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263A -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29263A KR20100129263A KR1020107013359A KR20107013359A KR20100129263A KR 20100129263 A KR20100129263 A KR 20100129263A KR 1020107013359 A KR1020107013359 A KR 1020107013359A KR 20107013359 A KR20107013359 A KR 20107013359A KR 20100129263 A KR20100129263 A KR 201001292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saccharide
- particulate gel
- gel
- particulate
- aqueous mediu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2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title claims abstract 20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1
- 239000012736 aqueous medi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5865 ionizing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0894 electron beam technolog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906 humec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694440 Colpidium aqueo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40054534 ophthalmic solution Drugs 0.000 claims 1
- 239000002997 ophthalmic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02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9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49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6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8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9000003889 eye dro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1 hydroxy radic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4909 Moistur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1333 moisturizer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2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29940012356 eye drops Drug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5251 gamma ray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879 optical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08000003556 Dry Eye Syndromes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06010013774 Dry eye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KWYUFKZDYYNOTN-UHFFFAOYSA-M Potass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K+] KWYUFKZDYYNOT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OSASVXMJTNOKOY-UHFFFAOYSA-N chlorobutanol Chemical compound CC(C)(O)C(Cl)(Cl)Cl OSASVXMJTNOK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51 isotonicity adju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67 medic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936 Agar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1508 ey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GUTLYIVDDKVIGB-OUBTZVSYSA-N Cobalt-60 Chemical compound [60Co] GUTLYIVDDKVIGB-OUBTZVSYSA-N 0.000 description 4
- ULGZDMOVFRHVEP-RWJQBGPGSA-N Erythromycin Chemical compound O([C@@H]1[C@@H](C)C(=O)O[C@@H]([C@@]([C@H](O)[C@@H](C)C(=O)[C@H](C)C[C@@](C)(O)[C@H](O[C@H]2[C@@H]([C@H](C[C@@H](C)O2)N(C)C)O)[C@H]1C)(C)O)CC)[C@H]1C[C@@](C)(OC)[C@@H](O)[C@H](C)O1 ULGZDMOVFRHVEP-RWJQBGPG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02651 NO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NHNBFGGVMKEFGY-UHFFFAOYSA-N Nitrate Chemical compound [O-][N+]([O-])=O NHNBFGGVMKEF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60000686 benzalkonium 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4
- CADWTSSKOVRVJC-UHFFFAOYSA-N benzyl(dimethyl)azan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NH+](C)CC1=CC=CC=C1 CADWTSSKOVRV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KGBXLFKZBHKPEV-UHFFFAOYSA-N boric acid Chemical compound OB(O)O KGBXLFKZBHKP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327 bo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CGIGDMFJXJATDK-UHFFFAOYSA-N indomethacin Chemical compound CC1=C(CC(O)=O)C2=CC(OC)=CC=C2N1C(=O)C1=CC=C(Cl)C=C1 CGIGDMFJXJAT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538 bora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BBBFJLBPOGFECG-VJVYQDLKSA-N calcitonin Chemical compound N([C@H](C(=O)N[C@@H](CC(C)C)C(=O)NCC(=O)N[C@@H](CCCCN)C(=O)N[C@@H](CC(C)C)C(=O)N[C@@H](CO)C(=O)N[C@@H](CCC(N)=O)C(=O)N[C@@H](CCC(O)=O)C(=O)N[C@@H](CC(C)C)C(=O)N[C@@H](CC=1NC=NC=1)C(=O)N[C@@H](CCCCN)C(=O)N[C@@H](CC(C)C)C(=O)N[C@@H](CCC(N)=O)C(=O)N[C@@H]([C@@H](C)O)C(=O)N[C@@H](CC=1C=CC(O)=CC=1)C(=O)N1[C@@H](CCC1)C(=O)N[C@@H](CCCNC(N)=N)C(=O)N[C@@H]([C@@H](C)O)C(=O)N[C@@H](CC(N)=O)C(=O)N[C@@H]([C@@H](C)O)C(=O)NCC(=O)N[C@@H](CO)C(=O)NCC(=O)N[C@@H]([C@@H](C)O)C(=O)N1[C@@H](CCC1)C(N)=O)C(C)C)C(=O)[C@@H]1CSSC[C@H](N)C(=O)N[C@@H](CO)C(=O)N[C@@H](CC(N)=O)C(=O)N[C@@H](CC(C)C)C(=O)N[C@@H](CO)C(=O)N[C@@H]([C@@H](C)O)C(=O)N1 BBBFJLBPOGFECG-VJVYQDLKSA-N 0.000 description 3
- TVFDJXOCXUVLDH-RNFDNDRNSA-N cesium-137 Chemical compound [137Cs] TVFDJXOCXUVLDH-RNFDNDRNSA-N 0.000 description 3
- 229960004926 chlorobutanol Drugs 0.000 description 3
- VNFPBHJOKIVQEB-UHFFFAOYSA-N clotrimazole Chemical compound ClC1=CC=CC=C1C(N1C=NC=C1)(C=1C=CC=CC=1)C1=CC=CC=C1 VNFPBHJOKIVQ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60004022 clotrimazole Drugs 0.000 description 3
- BEFDCLMNVWHSGT-UHFFFAOYSA-N ethenylcyclopentane Chemical compound C=CC1CCCC1 BEFDCLMNVWHS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28 sodium tetrabo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339 sodium tetrabo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34 s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199 s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075582 s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3
- QAOWNCQODCNURD-UHFFFAOYSA-L sulfate group Chemical group S(=O)(=O)([O-])[O-] QAOWNCQODCNUR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CHHHXKFHOYLYRE-UHFFFAOYSA-M 2,4-Hexadienoic acid, potassium salt (1:1), (2E,4E)- Chemical compound [K+].CC=CC=CC([O-])=O CHHHXKFHOYLYRE-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CIVCELMLGDGMKZ-UHFFFAOYSA-N 2,4-dichloro-6-methylpyridine-3-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l)=C(C(O)=O)C(Cl)=N1 CIVCELMLGDGMK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LXKOJJOQWFEFD-UHFFFAOYSA-N 6-amino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NCCCCCC(O)=O SLXKOJJOQWF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ZVAJINKPMORJF-UHFFFAOYSA-N Acetaminophen Chemical compound CC(=O)NC1=CC=C(O)C=C1 RZVAJINKPMOR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55006 Calciton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60001064 Calciton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2177 Catarac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2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GHASVSINZRGABV-UHFFFAOYSA-N Fluorouracil Chemical compound FC1=CNC(=O)NC1=O GHASVSINZRGA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0 Fructa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855 Fucoida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0412 Glauc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OHFNLRQFUQHCH-YFKPBYRVSA-N L-leucine Chemical compound CC(C)C[C@H](N)C(O)=O ROHFNLRQFUQHCH-YFKPBYRV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43 Lamina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ROHFNLRQFUQHCH-UHFFFAOYSA-N Leucine Natural products CC(C)CC(N)C(O)=O ROHFNLRQFUQH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TWRXJAOTZQYOKJ-UHFFFAOYSA-L Magne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WCUXLLCKKVVCTQ-UHFFFAOYSA-M Potas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K+] WCUXLLCKKVVCT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684 aminocapro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VIROVYVQCGLCII-UHFFFAOYSA-N amobarbital Chemical compound CC(C)CCC1(CC)C(=O)NC(=O)NC1=O VIROVYVQCGLCI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121363 anti-inflammatory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60 anti-inflammator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5715 antihistamin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39 antihistami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29 ato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UREZNYTWGJKWBI-UHFFFAOYSA-M benzethon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1=CC(C(C)(C)CC(C)(C)C)=CC=C1OCCOCC[N+](C)(C)CC1=CC=CC=C1 UREZNYTWGJKWBI-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015 calciton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18 carrageen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25 carrageena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79 carrageena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13118 carrageena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59 casto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38 casto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87 corne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957 dexamethasone Drugs 0.000 description 2
- UREBDLICKHMUKA-CXSFZGCWSA-N dexamethasone Chemical compound C1CC2=CC(=O)C=C[C@]2(C)[C@]2(F)[C@@H]1[C@@H]1C[C@@H](C)[C@@](C(=O)CO)(O)[C@@]1(C)C[C@@H]2O UREBDLICKHMUKA-CXSFZGCW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525 diphenhydramine hydro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484 edet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276 erythromyc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0533 ey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949 fluorouraci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79 ge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EMPKEQAKRGZGQ-XOQCFJPHSA-N glycerol triricinoleate Natural products CCCCCC[C@@H](O)CC=CCCCCCCCC(=O)OC[C@@H](COC(=O)CCCCCCCC=CC[C@@H](O)CCCCCC)OC(=O)CCCCCCCC=CC[C@H](O)CCCCCC ZEMPKEQAKRGZGQ-XOQCFJPHSA-N 0.000 description 2
- JYGXADMDTFJGBT-VWUMJDOOSA-N hydrocortisone Chemical compound O=C1CC[C@]2(C)[C@H]3[C@@H](O)C[C@](C)([C@@](CC4)(O)C(=O)CO)[C@@H]4[C@@H]3CCC2=C1 JYGXADMDTFJGBT-VWUMJDOO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7 hypn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905 indomethac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OESYZHRGYRDHS-UHFFFAOYSA-N insulin Chemical compound N1C(=O)C(NC(=O)C(CCC(N)=O)NC(=O)C(CCC(O)=O)NC(=O)C(C(C)C)NC(=O)C(NC(=O)CN)C(C)CC)CSSCC(C(NC(CO)C(=O)NC(CC(C)C)C(=O)NC(CC=2C=CC(O)=CC=2)C(=O)NC(CCC(N)=O)C(=O)NC(CC(C)C)C(=O)NC(CCC(O)=O)C(=O)NC(CC(N)=O)C(=O)NC(CC=2C=CC(O)=CC=2)C(=O)NC(CSSCC(NC(=O)C(C(C)C)NC(=O)C(CC(C)C)NC(=O)C(CC=2C=CC(O)=CC=2)NC(=O)C(CC(C)C)NC(=O)C(C)NC(=O)C(CCC(O)=O)NC(=O)C(C(C)C)NC(=O)C(CC(C)C)NC(=O)C(CC=2NC=NC=2)NC(=O)C(CO)NC(=O)CNC2=O)C(=O)NCC(=O)NC(CCC(O)=O)C(=O)NC(CCCNC(N)=N)C(=O)NCC(=O)NC(CC=3C=CC=CC=3)C(=O)NC(CC=3C=CC=CC=3)C(=O)NC(CC=3C=CC(O)=CC=3)C(=O)NC(C(C)O)C(=O)N3C(CCC3)C(=O)NC(CCCCN)C(=O)NC(C)C(O)=O)C(=O)NC(CC(N)=O)C(O)=O)=O)NC(=O)C(C(C)CC)NC(=O)C(CO)NC(=O)C(C(C)O)NC(=O)C1CSSCC2NC(=O)C(CC(C)C)NC(=O)C(NC(=O)C(CCC(N)=O)NC(=O)C(CC(N)=O)NC(=O)C(NC(=O)C(N)CC=1C=CC=CC=1)C(C)C)CC1=CN=CN1 NOESYZHRGYRD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44 isotonic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DBTMGCOVALSLOR-VPNXCSTESA-N laminar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1O[C@@H]1[C@@H](O)C(O[C@H]2[C@@H]([C@@H](CO)OC(O)[C@@H]2O)O)O[C@H](CO)[C@H]1O DBTMGCOVALSLOR-VPNXCSTE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TZBAVQKIEKDGFH-UHFFFAOYSA-N n-[2-(diethylamino)ethyl]-1-benzothiophene-2-carboxamide;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1=CC=C2SC(C(=O)NCC[NH+](CC)CC)=CC2=C1 TZBAVQKIEKDG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74 oint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4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82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53 polysorbate 80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40068968 polysorbate 80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02 potassium sorb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241 potassium sorb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69338 potassium sorb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AQHHHDLHHXJYJD-UHFFFAOYSA-N propranolol Chemical compound C1=CC=C2C(OCC(O)CNC(C)C)=CC=CC2=C1 AQHHHDLHHXJY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436 prop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H]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46 repe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YGSDEFSMJLZEOE-UHFFFAOYSA-N salic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O YGSDEFSMJLZEO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3542 sodium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29 sod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488 sod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162 sod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OTNVGWMVOULBFZ-UHFFFAOYSA-N sodium;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OTNVGWMVOULBF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JLKIGFTWXXRPMT-UHFFFAOYSA-N sulphamethoxazole Chemical compound O1C(C)=CC(NS(=O)(=O)C=2C=CC(N)=CC=2)=N1 JLKIGFTWXXRPM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268 sustained releas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30 sustained-releas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FMWSXOAZQYPI-UHFFFAOYSA-K trisod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Na+].[Na+].[O-]P([O-])([O-])=O RYFMWSXOAZQYPI-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UHVMMEOXYDMDKI-JKYCWFKZSA-L zinc;1-(5-cyanopyridin-2-yl)-3-[(1s,2s)-2-(6-fluoro-2-hydroxy-3-propanoylphenyl)cyclopropyl]urea;diacetate Chemical compound [Zn+2].CC([O-])=O.CC([O-])=O.CCC(=O)C1=CC=C(F)C([C@H]2[C@H](C2)NC(=O)NC=2N=CC(=CC=2)C#N)=C1O UHVMMEOXYDMDKI-JKYCWFKZSA-L 0.000 description 2
