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0562B1 - Functional shoes insole providing kinesis to metatarsals - Google Patents

Functional shoes insole providing kinesis to metatars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562B1
KR100960562B1 KR1020090090664A KR20090090664A KR100960562B1 KR 100960562 B1 KR100960562 B1 KR 100960562B1 KR 1020090090664 A KR1020090090664 A KR 1020090090664A KR 20090090664 A KR20090090664 A KR 20090090664A KR 100960562 B1 KR100960562 B1 KR 100960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insole
foot
midfoot
shoe ins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6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영
Original Assignee
김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영 filed Critical 김민영
Priority to KR1020090090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5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56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발에 존재하는 다양한 근육에 운동성을 부여하여 인체의 협응력 강화 및 체형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을 갖춘 신발 깔창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정지 및 보행 시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하도록 중족골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패드부, 및 정지 및 보행 시 체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1 패드부와 연결 형성되고 타측은 종골 하부까지 형성된 제2 패드부를 포함하는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사용하면, 발바닥에 운동성을 부여함으로써 보행 및 자세유지에 관련되어 있는 근육 및 감각신경을 자극하여 다이어트 효과와 인체의 협응력 강화 및 체형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지 및 보행 시 자세유지 등 보행에 관여하는 하지의 근육 활동량을 증가시키고 근육을 강화시켜 종아리, 허벅지, 및 엉덩이의 탄력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 shoe insole having a function of providing mobility to various muscles present in the foot and expecting a body coordination and body correction effect is disclosed. To this end, a first pad part positioned below the metatarsal bone to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during stopping and walking, and one sid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pad part to absorb a shock caused by weight during stopping and walking, and the other side is under the calcaneus. It provides a functional shoe insole that can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portion including the second pad portion formed to. By using the functional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arting mobility to the sole of the foot can stimulate the muscles and sensory nerves involved in walking and posture maintenance can be expected diet effect and coordination of the human body and body correction effec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extremities involved in walking, such as posture maintenance during walking and walking, and to strengthen the muscles, thereby improving the elasticity of the calf, thighs, and hips.

Description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FUNCTIONAL SHOES INSOLE PROVIDING KINESIS TO METATARSALS}FUNCTIONAL SHOES INSOLE PROVIDING KINESIS TO METATARSALS}

본 발명은 신발에 착용하는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세유지 및 보행과 관련되어 있는 하지의 근육 활동량을 증가시키고, 고유수용감각기관을 활성화시켜 다이어트 효과와 함께 인체의 협응력 강화 및 체형 교정 효과를 가지도록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ole to be worn on shoes, and more particularly, to increase the amount of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limbs associated with posture maintenance and gait, and to activate the intrinsic tolerance sensory organs to enhance the coordination of the human body and correct body shape. It relates to a functional shoe insole that can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to have an effect.

근래 들어 현대인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건강을 우선으로 하는 사회적 경향이 확산되면서 신체 각 부분의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일정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운동기구나 프로그램, 또는 각종 보조 수단들이 보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quality of life of modern people improves and the social tendency that prioritizes health spreads, exercise equipment, programs, or various supplementary means that can improve the function of each part of the body or expect a certain therapeutic effect are being distributed. .

예를 들어, 스포츠 과학 및 재활 의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는 토구(togu)나 슬링(sling) 등의 제품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근력뿐만 아니라 시각, 청각, 촉각 등 외부수용기를 통해 들어오는 감각자극을 중추신경에서 조직화하는 감각운동조절능력(sensorymotor function)을 향상시키고, 일반적인 운 동으로는 접근이 어려운 심부근(자세유지근)과 관절보호근(안정화근)에 자극을 가하여 관절의 정적 혹은 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다. For example,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where research on sports science and rehabilitation medicine is active, products such as togu and sling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hrough external receptors such as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e as well as muscle strength. Improves sensory motor function to organize incoming sensory stimula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stimulates deep muscles (postural muscles) and joint protective muscles (stabilized muscles)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with normal movement. Or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dynamic stability.

특히, 신체 부분 중 발은 사람의 체중을 지탱할 뿐만 아니라 사람이 스스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최근 들어 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발맞추어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거나 치료적 효과가 있는 신발, 양말, 신발깔창 들이 다수 소개되고 있으며 시중에서 널리 판매되고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foot of the body part is a means not only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person but also to allow the person to move by themselves, interest in the foot has recently increased. In line with this trend, a number of shoes, socks and shoe insoles having various functional or therapeutic effects have been introduced and are widely sold on the market.

발과 관련된 기능성 제품으로 최근에는 신발 깔창과 중창 사이에 부가적인 패드를 부착하여 키크는 효과를 제공하는 '신장성장 촉진용 운동화'가 개발(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67880호)되었고, 또한, 엄지발가락 부위에 온도 차이를 발생시켜 심신이 안정됐을 때 나오는 뇌파인 알파파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여 집중력을 향상시켜 주는 신발이 시판되고 있다. As a functional product related to the foot, recently, an 'extension growth sneaker' was developed (Korea Republic Patent No. 10-2006-0067880), which provides an additional pad between the shoe insole and the midsole to provide a kicking effect. In addition, shoes that increase the concentration by generating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big toe and the brain and brain when the mind and body are stabilized are being marketed.

