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953A - Detachable functional wellness shoe cushion sole - Google Patents
Detachable functional wellness shoe cushion so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29953A KR20110029953A KR1020090087838A KR20090087838A KR20110029953A KR 20110029953 A KR20110029953 A KR 20110029953A KR 1020090087838 A KR1020090087838 A KR 1020090087838A KR 20090087838 A KR20090087838 A KR 20090087838A KR 20110029953 A KR20110029953 A KR 201100299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shion
- walking
- shoe
- nanoball
- sho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신발에 탈착형 쿠션을 장착함으로써, 발바닥의 중심부분을 기준으로 앞축부위와 뒷축부위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상방향으로 경사진 신발 밑창을 적용시킨 종래 기능성 보행화의 기능을 일반화로서 체험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소정의 곡율을 가진 부위를 쿠션화 하여 특정 부위에 위치 시킴으로 평지를 걸으면서도 도면9의 1번 비복근과 2번 가자미근 및 족저근막을 자극하여 등산의 운동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동시에 도면9의 3번 아킬레스건을 포함한 하퇴삼두근을 스트레칭하여 하이힐을 신는 여성들의 고민인 종아리 근육이 튀어나오는 현상을 예방하는 기능을 하는 <탈착형 기능성 웰빙 신발 쿠션 밑창>(이하 <Well-being 쿠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a removable cushion in a general shoe, the general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functional walking shoes to apply a shoe sole inclined upwardly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of the front and rear axles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sole as a generalization Not only can you experience it, but you can cushion the area with a certain curvature and place it on a specific area to walk the flat area and stimulate the 1st gastrocnemius muscle, the 2nd soleus muscle, and the plantar fascia of Figure 9 to achieve the effect of climbing. At the same time, it is designed to prevent the bulge of the calf muscle, which is a concern for women who wear high heels by stretching the lower leg triceps, including the Achilles tendon in Figure 9 (hereinafter referred to as "well-being"). Cushion>).
본 발명은 신발에 <웰빙 쿠션>을 장착하기 위해 도면2의 1번 과 같이 Velcro 또는 버클 형태의 끈과 도면2의 2번 신축성 합성고무 밴드로 구성된다. 도면2의 4번은 2번 신축성 밴드를 신발을 착용하는 방식으로 보다 쉽게 장착하기 위한 고리이며, 도면2의 3번은 쿠션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서,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름 2mm 내지 3mm의 작은 합성고무공으로 이루어진 나노볼 쿠션 완충구역과 나노볼을 감싸고 있는 내피 및 지면과 닿는 Out Sole기능을 하는 외피로 구성되어있다. 나노볼 쿠션은 기타 완충제로 대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Velcro or buckle-shaped straps and elastic elastic band 2 of Figure 2, as shown in Figure 1 for mounting <Wellness Cushion> to the shoe. Figure 4 is a hook for attaching the elastic band 2 more easily in the manner of wearing shoes, and the number 3 in Figure 2 is a cushion part,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as a small synthetic rubber ball of 2mm to 3mm in diameter It consists of a nanoball cushion buffer zone and an outer shell covering the nanoball and an outer sole that contacts the ground. Nanoball cushions can be replaced with other buffers.
