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19156A -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 Google Patents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156A
KR20100119156A KR1020090038116A KR20090038116A KR20100119156A KR 20100119156 A KR20100119156 A KR 20100119156A KR 1020090038116 A KR1020090038116 A KR 1020090038116A KR 20090038116 A KR20090038116 A KR 20090038116A KR 20100119156 A KR20100119156 A KR 20100119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nt
lever
housing
disposed
mov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1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42257B1 (en
Inventor
송준호
채승민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8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257B1/en
Publication of KR2010011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1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25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2009/0278Casings containing special noise reduction means, e.g. elastic foam between inner and oute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그리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을 중심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부; 상기 회로부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고정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의 가동에 의하여 함께 가동하는 가동 단자를 구비하는 스위치부; 상기 레버의 가동을 절도시키기 위한 디텐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텐트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에 복수 개의 디텐트 웨이브을 구비하는 디텐트 바디와, 상기 디텐트 바디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레버의 단부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강자성체 또는 자성체를 구비하는 디텐트 플런저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텐트 플런저부와 전자기력 또는 자기력에 의한 상호 작용을 이루어 상기 디텐트 플런저부에 가동력을 제공하는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housing; A lever, one end of which is expos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the lever being movably disposed about the housing; A circuit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switch unit having a fixed terminal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unit, and a movable terminal disposed in the housing and movable together by operation of the lever; And a detent portion for stealing the operation of the lever, wherein the detent portion is disposed in the housing and includes a detent body having a plurality of detent waves on one side thereof, and a state of constant contact with the detent body. And a detent plunger portion having a ferromagnetic body or a magnetic body disposed to be received and disposed at an end of the lever, wherein the detent plunger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interacts with the detent plunger portion by electromagnetic or magnetic force. And a lever switch for a vehicle having a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for providing a movable force to the tent plunger portion.

Description

차량용 레버 스위치{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Vehicle lever switch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본 발명은 차량용 레버 스위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시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소음 발생을 최소화 내지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차량용 레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ever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ever switch having a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user's operation feeling during operation and minimize or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통상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롤 커넥터(Sterring Roll Connector) 어셈블리와 그리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 등을 구비한다.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조향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은 스티어링 컬럼을 통하여 차륜에 전달되어 차량의 조향각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되는데, 운전자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각종 스위치들은 스티어링 부에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Typically, a vehicle steering wheel assembly includes a steering wheel, a steering column, a steering roll connector assembly, a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and the like. The steering wheel is for the driver to set the steering direction,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by the driver is transmitted to the wheel through the steering column to set the steering angle of the vehicle. In addition, a vehicle such as an automobile is required to function beyond various functions as a moving means as various convenient means for allowing a user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driving state. Therefore,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and various switche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same, and in consideration of the driver's operability, various switches tend to be concentrated in the steering unit.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 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배치된다. For example, a steering wheel of a recently produced vehicle is provided with a window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a steering light switch for turning on / off a steering light, an audio switch for driving audio, a wiper switch for driving a wiper, and the like.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라이트 및 포그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및 차량 윈도우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각종 장치의 조작 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스티어링 휠의 상부에 버튼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스티어링 휠 측면의 차량용 레버 스위치로서 구현된다. The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is equipped with lights, a gramper, a wiper, various audio devices, a vehicle window switch, and the like, which allows the driver to increase the operability of the various devices so that the front attention is not lost even during operation of the various devices. It is embodied as a button switch on top of it or as a vehicle lever switch on the side of the steering wheel.

