발현(Bac-To-Bac Baculovirus)시켜 상기의 PDE 5의 효소 활성 측정 시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D. PDE 1, 2, 3 효소 활성 측정 시험 방법
PDE 1효소(phosphodiesterase 1)는 소 심근 조직으로부터 추출하였고, PDE 2 효소(phosphodiesterase 2)는 소 부신에서, PDE 3 효소(phosphodiesterase 3)는 소 혈소판으로부터 추출하여 효소활성 측정 완충용액(40 mM MOPS pH7.5, 10 mM MgCl2, 1 mM DTT)으로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효소활성 측정은 상기의 PDE 5의 효소 활성 측정 시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E. PDE 5 및 1, 2, 3, 6, 11 효소 활성측정 시험 결과
상기의 방법에 따라 실시한 화학식1(CDK 533), 및 실데나필(Sildenafil), 타다나필(Tadalafil), 바데나필(Vardenafil) 및 유데나필(Udenafil)의 PDE 5 효소 활성 억제효과 및 PDE 1, 2, 3, 6, 11 효소에 대한 PDE 5의 선택성 효과는 하기 [표1]과 같다.
[표 1] PDE 5 효소 억제효능 및 효소 선택성
Figure 112009075068267-PAT00002
상기 [표1]과 같이, 화학식 1 화합물(CKD 533)은 PDE 5에 대하여 IC50 값이 0.7 nM로 강한 PDE 5 억제능을 가지며, 특히 기존 개발물질 중 가장 약효가 우수한 바데나필에 비해서도 더 강한 PDE 5 효소 억제효능을 보였다.
또한, 유사효소 선택성 시험결과 실데나필, 바데나필, 유데나필은 PDE 6 효 소에 대한 선택성이 부족하였고, 타다라필은 PDE 11 효소에 대한 선택성이 부족하였다. 하지만, 화학식 1 화합물(CKD 533)은 PDE 6 및 11 효소에 대한 선택성을 충분히 확보하여 PDE 6 선택성 부재로 인한 시작장애 (visual color disturbance) 및 PDE 11 선택성 부재로 인한 back pain (요통), myalgia (근육통) 및 정자수 감소 등의 부작용을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 실시예 2> 랫드 적출 전립선 조직절편 수축에서 화학식1 화합물의 이완 효과 확인
Phenylephrine으로 유발한 랫드의 적출전립선 조직절편 수축에서 화학식 1 화합물을 직접 관류하여 적출전립선 조직절편의 이완율을 측정함으로써 이완 효과를 검정하였다. Wistar 랫드에 pentobarbital sodium (50 mg/ml) 0.3 ± 0.05 ml/head을 복강 내 투여하여 마취시킨 후, 전립선을 조심스럽게 적출하여 Krebs-Henseleit solution에 넣었다. 적출전립선 조직절편을 organ bath 내에 고정시키고 반대쪽을 K30 FORCE transducer에 연결하였다. 60~90분 동안 0.5g의 휴지기 장력을 유지하여 적출전립선 조직절편을 안정화시키며 15~20분마다 Krebs- Henseleit solution을 교체하였다. 안정화된 적출전립선 조직절편을 50 mM KCl Krebs- Henseleit solution으로 적출전립선 조직절편을 긴장도 변화를 확인하였고 3회 이상 세척하여 안정화하였다. 안정화된 적출전립선 조직절편에 10-6M phenylephrine을 관류하여 수축반응을 유도한 후, 시험물질을 누적용량으로 가하여 적출전립선 조직절편의 긴장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완율(%)은 10-6M phenylephrine으로 유발한 수 축장력과 동일한 크기로 이완되는 것을 이완율 100 %로 가정하고 시험물질 투여군의 이완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표2] 및 도1에 나타내었다.
