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06927A - 다목적 부표 - Google Patents

다목적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927A
KR20110006927A KR1020090064562A KR20090064562A KR20110006927A KR 20110006927 A KR20110006927 A KR 20110006927A KR 1020090064562 A KR1020090064562 A KR 1020090064562A KR 20090064562 A KR20090064562 A KR 20090064562A KR 20110006927 A KR20110006927 A KR 20110006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speaker
controller
voice signal
shark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송
Original Assignee
한만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만송 filed Critical 한만송
Priority to KR1020090064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927A/ko
Publication of KR20110006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92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24Buoys container type, i.e. having provision for the storag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acou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2Fibre reinforced plastics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88Life-saving in water characterised by making use of shark deterrents, e.g. electric, acoustic, mechanical or chemical means for deterring sh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욕장에서 위험 지역을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부표에 관한 것으로, 시각적으로 위험지역임을 경고하는 한편 방송으로 경고하며, 상어의 접근을 방지하여 안전한 해수욕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부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수욕장에서 위험지역임을 알리는 부표에 원격으로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음성신호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수중으로 상어가 싫어하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수중음파 발생기를 구비하며, 태양전지판을 이용하여 구동전력을 얻고 이를 저장하는 전원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부표, 위험, 상어퇴치, 경고방송

Description

다목적 부표{Danger indicate buoy}
본 발명은 해수욕장에서 위험 지역을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부표에 관한 것으로, 시각적으로 위험지역임을 경고하는 한편 방송으로 경고하며, 상어의 접근을 방지하여 안전한 해수욕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부표에 관한 것이다.
해수욕장에서 피서객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한 지역과 위험한 지역을 수면에 표시하여 피서객이 위험한 지역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바다에 일정 간격으로 부표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부표는 해저에 앵커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기존의 부표는 내부에 공기를 채워 넣는 것이 대부분으로 부표의 색상과 부표에 써넣은 문자 등을 이용하여 피서객이 위험지역에 진입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피서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해수욕장을 빙둘러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부표는 시각적으로 위험지역임을 인지할 수는 있으나, 현실적으로 이를 무시하고 부표 쪽으로 접근하는 피서객이 많고, 이를 저지하게 위해서는 해안에 설치된 확성기를 이용하여 접근하지 않도록 유도하거나, 구조용 보트를 이동시켜 피서객이 안전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해안에 설치된 확성기를 이용하여 경고 방송을 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부표에 접근하고 있는 사람은 듣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효율적인 안전유도가 되지 않고, 또한 구조용 보트를 이용하는 경우는 일일이 보트를 운전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게 된다.
그리고 국내 기후가 아열대기후를 보이는 관계로 최근 상어의 출몰이 보고 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어의 출몰은 피서객에게 직접적인 위험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퇴치할 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해수욕장에서 위험한 지역임을 알리는 부표를 이용하여 피서객의 접근을 음성으로 경고하는 경고 방송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상어를 퇴치하기 위한 수중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피서객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해수욕장에서 위험지역임을 알리는 부표에 원격으로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음성신호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수중으로 상어가 싫어하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수중음파 발생기를 구비하며, 태양전지판을 이용하여 구동전력을 얻고 이를 저장하는 전원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부표에 접근하는 피서객이 있을 경우 음성신호를 원격 전송하여 부표에 설치된 스피커로 출력시킴으로써 부표로 접근을 하지 않고 안전지역으로 되돌아 갈 수 있도록 하고, 부표의 하부에는 수중으로 상어 퇴치음파를 출력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구동전력은 부표에 설치된 태양전지판에서 얻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해수욕장에서 위험한 지역임을 알리기 위하여 바다에 띄워놓는 부표를 이용하여 피서객의 접근을 음성으로 경고하는 경고 방송이 이루어지게 하되 육지에서 경고음성을 원격으로 전송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피서객의 접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수중에서 상어의 접근을 방지하는 수중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상어로부터 피서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해수욕장에 설치되어 위험지역을 표시하는 부표에 관한 것으로, 부표를 이용하여 음성경고 신호를 출력시키되 음성경고 신호는 원격송신 되게 하고, 부표가 떠있는 곳에서 상어를 퇴치하는 음파를 발생시켜 상어의 접근을 방지함으로써 피서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의 상측으로 부표를 설치하되 부표의 내부에도 공기를 주입하여 부력체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부표의 상측에는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고, 부표의 내부에는 원격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하는 한편 원격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출력시키거나 상어 퇴치용 음파를 출력시키는 콘트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콘트롤러의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한편 음파를 수중에 발생시키는 음파발생기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부표의 내부에는 태양전지판에서 발생된 전기를 충전하고, 콘트롤러와 스피커 및 음파 발생기 등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며,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생성된 전기를 안정화시키고 증폭시킨 후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과정은 공지된 사실이다.