또한, 근래 차량 기술의 월등한 진보로 인하여 주행시 차량 실내에서 탑승자가 인지하는 차량 소음이 현저하게 저감 내지 제거되는 등 차량 실내 소음 방지 기술의 상당한 진보를 이루었다. 이에 따라, 차량 실내에서의 탑승자의 차량 장치 조작시 발생하는 소음이 차량 탑승자의 탑승 주행감에 미치는 영향이 증대하였다.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른 레버 스위치의 경우 회동시 위치 유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디텐트 장치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사용하는데, 레버의 회동 조작시 상당한 조작 소음이 발생하여 소음에 민감한 탑승자의 주행감을 저해하였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따른 레버 스위치의 경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디텐트 위치 조작시 반동과 이에 따른 진동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조작감이 현저하게 저감된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In addition, recent advances in vehicle technology have led to significant advances in vehicle interior noise prevention technology, such as significantly reducing or eliminating vehicle noise perceived by the occupant in the vehicle interior during driving. Accordingly, the effect of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occupant operates the vehicle apparatus in the vehicle interior increases the driving comfort of the occupant. In particular, the lever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uses a spring provided in the detent device that is used to maintain the position during rotation, a significant operation noise occurs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lever to hinder the driving feeling of the passenger sensitive to noise. In addition, the lever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user's operation feeling is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the rebound and the vibration resulting from the detent position opera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따라서, 본 발명은 탑승자가 레버 조작시 발생하는 소음 내지 진동을 방지하 고 연속적인 부드러운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차량용 레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lever switch of a structure that prevents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when a passenger operates the lever and enables continuous smooth opera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그리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을 중심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부; 상기 회로부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고정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의 가동에 의하여 함께 가동하는 가동 단자를 구비하는 스위치부; 상기 레버의 가동을 절도시키기 위한 디텐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텐트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에 복수 개의 디텐트 웨이브을 구비하는 디텐트 바디와, 상기 디텐트 바디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레버의 단부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강자성체 또는 자성체를 구비하는 디텐트 플런저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텐트 플런저부와 전자기력 또는 자기력에 의한 상호 작용을 이루어 상기 디텐트 플런저부에 가동력을 제공하는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housing; A lever, one end of which is expos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the lever being movably disposed about the housing; A circuit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switch unit having a fixed terminal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unit, and a movable terminal disposed in the housing and movable together by operation of the lever; And a detent portion for stealing the operation of the lever, wherein the detent portion is disposed in the housing and includes a detent body having a plurality of detent waves on one side thereof, and a state of constant contact with the detent body. And a detent plunger portion having a ferromagnetic body or a magnetic body disposed to be received and disposed at an end of the lever, wherein the detent plunger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interacts with the detent plunger portion by electromagnetic or magnetic force. And a lever switch for a vehicle having a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for providing a movable force to the tent plunger portion.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플런저부는: 상기 디텐트 바디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디텐트 플런저와, 상기 디텐트 플런저와 함께 가동되고 강자성체 또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단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디텐트 가동 블록을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lever switch, the detent plunger portion includes: a detent plunger which is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detent body and the detent plunger, which is operated together with the detent plunger and is formed of a ferromagnetic or magnetic body and is movable at an end of the lever. It may be provided with a detent movable block.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는: 상기 하 우징의 내부로 상기 디텐트 바디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텐트 플런저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가동력 발생부 보빈과, 상기 가동력 발생부 보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동력 발생부 코일을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vehicular lever switch,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portion includes: a movable force generating portion bobbin disposed to face the detent plunger portion with the detent body interpos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movable force generating portion bobbin. You may be provided with the movable force generation part coil arrange | position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력 발생부 코일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상기 가동력 발생부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킬 수 있는 디텐트 가동력 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lever switch, a detent movable force adjusting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to make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coil and to change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coil.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력 발생부 보빈은 호상(弧狀)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lever switch, the movable force generating portion bobbin may be disposed in an arc shape.

상기 차량용 레버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는: 상기 레버의 단부에 위치 고정되어 수용 배치되되, 상기 디텐트 플런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텐트 바디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lever switch,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 which is fixedly positioned at an end of the lever and disposed to face the detent body with the detent plunger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The vehicle lever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는, 자기력 내지 전자기력을 통한 디텐트 가동력에 의하여 원활하고 연속적인 레버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레버 조작시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하게 저감시켜 탑승자의 주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rst, the lever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mooth and continuous lever operation by detent movable force through magnetic force or electromagnetic force, thereby remarkably reducing noise generated when the lever is operated, thereby improving a passenger's driving feeling. .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는, 자기력 내지 전자기력을 통한 디텐트 가동력에 의하여 원활하고 연속적인 레버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레버 조작시 발생하는 반동에 의한 진동을 현저하게 저감시켜 탑승자의 레버 조작감을 향상 시킬 수도 있다. Secondly, the lever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mooth and continuous lever operation by detent moving force through magnetic force or electromagnetic forc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vibration caused by recoil generated during lever operation, thereby feeling a feeling of lever operation of a passenger. It can also be improv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이하에서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vehicle lever swit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투영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의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디텐트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텐트 가동력 조절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레버 스위치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의 다른 일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투영 평면도가 도시된다. FIG.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ever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projection plan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vehicle lever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of the lever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lever switch deten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ever switch including a detent movable forc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vehicle lever switch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is shown, and FIG. 7 schematically shows a lever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s shown, and FIG. 8 shows a schematic projection plan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lever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10)는 하우징(100)과, 레버(400)와, 회로부(200)와, 스위치부(300)와 디텐트부(500)를 구비하는데, 레버(400)는 하우징(100)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vehicle lever switch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lever 400, a circuit unit 200, a switch unit 300, and a detent unit 500. 400 is movably mounted to the housing 100.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를 구비하는데,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는 서로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커버(110)의 외측에는 하우징 커버 장착부(111)가 구비되고 하우징 베이스(120)의 외측에는 하우징 베이스 장착부(121)가 구비되는데, 하우징 커버 장착부(111)와 하우징 베이스 장착부(121)는 서로 맞물리에 하우징 베이스(120)와 하우징 커버(110)의 장착 상태를 공고히 한다. 여기서, 하우징 커버 장착부는 요홈 구조로 그리고 하우징 베이스 장착부는 돌기 구조를 취하는데 서로 반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는 서로 맞물리어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커버(110)의 일측에는 하기되는 레버(400)의 회동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 커버 힌지(113)가 배치된다. The housing 100 includes a housing cover 110 and a housing base 120, and the housing cover 110 and the housing base 120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ternal space.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cover 110 is provided with a housing cover mounting portion 111 and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base 120 is provided with a housing base mounting portion 121, the housing cover mounting portion 111 and the housing base mounting portion 121 are mutually The mounting state of the housing base 120 and the housing cover 110 is firmly engaged. Here, the housing cover mounting portion may be a concave structure, and the housing base mounting portion may take a structure that is opposite to each other to take a protrusion structure. The housing cover 110 and the housing base 120 mesh with each other to form an interior space for accommodating other components. One side of the housing cover 110 is disposed a housing cover hinge 113 for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400 to be described.