- XMAYWYJOQHXEEK-OZXSUGGESA-N (2R,4S)-ketoconazole Chemical compound C1CN(C(=O)C)CCN1C(C=C1)=CC=C1OC[C@@H]1O[C@@](CN2C=NC=C2)(C=2C(=CC(Cl)=CC=2)Cl)OC1 XMAYWYJOQHXEEK-OZXSUGGESA-N 0.000 description 1
- MTCFGRXMJLQNBG-REOHCLBHSA-N (2S)-2-Amino-3-hydroxypropansäure Chemical compound OC[C@H](N)C(O)=O MTCFGRXMJLQNBG-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KIUKXJAPPMFGSW-DNGZLQJQSA-N (2S,3S,4S,5R,6R)-6-[(2S,3R,4R,5S,6R)-3-Acetamido-2-[(2S,3S,4R,5R,6R)-6-[(2R,3R,4R,5S,6R)-3-acetamido-2,5-di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2-carboxy-4,5-dihydroxyoxan-3-yl]oxy-5-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3,4,5-trihydroxy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O)N[C@H]1[C@H](O)O[C@H](CO)[C@@H](O)[C@@H]1O[C@H]1[C@H](O)[C@@H](O)[C@H](O[C@H]2[C@@H]([C@@H](O[C@H]3[C@@H]([C@@H](O)[C@H](O)[C@H](O3)C(O)=O)O)[C@H](O)[C@@H](CO)O2)NC(C)=O)[C@@H](C(O)=O)O1 KIUKXJAPPMFGSW-DNGZLQJQSA-N 0.000 description 1
- RDEIXVOBVLKYNT-VQBXQJRRSA-N (2r,3r,4r,5r)-2-[(1s,2s,3r,4s,6r)-4,6-diamino-3-[(2r,3r,6s)-3-amino-6-(1-aminoethyl)oxan-2-yl]oxy-2-hydroxycyclohexyl]oxy-5-methyl-4-(methylamino)oxane-3,5-diol;(2r,3r,4r,5r)-2-[(1s,2s,3r,4s,6r)-4,6-diamino-3-[(2r,3r,6s)-3-amino-6-(aminomethyl)oxan-2-yl]o Chemical compound OS(O)(=O)=O.O1C[C@@](O)(C)[C@H](NC)[C@@H](O)[C@H]1O[C@@H]1[C@@H](O)[C@H](O[C@@H]2[C@@H](CC[C@@H](CN)O2)N)[C@@H](N)C[C@H]1N.O1C[C@@](O)(C)[C@H](NC)[C@@H](O)[C@H]1O[C@@H]1[C@@H](O)[C@H](O[C@@H]2[C@@H](CC[C@H](O2)C(C)N)N)[C@@H](N)C[C@H]1N.O1[C@H](C(C)NC)CC[C@@H](N)[C@H]1O[C@H]1[C@H](O)[C@@H](O[C@@H]2[C@@H]([C@@H](NC)[C@@](C)(O)CO2)O)[C@H](N)C[C@@H]1N RDEIXVOBVLKYNT-VQBXQJRRSA-N 0.000 description 1
- CPKVUHPKYQGHMW-UHFFFAOYSA-N 1-ethenylpyrrolidin-2-one;molecular iodine Chemical compound II.C=CN1CCCC1=O CPKVUHPKYQGHM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EDJGPQLLNQAIY-UHFFFAOYSA-N 2-[(6-oxo-1h-pyridazin-3-yl)oxy]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OC=1C=CC(=O)NN=1 FEDJGPQLLNQA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OXNCSQBTYNMHD-UHFFFAOYSA-N 3-(4-chlorophenyl)-n,n-dimethyl-3-pyridin-2-ylpropan-1-amine;hydron;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1C=CC=NC=1C(CCN(C)C)C1=CC=C(Cl)C=C1 NOXNCSQBTYNMH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JJGZPJJTHBVMX-UHFFFAOYSA-N 5,7-Dihydroxyisoflavone Chemical compound C=1C(O)=CC(O)=C(C2=O)C=1OC=C2C1=CC=CC=C1 PJJGZPJJTHBV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285 Allergic Seasonal Rhin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45 Amylo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6 Amy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BSYNRYMUTXBXSQ-UHFFFAOYSA-N Aspirin Chemical compound CC(=O)OC1=CC=CC=C1C(O)=O BSYNRYMUTXBXS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UVIULQEHSCUHY-XYWKZLDCSA-N Beclometasone Chemical compound C1CC2=CC(=O)C=C[C@]2(C)[C@]2(Cl)[C@@H]1[C@@H]1C[C@H](C)[C@@](C(=O)COC(=O)CC)(OC(=O)CC)[C@@]1(C)C[C@@H]2O KUVIULQEHSCUHY-XYWKZLDC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150 Bordetella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846 Carbonic anhydr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209 Carbonic anhydr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6147 Cephalospor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01 Chi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DBAKFASWICGISY-BTJKTKAUSA-N Chlorpheniramine maleate Chemical compound OC(=O)\C=C/C(O)=O.C=1C=CC=NC=1C(CCN(C)C)C1=CC=C(Cl)C=C1 DBAKFASWICGISY-BTJKTKAU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CMSMOCZEIVJLDB-UHFFFAOYSA-N Cyclophosphamide Chemical compound ClCCN(CCCl)P1(=O)NCCCO1 CMSMOCZEIVJLD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MATZTZNYRCHOR-CGLBZJNRSA-N Cyclosporin A Chemical compound CC[C@@H]1NC(=O)[C@H]([C@H](O)[C@H](C)C\C=C\C)N(C)C(=O)[C@H](C(C)C)N(C)C(=O)[C@H](CC(C)C)N(C)C(=O)[C@H](CC(C)C)N(C)C(=O)[C@@H](C)NC(=O)[C@H](C)NC(=O)[C@H](CC(C)C)N(C)C(=O)[C@H](C(C)C)NC(=O)[C@H](CC(C)C)N(C)C(=O)CN(C)C1=O PMATZTZNYRCHOR-CGLBZJNR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05110 Cyclosporin A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6949 Cyclospor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CTENFNNZBMHDDG-UHFFFAOYSA-N Dopam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NCCC1=CC=C(O)C(O)=C1 CTENFNNZBMHDD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03 Gluc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JMBQKKAJIKAWKF-UHFFFAOYSA-N Glutethimide Chemical compound C=1C=CC=CC=1C1(CC)CCC(=O)NC1=O JMBQKKAJIKAW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07 Guar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61585 Hadrobregmus pertin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HEFNNWSXXWATRW-UHFFFAOYSA-N Ibuprofen Chemical compound CC(C)CC1=CC=C(C(C)C(O)=O)C=C1 HEFNNWSXXWATR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1061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877 Ins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4150 Interfero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0904 Interfero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02 Inul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ZCVMWBYGMWKGHF-UHFFFAOYSA-N Ketotifene Chemical compound C1CN(C)CCC1=C1C2=CC=CC=C2CC(=O)C2=C1C=CS2 ZCVMWBYGMWKGH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NIBWKKTOPOVIA-BYPYZUCNSA-N L-Proline Chemical compound OC(=O)[C@@H]1CCCN1 ONIBWKKTOPOVIA-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NNJVILVZKWQKPM-UHFFFAOYSA-N Lidocaine Chemical compound CCN(CC)CC(=O)NC1=C(C)C=CC=C1C NNJVILVZKWQK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61 Locust bean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GRYLNZFGIOXLOG-UHFFFAOYSA-N N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N+]([O-])=O GRYLNZFGIOXLO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702 Pertus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XOFVDLJLONNDW-UHFFFAOYSA-N Phenytoin Chemical compound N1C(=O)NC(=O)C1(C=1C=CC=CC=1)C1=CC=CC=C1 CXOFVDLJLONND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15 Porphyr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3 Povidone-iod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LRJOMUJRLNCICJ-JZYPGELDSA-N Prednisolone acetate Chemical compound C1CC2=CC(=O)C=C[C@]2(C)[C@@H]2[C@@H]1[C@@H]1CC[C@@](C(=O)COC(=O)C)(O)[C@@]1(C)C[C@@H]2O LRJOMUJRLNCICJ-JZYPGELDSA-N 0.000 description 1
- ONIBWKKTOPOVIA-UHFFFAOYSA-N Proline Natural products OC(=O)C1CCCN1 ONIBWKKTOPOVI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FOBLEOULBTSOW-UHFFFAOYSA-N Propa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O)=O OFOBLEOULBTS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TCFGRXMJLQNBG-UHFFFAOYSA-N Serine Natural products OCC(N)C(O)=O MTCFGRXMJLQN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MZURENOXWZQFD-UHFFFAOYSA-L Sod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Na+].[Na+].[O-]S([O-])(=O)=O PMZURENOXWZQF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RZOXEODOFNEZRS-UHFFFAOYSA-N Tramazol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N1CCN=C1[NH2+]C1=CC=CC2=C1CCCC2 RZOXEODOFNEZ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990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435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9 acacia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85 acacia senegal l. willd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2663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38 acetylsalicy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32 agents acting on the e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60 alpha r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ECIYKGSSMCNHN-UHFFFAOYSA-N aminophylline Chemical compound NCCN.O=C1N(C)C(=O)N(C)C2=NC=N[C]21.O=C1N(C)C(=O)N(C)C2=NC=N[C]21 PECIYKGSSMCN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56 aminophyl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301 amobarbita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022 amoxicil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LSQZJLSUYDQPKJ-NJBDSQKTSA-N amoxicillin Chemical compound C1([C@@H](N)C(=O)N[C@H]2[C@H]3SC([C@@H](N3C2=O)C(O)=O)(C)C)=CC=C(O)C=C1 LSQZJLSUYDQPKJ-NJBDSQKT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723 ampicil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AVKUERGKIZMTKX-NJBDSQKTSA-N ampicillin Chemical compound C1([C@@H](N)C(=O)N[C@H]2[C@H]3SC([C@@H](N3C2=O)C(O)=O)(C)C)=CC=CC=C1 AVKUERGKIZMTKX-NJBDSQKT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7 antagon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84 anti-glaucom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21 anti-sep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3 antiallerg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375 antifungal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29 antifung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76 antimalign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07 antipyretic analges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63 arrhyth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7 artificial te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70 azathiop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LMEKQMALGUDUQG-UHFFFAOYSA-N azathioprine Chemical compound CN1C=NC([N+]([O-])=O)=C1SC1=NC=NC2=C1NC=N2 LMEKQMALGUDUQ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335 azelastine hydro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YEJAJYAHJQIWNU-UHFFFAOYSA-N azelast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1CN(C)CCCC1N1C(=O)C2=CC=CC=C2C(CC=2C=CC(Cl)=CC=2)=N1 YEJAJYAHJQIWN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872 benzethoni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950 benzethonium 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50 beta r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5 b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630 bronchodilator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68 bronchodilato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52 bulbus oculi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773 calcitonin (salmon synthetic)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7 cardia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IURVHNZVLADCM-IUODEOHRSA-N cefalotin Chemical compound N([C@H]1[C@@H]2N(C1=O)C(=C(CS2)COC(=O)C)C(O)=O)C(=O)CC1=CC=CS1 XIURVHNZVLADCM-IUODEOHR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603 cefalo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1 cell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106164 cephalexin Drugs 0.000 description 1
