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2967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671A
KR20100129671A KR1020090108025A KR20090108025A KR20100129671A KR 20100129671 A KR20100129671 A KR 20100129671A KR 1020090108025 A KR1020090108025 A KR 1020090108025A KR 20090108025 A KR20090108025 A KR 20090108025A KR 20100129671 A KR20100129671 A KR 20100129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storage compartment
intermediate storage
evaporator
du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0333B1 (ko
Inventor
임재훈
정기중
윤신봉
유우열
채종은
이선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801,104 priority Critical patent/US9010145B2/en
Priority to EP10164203.1A priority patent/EP2270406B1/en
Priority to CN2010101938726A priority patent/CN101900470A/zh
Publication of KR20100129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671A/ko
Priority to US14/665,541 priority patent/US2015019234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33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중간 저장실 내부에 냉기가 골고루 공급되며, 중간 저장실로부터 냉기가 복귀하는 복귀 유로의 구조가 개선된 냉장고를 개시한다. 냉장고는 상부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1증발기와, 하부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2증발기와, 제2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중간 저장실로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냉기공급덕트와, 냉기공급덕트를 통해 전달된 냉기가 중간 저장실에 골고루 퍼지도록 중간 저장실의 천정에 굴곡지게 형성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간 저장실의 냉기가 복귀하는 냉기복귀덕트는 제빙장치의 냉기가 복귀하는 제빙냉기복귀덕트와 합쳐지면, 양자 사이에는 단열격벽이 마련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간 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음식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냉장고는 상부 저장실 및 하부 저장실이 형성된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부 저장실은 캐비닛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하부 저장실에는 서랍형식으로 입출되는 드로워가 설치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간 저장실 내부에 냉기가 골고루 전달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중간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기를 냉동실의 증발기로부터 공급받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중간 저장실로부터 냉기가 복귀하는 복귀 유로의 구조가 개선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단열격벽들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상부 저장실, 중간 저장실 및 하부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상부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1증발기와, 상기 하부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2증발기와, 상기 제2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중간 저장실로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냉기공급덕트와, 상기 냉기공급덕트를 통해 전달된 냉기가 상기 중간 저장실에 골고루 퍼지도록 상기 중간 저장실의 천정에 굴곡지게 형성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면부는 상기 중간 저장실의 입구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곡면부와, 상기 중간 저장실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높이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급격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곡면부와, 상기 중간 저장실의 내부에서 높이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3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중간 저장실에서 흡입된 냉기가 복귀하는 냉기복귀덕트와, 얼음을 만드는 제빙장치에서 흡입된 냉기가 복귀하는 제빙냉기복귀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기복귀덕트는 상기 제빙냉기복귀덕트와 합쳐질 수 있다.
상기 냉기복귀덕트와 제빙냉기복귀덕트 사이에는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열격벽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저장실은 후방 일측에 상기 중간 저장실의 냉기를 흡입하며, 상기 냉기복귀덕트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냉기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흡입구는 상기 중간 저장실로 토출된 냉기가 바로 상기 냉기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냉기흡입구의 상측을 덮는 유입방지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저장실은 천정 내부에 상기 냉기공급덕트를 통해 전달된 냉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냉기확산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저장실은 상기 냉기확산유로를 통해 전달된 냉기가 상기 중간 저장실 내부로 토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냉기토출홀(hol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확산유로의 외측은 단열재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는 상기 하부 저장실의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기공급덕트는 상기 제2증발기에서 상기 중간 저장실의 후측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저장실의 후면 하단부에 상기 중간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장치는 냉기를 송풍하는 순환팬과,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는 냉기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는 단열격벽들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상부 저장실, 중간 저장 실 및 하부 저장실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1증발기와, 상기 하부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2증발기와, 상기 제2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중간 저장실로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냉기공급덕트와, 상기 냉기공급덕트를 통해 전달된 냉기가 상기 중간 저장실의 전면까지 도달해 퍼질 수 있도록 상기 중간 저장실의 천정에 굴곡지게 형성되는 냉기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기확산부는 상기 중간 저장실의 입구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곡면부와, 상기 중간 저장실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높이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급격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곡면부와, 상기 중간 저장실의 내부에서 높이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3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중간 저장실에서 흡입된 냉기가 복귀하는 냉기복귀덕트와, 얼음을 만드는 제빙장치에서 흡입된 냉기가 복귀하는 제빙냉기복귀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기복귀덕트는 상기 제빙냉기복귀덕트와 합쳐질 수 있다.