[표 2] 랫드 적출 전립선 조직절편 수축에서 직접 관류의 이완효능 평가
Figure 112009075068267-PAT00003
상기 [표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화학식 1 화합물 처리군은 용량 의존적이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p<0.01) 이완율을 나타내어 전립선 조직의 이완을 유도하여 전립선 이완작용에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화학식 1 화합물이 PDE 5를 저해함으로서 직접 전립선 평활근을 이완시켰음을 의미하고, 이는 전립선 비대증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의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실험적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3> 흰쥐에서 방광출구폐색에 의해 발생한 과활동성 방광에서의 화학식1 화합물의 효과 확인
방광출구폐색이 발생하면 방광은 수축력의 변화 및 불안정 방광 등의 여러 기능적인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여기에는 형태학적, 생화학적 그리고 생리학적인 변화가 관여하며, 이에 따라 그 기능이 다양하게 변화한다. 방광출구폐색은 임상적으로 여러 자극 증상을 야기 시킬 수 있으며, 방광출구폐색을 교정한 후에도 약 15~30%에서는 계속적인 자극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이러한 증상을 일으키는 생물학적인 원인으로는 폐색에 의해 유발된 배뇨근의 변화, 세포외 간질의 변화, 배뇨반사경로의 변화 등이 폐색교정 후에도 쉽게 교정되지 않은데 기인할 수 있다. 기존의 치료제는 폐색 증상에 대하여는 어느 정도 효과적이나 빈뇨, 요절박과 같은 저장 증상에 대하여는 제한점이 있다. 한편, 방광에는 여러 가지 유형의 PDE가 존재하며 이들의 변화는 방광의 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여러 가지 PDE의 유형 중 PDE 5가 방광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방광출구폐색으로 과활동성방광을 유발시킨 후 화학식 1 화합물을 투여한 후, 방광내압측정기를 이용해 수축간격(contraction interval) 및 비배뇨성 방광수축(non voiding contraction)을 측정하여 방광의 자극 증상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Sprague-Dawley 수컷 흰쥐를 사용하며, 방광경부 부분폐색을 시키고 2주간 관찰하였다. 대조군으로는 Sham 수술을 시행한 동물을 사용하였다. 폐색 2주 후 각 군의 실험동물에서 방광내압측정술을 시행하여 하부요로증상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후 화학식 1 화합물을 1 mg/kg, 3 mg/kg, 10 mg/kg, 공지된 PDE 5 억제제로 가장 좋은 효과를 보인 바데나필을 3 mg/kg 정맥 투여하여 각 군에서 수축간격 및 비배뇨성 방광수축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화학식 1 화합물의 각 용량에 대한 변화 및 본 계열 중 PDE 5 억제능이 가장 우수한 바데나필 및 임상결과 가장 우수 한 효능을 보인 타다라필과 비교 관찰하였다. 바데나필의 용량은 동물실험에서 우수한 효력이 있다고 논문에 알려진 용량(BJUI 2006;1259-63)을 사용하였으며, 실험동물, 실험방법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A. 실험동물
실험동물은 250-300g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 70수를 사용하였다. 대조군 10수와 실험군 60수로 나누고, 대조군은 Sham 수술을 시행한 동물을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방광경부 부분폐색을 시키고 2주간 관찰하였다.
B. 방광경부 부분폐색
실험동물에 ketamine xylazine (15mg/kg ketamin, 5mg/kg xylazine)을 근육 주사하여 마취시킨 후 앙와위에서 하복부를 종 절개하여 방광경부 및 요도주위를 박리하였다. 25G angioneedle sheath를 사용하여 요도주위에 유치한 후 방광경부를 3-0봉합사로 결찰하고 angioneedle sheath를 제거하여 부분폐색을 일으킨 후 복부절개 부위를 봉합하였다. Sham 동물은 방광경부를 느슨하게 결찰하여 방광출구 폐색이 없도록 유도하였다.
C. 방광내압측정
폐색 2주 후 각 군의 실험동물에서 방광내압 측정을 시행하였다. Urethane (12 mg/kg)으로 마취시킨 후 복부를 종절개하고 25G needle을 방광상부를 통하여 방광내로 유치시킨 후 Harvard syringe pump를 이용하여 생리식염수를 0.04 ml/min의 속도로 방광내에 주입하였다. 방광의 압력을 변환기를 통해 기록하며, 수축간격 및 비배뇨성 방광수축을 분석하였다. 그 후 실험군 중 10 수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7개 그룹으로 나누어 각 약제를 정맥 투여한 후 수축간격(contraction interval) 및 비배뇨성 방광수축(non voiding contraction)을 관찰 분석하였다.
Sham: 대조군, sham 수술시행 3주 후 관찰
BOO: 방광경부 부분폐색 3주 후 관찰
화학식 1, 1 mg/kg: 방광경부 부분폐색 3주 후 화학식 1을 1 mg/kg iv 투여후 관찰
화학식 1, 3 mg/kg: 방광경부 부분폐색 3주 후 화학식 1을 3 mg/kg iv 투여후 관찰
화학식 1, 10 mg/kg: 방광경부 부분폐색 3주 후 화학식 1을 10 mg/kg iv 투여후 관찰
바데나필, 3 mg/kg: 방광경부 부분폐색 3주 후 바데나필을 3 mg/kg iv 투여후 관찰
타다라필, 3 mg/kg: 방광경부 부분폐색 3주 후 타다라필을 3 mg/kg iv 투여후 관찰
D. 통계 처리
실험성적은 모두 평균 ± 표준오차(Mean ± SEM)로 표시하며 통계는 Sigma stat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분산분석법(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E. 시험결과
상기 실험 결과는 [표3], 도3 및 도4와 같으며, [도2]는 Sham 군과 B00군의 방광 내압 변화를 측정한 도이다.
