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672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40672A KR20110040672A KR1020100090803A KR20100090803A KR20110040672A KR 20110040672 A KR20110040672 A KR 20110040672A KR 1020100090803 A KR1020100090803 A KR 1020100090803A KR 20100090803 A KR20100090803 A KR 20100090803A KR 20110040672 A KR20110040672 A KR 201100406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ts
- control information
- component carrier
- identification information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1168730 Simo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PDCCH)의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 DCI) 포맷(format)을 통해 각각의 요소 반송파에게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각 DCI format이 전달하는 상기 제어정보가 각 요소 반송파 중 어느 요소 반송파를 위한 것인지를 추가적인 요소 반송파 지시자(Component Carrier Indicator: CC Indicator)를 통해 식별하기 위해, DCI format을 위한 CC indicator를 구성하는 방법 및 전송하는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에 대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의 하향링크제어정보(DCI) 포맷을 통해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CC)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각 요소 반송파(CC)별로 기지국 및 유저장치(User Equipment : UE)를 위한 제어정보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CC)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에 대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요소 반송파에 대한 제어정보를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의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포맷(format)을 통해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정해진 길이의 비트를 이용하여 특정 요소 반송파에 대한 구성을 지시하는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정해진 길이의 비트를 이용하여 특정 요소 반송파의 구성 여부 및 구성된 요소 반송파의 개수를 지시하는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일측면에서,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어느 요소 반송파를 위한 것인지 식별하는 0비트 내지 m비트(m은 자연수(0보다 큰 정수))의 식별정보를 상기 특정 제어정보에 추가하여 제어채널에 할당하며,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0비트로서 추가되는 식별정보가 없을 경우, 상기 특정 제어정보는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0비트보다 크고 m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다수 요소 반송파(CC)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각 요소 반송파의 PDCCH의 DCI 포맷이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를 위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다수 요소 반송파(CC)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요소 반송파(CC)의 PDCCH의 DCI 포맷이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뿐만 아니라 다른 CC를 위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위치 및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와 위치에 상관없이 각 요소 반송파(CC)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numbering)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위치에는 상관없지만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를 고려하여 각 요소 반송파(CC)의 번호를 넘버링(numbering)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요소 반송파(CC) 번호를 0으로 하고, 나머지 요소 반송파(CC)들의 CC 번호를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의 개수와 위치에 상관없이 일괄적으로 넘버링(numbering)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요소 반송파(CC) 번호를 0으로 하고,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를 고려하여 각 요소 반송파의 번호를 넘버링(numbering) 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PDCCH의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PDCCH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송신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다수 요소 반송파(CC)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각 요소 반송파의 PDCCH의 DCI 포맷이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를 위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다수 요소 반송파(CC)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요소 반송파(CC)의 PDCCH의 DCI 포맷이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뿐만 아니라 다른 CC를 위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위치 및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와 위치에 상관없이 각 요소 반송파(CC)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numbering)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위치에는 상관없지만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를 고려하여 각 요소 반송파(CC)의 번호를 넘버링(numbering)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요소 반송파(CC) 번호를 0으로 하고, 나머지 요소 반송파(CC)들의 CC 번호를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의 개수와 위치에 상관없이 일괄적으로 넘버링(numbering)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요소 반송파(CC) 번호를 0으로 하고,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를 고려하여 각 요소 반송파의 번호를 넘버링(numbering) 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PDCCH의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PDCCH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송신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10)은 무선 통신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10)과 기지국(20)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특히, GSM, WCDMA, HSPA를 거쳐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OFDM기반의 비동기 무선통신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요구조건 중 가장 중요한 조건 중 하나는 높은 데이터 전송율 요구량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CoMP(Cooperative Multiple Point transmission), 릴레이(relay) 등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으나 가장 기본적이고 안정적인 해결 방안은 대역폭을 늘리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주파수 자원은 포화상태이며 다양한 기술들이 광범위한 주파수 대역에서 부분부분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높은 데이터 전송율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광대역 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재해 있는 대역들 각각이 독립적인 시스템을 동작할 수 있는 기본적인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설계하고 다수의 대역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는 개념인 캐리어 집합체(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함)을 도입하였다. 이 때 각각의 독립적인 운용이 가능한 대역을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이하 "CC"라 함)라고 정의하며 다수 개의 요소 반송파들을 이용하여 단말(10) 또는 기지국 또는 셀(20)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서 전송/수신 광대역 대역폭을 확보함으로써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이때 모든 요소 반송파들은 하나의 요소 반송파만 사용하는 것과 호환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하나의 요소 반송파는 캐리어 집합체를 사용하기 이전의 하나의 무선통신 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각각의 요소 반송파는 각각 최대 20MHz 대역을 가질 수 있으며, LTE-Advanced에서는 이러한 5개의 요소 반송파들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요소 반송파는 각각이 독립적인 시스템 동작이 가능하므로 단말(10)은 최소 한 개의 요소 반송파 만으로도 정상적인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며 다수 개의 요소 반송파를 이용해 동시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이렇게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의 하향링크제어정보(DCI) 포맷(format)를 통해 각각의 요소 반송파(CC)에게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각 DCI 포맷이 전달하는 제어정보가 각 요소 반송파(CC) 중 어느 요소 반송파(CC)를 위한 것인지를 식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DCI 포맷에 요소 반송파 지시자(Component Carrier Indicator: CC Indicator)에 해당하는 추가적인 비트(additional bit)를 추가하여, 이를 통해 각 DCI 포맷이 전달하는 상기 제어정보가 각 요소 반송파(CC) 중 어느 요소 반송파(CC)를 위한 것인지를 식별하는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이 추가적인 비트는 최대 3비트까지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새로운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를 구성하는 방법과 이를 전송하는 방법을 통해, 각 DCI 포맷에 요소 반송파 지시자를 위한 추가 비트를 최대 1비트 또는 2비트로 줄여 오버헤드를 줄이고자 한다. 또한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각 DCI 포맷에 요소 반송파 지시자를 위한 추가 비트가 없게끔 구성하여,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compatibility)를 유지하고자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다수 요소 반송파(CC)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각 요소 반송파의 PDCCH의 DCI 포맷이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를 위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수 요소 반송파(CC) 각각은 무선 프레임(radio frame) 단위로 자원을 전송한다. 이때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이때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2개의 연속적인(consecutive) 슬롯을 포함한다. 하향링크(Downlink)의 경우, 서브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 OFDM 심벌들이 PDCCH가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벌들은 PDSCH가 할당되는 데이터영역(data region)이 된다. 제어영역에는 PDCCH 이외에도 PCFICH, PHICH 등의 제어채널이 할당될 수 있다. 단말(10)은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디코딩하여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정보를 읽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영역이 3 OFDM 심벌을 포함하는 것은 예시에 불과하다. 서브프레임 내 제어영역이 포함하는 OFDM 심벌의 수는 PCFICH를 통해 알 수 있다.
복수의 단말(10)에 대한 다중화된 복수의 PDCCH가 제어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PDCCH는 스케줄링 결정 및 전력 제어 명령과 같은 DCI를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DCI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Downlink scheduling assignments)과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Uplink scheduling grants), 전력 제어 명령(Power control commands) 등의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제어정보의 다른 타입은 다른 DCI 메시지 크기에 대응된다. 따라서 DCI는 다른 DCI 포맷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DCI 포맷은 메시지 크기와 용도에 대응된다. DCI 포맷들은 예를 들어 DCI 포맷 0(UL-SCH assignments), 1(DL-SCH assignments for SIMO operation), 1A(compact DL-SCH assignments for SIMO operation), 2(DL-SCH assignments for MIMO operation), 3(TPC commands for PUCCH and PUSCH with 2-bit power adjustments), 3A(TPC commands for PUCCH and PUSCH with single bit power adjustments)등과 같이 6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의 PDCCH는 위에서 언급한 DCI 포맷들 중 하나로 하나의 메시지를 운반한다. 다수의 단말들(10)이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상에서 동시에 스케줄링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에 다수의 스케줄링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스케줄링 메시지는 별도의 PDCCH 상에 전송되므로 각 셀내에서 동시에 다수의 PDCCH 전송이 있을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일반적인 다수 요소 반송파(CC)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각 요소 반송파의 PDCCH의 DCI 포맷은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를 위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DCI 포맷은 다수 요소 반송파(CC)들 각각에 대해서 PDCCH에 해당 CC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이 각각 존재한다.
