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381A - Shoes with the ability to distribute load - Google Patents
Shoes with the ability to distribute loa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85381A KR20090085381A KR1020080011236A KR20080011236A KR20090085381A KR 20090085381 A KR20090085381 A KR 20090085381A KR 1020080011236 A KR1020080011236 A KR 1020080011236A KR 20080011236 A KR20080011236 A KR 20080011236A KR 20090085381 A KR20090085381 A KR 200900853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
- elastic member
- sole
- surface portion
- foo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ith metal spring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을 신은 사람의 무게가 쏠리는 발바닥 장심(掌心) 부분이 접촉되는 신발의 아치 부분에 탄성부재를 두어 편안함을 향상시키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that improves comfort by placing an elastic member on the arch portion of the shoe to which the sole of the sole of the shoe is weighted.
본 발명은 신발의 안창과 밑창 사이에 솔기가 없는 구조로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착용자가 신발을 신고 있을 때 발의 장심(掌心) 부분을 지지하여 좀 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formed without a seam between the insole and the sole of the shoe, the load is distributed to make the wearer feel more comfortable to support the heart of the foot when wearing the sho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shoe having a function to.
상기 탄성부재는 신발의 밑창과 안창 사이에 삽입되며, 발의 장심(掌心) 부분이 신발의 아치 부분에 접촉되는 위치에 고정되고, 하면부가 신발의 밑창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상면부는 대략 발의 장심 부분에 대응하는 아치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면부와 상면부가 하나로 연결되며 일정한 폭을 가지는 띠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The elastic member is inserted between the sole and the insole of the shoe, the foot portion of the foot is fixed to the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arch portion of the shoe, the bottom portion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shoe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is approximately in the foot portion of the foot It has a shape of a corresponding arch,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is connected in one and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band having a constant width.
본 발명은 사람의 발바닥이 접촉되는 부위에 솔기가 없는 구조를 가지므로, 신발을 신고 벗고 할 때 상처가 날 염려가 없고 장시간 착용하여도 쉽게 피로해지지 않고 편안함을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without a seam in contact with the soles of the person, there is no fear of injury when taking off the sho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ntinue to feel comfortable without fatigue even if worn for a long time. .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걷거나 뛸 때 착용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을 신은 사람의 무게가 쏠리는 발바닥 장심(掌心) 부분이 접촉되는 신발의 아치 부분에 탄성 부재를 두어 편안함을 향상시키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shoes worn by people walking or running,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comfort by placing an elastic member on the arch portion of the shoe in which the sole portion of the sole of the shoe is in contact with the weight of the sole. It's about shoes.
신발은 사람이 집을 나서면서 착용하여 돌아와서 벗기까지 장시간 신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하이힐은 착용자의 키를 커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몸매를 예뻐보이게 하고 지적이며 품위있게 보이게 하므로, 많은 여성들이 즐겨 신고 있다. It is common to wear shoes for a long time when people leave the house and return to take off. In particular, high heels not only make the wearer look taller, but also make the body look beautiful and intelligent and classy, so many women wear it.
그러나, 하이힐은 신체의 하중을 발가락 쪽과 발바닥의 장심 부분으로 쏠리도록 하여 장시간 착용하였을 경우, 금방 피곤해지고 통증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에는 발, 발목, 무릎, 엉덩이, 척추 관절에 무리하게 작용하여 의학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However, high heels tend to put the load on the toes and soles of the soles of the feet, and when worn for a long time, they quickly become tired and cause pain, and in severe cases, they act excessively on the feet, ankles, knees, hips, and spinal joints It can cause medical problems.
이러한 문제점들은 사람의 발 모양과 걷는 모양 및 주기, 서 있는 자세를 고려하지 않고 만들어진 것에서 기인한다. These problems stem from the fact that they are made without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person's feet, the shape of walking, the cycle, and the standing postur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미국 공개특허 제2005-0081401호 「성능과 편안함이 향상된 형태의 하이힐 패션 신발(High-Heeled Fashion Shoe With Comfort and Performance Enhancement Features)」가 제안되어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US Patent Publication No. 2005-0081401 "High-Heeled Fashion Shoe With Comfort and Performance Enhancement Features" has been proposed.