이 중에서 신발 깔창은 사람의 발바닥과 신발 사이에 착용하여 보행 시나 정지 시에 발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운동 시 불안정해질 수 있는 발의 위치를 지지하여 안정된 상태에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발바닥 등의 피부를 통해 배출되는 땀을 흡수하여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신발 내부의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신발 내부를 쾌적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신발 형태가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틀 역할을 하기도 하며, 이 경우 신발의 미려함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Among them, the shoe insole is worn between the sole of the person and the shoe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foot during walking or stopping, and to support the position of the foot that may become unstable during exercise to allow the exercise in a stable state. In addition, by absorbing the sweat discharged through the skin such as the sole to prevent the slipping of the foot, and to facilitate the ventilation inside the shoe to play a role to make the inside of the shoe comfortable. In addition, it serves as a support frame so that the shoe shape can be supported, in this case it also serves to maintain the beauty of the shoe.

이러한 기능들을 더욱 향상시키거나, 신발깔창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further improve these functions or to add new functions to the shoe insole is ongoing.

예를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920호(2005년10월10일 등록)에 "기능성 신발 패드"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98920 (registered on October 10, 2005) discloses a "functional shoe pad".

이는 패드의 일측은 상측커버와 하측커버의 사이에 비교적 두껍게 형성된 조절부와, 조절부에 비하여 상측커버와 하측커버의 사이가 얇게 형성된 깔창부를 통해 신발이나 구두 등의 내부에 삽입 설치하여 발바닥의 일측 부분을 인위적으로 높이도록 한 기능성 신발 패드에 관한 기술이다.One side of the pad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is relatively thick between the control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cover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compared to the adjustment portion formed in the shoe or the inside of the shoe, etc. It is the technique regarding the functional shoe pad which made the part artificially high.

이 기술의 경우 인위적으로 패드의 일측을 높이도록 하여 선천적, 기형적 또는 습관에 의해 굴곡된 다리의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기술의 경우 선천적, 기형적 또는 습관에 의해 굴곡된 다리의 교정에만 국한되어 사용할 수 있을 뿐, 정상적인 다리 형태를 가지고 있는 일반인들에게 운동성을 부여하여 다이어트 효과를 부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technique, one side of the pad may be artificially raised to expect the corrective effect of the leg bent by innate, malformed or habit. However, this technique can be used only to correct the legs bent by innate, malformed or habi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give a diet effect by giving exercise to the general people with normal leg form.

그리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2025호(2006년03월15일 등록)에 "다기능 신발 깔창"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Multifunctional Shoe Insole"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12025 (registered on March 15, 2006).

이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깔창에 있어서, 중간부분에서 뒷부분까지 상하로 이분되어 발의 아치를 지지하는 아치지지부를 가지고, 아치지지부의 개구측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이 설치되는 아치지지창과, 아치지지창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형성된 패드홈에 부착되는 쿠션패드와 쿠션패드가 부착된 아치지지창의 상부에 부착되는 가죽패드를 구성한 다기능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In the insole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s, the arch support window is divided into two vertically from the middle portion to the rear portion to support the arch of the foot, the arch support window is installed between the opening side of the arch support portion, and the arch support windo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hoe insole comprising a cushion pad attached to a pad groove formed at a front part and a rear part, and a leather pad attached to an upper part of an arch support window to which a cushion pad is attached.

이 기술의 경우 신발의 바닥창의 상부에 깔아 놓은 깔창을 통해 신발 내부의 환기와 키높이 효과 및 운동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이와 함께 다이어트 효과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으면서도 충격흡수 및 완충작용에 의한 착용감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의 경우 키높이 효과를 위해 발뒤꿈치 부분에 스프링을 구성하여 운동성을 부여하지만, 자세유지 및 보행에 관련된 근육에 적절한 운동성을 부여하기 어렵다. 특히 빠른 보행 또는 달리기를 할 경우 발목에 무리가 가해짐은 물론, 발목을 접지를 수 있는 위험부담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깔창을 장기간 사용하면, 착용자의 보행 및 자세에 변형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In the case of this technology, the insol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shoe can be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ventilation, height, and exercise inside the shoe, and at the same time can realize the diet effect, while improving the fit by shock absorption and cushioning action. You can expect. In this technique, however, the spring is formed on the heel portion for the height-height effect, and the mobility is imparted. In particular, when walking or running fast, the ankle is exer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grounding the ankle is increased. Furthermore, long-term use of such insoles increases the likelihood of causing deformation in the wearer's walking and posture.

따라서 일반적으로 시내의 포장된 도로 보다는 비포장도로나 산길 등을 걸을 때 운동 효과가 크고 균형감 등 부가적인 신체 기능이 향상된다는 연구결과와 발의 해부학적 구조 및 발의 각 부위별 생체역학적 역할을 응용하여, 안정성이나 충격흡수 기능뿐만 아니라, 신체에 회복가능한 불안정한 상태를 제공함으로서 발에 연결된 다양한 근육들의 운동성을 부여하여 다이어트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깔창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n general,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exercise effect is greater and the additional body functions such as balance are improved when walking on unpaved roads or mountain roads, rather than paved roads in the city, and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foot and the biomechanical role of each part of the foot are applied. In addition to the shock-absorbing function, by providing a recoverable unstable state to the body to give the mobility of the various muscles connected to the foot by the development of the insole that can expect a diet effect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에 존재하는 근육 및 이에 연결된 다양한 근육에 운동성을 부여하여 근육의 활동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의 협응력 강화 및 체형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을 갖춘 신발 깔창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insole having a functional function that can increase the amount of activity of the muscle by giving motility to the muscles present in the foot and various muscles connected thereto, as well as enhance the coordination and body correction effect of the human body. hav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지 및 보행 시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하도록 중족골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패드부; 및 정지 및 보행 시 체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1 패드부와 연결 형성되고 타측은 종골 하부까지 형성된 제2 패드부를 포함하는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d portion located below the metatarsal bone to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portion during stop and walking; And a functional shoe insole capable of imparting mobility to the midfoot, wherei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pad part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to the lower calcaneus so as to absorb a shock due to weight when stopping and walking. .