본 발명은 일반 운동화 뿐만 아니라 구두, 실내화 및 샌들에도 장착 가능한 것으로써 바쁜 일과로 인해 등산의 운동효과를 경험할 수 없는 현대인들이 시내 보행이나 실내 보행을 통해서 쉽게 등산의 운동효과를 거둘 두 있도록 구성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shoes, indoor shoes and sandals as well as general sneakers, so that modern people who cannot experience the exercise effect of climbing due to busy routines are easily configured to achieve the exercise effect of mountain climbing through walking or indoor walk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순히 사무실이나 거실과 같은 실내 또는 시내의 평지를 걸으면서 도면 5와 도면 6을 거쳐 도면 7에 이르는 보행의 과정을 통해 뭉쳐진 종아리 근육 즉,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긴장을 풀어주고 도면7의 2와 같이 나노볼 쿠션이 산행에 있어서 돌뿌리를 지지대 삼아 밟고 등반할 때 처럼 지면과 급격한 각을 이룸으로써 보행을 좀더 쉽게하고 운동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준다.The present invention simply relaxes the calf muscles, namely the gastrocnemius and soleus muscles, which are gathered through the walking process from Figs. 5 and 6 through Fig. 7 and Fig. 7 while walking on the floor of an indoor or downtown area such as an office or a living room. Like this, the nanoball cushion makes walking easier and keeps the direction of movement by making a steep angle with the ground as when climbing and climbing with a stone root as a support.
동시에 이러한 기능들을 보다 많은 사람들이 각자가 선호하는 신발에 기존 완제품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부담 없이 장착하여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At the same time, it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more people to experience these features with their preferred shoes at a lower price than conventional finished products.
등산이나 걷기가 몸 전체의 근육을 이완시켜주고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나, 바쁘게 생활하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일부러 시간을 내서 등산 이나 걷기 등을 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현대인들을 위해 등산이나 걷기기능을 강화한 기존의 제품을 살펴보면 여러 가지 미흡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완제품으로 시중에 나온 상품 역시 가격 측면에서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It is known that hiking and walking can relax the muscles of the whole body and help health, but it is not easy for the busy modern people to take time to hike or walk on purpose. However, if you look at existing products that have enhanced climbing and walking functions for modern people, you may find many insufficiencies. It is also true that commodities on the market as finished products are not easily accessible to the public in terms of price.
기존의 출원을 살펴보면 보행 기능을 강화한 출원은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existing application is the application that enhances the walking function is as follows: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301689호의 '기능성 건강신발'에서 앞굽부위가 뒷굽부위보다 더 높게 형성되고, 혈액 순환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등록출원은 밑창 구조가 평평하고 직각으로 되어있어서 뒷굽으로부터 발바닥을 거쳐 앞굽으로 이어지는 보행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보행시 관절에 충격을 주게 된다.In 'functional health shoes' of Korean Utility Registration No. 20-0301689, the front heel is formed higher than the heel and strengthens blood circulation. However, the registration application has a flat and right angled sole structure, so that walking from the heel to the sole of the foot to the forefoot is not natural and impacts the joints when walking.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351293호의 <다이어트용 신발>에서는 뒷굽보다 앞굽이 높은 신발을 신고 앞굽으로만 서서 걷도록하여 하체 근육에 운동량을 증가시키므로 다이어트 운동이 이루어지는 기술이 등록되어있으나, 까치발 걸음은 발목, 무릎, 고관절 등 관절에 충격을 주고 인대와 근육에 과도한 긴장을 유도할 수 있어 자칫 족저근막염 등 근육계통의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맹점이 있다.In the Korean Practical Registration No. 20-0351293, 'Diet Shoes' registers a shoe with a higher heel than the heel and walks only with the front heel to increase the amount of exercise in the lower body muscles. In addition, the knee and hip joints can be shocked and induce excessive tension in ligaments and muscles, which can lead to diseases of the muscular system such as plantar fasciitis.
앞굽을 뒷굽보다 높여 진행방향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을 오르는 효과를 추구하는 기존의 제품들은 착용자들에게 등산의 운동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것은 산이 오 르막길이라 하더라도 자동차용 도로처럼 일정한 각도로 지속성을 가지고 형성돼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등산로는 아스팔트로 일정하게 깔려있는 것이 아니라 자체 굴곡을 가지고 있다. 즉, 자연상태의 흙과 나무뿌리 그리고 돌로 이루어진 굴곡은 비탈길에서도 돌뿌리를 밟고 쉽게 등반 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각도를 갖는 경사면을 오르는 효과를 추구하는 기존 제품은 오히려 착용자의 근육을 손상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Existing products that pursue the effect of climbing the inclined plane that is higher in the direction of progress by raising the front heel than the heel are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 of mountain climbing on the wearer. That is, even if the mountain is uphill, it is not formed with a constant angle like a car road. The hiking trails are not constantly laid with asphalt but have their own bends. In other words, natural soil, tree roots, and stone bends have the conditions to easily climb on the stone roots on slopes. Therefore, existing products that pursue the effect of climbing the slope with a constant angle may be rather damaging the wearer's muscles.
