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5417A - 적층된 창유리를 창유리 외부의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하나의 그러한 연결 디바이스가 제공된 창유리를 조립하는 방법, 및 결과적인 창유리 - Google Patents
적층된 창유리를 창유리 외부의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하나의 그러한 연결 디바이스가 제공된 창유리를 조립하는 방법, 및 결과적인 창유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15417A KR20110015417A KR1020107025731A KR20107025731A KR20110015417A KR 20110015417 A KR20110015417 A KR 20110015417A KR 1020107025731 A KR1020107025731 A KR 1020107025731A KR 20107025731 A KR20107025731 A KR 20107025731A KR 20110015417 A KR20110015417 A KR 201100154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laminated
- box
- glazing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67—Variable transmission
- B32B17/10495—Variable transmission optoelectronic, i.e. optical valve
- B32B17/10504—Liquid crystal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6—Heaters using particular connect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47—Assembling terminal to base
- Y10T29/49149—Assembling terminal to base by metal fusion bon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유리 유닛의 외부에 있는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층된 창유리(1)를 위해 의도된 연결 디바이스(4)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적층된 창유리(1)는 분리기 적층 시트를 갖는 2개의 유리 시트(2)와, 그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류 리드(3)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를 포함한다. 연결 디바이스(4)는 창유리(1)의 내부 및 외부 상에서 연장하는 전도성 부분을 포함하고, 내부 전도성 영역(12)은 전술한 전류 리드(들)(3)에 연결되도록 의도되고, 외부 전도성 영역은 창유리의 외부에 있는 장치에 연결되도록 적응되고, 절연 덮개에 의해 보호된다. 본 발명은, 절연 덮개와 함께 외부 전도성 영역은 장치와의 와이어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케이스(4A)의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케에스(4A)는 유리 시트 내부에 전도성 부분을 수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층된 창유리 유닛을 창유리 유닛 외부의 기기에 연결하도록 의도된 전기 연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연결 디바이스를 구비한 창유리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설치된 창유리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관련되는 창유리 유닛의 일례로서, 가열된 창유리 유닛, 전기적으로 제어된 광학 특성을 갖는 창유리 유닛, 및 기능을 갖는 창유리 유닛이 언급될 수 있다.
- 차량의 앞유리(windshilds) 및 후면 윈도우와 같은 가열된 창유리 유닛은 적어도 2개의 유리 시트를 포함하는 스택으로 구성되고, 이들 적어도 2개의 유리 시트 사이에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진 열경화성 내층 시트가 있고, 그 한 면에는 얇은 전기 가열 저항 와이어의 네트워크가 부착되고, 각 얇은 와이어는 각 단부에서 전류 리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들 전류 리드는 예를 들어 저-용융점의 주석-주원료의 합금으로 덮여진 구리 포일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는 전류 리드들 중 하나를 전기 전원의 단자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전류 리드는 다른 단자에 연결된다.
- 그 일례가 도 1을 참조하여 아래에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전기적으로 제어된 광학 특성을 갖는 창유리 유닛은, 투명 상태로부터, 시야로부터 주거 공간(habitable room), 사무실, 카운터 등을 숨기는 반투명 상태로 즉시 변할 수 있는 창유리 유닛이다.
일반적으로 특히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유리 기능을 갖는 2개의 시트로 구성되는 적층된 창유리 유닛이 있으며, 각 시트에는 전극을 구성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와 같은 전도성 물질의 얇은 투명 층이 부착된다.
유리 기능을 갖는 2개의 시트는 서로 마주보는 전극을 형성하는 투명 층으로 위치되며, 중간 필름은 2개의 투명 전극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필름은 특히 액정 방울을 포획하는 투명 폴리머 매트릭스의 필름이다.
그러한 창유리 유닛의 동작 원리는, 전기장 효과 하에 액정 방울이 정렬될 때 폴리머 매트릭스의 굴절률과 액정 방울의 상굴절률(ordinary index)를 적응시키는 것이며, 이것은 창유리 유닛에 투명 상태를 제공한다. 전기장이 없는 경우, 각 방울에서의 액정 분자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지만, 그 배향 방향은 하나의 방울로부터 다음 방울로 변한다. 그런 후에 입사광의 산란이 발생하고, 이것은 창유리 유닛에게 반투명 외관을 제공한다.