본 발명에 의한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을 사용하면, 발바닥에 운동성을 부여함으로써 보행 및 자세유지에 관련되어 있는 근육 및 감각신경을 자극하여 다이어트 효과와 인체의 협응력 강화 및 체형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지 및 보행 시 자세유지 등 보행에 관여하는 하지의 근육 활동량을 증가시키고 근육을 강화시켜 종아리, 허벅지, 및 엉덩이의 탄력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By using a functional shoe insole that can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timulating the muscles and sensory nerves associated with gait and posture maintenance by imparting mobility to the soles, diet effect and coordination of the human body are enhanced and body shape. You can expect corrective effect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extremities involved in walking, such as posture maintenance during walking and walking, and to strengthen the muscles, thereby improving the elasticity of the calf, thighs, and hips.

그리고 일상생활 속에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근골격계와 신경계의 협응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감각자극에 대한 조직화 능력을 강화시켜 연령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감각조절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usculoskeletal and nervous systems can maintain coordination in daily life, maintain the balance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the nervous system, and enhance organizing ability of these sensory stimuli to enhance sensory control regardless of age or gender. .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은 뒤꿈치의 월형(counter)이 없는 슬리퍼와 하이힐 등의 신발류를 제외한 구두와 운동화 등의 모든 신발류에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기존에 소지하고 있는 신발에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unctional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existing footwear, such as shoes and sneakers, except for slippers and high heels without the heel of the counter (counter) can be used in existing shoes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기존의 기능성 신발은 제품의 디자인이 다양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미적 취향을 반영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나,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 깔창은 디자인적 제약을 받지 않고 소비자 취향에 맞는 신발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functional shoes are difficult to reflect the aesthetic taste of the consumer because the design of the product is not diverse, the functional shoe in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shoes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consumer without design constraints. There is an advantage.

나아가 본 발명의 기능성 깔창으로 기능성 신발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어 세계 경쟁에서 밀려 사양산업화 되어가고 있는 국내의 신발 및 관련 부자재 산업의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more, the functional in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target the functional shoe market, thereby improving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footwear and related subsidiary materials industries that are being pushed out of the global competition and becoming industrializ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functional shoe insole that can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족부 뼈 및 관절의 명칭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발의 내재근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발의 외재근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발의 외재근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name of the foot bone and joint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shoe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oot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shoe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muscle,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external muscles of the foot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shoe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unctional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shows the rear of the external muscle of the foot to explain the insol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해부학적으로 보았을 때 발의 뼈는 한쪽 발에 26개 씩 모두 5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쪽 발을 구성하고 있는 26개의 뼈는 후족 부(hindfoot 또는 rearfoot) 7개, 중족부(midfoot) 5개, 전족부(forefoot) 14개로 구분되어 진다.1 to 4, anatomically, the bones of the foot are composed of 52 pieces, each of which is 26 in one foot, and the 26 bones that constitute one foot include seven hindfoot or rearfoot, It is divided into five midfoot and 14 forefoot.

그리고 한쪽 발에는 19개씩의 근육과 건이 있어 양쪽 발에는 모두 38개의 근육과 건이 있고, 이 중 18개는 발바닥에 있으며 13개의 하지의 건들이 발바닥에 연장되어 붙어 있다. 또한, 발에는 한쪽에 107개씩 모두 214개의 인대가 있으며, 이 인대들은 발의 관절들을 결합시키고 관절의 불필요한 느슨함을 막아주고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여 발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기능적으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한다.There are 19 muscles and guns on one foot, 38 muscles and guns on both feet, 18 of which are on the soles, and 13 lower extremities on the soles of the feet. In addition, the foot has 214 ligaments, each with 107 on one side. These ligaments join the foot joints, prevent unnecessary loosening of the joints, and provide structural stability to keep the foot functional from external shock. do.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후족부는 정지 시 체중의 가장 많은 범위를 지탱하며, 보행 시 지면과 처음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써 체중 지탱과 함께 충격 흡수를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족부는 후족부의 종골(calcaneus)과 함께 체중의 분산 및 중심을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전족부는 중족부와 함께 중심 유지 및 보행 시 이동속도를 가속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ear end portion supports the most range of the weight at rest, and is the first contact portion with the ground during walking, and is responsible for shock absorption along with weight support. And the midfoot portion plays a role of maintaining the center of variance and weight of the calf with calcanus. In addition, the forefoot part plays a role of accelerating a moving speed when maintaining the center and walking together with the midfoot part.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보행의 주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입각기의 보행을 구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ycle of walking for explaining a functional shoe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llustrates a walking of a standing foot for explaining a functional shoe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drawin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생체 역학적으로 인간의 보행은 발이 땅에 닿고 있는 상태인 입각기(stance phase)와, 발이 땅에서 떨어져 공중에 있는 상태인 유각기(swing phase)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보행 주기에서 입각기는 60%를 차지하고, 유각기는 40%를 차지한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human gait may be classified into a stance phase in which the foo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swing phase in which the foot is in the air when the foot is off the ground. In the walking cycle, the standing period accounts for 60% and the walking period accounts for 40%.

입각기는 다시 발뒤꿈치 닿기(heel strike), 발바닥 닿기(foot flat), 중간 입각기(mid stance), 발뒤꿈치 들어올리기(heel off), 및 발끝 밀기(toe off) 시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시간적 비율은 전체 입각기 60%를 기준으로 각각 5%, 10%, 25%, 10%, 10% 정도의 비율을 차지한다.Position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heel strike, foot flat, mid stance, heel off, and toe off periods. The proportion accounts for 5%, 10%, 25%, 10%, and 10%, respectively, based on 60% of the standings.

