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19555A -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에 대한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에 대한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555A
KR20110019555A KR1020090077132A KR20090077132A KR20110019555A KR 20110019555 A KR20110019555 A KR 20110019555A KR 1020090077132 A KR1020090077132 A KR 1020090077132A KR 20090077132 A KR20090077132 A KR 20090077132A KR 20110019555 A KR20110019555 A KR 20110019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ion
optical signal
sample
tester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혁래
이종립
이성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7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9555A/ko
Priority to EP10158678A priority patent/EP2287590A3/en
Priority to US12/755,194 priority patent/US20110046908A1/en
Publication of KR2011001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55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7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photo-electric detection ; circuits for computing concentration
    • G01N21/274Calibration, base line adjustment, drift cor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에 대한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분석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교정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전자매체를 개시한다.
검사기, 생화학 검사, 면역혈청 검사, 교정, 칼리브레이션, MCC

Description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에 대한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분석장치{A method for calibrating a result of a test device using a reagent and an analytic device conducting the same method}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에 대한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교정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전자매체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관 등에서 환자의 질병을 진단하고, 질병의 진행 경과를 모니터링하며, 치료 효과를 파악하고, 예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들 환자들로부터 시료(예를 들어, 혈액 또는 소변)를 채취하고, 이들 시료들에 대한 검사 및 분석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하나의 시료에 대하여 여러 가지 검사를 동시에 간편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료 검사기 및 분석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혈액에 대하여 생화학 검사 또는 면역혈청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이러한 검사에 사용되는 시약을 미리 챔버에 구비해 놓은 디스크 형상의 검사기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검사기에 혈액을 주입한 후, 분석장치 내에 검사기를 삽입하면, 챔버 내 구비되어 있는 시약과 혈액이 반응하고, 반응 결과물을 분광학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한다.
상기 검사기 내에 구비되는 시약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반응성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검사기 구매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시료를 분석하는 경우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에 대한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에 대한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전자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검사기 내의 시료를 분광학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교정할 수 있는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에 대한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방법은, 상기 검사기에 농도를 알고 있는 시료를 주입한 후, 광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료의 농도로부터 예측되는 광신호 예측값과 상기 측정한 광신호 측정값의 비와 농도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주 교정 곡선(MCC, Master Calibration Curve)의 역함수와 상기 관계식을 사용하여 임의의 농도에 대응하는 광신호 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교정 곡선(MCC)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광신호 값으로부터 상기 주 교정 곡선을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에 대한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전자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검사기 내의 시료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교정하는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검사장치는 검사기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검사기 내부에 들어있는 시료를 분광학적 분석 방법에 의하여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검사기 내에 주입되어 있는, 농도를 알고 있는 시료에 대하여 광신호를 측정한 후, 상기 시료의 농도로부터 예측되는 광신호 예측값과 상기 측정한 광신호 측정값의 비와 농도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교정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검사기는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디스크 형태로 제작된 것이며, 주입구(22)를 통하여 주입된 시료(예를 들어, 혈액 등과 같은 생화학 시료)는 서로 상이한 반응 시약을 그 안에 구비하고 있는 복수 개의 챔버(23,24,25,26) 내로 흘러 들어가서 반응한다.
분석장치는, 반응 결과물에 빛을 조사하여, 광흡광도 또는 광투과도 등의 광신호를 분석하는 분광학적 분석 방법으로 상기 시료를 정성적 또는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상기 검사기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어, 바코드(27) 형태로 디스크 ID가 표지되어 있어서, 상기 분석장치는 바코드(27)를 인식하여 현재 삽입된 검사기가 어떠한 종류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지, 또는 챔버(23,24,25,26) 내에 어떠한 종류의 시약이 들어 있는지를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함으로써 알아낼 수 있다.
현재 개발중이거나 시판되고 있는 검사기에는 그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시약에 대한 주 교정 곡선(MCC, Master Calibration Curve)이 존재한다. 주 교정 곡선이란 시료와 시약을 반응시켰을 때 반응 결과물에 대하여 측정된 광신호와 농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상기 주 교정 곡선은 검사기 제작 시 다양한 농도에 대한 반응 결과물의 흡광도 또는 투과도를 종합하여 도출한 것으로서, 검사기의 배포시에 함께 배포된다. 상기 주 교정 곡선에는 검사기 생산 시의 여러 변수들을 고려하여 반영시키므로, 동일한 검사기에 대해서도 서로 생산 로트(lot)가 상이한 경우에는 주 교정 곡선도 상이할 수 있다.