상기 냉기복귀덕트와 제빙냉기복귀덕트 사이에는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열격벽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저장실은 후방 일측에 상기 중간 저장실의 냉기를 흡입하며, 상기 냉기복귀덕트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냉기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흡입구는 상기 중간 저장실로 토출된 냉기가 바로 상기 냉기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냉기흡입구의 상측을 덮는 유입방지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저장실은 천정 내부에 상기 냉기공급덕트를 통해 전달된 냉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냉기확산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저장실은 상기 냉기확산유로를 통해 전달된 냉기가 상기 중간 저장실 내부로 토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냉기토출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확산유로의 외측은 단열재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제2증발기는 상기 하부 저장실의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기공급덕트는 상기 제2증발기에서 상기 중간 저장실의 후측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저장실의 후면 하단부에 상기 중간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장치는 냉기를 송풍하는 순환팬과,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는 냉기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중간 저장실 천정에 곡면부를 형성시켜 냉기가 골고루 퍼지게 된다.
또한, 중간 저장실의 천정 내부에 냉기 확산 유로를 마련하여 중간 저장실 내부로의 냉기 전달이 원활해 진다.
또한, 중간 저장실의 냉기를 냉동실의 증발기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단면도로서, 냉장실 도어, 제1드로워 및 제2드로워가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서로 구획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제1저장실(20), 제2저장실(30) 및 제3저장실(40)이 형성된 캐비닛(10)(cabinet)과, 제1저장실(20)을 개폐하도록 캐비닛(10)의 좌, 우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도어(50a) 및 제2힌지도어(50b)와, 캐비닛(10)의 제2저장실(30)에 입출되는 서랍형태의 제1드로워(drawer)(61)와, 캐비닛(10)의 제3저장실(40)에 입출되는 서랍형태의 제2드로워(62)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1을 기준으로 제1저장실(20)은 냉장고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3저장실(40)은 냉장고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2저장실(30)은 제1저장실(20)과 제3저장실(40)의 중간에 배치된다.
캐비닛(10)은 제1저장실(20), 제2저장실(30) 및 제3저장실(40)을 구획하는 제1단열격벽(13) 및 제2단열격벽(14)을 구비하며, 내상(11a), 외상(11b) 및 내상(11a)과 외상(11b) 사이에 충진되는 발포재(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단열격벽(13)은 제1저장실(20)과 제2저장실(30)을 구획하고, 제2단열격벽(14)은 제2저장실(30)과 제3저장실(40)을 구획한다.
내상(11a)은 제1단열격벽(13) 및 제2단열격벽(14)의 외형을 이루도록 굴곡될 수 있고, 내상(11a) 및 외상(11b)사이에 우레탄 발포액을 주입한 후 가열하여 발포시킴으로써 캐비닛(10)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시킬 수 있다. 캐비닛(10)은 제1 단열격벽(13) 및 제2단열격벽(14)을 포함하여 일체로 성형되므로, 각 저장실 사이의 단열성이 향상된다. 도면부호 15는 보관되는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해 캐비닛(10)에 결합되는 선반을 나타낸다.
캐비닛(10)에 형성되는 제1저장실(20), 제2저장실(30) 및 제3저장실(40)은 각각 독립적인 저장공간을 이루며, 각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에 따라 저장온도가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이때, 각 저장실(20, 30, 40)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은 후술되는 제1냉기조절장치(23), 제2냉기조절장치(33) 및 제3냉기조절장치(43)를 제어하는 제어부(C)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각 저장실의 온도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저장실(20), 제2저장실(30) 및 제3저장실(40)은 각각 냉장실, 특선실 및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후벽에는 냉기를 생성하는 제1증발기(91) 및 제2증발기(92)가 설치되고, 캐비닛(10)의 하측 후방에는 기계실(16)이 구획되며, 기계실(16)에는 압축기(93) 등의 전장부품들이 설치된다. 압축기(93)는 응축기(미도시), 팽창기(미도시) 및 증발기(91, 92)와 함께 냉동사이클을 이룬다.