특허 출원된 제품이나 기존에 상품화된 제품은 공통적으로 실외형 완제품 형태이므로 사용자들의 편의에 의해서 가변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Patented products or conventionally commercialized products are in the form of outdoor finished products, so it is difficult to use them variably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산원가가 저렴하므로 소비자가를 낮춰 보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existing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oduction cost is low, so the purpose of lowering the consumer price so that more people can u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지를 걸으면서 자연상태의 산을 등반하는 효과를 발생시키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n effect of climbing a mountain in a natural state while walking on a fla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한 걷기운동으로 비복근, 가자미근 등 하퇴삼두근의 스트레스를 풀어주어 하이힐을 신는 여성의 종아리 모양을 아름답게 가꾸어 주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e the stress of the lower leg triceps, such as the gastrocnemius and soleus by simple walking exercise to beautifully shape the calf of women wearing high heels.
종아리는 비복근이 넙치근과 합하여 하퇴삼두근을 이루어 아킬레스건이 되어 종골에 붙는다. 비복근은 발뒤꿈치를 드는 일, 즉 걷거나 달리거나 또는 뛰어오르는 동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자미근은 비복근의 하층에 있으며, 모양이 물고기 가자미처럼 생겨 이런 이름이 붙었다. 발꿈치를 들어올리는 작용을 하며, 밀어주는 운동역할을 한다. 가자미근은 비복근과 함께 족저굴곡을 하고, 기립자세를 유지하며, 보행할 때는 안정근으로 작용한다. 특히 뒷굽이 높은 구두를 신은 여자의 경우 가자미근의 활동은 증가한다. (출처 : 두산백과사전)The calf combines the gastrocnemius with the halibut muscle to form the lower triceps, becoming an Achilles tendon and attaching it to the calcaneus. The gastrocnemius plays an important role in lifting the heel, ie walking, running or jumping. Fluke is located below the gastrocnemius muscle and is shaped like a fish flounder. Raises the heel and acts as a booster. Fluke muscles with gastrocnemius muscle plantar flexion, maintain the standing posture, and acts as a stable muscle when walking. Especially for women wearing high-heeled shoes, the activity of the soleus muscle increases. (Source: Doosan Encyclopedi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두, 샌들이나 실내화에 이르기까지 사용자가 좋아하는 신발에 또는 사용자의 필요성에 적합한 신발에 쉽게 장착함으로써 실내 또는 실외에서 시기와 장소에 따라 널리 사용하도록 활용도를 높이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for wide use according to the time and place indoors or outdoors by easily attaching to a user's favorite shoes, such as shoes, sandals or slippers, or shoes suitable for the user's needs. .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신발의 내피와 갑피가 필요치 않으며, 합성수지와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쿠션 형태의 탁찰식 제품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does not require the inner and upper of the shoe, it is characterized by a cushion-type tabular product made of synthetic resin and synthetic rubber.
본 발명은 도면 5의 2와 같이 쿠션에 돌뿌리의 지렛대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위치선정을 하였으며 도면 6을 거쳐 도면 7에 이르러서 지면과의 각을 15도에서 35도 사이에 위치토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position was selected to perform the role of the lever of the stone roots in the cushion, and the angle with the ground was reached between 15 degrees and 35 degrees through the drawing 6 through the drawing 6.
