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06998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998A
KR20110006998A KR1020090064668A KR20090064668A KR20110006998A KR 20110006998 A KR20110006998 A KR 20110006998A KR 1020090064668 A KR1020090064668 A KR 1020090064668A KR 20090064668 A KR20090064668 A KR 20090064668A KR 20110006998 A KR20110006998 A KR 20110006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refrigerator
partition wall
cooling
refriger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6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49624B1 (en
Inventor
조연우
송계영
안광운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4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624B1/en
Priority to US12/796,745 priority patent/US20110011118A1/en
Priority to CN201080030797.XA priority patent/CN102472550B/en
Priority to PCT/KR2010/003739 priority patent/WO2011007960A2/en
Publication of KR2011000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9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62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2Fan speed control of evaporat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2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4Refrigerators with a horizontal mull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제1냉각실 및 제2냉각실이 구비된 냉장고 본체와, 격벽의 내부에 배치된 증발기와, 증발기의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제1냉각실로 송풍하는 제1냉각팬과, 증발기의 다른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제2냉각실로 송풍하는 제2냉각팬과, 격벽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흡입구; 그리고 격벽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흡입구를 포함하되, 제1흡입구 및 제2흡입구는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의 서로 다른 영역과 접촉되게 형성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서로 다른 냉각실의 공기가 단일의 증발기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 열교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냉각실의 공기가 서로 접촉되거나 뒤섞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서로 다른 냉각실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comprising: a refrigerator body having a first cooling chamber and a second cooling chamber divided up and down by a partition, an evaporator disposed inside the partition, and a cold ai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vaporator. A first cooling fan that blows the first cooling chamber, a second cooling fan that is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evaporator, and blows cold air to the second cooling chamber, and a first suction port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And a second intak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wherein the first intake and the second intake are configured to contact the different areas of the evaporator. As a result, the air of different cooling chambers can be heat-exchanged in different regions of a single evaporator, and the air of different cooling chambers can be prevented from contacting or mixing with each other, thereby effectively cooling different cooling chambers. .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내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증발기로 냉각실의 독립 냉각 및 동시 냉각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which can increase a space in a refrigerator and enable independent cooling and simultaneous cooling operation of a cooling chamber by one evaporator.

주지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내부에 복수의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와, 각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들과, 상기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As is well known, 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freshly by refrigeration or freezing. The refrigerator includes a refrigerator main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cooling chambers are formed, doors for opening and closing each cooling chamber, and a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for providing cold air to the cooling chamber.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는, 통상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가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와,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와,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 장치로 구성된다.Th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s usually a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system comprising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 condenser in which the refrigerant is radiated and condensed, an expansion device in which the refrigerant is decompressed and expanded, and an evaporator in which the refrigerant absorbs latent heat of the surroundings and evaporates. It consists of a cycle device.

통상, 냉각실의 후벽에는 냉각실의 냉기가 순환할 수 있게 냉기순환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순환유로 중에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냉각될 수 있게 증발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실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기가 각 냉각실로 공급될 수 있게 냉기공급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In general, a cold air circulation passage may be formed on the rear wall of the cooling chamber so that cold air of the cooling chamber may circulate. The cold air circulation passage may be provided with an evaporator to be cooled while passing air. In addition, a cold air supply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cooling chamber so that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may be supplied to each cooling chamber.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각실의 냉기에 비해 매우 온도가 낮은 증발기를 냉각실의 후벽에 배치하기 때문에 후벽을 통한 냉기의 손실이 증대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후벽의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 In such a conventional refrigerator, since the evaporator having a very low temperature compared to the cold air of the cooling chamber is disposed on the rear wall of the cooling chamber, loss of cold air through the rear wall can be increased.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thickness of the rear wall may be increased.

또한, 단일의 증발기의 일 측에 단일의 냉각팬을 배치한 냉장고에 있어서는 증발기 및 냉각팬이 설치된 곳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냉각실을 냉각시킬 때에도 동일한 증발기 및 냉각팬을 운전하게 되므로, 냉기를 해당 냉각실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냉기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로부터 먼 쪽에 위치한 냉각실의 냉기 공급을 위한 냉기 유로 구성이 복잡하고 길어지게 될 수 있다. 이에 기인하여 냉기의 유동저항이 증가하여 신속한 온도 편차의 해소가 곤란하게 되고 운전시간이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 refrigerator in which a single cooling fan is disposed on one side of a single evaporator, the same evaporator and the cooling fan are operated even when the cooling chamber far away from the place where the evaporator and the cooling fan are installed operates the same evaporator and the cooling fan. Cold air loss may occur in the process of moving.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ld air flow path for supplying the cold air in the cooling chamber located away from the evaporator may be complicated and lengthened. Due to this, the flow resistance of the cold air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solve the temperature deviation quickly and the operation time can be extended.

또한,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단일의 증발기로 복수의 냉각실을 냉각시키므로 어느 하나의 냉각실이 이미 온조 조건을 충족하고 있어도 다른 하나의 냉각실의 온도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운전을 하게 되므로, 이미 온도 조건을 충족한 냉각실에서는 과냉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such a conventional refrigerator, since a plurality of cooling chambers are cooled by a single evaporator, even if one of the cooling chambers already meets the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bath, the operation is performed to satisfy the 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other cooling chamber. Subcooling can occur in cooling chambers that have already met temperature conditions.

한편, 일부의 냉장고는 서로 다른 냉각실을 독립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각 냉각실에 증발기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각 증발기가 해당 냉각실의 후벽에 근접하여 배치되므로, 각 증발기의 후벽을 통한 냉기 누설을 억제하기 위해 해당 냉각실의 후벽의 두께가 증가되어 그만큼 각 냉각실의 실제 저장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refrigerators may be disposed in each of the cooling chambers in order to independently cool different cooling chambers. Even in this case, since each evaporator is disposed close to the rear wall of the corresponding cooling chamber, the thickness of the rear wall of the corresponding cooling chamber is increased to suppress the leakage of cold air through the rear wall of each evaporator, thereby reducing the actual storage space of each cooling chamber. Can be.

또한, 각 냉각실에 증발기를 배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만큼 냉매의 유동 경 로가 길어지게 되므로, 냉매의 유동저항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장(長) 배관에 따른 냉매의 압력 및 열손실이 발생되어 운전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vaporator is disposed in each cooling chamber, 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is increased accordingly, and not only the flow resistance of the refrigerant is increased but also the pressure and heat loss of the refrigerant due to the long pipe are generated and operated. Efficiency may be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냉각실의 공기가 단일의 증발기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 열교환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ir in different cooling chambers can be heat exchanged in different regions of a single evaporator.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냉각실의 동시 냉각시 서로 다른 냉각실의 냉기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suppressing contact of cold air of different cooling chambers with each other during simultaneous cooling of different cooling chambers.

또한, 본 발명은, 증발기의 냉매의 출구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냉매의 압축 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suppress an increase in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of the evaporator to improve the compression efficiency of the refrigeran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제1냉각실 및 제2냉각실이 구비된 냉장고 본체; 상기 격벽의 내부에 배치된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제1냉각실로 송풍하는 제1냉각팬; 상기 증발기의 다른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제2냉각실로 송풍하는 제2냉각팬; 상기 격벽의 전방 상면에 형성되는 제1흡입구; 그리고 상기 격벽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흡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흡입구 및 제2흡입구는 흡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의 서로 다른 영역과 접촉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main body including a first cooling chamber and a second cooling chamber partitioned up and down by a partition wal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evaporator disposed in the partition wall; A first cooling fa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evaporator to blow cold air into the first cooling chamber; A second cooling fan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evaporator to blow cold air into the second cooling chamber; A first suction opening formed on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And a second suction hol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wherein the first suction hole and the second suction hole are provided such that the sucked air is in contact with different regions of the evaporator.

여기서, 상기 증발기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evaporator may be configured to be inclined downward downward.

상기 제1흡입구는 상기 격벽의 양 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uction port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partition wall.

또한, 상기 제2흡입구는 상기 격벽의 중앙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ction por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entral area of the partition wall.

상기 증발기는, 상기 격벽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전열관과, 상기 전열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열플레이트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vaporat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tubes dispos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artition wall, and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plates formed on the heat transfer tubes.

상기 증발기는, 높이차를 가지고 배치되는 제1열교환부 및 제2열교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vaporato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heat exchanger and a second heat exchanger disposed to have a height difference.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제2열교환부를 교번적으로 흐르게 구성될 수 있다.The evaporato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refrigerant flows alternately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 part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part.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상기 제1열교환부를 통과한 후 상기 제2열교환부를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evaporator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refrigerant to pass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 part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 part.

상기 전열플레이트는 상류측에 비해 하류측이 피치가 작게 구성될 수 있다.The heat transfer plate may have a smaller pitch on the downstream side than on the upstream side.