해당 유리 시트의 하나의 에지를 따라, 예를 들어 전극 층 상의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증착되거나, 이에 용접되는, 전류 리드를 형성하는 버스바 또는 전도성 스트립이 각 전극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는 버스바들 중 하나를 전류 입력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동일한 유형의 다른 연결 디바이스는 다른 버스바를 전류 출력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된다.
- 기능을 갖는 창유리 유닛은 예를 들어 병합된 무선 안테나를 갖는 차량용 창유리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병합하는 창유리 유닛이다.
병합된 무선 안테나를 갖는 창유리 유닛은, 일반적으로 안테나 와이어가 위치되는 중간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된 창유리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이러한 안테나 와이어를 차량용 라디오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된다.
전술한 창유리 유닛은 모두 유리 기능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된 창유리 유닛이며, 이러한 2개의 시트는 특히 유리로 만들어지거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이러한 2개의 시트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폴리머 물질,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중간 시트(적층 내층)가 위치된다. 이들 창유리 유닛은 2가지 군(families)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제 1 군은 간단히 유리 기능을 갖는 2개의 시트를 포함하며, 이들 2개의 시트 사이에는 적층 내층이 위치된다;
- 창유리 유닛의 제 2 군은 이전과 같이, 유리 기능을 갖는 2개의 시트 및 적층 내층을 포함하지만, 각 유리 시트와 적층 내층 사이에 전극을 형성하는 얇은 층의 삽입을 통해, 이들 전극은 적층 내층과 연관된 활성 시스템을 위한 전기 전원의 역할을 한다.
창유리 유닛의 유형에 상관없이, 전기 전원은 일반적으로 창유리 유닛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전류 리드에 의해 제공되고, 이러한 전류 리드는 이러한 전원을 요구하는 창유리 유닛 내부의 구성요소 및 외부 전기 전원에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전류 리드는 전술한 창유리 유닛의 제 2 군의 경우에 연관된 전극 층과 접촉한다.
전기 전원으로의 전류 리드의 연결은 연결 요소로서 알려진 요소에 의해 제공되며, 이러한 연결 요소는 일반적으로 창유리 유닛 내에 그리고 창유리 유닛의 외부에 놓이는 전도성 부분과, 창유리 유닛 외부의 전도성 부분의 가열을 포함한다.
외부 전도성 부분은 실제 연결을 제공한다. 이들은 2개의 용접된 금속 프롱(prongs) 또는 2개의 러그(lugs)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페룰(ferrules) 또는 임의의 다른 연결 수단일 수 있다. 외부 환경, 특히 충격 및 습기에 대해 이들 외부 전도성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코팅은 전통적으로 이들 전도성 부분을 덮는다.
코팅은 예를 들어 창유리 유닛 외부의 전도성 부분에 감겨지거나 압출된 절연 스트립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코팅은 또한 열수축 스트립일 수 있다. 그러나, 연결 요소의 견고함(soldity) 및 밀봉은 원하는 요건에 항상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종종 압출된 코팅은 보일 수 있는 돌출부를 갖는다.
코팅은 또한 그 안에 외부 전도성 부분을 삽입하기 위해 리세스(recesses)를 포함하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부분은 창유리 유닛에 접착가능하게 부착된다. 접착제는 연결 요소의 밀봉을 보장하고 조립체의 견고함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만족스럽지 않더라도, 이러한 해법은, 특히 접착제의 흐름으로 인해 창유리 유닛의 에지에서 비교적 넓은 공간 요건을 갖는다. 더욱이, 이러한 흐름의 정도는 항상 예측가능하지 않으므로, 창유리 유닛 상의 연결 요소의 공간 요건을 제어할 수 없다.