도 2는 어느 특정 시약에 대한 주 교정 곡선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료의 농도와 반응 결과물의 광신호(흡광도) 사이의 관계는 곡선(1)으로 표시된다. 검사자가 시료 검사 시에, 시료와 시약의 반응 결과물에 대한 흡광도가 L로 측정된 경우, 해당 시료의 특정 성분의 농도는 C인 것으로 추정한다.
상기 검사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 시약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반응성이 변하게 되며, 그 정도는 시약마다 상이하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곡선(1)으로 주어진 주 교정 곡선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반응 정도가 변화하게 되어, 예를 들어, 제작 후 38일 경과 시점에서의 농도와 흡광도 사이의 관계식은 곡선(2)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농도가 각각 C1 및 C2인 시료에 대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생 산 시 결정된 MCC를 따른다면 흡광도가 각각 Le1 및 Le2인 것으로 예상되지만, 38일 경과후 검사기로부터 실제 측정한 흡광도는 각각 Lm1 및 Lm2가 되어, 예상값보다 흡광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를 실제 실험자 입장에서 설명하면, 38일 경과후 검사기로부터 측정한 흡광도가 Lm1인 경우 실제 농도는 C1이지만, 생산시 결정된 MCC를 그대로 적용한다면 C1'의 농도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어,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생산시 결정된 MCC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교정(calibration)해주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검사기에 의한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우선 상기 검사기에 농도를 알고 있는 시료를 주입한 후(S10), 광신호를 측정한다(S20). 이 때, 상기 시료로는 서로 농도가 상이한 2개 이상의 시료를 주입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시료만을 주입하여도, 검사 결과를 교정하여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검사 수행자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하면서, 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시료의 농도로부터 예측되는 광신호 예측값과 상기 측정한 광신호 측정값의 비(예를 들어, 광신호 예측값 / 광신호 측정값)와 농도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S30).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농도 C1에서 광신호 예측값(즉, MCC에 의하여 계산되는 광신호 예측값)이 Le1이고, 측정값이 Lm1이며, 농도 C2에서 광신호 예측값이 Le2이고, 측정값이 Lm2인 경우, 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신호 예측값 / 광신호 측정값의 축과 농도 축으로 이루어진 평면 상에서 각각 점 P1 및 P2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두 점 P1 및 P2를 연결하는 곡선으로는 두 가지 형태가 가능하다. 그 중 하나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로 볼록한 곡선 형태이다. 위로 볼록한 형태의 곡선은 농도와 흡광도가 반비례 또는 이와 유사한 관계를 나타내는 경우에 해당하며, 아래로 볼록한 형태의 곡선은 농도와 흡광도가 비례 또는 이와 유사한 관계를 나타내는 경우에 해당한다.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태로는 2차 이상의 다항식 또는 지수함수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로 볼록한 곡선 형태로는, 로그함수식 또는 근호함수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느 특정 시약에 대하여, 이 시약이 위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취할 것인지 또는 아래로 볼록한 형태를 취할 것인지는 미리 각각의 시약에 대하여 검사기 제작사가 조사하고, 이 정보를 시약이 들어있는 검사 디스크의 바코드(도 1의 27) 등에 정보를 입력하거나, 검사기와 함께 해당 정보를 배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검사자가 별도의 실험을 통하여 특정 시약에 대하여 그 특성을 파악할 수도 있다. 또는, 검사기 또는 분석장치 내부에서 농도와 광신호의 상관관계의 특성으로부터 농도와 광신호 예측값 / 광신호 측정값 사이의 상관식을 자동으로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어느 형태의 곡선식을 취하든지, 상기 곡선식의 미정계수는 상기 단계(S10 및 S20)에서 측정되는 시료의 개수와 일치시킨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래로 볼록한 곡선에 해당하는 경우,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곡선식을 설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y=ax2+b
상기식에서,
y는 광신호 예측값과 광신호 측정값의 비이고,
x는 농도이며,
a 및 c는 미정계수이다.
일반적인 2차 곡선식은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계수가 3개이다:
[수학식 2]
y=ax2+bx+c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시약의 경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광신호 예측값과 광신호 측정값의 비는 계속 증가하므로 b<0인 경우는 없고, 대칭축(즉, x=-b/2a)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두 점 사이를 잇는 곡선은 직선에 가깝기 때문에 곡선식으로는 부적합하므로, b의 절대값은 크기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b=0인 것으로 가정하여 상기 수학식 1을 사용한다.
