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21355A -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1355A
KR20100121355A KR1020090040465A KR20090040465A KR20100121355A KR 20100121355 A KR20100121355 A KR 20100121355A KR 1020090040465 A KR1020090040465 A KR 1020090040465A KR 20090040465 A KR20090040465 A KR 20090040465A KR 20100121355 A KR20100121355 A KR 20100121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box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identification
print data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현섭
이기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0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1355A/ko
Priority to US12/647,617 priority patent/US20100284035A1/en
Priority to EP10159307A priority patent/EP2249245A3/en
Publication of KR20100121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35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1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involving the use of passwords, ID codes or the like, e.g.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66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mass storage, e.g. in document fi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1Digital copier; digital 'photocop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은 인쇄데이터의 저장을 선택하고,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화상형성장치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정보를 인증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가 있는지 판단한 후,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에 상기 인쇄데이터를 저장한다.

Description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The method for storing a print data,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image forming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쇄, 복사, 스캔, 팩스 등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인쇄 기능들을 사용한다. 인쇄 작업의 인쇄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에 저장하고, 저장된 인쇄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Document Box"라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Document Box" 기능의 원리는 인쇄, 팩스, 스캔, 복사 등에서 발생하는 인쇄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BOX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BOX에 저장된 인쇄데이터를 인쇄, 이메일 전송, 서버(SMB/FTP) 전송, 팩스 전송하는 것이다. 여기서, BOX는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저장부의 저장 위치를 의미하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문서박스와 유사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에서 생성되거나 호스트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인쇄데이터는 화상형성장치 에 저장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인쇄데이터를 보다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은 상기 인쇄데이터의 저장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에 상기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기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가 있는지 판단하는 문서 박스 확인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에 상기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은 인쇄 데이터 저장을 선택하고,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핑하는 매핑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매핑 정보 및 인쇄데이터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 및 기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증한 후,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가 있는지 판단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에 상기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은 인쇄데이터의 저장을 선택하고,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화상형성장치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정보를 인증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가 있는지 판단한 후,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에 상기 인쇄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식별 정보의 등록만으로 인쇄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형성장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쇄 작업의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형성장치 시스템(100)은 호스트 장치(110) 및 화상형성장치(140)를 포함한다.
호스트 장치(110)는 프린트 드라이버(112), 호스트 콘트롤러(130) 및 인터페이스부(935)를 포함한다. 프린터 드라이버(112)는 인쇄 옵션 설정부(115), 사용자 식별 정보 설정부(120) 및 저장 옵션 설정부(125)를 포함하고, 호스트 콘트롤러(130)는 매핑 정보 생성부(132)를 포함한다. 또한, 호스트 장치(110)는 인쇄데이터의 저장을 선택하고, 사용자 식별정보를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매핑하는 매핑정보를 생성한 후, 사용자 식별 정보, 매핑 정보 및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40)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형성장치 시스템은 하나의 호스트 장치와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만을 나타내었으나, 화상형성장치는 다수의 호스트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 방법은 로컬, 네트워크 등 다양한 연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인쇄 옵션 설정부(115)는 프린터 드라이버(112)에서 구현되는 인쇄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항목에 따라 인쇄 옵션을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인쇄 범위(410), 인쇄 매수(420)와 같은 기본적인 인쇄 옵션과 등록 정보(430)를 통한 고급 사양의 인쇄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 설정부(120)는 화상형성장치(140)에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 고자 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ID(510) 및 비밀번호(520)를 입력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식별 정보로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사용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를 고유하게 나타낼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떤 정보라도 무방하다.
저장 옵션 설정부(125)는 인쇄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옵션을 설정한다. 도 6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출력 모드(610)로 저장(620)을 설정하면,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 작업을 처리한 후, 인쇄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되는 인쇄데이터에 관한 정보로 사용자명(630)와 인쇄명(640)을 설정할 수도 있다.