이러한 공간 요건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조립체의 신뢰성, 견고함 및 밀봉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럽 특허 출원 EP 0 619 691에 따라, 외부 전도성 부분의 코팅이 창유리 유닛 바로 위에 몰딩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에 따라 제안된 해법은 다소 만족스럽지 않다. 더욱이, 창유리 유닛 상의 직접 몰딩에 의한 코팅을 위한 동작의 수는 많고, 쉽지 않다. 하나의 몰드는 연결 디바이스의 유형마다 제조되어야 한다. 더욱이, 연결의 양호한 밀봉을 얻기를 원하는 경우에, 케이블은 연결 디바이스에 연결되어야 하고, 창유리 유닛 상의 몰딩 동안 코팅에 일체화되어야 한다. 다른 결점은, 이러한 케이블이 창유리 유닛으로부터 걸려지고, 케이블이 예를 들어 창유리 유닛의 운송 동안 무의식중에 잡아당겨지는 경우 연결 디바이스를 떼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창유리 유닛에서의 이러한 유형의 연결 디바이스의 고정부(anchorage)는 단단해야 하며, 창유리 유닛은 디바이스가 떼어지는 경우 더 이상 사용될 수 없고, 이것은 상당한 손실을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이들 적층된 창유리 유닛, 특히 활성 시스템을 갖는 창유리를 갖는 적층된 창유리 유닛의 가격은 일반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코팅은 종종 부피가 크고, 일반적으로 유리 기능을 갖는 시트의 2개의 대응하는 외부 에지의 부분을 덮는데, 이것은 창유리 유닛의 설치 동안 발생하는 결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하기 간단하고, 부피가 그리 크지 않고, 유리하게는 창유리 유닛으로의 양호한 고정을 제공하는 수단 및 창유리 유닛 외부의 시스템으로의 창유리 유닛의 연결을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모두 구비할 수 있는 연결 디바이스를 제안함으로써 이들 결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하나의 주제는 먼저 창유리 유닛 외부의 기기로의 전기적 연결을 요구하는 적층된 창유리 유닛을 설치하도록 의도된 연결 디바이스이며,상기 적층된 창유리 유닛은 유리 기능을 갖는 2개의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시트 사이에는 적층 내층 시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전류 리드가 위치하고, 상기 연결 디바이스는 창유리 유닛의 내부와 외부 상에서 연장하는 전도성 부분을 포함하고, 내부 전도성 영역은 전술한 전류 리드(들)에 연결되도록 의도되고, 외부 전도성 영역은 창유리 유닛 외부의 기기로의 연결을 위해 적응되고, 절연 셀에 의해 보호되며,
절연 셀을 갖는 외부 전도성 영역은 와이어링을 통한 창유리 유닛 외부의 기기로의 연결을 위해 연결 박스의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박스는 창유리 유닛 내부의 전도성 부분을 수용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박스는 유리하게 창유리 유닛에 대해, 특히 창유리 유닛의 에지에 대해 부착되기 위해 배치된다.
창유리 유닛 내부 상에서 연장하도록 의도된 전도성 부분은 전도성 물질의 탭(tab) 또는 끈(braid)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것은 연결 디바이스의 조립된 위치에서, 박스 내부에 있는 외부 전도성 부분에 연결되기 위해 박스의 슬롯에 들어간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외부 연결 박스는 전도성 물질의 탭과의 접합 지역에서, (박스와의 몰딩을 위해) 이를 갖는 단일 부품으로서 케이스를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이 부분에서 상기 탭이 연장한다.
박스는 전원에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의 각각의 암 또는 수 플러그와의 연결을 위해 수 러그 또는 암 러그를 각각 지지하는 하나 또는 2개의 커넥터를 외부에 포함할 수 있다. 각 커넥터는 커넥터-플러그 연결을 밀봉하기 위해, 특히 스냅 고정(snap fastening)에 의해, 연결 케이블의 플러그의 상보 수단과 협력하는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의 하나의 유리한 특징에 따라, 박스 및/또는 내부 전도성 부분 및/또는, 그것의 존재시, 박스와 탭-형태의 내부 전도성 부분 사이의 접합 케이스를 형성하는 부분은 상기 연결 디바이스의 고정을 강화시키기 위해 창유리 유닛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고정 수단은 내층 시트의 유연한 물질을 고정하기 위해 구멍, 핀, 돌출부 또는 리브(ribs)로 구성될 수 있고, 박스를 고정하는 수단은 창유리 유닛에 대해, 특히 창유리 유닛의 에지에 대해 박스의 부착 영역에서 내층 시트의 중첩과 협력하도록 의도된다.
