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00662A - 투명 키, 키 시트, 및 키 시트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키, 키 시트, 및 키 시트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662A
KR20110000662A KR1020107023697A KR20107023697A KR20110000662A KR 20110000662 A KR20110000662 A KR 20110000662A KR 1020107023697 A KR1020107023697 A KR 1020107023697A KR 20107023697 A KR20107023697 A KR 20107023697A KR 20110000662 A KR20110000662 A KR 20110000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ransparent
region
area
mar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키 요시코시
야스시 요시이
미노루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0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66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2009/187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having symbols engraved or printed by las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68Properties of the membrane
    • H01H2209/082Properties of the membrane transpa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28Printed information
    • H01H2219/03Printed information in transparent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28Printed information
    • H01H2219/034Coloured are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7Actuators transpa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2Lase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키의 두께 방향에서의 마킹부의 위치 제어가 용이하도록, 투명한 키 본체와 상기 키 본체의 이면에 형성된 유색층을 포함하며, 비조광시에 상기 키 본체를 통하여 유색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키로서, 상기 투명 키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을 윗면 측에서 덮는 투명한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레이저 마킹하기 쉬운 투명 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투명 키, 키 시트, 및 키 시트의 형성 방법{TRANSPARENT KEY, KEY SHEET, AND METHOD OF FORMING KEY SHEET}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소위 PHS도 포함),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휴대 오디오, 가전제품용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키보드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하는 투명 키, 키 시트, 및 키 시트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명 키는 투명한 키 본체와 키 본체의 이면에 형성된 유색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투명 키는 비조광(非照光) 시에 키 본체를 통하여 유색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투명 키는 키 본체를 통하여 유색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키의 투명감이 표현되어 외관이 좋다. 이 때문에 투명 키는 키로서 인기가 있다. 한편, 투명한 키 본체와 키 본체의 이면에 형성된 유색층을 포함하는 키라 하더라도 투명한 키 본체의 표면을 유색층 또는 금속층 등의 층으로 덮고, 이 층에 표시부를 컷아웃(cutout) 문자 등으로 형성한 키는 상기의 투명 키가 아니다.
이러한 투명 키의 발명으로서 WO2004/068519에는, 투광성 재료로 만든 키 탑에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그 내부에 문자, 기호 등을 마킹하는 방법에 있어서, 파장이 1064 nm 이하의 근적외광역, 가시광역 또는 근자외광역에 속하는 레이저광을 키 탑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 초점을 맞추어 가면서 간헐 조사하여 투광성 재료 중에 다수의 미세한 탄화 흑점의 집합을 형성하고, 또는 다수의 미세한 크랙 혹은 발포에 의한 백화(白化)점의 집합을 성형하고, 이것에 의해 문자, 기호 등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마킹 방법으로는, 키 탑(키 본체)이 투명하기 때문에, 레이저광이 투과되어 버려 탄화 흑점을 형성하기 어려웠다.
본원 발명자는, 이러한 탄화 흑점을 쉽게 형성하기 위하여, 레이저광 흡수체를 함유한 마스터 배치 등으로 키 본체를 형성하는 것을 발견해냈다. 그러나, 이러한 키 본체에 레이저 마킹을 실시하면, 레이저 마킹하기는 쉬워지나, 키 본체의 윗면이 탄화되어 버려 탄화 흑점이 키의 윗면에 노출되어 버리는 것을 알았다.
이와 같이, 레이저 마킹하기 쉬운 한 종류의 재료로 형성한 키 본체에 레이저 마킹을 실시하면, 레이저 마킹으로 형성한 마킹부가 키의 윗면에 노출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어 키의 두께 방향에서의 마킹부의 위치 제어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키의 두께 방향에서의 마킹부의 위치를 제어하기 쉬운 투명 키, 키 시트, 및 키 시트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키의 일 실시형태는, 투명한 키 본체와 키 본체의 이면에 형성된 유색층을 포함하고 비조광시에 상기 키 본체를 통하여 유색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키로서, 상기 투명 키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을 윗면 측에서 덮는 투명한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레이저 마킹하기 쉬운, 투명 키이다.
여기서, 조광이란 투명 키(구체적으로는, 투명 키를 포함하는 키 시트 등)를 전자기기에 설치했을 경우, 전자기기의 내부 광원을 이용하여 상기 투명 키를 이면 측에서 비추는 것을 말한다. 비조광이란 상기의 내부 광원을 이용하여 투명 키를 비추지 않음을 말한다. 비조광시, 투명 키는 자연광 또는 옥내의 조명 광 등에 의해 표면 측에서 비추어진다. 이로 인해, 전자기기의 조작자는 유색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제2 영역은 제1 영역을 윗면 측에서 덮으나, 제2 영역은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영역에 덮인 제1 영역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레이저 마킹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 등의 영역은 삼차원의 영역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레이저 마킹은 레이저광을 소정 영역에 조사하여 마킹부를 형성하는 방법이다. 마킹부는, 예를 들면, 표시부를 표현한다. 마킹부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 등의 적어도 일부로 형성되어 표시부를 표현한다. 이 경우, 마킹부는 표시부의 구성요소가 된다. 또, 마킹부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 등의 주위에 형성되어서, 투명화 또는 변색의 경우는 컷아웃(cutout) 문자의 반대로, 또는, 발색 등의 경우는 컷아웃(cutout) 문자 등에 의해 표시부를 표현한다. 표시부는 키의 기능 등을 표현한 것이다. 표시부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 등이다. 하나의 투명 키는 표시부를 복수 가질 수 있다.
제1 영역에 실시하는 레이저 마킹에 이용되는, 원하는 레이저광과 같은 조건의 레이저광을 제2 영역에 조사하더라도, 상기 레이저광은 제2 영역을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하게 투과하여, 제2 영역은 전혀 변화되지 않거나, 키의 외관이 손상되지 않는 정도의 변화만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레이저 마킹을 실시하기 쉬운 영역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키의 다른 실시형태는, 또한, 상기 키 본체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레이저 마킹에 의해 발색하는 투명한 영역이며, 상기 투명 키는 상기 레이저 마킹에 의해 발색된 부분에 형성되는 마킹부를 포함하는, 투명 키이다.