따라서, 하향링크의 각 요소 반송파의 PDCCH는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PDSCH와 페어링(pairing)되어 있다. 따라서 각 DCI 포맷이 전달하는 제어정보가 각 요소 반송파(CC) 중 어느 요소 반송파(CC)를 위한 것인지를 식별할 필요가 없다.
단말(10)은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하향링크의 각 요소 반송파의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디코딩하여 하향링크의 각 요소 반송파의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정보를 읽을 수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다수 요소 반송파(CC)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요소 반송파(CC)의 PDCCH의 DCI 포맷이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뿐만 아니라 다른 CC를 위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특정 CC(CC X)는 해당 CC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DCI format X)이 존재하지만, 특정 다른 CC(CC 0)는 해당 CC(CC 0) 및 다른 CC(CC 1) 등 복수개의 CC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들(DCI format A, B)이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하나의 CC의 PDCCH에 모든 CC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들이 모두 존재할 수도 있다.
이때, 특정 요소 반송파(CC)의 PDCCH의 DCI 포맷이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CC를 위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즉 특정 요소 반송파(CC)에서 해당 CC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CC 등 복수개의 CC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들이 존재할 경우, 각 DCI 포맷이 전달하는 제어정보가 각 요소 반송파(CC) 중 어느 요소 반송파(CC)를 위한 것인지를 식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DCI 포맷에 요소 반송파 지시자(Component Carrier Indicator: CC Indicator)에 해당하는 추가적인 비트(additional bit)를 추가하고, 이를 통해 각 DCI 포맷이 전달하는 상기 제어정보가 각 요소 반송파(CC) 중 어느 요소 반송파(CC)를 위한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LTE-Advanced 시스템의 경우 각각이 최대 20MHz 대역을 갖는 5개의 요소 반송파들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이 추가적인 비트는 최대 3비트까지 고려하고 있다.
도 4는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위치 및 실질적으로 통신상에서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와 위치에 상관없이 각각의 모든 요소 반송파(CC)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numbering)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LTE-Advanced와 같이 5개의 CC를 고려하는 시스템이라면 CC번호를 0에서 4까지 일괄적으로 표현할 경우, 표 1과 같은 맵핑(mapping) 방법으로 DCI 포맷에 3비트의 추가적인 비트(additional bit)로 요소 반송파 지시자(Component Carrier Indicator: CC Indicator)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요소 반송파는, 요소 반송파 지시자(Component Carrier Indicator: CC Indicator)의 대상이 되는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해당 요소 반송파(CC)이다.
[표 1]
각 DCI 포맷이 전달하는 제어정보가 각 요소 반송파(CC) 중 어느 요소 반송파(CC)를 위한 것인지를 요소 반송파 지시자(Component Carrier Indicator: CC Indicator)로 식별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해당 요소 반송파(CC)가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DCI 포맷마다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는 다를 수 있으나, 각각의 DCI 포맷 별로는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는 하나가 된다 (Reference CC is 'DCI format-specific'). 또한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는 실질적으로 상/하향링크 간에 송수신을 주고 받는 활성화된(active) 요소 반송파(CC)일 수도 있으며, 엄밀하게는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 등을 주고 받기 위해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위치 및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와 위치에 상관없이 각 요소 반송파(CC)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numbering) 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LTE-Advanced와 같이 5개의 CC를 고려하는 시스템이라면 CC번호를 0에서 4까지 표현할 경우, 표 2와 같은 맵핑(mapping)방법으로 표 1과 같은 맵핑(mapping)방법과는 달리 DCI 포맷에 0비트 혹은 2비트의 추가적인 비트(additional bit)로 요소 반송파 지시자(Component Carrier Indicator: CC Indicator)를 구성할 수도 있다.
[표 2]
이 때 0비트는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DCI 포맷에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를 위한 추가 비트가 없게끔(no CC indicator field) 구성하여,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compatibility)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해당 CC와 다른 CC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는 2비트로 표시 함으로서, 기존 표 1과 같은 직관적인 방법에 의한 3비트보다 비트수를 줄임으로 인해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이 때 요소 반송파 지시자(Component Carrier Indicator: CC Indicator)의 비트 길이가 0비트 혹은 2비트인지는 전체 DCI 포맷의 전체 비트수에서 시계열로 "0"들을 추가한 제로 패딩(zero padding)으로 들어오는 비트 수가 몇 비트인지를 보고 알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0비트인 DCI 포맷은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2비트인 DCI 포맷보다 시계열로 추가된 "0" 비트수가 2비트 많다.
도 4 및 표 2를 참조하면, Rnumber는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CC 번호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5개의 CC 중 4개의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를 사용할 경우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가 CC 2인 Case A의 경우 Rnumber=2이며,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가 0비트로 들어올 경우(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0비트인 DCI 포맷은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2비트인 DCI 포맷보다 시계열로 추가된 "0"의 비트수가 2비트 많을 경우) 해당 DCI 포맷은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해당 CC인 CC 2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이다. 또한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가 2비트로 들어오면 DCI 포맷은 각각 그 비트값이 00이면 CC 3, 01이면 CC 4, 10이면 CC 0, 11이면 CC 1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이다.
같은 방식으로 도 4에서 5개의 CC 중 3개의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며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가 CC 3인 Case B의 경우 Rnumber=3이며,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가 0비트로 들어올 경우 해당 DCI 포맷은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해당 CC인 CC 3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이다. 또한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가 2비트로 들어오면 DCI 포맷은 각각 그 비트값이 00이면 CC 4, 01이면 CC 0, 10이면 CC 1, 11이면 CC 2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이다.
도 5는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위치에는 상관없지만 실질적으로 통신상에서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를 고려하여, 요소 반송파(CC)의 번호를 넘버링(numbering)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구성되지 않은(Non-configured) 요소 반송파를 제외하고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에 대해서만 각 요소 반송파(CC)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numbering)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Case A의 경우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4로 구성되지 않은(Non-configured) 요소 반송파를 제외하고 각 요소 반송파의 번호를 CC 0 내지 CC 3으로 일괄적으로 넘버링한다. 또한, 도5에서 Case B의 경우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3으로 구성되지 않은(Non-configured) 요소 반송파를 제외하고 각 요소 반송파의 번호를 CC 0 내지 CC 2로 일괄적으로 넘버링한다.
이 때 표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1개일 때는 요소 반송파 지시자(Component Carrier Indicator: CC Indicator)를 위한 추가적인 비트는 없으며(0비트),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2~3개 일 때는 0비트 혹은 1비트의 추가적인 비트(additional bit)로,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4~5개 일 때는 0비트 혹은 2비트의 추가적인 비트(additional bit)로 요소 반송파 지시자(Component Carrier Indicator: CC Indicator)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0비트는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이는 DCI 포맷에 CC indicator를 위한 추가 비트가 없게끔(no CC indicator field) 구성하여,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compatibility)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해당 CC와 다른 CC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는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에 따라 1비트 혹은 2비트로 표시함으로써, 기존 표 1과 같은 직관적인 방법에 의한 3비트 및 표 2의 2비트인 경우보다 비트수를 더욱 줄일 수 있음으로 인해 오버헤드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이 때 요소 반송파 지시자(Component Carrier Indicator: CC Indicator)의 비트 길이가 0비트 혹은 1비트 내지 2비트인지는 전체 DCI 포맷의 비트수에서 시계열로 "O"들을 추가한 제로 패딩(zero padding)으로 들어오는 비트 수가 몇 비트인지를 보고 알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0비트인 DCI 포맷은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2비트인 DCI 포맷보다 시계열로 추가된 "O"의 비트수가 2비트 많고,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1비트인 DCI 포맷은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2비트인 DCI 포맷보다 시계열로 추가된 "O"의 비트수가 1비트 많다.
