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22830A - 유니버셜 리모콘 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니버셜 리모콘 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830A
KR20100122830A KR1020090056592A KR20090056592A KR20100122830A KR 20100122830 A KR20100122830 A KR 20100122830A KR 1020090056592 A KR1020090056592 A KR 1020090056592A KR 20090056592 A KR20090056592 A KR 20090056592A KR 20100122830 A KR20100122830 A KR 20100122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unit
signa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치호
Original Assignee
권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치호 filed Critical 권치호
Publication of KR20100122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830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공급장치, 리모콘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타이머 설정에 의한 전원 공급 또는 차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기모드를 구비한 가전기기들의 동작 또는 정지도 가능하게 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게 하고, 전원을 차단 할 때는 기기의 동작을 먼저 정지시킨 후 전원을 차단시켜 기기를 보호한다. 또한, 가정 내 다양한 가전기기에 부속되어 있는 다수 리모콘의 사용빈도 높은 기능들을 본 발명의 리모콘 하나에 구비시켜 사용상의 간소함을 제공하며, 가전기기마다 제 각각인 타이머 기능을 상기 리모콘 하나로 단일 운용하게 하여 타이머 기능에 대한 접근성을 쉽게 하여 모든 기기의 에너지를 절감하게 한다. 또한, 각 가전기기의 전력소모 및 전기요금을 상기 리모콘을 통해 일괄표시 하게 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게 한다.
전원공급장치, 리모콘, 어댑터, 콘센트, 타이머

Description

유니버셜 리모콘 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Universal remote control device, power supply and Control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 및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니버셜 리모콘 기능을 수행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용 가전기기에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유니버셜 리모콘 장치, 전원 공급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주거환경이 발달하면서 새로운 가전기기들의 등장과 쾌적하고 편리한 주거환경을 위한 다양한 가전기기들의 복합사용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수단의 하나로써 콘센트 전원제어장치 또는 전원어댑터 시스템 등의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먼저, 등록실용신안 20-0227804에 기재된 "무선 타이머 콘센트 전원제어장치"는 다수의 무선 타이머 콘센트들과 전용의 리모콘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리모콘으로 무선 타이머 콘센트들의 공급전원을 제어한다. "무선 타이머 콘센트 전원제어장치"는 무선 타이머 콘센트들의 공급전원을 개별적 온/오프 제어하는 것은 가능 하지만 타이머 기능을 위한 타이머 설정과 표시는 각각의 타이머 콘센트에서만 가능하여 제품의 특성상 일반적으로 사람의 손이 닿기 힘든 곳과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가전기기의 뒤에 설치되므로 타이머 설정 및 확인이 불편하고, 타이머 콘센트 마다 설정입력장치 또는 표시장치를 각각 구비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선 타이머 콘센트 전원제어장치"는 각각의 타이머 콘센트에 접속된 가전기기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만 하기 때문에 대기모드를 구비한 가전기기들(에어컨, TV, 오디오 등)은 전원 공급 또는 차단만으로는 가전기기를 동작 또는 정지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가전기기들의 동작시간 단속에 의한 에너지 절감을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인 경우 취침 시 동안 10분 동작, 50분 정지를 계속 반복하게 설정하면 취침시간 내내 냉방은 적절하게 유지되면서도 상당량의 에너지가 절감된다. 에어컨의 운전방법은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동작 또는 정지하므로 설정온도가 낮게 설정되어 있으면 전력소모가 상당하며, 일반적으로 동작시간 단속에 의한 반복운전기능 등의 다양한 타이머 기능은 구비하지 않고 있다.