[표 3] 방광출구폐색으로 유발한 랫드 과활동성 방광모델에서 하부요로증상 개선 효과
Figure 112009075068267-PAT00004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랫드에 방광출구폐색으로 과활동성방광 유발시(BOO군) 수축간격이 Sham군과 비교해 50% 정도 감소하여 실험이 적절하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도 2의 큰 피크간의 간격).
이러한 수축간격의 감소는 약물 처리 시 개선됨을 알 수 있었는데, 바데나필 3 mg/kg 투여 시 BOO군과 비교해서 75%, 개선되었고 타다라필 3 mg/kg 투여시 28%만이 개선된 것에 비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투여 시 바데나필 동일 용량(3 mg/kg) 에서 104% 개선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더 낮은 용량인 1 mg/kg 에서도 60% 이상 개선되어 동종 계열의 약제 중 PDE 5 억제능이 가장 우수한 바데나필보다 3배 이상의 약효를 보였고, 임상결과 가장 우수한 효능을 보이는 타다라필과 비교시에도 탁월한 효능을 보였다(표 3, 도 3).
또한, BOO군에서는 Sham군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비배뇨성 방광수축이 관찰되었다(도 2의 BOO 군에서 관측되는 잔가지 피크들). 방광내압측정기를 이용해 비배뇨성 방광수축을 측정한 결과, 바데나필 3 mg/kg 투여 시 BOO군과 비교해서 35% 억제되었고 동일용량에서 타다라필은 전혀 약효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투여 시 바데나필 동일 용량에서 54% 억제되었고 더 낮은 용량인 1 mg/kg 에서도 42% 억제되어, 이 역시 동종 계열의 약제 중 PDE 5 억제능이 가장 우수한 바데나필보다 월등한 효능을 보였다(표 3, 도 4).
< 실시예 4> 간 마이크로솜에서의 대사안정성 비교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합물의 간 마이크로솜에 대한 대사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사람, 랫드, 토끼의 간 마이크로솜은 BD Sciences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포스페이트 버퍼(pH 7.4)에 간 마이크로솜과 실험할 화합물을 녹인 후 NADPH 재생산 요소(2.5 mM MgCl2, 2.5 mM glucose-6- phosphate, 1 mM NADP, 1 U/ml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를 넣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샘플을 채취한 후 아세토니트릴을 넣어 반응을 종료하고 추출하여 LC/MS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으며, 표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화학식 1은 랫드, 토끼 및 사람의 간 마이크로솜에서도 매우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표 4] 간 마이크로솜에서의 대사안정성 비교
Figure 112009075068267-PAT00005
< 실시예 5> 화학식1 화합물의 랫드 모델 내 약물동력학적 실험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합물의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학/약력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7주령 수컷 랫드에 화학식 1 화합물을 0.5% Tween 80에 녹여 10, 20 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전, 투여 후 5, 15, 30분, 1, 2, 4, 8, 24시간에 400 ul의 혈액을 취하여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혈장 100 ul에 내부표준물질(Carvedilol, 250 ng/ml) 10 ul를 넣은 후 1 ml의 에틸렌아세테이트로 제단백하였다. 상층액 900 ul를 취하여 질소가스하에서 농축한 후 100 ul의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여 재용해 하였다. 그 용액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 10 ul를 주입하였다. 분석기기 조건은 아래 [표 5]와 같으며,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5] 분석기기 조건
Figure 112009075068267-PAT00006
[표 6] 기존 치료제와의 약동학적 파라미터 비교
Figure 112009075068267-PAT00007
화학식 1 화합물 10 및 20 mg/kg을 랫드에 경구 투여(p.o.)시 Tmax는 18 ~ 33분(0.31 내지 0.56 hr)으로 신속히 흡수되었다. 이는 화학식1 화합물이 1 mg/kg의 실데나필, 10 mg/kg의 타다라필 보다 빠른 약효 발현 나타냄을 의미한다. 경구흡수율은 30% 이상으로 실데나필, 바데나필과 비교 시 우수한 경구 흡수율을 보였다.
화학식 1 화합물 10, 20 mg/kg의 경구 투여 시 T1 /2는 5~10 시간으로 실데나필, 바데나필과 비교하여 긴 반감기를 가졌다. 또한, T1 /2가 24시간 이상으로 1일 1회 복용으로서는 너무 긴 T1 /2를 가진 타다라필과 비교해서 화학식 1은 1일 1회 투약에 적당한 반감기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욱이, 화학식1 화합물을 랫드에 1일 1회 7일 동안 반복 투여 시 유의한 약물축적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화학식 1 화합물은 약물의 축적 없이 1회 복용으로 5 ~ 10 시간 이상 약효가 지속되며, 1일 1회 투약만으로 우수한 약효를 나타낼 수 있다.