[표 3]
도 5 및 표 3을 참조하면, Rnumber는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CC 번호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5개의 CC 중 4개의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를 사용하며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가 CC 2인 Case A의 경우 Rnumber=2이며,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는 0비트 혹은 2비트로 들어올 수 있다. 이 때,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가 0비트로 들어올 경우 해당 DCI 포맷은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해당 CC인 CC 2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이며,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가 2비트로 들어오면 DCI 포맷은 각각 그 비트값이 00이면 CC 3, 01이면 CC 0, 10이면 CC 1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이다.
같은 방식으로 도 5에서 5개의 CC 중 3개의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를 사용하며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가 CC 2인 Case B의 경우 Rnumber=2이며,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는 0비트 혹은 1비트로 들어올 수 있다. 이 때,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가 0비트로 들어올 경우 해당 DCI 포맷은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해당 CC인 CC 2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이며,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가 1비트로 들어오면 DCI 포맷은 각각 그 비트값이 0이면 CC 0, 1이면 CC 1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이다.
이상,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DCI 포맷에 CC indicator를 위한 추가 비트가 없게끔(no CC indicator field) 구성하여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compatibility)를 유지하고,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해당 CC와 다른 CC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는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에 따라 1비트 혹은 2비트로 표시함으로써,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기준 요소 반송파(CC)는, 요소 반송파 지시자(Component Carrier Indicator: CC Indicator)의 대상이 되는 DCI 포맷이 존재하는 요소 반송파(CC)이다. 각 DCI 포맷이 전달하는 제어정보가 각 요소 반송파(CC) 중 어느 요소 반송파(CC)를 위한 것인지를 요소 반송파 지시자(Component Carrier Indicator: CC Indicator)로 식별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해당 요소 반송파(CC)가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DCI 포맷마다 상기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는 다를 수 있으나, 각각의 DCI 포맷 별로는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는 하나가 된다.
하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는, 이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는 앵커 요소 반송파(anchor CC)일 수도 있다. 앵커 요소 반송파는 다수의 CC들 중에서 무선통신 시스템의 송수신과정에서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핵심이 되는 역할을 수행하는 CC라고 할 수 있다. 이럴 경우,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는 앵커 요소 반송파(anchor CC)가 바뀌지 않는 한, 각각의 DCI 포맷이 존재하는 PDCCH가 속하는 각각의 해당 CC와 상관없이 일정한 하나가 된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앵커 요소 반송파와 동등 또는 유사한 개념으로서, 서빙셀 또는 주 서빙 셀 (Primary serving cell; 이하,'PCell'라 함)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 기지국과 UE간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CC 들을 서빙 셀(serving cell)이라 정의한다. 따라서 기지국과 UE간에는 다수의 서빙 셀이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 서빙 셀 또는 요소 반송파(CC)를 PCell 또는 주요소 반송파(Primary Component Carrier: PCC)라고 정의할 수 있다.
- 언제나 셀 식별자(Cell index) 또는 요소 반송파 지시자는 0 이다.
- 언제나 하향링크(DL) CC와 상향링크(UL) CC와 쌍(pair)으로 구성된다.
- 각 UE마다 다른 CC를 PCell로 설정할 수 있다.
- 항상 활성화(activation) 되어 있다.
- PCell의 DL CC, UL CC를 통해서만 랜덤 엑세스 절차를 진행한다. 단, MSG4 (contention resolution) 의 경우, MSG4를 지시하는 PDCCH만 DL PCC를 통하여 전송되어야 하고 MSG4 정보는 DL PCC 또는 아래에서 설명할 부서빙 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 PCell의 UL를 통해서만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전송된다.
- NAS(non-access stratum) 정보는 DL PCC를 통해서 수신한다.
- 보안 키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 RRC Re-establishment는 DL PCC에서 RLF(radio link failure)가 감지되거나, UL PCC를 통한 랜덤 엑세스의 최대 재시도 횟수가 초과되는 경우에만 트리거링 된다.
상기 PCell 이 외의 서빙 셀들은 부서빙 셀(Secondary serving cell; 이하, 'SCell'이라 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PCell를 구성하는 CC를 주요소 반송파(primary CC ; 이하 'PCC' 라 함)라 하고 SCell를 구성하는 CC를 부요소 반송파(secondary CC ; 이하 'SCC' 라 함)라 표현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기준 요소 반송파는 전술한 앵커 요소 반송파이거나, PCC가 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준 요소 반송파가 앵커 요소 반송파 또는 PCC가 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이상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기준 요소 반송파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numbering)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하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요소 반송파(CC) 번호를 0으로 하고, 나머지 CC들의 CC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numbering)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요소 반송파(CC) 번호를 0으로 하고, 실질적으로 통신상에서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와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기준 요소 반송파를 제외한 나머지 각각의 요소 반송파들 모두에 대해서 요소 반송파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numbering)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Case A의 경우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4로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요소 반송파(CC) 번호를 0으로 하고 나머지 요소 반송파의 번호를 CC 1 내지 CC 4로 일괄적으로 넘버링한다. 또한, 도5에서 Case B의 경우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3으로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요소 반송파(CC) 번호를 0으로 하고 나머지 요소 반송파의 번호를 CC 1 내지 CC 4로 일괄적으로 넘버링한다. 기준 요소 반송파 번호를 0으로 넘버링하므로 그 이후 나머지 요소 반송파의 번호가 달리지게 된다.
이 경우 표 4와 같은 맵핑(mapping) 방법으로, DCI 포맷에 0비트 혹은 2비트의 추가적인 비트(additional bit)로 요소 반송파 지시자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0비트는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이는 DCI 포맷에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를 위한 추가 비트가 없게끔(no CC indicator field) 구성하여,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해당 CC와 다른 CC로 하향링크 할당 및 상향링크 승인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는 2비트로 표시 함으로서, 표 1과 같은 직관적인 방법에 의한 3비트보다 비트수를 줄임으로 인해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이 때 요소 반송파 지시자(Component Carrier Indicator: CC Indicator)의 비트 길이가 0비트 혹은 2비트인지는 전체 DCI 포맷의 전체 비트수에서 시계열로 "0"들을 추가한 제로 패딩(zero padding)으로 들어오는 비트 수가 몇 비트인지를 보고 알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0비트인 DCI 포맷은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2비트인 DCI 포맷보다 시계열로 추가된 "O"의 비트수가 2비트 많다.
[표 4]
도 7은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요소 반송파(CC) number를 0으로 하고, 실질적으로 통신상에서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에 따라 각 요소 반송파(CC)의 번호를 넘버링(numbering) 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요소 반송파(CC) 번호를 0으로 하고, 구성되지 않은(Non-configured) 요소 반송파를 제외하고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에 대해서만 각 요소 반송파(CC)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numbering)한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Case A의 경우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4로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요소 반송파(CC) 번호를 0으로 하고, 구성되지 않은(Non-configured) 요소 반송파를 제외하고 각 요소 반송파의 번호를 CC 1 내지 CC 3으로 일괄적으로 넘버링한다. 또한, 도 7에서 Case B의 경우 구성된 요소 반송파의 개수가 3으로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요소 반송파(CC) 번호를 0으로 하고, 구성되지 않은(Non-configured) 요소 반송파를 제외하고 각 요소 반송파의 번호를 CC 1 및 CC 2로 일괄적으로 넘버링한다.
이 때 표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구성된 요소 반송파의 개수가 1개 일 때는 요소 반송파 지시자를 위한 추가적인 비트는 없으며(0비트), 구성된 요소 반송파의 개수가 2~3개 일 때는 0비트 혹은 1비트의 추가적인 비트(additional bit)로, 구성된 요소 반송파의 개수가 4~5개 일 때는 0비트 혹은 2비트의 추가적인 비트(additional bit)로 요소 반송파 지시자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0비트는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로 하향링크 할당 및 상향링크 승인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이는 DCI 포맷에 요소 반송파 지시자를 위한 추가 비트가 없게끔(no CC indicator field) 구성하여,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compatibility)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해당 CC와 다른 CC로 하향링크 할당 및 상향링크 승인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는 구성된 요소 반송파의 개수에 따라 1비트 혹은 2비트로 표시 함으로서, 표 1과 같은 직관적인 방법에 의한 3비트 및 표 4의 2비트인 경우보다 비트수를 더욱 줄일 수 있음으로 인해 오버헤드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이 때 요소 반송파 지시자(Component Carrier Indicator: CC Indicator)의 비트 길이가 0비트 혹은 1비트 내지 2비트인지는 전체 DCI 포맷의 비트수에서 시계열로 "O"들을 추가한 제로 패딩(zero padding)으로 들어오는 비트 수가 몇 비트인지를 보고 알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0비트인 DCI 포맷은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2비트인 DCI 포맷보다 시계열로 추가된 "O"의비트수가 2비트 많고,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1비트인 DCI 포맷은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2비트인 DCI 포맷보다 시계열로 추가된 "O"의 비트수가 1비트 많다.
