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20195A - 혈액 투석 장치 - Google Patents

혈액 투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195A
KR20100120195A KR1020107019701A KR20107019701A KR20100120195A KR 20100120195 A KR20100120195 A KR 20100120195A KR 1020107019701 A KR1020107019701 A KR 1020107019701A KR 20107019701 A KR20107019701 A KR 20107019701A KR 20100120195 A KR20100120195 A KR 20100120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ne
time
dialysis
unit
change 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00120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19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07Regulation parameters
    • A61M1/360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lood, e.g. haematocrit, ur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with memories providing a history of measured variating parameters of apparatus or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7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hematocr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혈액 투석 장치는, 환자의 혈액을 처리하는 혈액 처리기를 갖는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와,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순환 혈액량의 최대변화속도를 설정하는 최대변화속도 설정부와, 최대변화속도 설정부에서 설정된 최대변화속도 이하로 되도록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선(Q)을 생성하는 유도선 생성부를 갖는다. 제어부는, 유도선 생성부에서 생성된 유도선(Q)에 기초하여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혈액 투석 장치{BLOOD DIALYZER}
본 발명은 환자의 혈액을 체외 순환시켜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혈액 투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신부전 환자에 대해서는 혈액 투석 장치를 이용한 혈액 투석 치료가 행해지고 있다. 혈액 투석 장치는 환자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환자에게 되돌리는 혈액회로와, 혈액회로 중간부에 배치되는 다이어라이저(dialyzer)와, 다이어라이저에 투석액을 공급하기 위한 투석액회로를 구비한다. 그리고, 혈액회로 및 투석액회로는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며, 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은 다이어라이저로 유입하여 환자에게 되돌아가는 체외순환이 이루어지며, 이 체외순환 동안에 다이어라이저에 공급되어 있는 투석액에 의해 정화 처리됨과 동시에, 제수(除水) 처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혈액 투석 장치를 이용하여 혈액 투석을 실행하는 경우, 의료종사자가 환자의 상태에 따라, 투석시간, 투석액의 유량, 제수량 등을 설정한다.
일본 특허공개 2007-130300호 공보
그런데, 투석 초기 환자의 순환 혈액량은 목표 순환 혈액량에 비해 과잉상태이며, 제수시켜 감으로써 적정한 순환 혈액량에 가까워진다. 이 때,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또는 순환 혈액량을 과잉되게 감소시키면, 혈압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일정하게, 또는 일정 순환 혈액량을 유지하면서 제수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들 방법으로는 PRR(Plasma Refilling Rate=혈장 재충전율)의 감소와 함께 제수속도의 저하를 초래하며, 결과적으로 투석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회피하도록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미리 설정하고, 실제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유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특히 경험이 적은 의료종사자는 어떻게 유도하면 좋을 지 알기 어렵다. 또 환자에게 부적합하게 유도되어 버리면, 환자의 리스크가 커질 우려나, 투석시간이 불필요하게 연장되어 효율이 나쁜 투석이 실행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경험이 적은 의료종사자라도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용이하게 적합한 값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투석 중의 환자의 리스크를 저감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효율적인 투석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순환 혈액량의 최대 변화속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이 최대 변화속도보다 작은 값이 되도록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유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발명에서, 환자의 혈액을 체외 순환시켜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혈액 투석 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혈액을 처리하는 혈액 처리기를 갖는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와, 상기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순환 혈액량의 최대 변화속도를 설정하는 최대 변화속도 설정부와, 이 최대 변화속도 설정부에서 설정된 최대 변화속도 이하가 되도록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선을 생성하는 유도선 생성부를 가지며, 이 유도선 생성부에서 생성된 유도선에 기초하여 상기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어부의 최대 변화속도 설정부에 의해, 순환 혈액량의 최대 변화속도가 설정된다. 이 최대 변화속도는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미리 얻을 수 있고, 의료종사자의 경험에 의하지 않아도 설정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유도선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유도선은 최대 변화속도 이하의 변화속도로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유도하는 것이며, 이 유도선에 기초하여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가 제어되므로,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가 환자에게 부적합한 큰 값인 채로 투석이 실행되어 버리는 일은 없다. 또한 경험이 적은 의료종사자라도 부적합한 유도선이 되지 않는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는 이 제어부가 갖는 표시기에 유도선을 표시되게 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도선의 형상을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는 표시기에 최대 변화속도를 나타내는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을 표시되게 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최대 변화속도와 유도선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4 발명은, 제 1 내지 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어부는 복수의 최대 변화속도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며, 최대 변화속도 설정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최대 변화속도 중에서 하나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순환 혈액량의 최대 변화속도를 설정할 시에,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최대 변화속도 중에서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최대 변화속도를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5 발명은, 제 1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어부는 전체 투석시간 내에서의 순환 혈액량의 평균 변화속도를 설정하는 평균 변화속도 설정부를 가지며, 유도선 생성부는 상기 평균 변화속도 설정부에서 설정된 평균 변화속도를 나타내는 평균 변화속도 표시선과,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 사이에 유도선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도선의 형상을 평균 변화속도를 고려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6 발명은, 제 5 발명에 있어서, 평균 변화속도 설정부는 투석개시 시의 순환 혈액량이 미리 설정된 투석종료 시에 목표 순환 혈액량이 되도록, 투석시간 중에서의 순환 혈액량의 평균 변화속도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미리 설정된 투석종료 시에 목표 순환 혈액량이 되는 평균 변화속도를 고려하여 유도선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순환 혈액량을 투석종료 시에 목표 순환 혈액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투석시간 연장이 회피된다.
제 7 발명은, 제 1 내지 제 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부는 복수의 유도선 생성 블록을 투석시간의 경과방향으로 나열함과 더불어, 유도선 생성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에 대해 투석시간의 경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을 연결하도록 이어지는 유도선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을 투석시간의 경과방향으로 멀리하면, 이들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을 연결하도록 이어지는 유도선의 기울기 정도가 작아진다. 즉,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의 틈새 크기를 바꿈에 따라,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가 변경된다.
제 8 발명은, 제 7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에는 유도선 생성 블록의 개수에 관한 데이터가 복수 기억되고, 상기 유도선 생선 블록의 개수에 관한 데이터 중에서 임의의 데이터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도선 생성 블록의 개수를 간단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9 발명은, 제 7 또는 제 8 발명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 사이에는 시간조정 블록이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간조정 블록의 수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의 틈새 크기를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0 발명은, 제 9 발명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부는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이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의 틈새 크기가 변경된다.
제 11 발명은, 제 10 발명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부는 제어부가 갖는 표시기에,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을 복수 표시되게 하고, 이들 표시된 패턴 중에서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복수의 패턴을 표시기에 표시되게 하고 확인하면서 임의의 것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2 발명은, 제 10 또는 제 11 발명에 있어서,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은, 수열 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및 개수를 수열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3 발명은, 제 9 내지 제 12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투석시간의 경과방향 마지막에 위치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에 서로 인접하는 시간조정 블록은, 다른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에 의해 생긴 시간적 오차를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시간조정 블록을 배치하고 유도선을 생성한 경우에 생긴 시간적 오차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4 발명은, 제 7 내지 제 1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부는 유도선 생성 후에 임의의 유도선 생성 블록을 이동시켜 유도선의 형상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도선 생성 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한번 생성된 유도선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5 발명은, 제 14 발명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부는 투석시간 종료 예정 시에 대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투석시간을 변경시킴과 더불어,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의 틈새를 변경 후의 투석시간에 일치하도록 조정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의료종사자가 투석시간을 변경했을 때 유도선 생성 블록의 틈새를 조정하는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변경 후의 투석시간에 대응한 유도선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6 발명은, 제 14 또는 제 15 발명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 블록의 형상을 변경하는 구성으로 한다.
