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904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1904B1 KR101631904B1 KR1020090064667A KR20090064667A KR101631904B1 KR 101631904 B1 KR101631904 B1 KR 101631904B1 KR 1020090064667 A KR1020090064667 A KR 1020090064667A KR 20090064667 A KR20090064667 A KR 20090064667A KR 101631904 B1 KR101631904 B1 KR 1016319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vaporator
- fan
- cooling
- chamber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4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67 deionis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1 deionized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2—Two or more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2—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droplet gui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4—Refrigerators with a horizontal mull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으로 배치된 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제1냉각실 및 제2냉각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이 격벽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의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제1냉각실로 송풍하는 제1냉각팬과, 증발기의 다른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제2냉각실로 송풍하는 제2냉각팬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외관을 증대시키지 아니하고 고내 사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고 단일의 증발기로 각 냉각실의 독립 냉각 및 동시 냉각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which comprises a main body in which a first cooling chamber and a second cooling chamber are defined by upper and lower partition walls arranged horizontally, an evaporator disposed inside the partition wall, And a second cooling fan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evaporator and blowing cool air to the second cooling chamber. Thereby, the space for high durability can be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appearance, and independent cooling and simultaneous cooling of each cooling chamber can be performed with a single evaporator.
냉장고 본체, 제1냉각실, 제2냉각실, 격벽, 증발기, 제1냉각팬, 제2냉각팬 A refrigerator body, a first cooling chamber, a second cooling chamber, a partition wall, an evaporator, a first cooling fan,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내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증발기로 냉각실의 독립 냉각 및 동시 냉각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capable of increasing indoor space and capable of independent cooling and simultaneous cooling operation of a cooling chamber with one evaporator.
주지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내부에 복수의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와, 각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들과, 상기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As is well known, 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freshly by refrigeration or freezing. The refrigerator includes a refrigerator body having a plurality of cooling chambers formed therein, door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spective cooling chambers, and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for providing cool air to the cooling chambers.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는, 통상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가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와,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와,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 장치로 구성된다.Th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generally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by radiating heat, an expansion device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under reduced pressure, and a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 device.
통상, 냉각실의 후벽에는 냉각실의 냉기가 순환할 수 있게 냉기순환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순환유로 중에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냉각될 수 있게 증발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실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기가 각 냉각실로 공급될 수 있게 냉기공급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Normally, a cool air circulation channel can be formed on the rear wall of the cooling chamber so that the cool air in the cooling chamber can circulate. The evaporator may be provided in the cool air circulation channel so that the air can be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ir. In addition, a cool air supply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cooling chamber so that cool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can be supplied to each of the cooling chambers.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각실의 냉기에 비해 매우 온도가 낮은 증발기를 냉각실의 후벽에 배치하기 때문에 후벽을 통한 냉기의 손실이 증대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후벽의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 In such a conventional refrigerator, since the evaporator, which is much lower in temperature than the cool air in the cooling chamber, is disposed on the rear wall of the cooling chamber, the loss of cool air through the rear wall can be increased. Considering this, the thickness of the rear wall can be increased.
또한, 단일의 증발기의 일 측에 단일의 냉각팬을 배치한 냉장고에 있어서는 증발기 및 냉각팬이 설치된 곳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냉각실을 냉각시킬 때에도 동일한 증발기 및 냉각팬을 운전하게 되므로, 냉기를 해당 냉각실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냉기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로부터 먼 쪽에 위치한 냉각실의 냉기 공급을 위한 냉기 유로 구성이 복잡하고 길어지게 될 수 있다. 이에 기인하여 냉기의 유동저항이 증가하여 신속한 온도 편차의 해소가 곤란하게 되고 운전시간이 연장될 수 있다. Further, in a refrigerator in which a single cooling fan is disposed on one side of a single evaporator, the same evaporator and cooling fan operate when cooling the cooling chamber away from the place where the evaporator and the cooling fan are installed. Therefore, Frost loss may occur during the movement. Furth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oling air flow path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cooling chamber located farther from the evaporator may be complicated and prolonged. As a result, the flow resistance of the cool air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quickly resolve the temperature deviation, and the operation time can be prolonged.
또한,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단일의 증발기로 복수의 냉각실을 냉각시키므로 어느 하나의 냉각실이 이미 온조 조건을 충족하고 있어도 다른 하나의 냉각실의 온도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운전을 하게 되므로, 이미 온도 조건을 충족한 냉각실에서는 과냉이 발생할 수 있다. Further, in such a conventional refrigerator, since a plurality of cooling chambers are cooled by a single evaporator, even if one of the cooling chambers already satisfies the warming condition, the operation is performed to satisfy the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other cooling chamber. Subcooling may occur in a cooling chamber that already meets temperature requirements.
한편, 일부의 냉장고는 서로 다른 냉각실을 독립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각 냉각실에 증발기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각 증발기가 해당 냉각실의 후벽에 근접하여 배치되므로, 각 증발기의 후벽을 통한 냉기 누설을 억제하기 위해 각 냉각실의 후벽의 두께가 증가되어 그만큼 냉각실의 실제 저장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some refrigerators, evaporators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respective cooling chambers in order to independently cool the different cooling chambers. In this case, since each evaporator is arranged close to the rear wall of the corresponding cooling chamber, the thickness of the rear wall of each cooling chamber is increased to suppress leakage of cold air through the rear wall of each evaporator, have.