본 발명은 도면 2의 3과 같이 나노볼 쿠션 또는 그에 상응하는 신축성 소재를 채택함으로써 도면 1의 지면각과 더불어 하퇴삼두근의 스트레스를 풀어주고 다리모양을 매끄럽게 가꿔주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by adopting a nano-ball cushion or a corresponding elastic material as shown in Figure 2 3 to release the stress of the lower leg triceps along with the ground angle of Figure 1 to smooth the shape of the legs.
본 발명은 도면 2의 1번 발등걸이와 2번 뒤꿈치 걸이 및 4번 뒤꿈치 걸이 당기개를 통해 기존 신발에 쉽게 장착하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was to be easily mounted on the existing shoes through the first foot and second heel hook and four heel hook puller of Figure 2.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웰빙 쿠션'은 기존 신발 일체형 제품에 비해 저렴한 소비자가로 누구나 쉽게 구매할 수 있다.'Wellness cushion' 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urchased by anyone at a lower price than the existing shoe integrated products.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웰빙 쿠션'은 사무실이나 거실에서 조차 간단한 걷기 만으로 자연 그대로의 산에 오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Wellness cushion'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such as climbing a mountain as it is with a simple walk, even in the office or living room.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웰빙 쿠션'은 여성의 고민인 종아리 근육 돌출현상을 예방하고 하퇴삼두근의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Wellness cushion'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calf muscle protrusion phenomenon of women and releasing the stress of the lower leg triceps.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웰빙 쿠션'은 별도의 고가 신발을 따로 구매하지 않고 도면 3과 같이 발등걸이와 뒤꿈치 걸이를 통해 기존 신발에 쉽게 장착하게 하여 활용도를 높였다.'Wellness cushion'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existing shoes through the foot and heel hook as shown in Figure 3 without purchasing a separate expensive shoes separately.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웰빙 쿠션'은 도면 2와 같이 크게 1번 발등걸이 부분, 2번 뒤꿈치 걸이 부분, 3번 나노볼 쿠션 부분 및 4번 뒤꿈치 걸이 당기개로 이루어진다.'Wellness cush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1 foot instep part, 2 heel hook part, 3 nanoball cushion part and 4 heel hook pull as shown in FIG.
도면 2의 1번 발등걸이는 도면 3의 Top View에서도 볼 수 있듯이 Velcro 일명 찍찍이로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버클형태로도 가능하다. 발등걸이는 발등의 경사진 면에 장착됨으로써 도면 5와 같이 보행시 나노볼쿠션이 발뒤꿈치 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해준다.As shown in the top view of Fig. 3, the 1st foot hanger of Fig. 2 can adjust the tightening degree with a Velcro aka chuck, and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buckle. The footrest is mount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oot to prevent the nanoball cushion from being pushed toward the heel as shown in FIG. 5.
도면 2의 2번 뒤꿈치 걸이는 탄력성이 높은 합성고무 재질로 구성되어있으며, 보행시 3번의 나노볼 쿠션이 발앞꿈치 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해준다The 2nd heel hanger of Figure 2 is made of highly elastic synthetic rubber material, and prevents the phenomenon of 3 times nanoball cushion being pushed toward the heel when walking.
도면 2의 3번 나노볼 쿠션은 나노볼이 채워진 완충부와 나노볼을 감싸고 있는 내피부 및 지면과 닿는 아웃솔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The
나노볼은 지름 2mm 내지 3mm의 작은 고탄력 합성고무공으로 이루어지며, 공속이 비어있는 것과 꽉찬 것을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속이 비어있는 나노볼은 각각의 볼이 에어쿠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Nanoballs are made of small high elastic synthetic rubber balls with a diameter of 2mm to 3mm, and empty ones and full ones can be used. Hollow nanoballs have each ball acting as an air cushion.