또한 종래의 "무선 타이머 콘센트 전원제어장치"는 가전기기가 동작 중 대기모드를 거치지 않고 공급되는 전원을 바로 차단하므로 이러한 방법은 기기의 수명이 짧아지거나 고장 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무선 타이머 콘센트 전원제어장치"는 타이머 설정이나 원격 설정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가전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그에 부속된 리모콘으로 기기를 동작시켜도 동작되지 않아 사용자가 고장으로 오인할 수 있는 문제점과 전원을 공급한 후에 다시 기기를 동작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무선 타이머 콘센트 전원제어장치"는 가정에 다양한 종류의 가전기기에 부속하는 다수 리모콘들과 함께 또 하나의 원격 전원 공급 또는 차단을 위한 리모콘을 추가로 운용해야 하므로,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사용의 복잡성을 더욱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 등록실용신안 20-0231921에 기재된 "무선 리모콘 이용 전원어댑터 시스템"은 다수의 어댑터들과 전용의 리모콘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리모콘으로 어댑터들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지만 대기모드를 구비한 가전기기들의 동작시간 단속에 의한 에너지 절감을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무선 타이머 콘센트 전원제어장치"는 가전기기가 동작 중 대기모드를 거치지 않고 공급되는 전원을 바로 차단하므로 이러한 방법은 기기의 수명이 짧아지거나 고장 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타이머 설정이나 원격설정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가전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그에 부속된 리모콘으로 기기를 동작시켜도 동작되지 않아 사용자가 고장으로 오인할 수 있는 문제점과 전원을 공급한 후에 다시 기기를 동작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무선 리모콘 이용 전원어댑터 시스템"은 가정에 다양한 종류의 가전기기에 부속하는 다수 리모콘들과 함께 또 하나의 원격 전원 공급 또는 차단 및 타이머 설정을 위한 리모콘을 추가로 운용해야 하므로,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사용의 복잡성을 더욱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타이머 설정에 의한 전원 공급 또는 차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기모드를 구비한 가전기기들의 동작 또는 정지를 가능하게 하고, 전원을 차단 할 때는 기기의 동작을 먼저 정지시킨 후 전원을 차단시켜 기기를 보호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가정 내 다양한 가전기기에 부속되어 있는 다수 리모콘의 사용빈도 높은 기능들을 본 발명의 리모콘 하나에 구비시켜 사용상의 간소함을 제공하며, 가전기기마다 제 각각인 타이머 기능을 상기 리모콘 하나로 단일 운용하게 하여 타이머 기능에 대한 접근성을 쉽게 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각 가전기기의 전력소모 및 전기요금을 상기 리모콘을 통해 일괄표시 하게하여 에너지 절감을 유도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전원 공급장치는,
외부의 리모콘 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용전원을 인가 받아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공급장치로써,
상기 리모콘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송수신부;
상기 상용 전원을 입력받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를 포함하는 콘센트부;
상기 콘센트의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RF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리모콘 장치의 제어신호에 포함된 고유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콘센트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여 전원을 온/오프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콘센트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기를 제어하는 적외광신호를 출력하는 적외광 송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장치로부터 상기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적외광 송출부를 통해 상기 기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센트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감지부,
상기 콘센트의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전압 및 전류값 또는 이들로부터 얻어지는 순시전력을 상기 리모콘 장치로 상기 RF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리모콘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기기 또는 전원공급장치를 제어 하는 리모콘 장치로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조작부;
상기 기기에 대응하는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입력조작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기기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기기에 전원 온/오프 또는 기능동작/기능정지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해당 기기의 고유번호와 함께 상기 전원 공급장치로 송신하는 RF 송수신부;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적외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기기로 출력하는 적외광 송출부를 포함한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시계 기능을 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따른 해당 기기의 턴온 또는 턴오프 시간 예약화면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를 참조하고 해당 턴온 시간이 되면, 해당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출력하고 나서, 상기 기기에 전원 온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기기가 적외광 수신방식이 아닌 RF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전원 온 신호를 RF 송수신부(160)를 통해 기기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순시전력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의 소정 부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리모콘 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기기 또는 전원공급장치를 제어하는 리모콘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선택된 기능이 리모콘 기능인 경우, 제어부가 전원을 공급하도록 선택된 기기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전원온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기에 전원 온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전원 오프시에는 상기 기기에 전원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나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 공급장치에 전원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타이머 기능이 선택된 경우, 해당 기기의 턴온시간 예약화면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기기의 턴온 시간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면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를 참조하고 해당 턴온 시간이 되면, 해당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출력하고 나서, 상기 기기에 전원 온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타이머 설정에 의한 전원 공급 또는 차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기모드를 구비한 가전기기들의 동작 또는 정지도 가능하게 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전원을 차단 할 때는 기기의 동작을 먼저 정지시킨 후 전원을 차단시켜 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정 내 다양한 가전기기에 부속되어 있는 다수 리모콘의 사용빈도 높은 기능들을 본 발명의 리모콘 하나에 구비시켜 사용상의 간소함을 제공하며, 가전기기마다 제 각각인 타이머 기능을 상기 리모콘 하나로 단일 운용하게 하여 타이머 기능에 대한 접근성을 쉽게 하여 모든 기기의 에너지를 절감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가전기기의 전력소모 및 전기요금을 리모콘 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일괄표시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전원공급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장치는 전원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타이머(140), 리모콘 제어부(150), RF 송수신부(160), 적외광 송출부(170), 적외광 수신부(180), 입력 조작부(190)를 포함한다.
