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128A -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용 충진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용 충진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6128A KR20110006128A KR1020090063619A KR20090063619A KR20110006128A KR 20110006128 A KR20110006128 A KR 20110006128A KR 1020090063619 A KR1020090063619 A KR 1020090063619A KR 20090063619 A KR20090063619 A KR 20090063619A KR 20110006128 A KR20110006128 A KR 201100061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filler
- porous support
- polymer electrolyte
- electrolyte membra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4—Mixtures of polymers, of which at least one is ionically conductiv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5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Description
다공성 지지체 | 충진제용 조성액 | 충진방식 | 비고 | |
실시예 1 | PI | S-PES 및 NMP | 가압순환 | 초기압력(0.5 bar) 최종압력(3 bar) |
실시예 2 | PI | S-PES 및 NMP | 흡입순환 | 초기압력(-0.1 bar) 최종압력(-0.8 bar) |
비교예 1 | PI | S-PES 및 NMP | 침지 | 침지/건조 3회 반복 |
비교예 2 | PI | S-PES 및 NMP | 스프레이 | 스프레이/건조 3회 반복 |
수소이온전도도(S/cm) | |
실시예 1 | 0.09 |
실시예 2 | 0.10 |
비교예 1 | 0.07 |
비교예 2 | 0.06 |
Claims (18)
-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는 공정;이온전도체를 포함하는 충진제용 조성액을 제조하는 공정; 및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에 상기 이온전도체를 흡착시켜 충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을 통해 통과시키는 공정은, 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소정의 압력으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이동시키는 공정은, 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과 타면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이동시키는 공정은, 압력을 점차로 상승시키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이동시키는 공정은, 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 방향으로 가압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이동시키는 공정은, 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타면 방향에서 흡입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을 통해 통과시키는 공정은, 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을 통해 통과시키는 공정 은,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타면 방향에서 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흡입하거나 또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 방향으로 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가압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의 일측과 타측 사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의 일측과 타면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이온전도체를 포함하는 충진제용 조성액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다공성 지지체를 고정함과 더불어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충진제용 조성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홀더, 및 상기 용기에 수용된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홀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충진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는 방법은,상기 용기 내에 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채우고, 상기 홀더에 상기 다공성 지지체를 고정하는 준비공정; 및상기 압력 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용기와 상기 홀더 사이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홀더에 고정된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반복하여 이동시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에 상 기 이온전도체를 흡착시켜 충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압력 펌프를 작동하는 공정은 압력을 점차로 상승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압력 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은, 가압 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압력 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은, 흡입 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타면 방향에서 흡입 이동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 이온전도체를 포함하는 충진제용 조성액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다공성 지지체를 고정함과 더불어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충진제용 조성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홀더;상기 용기에 수용된 충진제용 조성액을 상기 홀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 펌프; 및상기 용기, 홀더 및 압력 펌프를 연결하는 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용 충진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홀더는 서로 대향하는 제1커버와 제2커버, 상기 제1커버와 상기 다공성 지지체 사이에 삽입되는 제1밀폐부, 및 상기 제2커버와 상기 다공성 지지체 사이에 삽입되는 제2밀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용 충진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압력 펌프는 가압 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용 충진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압력 펌프는 흡입 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용 충진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압력 펌프와 상기 홀더 사이에, 상기 충진제용 조성액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측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용 충진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3619A KR101577828B1 (ko) | 2009-07-13 | 2009-07-13 |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용 충진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3619A KR101577828B1 (ko) | 2009-07-13 | 2009-07-13 |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용 충진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6128A true KR20110006128A (ko) | 2011-01-20 |
KR101577828B1 KR101577828B1 (ko) | 2015-12-28 |
Family
ID=43613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3619A Active KR101577828B1 (ko) | 2009-07-13 | 2009-07-13 |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용 충진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7828B1 (ko) |
Cited B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34404A (ko) | 2011-09-28 | 2013-04-05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용 가습기 |
WO2013100677A1 (en) | 2011-12-29 | 2013-07-04 | Kolon Industries, Inc. | Membrane humidifier |
KR20140125101A (ko) | 2013-04-18 | 2014-10-28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중공사막 모듈 |
KR20140125098A (ko) | 2013-04-18 | 2014-10-28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중공사막 모듈 |
KR20150110050A (ko) | 2014-03-24 | 2015-10-02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중공사막 모듈 |
KR20180077721A (ko) | 2016-12-29 | 2018-07-09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중공사막 모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중공사막 모듈 |
KR20190003168A (ko) | 2017-06-30 | 2019-01-09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중공사막 모듈 |
KR20190139656A (ko) | 2018-06-08 | 2019-12-18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중공사막 모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중공사막 모듈 |
KR20210144290A (ko) | 2020-05-22 | 2021-11-30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가스켓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가습기 |
KR20210144289A (ko) | 2020-05-22 | 2021-11-30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가스켓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가습기 |
KR20220091347A (ko) | 2020-12-23 | 2022-06-30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용 가습시스템 |
KR20220094914A (ko) | 2020-12-29 | 2022-07-06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099275A (ko) | 2021-01-06 | 2022-07-13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09051A (ko) | 2021-01-28 | 2022-08-04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 막가습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
