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41266A - 액정표시장치와 그 잔상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와 그 잔상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266A
KR20110041266A KR1020090098356A KR20090098356A KR20110041266A KR 20110041266 A KR20110041266 A KR 20110041266A KR 1020090098356 A KR1020090098356 A KR 1020090098356A KR 20090098356 A KR20090098356 A KR 20090098356A KR 20110041266 A KR20110041266 A KR 20110041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data
crystal display
voltag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1266A/ko
Publication of KR20110041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26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3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 H03K19/0034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or parasitic voltages or currents
    • H03K19/00361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or parasitic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 effect transistor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와 그 잔상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데이터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고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잔상 제거 모드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소등시키고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데이터라인들에 잔상 제거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정상 구동 모드에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데이터라인들에 비디오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점등시키는 패널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와 그 잔상 제거방법{LIQUID CRYSTAL DISPLAY AND REMOVAL METHOD OF REMOVING IMAGE STICKING THEREOF}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와 그 잔상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구동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 함)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표시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에 비하여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용 정보기기, 사무기기, 컴퓨터 등에서 표시기에 응용됨은 물론, 텔레비젼에도 응용되어 음극선관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과, 액정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는 기차역, 터미널 등의 공공장소에서 배차 시간 등이나 광고를 표시하는 퍼블릭 디스플레이(public display)로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퍼블릭 디스플레이용 액정표시장치는 동일한 화상을 장시간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액정표시장치의 액정층에 동일한 직류전압이 장시간 인가되면, 잔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액정층에 동일한 전압이 지속적으로 인가되면 음전하를 띈 이온들이 동일한 움직임 백터 방향으로 이동하고 양전하를 띈 이온들이 그 반대 방향의 움직임 백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분극화되어 액정층 내에 이온 불순물이 쌓이기 때문이다. 액정층 내에 다량의 이온 불순물이 쌓인 상태에서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을 다른 데이터로 전환화더라도 이전 화면이 그대로 남아 있다.
잔상을 제거하기 위해서, 유전율이 낮은 액정물질을 개발하거나 배향물질이나 배향방법을 개선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재료 개발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며, 액정의 유전율을 낮게 하면 액정의 구동특성이 나빠지는 또 다른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액정층에 축적되는 이온 불순물로 인하여 나타나는 잔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다른 패턴의 전압을 액정층에 인가하여 배향막 상에 축적된 이온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액정표시장치가 특정 화상을 장시간 표시하고 있고 백라이트가 점등된 구동 상태에서 다른 패턴의 데이터가 액정표시장치에 인가되면 원하지 않는 화상이 보이게 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동안에는 액정층 내의 이온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다른 패턴의 데이터를 인가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 써 백라이트 유닛이 소등된 상태에서 액정표시장치의 잔상을 제거하도록 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고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잔상 제거 모드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소등시키고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데이터라인들에 잔상 제거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정상 구동 모드에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데이터라인들에 비디오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점등시키는 패널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잔상 제거방법은 잔상 제거 모드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소등시키고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데이터라인들에 잔상 제거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단계; 및 정상 구동 모드에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데이터라인들에 비디오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점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이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비사용기간 동안에 잔상 제거 전압을 액정표시패널의 액정셀들에 인가하여 잔상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 액정표시패널(10)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16), 액정표시패널(10)의 데이터라인들(D1~Dm)에 접속된 데이터 구동회로(12), 액정표시패널(10)의 게이트라인들(G1~Gn)에 접속된 게이트 구동회로(13), 데이터 구동회로(12)와 게이트 구동회로(13)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11), 액정표시패널(10)의 구동 전압을 발생하는 모듈 전원회로(15), 백라이트 유닛(16)의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광원 구동회로(18)를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1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부 유리기판과 하부 유리기판을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10)은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소 어레이를 포함한다. 하부 유리기판에는 데이터라인들(D1~Dm)과 게이트라인들(G1~Gn)의 교차부마다 형성되는 TFT들과, TFT에 접속된 화소전극을 포함한다. 화소 어레이의 액정셀들 각각은 TFT를 통해 데이터전압을 충전하는 화소전극(1)과 공통전압(Vcom)이 인가되는 공통전극(2)의 전압차에 의해 구동되어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 는 빛의 투과양을 조정하여 비디오 데이터의 화상을 표시한다.