- ZAIPMKNFIOOWCQ-UEKVPHQBSA-N cephalexin Chemical compound C1([C@@H](N)C(=O)N[C@H]2[C@@H]3N(C2=O)C(=C(CS3)C)C(O)=O)=CC=CC=C1 ZAIPMKNFIOOWCQ-UEKVPHQB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87 cephalospo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80 cephalospor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DDPFHDCZUJFNAT-PZPWKVFESA-N chembl2104402 Chemical compound N([C@H](C(=O)N[C@@H](CC(C)C)C(=O)NCC(=O)N[C@@H](CCCCN)C(=O)N[C@@H](CC(C)C)C(=O)N[C@@H](CO)C(=O)N[C@@H](CCC(N)=O)C(=O)N[C@@H](CCC(O)=O)C(=O)N[C@@H](CC(C)C)C(=O)N[C@@H](CC=1N=CNC=1)C(=O)N[C@@H](CCCCN)C(=O)N[C@@H](CC(C)C)C(=O)N[C@@H](CCC(N)=O)C(=O)N[C@@H]([C@@H](C)O)C(=O)N[C@@H](CC=1C=CC(O)=CC=1)C(=O)N1[C@@H](CCC1)C(=O)N[C@@H](CCCNC(N)=N)C(=O)N[C@@H]([C@@H](C)O)C(=O)N[C@@H](CC(O)=O)C(=O)N[C@@H](C(C)C)C(=O)NCC(=O)N[C@@H](C)C(=O)NCC(=O)N[C@@H]([C@@H](C)O)C(=O)N1[C@@H](CCC1)C(N)=O)C(C)C)C(=O)[C@@H]1CCCCCC(=O)N[C@@H](CO)C(=O)N[C@@H](CC(N)=O)C(=O)N[C@@H](CC(C)C)C(=O)N[C@@H](CO)C(=O)N[C@@H]([C@@H](C)O)C(=O)N1 DDPFHDCZUJFNAT-PZPWKVFE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333 chlorhexidine gluc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YZIYKJHYYHPJIB-UUPCJSQJSA-N chlorhexidine gluconat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O.OC[C@@H](O)[C@@H](O)[C@H](O)[C@@H](O)C(O)=O.C1=CC(Cl)=CC=C1NC(=N)NC(=N)NCCCCCCNC(=N)NC(=N)NC1=CC=C(Cl)C=C1 YZIYKJHYYHPJIB-UUPCJSQJ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291 chlorphen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SOYKEARSMXGVTM-UHFFFAOYSA-N chlorphenamine Chemical compound C=1C=CC=NC=1C(CCN(C)C)C1=CC=C(Cl)C=C1 SOYKEARSMXGVT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978 chlorpheniramine male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65 ciclospo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95 conjunct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6 corticostero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334 corticosteroid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397 cyclophospham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912 cyclospor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2 de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88 decontamin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LCQGRYPOISRTQ-FCJDYXGNSA-L dexamethasone sod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Na+].C1CC2=CC(=O)C=C[C@]2(C)[C@]2(F)[C@@H]1[C@@H]1C[C@@H](C)[C@@](C(=O)COP([O-])([O-])=O)(O)[C@@]1(C)C[C@@H]2O PLCQGRYPOISRTQ-FCJDYXGNSA-L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29 diazepam Drugs 0.000 description 1
- AAOVKJBEBIDNHE-UHFFFAOYSA-N diazepam Chemical compound N=1CC(=O)N(C)C2=CC=C(Cl)C=C2C=1C1=CC=CC=C1 AAOVKJBEBIDNH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59 diclofenac Drugs 0.000 description 1
- DCOPUUMXTXDBNB-UHFFFAOYSA-N diclofenac Chemical compound OC(=O)CC1=CC=CC=C1NC1=C(Cl)C=CC=C1Cl DCOPUUMXTXDB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93 diclofenac sodi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49 diges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16 diltiazem hydro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520 diphenhydr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ZZVUWRFHKOJYTH-UHFFFAOYSA-N diphenhydram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CN(C)C)C1=CC=CC=C1 ZZVUWRFHKOJYT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CIDZIIHRGYJAE-YGFYJFDDSA-L dipotassium;[(2r,3r,4s,5r,6r)-3,4,5-trihydroxy-6-(hydroxymethyl)oxan-2-yl]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K+].OC[C@H]1O[C@H](OP([O-])([O-])=O)[C@H](O)[C@@H](O)[C@H]1O KCIDZIIHRGYJAE-YGFYJFDDSA-L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68 dipyridamole Drugs 0.000 description 1
- IZEKFCXSFNUWAM-UHFFFAOYSA-N dipyridamole Chemical compound C=12N=C(N(CCO)CCO)N=C(N3CCCCC3)C2=NC(N(CCO)CCO)=NC=1N1CCCCC1 IZEKFCXSFNUWA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53 domperid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FGXWKSZFVQUSTL-UHFFFAOYSA-N domperidone Chemical compound C12=CC=CC=C2NC(=O)N1CCCN(CC1)CCC1N1C2=CC=C(Cl)C=C2NC1=O FGXWKSZFVQUST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49 dopamine hydro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6 dro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77 drug deli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57 dru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700032313 elcaton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756 elcaton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95 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85 eye oint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369 flufenam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LPEPZBJOKDYZAD-UHFFFAOYSA-N flufen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NC1=CC=CC(C(F)(F)F)=C1 LPEPZBJOKDYZ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048 fluoromethol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FAOZLTXFLGPHNG-KNAQIMQKSA-N fluorometholone Chemical compound C([C@@]12C)=CC(=O)C=C1[C@@H](C)C[C@@H]1[C@]2(F)[C@@H](O)C[C@]2(C)[C@@](O)(C(C)=O)CC[C@H]21 FAOZLTXFLGPHNG-KNAQIMQ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390 flurbiprofen Drugs 0.000 description 1
- SYTBZMRGLBWNTM-UHFFFAOYSA-N flurbiprofen Chemical compound FC1=CC(C(C(O)=O)C)=CC=C1C1=CC=CC=C1 SYTBZMRGLBWNT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7 fung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34 glyc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UHFFFAOYSA-N glycyrrhetinic acid glycoside Natural products C1CC(C2C(C3(CCC4(C)CCC(C)(CC4C3=CC2=O)C(O)=O)C)(C)CC2)(C)C2C(C)(C)C1OC1OC(C(O)=O)C(O)C(O)C1OC1OC(C(O)=O)C(O)C(O)C1O LPLVUJXQOOQH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UYRUBYNTXSDKQT-UHFFFAOY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CC2(C)C1CCC3(C)C2C(=O)C=C4C5CC(C)(CCC5(C)CCC34C)C(=O)O)OC6OC(C(O)C(O)C6OC7OC(O)C(O)C(O)C7C(=O)O)C(=O)O UYRUBYNTXSDK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149 gon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7 guar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65 guar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54 guar gum Drugs 0.000 description 1
- SPSXSWRZQFPVTJ-ZQQKUFEYSA-N hepatitis b vaccine Chemical compound C([C@H](NC(=O)[C@H]([C@@H](C)O)NC(=O)[C@H]([C@@H](C)O)NC(=O)[C@H](CO)NC(=O)[C@H](CC(N)=O)NC(=O)[C@H](CC=1C2=CC=CC=C2NC=1)NC(=O)[C@H](CCC(N)=O)NC(=O)[C@@H](N)CCSC)C(=O)N[C@@H](CC1N=CN=C1)C(=O)N[C@@H](CCC(N)=O)C(=O)N[C@@H]([C@@H](C)O)C(=O)N[C@@H](CC(C)C)C(=O)N[C@@H](CCC(N)=O)C(=O)N[C@@H](CC(O)=O)C(=O)N1[C@@H](CCC1)C(=O)N[C@@H](CCCNC(N)=N)C(=O)N[C@@H](C(C)C)C(=O)OC(=O)CNC(=O)CNC(=O)[C@H](C)NC(=O)[C@H]1N(CCC1)C(=O)[C@H](CC=1C=CC=CC=1)NC(=O)[C@H](CC=1C=CC(O)=CC=1)NC(=O)[C@H](CC(C)C)NC(=O)CNC(=O)[C@@H](N)CCCNC(N)=N)C1=CC=CC=C1 SPSXSWRZQFPVTJ-ZQQKUFE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736 hepatitis-B vac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4 hyaluron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60 hyaluro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890 hydrocortis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680 ibuprof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721 immunosuppressive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18 immunosuppress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971 influenza vac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396 insu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322 interferon Drugs 0.000 description 1
- JYJIGFIDKWBXDU-MNNPPOADSA-N inul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C@]1(OC[C@]2(OC[C@]3(OC[C@]4(OC[C@]5(OC[C@]6(OC[C@]7(OC[C@]8(OC[C@]9(OC[C@]%10(OC[C@]%11(OC[C@]%12(OC[C@]%13(OC[C@]%14(OC[C@]%15(OC[C@]%16(OC[C@]%17(OC[C@]%18(OC[C@]%19(OC[C@]%20(OC[C@]%21(OC[C@]%22(OC[C@]%23(OC[C@]%24(OC[C@]%25(OC[C@]%26(OC[C@]%27(OC[C@]%28(OC[C@]%29(OC[C@]%30(OC[C@]%31(OC[C@]%32(OC[C@]%33(OC[C@]%34(OC[C@]%35(OC[C@]%36(O[C@@H]%37[C@@H]([C@@H](O)[C@H](O)[C@@H](CO)O%37)O)[C@H]([C@H](O)[C@@H](CO)O%36)O)[C@H]([C@H](O)[C@@H](CO)O%35)O)[C@H]([C@H](O)[C@@H](CO)O%34)O)[C@H]([C@H](O)[C@@H](CO)O%33)O)[C@H]([C@H](O)[C@@H](CO)O%32)O)[C@H]([C@H](O)[C@@H](CO)O%31)O)[C@H]([C@H](O)[C@@H](CO)O%30)O)[C@H]([C@H](O)[C@@H](CO)O%29)O)[C@H]([C@H](O)[C@@H](CO)O%28)O)[C@H]([C@H](O)[C@@H](CO)O%27)O)[C@H]([C@H](O)[C@@H](CO)O%26)O)[C@H]([C@H](O)[C@@H](CO)O%25)O)[C@H]([C@H](O)[C@@H](CO)O%24)O)[C@H]([C@H](O)[C@@H](CO)O%23)O)[C@H]([C@H](O)[C@@H](CO)O%22)O)[C@H]([C@H](O)[C@@H](CO)O%21)O)[C@H]([C@H](O)[C@@H](CO)O%20)O)[C@H]([C@H](O)[C@@H](CO)O%19)O)[C@H]([C@H](O)[C@@H](CO)O%18)O)[C@H]([C@H](O)[C@@H](CO)O%17)O)[C@H]([C@H](O)[C@@H](CO)O%16)O)[C@H]([C@H](O)[C@@H](CO)O%15)O)[C@H]([C@H](O)[C@@H](CO)O%14)O)[C@H]([C@H](O)[C@@H](CO)O%13)O)[C@H]([C@H](O)[C@@H](CO)O%12)O)[C@H]([C@H](O)[C@@H](CO)O%11)O)[C@H]([C@H](O)[C@@H](CO)O%10)O)[C@H]([C@H](O)[C@@H](CO)O9)O)[C@H]([C@H](O)[C@@H](CO)O8)O)[C@H]([C@H](O)[C@@H](CO)O7)O)[C@H]([C@H](O)[C@@H](CO)O6)O)[C@H]([C@H](O)[C@@H](CO)O5)O)[C@H]([C@H](O)[C@@H](CO)O4)O)[C@H]([C@H](O)[C@@H](CO)O3)O)[C@H]([C@H](O)[C@@H](CO)O2)O)[C@@H](O)[C@H](O)[C@@H](CO)O1 JYJIGFIDKWBXDU-MNNPPOAD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339 inu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NDPGZBMCMUPRI-UHFFFAOYSA-N iodine Chemical compound II PNDPGZBMCMUP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OYKHGMNXAOIAT-JGWLITMVSA-N isosorbide dinitrate Chemical compound [O-][N+](=O)O[C@H]1CO[C@@H]2[C@H](O[N+](=O)[O-])CO[C@@H]21 MOYKHGMNXAOIAT-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125 ketoconazole Drugs 0.000 description 1
- DKYWVDODHFEZIM-UHFFFAOYSA-N ketoprofen Chemical compound OC(=O)C(C)C1=CC=CC(C(=O)C=2C=CC=CC=2)=C1 DKYWVDODHFEZI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991 ketoprof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958 ketotifen Drugs 0.000 description 1
- YNQQEYBLVYAWNX-WLHGVMLRSA-N ketotifen fumarate Chemical compound OC(=O)\C=C\C(O)=O.C1CN(C)CCC1=C1C2=CC=CC=C2CC(=O)C2=C1C=CS2 YNQQEYBLVYAWNX-WLHGVMLR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630 ketotifen fuma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47 ki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194 lidoca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89 local anesthe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15 local anesthetic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20 locust bean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11 locust bean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10 lo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35 lyotrop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9 magnes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PHRSURJSA-N male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UPHRSURJ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76 ma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64 mefenam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GLVAUDGFNGKCSF-UHFFFAOYSA-N mercaptopurine Chemical compound S=C1NC=NC2=C1NC=N2 GLVAUDGFNGKCS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428 mercaptopu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BBEJNBLSSWFDSN-UHFFFAOYSA-N methylamino benzoate Chemical compound CNOC(=O)C1=CC=CC=C1 BBEJNBLSSWFDS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15 natur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13 neoplas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YIMSNHJOBLJNT-UHFFFAOYSA-N nifedipine Chemical compound COC(=O)C1=C(C)NC(C)=C(C(=O)OC)C1C1=CC=CC=C1[N+]([O-])=O HYIMSNHJOBLJN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597 nifedip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KJONHKAYOJNZEC-UHFFFAOYSA-N nitrazepam Chemical compound C12=CC([N+](=O)[O-])=CC=C2NC(=O)CN=C1C1=CC=CC=C1 KJONHKAYOJNZ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454 nitrazepam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604 