또한, 각 냉각실에 증발기를 배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만큼 냉매의 유동 경 로가 길어지게 되므로, 냉매의 유동저항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장(長) 배관에 따른 냉매의 압력 및 열손실이 발생되어 운전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Further, when the evaporator is disposed in each of the cooling chambers, 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becomes longer, so that the flow resistance of the refrigerant is increased, and the pressure and the heat loss of the refrigerant due to the long pipe are generated, The efficiency may be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은, 외관을 증대시키지 아니하고 고내 사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increase the internal space without increasing the appearance.
또한, 본 발명은, 외관을 증대시키지 아니하고 고내 사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고 단일의 증발기로 각 냉각실의 독립 냉각 및 동시 냉각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increase indoor space without increasing the appearance and can independently cool and co-cool each cooling chamber with a single evaporator.
또한, 본 발명은,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실에 따라 증발기의 냉각능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vary the cooling capacity of an evaporator according to a cooling chamber for supplying cool ai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수평으로 배치된 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제1냉각실 및 제2냉각실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 상기 격벽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제1냉각실로 송풍하는 제1냉각팬; 그리고 상기 증발기의 다른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제2냉각실로 송풍하는 제2냉각팬;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comprising: a refrigerator body having a first cooling chamber and a second cooling chamber which are vertically partitioned by horizontally arranged partitions; An evaporator disposed inside the partition wall; A first cooling fa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evaporator and blowing cool air to the first cooling chamber; And a second cooling fan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evaporator and blowing cool air to the second cooling chamber.
여기서, 상기 격벽의 상면 및 저부면에는 제1냉기흡입구 및 제2냉기흡입구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ld air inlets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rtition, respectively.
상기 증발기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evaporator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상기 격벽은 상기 증발기의 상측에 배치된 부분의 두께가 후방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artition wall may be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evaporator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rear side.
상기 제2냉각실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그릴팬을 더 포함하게 구성될 수 있다.And a grill pan arranged in the second cooling chamber for guiding the flow of air.
상기 그릴팬에는 상기 격벽으로부터 유동된 제상수를 안내하는 제상수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grill pan may be provided with a defrost water passage for guiding the defrost water flowing from the partition wall.
상기 그릴팬의 저부에는 드레인부이 형성될 수 있다.A drain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grill pan.
상기 제1냉각실은 냉장실이고, 상기 제2냉각실은 냉동실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ooling chamber may be a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second cooling chamber may be a freezing chamber.
상기 제1냉각실의 도어에 형성되는 제빙실과, 상기 증발기에서 형성된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안내하는 측벽냉기덕트와, 냉기를 상기 측벽냉기덕트로 송풍하는 제빙팬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side wall cool air duct for guiding the cool air formed in the evaporator to the ice making chamber, and an ice making fan for blowing cool air to the side wall cool air duct.
상기 제빙팬은 상기 격벽의 내부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ice making fan may be disposed inside the partition wall.
상기 증발기의 냉매 입구측에 형성되는 제1분기유로 및 제2분기유로와, 상기 제1분기유로 및 제2분기유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모세관 및 제2모세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first branch passage and a second branch passage formed at the refrigerant inlet side of the evaporator, and first and second capillarie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branch passage and the second branch passage.
상기 제1분기유로 및 제2분기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n on-off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branch passage and the second branch passage.
여기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제1분기유로 및 제2분기유로에 각각 배치되는 제1개폐밸브 및 제2개폐밸브를 포함하게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on-off valve may include a first on-off valve and a second on-off valve disposed respectively in the first branch passage and the second branch passage.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제1분기유로 및 제2분기유로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유로를 절환하는 유로절환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on-off valve may include a flow path switching valve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branch flow path and the second branch flow path to switch the flow path.
상기 증발기는 상기 냉동실측 두께가 냉장실측 두께보다 얇아지게 상기 냉동 실측에 편중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evaporator may be disposed in a biased manner on the freezing chamber side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freezing chamber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reezing chamb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실의 냉기에 비해 매우 낮은 온도를 가지는 증발기를 격벽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증발기의 배치에 기인한 후벽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고 본체의 외관(크기)을 증대시키지 아니하고 고내 사용 공간, 즉 식품 수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vaporator having a very low temperature compared to the cold air of the cooling chamber is disposed inside the partition wall, the thickness of the rear wall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evaporator can be reduced. Thereb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pace for high-end use, that is, the food storage space without increasing the external appearance (size)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또한, 증발기를 격벽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증발기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아니하고 냉각실에 직접 전달되므로 냉각실의 온도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실의 냉각 운전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vaporator is disposed inside the partition wall, the cool air of the evaporator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oling chamber without being leak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temperature rise of the cooling chamber can be suppressed. Thus, the cooling operation cycle of the cooling chamber can be extended.
또한, 증발기를 격벽의 내부에 배치하고 증발기의 일 측에 각 냉각실로 냉기를 송풍하는 제1냉각팬 및 제2냉각팬을 각각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외관을 증대시키지 아니하고 고내 사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 이외에, 각 냉각실을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립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어 운전 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이에 의하면 각 냉각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유로가 단축되어 구성이 간단하게 되고 냉기 유동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냉각실의 온도 편차를 더욱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first cooling fan and the second cooling fan that are disposed inside the partition wall and blow the cool air to the respective cooling chambers on one side of the evaporato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terior space without increasing the appearance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cooling, the cooling chambers can be cooled at the same time as the cooling chambers can be independently cooled,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 efficiency. Further, according to this, the cooling air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the cooling air to each of the cooling chambers is shortened, so that th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and the cooling air flow loss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each cooling chamber can be eliminated more quickly.