회로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회로부(200)은 하우징 베이스(120)에 인서트 사출되어 하우징 베이스(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회로부(200)는 복수 개의 회로 배선 및 전기 소자를 구비하고 하우징 베이스(120)의 측단에 배치되는 커넥터(210)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부(200)는 인서트 사출 구조를 이루나 경우에 따라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The circuit unit 20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In this embodiment, the circuit unit 200 has an insert injection molded into the housing base 120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base 120. The circuit unit 200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a connector 210 having a plurality of circuit wires and electrical elements and disposed at a side end of the housing base 120.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ircuit unit 200 may have an insert injection structure, bu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disposed in some cases.

레버부(400)는 일단이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하우징(1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데 레버부(400)는 하우징(100)을 중심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레버부(400)는 레버 노브(410)와 레버 바디(420)를 구비하는데, 레버 바디(420)의 일단은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배치되고 타단은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레버 노브(410)는 레버 바디(420)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축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레버 노브(410)의 외면에는 노브 그립 홈(411)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그립감을 개선하고 레버 노브의 회동 정도를 인지할 수 있다. 레버 노브(410)의 외측에는 별도의 레버 로터리 노브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통상적인 차량용 레버 스위치에 구비되는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레버 바디(410)의 내부에는 별도의 레버 노브(410)와 연결되어 연동하는 로터리 샤프트(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는데, 하우징(100)에는 로터리 샤프트와 연동하는 별도의 슬라이드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One end of the lever unit 40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e lever unit 400 is disposed to be movable around the housing 100. The lever unit 400 includes a lever knob 410 and a lever body 420, one end of the lever body 42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art 100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Is placed. The lever knob 410 is arranged to be axially rotatable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body 420. A knob grip groove 41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ver knob 410 to improve a user's grip, and The degree of rotation can be recognized. A separate lever rotary knob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lever knob 410, which is omitted since it is a structure provided in a conventional vehicle lever switch. A rotary shaft (not shown)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a separate lever knob 410 may be disposed in the lever body 410, and the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lide switch that cooperates with the rotary shaft. It may be.

레버 바디(420)의 일측에는 레버 힌지(430)가 배치되는데, 레버 힌지(430)는 레버 바디(420)와 일체로 형성되고 돌출되는 구조를 취한다. 레버 힌지(430)는 하우징 커버(110)의 하우징 커버 힌지(113)에 연결되어 레버(400)의 안정적인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A lever hinge 43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lever body 420, and the lever hinge 43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ever body 420 and takes a structure to protrude. The lever hinge 430 is connected to the housing cover hinge 113 of the housing cover 110 to enable stable rotation of the lever 400.

레버 선단부(440)는 레버 바디(410)의 일단으로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레버 바디(410)의 단부 측에 배치된다. 레버 선단부(440)에는 하기되는 디텐트부(500)의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디텐트 수용부(501)가 구비된다. 레버 선단부(440)는 레버 바디(410)의 일단에 배치되는데, 레버 선단부(440)에는 하기되는 스위치부(300)의 가동 단자(310)가 배치된다. 레버 선단부(440)는 레버 바디(410)의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구비하도록 배치되어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어 디텐트부(500)의 작동 평면 상에 레버 선단부(440)가 배치되어 원활한 디텐트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The lever tip portion 440 is disposed at an end side of the lever body 41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as one end of the lever body 410. The lever tip portion 440 is provided with a detent receiving portion 501 for receiving the components of the detent portion 500 to be described below. The lever tip part 44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lever body 410, and the movable terminal 310 of the switch part 300, which is described below, is disposed at the lever tip part 440. The lever tip portion 440 is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body 410 so that the lever tip portion 440 is disposed on the operating plane of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the detent portion 500, so that the smoothness is achieved. Enable detent operation.