제 17 발명은, 제 14 내지 제 1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시간조정 블록의 형상을 변경하는 구성으로 한다.
제 18 발명은, 제 14 내지 제 1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부는 투석 실행 중에 투석시간 경과 이후에 대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만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투석 실행 중에 유도선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생긴 경우, 투석시간 경과 이후에 대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그 때까지 실행된 유도선의 형상을 남겨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9 발명은, 제 14 내지 제 1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부는 투석시간 경과 이후의 유도선 형상을 유지한 채 평행이동시킴으로써, 유도선의 형상이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제 20 발명은, 제 7 내지 제 19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부는 제어부가 갖는 표시기에 유도선 생성 블록을 표시되게 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도선 생성 블록을 표시기 상에서 보면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순환 혈액량의 최대변화 속도를 설정하고, 최대변화 속도 이하의 변화속도로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선을 생성하며, 이 유도선에 기초하여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를 제어하도록 하므로,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가 환자에게 부적합한 큰 값이 되는 일은 없어짐과 더불어, 경험이 적은 의료종사자라도 적합한 유도선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투석 중의 환자의 리스크를 저감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효율적인 투석을 실행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유도선이 표시기에 표시되므로, 의료종사자가 유도선이 정확하게 생성되는지 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환자의 안전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최대속도 표시선이 유도선과 함께 표시기에 표시되므로, 유도선이 정확하게 생성되는지 여부를 한층 더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기억부에 복수의 최대 변화속도를 기억시켜 두고, 이들 복수의 최대 변화속도에서 임의로 1개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최대 변화속도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에 맞는 최대 변화속도를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투석시간 내의 순환 혈액량의 평균 변화속도를 설정하고, 이 평균 변화속도 표시선과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 사이에 유도선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유도선의 형상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제 6 발명에 의하면, 투석개시 시의 순환 혈액량이, 미리 설정된 투석종료 시에 목표 순환 혈액량이 되도록, 순환 혈액량의 평균 변화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평균 변화속도를 나타내는 평균 변화속도 표시선과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 사이에 유도선을 생성함으로써, 투석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7 발명에 의하면, 투석시간의 경과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유도선 생성 블록을 간격을 두어 배치하며, 이들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을 연결하도록 이어지는 유도선을 생성하도록 하므로, 유도선 생성 블록의 틈새 크기에 의해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제 8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에 유도선 생성 블록의 개수에 관한 데이터를 복수 기억시켜 두고, 이들 데이터 중에서 임의의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므로, 유도선 생성 블록의 개수를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9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 사이에 시간조정 블록을 배치하도록 하므로, 이들 유도선 생성 블록 사이에 배치하는 시간조정 블록의 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의 틈새 크기를 변경하고,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제 10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그 패턴에 대응하도록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제 11 발명에 의하면,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을 표시기에 복수 표시되게 한 상태에서 임의의 패턴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을 선택할 시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제 12 발명에 의하면,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을 수열 패턴으로 구성하므로,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및 개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 13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시간조정 블록을 배치했을 때, 투석시간의 경과방향 마지막에 위치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에 서로 인접하는 시간조정 블록에 의해, 시간적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제 14 발명에 의하면, 유도선 생성 후에 임의의 유도선 생성 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한번 생성된 유도선의 형상을 환자의 상태에 맞도록 수정할 수 있으므로, 유도선을 한층 더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제 15 발명에 의하면, 투석시간 변경 후에, 그 변경 후 투석시간에 일치하도록 유도선 생성 블록의 틈새가 조정되므로, 의료종사자가 투석시간을 변경했을 때에 유도선 생성 블록의 틈새를 조정하는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변경 후 투석시간에 대응한 유도선을 생성할 수 있으며,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제 16 발명에 의하면, 유도선 생성 블록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유도선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제 17 발명에 의하면, 시간조정 블록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유도선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제 18 발명에 의하면, 투석 실행 중에는 투석시간 경과 이후에 대응하는 마지막 유도선 생성 블록만 이동 가능하게 하므로, 그 때까지 실행된 유도선 형상을 남겨둘 수 있으며, 이 형상을 참고로 하여 이후의 유도선 형상을 설정할 수 있다.
제 19 발명에 의하면, 유도선의 형상을 변경할 시에 변경 전의 유도선 형상을 이용할 수 있다.
제 20 발명에 의하면, 유도선 생성 블록을 표시기에 표시되게 하므로, 유도선 생성 블록을 이동시킬 시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혈액 투석 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혈액 투석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정지모드 화면이 표시된 표시패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순환 혈액량의 최대 변화속도를 선택하는 선태버튼이 표시된 표시패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최대 변화속도, 평균 변화속도 및 유도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유도선 생성 블록의 개념도,
도 7은 유도선 생성 블록의 확대도,
도 8은 유도선 생성 블록과 시간조정 블록을 나열하여 유도선을 생성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시간조정 블록의 확대도,
도 10은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을 선택하는 선택버튼이 표시된 표시패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이 A 패턴인 경우의 유도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A 패턴인 경우에 생성되는 유도선의 개념도,
도 13은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이 B 패턴인 경우의 유도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이 C 패턴인 경우의 유도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이 D 패턴인 경우의 유도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이 E 패턴인 경우의 유도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이 F 패턴인 경우의 유도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 평균 변화속도 표시선 및 유도선이 표시된 표시패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도 18에 상당하는 도면이며, 도 19의 (a)는 순환 혈액량의 변화비율을 감소시킨 경우를 나타내고, 도 19의 (b)는 순환 혈액량의 변화비율을 증가시킨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도 18에 상당하는 도면이며, 도 20의 (a)는 투석시간을 단축시킨 경우를 나타내고, 도 20의 (b)는 투석시간을 연장시킨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도 18에 상당하는 도면이며, BV 내비게이션 기능의 작동 개시 시를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도 18에 상당하는 도면이며, BV 내비게이션의 전반시간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도 18에 상당하는 도면이며, BV 내비게이션의 후반시간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유도선 생성 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유도선의 형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투석개시 후에 마지막 유도선 생성 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투석시간을 연장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투석개시 후에 마지막 유도선 생성 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순환 혈액량의 변화비율을 증가시키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투석개시 후에 중간의 유도선 생성 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유도선의 형상을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혈액 투석 장치(1)를 이용하여 혈액 투석을 실시할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혈액 투석 장치(1)는,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2), 조작 표시부(3)를 갖는 제어부(4), 도 2에 나타내는 보조 기억부(기억부)(5)를 구비한다. 이들 중,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2)는 실제로 혈액 투석을 실행하는 부분이다. 또, 제어부(4)는 컴퓨터의 정보처리부를 중심으로 하여 구성되며,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2)를 제어하는 것이다. 보조 기억부(5)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고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조작 표시부(3)는 의료종사자에 의한 데이터의 입력과 각종 정보 및 입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2)는 혈액 투석의 중심이 되는 다이어라이저(혈액 처리기)(10)와, 다이어라이저(10)에 접속되는 동맥측 혈액회로부(11) 및 정맥측 혈액회로부(12)와, 혈액펌프(13)와, 혈액 계측계(14)와, 다이어라이저(10)로 투석액을 공급하는 투석액회로(15)를 구비한다. 동맥측 혈액회로부(11), 정맥측 혈액회로부(12) 및 혈액펌프(13)에 의해 혈액회로(16)가 구성된다.
다이어라이저(10)는 통형의 케이스 내에 복수의 중공사(中空絲)(도시 생략)가 수납되어 구성된다. 이들 중공사 내부에 환자의 혈액이 흐르며, 중공사 외부와 케이스 내부 공간에 투석액이 흐르도록 구성된다. 다이어라이저(10)의 케이스에는 도시하지 않으나, 중공사 내부로 연통하는 혈액 유입포트 및 혈액 유출포트와, 중공사 외부와 케이스 내부 공간으로 연통하는 투석액 유입포트 및 투석액 유출포트가 형성된다.