상기의 레이저 마킹에 의해 발색되는 투명한 영역은, 기본적으로 상기 투명 영역내의 레이저광의 조사 개소가 발색하도록 되어 있지만, 조사 개소의 근방이 발색하거나 조사 개소와 그 근방이 함께 발색하기도 한다. 조사 개소의 근방은 제1 영역에 인접하는 다른 영역내를 말하며, 상기 다른 영역과 제1 영역과의 경계 근방도 포함한다. 즉,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발색한 부분(마킹부)은 제1 영역에 인접하는 다른 영역 내로 밀려나올 수 있다. 제1 영역에 레이저 마킹하여 형성한 마킹부는, 예를 들면, 키 본체의 두께 방향에서 제1 영역내의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 위치하거나, 제1 영역내의 일부 또는 전부와 그 근방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또, 발색하는 부분은 마킹하는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예를 들면 표시부에 빈틈없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곳곳에 불연속으로 존재하여 전체적으로 표시부를 표현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키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또한, 상기 제1 영역은 레이저광 흡수체를 함유한 경질 수지제 투명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레이저광 흡수체를 함유하지 않은 경질 수지제 투명재로 형성되며, 상기 레이저광 흡수체는 상기 레이저 마킹의 레이저광을 흡수하여 발열하고 주위를 탄화시켜 흑색 발색시키는, 투명 키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키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또한, 상기 제1 영역은 레이저광 발색체를 함유한 경질 수지제 투명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레이저광 발색체를 함유하지 않은 경질 수지제 투명재로 형성되며, 상기 레이저광 발색체는 상기 레이저 마킹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면, 탄화에 의한 흑색 발색 이외의 발색을 하고 및/또는 주위를 상기 흑색 발색 이외의 발색을 시키는, 투명 키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경질 수지는 경화했을 때에 경질이 되는 합성 수지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키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또한, 상기 유색층은 상기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키 본체는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레이저 마킹에 의해 투명화 또는 변색하는 영역이며, 상기 투명 키는 상기 레이저 마킹에 의해 투명화 또는 변색된 부분에 형성되는 마킹부를 포함하는 투명 키이다.
상기 레이저 마킹에 의해 투명화 또는 변색되는 영역은, 기본적으로 상기 영역내의 레이저광의 조사 개소가 투명화 또는 변색되도록 되어 있지만, 조사 개소의 근방이 투명화 또는 변색되거나 조사 개소와 그 근방이 함께 투명화 또는 변색될 수 있다. 조사 개소의 근방은 제1 영역에 인접하는 다른 영역내를 말하며, 상기 다른 영역과 제1 영역과의 경계 근방도 포함한다. 즉,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투명화 또는 변색된 부분(마킹부)은, 제1 영역과 인접하는 다른 영역내로 밀려 나올 수 있다. 제1 영역에 레이저 마킹하여 형성된 마킹부는, 예를 들면, 키 본체의 두께 방향에서 제1 영역내의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 위치하거나, 제1 영역내의 일부 또는 전부와 그 근방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투명화 또는 변색되는 부분은 마킹하는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예를 들면 표시부에 빈틈없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곳곳에 불연속으로 존재하여 전체적으로 표시부를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마킹한 영역이 전체적으로 투광성을 가지도록, 투명화 또는 투광성을 가지는 색으로 변색되는 부분이 많은 마킹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 시트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의 투명 키를 가지는 키 시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시트 형성 방법의 일 실시형태는, 투명한 키 본체와 키 본체의 이면에 형성한 유색층을 포함하며, 비조광시에 상기 키 본체를 통하여 유색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키와, 투명 키가 배치되는 키 베이스를 포함하는 키 시트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명 키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을 윗면 측에서 덮는 투명한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레이저 마킹하기 쉽고, 상기 투명 키를 상기 키 베이스에 배치한 후에 상기 레이저 마킹을 실시하는, 키 시트의 형성 방법이다.
상기 키 시트에서는, 투명 키와 키 베이스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투명 키를 구성하는 일부 요소가 키 베이스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키 시트의 형성에 있어서, 투명 키를 키 베이스에 배치한다고 표현한다. 이러한 키 시트의 일례로서 시트 형태의 키 시트가 있다. 이 경우, 키 시트 중, 누름 등의 조작이 가능한 소정 영역을 투명 키라고 표현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유색이란 백색 및 흑색 등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투명이란 무색 투명 외에 유색 투명도 포함한다.
투명 키에 레이저 마킹을 실시하는 경우, 통상은 윗면 측에서 실시한다. 이면 측에는 유색층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투명 키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을 윗면 측에서 덮는 투명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레이저 마킹하기 쉽다. 윗면 측으로부터 제1 영역으로 레이저 마킹을 하고자 하면, 제2 영역은 투명하고 또한 제1 영역보다 레이저 마킹하기 어려우므로, 레이저 마킹에 의한 제2 영역에의 영향은 없던가 적게 된다. 이 때문에, 레이저 마킹에 의해 형성하는 마킹부의 키의 두께 방향에서의 위치는 제1 영역에 의존하게 된다. 그리고, 키의 두께 방향에서의 제1 영역의 위치는 투명 키의 구조 또는 제2 영역의 두께 등의 조건을 바꾸면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키, 키 시트, 및 키 시트의 형성 방법은 키의 두께 방향에서의 마킹부의 위치를 제어하기 쉬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의 형성 방법의 일례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의 일례를 포함시킨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것, 대응되는 것, 또는 총칭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것, 대응되는 것, 또는 총칭할 수 있는 것이 복수 있는 경우,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하의 실시형태에 변경(예를 들면 구성요소(부재 등)의 생략 또는 부가, 구성요소 형상의 변경 등)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키의 총 두께가 0.2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두께는 0.03 mm 이하의 두께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5 mm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생략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키에서는 투명 키 본체의 표면 등에 투명 키 자체를 보호하는 보호층 등이 형성될 수 있다.
(1) 제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 시트(101)는 1개 이상의 투명 키(102)와 1개 이상의 투명 키(102)를 배치한 키 베이스(103)를 포함한다.
투명 키(102)는 투명한 키 본체(121)와 키 본체(121)의 이면에 형성된 유색층(123)을 포함한다. 투명 키(102)는 비조광시에 키 본체(121)를 통하여 유색층(123)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유색층(123)의 존재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유색층(123)이 키 본체(121)와 떨어져 그려져 있다. 그러나, 유색층(123)은 키 본체(121)의 이면에 형성되므로, 유색층(123)과 키 본체(121)는 서로 인접한다.