상기 발뒤꿈치 닿기와 발바닥 닿기 시기는 충격흡수와 체중 이동에 대한 안정성을 유지하는 시기로써, 본 발명은 발뒤꿈치 닿기와 발바닥 닿기를 담당하는 후족부에 위치하는 깔창 지지부 및 충격 흡수부를 통해 충격 흡수 및 발의 안정성을 유지토록 한다.The heel contact and the sole contact time is a time to maintain stability for shock absorption and weight shift, the present invention is shock absorbing and shock absorbing through the insole support and shock absorber located in the rear portion responsible for heel contact and foot contact Keep your feet stable.

또한, 본 발명은 제1 패드부, 제2 패드부, 및 깔창 지지부가 만곡부 형상을 띄도록 형성하여 내측 종아치(longitudinal arch)를 형성하는 종골, 주상골(navicular), 제1설상골(cuneiform), 제1중족골(metatarsal) 연결선을 지지함으로써 발바닥 닿기 시 과회내(over pronation)를 방지하고, 충격을 분산시키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irst pad portion, the second pad portion, and the insole support portion to form a curved portion to form a medial calf (longitudinal arch), verticular (navicular), first cuneiform (cuneiform) By supporting the first metatarsal line, it prevents over pronation when the sole touches the foot and distributes the impact.

상기 중간 입각기는 하지와 상체의 안정성 유지와 안정된 발로의 진행을 담당하며, 안정성 유지를 위해 발바닥에 있는 수십여 개의 내재근과 외재근을 활성화시키는 시기이다. 본 발명은 이 시기에 중족부에 불안정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발바닥에 위치한 내재근과 외재근 뿐만 아니라 대퇴근, 둔근, 척추기립근 등 보행과 관련된 다양한 근육의 활동 시간이 연장되어 근육 활동량과 활동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한다.The intermediate stand is responsible for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the upper body and progressing to a stable footing, and is a time to activate dozens of internal and external muscles in the sole of the foot to maintain stabilit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reating an unstable environment at the midfoot, the activity time of various muscles associated with walking, such as the internal muscles and external muscles located on the sole of the foot, as well as the thigh, gluteal and erectile muscles, are extended,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muscle activity and activity. Let's do it.

상기 중족부에 조성된 불안정 환경으로 인해 인체는 무의식적으로 신체의 균 형을 유지코자 근육뿐만 아니라 눈과 촉감 및 고유수용감각기로부터 들어오는 다양한 정보를 통합 조절하기 위한 노력하게 되며, 이를 통해 감각운동조절능력이 강화되게 되고, 자세유지를 담당하는 심부근과 안정화를 담당하는 관절 보호근에 대한 자극을 활성화시켜 인체의 정적/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Due to the unstable environment formed in the middle foot, the human body unconsciously tries to integrate various information coming from the eye, the tactile sense, and the unique sensory sensory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body. This will be strengthened, improve the static / dynamic stability of the human body by activating the stimulation for the core muscles responsible for posture maintenance and joint protection muscles for stabilization.

본 발명은 상기 중족부에 불안정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행 시 받게 되는 체중에 의해 발에 전해지는 압력의 이동 궤적에 따라 복수의 중족골 및 각 중족골에 연결된 뼈, 근육, 건 또는 인대(중족골 연결부위)가 개별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중족부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패드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reating an unstable environment in the metatarsal region, a plurality of metatarsal bones, muscles, tendons or ligaments connected to the foot accor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pressure transmitted to the foot by the weight received during walking And a pa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idfoot to allow the connecting portion) to act individually.

상기 발뒤꿈치 들어올리기 및 발끝 밀기 시기는 체중의 이동과 가속을 담당하며, 이를 담당하는 전족부는 매우 민감한 부위로서 기능성을 부여할 경우 사용자에 따라서는 사용 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전족부는 신발의 구조에 따라 그 넓이와 높이가 다양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전족부가 위치하는 부위에는 별도의 패드 등을 형성하지 않거나, 형성하는 경우라도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예를 들면, 매우 얇은 형태의 패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el lifting and toe pushing time is responsible for the movement and acceleration of weight, and the forefoot in charge of this may be inconvenient in use depending on the user when providing functionality as a very sensitive site. In addition, since the forefoot portion varies in width and heigh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ho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form a separate pad or the like in the portion where the forefoot portion is located, or even if the above-described problem does not occur, for example, It is desirable to form a thin pa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을 각 구성요소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functional shoe insole capable of imparting mobility to the midfoo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component.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shoe insole that can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기능성 신발 깔창은 오른발에 적용될 수 있는 형태로서, 제1 패드부(100) 및 제2 패드부(200)를 포함한다. 왼발에 적용될 우 있는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깔창은 신체의 좌우 발 구조에 따라 당연히 도 7에 도시된 형상과 대칭인 형태를 가진다. Referring to FIG. 7, the functional shoe insole may be applied to the right foot and includes a first pad part 100 and a second pad part 200. Functional shoe in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left foot of course has a form symmetrical to the shape shown in Figure 7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foot structure of the body.

상기 제1 패드부(100)는 정지 및 보행 시 5개의 중족골을 포함하는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패드부(100)는 상기 중족부 하부에 위치토록 하되, 그 형상은 상기 중족골과 접촉되는 부분의 형상과 부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ad part 100 serves to impart motility to the midfoot portion including the five metatarsal bones when stopping and walking. To this end, the first pad portion 100 is located below the midfoot portion, but preferably, the shape is formed to match the shape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etatarsal bone.