또한, 증발기의 냉매 입구측에 제1분기유로 및 제2분기유로를 형성하고, 제1분기유로 및 제2분기유로에 제1모세관 및 제2모세관이 각각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냉기를 공급할 냉각실에 따라 증발기의 냉각 능력(냉동능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기 생성 및 공급을 냉각실의 부하량, 즉 냉동실 및 냉장실의 각 부하량에 적합하게 조절함으로써 운전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branch passage and the second branch passage are formed on the coolant inlet side of the evaporator, and the first capillary and the second capillary tube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irst branch passage and the second branch passage, Accordingly, the cooling capacity (refrigeration capacity) of the evaporator can be vari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operation efficiency by adjusting the generation and supply of the cold air to the load amount of the cooling chamber, that is, the load amount of each of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격벽의 부분절취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증발기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는, 수평으로 배치된 격벽(120)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제1냉각실(150) 및 제2냉각실(160)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110); 상기 격벽(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250); 상기 증발기(250)의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제1냉각실(150)로 송풍하는 제1냉각팬(210); 그리고 상기 증발기(250)의 다른 일 측에 배치되어 냉기를 상기 제2냉각실(160)로 송풍하는 제2냉각팬(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냉각실(150) 및 제2냉각실(160) 중 어느 하나는 냉장실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냉동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냉각실(150) 및 제2냉각실(160)은 모두 냉동실로 구성되거나 모두 냉장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냉각실(150)은 냉장실로 구성되고, 제2냉각실(160)은 냉동실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FIG. 2,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FIG.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partition wall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5, and FIG. 7 is a plan view of the evaporator area of FIG. 1 and 2, the present refrigerator includes a refrigerator body (not shown) having a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 즉 냉각실이 상하로 구획되게 수평으로 배치된 격벽(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의 상측에는 냉장 실(150)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120)의 하측에는 냉동실(160)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interior of the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터 케이스(outer case)(111a)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111a)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이너 케이스(inner case)(111b)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111a)와 이너 케이스(111b) 사이에 충전되는 단열재(111c)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후방 하부영역에는 기계실(1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는 상기 냉동실(160) 및 냉장실(150)의 내부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게 냉동사이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은 냉매가 순환하면서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하는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A
상기 냉장실(150)에는 상기 냉장실(15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한 쌍의 냉장실도어(1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60)에는 냉동실(160)을 개폐할 수 있게 냉동실도어(1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55)는 상기 냉장실(150)의 양 측을 회전축으로 각각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165)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서랍형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ng
상기 냉장실도어(155) 중 어느 하나에는 제빙실(1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80)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의 하측에는 만들어진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뱅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One of the refrigerating
상기 냉장실(150)의 일 측벽에는 상기 제빙실(180)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게 측벽냉기덕트(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벽냉기덕트(19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냉기덕트(190)중 어느 하나는 냉기공급유로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빙실(180)을 경유한 냉기가 복귀하는 냉기복귀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side wall of the refrigerating
한편, 상기 격벽(120)의 내부에는 증발기(2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동실(160)의 냉기에 비해 낮은 온도를 가지는 증발기(250)를 후벽에 설치하지 아니하므로, 냉장고 본체(110)의 외관의 크기를 증대시키지 아니하면서 냉동실(160) 및/또는 냉장실(150)의 고내 실제 사용 공간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증발기(250)의 냉기가 후벽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250)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후벽의 두께를 다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냉동실(160) 및/또는 냉장실(150)의 고내 사용 공간의 크기가 그만큼 증대될 수 있다. Meanwhile, an
상기 증발기(250)는, 냉매가 유동되는 전열관(251)과, 상기 전열관(251)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열플레이트(25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열관(251)은 동일 평면상에 일 열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열관(251)은, 상기 격벽(120)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직관부와, 상기 직관부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관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상기 직관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열플레이트(255)가 소정의 피치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열플레이트(255)는 상기 제1흡입구 및 제2흡입구 측에 배치되는 전열플레이트(255)의 피치(P1)가 상기 제1냉각팬(210) 및 제2냉 각팬(220) 측에 배치된 전열플레이트(255)의 피치(P2)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은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의 공기가 유입되어 먼저 착상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착상량이 많은 상류측 전열관(251) 및 전열플레이트(255)의 공기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상기 격벽(120)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250)가 수용될 수 있게 증발기수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수용부(122)는 상향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수용부(122)의 상측에는 상기 증발기수용부(122)의 상부 개구를 차단할 수 있게 증발기커버(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의 상면 후방 