투명 키(102)는 제1 영역(121a)과 제1 영역(121a)을 윗면 측에서 덮는 투명한 제2 영역(121b)을 포함한다. 키 본체(121)는 제1 영역(121a)과 제2 영역(121b)을 포함한다. 키 본체(121)는 제1 영역(121a)이 제2 영역(121b)에 끼워진 샌드위치 구조로 되어 있다. 키 본체(121)는 제2 영역(121b), 제1 영역(121a), 및 제3 영역(121b)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를 가진다. 키 본체(121)는 2종류의 재료를 금형에 공급하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한다. 그리고 유색층(123) 측에 있는 제2 영역(121b)은 별도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제1 영역(121a)은 제2 영역(121b)보다 레이저 마킹하기 쉬운 영역이다. 제1 영역(121a)은 레이저 마킹에 의해 발색하는 투명한 영역으로, 레이저 마킹에 이용하는 레이저광(150)의 조사에 의해 발색하는 투명한 영역이다. 상기 레이저광(150)과 동일한 조건의 레이저광(150)을 제2 영역(121b)에 조사하더라도, 이 레이저광(150)은 제2 영역(121b)을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하게 투과하여, 제2 영역(121b)은 전혀 변화(예를 들면 발색)하지 않거나, 키의 외관을 손상하지 않는 정도의 변화만 있다.
투명 키(102)는 레이저 마킹에 의해 발색된 부분에 형성되는 마킹부(125)를 포함한다. 투명 키(102)의 윗면 측으로부터 제1 영역(121a)에 레이저광(150)을 조사하면, 제1 영역(121a)의 조사 개소가 발색하나, 조사 개소의 근방이 발색하거나 조사 개소와 그 근방이 함께 발색할 수도 있다. 제1 영역(121a)에 레이저광(150)을 조사하는 경우, 키의 두께 방향에서, 제1 영역(121a)내에 레이저광(150)의 초점을 맞추면 된다. 조사 개소의 근방은, 제1 영역(121a)에 인접하는 다른 영역(여기에서는, 제2 영역(121b)) 내를 말하며, 상기 다른 영역과 제1 영역(121a)과의 경계 근방도 포함한다. 도 1에서 마킹부(125)는 키의 두께 방향에서, 제1 영역(121a)내로 들어가 제1 영역(121a)내의 전체에 걸쳐 있다. 그러나, 마킹부(125)는 제1 영역(121a)에 인접하는 다른 영역(여기에서는, 제2 영역(121b)) 내로 밀려 나올 수 있다. 또한, 마킹부(125)는 키의 두께 방향에서, 제1 영역(121a)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어느 쪽으로 하든 제1 영역(121a)은 마킹부(125)를 포함하며, 마킹부(125)는 제1 영역(121a)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제1 영역(121a)은, 예를 들면, 투명한 레이저광 흡수 영역이다. 레이저광 흡수 영역에 레이저광(150)을 조사하면, 레이저광(150)의 조사 개소(포커스 포인트) 및/또는 그 근방은 레이저광(150)을 흡수하여 발열하고 탄화된다. 레이저광 흡수 영역은, 예를 들면, 레이저광 흡수체(발색제)를 함유한 제1 경질 수지제 투명재 등의 투명한 마스터 배치로 형성한다. 레이저광 흡수체는 미세분말이며, 예를 들면, 레이저광 흡수 안료 등이다. 레이저광 흡수체는 레이저광을 흡수하여 발열하고, 주위의 경질 수지를 탄화시켜 흑색으로 발색시킨다. 레이저광(150)을 조사하기 전의 레이저광 흡수체는 매우 미세하여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을 함유 하는 제1 영역(121a)은 투명하기는 하나, 이것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서 투명도가 떨어질 수 있다.
제1 영역(121a)은, 예를 들면 탄화에 의한 흑색 발색 이외의 발색을 하는 투명한 레이저광 발색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레이저광 발색 영역에 레이저광(150)을 조사하면, 레이저광(150)의 조사 개소 및/또는 그 근방은 발포, 응축, 또는 화학적 변화 등에 의해 발색한다. 상기 레이저광 발색 영역은, 예를 들면 레이저광 발색체(발색제)를 함유한 제3 경질 수지제 투명재 등의 투명한 마스터 배치로 형성한다. 레이저광 발색체는 발색체 자체가 탄화에 의한 흑색 발색 이외의 발색을 하고 및/또는 발색체의 주위를 발색(흑색 발색 이외의 발색)시킨다. 레이저광 발색체는, 예를 들면 레이저광이 조사되면, 가스화하여 발포되어 발색하고 및/또는 레이저광을 흡수하여 레이저광 발색체의 주위를 가스화하여 발포시켜 발색시킨다. 레이저광 발색체는, 예를 들면 레이저광이 조사되면 레이저광을 흡수하여 분자 밀도가 높아져 응축되어 발색한다. 레이저광 발색체는, 예를 들면 금속 이온을 포함하고, 레이저광이 조사되면, 상기 이온의 결정 구조가 변화하고 및/또는 결정중의 수화량(水和量)이 변화함으로써, 레이저광 발색체의 성분 조성 등이 화학적으로 변화하고, 발색체의 농도가 증가하여 발색한다. 레이저광 발색체는 미세분말이며, 예를 들면 레이저광 발색 안료 등이다. 레이저광(150)의 조사 전의 레이저광 발색체는 투명하거나 매우 세세하여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을 함유하는 제1 영역(121a)은 투명하나, 투명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2 영역(121b)은, 상기 본 레이저광(150)을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하게 투과시키는 레이저광 투과 영역이다. 레이저광 투과 영역은 상기 레이저광 흡수체 등을 함유하지 않은 제2 경질 수지제 투명재 또는 상기 레이저광 발색체 등을 함유하지 않은 제4 경질 수지제 투명재로 형성한다.
유색층(123)은 인쇄 또는 도장(塗裝) 등으로 형성된 도막 등의 1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유색층(123)은 적당한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는 키 시트(1)을 설치한 전자기기의 판매국의 사용 언어에 의존하지 않는 기본 표시부가 된다. 기본 표시부는 상기의 사용 언어에 의존하지 않는 문자(예를 들면 아라비아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이다.