상기 종래 기술을 [도 1a]와 [도 1b]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as follows.
발 중간 지지 부재(midfoot support structure, 60)는,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84)과, 착용자의 발과 맞닿고 한쪽 끝단부가 하이힐(80)의 안창과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 끝단부(82a)와 고정되지 않고 오픈되어 있는 오픈 끝단부(82b)로 구성되고 하이힐(80)의 아래로 향하게 경사진 방향을 따라 압축성이 있도록 형성된 플레이트(82)로 구성된다. The
상기 발 중간 지지 부재(60)는 하이힐(80)의 안창에 상기 연결 끝단부(82a)가 부착 또는 접착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되며, 스프링(84)의 특성에 의해 걷는 동안 착용자에게 에너지를 돌려보내도록 작용한다. The foot
상기 발 중간 지지 부재(6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탄력성있는 재질을 여러 층으로 겹쳐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foot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오픈 끝단부(82b)가 고정되지 않고 오픈되어 들썩일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할 때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잘못하면 발에 상처가 생길 수 있고, 안창과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 끝단부(82a)가 쉽게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또한, 상기 스프링(84)은 상기 플레이트(82)의 전체가 아니라 일부분에만 구비되므로, 걷을 때 발생하는 충격의 분산 또는 흡수가 일부분에서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신발의 안창과 밑창 사이에 발의 장심 부분을 지지하여 착용자가 신발을 신고 있을 때 좀 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supporting the heart portion of the foot between the insole and the sole of the shoe to distribute the load to feel more comfortable when the wearer wearing shoe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shoe having.
또한, 본 발명은 하중을 분산하고 착용자의 장심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솔기가 없는(seamless) 구조로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안창과 밑창 사이에 삽입하여,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고 신체의 무게가 발가락 또는 발바닥의 장심 부분에 쏠리는 것을 분산 또는 방지하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between the insole and the outsole elastic member formed of a seamless structure that distributes the load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core portion, to protect the wearer's feet and weight of the bod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e that disperses or prevents the tip from being drawn on the toe or sole of the so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은, 발의 장심(掌心) 부분이 신발의 아치 부분에 접촉되는 위치에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이 있어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hoe having a function of distributing a l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at a position where the long core portion of the foot is in contact with the arch portion of the shoe, and has elasticity due to a space therein. It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ember.
상기 탄성부재는 밑창과 안창 사이에 삽입되고, 하면부가 신발의 밑창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상면부는 대략 발의 장심 부분에 대응하는 아치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면부와 상면부가 하나로 연결되며 일정한 폭을 가지는 띠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The elastic member is inserted between the sole and the insole, the lower surface portion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shoe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has an arch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e portion of the foot,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is connected to one and has a constant width It consists of the shape of a strip.
상기 탄성부재의 하면부는 발가락 측 단부와 발뒤꿈치 측 단부로 끊어져 개방되는 형태로 구획되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하면부의 어느 한 측 단부가 다른 한 측 단부와 중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divided into a form that is broken open to the toe side end and the heel side end,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any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overlaps with the other side end.
또한, 상기 탄성부재에서 아치 형상을 이루는 상면부의 아치 상부는 폭이 좁게 구성되며 상기 아치 상부에서 아치 하부인 발가락 측과 발뒤꿈치 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되고, 하면부는 상기 상면부의 형상과 같은 형태의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arch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forming the arch shape in the elastic member is configured to be narrow in width and wider toward the toe side and the heel side, which is the lower arch from the upper arch, the lower surface portion is shaped like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width of.