제1힌지도어(50a) 및 제2힌지도어(50b)의 내면 각부에는 수납선반(51)이 마련된다. 또한, 제1힌지도어(50a)에는 물 또는 얼음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장치(53)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제1힌지도어(50a) 및 제2힌지도어(50b) 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는 보조도어가 마련될 수도 있다.
디스펜서장치(53)는 물 또는 얼음이 인출되는 인출구(54)와, 인출구(54)를 개폐하는 개폐부재(55)와, 개폐부재(55)를 동작시키는 동시에 제1저장실(20)의 상측에 마련되는 제빙장치(70)를 동작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작동레버(56)를 구비한다.
제빙장치(70)는 디스펜서장치(53)로 공급되는 얼음을 생산하고, 얼음이 얼려지는 제빙유닛(71)과, 제빙유닛(71)의 하부에 배치되며 얼려진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용기(72)와, 저장용기(72) 내에 저장된 얼음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73)과, 이송유닛(73)에 의해 이송된 얼음을 분쇄시키는 분쇄유닛(74)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저장용기(72)에 저장된 얼음은 이송유닛(73)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1힌지도어(50a)에 마련된 얼음배출통로(52) 측으로 이송된다.
제1드로워(6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제2저장실(30)에 입출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캐비닛(10)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드로워(61)의 상단부 까지 높이(H)는 대략 850mm 내지 950mm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장 150cm 내지 190cm의 평균적인 사용자가 허리를 지나치게 구부리지 않고 제1드로워(61)를 캐비닛(10)으로부터 입출시키거나, 제1드로워(61)의 수납공간으로부터 물건을 입출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제1저장실(20)의 후측에는 제1증발기(91)가 설치된 공간과 제1저장실(20)을 구획함과 동시에 제1냉기공급유로(21a)를 형성하는 제1패널(21)이 설치된다. 제1패널(21)에는 제1냉기공급유로(21a)를 통하여 공급되는 냉기를 제1저장실(20)로 분산 토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토출구(21b) 및 제1저장실(20)의 냉기가 제1증발기(91) 측으로 흡입되는 흡입구(21c)가 형성된다. 제1냉기공급유로(21a)는 일측으로 토출 구(21b)와 연통되고 타측으로 흡입구(21c)와 연통된다. 제1증발기(91)의 상부에는 제1순환팬(22)이 설치된다. 제1순환팬(22)에 의해 제1저장실(20)의 냉기는 흡입구(21c)를 통해 흡입되어 냉기공급유로(21a)를 통과하여 토출구(21b)로 토출되며, 이때 냉기공급유로(21a)를 통과하는 동안 냉기는 제1증발기(91)에 의해 냉각된다. 그리고, 제1저장실(20)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은 제1냉기조절장치(23)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2저장실(30)의 후측 중앙부에는 냉기토출부(31)가 마련된다. 냉기토출부(31)에는 공급되는 냉기를 제2저장실(30)로 분산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3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저장실(30)의 후방 일측에는 제2저장실(30)의 냉기를 흡입하는 냉기흡입구(37)가 형성된다. 즉, 냉기토출부(31)의 토출구(31b)에서 토출된 냉기가 제2저장실(30) 내부를 순환한 후에 냉기흡입구(37)로 유입된다.
냉기토출부(31)의 내부 및 제1저장실(20)의 후면 하단부에는 제2저장실(30)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35)가 마련된다. 냉기공급장치(35)는 토출구(31b)로 냉기를 송풍하는 제2순환팬(32)과, 제2저장실(30)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2냉기조절장치(33)를 포함한다.
냉기공급장치(35)가 제1저장실(20)의 후면 하단부에 마련되는 것은 냉기공급장치(35)의 수리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즉, 제1저장실(20)의 후면 만을 분해 조립하면 간편하게 냉기공급장치(35) 전체의 수리나 교체가 가능해 진다.
제2저장실(30)은 제2증발기(92)에서 생성된 냉기를 공급받는데, 이에 대해 서는 후술한다.