[표 5]
위에서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를 구성하는 방법과 이를 전송하는 방법에 의하면,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로 하향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상향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각 DCI 포맷에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를 위한 추가 비트가 없게끔 구성하여,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 (backward-compatibility)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각 DCI 포맷에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를 위한 추가 비트를 최대 1비트 또는 2비트로 줄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도 8은 PDCCH의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20)은 단말에게 보내려는 정보 페이로드 포맷(Information paylaod format)에 따라 PDCCH 페이로드를 구성한다. 정보 페이로드 포맷에 따라 PDCCH 페이로드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다. 정보 페이로드 포맷은 DCI 포맷일 수 있다.
이때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페이로드 포맷이 DCI 포맷인 경우 특정 CC(CC X)는 해당 CC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DCI format X)이 존재하지만, 특정 다른 CC(CC 0)는 해당 CC(CC 0) 및 다른 CC(CC 1) 등 복수개의 CC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들(DCI format A, B)이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하나의 CC의 PDCCH에 모든 CC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들이 모두 존재할 수도 있다.
이때 DCI 포맷별로 각 DCI 포맷이 전달하는 제어정보가 각 요소 반송파(CC) 중 어느 요소 반송파(CC)를 위한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해 도 4 내지 도 7(기타 설명 포함)를 참조하여 설명한 요소 반송파 지시자를 포함하지 않거나 1 내지 2비트, 또는 아래 표 7 이하를 참고하여 설명될 3비트의 요소 반송파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 DCI 포맷의 비트수에서 시계열로 "O"들을 추가하여 제로 패딩(zero padding)할 때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0비트 혹은 1비트 내지 3비트에 따라 추가하는 O의 개수를 달리한다.
단계 S110에서, 각각의 PDCCH 페이로드에 에러 검출(error detection)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부가한다. CRC에는 PDCCH의 소유자(owner)나 용도에 따라 식별자(이를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라고 한다)가 마스킹된다.
단계 S120에서, CRC가 부가된 제어정보를 채널 코딩을 수행하여 부호화된 데이터(coded data)를 생성한다.
단계 S130에서, PDCCH 포맷에 할당된 CCE 집단 레벨에 따른 전송률 매칭(rate matching)을 수행한다.
단계 S140에서,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변조 심벌들을 생성한다. 단계 S150에서, 변조심벌들을 물리적인 자원요소에 맵핑(CCE to RE mapping)한다.
도 9는 PDCCH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단말(10)은 물리적인 자원요소를 CCE로 디맵핑(CCE to RE demapping)한다. 단계 S220에서, 단말(10)은 자신이 어떤 CCE 집단 레벨로 PDCCH를 수신해야 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자신의 전송 모드에 따른 참조 DCI 포맷에 해당하는 페이로드가 가질 수 있는 CCE 집단 레벨에 대해서 복조(Demodulation)한다.
단계 S230에서, 단말(10)은 복조된 데이터를 해당 페이로드와 CCE 집단 레벨에 따라 전송률 디매칭(rate dematching)을 수행한다.
단계 S240에서, 부호화된 데이터를 코드 레이트에 따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고, CRC를 체크하여 에러 발생 여부를 검출한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 단말(10)은 자신의 PDCCH를 검출한 것이다. 만일, 에러가 발생하면, 단말(10)은 다른 CCE 집단 레벨이나, 다른 DCI 포맷에 대해서 계속해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단계 S250에서, 자신의 PDCCH를 검출한 단말(10)은 디코딩된 데이터에 CRC를 제거하여, 단말(1)에 필요한 제어정보를 획득한다. 단말(10)은 제어정보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 지시자를 확인한 후 이 제어정보가 각 요소 반송파 중 어느 요소 반송파를 위한 것인지 식별한다.
이 때 단말(10)은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0비트 혹은 1비트 내지 2비트, 또는 아래 표 7 이하를 참고하여 설명될 3비트인지는 전체 DCI 포맷의 비트수에서 시계열로 "O"들을 추가한 제로 패딩(zero padding)으로 들어오는 비트 수가 몇 비트인지를 보고 알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0비트인 DCI 포맷은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비트 길이가 3비트, 2비트 혹은 1비트인 DCI 포맷보다 시계열로 추가된 "O"의 비트수가 각각 3비트, 2비트, 혹은 1비트가 많다.
이 제어정보에 포함된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Downlink scheduling assignments)과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 전력 제어 명령(Power control commands) 정보를 이용하여 요소 반송파 지시지가 식별한 해당 요소 반송파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과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 전력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 내지 도 5의 예로 도시되는 실시예의 경우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는 제 1측면에서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의 대상이 되는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해당 요소 반송파(CC)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는 앵커 요소 반송파(anchor CC) 혹은 주요소반송파(PCC)일 수도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의 예로 도시되는 실시예의 경우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는 앵커 요소 반송파(anchor CC) 혹은 주요소반송파(PCC)인 것을 설명하였으나,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는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의 대상이 되는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해당 요소 반송파(CC)일 수도 있다.
한편, 어떤 경우이든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가 요소 반송파 지시자의 대상이 되는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해당 CC일 경우, 각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의 위치가 DCI 포맷별로 서로 다를 수 있어, 즉 각 DCI 포맷에 따라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위치가 서로 다를 수 있기에, 도 4 내지 도 5의 예처럼 CC 넘버링(numbering)이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위치와 상관없이 고정적인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또한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가 앵커 CC 혹은 주요소반송파(PCC)일 경우, 각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의 위치에 상관없이 앵커 CC 혹은 주요소반송파(PCC)가 바뀌지 않는 한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위치는 동일하다. 따라서, 6 내지 도 7의 예처럼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의 CC 번호를 0으로 하고, 나머지 CC에 대해서 넘버링(numbering)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든 요소 반송파 지시자(CC Indicator)의 대상이 되는 DCI 포맷이 존재하는 해당 CC 및 앵커 CC 혹은 주요소반송파(PCC)이외에, 다수의 CC 중에서 특정 기준이 될 수 있으며 그 기준을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면 기준 요소 반송파(reference CC)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측면 및 제 2측면 또는 도 4 내지 도 7의 예처럼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 DCI) 포맷(format)를 위한 요소 반송파 지시자(Component Carrier Indicator: CC Indicator)를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요소 반송파 지시자가 DCI 포맷에 포함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 요소 반송파 지시자는 서브프레임의 제어영역 어디에 어떤 채널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서브프레임은 제어 영역(control region)과 데이터 영역(data region)으로 나눌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 실시예들에서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어느 요소 반송파를 위한 것인지 식별하는 0비트 내지 2비트의 식별정보를 특정 제어정보에 추가하여 제어채널에 할당하는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0비트로 추가되는 식별정보가 없을 경우, 특정 제어정보는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이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1 또는 2인 경우, 식별정보는 특정 제어정보가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하나에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어느 요소 반송파를 위한 것인지 식별하는 0비트 내지 m비트(m은 0보다 큰 자연수)의 식별정보를 특정 제어정보에 추가하여 제어채널에 할당하는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0비트로 추가되는 식별정보가 없을 경우, 특정 제어정보는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이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0비트보다 크고 m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식별정보는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m은 상기 실시 예들에서와 같이 2일 수도 있으나 이보다 작거나 클 수도 있다.
즉, 어느 요소 반송파의 제어정보인지를 식별하는 식별정보로서의 m비트에서 m은 2보다 큰 경우, 예를 들면 3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아래에서는 m이 3인 경우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한다.
