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31440A -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440A
KR20110031440A KR1020107029718A KR20107029718A KR20110031440A KR 20110031440 A KR20110031440 A KR 20110031440A KR 1020107029718 A KR1020107029718 A KR 1020107029718A KR 20107029718 A KR20107029718 A KR 20107029718A KR 20110031440 A KR20110031440 A KR 20110031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metal layer
metal
grid polarizer
wire gr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리코 가이다
히로시 사카모토
다카히라 미야기
고스케 다카야마
히로미 사쿠라이
에이지 시도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1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440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25Oblique incidence of vaporised material on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23C14/024Deposition of sublayers, e.g. to promote adhesion of th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23C14/20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rganic substrates
    • C23C14/205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rganic substrates by cathodic sputt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58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comprising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s, e.g. wire grids, conductive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가시광 영역에서 높은 편광 분리능을 나타내고, 단파장 영역의 투과율이 향상된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그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 (12) 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광투과성 기판 (14) 과, 그 볼록조 (12) 의 적어도 정상부에 존재하는,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하지층 (22) 과, 그 하지층 (22) 표면 상에서 그리고 볼록조 (12) 의 적어도 정상부에 존재하는 금속층 (24) 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세선을 갖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0).

Description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및 그 제조 방법{WIRE GRID TYPE POLARIZ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LARIZER}
본 발명은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리어 프로젝션 텔레비전, 프론트 프로젝터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가시광 영역에서 편광 분리능을 나타내는 편광자 (편광 분리 소자라고도 한다) 로는 흡수형 편광자 및 반사형 편광자가 있다.
흡수형 편광자는, 예를 들어 요오드 등의 2 색성 색소를 수지 필름 중에 배향시킨 편광자이다. 그러나, 흡수형 편광자는 일방의 편광을 흡수하기 때문에, 광의 이용 효율이 낮다.
한편, 반사형 편광자는, 편광자에 입사되지 않고 반사된 광을 편광자에 재입사시킴으로써 광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고휘도화를 목적으로 하여 반사형 편광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반사형 편광자로는 복굴절 수지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직선 편광자, 콜레스테릭 액정으로 이루어지는 원 편광자,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가 있다.
그러나, 직선 편광자 및 원 편광자는 편광 분리능이 낮다. 이 때문에, 높은 편광 분리능을 나타내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가 주목받고 있다.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는, 광투과성 기판 상에 복수의 금속 세선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금속 세선의 피치가 입사광의 파장보다 충분히 짧은 경우, 입사광 중에서 금속 세선에 직교하는 전기장 벡터를 갖는 성분 (즉, p 편광) 은 투과하고, 금속 세선과 평행한 전기장 벡터를 갖는 성분 (즉, s 편광) 은 반사된다.
가시광 영역에서 편광 분리능을 나타내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로는, 하기의 것이 알려져 있다.
(1) 광투과성 기판 상에 소정의 피치로 금속 세선이 형성된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특허문헌 1).
(2)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에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복수의 볼록조의 상면 및 측면이,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재료막으로 피복되어 금속 세선을 이루고 있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특허문헌 2).
그러나, (1), (2) 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모두에는 여전히 편광 분리능이 불충분하다.
또, 명소 (明所) 콘트라스트가 개선된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로는, 하기의 것이 알려져 있다.
(3) 광투과성 기판 상에 소정의 피치로 금속 세선 및 저반사율 부재 (SiO2 등) 가 형성된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특허문헌 3).
그러나, (3) 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는, 단파장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불충분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07045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00344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046637호
본 발명은 가시광 영역에서 높은 편광 분리능을 나타내고, 또한 단파장 영역의 투과율이 향상된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및 그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는,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광투과성 기판과, 상기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존재하는,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하지층과, 상기 하지층의 표면 상에서 그리고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존재하는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세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층은, 추가로 볼록조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 금속층은, 추가로 볼록조 측면의 전체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하지층은, 추가로 볼록조 측면의 전체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 하지층은, 추가로 볼록조 간의 광투과성 기판 표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금속 산화물은, SiO2 또는 TiO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지층의 볼록조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높이는 1 ∼ 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층의 볼록조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높이는 3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 세선의 피치 (Pa) 는 50 ∼ 200 ㎚ 이고, 금속 세선의 폭 (Da) 과 피치 (Pa) 의 비 (Da/Pa) 는 0.1 ∼ 0.6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은,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광투과성 기판의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금속 산화물을 증착시켜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하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하지층의 표면 상에서 그리고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금속을 증착시켜 금속층을 형성하여 금속 세선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지층은, 진공 증착법을 사용한 사방 증착법으로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하지층은, 볼록조의 전체 표면 및 볼록조 간의 광투과성 기판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하지층은 스퍼터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층은, 볼록조 측면의 적어도 일부 및 볼록조의 정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층은 볼록조 측면의 전체면 및 볼록조의 정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금속층은, 진공 증착법을 사용한 사방 증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층이 진공 증착법을 사용한 사방 증착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하기의 조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볼록조의 길이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의 높이 방향에 대해 각도 θR 을 이루는 방향에서부터 금속을 증착시킨다.
(B) 볼록조의 길이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의 높이 방향에 대해 상기 각도 θR 과는 반대측에 각도 θL 을 이루는 방향에서부터 금속을 증착시킨다.
(C) 상기 조건 (A) 에 의한 증착 및 상기 조건 (B) 에 의한 증착을 교대로 상기 조건 (A) 에 의한 증착을 m 회 (단, m 은 1 이상이다), 상기 조건 (B) 에 의한 증착을 n 회 (단, n 은 1 이상이다), 합계 (m + n) 로 3 회 이상 실시한다.
(D) 상기 조건 (A) 에 의한 m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R 은 하기 식 (Ⅳ) 를 만족하고, 상기 조건 (B) 에 의한 n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L 은 하기 식 (Ⅴ) 를 만족한다.
15°
Figure pct00001
θR
Figure pct00002
45°… (Ⅳ),
15°
Figure pct00003
θL
Figure pct00004
45°… (Ⅴ).
(E) 상기 m 이 2 이상인 경우, i 회째 (단, i = 2 ∼ m 이다) 의 θR i 와 (i-1) 회째의 θR (i-1) 은 하기 식 (Ⅵ) 을 만족하고, 상기 n 이 2 이상인 경우, j 회째 (단, j = 2 ∼ n 이다) 의 θL j 와 (j-1) 회째의 θL (j-1) 은 하기 식 (Ⅶ) 을 만족한다.
θR i
Figure pct00005
θR (i-1) … (Ⅵ),
θL j
Figure pct00006
θL (j-1) … (Ⅶ).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는, 가시광 영역에서 높은 편광 분리능을 나타내고, 또한 단파장 영역의 투과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가시광 영역에서 높은 편광 분리능을 나타내고, 또한 단파장 영역의 투과율이 향상된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광투과성 기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는,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광투과성 기판과,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존재하는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하지층과, 하지층 표면 상에서 그리고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존재하는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세선을 갖는 것이다.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존재하는 금속층은 볼록조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선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구성하는 금속 세선에 상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볼록조, 하지층 및 금속층의 각 치수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단면 (斷面) 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이미지 또는 투과형 전자 현미경 이미지에서 측정한 것을 말한다.
(광투과성 기판)
광투과성 기판은,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사용 파장 범위에서 광투과성을 갖는 기판이다. 광투과성이란 광을 투과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사용 파장 범위는, 구체적으로는 400 ㎚ ∼ 800 ㎚ 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 볼록조란,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또한 그 돌출이 일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부분을 말한다. 볼록조는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과 일체로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 부분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고,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 부분과 상이한 광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볼록조는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과 일체로, 그리고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 부분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투과성 기판의 적어도 표면 부분을 성형함으로써 형성된 볼록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조는, 그 길이 방향과 광투과성 기판의 주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의 형상이 길이 방향에 걸쳐 거의 일정하고, 복수의 볼록조에서도 이들의 단면 형상은 모두 거의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면 형상은,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에서부터 높이 방향으로 거의 일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돌출되어 있는 형상, 또는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에서부터 높이 방향으로 폭이 감소하면서 돌출되어 있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에서부터 높이 방향으로 거의 일정한 폭을 가지고 돌출되고, 그 후에 폭이 감소하면서 돌출되어 있는 형상이어도 된다. 구체적인 단면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 반원형, 반타원형, 직사각형 상부가 반원형이 된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볼록조의 정상부란, 상기 단면 형상의 가장 높은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이어진 부분을 의미한다. 볼록조의 정상부는 면이어도 되고 선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나 사다리꼴인 경우에는 정상부는 면을 이루고, 단면 형상이 삼각형이나 반원형인 경우에는 정상부는 선을 이룬다. 본 발명에서 볼록조의 정상부 이외의 표면을 (볼록조의) 측면이라고 한다. 또한, 인접하는 2 개의 볼록 형상 간의 면 (인접하는 2 개의 볼록조로 형성되는 홈의 바닥면) 은 볼록조의 표면이 아니라, (볼록조 간의) 광투과성 기판 표면으로 간주한다.
광투과성 기판의 원료 또는 재료로는, 광경화 수지, 열가소성 수지, 유리 등을 들 수 있고, 후술하는 임프린트법으로 볼록조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광경화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광임프린트법으로 볼록조를 형성할 수 있는 점 및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광경화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광경화 수지로는, 생산성 면에서 광라디칼 중합에 의해 광경화시킬 수 있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얻어지는 광경화 수지가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조성물로는, 광경화 후의 경화막의 물에 대한 접촉각이 90°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화막의 물에 대한 접촉각이 90°이상이면, 광임프린트법에 의해 볼록조를 형성할 때, 몰드와의 이형성이 양호해지고, 정밀도가 높은 전사가 가능해져, 얻어지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가 목적으로 하는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 이 접촉각이 높아도 하지층의 부착에는 지장이 없다.
볼록조를 갖는 영역에서 광투과성 기판의 두께 (볼록조의 높이를 포함한다) 는 0.5 ∼ 1000 ㎛ 가 바람직하고, 1 ∼ 4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볼록조를 갖는 영역에서 볼록조의 높이를 제외한 광투과성 기판의 두께는 0.3 ㎛ 이상이 바람직하고, 0.5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볼록조를 갖는 영역 이외의 광투과성 기판의 두께는, 상기 볼록조를 갖는 영역에서 광투과성 기판의 두께 (볼록조의 높이를 포함한다) 와 거의 동일한 두께, 즉 0.5 ∼ 1000 ㎛ 가 바람직하고, 1 ∼ 4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볼록조의 높이는 30 ∼ 500 ㎚ 가 바람직하고, 50 ∼ 30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높이를 30 ㎚ 이상으로 함으로써, 볼록조의 표면에 대한 하지층의 선택적인 형성이 용이해진다. 이 높이를 500 ㎚ 이하로 함으로써,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편광도의 입사 각도 의존성이 작아진다. 또, 볼록조의 높이는, 증착에 의해 금속층을 형성하기 쉽다는 점에서 80 ∼ 270 ㎚ 가 특히 바람직하다.