스위치부(300)는 가동 단자(310)와 고정 단자(320)를 구비하는데, 가동 단자(310)는 레버(400)의 가동에 의하여 함께 가동되고, 고정 단자(320)는 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가동 단자(310)는 레버 선단부(440)의 일단에 배치되는데, 가동 단자(310)는 레버 선단부(440) 및 레버 바디(410)와 함께 회동하여 레버 힌지(430)를 중심으로 회동 운동을 이룬다.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는 않았으나, 가동 단자(310)의 하부에는 가동 단자 터미널(미도시)이 배치되고 회로기판(200)에 배치되는 고정 단자(32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따라서, 레버 바디(410) 및 레버 선단부(440)가 레버 힌지(43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경우 복수 개의 고정 단자(320)와 가동 단자(310) 간의 접촉 상태가 변화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작동 모드 선택이 가능하다. The switch unit 300 includes a movable terminal 310 and a fixed terminal 320. The movable terminal 310 is operated together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400, and the fixed terminal 320 is the circuit board 200.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he movable terminal 31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lever tip portion 440, and the movable terminal 310 rotates together with the lever tip portion 440 and the lever body 410 to form a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lever hinge 430. . Although not clearly shown here, a movable terminal terminal (not shown) is disposed below the movable terminal 310 to make electrical communication by directly contacting the fixed terminal 320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200. Therefore, when the lever body 410 and the lever tip portion 440 rotate about the lever hinge 430,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plurality of fixed terminals 320 and the movable terminal 310 is changed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desired by the user. Mode selection is possibl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레버(400)의 가동에 따른 스위치부(300)의 가동 상태 변화를 일정한 경우 유지하고 사용자가 원하여 소정의 힘을 가하는 경우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 간의 접촉 위치 변동을 일으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별도의 변환 및 유지 수단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10)는 디텐트부(500)를 구비하는데, 디텐트부(500)는 레버(400)의 가동을 절도(節度; detent)시킨다. 디텐트부(500)는 디텐트 바디(510)와 디텐트 플런저부(530)와 디텐트 가동 력 발생부(540)를 구비하는데, 디텐트 바디(51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에 복수 개의 디텐트 웨이브(511)를 구비한다. 디텐터 플런저부(520)는 디텐트 바디(510)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레버(400)의 단부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강자성체 또는 자성체를 구비하고,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54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디텐트 플런저부(520,530)와 전자기력 또는 자기력에 의한 상호 작용을 이루어 디텐트 플런저부(520,530)에 가동력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change 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switch unit 3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400 in a certain case and can cause a change in the contact position between the movable terminal and the fixed terminal when the user desires and applies a predetermined force. Separate conversion and holding means. That is, the vehicle lever switch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nt portion 500, which detents the operation of the lever 400. The detent part 500 includes a detent body 510, a detent plunger part 530, and a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part 540,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a plurality of detent waves 511 on one side. The detenter plunger portion 520 forms a permanent contact state with the detent body 510 and includes a ferromagnetic body or a magnetic body that is movably received at the end of the lever 400, and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540 includes: It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interacts with the detent plunger parts 520 and 530 by electromagnetic force or magnetic force to provide a movable force to the detent plunger parts 520 and 530.

디텐트 바디(510)는 하우징(100)의 내부, 즉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데, 하우징(100)의 내부로 레버(400)의 레버 선단부(440)와 마주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된다. 디텐트 바디(510)의 일측에는 디텐트 웨이브(511)이 배치되는데, 디텐트 웨이브(511)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레버(400)의 회동시 복수 개의 위치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디텐트 웨이브(511)는 디텐트 홈(511-1)과 디텐트 산(511-2)를 구비하는데, 디텐트 홈(511-1) 또는 디텐트 (511-2)의 위치는 가동 단자(310)와 고정 단자(320)가 서로 접촉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설계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텐트 바디(510)는 하우징 베이스(120)와는 별개물로 형성되어 하우징 베이스(120)에 장착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디텐트 바디는 하우징 베이스와 단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detent body 510 is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that is,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housing cover 110 and the housing base 120, and the lever tip portion of the lever 400 into the housing 100. 440 is spaced apart to face. A detent wave 511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detent body 510, and a plurality of detent waves 511 are provided to enable a plurality of positions when the lever 400 is rotated. The detent wave 511 has a detent groove 511-1 and a detent acid 511-2, and the position of the detent groove 511-1 or the detent 511-2 is determined by the movable terminal ( 310 and the fixed terminal 320 is designed based on the contact position with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ent body 510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housing base 120 and takes a structure to be mounted on the housing base 120. The detent body may take a structure formed as a single body with the housing base. Various variations are possible.