경질 수지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에폭시계, 비닐계, 실리콘계 등의 전자파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전자파 경화성 수지란, 전자파가 조사되면 경화되는 수지로, 자외선 경화성 수지(UV경화성 수지), 가시광선 경화성 수지 등이 있다. 또한 경질 수지로는, 일반적인 열가소성, 열경화성 수지로서 PET(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계) 수지, PC(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의 합성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경질 수지는 경화되었을 때에 투광성을 가진다. 즉, 상기 경질 수지는 투명해진다.
레이저광(150)은, 예를 들면, YAG 레이저에 의해 발진되는 레이저광으로, 파장은 1064nm이다. 출력 및 스팟직경 등의 조건은, 예를 들면 출력을 수 내지 수십 와트로 하고, 스팟직경을 20~150㎛로 한다. 레이저광(150)의 파장은 532nm 일 수 있다. 레이저광(150)의 발진 기구 등은 공지 기술을 적당히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마킹에서는 레이저광(150)의 발진부를 움직이거나 하여 투명 키에 마킹하는데, 발진부를 움직이는 기구 등은 공지 기술을 적당히 채용할 수 있다.
키 베이스(103)는 하나 이상의 투명 키(102) 각각에 대응되어 형성한 관통공을 가지는 보강판(131)과, 상기 관통공을 막도록 형성되고 변형 가능한 변형부(패드부)(132)를 포함한다. 보강판(131)은 키 베이스(103) 전체에 강성을 부가하는 것으로, 경질 수지 또는 금속판으로 형성한다. 경질 수지는 상기 수지를 채용할 수 있으나, 투광성을 가질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다. 변형부(132)는 투명 키(102)의 아래방향으로의 이동을 순조롭게 하기 위해 탄성 재료 등의 변형 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한다. 탄성 재료로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등을 사용한다. 합성 수지로는, 고무재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이 있다. 고무재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이 있다. 변형부(132)는 투광성을 가질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다.
변형부(132)는 두께가 얇은 부분(132a), 얇은 부분(132a)의 이면에 형성된 누름부재(132b), 및 얇은 부분(132a)의 표면에 형성된 대좌(臺座)(132c)를 포함한다. 누름부재(132b)는 키 시트(101)를 전자기기에 설치했을 경우에, 대향하는 메탈 돔 등의 스위치 요소를 누르기 위한 것이다. 대좌(132c)는 투명 키(102)의 아래방향으로의 이동에 필요한 스트로크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대좌(132c)의 표면에는 투명 키(102)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대좌(132c)의 표면에는 투명 키(102)가 투광성 접착제등에 의해 고착된다.
(2) 제2 실시형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101)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201)는 키 본체의 구조가 다르다. 키 본체(221)는 제1 영역(221a) 및 제2 영역(221b)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가진다.
상기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설명에 준하므로 설명을 생략 한다. 그리고 제1 영역(221a)은 제1 영역(121a)에 대응된다. 제2 영역(221b)은 제2 영역(121b)에 대응된다. 유색층(223)은 유색층(123)에 대응된다. 키 베이스(203)는 키 베이스(103)에 대응된다. 보강판(231)은 보강판(131)에 대응된다. 변형부(232)는 변형부(132)에 대응된다. 마킹부(225)는 마킹부(125)에 대응된다. 레이저광(250)은 레이저광(150)에 대응된다.
(3) 제3 실시형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101)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301)는 키 본체의 구조가 다르다. 키 본체(321)는 제1 영역(321a)을 필름 형태의 제2 영역(321b)이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키 본체(321)는 두께 0.5 mm 이하의 필름 형태의 제2 영역(321b)을 오목부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 안에 제1 영역(321a)을 충진하여 형성한다.
상기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설명에 준하므로 설명을 생략 한다. 그리고 제1 영역(321a)은 제1 영역(121a)에 대응된다. 제2 영역(321b)은 제2 영역(121b)에 대응된다. 유색층(323)은 유색층(123)에 대응된다. 키 베이스(303)는 키 베이스(103)에 대응된다. 보강판(331)은 보강판(131)에 대응된다. 변형부(332)는 변형부(132)에 대응된다. 마킹부(325)는 마킹부(125)에 대응된다. 레이저광(350)은 레이저광(150)에 대응된다.
(4) 제4 실시형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101)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401)는 키 본체의 구조가 다르다. 키 본체(421)는 필름 형태의 제1 영역(421a) 및 필름 형태의 제2 영역(421b)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가진다. 제1 영역(421a)과 제2 영역(421b)은 투명한 접착제 또는 투명한 점착재, 용착 등에 의해 고착된다.
상기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설명에 준하므로 설명을 생략 한다. 그리고 제1 영역(421a)은 제1 영역(121a)에 대응된다. 제2 영역(421b)은 제2 영역(121b)에 대응된다. 유색층(423)은 유색층(123)에 대응된다. 키 베이스(403)는 키 베이스(103)에 대응된다. 보강판(431)은 보강판(131)에 대응된다. 변형부(432)는 변형부(132)에 대응된다. 마킹부(425)는 마킹부(125)에 대응된다. 레이저광(450)은 레이저광(150)에 대응된다.
(5) 제5 실시형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101)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501)는 구조가 다르다. 키 시트(501)에서는, 투명 키(502)와 키 베이스(503)가 일체로 되어 있다. 키 시트(501)는 두께 0.5 mm 이하의 필름 형태의 제1 영역(521a), 제1 영역(521a)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제2 영역(521b), 하나 이상의 제2 영역(521b)의 각각에 대응하며 제2 영역(521b)의 이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색층(523), 및 하나 이상의 제2 영역(521b)의 각각에 대응하며 유색층(523)의 이면에 형성된 누름부재(532b)를 포함한다. 제2 영역(521b) 및 누름부재(532b)는 그라비아 인쇄 등에 의해 형성한다. 투명 키(502)는 제1 영역 (521a), 제2 영역(521b)의 제1 영역 (521a)에 대응되는 부분, 및 유색층(523)을 포함한다. 키 베이스(503)는 제2 영역(521b), 유색층(523) 및 누름부재(523b)를 포함한다.