상기 제1흡입구 및 제2흡입구로 각각 흡입된 공기가 서로 분리되어 흐르게 안내하는 분리가이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t may further comprise a separation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air sucked into each of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to flow separately from each other.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유동되는 전열관과, 상기 전열관에 결합되는 전열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가이드부는 상기 전열관에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evaporator may include a heat transfer tub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and a heat transfer plate coupled to the heat transfer tube, and the separation guide part may be coupled to the heat transfer tube.

상기 분리가이드부는 상기 전열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paration guide part may be formed by bending a part of the heat transfer plate.

상기 증발기는 냉매 입구측이 상기 격벽의 전방영역에 배치되고 냉매의 출구측이 상기 격벽의 후방영역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evaporato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refrigerant inlet side is disposed in a front region of the partition wall and an outlet side of the refrigerant is disposed in a rear region of the partition wall.

상기 증발기의 냉매 출구측에는 높이차를 가지게 절곡되는 트랩부가 형성될 수 있다.A trap part bent to have a difference in height may be formed at the refrigerant outlet side of the evaporator.

상기 트랩부는 상향 절곡된 후 다시 하향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trap part may be configured to be bent upward and then bent downward agai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공간을 복수의 냉각실로 구획하는 격벽의 내부에 증발기를 배치하고, 증발기의 일 측에 제1냉각팬 및 제2냉각팬을 각각 배치함으로써, 냉장고 본체의 외관의 크기를 증대시키지 아니하고 고내 실제 사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고 단일의 증발기로 각 냉각실을 독립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an evaporator inside the partition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into a plurality of cooling chambers, and by placing the first cooling fan and the second cooling fan on one side of the evaporator, respectively Therefore, the actual use space in the refrigerator can be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and each cooling chamber can be independently cooled by a single evaporator.

또한, 격벽의 내부로 흡입된 서로 다른 냉각실의 공기가 증발기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 열교환이 되게 제1흡입구 및 제2흡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냉각실의 동시 냉각시 서로 다른 냉각실의 냉기가 서로 접촉되어 냉기 섞임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냉각실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irst intake port and the second intake port so that the air of the different cooling chambers sucked into the partition wall is heat-exchanged in different regions of the evaporator, the cold of the different cooling chambers at the same time cooling the different cooling chambers It can suppress that cold air mixing aris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each cooling chamber can be cooled effectively.

또한, 서로 다른 냉각실의 동시 냉각시 서로 다른 냉각실의 공기가 증발기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 서로 다른 접촉시간을 가지고 각각 열교환되도록 함으로써 각 냉각실의 냉각에 적합한 냉기를 각 냉각실에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during simultaneous cooling of different cooling chambers, the air of the different cooling chambers may be heat exchanged with different contact times in different regions of the evaporator, thereby supplying cool air suitable for cooling of each cooling chamber to each cooling chamber.

또한, 격벽의 공기 흡입구 측에 증발기의 냉매 입구측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증발기의 냉매의 출구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냉매의 압축 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refrigerant inlet side of the evaporator on the air inlet side of the partition wall,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rise of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of the evaporator to improve the compression efficiency of the refrigera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 장고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격벽의 부분절취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증발기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는, 수평으로 배치된 격벽(120)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제1냉각실(150) 및 제2냉각실(160)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110); 상기 격벽(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250); 상기 증발기(250)의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제1냉각실(150)로 송풍하는 제1냉각팬(210); 그리고 상기 증발기(250)의 다른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제2냉각실(160)로 송풍하는 제2냉각팬(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냉각실(150) 및 제2냉각실(160) 중 어느 하나는 냉장실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냉동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냉각실(150) 및 제2냉각실(160)은 모두 냉동실로 구성되거나 모두 냉장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냉각실(150)은 냉장실로 구성되고, 제2냉각실(160)은 냉동실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main parts of FIG. 2,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3,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3, FIG. 6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partition wall along VI-VI of FIG. 5, and FIG. 7 is a plan view of the evaporator region of FIG. 2.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refrigerator includes a refrigerator main body including a first cooling chamber 150 and a second cooling chamber 160 divided up and down by partition walls 120 arranged horizontally. 110); An evaporator 250 disposed inside the partition wall 120; A first cooling fan (21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evaporator (250) to blow cold air into the first cooling chamber (150); And a second cooling fan 22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evaporator 250 to blow cold air into the second cooling chamber 160. Here, any one of the first cooling chamber 150 and the second cooling chamber 160 may be configured as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other may be configured as a freezer compartment. In addition, both the first cooling chamber 150 and the second cooling chamber 160 may be configured as a freezing chamber or both as a refrigerating chamber.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first cooling chamber 150 is configured as a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second cooling chamber 160 is configured as a freezing chamber will be described.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 즉 냉각실이 상하로 구획되게 수평으로 배치된 격벽(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의 상측에는 냉장실(150)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120)의 하측에는 냉동실(160)이 형성될 수 있다.An inside space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120 that is horizontally disposed such that a cooling chamber is divided up and down.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may be formed above the partition wall 120, and the freezing chamber 160 may be formed below the partition wall 120.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터 케이스(outer case)(111a)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111a)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이너 케이스(inner case)(111b)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111a)와 이너 케이스(111b) 사이에 충전되는 단열재(111c)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body 110 may include an outer case 111a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 inner case 111b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ase 111a, and the outer case 11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eat insulating material (111c) is filled between the 111a) and the inner case (111b).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후방 하부영역에는 기계실(1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는 상기 냉동실(160) 및 냉장실(150)의 내부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게 냉동사이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은 냉매가 순환하면서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하는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The machine room 170 may be formed in the lower rear region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refrigeration cycle to supply cold air into the freezing chamber 160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The refrigeration cycle may be composed of a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 in which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to compress, condense, expand and evaporate. The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상기 냉장실(150)에는 상기 냉장실(15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한 쌍의 냉장실도어(1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60)에는 냉동실(160)을 개폐할 수 있게 냉동실도어(1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55)는 상기 냉장실(150)의 양 측을 회전축으로 각각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165)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서랍형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refrigerating chamber doors 155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The freezing compartment 160 may be provided with a freezing compartment door 165 to open and close the freezing compartment 160.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55 may be configured to rotate both side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with a rotation axis, respectively.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65 may be configured as a drawer-type door sli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냉장실도어(155) 중 어느 하나에는 제빙실(1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80)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의 하측에는 만들어진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뱅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An ice making chamber 180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s 155. The ice making chamber 180 may be provided with an ice maker (not shown) for making ice by receiving water from the outside. An ice bank (not shown) may be provided below the ice maker to store the ice.

상기 냉장실(150)의 일 측벽에는 상기 제빙실(180)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게 측벽냉기덕트(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벽냉기덕트(19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냉기덕트(190)중 어느 하나는 냉기공급유로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빙실(180)을 경유한 냉기가 복귀하는 냉기복귀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One sidewall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may be provided with a sidewall cold air duct 190 to supply cold air to the ice making chamber 180. The side wall cold air duct 190 may be configured in a pair. One of the sidewall cold air ducts 190 may form a cold air supply passage, and the other may form a cold air return passage through which cold air returns through the ice making chamber 180.

한편, 상기 격벽(120)의 내부에는 증발기(2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 해, 냉동실(160)의 냉기에 비해 낮은 온도를 가지는 증발기(250)를 후벽에 설치하지 아니하므로, 냉장고 본체(110)의 외관의 크기를 증대시키지 아니하면서 냉동실(160) 및/또는 냉장실(150)의 고내 실제 사용 공간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증발기(250)의 냉기가 후벽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250)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후벽의 두께를 다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냉동실(160) 및/또는 냉장실(150)의 고내 사용 공간의 크기가 그만큼 증대될 수 있다. Meanwhile, an evaporator 250 may be provided inside the partition wall 120. Accordingly, since the evaporator 250 having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cold air of the freezer compartment 160 is not installed on the rear wall, the freezer compartment 160 and /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11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150 actually used space in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leakage of cold air from the evaporator 250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ar wall.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rear wall, which is relatively thick, may be reduced to prevent cold air leakage of the evaporator 250. As a result, the size of the space used inside the freezer compartment 160 and /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50 may be increased.

상기 격벽(120)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250)가 수용될 수 있게 증발기수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수용부(122)는 상향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수용부(122)의 상측에는 상기 증발기수용부(122)의 상부 개구를 차단할 수 있게 증발기커버(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의 상면 후방 중앙영역에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250)의 일 측(예를 들면 하측)에는 상기 증발기(250)의 제상을 위한 제상히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An evaporator accommodating part 122 may be formed in the partition 120 to accommodate the evaporator 250. The evaporator accommodating part 122 may be formed to be upwardly open. An evaporator cover 125 may be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evaporator accommodating part 122 to block an upper opening of the evaporator accommodating part 122. Discharge ports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behind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20. One side (eg, lower side) of the evaporator 250 may be provided with a defrost heater (not shown) for defrosting the evaporator 250.