(하지층)
하지층은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금속층이 하지층의 표면 상에 존재하고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하지층은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존재하고, 또한 금속층이 볼록조의 정상부 이외에 추가로 볼록조의 측면에도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금속층이 존재하는 측면에도 존재한다. 또, 하지층은 금속층이 존재하지 않는 볼록조의 측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추가로 볼록조 간의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하지층은, 볼록조의 전체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볼록조의 전체면과 볼록조 간의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에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볼록조가 존재하는 광투과성 기판 표면의 전체면에 하지층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 산화물로는 SiO2, Al2O3, TiO2, ZrO2, SnO2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가 단파장 영역에서 높은 투과율을 나타내는 점에서 SiO2 또는 TiO2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Al2O3, TiO2, ZrO2 등의 고굴절률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지층의 경우, 금속층에 피복되지 않은 하지층의 표면과 공기나 광투과성 기판 재료의 계면에서의 굴절률차가 커져, 단파장 영역에서의 투과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하지층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여도 되고, 부분적으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볼록조의 정상부, 볼록조의 측면 및 볼록조 간의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에 있어서의 두께는 각각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볼록조의 정상부의 하지층의 두께를 다른 표면의 하지층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볼록조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하지층의 두께는, 볼록조의 높이 방향의 두께를 말하며, 이하, 볼록조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하지층의 두께를 높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볼록조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하지층의 높이 (볼록조의 높이 방향의 두께) 는 1 ∼ 2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15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높이가 1 ㎚ 이상이면 금속 세선의 막질이 향상되어,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p 편광 투과율이 향상된다. 이 높이가 20 ㎚ 이하이면, 광투과성 기판과의 간섭에 의한 파장 분산이 억제되어,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p 편광 투과율이 향상된다. 볼록조의 측면에 있어서의 하지층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볼록조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하지층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하의 두께이다. 볼록조의 측면에 있어서의 하지층의 두께는, 정상부에서부터 하방으로 서서히 얇아지고 있어도 된다. 볼록조의 정상부 이외의 하지층의 두께는, 볼록조의 정상부의 하지층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하로서 장소에 상관없이 거의 균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 두께는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층은 증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착법으로는 물리 증착법 (PVD) 이나 화학 증착법 (CVD) 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진공 증착법, 스퍼터법, 이온 플레이팅법 등의 증착법이 바람직하다. 특히, 진공 증착법 또는 스퍼터법이 바람직하다. 진공 증착법은 부착시키는 미립자의 광투과성 기판에 대한 입사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고, 후술하는 사방 증착법을 실시하는 것이 용이하다. 한편, 스퍼터법은 미립자의 입사 방향이 랜덤해지기 쉬워, 요철이 있는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적합하다. 따라서, 볼록조의 정상부만 또는 볼록조의 정상부와 측면에 선택적으로 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진공 증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볼록조가 존재하는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의 전체면에 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스퍼터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퍼터법으로는 반응 스퍼터법 (예를 들어, 금속 타깃을 사용하여, 산소 함유 가스 중에서 스퍼터를 실시하여 금속 산화물층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 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스퍼터법 중에서도 특히 고진공 분위기를 사용하는 스퍼터법 (예를 들어, 마그네트론 스퍼터법 등) 으로는 입사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진공 증착법 대신에 하지층의 형성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스퍼터법이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범용되는 직류 스퍼터법이나 고주파 스퍼터법을 말한다.
스퍼터법 등의 고에너지 미립자를 생성시켜 그 미립자를 볼록조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에서는, 볼록조의 표면이 고에너지 미립자의 충돌에 의해 침식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볼록조에서는 그 모서리부가 침식되어 둥글게 되는 경우가 있다. 나아가서는, 볼록조의 폭이 감소하거나 볼록조의 높이가 저하되는 등의 경우가 있다. 특히, 볼록조의 재료가 수지 등의 비교적 연질 재료인 경우에 이와 같은 침식이 일어나기 쉽다. 또, 고에너지 미립자의 충돌이 많은 볼록조의 상부일수록 이와 같은 침식이 일어나기 쉬운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스퍼터법 등에 의한 하지층의 형성 결과, 볼록조의 형상은 하지층의 형성 전의 형상과는 상이한 형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그 형상 변화는 극단적으로 되지 않는 한 허용된다.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는 기본적으로 그 금속 세선의 폭과 피치에 의해 그 기능이 발휘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폭과 피치를 갖는 금속 세선이 형성되는 한 광투과성 기판의 볼록조의 형상의 기능에 대한 영향은 적기 때문이다.
(금속 세선)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있어서, 금속 세선은 볼록조의 표면 상의 금속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층은 하지층의 표면 상에서 그리고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존재한다. 금속층은 볼록조의 정상부와 추가로 볼록조의 측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이 경우, 볼록조의 정상부와 볼록조의 측면에 존재하는 금속층은 연속되어 있는 것이 통례이다. 금속층이 측면에 존재하는 경우, 타방의 측면에 존재해도 되고 양방의 측면에 존재해도 된다. 볼록조의 측면의 금속층은 볼록조의 소정의 높이보다 상방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측면의 전체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금속층은 볼록조 간의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측면의 전체면에 금속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과 볼록조의 측면이 접하는 부분 (볼록조의 돌출부) 에 다소의 측면의 금속층이 비어져 나와도 된다.
금속층이 볼록조의 정상부에 존재함으로써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금속층이 볼록조의 측면에 존재함으로써, 광투과성 기판의 이면 (금속 세선이 존재하지 않는 주표면) 으로부터 입사되는 s 편광이 흡수되어,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가 이면측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에 대해 낮은 s 편광 반사율을 나타낸다. 또한, 측면의 전체면에 금속층이 존재함으로써,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입사되는 s 편광이 효율적으로 반사되어,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가 높은 편광 분리능을 나타낸다.
또, 금속층이 하지층의 표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금속층의 형성시에 금속 재료가 결정화됨에 따른 미소 금속 입자의 생성이 억제된다. 이로써, 미소 금속 입자의 존재를 원인으로 하는 광의 흡수가 저감되어,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투과율이 향상된다.
볼록조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금속층의 높이 (볼록조의 높이 방향의 두께) 는 3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높이가 30 ㎚ 이상이면, s 편광 투과가 (특히 단파장 영역에서) 억제되어,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가 충분히 높은 편광 분리능을 나타낸다. 볼록조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금속층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으면, 회절 현상이나 금속층의 결정화가 발생하여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투과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또 금속층의 형성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그 상한은 2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조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금속층의 높이는, 특히 40 ∼ 1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조의 측면에 있어서의 금속층의 두께 (하지층의 표면으로부터의 두께) 는, 통상적으로 볼록조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금속층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하의 두께이다. 볼록조의 측면에 있어서의 금속층의 두께는, 정상부에서부터 하방으로 서서히 얇아지고 있어도 된다.
볼록조의 측면을 피복하는 금속층은, 볼록조의 측면의 면적의 50 % 이상에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100 % 가 특히 바람직하다. 측면을 피복하고 있는 금속층의 면적이 넓어져,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이면측으로부터 입사되는 s 편광이 효율적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이면측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에 대해 더욱 낮은 s 편광 반사율을 나타낸다. 또, 금속층이 볼록조의 측면의 면적의 100 % 를 차지하는 경우에는,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입사되는 s 편광이 효율적으로 반사되어,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가 높은 편광 분리능을 나타낸다.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기본적인 기능은, 금속 세선의 폭과 피치 (금속 세선의 폭 방향의 반복 거리) 로 정해진다. 금속 세선의 폭 (금속 세선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 은, 광의 입사 방향 (광투과성 기판의 주표면에 수직인 방향) 에서 본 금속층의 폭으로서, 광투과성 기판의 볼록조의 폭보다 좁은 경우도 있고 넓은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볼록조의 정상부가 평면인 경우, 그 정상부의 폭보다 넓은 폭의 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고, 볼록조의 정상부가 선 형상인 경우, 그 정상부와 측면에 금속층을 형성하여 폭이 있는 금속층으로 할 수 있다. 볼록조의 정상부가 평면인 경우, 통상적으로 그 평면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 폭보다 다소 넓은 폭의 금속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 세선의 피치는 볼록조의 피치와 동일하다.
금속 세선의 폭을 Da, 피치를 Pa 로 나타내면, Da 와 Pa 의 비 (Da/Pa) 는 0.1 ∼ 0.6 이 바람직하고, 0.2 ∼ 0.5 가 보다 바람직하다. Da/Pa 를 0.1 이상으로 함으로써,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가 표면 (금속 세선이 형성되어 있는 면) 측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에 대해 더욱 높은 편광도를 나타낸다. Da/Pa 를 0.6 이하로 함으로써 p 편광 투과율이 더욱 높아진다.
피치 (Pa) 는 3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 20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Pa 를 300 ㎚ 이하로 함으로써,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가 충분히 높은 반사율, 및 400 ㎚ 부근의 단파장 영역에서도 충분히 높은 편광 분리능을 나타낸다. 또, 회절에 의한 착색 현상이 억제된다.
금속 세선의 폭 (Da) 은 10 ∼ 12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증착에 의한 금속층 형성의 용이함을 고려하면 30 ∼ 100 ㎚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하지층을 포함한 볼록조의 최대폭은, 금속 세선의 폭 (Da) 과 동일하거나 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층의 재료는 충분한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료이면 되는데, 도전성 이외에 내식성 등의 특성도 고려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재료로는 금속 단체 (單體), 합금, 도펀트나 소정량 이하의 불순물을 함유한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은, 크롬, 마그네슘, 알루미늄계 합금, 은계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또, 탄소 등의 비금속 원소를 도펀트 등으로서 함유하는 금속도 사용할 수 있다. 가시광에 대한 반사율이 높고, 가시광의 흡수가 적으며, 또한 높은 도전율을 갖는다는 점에서, 알루미늄, 알루미늄계 합금, 은, 크롬, 마그네슘이 바람직하고,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계 합금이 특히 바람직하다.
금속층은 증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착법으로는 물리 증착법 (PVD) 이나 화학 증착법 (CVD) 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진공 증착법, 스퍼터법, 이온 플레이팅법 등의 증착법이 바람직하다. 금속층의 형성은 특히 진공 증착법이 바람직하다. 진공 증착법은 부착시키는 미립자의 광투과성 기판에 대한 입사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고, 후술하는 사방 증착법을 실시하는 것이 용이하다. 금속층의 형성은 볼록조의 정상부만 또는 볼록조의 정상부와 볼록조의 측면에 선택적으로 금속을 증착시켜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진공 증착법을 사용한 사방 증착법이 가장 바람직한 금속층의 형성 방법이다. 또, 스퍼터법 중에서도 특히 고진공 분위기를 사용하는 스퍼터법 (예를 들어, 마그네트론 스퍼터법 등) 으로는 입사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점에서 금속층의 형성에 사용할 수 있다.
(보호층)
금속 세선의 폭이나 두께는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금속 세선에 약간 흠집이 생긴 것만으로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또, 산화 등의 화학 변화 (녹의 생성 등) 에 의해 금속 세선의 도전율이 저하되어,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금속 세선의 흠집의 발생 및 화학 변화 등을 억제하기 위해, 금속 세선을 보호층으로 피복해도 된다. 보호층은 금속층의 표면을 피복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노출된 (즉, 그 위에 금속층이 없는) 하지층의 표면이나 노출된 (즉, 그 위에 하지층이 없는)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을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볼록조 간의 홈을 매립하여 금속 세선이 존재하는 면을 평탄하게 하는 보호층을 형성해도 된다.