한편, 곡선식 중 어느 계수를 미정계수로 설정할 것인지는 시료의 개수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S10 및 S20)에서 서로 상이한 농도의 시료를 3개 취하여 측정하는 경우,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미정계수가 3개인 곡선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2차함수 이외에 3차함수 또는 로그함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여서, 곡선함수의 미정계수 중에서 특정 미정계수는 특정값으로 고정시키거나, 다른 미정계수에 연동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시료의 개수와 미정계수의 개수가 일치되도록 곡선식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로 볼록한 곡선에 해당하는 경우,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미정계수가 2개인 로그함수의 곡선식을 설정할 수 있다:
[수학식 3]
y = a log(x+1)+b
상기식에서,
y는 광신호 예측값과 광신호 측정값의 비이고,
x는 농도이며,
a 및 c는 미정계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곡선 형태의 관계식을 “MVRC(Master Variation Ratio Curve, 주 변수 비율 곡선)”라 칭한다.
상기 MVRC는 하기 수학식 4와 같은 의미의 함수이다:
[수학식 4]
MVRC(농도) = 광신호 예측값 / 광신호 측정값
상기식에서,
광신호 예측값은 해당 농도의 시료에 대하여 MCC에 의하여 예측되는 광신호 값이고,
광신호 측정값은 해당 농도의 시료에 대하여 실제 측정된 광신호 값이다.
한편, 전술한 MCC는 다음과 같은 함수이다:
[수학식 5]
농도 = MCC(광신호 예측값)
상기 MCC의 역함수인 iMCC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6]
광신호 예측값 = iMCC(농도)
상기 수학식 4와 6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7을 도출할 수 있다:
[수학식 7]
광신호 예측값 = 광신호 측정값 × MVRC(농도) = iMCC(농도)
상기 수학식 7의 두 번째 등호의 양변은 하기 수학식 8과 같이 농도에 대한 방정식이 된다. 따라서, 하기 수학식 8의 방정식을 풀어냄으로써, 미지 농도의 시료에 대하여 측정한 광신호 측정값으로부터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농도는 상기 방정식을 수학적으로 정확히 풀어서 구할 수도 있으나, 수학적인 풀이가 곤란한 경우, 농도를 변경해가면서 방정식의 해에 가까운 농도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구할 수도 있다:
[수학식 8]
광신호 측정값 × MVRC(농도) = iMCC(농도)
검사자는 상기 단계(S10 및 S20)에서 사용되는 기지 농도 시료의 개수와 일치하는 동일한 개수의 미정계수를 포함하는 MVRC를 선택하고, 해당 미정계수를 구함으로써, 미지 시료의 농도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검사기에 탑재되는 교정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학식 8로부터 하기 수학식 9를 유도하여, MVRC 및 iMCC 식으로부터 임의의 다양한 농도에 대하여 예상되는 광신호 측정값을 각각 계산하거나 실제 측정한 광신호 실제값을 구하여, 농도 및 이에 대응되는 계산된(또는 실제 측정된) 광신호 측정값의 쌍(pair)으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데이터를 구할 수 있다(S40).
