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50186A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186A
KR20110050186A KR1020090107056A KR20090107056A KR20110050186A KR 20110050186 A KR20110050186 A KR 20110050186A KR 1020090107056 A KR1020090107056 A KR 1020090107056A KR 20090107056 A KR20090107056 A KR 20090107056A KR 20110050186 A KR20110050186 A KR 20110050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er
common
group
information
m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4203B1 (ko
Inventor
임채권
조성연
임한나
최성호
배범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7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203B1/ko
Priority to EP10828501.6A priority patent/EP2497202B1/en
Priority to US12/938,517 priority patent/US8379657B2/en
Priority to PCT/KR2010/007699 priority patent/WO2011055966A2/en
Publication of KR20110050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186A/ko
Priority to US13/743,941 priority patent/US9042393B2/en
Priority to US14/695,416 priority patent/US966824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20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a plurality of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end-to-end dat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36/28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invol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6Processing of subscriber group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UE의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공통 상향 베어러를 구성하는 방법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로부터 수신된 단말의 그룹 식별자가 포함된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P-GW)로 전송하고, 상기 P-GW로부터 상기 그룹 식별자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베어러 정보가 포함된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공통 상향 베어러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MME로 전송하는 서빙 게이트웨이(S-GW); 및 상기S-GW로부터 상기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S-GW로 전송하는 P-GW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90107056
단말, 기지국, 데이터 전송, 서빙 게이트웨이, PDN 게이트웨이, 공통 상향 베어러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TUPPING COMMON UPLINK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UE의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를 기반으로 하고,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는 제 3 세대 통신 시스템이다. 이러한 UMTS의 표준화를 위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과 같은 UMTS의 차세대 통신 시스템(EPS; Evolved Packet System)을 제안하고 있다. 이 때 LTE 시스템은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의 구현을 위한 기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 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매크로 셀 기지국(Macro enhanced Node B : 이하, Macro eNB)(102),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 이하, MME)(104),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 이하, S-GW)(106), PDN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 이하, P-GW)(108) 및 단말기(User Equipment : 이하, UE)(100)를 포함할 수 있다.
Macro eNB(102)는 매크로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이다. 여기서, 상기 매크로 셀은 일반적인 셀룰라(Celluar) 시스템의 셀을 의미하고, 매크로 셀 기지국(102)은 상기 매크로 셀을 관리, 제어하는 기지국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매크로 셀과 매크로 셀 기지국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하기에서는 상기 매크로 셀 기지국(102)을 Macro eNB(102)로 기재하기로 한다.
Macro eNB(102)는 UE(100)와 무선 채널을 통해 연결되며, 무선 자원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Macro eNB (102)는 매크로 셀 내 필요한 제어 정보를 시스템 정보로 생성하여 방송(Broadcasting)하거나, 또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UE(100)와 송수신하기 위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Macro eNB (102)는 UE(100)로부터 현재 셀과 인접 셀들의 채널 측정 결과 정보를 취합하여 핸드 오버를 결정하고, 핸드 오버를 명령할 수 있다. 이를 위한 Macro eNB(102)는 무선 자원 관리와 관련된 라디오 자원 관리 프로토콜(Radio Resource Control Protocol) 등의 제어 프로토콜을 구비한다.
MME(104)는 유휴 모드(idle)의 UE를 관리하고, P-GW(108)및 S-GW(106)를 선정한다. 이와 더불어 MME(104)는 로밍(Roaming) 및 인증(Authentication) 관련 기 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MME(104)는 UE(100)에서 발생하는 베어러 시그널을 처리한다.
S-GW(106)는 단말이 Macro eNB 사이의 핸드 오버 시, 또는 3GPP 무선망 사이를 이동 시 이동성 앵커 역할을 수행한다.
P-GW(108)는 UE(100)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고, 코어 망의 패킷 데이터 관련 기능을 수행하며, 3GPP 무선망과 non-3GPP 무선망 사이 이동 시 이동성 앵커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P-GW(108)는 가입자에게 제공할 베어러 대역을 결정하고, 패킷 데이터에 대한 포워딩(Forwarding) 및 라우팅(Routing) 기능을 담당한다.