아래 설명에서는 기준 요소 반송파가 전술한 PCC이고, 기준 요소 반송파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 반송파를 SCC라고 가정한다.
일 예로, 기지국과 UE간 구성 가능한 CC의 개수가 최대 5개인 경우, PCell 1개와 SCell 4개로 구성된다. 만일, 크로스 반송파 스케쥴링(cross carrier scheduling)이 해당 UE에 적용되어 모든 서빙 셀들의 PDCCH가 PCell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DCI에 대한 CC 식별정보(indicator)는 [표 6] 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표 6]
이러한 표 6은 전술한 표 5의 5)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이와 동일한 경우에 아래의 [표 7] 과 같이 식별정보로서 0 또는 3비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표 7]
또한, 기지국과 UE간 구성 가능한 CC의 개수가 최대 8개 인 경우, PCell 1개와 SCell 7개로 구성된다. 만일, 크로스 반송파 스케쥴링(cross carrier scheduling)이 해당 UE에 적용되어 모든 서빙 셀들의 PDCCH가 PCell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DCI에 대한 CC 식별정보(indicator)는 [표 8] 과 같이 0 또는 3비트로 구성할 수 있다.
[표 8]
또한, 기지국과 UE간 구성 가능한 CC의 개수가 최대 9개 인 경우, PCell 1개와 SCell 8개로 구성된다. 만일, 크로스 반송파 스케쥴링(cross carrier scheduling)이 해당 UE에 적용되어 모든 서빙 셀들의 PDCCH가 PCell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DCI에 대한 CC 식별정보(indicator)는 [표 9]와 같이 0 또는 3비트로 구성할 수 있다.
[표 9]
상기 [표 6]~[표 9]에서의 셀 인덱스(Cell Index; CI)와 CC 식별정보(indicator)와의 매핑(mapping)은 기지국과 UE간에 고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6]~[표 9]에서의 셀 인덱스(Cell Index; CI)와 CC 식별정보(indicator)와의 매핑(mapping)은 기지국에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채널을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받는 모든 UE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으며, L3 (RRC) 메시지를 통하여 모든 UE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각 UE에게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대 5개의 CC를 구성할 수 있는 UE의 경우, [표 6]에 의한 0 또는 2비트의 식별정보 또는 [표 7]에 의한 0 또는 3비트의 CC 식별정보를 RRC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하고, 최대 8개의 CC를 구성할 수 있는 UE는 [표 8]에 의한 0 또는 3비트의 CC 식별정보를 RRC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최대 9개의 CC를 구성할 수 있는 UE는 [표 9]에 의한 0 또는 3비트의 CC 식별정보를 RRC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최대 5개의 CC를 구성할 수 있는 UE들이 존재하는 경우, 일부 UE는 [표 7]와 같이 정보를 수신하고 그 이외의 UE는 아래 [표 10]과 같은 CC 식별정보(indicator)를 수신할 수 있다.
[표 10]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송신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기지국이 될 수 있으며, 기지국과 결합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체 구성은 송신부(1010), 변조부(1020), 제어부(1030)로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요소반송파 식별정보 저장부(1040)을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30)는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어느 요소 반송파를 위한 것인지 식별하여, 상기 요소 반송파를 지시하는 0비트 내지 m비트(m은 0보다 큰 정수)의 식별정보를 상기 특정 제어정보에 추가한다. 그리고, 변조부(1020)는 상기 특정 제어정보를 제어채널에 매핑할 수 있도록 변조하여 변조 심벌을 생성하고, 송신부(1010)는 상기 변조 심벌을 사용자 단말에 송신한다. 제어 정보의 변조와 관련된 사항은 앞서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또한, 제어부(1030)가 식별 정보를 특정 제어정보에 추가하기 위해 앞서 살펴본 표 1 내지 표 1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와 CC 지시 정보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요소반송파 식별정보 저장부(10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요소반송파 식별정보 저장부(1040)는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 길이 또는 상기 비트의 내용이 지시하는 요소 반송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식별 정보의 길이 또는 값에(내용)에 따라 해당 식별 정보가 지시하는 요소 반송파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가 0 비트 또는 m 비트(m은 0보다 큰 정수)인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특정 제어 정보에 추가하는 과정에서 제로 패딩한 비트 수로 구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채널의 일 실시예는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이며, 상기 특정 제어정보는 DCI 포맷으로 구성되고,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DCI 포맷에 추가 비트로 구성되어 상기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는 상기 식별정보가 할당되는 상기 제어채널이 존재하는 해당 요소 반송파나 앵커 요소 반송파(anchor CC) 혹은 주요소반송파(PCC)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제어부는 특정 제어정보가 어떤 요소반송파를 식별하는 것인지에 따라 식별정보를 달리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0비트가 되도록 하여 특정 제어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0비트보다 크고 m보다 작거나 같도록 하여 특정 제어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식별정보와 요소반송파의 관계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m은 2이며,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1비트 또는 2비트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2비트인 경우,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의 요소 반송파 인덱스 번호를 0으로 하고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들의 개수와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요소 반송파들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numbering) 한 상태에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값이 각각 "00", "01", "10", "11"이면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제어정보가 요소 반송파 인덱스 번호가 각각 1, 2, 3, 4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게 된다.
한편, 구성되지 않은(Non-configured) 요소 반송파를 제외하고 구성된 요소 반송파에 대해서만 각 요소 반송파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하며,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2~3개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0비트 또는 1비트이며,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4~5개일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0비트 또는 2비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0비트가 설정됨은 구성된 요소 반송파가, PCell에 대응하는 것임을 지시하는 것이다. 또한, 2비트가 설정되는 경우, 4개의 요소 반송파가, SCell에 대응하는 것임을 지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m은 3이며,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3비트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식별정보는 8개의 SCell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에 대한 식별정보이며, 해당되는 식별정보는 대응하는 SCell의 셀 인덱스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는 주서빙 셀(PCell)을 구성하는 요소 반송파인 PCC이고,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는 부서빙 셀(SCell)을 구성하는 요소 반송파인 SCC가 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사용자 단말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과 결합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체 구성은 수신부(1110), 복조부(1120), 제어부(1130)로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요소반송파 식별정보 저장부(1140)을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신부(1110)는 기지국으로부터 변조 심벌을 수신하고, 복조부(1120)는 상기 변조 심벌을 복조하여 제어 채널에 매핑된 특정 제어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130)는 상기 특정 제어 정보에서 요소 반송파를 지시하는 0비트 내지 m비트(m은 0보다 큰 정수)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특정 제어 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어느 요소 반송파를 위한 것인지 식별한다. 변조 심볼의 복조와 관련된 사항은 앞서 도 9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또한, 제어부(1130)가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특정 제어 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어느 요소 반송파를 위한 것인지 식별하기 위해 앞서 살펴본 표 1 내지 표 1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와 CC 지시 정보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요소반송파 식별정보 저장부(1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요소반송파 식별정보 저장부(1140)는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 길이 또는 상기 비트의 내용이 지시하는 요소 반송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식별 정보의 길이 또는 값에(내용)에 따라 해당 식별 정보가 지시하는 요소 반송파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가 0 비트 또는 m 비트(m은 0보다 큰 정수)인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특정 제어 정보에 추가하는 과정에서 제로 패딩한 비트 수로 구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채널의 일 실시예는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이며, 상기 특정 제어정보는 DCI 포맷으로 구성되고,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DCI 포맷에 추가 비트로 구성되어 상기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는 상기 식별정보가 할당되는 상기 제어채널이 존재하는 해당 요소 반송파나 앵커 요소 반송파(anchor CC) 혹은 주요소반송파(PCC)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제어부(1130)는 특정 제어정보가 어떤 요소반송파를 식별하는 것인지에 따라 식별정보를 달리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제어부(1130)가 추출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0비트인 경우, 상기 제어부(1130)는 상기 식별정보가 추가되지 않는 것으로 식별하며, 상기 특정 제어정보는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를 식별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0비트보다 크고 m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한다. 이때, 제어부(1130)는 추출한 식별정보의 비트수를 확인하여 설정된 요소 반송파를 식별한다. 즉, 설정된 비트가 0인 경우, SCell이 설정되지 않음을 식별하고, PCell만 존재함을 확인한다. 일 예로, 해당 비트수가 3인 경우, 8개의 SCell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에 대한 존재함을 확인한다. 이때, 해당 비트에 의해 지시되는 해당하는 SCell의 셀 인덱스를 의미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m은 2이며,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1비트 또는 2비트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한다. 이때, 상기 식별정보는 4개의 SCell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에 대한 식별정보이며, 해당되는 식별정보는 대응하는 SCell의 셀 인덱스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2비트인 경우,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의 요소 반송파 인덱스 번호를 0으로 하고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들의 개수와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요소 반송파들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numbering) 한 상태에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값이 각각 "00", "01", "10", "11"이면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제어정보가 요소 반송파 인덱스 번호가 각각 1, 2, 3, 4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한다.