상기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설명에 준하므로 설명을 생략 한다. 그리고 제1 영역(521a)은 제1 영역(121a)에 대응된다. 제2 영역(521b)은 제2 영역(121b)에 대응된다. 유색층(523)은 유색층(123)에 대응된다. 키 베이스(503)는 키 베이스(103)에 대응된다. 마킹부(525)는 마킹부(125)에 대응된다. 레이저광(550)은 레이저광(150)에 대응된다. 누름부재(523b)는, 누름부재(123b)에 대응된다(단, 누름부재(523b)는 상기의 경질 수지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6) 제6 실시형태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101)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601)는 키 본체의 구조가 다르다. 키 본체(621)는 제1 영역(621a) 및 제2 영역(621b)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가진다. 제2 영역(621b)은 제1 영역(621a)의 일부를 윗면 측에서 덮는다. 제2 영역(621b)으로 덮인 제1 영역(621a)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레이저 마킹한다. 키 본체(621)는 오목부를 가지는 제1 영역(621a)에 제2 영역(621b)을 충진하여 형성한다.
상기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설명에 준하므로 설명을 생략 한다. 그리고 제1 영역(621a)은 제1 영역(121a)에 대응된다. 제2 영역(621b)은 제2 영역(121b)에 대응된다. 유색층(623)은 유색층(123)에 대응된다. 키 베이스(603)는 키 베이스(103)에 대응된다. 보강판(631)은 보강판(131)에 대응된다. 변형부(632)는 변형부(132)에 대응된다. 마킹부(625)는 마킹부(125)에 대응된다. 레이저광(650)은 레이저광(150)에 대응된다.
(7) 제7 실시형태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101)와 제7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701)는 키 본체의 구조가 다르다. 투명 키(702)는 키 본체(721)와 키 본체(721)의 이면에 형성한 유색층(723)을 포함한다. 유색층(723)은 제1 영역(723a)과, 제1 영역(723a)의 이면에 형성한 이면 유색층(723b)을 포함한다. 키 본체(721)는 제2 영역(721b)을 포함한다. 제1 영역(723a)은 유색 층이며, 레이저 마킹에 의해 투명화하는 영역이다. 제1 영역(723a) 및 유색층(723b)은, 예를 들면 인쇄 등에 의해 형성한다. 이면 유색층(723b)은 1개의 층으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층을 적층한 층으로 형성된다.
투명 키(702)는 레이저 마킹에 의해 투명화된 부분에 형성되는 마킹부(725)를 포함한다. 투명 키(702)의 윗면 측으로부터 제1 영역(723a)에 레이저광(750)을 조사하면, 제1 영역(723a)의 조사 개소가 투명화되나, 조사 개소의 근방이 투명화되거나, 조사 개소와 그 근방이 함께 투명화될 수 있다. 제1 영역(723a)에 레이저광(750)을 조사할 경우, 키의 두께 방향에서, 제1 영역(723a) 내에 레이저광(750)의 초점을 맞추면 된다. 조사 개소의 근방은 제1 영역(723a)에 인접하는 다른 영역(여기에서는 제2 영역(721b) 등) 내를 말하며, 상기 다른 영역과 제1 영역(723a)의 경계 근방도 포함된다. 도 7에서 마킹부(725)는, 키의 두께 방향에서, 제1 영역(723a) 내로 들어가, 제1 영역(723a) 내의 전체에 걸쳐 있다. 그러나, 마킹부(725)는 제1 영역(723a)에 인접하는 다른 영역(여기에서는 제2 영역(721b) 등) 내로 밀려나올 수 있다. 또한, 마킹부(725)는 키의 두께 방향에서, 제1 영역(723a) 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어쨌든, 제1 영역(723a)은 마킹부(725)를 포함하며, 마킹부(725)는 제1 영역(723a)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제1 영역(723a)은, 예를 들면 레이저광 투명화 영역이다. 레이저광 투명화 영역에 레이저광(750)을 조사하면, 레이저광(750)의 조사 개소 및/또는 그 근방은 가스화 또는 화학적 변화 등에 의해 투명화된다. 레이저광 투명화 영역은, 예를 들면 레이저광이 조사되면 투명화되는 레이저광 투명화체를 함유한 경질 수지제 유색재 등의 유색 마스터 배치로 형성한다. 레이저광 투명화체는, 예를 들면 레이저광이 조사되면 가스화하여 투명화되고, 및/또는 레이저광 투명화체의 주위를 가스화하여 투명화시킨다. 레이저광 투명화체는 레이저광 투명화체의 성분 조성 등이 화학적으로 변화하여 투명화된다. 레이저광 투명화체는 미세분말이며, 예를 들면 레이저광 투명화 안료 등이다.
이 때, 제2 영역(721b)은 투명하며, 상기 레이저광(750)을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하게 투과시키는 레이저광 투과 영역이다.
상기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설명에 준하므로 설명을 생략 한다. 그리고 제2 영역(721b)은 제2 영역(121b)에 대응된다. 유색층(723b)은 유색층(123)에 대응된다. 키 베이스(703)는 키 베이스(103)에 대응된다. 마킹부(725)는 마킹부(125)에 대응된다. 보강판(731)은 보강판(131)에 대응된다. 변형부(732)는 변형부(132)에 대응된다. 레이저광(750)은 레이저광(150)에 대응된다.
(8) 제8 실시형태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101)와 제8 실시형태에 따른 키 시트(801)는 키 본체의 구조가 다르다. 투명 키(802)는 키 본체(821)와 키 본체(821)의 이면에 형성된 유색층(823)을 포함한다. 유색층(823)은 제1 영역(823a)과, 제1 영역(823a)의 이면에 형성한 이면 유색층(823b)을 포함한다. 키 본체(821)는 제2 영역(821b)을 포함한다. 제1 영역(823a)은 유색의 층이며, 레이저 마킹에 의해 변색하는 영역이다. 제1 영역(823a) 및 유색층(823b)은, 예를 들면 인쇄 등에 의해 형성한다. 이면 유색층(823b)은 1개의 유색층 또는 복수의 유색층을 적층한 층으로 형성된다.
