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3759B1 -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 Google Patents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759B1
KR102603759B1 KR1020150152116A KR20150152116A KR102603759B1 KR 102603759 B1 KR102603759 B1 KR 102603759B1 KR 1020150152116 A KR1020150152116 A KR 1020150152116A KR 20150152116 A KR20150152116 A KR 20150152116A KR 102603759 B1 KR102603759 B1 KR 102603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directional
housing
unit
sl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1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1704A (en
Inventor
노삼종
권대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2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759B1/en
Priority to EP16860303.3A priority patent/EP3370242B1/en
Priority to JP2018521257A priority patent/JP6674540B2/en
Priority to US15/771,766 priority patent/US10522308B2/en
Priority to CN201690001313.1U priority patent/CN208655476U/en
Priority to PCT/KR2016/012293 priority patent/WO2017074120A1/en
Publication of KR20170051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7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75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축회동을 감지 출력하는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텍셔널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푸시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위치 가변 가능한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의 위치 가변에 의하여 가동되어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 디렉셔널 스위치와,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를 평면 상에서 원위치 복귀시키는 디렉셔널 리턴부를 구비하되,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는: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일면 상에 노출 배치되고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와 접촉 가능하되,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 일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기판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가압되는 경우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로 수용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ortion,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switch shaft portion whose one end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is movably disposed exposed to the housing, and a shaft rotation of the switch shaft portion is detected. A rotary switch unit for outputting an output, a directional switch unit for detecting and outputting a tilting detection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and a push switch unit for detecting and outputting a press-fitting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wherein the directional switch unit includes: the switch A directional slide part whose position is variable within the housing part by a tilting directional operation of the shaft part, a directional switch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operated by the variable position of the directional slide part to generate a changed signal, and the director A directional slide unit and a directional return unit that returns the switch shaft unit to its original position on a plane, wherein the directional switch includes: a directional switch housing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exposed on one surface of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A directional switch that is disposed and capable of contacting the directional slide unit, and is accommodated inside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when pressed by rota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substrate around an internal point of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Provided is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that includes a knob.

Description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Vehicle multi-operating switch unit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스위치로서,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이루되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이루는 차량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mounted on a vehicle, which implements complex operations but has a simple and compact structure.

통상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롤 커넥터(Sterring Roll Connector) 어셈블리와 그리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 등을 구비한다.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조향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은 스티어링 컬럼을 통하여 차륜에 전달되어 차량의 조향각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Typically, a steering wheel assembly for a vehicle includes a steering wheel, a steering column, a steering roll connector assembly, and a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The steering wheel is used by the driver to set the steering direction, and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by the driver is transmitted to the wheels through the steering column to set the steering angle of the vehicle. In addition, vehicles such as cars are required to function as various convenience means to provide users with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driving condition beyond their function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배치되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라이트 및 포그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및 차량 윈도우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각종 장치의 조작 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스티어링 휠의 상부에 버튼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스티어링 휠 측면의 차량용 레버 스위치로서 구현되거나 다양한 기능이 콘솔 스위치로 집중된다.For example, the steering wheel of a recently produced vehicle is equipped with a window switch that opens and closes the windows, a steering light switch that turns the steering light on/off, an audio switch that operates the audio, a wiper switch that operates the wipers, etc., and a multi-function switch. The assembly is equipped with lights, fog lamps, wipers, various audio devices, and vehicle window switches, etc., and allows the driver to increase the operability of various devices, thereby preventing the driver from losing forward attention while operating various devices. This is the upper part of the steering wheel. Various functions are concentrated as a console switch, whether implemented as a button switch or a vehicle lever switch on the side of the steering wheel.

근래 자동차의 스위치에 있어서 다양한 기능의 스위치가 복합적으로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기능의 증대만큼 구조가 복잡해지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도 증대된다. Recently, switches in automobiles tend to integrate switches with various functions in a complex manner. As the functions increase, the structure becomes more complex, and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due to the complex structure also increases.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보다 정확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operating switch for vehicles that improves durability and enables more accurate operation by enabling complex operation implementation through a compact and simple structure. Unit is provided.