제3저장실(40)의 후측에는 제2증발기(92)가 설치된 공간과 제3저장실(40)을 구획함과 동시에 제2냉기공급유로(41a)를 형성하는 제2패널(41)이 설치된다. 제2패널(41)에는 제2냉기공급유로(41a)를 통하여 공급되는 냉기를 제3저장실(40)로 분산 토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토출구(41b) 및 제3저장실(40)의 냉기가 제2증발기(92) 측으로 흡입되는 흡입구(41c)가 형성된다. 제2냉기공급유로(41a)는 일측으로 토출구(41b)와 연통되고 타측으로 흡입구(41c)와 연통된다. 제2증발기(92)의 상부에는 제3순환팬(42)이 설치되고, 제3순환팬(42)에 의해 제3저장실(40)의 냉기는 제2증발기(92)를 거친 후에 다시 제3저장실(40)로 공급되어 순환된다. 이 때, 제3저장실(40)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은 제3냉기조절장치(43)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면부호 75는 제2증발기(92) 측 공간으로부터 제빙장치(70)로 공급되는 냉기가 통과하는 제빙냉기공급덕트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76는 제빙장치(70)로부터 제2증발기(92) 측으로 복귀하는 냉기가 통과하는 제빙냉기복귀덕트를 나타낸다. 이때, 냉기의 순환은 제빙냉기공급덕트(75)의 상류에 배치되는 제4순환팬(77)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1저장실(20)을 순환하는 냉기에 포함된 악취, 세균을 걸러내는 에어필터(80)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단열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독립적으로 냉각되는 3개의 저장실이 마련되므로, 사용자는 상이한 최적 보관온도를 가지는 적어도 3가지 음식을 최적의 조건에서 저온보관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제2저장실(30) 및 제3저장실(40)에는 서랍형태의 제1드로워(61) 및 제2드로워(62)가 설치되므로, 피자, 생선 등의 길이가 긴 음식을 각 음식에 맞는 최적 온도에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바닥부로부터 제1드로워(61)의 상단부 까지 높이가 인간공학을 고려하여 대략 850mm 내지 950mm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므로, 신장 150cm 내지 190cm의 평균적인 사용자의 제1드로워(61)에 대한 사용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제1저장실(20)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 제2저장실(30)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 및 제3저장실(40)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은 각각 제1냉기조절장치(23), 제2냉기조절장치(33) 및 제3냉기조절장치(43)에 의해 조절된다. 본 실시예의 제1냉기조절장치(23), 제2냉기조절장치(33) 및 제3냉기조절장치(43)는 각각 냉기유로의 개방량을 조절하는 댐퍼(damper) 형태로 마련되지만, 냉기조절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댐퍼 형태의 냉기조절장치가 생략되고, 각 유로에 마련되는 송풍팬이 냉기조절장치의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때, 공급되는 냉기의 양은 송풍팬에 걸리는 전기적 부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송풍팬 형태의 냉기조절장치 및 댐퍼 형태의 냉기조절장치가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냉장고 후면의 냉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제2저장실 부분의 냉기 흐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후면 중앙부에는 제2증발기(92)에서 생성된 냉기가 제2저장실(30)로 공급되도록 냉기공급덕트(110)가 형성 된다. 냉기공급덕트(110)의 일측은 제2냉기공급유로(41a)와 연통되고, 냉기공급덕트(110)의 타측은 냉기토출부(31)와 연통된다. 냉기공급덕트(110)는 제2증발기(92)의 후방에서 제2저장실(30)의 후방에 걸쳐 마련된다.
그리고, 제빙냉기복귀덕트(76)의 측부에는 냉기복귀덕트(130)가 마련된다. 냉기복귀덕트(130)의 일측은 냉기흡입구(37)와 연통되고, 냉기복귀덕트(130)의 타측은 제2냉기공급유로(41a)와 연통된다. 냉기복귀덕트(130)는 제빙냉기복귀덕트(76)와 합쳐져서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열격벽(150)이 마련된다.
즉, 냉기복귀덕트(130)가 제빙냉기복귀덕트(76)의 일부 공간을 차지하게 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이며, 냉기복귀덕트(130)와 제빙냉기복귀덕트(76)가 인접한 공간에 배치되어 발생할 수 있는 냉기 온도차에 의한 이슬 및 결빙 방지 문제를 단열격벽(150)을 설치함으로써 해결하게 된다. 단열격벽(150)은 발포폴리스타이렌(expanded polystyrene) 소재 또는 우레탄(urethane)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제1증발기(91)로부터 생성된 냉기는 제1냉기공급유로(21a)를 통해 제1저장실(20)로 공급되고, 제2증발기(92)로부터 생성된 냉기의 일부는 제3저장실(40)로 공급되고, 또 다른 일부는 냉기공급덕트(110)를 통해 제2저장실(30)로 공급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냉기공급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냉기는 제1저장실 및 제2저장실로 공급되고, 제2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냉기는 제3저장실로 각각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냉장고는 하나의 증발기를 포함하여, 하나의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냉기가 제1저장실, 제2저장실 및 제3저장실에 분배되어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3개의 증발기를 포함하여, 각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는 증발기에 대응되는 저장실에 공급될 수도 있다.