본 발명에 따른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에서, 밑창과 안창 사이에 상기와 같은 탄성부재가 고정되는 부분 이외의 공간에는 충전재를 채워 넣어 구성될 수 있다. In a shoe having a function of distributing the l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ller may be filled in a space other than a portion where the elastic member is fixed between the sole and the insol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신발의 안창과 밑창 사이, 발의 장심 부분이 신발의 아치부에 접촉되는 위치에 고정되고 발의 장심 부분에 쏠리는 착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인체 공학적인 형상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사람이 신발을 장시간 착용하여도 아프지 않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By providing an elastic member having an ergonomic shape between the insole and the sole of the shoe, where the foot portion of the foot is in contact with the arch of the shoe and supporting the wearer's load on the foot portion of the foot, Even if worn for a long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eel comfortable without hurting.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안창과 밑창 사이에 삽입되어 솔기가 없는(seamless) 상태의 구조를 가지게 되어, 사용자가 신고 벗고 할 때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고, 부상의 위험을 줄여 주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is inserted between the insole and the sole to have a structure of a seamless (seamless) state, the user may not feel uncomfortable when wearing off,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injur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장시간 착용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발가락 쪽과 발바닥의 장심 부분으로 신발을 신은 사람의 무게가 무리하게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체의 구조에 맞게 신발을 형성하여 착용자가 장시간 착용하여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shoes worn by people for a long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weight of the person wearing the shoes on the toes and soles of the soles from being excessively drawn, forming the shoes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of the human body so that the wearer can wear for a long time. It is about shoes that can feel comfortable even when worn.
발바닥의 일부분인 장심 부분은 발바닥의 중앙 부분의 아치 형태로 움푹 들어간 부위로 걸을 때 땅에 닿지 않는다. 사람이 신발을 신고 장시간 걷거나 뛰게 되면 발이 쉽게 피로해지는 것은, 상기와 같이 땅에 닿지 않는 장심 부분과 발가락에 신체의 하중이 쏠리게 되어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장심 부분이 접촉하게 되는 신발의 아치 부분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두 부분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part of the sole, which is part of the sole of the sole, does not touch the ground when walking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sole of the sole. When a person walks or runs for a long time wearing shoes, the fatigue of the foot is caused by the load of the body on the toes and the toes that do not touch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the arch portion of the shoe to be in contact with the center portion is generally formed flat to create a space between the two portion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공간에 신발의 안창과 밑창 사이에 삽입되고, 하면부가 신발의 밑창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상면부는 대략 발의 장심 부분에 대응하는 아치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면부와 상면부가 하나로 연결되며 일정한 폭을 가지는 띠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장심 부분으로 쏠리는 하중을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between the insole and the sole of the shoe in the space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surface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shoe and the upper surface has an arch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e portion of the foot approximately,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is 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that is connected to and has an elastic member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bel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o as to disperse and absorb a load directed to the core portion.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인 것이 이상적이다. The elastic member is ideally a leaf sprin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탄성부재의 제 1 실시예를, 도 2b는 상기 탄성부재의 제 2 실시예를, 도 2c는 상기 탄성부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2a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elastic member having a function of distributing the load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b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elastic member, Figure 2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elastic member to be.
제 1 실시예의 탄성부재(200)는 하면부(202)가 신발의 밑창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면부(201)가 대략 발바닥의 장심 부분에 대응하는 아치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면부(202)와 상면부(201)가 하나로 연결되며 일정한 폭을 가지는 띠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00)는 신발의 밑창과 안창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In the
상기 탄성부재의 하면부는 도 2b 또는 도 2c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 2B or 2C.
도 2b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탄성부재(210)는 발바닥의 장심 부분에 대응하는 아치의 형상을 가지는 상면부(210a)는 도 2a에 도시된 탄성부재(200)의 상면부(201)와 같은 형상을 가지나, 하면부(210b)가 발가락 측 단부(210d)와 발뒤꿈치 측 단부(210c)로 끊어져 개방되는 형태로 구획되도록 구성된다. The
상기 하면부(210b)가 발가락 측 단부(210d)와 발뒤꿈치 측 단부(210c)로 구획되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탄성부재(210)의 제조 공정 상의 편의를 위해서이다. 즉, 상기 탄성부재(210)를 구성하는 재료가 판스프링일 경우, 판자 형태의 판 스프링을 구부려 제작한다고 가정하면, 발가락 측 단부(210d)와 발뒤꿈치 측 단부(210c)를 맞추기 위해 추가적인 제조 공정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하면부는 도 2c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ure 2c.