투명 키(802)는 레이저 마킹에 의해 변색된 부분에 형성하는 마킹부(825)를 포함한다. 투명 키(802)의 윗면 측으로부터 제1 영역(823a)에 레이저광(850)을 조사하면 제1 영역(823a)의 조사 개소가 변색되나, 조사 개소의 근방이 변색되거나 조사 개소와 그 근방이 함께 변색될 수 있다. 제1 영역(823a)에 레이저광(850)을 조사하는 경우, 키의 두께 방향에서, 제1 영역(823a) 내에 레이저광(850)의 초점을 맞추면 된다. 조사 개소의 근방은, 제1 영역(823a)에 인접하는 다른 영역(여기에서는 제2 영역(821b) 등) 내를 말하며, 상기 다른 영역과 제1 영역(823a)과의 경계 근방도 포함된다. 도 8에서 마킹부(825)는, 키의 두께 방향에서, 제1 영역(823a) 내로 들어가, 제1 영역(823a) 내의 전체에 걸쳐 있다. 그러나, 마킹부(825)는 제1 영역(823a)에 인접하는 다른 영역(여기에서는 제2 영역(821b) 등) 내로 밀려 나올 수 있다. 또한 마킹부(825)는, 키의 두께 방향에서, 제1 영역(823a)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어느 쪽으로 하든, 제1 영역(823a)은 마킹부(825)를 포함하며, 마킹부(825)는 제1 영역(823a)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마킹부(825)가 투광성을 가지고, 마킹한 영역이 전체적으로 투광성을 가지도록 제1 영역(823a)을 얇게 할 수 있다.
제1 영역(823a)은, 예를 들면 흑색의 레이저광 변색 영역이다. 레이저광 변색 영역에 레이저광(850)을 조사하면, 레이저광(850)의 조사 개소 및/또는 그 근방은 레이저광(850)을 흡수하고 발열하여 변색한다. 제1 영역(823a)은, 예를 들면 흑색 바인더에, 발색시키고 싶은 색의 유색체(미세분말)를 함유시킨 재료로 형성한다. 이 경우, 흑색 부분은 레이저광을 흡수하여 발열에 의한 가스화 등으로 투명화됨과 동시에 유색체가 남고, 이 유색체의 색에 의해 제1 영역(823a)은 발색한다.
또한, 제1 영역(823a)은 다른 레이저광 변색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레이저광 변색 영역에 레이저광(850)을 조사하면, 레이저광(850)의 조사 개소 및/또는 그 근방은 발포, 응축, 또는 화학적 변화 등에 의해 변색한다. 상기 레이저광 변색 영역은, 예를 들면 레이저광 변색체(발색제)를 함유한 경질 수지제 유색재 등의 유색 마스터 배치로 형성한다. 레이저광 변색체는, 예를 들면 레이저광이 조사되면 가스화하고 발포하여 변색하고, 및/또는 레이저광을 흡수해 주위를 가스화하고 발포시켜 변색시킨다. 레이저광 변색체는, 예를 들면 레이저광이 조사되면 레이저광을 흡수하여 분자 밀도가 높아져 응축되어 변색한다. 레이저광 변색체는, 예를 들면 금속 이온을 포함하고, 레이저광이 조사되면 상기 이온의 결정 구조가 변화하고 및/또는 결정중의 수화량이 변화함으로써, 레이저광 변색체의 성분 조성 등이 화학적으로 변화하고, 레이저광 변색체의 농도가 증가하여 발색한다. 레이저광 변색체는 미세분말이며, 예를 들면 레이저광 변색 안료 등이다. 레이저광(850)의 조사 전의 레이저광 변색체는 투명하거나 매우 세세하여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을 함유하는 제1 영역(121a)은 투명하나, 투명도가 떨어질 수 있다. 제1 영역(823a)은 마킹부(825)가 투광성을 가지도록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 영역(721b)은 투명하며, 상기 레이저광(750)을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하게 투과하는 레이저광 투과 영역이다.
상기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설명에 준하므로 설명을 생략 한다. 그리고 제2 영역(821b)은 제2 영역(121b)에 대응된다. 유색층(823b)은 유색층(123)에 대응된다. 키 베이스(803)는 키 베이스(103)에 대응된다. 마킹부(825)는 마킹부(125)에 대응된다. 보강판(831)은 보강판(131)에 대응된다. 변형부(832)는 변형부(132)에 대응된다. 레이저광(850)은 레이저광(150)에 대응된다.
(9) 제1 내지 제8 실시형태에 대한 정리
제1 내지 제8 실시형태에서 투명 키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을 윗면 측에서 덮는 투명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레이저 마킹하기 쉽다. 윗면 측으로부터 제1 영역으로 레이저 마킹하려고 하면, 제2 영역은 투명하고 제1 영역보다 레이저 마킹하기 어렵기 때문에, 레이저 마킹에 의한 제2 영역에의 영향은 없거나 적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레이저 마킹에 의해 형성하는 마킹부의 키의 두께 방향에서의 위치는 제1 영역에 의존하게 된다. 그리고, 키의 두께 방향에서의 제1 영역의 위치는 투명 키의 구조 또는 제2 영역의 두께 등의 조건을 바꾸면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제1 내지 제8 실시형태에 따른 투명 키 및 키 시트는 키의 두께 방향에서의 마킹부의 위치 제어가 쉬워진다.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에서, 키 본체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은 레이저 마킹에 의해 발색하는 투명한 영역이며, 투명 키는 레이저 마킹에 의해 발색된 부분에 형성하는 마킹부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제1 내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투명 키 및 키 시트는 마킹부의 위치를 키 본체 내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새로운 외관의 투명 키 및 키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은 레이저광 흡수체를 함유한 제1 경질 수지제 투명재로 형성하고, 제2 영역은 상기 레이저광 흡수체를 함유하지 않은 제2 경질 수지제 투명재로 형성하며, 레이저광 흡수체는 레이저 마킹의 레이저광을 흡수하고 발열하여 주위를 탄화시켜 흑색 발색시킨다. 또는, 제1 영역은 레이저광 발색체를 함유한 제3 경질 수지제 투명재로 형성하고, 제2 영역은 상기 레이저광 발색체를 함유하지 않은 제4 경질 수지제 투명재로 형성하며, 레이저광 발색체는 레이저 마킹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면 탄화에 의한 흑색 발색 이외의 발색을 하고 및/또는 주위를 탄화에 의한 흑색 발색 이외의 발색을 시킨다. 이로 인해 마킹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키 본체(121)가 3층 구조를 가지므로, 제1 영역(121a)의 레이저 마킹에 의한 유색층(123)에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특히 제1 영역(121a)과 유색층(123) 사이에 영역(여기에서는 제2 영역(121b))이 존재함으로써, 제1 영역(121a) 내의 발열된 열이 유색층(123)에 전달되는 것을 막든지 경감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키 본체(221)가 2층 구조를 가지므로, 박형화하기 쉽다. 또한 제1 영역(221a)을 이면 측에 위치시킬 수 있어 마킹부(225)를 이면 측에 형성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키 본체(321)가 제1 영역(321a)을 필름 형태의 제2 영역(321b)이 덮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영역(321a)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레이저광(350)이 유색층(323)에 도달하는 것을 막든지, 레이저광(350)의 유색층(323)에 도달하는 양을 경감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키 본체(421)가 필름 형태의 제1 영역(421a) 및 필름 형태의 제2 영역(421b)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가지므로, 투명 키의 박형화가 쉽다. 특히 제1 영역(421a)을 얇게 하기 때문에, 제1 영역(421a)의 투명도가 떨어지는 경우에 유효하다.