케이스 부분이 제공되었으면, 케이스는 내층 시트의 물질에서 고정을 제공하는 측면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위에서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디바이스가 설치된 적층된 창유리 유닛을 조립하는 프로세스이며, 연결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리드를 포함하는 창유리 유닛의 시트 상에 위치되고, 연결 디바이스의 내부 전도성 부분은 전류 리드(들)의 일단부에 용접되고, 박스는 창유리 유닛에 인접하고, 적층된 창유리 유닛을 구성하는 시트의 스택은 보완되고, 중간 내층 시트는 적절할 때, 박스의 영역에서 창유리 유닛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도록 하는 치수를 가져서, 시트의 스택의 조립 동안 이러한 영역에서 내층 시트의 물질의 흐름이 가능하면 박스에 의해 유래하는 구멍, 핀, 돌출부 또는 리브에 의해 제공되는 고정과 같은 박스의 고정을 강화시키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창유리 유닛 외부의 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요구하는 적층된 창유리 유닛이며, 상기 적층된 창유리 유닛은 유리 기능을 갖는 2개의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포함하고, 이들 2개의 시트 사이에는 적층 내층 시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전류 리드가 위치되고, 상기 창유리 유닛은 위에서 정의되거나 위에서 정의된 프로세스에 의해 조립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디바이스가 설치된다.
제공된 응용에 따라, 창유리 유닛은 유리 기능을 갖는 인접 시트와 직접 접촉하는 적층 내층 시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전류 리드(들)는 내층 시트 상에 위치되거나, 창유리 유닛은 유리 기능을 갖는 시트 상에 증착된 전극을 형성하는 얇은 층의 삽입을 통해 유리 기능을 갖는 인접 시트와 접촉하는 적층 내층을 포함할 수 있고, 전류 리드(들)는 전극을 형성하는 얇은 층 상에 위치된다.
제 1 유형의 창유리 유닛의 일례는 가열된 창유리 유닛이고, 내층 시트는 하나 또는 몇몇 전류 리드(들)에 연결된 가열 저항 와이어를 포함한다.
제 2 유형의 창유리 유닛의 일례는 전기적으로 제어된 광학 특성을 갖는 창유리 유닛이고, 전극을 형성하는 얇은 층은, 적층 내층 시트의 매트릭스 내에 있고 전극에 인가된 전압의 함수로서 창유리 유닛의 불투명도를 변형시킬 수 있게 하는 액정에 의해 구성된 활성 시스템을 위한 전기 전원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를 더 잘 예시하기 위해, 여러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표시에 의해 그리고 비-제한적으로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설치하기 간단하고, 부피가 그리 크지 않고, 유리하게는 창유리 유닛으로의 양호한 고정을 제공하는 수단 및 창유리 유닛 외부의 시스템으로의 창유리 유닛의 연결을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모두 구비할 수 있는 연결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제 1 변형에 따라, 하나의 커넥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를 도시하며, 투명 적층된 창유리 유닛의 유리 시트의 부분 평면도.
도 2는 제 2 변형에 따라, 2개의 커넥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를 도시하며,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3은 그 탭이 부분적으로 표시된, 도 1로부터의 연결 디바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1로부터의 연결 디바이스의 측면도 및 측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 2 변형에 따라, 2개의 커넥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를 도시하며,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3은 그 탭이 부분적으로 표시된, 도 1로부터의 연결 디바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1로부터의 연결 디바이스의 측면도 및 측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1을 참조하면, 등록 상표 SGG PRIVALITE 하에 쌩-고뱅 글래스에 의해 판매된 것과 같은, 전기적으로 제어된 광학 특성을 갖는 적층된 창유리 유닛(1)이 도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창유리 유닛은 PMMA, PC 또는 PET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거나 유리로 만들어진 2개의 시트(2)로 구성되고, 각 시트에는 전극을 구성하는 ITO와 같은 전도성 물질로 된 얇은 투명 층이 부착된다. 전류는, 해당 시트(2)의 하나의 에지를 따라 전극을 형성하는 상기 층에 연결된, 더 구체적으로 전류 리드를 형성하는 버스바 또는 전도성 스트립{도 1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구리(3)의 스트립}을 통해 전극을 형성하는 층으로 이동된다. 이 예에서, 2개의 버스바(3)는 최종 창유리 유닛에서의 2개의 대항 에지를 따라 위치한다.