나노볼은 발에 하중이 실렸을 때 공과 공사이의 공간으로 서로 비집고 들어가며 내피를 평면적으로 확장시켰다가 각각의 탄성으로 인해 빠르게 원형을 회복하려는 특징을 지닌다. 이때 아웃솔은 나노볼쿠션부분 전체가 하중으로 인해 지나치게 평편 적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nanoball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when the load is loaded, the ball and the construction are plunged into each other's space to expand the endothelium in a planar manner and then quickly recover the circle due to the elasticity of each. At this time, the outsole plays a role of preventing the entire nanoball cushion portion from being excessively flat due to the load.
나노볼로 이루어진 웰빙쿠션으로 인해 보행시 낙엽이 쌓인 산의 부드러운 흙길을 걷는 것과 같은 느낌을 제공하여 발의 피로를 줄여준다.A wellness cushion made of nanoballs reduces foot fatigue by providing a feeling like walking on a soft dirt trail in a mountain with fallen leaves.
나노볼쿠션 부분은 도면 4의 1번과 같이 앞면이 엄지발가락 쪽, 즉 발 안쪽으로 기울어져있다. 기울기는 7도에서 12도 사이를 제공한다. 이것은 보행시 자연스럽게 약간 8자 걸음을 띄는 사람의 특성을 반영하여 보행의 진행방향을 교정해주고 엄지 발가락 부분이 웹빙쿠션을 지지대로 삼아 도면 7의 각도에서 보행이 수월하도록 한다.The nanoball cushion portion is inclined to the front side of the big toe, that is, the inside of the foot, as shown in the
도면 2의 3번 나노볼 쿠션은 앞쪽 기울임이 시작되는 곳으로 발바닥 앞부분의 튀어나온 부위를 선정한다. 이것은 산에 오르는 과정에 있어서 돌뿌리를 지지대 삼고 올라가면 더 수월한 원리이다.No. 3 nanoball cushion of Figure 2 selects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front of the sole as the place where the forward tilting begins. This is an easier principle to climb up with a rock root as a support for climbing the mountain.
도면 4의 2번은 나노볼 쿠션의 뒷부분이 발 바깥쪽으로 갈 수로 약간 뒤쪽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유지한다. 각도는 2도에서 6도 사이를 유지한다. 이것은 쿠션이 지면에 닿을 때 발의 진행 방향을 교정시켜주기 위한 것이다.No. 2 in Figure 4 maintains a slightly backward tilted angle as the back of the nanoball cushion can go out of the foot. The angle stays between 2 and 6 degrees. This is to correct the direction of foot movement when the cushion touches the ground.
도면 2의 4번 뒤꿈치 걸이 당기개는 웰빙쿠션을 보다 수월하게 신발에 장착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제공한다.4 heel hook puller of Figure 2 provides the convenience to easily fit the well-being cushion to the shoe.
웰빙쿠션을 고려하여 생산되는 신발은 발뒤꿈치 걸이 부분을 고정할 수 있도록 신발 뒷 부분에 걸이용 홈을 제공한다.Shoes produced in consideration of well-being cushions provide hook grooves at the back of the shoe to secure the heel hook portion.
도면 5의 발 밑부분과 지면의 각도는 나노볼 쿠션의 두께에 따라 무하중시 10 내지 25도 사이이며, 하중에 따라 약간씩 줄어든다.The angle of the foot and the ground of FIG. 5 is between 10 and 25 degrees with no load,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nanoball cushion, and decreases slightly with load.