중앙영역에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250)의 일 측(예를 들면 하측)에는 상기 증발기(250)의 제상을 위한 제상히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증발기수용부(122)의 저부면은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증발기(250)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수용부(122)의 저부면 및 상기 증발기(250)는 수평면에 대해 대략 4도 내지 6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증발기(250)의 제상시 제상수가 후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격벽(120)의 전방영역에는 상기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의 냉기를 흡입할 수 있게 제1흡입구(131) 및 제2흡입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131)는 상기 격벽(1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흡입구(131)는 상기 증발기커버(125)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13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131)는 상기 격벽(1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장실(150)의 공기가 상기 증발기(250)의 양 측영역으로 흡입되어 열교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흡입구(13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입구(131)는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실(150)의 공기와 증발기(250)의 접촉면적(열교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냉장실(150)의 공기의 흡입량은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가지는 냉기가 다량으로 냉장실(150)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국부 과냉을 방지하면서 냉장실(150)의 온도 편차를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다. The
상기 제2흡입구(132)는 상기 격벽(120)의 저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흡입구(132)는 상기 격벽(120)의 중앙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동실(160)의 공기는 상기 증발기(250)의 중앙영역으로 흡입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서 열교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흡입구(132)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는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동실(160)의 공기와 증발기(250)의 접촉면적(열교환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고, 냉동실(160)의 공기의 흡입량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냉동실(160)의 공기가 증발기(250)와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서 열교환하게 되므로 더 낮은 온도로 냉각될 수 있어 냉동실(160)을 더욱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The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150)의 후방에는 상기 냉장실(150)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게 냉장냉기덕트(15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 서, 상기 냉장냉기덕트(152)는 얇은 두께와 긴 길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냉기덕트(152)는 상기 냉장실(15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냉장실(150)의 폭의 절반 이상의 폭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냉기덕트(152)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냉장실(150)의 실제 사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냉장냉기덕트(152)의 상부, 중앙 및 하부영역에는 냉기를 토출할 수 있게 복수의 냉기토출구(15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to 5, a cold /
상기 냉장냉기덕트(152)의 하부영역에는 제1냉각팬(210)이 수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냉기덕트(152)의 하부영역에는 상기 제1냉각팬(210)이 수용될 수 있게 제1냉각팬수용부(157)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냉각팬(210)은 냉기를 축선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210)은 흡입구가 전방으로 향하고 토출구가 상방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수용부(157)의 하부 일 측에는 상기 격벽(120)의 토출구(127)와 연통될 수 있게 하측으로 개방된 덕트흡입구(15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수용부(157)는 상기 제1냉각팬(210)의 냉기 흡입을 위해 흡입구측의 공간이 확보되게 주변(상부)에 비해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격벽(120)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실(180)에 냉기를 송풍하는 제빙팬(2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팬(23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축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어 격벽(12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아니하고 도 격벽(120)의 내부에 제빙팬(230)이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팬(230)이 냉동실(160) 또는 냉장실(150)로 돌출되지 아니하므로 냉동실(160) 또는 냉장실(150)의 공간을 점유하지 아니하게 되어, 냉동실(160) 또는 냉장실(150)의 실제 사용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6 and 7, the
상기 제빙팬(230)은 흡입구가 하방을 향하고 토출구가 수평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에는 상기 제빙팬(230)이 수용될 수 있게 제빙팬수용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에는 상기 제빙팬(230)에서 토출된 냉기가 유동될 수 있게 상기 제빙팬수용부(141)과 연통되게 냉기유로(1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유로(142)의 일 측에는 제빙실(180)을 경유한 냉기가 복귀하여 냉동실(160)로 토출할 수 있게 토출구(1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의 일 측(도면상 좌측)에는 상기 측벽냉기덕트(190)의 각 하단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제빙팬(230)이 흡입하여 상기 냉기유로(142)로 토출하고, 냉기유로(142)에 연결된 측벽냉기덕트(190)를 따라 제빙실(180)로 공급된다. 제빙실(180)로 공급된 냉기는 제빙작용을 수행하고, 다시 측벽냉기덕트(190)를 따라 하향 유동하여 격벽(120)을 통과하여 냉동실(160)로 토출된다. The ice-making
상기 냉동실(160)의 후방영역에는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냉동실(160)로 송풍할 수 있게 제2냉각팬(2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팬(22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소위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팬(220)은 일 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타 측에서 공기 의 흡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냉각팬(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각팬(210) 보다 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지는 냉기가 후벽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A
상기 제2냉각팬(220)의 주변에는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냉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그릴팬(2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270)은 상기 냉동실(160)의 후방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한다. 즉, 상기 그릴팬(270)은 내부공간을 냉기가 형성되는 증발기(250)측 공간과 실제 식품이 수납되는 식품저장공간(실질적으로 냉동실)으로 구획한다.A
도 8은 도 2의 그릴팬의 정면도이고, 도9는 도 8의 그릴팬의 배면사시도이다. FIG. 8 is a front view of the grill pan of FIG. 2, and FIG.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grill pan of FIG.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릴팬(270)은, 상판부(271)와, 팬수용부(28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271)는 상기 격벽(120)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게 형성되고, 상기 격벽(120)의 후방 저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팬수용부(281)는 상기 상판부(271)에 비해 축소된 좌우폭을 가지고 상기 상판부(271)의 중앙에서 하향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수용부(281)에는 상기 제2냉각팬(220)에 의해 송풍된 냉기가 토출될 수 있게 냉기토출구(283)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8 and 9, the