< 실시예 6>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다양한 염 제조
실온에서 화학식 1 화합물(5g)을 하기의 표에서 언급한 용매(50ml)에 녹인 후 하기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산을 화학식1의 화합물의 사용 당량과 동일한 당량으로 첨가하고 1~2 시간 동안 반응시켜 화학식1 화합물의 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6-A : 화학식 1 화합물의 염산염 제조
화학식 1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염산과 반응시켜 염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3.18 (m, 2H), 3.24 (s, 3H), 3.59-3.62 (m, 5H), 3.79 (s, 3H), 3.80 (s, 3H), 4.81 (d, 2H), 7.05 (d, 1H), 7.35 (dd, 1H), 7.49 (d, 1H), 8.74 (s, 1H), 8.84 (s, 1H), 11.19 (s, 1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8 91 99 96
실시예 6-B : 화학식 1 화합물의 벤젠설폰산염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벤젠설폰산과 반응시켜 벤젠설폰산 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3.17 (m, 2H), 3.23 (s, 3H), 3.60-3.64 (m, 5H), 3.79 (s, 3H), 3.80 (s, 3H), 4.80 (d, 2H), 7.02 (d, 1H), 7.35 (dd, 1H), 7.49 (d, 1H), 7.69-8.69 (m, 5H), 8.74 (s, 1H), 8.83 (s, 1H), 11.22 (s, 1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7 92 96 95
실시예 6-C : 화학식 1 화합물의 푸말산염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푸말산과 반응시켜 푸말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3.15 (m, 2H), 3.21 (s, 3H), 3.60-3.64 (m, 5H), 3.79 (s, 3H), 3.80 (s, 3H), 4.80 (d, 2H), 7.02 (d, 1H), 7.03 (dd, 2H), 7.35 (dd, 1H), 7.49 (d, 1H), 8.72 (s, 1H), 8.83 (s, 1H), 11.22 (s, 1H), 12.56 (br, 2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6 93 94 89 91 96
실시예 6-D : 화학식 1 화합물의 말산염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말산과 반응시켜 말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2.78 (d, 2H), 3.15 (m, 2H), 3.21 (s, 3H), 3.60-3.64 (m, 5H), 3.79 (s, 3H), 3.80 (s, 3H), 4.42 (m, 1H), 4.80 (d, 2H), 7.02 (d, 1H), 7.35 (dd, 1H), 7.49 (d, 1H), 8.72 (s, 1H), 8.83 (s, 1H), 11.22 (s, 1H), 12.34 (br, 2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8 95 98 88 92 98
실시예 6-E : 화학식 1 화합물의 포스포르산염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포스포르산과 반응시켜 포스포르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2.0 (br, 3H), 3.13 (m, 2H), 3.20 (s, 3H), 3.58-3.62 (m, 5H), 3.79 (s, 3H), 3.80 (s, 3H), 4.80 (d, 2H), 7.02 (d, 1H), 7.35 (dd, 1H), 7.49 (d, 1H), 8.72 (s, 1H), 8.83 (s, 1H), 11.22 (s, 1H)
용매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7 96 94 98
실시예 6-F : 화학식 1 화합물의 벤조산염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벤조산과 반응시켜 벤조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3.10 (m, 2H), 3.18 (s, 3H), 3.58-3.62 (m, 5H), 3.77 (s, 3H), 3.80 (s, 3H), 4.80 (d, 2H), 7.02 (d, 1H), 7.35 (dd, 1H), 7.49 (d, 1H), 7.60-8.12 (m, 5H), 8.72 (s, 1H), 8.83 (s, 1H), 11.22 (s, 1H)
용매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6 98 95 92 98
실시예 6-G : 화학식 1 화합물의 캄포르산염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캄포르산과 반응시켜 캄포르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1.12 (m, 6H), 1.26-1.52 (m, 5H), 1.52-1.75 (m, 4H), 3.13 (m, 2H), 3.20 (s, 3H), 3.58-3.62 (m, 5H), 3.79 (s, 3H), 3.80 (s, 3H), 4.80 (d, 2H), 7.02 (d, 1H), 7.35 (dd, 1H), 7.49 (d, 1H), 8.72 (s, 1H), 8.83 (s, 1H), 11.22 (s, 1H), 12.34 (br, 1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8 93 99 88
실시예 6-H : 화학식 1 화합물의 브롬산염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브론산과 반응시켜 브론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3.15 (m, 2H), 3.23 (s, 3H), 3.58-3.62 (m, 5H), 3.80 (s, 3H), 3.80 (s, 3H), 4.80 (d, 2H), 7.02 (d, 1H), 7.35 (dd, 1H), 7.49 (d, 1H), 8.72 (s, 1H), 8.83 (s, 1H), 11.20 (s, 1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9 98 97 92