보호층의 재료로는 수지, 금속 산화물,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층만을 피복하는 보호층의 재료로는, 광투과성은 아닌 불투명한 재료여도 되지만, 다른 표면까지도 피복하는 보호층의 재료로는 광투과성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가 사용된다. 재료 자체의 광투과성이 낮은 경우라 하더라도, 층의 두께가 충분히 얇은 보호층이라면 광투과성 보호층으로 할 수 있다. 또, 보호층의 재료로는, 내열성이나 화학적 내구성이 높은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층의 표면을 자연스럽게 또는 적극적으로 화학 변화시켜 보호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속층의 재료로서 알루미늄을 사용한 경우,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산화알루미늄 박막이 표면에 형성되고, 이 금속 산화물 박막은, 금속 세선의 보호층으로서 기능한다.
보호층이 하지층 표면이나 광투과성 기판 표면도 피복하고 있는 경우, 보호층과 이들 표면의 계면에서 p 편광 반사를 저감시킬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보호층의 굴절률과 하지층이나 광투과성 기판의 굴절률을 실질적으로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광대역에 걸쳐 높은 편광 분리능이 얻어진다는 점에서, 굴절률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호층은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최표면에 존재하기 때문에, 연필 경도 (H) 이상의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오성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호층의 표면에 반사 방지 구조 (예를 들어, 반사 방지막 등) 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광투과성 기판의 이면에도 경질 표면층이나 반사 방지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는,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광투과성 기판을 제작한 후, 하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금속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광투과성 기판의 제작)
광투과성 기판의 제작 방법으로는, 임프린트법 (광임프린트법, 열임프린트법), 리소그래피법 등을 들 수 있고, 볼록조를 양호한 생산성으로 형성할 수 있는 점 및 광투과성 기판을 대면적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프린트법이 바람직하고, 볼록조를 더욱 양호한 생산성으로 형성할 수 있는 점 및 몰드의 홈을 고정밀도도 전사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광임프린트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광임프린트법은, 예를 들어 전자선 묘화와 에칭의 조합에 의해 복수의 홈이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몰드를 제작하고, 그 몰드의 홈을 임의의 기재의 표면에 도포된 광경화성 조성물에 전사시키고, 동시에 그 광경화성 조성물을 광경화시키는 방법이다.
광임프린트법에 의한 광투과성 기판의 제작은,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공정 (ⅰ) ∼ (ⅳ) 를 거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ⅰ) 광경화성 조성물을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는 공정.
(ⅱ) 복수의 홈이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몰드를 홈이 광경화성 조성물에 접하도록 광경화성 조성물에 가압하는 공정.
(ⅲ) 몰드를 광경화성 조성물에 가압한 상태에서 방사선 (자외선, 전자선 등) 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몰드의 홈에 대응하는 복수의 볼록조를 갖는 광투과성 기판을 제작하는 공정.
(ⅳ) 광투과성 기판으로부터 몰드를 분리시키는 공정.
또한, 얻어진, 기재 상의 광투과성 기판은, 기재와 일체인 채로 후술하는 하지층 및 금속층의 형성을 실시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금속층의 형성 후에 광투과성 기판과 기재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기재 상에 제작된 광투과성 기판을 기재로부터 분리시킨 후, 후술하는 하지층 및 금속층의 형성을 실시할 수 있다.
열임프린트법에 의한 광투과성 기판의 제작은,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공정 (ⅰ) ∼ (ⅲ) 을 거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ⅰ) 기재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의 피전사막을 형성하는 공정,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피전사 필름을 제작하는 공정.
(ⅱ) 복수의 홈이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일정한 피치로 형성된 몰드를 홈이 피전사막 또는 피전사 필름에 접하도록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또는 융점 (Tm) 이상으로 가열된 피전사막 또는 피전사 필름에 가압하여 몰드의 홈에 대응하는 복수의 볼록조를 갖는 광투과성 기판을 제작하는 공정.
(ⅲ) 광투과성 기판을 Tg 또는 Tm 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시켜 광투과성 기판으로부터 몰드를 분리시키는 공정.
또한, 얻어진, 기재 상의 광투과성 기판은, 기재와 일체인 채로 후술하는 하지층 및 금속층의 형성을 실시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금속층 형성 후에 광투과성 기판과 기재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기재 상에 제작된 광투과성 기판을 기재로부터 분리시킨 후, 후술하는 하지층 및 금속층의 형성을 실시할 수 있다.
(하지층 및 금속층의 형성)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는,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광투과성 기판의 볼록조의 표면에 금속 산화물을 증착시켜 그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하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하지층의 표면 상에서 그리고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금속을 증착시켜 금속층을 형성하여 금속 세선으로 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지층은, 진공 증착법을 사용한 사방 증착법으로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지층을 볼록조의 전체 표면 및 볼록조 간의 광투과성 기판 표면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하지층은 스퍼터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층은, 볼록조 측면의 적어도 일부 및 볼록조의 정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측면의 전부 및 볼록조의 정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층을 이와 같은 특정 표면에 선택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금속층은 진공 증착법을 사용한 사방 증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방 증착법에 의한 하지층이나 금속층의 형성에서는, 볼록조의 길이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의 높이 방향에 대해 임의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부터 증착시키는 공정과, 볼록조의 길이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의 높이 방향에 대해 상기 각도와는 반대측에 임의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부터 증착시키는 공정을 각각 1 회 이상 교대로 실시함으로써 목적하는 하지층이나 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거의 직교하고」란, 볼록조의 길이 방향과 볼록조의 높이 방향에 대해 임의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85 ∼ 95°의 범위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사방 증착법에 의한 금속층의 형성을 예로 하여 사방 증착법을 더욱 설명한다. 금속층의 형성은 하기의 조건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은 후술하는 제 3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제조하는 경우에 적합한 방법이다.
(A) 볼록조의 길이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의 높이 방향에 대해 각도 θR 을 이루는 방향에서부터 금속을 증착시킨다.
(B) 볼록조의 길이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의 높이 방향에 대해 상기 각도 θR 과는 반대측에 각도 θL 을 이루는 방향에서부터 금속을 증착시킨다.
(C) 상기 조건 (A) 에 의한 증착 및 상기 조건 (B) 에 의한 증착을 교대로 상기 조건 (A) 에 의한 증착을 m 회 (단, m 은 1 이상이다), 상기 조건 (B) 에 의한 증착을 n 회 (단, n 은 1 이상이다), 합계 (m + n) 로 3 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6 회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5 회 실시한다.
(D) 상기 조건 (A) 에 의한 m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R 은 하기 식 (Ⅳ) 를 만족하고, 상기 조건 (B) 에 의한 n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L 은 하기 식 (Ⅴ) 를 만족한다.
15°
Figure pct00007
θR
Figure pct00008
45°… (Ⅳ),
15°
Figure pct00009
θL
Figure pct00010
45°… (Ⅴ).
(E) 상기 m 이 2 이상인 경우, i 회째 (단, i = 2 ∼ m 이다) 의 θR i 와 (i-1) 회째의 θR (i-1) 은 하기 식 (Ⅵ) 을 만족하고, 상기 n 이 2 이상인 경우, j 회째 (단, j = 2 ∼ n 이다) 의 θL j 와 (j-1) 회째의 θL (j-1) 은 하기 식 (Ⅶ) 을 만족한다.
θR i
Figure pct00011
θR (i-1) … (Ⅵ),
θL j
Figure pct00012
θL (j-1) … (Ⅶ).
후술하는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건의 증착 방향의 각도나 증착 횟수를 바꿈으로써 마찬가지로 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D) 의 조건에서의 증착 각도를 더욱 작게 할 수 있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양 방향의 1 회째의 증착을 보다 큰 증착 각도로 하고, 2 회째 이후의 증착 각도를 상기와 마찬가지로 40°이하로 할 수 있다.
사방 증착법에 의해 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 하지층은 금속층의 형성 범위와 동등 이상의 범위로 형성할 필요성이 있다. 볼록조의 정상부나 볼록조 간의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에 하지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15°보다 더욱 작은 각도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방 증착법의 경우에는 증착 각도가 커도 수직 방향의 증착도 어느 정도 일어나기 때문에 통상은 큰 증착 각도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방 증착법에 의해 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도 θR 과 각도 θL 은 각각 45°보다 큰 각도가 채용되며, 그 각도는 60°이상, 90°미만이 적당하다. 그 각도는 65 ∼ 85°가 바람직하고, 70 ∼ 8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사방 증착법에 의한 하지층의 형성의 경우, 상기 (m + n) 은 2 여도 되고, 또 상기 (D) 의 조건의 채용은 필수는 아니다.
스퍼터법은 증착 방향이 랜덤하며, 하지층 형성의 경우, 스퍼터법을 채용함으로써 요철에 상관없이 광투과성 기판 표면에 거의 균일한 두께의 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지층의 형성은 스퍼터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각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이하에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은 모식도이며, 실제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는 도시한 바와 같은 이론적 그리고 이상적 형상을 갖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볼록조 등의 형상의 붕괴는 적지 않아, 하지층이나 금속층의 두께의 불균일도 적지않게 발생하고 있다. 도시한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의 볼록조는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데, 상기와 같이 실제로 제조된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서는, 정상부가 둥글게 된 형상이나 폭이 상방으로 좁아진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 적지 않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0) 는,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 (12) 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소정의 피치 (Pp) 로 형성된 광투과성 기판 (14) 과, 그 볼록조 (12) 의 상면 (16), 및 볼록조 (12)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측면인 측면 (18) 과 측면 (20) 의 상연부 (上緣部) 를 피복하는 하지층 (22) 과, 하지층 (22) 의 상면에 형성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금속층 (24) 을 갖는다. 금속층 (24) 은 볼록조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어 금속 세선을 구성한다. 이하, 볼록조 간의 광투과성 기판의 표면을 홈 (26) 이라고 한다.
Pp 는 볼록조 (12) 의 폭 (Dp) 과, 볼록조 (12) 간에 형성되는 홈 (26) 의 폭의 합계이다. Pp 는 50 ∼ 200 ㎚ 가 바람직하다.
Dp 와 Pp 의 비 (Dp/Pp) 는 0.1 ∼ 0.55 가 바람직하고, 0.25 ∼ 0.45 가 바람직하다.
또, Dp 는 증착에 의해 금속층을 형성하기 쉽다는 점에서 30 ∼ 80 ㎚ 가 바람직하다.
볼록조 (12) 의 높이 (Hp) 는 50 ∼ 300 ㎚ 가 바람직하다.
광투과성 기판 (14) 의 두께 (Hs) 는 1 ∼ 40 ㎛ 가 바람직하다.
볼록조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하지층 (22) 의 높이 (Hx) 는, 볼록조 (12) 의 상면 (16) 을 피복하고 있는 부분의 하지층의 두께이다. Hx 는 2 ∼ 15 ㎚ 가 바람직하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Dx1 및 Dx2 는, 하지층 (22) 이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폭으로서, Da1 및 Da2 는, 금속층 (24) 이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폭이다.
금속층 (24) 의 폭 (Da), 볼록조 (12) 의 피치 (Pp) 및 볼록조 (12) 의 폭 (Dp) 은, 하기 식 (5)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a - Dp
Figure pct00013
0.4 × (Pp - Dp) … (5).