디텐트 플런저부(520,530)는 디텐트 바디(510), 보다 구체적으로 디텐트 웨이브(511)와 상시 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디텐트 플런저부(520,530)의 일부는 강자성체 또는 자성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텐트 플런 저부(520,530)는 디텐트 플런저(520)와 디텐트 가동 블록(530)을 포함한다. 디텐트 플런저(520)는 디텐트 플런저 바디(521)와 디텐트 플런저 접촉 돌기(523)를 구비하는데, 디텐트 플런저 바디(521)는 사각 블록 타입으로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구조를 취한다. 디텐트 플런저 바디(521)의 단부는 레버(400), 보다 구체적으로 레버 선단부(440)의 단부에 형성된 디텐트 수용부(501)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또한, 디텐트 플런저 접촉 돌기(523)는 디텐트 플런저 바디(521)의 일단으로 디텐트 바디(510)를 향하여 배치되고 디텐트 바디(510)의 디텐트 웨이브(511)와 접촉 상태를 이룬다. 디텐트 웨이브(511)와의 접촉시 원활한 접촉 상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디텐트 플런저 접촉 돌기(523)는 반원 형상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텐트 플런저(520)는 내마모성을 갖는 소정의 연질의 합성 수지 또는 복합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한 디텐트 바디(510)의 디텐트 웨이브(511)와의 접촉시 마모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디텐트 플런저 바디(521)의 내부 공간에는 디텐트 가동 블록(530)이 배치되는데, 디텐트 가동 블록(530)의 일단에는 디텐트 가동 블록 돌기(531)가 돌출 형성되고 디텐트 가동 블록 돌기(531)의 대응되는 위치로 디텐트 플런저 바디(521)의 내측에는 대응부가 구비되어 양자가 서로 맞닿는 형상 구조를 취하여 디텐트 가동 블록(530)이 디텐트 플런저(52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경우에 따라 디텐트 가동 블록 돌기(531)와 이의 대응되는 대응부는 서로 억지 끼워 맞춤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디텐트 가동 블록(530)은 하기되는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에 의하여 생성되는 가동력에 의하여 디텐트 플런저를 디텐트 바디를 향하여 가압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디텐트 가동 블록은 디텐트 플런저와 함께 가동된다. The detent plunger portions 520 and 530 are arranged to be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detent body 510, more specifically, the detent wave 511, and a part of the detent plunger portions 520 and 530 includes ferromagnetic materials or magnetic materials. The detent plunger bottom 520, 5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nt plunger 520 and a detent movable block 530. The detent plunger 520 has a detent plunger body 521 and a detent plunger contact protrusion 523. The detent plunger body 521 is a rectangular block type, and has an inner space in which one end is opened and the other end is closed. Take the structure provided. An end of the detent plunger body 521 is movably received in the detent receiving portion 501 formed at the lever 400, more specifically at the end of the lever tip 440. In addition, the detent plunger contact protrusion 523 is disposed toward the detent body 510 to one end of the detent plunger body 521 and makes contact with the detent wave 511 of the detent body 510. The detent plunger contact protrusion 523 has a semicircular shape in order to form a smooth contact state upon contact with the detent wave 511. In this embodiment, the detent plunger 520 is formed of a predetermined soft synthetic resin or composite material having abrasion resistance to prevent damage due to abrasion upon contact with the detent wave 511 of the detent body 510. You may. A detent movable block 53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etent plunger body 521, and a detent movable block protrusion 531 is protruded at one end of the detent movable block 530, and the detent movable block protrusion (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detent plunger body 521 is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531 so that the detent movable block 530 is stably disposed inside the detent plunger 520. Makes it possible. In some cases, the detent movable block protrusion 531 and its corresponding counterpart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forcibly fitted to each other. The detent movable block 530 is configured to press the detent plunger toward the detent body by the actuation force generated by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on unit described below, so that the detent movable block is operated together with the detent plunger.

디텐트 가동 블록(530)은 강자성체 또는 자성체로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디텐트 가동 블록(530)은 강자성체로 형성된다. 디텐트 가동 블록(530)은 인근에서 형성되는 전자기장 또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디텐트 플런저와 디텐트 웨이브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가동력을 제공받는다. The detent moving block 530 is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or a magnetic materia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ent moving block 530 is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The detent movable block 530 is provided with a movable force for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of the detent plunger and the detent wave under the influen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a magnetic field formed nearby.

