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56013A -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013A
KR20110056013A KR1020090112674A KR20090112674A KR20110056013A KR 20110056013 A KR20110056013 A KR 20110056013A KR 1020090112674 A KR1020090112674 A KR 1020090112674A KR 20090112674 A KR20090112674 A KR 20090112674A KR 20110056013 A KR20110056013 A KR 20110056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ballast tank
wall
reinforcement structure
web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원
조영학
이희중
박종화
이주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2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6013A/ko
Publication of KR20110056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16Shells
    • B63B3/20Shells of dou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70Reinforcements for carrying localised loads, e.g. propulsion plant,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이 개시된다. 선체 측면의 외벽 및 내벽 사이에 밸러스트 탱크가 구비되는 선박의 내벽을 보강하기 위한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로서, 내벽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보강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보강재는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복수의 보강재는 선체의 길이 방향 및 선체의 폭 방향 모두에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을 제공함으로써, 밸러스트 내측의 도장작업 및 도막검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선박, 보강재, 밸러스트 탱크

Description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IN HOLD STIFFENER STRUCTURE FOR SEAWATER BALLAST TANKS OF SEA-GOING VESSEL AND SEA-GOING VESSEL HAVE THE SAME}
본 발명은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 밸러스트 탱크의 보강재 중 선체 내벽의 보강재를 선창 내측 방향으로 설치한 해수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광석, 석탄, 곡물, 원유와 같은 화물을 선박으로 운송할 때에는 포장되지 않은 상태로 운반한다. 이러한 화물을 산적화물(散積貨物, bulky cargo)이라 하며, 산적화물은 선박에 구비된 선창(船艙, hold)에 산적(散積)된다.
산적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선박의 선창은 선박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선박의 트림(trim) 및 흘수를 조절하기 위한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가 선체의 내벽 및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이중선체를 구비한 선박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이중선체를 구비한 일반적인 선박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선체(10)에는 외벽(side shell plating, 11) 및 내벽(longitudinal bulkhead plating, 12)이 구비되고, 외벽(11) 및 내벽(12) 사이에는 밸러스트 탱크(18)가 형성되며, 내벽(12)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은 선창(17)으로 활용된다. 선창(17)의 상측은 상갑판(deck plating, 13)에 의해 커버된다.
외벽(11)의 내면에는 복수의 론지(longitudinal stiffener, 15)가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벽(12)의 외면에도 복수의 론지(16)가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외벽(11) 및 내벽(12) 사이에는 스트링거(stringer, 14)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트링거(14) 및 론지(15, 16) 등을 보강재(stiffener)라 하며, 선체(10)에 요구되는 강도를 형성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강재, 즉 스트링거(14) 및 론지(15, 16)는 밸러스트 탱크(18)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므로, 스트링거(14) 및 론지(15, 16)는 밸러스트 탱크(18) 내에 유입되는 선박평형수(船舶平衡水, ballast water)와 접하게 된다.
그런데,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가 2008년 7월 1일 발효한 IMO RESOLUTION MSC.215(82) 결의안에 근거하는 선체보호도장(Performance Standard for Protective Coating, PSPC) 규정은 밸러스트 탱크에 강제 적용되는 규정으로, 선박의 수명연장과 사고예방을 위해 소정 규격 이상의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 탱크의 보호도장을 의무화 하고 있다.
따라서, PSPC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밸러스트 탱크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론지(15, 16)와 같은 보강재가 많이 설치될수록 도장작업 및 검사에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밸러스트 탱크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재를 최소화하면서도 선체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측면의 외벽 및 내벽 사이에 밸러스트 탱크가 구비되는 선박의 내벽을 보강하기 위한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로서, 내벽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보강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보강재는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복수의 보강재는 선체의 길이 방향 및 선체의 폭 방향 모두에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는, 복수의 보강재의 상단부 및 선체의 상갑판을 지지하는 상갑판 지지빔과 결합되는 상측 브라켓과, 복수의 보강재의 하단부 및 선체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하측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보강재는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설접근설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내측에 화물이 산적되는 선창이 구비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를 구비한 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선체 내벽에 설치되는 횡방향 보강구조체가 밸러스트 탱크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설치함으로써 밸러스트 내측의 도장작업 및 도막검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이 절약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를 구비한 선박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를 구비한 선박의 선체(20)에는 외벽(21) 및 내벽(22) 사이에 밸러스트 탱크(28)가 형성되고, 선체(20) 내벽(22)의 내측에는 선창(27)이 구비된다. 선창(27)의 상측은 상갑판(23)에 의해 커버된다.
외벽(21)의 내면에는 복수의 론지(25)가 선체(20)의 길이 방향, 즉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외벽(21) 및 내벽(22) 사이에는 스트링거(24)가 설치된다.
내벽(22)의 선창측, 즉 내벽(22)의 내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200)가 설치된다.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20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의 일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200)에는 내벽(22)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보강재, 즉 하측 웹 프레임(web frame, 230), 상측 웹 프레임(231) 및 홀드 프레임(hold frame, 240)이 포함된다. 외벽(21), 스트링거(24), 론지(25) 및 밸러스트 탱크(28)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선체(도 2의 20)의 길이 방향을 제1 방향(즉, 도 3의 Y축 방향)이라 하고, 선체(20)의 폭 방향을 제2 방향(즉, 도 3의 X축 방향)이라 하며,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모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즉, 도 3의 Z축 방향)이라 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200)에서, '횡방향'은 도면에 Z축으로 표시된 제3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다.
