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01574U - 수도계량기 보호통 보강 장치 - Google Patents

수도계량기 보호통 보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574U
KR20110001574U KR2020090010346U KR20090010346U KR20110001574U KR 20110001574 U KR20110001574 U KR 20110001574U KR 2020090010346 U KR2020090010346 U KR 2020090010346U KR 20090010346 U KR20090010346 U KR 20090010346U KR 20110001574 U KR20110001574 U KR 201100015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water meter
present
reinforcement
reinforcing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코엔지니어링
권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코엔지니어링, 권지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90010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574U/ko
Publication of KR201100015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574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2Reinforcing for strengthening parts of me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계량기 보호통 보강 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중에 매립되어 수도계량기를 보호하는 보호통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로서, 중앙에 상기 보호통과 연통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통의 상부에서 상기 보호통의 입구측으로 연장되는 보강 본체 및 상기 보강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통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도계량기, 보호통, 보강, 파손, 공간, 돌출부재

Description

수도계량기 보호통 보강 장치{Apparatus for reinforcing protection bucket of water meter}
본 고안은 수도계량기 보호통 보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계량기를 보호하고 있는 보호통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빌딩 등으로 수도관이 인입되는 지점에는 수도계량기가 설치된다. 이 수도계량기는 대체로 지중에 매설되는데, 그 주위로는 수도계량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통이 설치되고, 보호통의 상면에는 보호통을 밀봉하기 위한 덮개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도계량기 본체(10)의 상부로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덮개(20)가 덮이고, 본체(10) 내부로는 상수도공급관(1)을 보호하는 제1보온재(2), 유입되는 수돗물이 어는 경우 수도계량기(3)나 관련부품의 동파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측벽을 보온하기 위한 제2보온재(4), 상부를 보온하기 위한 제3보온재(5), 상수 도배수관(6)을 보호하기 위한 제4보온재(7)가 제공되며, 보호통 덮개(20)의 저부에도 보호통 전체의 저온화를 방지하기 위한 덮개보온재(21)를 갖는 구조로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호통은 전체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며, 내부에 스티로폼 재질의 보온재가 삽입된다.
보호통이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경우, 무게가 가벼워 작업이 용이한 이점은 있으나, 외력에 대한 충분한 내구력을 가지지 못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이나 충격 등에 의해 보호통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보호통 덮개(20)는 지상으로 노출된다. 덮개(20)가 지상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차량의 이동 등으로 인해 보호통 덮개(2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이러한 힘은 특히 보호통의 입구 주변에 전달이 되고, 이에 따라 보호통 입구 주변에서부터 보호통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보호통이 손상되는 경우, 입구 주변이 좁아져 수도계량기 내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작업자가 보온재를 보호통 내부에서 제거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덮개(20) 위에서 이동하는 차량에 의해, 덮개(20)가 다른 부분에 비해 넓은 두께를 갖는 보호통의 입구를 파손시키며, 이로 인해, 토압에 의한 보호통 찌그러짐이 가속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보호통의 찌그러짐이 발생함에 따라 덮개(20)와 보호통 입구가 제대로 맞물려 있지 못하게 되어 차량 이동 시 큰 소음을 발생시키며 덮개(20)의 이탈 로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보호통 덮개(20)가 바로 지면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추후에 도로 포장이 있는 경우, 도로에 비해 보호통 덮개(20)가 낮은 위치에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빗물 등이 보호통 내부로 대량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호통 내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보강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중에 매립되어 수도계량기를 보호하는 보호통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로서, 중앙에 상기 보호통과 연통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통의 상부에서 상기 보호통의 입구측으로 연장되는 보강 본체; 및 상기 보강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보강 본체는 상기 보호통의 입구에서 상기 보호통의 내측면을 따라 소정 깊이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본체의 하단 외측면에는 상기 보호통의 입구 테두리에 걸리는 돌출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보강 본체의 하단 외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는 "ㄱ"자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본체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는 덮개가 걸리도록 하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본체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은 구상흑연주철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보강 본체를 중심으로 좌우 및 상향 방향 중 어느 한쪽이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도계량기 보호통 상부에서 보호통 내측면으로 연장되는 보강 장치를 제공하여 특히 파손이 쉬운 보호통 입구 주변을 외부 충격 등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 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 장치가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 장치가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강 장치(200)는 보강 본체(202) 및 보강 본체(202)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본체(202) 및 지지프레임(204)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구상흑연주철을 통해 주물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보강 장치(200)의 설치 시, 지지프레임(204)은 지면에 받쳐진 상태로, 보강 본체(202)는 보호통(206)의 상부에서 보호통(206)의 입구측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 따른 보강 장치(200)는 덮개(212)가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높이를 가지는 경우, 추후에 도로 포장이 다시 이루어지는 경우에 보호통 덮개(212)로 빗물이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 본체(202)의 중앙에는 보호통(206)과 연통하는 공간(210)이 형성되며, 내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덮개(212)를 받치는 단턱(214)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단턱(214)은 보강 본체(202) 내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보강 본체(202)는 수도계량기 보호통(206)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면서, 보호통(206) 상부에서 보호통(206)의 내측면을 따라 삽입된다. 이때, 보강 본체(202)는 보호통(206)의 입구(216)에서 소정 깊이만큼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보호통(206)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있고, 내부에 보온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보강 본체(202)가 보호통(206)의 입구에서 소정 깊이만큼만 삽입되며, 이때, 보호통(206) 전체 깊이의 1/10 내지 1/5 정도의 깊이만큼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통(206)은 특히 입구 주변이 외부 충격에 취약하기 때문에 보호통(206) 전체 깊이 중 일부에만 보강 본체(202)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보호통(206)의 보강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강 본체(202)의 외측면에는 보호통(206)의 입구 테두리(218)에 안착되도록 하는 돌출부재(220)가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통(206)의 단면에 상응하게 보강 본체(202)가 타원형을 가지는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돌출부재(220)는 타원형의 보강 본체(202)의 외측면을 따라 역시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 따른 돌출부재(220)는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강 본체(202)의 외측면 및 돌출부재(220)에 의해 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B는 보강 본체(202) 및 돌출부재(220)를 하부에서 바라본 경우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강 장치(200) 장착 시, 상기한 홈(222)에는 보호통의 입구 테두리(218)가 삽입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강 본체(202)의 끝단이 보호통(206)의 내부에 삽입되어 보호통(206)에 내측으로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돌출부재(220)가 보호통(206)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보호통(206)의 입구 테두리(218)에 직접 작용하 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보강 본체(202)의 끝단이 보호통(206)의 내측면을 따라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지프레임(204)은 보강 본체(202)를 중심으로 좌우 및 상하 각각이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지프레임(204)은 보강 본체(202)를 중심으로 좌우 및 상하 어느 한 방향이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비대칭 형상을 제공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수도계량기 보호통이 건물의 벽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경우, 지지프레임(204) 중 짧은 쪽이 건물의 벽면 방향에 배치되도록 하게 위함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고안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 장치가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 장치가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장치의 평면도.