이 때, 통상적으로 Macro eNB(102)와 S-GW(106) 사이는 S1 인터페이스, S-GW(106)과 P-GW (108) 사이는 S5 인터페이스라고 명명한다.
이외에도 홈 가입자 관리 서버(Home Subscriber Sever : HSS, 도면에 미도시)에서는 UE별 가입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UE(100)가 네트워크에 접속 시 MME(104)에게 UE(100) 관련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MME(104)가 UE(100)를 제어하는 데 사용하도록 한다.
UE(100)는 Macro eNB(102)에 접속한 경우, Macro eNB(102), S-GW(106), P-GW(108)를 경유하는 데이터 전송 경로(110)를 이용하여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2는 종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UE들이 각 UE별 상향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 UE 1 내지 UE 6(200 ~ 210)의 상향 베어러는 각각 별개의 베어러로 네트워크에서 관리된다. 예를들어, UE 1 (200)의 상향 베어러를 살펴보면, 상향 라디오 베어러(222, UL Radio for UE 1)는 eNB(212)에서 상향 S1 베어러(224, UL S1 Bearer for UE 1)로 연결되고, 이는 다시 S-GW(216)에서 상향 S5 베어러(226, UL S5 Bearer for UE 1)를 통해 P-GW(218)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UE 1(200)이 전송한 데이터는 UE별 라디오 베어러(222) - eNB(212) - UE별 상향 S1 베어러(224) - S-GW(216) - UE별 상향 S5 베어러(226) - P-GW(218)를 거쳐 IP 네트워크(220)로 전송된다. 그리고 다른 UE들 즉, UE 2 내지 UE 6(202~210) 각각의 상향 베어러도 상기 설명한 UE1의 상향 베어러와 동일한 방법을 통해 IP 네트워크(220)와 연결된다.
도 3은 종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각 UE별 베어러를 구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312 단계에서 UE(300)가 eNB(302)에게 접속 요청(Attach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eNB(302)는 314 단계에서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MME(304)에 전달한다. 이에 316 단계에서 상기 MME(304)는 HSS(310)로 업데이트 위치 요청(Update Location Request) 메시지 전송을 통해 가입자가 서비스 받고 있는 MME(304)의 식별정보를 보고하며 사용자 가입 정보를 요청한다. 318 단계에서 상기 HSS(310)는 사용자 가입 정보를 업데이트 위치 정상응답(Update Location Ack)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MME(304)에 전달한다. 320 단계에서 상기 MME(304)는 S-GW(306)에게 새로운 S1 베어러를 생성할 것을 요 청하는 베어러 생성 요청(Create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종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S-GW(306)와 P-GW(308)는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 및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통해 UE 별 베어러를 구성한다.
즉, 상기 MME(304)로부터 상기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S-GW(306)는 322 단계에서 PGW(308)에 하향 S5 베어러 정보(S5 DL info)와 함께 상향 S5 베어러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P-GW(308)에 전송한다. 이에 324 단계에서 상기 P-GW(308)는 상향 S5 베어러 정보(S5 UL info)와 함께 322 단계의 베어러 생성 요청에 대한 베어러 생성 응답(Crea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상기 S-GW(306)에 전달한다. 이 때, 상향 S5 베어러와 하향 S5 베어러에 대한 정보가 S-GW(306)와 P-GW(308)에서 모두 공유되고 있으므로 S5 베어러가 생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S-GW(306)과 P-GW(308)간에 S5 베어러가 생성된 후, 326 단계에서는 상기 S-GW(306)가 상기 MME(304)에게 상향 S1 베어러 정보(S1 UP info)와 함께 320 단계의 S1 베어러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Crea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328 단계에서 상기 MME(304)는 eNB(302)가 UE(300)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UE 컨텍스트 정보, 예를 들어 보안 정보, UE의 이동성 제한 정보 등과 함께 상향 S1 베어러 정보(S1 UL info)를 요청하는 UE 컨텍스트 설정 요청(UE Context Setup Request) 메시지를 상기 eNB(302)에 전달한다. 상기 eNB(302)는 UE(300)과 330 단계(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와 332 단계(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거쳐 UE(300)가 사용할 라디오 베어러를 생성한다. 334 단계에서 상기 eNB(302)는 328 단계의 요청에 대한 응답(UE Context Setup Response) 메시지에 하향 S1 베어러 정보(S1 DL info)를 실어서 MME(304)에 전달한다. 상기 MME(304)는 336 단계에서 하향 S1 베어러 정보(S1 DL info)가 포함된 요청(Update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S-GW(306)에 전달하고 338 단계에서 336 단계의 요청에 대한 응답(Upda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받는다. 이 때, 상향 S1 베어러와 하향 S1 베어러에 대한 정보가 eNB(302)와 S-GW(306)에서 모두 공유되고 있으므로 S1 베어러가 생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40 단계와 같이 UE (300)는 라디오 베어러 - eNB (302) - UE별 상향 S1 베어러 - S-GW(306) - UE별 상향 S5 베어러 - P-GW(308)을 거쳐 IP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신(UL Data Transmission)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2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각 UE는 각각의 베어러를 독립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는 알람 메시지나 전력 사용량 측정 결과 보고 메시지 등 매우 적은 양의 데이터를 간헐적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며, 보내는 데이터에 비해 S-GW와 P-GW에서 유지해야 하는 메모리 자원, 상태관리 자원 등의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UE들이 각각의 베어러를 독립적으로 유지하지 않도록 