전원부(110)는 리모콘 내의 각부로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 조작부(190)는 타이머 설정 등 각종 설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키를 구비한다. 상기 입력조작부(190)는 각 전원공급장치에 일대일 할당 된 조작버튼(191~196)을 구비하며, 리모콘 모드일 때는 상기 조작버튼(191~196)이 기기의 전원 온 또는 오프 또는 기능동작 또는 기능정지를 위한 버튼으로 사용되고, 타이머 모드일 때는 조작키(197, 198)를 이용하여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 또는 타이머 동작을 설정한다.
표시부(120)는 타이머 설정결과 표시, 전력 표시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메모리(130)는 다양한 상용 기기에 부속되어 있는 적외광 리모콘의 송출신호 또는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수신된 고유번호 등을 저장한다.
적외광 송출부(170)는 적외광 신호를 송출한다.
RF 송수신부(160)는 전원공급장치와 RF 신호로 무선 통신하며, 기기가 적외광 수신방식이 아닌 RF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는 기기와 통신하며, 무선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한다.
타이머(140)는 단위시간을 생성하고, 카운터하여 실시간을 발생시켜 시계기 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메모리(130) 또는 적외광 송출부(170)를 제어하며, 실시간과 타이머 설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전원공급을 결정한다. 또한, 각 전원공급장치의 순시소비전력 또는 적산전력 또는 전기요금을 표시할 수 있고, 누진구간을 설정하여, 적산전력이 누진 적용구간에 도달하면 경보를 발생하며, 누진전기요금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전원공급장치 별로 적산전력 또는 전기요금 또는 누진전기요금의 상한 값을 설정하도록 하여, 상한 설정 값보다 사용한 값이 크면 경보 또는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리모콘 모드에서 기기의 전원을 오프하면 오프 제어신호를 송출한 후 소정의 시간 뒤에 전원차단신호를 전원공급장치로 무선송출하며, 기기의 전원을 온하면 전원공급신호를 전원공급장치로 무선송출한 후 소정의 시간 뒤에 온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타이머 모드에서 전원공급을 차단할 때, 적외광 송출부(170) 또는 전원 공급장치(200)의 적외광 송출부(230)를 통해 기기의 오프 제어신호를 먼저 송출한 후 소정의 시간 뒤에 전원차단신호를 전원공급장치(200)로 무선송출하며, 전원을 공급할 때는 전원공급신호를 전원공급장치(200)로 무선송출한 후 소정의 시간 뒤에 기기의 온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기기가 적외광 수신방식이 아닌 RF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기기의 오프제어신호 또는 온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적외광 수신부(180)를 통해 다양한 상용 기기에 부속되어 있는 적외광 리모콘으로부터의 광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하거나 사전에 미리 저장된 신호를, 제어부(150)가 다시 해당 기기에 송신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1에 표시하지 않았지만 유선전화, 무선전화, 이더넷 공중망에 접속 가능한 유선 또는 무선모뎀을 구비하여 원격지에서 전원공급장치 및 기기의 온 또는 오프 및 기능동작 또는 기능정지 등의 제어할 수 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전원부(210), RF 송수신부(220), 적외광 송출부(230), 저장부(240), 전원 제어부(250), 콘센트부(260), 스위치부(270),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281), 전압 검지부(282), 제1 전류 검지부(283), 제2 전류 검지부(284)를 포함한다.