상기 제1 패드부(100)는 상기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하기 위해 탄성력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이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 EV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깔창은 충격을 흡수하여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여 주는 역할을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깔창은 착용자가 발을 지면에 딛었을 때 소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발바닥에 일정한 반발력을 부여하여야 하기 때문에, 탄성력 및 복원력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pad part 100 preferably uses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 force in order to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portion. Specifically, Polyurethane (PU) or ethylene vinyl acetate (Ethylene Vinyl Acetate: EVA) may be used. Existing insole serves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by absorbing shock, but the i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o give a constant repulsive force to the sol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material when the wearer stepped on the ground, the elastic force An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material excellent in a restoring force.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경도(C TYPE) 25 내지 35, 인장강도 10 내지 20 kgf/cm2, 인열강도 5 내지 20 kgf/cm, 신장율 300 내지 450 %을 만족시키고 두께 1 내지 7 mm인 복원력과 탄성이 매우 우수한 고밀도 PU 또는 EVA 같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specifically, the hardness (C TYPE) 25 to 35, tensile strength 10 to 20 kgf / cm2, tear strength 5 to 20 kgf / cm, elongation 300 to 450% and the resilience and elasticity of 1 to 7 mm thickness It is desirable to use resins such as this very good high density PU or EVA.

다른 실시양태로서, 상기 제1 패드부(100)는 상기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하되, 상기 복수의 중족골(중족골에 연결된 부위를 포함)에 개별적인 강도의 운동성을 부여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발에는 각 발가락에 대응하는 5 개의 중족골이 있으므로, 5 개의 중족골이 모두 개별적으로 다른 강도의 자극을 받아 활동하게 하거나, 일부 중족골 들을 묶어서 동일한 자극을 받게 하도록 상기 제1 패드부(100)의 부분 별로 서로 다른 밀도의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pad part 100 may be formed to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portion, and to impart individual strength to the plurality of metatarsal bones (including a portion connected to the metatarsal bone). That is, since the foot has five metatarsal bones corresponding to each toe, the five metatarsal bones are all individually activated by different stimuli, or some metatarsal bones are tied to receive the same stimulus. Different densities of material may be used for each part.

나아가 상기 제1 패드부(100)에는 선택적으로 정지 및 보행 시 받게 되는 체중에 따라 발에 가해지는 압력의 이동 궤적에 따라 상기 복수의 중족골이 개별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신발 깔창의 길이 방향으로 제1 홈(110)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the first pad part 100 has a first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e insole so that the plurality of metatarsal bones can be individually activ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according to the weight received upon stopping and walking. It is preferable to form (110) further.

사람이 정지 및 보행을 함에 따라 상기 제1 패드부(100)는 체중에 의한 하중을 상기 5개의 중족골을 통해 받게 되고, 제1 패드부(100)는 형성된 제1 홈(110)을 기준으로 개별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개별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자세유지 및 보행과 관련되어 있는 하지의 근육 활동량이 증가되고, 고유수용감각기관을 활성화시켜 인체의 협응력 강화 및 체형 교정 효과를 가지게 된다. 나아가 다이어트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된다.As the person stops and walks, the first pad part 100 receives a load due to the weight through the five metatarsal bones, and the first pad part 100 is individually based on the first groove 110 formed. Will move. The individual movements increase the amount of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limbs associated with posture maintenance and gait, and activate the intrinsic sensory organs to have coordination and body correction effects. You can also expect a diet effect.

상기 고유수용감각기관은 운동감각이나 평행감각, 내장감각 등과 같은 신체 내부의 감각기관을 칭하는 것으로 내부감각이라고도 불리는 기관이다. 그리고 상기 협응력은 주어진 운동과제를 부드럽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신체 여러 부분의 감각을 잘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다.The intrinsic sensory organs refer to sensory organs inside the body such as a sense of motion, parallel sense, internal organs, and the like, and are also called internal senses. The coordination refers to the ability to use the senses of various parts of the body to perform a given exercise task smoothly, quickly and accurately.

상기 제1 패드부(100)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홈(110)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홈(110)의 개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중족골에 부여되는 운동성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first groove 110 formed on the first pad part 100 is formed, and the mobility of the plurality of metatarsal bone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first grooves 110. The intensity can be adjusted.

일례로, 한 개의 제1 홈을 형성하면 상기 제1 패드부(100)는 2 부분으로 나뉘게 되고, 5개의 중족골은 크게 2 종류의 서로 다른 강도의 탄성에 따른 자극을 받게 된다. 하지만, 5개의 중족골 각각이 하나의 영역을 차지하도록 네 개의 제1 홈을 형성하면, 상기 제1 패드부(100)는 다섯 부분으로 나뉘게 되고 상기 5개의 중족골은 모두 다른 강도의 자극을 받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제1홈을 형성한 경우보다 보다 강한 불안정한 상태가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groove is formed, the first pad part 100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the five metatarsal bones are largely subjected to stimulation due to elasticity of two different strengths. However, if four first grooves are formed such that each of the five metatarsal bones occupy one region, the first pad part 100 is divided into five parts, and all of the five metatarsal bones are stimulated with different strengths. Therefore, it becomes more likely to become a stronger unstable state than when forming one first groove.