동맥측 혈액회로부(11)는 동맥측 천자바늘(11a)을 가지며, 다이어라이저(10)의 혈액 유입포트로 접속된다. 동맥측 혈액회로부(11)의 중간부에는 동맥측 드립챔버(11b)와 혈액 계측계(14)가 설치된다. 한편, 정맥측 혈액회로부(12)는 정맥측 천자바늘(12a)을 가지며, 다이어라이저(10)의 혈액 유출포트로 접속된다. 정맥측 혈액회로부(12)의 중간부에는 정맥측 드립챔버(12b)가 설치된다.
혈액 계측계(14)는 전 혈액에 차지하는 적혈구의 용적률을 나타내는 헤마토크릿 값(hematocrit, Ht)을 계측하기 위한 헤마토크릿 센서를 갖는다. 이 헤마토크릿 센서는 도시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LED 등으로 된 발광소자와 포토다이오드 등으로 된 수광소자를 구비하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을 혈액에 비추고, 혈액을 투과한 빛을 수광소자로 수광함으로써, 동맥측 혈액회로부(11) 내를 흐르는 환자의 혈액 헤마토크릿 값(Ht)을 얻을 수 있게 구성된다. 헤마토크릿 센서는 헤마토크릿 값(Ht)을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혈액펌프(13)는 전동모터(도시 생략)를 가지며, 동맥측 혈액회로부(11)를 구성하는 유연한 튜브를 짜냄으로써 혈액을 동맥측 혈액회로부(11)로부터 정맥측 혈액회로부(12)로 보내도록 구성된 이른바 압착형 펌프이다. 혈액펌프(13)의 모터 회전속도를 변경함으로써, 혈액회로(16)를 흐르는 혈액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혈액펌프(13)는 압착형의 펌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식의 펌프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투석액회로(15)는 투석액 공급장치(도시 생략)에 접속되는 공급측 회로부(17), 배출측 회로부(18), 제수펌프(19) 및 공급 밸브(20)를 구비한다. 공급측 회로부(17)는 다이어라이저(10)의 투석액 유입포트로 접속된다. 배출측 회로부(18)는 다이어라이저(10)의 투석액 유출포트로 접속된다. 공급 밸브(20)는 공급측 회로부(17)에 설치되며, 이 공급측 회로부(17)를 흐르는 투석액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제수펌프(19)는 배출측 회로부(18)에 설치되며, 혈액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수펌프(19)는 전동모터(도시 생략)를 갖는다. 제수펌프(19)를 구동함으로써, 다이어라이저(10)로 유입되는 투석액의 양보다 배출되는 액체의 양이 많아지며, 이로써 중공사를 흐르는 혈액으로부터 수분이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이 제수펌프(19)에 의한 제수량은, 제수펌프(19)의 모터 회전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부(4)는 CPU(중앙 연산 처리장치)(도시 생략)와, RAM 등의 메인 메모리(도시 생략)와,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도시 생략)과, 표시 조작부(3)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28) 및 표시패널(29)에 의해 구성된다. 이 제어부(4)에는 버스(6)를 개재하여 보조 기억부(5)가 접속되며, 보조 기억부(5)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제어부(4)에는 혈액 계측계(14)가 접속되며, 혈액 계측계(14)에 의해 얻어진 헤마토크릿 값(Ht)은 제어부(4)로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또 제어부(4)에는 혈액펌프(13), 제수펌프(19) 및 공급 밸브(20)가 접속되며, 제어부(4)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해 혈액펌프(13) 및 제수펌프(19)의 각 모터의 회전속도가 변경되어, 공급 밸브(20)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조작 스위치(28) 및 표시패널(29)은 혈액 투석 장치(1)의 앞면에 배치된다. 조작 스위치(28)는 환자에 관한 각종 데이터나 다이어라이저(10)의 성능 데이터, 투석시간, 제수량 등을 환자별로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 표시패널(29)은, 터치패널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표시기이다. 표시패널(29)에 표시된 조작버튼(후술함)에 접촉함으로써 각종 데이터 등을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표시패널(29)에는, 입력된 데이터나 보조 기억부(5)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CPU에서 연산된 결과 등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으나, 혈액 투석 장치(1)에는 환자의 혈압 및 맥박을 검출하는 센서, 투석액의 농도를 검출하는 센서, 투석액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 환자의 정맥압을 검출하는 센서, 혈액회로(16)로 혼입된 기포를 검출하는 센서 등이 설치되며, 이들 센서는 제어부(4)에 접속되고, 각 센서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제어부(4)에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또 이들 센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표시패널(29)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며, 의료종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4)는, 각종 센서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나 조작 스위치(28) 및 표시패널(29) 상의 조작 스위치(28)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 후, 혈액펌프(13) 및 제수펌프(19)의 모터나 공급 밸브(2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4)에는,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소정값으로 유도하기 위한 BV 내비게이션 기능이 내장된다. BV 내비게이션 기능은, 상세함은 후술하나,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 최대값[최대 변화속도(VMAX)]을 설정하는 최대 변화속도 설정부(31)와, 순환 혈액량의 전체 투석시간 내에서의 평균 변화속도[평균 변화속도 (VAVE)]를 설정하는 평균 변화속도 설정부(32)와,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유도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유도선(Q)을 생성하는 유도선 생성부(33)를 갖는다.
제어부(4)에서는 순환 혈액량의 절대값 자체를 혈액 투석 장치(1)의 제어에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순환 혈액량의 상대변화를 얻을 수 있는 파라미터를 제어에 이용하도록 한다. 이 파라미터로서는 투석이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값, 예를 들어 혈액 중의 수분량이나 혈구농도 등을 들 수 있다. 혈구농도를 제어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헤마토크릿 값(Ht)이나, 이 헤마토크릿 값(Ht)으로부터 산출되는 BV(Blood Volume) 값이나, 이 BV 값을 투석개시 시의 BV 값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기한 %BV 값 등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값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에서 헤마토크릿 값(Ht)을 순환 혈액량의 파라미터로서 이용한다. 이 경우, 순환 혈액량의 변화비율[ΔBV(%)]은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순환 혈액량의 변화비율[ΔBV(%)]=[투석개시 전의 헤마토크릿 값(Ht0)-측정 시의 헤마토크릿 값(Ht1)]/측정 시의 헤마토크릿 값(Ht1)×100
순환 혈액량의 변화비율[ΔBV(%)]은 헤마토크릿 센서가 헤마토크릿 값(Ht)을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므로, 거의 실시간으로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4)는 정지모드 화면, 투석모드 화면, BV 내비게이션 기능을 조작하는 BV 내비게이션 조작화면 등을 표시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혈액 투석 장치(1)가 투석개시 전이며 정지 상태일 때는, 정지모드 화면을 표시패널(29)에 표시되게 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지모드 화면에는 각종 설정을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버튼(25)이나, 투석액의 온도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6)가 형성되며, 조작버튼(25) 중에는 BV 내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할 때 조작하는 BV 내비게이션 버튼이 있다. 정지모드 화면의 BV 내비게이션 버튼이 조작되면, 제어부(4)는 BV 내비게이션 조작화면(도 4에 나타냄)을 표시패널(29)에 표시되게 한다. 또 제어부(4)는 혈액 투석 장치(1)가 투석을 개시하면, 도시하지 않으나 투석모드 화면을 표시패널(29)에 표시되게 한다. 이 투석모드 화면에는 각종 조작버튼이나, 투석 개시로부터의 경과시간 및 투석액의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된다.