KR20220109859A (ko) | 2021-01-29 | 2022-08-05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10103A (ko) | 2021-01-29 | 2022-08-05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가습막의 훼손을 방지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11461A (ko) | 2021-02-02 | 2022-08-09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바이패스 유량 조절이 가능한 연료전지 시스템 |
KR20220111057A (ko) | 2021-02-01 | 2022-08-09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11058A (ko) | 2021-02-01 | 2022-08-09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12453A (ko) | 2021-02-04 | 2022-08-11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가스켓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12451A (ko) | 2021-02-04 | 2022-08-11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가스켓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12452A (ko) | 2021-02-04 | 2022-08-11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가스켓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13183A (ko) | 2021-02-05 | 2022-08-12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17604A (ko) | 2021-02-17 | 2022-08-24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26414A (ko) | 2021-03-09 | 2022-09-16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바이패스 유량 조절이 가능한 연료전지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7752B1 (ko) * | 1997-10-10 | 2005-09-30 |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 막 전극 형성법 |
-
2009
- 2009-07-13 KR KR1020090063619A patent/KR10157782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7752B1 (ko) * | 1997-10-10 | 2005-09-30 |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 막 전극 형성법 |
Cited By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34404A (ko) | 2011-09-28 | 2013-04-05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용 가습기 |
EP3327844A1 (en) | 2011-12-29 | 2018-05-30 | Kolon Industries, Inc. | Membrane humidifier |
WO2013100677A1 (en) | 2011-12-29 | 2013-07-04 | Kolon Industries, Inc. | Membrane humidifier |
KR20140117346A (ko) | 2011-12-29 | 2014-10-07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막 가습기 |
KR20140125101A (ko) | 2013-04-18 | 2014-10-28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중공사막 모듈 |
KR20140125098A (ko) | 2013-04-18 | 2014-10-28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중공사막 모듈 |
KR20150110050A (ko) | 2014-03-24 | 2015-10-02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중공사막 모듈 |
KR20180077721A (ko) | 2016-12-29 | 2018-07-09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중공사막 모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중공사막 모듈 |
KR20190003168A (ko) | 2017-06-30 | 2019-01-09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중공사막 모듈 |
KR20190139656A (ko) | 2018-06-08 | 2019-12-18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중공사막 모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중공사막 모듈 |
KR20210144290A (ko) | 2020-05-22 | 2021-11-30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가스켓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가습기 |
KR20210144289A (ko) | 2020-05-22 | 2021-11-30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가스켓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가습기 |
US11870109B2 (en) | 2020-05-22 | 2024-01-09 | Kolon Industries, Inc. | Gasket assembly and fuel cell humidifier including same |
KR20220091347A (ko) | 2020-12-23 | 2022-06-30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용 가습시스템 |
KR20220094914A (ko) | 2020-12-29 | 2022-07-06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099275A (ko) | 2021-01-06 | 2022-07-13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09051A (ko) | 2021-01-28 | 2022-08-04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 막가습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
KR20220109859A (ko) | 2021-01-29 | 2022-08-05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10103A (ko) | 2021-01-29 | 2022-08-05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가습막의 훼손을 방지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11057A (ko) | 2021-02-01 | 2022-08-09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11058A (ko) | 2021-02-01 | 2022-08-09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11461A (ko) | 2021-02-02 | 2022-08-09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바이패스 유량 조절이 가능한 연료전지 시스템 |
KR20220112453A (ko) | 2021-02-04 | 2022-08-11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가스켓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12451A (ko) | 2021-02-04 | 2022-08-11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가스켓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12452A (ko) | 2021-02-04 | 2022-08-11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가스켓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13183A (ko) | 2021-02-05 | 2022-08-12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17604A (ko) | 2021-02-17 | 2022-08-24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 막가습기 |
KR20220126414A (ko) | 2021-03-09 | 2022-09-16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바이패스 유량 조절이 가능한 연료전지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7828B1 (ko) | 2015-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7828B1 (ko) |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용 충진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방법 | |
JP6235554B2 (ja) | 高分子電解質膜、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膜−電極アセンブリ | |
KR20110006122A (ko) |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76362B1 (ko) |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 |
KR20110021217A (ko) |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 |
KR102140121B1 (ko) | 다공성 기재를 포함하는 강화-복합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JP5547133B2 (ja) | 燃料電池用高分子電解質膜 | |
KR101926784B1 (ko) | 이온 교환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 |
KR101292214B1 (ko) | 전기방사에 의한 연료전지용 술폰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나노 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 | |
KR20190001557A (ko) |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 |
KR100963747B1 (ko) | 전기장을 이용한 고분자 필름 제조 방법 | |
CN101673831B (zh) | 酸性纳米纤维/碱性高分子的复合质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 | |
US10476094B2 (en) | Reinforced membrane, electrochemical cell and fuel cell comprising same, and production method for reinforced membrane | |
CN114450831A (zh) | 具有高分散稳定性的离聚物分散体、其制造方法及使用其制造的聚合物电解质膜 | |
KR100658739B1 (ko) |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 |
KR102157935B1 (ko) | 강화 분리막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강화 분리막 및 레독스 흐름 전지 | |
KR20130078153A (ko) | 고분자 전해질 강화막의 제조 방법 및 고분자 전해질 강화막 | |
CN1716672A (zh) | 燃料电池的聚合物电解液膜及其制备方法 | |
KR20130004615A (ko) | 연료전지용 복합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 |
JP4771702B2 (ja) | 補強材を有する高分子固体電解質膜 | |
KR20090044315A (ko) | 연료전지용 고분자 복합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 |
KR102125412B1 (ko) | 연료전지용 탄화수소계 강화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화 고분자 전해질막 | |
KR20110017750A (ko) | 친수성이 향상된 다공성막을 이용한 수소이온전도성 복합막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소이온전도성 복합막 | |
JP2006269266A (ja) | 補強材を有する複合高分子固体電解質膜 | |
JP2008204928A (ja) | 固体高分子電解質膜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3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008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4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7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