이와 같이, 상기 제1 홈(110)에 의하여 구분된 영역마다 서로 다른 정도의 운동강도를 가지게 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각 중족골마다 가해지는 압력이 다르고, 따라서 다른 압력에 따라 제1 패드를 구성하는 소재에 따라 발생되는 탄성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에 더하여 제1 홈(110)에 의하여 구분된 영역마다 서로 다른 밀도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각 영역별 탄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도 있다. As such, the reason for having different degrees of exercise intensity in each of the areas divided by the first grooves 110 is basically different in pressure applied to each metatarsal bone, and thus,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pad according to different pressures. This is because the elasticity is also changed according to. However, in addition to this, the elasticity of each region may be further increased by using materials having different densities in each of the regions divided by the first grooves 110.

이상의 원리에 따라 상기 제1 패드부(100)와 접촉되는 복수의 중족골이 상기 제1 패드부(100)의 변형에 대응하여 정지 및 보행의 자세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고유수용감각기관이 활성화될 것이며, 이에 따라 인체의 협응력 강화 및 체형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나아가 다이어트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the above principle, the intrinsic sensory organs will be activated so that the plurality of metatarsal bones in contact with the first pad part 100 can take a rest and walk posture in response to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pad part 100.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o enhance the coordination of the human body and body shape correction effect, and even expect a diet effect.

결론적으로 상기 제1 패드부(100) 상부에 형성되는 제1 홈(110)은 5개의 중 족골에 개별적으로 운동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1 홈(110)의 개수를 증가시킴에 따라 일반적으로 상기 중족부에 부여되는 운동성이 증가할 것이다.In conclusion, the first groove 110 formed on the first pad part 100 may serve to individually impart mobility to five metatarsal bones, and further increase the number of the first grooves 110. In general, the motility imparted to the midfoot will increase.

또한, 상기 제1 패드부(100)는 상부에 상기 제1 홈(110)과 교차하는 방향(지면을 평면으로 할 때, 보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하나 이상의 제2 홈(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홈(120)은 보행 시 발이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first pad part 100 further has at least one second groove 120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groove 110 (a direction crossing the walking direction when the surface is a plane). It may include. The second groove 120 plays a role of preventing the foot from moving forward when walking.

즉, 상기 제1 패드부(100) 상부에는 5개의 중족골에 개별적으로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제1 패드부(100)의 하나 이상의 제1 홈(110)을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제2 홈(120)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1 패드부(100)는 상부에 상기 제1 홈(110) 및 제2 홈(120)을 모두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at is, one or more first grooves 110 of the first pad part 100 may be formed on the first pad part 100 so as to impart mobility to the five metatarsal bones individually, or one or more agents The two grooves 120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first pad part 100 may form both the first groove 110 and the second groove 120 on the upper side.

한편, 상기 제1 패드부(100)는 발바닥이 신발 내측 바닥에 접촉하는 경우 그 작용을 할 수 있으므로, 평발 등이 아닌 정상적인 발 형태에서 발바닥이 신발 내측 바닥과 접촉하지 않는 부위(아치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고, 해당 부분은 후술하는 제2 패드부(200)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pad portion 100 can act when the sol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of the shoe, the sole part is not in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of the shoe in the form of a normal foot (not flat feet). The second pad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without being formed.

상기 제2 패드부(200)는 정지 및 보행 시 체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패드부(200)는 상기 제1 패드부(100)와 연결되어 종골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패드 부(200)는 유연성이 좋고 충격흡수성, 질감성, 단열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경도(C TYPE) 10 내지 52, 인장강도 25 내지 35 kgf/cm2, 인열강도 10 내지 25 kgf/cm, 신장율 300 내지 450 %를 만족시키고 두께 7 내지 15mm의 유연성이 좋고 충격흡수성이 우수한 PU 나 EVA를 사용할 수 있다. The second pad part 200 serves to absorb a shock due to body weight when stopping and walking. To this end, the second pad part 20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first pad part 100 to the calcaneu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econd pad part 2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good flexibility and excellent shock absorption, texture, heat insulation, and heat retention. In order to realize these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hardness (C TYPE) 10 to 52, tensile strength 25 to 35 kgf / cm2, tear strength 10 to 25 kgf / cm, elongation 300 to 450% and the thickness 7 to 15mm It is possible to use PU or EVA with good flexibility and excellent shock absorption.

상기 제1 패드부(100) 및 제2 패드부(200)는 발의 중족골에서 부터 종골 하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발바닥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굴곡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 형성된 제1 패드부(100) 및 제2 패드부(200)는 종골, 주상골, 제1 설상골, 및 제1 중족골까지의 외측을 감싸도록 만곡부(150)가 측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first pad portion 100 and the second pad portion 200 are connected to be formed in the lower calcaneus from the metatarsal bone of the foot, and preferably bent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sole. In addition, the first pad part 100 and the second pad part 200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may allow the curved part 150 to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calcaneus, the columnar bone, the first tongue bone, and the first metatarsal bone. Could b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중족골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from another angle for explaining a functional shoe insole that can impart mobility to the metatarsal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은 깔창 지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functional shoe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sole support 300.

상기 깔창 지지부(300)는 신발 깔창의 틀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깔창 지지부(300)는 보행 시 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깔창 지지부(300)는 상기 제1 패드부(100) 및 제2 패드부(200)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깔창 지지부(300)는 상기 제1 패드부(100) 및 제2 패드부(200)를 감싸는 형상으로 하부에 위치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 다.The insole support 300 serves as a frame of a shoe insole. Accordingly, the insole support 300 serves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foot when walking. To this end, the insole support 300 is preferably formed below the first pad portion 100 and the second pad portion 200. More specifically, the insole support 30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pad part 100 and the second pad part 200 in a shape that surrounds the first pad part 100 and the second pad part 200.