Da - Dp 가 0.4 × (Pp - Dp) 이하이면, 홈 (26) 의 개구가 확보되어,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0) 의 p 편광 투과율이 향상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2 는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0) 는,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 (12) 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소정의 피치 (Pp) 로 형성된 광투과성 기판 (14) 과, 그 볼록조 (12) 의 상면 (16), 볼록조 (12)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측면인 측면 (18) 과 측면 (20) 의 표면 및 홈 (26) 의 바닥면을 피복하는 하지층 (22) 과, 하지층 (22) 의 상면에 형성된 금속층 (24) 을 갖는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0) 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Dx1 및 Dx2 는, 하지층 (22) 이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폭이기도 하고,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을 피복하는 하지층 (22) 의 두께이기도 하다.
〔제 3 실시형태〕
도 3 은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0) 는,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 (12) 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소정의 피치 (Pp) 로 형성된 광투과성 기판 (14) 과, 그 볼록조 (12) 의 상면 (16), 볼록조 (12)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측면인 측면 (18) 과 측면 (20) 의 표면 및 홈 (26) 의 바닥면을 피복하는 하지층 (22) 과, 그 볼록조 (12) 의 상면 (16), 측면 (18) 및 측면 (20) 의 하지층 (22) 표면을 피복하는 금속층 (24) 을 갖는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2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0) 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Da1 및 Da2 는, 금속층 (24) 이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폭이기도 하고,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을 피복하고 있는 하지층 (22) 의 표면에 형성된 금속층 (24) 의 두께이기도 하다.
볼록조 (12) 의 측면 (18) 을 피복하고 있는 금속층 (24) 의 폭 (Ha1 ; 볼록조 (12) 의 상면 (16) 에서부터 홈으로의 깊이 방향의 길이), 볼록조 (12) 의 측면 (20) 을 피복하고 있는 금속층 (24) 의 폭 (Ha2 ; 볼록조 (12) 의 상면 (16) 에서부터 홈으로의 깊이 방향의 길이) 및 볼록조 (12) 의 높이 (Hp) 는, 각각 하기 식 (6-1), (7-1)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식 (6-2), (7-2) 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하기 식 (6-3), (7-3) 을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Ha1
Figure pct00014
0.5 × Hp … (6-1),
Ha2
Figure pct00015
0.5 × Hp … (7-1),
Ha1
Figure pct00016
0.6 × Hp … (6-2),
Ha2
Figure pct00017
0.6 × Hp … (7-2),
Ha1 = Hp … (6-3),
Ha2 = Hp … (7-3).
Ha1 및 Ha2 가 각각 Hp 의 50 % 이상이면, 측면 (18) 을 피복하고 있는 금속층 (24) 및 측면 (20) 을 피복하고 있는 금속층 (24) 의 면적이 넓어져,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0) 의 이면측으로부터 입사되는 s 편광이 효율적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이면측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에 대해 더욱 낮은 s 편광 반사율을 나타낸다. Ha1 및 Ha2 가 Hp 와 동일한 경우에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0) 의 표면측으로부터 입사되는 s 편광이 효율적으로 반사되어,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0) 가 높은 편광 분리능을 나타낸다.
또한, 볼록조 (12) 의 상면 (16), 측면 (18), 측면 (20) 및 홈 (26) 의 바닥면은 각각 평면이어도 되고 곡면이어도 된다.
<각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제 1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제 1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0) 는, 광투과성 기판 (14) 의 볼록조 (12) 의 상면 (16) 을 피복하는 하지층 (22) 과, 그 하지층 (22) 의 상면에 형성되는 금속층 (24) 을 하기의 조건 (A1) ∼ (J1) 을 만족하는 증착법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하지층의 형성 방법)
하지층 (22) 은 광투과성 기판 (14) 의 볼록조 (12) 가 형성된 면의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금속 산화물을 증착시키는 사방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다.
하지층 (22) 은,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조건 (A1) ∼ (E1) 을 만족하는 사방 증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1)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조 (12) 의 길이 방향 (L) 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 (12) 의 높이 방향 (H) 에 대해 측면 (18) 측에 각도 θR 을 이루는 방향 (V1) 으로부터 볼록조 (12) 의 상면 (16) 또는 하기 조건 (B1) 의 증착으로 형성된 하지층 (22) 의 상면에 금속 산화물을 증착시킨다.
(B1)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조 (12) 의 길이 방향 (L) 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 (12) 의 높이 방향 (H) 에 대해 측면 (20) 측에 각도 θL 을 이루는 방향 (V2) 으로부터 볼록조 (12) 의 상면 (16) 또는 상기 조건 (A1) 의 증착으로 형성된 하지층 (22) 의 상면에 금속 산화물을 증착시킨다.
(C1) 상기 조건 (A1) 에 의한 증착을 1 회 실시하고, 상기 조건 (B1) 에 의한 증착을 1 회 실시한다.
(D1) 상기 조건 (A1) 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R 은 하기 식 (1-Ⅰ) 을 만족하고, 상기 조건 (B1) 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L 은 하기 식 (1-Ⅱ)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5°
Figure pct00018
θR < 90°… (1-Ⅰ),
45°
Figure pct00019
θL < 90°… (1-Ⅱ).
(E1) 상기 조건 (A1) 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하지층 (22) 의 높이 및 상기 조건 (B1) 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하지층 (22) 의 높이는, 하기 식 (1-Ⅲ)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 ㎚
Figure pct00020
Hx'
Figure pct00021
15 ㎚ … (1-Ⅲ).
단, Hx' 는, 볼록조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1 회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하지층 (22) 의 높이이다.
조건 (A1) ∼ (C1) : 조건 (A1) ∼ (C1) 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하지층 (22) 이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금속층 (24) 을 형성할 때에, 측면 (18) 및 측면 (20) 에 금속이 증착되기 쉬워진다. 또, 홈 (26) 의 바닥면에 금속 산화물이 증착되기 쉬워진다.
조건 (D1) : 광의 파장 이하의 피치의 볼록조 (12) 에 증착을 실시하는 경우, 증착의 각도 θR (또는 θL) 에 따라 하지층 (22) 의 형상이 변화하기 때문에, 각도 θR (또는 θL) 에 따라서는 적절한 형상의 하지층 (22) 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각도 θR (또는 θL) 이 45°미만에서는, 하지층 (22) 이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는 각각의 폭 (Dx1 및 Dx2) 이 부족하다. 또는, 하지층 (22) 이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형성할 때에, 측면 (18) 및 측면 (20) 에 금속 산화물이 증착된다. 각도 θR (또는 θL) 이 90°에서는 하지층 (22) 의 형성이 곤란하다. 따라서, 도 1 에 나타내는, 볼록조 (12) 의 상면 (16) 보다 폭이 넓은 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도 θR (또는 θL) 은 65 ∼ 85°가 바람직하다.
조건 (E1) : 1 회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하지층 (22) 의 높이 (Hx') 가 0.5 ㎚ 미만에서는, 하지층 (22) 이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금속층 (24) 을 형성할 때에, 측면 (18) 및 측면 (20) 에 금속이 증착되기 쉬워진다. Hx' 가 10 ㎚ 를 초과하면, 하지층 (22) 의 두께가 커지기 때문에,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0) 의 파장 분산이 커져 단파장측의 투과율이 저하된다. Hx' 는 2 ∼ 10 ㎚ 가 바람직하다.
(금속층의 형성 방법)
금속층 (24) 은, 광투과성 기판 (14) 의 볼록조 (12) 가 형성된 면의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금속을 증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금속층 (24) 은,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조건 (F1) ∼ (J1) 을 만족하는 사방 증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1) 볼록조 (12) 의 길이 방향 (L) 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 (12) 의 높이 방향 (H) 에 대해 측면 (18) 측에 각도 θR 을 이루는 방향 (V1) 으로부터 하지층 (22) 의 상면 또는 하기 조건 (G1) 의 증착으로 형성된 금속층 (24) 의 상면에 금속을 증착시킨다.
(G1) 볼록조 (12) 의 길이 방향 (L) 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 (12) 의 높이 방향 (H) 에 대해 측면 (20) 측에 각도 θL 을 이루는 방향 (V2) 으로부터 하지층 (22) 의 상면 또는 상기 조건 (F1) 의 증착으로 형성된 금속층 (24) 의 상면에 금속을 증착시킨다.
(H1) 상기 조건 (F1) 에 의한 증착 및 상기 조건 (G1) 에 의한 증착을 교대로 상기 조건 (F1) 에 의한 증착을 m 회 (단, m 은 1 이상이다), 상기 조건 (G1) 에 의한 증착을 n 회 (단, n 은 1 이상이다), 합계 (m + n) 로 3 회 이상 실시한다.
(I1) 상기 조건 (F1) 에 의한 m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R 은 하기 식 (1-Ⅳ) 를 만족하고, 상기 조건 (G1) 에 의한 n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L 은 하기 식 (1-Ⅴ) 를 만족한다.
10°
Figure pct00022
θR
Figure pct00023
45°… (1-Ⅳ),
10°
Figure pct00024
θL
Figure pct00025
45°… (1-Ⅴ).
(J1) 상기 m 이 2 이상인 경우, i 회째 (단, i = 2 ∼ m 이다) 의 θR i 와 (i-1) 회째의 θR (i-1) 은 하기 식 (1-Ⅵ) 을 만족하고, 상기 n 이 2 이상인 경우, j 회째 (단, j = 2 ∼ n 이다) 의 θL j 와 (j-1) 회째의 θL (j-1) 은 하기 식 (1-Ⅶ) 을 만족한다.
θR i
Figure pct00026
θR (i-1) … (1-Ⅵ),
θL j
Figure pct00027
θL (j-1) … (1-Ⅶ).
조건 (F1), (G1) : 조건 (F1), (G1) 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홈 (26) 의 바닥면에 금속이 증착되기 쉬워진다.
조건 (H1) : 조건 (F1) 에 의한 증착 및 조건 (G1) 에 의한 증착을 교대로 합계로 3 회 이상으로 나누어 실시함으로써 금속이 치우쳐 증착되는 경우가 없어 균일한 금속층 (24) 이 형성된다.
조건 (I1) : 광의 파장 이하의 피치의 볼록조 (12) 에 증착을 실시하는 경우, 증착의 각도 θR (또는 θL) 에 따라 금속층 (24) 의 형상이 변화하기 때문에, 각도 θR (또는 θL) 에 따라서는 적절한 형상의 금속층 (24) 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m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R 및 n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L 이 10°미만에서는, 볼록조 (12) 간의 홈 (26) 의 바닥면에도 금속이 증착된다. m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R 및 n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L 이 45°를 초과하면, 금속이 치우쳐 증착되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금속층 (24) 이 형성되어 버린다.
조건 (J1) : 조건 (J1) 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높이 (Ha) 가 30 ㎚ 이상인 금속층 (24) 을 형성하기 곤란하다.
〔제 2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제 2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0) 는, 광투과성 기판 (14) 의 볼록조 (12) 의 상면 (16), 측면 (18), 측면 (20) 및 홈 (26) 의 바닥면을 피복하는 하지층 (22) 을 스퍼터법으로 형성하고, 볼록조 (12) 의 상면 (16) 을 피복하는 하지층 (22) 의 상면에 형성되는 금속층 (24) 을 하기의 조건 (A2) ∼ (H2) 를 만족하는 증착법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하지층의 형성 방법)
하지층 (22) 은, 광투과성 기판 (14) 의 볼록조 (12) 가 형성된 면의 전체면에 금속 산화물을 부착시키는 스퍼터법에 의해 형성된다.