액정표시패널(10)의 상부 유리기판 상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및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공통전극(2)은 TN 모드와 VA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 상부 유리기판 상에 형성되며, IPS 모드와 FFS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 화소전극(1)과 함께 하부 유리기판 상에 형성된다.
액정표시패널(10)의 상부 유리기판과 하부 유리기판 각각에는 편광판이 부착되고 액정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적용 가능한 액정표시패널(10)의 액정모드는 전술한 TN 모드, VA 모드, IPS 모드, FFS 모드뿐 아니라 어떠한 액정모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6)은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 유닛 또는,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 구조는 액정표시패널(10)의 아래에 다수의 광학시트들과 확산판이 적층되고 확산판 아래에 다수의 광원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의 측면에 대향되도록 광원이 배치되고 액정표시패널(10)과 도광판 사이에 다수의 광학시트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은 HCFL(Hot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LED(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다수의 소스 드라이브 IC(Source drive IC)를 포함한다. 소스 드라이브 IC 각각은 타이밍 콘트롤러(11)로부터의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 호(SSP, SSC, SOE)와 극성제어신호(POL)에 응답하여 타이밍 콘트롤러(11)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병렬 데이터 체계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 각각은 병렬 데이터 전송 체계로 변환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모듈 전원회로(15)로부터의 정극성/부극성 감마기준전압들(VGMAO1~VGMAO10)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액정셀들에 충전될 정극성/부극성 아날로그 비디오 데이터전압을 발생한다. 그리고 소스 드라이브 IC 각각은 극성제어신호(POL)에 따라 정극성/부극성 아날로그 비디오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면서 그 데이터전압을 데이터라인들(D1~Dm)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타이밍 콘트롤러(11)에 잔상 제거 기능이 설정되었다면,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타이밍 콘트롤러(11)로부터의 잔상 제거 데이터를 정극성/북극성 아날로그 비디오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들(D1~Dm)에 공급한다. 여기서,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이란 백라이트 유닛이 점등되지 않고 시스템 보드(14)로부터 정상적인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기간으로써, 액정표시패널(10)에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기간이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브 IC를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타이밍 콘트롤러(11)로부터의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SP, GSC, GOE)에 응답하여 게이트 구동전압을 순차적으로 쉬프트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여 게이트라인들에 게이트 펄스(또는 스캔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게이트 펄스는 게이트 하이전압(VGH)과 게이트 로우전압(VGL) 사이에서 스윙한다. 데 이터 구동회로(12)는 타이밍 콘트롤러(11)에 잔상 제거 기능이 설정되었다면,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게이트 펄스를 게이트 라인들(G1~Gn)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등의 인터페이스 수신회로를 통해 시스템 보드(14)로부터 RGB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도트 클럭(CLK) 등의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는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RGB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mini LVDS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 구동회로(12)의 소스 드라이브 IC들에 전송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타이밍 신호(Vsync, Hsync, DE, CLK)를 이용하여 소스 드라이브 IC들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SSP, SSC, SOE) 및 극성제어신호(POL)와, 게이트 구동회로(1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SP, GSC, GOE)를 발생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잔상 제거 설정 핀(11a)을 포함한다. 잔상 제거 설정 핀(11a)은 스위치소자(20)를 통해 전원 전압(Vcc)이나 기저전압원(GND)에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스위치 소자(20)는 딥(DIP) 스위치로 선택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잔상 제거 설정 핀(11a)의 전압이 하이논리전압 즉, 전원전압(Vcc)이면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잔상 제거 데이터를 소스 드라이브 IC들에 공급한다. 반면에, 타이밍 콘트롤러(11)는 잔상 제거 설정 핀(11a)의 전압이 로우논리전압 즉, 기저전압(GND)이면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 간 동안 잔상 제거 데이터를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밍 콘트롤러(11)의 잔상 제어 기능은 잔상 제거 설정 핀(11a)의 전압에 따라 온/오프된다.