nitric aci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80 norfloxa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OGJPXUAPXNRGGI-UHFFFAOYSA-N norfloxacin Chemical compound C1=C2N(CC)C=C(C(O)=O)C(=O)C2=CC(F)=C1N1CCNCC1 OGJPXUAPXNRGG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702 ophthalm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265 ophthalmic ointm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368 oxytetracycline hydro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LSQZJLSUYDQPKJ-UHFFFAOYSA-N p-Hydroxyampicillin Natural products O=C1N2C(C(O)=O)C(C)(C)SC2C1NC(=O)C(N)C1=CC=C(O)C=C1 LSQZJLSUYDQP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JKROLUGYXJWQN-UHFFFAOYSA-N papa-hydroxy-benz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1=CC=C(O)C=C1 FJKROLUGYXJW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489 paracetam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2196 parasitic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14 p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77 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7 pec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75 pect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DBREPKUVSBGFI-UHFFFAOYSA-N phenobarbital Chemical compound C=1C=CC=CC=1C1(CC)C(=O)NC(=O)NC1=O DDBREPKUVSBG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95 phenobarbita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036 phenyto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PHUTUTUABXHXLW-UHFFFAOYSA-N pindolol Chemical compound CC(C)NCC(O)COC1=CC=CC2=NC=C[C]12 PHUTUTUABXHX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508 pindol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2957 plas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03 potass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64 potass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621 povidone-iod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205 prednisol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OIGNJSKKLXVSLS-VWUMJDOOSA-N prednisolone Chemical compound O=C1C=C[C@]2(C)[C@H]3[C@@H](O)C[C@](C)([C@@](CC4)(O)C(=O)CO)[C@@H]4[C@@H]3CCC2=C1 OIGNJSKKLXVSLS-VWUMJDOO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800 prednisolone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712 propranolol Drugs 0.000 description 1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72 propylene glyc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180 prostagland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132 quinolone antibacterial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50 repro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889 salicy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8072 salmon calciton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723 sedative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32 sed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38 sod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52 sodium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JGMJQSFLQWGYMQ-UHFFFAOYSA-M sodium;2,6-dichloro-n-phenylaniline;acetate Chemical compound [Na+].CC([O-])=O.ClC1=CC=CC(Cl)=C1NC1=CC=CC=C1 JGMJQSFLQWGYM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94 spray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404 sulfamethoxazol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5 suspe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91 tara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13 tara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29 tonicit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9 top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37 trache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62 tramazo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401 tranexam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GYDJEQRTZSCIOI-LJGSYFOKSA-N tranexamic acid Chemical compound NC[C@H]1CC[C@H](C(O)=O)CC1 GYDJEQRTZSCIOI-LJGSYFOKSA-N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HFFFAOYSA-N trans-bute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VZCYOOQTPOCH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17 triamcinolone aceton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YNDXUCZADRHECN-JNQJZLCISA-N triamcinolone acetonide Chemical compound C1CC2=CC(=O)C=C[C@]2(C)[C@]2(F)[C@@H]1[C@@H]1C[C@H]3OC(C)(C)O[C@@]3(C(=O)CO)[C@@]1(C)C[C@@H]2O YNDXUCZADRHECN-JNQJZLCISA-N 0.000 description 1
- MWKJTNBSKNUMFN-UHFFFAOYSA-N trifluoromethyltrim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Si](C)(C)C(F)(F)F MWKJTNBSKNUM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56 urokina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486 vac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26 vasoconstricto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49 vasodilator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71 vasodilato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1 xy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23 xyl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36—Galactan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39—Agar; Agarose, i.e. D-galactose, 3,6-anhydro-D-galactose, methylated, sulfated, e.g. from the red algae Gelidium and Gracilaria; Agaropectin; Derivatives thereof, e.g. Sepharose, i.e. crosslinked agaros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5—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from solid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12—Agar or agar-agar, i.e. mixture of agarose and agaropectin; Derivativ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01/00 or C08J2303/00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01/00 or C08J2303/00
- C08J2305/12—Agar-aga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겔을 함유하고, 상기 미립자상 겔은 수매체 중에서 95℃, 30분간의 가열후에도 형태가 유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즉,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겔을 함유하고, 상기 미립자상 겔은 95℃의 수매체 중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에도 형태가 유지되어 있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의료재료·식품·화장품 등의 분야에서는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여러 형태를 갖는 많은 제품이 개발되어 있고, 겔상의 제품도 제안되어 있다.
도포성이나 생체 안전성 또는 약물 체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당류를 함유시킨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1∼3에는 다당류를 겔 전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매체에 용해해서 전단력을 가하면서 겔 전이 온도 이하로 냉각함으로써 다당류의 일부 또는 전부가 미립자상이며, 이들이 수매체 중에 균일하게 분산된 다당류 함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4에는 땀이나 누액 등의 염을 함유한 생리액과 접촉함으로써 점도가 증가하는 다당류 함유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사용전에는 저점도이기 때문에 광범위한 도포나 투여가 용이하고, 사용 중에는 점도의 증가에 의해 흘러내리기 어려워진다는 특성을 가진 의약품, 화장품 등의 기제로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안과응용으로서 다당류 함유 조성물이 눈내 조직으로의 약물의 이행성, 즉 눈내 이행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찾아내어 점안제의 기제로서 유용한 것도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5에는 다당류 함유 조성물이 안구 표면의 누액층을 현저하게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개시되어 있고, 드라이 아이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점안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특허문헌6에는 다당류 함유 조성물이 누액층의 뮤신과 접촉함으로써 특이적인 증점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개시되어 있고, 전안부에 있어서의 약물 체류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안부의 건조감을 해소하므로, 안구 표면 체류 촉진제, 드라이 아이 치료제 또는 인공 누액으로서 유용한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당류 함유 조성물의 조제에는, (1)공기 중에 부유 또는 시약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이나 미생물이 조성물에 혼입되거나, (2)보존시에 조성물이 공기 중에 노출된 경우나 피부 등에 접촉한 경우에 세균이 조성물에 혼입되거나 할 위험성이 따른다. 이러한 위험성을 해소하여 생체 안정성이 높은 다당류 함유 조성물로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멸균 조작을 행하여 다당류 함유 조성물에 혼입된 세균이나 미생물을 사멸시킬 필요가 있고, 그러한 멸균 조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여과 멸균 또는 가열 멸균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여과 멸균은 일정한 크기의 구멍이 무수하게 형성된 필터를 이용해서 세균이나 미생물을 조성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필터의 구멍 지름보다 작은 미소한 미생물을 제거할 수 없다. 또한,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물이 필터의 구멍 지름 이상의 크기인 경우, 세균이나 미생물과 함께 분리되어 버리므로, 상기 다당류 함유 조성물의 멸균 방법으로서는 적당하지 않다.
한편, 가열 멸균으로서는 화염 멸균법, 건조 멸균법 또는 고압 증기 멸균법이라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멸균 방법은 조성물을 고온에서 가열함으로써 조성물에 혼입된 세균이나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방법이다.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물을 함유한 조성물의 멸균 방법으로서는 고압 증기 멸균법이 바람직하지만,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물을 함유한 조성물이 수분산체인 경우, 다당류의 겔 전이 온도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90℃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을 행하면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물이 용해되어 버리므로, 다시 전단력을 가하면서 겔 전이 온도 이하로 냉각하지 않으면 안되고, 결과적으로 가열 전후의 다당류 함유 조성물의 물성이 상이해 버려 의약품, 의료재료, 식품 또는 화장품 등으로의 응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다당류의 겔 전이 온도 이상의 가열을 행해도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물의 형태가 유지되어 있는 다당류 함유 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의약품 또는 화장품 등의 분야에 있어서는 높은 보습성을 가지면서 생체 안전성이 우수한 제품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으며, 피부의 건조를 억제하고,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기 위한 보습제의 유효성분으로서 다가 알콜, 천연 고분자 또는 다당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높은 보습성 및 생체 안전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보습제의 개발이 왕성히 행해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7에는 분자량 200만 이상의 히알루론산을 함유시켜 사용감이 향상된 보습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8에는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안정된 보습성을 갖는 보습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충분한 보습성 및 생체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습제에 다당류를 고농도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다당류의 고농도 배합에는 끈적거림의 발생이 수반되어 사용감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보습제에 함유되는 다당류의 양은 보습제 전체에 대하여 0.1∼0.3중량% 정도에 그친다. 그 때문에, 다당류를 고농도로 배합해도 끈적거림이 발생하지 않고, 보습성, 사용감 및 생체 안전성이 우수한 보습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그런데, 녹내장이나 백내장 등의 눈질환의 치료 방법으로서는 약물을 직접 점안하는 방법, 즉 점안 투여가 일반적이다. 이 점안 투여에 의한 눈질환의 치료 효과는, 약물자체의 효능에 의존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약물의 효능을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점안 투여한 약물의 효과를 장시간 지속시키는 것, 즉 약물 체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었다.
또, 최근 컴퓨터를 사용한 장시간 작업이나 콘택트 렌즈의 사용이 일상화되고 있는 것에 의해, 드라이 아이 증상의 다발화가 문제시되고 있다. 안구 표면을 덮고 있는 누액층은 매우 얇고, 매끄럽게 유지되고 있는 바, 누액층이 불안정해지면 그 표면이 매끄럽지 않게 되는 결과, 깜빡거리기를 할 때까지의 단시간 동안에 드라이 스폿이라는 건조 부분이 발생하여 각막의 일부가 노출되는 일이 있다. 이것이 원인으로 안부의 이상한 건조나 누막(淚膜)의 결손(드라이 스폿)을 발생시키는 결과, 각막이나 결막 등의 외안부에 심각한 장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드라이 아이 증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는 안구 표면의 누액층을 장시간 안정화하여 안구 표면의 누액층을 매끄럽게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약물의 효능을 효과적으로 지속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9에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CVP)를 기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점안제 자체의 점도를 높여 안구 표면에 있어서의 약물 체류성 및 약물의 서방성을 높여 약물의 눈내 이행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CVP의 특성, 약간의 첨가량으로도 약물의 점도를 비약적으로 상승시키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제형이 안연고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액적의 상태로 점안할 필요가 있는 점안제로의 응용에는 맞지 않으므로, 액적으로서 점안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약물의 눈내 이행성을 달성할 수 있는 점안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특허문헌10에는 폴리-γ-글루타민산(PGA)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드라이 아이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효한 점안제용 조성물 또는 누액 치환물으로서의 효과가 장시간 지속되는 인공 누액용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안과용 조성물의 기제로서 사용되는 PGA의 분자량은 안과용 조성물의 점도 및 수분자를 포함하는 성질을 높이기 위해서도 5만 이상이 바람직하다고 추장되고 있는 바, 이러한 고분자량체를 기제로서 사용할 경우, 점안제용 조성물 또는 인공 누액용 조성물의 제품으로서의 취급 용이성 또는 약제 효과에 따른 물성(예를 들면, 점도나 용매로의 용해성)을 일정한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안과용 조성물은 저점도인 것이 요구되지만, 고분자량체를 기제로서 사용하면 저점도의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점도의 편차를 발생시키기 쉬워 제조가 곤란해진다.