상기 증발기수용부(122)의 저부면은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증발기(250)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수용부(122)의 저부면 및 상기 증발기(250)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도 내지 6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증발기(250)의 제상시 제상수가 후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evaporator accommodating portion 12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Accordingly, the evaporator 250 may be accommodated inclined downward down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evaporator accommodating part 122 and the evaporator 250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approximately 4 degrees to 6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s a result, the defrost water during the defrost of the evaporator 250 may be smoothly moved to the rear.

상기 격벽(120)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의 냉기를 흡입할 수 있게 제1흡입구(131) 및 제2흡입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 입구(131)는 상기 격벽(1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흡입구(131)는 상기 증발기커버(125)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13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131)는 상기 격벽(120)의 좌우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실(150)의 공기가 상기 증발기(250)의 양 측영역으로 흡입되어 열교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흡입구(13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131)는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실(150)의 공기와 증발기(250)의 접촉면적(열교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냉장실(150)의 공기의 흡입량은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가지는 냉기가 다량으로 냉장실(150)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국부 과냉을 방지하면서 냉장실(150)의 온도 편차를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다. The first suction opening 131 and the second suction opening 132 may be formed in the front region of the partition wall 120 to suck the cold air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nd the freezing chamber 160. The first suction inlet 131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2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uction opening 131 may be formed through the evaporator cover 125. The first suction opening 131 may be formed in plural. The first suction openings 131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artition wall 120. As a result, the air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may be sucked into both side regions of the evaporator 250 to exchange heat. Here, the first suction openings 13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respectively. The first suction opening 131 may have a larger width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uction opening 131. Thereby, the contact area (heat exchange area) of the air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nd the evaporator 250 can be reduced, and the suction amount of the air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this, the cold air having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can be supplied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in a large amount to quickly eliminate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while preventing local subcooling.

상기 제2흡입구(132)는 상기 격벽(120)의 저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132)는 상기 격벽(120)의 중앙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동실(160)의 공기는 상기 증발기(250)의 중앙영역으로 흡입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서 열교환될 수 있다. The second suction opening 13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20. The second suction opening 132 may be formed to include a central area of the partition wall 120. As a result, the air of the freezing chamber 160 may be sucked into the central region of the evaporator 250 and may be heat-exchanged in a relatively large region.

상기 제2흡입구(132)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는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동실(160)의 공기와 증발기(250)의 접촉면적(열교환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고, 냉동실(160)의 공기의 흡입량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냉동실(160)의 공기가 증발기(250)와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서 열교환하게 되므로 더 낮은 온도로 냉각될 수 있어 냉동실(160)을 더욱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The second suction opening 132 may be formed in a band shape having a longer length than the width. Thereby, the contact area (heat exchange area) of the air of the freezer compartment 160 and the evaporator 250 can be increased, and the suction amount of the air of the freezer compartment 160 can be appropriately maintained. Accordingly, since the air in the freezer compartment 160 exchanges heat with the evaporator 250 in a relatively large area, the air in the freezer compartment 160 may be cooled to a lower temperature, thereby cooling the freezer compartment 160 more quickly.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150)의 후방에는 상기 냉장실(150)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게 냉장냉기덕트(15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장냉기덕트(152)는 얇은 두께와 긴 길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냉기덕트(152)는 상기 냉장실(15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냉장실(150)의 폭의 절반 이상의 폭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냉기덕트(152)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냉장실(150)의 실제 사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냉장냉기덕트(152)의 상부, 중앙 및 하부영역에는 냉기를 토출할 수 있게 복수의 냉기토출구(15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to 5, a refrigerating and cooling air duct 152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to supply cold air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Here, the refrigeration cold air duct 152 may be formed to have a thin thickness and a long length. The refrigeration cold air duct 152 may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nd may have a width at least half of the width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refrigerating and cooling air duct 152 can be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actual use sp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 plurality of cold air discharge ports 153 may be formed in upper, middle, and lower regions of the cold storage air duct 152 to discharge cold air.

상기 냉장냉기덕트(152)의 하부영역에는 제1냉각팬(210)이 수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냉기덕트(152)의 하부영역에는 상기 제1냉각팬(210)이 수용될 수 있게 제1냉각팬수용부(157)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냉각팬(210)은 냉기를 축선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210)은 흡입구가 전방으로 향하고 토출구가 상방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수용부(157)의 하부 일 측에는 상기 격벽(120)의 토출구(127)와 연통될 수 있게 하측으로 개방된 덕트흡입구(15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수용부(157)는 상기 제1냉각팬(210)의 냉기 흡입을 위해 흡입구측의 공간이 확보되게 주변(상부)에 비해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cooling fan 2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refrigeration cold air duct 152. A first cooling fan accommodating part 157 may be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refrigeration cooling air duct 152 to accommodate the first cooling fan 210. Here, the first cooling fan 210 may be configured as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cold air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it in the radial direction. The first cooling fan 210 may be disposed such that a suction port faces forward and a discharge port faces upward. A lower side of the first cooling fan accommodating part 157 may have a duct suction opening 158 open downward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hole 127 of the partition wall 120. The first cooling fan accommodating part 157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er thickness so as to protrude further forward than the periphery (upper part) so as to secure a space at a suction port side for suction of cold air of the first cooling fan 210.

한편, 상기 격벽(120)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 실(180)에 냉기를 송풍하는 제빙팬(2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팬(23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축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어 격벽(12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아니하고도 격벽(120)의 내부에 제빙팬(230)이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팬(230)이 냉동실(160) 또는 냉장실(150)로 돌출되지 아니하므로 냉동실(160) 또는 냉장실(150)의 공간을 점유하지 아니하게 되어, 냉동실(160) 또는 냉장실(150)의 실제 사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6 and 7, the partition 120 may include an ice making fan 230 that blows cold air into the ice making chamber 180. The ice making fan 230 may be configured as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air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it in the radial direction. According to this, the axial length can be reduced, so that the ice making fan 230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side the partition wall 120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120. Accordingly, since the ice making fan 230 does not protrude into the freezing compartment 160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50, the ice making fan 230 does not occupy the spac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60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50. It can increase the actual use space.

상기 제빙팬(230)은 흡입구가 하방을 향하고 토출구가 수평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에는 상기 제빙팬(230)이 수용될 수 있게 제빙팬수용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에는 상기 제빙팬(230)에서 토출된 냉기가 유동될 수 있게 상기 제빙팬수용부(141)과 연통되게 냉기유로(1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유로(142)의 일 측에는 제빙실(180)을 경유한 냉기가 복귀하여 냉동실(160)로 토출할 수 있게 토출구(1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의 일 측(도면상 좌측)에는 상기 측벽냉기덕트(190)의 각 하단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제빙팬(230)이 흡입하여 상기 냉기유로(142)로 토출하고, 냉기유로(142)에 연결된 측벽냉기덕트(190)를 따라 제빙실(180)로 공급된다. 제빙실(180)로 공급된 냉기는 제빙작용을 수행하고, 다시 측벽냉기덕트(190)를 따라 하향 유동하여 격벽(120)을 통과하여 냉동실(160)로 토출된다. The ice making fan 230 may be disposed such that a suction hole faces downward and a discharge hole faces a horizontal direction. An ice making fan accommodating part 141 may be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120 to accommodate the ice making fan 230. The partition wall 120 may have a cold air flow passage 142 in communication with the ice making fan accommodating part 141 to allow the cold air discharged from the ice making fan 230 to flow. A discharge port 143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cold air flow passage 142 to allow the cold air returned through the ice making chamber 180 to be discharged to the freezing chamber 160. Each lower end of the side wall cold air duct 19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left side of the drawing) of the partition wall 120.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50 is sucked by the ice making fan 230 and discharged to the cold air passage 142, along the side wall cold air duct 190 connected to the cold air passage 142 It is supplied to the ice chamber 180.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ice making chamber 180 performs an ice making operation, and again flows downward along the sidewall cold air duct 190, passes through the partition wall 120, and is discharged to the freezing chamber 160.

상기 냉동실(160)의 후방영역에는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냉동실(160)로 송풍할 수 있게 제2냉각팬(2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팬(22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소위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팬(220)은 일 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타 측에서 공기의 흡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냉각팬(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각팬(210) 보다 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지는 냉기가 후벽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A second cooling fan 220 may be provided in the rear region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60 to blow cool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250 to the freezing compartment 160. The second cooling fan 220 may be composed of a so-called centrifugal fan that sucks air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it in the radial direction. The second cooling fan 220 may be configured to suck air to one side and to discharg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uction direction of the air from the other side. Here, the second cooling fan 22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cooling fan 210, as shown in FIG. As a result, leakage of cold air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ar wall can be suppressed.