도 6은 제2저장실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제2저장실 천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제2저장실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9는 제2저장실의 냉기흡입구를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저장실(30)의 천정에는 굴곡지게 형성되는 곡면부(170)가 형성된다. 곡면부(170)는 제2저장실(30)의 입구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곡면부(172)와, 제2저장실(30)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높이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급격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곡면부(174)와, 제2저장실의 내부에서 높이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3곡면부(176)를 포함한다.
이처럼 제2저장실(30)의 천정에 곡면부(170)를 형성시키는 것은 제2저장실(30)에 냉기가 골고루 퍼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종래와 같이 제2저장실(30)의 천정이 평평한 평면이면 냉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제2저장실(30)의 후측에서 토출된 냉기가 제2저장실(30)의 전면부에 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곡면부(170)는 냉기를 확산시키는 냉기확산부의 역할을 한다.
제1곡면부(172)는 제2저장실(30) 입구쪽에서 최대한 냉기 손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공간을 좁게 형성하며, 제2곡면부(174)와 제3곡면부(176)가 형성하는 공간 은 냉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고, 냉기가 잘 전달되지 않는 제2저장실(30) 전면부까지 냉기가 전달되도록 제2저장실(30) 전면부 상측에 넓은 냉기 유동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냉기흡입구(37)의 상측에는 유입방지캡(39)이 마련된다. 유입방지캡(39)은 냉기토출부(31)의 토출구(31b)로 토출된 냉기가 제2저장실(30) 내부를 순환하지 않고 바로 냉기흡입구(37)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저장실(30) 내부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유입방지캡(39)은 냉기흡입구(37)의 상측을 감싸 덮도록 형성되며, 냉기흡입구(37)의 상측으로 냉기가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지만, 냉기가 제2저장실(30)을 순환하고 나서 냉기흡입구(37)의 하측으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함으로써,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냉기 만을 선별하여 냉기흡입구(37)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을 설명한다.
냉장고에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하면, 제1증발기(91) 및 제2증발기(92) 주변의 공기는 차가워져서 냉기가 생성된다. 제1증발기(91)에서 생성된 냉기는 제1냉기공급유로(21a)를 통하여 제1저장실(20)로 공급되고, 제1저장실(20)을 순환한 이후에 흡입구(21c)로 유입되어 다시 제1증발기(91)를 거쳐 반복 순환하게 된다. 제2증발기(92)에서 생성된 냉기 중 일부는 제2냉기공급유로(41a)를 통하여 제3저장실(40)로 공급되고, 제3저장실(40)을 순환한 이후에 흡입구(41c)로 유입되어 다시 제2증발기(92)를 거쳐 반복 순환하게 된다.
제2증발기(92)에서 생성된 냉기 중 다른 일부는 냉기공급덕트(110)로 유입 되어 냉기토출부(31)의 토출구(31b)를 통하여 제2저장실(30) 내부로 토출된다. 토출된 냉기는 제2저장실(30) 천정의 곡면부(170)로 인하여 제2저장실(30) 내부에 골고루 퍼지며, 냉기가 잘 도달하지 않던 제2저장실(30)의 전면부에 까지도 냉기가 고루 전달된다.
그리고, 유입방지캡(39)의 존재로 인하여 제2저장실(30)을 순환한 냉기 만이 냉기흡입구(37)로 유입되고, 토출구(31b)에서 토출된 냉기는 바로 냉기흡입구(37)로 유입되지 않아 에너지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제2저장실(30)을 순환하고 냉기흡입구(37)로 유입된 냉기는 냉기복귀덕트(130)를 통하여 연통된 제2냉기공급유로(41a)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냉기복귀덕트(130)와 제빙냉기복귀덕트(76) 사이에 마련된 단열격벽(150)으로 인하여 이슬이 맺히거나 결빙이 발생하는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저장실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제2저장실 천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제2저장실 천정의 내부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저장실(30)은 천정 내부에 냉기확산유로(200)를 포함한다. 냉기확산유로(200)는 제2저장실(30) 내부에 냉기가 좀 더 골고루 퍼지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서, 종래에 제2저장실(30)의 후측에서 토출된 냉기가 토출부와 인접한 음식물과 먼저 접촉하고 토출부에서 멀리 떨어진 부분에 도달하면 이미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냉기가 온도가 낮은 상태를 유지한 채로 냉기가 잘 전달되지 않던 부분까지 냉기가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냉기확산유로(200)는 제2저장실(30)의 천정 내부에서 냉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유로로 형성되며, 냉기공급덕트(110)와 연통된다.