잔상 제거 데이터는 타이밍 콘트롤러(11)의 내장 메모리나 외부의 비휘발성 메모리(19)에 저장되거나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시스템 보드(14)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잔상 제거 데이터는 풀 화이트 데이터, 특정 패턴과 그 패턴의 반전 데이터,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잔상 제거 데이터는 소정의 프레임기간 단위로 R에서 G, G에서 R, R에서 B, 그리고 B에서 RGB 순으로 반복되는 데이터로 발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내에서 잔상 제거 데이터는 제1 프레임 기간 동안 GB 데이터 없이 R 데이터만 포함하고, 제2 프레임 기간 동안 RB 데이터 없이 G 데이터만 포함하며, 제3 프레임 기간 동안 RG 없이 B 데이터만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내에서 잔상 제거 데이터는 제4 프레임 기간 동안 RGB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19)는 액정표시패널(10)이 사용되지 않는 기간 내에서 잔상 제거 데이터 전압이 액정표시패널(10)에 공급되는 시간을 정의하는 시간 설정 데이터(Ts)가 저장된다. 비휘발성 메모리(19)에는 시간 설정 데이터(Ts) 이외에도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SSP,SSC,SOE), 극성제어신호(POL),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SP, GSC, SOE) 등의 펄스 폭을 정의하기 위한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시간 설정 데이터(Ts)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17)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7)는 OSD(on screen display),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키보드 등의 사용자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시스템 보드(14)에 입력한다. 시스템 보드(14)는 사용자 데이터에 응답하여 시간 설정 데이터(Ts)를 발생하고 그 시간 설정 데이터(Ts)를 I2C 통신을 통해 비휘발성 메모리(19)에 공급될 수 있다. 시간 설정 데이터(Ts)는 타이밍 콘트롤러(11)를 경유하여 비휘발성 메모리(19)에 공급될 수도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19)로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이 선택될 수 있다.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SSP, SSC, SOE)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및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을 포함한다.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구동회로(12)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시점을 제어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와 데이터 구동회로(12) 사이의 신호 전송체계가 mini LVDS 인터페이스라면 소스 스타트 펄스(SSP)와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생략될 수 있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 구동회로(12) 내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동작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 극성제어신호(POL)는 데이터 구동회로(1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N(N은 양의 정수) 수평기간의 주기로 반전시킨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는 데이터 구동회로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 각각은 데이터라인들(D1~Dm)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이 바뀔 때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의 펄스에 응답하여 차지쉐어전 압(Charge share voltage)이나 공통전압(Vcom)을 데이터라인들(D1~Dm)에 공급하고,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의 로우논리기간 동안 데이터전압을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한다. 차지쉐어전압은 서로 상반된 극성의 데이터전압들이 공급되는 이웃한 데이터라인들의 평균전압이이다.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SP, GSC, SOE)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첫 번째 게이트 펄스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은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쉬프트시키기 위한 클럭신호이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는 게이트 구동회로(13)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시스템 보드(14)는 방송 수신회로나 외부 비디오 소스로부터 입력된 RGB 비디오 데이터와 함께,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도트 클럭(CLK) 등의 타이밍 신호를 LVDS 인터페이스 또는 TMDS 인터페이스 송신회로를 통해 타이밍 콘트롤러(11)에 전송한다. 시스템 보드(14)에는 방송 수신회로나 외부 비디오 소스로부터 입력된 RGB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를 액정표시패널의 해상도에 맞게 보간하고 신호 보간 처리하는 스케일러 등의 그래픽 처리회로와, 모듈 전원회로(15)에 공급될 전압(Vin)을 생성하는 전원회로를 포함한다.
시스템 보드(14)는 타이밍 콘트롤러(11)의 잔상 제거 기능이 설정되었다면, 데이터(RGB)를 발생하지 않고, 제1 전원 전압(Vin)을 모듈 전원회로(15)에 입력하 는 반면 제2 전원 전압(Vls)을 발생하지 않는다. 시스템 보드(14)는 타이밍 콘트롤러(11)의 잔상 제거 기능이 설정되지 않았다면, 데이터(RGB), 제1 및 제2 전원 전압(Vin)을 발생하지 않는다. 제1 전원 전압(Vin)은 모듈 전원회로(15)의 입력 전압이다. 제2 전원 전압(Vls)은 광원 구동회로(18)의 입력 전압이다.
시스템 보드(14) 또는 타이밍 콘트롤러(11)는 6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가 60×i(i는 양의 정수) Hz의 프레임 주파수로 액정표시패널(10)의 화소 어레이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와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60×i Hz의 프레임 주파수 기준으로 체배할 수 있다.