제어부(4)는 최대 변화속도 설정부(31)에서 순환 혈액량의 최대 변화속도(VMAX)를 설정하고, 평균 변화속도 설정부(32)에서 평균 변화속도(VAVE)를 설정한 후 유도선 생성부(33)에서 유도선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또, 생성된 유도선의 형상은 투석개시 전과 개시 후에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최대 변화속도 설정부(31)에서 순환 혈액량의 최대 변화속도(VMAX)를 설정할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보조 기억부(5)에는 복수의 최대 변화속도(VMAX)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된다. 이 최대 변화속도(VMAX)에 관한 데이터는, 도 4에 나타내는 BV 내비게이션 조작화면(BV 내비게이션 선택 1)에도 있는 것과 같이, 「-5% 60분」, 「-5% 90분」, 「-5% 120분」, 「-10% 60분」, 「-10% 90분」, 「-10% 120분」, 「-15% 60분」, 「-15% 90분」, 「-15% 120분」, 「-20% 60분」, 「-20% 90분」, 「-20% 120분」의 12가지가 있다.
예를 들어 「-5% 60분」이란, 투석개시 시의 순환 혈액량을 60분간에 5% 감소시키는 데이터이다. 즉 「-5%」는 순환 혈액량의 변화비율[ΔBV(%)]이다. 「60분」은 변화시간(t)(분)이며, 이 변화시간(t)은 일반 투석시간(T)(4∼5시간 정도)보다 짧게 설정된다. 변화비율[ΔBV(%)]과 변화시간(t)을 이용하여, 변화량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변화량이란, 투석개시 시 환자의 순환 혈액량과, 투석종료 시의 목표 순환 혈액량과의 차이이며, 변화비율[ΔBV(%)]의 절대값이 크며, 또 변화시간(t)이 길어질수록 많아진다. 또 목표 순환 혈액량은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다르며, 환자별로 설정된다. 목표 순환 혈액량에 기초하여 최대 변화속도(VMAX)에 관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최대 변화속도(VMAX)는, 각각이, 일반적인 투석 환자에게 너무 빠른 일이 없도록 충분한 안전 마진을 예측한 값이다.
여기서, 최대 변화속도(VMAX)에 관한 데이터로서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화비율[ΔBV(%)]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5%∼-20%의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되고, 또 변화시간(t)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60분∼120분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최대 변화속도 설정부(31)는, 상기한 12가지의 최대 변화속도(VMAX)에 관한 데이터에 대응한 선택버튼(34, 34, …)을 표시패널(29)에 표시되게 하며, 조작된 선택버튼(34)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보조 기억부(5)로부터 읽어들이고, 그 데이터를 최대 변화속도(VMAX)로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변화속도 설정부(31)는 설정된 최대 변화속도(VMAX)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래프를 그린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분)이고, 세로축은 순환 혈액량의 변화비율[ΔBV(%)]이다. 이 그래프의 기울기가 최대 변화속도(VMAX)를 나타내며, 따라서 이 그래프는 최대 변화속도(VMAX)를 나타내는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S)이다.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S)은 직선이다.
다음에, 평균 변화속도 설정부(32)에서 순환 혈액량의 평균 변화속도(VAVE)를 설정할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평균 변화속도(VAVE)는 의료종사자에 의해 입력되는 투석시간(T)과, 최대 변화속도 설정부(31)에서 설정된 최대 변화속도(VMAX)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되며, 순환 혈액량을 투석시간(T) 내에서 상기 변화량(투석개시 시의 순환 혈액량을 목표 순환 혈액량으로 하기 위한 양)만 변화시키는 경우에, 투석시간(T) 내에서 평균화한 변화속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석시간(T)은 변화시간(t)보다 길고, 평균 변화속도(VAVE)를 나타내는 평균 변화속도 표시선(R)의 기울기는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S)보다 완만해진다. 평균 변화속도 표시선(R)은 직선이다.
다음에, 유도선 생성부(33)에서 유도선(Q)(도 5에 나타냄)을 생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유도선(Q)은,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가 최대 변화속도(VMAX) 이하의 변화속도가 되도록 변화속도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 유도선(Q)은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S)과, 평균 변화속도 표시선(R) 사이의 생성 에리어(W) 내에서 생성되도록 구성된다. 이 생성 에리어(W)는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S) 상과, 평균 변화속도 표시선(R) 상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유도선(Q)은, 투석시간(T)의 경과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유도선 생성 블록(A)(도 6에 나타냄)을 이용하여 생성되도록 구성된다. 유도선 생성 블록(A)의 개수는, 상기한 최대 변화속도(VMAX)에 관한 데이터 중, 「-5% 60분」, 「-10% 60분」, 「-15% 60분」, 「-20% 60분」은 20개로 설정되고, 「-5% 90분」, 「-10% 90분」, 「-15% 90분」, 「-20% 90분」은 30개로 설정되며, 「-5% 120분」, 「-10% 120분」, 「-15% 120분」, 「-20% 120분」은 40개로 설정되고, 이들 유도선 생성 블록(A)의 개수는 최대 변화속도(VMAX)에 관한 데이터와 관련되게 하여 기억된다. 여기서, 유도선 생성 블록(A)의 개수는,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각 유도선 생성 블록(A)은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S)을 등분하고 얻어진 것 중 하나의 선분(S')을 대각선으로서 갖는 사각형이며, 따라서 이들 유도선 생성 블록(A)의 크기는 동일하게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도선 생성 블록(A)의 횡길이는, 최대 변화속도(VMAX)의 데이터 중 변화시간(t)을 유도선 생성 블록(A)의 개수로 나누어 얻어지는 시간(단위시간)을 나타내며, 유도선 생성 블록(A)의 종길이는, 최대 변화속도(VMAX)의 데이터 중 변화비율[ΔBV(%)]을 유도선 생성 블록(A)의 개수로 나누어 얻어지는 변화비율(단위 변화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최대 변화속도(VMAX)가 「-5% 60분」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유도선 생성 블록(A)의 개수가 20개로 된다. 따라서, 단위시간은 60분/20=3분이 되고, 단위 변화비율은 -5%/20=-0.25%가 된다.
유도선(Q)의 투석 전반에 대응하는 부분을,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S)과 일치하도록 생성하는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도선 생성 블록(A)을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S) 상에 틈새 없이 나열하고, 유도선 생성 블록(A)의 대각선을 연결해 감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A)을 연결하도록 이어지는 유도선(Q)의 전반부분이 얻어진다.
한편,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S)과 일치하지 않는 형상의 유도선(Q)을 생성하는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조정 블록(B)을 유도선 생성 블록(A)에 조합한다. 시간조정 블록(B)을 조합하는 경우, 첫 번째 유도선 생성 블록(A1)의 앞쪽[투석시간(T)의 경과방향 반대쪽]에 제 1 틈새(C1)를 형성하고, 이후 두 번째 유도선 생성 블록(A2)과 세 번째 유도선 생성 블록(A3) 사이, 세 번째 유도선 생성 블록(A3)과 네 번째 유도선 생성 블록(A4) 사이, ……, 열아홉 번째 유도선 생성 블록(A19)과 스무 번째 유도선 생성 블록(A20) 사이에 제 2∼제 20 틈새(C2∼C20)를 차례로 형성하며, 이들 제 1∼제 20 틈새(C1∼C20)에 시간조정 블록(B)을 각각 배치한다.
시간조정 블록(B)은 최대 변화속도(VMAX) 설정 시에 설정된 변화시간(t)과 투석시간(T)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시간(t)과 투석시간(T)의 차이가 조정시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조정 블록(B)의 횡길이는 조정시간을 시간조정 블록(B)의 개수로 나누어 얻어지는 시간(단위 조정시간)을 나타낸다.