(금속층의 형성 방법)
금속층 (24) 은, 광투과성 기판 (14) 의 볼록조 (12) 가 형성된 면의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금속을 증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스퍼터법으로 형성되는 하지층 (22) 은,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금속층 (24) 을 형성할 때에, 측면 (18) 및 측면 (20) 에 금속이 증착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측면에 금속층 (24) 이 존재하지 않아, 금속층 (24) 의 폭이 볼록조 (12) 의 상면 (16) 보다 폭이 넓은 금속층 (24) 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조건 (A2) ∼ (H2) 를 만족하는 사방 증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2)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조 (12) 의 길이 방향 (L) 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 (12) 의 높이 방향 (H) 에 대해 측면 (18) 측에 각도 θR 을 이루는 방향 (V1) 으로부터 하지층 (22) 의 표면 및/또는 하기 조건 (B2) 의 증착으로 형성된 금속층 (24) 의 표면에 금속을 적어도 1 회 증착시킨다.
(B2)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조 (12) 의 길이 방향 (L) 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 (12) 의 높이 방향 (H) 에 대해 측면 (20) 측에 각도 θL 을 이루는 방향 (V2) 으로부터 하지층 (22) 의 표면 및/또는 상기 조건 (A2) 의 증착으로 형성된 금속층 (24) 의 표면에 금속을 적어도 1 회 증착시킨다.
(C2) 상기 조건 (A2) 에 의한 증착 및 상기 조건 (B2) 에 의한 증착을 교대로 상기 조건 (A2) 에 의한 증착을 m 회 (단, m 은 2 이상이다), 상기 조건 (B2) 에 의한 증착을 n 회 (단, n 은 2 이상이다), 합계 (m + n) 로 5 회 이상 실시한다.
(D2) 상기 조건 (A2) 에 의한 m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R 은 하기 식 (2-Ⅰ) 을 만족하고, 상기 조건 (B2) 에 의한 n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L 은 하기 식 (2-Ⅱ) 를 만족한다.
45°
Figure pct00028
θR < 90°… (2-Ⅰ),
45°
Figure pct00029
θL < 90°… (2-Ⅱ).
(E2) 상기 조건 (A2) 에 의한 m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금속층 (24) 의 높이 및 상기 조건 (B2) 에 의한 n 회의 증착 중 1 회째에 형성되는 금속층 (24) 의 높이는, 하기 식 (2-Ⅲ) 을 만족한다.
0.5 ㎚
Figure pct00030
Ha'
Figure pct00031
10 ㎚ … (2-Ⅲ).
단, Ha' 는 1 회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금속층 (24) 의 높이이다.
(F2) 상기 조건 (A2) 에 의한 m 회의 증착 중 2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R 은 하기 식 (2-Ⅳ) 를 만족하고, 상기 조건 (B2) 에 의한 n 회의 증착 중 2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L 은 하기 식 (2-Ⅴ) 를 만족한다.
10°
Figure pct00032
θR
Figure pct00033
45°… (2-Ⅳ),
10°
Figure pct00034
θL
Figure pct00035
45°… (2-Ⅴ).
(G2) 상기 조건 (A2) 에 의한 m 회의 증착 중 2 회째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금속층 (24) 의 높이 및 상기 조건 (B2) 에 의한 n 회의 증착 중 2 회째로 형성되는 금속층 (24) 의 높이는, 하기 식 (2-Ⅲ) 을 만족한다.
1 ㎚
Figure pct00036
Ha'
Figure pct00037
15 ㎚ … (2-Ⅲ).
단, Ha' 는 1 회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금속층 (24) 의 높이이다.
(H2) 상기 m 이 3 이상인 경우, i 회째 (단, i = 3 ∼ m 이다) 의 θR i 와 (i-1) 회째의 θR (i-1) 은 하기 식 (2-Ⅵ) 을 만족하고, 상기 n 이 3 이상인 경우, j 회째 (단, j = 3 ∼ n 이다) 의 θL j 와 (j-1) 회째의 θL (j-1) 은 하기 식 (2-Ⅶ) 을 만족한다.
θR i
Figure pct00038
θR (i-1) … (2-Ⅵ),
θL j
Figure pct00039
θL (j-1) … (2-Ⅶ).
조건 (A2), (B2) : 조건 (A2), (B2) 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금속층 (24) 이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측면 (18) 및 측면 (20) 을 피복하고 있는 하지층 (22) 에 금속이 증착되기 쉬워진다. 또, 홈 (26) 의 바닥면에 금속이 증착되기 쉬워진다.
조건 (C2) : 조건 (A2) 에 의한 증착 및 조건 (B2) 에 의한 증착을 교대로 합계로 5 회 이상으로 나누어 실시함으로써, 금속이 치우쳐 증착되지 않아 균일한 금속층 (24) 이 형성된다.
조건 (D2) : 광의 파장 이하의 피치의 볼록조 (12) 에 증착을 실시하는 경우, 증착의 각도 θR (또는 θL) 에 따라 금속층 (24) 의 형상이 변화하기 때문에, 각도 θR (또는 θL) 에 따라서는 적절한 형상의 금속층 (24) 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각도 θR (또는 θL) 이 45°미만에서는, 금속층 (24) 이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는 각각의 폭 (Da1 및 Da2) 이 부족하다. 또는, 금속층 (24) 이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형성할 때에, 측면 (18) 및 측면 (20) 을 피복하고 있는 하지층 (22) 에 금속이 증착된다. 각도 θR (또는 θL) 이 90°에서는, 금속층 (24) 의 형성이 곤란하다. 각도 θR (또는 θL) 은 60°이상, 85°이하가 바람직하고, 65°∼ 80°가 특히 바람직하다.
조건 (E2) : 볼록조 (12) 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1 회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금속층 (24) 의 높이 (Ha') 가 0.5 ㎚ 미만에서는, 금속층 (24) 이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측면 (18) 및 측면 (20) 을 피복하고 있는 하지층 (22) 에 금속이 증착되기 쉬워진다. Ha' 가 10 ㎚ 를 초과하면, 금속층 (24) 의 두께가 커진다.
조건 (F2) : 광의 파장 이하의 피치의 볼록조 (12) 에 증착을 실시하는 경우, 증착의 각도 θR (또는 θL) 에 따라 금속층 (24) 의 형상이 변화하기 때문에, 각도 θR (또는 θL) 에 따라서는 적절한 형상의 금속층 (24) 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m 회의 증착 중 2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R 및 n 회의 증착 중 2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L 이 10°미만에서는, 볼록조 (12) 간의 홈 (26) 의 바닥면에도 금속이 증착된다. m 회의 증착 중 2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R 및 n 회의 증착 중 2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L 이 45°를 초과하면, 금속이 치우쳐 증착되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금속층 (24) 이 형성되어 버린다.
조건 (G2) : 1 회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금속층 (24) 의 높이 (Ha') 가 1 ㎚ 미만에서는, 높이 (Ha) 가 30 ㎚ 이상인 금속층 (24) 을 형성하기 곤란하다. Ha' 가 15 ㎚ 를 초과하면, 금속층 (24) 의 두께가 커진다.
조건 (H2) : 조건 (H2) 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높이 (Ha) 가 30 ㎚ 이상인 금속층 (24) 을 형성하기 곤란하다.
〔제 3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제 3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0) 는, 광투과성 기판 (14) 의 볼록조 (12) 의 상면 (16), 측면 (18), 측면 (20) 및 홈 (26) 의 바닥면을 피복하는 하지층 (22) 을 스퍼터법으로 형성하고, 볼록조 (12) 의 상면 (16), 측면 (18) 및 측면 (20) 을 피복하는 하지층 (22) 의 표면에 형성되는 금속층 (24) 을 하기의 조건 (A3) ∼ (E3) 을 만족하는 사방 증착법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층의 형성 방법)
하지층 (22) 은, 광투과성 기판 (14) 의 볼록조 (12) 가 형성된 면의 전체면에 금속 산화물을 부착시키는 스퍼터법에 의해 형성된다.
(금속층의 형성 방법)
금속층 (24) 은, 광투과성 기판 (14) 의 볼록조 (12) 가 형성된 면의 경사진 상방으로부터 금속을 증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금속층 (24) 은,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조건 (A3) ∼ (E3) 을 만족하는 사방 증착법으로 형성된다.
(A3)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조 (12) 의 길이 방향 (L) 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 (12) 의 높이 방향 (H) 에 대해 측면 (18) 측에 각도 θR 을 이루는 방향 (V1) 으로부터 하지층 (22) 의 표면 및/또는 하기 조건 (B3) 의 증착으로 형성된 금속층 (24) 의 표면에 금속을 적어도 1 회 증착시킨다.
(B3)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조 (12) 의 길이 방향 (L) 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 (12) 의 높이 방향 (H) 에 대해 측면 (20) 측에 각도 θL 을 이루는 방향 (V2) 으로부터 하지층 (22) 의 표면 및/또는 상기 조건 (A3) 의 증착으로 형성된 금속층 (24) 의 표면에 금속을 적어도 1 회 증착시킨다.
(C3) 상기 조건 (A3) 에 의한 증착 및 상기 조건 (B3) 에 의한 증착을 교대로 상기 조건 (A3) 에 의한 증착을 m 회 (단, m 은 1 이상이다), 상기 조건 (B3) 에 의한 증착을 n 회 (단, n 은 1 이상이다), 합계 (m + n) 로 3 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6 회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5 회 실시한다.
(D3) 상기 조건 (A3) 에 의한 m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R 은 하기 식 (3-Ⅳ) 를 만족하고, 상기 조건 (B3) 에 의한 n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L 은 하기 식 (3-Ⅴ) 를 만족한다.
15°
Figure pct00040
θR
Figure pct00041
45°… (3-Ⅳ),
15°
Figure pct00042
θL
Figure pct00043
45°… (3-Ⅴ).
(E3) 상기 m 이 2 이상인 경우, i 회째 (단, i = 2 ∼ m 이다) 의 θR i 와 (i-1) 회째의 θR (i-1) 은 하기 식 (3-Ⅵ) 을 만족하고, 상기 n 이 2 이상인 경우, j 회째 (단, j = 2 ∼ n 이다) 의 θL j 와 (j-1) 회째의 θL (j-1) 은 하기 식 (3-Ⅶ) 을 만족한다.
θR i
Figure pct00044
θR (i-1) … (3-Ⅵ),
θL j
Figure pct00045
θL (j-1) … (3-Ⅶ).
조건 (A3), (B3) : 조건 (A3), (B3) 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볼록조 (12) 의 상면 (16), 측면 (18) 및 측면 (20) 을 피복하는 하지층 (22) 의 표면에 금속층 (24) 을 형성할 수 없다.
조건 (C3) : 조건 (C3) 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볼록조 (12) 의 상면 (16) 을 피복하고 있는 하지층 (22) 의 상면에 형성되는 금속층 (24) 의 높이 (Ha) 가 낮아진다. 즉, 조건 (A3), (B3) 의 각각 1 회의 증착으로 금속층 (24) 이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증착하고자 하면, 각도 θR 및 각도 θL 을 크게 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상면에 증착되는 금속의 양이 적어진다.
또, 조건 (A3) 에 의한 증착 및 조건 (B3) 에 의한 증착을 교대로 실시함으로써 금속이 치우쳐 증착되지 않아, 금속층 (24) 이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두께 (Da1 및 Da2) 가 거의 동일해진다.