실시예 6-I : 화학식 1 화합물의 말론산염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말론산과 반응시켜 말론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3.13 (m, 2H), 3.17 (s, 2H), 3.20 (s, 3H), 3.58-3.62 (m, 5H), 3.79 (s, 3H), 3.80 (s, 3H), 4.80 (d, 2H), 7.02 (d, 1H), 7.35 (dd, 1H), 7.49 (d, 1H), 8.72 (s, 1H), 8.83 (s, 1H), 11.22 (s, 1H), 12.34 (br, 1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6 94 98 90
실시예 6-J : 화학식 1 화합물의 황산염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황산과 반응시켜 황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2.0 (br, 2H), 3.15 (m, 2H), 3.20 (s, 3H), 3.59-3.62 (m, 5H), 3.79 (s, 3H), 3.80 (s, 3H), 4.80 (d, 2H), 7.02 (d, 1H), 7.35 (dd, 1H), 7.49 (d, 1H), 8.72 (s, 1H), 8.82 (s, 1H), 11.24 (s, 1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5 97 97 95
실시예 6-K : 화학식 1 화합물의 캄포설폰산염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캄포설폰산과 반응시켜 캄포설폰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1.12 (m, 6H), 1.35-2.14 (m, 7H), 3.13 (m, 2H), 3.20 (s, 3H), 3.48-3.72 (m, 7H), 3.79 (s, 3H), 3.80 (s, 3H), 4.80 (d, 2H), 7.02 (d, 1H), 7.35 (dd, 1H), 7.49 (d, 1H), 8.71 (s, 1H), 8.83 (s, 1H), 11.23 (s, 1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7 92 94 92
실시예 6-L : 화학식 1 화합물의 신남산염 제조
화학식 1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신남산과 반응시켜 신남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3.13 (m, 2H), 3.20 (s, 3H), 3.58-3.62 (m, 5H), 3.79 (s, 3H), 3.80 (s, 3H), 4.80 (d, 2H), 6.41 (d, 2H), 7.02 (d, 1H, J = 8.9 Hz), 7.35 (dd, 1H), 7.39-7.55 (m, 6H), 7.60 (d, 2H), 8.72 (s, 1H), 8.83 (s, 1H), 11.22 (s, 1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8 91 98 94
실시예 6-M : 화학식 1 화합물의 락트산염 제조
화학식 1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락트산과 반응시켜 락트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1.34 (m, 3H), 3.13 (m, 2H), 3.20 (s, 3H), 3.58-3.62 (m, 5H), 3.79 (s, 3H), 3.80 (s, 3H), 4.27 (m, 1H), 4.80 (d, 2H), 7.02 (d, 1H), 7.35 (dd, 1H), 7.49 (d, 1H), 8.72 (s, 1H), 8.83 (s, 1H), 11.22 (s, 1H), 12.35 (br, 1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9 93 96 94
실시예 6-N : 화학식 1 화합물의 메탄설폰산염 제조
화학식 1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메탄설폰산과 반응시켜 메탄설폰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2.82 (m, 3H), 3.12 (m, 2H), 3.19 (s, 3H), 3.58-3.62 (m, 5H), 3.79 (s, 3H), 3.80 (s, 3H), 4.80 (d, 2H), 7.02 (d, 1H, J = 8.9 Hz), 7.35 (dd, 1H), 7.49 (d, 1H), 8.75 (s, 1H), 8.83 (s, 1H), 11.24 (s, 1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5 93 96 96
실시예 6-O : 화학식 1 화합물의 타르타르산염 제조
화학식 1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타르타르산과 반응시켜 타르타르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3.13 (m, 2H), 3.20 (s, 3H), 3.58-3.62 (m, 5H), 3.79 (s, 3H), 3.80 (s, 3H), 4.12 (br, 2H), 4.5 (m, 2H), 4.80 (d, 2H, J = 5.5 Hz), 7.02 (d, 1H), 7.35 (dd, 1H), 7.49 (d, 1H), 8.72 (s, 1H), 8.83 (s, 1H), 11.22 (s, 1H), 12.34 (br, 2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8 99 95 97
실시예 6-P : 화학식 1 화합물의 시트르산염 제조
화학식 1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시트르산과 반응시켜 시트르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2.60-2.64 (m, 4H), 3.13 (m, 2H), 3.20 (s, 3H), 3.58-3.62 (m, 5H), 3.79 (s, 3H), 3.80 (s, 3H), 4.80 (d, 2H), 7.02 (d, 1H), 7.35 (dd, 1H), 7.49 (d, 1H), 8.72 (s, 1H), 8.83 (s, 1H), 11.22 (s, 1H), 12.34 (br, 3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4 87 94 82
실시예 6-Q : 화학식 1 화합물의 포름산염 제조
화학식 1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포름산과 반응시켜 포름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3.12 (m, 2H), 3.22 (s, 3H), 3.58-3.62 (m, 5H), 3.82 (s, 3H), 3.80 (s, 3H), 4.80 (d, 2H), 7.01 (d, 1H, J = 8.9 Hz), 7.35 (dd, 1H), 7.49 (d, 1H), 8.72 (s, 1H), 8.83 (s, 1H), 11.22 (s, 1H), 9.6 (s, 1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9 98 98 97
실시예 6-R : 화학식 1 화합물의 말레산염 제조