경우에 따라 디텐트 가동 블록(53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디텐트 가동 블록(530)의 내부 공간에는 디텐트 서브 탄성 부재(55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디텐트 서브 탄성 부재(550)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구성되는데, 디텐트 서브 탄성 부재(550)는 디텐트 가동 블록의 디텐트 플런저의 내부에서의 자유 이동을 방지하여 소음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뿐, 종전의 스프링과 같이 디텐트 플런저에 레버의 위치를 유지할 정도의 상당한 초기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는 아니다. 즉, 디텐트 서브 탄성 부재(550)가 배치되더라도 사용자가 레버(400)의 가동시 종전에 느꼈던 디텐트 충격 내지 소음등을 방지할 수 있다. In some cases, a space may be formed in the detent movable block 530 as shown in FIG. 2, and the detent subelastic member 55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etent movable block 530. have. Here, the detent sub-elastic member 550 is composed of a coiled spring, the detent sub-elastic member 550 to prevent the free movement in the detent plunger of the detent movable block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etc. It is not a component that provides significant initial resilience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lever in the detent plunger, like conventional springs. That is, even if the detent subelastic member 550 is dispo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nt shock or noise that the user has previously felt when the lever 400 is operated.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540)는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디텐트 플런저부(520,530)와 전자기력 또는 자기력에 의한 상호 작용을 이루어 디텐트 플런저부(620,630)에 가동력을 제공하여, 디텐트 바디(510)의 디텐트 웨이브(511)와 디텐트 플런저(520) 간의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540)는 가동력 발생부 보빈(547)과 가동력 발생부 코일(541)을 구비하는데, 가동력 발생부 보빈(547)은 하우징(100)의 내부로 디텐트 바디(510)를 사이에 두고 디텐트 플런저부(520,530)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가동력 발생부 보빈(547)은 가동력 발생부 보빈 바디(543)와 가동력 발생부 보빈 리브(545)를 구비하는데, 가동력 발생부 보빈 바디(543)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가동력 발생부 보빈 리브(545)는 가동력 발생부 보빈 바디(543)의 양단에 배치되어 하기되는 가동력 발생부 코일(541)의 가동력 발생부 보빈 바디(543)로부터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한다. 가동력 발생부 보빈 리브(545)의 일측에는 가동력 발생부 보빈 리브 장착부(544)가 구비되는데, 가동력 발생부 보빈 리브 장착부(544)는 하우징(100) 또는 디텐트 바디(510)에 맞물리어 장착되어 위치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안정적인 위치 확보를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540 is disposed in the housing 100 and interacts with the detent plunger units 520 and 530 by electromagnetic or magnetic forces to provide a movable force to the detent plunger units 620 and 630, thereby providing a detent body ( A detent wave 511 of 510 and a detent plunger 520 form a normal contact state.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or 5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ovable force generator bobbin 547 and a movable force generator coil 541, and the movable force generator bobbin 547 detents into the housing 100. The body 510 is disposed to face the detent plunger portions 520 and 530 therebetween. The movable force generator bobbin 547 includes a movable force generator bobbin body 543 and a movable force generator bobbin rib 545, which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movable force generator bobbin rib 545. Prevents unwanted separation from the movable force generator bobbin body 543 of the movable force generator coil 541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movable force generator bobbin body 543. One side of the movable force generator bobbin rib 545 is provided with a movable force generator bobbin rib mounting portion 544, the movable force generator bobbin rib mounting portion 544 is engaged with the housing 100 or the detent body 510 is mounted. It takes a structure that is fixed in position, a variety of configurations are possible in the range to achieve a stable position inside the housing 100.