베어러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복수 개의 UE들이 공통 베어러를 공유하도록 공통 베어러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베어러 관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도록 공통 베어러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에서 공통 상향 베어러를 구성하는 방법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로부터, 단말의 그룹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그룹 식별자가 포함된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P-GW)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P-GW로부터, 상기 그룹 식별자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공통 S5 상향 베어러 정보가 포함된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공통 S1 상향 베어러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MME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P-GW)에서 공통 상향 베어러를 구성하는 방법은, 서빙 게이트웨이(S-GW)로부터 단말의 그룹 식별자가 포함된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그룹 식별자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공통 S5 상향 베어러 정보를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S-GW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공통 상향 베어러를 구성하는 장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로부터 수신된 단말의 그룹 식별자가 포함된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P-GW)로 전송하고, 상기 P-GW로부터 상기 그룹 식별자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공통 S5 상향 베어러 정보가 포함된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공통 S1 상향 베어러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MME로 전송하는 서빙 게이트웨이(S-GW); 및 상기 S-GW로부터 상기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S-GW로 전송하는 P-GW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복수 개의 UE들이 공통 베어러를 공유함으로써, 네트워크 노드, 즉 S-GW와 P-GW에서 유지해야 하는 메모리 자원, 상태관리 자원 등의 불필요한 낭비를 막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용어는 기본적으로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규격에 따르기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 해석될 필요는 없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큰 혼동이 없는 경우 셀 또는 eNB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에 따라, 매크로 셀 또는 Macro eNB는 서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특정 그룹의 UE들에 대한 공통 베어러를 구성하여, 베어러 관리 오버헤드를 줄이면서 복수 개의 UE들이 공통 베어러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특정 그룹의 UE들에 대한 공통 베어러를 구성하면, S-GW와 P-GW에서 유지해야 하는 메모리 자원, 상태관리 자원 등의 불필요한 낭비를 막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복수 개의 UE들이 공통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 UE 1 내지 UE 6(400~410)은 동일한 그룹(Group 1)에 포함된다고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일한 그룹에 속한 복수 개의 UE들 즉, UE 1 내지 UE 6(400 ~ 410)이 각각 별도의 라디오 베어러(422)를 가지고 있으나 상향 S1 베어러(424)와 상향 S5 베어러(426)을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종래 도 2와 비교하면 S-GW(416)와 P-GW(418)에서 관리해야 하는 베어러 수가 6개 즉, UE의 총 개수에서 1개로 줄어들어 그만큼 자원이 절약됨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후술 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특정 그룹의 UE에 대한 공통 베어러를 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대해 구체 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복수 개의 UE들이 공유하는 공통 베어러를 구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512 단계에서 UE(500)가 eNB(502)에게 접속 요청(Attach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514 단계에서 상기 eNB(502)는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MME(504)에 전달한다. 이에 516 단계에서 상기 MME(504)는 HSS(510)로 업데이트 위치 요청(Update Location Request) 메시지 전송을 통해 가입자가 서비스 받고 있는 MME(504)의 식별정보를 보고하며 사용자 가입 정보를 요청한다. 518 단계에서 상기 HSS(510)는 사용자 가입 정보(Subscription Data)와 UE(300)가 속한 그룹의 정보(Group ID)를 업데이트 위치 정상응답(Update Location Ack)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MME(504)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Group ID는 상기 512 단계 및 상기 514 단계의 접속 요청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MME(504)로 전달될 수도 있으며, UE(500)를 인식하는 특정 인식 정보, 예를 들어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ntity Identity) 중 일부가 Group ID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520 단계에서 상기 MME(504)는 S-GW(506)에게 그룹 정보(Group ID)와 함께 새로운 S1 베어러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베어러 생성 요청(Create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S-GW(506)와 P-GW(508)는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 및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통해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UE들이 공유하는 공통 베어러를 구성한다.