도면 7의 발 밑부분과 지면의 각도는 나노볼 쿠션의 두께에 따라 무하중시 20 내지 35도 사이이며, 하중에 따라 약간씩 줄어든다.The angle of the foot and the ground of FIG. 7 is between 20 and 35 degrees with no load,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nanoball cushion, and decreases slightly with loa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웰빙쿠션 착용 보행시 1, 2, 3 번의 순서로 지면에 닿는 각도를 표시한 것이다.Figure 1 shows the angle of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e order of walking 1, 2, 3 when wearing a well-being cush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웰빙쿠션의 측면도 및 나노볼 쿠션부분 단면도를 표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a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shion portion of the well-being cush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웰빙쿠션의 Top View와 Bottom View를 표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the top view and bottom view of the well-being cush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웰빙쿠션을 신발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좌우 1세트의 Top View를 표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 top view of one set of left and right in the state without the well-being cush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 6, 7은 본 발명에 따른 웰빙쿠션을 신발에 장착하고 보행시 뒤꿈치 부분과 지면의 각도를 표시한 것이다.5, 6, and 7 is a well-being cush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shoe and shows the angle of the heel portion and the ground during walking.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웰빙쿠션을 신발에 장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Figure 8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ell-being cush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mounted on the shoe.
도9는 인체 중 종아리 부위의 근육을 표시한 것이다.Figure 9 shows the muscles of the calf region of the human body.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7838A KR20110029953A (en) | 2009-09-17 | 2009-09-17 | Detachable functional wellness shoe cushion so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7838A KR20110029953A (en) | 2009-09-17 | 2009-09-17 | Detachable functional wellness shoe cushion so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9953A true KR20110029953A (en) | 2011-03-23 |
Family
ID=4393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7838A Ceased KR20110029953A (en) | 2009-09-17 | 2009-09-17 | Detachable functional wellness shoe cushion so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29953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4527B1 (en) * | 2011-05-02 | 2012-04-13 | (주) 김앤문슈즈인더스트리 | Diet and reinforce strength shoes |
KR20200000932U (en) | 2018-11-01 | 2020-05-12 | 주식회사 다원헬스케어 | Functional indoor shoes |
KR102252967B1 (en) | 2019-12-10 | 2021-05-17 | 주식회사 다원헬스케어 | A supporter and sandal for therapy flat-foot patients |
-
2009
- 2009-09-17 KR KR1020090087838A patent/KR20110029953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4527B1 (en) * | 2011-05-02 | 2012-04-13 | (주) 김앤문슈즈인더스트리 | Diet and reinforce strength shoes |
KR20200000932U (en) | 2018-11-01 | 2020-05-12 | 주식회사 다원헬스케어 | Functional indoor shoes |
KR102252967B1 (en) | 2019-12-10 | 2021-05-17 | 주식회사 다원헬스케어 | A supporter and sandal for therapy flat-foot patien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63692A (en) | Footwear and insole pad thereof | |
US6021588A (en) | Shoe assembly | |
US5448839A (en) | Stand easy shoe | |
US9730489B2 (en) | High heel for exercising achilles tendons while walking | |
US20120317844A1 (en) | Outsole with pods and grooves | |
US20120137540A1 (en) | Composite sole assembly | |
KR100960562B1 (en) | Functional shoes insole providing kinesis to metatarsals | |
US2780013A (en) | Footwear | |
KR101773939B1 (en) | Soles of shoes | |
KR100627678B1 (en) | Brush structure of shoes | |
KR20110029953A (en) | Detachable functional wellness shoe cushion sole | |
CN101394762A (en) | Functional footwear | |
KR100817411B1 (en) | Functional shoes | |
US20040221487A1 (en) | Shoe construction | |
JP3195381U (en) | Sandal board and sandals | |
KR200362908Y1 (en) | Shoe realizing the posture of mountaineering | |
US20150335099A1 (en) | Memory sneaker | |
KR20180100037A (en) | Shoes Sole For Exercise | |
KR200483752Y1 (en) | Wooden shoes for strengthening Achilles tendon | |
KR20220019515A (en) | Insole for shoes | |
TWM503776U (en) | insole | |
JP3167656U (en) | footwear | |
JP7708468B1 (en) | Sole attachment | |
CN221153170U (en) | Professional rope skipping shoes | |
JP3168694U (en) | footwe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8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