한편, 특허문헌1∼6에 기재되어 있는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물을 함유한 조성물은 약물의 눈내 이행성이 우수하고, 또한 안구 표면의 누액층을 현저하게 안정화하는 작용이 있는 것, 점안제나 드라이 아이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보존액이라는 안과용 조성물의 기제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안과용 조성물의 기제로서 이용했을 경우, 취급 용이성 또는 약제 효과에 따른 물성의 편차가 적은 품질이 높은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들 안과용 조성물을 제품으로서 시판하기 위해서는 생체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 고압 증기 멸균으로 대표되는 멸균 조작을 행하여 안과용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세균이나 미생물 등을 완전히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다당류 함유 조성물을 기제로 하는 안과용 조성물에 대하여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하면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물이 용해되어 버린다. 또한, 다당류 함유 조성물을 기제로 하는 안과용 조성물의 점도는 멸균 조작을 행하기 전과 비교해서 적어도 수십mPa·S 이상 증가되어 버리므로, 점안제나 콘택트 렌즈용 보존액이라는 실제의 제품으로의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 때문에, 가열 멸균이 가능하며, 또한 가열 멸균을 행한 후에도 멸균전의 물성을 유지하는 다당류 함유 조성물을 기제로 하는 안과용 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의약품·의료재료·식품·화장품 등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열을 행해도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물이 입자상의 형태를 유지하고, 즉, 가열을 행해도 다당류 미립자상 겔이 용해되지 않고 다당류 미립자상 겔의 형태를 유지하고, 또한 수매체 중에 다당류 미립자상 겔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조성물인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수매체 중에서 가열한 후에도 그 형태가 유지되어 있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10)에 나타낸 바와 같다.
(1)실질적으로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겔을 함유하고, 상기 미립자상 겔은 수매체 중에서 95℃, 30분간의 가열 후에도 형태가 유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즉,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겔을 함유하고, 상기 미립자상 겔은 95℃의 수매체 중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에도 형태가 유지되어 있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제공한다.
(2)상기 항미립자상 겔은 수매체 중의 다당류에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즉, 상기 미립자상 겔은 수매체 중에서 전리성 방사선이 조사된 것인 상기 (1)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제공한다.
(3)상기 수매체 중의 다당류가 미립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즉, 상기 미립자상 겔은 입경이 500㎛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제공한다.
(4)전리성 방사선이 γ선 또는 전자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또는 상기 (3)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즉, 상기 전리성 방사선은 γ선 또는 전자선인 상기 (2) 또는 상기 (3)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제공한다.
(5)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다당류와 수매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당류의 겔 전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해서 다당류를 수매체에 용해시키는 공정, 상기 수매체에 용해된 다당류를 외력을 가하면서 겔 전이 온도 이하로 냉각해서 미립자상 다당류를 얻는 공정, 상기 미립자상 다당류를 함유한 수분산체에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의 제조 방법, 즉,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수매체 중에서 다당류를 겔 전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해서 상기 다당류를 상기 수매체에 용해시키는 용해 공정과, 외력을 가하면서 상기 수매체에 용해되어 있는 상기 다당류를 겔 전이 온도 이하로 냉각하여 상기 다당류를 미립자상 겔로 하는 냉각 공정과, 상기 수매체 중의 상기 미립자상 겔에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해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얻는 조사 공정을 구비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6)전리성 방사선은 γ선 또는 전자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의 제조 방법, 즉, 상기 전리성 방사선은 γ선 또는 전자선인 상기 (5)에 기재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7)상기 (1)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사용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보습제로서, 실질적으로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겔을 0.01∼5중량% 함유하고, 상기 미립자상 겔의 평균 입자 지름이 1㎛∼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보습제, 즉,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함유하고, 상기 미립자상 겔의 함유율은 0.01∼5중량%이며, 상기 미립자상 겔의 평균 입자 지름은 1∼200㎛인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보습제를 제공한다.
(8)글리세린, 파라옥시안식향산 알킬(단, 알킬기는 탄소수 1 또는 2)로부터 선택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보습제, 즉, 글리세린 및/또는 탄소수 1 또는 2의 알킬기를 갖는 파라옥시안식향산 알킬이 첨가되어 있는 상기 (7)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보습제를 제공한다.
(9)상기 (1)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이용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안과용 조성물로서, 실질적으로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겔을 0.0001∼1중량% 함유하고, 상기 미립자상 겔의 평균 입자 지름이 0.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안과용 조성물, 즉,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함유하고, 상기 미립자상 겔의 함유율은 0.0001∼1중량%이며, 상기 미립자상 겔의 평균 입자 지름은 0.1∼100㎛인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안과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10)상기 (9)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안과용 조성물을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점안제, 즉, 상기 (9)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안과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안제를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는 다당류의 겔 전이 온도 이상에서 가열 멸균을 행해도 다당류 미립자상 겔이 용해되지 않고, 가열한 후에도 다당류 미립자상 겔의 형태가 유지되고 있는 점에서, 지금까지 없는 기능을 갖고, 또한 생체 안정성이 높은 의약품·의료재료·식품·화장품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체 안정성이 높고, 바닷물에 의해 씻겨지기 어려운 선블록 크림, 땀에 의해 씻겨지지 않는 화장품 또는 의약용 연고, 누액에 의한 약효성분의 유출을 억제한 점안제, 안구 표면의 누액층을 안정화하는 인공 누액, 비강 및 구강 내에 장시간 체류해서 약효의 지속성이 양호한 비강 및 구강용 제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관 또는 생식선 등의 점막 표면에 존재하는 뮤신과 접촉함으로써 증점되는 성질을 이용해서 환부에 장시간 체류해서 약제를 효율적으로 서방시키는 드러그 딜리버리 시스템으로의 응용도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예1에서 얻은 수분산체 B의 가열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1에서 얻은 수분산체 B의 가열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2에서 얻은 수분산체 C의 가열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2에서 얻은 수분산체 C의 가열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3에서 얻은 수분산체 D의 가열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3에서 얻은 수분산체 D의 가열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4에서 얻은 수분산체 B의 가열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4에서 얻은 수분산체 B의 가열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9는 비교예1에서 얻은 수분산체 A의 가열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은 비교예1에서 얻은 수분산체 A의 가열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1에서 얻은 수분산체 B의 가열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2에서 얻은 수분산체 C의 가열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2에서 얻은 수분산체 C의 가열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3에서 얻은 수분산체 D의 가열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3에서 얻은 수분산체 D의 가열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4에서 얻은 수분산체 B의 가열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4에서 얻은 수분산체 B의 가열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9는 비교예1에서 얻은 수분산체 A의 가열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은 비교예1에서 얻은 수분산체 A의 가열후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는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겔을 함유하고, 상기 미립자상 겔은 95℃의 수매체 중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에도 형태가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겔」이란 구성 성분의 약 90∼100%가 다당류인 미립자상 겔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90℃ 이상의 수매체 중에서 가열을 하면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겔은 용해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 미립자상 겔은 95℃의 수매체 중에서 가열한 후에도 용해되지 않고, 미립자상의 형태가 유지되어 있다는 성질을 갖는다.
「수매체」란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상의 물질을 말하고, 물 이외의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물의 함유율이 70∼80중량%(wt%)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중량%를 초과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매체는 물에 용해되어 안정된 조성물을 부여하는 수용성 화합물을 함유해도 좋다.
상기 수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알콜류 또는 계면활성제, 유화제, 분산제, 등장화제 등 수용성 저분자 화합물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비닐알콜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을 단독으로 함유해도 좋고, 2종 이상의 조합으로 함유해도 좋다.
상기 등장화제란 등장용액에 함유되는 용질을 말한다. 여기서 등장용액이란 침투압이 다른 2종 이상의 용액이 있는 경우, 한쪽의 용액에 대하여 침투압이 같아지도록 적당량의 등장화제를 첨가한 용액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성물, 즉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단독으로, 또는 복수의 조성물과 조합해서 사용할 경우에 등장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등장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톨, 만니톨, 염화나트륨, 인산 나트륨, 붕산 또는 글리세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 미립자상 겔은 95℃의 수매체 중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에도 형태가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고압 증기 멸균법을 이용해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중의 미생물을 완전히 사멸시키기 위해서 121℃의 수매체 중에서 20분간 가열을 한 후에도 용해되지 않으므로, 고압 증기 멸균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한 후에도 형태가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을 얻기 위해서는 수매체 중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에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당류 미립자상 겔에 직접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하면 분해 반응이 촉진되어 버려, 가열한 후에도 용해되지 않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은 얻어지지 않는 점에서, 전리성 방사선은 수매체 중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에 대하여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리성 방사선의 조사에 의한 반응 효율이 높은 점에서 수매체 중의 다당류 겔은 미립자상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방사선은 전리성 방사선과 비전리성 방사선으로 크게 나뉘지만, 「전리성 방사선」이란 방사선이 물질 중을 투과해 갈 때, 그 지나가는 길에 있는 물질을 형성하고 있는 원자로부터 전자를 튕겨내는 작용을 갖는 방사선을 말한다. 전리성 방사선으로서는, 예를 들면, γ선, 전자선, X선, β선 또는 α선을 들 수 있다. 한편, 비전리성 방사선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들 수 있다. 비전리성 방사선은 상기 원자로부터 전자를 튕겨내는 작용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조사에 의한 반응 효율의 관점에서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γ선 또는 전자선을 조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경제성의 관점에서 전자선을 조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 미립자상 겔의 형태는 가열후에도 유지되어 있다라는 특징의 발현 메커니즘은 완전히 해명되지 않지만, 수매체 중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에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하면, 수분자 자체가 히드록시라디칼을 발생시키고, 이 히드록시라디칼이 다당류 미립자상 겔을 구성하는 분자쇄의 가교 반응의 개시를 유도하게 되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또한, 다당류 미립자상 겔을 구성하는 분자쇄의 일부가 비교적 자유스러운 분자 운동성을 가지고 있을 경우, 전리성 방사선에 의해 발생된 히드록시라디칼에 의해 유도된 가교점이 다른 분자쇄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거리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 미립자상 겔을 구성하는 다당류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당화학의 기초」(아부 키미코, 세노 노부코 저;코단샤, 1984)에 기재되어 있는 일반적인 다당류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복수의 다당류를 병용할 수도 있지만,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다당류가 바람직하다.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다당류로서는, 예를 들면, 한천, 아가로오스, 아가로펙틴, 전분, 아밀로오스, 아밀로펙틴, 이솔리케난(isolichenan), 라미나란, 리케난, 글루칸, 이눌린, 레반, 프럭탄, 갈락탄, 만난, 자일란, 아라비난, 펜토잔, 알긴산, 펙틴산, 후코이단, 아스코필란, 카라기난, 펙틴, 로커스트콩검, 구아검, 타라검 또는 아라비아검 등을 들 수 있지만, 해초로부터 얻어지는 다당류인 한천, 아가로오스, 아가로펙틴, 라미나란, 프럭탄, 갈락탄, 펜토잔, 알긴산, 키틴, 포르피란, 후코이단, 아스코필란, 카라기난 등이 바람직하고, 한천, 아가로오스, 아가로펙틴이 보다 바람직하고, 한천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천은 이미 식품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일본 약국방에 게재되어 있는 점에서도 생체 안전성이 매우 높다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한천은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는 보습작용을 갖는 점에서 의약품·의료재료·식품·화장품 등의 보습성을 높이는 성분으로서 유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한천(agar)은 우뭇가사리나 강리 등 각종 홍조의 세포벽 매트릭스에 함유되는 다당이며, 홍조로부터 열수에 의해 추출해서 얻어진다. 한천은 균질한 물질은 아니고, 황산기를 함유하지 않는 아가로오스(agarose)와 황산기 등을 함유하는 아가로펙틴(agaropectin)으로 크게 나뉘어진다. 아가로오스의 비율은 홍조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예를 들면, 우뭇가사리 한천에서는 아가로오스가 약 70%를 차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이용하는 한천은 어떤 제법에 의한 것이라도 좋지만, 안정공급이라는 점에서 공업적 제법에 의한 한천이 바람직하고, 또한 그 중량 평균 분자량은 5천∼120만의 것이 바람직하고, 3만∼80만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만∼50만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 미립자상 겔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구상, 타구상 또는 부정형을 들 수 있지만, 이물감 또는 위화감을 경감시키는 관점에서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입자 지름이 수백㎛인 큰 다당류 미립자상 겔은 조성물, 즉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의 보존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또한 점안제 또는 비강 또는 구강용 제제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안구 및 비강내의 위화감이나 자극 등의 기능면에서의 문제가 발생되는 일이 있다. 따라서, 다당류 미립자상 겔의 입경은 5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는 의약 또는 의료재료의 기제로서의 응용도 가능하다. 그러한 기제에 함유되는 약효성분, 즉 약물으로서는 실제로 임상 사용되고 있는 것, 또는 임상 사용이 기대되어 있는 것 등을 폭넓게 들 수 있다.