시간조정 블록(B)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패턴∼F 패턴까지 있으며, 보조 기억부(5)에 기억된다. 유도선 생성부(33)는 A 패턴∼F 패턴의 데이터에 대응한 선택버튼(35)을 BV 내비게이션 조작화면으로서 표시패널(29)에 표시되게 하고, 조작된 선택버튼(35)에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를 보조 기억부(5)로부터 읽어들이며, 그 패턴에 기초하여 시간조정 블록(B)을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A∼F 패턴의 유도선(Q) 생성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최대 변화속도(VMAX)는, 「-10% 60분」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A 패턴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0개의 유도선 생성 블록(A1∼A20)을 동등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조정 블록(B)을 제 1∼제 20 틈새(C1∼C20)에 하나씩 배치하는 패턴이다. 따라서, 이 A 패턴에서는 시간조정 블록(B)의 개수는 20개로 된다. A 패턴에서 투석시간(T)이 240분인 경우, 조정시간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40분-60분=180분으로 된다. 그리고, 이 조정시간 180분을 시간조정 블록(B)의 개수 20으로 나누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 조정시간이 9분으로 되며, 이것이 시간조정 블록(B)의 횡길이로 된다. 스무 번째 틈새(C20)에 배치하는 시간조정 블록(B)은, 20개의 시간조정 블록(B)과 20개의 유도선 생성 블록(A1∼A20)을 나열 배치한 때에 생긴 시간적 오차를 흡수할 수 있는 횡길이를 가지며, 다른 틈새에 배치되는 시간조정 블록(B)의 횡길이와는 다르다. 시간적 오차가 생기지 않은 경우, 스무 번째 틈새(C20)에 배치되는 시간조정 블록(B)의 횡길이는, 다른 틈새에 배치되는 시간조정 블록(B)의 횡길이와 동일하다.
이 A 패턴으로 유도선(Q)을 생성하는 경우 첫 번째의 시간조정 블록(B)과 첫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을 조합한 형상의 블록 대각선(도 12에 파선으로 나타냄)과, 두 번째의 시간조정 블록(B)과 두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2)을 조합한 형상인 블록의 대각선과, ……, 스무 번째 시간조정 블록(B)과 스무 번째 유도선 생성 블록(A20)을 조합한 형상인 블록의 대각선을 연결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A)을 연결하도록 이어지는 유도선(Q)을 생성한다. 여기서 이 A 패턴에서는, 유도선(Q)은 평균 변화속도 표시선(R) 상에 생성된다. 이로써, 유도선(Q)의 기울기는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S)의 기울기보다 완만하다.
B 패턴에 대해 도 8 및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B 패턴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틈새(C1)에 하나의 시간조정 블록(B)을 배치하고, 제 2 틈새(C2)에 2개의 시간조정 블록(B)을 배치하며, 제 3 틈새(C3)에 3개의 시간조정 블록(B)을 배치하고, 이와 같이 제 1∼제 20 틈새(C1∼C20)에 각각 1∼20개의 시간조정 블록(B)을 배치한다. 즉, B 패턴의 경우 제 1∼제 20 틈새(C1∼C20)에 배치되는 시간조정 블록(B)의 개수는 등차수열 형으로 늘어가게 되고, 시간조정 블록(B)의 총수는, 1+2+3+4+………+19+20=210이 된다. B 패턴에서 투석시간(T)이 240분인 경우, 조정시간 180분을 시간조정 블록(B)의 개수 210으로 나눈 0.857분이 단위 조정시간이 된다.
이 B 패턴으로 유도선(Q)을 생성하는 경우 첫 번째 틈새(C1)에 배치되는 시간조정 블록(B)과 첫 번째 유도선 생성 블록(A1)을 조합한 형상의 블록 대각선(도 8에 파선으로 나타냄), 두 번째 틈새(C2)에 배치되는 모든 시간조정 블록(B)과 두 번째 유도선 생성 블록(A2)을 조합한 형상인 블록의 대각선, ……, 스무 번째 틈새(C20)에 배치되는 모든 시간조정 블록(B)과 스무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20)을 조합한 형상인 블록의 대각선을 연결함으로써 생성된다.
C 패턴에 대해 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C 패턴은 제 1∼제 20 틈새(C1∼C20)에 배치되는 시간조정 블록(이 도 14에는 생략함)의 개수가 계차수열 형(1, 2, 4, 7, ……)으로 늘어가는 패턴이며, 시간조정 블록의 총수는 1306이 된다. C 패턴에서 투석시간(T)이 240분인 경우, 조정시간 180분을 시간조정 블록의 개수 1306으로 나눈 0.138분이 단위 조정시간이 된다. 유도선(Q)은 B 패턴과 마찬가지로 하여 생성된다.
D 패턴에 대해 도 1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D 패턴은, 제 1∼제 20 틈새(C1∼C20)에 배치되는 시간조정 블록(이 도 15에는 생략함)의 개수가 피보나치(Fibonacci) 수열 형(1, 2, 3, 5, 8, 13……)으로 늘어가는 패턴이며, 시간조정 블록의 총수는 28655가 된다. D 패턴에서 투석시간(T)이 240분인 경우, 조정시간 180분을 시간조정 블록의 개수 28655로 나눈 0.0062186분이 단위 조정시간이 된다. 유도선(Q)은 B 패턴과 마찬가지로 하여 생성된다.
E 패턴에 대해 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E 패턴은 제 1∼제 20 틈새(C1∼C20)에 배치되는 시간조정 블록(이 도 16에는 생략함)의 개수가 계승수열 형(1, 2×2, 2×2×2, 2×2×2×2, ……)으로 늘어가는 패턴이며, 시간조정 블록의 총수는 1048575가 된다. E 패턴에서 투석시간(T)이 240분인 경우에는, 조정시간 180분을 시간조정 블록의 개수 1048575로 나눈 0.00017166분이 단위 조정시간이 된다. 유도선(Q)은 B 패턴과 마찬가지로 하여 생성된다. 상기 B∼E 패턴은 수열 패턴이다.
F 패턴에 대해 도 1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F 패턴은, 유도선 생성 블록(A)의 수를 1/2로 줄이고, 투석시간(T) 내에서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패턴이다. F 패턴에서는, 시간조정 블록(이 도 17에는 생략함)의 개수가 A 패턴의 절반인 10개가 된다. 유도선(Q)은 시간조정 블록의 대각선과 유도선 생성 블록(A)의 대각선을 연결하여 생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간조정 블록(B)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을 A∼F 패턴의 6 가지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A∼F 패턴을 조합한 다른 패턴 등을 미리 기억시켜 두어도 되고, 의료종사자가 상기 이외의 패턴을 작성하여 보조 기억부(5)에 기억시켜 두도록 하여도 된다. 또, 한번 선택한 패턴의 일부를 변경하여 다른 패턴으로서 보조 기억부(5)에 기억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제 1∼제 20 틈새(C1∼C20) 일부에는, 시간조정 블록(B)을 배치하지 않도록 하여도 된다.
제어부(4)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S), 평균 변화속도 표시선(R) 및 유도선(Q)을 BV 내비게이션 조작화면으로서 표시패널(29)에 표시한다. 이 때, 도 18에는 나타내지 않으나, 유도선 생성 블록(A)도 표시된다. 이 BV 내비게이션 조작화면에는, 이동버튼(40∼43)이나 각종 조작버튼(44, 45, 47∼50)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유도선(Q) 생성 후 이들 버튼(44, 45, 47∼50)을 조작함으로써, 유도선(Q)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유도선(Q)의 형상을 변경하는 제어는, 제어부(4)의 유도선 생성부(33)에서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도 19 및 도 20에 기초하여, 투석개시 전에 유도선(Q)의 형상을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S), 평균 변화속도 표시선(R) 및 유도선(Q)이 표시된 BV 내비게이션 조작화면의 상향 화살표 이동버튼(40)을 조작하면,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변화속도 설정부(31)에서 설정한 변화비율[ΔBV(%)]을 나타내는 변화비율 표시선(L1)이 상방으로 이동하며, 변화비율[ΔBV(%)]의 절대값이 감소한다. 그러면, 유도선 생선블록(A)의 종길이가 짧게 설정되고(단위 변화비율의 절대값이 감소방향으로 보정되고), 유도선 생성 블록(A)의 형상이 변경된다. 이 유도선 생성 블록(A)에 기초하여 유도선(Q)이 재생성된다.