모듈 전원회로(15)는 시스템 보드(14)의 전원으로부터 제1 전원 전압(Vin)이 입력되면, 액정표시패널(10)의 아날로그 구동 전압들을 발생한다. 모듈 전원회로(15)의 입력 전압(Vin)은 액정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액정표시패널(10)의 액정모드가 TN 모드이면 Vin은 5V로 발생되고, IPS 모드이면 12V로 발생된다. 모듈 전원회로(15)로부터 출력되는 액정표시패널(10)의 아날로그 구동 전압들은 15V~20V 사이의 고전위 전원전압(Vdd), 3.3V의 로직 전원전압(Vcc), 15V 이상의 게이트 하이전압(VGH), -3V 이하의 게이트 로우전압(VGL), 7V~8V 사이의 공통전압(Vcom), 정극성/부극성 감마기준전압들(VGMA1∼VGMA10) 등을 포함한다. 고전위 전원전압(Vdd)은 액정표시패널(10)의 액정셀들에 충전될 최대 데이터 전압이다. 로직 전원전압(Vcc)은 타이밍 콘트롤러(11), 데이터 구동회로(12)의 소스 드라이브 IC들, 게이트 구동회로(13)의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의 구동 전압이고, 타이밍 콘트 롤러(11)의 잔상 제거 설정 전압이다. 게이트 하이전압(VGH)은 화소 어레이에 형성된 TFT들의 문턱전압 이상으로 설정된 게이트 펄스의 하이논리전압이고, 게이트 로우전압(VGL)은 화소 어레이에 형성된 TFT들의 문턱전압 미만의 전압으로 설정된 게이트 펄스의 로우논리전압이다. 게이트 하이전압(VGH)과 게이트 로우전압(VGL)은 게이트 구동회로(13)의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에 입력된다. 공통전압(Vcom)은 액정셀들(Clc)의 공통전극(2)에 입력된다. 정극성/부극성 감마기준전압들(VGMA1∼VGMA10)은 고전위 전원전압(Vdd)의 분압으로 생성되어 데이터 구동회로(12)의 소스 드라이브 IC들에 입력된다.
광원 구동회로(18)는 시스템 보드(14)로부터 제2 전원 전압(Vls)을 입력받아 백라이트 유닛(16)의 광원들을 점등한다. 제2 전원 전압(Vls)은 24V로 발생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시스템 보드(14)는 제2 전원 전압(Vls)을 발생하지 않는다.
타이밍 콘트롤러(11)에 잔상 제거 기능이 설정된 잔상 제거 모드에서, 시스템 보드(14)는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제1 전원 전압(Vin)을 모듈 전원회로(15)에 입력하는 반면, 제2 전원 전압(Vls)을 발생하지 않는다. 모듈 전원회로(15)는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액정표시패널의 아날로그 구동전압들을 발생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와 게이트 구동회로(13)는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모듈 전원회로(15)로부터의 아날로그 구동 전압으로 액정표시패널의 액정셀들을 구동한다. 백라이트 유닛(16)은 액정표시장치가 사 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광원 구동회로로부터 출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소등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시스템 보드(14)는 정상 구동 모드에서 비디오 소스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타이밍 콘트롤러(11)에 전송하고, 제1 전원 전압(Vin)을 모듈 전원회로(15)에 입력한다. 그리고 시스템 보드(14)는 제2 전원 전압(Vls)을 광원 구동회로(18)에 입력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는 정상 구동 모드에서 백라이트 유닛이 점등되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밍 콘트롤러(11)에 잔상 제거 기능이 설정되었다면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내에서 잔상 제거 데이터 전압이 액정표시패널(10)의 액정셀들에 인가된다. 이 때, 백라이트 유닛은 소등되어 있으므로 액정표시패널(10)에는 잔상 제거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 액정표시패널(10)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16), 액정표시패널(10)의 데이터라인들(D1~Dm)에 접속된 데이터 구동회로(12), 액정표시패널(10)의 게이트라인들(G1~Gn)에 접속된 게이트 구동회로(13), 데이터 구동회로(12)와 게이트 구동회로(13)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11), 액정표시패널(10)의 구동 전압을 발생하는 모듈 전원회로(15), 백라이트 유닛(16)의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광원 구동회로(18)를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10), 백라이트 유닛(16), 데이터 구동회로(12), 게이트 구동회로(13), 모듈 전원회로(15) 및 광원 구동회로(18)는 전 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잔상 제거 설정 핀(11a)이 없는 일반적인 타이밍 콘트롤러(11)로 구현된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시스템 보드(14)로부터 입력되는 잔상 제거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회로(12)의 소스 드라이브 IC들에 공급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비휘발성 메모리(19)에 저장된 시간 만큼 잔상 제거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회로(12)에 공급한다.