상기 약물으로서는, 예를 들면, 글루테티미드, 포수클로랄, 니트라제팜, 아모바르비탈, 페노바르비탈 등의 최면 진정제,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디클로페낙나트륨, 염산 티아라미드, 피록시캄, 플루페남산, 메페남산, 펜타조신 등의 해열 진통 소염제, 아미노안식향산 메틸, 리도카인 등의 국소마취제, 질산 나파졸린, 질산 테트리졸린, 염산 옥시메타존, 염산 트라마졸린 등의 국소 혈관수축제, 말레인산 클로르페니라민, 크로모글릭산 나트륨, 옥사토미드, 염산 아젤라스틴, 푸마르산 케토티펜, 트랙사녹스나트륨, 암렉사녹스 등의 항알레르기제, 염화 벤제토늄 등의 살균제, 염산 도파민, 니히데칼레논 등의 강심제, 염산 프로프라놀롤, 핀돌롤, 페니토인, 디소피라미드 등의 부정맥용제, 질산 이소소르비드, 니페디핀, 염산 딜티아젬, 디피리다몰 등의 관혈관 확장제, 돔페리돈 등의 소화기관용제,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덱사메타존, 인산 베타메타존나트륨, 초산 프레드니졸론, 플루오시노니드, 프로피온산 베클로메타존, 플루니솔리드 등의 부신피질 호르몬제, 트라넥삼산 등의 항플라스민제, 클로트리마졸, 질산 미코나졸, 케토코나졸 등의 항진균제, 테가푸르, 플루오로우라실, 메르캅토푸린 등의 항악성 종양제, 아목시실린, 암피실린, 세팔렉신, 세팔로틴나트륨, 세프티족심나트륨, 에리트로마이신, 염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등의 항생물질, 인슐린, 칼시토닌 살몬, 칼시토닌 치킨, 엘카토닌 등의 칼시토닌류, 우로키나아제, TPA, 인터페론 등의 생리활성 펩티드, 인플루엔자 백신, 피그 보르데텔라 감염증 예방 백신, B형 간염 백신 등의 백신류, 비포나졸, 식카닌, 초산 비스데칼리늄, 클로트리마졸 및 살리실산 등의 기생성 피부질환용제, 술파메톡사졸나트륨, 에리스로마이신 및 황산 겐타마이신 등의 화농성 질환용제, 디펜히드라민 등의 진양제, 요오드, 포비돈요오드, 염화 벤잘코늄 및 글로콘산 클로르헥시딘 등의 외피용 살균 소독제, 염산 디펜히드라민 및 말레인산 클로르페니라민 등의 항히스타민제, 클로트리마졸, 질산 나파졸릴, 푸말산 케토티펜 및 질산 미코나졸 등의 생식기관용제, 염산 테트리졸린 등의 이비과용제, 아미노필린 등의 기관지 확장제, 플루오우라신 등의 대사항길제, 디아제팜 등의 최면진정제, 노르플록사신 및 날딕스산 등의 합성 항균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약물의 배합량은 약물의 종류에 따라 변동되지만, 일반적으로 소망의 약물의 효과를 발휘하는데에 충분한 양으로 배합하면 좋다.
본 발명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의약용도로 사용할 경우, 필요에 따라 의약적으로 용인할 수 있는 완충제, pH 조절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또는 보존제 등을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완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구연산, 초산, ε-아미노카프론산, 붕산, 붕사 또는 트로메타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완충제는 조성물의 pH를 3∼10으로 유지하는데에 필요한 양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H 조절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구연산, 인산, 초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붕산, 붕사, 탄산나트륨 또는 염화수소나트륨을 들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데트산 또는 에데트산 나트륨을 들 수 있다.
상기 보존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빈산, 소르빈산 칼륨,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또는 클로로부탄올을 들 수 있지만, 이들을 조합해서 첨가해도 좋다.
상기 약물 또는 완충제 등의 첨가물이 수 난용성인 경우에 첨가하는 가용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솔베이트8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매크로골4000 또는 시클로덱스트린을 들 수 있지만, 0.001∼15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의 제조 방법은 수매체 중에서 다당류를 겔 전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상기 다당류를 상기 수매체에 용해시키는 용해 공정과, 외력을 가하면서 상기 수매체에 용해되어 있는 상기 다당류를 겔 전이 온도 이하로 냉각하고, 상기 다당류를 미립자상 겔로 하는 냉각 공정과, 상기 수매체 중의 상기 미립자상 겔에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해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얻는 조사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매체 중에서 다당류를 겔 전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상기 다당류를 상기 수매체에 용해시키는 용해 공정」은 공지예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특허문헌1∼4에 기재된 방법과 같이 겔 전이 온도를 갖는 다당류와, 수매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외력을 가하면서 다당류의 겔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해서 다당류를 수매체에 용해시키면 된다.
「겔 전이 온도」란 가열에 의해 용해된 다당류가 냉각되어서 겔이 될 때의 온도이며, 다당류의 고유의 물성값을 말한다. 따라서, 가열에 의해 다당류를 수매체에 용해할 때의 겔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 즉 가열 온도는 사용하는 다당류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고, 겔 전이 온도+20℃ 이상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매체 중에 용해되는 다당류의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다당류에 의한 겔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저점도의 조성물을 얻을 수 없는 점에서 수매체 중에 용해되는 다당류의 양은 0.0001∼30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용해 공정에 있어서는 수매체에 외력을 가해도 좋다. 외력을 가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진동, 전단, 교반, 압축 또는 분쇄 등을 들 수 있지만, 액체에 외력을 가하는 점에서 교반이 바람직하다.
액체에 외력을 가하는 교반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마그네틱 스터러, 메카니컬 스터러, 믹서, 쉐이커 또는 로터 등의 교반기기를 들 수 있지만, 교반에 따라 열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액체에 큰 외력을 균등하게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메카니컬 스터러가 바람직하다. 또한, 메카니컬 스터러의 회전수는 1000rpm 이하가 바람직하다.
「외력을 가하면서 상기 수매체에 용해되어 있는 상기 다당류를 겔 전이 온도 이하로 냉각하고, 상기 다당류를 미립자상 겔로 하는 냉각 공정」은 공지예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특허문헌3에 기재된 방법과 같이, 외력을 가하면서 수매체에 용해되어 있는 다당류를 겔 전이 온도 이하로 소정 편차의 범위내의 냉각 속도로 냉각함으로써 다당류의 일부 또는 전부가 미립자상이며, 이들이 수매체 중에 균일하게 분산된 다당류 함유 수분산체를 얻을 수 있다. 수매체에 용해되어 있는 다당류를 냉각할 때의 겔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 즉 냉각 온도는 겔 전이 온도 이하이면 미시적으로는 부분적으로 겔화가 일어날 수 있지만, 지나치게 높으면 그 온도로부터 실온부근으로의 온도 강하 과정에서 다당류의 일부가 불균일하게 겔화되어 버리고, 지나치게 낮으면 다당류의 분자운동이 구속되어서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되어 버리므로 실온부근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5∼3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당류가 용해된 수매체에 외력을 가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마그네틱 스터러, 메카니컬 스터러, 믹서, 쉐이커, 로터 등의 교반기기를 들 수 있지만, 교반에 따라 열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액체에 큰 외력을 균등하게 부여할 수 있으므로 메카니컬 스터러가 바람직하다. 냉각에 따라 겔화가 진행되고, 다당류 함유 수매체의 점도는 온도 저하에 따라 증가하지만, 외력의 부여가 없으면 수매체 전체가 겔화되고, 수매체 전체의 겔화후에 외력을 부여해도 다당류 미립자상 겔이 균일하게 분산된 수분산체를 얻을 수는 없다. 또한, 다당류가 용해된 수매체의 온도가 겔 전이 온도 이하에 도달한 후에도 교반을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겔 전이 온도와 비교해서 20℃ 이상 낮은 온도에 도달한 후에도 교반을 계속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실온(30℃ 이하)에 도달한 후에도 교반을 계속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당류가 용해된 수매체를 냉각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공랭, 수냉, 빙랭, 용매냉 또는 풍랭을 들 수 있고, 공랭 또는 수냉이 일반적이지만, 용해된 다당류 또는 얻고자 하는 조성물, 즉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의 성상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면 좋다.
「수매체 중의 미립자상 겔에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해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얻는 조사 공정」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해도 다당류 미립자상 겔이 용해되지 않고, 가열한 후의 다당류 입자상 겔의 형태가 유지되어 있다고 하는 성질을 다당류 미립자상 겔에 대하여 부여할 수 있다. 다당류 미립자상 겔에 이러한 성질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 이외에 가교제 또는 반응성 수지 등을 첨가하는 화학적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 8-27277호 공보에는 수용성 다당류와 반응성 수지가 용해된 용액을 분무 건조함으로써 미립자화되고, 얻어진 미립자를 열처리함으로써 화학적으로 가교시켜 수불용성의 다당류 함유 미립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2005-82527호 공보에는 수매체 중에 다당류를 가열 용해한 후, 외력을 가하면서 냉각하는 공정에 있어서 가교제를 첨가함으로써 다당류를 화학적으로 가교시키는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적 방법은 개시제나 가교제 등을 첨가하고 있어 생체안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개시제나 가교제 등의 첨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전리성 방사선 조사가 바람직하다.
수매체 중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에 조사하는 전리성 방사선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γ선, 전자선, X선, β선 또는 α선을 들 수 있다.
γ선은 전자선과 비교해서 투과력이 크므로, 시료액면으로부터 시료를 넣은 용기 저부까지의 거리가 긴 시료에 대한 조사에 적합한 선원이다. 또 γ선이 투과하는 한에 있어서, 시료를 넣는 용기의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대형 드럼캔이나 스텐레스 용기에 대량의 시료를 넣어서 조사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γ선 조사에는 세슘137을 사용한 조사와 코발트60을 사용한 조사가 있다. 세슘137은 코발트60에 비해 조사 효율이 떨어지므로 코발트60을 사용한 γ선 조사가 바람직하다.
전자선은 γ선과 같이 코발트60이나 세슘137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차폐 장치도 비교적 간이한 것이면 좋고, γ선에 비해서 조사 처리 능력이 큰 등의 특징을 갖고, 안전면이나 작업면에서 바람직한 선원이다.
γ선이나 전자선의 조사를 컨트롤하는 인자는 γ선에 대해서는 선량, 전자선에 대해서는 선량 및 조사 전압이다. 선량이란 조사 대상의 물질 1kg당 1쥴의 에너지 흡수가 있는 것을 말한다. 단위는 Gy(글레이)로 나타내어진다. 조사 전압은 조사하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수분산체로의 침투 깊이와 관련이 있고, 전압을 상승시키면 침투 깊이가 깊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가교 반응에 필요한 선량은 1kGy 미만에서는 가교 반응이 불충분하며, 300kGy를 초과하면 분해 반응이 진행되는 점에서 1∼300kGy 정도의 선량이 바람직하고, 2∼50kGy의 선량이 바람직하다.
전자선은 조사 전압에 따라서 투과력(전자선의 에너지)이 변화되지만, 일반적으로 γ선에 비해서 투과력이 작다. 이 때문에, 사용하는 전자선의 투과력에 따라 시료의 액깊이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10MeV 정도의 고에너지의 전자선은 시료의 액깊이가 수mm∼3cm 정도인 것을 균일하게 조사하는 것이 가능한 것에 대해서, 1MeV 이하의 저에너지의 전자선은 시료의 액깊이가 3mm 정도까지밖에 균일하게 조사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보습제는 상기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함유하고, 상기 미립자상 겔의 함유율은 0.01∼5중량%이며, 상기 미립자상 겔의 평균 입자 지름은 1∼2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 미립자상 겔은, 예를 들면, 연고, 크림 또는 로션이라는 제형을 갖는 보습제의 구성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 미립자상 겔은 가열 멸균이 가능하며, 또한 고농도로 배합해도 끈적거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감이 우수하다. 또한, 다당류 미립자상 겔 자신이 높은 보습성을 가지므로, 고농도로 배합함으로써 보습제 전체의 보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당류 미립자상 겔의 함유량은 보습제 전체에 대한 배합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보습제의 사용감이 나빠지는 점에서 0.001∼10중량%가 바람직하고, 0.01∼5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다당류 미립자상 겔의 평균 입자 지름이 500㎛보다 크면 보습제의 보존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또한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사용감이 나빠지는 점에서 평균 입자 지름은 0.1∼500㎛가 바람직하고, 1∼300㎛가 보다 바람직하고, 1∼200㎛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보습제에는 보습제의 종류나 목적에 맞춰, 예를 들면, 방부제 또는 그 밖의 보습성분을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빈산, 염화벤잘코늄 또는 파라옥시안식향산 알킬을 들 수 있다.