냉기확산유로(200)는 제2저장실(3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기토출홀(hole)(210)을 포함한다. 냉기토출홀(210)은 냉기확산유로(200)를 통해 이동한 냉기가 최종적으로 제2저장실(30)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공간이다. 이러한 냉기토출홀(210)은 냉기가 잘 전달되지 않는 제2저장실(30)의 전면부에 집중적으로 배치된다.
냉기확산유로(200)의 외측은 주위와의 단열을 위해 단열재(205)에 의해 둘러싸인다. 단열재(205)는 발포폴리스타이렌(expanded polystyrene) 소재 또는 우레탄(urethane)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단면도로서, 냉장실 도어, 제1드로워 및 제2드로워가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냉장고 후면의 냉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제2저장실 부분의 냉기 흐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2저장실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저장실 천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저장실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저장실의 냉기흡입구를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저장실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저장실 천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저장실 천정의 내부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캐비닛 20 : 제1저장실
30 : 제2저장실 37 : 냉기흡입구
39 : 유입방지캡 40 : 제3저장실
61 : 제1드로워 62 : 제2드로워
70 : 제빙장치 75 : 제빙냉기공급덕트
76 : 제빙냉기복귀덕트 91 : 제1증발기
92 : 제2증발기 110 : 냉기공급덕트
130 : 냉기복귀덕트 150 : 단열격벽
170 : 곡면부 200 : 냉기확산유로
210 : 냉기토출홀

Claims (22)

  1. 단열격벽들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상부 저장실, 중간 저장실 및 하부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상부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1증발기와,
    상기 하부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2증발기와,
    상기 제2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중간 저장실로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냉기공급덕트와,
    상기 냉기공급덕트를 통해 전달된 냉기가 상기 중간 저장실에 골고루 퍼지도록 상기 중간 저장실의 천정에 굴곡지게 형성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중간 저장실의 입구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곡면부와, 상기 중간 저장실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높이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급격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곡면부와, 상기 중간 저장실의 내부에서 높이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3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중간 저장실에서 흡입된 냉기가 복귀하는 냉기복귀덕트와, 얼음을 만드는 제빙장치에서 흡입된 냉기가 복귀하는 제빙냉기복귀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기복귀덕트는 상기 제빙냉기복귀덕트와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복귀덕트와 제빙냉기복귀덕트 사이에는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열격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저장실은 후방 일측에 상기 중간 저장실의 냉기를 흡입하며, 상기 냉기복귀덕트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냉기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흡입구는 상기 중간 저장실로 토출된 냉기가 바로 상기 냉기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냉기흡입구의 상측을 덮는 유입방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저장실은 천정 내부에 상기 냉기공급덕트를 통해 전달된 냉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냉기확산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저장실은 상기 냉기확산유로를 통해 전달된 냉기가 상기 중간 저장실 내부로 토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냉기토출홀(hol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확산유로의 외측은 단열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증발기는 상기 하부 저장실의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기공급덕트는 상기 제2증발기에서 상기 중간 저장실의 후측에 걸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저장실의 후면 하단부에 상기 중간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공급장치는 냉기를 송풍하는 순환팬과,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는 냉기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단열격벽들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상부 저장실, 중간 저장실 및 하부 저장실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1증발기와,
    상기 하부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2증발기와,
    상기 제2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중간 저장실로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냉기공급덕트와,