여기에서, 구성되지 않은(Non-configured) 요소 반송파를 제외하고 구성된 요소 반송파에 대해서만 각 요소 반송파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하며,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2~3개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0비트 또는 1비트이며,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4~5개일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0비트 또는 2비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m은 3이며,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3비트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정보는 8개의 SCell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에 대한 식별정보이며, 해당되는 식별정보는 대응하는 SCell의 셀 인덱스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는 주서빙 셀(PCell)을 구성하는 요소 반송파인 PCC이고,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는 부서빙 셀(SCell)을 구성하는 요소 반송파인 SCC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이와 명시적으로 상반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6)
-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어느 요소 반송파를 위한 것인지 식별하는 단계와,
0비트 내지 m비트(m은 0보다 큰 정수)의 식별정보를 상기 특정 제어정보에 추가하여 제어채널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정보 할당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0비트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가 추가되지 않는 것으로 식별하며,
상기 특정 제어정보는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를 식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정보 할당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0비트보다 크고 m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정보 할당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m은 2이며,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1비트 또는 2비트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정보 할당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은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이며, 상기 특정 제어정보는 DCI 포맷으로 구성되고,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DCI 포맷에 추가 비트로 구성되어 상기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정보 할당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는 상기 식별정보가 할당되는 상기 제어채널이 존재하는 해당 요소 반송파나 앵커 요소 반송파(anchor CC) 혹은 주요소반송파(PC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정보 할당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2비트인 경우,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의 요소 반송파 인덱스 번호를 0으로 하고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들의 개수와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요소 반송파들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numbering) 한 상태에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값이 각각 "00", "01", "10", "11"이면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제어정보가 요소 반송파 인덱스 번호가 각각 1, 2, 3, 4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정보 할당방법. - 제3항에 있어서,
구성되지 않은(Non-configured) 요소 반송파를 제외하고 구성된 요소 반송파에 대해서만 각 요소 반송파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하며,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2~3개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0비트 또는 1비트이며,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4~5개일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0비트 또는 2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정보 할당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은 3이며,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3비트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정보 할당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는 주서빙 셀(PCell)을 구성하는 요소 반송파인 PCC이고,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는 부서빙 셀(SCell)을 구성하는 요소 반송파인 SC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정보 할당방법. -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DCI 포맷별로 각 DCI 포맷이 전달하는 제어정보가 각 요소 반송파(CC) 중 어느 요소 반송파(CC)를 위한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해 0 내지 3비트의 요소 반송파 지시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DCI 포맷에 따라 PDCCH 페이로드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PDCCH 페이로드에 에러 검출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부가하는 단계;
CRC가 부가된 제어정보를 채널 코딩을 수행하여 부호화된 데이터(coded data)를 생성하는 단계;
PDCCH 포맷에 할당된 CCE 집단 레벨에 따른 전송률 매칭(rate matching)을 수행하는 단계;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변조 심벌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변조심벌들을 물리적인 자원요소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의 전송방법. - 물리적인 자원요소를 CCE로 디맵핑(CCE to RE demapping)하는 단계;
자신의 전송 모드에 따른 참조 DCI 포맷에 해당하는 페이로드가 가질 수 있는 CCE 집단 레벨에 대해서 복조(Demodulation)하는 단계;
복조된 데이터를 해당 페이로드와 CCE 집단 레벨에 따라 전송률 디매칭(rate dematching)을 수행하는 단계;
부호화된 데이터를 코드 레이트에 따라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고, CRC를 체크하여 에러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디코딩된 데이터에 CRC를 제거하여 필요한 제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정보에 포함된 0 내지 3비트의 요소 반송파 지시자를 확인한 후 이 제어정보가 각 요소 반송파 중 어느 요소 반송파를 위한 것인지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채널의 수신방법. -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어느 요소 반송파를 위한 것인지 식별하여, 상기 요소 반송파를 지시하는 0비트 내지 m비트(m은 0보다 큰 정수)의 식별정보를 상기 특정 제어정보에 추가하는 제어부;
상기 특정 제어정보를 제어채널에 매핑할 수 있도록 변조하여 변조 심벌을 생성하는 변조부;
상기 변조 심벌을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송신하는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 길이 또는 상기 비트의 내용이 지시하는 요소 반송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요소반송파 식별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송신하는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0 비트 또는 m 비트(m은 0보다 큰 정수)인 것은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특정 제어 정보에 추가하는 과정에서 제로 패딩한 비트 수로 구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송신하는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은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이며, 상기 특정 제어정보는 DCI 포맷으로 구성되고,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DCI 포맷에 추가 비트로 구성되어 상기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송신하는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는 상기 식별정보가 할당되는 상기 제어채널이 존재하는 해당 요소 반송파나 앵커 요소 반송파(anchor CC) 혹은 주요소반송파(PC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송신하는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0비트가 되도록 하여 특정 제어정보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송신하는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0비트보다 크고 m보다 작거나 같도록 하여 특정 제어정보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송신하는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m은 2이며,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1비트 또는 2비트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송신하는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2비트인 경우,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의 요소 반송파 인덱스 번호를 0으로 하고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들의 개수와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요소 반송파들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numbering) 한 상태에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값이 각각 "00", "01", "10", "11"이면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제어정보가 요소 반송파 인덱스 번호가 각각 1, 2, 3, 4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송신하는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구성되지 않은(Non-configured) 요소 반송파를 제외하고 구성된 요소 반송파에 대해서만 각 요소 반송파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하며,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2~3개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0비트 또는 1비트이며,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4~5개일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0비트 또는 2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송신하는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m은 3이며,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3비트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송신하는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는 주서빙 셀(PCell)을 구성하는 요소 반송파인 PCC이고,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는 부서빙 셀(SCell)을 구성하는 요소 반송파인 SC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송신하는 장치. - 기지국으로부터 변조 심벌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변조 심벌을 복조하여 제어 채널에 매핑된 특정 제어 정보를 추출하는 복조부;
상기 특정 제어 정보에서 요소 반송파를 지시하는 0비트 내지 m비트(m은 0보다 큰 정수)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특정 제어 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어느 요소 반송파를 위한 것인지 식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 길이 또는 상기 비트의 내용이 지시하는 요소 반송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요소반송파 식별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0 비트 또는 m 비트(m은 0보다 큰 정수)인 것은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특정 제어 정보에 추가하는 과정에서 제로 패딩한 비트 수로 구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은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이며, 상기 특정 제어정보는 DCI 포맷으로 구성되고,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DCI 포맷에 추가 비트로 구성되어 상기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는 상기 식별정보가 할당되는 상기 제어채널이 존재하는 해당 요소 반송파나 앵커 요소 반송파(anchor CC) 혹은 주요소반송파(PC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0비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정보가 추가되지 않는 것으로 식별하며,
상기 특정 제어정보는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를 식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0비트보다 크고 m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m은 2이며,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1비트 또는 2비트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2비트인 경우,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의 요소 반송파 인덱스 번호를 0으로 하고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들의 개수와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요소 반송파들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numbering) 한 상태에서,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값이 각각 "00", "01", "10", "11"이면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제어정보가 요소 반송파 인덱스 번호가 각각 1, 2, 3, 4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 제31항에 있어서,