상기 기타의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클로로부탄올,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황산 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자일리톨, 프롤린, 세린, 또는 글리신을 들 수 있지만, 안전성, 안정성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또는 파라옥시안식향산 에틸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당류와의 친화성이 양호하며, 또한 메탄올이나 에탄올이라는 알콜과 공존시키는 것에 의한 분산성이 우수하고, 첨가제로서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점에서 글리세린 또는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사용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안과용 조성물은 상기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함유하고, 상기 미립자상 겔의 함유율은 0.0001∼1중량%이며, 상기 미립자상 겔의 평균 입자 지름은 0.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안과용 조성물은 구체적으로는 점안제의 구성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콘택트 렌즈용 보존액에 본 발명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안과용 조성물을 사용했을 경우, 콘택트 렌즈에 보존액이 부착된 채의 상태로 눈에 장착할 수 있고, 안구 표면의 누액층을 장시간 안정화하고, 누액층을 매끄럽게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드라이 아이 증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안과용 조성물에는 대상질병에 적합한 약물을 배합하면 좋고, 대상질병으로서는, 예를 들면, 드라이 아이 증후군, 녹내장, 백내장, 염증 또는 화분증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 미립자상 겔은 그 내부 또는 표면 근방에 약물을 체류시켜 눈내에 있어서 효율적이며 또한 지속적인 서방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상기 약물으로서는, 예를 들면, 퀴놀론계 항균제, 세팔로스포린류, 술파세타미드나트륨, 술파메톡사졸 등의 항균제, 히도로코르티존, 덱사메타존, 프레드니졸론, 베타메타존, 디클로페낙, 인도메타신, 플루오로메톨론, 플라노프로펜, 글리시리진산 2칼륨, 입실론-아미노카프론산 등의 항염증제, 말레인산 클로르페니라민, 염산 디펜히드라민 등의 항히스타민제, 프로스타글란딘 유도체, 탄산 탈수 효소 조해제 등의 항녹내장제, 크로모글릭산 나트륨 등의 항알레르기제 메소트렉세이트, 시클로포스파미드, 시클로스포린, 6-메르캅토프린, 아자티오프린, 플루오로우라실, 테가푸르 등의 면역 억제제 및 대사 길항제, 황산 네오마이신/인산 덱사메타존나트륨의 조합과 같은 항생물질/항염증제 혼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을 혼합해서 이용해도 좋다.
상기 약물의 첨가량은 0.001∼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안과 조성물을 함유하는 점안제에는 상기 약물 이외에 등장화제, 완충제, pH 조절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또는 보존제 등을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상기 등장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을 들 수 있다.
상기 완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인산염, 구연산, 초산, ε-아미노카프론산 또는 트로메타몰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구연산, 인산, 초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붕산, 붕사, 탄산나트륨 또는 염화수소나트륨을 들 수 있다.
상기 약물 또는 등장화제 등의 첨가물이 수난용성인 경우에 첨가하는 가용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솔베이트8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60 또는 매크로골4000을 들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데트산 또는 에데트산 나트륨을 들 수 있다.
상기 보존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빈산, 소르빈산 칼륨,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또는 클로로부탄올을 들 수 있지만, 이들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안과용 조성물 중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의 함유량은 0.0001중량% 미만이면 소망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1중량%를 초과하면 안구 표면으로의 조성물의 퍼짐이나 침투가 악화되어 안과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감이 나빠지는 점에서 0.0001∼1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0.5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0.1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의 평균 입자 지름은 100㎛ 이상이면 점안시에 이물감이 생기고, 또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안과용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평균 입자 지름은 0.1∼100㎛가 바람직하고, 1∼30㎛가 보다 바람직하고, 1∼10㎛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안과용 조성물의 점도는 30mPa·s를 초과하면 사용감이 나빠지는 점에서 0.1∼30mPa·s가 바람직하고, 0.5∼20mPa·s가 보다 바람직하고, 1∼10mPa·s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다당류의 분자량은 100만을 초과하면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안과용 조성물을 저점도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1만 이하이면 소망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점에서 1∼100만이 바람직하고, 2∼30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3∼10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가열을 행해도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물이 입자상의 형태를 유지하고, 즉, 가열을 행해도 다당류 미립자상 겔이 용해되지 않고 다당류 미립자상 겔의 형태를 유지하고, 또한 수매체 중에 다당류 미립자상 겔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조성물인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지만, 또한 보습성, 취급 용이성 및 생체 안전성이 우수한 상기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함유하는 보습제, 및 가열 멸균 가능하며, 멸균 후에도 다당류 미립자상 겔의 형태가 유지되고, 또한 멸균전의 물성이 유지되어 있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함유하는 안과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기도 한다.
실시예
이하, 다당류 미립자 겔 함유 수분산체 등에 대해서 실험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1)
(한천 미립자 겔 함유 수분산체의 조제)
밀폐 용기에 0.5중량%의 한천(AX-30;이나 쇼쿠힝 고교사)을 칭량하고, 99.5중량%의 증류수(주사용 증류수;오쯔카 세이야쿠사)를 첨가해서 한천을 분산시켰다. 그 후, 이 밀폐 용기를 100℃로 설정한 오일 배스에 침지하고, 메카니컬 스터러(BL-600;HEIDON사)를 사용하여 회전속도 700rpm으로 30분간 교반해서 한천을 용해시켰다. 그 후, 밀폐 용기를 오일 배스로부터 끌어 올리고, 메카니컬 스터러를 사용하여 회전속도 700rpm으로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210분간 방랭하여 한천의 미립자 겔을 함유하는 수분산체(이하, 수분산체 A)를 조제했다.
(한천 미립자 겔 함유 수분산체로의 방사선 조사)
미립자상 한천을 함유하는 수분산체 A를 10ml 채취해서 밀봉 용기 내에 넣고, 25kGy의 선량으로 γ선을 조사해서 수분산체 B를 얻었다.
(내열성 평가 시험)
한천 미립자 겔을 균일하게 분산시킨 수분산체 B를 플라스틱 튜브에 5ml 채취하고, 광학현미경(OPTIPHOTO-2;니콘사)으로 관찰 및 사진촬영했다. 이어서, 플라스틱 튜브를 95℃로 설정한 알루미늄 블록 항온조(TAH-1G;TAITEC사)에 넣어서 30분간 가열하고, 가열후의 수분산체 B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 및 사진촬영했다.
(실시예2)
미립자상 한천을 함유하는 수분산체 A를 10ml 채취하고, 밀봉 용기 내에 액깊이가 5mm가 되도록 넣고, 조사 전압 5MeV, 25kGy의 선량으로 전자선을 조사해서 수분산체 C를 얻었다. 그 후에는, 실시예1과 동일한 내열성 평가 시험을 행했다.
(실시예3)
밀폐 용기에 한천 미립자상 겔을 함유하는 수분산체 A를 10ml 채취하고, 밀봉 용기 내에 액깊이가 5mm가 되도록 넣고, 조사 전압 5MeV, 100kGy의 선량으로 전자선을 조사해서 수분산체 D를 얻었다. 그 후에는 실시예1과 동일한 내열성 평가 시험을 행했다.
(실시예4)
이하의 고압 증기 멸균 시험을 행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조작을 행했다.
(고압 증기 멸균 시험)
한천 미립자 겔을 균일하게 분산시킨 수분산체 B를 유리제의 삼각 플라스크에 채취하고, 가열전에 광학현미경(OPTIPHOTO-2;니콘사)으로 관찰하고, 사진을 촬영했다. 다음에, 알루미늄 호일을 씌운 삼각 플라스크를 121℃로 설정한 고압 증기 멸균 장치(LSX-500;토미세이코사)에 넣어서 20분간 가열하고, 가열후의 수분산체 B를 광학현미경(OPTIPHOTO-2;니콘사)으로 관찰하고, 사진을 촬영했다.
(비교예1)
(한천 미립자 겔 함유 수분산체의 조제)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수분산체 A를 조제했다.
(내열성 평가 시험)
한천 미립자 겔을 균일하게 분산시킨 수분산체 A를 플라스틱 튜브에 5ml 채취하고, 광학현미경(OPTIPHOTO-2;니콘사)으로 관찰하고, 사진을 촬영했다. 다음에, 플라스틱 튜브를 95℃로 설정한 알루미늄 블록 항온조(TAH-1G;TAITEC사)에 넣어서 30분간 가열하고, 가열후의 수분산체 A를 광학현미경(OPTIPHOTO-2;니콘사)으로 관찰하고, 사진을 촬영했다.
실시예1∼4 및 비교예1에 있어서의 가열 전후의 수분산체 A∼D의 화상을 도 1∼10에 나타낸다. 또한, 각 화상은 화상 해석 소프트로 처리해서 한천 미립자상 겔만을 표시하고 있고, 화상 중의 흰 점이 한천 미립자상 겔이다. 실시예1∼4의 화상과, 비교예1의 화상을 비교하면, 실시예1∼4 화상에서는 가열후의 한천 미립자상 겔이 용해되지 않고, 가열전의 형태가 유지되어 있는 것이 명확하다.
(실시예5)
(γ선 조사 한천 미립자 겔 함유 보습제의 조제)
수분산체 B를 동결 건조하고, 한천분말 B를 얻었다. 이어서 1.0중량%의 한천분말 B, 10.0중량%의 글리세린 및 82.9중량%의 증류수를 혼합해서 70℃에서 가열 용해하여 한천용액 B를 얻었다. 70℃로 보온한 한천용액 B에 0.1중량%의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을 7.0중량%의 에탄올에 용해한 용액을 첨가하고, 실온까지 방랭해서 보습제 B를 얻었다.
(비교예2)
(γ선 미조사 한천 미립자 겔 함유 보습제의 조제)
수분산체 A를 동결 건조하여 한천분말 A를 얻었다. 이어서, 1.0중량%의 한천분말 A, 10.0중량%의 글리세린 및 82.9중량%의 증류수를 혼합해서 70℃에서 가열 용해해서 한천용액A를 얻었다. 70℃로 보온한 한천용액 A에 0.1중량%의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을 7.0중량%의 에탄올에 용해한 용액을 첨가하고, 실온까지 방랭해서 보습제 A를 얻었다.
(비교예3)
(한천 미립자 겔 비함유 보습제의 조제)
11.0중량%의 글리세린 및 82.9중량%의 증류수를 혼합해서 용액 C를 얻었다. 용액 C에 0.1중량%의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을 7.0중량%의 에탄올에 용해한 용액을 첨가해서 보습제 C를 얻었다.
「평가(1):피부의 매끄러움」
보습제 A∼C를 각각 손등에 도포 하고, 사용 중 및 사용 후의 피부의 매끄러움을 전문 패널 10명에 의해 실사용 시험을 실시했다. 즉, 전문 패널 10명 중, 도포 중 및 도포 후의 피부가 매끄럽다라고 인정한 인원수를 조사하고, 피부의 매끄러움을 4단계로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A: 전문 패널 8명 이상이 사용 중 및 사용 후 피부가 매끄럽다라고 인정했다.
B: 전문 패널 6명 이상 8명 미만이 사용 중 및 사용 후 피부가 매끄럽다고 인정했다.
C: 전문 패널 3명 이상 6명 미만이 사용 중 및 사용 후 피부가 매끄럽다고 인정했다.
D: 전문 패널 3명 미만이 사용 중 및 사용후 피부가 매끄럽다고 인정했다.
「평가(2): 피부의 끈적거림 없음」
보습제 A∼C를 각각 손등에 도포하고, 사용 중 및 사용 후의 피부에의 끈적거림 없음을 전문 패널 10명에 의해 실사용 시험을 실시했다. 즉, 전문 패널 10명 중, 도포 중 및 도포 후 피부에의 끈적거림이 없다고 인정한 인원수를 조사하고, 피부의 끈적거림 없음을 4단계 평가로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A: 전문 패널 8명 이상이 사용 중 및 사용 후 피부에의 끈적거림이 없다고 인정했다.
B: 전문 패널 6명 이상 8명 미만이 사용 중 및 사용 후 피부에의 끈적거림이 없다고 인정했다.
C: 전문 패널 3명 이상 6명 미만이 사용 중 및 사용 후 피부에의 끈적거림이 없다고 인정했다.