[수학식 9]
광신호 측정값(또는 광신호 실제값) = iMCC(농도) / MVRC(농도)
상기 수학식 9로부터, 특정 농도값들에 대한 광신호의 측정값 혹은 실제값의 쌍을 복수개 활용하여, 제작사가 배포한 MCC를 교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계산된 광신호와 농도의 값의 쌍으로부터, LMS(Least Mean Square, 최소 평균 자승) 방법을 사용하여 MCC의 계수를 교정한다. 이후, 교정된 MCC를 저장하고, 이와 같이 교정된 MCC를 사용하여 실험시 시료의 광신호 측정값으로부터 해당 시료의 농도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농도를 추정한 결과는 실제 농도 측정값에 매우 근사하다. 따라서, 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 방법은 검사기를 분석하는 소형 장치 외에도 대형 장치 등에서 검사 결과를 교정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라 검사기 내의 시료를 분광학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교정하는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석장치(30)는, 검사기 삽입 시 검사기를 인식하고, 검사기의 ID를 인식할 수 있는 검사기 인식부(31); 검사기의 ID 별로 수행 가능한 검사 종목, 구비된 시약의 종류 등에 대한 정보가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37); 반응 결과물에 빛을 조사하고, 광흡광도 또는 광투과도 등의 광신호를 분석하여 시료를 정성적 또는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분석부(33);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35); 및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9)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분석부(33)는, 상기 검사기 내에 주입되어 있는, 농도를 알고 있는 시료에 대하여 광신호를 측정한 후, 상기 시료의 농도로부터 예측되는 광신호 예측값과 상기 측정한 광신호 측정값의 비와 농도 사이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상기 관계식, MCC, 및 미지 농도의 시료에 대하여 측정된 광신호 값을 사용하여 상기 미지 농도 시료의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33)는, 상기 MCC 및 상기 관계식을 사용하여 복수개의 서로 상이한 농도에 대응하는 각각의 광신호 측정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복수개의 농도 및 대응하는 각각의 광신호 값으로부터 상기 MCC의 계수를 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수가 교정된 주 교정 곡선을 사용하여, 미지 농도 시료에 대하여 측정된 흡광도로부터 당해 시료의 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교정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특정 시약에 대한 주 교정 곡선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주 교정 곡선이 변화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검사기에 의한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광신호 예측값과 상기 측정한 광신호 측정값의 비와 농도 사이의 관계식의 두 가지 곡선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MCC 곡선
2 : 시간 경과 후의 실제 농도와 광신호의 관계
11 : 광신호예측값/광신호측정값의 비와 농도 사이의 관계의 제1형태
13 : 광신호예측값/광신호측정값의 비와 농도 사이의 관계의 제2형태
22 : 시료 주입구 23,24,25,26: 챔버
27 : 바코드

Claims (15)

  1.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의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검사기 내에 주입되어 있는, 농도를 알고 있는 시료에 대하여 광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료의 농도로부터 예측되는 광신호 예측값과 상기 측정한 광신호 측정값의 비와 농도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결과 교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측정 단계에서는 서로 농도가 상이한 복수개의 시료에 대하여 각각의 광신호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결과 교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예측값은, 시료의 농도와 당해 농도에서의 흡광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식인 주 교정 곡선으로부터 계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결과 교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식은 곡선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결과 교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식을 구하는 단계는,
    미정계수를 포함하는 곡선식 형태의 상기 관계식에 상기 시료의 농도, 상기 광신호 예측값 및 상기 광신호 측정값을 대입하여, 상기 관계식의 미정계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결과 교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정계수의 갯수는 상기 광신호 측정 단계에서 사용되는 시료의 갯수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결과 교정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미지 농도의 시료에 대하여 측정된 광신호 값, 상기 관계식 및 상기 주 교정 곡선을 사용하여 상기 미지 농도 시료의 농도를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결과 교정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지 농도 시료의 농도를 구하는 단계는 하기 수학식 8의 방정식을 사용하며, 여기에서 상기 구하고자 하는 농도는 상기 방정식을 수학적으로 풀어서 구한 해이거나, 농도를 변경해가면서 방정식의 해에 가까운 농도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결과 교정 방법:
    [수학식 8]
    광신호 측정값 × MVRC(농도) = iMCC(농도)
    상기식에서,
    광신호 측정값은 상기 미지 농도의 시료에 대하여 측정된 광신호 값이고,
    MVRC는 상기 관계식이며,
    iMCC는 상기 주 교정 곡선의 역함수이다.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 교정 곡선과 상기 관계식을 사용하여 복수개의 서로 상이한 농도에 대응하는 각각의 광신호 측정값을 계산하거나, 복수개의 서로 상이한 농도에 대응하는 각각의 광신호를 실제로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결과 교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측정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하기 수학식 9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결과 교정 방법:
    [수학식 9]
    광신호 측정값 = iMCC(농도) / MVRC(농도)
    상기식에서,
    MVRC는 상기 관계식이며,
    iMCC는 상기 주 교정 곡선의 역함수이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측정값 계산 단계에서 구한 복수개의 농도 및 대응하는 각각의 광신호 값으로부터, 상기 주 교정 곡선의 계수를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결과 교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미지 농도의 시료에 대하여 상기 계수가 교정된 주 교정 곡선을 사용하여 상기 미지 농도 시료의 농도를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결과 교정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전자 매체.