호스트 콘트롤러(130)는 문서박스 관리 기능을 가지며, 매핑 정보 설정부(132) 외에 웹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매핑 정보 생성부(130)는 사용자 식별 정보와 문서 박스를 각각 대응시켜, 매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식별 정보 리스트와 문서 박스 리스트를 사용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마다 화상형성장치의 문서 박스를 일대일로 대응시킨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의 사용자 식별 정보로 사용자 ID를 사용하였으나, 사용자가 사용한 호스트 장치의 IP 주소와 같이 사용자를 고유하게 나타내는 정보라면, 어떤 정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5)는 화상형성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사용자 식별 정보, 매핑 정보 및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40)는 문서박스 생성부(145), 사용자 식별 정보 등록부(150), 매핑 정보 생성부(155), 인터페이스부(160), 사용자 인증부(165), 문서 박스 확인부(170), 저장부(175), 데이터 처리부(180), 화상형성부(181), 팩스부(182), 전송 기능 수행부(183),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5)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또한, 기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증한 후,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가 있는지 판단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에 상기 인쇄데이터를 저장한다.
문서박스 생성부(110)는 인쇄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를 생성한다. 문서 박스 생성부(110)는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5)를 통해 입력된 값을 이용하여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를 생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서박스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5)를 통해 표시되고, 표시된 도 8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Box Name(810), Owner(820)을 설정하여, 문서 박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문서박스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문서박스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문서박스들은 리스트로 관리될 수 있다. 도 9의 문서박스 리스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박스 리스트는 Type(910), File(920), Box Name(930), Owner(940) 및 Date(950)를 포함하므로, 문서박스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 등록부(120)는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등록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식별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등록된 사용자 식별 정보의 사용자만이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고유한 정보이며, 사용자 ID 또는 사용자가 사용한 호스트 장치의 IP 주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매핑 정보 생성부(130)는 문서박스 생성부(110)에서 생성한 문서박스들과 사용자 식별 정보 등록부(120)에서 등록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매핑 정보로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매핑 정보 생성부(130)는 문석 박스에 대응하는 문서 박스명, 사용자 식별 정보, 문서 박스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인터페이스부(140)는 호스트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호스트 장치로부터 인쇄데이터와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된 처리 결과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한다.
사용자 인증부(150)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증한다. 사용자 인증부(150)는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사용자 식별 정보 등록부(12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통해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 인지를 인증한다.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화상형성장치에 등록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존재하 면,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적법한 사용자로 인증한다.
문서 박스 확인부(160)는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적법한 사용자로 인증되면,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서 박스가 화상형성장치에 존재할 수 있는데, 이는 백업박스를 설정하거나, 공용박스에 저장하고, 사용자 박스에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서박스 확인부(160)는 화상형성장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서 박스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이 때, 문석 박스 확인부(160)는 사용자 식별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가 대응되게 설정된 매핑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매핑 정보로는 사용자와 문서 박스를 일대일로 대응시킨 사용자/문서박스 테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제어부(190)의 명령에 따라, 인쇄데이터를 특정 문서박스에 저장한다. 문서박스 확인부(160)를 통해 사용자/문서박스 테이블이 화상형성장치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면, 저장부(170)는 인쇄데이터를 사용자/문서박스 테이블로부터 획득한 문서박스에 저장한다. 반면, 사용자/문서박스 테이블이 화상형성장치에 존재하지 않으면, 저장부(170)는 인쇄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에서 기설정된 공용문서박스에 저장한다. 이 때, 공용문서박스에 저장하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8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인쇄데이터를 처리한다. 데이터 처리부(180)는 인쇄 데이터가 화상형성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기능에 대응하는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변화의 예는 팩스, 이메일, FTP 등 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인쇄 데이터만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인쇄 데이터를 변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80)에 의해 변환된 파일은 각 기능을 처리하는 기능처리 유닛으로 전달된다.