한편, 상기 그릴팬(270)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250)측으로부터 성에가 녹아 유동된 제상수를 안내하는 제상수안내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팬(270)은 내부에 냉기유로 및 제상수유로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유로형성부재라 정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상기 상판부(271)는 제상수가 수집될 수 있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271)는 상기 팬수용부(281)의 일 측으로 제상수가 수집되어 이동될 수 있게 제1경사부(272a) 및 제2경사부(272b)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272a) 및 제2경사부(272b)는 모두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제1경사부(272a) 및 제2경사부(272b)의 경계영역에서 제상수가 합류할 수 있게 최저점이 형성되게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최저점에서 합류된 제1경사부(272a) 및 제2경사부(272b)의 제상수는 팬수용부(281)의 일 측벽을 따라 하향유동된다. The
상기 상판부(2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단부에는 상기 격벽(120)의 저부면에 접촉될 수 있게 플랜지(27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273)에는 격벽(120)의 저부면에 체결되는 스크류 등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공(27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A
상기 상판부(271) 및 팬수용부(281)의 후방영역에는 수집된 제상수가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넘침방지리브(28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넘침방지리브(285)는 제상수가 넘치지 아니할 정도의 높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271)에 형성되는 넘침방지리브(285)는 제1경사부(272a)의 후방 변부를 따라 상기 팬수용부(281)의 상부영역을 경유하여 제2경사부(272b)의 경계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경사부(272a)를 따라 유동된 제상수가 팬수용부(281)의 상부영역에서 팬수용부(281)의 전면부의 냉기토출구(283)로 낙하하지 아니하고 전면부를 우회하여 팬수용부(281)의 일 측영역으로 이동되어 낙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상수가 팬수용부(281)의 냉기토출구(283)로 낙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냉각 운전 재개시 팬수용부(281)의 전방으로 제상수가 흘러내리지 아니하므로, 흘러내린 제상수가 냉기토출구(283)에 결빙되어 냉기토출구(283)를 막아 냉기 토출이 저해될 염려가 없다. An
상기 팬수용부(281)의 저부에는 제상수를 배출할 수 있게 드레인부(28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수용부(281)의 저부면은 제상수가 상기 드레인부(287)로 모일 수 있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부(287)에는 배수관(289)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289)은 상기 본체(110)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기계실(170)로 인출될 수 있다. A
도 10은 도 1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구성도이고, 도 11은 도 1의 개폐밸브의 변형례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는, 냉동실(160) 및 냉장실(15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동사이클(2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24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41)와, 냉매가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243)와, 냉매가 감압 및 팽창되는 팽창장치(247)와,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되는 증발기(250)를 포함하는 소위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로 구성될 수 있다.FIG. 10 is a refrigerating cycl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and FIG. 11 is a modific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of FIG.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present refrigerator may have a
상기 압축기(241), 응축기(243) 및 팽창장치(247)는 기계실(17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격벽(120)에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응축기(243)의 일 측에는 상기 응축기(243)의 방열이 촉진되게 송풍하는 송풍팬(2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250)의 일 측에는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로 각각 송풍할 수 있게 제1냉각팬(210) 및 제2냉각팬(22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250)의 일 측에는 제빙팬(230)이 구비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증발기(250)의 냉매 입구 측에는 제1분기유로(261) 및 제2분기유로(2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유로(261) 및 제2분기유로(262)의 각 입구측 단부에는 이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개폐밸브(26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밸브(265)는 응축기(243)에서 이동된 냉매를 제1분기유로(261)를 통해 증발기(250)로 이동시키거나, 제2분기유로(262)를 통해 이동시키는 유로절환밸브(265)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265)는, 제1분기유로(261), 제2분기유로(26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냉매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제1분기유로(261) 및 제2분기유로(262)를 통해 동시에 이동시키게 구성될 수도 있다. The
여기서, 상기 개폐밸브(26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기유로(261)에 배치되어 제1분기유로(261)를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266)와, 제2분기유로(262)에 배치되어 제2분기유로(262)를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267)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개폐밸브(266) 및 제2개폐밸브(267)는 전기력에 의해 각각 작동(구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11, the on-off
상기 제1분기유로(261) 및 제2분기유로(262)에는 상기 팽창장치(2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팽창장치(247)는, 상기 제1분기유로(261)에 구비되는 제1모세 관(248)과, 상기 제2분기유로(262)에 구비되는 제2모세관(24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모세관(248) 및 제2모세관(249)은 서로 다른 직경(내경) 및/또는 길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모세관(248)이 제1모세관(248)에 비해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모세관(248)이 제2모세관(249)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모세관(248,249)은 내경이 클수록 통과 유량이 증대되며, 길이가 길수록 냉매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제1모세관(248) 및 제2모세관(249)의 내경 및 길이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모세관(248)이 제2모세관(249)에 비해 통과 냉매 유량(내경)이 크고 냉매 온도가 더 낮아지게(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것으로 간주한다. The