즉, 상기 MME(504)로부터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S-GW(506)는 522 단계에서 P-GW(508)에 하향 S5 베어러 정보(S5 DL info), 그룹 정보(Group ID)와 함께 상향 S5 베어러를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상기 P-GW(508)는 522 단계에서 전달된 Group ID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S5 베어러가 있는지 확인하고, 만일 상기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S5 베어러가 없다면 새로운 공통 상향 S5 베어러를 생성한다. 만약 상기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S5 베어러가 있다면, 상기 P-GW(508)은 상기 공통 상향 S5 베어러를 재사용한다. 524 단계에서 상기 PGW(508)는 공통 상향 S5 베어러 정보(Common S1 UL info)와 함께 522 단계의 베어러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Crea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상기 S-GW(506)에 전달한다. 이 때, 공통 상향 S5 베어러와 하향 S5 베어러에 대한 정보가 S-GW(506)와 PGW(508)에서 모두 공유되고 있으므로 S5 베어러가 생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524 단계가 완료되어 S5 베어러가 생성된 후 상기 S-GW(506)는 520 단계에서 전달된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S1 베어러가 있는지 확인하고, 만일 상기 Group ID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S1 베어러가 없다면 새로운 공통 상향 S1 베어러를 생성한다. 만일 상기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S1 베어러가 있다면, 상기 S-GW(506)은 상기 공통 상향 S1 베어러를 재사용한다. 526 단계에서는 상기 S-GW(506)가 상기 MME(504)에게 공통 상향 S1 베어러(Common S1 UL info)와 함께 520 단계의 S1 베어러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Crea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전송 한다. 이에 528 단계에서 상기 MME(504)는 eNB(502)가 UE(500)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UE 컨텍스트 정보, 예를 들어 보안 정보, UE의 이동성 제한 정보 등과 함께 공통 상향 S1 베어러 정보를 요청하는 UE 컨텍스트 설정 요청(UE Context Setup Request) 메시지를 상기 eNB(502)에 전달한다. 상기 eNB(502)는 UE(500)과 530 단계(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와 532 단계(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거처 UE(500)이 사용할 라디오 베어러를 생성한다. 534 단계에서 상기 eNB(502)는 528 단계의 요청에 대한 응답(UE Context Setup Response) 메시지에 하향 S1 베어러 정보(S1 DL info)를 MME(504)에 전달한다. 상기 MME(504)는 536 단계에서 하향 S1 베어러 정보(S1 DL info)를 S-GW(506)에 전달하고 538 단계에서 536 단계의 요청에 대한 응답(Upda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받는다. 이 때, 공통 상향 S1 베어러와 하향 S1 베어러에 대한 정보가 eNB(502)와 S-GW(506)에서 모두 공유되고 있으므로 S1 베어러가 생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540 단계와 같이 UE (500)은 라디오 베어러 - eNB (502) - 공통 상향 S1 베어러 - S-GW(506) - 공통 상향 S5 베어러 - P-GW(508)을 거쳐 데이터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신(UL Data Transmission)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도 5에서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UE들이 공유하는 공통 베어러를 구성하는 522 단계 및 524 단계에서의 S-GW(506)과 P-GW(508)간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GW(508)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602 단계에서 P-GW(508)는 S-GW(506)로부터 하향 S5 베어러 정보가 포함된 베어러 생성 요청(Create Bearer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에 604 단계에서 P-GW(508)는 상기 수신된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하향 S5 베어러 정보를 저장하고, 606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에 Group ID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수신된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에 Group ID가 포함되어 있었다면 상기 606 단계에서 P-GW(508)는 608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Group ID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S5 베어러가 이미 생성되어 있는지 확인 한다. 상기 608 단계에서 만일 상기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S5 베어러가 없었다면 P-GW(508)는 61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S5 베어러를 생성한 후, 612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만일 상기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S5 베어러가 있다면, 608 단계에서 P-GW(508)는 612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2 단계에서 P-GW(508)는 상기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S5 베어러 정보를 베어러 생성 응답(Create Bearer Response) 메시지에 포함하여 618 단계에서 상기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S-GW(506)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공통 상향 S5 베어러와 하향 S5 베어러에 대한 정보가 S-GW(506)와 PGW(508)에서 모두 공유되고 있으므로 S5 베어러가 생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606 단계에서 만약 상기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에 Group 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면 P-GW(508)는 614 단계로 진행하여, 종래 각 UE별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과 같이 동작한다. 