상기 제2냉각팬(220)의 주변에는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냉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그릴팬(2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270)은 상기 냉동실(160)의 후방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한다. 즉, 상기 그릴팬(270)은 내부공간을 냉기가 형성되는 증발기(250)측 공간과 실제 식품이 수납되는 식품저장공간(실질적으로 냉동실)으로 구획한다. A grill fan 270 may be provided around the second cooling fan 220 to guide the flow of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50. The grill pan 270 is disposed in the rear upper region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60 to partition an internal space. That is, the grill pan 270 divides the internal space into an evaporator 250 side space where cold air is formed and a food storage space (substantially a freezer compartment) in which actual food is stored.

상기 그릴팬(270)은, 상기 격벽(120)의 저부에 연결되는 상판부(271)와, 상기 상판부(271)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팬수용부(28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271)는 상기 격벽(120)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grill pan 270 may include a top plate portion 271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partition wall 120, and a fan accommodating portion 28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op plate portion 271. The upper plate portion 271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partition wall 120.

상기 팬수용부(281)는 상기 상판부(271)의 길이에 비해 축소된 좌우방향 폭을 가지고 상기 상판부(271)의 중앙영역에서 하향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수용부(281)의 내부에는 상기 제2냉각팬(220)이 수용된다. 상기 팬수용부(281)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제2냉각팬(220)에서 토출된 냉기가 냉동실(160)로 토출될 수 있게 냉기토출구(283)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The fan accommodating part 281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in a central area of the upper plate part 271 with a horizontal width smaller in length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plate part 271. The second cooling fan 220 is accommodated in the fan accommodating part 281. A cold air outlet 283 may be formed in the front area of the fan accommodating part 281 so that the cold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ooling fan 220 may be discharged to the freezing chamber 160.

상기 그릴팬(270)의 상판부(271)는 상기 증발기(250) 측에서 발생된 제상수를 수집하여 상기 팬수용부(281)의 일 측벽을 따라 하향 유동되어 배출될 수 있게 후방 및 좌우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수용부(281)에는 상기 상판부(271)로부터 낙하된 제상수가 배출될 수 있게 드레인부(28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287)에는 배수관(289)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289)은 기계실(170)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상수가 냉각실(150,160)의 외부로 배출되어 증발될 수 있다. The upper plate portion 271 of the grill pan 270 collects defrost water generated at the evaporator 250 side and flows downward along one sidewall of the fan accommodating portion 281 in the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Each may be inclined. A drain portion 287 may be formed in the fan accommodating portion 281 to discharge the defrost water dropped from the upper plate portion 271. A drain pipe 289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ortion 287. The drain pipe 289 may be drawn out to the machine room 170. As a result, the defrost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oling chambers 150 and 160 to be evaporated.

도 8은 도 1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는, 냉동실(160) 및 냉장실(15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동사이클(2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24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41)와, 냉매가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243)와, 냉매가 감압 및 팽창되는 팽창장치(247)와,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되는 증발기(250)를 포함하는 소위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240)로 구성될 수 있다.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frigeration cycle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As illustrated in FIG. 8,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freezing cycle 240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freezing compartment 160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50. The refrigeration cycle 240 includes a compressor 241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 condenser 243 for dissipating and condensing the refrigerant, an expansion device 247 for depressurizing and expanding the refrigerant, and the refrigerant absorbing latent heat of the surroundings. It may be composed of a so-called steam 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 240 including an evaporator 250 to be evaporated.

상기 압축기(241), 응축기(243) 및 팽창장치(247)는 기계실(17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격벽(120)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mpressor 241, the condenser 243, and the expansion device 247 may be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170, and the evaporator 250 may be disposed in the partition wall 120 as described above.

상기 응축기(243)의 일 측에는 상기 응축기(243)의 방열이 촉진되게 송풍하는 송풍팬(2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250)의 일 측에는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로 각각 송풍할 수 있게 제1냉각팬(210) 및 제2냉각팬(22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 기(250)의 다른 일측에는 제빙실(180)에 냉기를 송풍할 수 있게 제빙팬(230)이 구비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condenser 243 may be provided with a blowing fan 245 for blowing to facilitate heat dissipation of the condenser 243. One side of the evaporator 250, the first cooling fan 210 and the second cooling fan 220 to blow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50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nd the freezing chamber 160, respectively Each may be provided. In addition, an ice making fan 230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evaporator 250 to blow cold air into the ice making chamber 180.

한편, 상기 증발기(250)의 냉매 입구 측에는 제1분기유로(261) 및 제2분기유로(2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유로(261) 및 제2분기유로(262)의 각 입구측 단부에는 이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개폐밸브(26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밸브(265)는 응축기(243)에서 이동된 냉매를 제1분기유로(261)를 통해 증발기(250)로 이동시키거나, 제2분기유로(262)를 통해 이동시키거나, 또는 제1분기유로(261) 및 제2분기유로(262)를 통해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는 유로절환밸브(265)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first branch passage 261 and a second branch passage 262 may be formed at the refrigerant inlet side of the evaporator 250. Opening valves 265 may be provided at end portions of the inlet side of the first branch passage 261 and the second branch passage 262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m. Here, the on-off valve 265 moves the refrigerant moved from the condenser 243 to the evaporator 250 through the first branch passage 261, or through the second branch passage 262, or It may be configured as a flow path switching valve 265 that can be move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first branch passage 261 and the second branch passage (262).

상기 제1분기유로(261)에는 제1모세관(248)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분기유로(262)에는 제2모세관(249)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모세관(248) 및 제2모세관(249)은 서로 다른 직경(내경) 및/또는 길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모세관(248)이 제2모세관(249)에 비해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모세관(248)이 제2모세관(249)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모세관(248,249)은 내경이 클 수록 통과 유량이 증대되며, 그 길이가 길수록 통과한 냉매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제1모세관(248) 및 제2모세관(249)의 내경 및 길이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모세관(248)이 제2모세관(249)에 비해 통과 냉매 유량이 크고 통과된 냉매 온도가 더 낮아지게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A first capillary tube 248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branch channel 261, and a second capillary tube 249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branch channel 262. Here, the first capillary tube 248 and the second capillary tube 249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inner diameters) and / or lengths. For example, the first capillary tube 248 may have a larger inner diameter than the second capillary tube 249. In addition, the first capillary tube 248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second capillary tube 249. Here, each capillary tube 248 and 249 has a larger inner diameter, and a passage flow rate increases, and a longer length of the capillary tubes 248 and 249 may lower the refrigerant temperature. The inner diameter and the length of the first capillary tube 248 and the second capillary tube 249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first capillary tube 248 is formed to have a higher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 rate and a lower refrigerant temperature than the second capillary tube 249 will be described.

한편, 도 9는 도 2의 증발기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증발기의 측면도 이며, 도 11은 도 9의 증발기의 ⅩⅠ-Ⅹ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250)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는 전열관(251)과, 상기 전열관(251)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열플레이트(25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9 is a plan view of the evaporator of FIG. 2,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evaporator of FIG. 9,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XI of the evaporator of FIG. 9. As shown in FIGS. 9 to 11, the evaporator 250 may include a heat transfer tube 251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and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plates 255 coupled to the heat transfer tube 251. Can be.

상기 전열관(251)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직관부(253)와, 상기 직관부(253)를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부(254)를 구비할 수 있다.The heat transfer pipe 2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raight pipe portions 253 dispos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ipe portions 254 for connecting the straight pipe portions 253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직관부(253)는 상기 격벽(120)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전열플레이트(255)는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전열플레이트(255)에는 상기 직관부(253)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공(256)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전열플레이트(255)는 상기 직관부(25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pitch)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열플레이트(255)는 상류측에 배치된 전열플레이트(255)의 피치(P1)가 하류측에 배치된 전열플레이트(255)의 피치(P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성에의 착상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상류측이 착상된 성에에 의해 공기 통로가 좁아지게 되어 공기 유동저항이 증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직관부(253)는 동일 평면상에 일 열(단열)로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aight pipe portion 253 is dispos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artition wall 120. Each heat transfer plate 255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Insert holes 256 may be formed through the heat transfer plates 255 to allow the straight pipe portion 253 to be inserted therethrough. The heat transfer plates 255 may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pitch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253. Here, the heat transfer plate 255 is formed such that the pitch P1 of the heat transfer plate 255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is larger than the pitch P2 of the heat transfer plate 255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passage from being narrowed by the frost formed on the upstream side hav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frost on the frost and increasing the air flow resistance. The straight pipe portion 253 may be arranged in a row (insulation) on the same plane.