도 2c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의 탄성부재(220)은 발바닥의 장심 부분에 대응하는 아치의 형상을 가지는 상면부(220a)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탄성부재(200, 210)의 상면부(201, 210a)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된다. In the
그러나, 하면부(220b)는 발가락 측 단부(220d)와 발뒤꿈치 측 단부(220c)로 끊어져 개방되는 형태로 구획되어 구성되고, 상기 발가락 측 단부(220d)와 발뒤꿈치 측 단부(220c)가 중첩되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은 제 2 실시예의 탄성부재(210)와 같이, 제조 공정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 하나의 목적이다. However, the lower surface portion (220b) is divided into a form that is broken open to the toe side end portion (220d) and the heel side end portion (220c), the toe side end portion (220d) and the heel side end portion (220c) overlap To be positioned. One such object is to facilitate the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the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탄성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상기 제 4 실시예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신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신발을 착용자가 신은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member of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shoe formed by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of the fourth embodiment. In addition, Figure 3c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wearer wearing the shoe shown in Figure 3b.
도 3a에 도시된 제 4 실시예의 탄성부재(106)는 여성들이 즐겨 신는 하이힐(100)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아치 형상을 이루는 상면부(106a)의 아치 중간부는 폭이 좁게 구성되며, 상기 아치 중간부에서 양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면부(106b)도 상기 상면부의 형상과 같은 형태의 폭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The arch middle portion of the
상기 도 3a에 도시된 제 4 실시예의 탄성부재(106)를 포함하는 하이힐(100)이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A
상기 하이힐(100)은, 발을 보호하기 위해 발을 둘러싸는 신발의 외피부(101)와, 발바닥이 접촉되는 신발의 안쪽 면에 구비되는 안창(103)과, 상기 안창(103)과 상기 신발의 외피부(101)가 고정되고 발뒤꿈치 부분에는 굽이 고정되고 발가락 부분은 땅과 바로 접촉되는 밑창(102)과, 상기 밑창(102)과 안창(103)의 사이에 위치하고 발바닥의 장심 부분이 접촉되는 신발의 아치 부분에 삽입되는 탄성부재(106)와, 상기 밑창(102)의 발뒤꿈치 부분의 아래 방향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굽(104)과, 상기 굽(104)의 마모를 방지하고 굽(104)을 대신하여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굽창(105)으로 구성된다. The
상기 탄성부재(106)가 고정되는 부분 이외의, 밑창(102)과 안창(103) 사이의 공간에는 충전재(107)를 채워 넣을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106)가 밑창(102)과 안창(103)에 삽입됨으로써 착용자가 신발을 신고 벗고 할 때 불편함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상기 탄성부재(106)는 스프링 강으로 만든 판 모양의 스프링인 판스프링(板spring)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판스프링은 1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러 장을 포개어 사용할 수도 있다. The
도 3c는 하이힐(100)을 착용자가 신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착용자의 하중을 받아 탄성부재(106)가 눌려진 상태이다. 탄성부재(106)가 장심 부분의 전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착용자의 하중은 탄성부재(106)에 전체적으로 분산되며, 내부 의 공간으로 충격이 흡수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3C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earer wears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claims. will be.
도 1a는 종래의 편안함이 향상된 형태의 하이힐 패션 신발의 일부 절개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a is a view showing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high-heeled fashion shoes of the conventional type of improved comfort.