도 1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향 화살표 이동버튼(41)을 조작하면, 변화비율 표시선(L1)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변화비율[ΔBV(%)]의 절대값이 증가한다. 그러면, 유도선 생선블록(A)의 종길이가 길게 설정되고(단위 변화비율의 절대값이 증가방향으로 보정되고), 이 유도선 생성 블록(A)에 기초하여 유도선(Q)이 재생성된다. 또, 상기와 같이 변화비율 표시선(L1)을 이동시키면 변화비율[ΔBV(%)]이 변경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평균 변화속도(VAVE)도 변경된다.
또 도 2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향(左向) 화살표 이동버튼(42)을 조작하면, 투석종료 시를 나타내는 종료 표시선(L2)이 좌측[투석시간(T)의 단축측]으로 이동하여 투석시간(T)이 단축된다. 그러면, 조정시간이 감소되며, 시간조정 블록(B)의 횡길이가 짧게 설정되고(단위 조정시간이 감소방향으로 보정되고) 시간조정 블록(B)의 형상이 변경된다. 그리고, 유도선(Q)이 재생성된다.
도 2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향(右向) 화살표 이동버튼(43)을 조작하면, 종료 표시선(L2)이 우측[투석시간(T)의 연장측]으로 이동하여 투석시간(T)이 연장된다. 그러면, 조정시간이 증가되어 시간조정 블록(B)의 횡길이가 길게 설정되고(단위 조정시간이 증가방향으로 보정되고), 유도선(Q)이 재생성된다. 종료 표시선(L2)을 이동시킬 경우, 유도선 생성 블록(A)의 형상은 변화하지 않는다.
또, BV 개시 시 변경버튼(48)을 조작하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V 내비게이션 기능의 작동개시 시를 나타내는 BV 내비게이션 개시 표시선(L3)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좌우의 이동버튼(42, 43)을 조작하면, BV 내비게이션 개시 표시선(L3)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BV 내비게이션 기능의 작동개시 시가 변경된다.
또, BV 전반시간 변경버튼(49)을 조작하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V 내비게이션을 실행하는 기간을 전반과 후반으로 나누는 경계선(L4)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좌우 이동버튼(42, 43)을 조작하면, 경계선(L4)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전반시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투석 후반에서는 간헐 보액(補液)이나 Na 보액이 행해진다. 이들 보액의 개시 타이밍이나 양은, 별도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또, BV 후반시간 변경버튼(50)을 조작하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반 종료 시를 나타내는 후반 종료 시 표시선(L5)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좌우 이동버튼(42, 43)을 조작하면, 후반 종료 시 표시선(L5)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후반 시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스무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20) 이외의 블록(A1∼A19)을 이동시켜 유도선(Q)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좌우 이동버튼(45)을 조작함으로써,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도선 생성 블록(A1∼A19)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Z)가 표시되어 좌우로 이동한다. 커서(Z)를 원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A1∼A19)까지 이동시켜 ENT버튼(47)을 누르면, 그 유도선 생성 블록(A)이 선택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이동버튼(40∼43)을 조작하면, 이 조작한 버튼(40∼43)의 방향으로 유도선 생성 블록(A)이 이동한다. 유도선 생성 블록(A)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이에 대응하여 이후의 유도선(Q)이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상방으로 평행 이동한다. 하방이나, 좌측, 우측으로 이동시킨 경우도 마찬가지로 이후의 유도선(Q)이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무 번째 이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A20)을 이동시킴으로써, 유도선(Q)이 재생성된다.
또, BV 내비게이션 조작화면의 마지막 블록 변경버튼(44)을 조작하면, 커서가 투석시간(T) 종료 시에 대응하는 마지막의 유도선 생성 블록[스무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20)]에 겹쳐지도록 하여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이동버튼(40∼43)을 조작하면, 이 조작한 버튼(40∼43)의 방향으로 유도선 생성 블록(A20)이 이동한다. 스무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2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이에 대응하여 변화비율 표시선(L1)(도 19에 나타냄)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변화비율[ΔBV(%)]의 절대값이 감소하고, 또 스무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2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이에 대응하여 변화비율 표시선(L1)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변화비율[ΔBV(%)]의 절대값이 감소하며, 유도선(Q)이 재생성된다.
스무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2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이에 대응하여 종료 표시선(L2)(도 20에 나타냄)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투석시간(T)이 단축되고, 또 스무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2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이에 대응하여 종료 표시선(L2)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투석시간(T)이 연장되고 유도선(Q)이 재생성된다.
다음에, 투석개시 후에 유도선(Q)의 형상을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투석개시 후에 변경하는 경우, 투석개시 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도선 생성 블록(A)을 이동시킴으로써 유도선(Q)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으며, 투석시간(T)이 경과한 영역의 유도선(Q)의 형상은 변경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투석시간(T)이 개시로부터 65분 경과하고, 열두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2)의 앞쪽까지 투석시간(T)이 경과했을 경우, 이 열두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2)은 로크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또한 형상이 변경되지 않도록 해두고, 그 유도선 생성 블록(A12)보다 뒤의 유도선 생성 블록(A13∼A20)을 이동시켜 유도선(Q)을 재생성한다. 이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무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20)을 우측(도면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투석시간(T)을 연장하면, 이 연장한 만큼, 제 13 틈새(C13) 이후의 시간조정 블록(B) 횡길이가 길게 설정되며, 이에 대응하여 유도선(Q)의 형상이 변경되게 된다. 또 스무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20)을 좌측(시간 단축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제 13 틈새(C13) 이후의 시간조정 블록(B) 횡길이가 짧게 설정되며, 유도선(Q)의 형상이 변경되게 된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무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20)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변화비율[ΔBV(%)]을 변경하는 경우, 열두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2)보다 뒤의 블록(A13∼A20) 종길이가 길게 설정되고, 이에 대응하여 유도선(Q)의 형상이 변경되게 된다. 또 스무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20)을 상방으로 이동시킨 경우, 블록(A13∼A20) 종길이가 짧게 설정되며, 이에 대응하여 유도선(Q)의 형상이 변경되게 된다.
또, 스무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20) 이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A19)을 이동시키는 경우, 전술한 투석개시 전과 마찬가지로 하여 커서로 유도선 생성 블록(A1∼A19)을 선택하고 이동버튼(45)을 조작한다. 이 때 예를 들어,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한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1)이 로크된 경우, 열한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1)보다 뒤의 유도선 생성 블록(A12∼A20)만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열두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2)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열두 번째∼스무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2∼A20)이 그대로 우측으로 평행 이동하여 투석시간(T)이 연장되므로, 유도선 생성 블록(A12) 이후의 유도선(Q)의 형상은 변경되지 않는다. 열두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2)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열두 번째∼스무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2∼A20)이 그대로 좌측으로 평행 이동하고, 투석시간(T)이 단축된다. 이 때, 열두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2)은, 열한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1)보다 좌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 열두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2)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열두 번째∼스무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2∼A20)이 그대로 하방으로 평행 이동한다. 열두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2)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열두 번째∼스무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2∼A20)이 그대로 상방으로 평행 이동한다. 이 때, 열두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2)은, 열한 번째의 유도선 생성 블록(A11)보다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BV 내비게이션 기능을 정지시키는 경우, BV 내비게이션 조작화면에 표시된 정지버튼(도시 생략)을 조작함으로써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BV 내비게이션 기능을 일단 정지한 후 다시 사용할 경우, 재개버튼(도시 생략)을 조작함으로써 재개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혈액 투석 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의료종사자는 혈액회로(16)를 환자 및 다이어라이저(10)에 접속하고, 투석액회로(15)를 다이어라이저(10)에 접속하여 투석준비를 한다. 이 때, 혈액 투석 장치(1)의 표시패널(29)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지모드 화면이 표시되며, 의료종사자는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투석시간, 제수량 등을 입력한다. 그 후, 의료종사자가 BV 내비게이션 버튼을 조작하면, 표시패널(29)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V 내비게이션 조작화면이 표시된다. 이 조작화면의 조작버튼(34) 중에서 환자에게 맞는 최대 변화속도(VMAX)에 대응하는 것을 선택하여 조작한다. 이 최대 변화속도(VMAX)는 환자의 상태 등에 의해 미리 얻을 수 있고, 의료종사자의 경험에 의하지 않아도 설정이 가능한 것이다. 또, 이 때 유도선 생성 블록(A)의 개수가 선택되게 된다.