D: 전문 패널 3명 미만이 사용 중 및 사용 후 피부에의 끈적거림이 없다고 인정했다.
「평가(3):보습 효과의 측정」
피험자인 여성 건상인 5명의 상완 내측부를 각각 에탄올로 깨끗이 닦아낸 후, 0.5g의 보습제 B를 반경 3cm의 영역에 각각 도포하고, 도포로부터 60분후의 보습제 도포부의 컨덕턴스를 표면 저항 측정계(SLT-YKH4101;실텍사)를 사용하여 온도 25℃, 상대습도 40%의 실내에서 측정했다. 이 때, 각 피험자의 보습제 B 도포 전의 상완 내측부의 피부의 컨덕턴스는 모두 같은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측정값은 피험자 5명의 평균값으로 하고, 얻어진 컨덕턴스 측정 결과에 의거해서 4단계로 평가를 행했다. 평가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
A: 현저하게 보습효과가 있다.(1800μs 이상)
B: 보습효과가 있다.(1400μs 이상 1800μs 미만)
C: 그다지 보습효과는 확인되지 않는다.(1000μs 이상 1400μs 미만)
D: 보습효과는 확인되지 않는다.(1000μs 미만)
보습제 A 및 C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보습효과 평가를 행했다.
「평가(1): 피부의 매끄러움」, 「평가(2): 피부의 끈적거림 없음」 및 「평가(3): 보습효과의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 미립자상 겔을 함유하는 보습제 B는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피부의 매끄러움 및 보습효과에 대해서 비교예3의 보습제 C보다 우수한 성질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2와의 비교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다당류 미립자상 겔을 함유하는 보습제 B는 끈적거림이 발생하지 않고, 취급이 우수하며, 또한 높은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실시예6)
(γ선 조사 한천 미립자 겔 함유 점안제의 조제)
수분산체 B를 동결 건조하여 한천분말 B를 얻었다. 그 다음에, 0.01중량%의 한천분말 B를 97.4중량%의 멸균 정제수 97.4에 혼합해서 40℃에서 가열 용해하고, 한천수용액 B를 얻었다. 40℃로 보온한 한천수용액 B에 0.01중량%의 염산 필로카르핀과 2.6중량%의 글리세린을 첨가하고 5분간 교반했다. 그 후, 0.1N 수산화나트륨 또는 0.1N 희염산을 첨가해서 pH를 7.0으로 조정하고, 실온까지 방랭해서 점안제 B를 얻었다.
(비교예4)
(γ선 미조사 한천 미립자 겔 함유 점안제의 조제)
수분산체 A를 동결 건조하여 한천분말 A를 얻었다. 그 다음에, 0.01중량%의 한천분말 A를 97.4중량%의 멸균 정제수에 혼합해서 40℃에서 가열 용해하고, 한천수용액 A를 얻었다. 40℃로 보온한 한천 수용액 A에 0.01중량%의 염산 필로카르핀과 2.6중량%의 글리세린을 첨가하고, 5분간 교반했다. 그 후, 0.1N 수산화나트륨 또는 0.1N 희염산을 첨가해서 pH를 7.0으로 조정하고, 실온까지 방랭해서 점안제 A를 얻었다.
「평가(4):점도 측정」
처음에, 실시예 6, 비교예 4에서 조정한 점안제 A 및 점안제 B를 각각 유리병에 적량 채취하고, 그 점도를 B형 점도계(도쿄 케이키사)를 사용하여 20℃, 60rpm의 조건 하에서 측정했다. 또한, 로터는 No.2를 사용했다. 다음에, 점안제 A 및 점안제 B를 각각 유리제의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알루미늄 호일을 씌우고, 고압 증기 멸균 장치(LSX-500;토미 세이코 사)에 넣어서 121℃에서 20분간 가열했다. 그 후, 실온까지 방랭하고, 삼각 플라스크를 장치로부터 꺼냈다. 다음에, 삼각 플라스크로부터 각각 유리병에 적량 채취하고, 가열후의 점안제 A 및 B의 점도를 B형 점도계(도쿄 케이키사 제)를 이용하여 20℃, 60rpm의 조건 하에서 측정했다. 또한, 로터는 No.2를 사용했다.
상기 조작을 점안제 A 및 B 각각에 대해서 4회씩 행하고, 고압 증기 멸균 전후의 점도의 평균값 및 표준편차를 산출했다. 실시예6 및 비교예4에 있어서의 점도의 측정값을 표 2에 나타낸다.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6의 점안제 B는 비교예4의 점안제 A와 비교해서 고압 증기 멸균 후에도 멸균 전의 물성, 즉 점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의약품·의료재료·식품·화장품 등의 분야의 조성물, 예를 들면, 보습제 또는 점안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0)
-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상 겔을 함유하고, 상기 미립자상 겔은 95℃의 수매체 중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에도 형태가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상 겔은 상기 수매체 중에서 전리성 방사선이 조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상 겔은 입경이 5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리성 방사선은 γ선 또는 전자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수매체 중에서 다당류를 겔 전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상기 다당류를 상기 수매체에 용해시키는 용해 공정;
외력을 가하면서 상기 수매체에 용해되어 있는 상기 다당류를 겔 전이 온도 이하로 냉각하여 상기 다당류를 미립자상 겔로 하는 냉각 공정; 및
상기 수매체 중의 상기 미립자상 겔에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해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얻는 조사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리성 방사선은 γ선 또는 전자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함유하고,
상기 미립자상 겔의 함유율은 0.01∼5중량%이며,
상기 미립자상 겔의 평균 입자 지름은 1∼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보습제. - 제 7 항에 있어서,
글리세린 및/또는 탄소수 1 또는 2의 알킬기를 갖는 파라옥시안식향산 알킬이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보습제.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를 함유하고,
상기 미립자상 겔의 함유율은 0.0001∼1중량%이며,
상기 미립자상 겔의 평균 입자 지름은 0.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안과용 조성물. - 제 9 항에 기재된 미립자상 겔 함유 안과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안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026130 | 2008-02-06 | ||
JP2008026130 | 2008-02-0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9263A true KR20100129263A (ko) | 2010-12-08 |
Family
ID=4095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13359A Withdrawn KR20100129263A (ko) | 2008-02-06 | 2009-02-05 |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297202A1 (ko) |
EP (1) | EP2241588A1 (ko) |
KR (1) | KR20100129263A (ko) |
CN (1) | CN101939363A (ko) |
CA (1) | CA2711407A1 (ko) |
WO (1) | WO200909912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119693A (ja) * | 2015-12-28 | 2017-07-06 | ライオン株式会社 | 眼科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459615C1 (ru) * | 2011-03-05 | 2012-08-27 | Илья Александрович Марков | Глазные капли для лечения болезни сухого глаза |
CN102688479B (zh) * | 2012-06-20 | 2014-07-09 | 涂桂洪 | 预防干眼症的组合物、包括其的眼贴膜及该眼贴膜的制备方法 |
CN116173251B (zh) * | 2022-12-09 | 2023-12-01 | 上海蓝晶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pha微球注射剂的灭菌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63483A (en) * | 1969-12-15 | 1972-05-16 | Nekoosa Edwards Paper Co Inc | Steam jet cooking method for making aqueous resin emulsion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emulsions for coating paper |
JPS6056684B2 (ja) | 1977-11-07 | 1985-12-11 | 東興薬品工業株式会社 | 点眼剤 |
JPS63156707A (ja) | 1986-12-19 | 1988-06-29 | Yakult Honsha Co Ltd | ヒアルロン酸含有化粧料 |
ATE146504T1 (de) | 1988-08-17 | 1997-01-15 | Unilever Nv | Flüssiges gemisch, das ein zur bildung eines reversiblen gels befähigtes polysaccharid- verdickungsmittel enthäl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
JP3267060B2 (ja) | 1994-07-19 | 2002-03-18 | 日清紡績株式会社 | 微粒子の製造方法 |
JPH08301904A (ja) | 1995-05-01 | 1996-11-19 | Teika Corp | 多糖類を有効成分とする保湿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
JP4674357B2 (ja) * | 2000-05-24 | 2011-04-20 | 独立行政法人 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 デンプン誘導体の橋かけ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
JP2003128588A (ja) | 2001-08-10 | 2003-05-08 | Toray Ind Inc | 多糖類含有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
JP3947391B2 (ja) * | 2001-11-28 | 2007-07-18 | 独立行政法人 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 橋かけ構造を有するキチン誘導体及び/又はキトサン誘導体の製造方法 |
JP2004244329A (ja) * | 2003-02-12 | 2004-09-02 | Toray Ind Inc | 多糖類含有組成物 |
JP4182348B2 (ja) * | 2003-09-08 | 2008-11-19 | ライオン株式会社 | 化粧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5082800A (ja) * | 2003-09-11 | 2005-03-31 | Kitakyushu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dustry Science & Technology | 架橋剤無添加生分解性高分子ゲ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品を用いる廃液中の金属除去方法 |
JP4543887B2 (ja) | 2003-11-10 | 2010-09-15 | 東レ株式会社 | 多糖類含有組成物および涙液層安定化点眼剤 |
JP4321244B2 (ja) | 2003-12-05 | 2009-08-26 | 東レ株式会社 | 多糖類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
JP4736540B2 (ja) | 2004-05-27 | 2011-07-27 | 参天製薬株式会社 | 眼科用粘稠化剤 |
JP4870944B2 (ja) | 2005-05-23 | 2012-02-08 | 弘 竹田 | 眼薬用組成物 |
-
2009
- 2009-02-05 KR KR1020107013359A patent/KR20100129263A/ko not_active Withdrawn
- 2009-02-05 CA CA2711407A patent/CA271140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02-05 WO PCT/JP2009/051930 patent/WO200909912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2-05 US US12/812,565 patent/US2010029720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02-05 EP EP09707388A patent/EP2241588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9-02-05 CN CN2009801048931A patent/CN101939363A/zh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119693A (ja) * | 2015-12-28 | 2017-07-06 | ライオン株式会社 | 眼科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939363A (zh) | 2011-01-05 |
CA2711407A1 (en) | 2009-08-13 |
EP2241588A1 (en) | 2010-10-20 |
WO2009099120A1 (ja) | 2009-08-13 |
US20100297202A1 (en) | 2010-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8201789A (ja) | 多糖類含有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 |
CN101810563B (zh) | 他克莫司眼用在体凝胶制剂及其制备方法 | |
CN116133642A (zh) | 包含聚合物组合制备剂的制备剂和组合物 | |
US9687552B2 (en) | Association of poly(N-acryloylglycinamide) with at least one active principle | |
KR20220031909A (ko) | 약물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의 pH를 안정화하는 방법 | |
TW202228761A (zh) | 包含水凝膠及環孢菌素之持續釋放可生物降解淚小管內插入物 | |
CN103142462B (zh) | 布林佐胺眼用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 |
WO2007132907A1 (en) | Hydrogel suspens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 |
JPH05247308A (ja) | ニュートン型粘性を示すカルボキシビニルポリマー | |
JP2020513016A (ja) | 能力と安全性が増強された組成物および抗菌合成カチオン性ポリペプチド類を局所的に適用する使用 | |
EP3769753B1 (en)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terile ophthalmic aqueous fluticasone propionate form a nanocrystals suspensions | |
KR20100129263A (ko) | 다당류 미립자상 겔 함유 수분산체 및 그 제조 방법 | |
JP2003128588A (ja) | 多糖類含有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 |
CN113577022A (zh) | 一种氨苯砜类化合物混悬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US20100317615A1 (en) | Method of enhancing ocular penetration of a drug in an eyedrop | |
JP2010030978A (ja) | 多糖類微粒子状ゲル含有水分散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多糖類微粒子状ゲル含有保湿剤と多糖類微粒子状ゲル含有眼科用組成物 | |
CN104721130B (zh) | 一种布林佐胺包合物眼用制剂及其制备方法 | |
EP4356929A1 (en) | Antifibrotic formulation for ophthalmic treatment | |
WO2022195382A1 (en) | A stable ophthalmic nanosupension of brinzolamide | |
Elella et al. | Gellan gum in drug delivery | |
WO2024133662A1 (en) | Core-shell capsules of methacrylate or acrylate modified polysaccharides | |
HK40038382A (en)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terile ophthalmic aqueous fluticasone propionate form a nanocrystals suspensions | |
HK40038382B (en)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terile ophthalmic aqueous fluticasone propionate form a nanocrystals suspensions | |
CN117425486A (zh) | 治疗性寡肽和拟肽的基于二氧化硅的制剂 | |
Bhaskar et al. | PHARMACEUTICAL SCIEN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6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