상기 증발기(250)는 냉매 입구(252a)측이 상기 제1흡입구(131) 및 제2흡입구(132)측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250)는 냉매의 출구(252b)측이 상기 격벽(120)의 후방영역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증발기(250)의 냉매 출구(252b)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냉매 압축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증발기(250)의 냉매 출구(252b)측을 제1흡입구(131) 및 제2흡입구(132)측에 배치할 경우,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고내 공기와 증발기(250)의 출구측 냉매가 열교환되어 압축기(241)로 흡입되는 증발기(250)의 출구측 냉매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기인하여 압축기(241)의 냉매 압축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The evaporator 2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refrigerant inlet 252a side is disposed at the first suction opening 131 and the second suction opening 132. In addition, the evaporator 2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utlet 252b side of the refrigerant is disposed in the rear region of the partition wall 12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frigerant outlet 252b of the evaporator 250 from rising to lower the refrigerant compression efficiency. That is, when the refrigerant outlet 252b side of the evaporator 25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inlet 131 and the second inlet 132, the air inside the high air and the outlet refrigerant of the evaporator 250 are relatively high.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on the outlet side of the evaporator 250 which is heat-exchanged and sucked into the compressor 241 is increased, and thus, the refrigerant compression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241 may decrease.

상기 증발기(2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θ)을 가지고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각(θ)은 4도 내지 6도로 형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evaporator 250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backward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Here, the inclination angle θ may be formed to 4 degrees to 6 degrees.

상기 증발기(250)의 냉매 출구(252b)측에는 액냉매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게 트랩(trap)부(25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트랩부(257)는 상기 증발기(250)의 냉매 출구(252b)측 단부와 상하방향의 높이차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랩부(257)는 상향 절곡된 후 다시 하향 절곡된 역 "U"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축기(241)로는 증발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흡입되고, 액체 상태(액상)의 냉매가 압축기(241)로 흡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액상 냉매의 흡입에 기인한 압축기(241)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A trap part 257 may be provided at the refrigerant outlet 252b side of the evaporator 250 to suppress the outflow of the liquid refrigerant. The trap part 257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differe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n end portion of the refrigerant outlet 252b side of the evaporator 250. The trap part 257 may be formed to have an inverted "U" shape which is bent upwardly and then downwardly bent again. As a result, the vaporized refrigerant in the gaseous state is sucked into the compressor 241, and the refrigerant in the liquid state (liquid phas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ucked into the compressor 241. Damage can be suppressed.

한편, 격벽(120)의 내부에는 상기 제1흡입구(131) 및 제2흡입구(13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서로 분리되어 접촉되지 아니하게 안내하는 분리가이드부(25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가이드부(259)는 상기 증발기(250)에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가이드부(259)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플레이트(255)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흡입구(131)를 통해 흡입 된 냉장실(150)의 공기는 상기 전열플레이트(255)부의 상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2흡입구(132)를 통해 흡입된 냉동실(160)의 공기는 상기 전열플레이트(255)부의 하측으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냉장실(150)의 공기와 상기 냉동실(160)의 공기가 서로 접촉되거나 섞이게 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가이드부(259)는 별도의 판상의 부재를 전열플레이트(255) 사이에 삽입하여 증발기수용부(122)가 상하로 구획되게 배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artition 12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ion guide portion 259 for guid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inlet 131 and the second inlet 132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eparation guide part 259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in the evaporator 250.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separation guide part 259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heat transfer plate 255. As a result, the air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suctioned through the first suction opening 131 flows into the upper side of the heat transfer plate 255, and the air of the freezing chamber 160 suction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opening 132. Since the air flows into the lower side of the heat transfer plate 255, the air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nd the air of the freezing chamber 160 may be prevented from contacting or mixing with each other. Here,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259 may be configured by inserting a separate plate-like member between the heat transfer plate 255 so that the evaporator accommodating portion 122 is divided up and down.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격벽 및 증발기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냉장고의 증발기의 변형례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는, 수평으로 배치된 격벽(120)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제1냉각실(150) 및 제2냉각실(160)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110); 상기 격벽(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250); 상기 증발기(250)의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제1냉각실(150)로 송풍하는 제1냉각팬(210); 그리고 상기 증발기(250)의 다른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제2냉각실(160)로 송풍하는 제2냉각팬(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냉각실(150)은 냉장실(150)로 구성되고, 상기 제2냉각실(160)은 냉동실(160)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ition wall and an evaporator reg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modification of the evaporator of the refrigerator of FIG. 12.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same components as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overlapping components will be omitted. As shown in FIG. 12, the refrigerator includes a refrigerator main body 110 having a first cooling chamber 150 and a second cooling chamber 160 divided up and down by partition walls 120 arranged horizontally; An evaporator 250 disposed inside the partition wall 120; A first cooling fan (21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evaporator (250) to blow cold air into the first cooling chamber (150); And a second cooling fan 22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evaporator 250 to blow cold air into the second cooling chamber 160. As described above, a case in which the first cooling chamber 150 is configured as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nd the second cooling chamber 160 is configured as the freezing chamber 160 will be described.

상기 격벽(120)의 내부에는 증발기(250)가 수용될 수 있게 증발기수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수용부(122)의 상측에는 증발기커버(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의 상면에는 냉장실(150)의 냉기를 흡입할 수 있게 제1흡입구(131)가 구비될수 있다. 상기 격벽(120)의 하면에는 냉동실(160)의 냉기를 흡입할 수 있게 제2흡입구(13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131)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131)는 상기 격벽(1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양 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132)는 상기 격벽(120)의 중앙영역을 포함하여 긴 길이를 가지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n evaporator accommodating part 122 may b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20 to accommodate the evaporator 250. An evaporator cover 125 may be provided above the evaporator accommodating part 122. The first suction port 131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20 to suck cold air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 second suction opening 132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20 to suck cold air from the freezing chamber 160. The first suction opening 131 may be configured in plural. The first suction openings 13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artition wall 120. The second suction opening 132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having a long length including a central region of the partition wall 120.

상기 증발기(250)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250)의 상측의 격벽(120)의 두께는 후방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증발기(250)의 냉기가 격벽(120)을 통해 상기 냉장실(15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냉장실(150)의 저부면의 과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250)의 냉기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증발기(250)의 하측 벽부를 통해 냉동실(160)로 전달됨으로써 냉동실(160)의 고내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동실(160)의 냉기 공급 주기가 연장되어 제2냉각팬(220)의 잦은 구동에 의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The evaporator 250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backward.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120 on the upper side of the evaporator 250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gradually toward the rear. As a result, the cold air of the evaporator 25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through the partition wall 120, thereby preventing overcooling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Since the cool air of the evaporator 250 is transferr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160 through the lower wall of the evaporator 250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rise o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reezer compartment 160. Thereby, the freezer compartment 160 The cold air supply period of the can be extended to suppress the power consumption by frequent driving of the second cooling fan 220.

한편, 상기 증발기(250)는 상하 높이차를 가지는 제1열교환부(250a) 및 제2열교환부(250b)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실(150)에서 흡입된 공기와, 냉동실(160)에서 흡입된 공기의 열교환량을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동실(160) 공기가 흡입되어 이동되는 증발기수용부(122)의 하부영역에 복수(예를 들면 7개)의 직관부(253)를 배치한 제1열교환부(250a)를 형성하고, 냉장실(150)의 공기가 흡입되어 이동되는 증발기수용부(122)의 상부영역에 배치된 복수(예를 들면 2개)의 직관부(253)를 구비한 제2열교환부(250b)를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1열교환부(250a) 및 제2열교환부(250b)의 각 직관부(253)의 개수 및 높이차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The evaporator 250 may include a first heat exchanger 250a and a second heat exchanger 250b having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As a result, the heat exchange amount between the air suck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nd the air sucked in the freezing chamber 160 can be more effectively adjus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heat exchanger 250a in which a plurality of (for example, seven) straight pipe parts 253 are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evaporator accommodating part 122 where the freezing chamber 160 is sucked and moved is provided. And a second heat exchange part 250b having a plurality of straight pipe portions 253 disposed in an upper region of the evaporator accommodating portion 122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is sucked and moved. The case of constructing is illustrated. Here, the number and height difference of each straight pipe portion 253 of the first heat exchange part 250a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part 250b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여기서, 제1열교환부(250a) 및 제2열교환부(250b)는 내부에 냉매가 교번적으로 흐르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열교환부(250a)의 첫번째 직관부(253)가 제2열교환부(250b)의 첫번째 직관부(253)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제1열교환부(250a)의 5번째 직관부(253)가 제2열교환부(250b)의 두번째 직관부(253)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냉매는 제1열교환부(250a)로 유입되고, 제2열교환부(250b), 제1열교환부(250a), 제2열교환부(250b)를 거쳐 다시 제1열교환부(250a)에서 유출된다. 여기서, 제2열교환부(250b)의 직관부의 위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heat exchanger 250a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250b may be configured to alternately flow refrigerant in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traight pipe portion 253 of the first heat exchange part 250a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traight pipe portion 253 of the second heat exchange part 250b, and the fifth of the first heat exchange part 250a is connected. The case where the straight pipe part 253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straight pipe part 253 of the 2nd heat exchange part 250b is illustrated. Accordingly,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first heat exchange part 250a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 part 250b, the first heat exchange part 250a,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part 250b and then again in the first heat exchange part 250a. Spills. Here, the position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of the second heat exchange part 250b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상기 제1흡입구(131) 및 제2흡입구(132) 영역에는 냉장실(150)에서 흡입된 공기와 냉동실(160)에서 흡입된 공기가 서로 분리되어 접촉되지 아니하고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하는 분리가이드부(25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가이드부(259)는 증발기(250)의 전열플레이트(255)를 절곡하여 수평으로 배치되게 하여 형성하거나, 별개의 판상부재를 전열플레이트(255) 사이에 상하로 구획되게 배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온도차가 있는 냉장실(150) 공기와 냉동실(160) 공기가 서로 접촉되어 열교환되거나 서로 섞이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열교환부(250a) 및 제2열교환부(250b)의 각 첫번째 직관부(253)에 결합된 전열플레이트(255)에 각각 분리가이드부(259)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Separation guide unit for guiding the air suck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nd the air sucked in the freezing chamber 160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area of the first inlet 131 and the second inlet 132 ( 259).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259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heat transfer plate 255 of the evaporator 250 to be arranged horizontally, or by arranging separate plate members to be partitioned up and down between the heat transfer plates 255. have. As a result, the refrigeration chamber 150 air having a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air in the freezing chamber 160 can be prevented from contacting each other to be exchanged or mixed with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on guide portion 259 is formed on the heat transfer plate 255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straight pipe portions 253 of the first heat exchange portion 250a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portion 250b. .