최대 변화속도(VMAX)의 조작버튼을 조작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BV 내비게이션 조작화면이 표시패널(29)에 표시된다. 이 화면에는 시간조정 블록(B)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A∼F 패턴)에 대응한 선택버튼(35)이 있다. 의료종사자는, 이들 선택버튼(35) 중에서 환자에게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패턴의 선택버튼(35)을 조작한다.
그러면, 최대 변화속도 설정부(31)에서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S)이 생성됨과 더불어, 평균 변화속도 설정부(32)에서 평균 변화속도 표시선(R)이 생성된다. 또한 유도선 생성부(33)에서는, 상기 선택된 패턴에 대응한 유도선(Q)이 생성된다. 그리고,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S), 평균 변화속도 표시선(R) 및 유도선(Q)은, 표시패널(29)에 표시된다. 이 때, 유도선 생성 블록(A)도 표시된다. 이로써, 의료종사자는 생성된 유도선(Q)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생성된 유도선(Q)이 적합하면, 투석을 개시한다. 유도선(Q)의 형상을 변경하고자 하면, 이동버튼(40∼43) 등을 조작하여 변경한다. 투석이 개시되면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가 유도선(Q)으로서 설정된 변화속도가 되도록,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2)가 제어된다. 이 유도선(Q) 각 부위의 기울기는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S)의 기울기 이하이므로,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가 환자에게 부적합할 정도로 빨라지는 일은 없다.
또 유도선(Q)의 형상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특정의 유도선 생성 블록(A)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된다. 이로써, 다른 유도선 생성 블록(A)이나 시간조정 블록(B)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킴과 더불어, 형상 변경하여 유도선(Q)을 생성하므로, 의료종사자의 조작은 간단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한 혈액 투석 장치(1)에 의하면, 환자의 순환 혈액량의 최대 변화속도(VMAX)를 설정하고, 최대 변화속도(VMAX) 이하로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유도하는 유도선(Q)을 생성하도록 하므로,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가 환자에게 부적합한 큰 값이 되는 일이 없어짐과 더불어, 경험이 적은 의료종사자라도 적합한 유도선(Q)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투석 중의 환자의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음과 더불어, 효율적인 투석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순환 혈액량의 최대 변화속도(VMAX)를 나타내는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S)과 유도선(Q)이 표시패널(29) 상에 표시되므로, 의료종사자가 유도선(Q)이 정확하게 생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으며, 환자의 안전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보조 기억부(5)에 복수의 최대 변화속도(VMAX)를 기억시켜 두고, 이들 복수의 최대 변화속도(VMAX)로부터 임의의 것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최대 변화속도(VMAX)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에 맞는 최대 변화속도(VMAX)를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투석시간(T) 경과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유도선 생성 블록(A)을 간격을 두어 배치하고, 이들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A)을 연결하도록 이어지는 유도선(Q)을 생성하도록 하므로, 유도선 생성 블록(A)의 틈새 크기에 따라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평균 변화속도 설정부(32)는 투석개시 시의 순환 혈액량이, 미리 설정된 투석종료 시에 목표 순환 혈액량이 되도록, 투석시간 중에 있어서의 순환 혈액량의 평균 변화속도(VAVE)를 설정한다. 이로써, 투석종료 시에 목표 순환 혈액량이 되는 평균 변화속도(VAVE)를 고려하여 유도선(Q)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투석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A) 사이에 시간조정 블록(B)을 배치하도록 하므로, 이들 유도선 생성 블록(A) 사이에 배치하는 시간조정 블록(B)의 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A) 틈새(C)의 크기를 변경하여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A) 사이에 배치되는 시간조정 블록(B)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그 패턴에 대응하도록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표시패널(29) 상에 시간조정 블록(B)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을 복수 표시되게 한 상태에서 임의의 패턴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시간조정 블록(B)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을 선택할 시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유도선(Q) 생성 후에 임의의 유도선 생성 블록(A)을 이동시킴으로써, 한번 생성된 유도선(Q)의 형상을 환자의 상태에 맞도록 변경할 수 있으므로, 유도선(Q)을 한층 더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투석시간(T) 변경 후에, 이 변경 후 투석시간(T)에 일치하도록 유도선 생성 블록(A)의 틈새(C)가 조정되므로, 의료종사자가 투석시간(T)을 변경했을 때, 유도선 생성 블록(A)의 틈새(C)를 조정하는 조작을 하지 않아도 변경 후의 투석시간(T)에 대응한 유도선(Q)을 생성할 수 있으며,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투석 실행 중에는, 투석시간(T) 경과 이후의 유도선 생성 블록(A)만 이동 가능하게 하므로, 실행된 유도선(Q)의 형상을 남겨 둘 수 있으며, 이 형상을 참고로 하여 이후의 유도선(Q)의 형상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유도선 생성 블록(A)을 표시패널(29) 상에 표시되도록 하므로, 유도선 생성 블록(A)을 이동시킬 시에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에서 평균 변화속도(VAVE)를 구하고 나서 유도선(Q)을 생성하도록 하나, 평균 변화속도(VAVE)를 구하는 일없이, 유도선(Q)을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혈액 투석 장치는, 경험이 적은 의료종사자라도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용이하게 적합한 값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할 경우에 적합하다.
1 : 혈액 투석 장치 2 :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
3 : 조작 표시부 4 : 제어부
5 : 보조 기억부(기억부) 10 : 다이어라이저(혈액 처리기)
29 : 표시패널(표시기) 31 : 최대 변화속도 설정부
32 : 평균 변화속도 설정부 33 : 유도선 생성부
S :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 R : 평균 변화속도 표시선
Q : 유도선 W : 생성 에리어

Claims (20)

  1. 환자의 혈액을 체외순환시켜 소정의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혈액 투석 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혈액을 처리하는 혈액 처리기를 갖는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와,
    상기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순환 혈액량의 최대 변화속도를 설정하는 최대 변화속도 설정부와, 상기 최대 변화속도 설정부에서 설정된 최대 변화속도 이하로 되도록 순환 혈액량의 변화속도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선을 생성하는 유도선 생성부를 가지며, 상기 유도선 생성부에서 생성된 유도선에 기초하여 상기 혈액 투석 처리 실행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가 갖는 표시기에 유도선을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표시기에 최대 변화속도를 나타내는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을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복수의 최대 변화속도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며,
    최대 변화속도 설정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최대 변화속도 중에서 하나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전체 투석시간 내에서 순환 혈액량의 평균 변화속도를 설정하는 평균 변화속도 설정부를 가지며,
    유도선 생성부는, 상기 평균 변화속도 설정부에서 설정된 평균 변화속도를 표시하는 평균 변화속도 표시선과, 최대 변화속도 표시선 사이에 유도선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평균 변화속도 설정부는, 투석개시 시의 순환 혈액량이, 미리 설정된 투석종료 시에 목표 순환 혈액량이 되도록, 투석시간 중에 있어서의 순환 혈액량의 평균 변화속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부는, 복수의 유도선 생성 블록을 투석시간의 경과방향으로 나열함과 더불어, 유도선 생성 블록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인접하는 블록에 대해 투석시간의 경과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하고,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을 연결하도록 이어지는 유도선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제어부에는 유도선 생성 블록의 개수에 관한 데이터가 복수 기억되며,
    상기 유도선 생성 블록의 개수에 관한 데이터 중에서 임의의 데이터가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 사이에는 시간조정 블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부는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이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부는, 제어부가 갖는 표시기에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을 복수 표시되게 하고, 이들 표시된 패턴 중에서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 개수에 관한 패턴은 수열 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석시간의 경과방향 마지막에 위치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에 인접하는 시간조정 블록은, 다른 시간조정 블록의 배치에 의해 발생한 시간적 오차를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14.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부는, 유도선 생성 후에 임의의 유도선 생성 블록을 이동시켜 유도선 형상이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부는, 투석시간의 종료 예정시에 대응하는 마지막의 유도선 생성 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투석시간을 변경시킴과 더불어, 서로 인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의 틈새를 변경 후의 투석시간에 일치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 블록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간조정 블록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부는, 투석 실행 중에는 투석시간 경과 이후에 대응하는 유도선 생성 블록만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19. 제 14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부는, 투석시간 경과 이후의 유도선 형상을 유지한 채 평행 이동시킴으로써, 유도선의 형상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20. 제 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선 생성부는 제어부가 갖는 표시기에 유도선 생성 블록을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투석 장치.