상기 깔창 지지부(300)는 신발 깔창의 틀 역할은 물론, 보행 시 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볍고, 형상 유지를 위한 경도가 강한 탄소가 포함된 소재 예를 들면, 탄소 섬유(carbon fiber)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ole support part 300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carbon, such as carbon fiber, which is light in weight and has a strong hardness for maintaining shape, as well as serving as a shoe insole, and maintains foot stability when walking. It is preferable to be.

그리고 상기 깔창 지지부(300)는 일측에 보행 시 받게 되는 하중에 의해 변형이 허용되도록 하나 이상의 변형부(3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깔창 지지부(300)는 비교적 경도가 강한 딱딱한 소재를 사용하지만, 보행 시나 운동시 일정한 변형이 허용되어야 발이 편안하고,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장받을 수 있다. 따라서 뒤틀림이나 변형이 가장 심하게 일어나고 자주 일어나는 부분 즉, 발의 폭 방향의 양단 부분에 상기 변형부(3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sole support 300 is preferably formed at least one deformation portion 310 to allow deformation by the load received when walking on one side. The insole support 300 is made of a rigid material that is relatively hard, but the foot is comfortable and stable when a certain deformation is allowed while walking or exercising.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deformation part 310 at a portion where distortion or deformation occurs most frequently and frequently, that is, at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oot.

상기 하나 이상의 변형부(310)는 최초 설계 목적에 따라 형성되는 위치와 개수가 결정될 것이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는 상기 깔창 지지부(300)가 제1 패드부(100)의 일부분과 제2 패드부(200)를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패드부(100)와 제2 패드부(200)가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변형부(310)는 상기 제1 패드부(100)나 제2 패드부(200)가 노출되도록 홀(hole)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패인 홈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one or more deformation parts 310 will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itial design purpose,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ole support part 300 may be formed of a portion of the first pad part 100. The second pad part 200 is designed to be formed adjacent to a portion where the first pad part 100 and the second pad part 200 are connected while being wrapped. In addition, the one or more deformable portions 310 may be formed in a hole shape to expose the first pad portion 100 or the second pad portion 200, or may be formed as a recessed groo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은 충격 흡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nctional shoe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hock absorbing unit (400).

상기 충격 흡수부(400)는 보행 시 상기 종골이 받게 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충격 흡수부(400)는 상기 종골의 위치에 부합되는 상기 깔창 지지부(300) 하부, 상부 또는 그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hock absorbing part 400 serves to absorb the shock that the calcaneus receives when walking. To this end, the shock absorbing part 400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the upper part, or the inside of the insole support part 3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lcaneus.

상기 충격 흡수부(400)는 상기 종골이 받게 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가볍고 충격흡수가 뛰어난 EVA, PU, 또는 우레탄 젤 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ock absorbing unit 40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EVA, PU, or urethane gel that is light and excellent in absorbing shock to absorb the impact received by the calcaneus.

도 9 및 도 10은 오른쪽 발에 사용될 수 있는 상술한 본 발명의 중족골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을 개략적으로 모델링한 도면이고,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이 신체의 오른쪽 발(10) 하부에 부착되어 신발(20)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9 and 10 are schematic models of the functional shoe insole that can impart mobility to the metatarsal bon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used for the right foot, and FIG. 11 is functio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e insole is attached to the lower right foot 10 of the body is shown an embodiment that is inserted into the shoe 20 coupl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족부 뼈 및 관절의 명칭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name of the foot bone and joint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shoe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발의 내재근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root of the foot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shoe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발의 외재근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external muscles of the foot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shoe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발의 외재근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external muscles of the foot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shoe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보행의 주기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cycle of walking for explaining a functional shoe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입각기와 보행을 구분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nd-up and walking for explaining a functional shoe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shoe insole that can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from another angle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shoe insole that can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7의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을 개략적으로 모델링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unctional shoe insole capable of imparting mobility to the midfoot part of FIG. 7.

도 10은 도 8의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을 개략 적으로 모델링한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unctional shoe insole capable of imparting mobility to the midfoot part of FIG. 8.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도이다.Figure 11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functional shoe insole that can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제1 패드부 110 : 제1 홈100: first pad portion 110: first groove