화학식 1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말레산과 반응시켜 말레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3.13 (m, 2H), 3.20 (s, 3H), 3.58-3.62 (m, 5H), 3.79 (s, 3H), 3.80 (s, 3H), 4.80 (d, 2H), 6.37 (s, 2H), 7.02 (d, 1H), 7.35 (dd, 1H), 7.49 (d, 1H), 8.72 (s, 1H), 8.83 (s, 1H), 11.22 (s, 1H), 12.56 (br, 2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에탄올
수율(%) 97 97 95 92 80
실시예 6-S : 화학식 1 화합물의 옥살산염 제조
화학식 1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옥살산과 반응시켜 옥살산염을 합성하 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3.13 (m, 2H), 3.20 (s, 3H), 3.58-3.62 (m, 5H), 3.79 (s, 3H), 3.80 (s, 3H), 4.80 (d, 2,), 7.02 (d, 1H), 7.35 (dd, 1H), 7.49 (d, 1H), 8.72 (s, 1H), 8.83 (s, 1H), 11.22 (s, 1H), 12.45 (br, 2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9 98 97 95
실시예 6-T : 화학식 1 화합물의 p-톨루엔 설폰산염 제조
화학식 1 화합물을 하기의 용매하에서 p-톨루엔 설폰산과 반응시켜 p-톨루엔 설폰산염을 합성하였다. 그 생성물의 1H NMR 값 및 용매에 따른 수율은 다음과 같다.
1H NMR (400MHz, DMSO) d, 2.43 (s, 3H), 3.13 (m, 2H), 3.20 (s, 3H), 3.58-3.62 (m, 5H), 3.79 (s, 3H), 3.80 (s, 3H), 4.80 (d, 2H), 7.02 (d, 1H), 7.35 (dd, 1H), 7.40-7.46 (m, 5H), 8.72 (s, 1H), 8.83 (s, 1H), 11.22 (s, 1H)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수율(%) 99 98 98 96
< 제제예 > 경구투여를 위한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화학식 1 화합물 10mg
유당 200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화학식 1 화합물 1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화학식 1 화합물 1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도 1은 랫드 적출 전립선 조직절편 수축에 직접 관류시킨 화학식1 화합물의 전립선 조직절편의 이완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Sham군 및 방광출구폐색으로 과활동성 방광 유발군(B00)의 방광 내압 변화를 측정한 도이다.
도 3은 방광출구폐색으로 유발한 랫드 과활동성 방광모델에서 화학식1, 바데나필, 타다라필의 수축간격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방광출구폐색으로 유발한 랫드 과활동성 방광모델에서 화학식1, 바데나필, 타다라필의 비배뇨성 방광수축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1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
    [화학식 1]
    Figure 112009075068267-PAT00008
  2. 제1항 있어서, 전립선 비대증은 빈뇨, 야간 빈뇨, 절박뇨, 절박요실금, 배뇨통, 지연뇨, 단절뇨, 복압배뇨, 요선약화, 잔뇨감 또는 요폐 중에서 선택된 하부요로증상을 포함하는 것인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
  3. 제1항 있어서, 전립선 비대증 치료 및 예방은 전립선 평활근 또는 요도 평활근의 이완에 의한 것인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는 PDE 5 활성 억제 작용에 의한 것인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는 PDE 6(phosphodiesterase 6) 및 PDE 5(phosphodiesterase 5)의 IC50 값의 비가 300 내지 100 : 1인 것인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는 PDE 11(phosphodiesterase 11) 및 PDE 5(phosphodiesterase 5)의 IC50 값의 비가 20,000 내지 10,000 : 1인 것인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용량에서 시각 장애를 나타내지 않는 것인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용량에서 고환 독성 또는 근육통을 나타내지 않는 것인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는 과활동성 방광을 개선시키는 것인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회의 투약 빈도로 약물의 축적 없이 5~10시간 약효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중 최고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1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벤젠설폰산(Benzensulfonic acid), 벤조산(Benzoic acid), 캄포르산(Camphoric acid), 캄포설폰산(Camphorsulfonic acid), 신남산(Cinnam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포름산(Formic acid), 푸말산(Fumaric acid), 브롬산(Hydrobromic acid), 염산(Hydrochloric acid), 락트산(Lact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말산(Mal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메탄설폰산(Methanesulfulfonic acid), 옥살산(Oxalic acid), 포스포르산(Phosphoric acid), 황산(Sulfur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및 p-톨루엔설폰산(p-Toluenesulfonic acid) 중에서 선택된 것인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용한 염은 염산(Hydrochloric acid)인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제.