한편, 증발기(2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열로 배치된 제1열교환부(250a)와, 제1열교환부(250a)의 말단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제1열교환부(250a)의 상측에 높이차를 가지게 배치되는 제2열교환부(250c)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열교환부(250a)를 경유한 냉매는 상기 제2열교환부(250c)를 경유하여 압축기(241)로 흡입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3, the evaporator 250 is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r 250a arranged in a row and the ends of the first heat exchanger 250a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250a.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heat exchanger (250c) disposed to have a height difference on the upper side. Accordingly,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 part 250a is sucked into the compressor 241 via the second heat exchange part 250c.

도 14는 도 1의 냉장고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는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되는 제어부((2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90)에는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동실온도센서(291) 및 냉장실온도센서(292)가 검출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의 검출된 온도 조건에 따라 냉장실(150) 및/또는 냉동실(160)에 각각 냉기가 공급될 수 있게 제1냉각팬(210) 및 제2냉각팬(220)이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에는 제빙팬(230)이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에는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의 운전에 따라 증발기(250)에 유입되는 냉매 조건(냉매 유량 및/또는 냉매 온도)을 조절할 수 있게 유로절환밸브(265)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1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As shown in Figure 14,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control unit 290 implemented as a microprocessor equipped with a control program, etc. The control unit 290 may include a refrigerator compartment 150 and a freezer compartment 160. The freezing compartment temperature sensor 291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emperature sensor 292 for detecting a temperature may be connected to output the detection result, and the control unit 290 may detec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5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6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dition, the first cooling fan 210 and the second cooling fan 220 may be controllably connected so that cold air may be supplied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nd / or the freezing chamber 160, respectively. An ice making fan 2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9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90 may include a refrigerant condition flowing into the evaporator 25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nd the freezing chamber 160. Flow path switching valve 265 to control the refrigerant flow rate (and / or refrigerant temperature) Can be connected.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냉장실(150)에 냉기를 공급하고자 할 때, 상기 제1냉각팬(210)이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210)이 회전되면 상기 제1흡입구(131)를 통해 상기 격벽(120)의 내부로 상기 냉장실(150)의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하면서 열교 환되어 냉각된다. 냉각된 공기는 상기 제1냉각팬(210)을 경유(흡입 및 토출)하여 냉장냉기덕트(152)로 유입된다. 냉장냉기덕트(152)로 유입된 냉기는 각 냉기토출구(153)를 통해 냉장실(150)의 내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유로절환밸브(265)를 제어하여 상기 제2분기유로(262)를 따라 냉매가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응축기(243)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유로절환밸브(265)를 통해 제2분기유로(262)로 유입되고, 제2모세관(249)을 통과하면서 감압 및 팽창된다. 상기 제2모세관(249)을 통해 감압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250)로 유입되고, 이때 제1흡입구(131)를 통해 격벽(120)의 내부로 흡입되어 유동되는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증발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241)를 흡입되어 압축 및 토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냉각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By such a configuration, the controller 290 may control the first cooling fan 210 to be rotated when supplying cold air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The first cooling fan 210 may be rotated. When rotated, the air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is sucked into the partition wall 120 through the first suction opening 131, and the sucked air is heat exchanged and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50. Air is introduced into the refrigeration cold air duct 152 via the first cooling fan 210 (suction and discharge), and the cold air introduced into the refrigeration cold air duct 152 is stor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through each cold air discharge outlet 153.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90 may control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5 to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along the second branch flow path 262. That is, the condenser 243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second branch passage 262 through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5,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capillary tube (249) The refrigerant expanded under reduced pressure through the second capillary tube 249 flows into the evaporator 250, and at this time, the air sucked into the partition 120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131 flows. The evaporated refrigerant is again sucked into the compressor 241 and compressed and discharged to perform a cooling operation.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냉동실(160)에 냉기를 공급하고자 할 때, 상기 제2냉각팬(220)이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팬(220)이 회전되면 상기 제2흡입구(132)를 통해 격벽(120)의 내부로 냉동실(160)의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격벽(12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상기 제2냉각팬(220)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냉동실(160)의 내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유로절환밸브(265)를 제어하여 상기 제1분기유로(261)를 따라 냉매가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243)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유로절환밸브(265)를 통해 제1분기유로(261)로 유동되고, 제1모세관(248)을 통과하면서 감압 및 팽창된다. 이때, 제1모세관(248)은 제2모세관(249)에 비해 내경이 더 크고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증발기(250)로 더 많은 유량 및 더 낮은 온 도의 냉매가 유입될 수 있다. 증발기(250)로 유입된 냉매는 제2흡입구(132)를 통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되고,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241)로 흡입되어 압축 및 토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냉각작용을 수행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290 may control the second cooling fan 220 to be rotated when supplying cold air to the freezing compartment 160. When the second cooling fan 220 is rotated, the second cooling fan 220 may be rotated. The air of the freezing chamber 160 is sucked into the partition wall 120 through the inlet 132. The air sucked into the partition wall 120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50, and the second cooling is performed. It is sucked by the fan 220 and discharged into the freezer compartment 16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90 controls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5 to cool the refrigerant along the first branch flow path 261. The refrigerant conden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243 flows to the first branch passage 261 through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5, and decompresses and expands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capillary tube 248. In this case, the first capillary tube 248 has a larger inner diameter and a longer length than the second capillary tube 249, thereby providing an evaporator 250. The refrigerant having a higher flow rate and a lower temperature may be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250.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250 is evaporated by absorbing heat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inlet 132, and the evaporated refrigerant is compressed. The cooling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repeating the suction, compression and discharge processes at 241.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에 동시에 냉기를 공급하고자 할 때, 상기 제1냉각팬(210) 및 제2냉각팬(220)이 동시에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210) 및 제2냉각팬(220)이 각각 회전되면 냉장실(150)의 공기는 제1흡입구(131)를 통해 격벽(120)의 내부로 흡입되고, 냉동실(160)의 공기는 제2흡입구(132)를 통해 격벽(120)의 내부로 흡입된다. The controller 290 may control the first cooling fan 210 and the second cooling fan 220 to be rotated at the same time when the cold air is to be supplied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nd the freezing chamber 160 at the same time. When the first cooling fan 210 and the second cooling fan 220 are rotated, respectively, the air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is sucked into the partition wall 120 through the first suction opening 131, and the freezing chamber 160. Air is sucked into the partition wall 120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132.

이때, 격벽(12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분리가이드부(259)에 의해 서로 접촉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실(150)에서 흡입된 공기와 냉동실(160)에서 흡입된 냉기가 서로 접촉되거나 뒤섞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된 냉장실(150) 공기는 증발기(250)의 양 단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증발기(250)의 양 단부 영역과 주로 접촉되어 냉각되고, 제2흡입구(132)를 통해 격벽(120)의 내부로 흡입된 냉동실(160) 공기는 증발기(250)의 중앙영역을 포함하여 비교적 넓은 영역에서 증발기(250)와 접촉되어 냉각된다. 또한, 제1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된 냉장실(150) 공기는 증발기수용부(122)의 주로 상부영역을 따라 이동되고, 제2흡입구(132)를 통해 흡입된 냉동실(160)의 공기는 증발기수용부(122)의 하부영역을 따라 이동된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실(150)로 공급되는 냉기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고 상기 냉동실(160)로 공급되는 냉기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 상기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을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 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ir sucked into the partition wall 120 may be suppressed from contacting each other by the separation guide part 259. As a result, the air suck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50 and the cold air suck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160 may be prevented from contacting or being mixed with each other. Air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sucked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131 is mainly contacted with both end regions of the evaporator 250 while moving along both ends of the evaporator 250, thereby cooling the second suction port 132. Air in the freezer compartment 160 sucked into the partition wall 120 through the contact area is cool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evaporator 250 in a relatively large area including the central area of the evaporator 250. 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131 is moved along a mainly upper region of the evaporator accommodating part 122, and the air of the freezing chamber 160 suck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132 is It moves along the lower region of the evaporator accommodating part 122. As a result,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50 is relatively high in temperature, and the cold air supplied to the freezing compartment 160 is relatively low in temperature, thereby cool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5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60 more effectively. have.