시스템 보드(14)는 유저 인터페이스(17)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잔상 제거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보드(14)는 유저 인터페이스(17)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비휘발성 메모리(19)에 저장된 시간 설정 데이터(Ts)를 변경할 수 있다.
시스템 보드(14)는 잔상 제거 모드에서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제1 전원 전압(Vin)을 모듈 전원회로(15)에 입력하는 반면, 제2 전원 전압(Vls)을 발생하지 않는다. 모듈 전원회로(15)는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액정표시패널의 아날로그 구동전압들을 발생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와 게이트 구동회로(13)는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모듈 전원회로(15)로부터의 아날로그 구동 전압으로 액정표시패널의 액정셀들을 구동한다. 백라이트 유닛(16)은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광원 구동회로로부터 출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소등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시스템 보드(14)에 잔상 제거 기능이 설정되었다면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내에서 잔상 제거 데이터 전압이 액정표시패널(10)의 액정셀들 에 인가된다. 이 때, 백라이트 유닛은 소등되어 있으므로 액정표시패널(10)에는 잔상 제거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잔상 제거방법의 제어 수순을 단계적으로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타이밍 콘트롤러 또는 시스템 보드에 잔상 제거 기능을 설정한다.(S1) 타이밍 콘트롤러 또는 시스템 보드에 잔상 제거 기능이 설정되면,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를 소등한 상태에서 모듈 전원회로(15)를 구동시켜 패널 구동 전압들을 발생하여 패널 구동회로들(11, 12, 13)을 구동한다.(S2) 그리고 본 발명은 액정셀 내의 이온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잔상 제거 데이터를 발생한다.(S3) 타이밍 콘트롤러(11)는 비활성 메모리(19)에 저장된 시간만큼 잔상 제거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회로(12)에 공급한다.(S4)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잔상 제거방법의 제어 수순을 단계적으로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정표시패널 11 : 타이밍 콘트롤러
12 : 데이터 구동회로 13 : 게이트 구동회로
15 : 모듈 전원회로

Claims (4)

  1. 다수의 데이터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고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잔상 제거 모드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소등시키고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데이터라인들에 잔상 제거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정상 구동 모드에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데이터라인들에 비디오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점등시키는 패널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동회로는,
    감마기준전압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데이터전압을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회로;
    게이트 하이전압과 게이트 로우전압 사이에서 스윙하는 게이트 펄스를 상기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제1 전원 전압이 입력될 때, 상기 감마기준전압들, 상기 게이트 하이전압, 상기 게이트 로우전압, 및 상기 액정셀들의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공통전압을 발생하는 모듈 전원회로;
    제2 전원 전압이 입력될 때,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을 점등하는 광원 구 동회로;
    상기 잔상 제거 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디지털 잔상 제거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하고 상기 정상 구동 모드에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와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콘트롤러; 및
    상기 잔상 제거 모드에서 상기 제1 전원 전압만을 발생하고, 상기 정상 구동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원 전압들을 발생하는 시스템 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는,
    상기 잔상 제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다수의 데이터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고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잔상 제거방법에 있어서,
    잔상 제거 모드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소등시키고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데이터라인들에 잔상 제거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단계; 및
    정상 구동 모드에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데이터라인들에 비디오 데이터 전 압을 공급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점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잔상 제거방법.
KR1020090098356A 2009-10-15 2009-10-15 액정표시장치와 그 잔상 제거방법 Withdrawn KR20110041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356A KR20110041266A (ko) 2009-10-15 2009-10-15 액정표시장치와 그 잔상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356A KR20110041266A (ko) 2009-10-15 2009-10-15 액정표시장치와 그 잔상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266A true KR20110041266A (ko) 2011-04-21

Family

ID=4404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356A Withdrawn KR20110041266A (ko) 2009-10-15 2009-10-15 액정표시장치와 그 잔상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12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4394A (ko) * 2012-11-20 201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19219582A (ja) * 2018-06-21 2019-12-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4394A (ko) * 2012-11-20 201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19219582A (ja) * 2018-06-21 2019-12-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72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10379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834498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03593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86886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285054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50187308A1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Driving At Low Speed
KR102325816B1 (ko) 저속 구동이 가능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27912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1824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585687B1 (ko) 액정표시장치
US997832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69647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46544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615765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88593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773609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60448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5200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588897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41266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잔상 제거방법
KR102259344B1 (ko) 표시장치용 표시패널
KR20070121284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21392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70115537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