KR1020090119829A 2009-12-04 2009-12-04 퀴나졸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제 Ceased KR20110062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829A KR20110062943A (ko) 2009-12-04 2009-12-04 퀴나졸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제
PCT/KR2010/002240 WO2011068288A1 (en) 2009-12-04 2010-04-12 Ag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comprising a quinazoline derivat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829A KR20110062943A (ko) 2009-12-04 2009-12-04 퀴나졸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943A true KR20110062943A (ko) 2011-06-10

Family

ID=44115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829A Ceased KR20110062943A (ko) 2009-12-04 2009-12-04 퀴나졸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62943A (ko)
WO (1) WO2011068288A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0673A1 (ko) 2013-10-23 2015-04-30 주식회사 카엘젬백스 전립선 비대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US9540419B2 (en) 2012-05-11 2017-01-10 Gemvax & Kael Co., Ltd.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9730984B2 (en) 2012-05-11 2017-08-15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US9907838B2 (en) 2013-04-19 2018-03-06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reating ischemic damage
US9937240B2 (en) 2014-04-11 2018-04-10 Gemvax & Kael Co., Ltd. Peptide having fibrosis inhibitory activity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10034922B2 (en) 2013-11-22 2018-07-31 Gemvax & Kael Co., Ltd. Peptide having angiogenesis inhibitory activity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10383926B2 (en) 2013-06-07 2019-08-20 Gemvax & Kael Co., Ltd. Biological markers useful in cancer immunotherapy
US10463708B2 (en) 2014-12-23 2019-11-05 Gemvax & Kael Co., Ltd. Peptide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comprising same
US10561703B2 (en) 2013-06-21 2020-02-18 Gemvax & Kael Co., Ltd. Method of modulating sex hormone levels using a sex hormone secretion modulator
US10662223B2 (en) 2014-04-30 2020-05-26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organ, tissue, or cell transplantation, kit, and transplantation method
US10835582B2 (en) 2015-02-27 2020-11-17 Gemvax & Kael Co. Ltd. Peptide for preventing hearing loss,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10898540B2 (en) 2016-04-07 2021-01-26 Gem Vax & KAEL Co., Ltd. Peptide having effects of increasing telomerase activity and extending telomere,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10967000B2 (en) 2012-07-11 2021-04-06 Gemvax & Kael Co., Ltd. Cell-penetrating peptide, conjugate comprising same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11015179B2 (en) 2015-07-02 2021-05-25 Gemvax & Kael Co., Ltd. Peptide having anti-viral effect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11058744B2 (en) 2013-12-17 2021-07-13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treating prostate canc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5048B2 (en) 2010-07-08 2016-08-16 Wellesley Pharmaceuticals, Llc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reducing frequency of urina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2647A1 (en) * 1993-05-27 2006-10-05 Beavo Joseph A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ng the activity of PDE5
IL132406A0 (en) * 1998-10-21 2001-03-19 Pfizer Prod Inc Treatment of bph with cgmp elevators
EP1965863A2 (en) * 2005-12-20 2008-09-10 Pfizer Products Inc. Pharmaceutical combination for the treatment of luts comprising a pde5 inhibitor and a muscarinic antagonist
WO2007072156A1 (en) * 2005-12-21 2007-06-28 Pfizer Products Inc. Pharmaceutical combination of a pde-5 inhibitor and a 5-alpha reductase inhibitor
KR20080015594A (ko) * 2006-08-16 2008-02-20 주식회사종근당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저해제로서 유용한 퀴나졸린 유도체 및그 제조방법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7837B2 (en) 2012-05-11 2018-03-06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chexia
US9540419B2 (en) 2012-05-11 2017-01-10 Gemvax & Kael Co., Ltd.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2168039B2 (en) 2012-05-11 2024-12-17 Gemvax & Kael Co., Ltd.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9730984B2 (en) 2012-05-11 2017-08-15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US9844584B2 (en) 2012-05-11 2017-12-19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epsis
