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13789A - 한장의 원단지를 사용하여 입체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장의 원단지를 사용하여 입체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789A
KR20110013789A KR1020090071422A KR20090071422A KR20110013789A KR 20110013789 A KR20110013789 A KR 20110013789A KR 1020090071422 A KR1020090071422 A KR 1020090071422A KR 20090071422 A KR20090071422 A KR 20090071422A KR 20110013789 A KR20110013789 A KR 20110013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mask
cutting
front fabric
pa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호
Original Assignee
고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호 filed Critical 고지호
Priority to KR1020090071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3789A/ko
Publication of KR2011001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78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로 제작되어 지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천의 상하로 상부천과 하부천이 절첩가능하게 접착되어 사용시 입체적인 형태를 구현하게 되는 마스크에 있어서, 전면천에 상부천과 하부천이 초음파 접착될 경우에 제조의 용이성과 제품의 균일성은 물론 대량생산의 용이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재 이러한 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제조는 상부천과 하부천을 롤상으로 문양으로 1차 가공한 후 전면천과 합지를 위하여 롤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2차로 절단한 후 절단된 것을 상하가 약간 중첩되게 한 후 전면천과 합지한 후 다시 전면천을 절단토록 함으로서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롤상으로 가공되어진 상부천과 하부천을 절개하여 전면천과의 합지를 위하여 절개되어진 것을 상하천이 약간 중첩토록 하기 위한 공정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이러한 것을 전면천과 합지할 경우에도 정밀한 합지의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장의 원단지를 가공한 후 접어서 접착함으로서 간단하면서도 제품의 균일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마스크. 한장의 원단지. 합지. 접착. 절단.