전원부(210)는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전원공급장치 내의 각부로 전원을 공급한다. 저장부(240)는 제 1 고유번호 또는 구비된 콘센트 수만큼의 제 2 고유번호를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고유번호는 미리 콘센트 장치에 저장해 놓으며, 모든 기기 및 콘센트에 대해 서로 다른 고유 번호가 부여되도록 한다. 리모콘장치에는 고유번호가 없으며, 콘센트의 고유번호를 RF로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여 리모콘 장치에 등록시킨다. 필요에 따라서는 리모콘 장치에 저장후 콘센트 장치에 등록시킬 수도 있다.
RF 송수신부(220)는 RF 안테나를 구비하여 RF 방식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치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71, 272)를 구비하고, 제1 고유번호 또는 제2 고유번호에 일대일 대응되어 콘센트(261, 262)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 한다.
콘센트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261, 262)를 구비하고, 콘센트(261, 262)는 상기 스위치(271, 272)와 일대일 연결되고, 기기에 연결된 전원플러그를 접속시키면 전원이 공급되는 구조이다.
전압 검지부(282)는 기기에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한다.
전류 검지부(282, 283)는 상기 콘센트(261, 262)에 흐르는 전류를 각각 검출하여 출력한다. 전류 검지부(282, 283)는 변류기(CT), 홀센서(Hall sensor), 썬트저항(shunt resistor) 등에서 택일하여 적용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81)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원 제어부(250)는 저장부(240), RF 송수신부(230), 스위치부(270) 등을 제어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장치 및 전원 공급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기기들의 플러그는 전원 공급장치의 콘센트에 꼽혀져있는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10)의 전원이 인가된 후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기능을 선택받는다(S410).
타이머 기능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입력조작부(190)로부터 해당 기기 및 예약시간을 입력받아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쓰이는 타이머기능이란 실시간 발생기로부터 발생한 실시간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에 이르면 사용자가 설정한 대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것으로 분 단위, 시간단위, 하루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년 단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전원공급장치 별로 각각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타이머 기능은 기기에 전원의 공급 또는 차단뿐만 아니라 적외선 수신부 또는 RF 송수신부를 구비한 기기의 기능동작, 기능정지, 미리 설정한 기능 등을 수행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작버튼(198)을 좌우로 돌려서 예약할 시간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조작버튼(198)을 누름에 의해 전원온 시간으로 예약세팅을 하게 된다(S430).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한 타이머 예약세팅의 표시예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기기(TV)가 선택된 후 사용자 선택에 의해 기기의 오후 6시에서 9 사이가 온타임으로 표시되어 있다(S430).
한편, 리모콘 기능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50)는 입력조작부의 해당 기기에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해 입력 조작부(190)의 조작 버튼(191~196)을 리모콘 기능으로 할당한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해당 기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라는 입력 조작부의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콘센트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전원 온의 신호인 경우, 전원공급장치(200)에 전원 공급신호를 RF 송수신부(160)를 통해 출력하고, 전원 제어부(250)는 RF 송수신 부(22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저장부(240)를 참조하여 고유번호를 확인하여 해당 콘센트에 대응되는 스위치(271 또는 272)를 온시키고, 이에 따라 해당 기기에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50)는 소정의 시간 후에 적외광 송출부(170) 또는 RF 송수신부(160)를 통해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해당기기에 전원 온신호를 출력하여 기기를 켜게 된다. 이러한 개념을 도 6에 도시하였다.
따라서, 안전하게 기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오프의 경우는 전원 온의 역순으로 제어신호를 기기에 출력하여 기기의 전원을 오프하고, 다음, 전원공급장치에 전원 차단신호를 출력하여 전원을 차단하며, 이러한 과정에 의해 안전하게 기기를 오프시킨다(S440).