2개의 시트(2)는 서로 마주보는 전극을 형성하는 투명 층을 통해 위치되고, 내층 필름은 2개의 투명 전극 사이에 위치된다. 이 필름은 캡슐화(encapsulation) 기술에 따라 투명 폴리머 매트릭스(특히 PDLC로 만들어진)에 의해 포획된 대략 1 내지 5㎛의 크기를 갖는 액정 방울의 필름이다. 이들 액정은 창유리에 인가된 전압의 함수로서 창유리의 불투명도를 변형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버스바(3)의 외부 전류원으로의 연결을 위해 그 위에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4)가 위치되는 하부 유리 시트의 부분 평면도를 도시한다.
디바이스(4)는 각각 4A 및 4B인 창유리 유닛(1) 내부 및 외부의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부분(4A)은 외부 전류원과의 연결을 위한 박스로 구성된다. 이 박스(4A)는 직사각형의 평행사변형 형태를 갖고, 2개의 길이 방향 면(4a; 4b), 2개의 횡단 면(4c; 4d), 및 2개의 단부면(4e;4f)으로 경계가 정해진다.
단부면 중 하나(4f)는 박스(4A)의 중심선을 따라 연결되는 중심 구멍과, 자유단 근처에서 외부벽이 형성되는 원통형 요소(5)와, 고리형 돌출부(6)를 갖는다. 암 러그를 갖는 소켓과의 누출 방지 결합을 위해 단부 부속품(fitting)(7)을 갖는 수 러그를 갖는 커넥터가 이에 따라 형성된다.
박스(4A)의 면(4a)은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적층된 창유리 유닛의 에지에 대해 부착되도록 의도된다. 이 면은 외부적으로 핀(8)을 지지하고, 그 역할은 아래에 나타난다.
면(4b, 4c, 4d)은 부분의 그립핑(gripping)을 제공하는 리브와 중공을 번갈아 형성하기 위해 벽(4e, 4f)에 평행하게 횡단면으로 형성된 중공 부분(9)을 외부에 포함한다.
면(4a)은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의 중심 개구부를 포함하며, 케이스(10) 유형의 요소가 이러한 중심 개구부에 연결되고, 이들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주 면(10a, 10b)은 박스(4A)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된다. 면(10a)은 중심 개구부(11)를 포함한다. 버스바(3)와의 연결을 제공하도록 의도된 전도성 탭(12)은 케이스(10)에 도입된다. 이러한 탭(12)은 본 명세서에서 케이스(10)와 함께 창유리 유닛(1)의 내부에 있는 연결 디바이스의 부분(4B)을 구성한다.
연결 디바이스(4)의 설치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버스바(3)를 갖는 전극층이 제공된 제 1 유리 시트(2) 상에서, 연결 디바이스(4)는 상기 유리 시트(2)의 에지 및 전극층 상의 탭(12)에 대해 박스(4A)의 면(4a)과 함께 위치되고, 상기 탭(12)의 단부는 버스바(3)와 중첩하고, 케이스(10)는 에지 영역에서의 상기 전극층에 대해 가압된다. 이 위치에서, 케이스의 개구부(11)는 전극층으로부터 대항측 상에 있다.
버스바(3)를 갖는 탭(12)의 자유 단부는 13에서 용접된다.
그런 후에, 내층 필름은 창유리 유닛의 에지에 대해 박스(4A)의 지지 지역 안으로 돌출하도록 함으로써 위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연결 디바이스(4)가 제공된 유리 기능을 갖는 제 2 시트(상부 시트)는 내층 시트 상에 위치되고, 그 박스(4A)는 적층된 창유리 유닛의 동일한 측 상이지만 대항 코너에 위치된다. 그런 후에 내층 시트는 한 편으로 케이스(10)의 개구부(11)로 들어가는 흐름, 다른 한편으로 2개의 박스(4A)의 핀(8)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는 흐름을 겪는다.
이에 따라 개구부(11) 및 핀(8)의 존재는, 박스(4A)가 받게 될 기계적인 힘이 사실상 케이스(10)에만 전달되고, 케이스 부분(10) 및 박스(4A)로부터 내층 시트로 생성되는 고정으로 인해 탭(12)으로 더 이상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박스(4A)의 면(4e)에 의해 지지된 제 1 커넥터와 동일한 제 2 커넥터를 포함하는 박스(4A)를 이용한다. 이 예에서, 단일 디바이스(4)는 시트들 중 하나(2) 상에 설치되고, 이 디바이스에 대해, 탭(12)은 탭(12) 및 탭(12)의 양쪽 면 상에 수직인, 적층된 창유리 유닛의 동일한 에지를 따라 위치된 2개의 버스바(3, 3')에 연결된다. 버스바들 중 하나(3)는 하부 시트(2)와 연관되어, 하부 시트(2)(도 2에 부분적으로 도시됨)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다른 버스바(3')는 다른 시트(2)(상부 시트)에 대해 부착되기 위해 구부러짐으로써 연장된다.