제5 실시형태에서, 키 시트(501)는 투명 키(502)와 키 베이스(503)가 일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영역(521a)이 필름 형태이므로, 제1 영역(521a)을 얇게 하고 제2 영역(521b)을 두껍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투명한 영역을 보다 많이 취할 수 있어 제1 영역(521a)의 투명도가 떨어지는 경우에 투명 키의 투명감을 유지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에서는, 키 본체(621)가 2층 구조를 가지므로 박형화가 쉽다. 또한, 제1 영역(621a)을 이면 측에 위치시킬 수 있어 마킹부(625)를 이면 측에 형성할 수 있다.
제7 실시형태에서는, 유색층(723)이 제1 영역(723a)을 포함하고, 키 본체(721)는 제2 영역(721b)을 포함하며, 제1 영역(723a)은 레이저 마킹에 의해 투명화하는 영역이고, 투명 키(702)는, 레이저 마킹에 의해 투명화 또는 변색된 부분에 형성하는 마킹부(725)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마킹부(725)를 투명 키(702)의 이면 측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를 컷아웃(cutout) 문자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723a)과 이면 유색층(723b)과의 콘트라스트에 의해 새로운 외관의 투명 키(702) 및 키 시트(701)가 이루어진다.
제8 실시형태에서는, 유색층(823)이 제1 영역(823a)을 포함하고, 키 본체(821)는 제2 영역(821b)을 포함하며, 제1 영역(823a)은 레이저 마킹에 의해 투명화하는 영역이고, 투명 키(802)는, 레이저 마킹에 의해 변색된 부분에 형성하는 마킹부(825)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마킹부(825)를 투명 키(802)의 이면 측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를 컷아웃(cutout) 문자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823a)과 마킹부(825)와의 콘트라스트에 의해 새로운 외관의 투명 키(802)및 키 시트(801)가 이루어진다. 또한, 마킹부(825)가 투광성을 가지면, 새로운 외관의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마킹부(825)와 이면 유색층(823b)과의 색 혼합에 의해 새로운 외관의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다.
(10) 제9 실시형태
제9 실시형태에서는, 키 시트의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키 시트를 제1 실시형태의 키 시트(101)와 동일한 키 시트로서 설명한다.
우선, 투명 키(1102a)를 키 베이스(1103a)에 배치한다(도 9의 스텝 901). 즉, 레이저 마킹을 실시하기 전의 키 시트(1101)를 먼저 형성한다(도 10 참조).
다음에, 투명 키(1102a)에 레이저 마킹을 실시한다(도 9의 스텝 902). 그리고, 레이저 마킹으로 형성한 마킹부에 의해 표시부(1100)가 형성된다.
표시부(1100)는 키의 기능 등을 표현한 것이다. 표시부(1100)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 등이다. 레이저 마킹 후의 1개의 투명 키(1102b)는 숫자, 기호, 또는 알파벳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1100)를 복수 포함한다.
그러나, 키 시트의 표시부는 상기 키 시트를 설치한 전자기기(도 12 참조. 부호(1101b)가 키 시트)의 사용국가의 사용 언어에 의존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투명 키에서는, 표시부를 유색층에 형성 할 수 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상기의 사용 언어가 결정된 후, 투명 키를 키 베이스에 배치할 수 밖에 없고, 이 방법으로는 출하까지 시간에 댈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으로, 사용 언어에 맞추어 필요한 종류의 키 시트를 미리 충분한 양만큼 생산하면 불필요한 재고를 떠안을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이, 투명 키를 포함하는 키 시트는 재고 관리가 어려웠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레이저 마킹 전의 투명 키(1102a)를 키 베이스(1103a)에 배치한 후, 레이저 마킹을 실시함으로써, 레이저 마킹을 실시하기 전의 키 시트(1101a)를 먼저 형성해 두고, 사용 언어가 결정된 후 표시부(1100)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 언어 결정에서부터 레이저 마킹 후의 키 시트(1101b)의 출하까지의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키 시트의 재고 관리가 용이해 진다.