한편, 제어부(150)는 타이머(140)를 참조하여 전원 온/오프를 해야할 메모리(130)에 설정된 시간이 되었는지 체크한다(S450).
그리고, 전원 온/오프를 해야 할 메모리(130)에 설정된 시간이라면 제어부는 상기 과정에 의해 전원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한다(S460).
한편, 전원공급장치 자체의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서 전원 제어부(250), 메모리부(240), 전압 검지부(282), 전류 검지부(283, 284), RF 송수신부(220) 등은 슬립동작모드를 갖추어 필요시에만 동작하게 한다.
가전 기기 등에서의 대기전력은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소비되고 있는 전력으로 우리나라 가정 및 상업전력 사용량의 약 10% 정도에 해당되는 막대한 전력이다(에너지관리공단 통계자료). TV의 예를 들면, TV가 꺼져 있는데도 적외광 리 모콘 조작으로 켜지는 것은 적외광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TV 의 적외선 수신부가 동작하고 있다는 것이고, 이것이 대기전력이다.
이 대기전력을 없애는 방법이 TV의 전원코드를 뽑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귀찮아서 거의 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일반적으로 저녁 12시에서 오전6시 등)에는 아예 전원공급(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모콘에서 기기를 오프시키면 기기를 오프 한 후 소정의 시간 뒤에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고, 기기의 동작 시의 소비전력과 대기 시의 소비전력 경향을 파악하여 기기가 동작하다가 대기상태로 가면(사용자가 기기 사용을 종료했다는 것) 소정의 시간 후에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항은 제어부(150)에서 소비전력을 측정하여 이를 근거로 전원 제어를 하면 된다.
또한, 대기모드가 없는 기기인 경우, 예를 들면, 전기매트, 온돌침대, 전열기, 냉온수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선풍기 등은 타이머 설정을 통해 전원 공급을 단속할 수 있다.
한편, 대기모드가 있는(적외광 또는 RF 리모콘이 있는) 기기인 경우, 대표적으로 에어컨, TV 등은 타이머로 전원의 공급/차단과 함께 기기의 기능동작/기능정지를 수행하여 에너지를 절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리모콘을 이용해서 다수의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된 각종 기기)를 조작하려면 복잡하므로 전원공급장치와 일대일 대응되는 조작버튼을 구비해 놓고 해당 기기의 버튼을 누르면 리모콘이 이 기기의 리모콘으로 동 작하고(리모콘 조작 시 이 기기에 해당되는 제어신호가 기기로 송출됨, 리모콘 모드일 경우), 타이머 모드일 경우 이 기기의 타이머 설정을 위한 입력 조작부로 동작하도록 하여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외광 수신방식인 기기의 경우 리모콘 장치의 적외광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원격에서 전원공급장치(200)에 RF 신호를 전송하여 적외광 송출부(230)에서 송출된 적외광 신호가 광 화이버(210)를 통하여 전달되어 기기(예를 들면 TV)를 동작 시킬 수도 있다. 이를 도 7에 도시하였다.
즉, 안방에서 리모콘을 이용하여 거실에 있는 TV의 볼륨조정이나 전원을 끌 수 있다.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모콘 장치(100)의 제어부(150)가 RF 송수신부(160)를 통해 전원을 온/오프 하라는 신호를 전원공급장치(200)로 송신한다.
그러면, RF 송수신부(22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전원 제어부 (250)가 RF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적외광 송출부(230)를 통해 전원 온/오프에 대한 적외선 신호를 TV나 에어컨 등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원공급 장치(200)에 전원 공급후 기기의 기능동작/기능정지 등의 제어도 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송출부(230)의 신호 중계를 전기배선을 이용하지 않고 광화이버(210)를 사용하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배선을 이용하면 신호선 2가닥을 인출해서 신호선 끝에 적외 발광소자를 연결하고 이를 외부로 인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하지만 광 화이 버(210)는 한 가닥만 인출하고 광신호를 화이버(210)를 통해 전달하므로 끝에 적외광 소자가 필요 없다.