본 발명은,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축회동을 감지 출력하는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텍셔널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푸시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위치 가변 가능한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의 위치 가변에 의하여 가동되어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 디렉셔널 스위치와,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를 평면 상에서 원위치 복귀시키는 디렉셔널 리턴부를 구비하되, 상기 디렉셔널 리턴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턴 플런저와,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상기 리턴 플런저를 탄성지지하는 리턴 탄성부와, 상기 리턴 플런저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리턴 플런저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위치를 포함하는 리턴 그루브를 구비하되, 상기 리턴 플런저는 상기 하우징부에 대하여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축 길이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고, 상기 리턴 그루브는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ortion,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switch shaft portion whose one end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is movably disposed exposed to the housing, and a shaft rotation of the switch shaft portion is detected. A rotary switch unit for outputting an output, a directional switch unit for detecting and outputting a tilting detection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and a push switch unit for detecting and outputting a press-fitting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wherein the directional switch unit includes: the switch A directional slide part whose position is variable within the housing part by a tilting directional operation of the shaft part, a directional switch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operated by the variable position of the directional slide part to generate a changed signal, and the director A directional return part is provided to return the shunt slide part and the switch shaft part to their original position on a plane, wherein the directional return part includes: a return plunger movably disposed in the housing part, and elasticall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art to make the return plunger elastically. It is provided with a return elastic part for supporting and a return groove that forms a constant contact with the return plunger and includes a position for returning the return plunger to its original position, wherein the return plunger is positioned in the axi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shaf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part. It provides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wherein the return groove is formed on the directional slide part.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리턴 플런저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턴 장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the housing portion includes a housing base that supports the substrate, a housing cover that engages the housing base to form an internal space and has a return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return plunger is movably disposed. It may be available.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가 관통 배치되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와,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 및 상기 하우징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외주에 관통 장착되는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일면으로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를 향한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는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the directional slide portion includes: a directional medium slide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base and the housing cover and through which the switch shaft portion is disposed, and between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and the housing base. A directional bottom slide disposed and mounted through the outer periphery of the switch shaft portion, and a directional top slid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facing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and relatively movably engaged with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It may also be provided.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의 일면에는 상기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와 맞물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미디엄 어퍼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의 타면에는 미디엄 로워 가이드가 형성되되, 상기 미디엄 로워 가이드는 상기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에 형성되는 바텀 가이드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 medium upper guid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to engage with the directional top slide, and a medium lower guid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The medium lower guide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movably engaged with a bottom guide formed on the directional bottom slide.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는: 상기 일면 상에 상기 바텀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가 관통되고 내측면이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와 접촉하는 바텀 관통구가 구비되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미디엄 어퍼 가이드와 상기 바텀 슬라이드 바디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리턴 그루브가 형성되는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와, 상기 바텀 슬라이드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를 가동시킬 수 있는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the directional bottom slide is: a bottom in which the bottom guide is formed on one surface, the switch shaft part penetrates, and the inn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bottom through-hole in contact with the switch shaft part. A slide body, a bottom slide side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medium upper guide and the bottom slide body and on which the return groove is formed, and a bottom slid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slide body to operate the directional switch. It may also have a movable part.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미디엄 어퍼 가이드와 상기 미디엄 로워 가이드는 동일 평면 상에서 투영되는 경우 90도 교차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the medium upper guide and the medium lower guide may be arranged to intersect at 90 degrees when projected on the same plane.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리턴 그루브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상기 리턴 플런저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과, 상기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에 외력이 인가되는 외력 인가 상태에서 상기 리턴 플런저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그루브 무빙 포지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the return groove has: a groove stable position forming a contact state with the return plunger in a normal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witch shaft portion, and an outer groove stable position It may include a groove moving position that is disposed and forms a contact state with the return plung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witch shaft portion.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하부로부터 연장 돌출 형성되는 돌기이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는 접촉 스위치일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the bottom slide movable portion may be a protrusion extending from a lower part of the slide body, and the directional switch may be a contact switch.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일단에 배치되고 힌지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외주에 샤프트 힌지 가이드가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와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고 사전 설정된 길이를 갖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 기판과 상기 하우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샤프트 힌지 가이드와 맞물림 가능한 로터리 엔코더 수용 가이드를 구비하고 외주에 복수 개의 로터리 엔코더 슬릿을 구비하는 로터리 엔코더와, 상기 기판에 상기 로터리 엔코더와 사전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로터리 엔코더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와 함께 축회동하는 경우 상기 로터리 엔코더 슬릿의 이동수를 감지하는 로터리 스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the switch shaft portion includes: a switch shaft hinge disposed at one end accommodated in the housing, enabling hinge operation, and having a shaft hinge guid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connected to the switch shaft hinge and having one end and a switch shaft body expos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herein the rotary switch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housing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witch shaft hinge, and having a shaft hinge guide and A rotary encoder having an engageable rotary encoder accommodating guide and having a plurality of rotary encoder slits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 rotary encoder being disposed on the boar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otary encoder, and the rotary encoder being on an axis together with the switch shaft portion. It may also include a rotary switch sensor that detects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rotary encoder slit when it rotates.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회동 동작을 디텐팅시키는 로터리 디텐트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the rotary switch unit may further include a rotary detent unit that detents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ry encoder.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부는: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저면에 배치되는 로터리 디텐트와,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에 수용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상기 로터리 디텐트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로터리 디텐트 볼을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the rotary detent portion includes: a rotary detent disposed on a bottom of the rotary encoder, a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accommodated in a base rotary detent receiving portion disposed in the housing portion, and A rotary detent ball may be provided,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and is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rotary detent.