가동력 발생부 코일(541)은 가동력 발생부 보빈(547)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데, 가동력 발생부 코일(541)은 가동력 발생부 보빈 바디(543)의 외주에 배치된다. 가동력 발생부 코일(541)의 단부에는 가동력 발생부 코일 단부(542)가 배치되고 가동력 발생부 코일 단부(542)는 회로기판(200) 및 커넥터(210)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어 외부 장치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되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가동력 발생부 코일(541) 및 가동력 발생부 보빈 바디(543)을 따라 소정의 전자기장을 형성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력 발생부 코일(541)에 소정의 전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코일 배치되는 가동력 발생부 코일(541)의 외주에는 도 2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기장/자기장이 형성되는데, 디텐트 플런저(520)의 내부에 배치되고 강자성체로 형성되는 디텐트 가동 블 록(530)은 가동력 발생부 코일(541)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향하에 놓인다. 따라서, 디텐트 가동 블록(530)은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540), 보다 구체적으로 가동력 발생부 코일(541) 측으로 가동된다. 가동력 발생부 코일(541)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디텐트 가동 블록, 궁극적으로 디텐트 플런저는 디텐트 플런저부(520,530)의 길이 방향으로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540)를 향한 인력이 생성되어 디텐트 바디의 디텐트 웨이브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레버의 회동시 원활한 디텐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movable force generator coil 541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force generator bobbin 547, and the movable force generator coil 541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vable force generator bobbin body 543. The movable force generator coil end 542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movable force generator coil 541, and the movable force generator coil end 542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circuit board 200 and the connector 210 to provide electrical signals from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is input to form a predetermined electromagnetic field along the movable force generator coil 541 and the movable force generator bobbin body 543. That is, as shown in FIG. 2, when a predetermined electric signal is input to the movable force generator coil 541, an electromagnetic field / shown by an arrow of FIG. 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vable force generator coil 541. A magnetic field is formed in which the detent movable block 530 disposed inside the detent plunger 520 and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is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ovable force generator coil 541. Therefore, the detent movable block 530 is moved toward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or 540, more specifically, the movable force generator coil 541. The detent movable block, and ultimately the detent plunger, is directed toward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or 5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tent plunger portions 520 and 530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according to a signal applied to the movable force generator coil 541. The attraction force is generated to form an always contact state with the detent wave of the detent body, and perform a smooth detent operation when the lever is rotat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대한 변형예로서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는 도 6에 도시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가동력 발생부 보빈(547-1)은 어느 일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R과 같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호상(弧狀)으로 형성되고 가동력 발생부 코일(541-1)이 호상 구조의 가동력 발생부 보빈(547-1)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레버 힌지(430)을 중심으로 회동 구조를 이루는 레버 선단부(440)에 배치되는 디텐트 플런저부(520,530)의 디텐트 가동 블록(530)의 경로에 상응하여 가동력 발생부도 소정의 곡률을 구비함으로써 레버(400)가 회동하는 경우에도 자기장에 의한 디텐트 가동 블록에 대한 흡인력, 즉 가동력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 내지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레버(400) 회동에 따라 디텐트감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 modific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may take the structure shown in FIG. That is, the movable force generator bobbin 547-1 is formed in an arc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such as a radius R about one point, and the movable force generator coil 541-1 generates the movable force of the arc structure. The structure arranged in the secondary bobbin 547-1 may be taken. Through such a structure, the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also corresponds to the path of the detent movable block 530 of the detent plunger portion 520 and 530 disposed at the lever tip portion 440 which forms the pivot structure around the lever hinge 430. By providing the curvature, even when the lever 400 is rotated, the suction force, that is, the difference in the movable force to the detent moving block due to the magnetic field is prevented or minimized, so that the detent feeling is constan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user's lever 400. You can also keep 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를 갖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는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에서 생성되는 가동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 가동력 조절부(600)가 차량 용 레버 스위치의 회로기판(200)과 연결될 수 있는데, 디텐트 가동력 조절부(600)는 포텐셔미터와 같은 연속적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텐트 가동력 조절부(600)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540)의 가동력 발생부 코일(541)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켜 가동력 발생부 코일(541)의 주위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변화시키고 궁극적으로 가동력 발생부 코일(541) 측으로 디텐트 가동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한 가동력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ver switch for a vehicle having a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for changing the movable force generated in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detent movable force adjusting unit 600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00 of the lever switch for the vehicle. The detent movable force adjusting unit 600 may continuously adjust the potentiometer. It can be implemented as a switch element. As described above, the detent movable force adjusting unit 600 is adjusted by the user to change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coil 541 of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540 to be formed around the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coil 541.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to be adjusted and ultimately adjust the movable force for moving the detent movable block toward the movable force generator coil 541 side.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의 디텐트부는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가동력 발생부 코일을 구비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투영 평면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를 위주로 설명한다.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540a)는 레버(400)의 단부에 위치 고정되어 수용 배치되되, 디텐트 플런저부(520,530)를 사이에 두고 디텐트 바디(510)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즉,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540a)는 소정의 크기의 마그네트로 구현되는데,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540a)는 레버(400)의 레버 선단부(440) 단부에 형성된 디텐트 수용부(501)의 내측 단부에 고정 배치된다. 또한, 디텐트 가동 블록(530a)은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540a)와 동일 극성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자성체로 구현된다. 디텐트 가동 블 록(530a) 자체가 자성체로 형성되어 디텐트 플런저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와 동일한 극성을 마주하여 양자 간에 척력을 형성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8에서 곡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 가동 블록(530a)과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540a) 간의 동일 극성을 통하여 양자 간에 형성되는 척력에 의하여 디텐트 가동 블록(530a)과 같이 배치되는 디텐트 플런저(520)가 디텐트 바디(510)의 디텐트 웨이브(511)와 상시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레버(400)의 회동시 원활한 회동 운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etent part of the lever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cluding a movable force generating part coil forming an electromagnetic fiel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7 and 8 show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projection plan view of a lever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description will be given based on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540a is disposed to be received and fixed at an end of the lever 400, and is disposed to face the detent body 510 with the detent plunger portions 520 and 530 interposed therebetween. That is,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540a is implemented with a magne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540a is formed of the detent receiving unit 501 formed at the end of the lever tip 440 of the lever 400. It is fixedly positioned at the inner end. In addition, the detent movable block 530a is implemented with a magnetic material disposed to face the same polarity as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or 540a. The detent movable block 530a itself may b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and disposed inside the detent plunger, but in some cases,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in the range of forming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s facing the same polarity. Do. Accordingly, as shown by the curve in FIG. 8, the detent movable block 530a is disposed together with the detent movable block 530a by a repulsive force formed between both via the same polarity between the detent movable block 530a and 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540a. The detent plunger 520 maintains a constant contact with the detent wave 511 of the detent body 510 and achieves a smooth rotational movement dur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400.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텐트부가 자기력/전자기력에 의하여 원활한 디텐트 동작을 이루도록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above embodiments are example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a range in which the detent part achieves a smooth detent operation by magnetic force / electromagnetic for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ever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투영 평면도이다. 2 is a schematic projection plan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lever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의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of a lever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 디텐트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ever switch deten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텐트 가동력 조절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lever switch for a vehicle having a detent movable forc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레버 스위치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의 다른 일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vehicle lever switch detent movable forc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7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ver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버 스위치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투영 평면도이다.8 is a schematic projection top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lever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차량용 레버 스위치 100...하우징10 ... vehicle lever switch 100 ... housing

200...회로기판 300...스위치부200 ... circuit board 300 ... switch section

400...레버 500...디텐트부400 ... Lever 500 ... Detent Part

510...디텐트 바디 520...디텐트 플런저510 Detent Body 520 Detent Plunger

530...디텐트 가동 블록 540...디텐트 가동력 발생부530 ... detent movable block 540 ...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section

600...디텐트 가동력 조절부600 ... Detent Mobility Control

Claims (6)