도 12는 도 1의 냉장고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는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되는 제어부(2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90)에는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동실온도센서(291) 및 냉장실온도센서(292)가 검출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의 검출된 온도 조건에 따라 냉장실(150) 및/또는 냉동실(160)에 각각 냉기가 공급될 수 있게 제1냉각팬(210) 및 제2냉각팬(220)이 제어가능하게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에는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의 운전에 따라 증발기(250)에 유입되는 냉매 조건(냉매 유량 및/또는 냉매 온도)을 조절할 수 있게 유로절환밸브(265)(또는 제1개폐밸브 및 제2개폐밸브)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refrigerator of FIG. As shown in FIG. 12, the present refrigerator may include a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냉장실온도센서(291)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기 냉장실(150)에 냉기를 공급하고자 할 때, 제어부(290)는 상기 제1냉각팬(210)이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210)이 회전되면 상기 제1흡입구(131)를 통해 상기 격벽(120)의 내부로 상기 냉장실(150)의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냉각된 공기는 상기 제1냉각팬(210)을 경유(흡입 및 토출)하여 냉장냉기덕트(152)로 유입된다. The
냉장냉기덕트(152)로 유입된 냉기는 각 냉기토출구(153)를 통해 냉장실(150)의 내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유로절환밸브(265)를 제어하여 상기 제2분기유로(262)를 따라 냉매가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응축기(243)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유로절환밸브(265)를 통해 제2분기유로(262)로 유입되고, 제2모세관(249)을 통과하면서 감압 및 팽창된다. 상기 제2모세관(249)을 통해 감압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250)로 유입되고, 이때 제1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증발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241)를 흡입되어 압축 및 토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냉각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The cool air introduced into the cold air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냉동실온도센서(292)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냉동실(160)에 냉기를 공급하고자 할 때, 상기 제2냉각팬(220)이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팬(220)이 회전되면 상기 제2흡입구(132)를 통해 격벽(120)의 내부로 냉동실(160)의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격벽(12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상기 제2냉각팬(220)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냉동실(160)의 내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유로절환 밸브(265)를 제어하여 상기 제1분기유로(261)를 따라 냉매가 유동되게 할 수 있다. The
상기 응축기(243)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유로절환밸브(265)를 통해 제1분기유로(261)로 유동되고, 제1모세관(248)을 통과하면서 감압 및 팽창된다. 이때, 제1모세관(248)은 제2모세관(249)에 비해 내경이 더 크고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증발기(250)로 더 많은 유량 및 더 낮은 온도의 냉매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250)로 유입된 냉매는 제2흡입구(132)를 통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되고,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241)로 흡입되어 압축 및 토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냉각작용을 수행하게 된다.The refrigerant conden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냉장실온도센서(291) 및 상기 냉동실온도센서(292)의 각 온도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에 동시에 냉기를 공급하고자 할 때, 상기 제1냉각팬(210) 및 제2냉각팬(220)이 동시에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210) 및 제2냉각팬(220)이 각각 회전되면 냉장실(150)의 공기는 제1흡입구(131)를 통해 격벽(120)의 내부로 흡입되고, 냉동실(160)의 공기는 제2흡입구(132)를 통해 격벽(120)의 내부로 흡입된다. When the
상기 격벽(12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250)와 접촉되어 냉각되고, 제1냉각팬(210) 및 제2냉각팬(220)에 의해 각각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90)는 응축기(243)를 경유한 냉매가 상기 제1분기유로(261) 및 제2분기유로(262)로 동시에 유동될 수 있게 상기 유로절환밸브(265)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기(243)를 경유한 냉매는 제1모세관(248) 및 제2모세관(249)을 통과하면서 각각 감압 및 팽창되어 증발기(250)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더 많은 냉기를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냉동실(160) 및 냉장실(150)을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실(150) 및 냉동실(160)의 온도 편차를 동시에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다.The air sucked into the
상기 제어부(290)는 제빙실(180)에 냉기를 공급하고자 할 때, 상기 제빙팬(230)이 회전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빙팬(230)이 회전되면 상기 증발기(2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제빙팬(230)에 흡입되어 냉기유로(142)로 토출된다. 상기 냉기유로(142)로 토출된 냉기는 측벽냉기덕트(190)를 따라 상향 유동되어 상기 제빙실(180)로 유입된다. 상기 제빙실(180)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제빙실(180)을 냉각하고 측벽냉기덕트(190)를 통해 하향 유동된다. 측벽냉기덕트(190)를 따라 하향 유동된 냉기는 격벽(120)에 관통형성된 토출구(143)를 통과하여 상기 냉동실(160)로 토출된다. The
한편,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증발기(250)의 표면에 형성(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상운전시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제1냉각팬(210) 및 제2냉각팬(220)이 정지되게 제어할 수 있다. 도시 않은 제상히터는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하여 증발기(250)의 표면에 형성된 성에를 가열하게 된다. 이때, 성에가 녹은 제상수는 상기 증발기수용부(122)의 저부면을 따라 후방영역으로 이동된다. 후방으로 이동된 제상수는 상기 그릴팬(270)의 상판부(271)에 의해 수집되어 상판부(271)의 넘침방지리브(285)를 따라 이동되어 합류영역인 최저점에서 낙하하여 팬수용부(281)의 일 측벽을 따라서 팬수용부(281)의 저부영역으로 하향 이동된다. 상기 팬수용부(281)의 저부로 이동된 제상수는 드레인부(287) 및 배수관(289)을 통해 기계실(170)로 배출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 defrosting operation for removing the gap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The foregoing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so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tail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Further, even when the embodiments not lis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ave been described, it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종단면도,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도,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2,
도 4는 도 3의 정면도,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3,
도 5는 도 3의 사시도,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3,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격벽의 부분절취 사시도, FIG.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partition wall taken along the line VI-VI in FIG. 5,
도 7은 도 2의 증발기영역의 평면도,Figure 7 is a top view of the evaporator area of Figure 2,
도 8은 도 2의 그릴팬의 정면도, FIG. 8 is a front view of the grill pan of FIG. 2;
도 9는 도 8의 그릴팬의 배면사시도,Fig.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grill pan of Fig. 8,
도 10은 도 1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구성도,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frigeration cycle configuration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도 11은 도 1의 개폐밸브의 변형례,11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of Fig. 1,