도 1b는 [도 1a]의 하이힐 패션 신발의 주요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B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main part of the high heel fashion shoe of [FIG. 1A]. FIG.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탄성부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elastic member having a function of distributing the l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탄성부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elastic member having a function of distributing the l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탄성부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2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elastic member having a function of distributing the l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탄성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3a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member of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신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3b is a view showing the cross section of the shoe formed by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of [3a].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신발을 착용자가 신은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3C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wearer wearing the shoe illustrated in FIG. 3B.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신발 101 : 신발의 외피부100: shoe 101: the outer skin of the shoe
102 : 밑창 103 : 안창102: outsole 103: insole
104 : 구두굽 105 : 굽창104: shoe heel 105: sole
106 : 탄성부재 107 : 충전재106: elastic member 107: filler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1236A KR100940011B1 (en) | 2008-02-04 | 2008-02-04 | Shoes with the ability to distribute loa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1236A KR100940011B1 (en) | 2008-02-04 | 2008-02-04 | Shoes with the ability to distribute loa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5381A true KR20090085381A (en) | 2009-08-07 |
KR100940011B1 KR100940011B1 (en) | 2010-02-03 |
Family
ID=41205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1236A KR100940011B1 (en) | 2008-02-04 | 2008-02-04 | Shoes with the ability to distribute loa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001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64078A (en) * | 2019-08-01 | 2019-11-19 | 浙江比逊河鞋业有限公司 | A kind of children's flat foot corrective shoes and its manufacture craf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7455B1 (en) | 2010-06-15 | 2010-11-30 | 김종국 | Functional insole |
KR101352091B1 (en) * | 2011-12-02 | 2014-01-15 | 서우승 | Light weight article of footwear with high elasticity |
KR102591956B1 (en) * | 2021-11-30 | 2023-10-23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Arch tab integrated insole capable of absorbing pressure in the arch and correcting the ankle, manufacturing system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624731B1 (en) | 2022-09-14 | 2024-01-11 | 김정곤 | Functional shoes for absorbing shock and improving blood flow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1727A (en) * | 1997-11-24 | 1999-06-15 | 박영설 | Sneakers |
KR20070078764A (en) * | 2007-07-13 | 2007-08-01 | 박세영 | Knee Joint Insole |
-
2008
- 2008-02-04 KR KR1020080011236A patent/KR10094001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64078A (en) * | 2019-08-01 | 2019-11-19 | 浙江比逊河鞋业有限公司 | A kind of children's flat foot corrective shoes and its manufacture craft |
CN110464078B (en) * | 2019-08-01 | 2021-12-24 | 浙江比逊河鞋业有限公司 | Flat foot correcting shoe for children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40011B1 (en) | 2010-0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83718B2 (en) | Footwear having independently articuable toe portions | |
US9510644B2 (en) | High foot mobility shoe | |
US20110252665A1 (en) | Soft and elastic shoe pad | |
US20120317844A1 (en) | Outsole with pods and grooves | |
TW201715979A (en) | Sandal with cushioning and contoured suppor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JP2009101139A (en) | Functional sockliner for high-heeled shoe | |
KR200481847Y1 (en) | Improved fit and joint protection shoe insole | |
KR100940011B1 (en) | Shoes with the ability to distribute load | |
KR100960562B1 (en) | Functional shoes insole providing kinesis to metatarsals | |
KR200462766Y1 (en) | The shank for insole | |
KR102659993B1 (en) | Functional Slippers | |
EP4248785A1 (en) | Shoe sole with shock absorbing layer structure | |
KR20130001401A (en) | Functional footwear | |
KR101263614B1 (en) | Shoes | |
KR101288905B1 (en) | Shoe sole with Improve walking function | |
KR20110004571A (en) | Shoe soles | |
KR102667891B1 (en) | Slippers for correcting feet | |
KR102689667B1 (en) | Shoes for barefoot walking exercise | |
CA3209671C (en) | Auxiliary or integrated inner sole structure for footwear | |
US20160206463A1 (en) | Arch Support Brace | |
KR101799947B1 (en) | Front high-heeled shoes | |
JP3111460U (en) | footwear | |
KR20250046756A (en) | the metarsal bone band and outer socks | |
KR200341399Y1 (en) | Functional insole for shoe | |
KR200394997Y1 (en) | Auxiliary Insole for Sho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812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