120 : 제2 홈 200 : 제2 패드부120: second groove 200: second pad portion

300 : 깔창 지지부 310 : 변형부300: insole support 310: deformed portion

400 : 충격 흡수부400: shock absorber

Claims (9)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하도록 복수의 중족골 하부에 위치하는 제1 패드부; 및A first pad portion positioned below the plurality of metatarsal bones to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portion; And 체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1패드부와 연결 형성되고 타측은 종골 하부까지 형성된 제2 패드부를 포함하되,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second pad portion formed to the lower calf so as to absorb the impact of the weight, 상기 제1 패드부는 경도(C TYPE) 25 내지 35, 인장강도 10 내지 20 kgf/cm2, 인열강도 5 내지 20 kgf/cm, 신장율 300 내지 450 %, 두께 1 내지 7 mm이고, The first pad portion is a hardness (C TYPE) 25 to 35, tensile strength 10 to 20 kgf / cm2, tear strength 5 to 20 kgf / cm, elongation 300 to 450%, thickness 1 to 7 mm, 상기 제2 패드부는 경도(C TYPE) 10 내지 52, 인장강도 25 내지 35 kgf/cm2, 인열강도 10 내지 25 kgf/cm, 신장율 300 내지 450 %, 두께 7 내지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The second pad portion has a hardness (C TYPE) of 10 to 52, tensile strength of 25 to 35 kgf / cm2, tear strength of 10 to 25 kgf / cm, elongation 300 to 450%, thickness of 7 to 15mm, characterized in that Functional shoe insole that can give mobility to.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패드부가 정지 및 보행 시 체중에 의해 발에 전달되는 압력의 이동 궤적에 따라 상기 복수의 중족골이 개별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형성되는 제1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The first pad portion includes a first groove formed to allow the plurality of metatarsal bones to be individu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pressure delivered to the foot by stopping and walking. Functional shoe insole that can be given.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패드부의 제1 홈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의 종족골에 부여되는 운동성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Functional shoe insole that can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characterized in that to adjust the number of the first grooves of the first pad portion to control the intensity of movement imparted to the plurality of the valley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 패드부가 보행 시 발이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Functional shoe insole that can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ad portion includes one or more second grooves formed so that the foot does not push forward when walking.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보행 시 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신발 깔창의 틀 역할을 하는 상기 제1 패드부와 제2 패드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깔창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Functional footwear that can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further comprising an insole support portion formed below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second pad portion, which serves as a framework of the shoe insole, to maintain stability of the foot when walking. Insole.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깔창 지지부가 보행 시 받게 되는 압력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일측에 하나 이상의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Functional insole that can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deformation portion on at least one side so that deformation can be made by the pressure received during walking.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보행 시 상기 종골이 받게 되는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도록 종골의 위치에 부합되는 상기 깔창 지지부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Functional shoe insole that can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mpact absorbing portion formed on the insole suppor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lcaneus so as to absorb the impact received by the calcaneus when walking.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깔창 지지부가 탄소 섬유 소재로 제조되고,The insole support is made of carbon fiber material, 상기 충격 흡수부가 EVA, PU, 또는 우레탄 젤 소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Functional shoe insole that can impart mobility to the midfoot,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er is made of EVA, PU, or urethane gel material.
KR1020090090664A 2009-09-24 2009-09-24 Functional shoes insole providing kinesis to metatarsals Expired - Fee Related KR1009605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664A KR100960562B1 (en) 2009-09-24 2009-09-24 Functional shoes insole providing kinesis to metatars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664A KR100960562B1 (en) 2009-09-24 2009-09-24 Functional shoes insole providing kinesis to metatars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562B1 true KR100960562B1 (en) 2010-06-03

Family

ID=4236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6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0562B1 (en) 2009-09-24 2009-09-24 Functional shoes insole providing kinesis to metatars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562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656B1 (en) * 2013-04-17 2013-10-07 풋헬스 주식회사 Insole
WO2016191505A1 (en) * 2015-05-28 2016-12-01 Spenco Medical Corporation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WO2016191597A1 (en) * 2015-05-28 2016-12-01 Spenco Medical Corporation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US10136698B2 (en) 2015-05-28 2018-11-27 Implus Footcare, Llc Shoe insole
USD857353S1 (en) 2015-09-25 2019-08-27 Fourfoot, Llc Sandal
US10485299B2 (en) 2015-05-28 2019-11-26 Implus Footcare, Llc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US10709203B2 (en) 2015-05-28 2020-07-14 Implus Footcare, Llc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436Y1 (en) * 2005-09-13 2005-12-09 이강우 A shoe sole
KR200406338Y1 (en) * 2005-09-01 2006-01-20 이동옥 Shoe inso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338Y1 (en) * 2005-09-01 2006-01-20 이동옥 Shoe insole
KR200403436Y1 (en) * 2005-09-13 2005-12-09 이강우 A shoe sol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656B1 (en) * 2013-04-17 2013-10-07 풋헬스 주식회사 Insole
WO2014171638A1 (en) * 2013-04-17 2014-10-23 풋헬스(주) Self-tailored type insole
WO2016191505A1 (en) * 2015-05-28 2016-12-01 Spenco Medical Corporation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WO2016191597A1 (en) * 2015-05-28 2016-12-01 Spenco Medical Corporation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US9961958B1 (en) 2015-05-28 2018-05-08 Implus Footcare, Llc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US10136698B2 (en) 2015-05-28 2018-11-27 Implus Footcare, Llc Shoe insole
US10485299B2 (en) 2015-05-28 2019-11-26 Implus Footcare, Llc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US10709203B2 (en) 2015-05-28 2020-07-14 Implus Footcare, Llc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USD857353S1 (en) 2015-09-25 2019-08-27 Fourfoot, Llc Sand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710119B (en) Variable reflective footwear technology
US9955750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ole projections
US20130291404A1 (en) Recovery shoe
KR100960562B1 (en) Functional shoes insole providing kinesis to metatarsals
KR20080043823A (en) Shoe insoles
EP2910139A1 (en) High heels capable of exercising achilles tendons while walking
JP2015526251A (en) Basketball insole
US20150143714A1 (en) Foot balancing device
US20110099842A1 (en) Motion control insole with muscle strengthening component
EP3222161A1 (en) Improved heelless athletic shoe
US20120285040A1 (en) Spring shoe sole device
US12324486B2 (en) Insol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20130340281A1 (en) Flexible midfoot orthotic shoe insert
KR20090085381A (en) Shoes with the ability to distribute load
KR101200165B1 (en) Shoes with excellent effects of stability and stimulation of proprioceptor of sole in wearing
CN207186069U (en) Health care children's shoes for correcting flat feet
KR101693773B1 (en) The shoes considering the peculiarity of walking
CN105012064A (en) Orthotic insole with function of balancing foot pressure
KR101032640B1 (en) Leg alignment and diet shoes with eccentric weight sole
KR100788854B1 (en) Healthy shoes to enable rolling type walking
KR100639503B1 (en) Healthy rocking shoes with air bags in round shoe soles
KR101263614B1 (en) Shoes
JP2005169053A (en) Footwear
CA3209671C (en) Auxiliary or integrated inner sole structure for footwear
KR101799947B1 (en) Front high-heeled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