조건 (D3) : 광의 파장 이하의 피치의 볼록조 (12) 에 증착을 실시하는 경우, 증착의 각도 θR (또는 θL) 에 따라 금속층 (24) 의 형상이 변화하기 때문에, 각도 θR (또는 θL) 에 따라서는 적절한 형상의 금속층 (24) 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m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R 및 n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L 이 15°미만에서는, 홈 (26) 의 바닥면에도 금속이 증착된다. m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R 및 n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L 이 45°를 초과하면 금속이 치우쳐 증착되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금속층 (24) 이 형성되어 버린다.
조건 (E3) : 조건 (E3) 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금속층 (24) 이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소정의 두께로 한 경우, 볼록조 (12) 의 상면 (16) 을 피복하고 있는 하지층 (22) 의 상면에 형성되는 금속층 (24) 의 높이 (Ha) 가 지나치게 낮아진다. 또, 볼록조 (12) 의 상면 (16) 을 피복하고 있는 하지층 (22) 의 상면의 금속층 (24) 의 높이 (Ha) 를 30 ㎚ 이상으로 하는 경우, 금속층 (24) 이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진다.
조건 (F3) : 증착법은 추가로 하기의 조건 (F3)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3) 상기 조건 (A3) 에 의한 m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금속층 (24) 의 높이 및 상기 조건 (B3) 에 의한 n 회의 증착 중 1 회째에 형성되는 금속층 (24) 의 높이는, 하기 식 (3-Ⅲ) 을 만족한다.
0.5 ㎚
Figure pct00046
Ha'
Figure pct00047
10 ㎚ … (3-Ⅲ).
단, Ha' 는 볼록조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1 회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금속층 (24) 의 높이이다.
초기의 증착에 있어서, 금속층 (24) 의 높이 (Ha') 를 낮게 해 버리면, 금속층 (24) 이 볼록조 (12) 의 측면 (18) 또는 측면 (20)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지나치게 두꺼워지는 경우가 있다.
〔제 1 ∼ 3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공통〕
각도 θR (또는 θL) 은, 예를 들어 하기의 증착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볼록조 (12) 의 길이 방향 (L) 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 (12) 의 높이 방향 (H) 에 대해 측면 (18) 측에 각도 θR 을 이루는 방향 (V1) 또는 볼록조 (12) 의 높이 방향 (H) 에 대해 측면 (20) 측에 각도 θL 을 이루는 방향 (V2) 의 연장선 상에 증착원이 위치하도록 증착원에 대향하여 배치된 광투과성 기판 (14) 의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는 증착 장치.
이상 설명한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0) 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서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증착법으로 금속층 (24), 또는 하지층 (22) 및 금속층 (24) 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0) 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 1 ∼ 13 은 실시예이고, 예 14 ∼ 16 은 비교예이다.
(하지층 및 금속 세선의 각 치수)
하지층 및 금속층 (금속 세선) 의 각 치수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단면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 이미지 또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 이미지에서 5 지점의 하지층 및 금속층에 있어서의 각 치수의 최대값을 측정하고, 5 지점의 그 값을 평균하여 구하였다.
(투과율)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표면측 (금속층이 형성된 면측) 으로부터 파장 405 ㎚ 의 고체 레이저광 및 파장 635 ㎚ 의 반도체 레이저광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입사시켜 p 편광 투과율 및 s 편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파장 400 ㎚ 또는 700 ㎚ 의 p 편광 투과율이 78 % 이상인 것을 S 로 하고, 75 % 이상 78 % 미만인 것을 A 로 하며, 75 % 미만인 것을 X 로 하였다.
(반사율)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 (금속 세선이 형성되지 않은 면측) 으로부터 파장 405 ㎚ 의 고체 레이저광 및 파장 635 ㎚ 의 반도체 레이저광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표면 또는 이면에 대해 5°의 각도로 입사시켜 s 편광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표면측의 파장 400 ㎚ 또는 700 ㎚ 의 s 편광 반사율이 82 % 이상인 것을 S 로 하고, 80 % 이상 82 % 미만인 것을 A 로 하며, 80 % 미만인 것을 X 로 하였다.
이면측의 파장 400 ㎚ 또는 700 ㎚ 의 s 편광 반사율이 40 % 미만인 것을 A 로 하고, 40 % 이상인 것을 X 로 하였다.
(편광도)
편광도는 하기 식으로부터 계산하였다.
편광도 = ((Tp - Ts)/(Tp + Ts))0.5
단, Tp 는 p 편광 투과율이고, Ts 는 s 편광 투과율이다.
파장 400 ㎚ 또는 700 ㎚ 의 편광도가 99.7 이상인 것을 S 로 하고, 99.5 % 이상 99.7 % 미만인 것을 A 로 하며, 99.5 % 미만인 것을 X 로 하였다.
(광경화성 조성물의 조제)
교반기 및 냉각관을 장착한 1000 ㎖ 의 4 구 플라스크에,
단량체 1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사 제조, NK 에스테르 A-DPH,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60 g,
단량체 2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사 제조, NK 에스테르 A-NPG,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40 g,
광중합 개시제 (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IRGACURE 907) 4.0 g,
함불소 계면 활성제 (아사히 가라스사 제조, 플루오로아크릴레이트 (CH2=CHCOO(CH2)2(CF2)8F) 와 부틸아크릴레이트의 코올리고머, 불소 함유량 : 약 30 질량%, 질량 평균 분자량 : 약 3000) 0.1 g,
중합 금지제 (와코 쥰야쿠사 제조, Q1301) 1.0 g, 및
시클로헥사논 65.0 g 을 넣었다.
플라스크 내를 상온 및 차광으로 한 상태에서 1 시간 교반하여 균일화하였다. 이어서, 플라스크 내를 교반하면서 콜로이드상(狀) 실리카 100 g (고형분 : 30 g) 을 천천히 첨가하고, 추가로 플라스크 내를 상온 및 차광으로 한 상태에서 1 시간 교반하여 균일화하였다. 이어서, 시클로헥사논 340 g 을 첨가하고, 플라스크 내를 상온 및 차광으로 한 상태에서 1 시간 교반하여 광경화성 조성물 1 의 용액을 얻었다.
〔예 1〕
(광투과성 기판의 제작)
두께 100 ㎛ 의 고투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테이진 듀퐁사 제조, 테이진 테트론 O3, 100 ㎜ × 100 ㎜) 의 표면에 광경화성 조성물 1 을 스핀 코트법에 의해 도포하여 두께 1 ㎛ 의 광경화성 조성물 1 의 도막을 형성하였다.
복수의 홈이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석영제 몰드 (50 ㎜ × 50 ㎜, 홈의 피치 : 150 ㎚, 홈의 폭 : 50 ㎚, 홈의 깊이 : 100 ㎚, 홈의 길이 : 50 ㎜, 홈의 단면 형상 : 직사각형) 를 홈이 광경화성 조성물 1 의 도막에 접하도록 25 ℃ 에서 0.5 ㎫ (게이지압) 로 광경화성 조성물 1 의 도막에 가압하였다.
그 상태를 유지한 채로 석영제 몰드측으로부터 고압 수은등 (주파수 : 1.5 ㎑ ∼ 2.0 ㎑, 주파장광 : 255 ㎚, 315 ㎚ 및 365 ㎚, 365 ㎚ 에 있어서의 조사 에너지 : 1000 mJ) 의 광을 15 초간 조사하여 광경화성 조성물 1 을 경화시켜, 석영제 몰드의 홈에 대응하는 복수의 볼록조를 갖는 광투과성 기판 (볼록조의 피치 (Pp) : 150 ㎚, 볼록조의 폭 (Dp) : 50 ㎚, 볼록조의 높이 (Hp) : 100 ㎚) 을 제작하였다.
광투과성 기판으로부터 석영제 몰드를 천천히 분리시켰다.
(하지층 및 금속층의 형성)
증착원에 대향하는 광투과성 기판의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는 진공 증착 장치 (쇼와 진공사 제조, SEC-16CM) 를 사용하여 광투과성 기판의 볼록조에 금속 산화물 및 금속을 증착시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하지층 및 금속층을 형성하며, 이면에 PET 필름이 첩착 (貼着) 된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얻었다. 이 때, 볼록조의 길이 방향 (L) 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의 높이 방향 (H) 에 대해 일방의 측면 측에 각도 θR 을 이루는 방향 (V1) (즉, 측면 (18) 측) 으로부터의 증착과, 볼록조의 길이 방향 (L) 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의 높이 방향 (H) 에 대해 타방의 측면 측에 각도 θL 을 이루는 방향 (V2) (즉 측면 (20) 측) 으로부터의 증착을 교대로 실시하고, 또한 각 회의 증착에 있어서의 증착원, 각도 θR 또는 θL, 및 1 회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하지층의 높이 (Hx') 또는 금속층의 높이 (Ha') 를 표 1, 2 에 나타내는 재료, 각도 및 높이로 하였다. 또한, Hx' 및 Ha' 는 수정 진동자를 막 두께 센서로 하는 막 두께 모니터에 의해 측정하였다.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하지층 및 금속층의 각 치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투과율, 반사율, 편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예 2〕
(광투과성 기판의 제작)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광투과성 기판을 제작하였다.
(하지층의 형성)
로드 로크 기구를 구비한 인라인형 스퍼터 장치 (히마 세이키사 제조) 를 사용하여 광투과성 기판의 볼록조가 형성된 면의 전체면에 금속 산화물을 증착시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하지층을 형성하였다.
금속 산화물의 종류, 스퍼터법으로 형성되는 하지층의 높이 (Hx') 를 표 1 에 나타내는 재료 및 높이로 하였다.