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부는: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하부 측면에 배치되는 로터리 디텐트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하우징부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되는 판 스프링 타입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와 일체를 이루어 절곡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터리 디텐트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 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the rotary detent unit includes: a rotary detent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rotary encoder, and a leaf spring type that is fixedly mounted on the housing uni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ry detent. The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rotary detent elastic protrusion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and is bent and protruded to form a state of constant contact with the rotary detent.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부는: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하부 측면에 배치되는 로터리 디텐트와,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중심을 향하는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에 수용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상기 로터리 디텐트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로터리 디텐트 볼을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the rotary detent portion includes: a rotary detent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rotary encoder, and a base rotary detent disposed in the housing portion in a radial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switch shaft portion. It may include a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accommodated in the portion, and a rotary detent ball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and is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rotary detent.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부는: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하부 측면으로 상기 로터리 디텐트의 상단에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 방향 상 상기 로터리 디텐트와 층을 이루어 형성되는 푸시 디텐트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로터리 엔코더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가 상기 로터리 엔코더를 가압하여 하방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로터리 엔코더와 함께 수직 가동되는 푸시 가동부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가동부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 변동되는 경우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the push switch unit includes: a lower side of the rotary encoder and an upper end of the rotary detent, the rotary det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an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switch shaft unit. a push detent formed in layers,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on the rotary encoder and a push movable part that moves vertically together with the rotary encoder when the switch shaft hinge of the switch shaft part presses the rotary encoder to move downward; , may be provided with a push switch that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generates a changed signal when the push movable part changes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의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을 향한 단부 상단은 챔퍼링되어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수직 가동시 상기 로터리 엔코어와의 원치 않는 간섭을 배제하는 가이드 챔퍼링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the upper end of the base rotary detent accommodating portion fac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portion is chamfered to form a guide chamfering portion that excludes unwanted interference with the rotary encoder when the rotary encoder is vertically moved. There may be more available.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와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함께 수직 가동되는 푸시 홀더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홀더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 변동되는 경우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 푸시 스위치와, 상기 푸시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푸시 리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the push switch unit: a push holder at least partially disposed below the rotary encoder and in contact with the switch shaft hinge of the switch shaft unit to move vertically together when the switch shaft unit moves vertically. It may also include a push switch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generating a changed signal when the push holder changes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ush return portion disposed below the push holder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 holder.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홀더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를 수용 접촉하는 푸시 홀더 바디와, 상기 푸시 홀더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푸시 홀더 사이드와, 상기 푸시 홀더 사이드로부터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수직 가동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상기 푸시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푸시 홀더 가동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multi-operating switch unit, the push holder includes: a push holder body that receives and contacts the switch shaft hinge, a push holder side extending from a side of the push holder body, and a push holder side extending from the push holder side to the switch shaft. It may include a push holder movable part that extends parallel to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of the unit and operates the push switch when the switch shaft part moves vertically.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리턴부는: 상기 푸시 홀더 바디와 접촉하는 푸시 리턴 바디와, 상기 푸시 리턴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푸시 리턴 사이드와, 상기 푸시 리턴 사이드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홀더 사이드를 탄성 지지하는 푸시 리턴 러버캡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the push return unit includes: a push return body in contact with the push holder body, a push return side extending from a side of the push return body, and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ush return side. and may include a push return rubber cap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push holder side.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홀더 바디에는 푸시 홀더 바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 리턴 바디에는 푸시 리턴 바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 힌지의 저면에는 샤프트 힌지 스톱퍼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샤프트 힌지 스톱퍼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가 구비되되,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에 푸시 동작을 이루는 외력만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 힌지 스톱퍼는 상기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에 수용 가능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에 틸팅 동작을 이루는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 힌지 스톱퍼는 상기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의 외측에 접촉하여 상기 샤프트 힌지 스톱퍼가 상기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로 수용되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 push holder body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push holder body, a push return body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push return body, and a shaft hinge stopper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witch shaft hinge. , a base push tolerance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haft hinge stopper of the housing portion, and when only an external force forming a push operation is applied to the switch shaft portion, the shaft hinge stopper can be accommodated in the base push tolerance, When an external force causing a tilting operation is applied to the switch shaft portion, the shaft hinge stopper may contact the outside of the base push tolerance to prevent the shaft hinge stopper from being received by the base push toler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축회동을 감지 출력하는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텍셔널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푸시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위치 가변 가능한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의 위치 가변에 의하여 가동되어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 디렉셔널 스위치와,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를 평면 상에서 원위치 복귀시키는 디렉셔널 리턴부를 구비하되,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는: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일면 상에 노출 배치되고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와 접촉 가능하되,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 일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기판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가압되는 경우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로 수용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art,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switch shaft part with one end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exposed to the housing and movably disposed, A rotary switch unit that detects and outputs a shaft rot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a directional switch unit that detects and outputs a tilting detection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and a push switch unit that detects and outputs a press-fit push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The directional switch unit: a directional slide unit whose position is variable within the housing unit by a tilting directional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and which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operat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directional slide unit to generate a changed signal. a directional switch, and a directional return unit that returns the directional slide unit and the switch shaft unit to their original positions on a plane, wherein the directional switch includes: a directional switch housing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nd the director.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is exposed on one surface of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and can be contacted with the directional slide unit, and is pressed by rota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substrate with an internal point of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as the center. Provides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irectional switch knob accommodated inside.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기판에 수평한 회동 중심은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의 길이 방향 중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중심을 향한 단부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multi-operating switch unit, the directional switch knob is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switch shaft portion, and the rotation center horizontal to the substrate is the center of the switch shaf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rectional switch knob. It may also be placed on the facing end side.