하측 웹 프레임(230) 및 상측 웹 프레임(231)으로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T형상인 빔(beam)이 사용된다. 상측 웹 프레임(231) 및 하측 웹 프레임(230)은 내벽(22)의 내면에 제3 방향으로 설치되는데, 하측 웹 프레임(230)은 내벽(22)의 내면 하측에 설치되고, 상측 웹 프레임(231)은 그 하단부가 하측 웹 프레임(230)의 상단부에 연결되도록 내벽(22)의 내면에 일렬로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하측 웹 프레임(230) 및 상측 웹 프레임(231)은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는데, 선체(20)의 전반적인 규모에 따라 그 수가 가감될 수 있다.
내벽(22)의 내면에는 하측 웹 프레임(230) 및 상측 웹 프레임(231)의 사이 부분에 복수의 홀드 프레임(240)이 설치된다. 홀드 프레임(240)으로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T형상 또는 I형상인 빔이 사용되는데, 하측 웹 프레임(230) 및 상측 웹 프레임(231) 보다는 치수가 작은 경량의 빔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홀드 프레임(240) 또한 하측 웹 프레임(230) 및 상측 웹 프레임(231)과 같이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의 홀드 프레임(2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20)의 길이 방향, 즉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따라서, 내벽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보강재, 즉 하측 웹 프레임(230), 상측 웹 프레임(231) 및 홀드 프레임(240)은, 선체(20)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 및 선체(20)의 폭 방향인 제2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설치되고, 선체(20)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하측 웹 프레임(230), 상측 웹 프레임(231) 및 홀드 프레임(240)은 내벽(22)을 보강하여 선체(20)가 필요한 강도를 갖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측 웹 프레임(230) 및 상측 웹 프레임(231)은 단면이 T형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고, 홀드 프레임(240)은 단면이 T형상 또는 I형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하측 웹 프레임(230), 상측 웹 프레임(231) 및 홀드 프레임(24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모서리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하측 웹 프레임(230), 상측 웹 프레임(231) 및 홀드 프레임(240)에 도장작업을 행하는 경우, 이러한 모서리 부분의 도막은 평면 부분에 비해 도막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PSPC 규정을 만족시키는 도막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모서리 부분을 면밀하게 검사하여야 하며, 도막의 품질이 PSPC 규정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장작업을 반복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200)는 하측 웹 프레임(230), 상측 웹 프레임(231) 및 홀드 프레임(240)이 밸러스트 탱크(28)의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밸러스트 탱크(28) 내부의 도장작업 및 검사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200)를 구비한 선박의 상갑판(도 2의 23)에는 필요한 강도를 얻기 위해 복수의 상갑판 지지빔(241)이 설치된다. 홀드 프레임(240)의 상단부에는 이러한 상갑판 지지빔(241)과 결합되는 상측 브라켓(242)이 설치되어, 상갑판 지지빔(241) 및 홀드 프레임(240)에 가해지는 외력이 분산될 수 있게 함으로써, 선체(20)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하측 웹 프레임(230)의 하단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선체(20)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하측 브라켓(245)이 결합되어, 선체(20) 전반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참고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웹 프레임(230)의 하단부는 하측 브라켓(245)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선체(20)의 저면부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측 웹 프레임(231)의 상단부는 상측 브라켓(242) 및 상갑판 지지빔(241)의 일부분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상갑판(23)에 가해지는 외력이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측 웹 프레임(230) 및 상측 웹 프레임(231)을 상측 브라켓(242)이나 하측 브라켓(245)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결합시키지 않도록 일체로 제 조하면 선체(20)의 저면부 또는 상갑판(23) 등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선체(20)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선체(20)의 규모에 따라 하측 웹 프레임(230) 및 상측 웹 프레임(231)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200)의 하측 웹 프레임(230), 상측 웹 프레임(231) 및 홀드 프레임(240) 등의 보강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벽(22)의 내측에 수직 하방향, 즉 제3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러므로, 호깅(hogging) 및 새깅(sagging) 상태나 파도에 의한 힘이 선체(20)의 좌우현 방향에서 가해질 경우, 즉 선체(20)의 횡강도 및 종강도에 대해서는 보완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200)에는 선체의 길이 방향, 즉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설접근설비(Permanent Means of Access for Inspection, PMA)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상설접근설비는 작업자가 선창(27) 및 밸러스트 탱크(28)를 검사하기 위하여 접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통로로서, 이는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상설접근설비 자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홀드 프레임(240)에는 상설접근설비를 지지하기 위한 상설접근설비 지지빔(243) 및 상설접근설비 지지 브라켓(244)이 결합된다. 그리고, 하측 웹 프레임(230) 의 상단부는 상설접근설비 지지 브라켓(244) 및 상설접근설비 지지빔(243)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제조되어, 상설접근설비를 지지한다.
이때, 도시되지 않은 상설접근설비는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되므로, 상설접근설비가 제1 방향에 대한 굽힘강도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하면, 선체(20)의 횡강도 및 종강도가 보완된다. 상설접근설비는 통상 6 내지 7m 간격으로 설치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를 구비한 선박의 선체(20) 규모가 커지면 상설접근설비가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그만큼 선체(20)의 종강도에 기여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200)의 보강재, 즉 하측 웹 프레임(230), 상측 웹 프레임(231) 및 홀드 프레임(2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 하방향, 즉 제3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선창(27)에 산적된 산적화물이 하역될 때, 하측 웹 프레임(230), 상측 웹 프레임(231) 및 홀드 프레임(240)에 잔류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박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를 구비한 선박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외벽 22: 내벽
230: 상측 웹 프레임 231: 하측 웹 프레임
240: 홀드 프레임 241: 상갑판 지지빔
242: 상측 브라켓 243: 상설접근설비 지지빔
245: 하측 브라켓