하우징;housing;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그리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을 중심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A lever, one end of which is expos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the lever being movably disposed about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부;A circuit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상기 회로부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고정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의 가동에 의하여 함께 가동하는 가동 단자를 구비하는 스위치부;A switch unit having a fixed terminal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unit, and a movable terminal disposed in the housing and movable together by operation of the lever; 상기 레버의 가동을 절도시키기 위한 디텐트부;를 구비하고,And a detent portion for stealing the operation of the lever. 상기 디텐트부는:The detent portion: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에 복수 개의 디텐트 웨이브을 구비하는 디텐트 바디와,A detent body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detent waves on one side; 상기 디텐트 바디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레버의 단부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강자성체 또는 자성체를 구비하는 디텐트 플런저부와, A detent plunger portion which forms a permanent contact state with the detent body and has a ferromagnetic body or a magnetic body that is movably received and disposed at an end of the lever;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텐트 플런저부와 전자기력 또는 자기력에 의한 상호 작용을 이루어 상기 디텐트 플런저부에 가동력을 제공하는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And a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providing a movable force to the detent plunger portion by interacting with the detent plunger portion by electromagnetic force or magnetic forc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텐트 플런저부는:The detent plunger portion: 상기 디텐트 바디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디텐트 플런저와, A detent plunger which is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detent body; 상기 디텐트 플런저와 함께 가동되고 강자성체 또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단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디텐트 가동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And a detent movable block that is moved together with the detent plunger and is formed of a ferromagnetic or magnetic body and is movably disposed at an end of the lev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는: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디텐트 바디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텐트 플런저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가동력 발생부 보빈과, A movable force generating portion bobbin disposed to face the detent plunger portion with the detent body interposed into the housing; 상기 가동력 발생부 보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동력 발생부 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And a movable force generator coil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force generator bobbin.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가동력 발생부 코일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상기 가동력 발생부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킬 수 있는 디텐트 가동력 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And a detent movable force adjusting unit which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coil and can change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coil.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가동력 발생부 보빈은 호상(弧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The movable force generating section bobbin is a vehicle lever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rc.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텐트 가동력 발생부는:The detent movable force generating unit: 상기 레버의 단부에 위치 고정되어 수용 배치되되,Positionally fixed to the end of the lever is arranged to receive, 상기 디텐트 플런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텐트 바디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 스위치.And a magnet disposed to face the detent body with the detent plunger portion therebetween.
KR1020090038116A 2009-04-30 2009-04-30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Expired - Fee Related KR1015422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116A KR101542257B1 (en) 2009-04-30 2009-04-30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116A KR101542257B1 (en) 2009-04-30 2009-04-30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156A true KR20100119156A (en) 2010-11-09
KR101542257B1 KR101542257B1 (en) 2015-08-06

Family

ID=4340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116A Expired - Fee Related KR101542257B1 (en) 2009-04-30 2009-04-30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25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282B1 (en) * 2010-12-28 2012-06-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CN107644772A (en) * 2017-11-08 2018-01-30 天合汽车零部件(苏州)有限公司 A kind of vehicle switch gear block positions clamping system
KR101974997B1 (en) * 2018-08-07 2019-05-03 송경환 A combination switch for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558A (en) * 1999-11-18 2001-05-25 Alps Electric Co Ltd Stalk switch
JP2002120645A (en) 2000-10-13 2002-04-23 Yazaki Corp Turn signal lever canceling device
JP2008204822A (en) 2007-02-20 2008-09-04 Tokai Rika Co Ltd Moderation changeover type switch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282B1 (en) * 2010-12-28 2012-06-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CN107644772A (en) * 2017-11-08 2018-01-30 天合汽车零部件(苏州)有限公司 A kind of vehicle switch gear block positions clamping system
CN107644772B (en) * 2017-11-08 2020-04-07 必赛斯汽车科技(苏州)有限公司 Automobile switch gear block positioning and clamping system
KR101974997B1 (en) * 2018-08-07 2019-05-03 송경환 A combination switch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257B1 (en)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600B1 (en) Switch device
US7880572B2 (en) Lever switch
KR102603759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US7488907B2 (en) Lever switch device
KR20100119156A (en)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KR101094034B1 (en) Composite switch unit and composite switch device having same
KR100835142B1 (en) Scroll pushing switch module
US8093976B2 (en) Vehicle switch
KR102565839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101435283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20150116056A (en) Vehiclular tumbler switiching unit
KR200460533Y1 (en) Slider switch unit
KR200467290Y1 (en) Vehiclular tumbler switiching unit
KR101141329B1 (en) Tiltable switching unit
KR101181636B1 (en) 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KR101555378B1 (en) Composite switch unit
KR20110006821U (en)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KR20180042026A (en)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KR101070028B1 (en) Sliding button switch unit for a vehicle
KR100845257B1 (en) Seesaw switch module
KR101155282B1 (en)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KR200431025Y1 (en) Seesaw switch device
KR200470878Y1 (en) 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KR101414293B1 (en) Vehicular lever switching apparatus
KR100776615B1 (en) Switch assembly and vehicle combination switch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4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