구성되지 않은(Non-configured) 요소 반송파를 제외하고 구성된 요소 반송파에 대해서만 각 요소 반송파의 번호를 일괄적으로 넘버링하며,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2~3개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0비트 또는 1비트이며, 구성된(configured) 요소 반송파(CC)의 개수가 4~5개일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0비트 또는 2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m은 3이며,
상기 식별정보의 비트수가 3비트인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특정 제어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들 중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를 위한 제어정보임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는 주서빙 셀(PCell)을 구성하는 요소 반송파인 PCC이고, 상기 특정 기준 요소 반송파 이외의 다른 요소 반송파는 부서빙 셀(SCell)을 구성하는 요소 반송파인 SC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0/006941 WO2011046334A2 (en) | 2009-10-12 | 2010-10-11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EP10823573A EP2489227A2 (en) | 2009-10-12 | 2010-10-11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N2010800559129A CN102668672A (zh) | 2009-10-12 | 2010-10-11 |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控制信息的装置和方法 |
JP2012533093A JP2013507821A (ja) | 2009-10-12 | 2010-10-11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情報送受信方法及び装置 |
US12/902,953 US8548513B2 (en) | 2009-10-12 | 2010-10-12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6983 | 2009-10-12 | ||
KR20090096983 | 2009-10-1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0672A true KR20110040672A (ko) | 2011-04-20 |
Family
ID=4404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0803A Withdrawn KR20110040672A (ko) | 2009-10-12 | 2010-09-15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548513B2 (ko) |
EP (1) | EP2489227A2 (ko) |
JP (1) | JP2013507821A (ko) |
KR (1) | KR20110040672A (ko) |
CN (1) | CN102668672A (ko) |
WO (1) | WO2011046334A2 (ko)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77094A3 (ko) * | 2011-06-23 | 2013-02-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기지국 협력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WO2013002576A3 (ko) * | 2011-06-28 | 2013-0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상향링크 신호 전송방법 및 수신방법과, 사용자기기 및 기지국 |
WO2013009109A3 (ko) * | 2011-07-13 | 2013-03-14 | 주식회사 팬택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의 전송장치 및 방법 |
WO2013002512A3 (ko) * | 2011-06-30 | 2013-03-14 | 주식회사 팬택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의 전송 장치 및 방법 |
WO2013015590A3 (ko) * | 2011-07-22 | 2013-03-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WO2012173432A3 (ko) * | 2011-06-15 | 2013-04-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
WO2013112003A1 (ko) * | 2012-01-26 | 2013-08-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WO2013169003A1 (ko) * | 2012-05-08 | 2013-11-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제어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WO2014017866A1 (ko) * | 2012-07-26 | 2014-0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
WO2016122108A1 (ko) * | 2015-01-30 | 2016-08-04 | 주식회사 아이티엘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서빙 셀을 그룹핑하는 방법 및 장치 |
US10064201B2 (en) | 2013-07-26 | 2018-08-28 | Intel IP Corporation | Dynamical time division duplex uplink and downlink configura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
KR20190043501A (ko) * | 2019-04-15 | 2019-04-26 | 애플 인크.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US10321410B2 (en) | 2015-01-30 | 2019-06-11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uplink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12961B2 (en) * | 2009-09-18 | 2015-08-18 | Nec Corporation | Audio quality analyzing device, audio quality analyzing method, and program |
KR101785997B1 (ko) * | 2009-10-30 | 2017-10-17 |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전송방법 및 그 기지국, 단말의 수신방법 |
US9125068B2 (en) | 2010-06-04 | 2015-09-01 | Ixia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imulating realistic movement of user equipment in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
CN102378372B (zh) | 2010-08-16 | 2014-11-05 |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 分量载波调度方法 |
US8902770B2 (en) * | 2010-09-28 | 2014-12-02 | Nokia Siemens Networks Oy | Carrier indicator field usage and configuration in carrier aggregation |
KR102073027B1 (ko) * | 2011-04-05 | 2020-02-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타임 정렬 타이머 운용 방법 및 장치 |
CN102638896B (zh) * | 2011-02-15 | 2017-07-21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确定分量载波优先级别的方法及系统 |
CN102932952B (zh) * | 2011-08-12 | 2016-06-08 |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 一种进行随机接入的方法和装置 |
CN102932951B (zh) * | 2011-08-12 | 2016-06-08 |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 用于载波聚合场景下的Scell随机接入方法 |
KR101654408B1 (ko) * | 2011-09-25 | 2016-09-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WO2013048567A1 (en) | 2011-09-30 | 2013-04-04 | Intel Corporation | Methods to transport internet traffic over multiple wireless networks simultaneously |
EP3062459B1 (en) | 2011-11-04 | 2021-10-20 | Apple Inc. | Transmission point indication in coordinated multi-point system |
CA2932387C (en) * | 2011-11-04 | 2018-10-02 | Intel Corporation | Coordination of self-optimization operations in a self organizing network |
RU2585276C2 (ru) | 2011-11-04 | 2016-05-27 | Интел Корпорейшн | Технологии и конфигурации передачи малых объёмов данных в сетях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
EP3046301B1 (en) | 2011-11-04 | 2024-07-24 | Apple Inc. | Timing synchronization for downlink (dl) transmissions in coordinated multipoint (comp) systems |
US9154979B2 (en) | 2011-12-14 | 2015-10-06 | Ixia | Scalable architecture for long term evolution (LTE) multiple user equipment (multi-UE) simulation |
US8855070B2 (en) | 2011-12-14 | 2014-10-07 | Ixia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improved long term evolution (LTE)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processing |
US9204325B2 (en) | 2011-12-20 | 2015-12-01 | Ixia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reducing the impact of fals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detection in long term evolution (LT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data |
CN108322297B (zh) * | 2011-12-22 | 2021-09-21 |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 无线发射接收单元wtru及无线发射接收方法 |
US9071995B2 (en) | 2012-01-17 | 2015-06-30 | Ixia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long term evolution (LTE) uplink data processing |
US8908535B2 (en) | 2012-02-10 | 2014-12-09 | Ixia | Methods, traffic simulator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validating long term evolution (LTE) code blocks and transport blocks |
US8724498B2 (en) * | 2012-02-14 | 2014-05-13 | Ixia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erforming long term evolution (LTE) channel delineation |
US8892829B2 (en) | 2012-02-29 | 2014-11-18 | Ixia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integrated sub-block interleaving and rate matching |
US20130242901A1 (en) * | 2012-03-13 | 2013-09-19 |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n operating parameter of a new carri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US9526091B2 (en) * | 2012-03-16 | 2016-12-20 | Inte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of self-optimization functions in a wireless network |
US8738985B2 (en) | 2012-03-28 | 2014-05-27 | Ixia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dynamically controlling a turbo decoding process in a long term evolution (LTE) multi-user equipment (UE) traffic simulator |
US9131000B2 (en) | 2012-04-13 | 2015-09-08 | Ixia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heuristics-based adaptive protocol parsing |
WO2013191452A1 (en) * | 2012-06-19 | 2013-1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 method and system for decoding pdcch in a multi-carrier lte-advance system |
US20140045510A1 (en) | 2012-07-25 | 2014-02-13 |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 |
CN104737471B (zh) * | 2012-09-20 | 2018-06-05 | Lg电子株式会社 |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上行链路传输的方法和设备 |
EP2904865B1 (en) * | 2012-10-02 | 2018-09-12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rrier aggregation group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JP6150487B2 (ja) * | 2012-10-09 | 2017-06-21 | 株式会社Nttドコモ |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
US9198065B2 (en) | 2013-03-15 | 2015-11-24 | Ixia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utilizing adaptive symbol processing in a multiple user equipment (multi-UE) simulator |
US9450809B2 (en) * | 2013-10-28 | 2016-09-20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Method of handling uplink transmiss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
CN104885540B (zh) * | 2013-12-25 | 2019-04-19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指示和确定使用频谱的方法及装置 |
WO2015113230A1 (en) * | 2014-01-28 | 2015-08-06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and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ata |
US9577669B2 (en) | 2014-11-03 | 2017-02-21 | Ixia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optimized message decoding |
US10264564B2 (en) | 2015-01-30 | 2019-04-16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for massive carrier aggregation |
US9807204B2 (en) | 2015-03-06 | 2017-10-31 | Ixia | Optimized message processing |
CN106992839B (zh) * | 2016-01-21 | 2020-11-20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
EP3404986B1 (en) | 2016-03-31 | 2024-07-31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
CN107465495B (zh) * | 2016-06-03 | 2020-08-28 |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 一种传输状态的指示方法及装置 |