둘째, 전기배선의 경우 피복이 벗겨져 전선이 외부로 노출될 때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하지만 광 화이버(210)는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고유번호(전원공급기의 고유번호)와 제 2 고유번호(콘센트 고유번호)를 구비하여 전원공급장치 한대에 여러 개의 콘센트를 구비하여 각각 제어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복수의 콘센트를 갖는 장점으로는 1개의 케이스와 RF 무선 송수신부, 제어부 등으로써 다수의 콘센트를 각각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서 비용이 절감 되고, 리모콘 장치(100)와 무선통신해야 할 전원공급장치 (200)의 수가 적어지므로 무선통신에러를 줄이고, 통신속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비전력 및 적산전력의 측정이 가능하며, 이는 전원공급장치에서 각 콘센트 별로 수행한다.
우선, 전압검지부(282)에서 순시전압(v(t))을 측정하고, 전류검지부(283, 284)에서 순시전류(i(t))를 측정하고, 전원 제어부(250)에서 서로 곱한 값들을 단위 주기(T) 동안 적분한 후 단위 주기로 나누어 순시소비전력(P)을 구하며, 이를 아래 수학식1에 나타내었고, 단위는 ㎾가 된다.
Figure 112009038396192-PAT00001
또한, 적산전력(E)은 단위 시간당 사용한 순시소비전력을 누적한 값으로 단 위는 ㎾h이며, 아래 수학식 2에 의해 구한다.
Figure 112009038396192-PAT00002
단위 시간은 리모콘 장치(100)의 타이머(140)의 시간을 참조하고, 소정의 주기로 전원공급장치(100)로 무선 전송한다.
전기요금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무선수신 받은 적산전력(E)을 메모리(130)에 저장된 전력단가 정보를 참조하여 제어부(150)가 계산한다.
누진전기요금은 전원공급장치(100)로부터 무선수신 받은 적산전력(E)을 메모리(130)에 저장된 누진구간 별 전력단가 정보를 참조하여 리모콘 장치의 제어부(150)가 계산하며, 필요에 따라 계산을 전원 제어부(250)에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모콘 장치(100)에 비밀번호 잠금기능을 구비하여 타이머 설정을 아동이 변경하지 못하도록 보호하고, 도 8 및 도9에 도시된 플러그 잠금장치(290)와 함께 사용하여 아동이나 청소년의 TV 시청시간이나 컴퓨터 사용시간을 제한할 수 있다.
리모콘의 비밀번호 기능은 각 전원공급장치 별로 잠금 또는 해제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8 또는 도 9를 참조하면, 전원공급장치의 플러그 잠금장치(290)는 물리적인 수단이며, 전원공급장치(200)에 홀을 하나 구비하여 플러그와 홀을 쉽게 풀 수 없는 와이어나 케이블 타이 등을 이용하여 묶어서 플러그의 이탈을 막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시부(120)에 순시사용전력, 적산전력, 전기요금, 누진사용전기요금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전기 사용량을 확인하여 에너지를 스스로 절약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누진단계에 진입하는 것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순시사용전력은 소비자가 기기의 소비전력 정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제조자로 하여금 기기의 저전력화 생산을 유도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적외광 수신부(18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제조사별로 다양한 종류의 기기에 부속된 적외광 리모콘의 송출신호를 수신해서 리모콘에 등록시킬 수 있다. 시중에 많이 유통되고 있는 제조사나 기기는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해 놓는 방법이 바람직하나 흔치 않는 제조사나 기기는 기기에 부속된 리모콘의 필요한 기능을 적외광 수신부로 송출시켜 이 신호를 수신해서 리모콘에 등록하여 기기에 부속된 리모콘을 대신하여 사용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장치의 외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장치의 표시부의 예약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장치의 출력신호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적외광 송출부가 기기에 전원을 제어하는 적외광 신호를 출력하는 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외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에 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된 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Claims (12)

  1. 외부의 리모콘 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용전원을 인가 받아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공급장치로써,
    상기 리모콘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송수신부;
    상기 상용 전원을 입력받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를 포함하는 콘센트부;
    상기 콘센트의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RF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리모콘 장치의 제어신호에 포함된 고유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콘센트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여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콘센트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를 제어하는 적외광신호를 출력하는 적외광 송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장치로부터 상기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적외광 송출부를 통해 상기 기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감지부,
    상기 콘센트의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전압 및 전류값이나 또는 이들로부터 계산된 순시전력을 상기 리모콘 장치로 상기 RF 송수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에 결합된 기기의 전원플러그를 임의로 분리하지 못하게 콘센트와 플러그를 구속시켜 묶는 물리적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5.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기기 또는 전원공급장치를 제어하는 리모콘 장치로써,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조작부;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대응하는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입력조작부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기기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기기에 전원 온/오프 또는 기능동작/기능정지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해당 기기의 고유번호와 함께 상기 전원 공급장치로 송신하는 RF 송수신부;