도 12는 도 1의 냉장고의 제어블록도이다.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refrigerator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10 : 냉장고 본체 120 : 격벽110: refrigerator main body 120: partition wall
122 : 증발기수용부 125 : 증발기커버122: evaporator accommodating part 125: evaporator cover
131 : 제1흡입구 132 : 제2흡입구131: first inlet port 132: second inlet port
150 : 제1냉각실, 냉장실 152 : 냉장냉기덕트150: first cooling chamber, refrigerating chamber 152: cold refrigerant duct
155 : 냉장실도어 160 : 제2냉각실,냉동실155: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60: second cooling compartment, freezer compartment
165 : 냉동실도어 170 : 기계실165: Freezer door 170: Machine room
180 : 제빙실 190 : 측벽냉기덕트180: ice making chamber 190: side wall freezing duct
210 : 제1냉각팬 220 : 제2냉각팬210: first cooling fan 220: second cooling fan
230 : 제빙팬 240 : 냉동사이클230: Ice-making fan 240: Refrigeration cycle
241 : 압축기 243 : 응축기241: compressor 243: condenser
247 : 팽창장치 248 : 제1모세관247: expansion device 248: first capillary tube
249 : 제2모세관 250 : 증발기249: second capillary 250: evaporator
251 : 전열관 255 : 전열플레이트251: heat transfer pipe 255:
261 : 제1분기유로 262 : 제2분기유로261: 1st quarter Euro 262: 2nd quarter Euro
265 : 개폐밸브, 유로절환밸브265: opening / closing valve, flow switching valve
270 : 그릴팬 271 : 상판부270: Grill fan 271: Top plate
281 : 팬수용부 285 : 넘침방지리브281: fan receiving portion 285: overflow prevention rib
287 : 드레인부 290 : 제어부287: drain part 290: control part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4667A KR101631904B1 (en) | 2009-07-15 | 2009-07-15 | Refrigerator |
PCT/KR2010/003738 WO2011007959A2 (en) | 2009-07-15 | 2010-06-10 | Refrigerator |
US12/818,002 US20110011106A1 (en) | 2009-07-15 | 2010-06-17 |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4667A KR101631904B1 (en) | 2009-07-15 | 2009-07-15 | Refriger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6997A KR20110006997A (en) | 2011-01-21 |
KR101631904B1 true KR101631904B1 (en) | 2016-06-20 |
Family
ID=4344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4667A Active KR101631904B1 (en) | 2009-07-15 | 2009-07-15 |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011106A1 (en) |
KR (1) | KR101631904B1 (en) |
WO (1) | WO2011007959A2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17600A1 (en) * | 2017-12-13 | 2019-06-20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WO2019117599A1 (en) * | 2017-12-13 | 2019-06-20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US11248833B2 (en) | 2017-12-13 | 2022-02-15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US11493261B2 (en) | 2017-12-13 | 2022-11-08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US11543067B2 (en) | 2017-12-13 | 2023-01-03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06484A2 (en) | 2011-02-02 | 2012-08-09 | Robert Amblad | Positive air pressure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
US9003824B2 (en) * | 2011-02-02 | 2015-04-14 | Robert Almblad | Positive air pressure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
CN102679670A (en) * | 2011-03-18 | 2012-09-19 | 海信(北京)电器有限公司 | Windward structure for air-supply type refrigerating air flue |
EP2639532A3 (en) * | 2012-03-13 | 2014-10-01 | Indesit Company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 Inclined mounted fan structure |
DE102012009457A1 (en) * | 2012-03-19 | 2013-09-19 |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 Fridge and / or freezer |
US8950210B2 (en) | 2012-07-10 | 2015-02-10 | General Electric Company | Top mount refrigerator airflow system |
US8950209B2 (en) * | 2012-07-10 | 2015-02-10 | General Electric Company | Bottom mount refrigerator airflow system |
KR20140075301A (en) * | 2012-12-11 | 2014-06-19 |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CN103075861B (en) * | 2012-12-27 | 2014-12-17 |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 Air-cooling refrigerator |
KR102336200B1 (en) * | 2014-12-24 | 2021-1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KR101810736B1 (en) | 2015-06-05 | 2017-12-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refrigerator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
US20160370087A1 (en) * | 2015-06-16 | 2016-12-22 |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Cooled-air circula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US20170241694A1 (en) * | 2016-02-23 | 2017-08-24 | Dae Chang Co., Ltd. | Refrigerator |
KR102604833B1 (en) | 2016-09-29 | 2023-11-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US10041717B2 (en) | 2016-10-27 | 2018-08-07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Air tower improvement for a refrigerator |
DE102016225370A1 (en) * | 2016-12-19 | 2018-06-21 | BSH Hausgeräte GmbH | Home applianc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household appliance device |
CN106907889B (en) * | 2017-02-13 | 2019-03-15 |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refrigerator |
CN106885425A (en) * | 2017-02-15 | 2017-06-23 |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Ducting assembly and refrigerator |
KR102289289B1 (en) | 2017-03-10 | 2021-08-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KR102261134B1 (en) * | 2017-03-10 | 2021-06-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US10712074B2 (en) | 2017-06-30 | 2020-07-14 | Midea Group Co., Ltd. | Refrigerator with tandem evaporators |
CN108050750B (en) * | 2017-12-29 | 2020-03-31 |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 Refrigerator with a door |
WO2019165518A1 (en) | 2018-03-02 | 2019-09-06 | Electrolux Do Brasil S.A. | Door warmer for a refrigerator |
CN108759239A (en) * | 2018-04-02 | 2018-11-06 |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 Refrigerator |
US10317123B1 (en) * | 2018-04-16 | 2019-06-11 | Sub-Zero, Inc. | Shared evaporator system |
CN109539657A (en) * | 2018-11-28 | 2019-03-29 |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 Refrigerator with ice machine |
WO2020166059A1 (en) * | 2019-02-15 | 2020-08-20 | 三菱電機株式会社 | Refrigerator |