화상형성부(181)는 데이터 처리부(180)로부터 수신한 파일을 인쇄하고, 팩스부(182)는 데이터 처리부(180)로부터 수신한 파일을 외부 팩스 기기로 전송하며, 전송 기능 수행부(183)는 데이터 처리부(180)로부터 수신한 파일을 인터페이스부(160)로 전달하여, 다른 호스트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처리부(180)에서 변환된 파일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 유닛으로 화상형성부(181), 팩스부(182), 전송 기능 수행부(183)을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되는 다른 기능들을 처리하는 기능처리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는다.
제어부(190)는 화상형성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인증부(15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저장부(170) 및 데이터 처리부(180)의 동작을 제어한다.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 식별 정보이면, 데이터 처리부(680)를 구동시켜, 인쇄 데이터를 인쇄시킨다. 또한, 수신된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 식별 정보이면, 저장부(170)를 구동시켜, 인쇄데이 터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쇄 작업의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쇄 작업의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형성장치(200)는 문서박스생성부(210), 사용자 식별 정보 등록부(220), 매핑 정보 생성부(230), 인터페이스부(240), 사용자 인증부(250), 문서박스 확인부(260), 저장부(270), 데이터 처리부(280),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5)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이 때, 화상형성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들은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와 같이 동작하므로,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알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쇄 작업의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 300 단계에서는 인쇄 옵션을 설정한다.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 장치의 프린터 드라이버를 통해 인쇄 옵션을 설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구현되는 인쇄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인쇄 옵션으로 인쇄 범위(410), 인쇄 매수(420) 등과 같은 기본적인 인쇄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등록 정보(430) 버튼를 통해, 양면 인쇄, N-up 인쇄 등과 같은 고급 사양의 인쇄 옵션을 설정할 수도 있다.
제 305 단계에서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설정한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자 고유의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구현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식별 정보로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사용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를 고유하게 나타낼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떤 정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하는 호스트 장치의 IP 주소도 사용자 식별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제 310 단계에서는 저장 옵션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쇄 작업의 인쇄데이터를 출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쇄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데, 이는 저장 옵션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구현되는 저장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출력 모드(610)로 저장(620)을 설정하면, 인쇄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에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모드(610)로 저장(620)을 설정하는 경우, 저장되는 인쇄데이터에 관한 정보로 사용자명(630), 인쇄명(640)을 설정할 수도 있다.
제 315 단계에서는 인쇄 작업을 시작한다. 호스트 장치의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인쇄 작업을 위한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인쇄 작업을 시작한다. 인쇄 작업이 시작되면, 인쇄 명령이 화상형성장치로 전송되고, 전송된 인쇄 명령에 따라 화상형성장치가 동작한다.
제 320 단계에서는 설정된 사용자 식별 정보의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적법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화상형성장치에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20 단계에서는 설정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화상형성장치에 내부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인증하여, 설정된 사용자 식별 정보의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설정된 사용자 식별 정보의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로 인증되면, 제 325 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 330 단계를 수행한다.
제 325 단계에서는 설정된 저장 옵션이 "저장"인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전 또는 후에 인쇄 작업의 인쇄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인쇄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인쇄데이터가 화상형성장치에서 저장 가능한 인쇄데이터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인쇄데이터가 화상형성장치에서 저장 가능한 데이터인지의 여부는 저장 옵션이 "저장"으로 설정되었는지를 통해 확인하여 알 수 있다. 따라서, 저장옵션의 확인 결과, 설정된 저장 옵션이 "저장"이면, 제 335 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 340 단계를 수행한다.
제 330 단계에서는 인쇄 작업을 취소한다. 설정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인증되지 않은 정보이면, 사용자 식별 정보의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를 적법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요청한 인쇄 작업 을 취소한다.
제 335 단계에서는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쇄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서박스들이 화상형성장치에 미리 생성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쇄 작업의 인쇄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의 특정 문서박스에 저장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에 존재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매핑 정보를 이용하는데, 매핑 정보로는 사용자와 문서박스를 일대일로 대응시킨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식별 정보(USER 1, USER 2, USER 3)에 문서박스(BOX A, BOX B, BOX C)를 각각 일대일로 대응시켜,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의 사용자 식별 정보로 사용자 ID를 사용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사용한 호스트 장치의 IP 주소 등과 같이 사용자를 고유하게 나타내는 정보라면, 어떤 정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쇄데이터가 저장되는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저장 장소인 문서박스들을 "BOX"로 명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명명할 수도 있다. 제 335 단계의 확인 결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이 존재하면, 제 345 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 350 단계를 수행한다.