Description

한장의 원단지를 사용하여 입체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제조방법.{A Manufacture-Method of Mask having a solid-structure}
본 발명은 부직포로 제작되어 지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천의 상하로 상부천과 하부천이 절첩가능하게 접착되어 사용시 입체적인 형태를 구현하게 되는 마스크에 있어서, 이러한 마크스의 제조의 용이성과 제품의 균일성은 물론 대량생산의 용이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재 입체적인 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구조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천 및 상기 전면천의 상하변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천과 하부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천은 코부분을 가려주고 하부천은 턱부분을 가려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 전면천 또는 상부천이나 하부천에는 그 표면에 일반섬유처럼 보이도록 하거나 다양한 디자인을 위하여 문양이 형성되어지는 것이고, 전면천의 좌우로는 궈에 걸어주기 위하여 걸이밴드가 장착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전면천이나 상부천 또는 하부천은 서로 다른 원단지를 합지토록 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한장의 원단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전면천과 상부천 또는 하부천은 초음파 접착을 위하여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고, 이러한 재질은 통 상 폴리프로필렌을 용융압출하여 굵고 질긴 필라멘트로 방사한 후 강도와 표면안정성이 최대가 되도록 열융착시켜 형성하는 장섬유 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을 용융압출하여 가늘고 부드러운 미세섬유로 방사후 절단하여 열융착에 의하여 포를 형성한 단섬유 부직포와 저융점의 가소성 합성섬유를 혼합하여 열,압력,용제 등으로 착화하거나 녹여서 결합하여 제조하는 단섬유 부직포를 사용하였고 이러한 것들을 합지토록 함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마스크의 제조를 위하여는 가공되어진 롤상의 원단지(부직포)에 상부천과 하부천의 형상을 초음파 가공에 의하여 문양으로 1차 가공한 후 이를 전면천과 합지를 위하여 2차로 절단한 후 절단된 것을 롤러에 의하여 일부분이 중첩토록 모아져 공급되면서 전면천과 합지되어지면서 전면천에 상부처과 하부천이 접착된 상태에서 전면천을 절단토록 함으로서 마스트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롤상으로 가공되어진 원단지에서 상부천과 하부천을 절개하여 전면천과의 합지를 위하여 절개되어진 것을 상하천이 약간 중첩토록 모으기 위한 롤러의 작동공정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이러한 것을 전면천과 합지할 경우에도 정위치에 정확한 합지의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원단지 한장만으로 전면천과 상부천은 물론 하부천을 구현토록 함으로서 접착과 절단에 의하여 1공정으로 제조토록 함으로서 간단하게 제조토록 하면서도 제품의 균일성을 유지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장의 원단지의 상하변에 각각 상부천과 하부천의 형태를 구현토록 한 후 이들이 구현된 일정부분을 접어서 전면천과 중첩토록 한 후 초음파 가공에 의하여 접착하면서 동시에 절단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제조가 간단하여 원가를 절감토록 함은 물론 제품의 균일성은 물론 한번에 연속으로 완성된 제품생산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이러한 공정의 간소화로 기기의 간편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일 실시 예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원단지를 한장이거나 또는 중첩된 합지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토록 하고, 이러한 한장의 원단지(10)의 상변(10a)과 하변(10b)에 상부천(11)과 하부천(12)의 모양을 원하는 형태로 디자인된 형태로 초음파 가공에 의하여 절단하는 제1공정과
이때 절단과 동시에 합지할 경우에는 상부천(11)과 하부천(12)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무늬를 형성하면서 접착라인(13)에 의하여 합지토록 하고, 만일 한장의 원단지(10)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접착라인(13)에 의하여 다양한 무늬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무늬는 초음파 가공을 위한 롤의 가공시에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지 는 것이다.
또한 상부천(11)은 코부분을 가려주는 기능을 하게 됨으로 이때 오뚝솟은 코부분에 의하여 상부천(11)이 들어올려짐으로서 발생되는 틈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코부분이 위치되어지는 부분에는 접힘철편(14)을 끼움의 방식으로 형성하기 위한 포켓(15)과 테두리라인(16)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원단지를 합지로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합지가 불필요하지만 한장의 원단지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포켓(15)의 구현을 위한 별도의 조각원단지(100)를 합지토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제1공정에 의하여 원단지(10)의 상부(10a)와 하부변(10b)에 형성된 상부천(11)과 하부천(12)의 무늬가 형성된 원단지를 일정한 폭으로 접어 상부천(11)과 하부천(12)이 전면천(17)과 중첩되어지도록 접어주게 되는 제2공정과;
이때 접어진 상부천과 하부천은 그 선단부분이 서로 중첩되어지도록 함으로서 코부분과 턱부분을 완전하게 감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공정에 의하여 전면천(17)의 상측으로 중첩되게 접어진 상면부(11)와 하면부(12)의 상부를 초음파 가공에 의하여 전면천에 상부천과 하부천이 서로 중첩되어지면서 접착되어지도록 디자인되어진 마스크의 외곽형태로 외곽라인(18)을 형성하기 위하여 초음파 접착하는 제3공정과;
이때에도 초음파 가공을 위한 롤에 의하여 가공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3공정에 의하여 외곽라인(18)에 의하여 마스크의 외곽의 형태를 갖도록 접착되어진 상태에서 마스크의 형태로 절단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다.
이때에도 초음파 가공시 사용되어지는 롤에 의하여 절단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전면천의 상하로 상부천과 하부천이 벌어지게 되면서 입은 물론 코부분과 턱부분을 완전하게 감싸게 되는 입체적인 형태를 갖게 되는 마스크의 제작이 한장의 원단지(10)를 절단하고, 접어서 접착한 후 다시 절단토록 함으로서 간단하게 제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4공정에 의하여 완성되어진 마스크의 양단으로는 탄성와이어(20)가 장착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탄성와이어(20)는 원단지(10)를 절단하고 접어서 접착할 경우에 동시에 구현토록 하거나 또는 별도의 성형물을 결합토록 한 후 2단결합에 의하여 탄성와이어가 귀어 걸게 될 경우에 사람마다 각기 다른 형태에 따라 적용이 가능하게 길이조절이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탄성고리(20)의 결합은 마스크의 양단을 접어서 탄성고리(20)를 장착함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제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원단지 10a: 상변
10b: 하변 11: 상부천
12: 하부천 13: 접착라인
14: 접힘철편 15: 포켓
16: 테두리라인 17: 전면천
18: 외곽라인
20: 탄성고리

Claims (2)