여기서 부표의 내부로는 바닷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되 스피커의 출력 신호는 외부로 증폭되어 출력되게 하고, 부표가 고정되는 부력체는 하측으로 체인과 로프 등을 이용하여 앵커에 고정시킴으로써 부표를 일정한 위치에 띄워놓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부표(20)는 하측으로 부력체(10)가 고정되게 되고, 상기 부력체(10)의 하부에는 체인(50)과 로프(60)를 이용하여 앵커(70)를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부표(20)의 상부에는 표시깃발(40)을 설치하고, 부표(20)의 외측에는 표시문자를 기재한다.
본 발명의 부표(20)는 내부적으로 공기가 주입되면 부력을 갖도록 하거나, 부력은 부력체(10)에서 제공하고 부표(20)는 시인성을 갖도록 하여도 무방하며, 부표(20)가 설치된 부력체(10)는 반드시 바다에 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부력체(10)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 수면에 떠있게 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FRP)로 이루어진 몸체(11)의 외측을 튜브(12)로 감싸주어 부력을 받도록 하는 한편 튜브(12)로 인하여 외부 충격이 있더라도 이를 흡수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부표(20)는 내부적으로 공기가 주입되어 부력을 유지하거나, 고정된 구조물로 제작되어도 무방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부력체(10)를 이용하여 부력을 제공받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고정구조물로 설치하는 것이, 차후에 부표(20)의 내부에 설치된 시설물의 점검 교환 수리가 용이하다.
부표(20)의 외부에는 시인을 위한 도료를 도포하고, 위치 파악을 위한 숫자나 문자를 기재하게 되며, 상기 부표(20)는 부력체(10)의 상부에 고정된다.
부표(20)의 상측에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태양전지판(30)을 설치하되 부표(20)의 상측에 조밀하게 설치하여 최대한 전력 생산이 많게 하고, 필요한 경우 표시깃발(40)을 설치한다.
태양전지판(30)은 부표(20)의 상부에 밀착되어 하늘을 향하게 되는 것으로, 태양전지판(30)에서 최대전력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태양을 따라 태양전지판(30)을 회전시켜 주어야 하나, 바다에서는 부표(20)가 고정되지 않고 물결에 따라 자유롭게 유동하게 되므로, 별도로 태양전지판(30)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으며, 단지 태양에 많은 량의 태양전지판(30)이 노출될 수 있으면 족하다.
상기 부표(20)의 내부에는 태양전지판(30)에서 생성된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130)가 구비되는 한편 외부에서 전송되는 원격신호를 수신하는 원격신호 수신기(110)를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동작을 콘트롤 하는 콘트롤러(120)를 구비하며, 상기 콘트롤러(120)의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스피커(140)를 구비하게 된다.
부표(20)의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130)는 태양전지판(30)에서 생성된 전기를 충전시키는 한편 내부 시스템이 작동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원격신호 수신기(110)는 해안에서 무선신호로 송신하는 원격 음성신호 또는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콘트롤러(120)로 전달하게 하며, 상기 무선신호의 종류에 따라 콘트롤러(120)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그대로 출력시켜 사용자에게 경고 음성신호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트롤러(120)는 원격신호 수신기(110)를 통하여 원격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의 선택을 제어하거나, 스피커(140)로 출력되는 음성신호 또는 수중음파 발생기(150)로 전달되는 음파신호를 제어하도록 한다.
부표(20)의 내부에는 외측을 향하여 스피커(140)가 설치되게 되고, 상기 스 피커(140)에는 콘트롤러(120)에서 증폭시킨 음성신호를 출력시킴으로써 스피커(140)를 통하여 경고 음성신호가 부표(20)로 접근하는 사람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스피커(140)는 출력 음성신호가 외부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에서 바닷물이 스피커(14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여야 한다.
스피커(140)는 사방으로 설치하여 음성 경고신호가 잘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피커(140)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사용자가 직접 음성을 이용하여 경고한 신호가 될 수도 있고, 미리 콘트롤러(120)의 내부에 저장시킨 경고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피서객이 부표(20)로 접근하는 것을 관측하면 피서객이 접근하는 부표(20)의 스피커(140)를 이용하여 "현재 5번 부표로 접근하는 피서객은 위험하니 되돌아 안전지역으로 나오시기 바랍니다"라는 음성경고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러한 음성경고 신호는 사용자가 원격으로 전송시키게 되므로, 다양한 형태로 경고가 가능하다.
피서객은 부표(20)에서 출력되는 음성 경고신호를 듣고 빠르게 안전지역으로 되돌아 나옴으로써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된 부표(20)는 내부적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부력체(10)의 하부에는 수중음파 발생기(150)를 설치하여 물속에 수중음파 발생기(150)가 위치하게 하고, 상기 수중음파 발생기(150)에는 배터리(130)의 전원과 콘트롤러(120)의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수 중으로 음파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때 수중음파 발생기(150)에서 발생시킨 음파는 상어가 듣기 싫어하는 주파수가 되게 함으로써 상어가 수중음파 발생기(150)에서 발생된 음파가 들리지 않는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어를 퇴치하게 된다.
여기서 수중음파 발생기(150)는 수중에 음파를 발생시키되 필요한 주파수를 선택하여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수중음파 발생기(150)는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해수욕장에 놀러온 피서객은 상어의 접근으로부터 보호 받을 수 있으며, 부표(20)에서 출력되는 음성 경고신호에 의해 위험지역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는 등 해수욕장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표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부표 설치상태 실시예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부력체 실시예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력체 11 : 합성수지
12 : 튜브 20 : 부표
30 : 태양전지판 50 : 체인
70 : 앵커 110 : 원격신호 수신기
120 : 콘트롤러 130 : 배터리
140 : 스피커 150 : 수중음파 발생기