제 340 단계에서는 인쇄 작업을 실행한다.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설 정된 인쇄 옵션에 따라 인쇄 작업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양면 인쇄"가 설정되었으면, "양면 인쇄"를 수행하고,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N-up 인쇄"가 설정되었으면, "N-up 인쇄"를 수행한다.
제 345 단계에서는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인쇄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에는 사용자별로 문서박스가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인쇄 작업의 인쇄데이터는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에 따라 사용자와 대응되는 문서박스에 저장된다. 즉,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로부터 인쇄데이터가 저장될 문서박스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문서박스에 인쇄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7의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을 살펴보면, 사용자 1은 "BOX A"에 대응되고, 사용자 2는 "BOX B"에 대응되며, 사용자 3은 "BOX C"에 대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1이 설정되면, 사용자 1에 대응하는 "BOX A"에 인쇄데이터를 저장한다.
제 350 단계에서는 미리 설정된 문서박스에 인쇄데이터를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특정 문서박스를 디폴트로 지정할 수 있다. 이 때, 디폴트로 지정된 특정 문서박스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마다 다르게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에서 "BOX A"를 인쇄데이터가 저장되는 특정 문서박스로 지정하면,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이 없는 경우, 시스템 설정에 따라 인쇄데이터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지정한 특정 문서박스인 "BOX A"에 저장된다. 이 때, "BOX A"는 공용박스가 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에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이 존재하지 않으면, 사 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은 화상형성장치의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또는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 리스트와 문서박스 리스트를 링크시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 345 단계 및 350 단계의 인쇄데이터의 저장 과정은 인쇄 작업의 전 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저장된 인쇄데이터는 다른 인쇄 작업의 의해 활용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 내부에서 인쇄데이터를 카피(copy), 무브(move), 외부 전송(FTP, E-mail), 편집,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제 355 단계에서는 인쇄 데이터의 저장 정보를 표시한다. 인쇄데이터의 저장정보를 화상형성장치 또는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 장치에서 표시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에서 표시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표시되거나,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 장치에서 표시되는 경우에는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표시되거나, 호스트 장치의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쇄 데이터가 "BOX A"에 저장되는 경우, 표시되는 저장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데이터가 "BOX A"에 저장되는 경우, 문서박스 이름(1000)뿐만 아니라, 사용자명(1100), 인쇄 데이터 이름(1200), 인쇄 데이터에 설정된 인쇄옵션(1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적용된 인쇄 옵션 전부 또는 일부만 표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BOX A"에 저장되 는 인쇄데이터에 관한 저장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씨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형성장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쇄 작업의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쇄 작업의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구현되는 인쇄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구현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구현되는 저장 옵션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문서박스 매핑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서박스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문서박스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쇄 데이터가 "BOX A"에 저장되는 경우, 표시되는 저장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24)

  1. 인쇄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장치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데이터의 저장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에 상기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데이터 저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가 대응되게 설정된 기 저장된 매핑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데이터 저장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가 없으면, 기설정된 공용문서 박스에 저장하거나 또는 인쇄용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데이터 저장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문서 박스로 저장하는 것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데이터 저장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매핑하는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데이터 저장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호스트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데이터 저장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문서박스에 대응하는 문서 박스명, 사용자 식별정보 및 문서박스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데이터 저장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는
    사용자와 문서 박스를 일대일로 대응시킨 사용자/문서박스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데이터 저장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인쇄데이터를 선택하여 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데이터 저장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의 저장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데이터 저장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기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가 있는지 판단하는 문서 박스 확인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에 상기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박스 확인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가 대응되게 설정된 기 저장된 매핑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가 없으면, 기설정된 공용문서 박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를 생성하는 문서 박스 생성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핑하는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매핑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박스 생성부는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 생성부는
    상기 문서 박스에 대응하는 문서 박스명, 사용자 식별 정보 및 문서 박스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는
    사용자와 문서 박스를 일대일로 대응시킨 사용자/문서박스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선택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기능에 대응하는 파일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상기 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파일을 인쇄하는 화상형성부, 상기 파일을 팩스 전송하는 팩스부, 상기 파일을 다른 호스트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전송 기능 수행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의 저장 결과를 표시하는 로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인쇄 데이터 저장을 선택하고,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핑하는 매핑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매핑 정보 및 인쇄데이터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 및
    기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증한 후,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가 있는지 판단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에 상기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형성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옵션 설정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 설정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문서 박스를 대응시켜, 매핑정보를 생성하는 매핑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매핑 정보 및 인쇄데이터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형성시스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호스트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인쇄 데이터와 상기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기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박스가 있는지 판단하는 문서 박스 확인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서 박스에 상기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형성시스템.