Claims (4)

  1. 선체 측면의 외벽 및 내벽 사이에 밸러스트 탱크가 구비되는 선박의 상기 내벽을 보강하기 위한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로서,
    상기 내벽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보강재는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보강재는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선체의 폭 방향 모두에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강재의 상단부 및 상기 선체의 상갑판을 지지하는 상갑판 지지빔과 결합되는 상측 브라켓; 및
    상기 복수의 보강재의 하단부 및 상기 선체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하측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강재는,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설접근설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4. 선체의 내측에 화물이 산적되는 선창이 구비되고,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를 구비한 선박.
KR1020090112674A 2009-11-20 2009-11-20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KR20110056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674A KR20110056013A (ko) 2009-11-20 2009-11-20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674A KR20110056013A (ko) 2009-11-20 2009-11-20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013A true KR20110056013A (ko) 2011-05-26

Family

ID=4436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674A KR20110056013A (ko) 2009-11-20 2009-11-20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60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1309A (zh) * 2021-07-20 2021-09-17 青岛北海船舶重工有限责任公司 一种散货船底边舱分段建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1309A (zh) * 2021-07-20 2021-09-17 青岛北海船舶重工有限责任公司 一种散货船底边舱分段建造方法
CN113401309B (zh) * 2021-07-20 2022-06-07 中国船舶集团青岛北海造船有限公司 一种散货船底边舱分段建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903B1 (ko) 결합형 래싱브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JP5746755B2 (ja) 巨大石油タンカー用の石油タンク部構造
CN104768843B (zh) 船舶用隔壁
KR101185517B1 (ko)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KR20120001133A (ko) 벌크화물선의 하부스툴 보강 방법
KR102243801B1 (ko) 선박
KR20110056013A (ko)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KR102114349B1 (ko) 화물선
JP5010570B2 (ja) 船体の耐氷補強構造
TWI449648B (zh) 船種變更容易的油槽船
KR20130035028A (ko) 대형 광석운반선의 이중저 늑판 구조
WO2014013584A1 (ja) 船舶
Jurišić et al. Structural aspects during conversion from general cargo ships to cement carriers
CN212386643U (zh) 一种半潜式多功能运输拆装船的船体舷侧构造
KR102720963B1 (ko) 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적재 극대화를 위한 선미 구조
KR20180102864A (ko) 내부에 종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선 화물창의 구조
JP4102233B2 (ja) 船舶のトランス材
KR200224503Y1 (ko) 컨테이너 선의 선체 구조
KR102179904B1 (ko) 컨테이너선
CN218703721U (zh) 多用途船双层底舭部加强结构
KR100650607B1 (ko) 부분 수평 종재 및 부분 종방향 형재를 구비한 이중 선체선박
KR20130045962A (ko) 셀가이드 지지부재
Dev et al. Analysis of structural steel renewal locations in ship repairing
KR102166802B1 (ko) 탱커 건조 방법
KR20130041541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2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