증발기(25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 중 일부는 제1냉각팬(210)을 통해 냉장냉기덕트(152)로 토출된 후, 각 냉기토출구(153)를 통해 냉장실(150)로 토출된다. 또한, 증발기(2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중 다른 일부는 제2냉각팬(220)을 통해 흡입되어 냉동실(160)로 토출된다. Some of the heat-exchange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50 is discharged to the refrigeration cold air duct 152 through the first cooling fan 210, and then discharged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through each cold air discharge port 153. In addition, another portion of the air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50 is sucked through the second cooling fan 220 and discharged to the freezing chamber 160.

냉동실(160) 및 냉장실(150)의 동시 냉기 공급시, 상기 제어부((290)는 응축기(243)를 경유한 냉매가 상기 제1분기유로(261) 및 제2분기유로(262)로 동시에 유동될 수 있게 상기 유로절환밸브(265)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기(243)를 경유한 냉매는 제1모세관(248) 및 제2모세관(249)을 통과하면서 각각 감압 및 팽창되어 증발기(250)로 유입된다. 이에 의해, 상기 증발기(250)에는 더 많은 냉매가 유입되어 증발하게 됨으로써, 더 많은 냉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의 온도 편차를 동시에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다.When the freezing chamber 160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re simultaneously supplied with the cold air, the controller 290 simultaneously flows the refrigerant via the condenser 243 into the first branch passage 261 and the second branch passage 262.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5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243 passes through the first capillary tube 248 and the second capillary tube 249 and decompresses and expands, respectively. As a result, more refrigerant is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250 to evaporate, thereby forming more cold air, thereby reducing the temperature varia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50 and the freezing chamber 160. At the same time, it can be solved quickly.

한편,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증발기(250)이 표면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상운전시 상기 제1냉각팬(210) 및 제2냉각팬(220)은 정지되며, 도시 않은 제상히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증발기(250)의 표면에 형성된 성에를 가열하게 된다. 이때, 성에가 녹은 제상수는 상기 증발기수용부(122)의 저부면을 따라 후방영역으로 이동된다. 후방으로 이동된 제상수는 상기 그릴팬(270)의 상판부(271)에 의해 수집되어 팬수용부(281)로 이동되고, 팬수용부(281)의 저부로 이동된 제상수는 드레인부(287) 및 배수관(289)을 통해 기계실(170)로 배출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defrosting operation of removing the fros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250 may be performed. In the defrosting operation, the first cooling fan 210 and the second cooling fan 220 are stopped, and power is applied to a defrost heater (not shown) to heat fros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250. At this time, the defrost water dissolved in the frost is moved to the rear region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evaporator accommodating portion (122). The defrost water moved to the rear is collected by the upper plate portion 271 of the grill pan 270 and moved to the fan accommodation portion 281, the defrost water moved to the bottom of the fan accommodation portion 281 is the drain portion 287 And through the drain pipe 289 to the machine room 170.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s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tail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Further, even when the embodiments not lis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ave been described, it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종단면도,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도,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2;

도 4는 도 3의 정면도, 4 is a front view of FIG. 3;

도 5는 도 3의 사시도, 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격벽의 부분절취 사시도, FIG.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artition wall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5;

도 7은 도 2의 증발기영역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the evaporator region of FIG. 2;

도 8은 도 1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구성도,8 is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ion cycle of the refrigerator of Figure 1,

도 9는 도 2의 증발기의 평면도, 9 is a plan view of the evaporator of FIG.

도 10은 도 9의 증발기의 측면도, 10 is a side view of the evaporator of FIG. 9,

도 11은 도 9의 증발기의 ⅩⅠ-ⅩⅠ선에 따른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XI of the evaporator of FIG. 9;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격벽 및 증발기영역의 단면도,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ition wall and an evaporator reg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의 냉장고의 증발기의 변형례,13 is a modification of the evaporator of the refrigerator of FIG. 12,

도 14는 도 1의 냉장고의 제어블록도이다. 1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냉장고 본체 120 : 격벽110: refrigerator body 120: bulkhead

122 : 증발기수용부 125 : 증발기커버122: evaporator accommodating part 125: evaporator cover

131 : 제1흡입구 132 : 제2흡입구131: first inlet 132: second inlet

150 : 제1냉각실, 냉장실 152 : 냉장냉기덕트150: first cooling chamber, refrigerating chamber 152: refrigeration cold air duct

155 : 냉장실도어 160 : 제2냉각실,냉동실155: refrigerator door 160: second cooling chamber, freezing chamber

165 : 냉동실도어 170 : 기계실165: freezer door 170: machine room

180 : 제빙실 190 : 측벽냉기덕트180: ice making chamber 190: side wall cold air duct

210 : 제1냉각팬 220 : 제2냉각팬210: first cooling fan 220: second cooling fan

230 : 제빙팬 240 : 냉동사이클230: ice making fan 240: refrigeration cycle

241 : 압축기 243 : 응축기241 compressor 243 condenser

247 : 팽창장치 248 : 제1모세관247: expansion device 248: first capillary tube

249 : 제2모세관 250 : 증발기249: second capillary 250: evaporator

250a : 제1열교환부 250b,250c : 제2열교환부250a: first heat exchanger 250b, 250c: second heat exchanger

251 : 전열관 255 : 전열플레이트251: heat pipe 255: heat transfer plate

257 : 트랩부 259 : 분리가이드부257 Trap part 259 Separation guide part

261 : 제1분기유로 262 : 제2분기유로261: first quarter euro 262: second quarter euro

265 : 개폐밸브, 유로절환밸브265: on-off valve, flow path switching valve

270 : 그릴팬 271 : 상판부270: grill pan 271: top plate

281 : 팬수용부 287 : 드레인부281: fan accommodating part 287: drain part

290 : 제어부 291 : 냉동실온도센서290: control unit 291: freezer temperature sensor

292 : 냉장실온도센서292: fridge temperature sensor

Claims (15)

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제1냉각실 및 제2냉각실이 구비된 냉장고 본체;A refrigerator body having a first cooling chamber and a second cooling chamber partitioned vertically by a partition wall; 상기 격벽의 내부에 배치된 증발기;An evaporator disposed in the partition wall; 상기 증발기의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제1냉각실로 송풍하는 제1냉각팬;A first cooling fa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evaporator to blow cold air into the first cooling chamber; 상기 증발기의 다른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제2냉각실로 송풍하는 제2냉각팬;A second cooling fan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evaporator to blow cold air into the second cooling chamber; 상기 격벽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흡입구; 그리고A first suction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And 상기 격벽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흡입구를 포함하되,Including a second suction port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상기 제1흡입구 및 제2흡입구는 흡입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의 서로 다른 영역과 접촉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nd the first suction port and the second suction hole are formed such that the sucked air is in contact with different areas of the evapora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증발기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evapo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is arranged inclined downward downwar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흡입구는 상기 격벽의 양 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first suction port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partition wal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흡입구는 상기 격벽의 중앙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second suction opening is formed including a central area of the partition wal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증발기는, 상기 격벽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전열관과, 상기 전열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열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nd the evaporator includes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tubes dispos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artition wall, and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plates formed on the heat transfer tube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증발기는, 높이차를 가지고 배치되는 제1열교환부 및 제2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evaporator, the refrigerator comprising a first heat exchanger and a second heat exchanger disposed having a height differenc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상기 제1열교환부 및 제2열교환부를 교번적으로 흐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evaporator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nt is formed to alternately flow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 unit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상기 제1열교환부를 통과한 후 상기 제2열교환부를 통 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nd the evaporator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 part after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 par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전열플레이트는 상류측에 비해 하류측이 피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heat transfer plate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itch is smaller downstream than the upstream si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흡입구 및 제2흡입구로 각각 흡입된 공기가 서로 분리되어 흐르게 안내하는 분리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nd a separation guide part for guiding the air sucked in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ports to flow separately from each other.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유동되는 전열관과, 상기 전열관에 결합되는 전열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가이드부는 상기 전열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evaporator includes a heat transfer pip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and a heat transfer plate coupled to the heat transfer tube, and the separation guide part is coupled to the heat transfer tube.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분리가이드부는 상기 전열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separation guide unit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plate.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상기 증발기는 냉매 입구측이 상기 격벽의 전방영역에 배치되고 냉매의 출구측이 상기 격벽의 후방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evaporator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nt inlet side is disposed in the front region of the partition wall and the outlet side of the refrigerant is disposed in the rear region of the partition wall.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증발기의 냉매 출구측에는 높이차를 가지게 절곡되는 트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p portion is bent to have a height difference on the refrigerant outlet side of the evaporator.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트랩부는 상향 절곡된 후 다시 하향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nd the trap part is bent upwardly and then downwardly bent again.
KR1020090064668A 2009-07-15 2009-07-15 Refrigerator Active KR1016496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668A KR101649624B1 (en) 2009-07-15 2009-07-15 Refrigerator
US12/796,745 US20110011118A1 (en) 2009-07-15 2010-06-09 Refrigerator
CN201080030797.XA CN102472550B (en) 2009-07-15 2010-06-10 Refrigerator
PCT/KR2010/003739 WO2011007960A2 (en) 2009-07-15 2010-06-10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668A KR101649624B1 (en) 2009-07-15 2009-07-15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98A true KR20110006998A (en) 2011-01-21
KR101649624B1 KR101649624B1 (en) 2016-08-19