즉, 614 단계에서 P-GW(508)는 UE별 상향 S5 베어러를 생성하고, 616 단계에서 상기 UE별 상향 S5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킨 후 618 단계에서 상기 UE별 상향 S5 베어러 정보가 포함된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S-GW(506)로 전송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UE들이 각 UE별 상향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각 UE별 베어러를 구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복수 개의 UE들이 공통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복수 개의 UE들이 공유하는 공통 베어러를 구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복수 개의 UE들이 공유하는 공통 베어러를 구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순서도. 

Claims (10)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서빙 게이트웨이(S-GW)에서 공통 상향 베어러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로부터, 단말의 그룹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그룹 식별자가 포함된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P-GW)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P-GW로부터, 상기 그룹 식별자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베어러 정보가 포함된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공통 상향 베어러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MME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식별자는,
    상기 MME가 홈사용자관리서버(HSS)로부터 전달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식별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ntity Identity)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4.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P-GW)에서 공통 상향 베어러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빙 게이트웨이(S-GW)로부터 단말의 그룹 식별자가 포함된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그룹 식별자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베어러 정보를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S-GW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베어러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베어러가 없는 경우 상기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베어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공통 상향 베어러의 정보를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S-GW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식별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ntity Identity)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7.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공통 상향 베어러를 구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로부터 수신된 단말의 그룹 식별자가 포함된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PDN(Packet Data Network) 게이트웨이(P-GW)로 전송하고, 상기 P-GW로부터 상기 그룹 식별자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베어러 정보가 포함된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공통 상향 베어러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MME로 전송하는 서빙 게이트웨이(S-GW); 및
    상기 S-GW로부터 상기 베어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S-GW로 전송하는 P-GW를 포함하는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P-GW는,
    상기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베어러를 확인하고, 상기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베어러가 없는 경우 상기 그룹에 대한 공통 상향 베어러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공통 상향 베어러의 정보를 베어러 생성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S-GW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식별자는,
    상기 MME가 홈사용자관리서버(HSS)로부터 전달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식별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ntity Identity)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장치.