KR1020090040465A 2009-05-08 2009-05-08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Ceased KR20100121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465A KR20100121355A (ko) 2009-05-08 2009-05-08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US12/647,617 US20100284035A1 (en) 2009-05-08 2009-12-28 Method of storing print data,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to perform the method
EP10159307A EP2249245A3 (en) 2009-05-08 2010-04-08 Method of storing print data,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to perform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465A KR20100121355A (ko) 2009-05-08 2009-05-08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355A true KR20100121355A (ko) 2010-11-17

Family

ID=4222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465A Ceased KR20100121355A (ko) 2009-05-08 2009-05-08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84035A1 (ko)
EP (1) EP2249245A3 (ko)
KR (1) KR201001213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249B1 (ko) * 2011-11-08 2015-02-1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2147A (ja) * 2011-10-11 2013-05-09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657607B2 (ja) * 2012-05-31 2015-01-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28125B2 (ja) * 2014-10-07 2018-11-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8130962A (ja) * 2018-03-20 2018-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094809B2 (ja) * 2018-07-10 202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75696B2 (ja) * 2018-09-28 202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3036218A (ja) * 2021-09-02 2023-03-1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4876B2 (ja) * 1999-01-29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憶媒体
JP4439187B2 (ja) * 2003-02-10 2010-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JP3998012B2 (ja) * 2004-09-08 2007-10-2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049173B2 (ja) * 2005-07-14 2008-02-2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データ通信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データの管理方法
JP4522358B2 (ja) * 2005-11-30 2010-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48479B2 (ja) * 2006-01-18 2011-08-17 株式会社リコー 多機能入出力装置および入出力方法
JP4380698B2 (ja) * 2006-12-28 2009-12-0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249B1 (ko) * 2011-11-08 2015-02-1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US9239694B2 (en) 2011-11-08 2016-01-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allowing or inhibiting reprint of data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49245A2 (en) 2010-11-10
EP2249245A3 (en) 2012-12-05
US20100284035A1 (en)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7930B2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36324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requesting an external apparatus to transmit image data
KR20100121355A (ko) 인쇄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JP6092533B2 (ja) 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80814B2 (en) User termin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loud server to identify plural user information to execute an image processing job upon validating an user information
JP513785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
JP201025042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848699B2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の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46830B2 (ja) 画像形成装置とそ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41058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44622A (ja) 複合機
KR101829389B1 (ko) 화상형성장치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110023642A (ko) 화상형성장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호스트 장치
JP2008289130A (ja) コピーされた文書の電子的記憶及び再呼び出しが可能なコピー機
JP2011015323A (ja) 画像形成装置と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21513A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20110085783A (ko) 다큐먼트 박스에 문서를 저장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JP6958293B2 (ja)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13644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9019539B2 (en) Imag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mag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computer program configured to send image data to a plurality of destinations using separate methods
US2024039398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int set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application recorded thereon
JP2018149811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23540A (ja)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6252105B2 (ja) 端末装置、出力システム、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7576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8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5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5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1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