(금속층의 형성)
증착원에 대향하는 광투과성 기판의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는 진공 증착 장치 (쇼와 진공사 제조, SEC-16CM) 를 사용하여 광투과성 기판의 볼록조에 금속을 증착시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금속층을 형성하여, 이면에 PET 필름이 첩착된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얻었다. 이 때, 볼록조의 길이 방향 (L) 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의 높이 방향 (H) 에 대해 일방의 측면 측에 각도 θR 을 이루는 방향 (V1) (즉, 측면 (18) 측) 으로부터의 증착과, 볼록조의 길이 방향 (L) 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의 높이 방향 (H) 에 대해 타방의 측면 측에 각도 θL 을 이루는 방향 (V2) (즉 측면 (20) 측) 으로부터의 증착을 교대로 실시하고, 또한 각 회의 증착에 있어서의 증착원, 각도 θR 또는 θL, 및 1 회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금속층의 높이 (Ha') 를 표 2 에 나타내는 재료, 각도 및 높이로 하였다.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하지층 및 금속층의 각 치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투과율, 반사율, 편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예 3〕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광투과성 기판을 제작한 후, 금속 산화물의 종류, 스퍼터법으로 형성되는 하지층의 높이 (Hx') 를 표 1 에 나타내는 재료 및 높이로 한 것 이외에는, 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하지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증착의 횟수, 각 회의 증착에 있어서의 증착원, 각도 θR 또는 θL 및 1 회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금속층의 높이 (Ha') 를 표 2 에 나타내는 재료, 각도 및 높이로 한 것 이외에는, 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금속층을 형성하여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얻었다.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하지층 및 금속층의 각 치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투과율, 반사율, 편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예 4〕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광투과성 기판을 제작한 후, 증착의 횟수, 각 회의 증착에 있어서의 증착원, 각도 θR 또는 θL 및 1 회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하지층의 높이 (Hx') 또는 금속층의 높이 (Ha') 를 표 1, 2 에 나타내는 재료, 각도 및 높이로 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하지층 및 금속층을 형성하여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얻었다.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하지층 및 금속층의 각 치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투과율, 반사율, 편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예 5〕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광투과성 기판을 제작한 후, 금속 산화물의 종류, 스퍼터법으로 형성되는 하지층의 높이 (Hx') 를 표 1 에 나타내는 재료 및 높이로 한 것 이외에는, 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하지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증착의 횟수, 각 회의 증착에 있어서의 증착원, 각도 θR 또는 θL 및 1 회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금속층의 높이 (Ha') 를 표 2 에 나타내는 재료, 각도 및 높이로 한 것 이외에는, 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금속층을 형성하여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얻었다.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하지층 및 금속층의 각 치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투과율, 반사율, 편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예 6 ∼ 13〕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광투과성 기판을 제작한 후, 금속 산화물의 종류, 스퍼터법으로 형성되는 하지층의 높이 (Hx') 를 표 1 에 나타내는 재료 및 높이로 한 것 이외에는, 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하지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증착의 횟수, 각 회의 증착에 있어서의 증착원, 각도 θR 또는 θL 및 1 회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금속층의 높이 (Ha') 를 표 2 에 나타내는 재료, 각도 및 높이로 한 것 이외에는, 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금속층을 형성하여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얻었다.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하지층 및 금속층의 각 치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투과율, 반사율, 편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예 14〕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광투과성 기판을 제작한 후, 증착의 횟수, 각 회의 증착에 있어서의 증착원, 각도 θR 또는 θL 및 1 회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금속층의 높이 (Ha') 를 표 2 에 나타내는 재료, 각도 및 높이로 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하지층이 없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얻었다.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하지층 및 금속층의 각 치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투과율, 반사율, 편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예 15〕
(광투과성 기판의 제작)
몰드로서 복수의 홈이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실리콘제 몰드 (20 ㎜ × 20 ㎜, 홈의 피치 : 200 ㎚, 홈의 폭 : 60 ㎚, 홈의 깊이 : 100 ㎚, 홈의 길이 : 10 ㎜, 홈의 단면 형상 : 직사각형)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리콘제 몰드의 홈에 대응하는 복수의 볼록조를 갖는 광투과성 기판 (볼록조의 피치 (Pp) : 200 ㎚, 볼록조의 폭 (Dp) : 60 ㎚, 볼록조의 높이 (Hp) : 100 ㎚) 을 제작하였다.
(금속층의 형성)
증착의 횟수, 각 회의 증착에 있어서의 증착원, 각도 θR 또는 θL 및 1 회의 증착으로 형성되는 금속층의 높이 (Ha') 를 표 2 에 나타내는 재료, 각도 및 높이로 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하지층이 없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얻었다.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하지층 및 금속층의 각 치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투과율, 반사율, 편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예 16〕
두께 100 ㎛ 의 고투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테이진 듀퐁사 제조, 테이진 테트론 O3, 100 ㎜ × 100 ㎜) 의 표면에 두께 100 ㎚ 의 SiO2 막을 스퍼터법에 의해 형성하였다.
이어서, SiO2 막 상에 두께 100 ㎚ 의 Al 막을 스퍼터법에 의해 형성하여, PET 필름 상에 SiO2 막, Al 막이 적층된 다층막을 제작하였다.
Al 막 상에 두께 100 ㎚ 의 레지스트 (닛폰 제온사 제조, ZEP520A) 를 스핀 코트법에 의해 도포하였다. 전자선 묘화 장치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사 제조, HL800D (50 keV)) 를 사용하여 EB 노광, 현상을 실시하여, 복수의 홈 (폭 : 100 ㎚) 이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소정의 피치 (200 ㎚) 로 형성된 레지스트막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플라즈마 에칭 장치 (삼코사 제조, RIE-140iPC) 를 사용하여 SF6 에 의해 에칭을 실시하여, 특허문헌 3 의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금속층의 각 치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 얻어진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에 대해, 투과율, 반사율, 편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Figure pct00050
Figure pct00051
예 1 ∼ 13 은 볼록조의 상면에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하지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편광도, p 편광 투과율 및 s 편광 반사율을 나타냈다.
예 14 는 하지층이 없기 때문에, p 편광의 투과율이 저하되었다.
예 15 는 특허문헌 2 의 실시예 1 에 상당하는 예로서, 하지층이 없기 때문에 p 편광의 투과율이 저하되었다.
예 16 은 특허문헌 3 에 상당하는 예로서, 수지 그리드가 없기 때문에, 단파장의 p 편광 투과율이 저하되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는, 액정 표시 장치, 리어 프로젝션 텔레비전, 프론트 프로젝터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편광자로서 유용하다.
또한, 2008년 7월 1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8-180448호의 명세서, 특허청구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한다.
10 :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12 : 볼록조
14 : 광투과성 기판
16 : 볼록조의 상면
18 : 볼록조의 일방의 측면
20 : 볼록조의 타방의 측면
22 : 하지층
24 : 금속층
26 : 볼록조 간의 홈

Claims (16)

  1.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광투과성 기판과, 상기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존재하는,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하지층과,
    상기 하지층의 표면 상에서 그리고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존재하는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세선을 갖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2.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층이 추가로 볼록조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존재하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금속층이 추가로 볼록조 측면의 전체면에 존재하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지층이 추가로 볼록조 측면의 전체면에 존재하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산화물이 SiO2 또는 TiO2 인,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지층의 볼록조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높이가 1 ∼ 20 ㎚ 인,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층의 볼록조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높이가 30 ㎚ 이상인,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세선의 피치 (Pa) 가 50 ∼ 200 ㎚ 이고, 금속 세선의 폭 (Da) 과 피치 (Pa) 의 비 (Da/Pa) 가 0.1 ∼ 0.6 인,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9.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표면에 복수의 볼록조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는 광투과성 기판의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금속 산화물을 증착시켜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하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하지층의 표면 상에서 그리고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금속을 증착시켜 금속층을 형성하여 금속 세선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진공 증착법을 사용한 사방 증착법으로 볼록조의 적어도 정상부에 하지층을 형성하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볼록조의 전체 표면 및 볼록조 간의 광투과성 기판 표면에 하지층을 형성하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하지층을 스퍼터법으로 형성하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층을 볼록조 측면의 적어도 일부 및 볼록조의 정상부에 형성하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층을 볼록조 측면의 전체면 및 볼록조의 정상부에 형성하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공 증착법을 사용한 사방 증착법으로 금속층을 형성하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사방 증착법을 사용한 금속층을 하기의 조건으로 형성하는,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A) 볼록조의 길이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의 높이 방향에 대해 각도 θR 을 이루는 방향에서부터 금속을 증착시킨다.
    (B) 볼록조의 길이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고, 또한 볼록조의 높이 방향에 대해 상기 각도 θR 과는 반대측에 각도 θL 을 이루는 방향에서부터 금속을 증착시킨다.
    (C) 상기 조건 (A) 에 의한 증착 및 상기 조건 (B) 에 의한 증착을 교대로 상기 조건 (A) 에 의한 증착을 m 회 (단, m 은 1 이상이다), 상기 조건 (B) 에 의한 증착을 n 회 (단, n 은 1 이상이다), 합계 (m + n) 로 3 회 이상 실시한다.
    (D) 상기 조건 (A) 에 의한 m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R 은 하기 식 (Ⅳ) 를 만족하고, 상기 조건 (B) 에 의한 n 회의 증착 중 1 회째의 증착에 있어서의 각도 θL 은 하기 식 (Ⅴ) 를 만족한다.
    15°
    Figure pct00052
    θR
    Figure pct00053
    45°… (Ⅳ),
    15°
    Figure pct00054
    θL
    Figure pct00055
    45°… (Ⅴ).
    (E) 상기 m 이 2 이상인 경우, i 회째 (단, i = 2 ∼ m 이다) 의 θR i 와 (i-1) 회째의 θR (i-1) 은 하기 식 (Ⅵ) 을 만족하고, 상기 n 이 2 이상인 경우, j 회째 (단, j = 2 ∼ n 이다) 의 θL j 와 (j-1) 회째의 θL (j-1) 은 하기 식 (Ⅶ) 을 만족한다.
    θR i
    Figure pct00056
    θR (i-1) … (Ⅵ),
    θL j
    Figure pct00057
    θL (j-1) … (Ⅶ).