그리고 표시부(1100)는 숫자 등의 사용 언어에 의존하지 않는 기본표시부와 사용 언어에 의존하는 사용언어 의존표시부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텝 901에서, 기본 표시부(1100c)를 유색층에 형성한 투명 키(1102c)를 키 베이스(1103c)에 배치할 수 있다(도 13 참조). 이 경우는, 레이저 마킹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사용언어 결정에서부터 레이저 마킹 후의 키 시트의 출하까지의 기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101, 201, 301, 401, 501, 601, 701, 801, 1101a, 1101b, 1101c: 키 시트
102, 202, 302, 402, 502, 602, 702, 802, 1102a, 1102b, 1102c: 투명 키
103, 203, 303, 403, 503, 603, 703, 803, 1103a, 1103c: 키 베이스
121, 221, 321, 421, 521, 621, 721, 821: 키 본체
123, 223, 323, 423, 523, 623, 723, 823: 유색층
131, 231, 331, 431, 631, 731, 831: 보강판
132, 232, 332, 432, 632, 732, 832: 변형부
121a, 221a, 321a, 421a, 521a, 621a, 723a, 823a: 제1 영역
121b, 221b, 321b, 421b, 521b, 621b, 721b, 821b: 제2 영역
723b, 823b: 이면 유색층
125, 225, 325, 425, 525, 625, 725, 825: 마킹부
150, 250, 350, 450, 550, 650, 750, 850: 레이저광
1100: 표시부
1100c: 기본 표시부

Claims (7)

  1. 투명한 키 본체와 상기 키 본체의 이면에 형성한 유색층을 포함하고, 비조광시에 상기 키 본체를 통하여 유색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키로서,
    상기 투명 키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윗면 측에서 덮는 투명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레이저 마킹하기 쉬운, 투명 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본체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레이저 마킹에 의해 발색하는 투명한 영역이며,
    상기 투명 키는 상기 레이저 마킹에 의해 발색된 부분에 형성되는 마킹부를 포함하는, 투명 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레이저광 흡수체를 함유한 경질 수지제 투명재로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레이저광 흡수체를 함유하지 않은 경질 수지제 투명재로 형성하며,
    상기 레이저광 흡수체는 상기 레이저 마킹의 레이저광을 흡수하여 발열하고 주위를 탄화시켜 흑색 발색시키는, 투명 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레이저광 발색체를 함유한 경질 수지제 투명재로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레이저광 발색체를 함유하지 않은 경질 수지제 투명재로 형성하며,
    상기 레이저광 발색체는, 상기 레이저 마킹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면, 탄화에 의한 흑색 발색 이외의 발색을 하고 및/또는 주위를 상기 흑색 발색 이외의 발색을 시키는, 투명 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층은 상기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키 본체는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레이저 마킹에 의해 투명화 또는 변색하는 영역이고,
    상기 투명 키는 상기 레이저 마킹에 의해 투명화 또는 변색된 부분에 형성되는 마킹부를 포함하는, 투명 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명 키를 포함하는 키 시트.
  7. 투명한 키 본체와 상기 키 본체의 이면에 형성한 유색층을 포함하고, 비조광시에 상기 키 본체를 통하여 유색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키와 상기 투명 키를 배치하는 키 베이스를 포함하는 키 시트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명 키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윗면 측에서 덮는 투명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레이저 마킹하기 쉬우며,
    상기 투명 키를 상기 키 베이스에 배치한 후에 상기 레이저 마킹을 실시하는 키 시트의 형성 방법.
KR1020107023697A 2008-03-31 2009-03-26 투명 키, 키 시트, 및 키 시트의 형성 방법 Withdrawn KR201100006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94192 2008-03-31
JP2008094192A JP2009245899A (ja) 2008-03-31 2008-03-31 透明キー、キーシート、及びキーシートの形成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662A true KR20110000662A (ko) 2011-01-04

Family

ID=4113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697A Withdrawn KR20110000662A (ko) 2008-03-31 2009-03-26 투명 키, 키 시트, 및 키 시트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42194A1 (ko)
EP (1) EP2261937A1 (ko)
JP (1) JP2009245899A (ko)
KR (1) KR20110000662A (ko)
CN (1) CN101978450A (ko)
WO (1) WO2009123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7928B (zh) * 2009-12-03 2013-06-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按键单元
JP5649359B2 (ja) * 2010-08-02 2015-01-07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用部材、キーパネル、電子機器および操作スイッチ用部材の製造方法
FR2974767B1 (fr) * 2011-05-05 2013-06-14 Visteon Global Tech Inc Element decoratif surfacique a motif lumineux a projection tridimensionnel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CN102290273A (zh) * 2011-06-11 2011-12-21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双色式键帽及其制作方法
DE102013001875A1 (de) 2013-02-02 2014-03-13 Daimler Ag Bedienelement,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wagen,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dienelements
FR3028710B1 (fr) * 2014-11-13 2019-05-31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Procede de realisation de pictogramme et boitier de commande comprenant des pictogrammes
CN107240524B (zh) * 2017-08-02 2019-06-07 湖北昌奇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渐变色薄膜开关
JP7482430B2 (ja) * 2021-02-24 2024-05-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841B2 (ja) * 1994-12-20 2000-09-25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42340A (ja) * 1997-02-25 1998-09-11 Fujitsu Takamizawa Component Kk 文字表示された樹脂成形体及びキートップ
JP2004202916A (ja) * 2002-12-26 2004-07-22 Polymatech Co Ltd 文字や模様等の表示部を有する加飾成形体
KR101001505B1 (ko) * 2003-01-30 2010-12-14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투광성 재료제의 키 탑에의 마킹을 뒤로 보낼 수 있는 키 유닛의 제조 방법
JP4104073B2 (ja) * 2004-06-02 2008-06-18 財団法人名古屋産業科学研究所 レーザを用いた部材の接合方法及び接合形成認識装置
KR100810243B1 (ko) * 2006-08-08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제조방법 및 그 키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61937A1 (en) 2010-12-15
WO2009123010A1 (ja) 2009-10-08
JP2009245899A (ja) 2009-10-22
CN101978450A (zh) 2011-02-16
US20110042194A1 (en)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0662A (ko) 투명 키, 키 시트, 및 키 시트의 형성 방법
US8319129B2 (en) Keyboard having backlight function
US10744593B2 (en) Illuminated film-covered keyboard
US9269509B2 (en) Backlight module and lighting keyboard
CN110534036B (zh) 面板部件的制造方法
US802232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pad structure having a transparent keycap and keypad structure having a transparent keycap
JP2016532232A (ja) 厚みを薄くしたキーキャップ
CN107068463B (zh) 键盘膜及其制作方法、防水键盘、按键总成及发光键盘
KR20110060885A (ko) 키 스위치 구조
US8168903B2 (en) Illuminated keyboard
JP5202238B2 (ja) キーボード
JP2012182108A (ja) キーパッド構造およびキーパッド構造の製造方法
KR20100075527A (ko) 키 시트
JP5405886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9187855A (ja) 携帯電話の照明構造
TWI856675B (zh) 鍵帽及其製作方法
CN119181608A (zh) 一种按键结构及其制作方法
JP2012104243A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キーパネル、電子機器および押釦スイッチ用部材の製造方法
CN119069282A (zh) 键帽及其制作方法
JP2009087820A (ja) 操作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KR100458433B1 (ko) 휴대폰의 키버튼 구조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N109786160B (zh) 用于键盘的背光模块
JPH11162278A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の製造方法
JP2010049812A (ja) キースイッチ構造体
JP2012104241A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キーパネル、電子機器および押釦スイッチ用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