  14. 검사기 내의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장치로서,
    검사기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검사기 내부에 들어있는 시료를 분광학적 분석 방법에 의하여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석부는,
    상기 검사기 내에 주입되어 있는, 농도를 알고 있는 시료에 대하여 광신호를 측정한 후, 상기 시료의 농도로부터 예측되는 광신호 예측값과 상기 측정한 광신호 측정값의 비와 농도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시료의 농도와 당해 농도에서의 흡광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식인 주 교정 곡선 및 상기 관계식을 사용하여 복수개 의 서로 상이한 농도에 대응하는 각각의 광신호 측정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복수개의 농도 및 대응하는 각각의 광신호 값으로부터 상기 주 교정 곡선의 계수를 교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장치.
KR1020090077132A 2009-08-20 2009-08-20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에 대한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분석장치 Withdrawn KR20110019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132A KR20110019555A (ko) 2009-08-20 2009-08-20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에 대한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분석장치
EP10158678A EP2287590A3 (en) 2009-08-20 2010-03-31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result from test device using a reagent
US12/755,194 US20110046908A1 (en) 2009-08-20 2010-04-06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result from tes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132A KR20110019555A (ko) 2009-08-20 2009-08-20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에 대한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분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555A true KR20110019555A (ko) 2011-02-28

Family

ID=43037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132A Withdrawn KR20110019555A (ko) 2009-08-20 2009-08-20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에 대한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분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046908A1 (ko)
EP (1) EP2287590A3 (ko)
KR (1) KR201100195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5754A (ko) * 2013-01-25 2014-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체 시료 검사장치 및 유체 시료 검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758924B (zh) * 2024-09-06 2025-03-11 三诺生物传感股份有限公司 一种生理指标检测仪的校准方法和校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24032T2 (de) * 1995-05-19 2003-02-06 Fuji Photo Film Co., Ltd. Zweistufen-Verfahren zur Kalibrierung von trockenen chemischen Analyselementen
JP3645023B2 (ja) * 1996-01-09 2005-05-1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試料分析方法、検量線の作成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分析装置
FR2881828B1 (fr) * 2005-02-04 2007-11-30 Diagnostica Stago Soc Par Acti Methode de mesure quantitative par immunochromatographie, d'analytes dans un echantillon liquide
JP2009002864A (ja) * 2007-06-22 2009-01-08 Olympus Corp 分析装置および分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5754A (ko) * 2013-01-25 2014-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체 시료 검사장치 및 유체 시료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87590A3 (en) 2012-11-14
EP2287590A2 (en) 2011-02-23
US20110046908A1 (en)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4564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determining compromised reagent pads by quantifying color changes induced by exposure to a hostile environment
Thomas A primer on multivariate calibration
EP0552291B1 (en) Method of estimating property and/or composition data of a test sample
US7248370B2 (en) Method to reduce background noise in a spectrum
US20170098137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determining compromised reagent pads by quantifying color changes induced by exposure to a hostile environment
WO2017084119A1 (zh) 一种具有无测点温度补偿功能的近红外物性参数测量方法
Storey et al. Optimized pre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 for quantitative Raman spectroscopy in biology
CN108680622A (zh) 一种电化学生物传感器中红细胞压积测量和校正的方法
Cuadros-Rodrı́guez et al. Calibration in chemical measurement processes: I. A metrological approach
CN107966499B (zh) 一种由近红外光谱预测原油碳数分布的方法
JP2024088663A (ja) 補償システムおよび分析物バイオセンサ内のサーミスタ感知の方法
CN105372235A (zh) 尿试样的评价方法、分析装置和分析系统
Westgard et al. Intelligent Quality Management 2 with IntraSpect™ technology for quality control of GEM® Premier™ 5000 blood gas analyzers—A novel application of the patient sample as its own control
JP2007285922A (ja) 近赤外光を用いた臨床血液検査方法
KR20110019555A (ko) 시약이 사용되는 검사기에 대한 검사 결과를 교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분석장치
CN105259136A (zh) 近红外校正模型的无测点温度修正方法
Ahmed et al. A Rapid and Simplified Approach to Correct Atmospheric Absorptions in Infrared Spectra
CN117191728B (zh) 基于紫外可见吸收光谱测定多组分浓度的方法及应用
JP3647105B2 (ja) 分析方法及び分析装置
US20080087818A1 (en) Ion trap mobility spectrometer calibration method and system
US20250146972A1 (en) Electrolyte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selectivity coefficient
CN105300924A (zh) 温度影响下近红外校正模型的无测点补偿建模方法
JP2010117290A (ja) 液体試料成分の分析装置および分析方法
Ramamohan et al. Application of mathematical models of system uncertainty to evaluate the utility of assay calibration protocols
Willetts et al. A Critique on Available In-House Method Vali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