여전히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연결 디바이스는 전류 또는 신호 입력 및/또는 출력을 요구하는 임의의 활성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 창유리 유닛의 외부에 있는 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요구하는 적층된 창유리 유닛(1)을 설치하도록 의도된 연결 디바이스(4)로서, 상기 적층된 창유리 유닛(1)은 유리 기능을 갖는 2개의 시트(2)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시트(2)들 사이에는 적층 내층 시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전류 리드(3; 3')가 위치되고, 상기 연결 디바이스(4)는 창유리 유닛(1)의 내부 및 외부 상에서 연장하는 전도성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전도성 영역(12)은 전술한 전류 리드(들)(3; 3')에 연결되도록 의도되고, 외부 전도성 영역은 창유리 유닛의 외부에 있는 기기와의 연결을 위해 적응되고, 절연 셀에 의해 보호되는, 연결 디바이스(4)에 있어서,
절연 셀을 갖는 외부 전도성 영역은 와이어링을 통해 창유리 유닛 외부의 기기와의 연결을 위해 연결 박스(4A)의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박스(4A)는 창유리 유닛 내부의 전도성 부분을 수용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4A)는 창유리 유닛(1)에 대해, 특히 창유리 유닛의 에지에 대해 부착되기 위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창유리 유닛(1)의 내부 상에서 연장하도록 의도된 전도성 부분은 전도성 물질의 탭(tab) 또는 끈(braid)(12)에 의해 형성되고, 이것은 연결 디바이스(4)의 조립된 부분에서, 박스(4A) 내부에 있는 외부 전도성 부분에 연결되기 위해 박스(4A)의 슬롯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 제 3항에 있어서, 외부 연결 박스(4A)는 전도성 물질로 된 탭(12)과의 접합 지역에서, 그와 단일 부품으로서 케이스를 형성하는 부분(10)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탭(12)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4A)는 전원에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의 각각의 암 또는 수 플러그와의 연결을 위해 수 러그 또는 암 러그를 각각 지지하는 하나 또는 2개의 커넥터를 외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 제 5항에 있어서, 각 커넥터는, 커넥터-플러그 연결을 밀봉하기 위해, 특히 스냅 고정(snap fastening)에 의해 연결 케이블의 플러그의 상보 수단과 협력하는 수단(5-6-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스(4A) 및/또는 내부 전도성 부분(12) 및/또는, 존재시, 박스(4A)와 탭-형태의 내부 전도성 부분(12) 사이의 접합 케이스를 형성하는 부분(10)은 상기 연결 디바이스(4)의 고정을 강화시키기 위해 창유리 유닛(1)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고정(anchoring)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내층 시트의 유연한 물질을 고정하기 위해 구멍(11), 핀(8), 돌출부 또는 리브(ribs)로 구성되고, 상기 박스(4A)를 고정하는 수단은 창유리 유닛에 대해, 특히 창유리 유닛의 에지에 대해 박스의 부착 영역에서 내층 시트의 중첩과 협력하도록 의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 제 4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케이스(10)는 내층 시트의 물질에서의 고정을 제공하는 측면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디바이스.
-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연결 디바이스(4)가 설치된 적층된 창유리 유닛(1)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연결 디바이스(4)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리드(3)를 포함하는 창유리 유닛(1)의 시트(2) 상에 위치되고, 연결 디바이스(4)의 내부 전도성 부분(12)은 전류 리드(들)(3; 3')의 일단부에 (13에서) 용접되고, 박스(4A)는 창유리 유닛(1)에 인접하고, 적층된 창유리 유닛(1)을 구성하는 시트의 스택은 보충되고, 중간 내층 시트는 적절할 때, 박스(4A)의 영역에서의 창유리 유닛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하는 치수를 가져서, 시트의 스택의 조립 동안 이러한 영역에서 내층 시트의 물질의 흐름이 박스(4A)의 고정을 강화시키도록 선택되고, 그러한 고정은 가능하면, 구멍, 핀, 돌출부 또는 이에 의해 지지된 리브(8)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창유리 유닛의 조립 방법. - 창유리 유닛의 외부에 있는 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요구하는 적층된 창유리 유닛(1)으로서, 상기 적층된 창유리 유닛(1)은 유리 기능을 갖는 2개의 시트(2)의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시트(2) 사이에는 적층 내층 시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전류 리드(3; 3')가 위치되고, 상기 창유리 유닛(1)은,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고 제 10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조립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디바이스(4)가 설치되는, 적층된 창유리 유닛.