KR1020090107056A 2009-11-06 2009-11-06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764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056A KR101764203B1 (ko) 2009-11-06 2009-11-06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및 장치
EP10828501.6A EP2497202B1 (en) 2009-11-06 2010-11-03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uplink common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2/938,517 US8379657B2 (en) 2009-11-06 2010-11-03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uplink common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CT/KR2010/007699 WO2011055966A2 (en) 2009-11-06 2010-11-03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uplink common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3/743,941 US9042393B2 (en) 2009-11-06 2013-01-17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uplink common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4/695,416 US9668247B2 (en) 2009-11-06 2015-04-24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uplink common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056A KR101764203B1 (ko) 2009-11-06 2009-11-06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186A true KR20110050186A (ko) 2011-05-13
KR101764203B1 KR101764203B1 (ko) 2017-08-16

Family

ID=4397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0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64203B1 (ko) 2009-11-06 2009-11-06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8379657B2 (ko)
EP (1) EP2497202B1 (ko)
KR (1) KR101764203B1 (ko)
WO (1) WO2011055966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618A3 (ko) * 2011-06-30 2013-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의 단말들의 시그널링 처리방법
KR20140005024A (ko) * 2012-07-04 2014-01-14 주식회사 케이티 Lt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차단 방법 및 패킷 차단 시스템
KR20150031783A (ko) * 2013-09-16 2015-03-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045395A (ko) * 2013-10-18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앵커링 방법 및 장치
KR101851329B1 (ko) * 2017-01-20 2018-06-11 콘텔라 주식회사 Lte 망 초기 접속 과정에서 lte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정보공유 방법
KR20190046132A (ko) * 2017-10-25 2019-05-07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패킷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876A1 (en) * 2009-08-27 2011-03-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lving limited addressing space in machine-to-machine (m2m) environments
WO2012173623A1 (en) * 2011-06-16 2012-12-20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s, apparatus, a system, and a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ctivation and deacitivation of bearers
CN103200534B (zh) * 2012-01-10 2016-08-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集群通信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4025208A1 (en) * 2012-08-08 201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and apparatus of bearer grouping for data transmission in a broadband wireless network
KR20140045215A (ko) 2012-10-08 2014-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룹 기반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EP2808873A1 (de) * 2013-05-28 2014-12-03 Nexans Elektrisch leitfähiger Drah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4717764A (zh) * 2014-12-11 2015-06-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Lipa/sipto连接的建立方法和装置
US9900761B2 (en) * 2015-04-27 2018-02-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tunneling in point-to-multipoint mobile service
CN108141784B (zh) 2015-09-16 2021-07-27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接收数据的承载设置方法和支持该方法的设备
WO2018148861A1 (zh) 2017-02-14 2018-08-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27714B (zh) * 2007-01-18 2011-04-06 华为技术有限公司 共享网络资源的方法、装置及系统
KR101054967B1 (ko) * 2007-06-22 201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375474B1 (ko) 2007-09-13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403205B1 (ko) 2007-11-02 2014-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망에서의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시스템
WO2009063434A1 (en) * 2007-11-16 2009-05-22 Nokia Siemens Networks Oy Mapping quality of service for intersystem handover
KR100953453B1 (ko) * 2007-11-27 2010-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단말에서의 상향링크 ip 패킷 필터링 제어방법
US20100075698A1 (en) * 2008-09-23 2010-03-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Location registration and paging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618A3 (ko) * 2011-06-30 2013-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의 단말들의 시그널링 처리방법
US9967914B2 (en) 2011-06-30 2018-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cessing signaling of terminals of subscrib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40005024A (ko) * 2012-07-04 2014-01-14 주식회사 케이티 Lt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차단 방법 및 패킷 차단 시스템
KR20150031783A (ko) * 2013-09-16 2015-03-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045395A (ko) * 2013-10-18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앵커링 방법 및 장치
KR101851329B1 (ko) * 2017-01-20 2018-06-11 콘텔라 주식회사 Lte 망 초기 접속 과정에서 lte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정보공유 방법
KR20190046132A (ko) * 2017-10-25 2019-05-07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패킷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7202A4 (en) 2016-09-14
WO2011055966A2 (en) 2011-05-12
US20150230241A1 (en) 2015-08-13
KR101764203B1 (ko) 2017-08-16
US9668247B2 (en) 2017-05-30
EP2497202B1 (en) 2019-05-29
US20130142173A1 (en) 2013-06-06
US8379657B2 (en) 2013-02-19
US20110110379A1 (en) 2011-05-12
US9042393B2 (en) 2015-05-26
WO2011055966A3 (en) 2011-10-27
EP2497202A2 (en)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203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및 장치
US11160134B2 (en) Method for performing RRC connection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10663284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服务请求过程的方法和设备
US104053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2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372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based on device-to-device relay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7499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tracking are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mobile relay node
KR10160958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의 사용자 단말기와 이동성 관리 엔티티 간 연결 방법
EP3338485B1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20110049622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40699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sctp connection and x2 interfa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96534A (ko) 펨토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lbo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16829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시스템 노드와 데이터 서비스 망 노드 간 연결 설정 방법
US201601198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ell load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251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ccess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890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control signals
US101428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ell load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87416B1 (ko) Lte 펨토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ip 주소 획득 방법
US99553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ell load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5505657A (ja) 分散ユニット、中央ユニット、及び方法
KR20130015963A (ko)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기지국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