    상기 냉기공급덕트를 통해 전달된 냉기가 상기 중간 저장실의 전면까지 도달해 퍼질 수 있도록 상기 중간 저장실의 천정에 굴곡지게 형성되는 냉기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확산부는 상기 중간 저장실의 입구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곡면부와, 상기 중간 저장실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높이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급격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곡면부와, 상기 중간 저장실의 내부에서 높이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3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중간 저장실에서 흡입된 냉기가 복귀하는 냉기복귀덕트와, 얼음을 만드는 제빙장치에서 흡입된 냉기가 복귀하는 제빙냉기복귀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기복귀덕트는 상기 제빙냉기복귀덕트와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복귀덕트와 제빙냉기복귀덕트 사이에는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열격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저장실은 후방 일측에 상기 중간 저장실의 냉기를 흡입하며, 상기 냉기복귀덕트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냉기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흡입구는 상기 중간 저장실로 토출된 냉기가 바로 상기 냉기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냉기흡입구의 상측을 덮는 유입방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저장실은 천정 내부에 상기 냉기공급덕트를 통해 전달된 냉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냉기확산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저장실은 상기 냉기확산유로를 통해 전달된 냉기가 상기 중간 저장실 내부로 토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냉기토출홀(ho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확산유로의 외측은 단열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증발기는 상기 하부 저장실의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기공급덕트는 상기 제2증발기에서 상기 중간 저장실의 후측에 걸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저장실의 후면 하단부에 상기 중간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 기공급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공급장치는 냉기를 송풍하는 순환팬과,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는 냉기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90108025A 2009-06-01 2009-11-10 냉장고 Expired - Fee Related KR101740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01,104 US9010145B2 (en) 2009-06-01 2010-05-21 Refrigerator
EP10164203.1A EP2270406B1 (en) 2009-06-01 2010-05-28 Refrigerator
CN2010101938726A CN101900470A (zh) 2009-06-01 2010-06-01 制冷机
US14/665,541 US20150192344A1 (en) 2009-06-01 2015-03-23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8272 2009-06-01
KR1020090048272 2009-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671A true KR20100129671A (ko) 2010-12-09
KR101740333B1 KR101740333B1 (ko) 2017-05-30

Family

ID=4350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025A Expired - Fee Related KR101740333B1 (ko) 2009-06-01 2009-11-10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3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110A (ko) * 2019-04-15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1006644A1 (en) * 2019-07-09 2021-01-14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20210072576A (ko) * 2019-12-09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72573A (ko) * 2019-12-09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692756B2 (en) 2019-12-09 2023-07-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184A (ko) * 2020-04-08 2021-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3804A (ja) * 2003-03-25 2004-10-21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110A (ko) * 2019-04-15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1006644A1 (en) * 2019-07-09 2021-01-14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CN114127496A (zh) * 2019-07-09 2022-03-01 Lg电子株式会社 真空绝热体和冰箱
US11788785B2 (en) 2019-07-09 2023-10-17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US12111098B2 (en) 2019-07-09 2024-10-08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CN114127496B (zh) * 2019-07-09 2024-10-29 Lg电子株式会社 真空绝热体和冰箱
KR20210072576A (ko) * 2019-12-09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72573A (ko) * 2019-12-09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692756B2 (en) 2019-12-09 2023-07-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333B1 (ko)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0406B1 (en) Refrigerator
CN107131700B (zh) 冰箱
JP4694853B2 (ja) 冷蔵庫および冷蔵庫の冷気流路構造
US7036334B2 (en) Refrigerator having temperature controlled chamber
KR101519134B1 (ko) 냉장고
KR101332018B1 (ko) 냉장고
KR20110098413A (ko) 냉장고
KR101680382B1 (ko) 모듈식 냉장고
KR20100129671A (ko) 냉장고
JP3904866B2 (ja) 冷蔵庫
JP3594545B2 (ja) 冷蔵庫
KR20110015789A (ko) 프렌치 도어형 냉장고
JP2003075048A (ja) 電気冷蔵庫
JP3594544B2 (ja) 冷蔵庫
KR102222501B1 (ko) 냉장고
JP7011301B2 (ja) 冷蔵庫
JP6261327B2 (ja) 冷凍冷蔵庫
JP2001280795A (ja) 冷蔵庫
KR20140124115A (ko) 냉장고
KR101594387B1 (ko) 프렌치 도어형 냉장고
KR200292004Y1 (ko) 냉장고
JP6955348B2 (ja) 冷蔵庫
JPS608294Y2 (ja) 冷凍冷蔵庫
JP6709348B2 (ja) 冷蔵庫
JP2002107033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1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