- 제 11항에 있어서, 유리 기능을 갖는 인접 시트(2)와 직접 접촉하는 적층 내층 시트를 포함하고, 전류 리드(들)는 내층 시트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창유리 유닛.
- 제 12항에 있어서, 창유리 유닛은 가열된 창유리 유닛이고, 내층 시트는 하나 또는 몇몇 전류 리드(들)(3)에 연결된 가열 저항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창유리 유닛.
- 제 11항에 있어서, 유리 기능을 갖는 시트(2) 상에 증착된 전극을 형성하는 얇은 층의 삽입을 통해 유리 기능을 갖는 인접 시트(2)와 접촉하는 적층 내층 시트를 포함하고, 전류 리드(들)(3; 3')는 전극을 형성하는 얇은 층(들)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창유리 유닛.
- 제 14항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제어된 광학 특성을 갖는 창유리 유닛으로 구성되고, 전극을 형성하는 얇은 층은 액정에 의해 구성된 활성 시스템을 위한 전기 전원의 역할을 하고, 상기 액정은 적층 내층 시트의 매트릭스 내에 있고, 전극에 인가된 전압의 함수로서 창유리 유닛의 불투명도를 변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창유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0853166 | 2008-05-16 | ||
FR0853166A FR2931308B1 (fr) | 2008-05-16 | 2008-05-16 |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d'un vitrage feuillete a un equipement hors vitrage, procede d'assemblage d'un vitrage dote d'un tel dispositif de connexion, et vitrage ainsi obtenu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5417A true KR20110015417A (ko) | 2011-02-15 |
Family
ID=3983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25731A KR20110015417A (ko) | 2008-05-16 | 2009-05-15 | 적층된 창유리를 창유리 외부의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하나의 그러한 연결 디바이스가 제공된 창유리를 조립하는 방법, 및 결과적인 창유리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132888A1 (ko) |
EP (1) | EP2286486A2 (ko) |
JP (1) | JP2011521284A (ko) |
KR (1) | KR20110015417A (ko) |
CN (1) | CN102099964A (ko) |
EA (1) | EA201071313A1 (ko) |
FR (1) | FR2931308B1 (ko) |
WO (1) | WO2009150354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49192B2 (en) * | 2017-04-26 | 2020-11-24 | Agc Automotive Americas R&D, Inc. | Enclosure assembly for window electrical connections |
CN107933455B (zh) * | 2017-11-08 | 2019-09-13 |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功能化车门玻璃的供电布线装置 |
BR112020025864A2 (pt) * | 2018-09-25 | 2021-03-23 | Saint-Gobain Glass France | componente com elementos funcionais elétricos para a produção de uma folha laminada |
CN114498160B (zh) * | 2022-01-28 | 2023-04-28 |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 薄膜接头、电器组件和汽车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985411A (en) * | 1969-04-10 | 1976-03-09 | Otto J. Schmoeger (Jr.) | Laminated windshield with built-in antenna |
US3579243A (en) * | 1969-08-11 | 1971-05-18 | Ford Motor Co | Windshield antenna system |
US3590371A (en) * | 1969-12-31 | 1971-06-29 | Ppg Industries Inc | A method utilizing the color change with temperature of a material for detecting discontinuities in a conductor member embedded within a windshield |
CA1034252A (en) * | 1973-09-26 | 1978-07-04 | Ppg Industries, Inc. | Antenna windshield |
US4100398A (en) * | 1975-08-27 | 1978-07-11 | The Sierracin Corporation | Laminated electrically heatable window with electrical connectors |
JPH0755832Y2 (ja) * | 1989-09-22 | 1995-12-20 | 富士重工業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の嵌合確認装置 |
US5208444A (en) * | 1990-11-01 | 1993-05-04 | Ppg Industries, Inc. | Electrical connectors for electrically heated vehicle windows |
FR2700422B1 (fr) * | 1993-01-12 | 1995-03-03 | Saint Gobain Vitrage Int | Connexion d'un vitrage à une source d'alimentation électrique. |
GB9318563D0 (en) * | 1993-09-07 | 1993-10-20 | Splintex Belge Sa | A laminated glazing assembly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uch an assembly |