Claims (4)

  1. 내부가 비어있어 바다에서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10)를 구비하고, 상기 부력체(10)의 상부에 부표(20)를 설치하되 상기 부표(20)의 상측에는 태양전지판(30)을 설치하며, 부력체(10)의 하측에는 수중음파 발생기(150)를 설치하는 한편 체인(50)으로 앵커(70)를 연결하고, 상기 부표(20)의 내부에는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스피커(140)를 설치하는 한편 태양전지판(30)에서 생성된 전기를 충전하고 구동전원으로 사용하는 배터리(130)와 함께 시스템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120)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부표.
  2. 제1항에 있어서, 스피커(140)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원격으로 전송된 신호를 원격신호 수신기(110)에서 수신되고, 콘트롤러(120)에서 증폭된 후 스피커(140)에서 부표(20)의 외측으로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부표.
  3. 제1항에 있어서, 수중음파 발생기(150)에서 발생시키는 수중음파는 상어가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부표.
  4. 제1항에 있어서, 부력체(10)는 합성수지(FRP)로 이루어진 몸체(11)의 외측을 튜브(12)로 감싸서 충격을 튜브(12)로 흡수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부표.
KR1020090064562A 2009-07-15 2009-07-15 다목적 부표 Ceased KR20110006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562A KR20110006927A (ko) 2009-07-15 2009-07-15 다목적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562A KR20110006927A (ko) 2009-07-15 2009-07-15 다목적 부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27A true KR20110006927A (ko) 2011-01-21

Family

ID=4361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562A Ceased KR20110006927A (ko) 2009-07-15 2009-07-15 다목적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692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92508C1 (ru) * 2012-03-14 2013-09-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Ракетных войск стратегиче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имени Петра Великого МО РФ Устройство гидроакустическ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US20130335953A1 (en) * 2012-06-19 2013-12-19 Great American Merchandise And Events Solar-powered light source
KR101476427B1 (ko) * 2013-12-30 2014-12-26 주식회사엔엔에프텍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
WO2017122838A1 (ko) * 2016-01-12 2017-07-20 주식회사 엔엔에프텍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
CN109072861A (zh) * 2016-02-26 2018-12-21 M·法特 能量转换装置
CN111038647A (zh) * 2018-10-14 2020-04-21 天津大学青岛海洋技术研究院 一种投弃式大气波导浮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92508C1 (ru) * 2012-03-14 2013-09-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Ракетных войск стратегиче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имени Петра Великого МО РФ Устройство гидроакустическ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US20130335953A1 (en) * 2012-06-19 2013-12-19 Great American Merchandise And Events Solar-powered light source
US9206952B2 (en) * 2012-06-19 2015-12-08 Great American Duck Races, Inc. Solar-powered light source
KR101476427B1 (ko) * 2013-12-30 2014-12-26 주식회사엔엔에프텍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
WO2017122838A1 (ko) * 2016-01-12 2017-07-20 주식회사 엔엔에프텍 초저주파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부표
CN109072861A (zh) * 2016-02-26 2018-12-21 M·法特 能量转换装置
CN111038647A (zh) * 2018-10-14 2020-04-21 天津大学青岛海洋技术研究院 一种投弃式大气波导浮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6927A (ko) 다목적 부표
JP2014533215A (ja) 安全ブイ
US20150059636A1 (en) Tsunami Pod
CN204998731U (zh) 一种水面逃生器
CN105083499A (zh) 基于声控技术的自动定位救生圈
CN206939004U (zh) 一种自航式组合养殖船
JP2013018469A (ja) 災害用緊急避難カプセル
KR20160049552A (ko) 신재생에너지 부표
CN105096531A (zh) 一种景区涨潮预警装置
SE0300672D0 (sv) Mobile protection system
CN206669586U (zh) 港口警示航标
KR102058358B1 (ko) 수상 플로터의 외부 충격 완화 및 인명 사고 예방용 안전 장치
CN109131751A (zh) 海洋工程用海岸线暗礁提醒装置
KR20110072505A (ko) 기체를 이용한 부상과 잠수를 병행할 수 있는 부표
CN205091882U (zh) 一种景区涨潮预警装置
CN203904932U (zh) 桥墩防船撞装置
JP4350659B2 (ja) 海浜型安全プール
KR20130143396A (ko) 수분 감지형 구명환 및 구명볼을 겸비한 송수신 비상지휘체계 보관시스템
CN202966619U (zh) 海底作业信号发射装置
CN205636669U (zh) 一种水利用橡胶坝
CN203601535U (zh) 漂浮建筑
CN106585928A (zh) 一种海上求救装置
RU151401U1 (ru) Поплавковый буй для обозначения места затонувшей бронетанковой техники в воде
CN104895009B (zh) 一种柔性外置助浮防波堤
RU142232U1 (ru)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бу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7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