US10960056B2 (en) 2012-05-11 2021-03-30 Gemvax & Kael Co., Ltd.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2156902B2 (en) 2012-05-11 2024-12-03 Gemvax & Kael Co., Ltd.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1857607B2 (en) 2012-05-11 2024-01-02 Gemvax & Kael Co., Ltd.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0039811B2 (en) 2012-05-11 2018-08-07 Gemvax & Kael Co., Ltd.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1369665B2 (en) 2012-05-11 2022-06-28 Gemvax & Kael Co., Ltd.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0967000B2 (en) 2012-07-11 2021-04-06 Gemvax & Kael Co., Ltd. Cell-penetrating peptide, conjugate comprising same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9907838B2 (en) 2013-04-19 2018-03-06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reating ischemic damage
US10383926B2 (en) 2013-06-07 2019-08-20 Gemvax & Kael Co., Ltd. Biological markers useful in cancer immunotherapy
US10561703B2 (en) 2013-06-21 2020-02-18 Gemvax & Kael Co., Ltd. Method of modulating sex hormone levels using a sex hormone secretion modulator
WO2015060673A1 (ko) 2013-10-23 2015-04-30 주식회사 카엘젬백스 전립선 비대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US9572858B2 (en) 2013-10-23 2017-02-21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US10034922B2 (en) 2013-11-22 2018-07-31 Gemvax & Kael Co., Ltd. Peptide having angiogenesis inhibitory activity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11058744B2 (en) 2013-12-17 2021-07-13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treating prostate cancer
US9937240B2 (en) 2014-04-11 2018-04-10 Gemvax & Kael Co., Ltd. Peptide having fibrosis inhibitory activity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10662223B2 (en) 2014-04-30 2020-05-26 Gemvax & Kael Co., Ltd. Composition for organ, tissue, or cell transplantation, kit, and transplantation method
US11077163B2 (en) 2014-12-23 2021-08-03 Gemvax & Kael Co., Ltd. Peptide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comprising same
US10463708B2 (en) 2014-12-23 2019-11-05 Gemvax & Kael Co., Ltd. Peptide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comprising same
US10835582B2 (en) 2015-02-27 2020-11-17 Gemvax & Kael Co. Ltd. Peptide for preventing hearing loss,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11015179B2 (en) 2015-07-02 2021-05-25 Gemvax & Kael Co., Ltd. Peptide having anti-viral effect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10898540B2 (en) 2016-04-07 2021-01-26 Gem Vax & KAEL Co., Ltd. Peptide having effects of increasing telomerase activity and extending telomere,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68288A1 (en)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2943A (ko) 퀴나졸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제
US10668062B2 (en) Oxabicycloheptanes and oxabicycloheptene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PL211687B1 (pl) Środek leczniczy przeznaczony do leczenia nadmiernie aktywnego pęcherza moczowego, zawierający jako składnik aktywny pochodną acetanilidu
US2022018407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hdac6 inhibitor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tching
US2009010529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rapy of interstitial cystitis
US20160256449A1 (en) H3 receptor antagonist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lzheimer&#39;s disease
JP2017214387A (ja) 増殖性疾患の治療のためのhsp90阻害剤と組み合わせた2−カルボキサミドシクロアミノウレア誘導体
MX2010012179A (es) Composicion farmaceutica para el tratamiento de eyaculacion prematura.
US20250049763A1 (en) Aldosterone synthase inhibitors for treating chronic kidney disease
MXPA02007003A (es) Metodo para la ansiedad.
US7465729B2 (en) Methods of treatment of menopause and perimenopause using eszopiclone
CN113329749A (zh) 用于治疗葡萄膜黑色素瘤的联合疗法
EP2837380B1 (en) Lercanidipine hydrochloride and losartan potassium compound prepara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20054593A (ko) 병용 치료를 위한 화합물
US20230181542A1 (en) Meth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hronic kidney disease
EP3982970A1 (en) New treatment of sma
US20230355618A1 (en) Raf inhibitor for treating low grade glioma
KR102076137B1 (ko) 수축력 저하 수반성 배뇨근 과활동 개선제
US9889139B2 (en) Method of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6-aminopyridin-3-ol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o a subject
US20170196883A1 (en) Derivatives of 7-fluoro-8-chloro-5h-dibenzo [b,e,] [1,4] diazepine and use thereof
US20040248932A1 (en) Use of aryl- and heteroaryl-substituted tetrahydroisoquinolines in the treatment of chronic and neuropathic pain, migraine headaches, and urge, stress and mixed urinary incontinence
US20090312414A1 (en)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With CB2-Receptor-Selective Agonists
WO2019120111A1 (zh) 二甲双胍盐在治疗脑梗死中的用途
EP2992883A1 (en) Pharmaceutical use of hexahydro-dibenzo[a,g]quinolizine compounds
KR20220154616A (ko) 섬유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9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