KR1020107029718A 2008-07-10 2009-07-09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및 그 제조 방법 Abandoned KR201100314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80448 2008-07-10
JPJP-P-2008-180448 2008-07-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440A true KR20110031440A (ko) 2011-03-28

Family

ID=4150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718A Abandoned KR20110031440A (ko) 2008-07-10 2009-07-09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96396A1 (ko)
EP (1) EP2299299A4 (ko)
JP (1) JP5459210B2 (ko)
KR (1) KR20110031440A (ko)
CN (1) CN102084275B (ko)
TW (1) TWI479206B (ko)
WO (1) WO201000505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510A (ko) * 2016-03-10 2018-11-07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KR20210110785A (ko) * 2014-10-29 2021-09-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자, 편광자의 제조 방법 및 표시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0424B2 (en) 2004-12-06 2009-08-04 Moxtek, Inc. Multilayer wire-grid polarizer
US8755113B2 (en) 2006-08-31 2014-06-17 Moxtek, Inc. Durable, inorganic, absorptive, ultra-violet, grid polarizer
CN101981479A (zh) * 2008-04-03 2011-02-23 旭硝子株式会社 线栅型偏振器及其制造方法
JP5365626B2 (ja) * 2008-04-08 2013-12-11 旭硝子株式会社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子の製造方法
JP2010204626A (ja) 2009-02-05 2010-09-16 Asahi Glass Co Ltd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10376B1 (ko) 2009-04-10 2016-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의 제조 방법
US8248696B2 (en) * 2009-06-25 2012-08-21 Moxtek, Inc. Nano fractal diffuser
JP2012002971A (ja) 2010-06-16 2012-01-05 Seiko Epson Corp 偏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液晶装置、電子機器
JP2012002972A (ja) * 2010-06-16 2012-01-05 Seiko Epson Corp 偏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液晶装置、電子機器
US8611007B2 (en) 2010-09-21 2013-12-17 Moxtek, Inc. Fine pitch wire grid polarizer
US8913321B2 (en) 2010-09-21 2014-12-16 Moxtek, Inc. Fine pitch grid polarizer
KR101259849B1 (ko) * 2010-12-27 2013-05-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와이어그리드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US8593727B2 (en) * 2011-04-25 2013-11-26 Vladimir G. Kozlov Single-shot laser ablation of a metal film on a polymer membrane
US8913320B2 (en) 2011-05-17 2014-12-16 Moxtek, Inc. Wire grid polarizer with bordered sections
US8873144B2 (en) 2011-05-17 2014-10-28 Moxtek, Inc. Wire grid polarizer with multiple functionality sections
DE102011079030B4 (de) 2011-07-12 2014-10-02 Friedrich-Schiller-Universität Jena Polarisa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olarisators
JP5938241B2 (ja) * 2012-03-15 2016-06-2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922890B2 (en) 2012-03-21 2014-12-30 Moxtek, Inc. Polarizer edge rib modification
KR101942363B1 (ko) * 2012-07-26 2019-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소자,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4025318A1 (en) * 2012-08-10 2014-02-13 Temasek Polytechnic Optical grating
US9632223B2 (en) 2013-10-24 2017-04-25 Moxtek, Inc. Wire grid polarizer with side region
CN104297835B (zh) * 2014-10-17 2017-03-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线栅偏振片的制作方法
CN104459865A (zh) * 2014-12-30 2015-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线栅偏振片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4483733B (zh) 2014-12-30 2017-11-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线栅偏振片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10054717B2 (en) 2015-04-03 2018-08-21 Moxtek, Inc. Oxidation and moisture barrier layers for wire grid polarizer
US10534120B2 (en) 2015-04-03 2020-01-14 Moxtek, Inc. Wire grid polarizer with protected wires
US20160291227A1 (en) 2015-04-03 2016-10-06 Moxtek, Inc. Wire Grid Polarizer with Water-Soluble Materials
US9703028B2 (en) 2015-04-03 2017-07-11 Moxtek, Inc. Wire grid polarizer with phosphonate protective coating
KR20170062590A (ko) * 2015-11-27 2017-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467500A (zh) 2016-02-02 2016-04-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线栅偏振片及制作方法、显示装置
JP6915310B2 (ja) * 2016-03-10 2021-08-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偏光子
CN105700058A (zh) * 2016-04-05 2016-06-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背光用金属线栅增亮膜及其制备方法
JP6988079B2 (ja) * 2016-12-14 2022-01-05 ウシオ電機株式会社 紫外線用グリッド偏光素子及びグリッド偏光素子製造方法
JP7123972B2 (ja) 2017-01-06 2022-08-23 フレンドシップ プロダクツ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成形システムおよび関連方法
CN108802878B (zh) * 2017-04-27 2021-02-26 清华大学 松树状金属纳米光栅
TWI641878B (zh) * 2017-09-22 2018-1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線柵偏光器以及使用此線柵偏光器的顯示面板
KR20190055283A (ko) 2017-11-13 2019-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8957615A (zh) * 2018-07-25 2018-12-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金属线栅偏光片的制作方法及金属线栅偏光片
JP7226936B2 (ja) * 2018-07-26 2023-02-2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偏光板及び光学機器
JP6577641B2 (ja) * 2018-08-20 2019-09-1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学機器
TW202014740A (zh) * 2018-10-01 2020-04-16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偏光基板及其製造方法
JP7175390B2 (ja) * 2018-10-03 2022-11-18 モックステ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耐久性のある高性能ワイヤグリッド偏光子
JP7477085B2 (ja) 2019-06-25 2024-05-01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7240357B2 (ja) * 2019-06-28 2023-03-15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偏光素子、偏光素子の製造方法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CN114072707B (zh) * 2019-06-28 2024-08-16 迪睿合株式会社 偏光元件、偏光元件的制造方法和平视显示装置
CN110426887B (zh) * 2019-07-23 2022-04-22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PH12020050238A1 (en) * 2019-08-27 2021-06-14 Moxtek Inc Wire grid polarizer with slanted support-ribs
CN113867032A (zh) 2020-06-30 2021-12-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线栅偏光片及其制造方法
EP4266095A4 (en) 2020-12-28 2024-11-27 Dexerials Corporation WIRE GRID POLARISATION ELEMENT, METHOD FOR PRODUCING A WIRE GRID POLARISATION ELEMENT, PROJECTION DISPLAY DEVICE AND VEHICLE
US12242094B1 (en) * 2021-05-27 2025-03-04 Moxtek, Inc. Wire grid polarizer with protective cap
CN113488603B (zh) * 2021-07-07 2023-08-25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光学显示装置的制作方法
CN114200564B (zh) * 2021-12-07 2023-05-05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曲面贴合光栅偏振膜片及其制造方法与金属栅模具
WO2023120736A1 (ja) 2021-12-24 2023-06-2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ワイヤグリッド偏光素子、ワイヤグリッド偏光素子の製造方法、投影表示装置及び車両
EP4579290A1 (en) 2022-08-26 2025-07-0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Wire grid polarizing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24042941A1 (ja) 2022-08-26 2024-02-29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5135192A1 (ja) * 2023-12-22 2025-06-2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ワイヤグリッド偏光素子、ワイヤグリッド偏光素子の製造方法、投影表示装置及び車両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5630A (en) * 1962-07-17 1966-02-15 Little Inc A Method of making an optical tool
US3291871A (en) * 1962-11-13 1966-12-13 Little Inc A Method of forming fine wire grids
US3293331A (en) * 1962-11-13 1966-12-20 Little Inc A Method of forming replicas of contoured substrates
US4455205A (en) * 1981-06-01 1984-06-19 General Electric Company UV Curable polysiloxane from colloidal silica, methacryloyl silane, diacrylate, resorcinol monobenzoate and photoinitiator
US4855333A (en) * 1982-06-28 1989-08-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Multiple wire photosensitive adhesive for wire embedment
JP3486355B2 (ja) * 1998-12-07 2004-01-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
US6122103A (en) * 1999-06-22 2000-09-19 Moxtech Broadband wire grid polarizer for the visible spectrum
JP2001330728A (ja) * 2000-05-22 2001-11-30 Jasco Corp ワイヤーグリット型偏光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6534235B1 (en) * 2000-10-31 2003-03-18 Kansai Research Institute, Inc.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forming pattern
GB0106050D0 (en) * 2001-03-12 2001-05-02 Suisse Electronique Microtech Polarisers and mass-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larisers
JP2002328222A (ja) * 2001-04-26 2002-11-15 Nippon Sheet Glass Co Ltd 偏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420005B2 (en) * 2001-06-28 2008-09-02 Dai Nippon Printing Co., Ltd.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inely embossed pattern-forming sheet, finely embossed transfer sheet, optical article, stamper and method of forming finely embossed pattern
ATE419550T1 (de) * 2002-02-12 2009-01-15 Oc Oerlikon Balzers Ag Optisches bauteil mit submikrometer-hohlräumen
US6785050B2 (en) * 2002-05-09 2004-08-31 Moxtek, Inc. Corrosion resistant wire-grid polarizer and method of fabrication
US20030224116A1 (en) * 2002-05-30 2003-12-04 Erli Chen Non-conformal overcoat for nonometer-sized surface structure
US7077992B2 (en) * 2002-07-11 2006-07-18 Molecular Imprints, Inc. Step and repeat imprint lithography processes
US6932934B2 (en) * 2002-07-11 2005-08-23 Molecular Imprints, Inc. Formation of discontinuous films during an imprint lithography process
US7227684B2 (en) * 2002-08-21 2007-06-05 Jian Wa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eam polarization
US6665119B1 (en) * 2002-10-15 2003-12-16 Eastman Kodak Company Wire grid polarizer
JP4386413B2 (ja) 2003-08-25 2009-12-16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ワイヤーグリッド偏光子の製造方法
US7074463B2 (en) * 2003-09-12 2006-07-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urable optical element
TWI223103B (en) * 2003-10-23 2004-11-01 Ind Tech Res Inst Wire grid polarizer with double metal layers
JP4267429B2 (ja) * 2003-11-18 2009-05-2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偏光変換素子、偏光変換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投射型液晶表示装置
US20050250052A1 (en) * 2004-05-10 2005-11-10 Nguyen Khe C Maskless lithography using UV absorbing nano particle
JP2006003447A (ja) 2004-06-15 2006-01-05 Sony Corp 偏光分離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466484B2 (en) * 2004-09-23 2008-12-16 Rohm And Haas Denmark Finance A/S Wire grid polarizers and optical elements containing them
US7570424B2 (en) * 2004-12-06 2009-08-04 Moxtek, Inc. Multilayer wire-grid polarizer
KR101228486B1 (ko) * 2004-12-16 2013-01-3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20610A (ko) * 2005-05-27 2008-03-05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그리드 편광 필름, 그리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적층체,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US20070260008A1 (en) * 2005-09-21 2007-11-08 Takashi Saito Silica-Containing Silicone Resin Composition and Its Molded Product
KR100894939B1 (ko) * 2005-10-17 2009-04-27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JP4275692B2 (ja) * 2005-10-17 2009-06-10 旭化成株式会社 ワイヤグリッド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20070183035A1 (en) * 2005-10-31 2007-08-09 Koji Asakawa Short-wavelength polarizing elements and the manufacture and use thereof
US20070217008A1 (en) * 2006-03-17 2007-09-20 Wang Jian J Polarizer fil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5182644B2 (ja) * 2006-04-07 2013-04-17 旭硝子株式会社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70242352A1 (en) * 2006-04-13 2007-10-18 Macmaster Steven William Wire-grid polarizers,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and their use in transmissive displays
JP4694541B2 (ja) 2006-08-10 2011-06-08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偏光子及びそれを備える平板表示装置
DE102006055053A1 (de) * 2006-11-22 2008-05-29 Eos Gmbh Electro Optical Systems Vorrichtung zum schichtweisen Herstellen eines dreidimensionalen Objekts
JP2008180448A (ja) 2007-01-25 2008-08-07 Tml:Kk 飽和蒸気生成方法及びその装置と蒸気加熱方法及びその装置。
WO2008155928A1 (ja) * 2007-06-20 2008-12-24 Asahi Glass Company, Limited 光硬化性組成物および表面に微細パターンを有する成形体の製造方法
JP5037243B2 (ja) * 2007-07-06 2012-09-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界面結合剤、該界面結合剤を含有するレジスト組成物、及び該界面結合剤からなる層を有する磁気記録媒体形成用積層体、並びに該界面結合剤を用いた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磁気記録媒体
US7654715B1 (en) * 2007-08-09 2010-02-02 Kla-Tencor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lluminating a specimen with uniform angular and spatial distribution
JP5101343B2 (ja) * 2008-03-03 2012-12-19 株式会社ダイセル 微細構造物の製造方法
CN101981479A (zh) * 2008-04-03 2011-02-23 旭硝子株式会社 线栅型偏振器及其制造方法
JP5365626B2 (ja) * 2008-04-08 2013-12-11 旭硝子株式会社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子の製造方法
KR101702278B1 (ko) * 2008-05-29 2017-02-03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광경화성 조성물 및 표면에 미세 패턴을 갖는 성형체의 제조 방법
US20100103517A1 (en) * 2008-10-29 2010-04-29 Mark Alan Davis Segmented film deposi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785A (ko) * 2014-10-29 2021-09-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자, 편광자의 제조 방법 및 표시 패널
KR20180121510A (ko) * 2016-03-10 2018-11-07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96396A1 (en) 2011-04-28
JPWO2010005059A1 (ja) 2012-01-05
CN102084275B (zh) 2014-04-30
TW201007230A (en) 2010-02-16
EP2299299A4 (en) 2013-05-29
EP2299299A1 (en) 2011-03-23
CN102084275A (zh) 2011-06-01
WO2010005059A1 (ja) 2010-01-14
TWI479206B (zh) 2015-04-01
JP5459210B2 (ja)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1440A (ko)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및 그 제조 방법
JP5636963B2 (ja)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65626B2 (ja)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子の製造方法
JP5590039B2 (ja)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02008A (ko)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자 및 그 제조 방법
WO2011132649A1 (ja)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子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0126110A1 (ja)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78651A (ja)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1090141A (ja)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73484A (ja)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1227130A (ja)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子の製造方法
JP5442344B2 (ja) ワイヤグリッド偏光板
US12189162B2 (en) Wire-grid polariz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1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9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