KR1020107019701A 2008-02-07 2009-02-06 혈액 투석 장치 Withdrawn KR201001201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8043 2008-02-07
JP2008028043A JP4743215B2 (ja) 2008-02-07 2008-02-07 血液透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195A true KR20100120195A (ko) 2010-11-12

Family

ID=4095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701A Withdrawn KR20100120195A (ko) 2008-02-07 2009-02-06 혈액 투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00830A1 (ko)
EP (1) EP2251052A1 (ko)
JP (1) JP4743215B2 (ko)
KR (1) KR20100120195A (ko)
CN (1) CN101939032B (ko)
WO (1) WO20090988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0636B2 (en) 2009-01-12 2012-08-14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Valve system
US9358331B2 (en) 2007-09-13 2016-06-07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Portable dialysis machine with improved reservoir heating system
US8040493B2 (en) 2007-10-11 2011-10-18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Thermal flow meter
US8105487B2 (en) 2007-09-25 2012-01-31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Manifolds for use in conducting dialysis
US9199022B2 (en) * 2008-09-12 2015-12-01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Modular reservoir assembly for a hemodialysis and hemofiltration system
US8535522B2 (en) * 2009-02-12 2013-09-17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disconnection in an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US8137553B2 (en) 2007-11-29 2012-03-20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Priming system and method for dialysis systems
US8597505B2 (en) 2007-09-13 2013-12-03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Portable dialysis machine
US9308307B2 (en) 2007-09-13 2016-04-12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Manifold diaphragms
EP3511034B1 (en) 2007-11-29 2023-03-29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Extracorporeal blood processing system for conducting hemodialysis and hemofiltration
CA2739807C (en) * 2008-10-30 2017-02-28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Modular, portable dialysis system
JP5222706B2 (ja) * 2008-12-04 2013-06-26 日機装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及びその血液流量演算方法
CA2844109C (en) 2010-08-18 2018-11-06 Theresa Deisher Compositions and methods to inhibit stem cell binding to active germinal centers in lymphatic tissues
EP2463795A1 (en) 2010-12-09 2012-06-13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A method for calculating or approximating one or more values representing parameters of a patient and devices
US9201036B2 (en) 2012-12-21 2015-12-01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Method and system of monitoring electrolyte levels and composition using capacitance or induction
US9157786B2 (en) 2012-12-24 2015-10-13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Load suspension and weighing system for a dialysis machine reservoir
US9354640B2 (en) 2013-11-11 2016-05-31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Smart actuator for valve
US10525182B2 (en) 2014-10-10 2020-01-07 Nxstage Medical, Inc. Flow balancing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10898635B2 (en) 2016-07-18 2021-01-26 Nxstage Medical, Inc. Flow balancing devices, methods, and systems
WO2018045102A1 (en) 2016-08-30 2018-03-08 Nxstage Medical, Inc. Parameter monitoring in medical treatment systems
US12214114B2 (en) 2019-05-23 2025-02-04 Nxstage Medical, Inc. Flow synchroniz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11596723B2 (en) * 2019-12-30 2023-03-07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Intradialytic monitoring of blood volume chang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0134A (en) * 1982-09-24 1984-12-25 Extracorporeal Medical Specialties, Inc. Dual phase blood flow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6177049B1 (en) * 1998-06-10 2001-01-23 Dsu Medical Corporation Reversing flow blood processing system
US6526357B1 (en) * 1999-08-09 2003-02-25 Gambro, Inc. Associated parameter measuring and/or monitoring such as in the evaluation of pressure differences
EP1413324A4 (en) * 2001-07-03 2008-04-23 Jms Co Ltd BLOOD DIALYSIS APPARATUS WITH PRACTICAL CONTROL UNIT
KR100848030B1 (ko) * 2001-07-27 2008-07-23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혈액투석장치
JP2004049492A (ja) * 2002-07-18 2004-02-19 Jms Co Ltd 基準体重算出方法および血液透析装置
JP4129866B2 (ja) * 2002-07-18 2008-08-06 日機装株式会社 血液処理装置
JP2004154348A (ja) * 2002-11-06 2004-06-03 Jms Co Ltd 血液透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4290493A (ja) * 2003-03-27 2004-10-21 Jms Co Ltd 血液透析装置
JP5158830B2 (ja) * 2005-06-22 2013-03-06 日機装株式会社 透析治療装置
JP4968074B2 (ja) * 2005-10-18 2012-07-04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腹膜機能検査装置並びに腹膜機能検査プログラム
JP4822258B2 (ja) 2005-11-11 2011-11-24 日機装株式会社 血液透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00830A1 (en) 2011-01-06
JP4743215B2 (ja) 2011-08-10
CN101939032A (zh) 2011-01-05
JP2009183558A (ja) 2009-08-20
CN101939032B (zh) 2013-09-04
EP2251052A1 (en) 2010-11-17
WO2009098897A1 (ja)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0195A (ko) 혈액 투석 장치
JP4726045B2 (ja) 血液透析装置
JP6517023B2 (ja) 血液浄化装置
JP5158830B2 (ja) 透析治療装置
US9283310B2 (en)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apparatus
JP4129866B2 (ja) 血液処理装置
ES2376712T3 (es) Aparato de tratamiento de sangre extracorpóreo.
EP3238761B1 (en) Blood treatment system
CA2879130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arameter indicative of the progress of an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JP2006087907A (ja) 血液浄化装置
JP5433634B2 (ja) 血液浄化装置
JP5301259B2 (ja) 血液透析装置
JP5701858B2 (ja) 体外血液処理を最適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160975B2 (ja) 血液浄化装置
WO2012169610A1 (ja) 血液浄化装置
JP4374660B2 (ja) 血液透析装置、血液透析装置を使用した血液処理方法および該血液透析装置を制御する記録媒体
US9011678B2 (en)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and blood purification circuit
JPWO2017159872A1 (ja) 血液透析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5204380A (zh) 靶控泵的参数设置方法及使用其的运行控制系统及方法
JP2007143815A (ja) 血液浄化装置及び血液浄化方法
JP5918364B2 (ja) 体外循環装置及びプライミング方法
JP6438227B2 (ja) 血液浄化装置
JPWO2019181658A1 (ja) 計測システムおよび計算ユニット
JP7326732B2 (ja) 透析システムの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4548943A1 (en) Blood purif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