CN113091363A (en) * | 2020-01-09 | 2021-07-09 |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 Commercial air-cooled refrigerator |
CN113091364A (en) * | 2020-01-09 | 2021-07-09 |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 Commercial vertical freezer |
US11402145B1 (en) | 2020-03-24 | 2022-08-02 | Sub-Zero Group, Inc. | Split air flow system |
KR20220018182A (en) * | 2020-08-06 | 2022-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KR20230038044A (en) * | 2021-09-10 | 2023-03-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74527A1 (en) * | 2005-09-23 | 2007-04-05 | Lee Bok D | Refrigerator door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982115A (en) * | 1958-09-23 | 1961-05-02 | Gen Motors Corp | Refrigerating apparatus |
US3090209A (en) * | 1961-04-24 | 1963-05-21 | Whirlpool Co | Refrigerating apparatus |
US3107502A (en) * | 1961-04-24 | 1963-10-22 | Whirlpool Co | Air circuit means for combined freezer and refrigerator apparatus |
US3455119A (en) * | 1968-02-16 | 1969-07-15 | Gen Motors Corp | Plural compartment high humidity domestic refrigerator |
KR920004982Y1 (en) * | 1990-09-28 | 1992-07-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Freeze room duct for refrigerator |
US5156015A (en) * | 1990-12-20 | 1992-10-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irculating cold air for an indirect-cooling type refrigerator |
KR970011047B1 (en) * | 1992-02-21 | 1997-07-0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Cooling equipment of refrigerators |
US5709101A (en) * | 1995-01-04 | 1998-01-20 | Lg Electronics Inc. | Cooled air suction duct for refrigerator |
JP3499396B2 (en) * | 1997-03-21 | 2004-02-23 | 株式会社東芝 | refrigerator |
KR20030027368A (en) * | 2001-09-28 | 2003-04-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eparate-cooling type refrigerator |
US7726141B2 (en) * | 2002-12-24 | 2010-06-01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
JP2005345061A (en) * | 2004-06-07 | 2005-12-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refrigerator |
JP2005345065A (en) * | 2004-06-07 | 2005-12-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refrigerator |
KR101328959B1 (en) * | 2007-11-05 | 2013-11-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ood storaging apparatus |
KR20090046251A (en) * | 2007-11-05 | 2009-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
2009
- 2009-07-15 KR KR1020090064667A patent/KR101631904B1/en active Active
-
2010
- 2010-06-10 WO PCT/KR2010/003738 patent/WO2011007959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6-17 US US12/818,002 patent/US20110011106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74527A1 (en) * | 2005-09-23 | 2007-04-05 | Lee Bok D | Refrigerator door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17600A1 (en) * | 2017-12-13 | 2019-06-20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WO2019117599A1 (en) * | 2017-12-13 | 2019-06-20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KR20190070791A (en) * | 2017-12-13 | 2019-06-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RU2759960C1 (en) * | 2017-12-13 | 2021-11-19 |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 Vacuum adiabatic housing and refrigerator |
US11248833B2 (en) | 2017-12-13 | 2022-02-15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US11320191B2 (en) | 2017-12-13 | 2022-05-03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US11493261B2 (en) | 2017-12-13 | 2022-11-08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US11543067B2 (en) | 2017-12-13 | 2023-01-03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KR102530909B1 (en) * | 2017-12-13 | 2023-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US11768026B2 (en) | 2017-12-13 | 2023-09-26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US11781801B2 (en) | 2017-12-13 | 2023-10-10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US11835290B2 (en) | 2017-12-13 | 2023-12-05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US11933535B2 (en) | 2017-12-13 | 2024-03-19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US12188712B2 (en) | 2017-12-13 | 2025-01-07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US12313329B2 (en) | 2017-12-13 | 2025-05-27 | Lg Electronics Inc. |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6997A (en) | 2011-01-21 |
US20110011106A1 (en) | 2011-01-20 |
WO2011007959A3 (en) | 2011-03-31 |
WO2011007959A2 (en) | 2011-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1904B1 (en) | Refrigerator | |
KR101649624B1 (en) | Refrigerator | |
KR101637443B1 (en) | Defristing heat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JP4808980B2 (en) | Cold air guide structure for ice compartment in refrigerator door | |
JP6687384B2 (en) | refrigerator | |
KR20040086890A (en) | Refrigerator | |
KR102126401B1 (en) | Refrigerator and col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 |
KR101565387B1 (en) | Refrigerator | |
KR102483212B1 (en) | Refrigerator | |
EP2778577A1 (en) | Refrigerator | |
KR100584271B1 (en) | De-icing cold air flow path structure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 |
KR101798570B1 (en) | Ice maker for refrigerator | |
KR101659011B1 (en) | Refrigerator | |
KR101330936B1 (en) | Refrigerator | |
US20230145778A1 (en) | Refrigerator | |
JP6028216B2 (en) | refrigerator | |
KR101635646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of refrigerator | |
KR20100050350A (en) | A refrigerator | |
US11852387B2 (en) | Refrigerator | |
KR101132554B1 (en) | Refrigerator | |
KR20160148856A (en) |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ethod thereof | |
KR100597292B1 (en) | Refrigerator | |
JP4203662B2 (en) | refrigerator | |
JP6955348B2 (en) | refrigerator | |
KR100311370B1 (en) | Cold air circulation device for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7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7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