  1. 합지되거나 또는 한장으로 이루어진 원단지의 상하변을 상부천과 하부천의 외곽형태로 절단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원단지를 일정한 폭으로 접어 상부천과 하부천이 전면천과 중첩되어지도록 접어주게 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에 의하여 전면천의 상측으로 접어진 상면부와 하면부의 상부를 초음파 가공에 의하여 마스크의 외곽형태로 초음파 접착하는 제3공정과;
    상기 제3공정에 의하여 외곽의 형태를 갖도록 접착되어진 상태에서 마스크의 형태로 절단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장의 원단지를 사용하여 입체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공정에서 원단지의 상부천과 하부천의 외곽형태에 따라 절단할 경우에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는 공정이 추가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장의 원단지를 사용하여 입체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20090071422A 2009-08-03 2009-08-03 한장의 원단지를 사용하여 입체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제조방법. Ceased KR20110013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422A KR20110013789A (ko) 2009-08-03 2009-08-03 한장의 원단지를 사용하여 입체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422A KR20110013789A (ko) 2009-08-03 2009-08-03 한장의 원단지를 사용하여 입체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789A true KR20110013789A (ko) 2011-02-10

Family

ID=4377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422A Ceased KR20110013789A (ko) 2009-08-03 2009-08-03 한장의 원단지를 사용하여 입체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378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306A (ko) * 2018-03-05 2019-09-17 김인종 수평 적첩식 마스크
KR20190119384A (ko) * 2018-04-12 2019-10-22 엄성길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51729B1 (ko) * 2020-04-26 2020-09-03 (주)박스마스터 위생 마스크
KR20210124715A (ko) 2020-04-07 2021-10-15 이현수 삼중직 원단으로 구성되는 마스크 직물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마스크
KR20220067039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뉴파스 마스크 필터부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마스크 필터부 제조방법
KR102422550B1 (ko) * 2021-04-19 2022-07-20 안철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306A (ko) * 2018-03-05 2019-09-17 김인종 수평 적첩식 마스크
KR20190119384A (ko) * 2018-04-12 2019-10-22 엄성길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24715A (ko) 2020-04-07 2021-10-15 이현수 삼중직 원단으로 구성되는 마스크 직물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마스크
KR102151729B1 (ko) * 2020-04-26 2020-09-03 (주)박스마스터 위생 마스크
KR20220067039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뉴파스 마스크 필터부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마스크 필터부 제조방법
KR102422550B1 (ko) * 2021-04-19 2022-07-20 안철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497B1 (ko) 마스크 제조장치
KR20110013789A (ko) 한장의 원단지를 사용하여 입체구조를 갖는 마스크의 제조방법.
CN1761786B (zh) 图案粘接的非织造织物
TW510790B (en) Process for making elastically stretchable composite sheet
CN104585924A (zh) 一种易于复合的多层复合口罩及其制作方法
CN110545892B (zh) 提取用片材、提取用过滤器和提取用袋
JP6579742B2 (ja) 防護服用素材および防護服
JP2010121261A (ja) 積層不織布
JP2016211081A (ja) 一体成型用不織布及びこれより形成されるプリーツ−フランジ一体成型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KR101111735B1 (ko) 입체자수방법
JP2005179858A (ja) 手袋の製造方法及び当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た不織布を構成材料とする手袋
KR101874742B1 (ko) 투과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
CN108018652B (zh) 一种机油滤芯端盖无纺布材料及其制作工艺
JP2018003185A (ja) 袋体用不織布シート
KR101627996B1 (ko) 멜트블로운 섬유 패드의 제조 방법
KR101012401B1 (ko) 고통기성 단섬유 부직포 지지체를 포함하는 공기필터 및 그제조방법
KR101067349B1 (ko) 자카드 형태 직물의 제조방법
KR100938113B1 (ko) 부직포장갑의 제조방법
CN106637673A (zh) 一种非织布的加工工艺
JP2019173265A (ja) 手袋及び該手袋の製造方法
CN205767743U (zh) 一种多功能自动化制袋一体机
CN213772446U (zh) 一种成网接收设备
CN209409546U (zh) 一种环保型热胶无纺墙布复合设备
KR101867887B1 (ko) 고주파를 이용한 3d 입체 가방의 제조방법
JP2020143381A (ja) 不織布材の製造方法及び不織布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8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8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3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