CN107872883B (zh) * | 2016-09-26 | 2020-02-18 | 电信科学技术研究院 | 一种指示、确定下行控制信息格式的方法及装置 |
CN108418657B (zh) * | 2018-02-07 | 2021-06-04 | 广州慧睿思通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lte系统中dci格式和传输模式的判定方法 |
US11646921B2 (en) | 2018-08-09 | 2023-05-09 | Qualcomm Incorporated | Using physical channels for positioning measurement signals |
US11088744B1 (en) | 2020-02-07 | 2021-08-10 | Keysight Technologies, Inc.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5G digital beamforming testing |
CN113543347B (zh) * | 2020-04-15 | 2024-06-14 |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调度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
WO2021227046A1 (en) * | 2020-05-15 | 2021-11-18 | Qualcomm Incorporated | Secondary cell dormancy indication for scheduling multiple component carriers |
CN118540027B (zh) * | 2024-07-25 | 2024-12-13 | 北京智芯半导体科技有限公司 | 数据发送方法、接收方法、通信设备及通信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33932B1 (en) * | 1994-08-22 | 2001-12-25 | Fujitsu Limited | Connectionless communications system, its test method, and intra-station control system |
EP1089439A1 (en) * | 1999-09-28 | 2001-04-04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Interleaver and method for interleaving an input data bit sequence using a coded storing of symbol and additional information |
KR101151817B1 (ko) * | 2006-05-03 | 2012-06-0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
WO2009078628A1 (en) | 2007-12-14 | 2009-06-25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mapping control channels |
KR101387539B1 (ko) * | 2007-12-14 | 2014-04-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제어 채널 매핑 방법 |
US8340014B2 (en) * | 2007-12-26 | 2012-12-25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using multi-band radio frequencies |
KR101537607B1 (ko) * | 2008-02-05 | 2015-07-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정필드를 이용한 효율적인 무선채널 전송방법 |
KR101487553B1 (ko) * | 2008-03-20 | 2015-0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
WO2010123323A2 (ko) * | 2009-04-23 | 2010-10-28 | 엘지전자주식회사 |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및 장치 |
WO2010131925A2 (ko) * | 2009-05-14 | 2010-1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1695811B1 (ko) * | 2009-06-02 | 2017-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중 하향링크 반송파에 대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KR101607336B1 (ko) * | 2009-06-07 | 2016-03-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b 설정 방법 및 장치 |
WO2010147411A2 (ko) * | 2009-06-18 | 2010-12-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ES2533320T3 (es) * | 2009-08-14 | 2015-04-09 | Nec Corporation | Detección de una estructura de control de enlace descendente para adición de portadora |
KR20110093185A (ko) * | 2010-02-11 | 2011-08-18 | 주식회사 팬택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원할당방법 및 그 장치 |
WO2012060612A2 (en) * | 2010-11-03 | 2012-05-10 | Pantech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information regarding component carrier in multi-component carrier system |
-
2010
- 2010-09-15 KR KR1020100090803A patent/KR20110040672A/ko not_active Withdrawn
- 2010-10-11 EP EP10823573A patent/EP2489227A2/en not_active Withdrawn
- 2010-10-11 WO PCT/KR2010/006941 patent/WO2011046334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10-11 CN CN2010800559129A patent/CN102668672A/zh active Pending
- 2010-10-11 JP JP2012533093A patent/JP2013507821A/ja active Pending
- 2010-10-12 US US12/902,953 patent/US8548513B2/en active Active
Cited B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38399B2 (en) | 2011-06-15 | 2016-09-06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terminal therefor |
WO2012173432A3 (ko) * | 2011-06-15 | 2013-04-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
WO2012177094A3 (ko) * | 2011-06-23 | 2013-02-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기지국 협력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US9203457B2 (en) | 2011-06-23 | 2015-12-01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terminal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base station coordin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
WO2013002576A3 (ko) * | 2011-06-28 | 2013-0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상향링크 신호 전송방법 및 수신방법과, 사용자기기 및 기지국 |
US9883502B2 (en) | 2011-06-28 | 2018-01-30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signal,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
US9648637B2 (en) | 2011-06-28 | 2017-05-09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signal,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
US9491740B2 (en) | 2011-06-28 | 2016-11-08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signal,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
WO2013002512A3 (ko) * | 2011-06-30 | 2013-03-14 | 주식회사 팬택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의 전송 장치 및 방법 |
WO2013009109A3 (ko) * | 2011-07-13 | 2013-03-14 | 주식회사 팬택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의 전송장치 및 방법 |
WO2013015590A3 (ko) * | 2011-07-22 | 2013-03-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WO2013112003A1 (ko) * | 2012-01-26 | 2013-08-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US9426797B2 (en) | 2012-01-26 | 2016-08-2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transceiving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same |
US9432986B2 (en) | 2012-05-08 | 2016-08-30 | Lg Electronics Inc. | Control signal transcei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ame |
WO2013169003A1 (ko) * | 2012-05-08 | 2013-11-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제어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US9510340B2 (en) | 2012-07-26 | 2016-11-29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user device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 |
WO2014017866A1 (ko) * | 2012-07-26 | 2014-0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
US10638490B2 (en) | 2013-07-26 | 2020-04-28 | Intel IP Corporation | Dynamical time division duplex uplink and downlink configura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
US11160090B2 (en) | 2013-07-26 | 2021-10-26 | Apple Inc. | Dynamical time division duplex uplink and downlink configura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
US10064201B2 (en) | 2013-07-26 | 2018-08-28 | Intel IP Corporation | Dynamical time division duplex uplink and downlink configura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
WO2016122108A1 (ko) * | 2015-01-30 | 2016-08-04 | 주식회사 아이티엘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서빙 셀을 그룹핑하는 방법 및 장치 |
US10321410B2 (en) | 2015-01-30 | 2019-06-11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uplink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
US10785728B2 (en) | 2015-01-30 | 2020-09-22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uplink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
KR20160094196A (ko) * | 2015-01-30 | 2016-08-09 | 주식회사 아이티엘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서빙 셀을 그룹핑하는 방법 및 장치 |
KR20190043501A (ko) * | 2019-04-15 | 2019-04-26 | 애플 인크.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다중 전송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046334A3 (en) | 2011-10-13 |
US20110086659A1 (en) | 2011-04-14 |
EP2489227A2 (en) | 2012-08-22 |
JP2013507821A (ja) | 2013-03-04 |
CN102668672A (zh) | 2012-09-12 |
WO2011046334A2 (en) | 2011-04-21 |
US8548513B2 (en) | 2013-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13323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elay scheduling | |
KR20110040672A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 |
KR101763596B1 (ko) |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크로스-캐리어 스케쥴링을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
KR102155390B1 (ko) | Lte에 대한 그룹 기반의 pdcch 능력 | |
KR101819501B1 (ko) |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EP3518450B1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hanne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thereof | |
KR101777416B1 (ko) |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 및 단말 | |
KR101573936B1 (ko) |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
WO2013009145A2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설정 방법 및 장치 | |
KR20200041943A (ko) |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수신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WO2013055078A2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의 시작 위치 설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 |
KR101588750B1 (ko) | 저비용 기계 타입 통신을 위한 제어정보전송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
EP2675085A2 (en)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004534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machine type communication | |
KR20120031217A (ko) |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반송파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 |
US20120236783A1 (en) | Repeater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transceiving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ame | |
CA2784271A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avoiding control channel blocking | |
KR101542407B1 (ko) | 셀룰라 시스템에서 공용 사용자 기기 id를 할당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
KR20110061507A (ko) | 경쟁기반 물리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80108342A (ko) | 무선 통신시스템의 제어채널의 전송 및 수신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KR20130004847A (ko) | 확장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그 전송단, 확장 제어 정보의 수신 방법, 및 그 단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