Family

ID=4344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668A Active KR101649624B1 (en) 2009-07-15 2009-07-15 Refrigera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011118A1 (en)
KR (1) KR101649624B1 (en)
CN (1) CN102472550B (en)
WO (1) WO2011007960A2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453A (en) * 2012-01-25 201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80035617A (en)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80035619A (en)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80035618A (en)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US11933535B2 (en) 2017-12-13 2024-03-19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102691040B1 (en) * 2017-12-13 2024-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US12188712B2 (en) 2017-12-13 2025-01-07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6129A1 (en) * 2012-01-25 2013-07-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9557091B1 (en) * 2013-01-25 2017-01-31 Whirlpool Corporation Split air pathway
CN103115464B (en) * 2013-02-26 2016-01-1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The ducting assembly of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US9733008B2 (en) * 2013-03-13 2017-08-15 Whirlpool Corporation Air flow design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a refrigerator compartment
CN103115465B (en) * 2013-03-13 2015-05-20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Integrated type air duct system of refrigerator
US20170082348A1 (en) * 2014-03-28 2017-03-23 Arcelik Anonim Sirketi Evaporator assembly for refrigeration appliance
BR112017019732A2 (en) * 2015-03-20 2018-05-22 Pepsico, Inc. cooling system and method
KR101715806B1 (en) * 2015-06-16 2017-03-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Ice making system of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ethod thereof
US20160370087A1 (en) * 2015-06-16 2016-12-22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Cooled-air circula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04833B1 (en) * 2016-09-29 202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US10041717B2 (en) 2016-10-27 2018-08-0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ir tower improvement for a refrigerator
KR102756990B1 (en) 2016-12-08 202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289289B1 (en) * 2017-03-10 2021-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261134B1 (en) * 2017-03-10 2021-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US11313568B2 (en) * 2018-01-20 2022-04-26 Daikin Industr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and cooling
MX2020008891A (en) 2018-03-02 2020-12-03 Electrolux Do Brasil Sa DOOR HEATER FOR REFRIGERATOR.
KR20210072579A (en) 2019-12-09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grille-fan assembly for refrigerator
KR20210116836A (en) * 2020-03-17 202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10128207A (en) 2020-04-16 2021-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N112129030A (en) * 2020-09-24 2020-12-25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Air duct assembly of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JP7361945B2 (en) * 2020-11-05 2023-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refriger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746A (en) * 1913-09-23 Joseph Dwyer Ammonia-gas condenser.
US3107502A (en) * 1961-04-24 1963-10-22 Whirlpool Co Air circuit means for combined freezer and refrigerator apparatus
US6789614B2 (en) * 2002-02-28 2004-09-14 Lg Electronics Inc. Heat exchanger for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6716A (en) * 1964-03-31 de witte
US2309006A (en) * 1941-04-02 1943-01-19 Earl Hovey C Refrigerating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s
US2982115A (en) * 1958-09-23 1961-05-02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3050956A (en) * 1960-07-08 1962-08-28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with frost free compartment
US3093981A (en) * 1961-07-24 1963-06-18 Whirlpool Co Gas flow controller means for a refrigerator
US3181310A (en) * 1963-09-03 1965-05-04 Walter D Ammons Refrigerating apparatus with holdover means
US3310957A (en) * 1966-02-14 1967-03-28 Gen Motors Corp Keeping insulation dry
DE3146640A1 (en) * 1981-11-25 1983-06-01 Basf Ag, 6700 Ludwigshafen VARNISH BINDING AGENT FOR THE CATHODIC ELECTRO-DIP-PAINTING AND THEIR USE
JPS5893763U (en) * 1981-12-18 1983-06-25 三洋電機株式会社 refrigerator
JPS59112172A (en) * 1982-12-16 1984-06-28 シャープ株式会社 Manufacture of freezing refrigerator box body
JPS59150281A (en) * 1983-02-09 1984-08-28 株式会社東芝 Freezing refrigerator
JPS604883U (en) * 1983-06-24 1985-01-14 松下冷機株式会社 Cooling devices such as refrigerators
US4509335A (en) * 1984-06-25 1985-04-09 General Electric Company Pre-assembled cooling and air circulating module for a household refrigerator
DE8909029U1 (en) * 1989-07-25 1989-09-07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8000 München Cooling device, especially no-frost refrigerator
JP3499396B2 (en) * 1997-03-21 2004-02-23 株式会社東芝 refrigerator
KR20030027368A (en)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separate-cooling type refrigerator
US20040200608A1 (en) * 2003-04-11 2004-10-14 Baldassarre Gregg J. Plate fins with vanes for redirecting airflow
EP1580504B1 (en) * 2004-03-24 2017-03-29 LG Electronics, Inc. Cold air guide structure for ice-making chamber in cold chamber door
JP2005345065A (en) * 2004-06-07 2005-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frigerator
JP2005345061A (en) * 2004-06-07 2005-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frigerator
US7908883B2 (en) * 2006-12-22 2011-03-2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accelerated heat exchanger
DE102007015185B4 (en) * 2007-03-29 2022-12-29 Valeo Klimasysteme Gmbh Air conditioning for a motor vehicle
AU2008310473B9 (en) * 2007-10-09 2013-05-30 Panasonic Corporation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746A (en) * 1913-09-23 Joseph Dwyer Ammonia-gas condenser.
US3107502A (en) * 1961-04-24 1963-10-22 Whirlpool Co Air circuit means for combined freezer and refrigerator apparatus
US6789614B2 (en) * 2002-02-28 2004-09-14 Lg Electronics Inc. Heat exchanger for refrigerato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453A (en) * 2012-01-25 201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80035617A (en)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80035619A (en)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80035618A (en) * 2016-09-29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US11686521B2 (en) 2016-09-29 2023-06-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240084519A (en) * 2016-09-29 2024-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US11933535B2 (en) 2017-12-13 2024-03-19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102691040B1 (en) * 2017-12-13 2024-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US12188712B2 (en) 2017-12-13 2025-01-07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US12313329B2 (en) 2017-12-13 2025-05-27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2550A (en) 2012-05-23
KR101649624B1 (en) 2016-08-19
US20110011118A1 (en) 2011-01-20
WO2011007960A3 (en) 2011-03-31
CN102472550B (en) 2015-05-13
WO2011007960A2 (en)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624B1 (en) Refrigerator
KR101631904B1 (en) Refrigerator
US12188699B2 (en) Refrigerator
KR20110006996A (en) Defrost heat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with same
KR101339519B1 (en) Refrigerator with refrigeration system of ice_making room installed in door
JP6687384B2 (en) refrigerator
EP3158275B1 (en) Refrigerator
KR101565387B1 (en) Refrigerator
US20140318168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US10746445B2 (en) Refrigerator
KR100584271B1 (en) De-icing cold air flow path structure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KR101659011B1 (en) Refrigerator
KR102295156B1 (en) A refrigerator
KR20150145852A (en) A refrigerator
KR101696893B1 (en)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ethod thereof
US20220146155A1 (en) Refrigerator
KR100607286B1 (en) Cold air path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KR101573535B1 (en) A refrigerator
TWI658245B (en) Refrigerator
KR100597292B1 (en) Refrigerator
KR100624392B1 (en) Cold air discharge guide device of refrigerator
KR19990034525A (en) Condenser of refrigerator
KR20110089573A (en) Refrigerator with return duct
KR200222134Y1 (en) Suction structure of parallel refrigerator
KR20090083658A (en) Condenser cooling structure of refrigerator and free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7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7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