Claims (8)

  1. 지중에 매립되어 수도계량기를 보호하는 보호통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로서,
    중앙에 상기 보호통과 연통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통의 상부에서 상기 보호통의 입구측으로 연장되는 보강 본체; 및
    상기 보강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본체는 상기 보호통의 입구에서 상기 보호통의 내측면을 따라 소정 깊이로 삽입되는 보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본체의 하단 외측면에는 상기 보호통의 입구 테두리에 걸리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보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보강 본체의 하단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보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ㄱ"자형 단면을 가지는 보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본체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는 덮개가 걸리도록 하는 단턱이 형성되는 보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본체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은 구상흑연주철로 이루어지는 보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보강 본체를 중심으로 좌우 및 상향 방향 중 어느 한쪽이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보강 장치.
KR2020090010346U 2009-08-07 2009-08-07 수도계량기 보호통 보강 장치 Ceased KR2011000157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346U KR20110001574U (ko) 2009-08-07 2009-08-07 수도계량기 보호통 보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346U KR20110001574U (ko) 2009-08-07 2009-08-07 수도계량기 보호통 보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74U true KR20110001574U (ko) 2011-02-15

Family

ID=4420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346U Ceased KR20110001574U (ko) 2009-08-07 2009-08-07 수도계량기 보호통 보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57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7185B2 (en) 2012-01-19 2016-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nonvolatile memory system, program method thereof, and operation method of controller controlling the same
US9721664B2 (en) 2014-04-14 2017-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memory devices by programming normal cells after programming a first dummy ce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7185B2 (en) 2012-01-19 2016-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nonvolatile memory system, program method thereof, and operation method of controller controlling the same
US9721664B2 (en) 2014-04-14 2017-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memory devices by programming normal cells after programming a first dummy ce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916B1 (ko) 매립형 리퀴드 돔 구조
KR100604083B1 (ko) 공동주택내의 지중선로의 보호장치
JP4695037B2 (ja) 雨水貯留槽
KR101180466B1 (ko) 지중송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108290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20110001574U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보강 장치
KR101081380B1 (ko) 가로등 기초 구조물
KR100835931B1 (ko)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20110133208A (ko) 배수장치를 구비한 방수형 맨홀
KR100853694B1 (ko) 지중선로 보호구
KR100667007B1 (ko) 공동주택단지의 지중케이블 방호판
KR20100026615A (ko) 합성수지 맨홀 및 그 제조방법
JP4362866B2 (ja) マンホールピット
KR101127997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KR101161556B1 (ko) 지주 결합용 콘크리트 블록
JP7017003B2 (ja) 橋梁用排水桝の取付構造
KR20110002457U (ko) 배수용 및 과속 방지용 트랜치 커버
KR101384677B1 (ko) 제수밸브 보호장치
KR100560116B1 (ko) 도로 비탈면의 보호시설 설치구조
KR20150133455A (ko) Pe 유공 측구수로관
KR101567448B1 (ko) 발열 및 우수유출 저감용 보도블럭
CN114775579B (zh) 用于码头建设施工的管桩以及桩基结构
KR100593694B1 (ko) 도로의 배수 박스 보강구조
KR101212773B1 (ko) 우레탄 방수층용 탈기구
JP4768362B2 (ja) 液状化現象によるマンホールの浮上抑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807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7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1227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4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