    상기 전원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적외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기기로 출력하 는 적외광 송출부를 포함하는 리모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시계 기능을 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따른 해당 기기의 턴온 또는 턴오프 시간 예약화면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를 참조하여 해당 턴온 시간이 되면, 해당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출력하고 나서, 상기 기기에 전원 온 또는 기능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소비전력 정보를 수신하고, 전기요금을 계산하며, 표시부의 소정 부분에 소비전력 또는 전기요금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조작부는 각 전원공급장치에 일대일 할당 된 조작버튼을 구비하며, 리모콘 모드일 때는 상기 조작버튼이 기기의 전원 온/오프 또는 기능동작/기능정지를 위한 버튼으로 사용되고, 타이머 모드일 때는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 는 차단 또는 타이머 동작을 위한 버튼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9.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기기 또는 전원공급장치를 제어하는 리모콘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선택된 기능이 리모콘 기능인 경우, 제어부가 전원을 공급하도록 선택된 기기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전원공급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기에 전원 온 또는 기능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모콘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전원 오프시에는 상기 기기에 전원 오프 또는 기능정지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나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전원차단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모콘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타이머 기능이 선택된 경우, 해당 기기의 턴온 또는 턴오프 시간 예약화면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모콘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를 참조하여 해당 턴온 시간이 되면, 해당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출력하고 나서, 상기 기기에 전원 온 또는 기능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모콘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056592A 2009-05-13 2009-06-24 유니버셜 리모콘 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Abandoned KR201001228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1893 2009-05-13
KR1020090041893 2009-05-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830A true KR20100122830A (ko) 2010-11-23

Family

ID=4340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592A Abandoned KR20100122830A (ko) 2009-05-13 2009-06-24 유니버셜 리모콘 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28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4955A (zh) * 2012-10-29 2014-05-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智能供电系统及其智能插排与智能供电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4955A (zh) * 2012-10-29 2014-05-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智能供电系统及其智能插排与智能供电方法
CN103794955B (zh) * 2012-10-29 2016-06-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智能供电系统及其智能插排与智能供电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1596B2 (ja) 電力監視システム
AU2012100135A4 (en) Power sensor
AU2012100197A4 (en) Power sensor
CN104932335B (zh) 一种插孔工作状态的控制方法及装置
WO2011058761A1 (ja) 電気機器の電力制御装置および電話機
AU2011101402A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KR20100122830A (ko) 유니버셜 리모콘 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101078778B1 (ko) 대기전력 자동 차단 스위치장치
KR20120046847A (ko)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10017949A (ko)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20080112781A (ko) 타임설정이 가능한 그린 콘센트
KR20150111804A (ko) 지능형 전원 플러그 및 전원 어댑터
KR101063438B1 (ko) 대기전력 절감형 멀티콘센트
AU2011101388B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U2011101409B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KR101200192B1 (ko) 절전형 멀티탭 및 상기 멀티탭의 운용방법
AU2011101408A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AU2011100848B4 (en) Power monitoring system
JP2008046049A (ja) 消費電流検出制御システム、AS−i通信機能付AC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1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