DE4332320C1 (de) * | 1993-09-23 | 1995-05-04 | Ver Glaswerke Gmbh |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erbundglasscheibe mit eingelegten Antennendrähten |
GB9423921D0 (en) * | 1994-11-26 | 1995-01-11 | Panaghe Stylianos | Electrical connection method |
US5748155A (en) * | 1995-09-13 | 1998-05-05 | Ppg Industries, Inc. | On-glass antenna and connector arrangement |
US5997329A (en) * | 1997-12-16 | 1999-12-07 |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 Enhanced connector system |
US7138604B2 (en) * | 2003-05-02 | 2006-11-21 | Delphi Technologies, Inc. | Ceramic device, sensor device,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method for sensing gas |
US7180031B1 (en) * | 2005-09-19 | 2007-02-20 | Automotive Components Holdings, Llc | Electrical connection in glazing operations |
-
2008
- 2008-05-16 FR FR0853166A patent/FR2931308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05-15 WO PCT/FR2009/050914 patent/WO2009150354A2/fr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5-15 KR KR1020107025731A patent/KR2011001541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05-15 EA EA201071313A patent/EA201071313A1/ru unknown
- 2009-05-15 EP EP09761905A patent/EP2286486A2/fr not_active Withdrawn
- 2009-05-15 JP JP2011508990A patent/JP2011521284A/ja not_active Withdrawn
- 2009-05-15 CN CN2009801274294A patent/CN102099964A/zh active Pending
- 2009-05-15 US US12/992,739 patent/US20110132888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10132888A1 (en) | 2011-06-09 |
EP2286486A2 (fr) | 2011-02-23 |
FR2931308B1 (fr) | 2010-08-20 |
FR2931308A1 (fr) | 2009-11-20 |
EA201071313A1 (ru) | 2011-06-30 |
WO2009150354A2 (fr) | 2009-12-17 |
WO2009150354A3 (fr) | 2010-02-18 |
CN102099964A (zh) | 2011-06-15 |
JP2011521284A (ja) | 2011-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204191B2 (ja) | 液晶誘起可変散乱を有する合わせグレージングと、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JP5957448B2 (ja) | 電気的機能および接続要素を備える積層窓ガラス | |
JP6689364B2 (ja) | 車両用板ガラスのための板ガラス担体を備える構成ユニット | |
EP2848993B1 (en) | Electrode plate, and electrochromic plate, electrochromic mirro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US11713613B2 (en) | Corner connecto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with an electrical supply line | |
EP2805203B1 (en) | Electrical connectivity within architectural glazing frame systems | |
JP2013531276A5 (ko) | ||
JP2001098856A (ja) | 複層ガラス | |
KR100982271B1 (ko) |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 |
KR20110015417A (ko) | 적층된 창유리를 창유리 외부의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하나의 그러한 연결 디바이스가 제공된 창유리를 조립하는 방법, 및 결과적인 창유리 | |
CN101441340A (zh) | 平面显示器及电路板的固定方法 | |
CN102073155A (zh) | 电路板固定结构及应用该结构的液晶显示装置与电子装置 | |
CN113498566A (zh) | 扁形导体连接元件 | |
CN216119324U (zh) | 显示装置 | |
CN111601945B (zh) | 隔离玻璃窗、窗户和制造方法 | |
RU2741423C1 (ru) | Изоляционное остекление и окно | |
CN217691167U (zh) | 显示模组及显示器 | |
CN109838178A (zh) | 一种接插件内集成有电源连接装置的中空玻璃 | |
US6919939B2 (en) | Front unit of an electrical device | |
CN222600021U (zh) | 电致变色器件及终端产品 | |
CN221710131U (zh) | 柔性电路板、电致变色器件及终端产品 | |
JP2005209985A (ja) | 太陽電池セルの電力出力用リード線 | |
JP5297829B2 (ja) | 固定部材及び固定部材を有したコネクタ | |
US20100112868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101211053B (zh) | 背光模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1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