상기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에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와,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에 의하여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과,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에 의하여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이 가동되는 경우 접속 가능하게 대응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 directional switch elastic portion that provides an elastic return force to the directional switch knob inside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and a directional switch operation contact operated by the directional switch knob. And, when the directional switch movable contact point is operated by the directional switch knob, it may include a directional switch fixed contact point disposed correspondingly so that it can be connected.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실내 스티어링 휠 또는 콘솔 스위치 장치 등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차량의 네비게이션 장치, 오디오 멀티미디어 장치 내지 공조 장치 등의 차량의 실내 사용되는 전기적 동작을 선택 내지 조정할 수 있도록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plex operation implementation is implemented to enable the driver to select or adjust electrical operations used inside the vehicle, such as a navigation device, an audio multimedia device, or an air conditioning device, by being mounted on a vehicle's interior steering wheel or console switch device. A switch unit that makes this possible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구성요소를 최소화하고 스위치 센서 등을 단일 기판 측으로 집중시켜 전기적 배선의 문제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설계 자유도를 증진시킴과 아울러 조립성을 향상시켜 생산성 증진으로 인한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veh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problems with electrical wiring by minimizing components and concentrating switch sensors, etc. on a single board, thereby improving design freedom and improving assembly, resulting in increased productivity. Cost savings can be achieved.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단일 기판의 사용 등의 컴팩트한 구성 또는 다양한 동작의 배치 영역의 구획 등을 통하여 장착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구성요소 간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mounting space through a compact configuration such as the use of a single board or dividing the various operation areas, and prevents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due to interference between components. It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의 하부에 스위치 샤프트 힌지가 배치되는 구조, 즉, 스위치 샤프트 힌지가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고, 디렉셔널 슬라이드부 및 디렉셔널 스위치를 로터리 스위치부 및 푸시 스위치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를 통하여, 디렉셔널 스위치부의 작동을 위한 스위치 샤프트 바디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각을 최소화시켜 스위치 샤프트 바디의 단부에 배치되는 노브 등이 하우징 등과의 접촉으로 인한 간섭 발생을 방지하여 노브와 하우징과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하우징 커버 관통구 등을 통한 이물 유입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고, 노브 등과의 간섭 가능성을 방지 내지 저하시켜 구성요소의 컴팩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switch shaft hinge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directional slide portion, that is, the switch shaft hinge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the directional slide portion and the directional switch are connected to a rotary switch. Through a structure that is plac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witch and push switch parts, the rotation angle around the switch shaft hinge of the switch shaft body for operation of the directional switch part is minimized, and the knob etc. placed at the end of the switch shaft body is installed in the housing. By minimiz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knob and the housing by preventing interference due to contact with the knob, etc.,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housing cover penetration hole, etc. can be prevented or minimized, and the possibility of interference with the knob, etc. It can enable compact design.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로터리 디텐트부를 통한 푸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여 부품수의 감소 및 제조 원가 절감과 더불어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push operation through a rotary detent unit,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enabling a compact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는, 디렉셔널 스위치의 가동을 회동 방식 구조를 취하여 가동 동작 과정 상에서의 요구되는 스트로크 공간을 최소화하여 장착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여, 구성요소 간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rotary structure to operate the directional switch, thereby minimizing the stroke space required during the operation process, thereby minimizing the installation space and enabling a compact configuration.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due to interference between components can be prevented or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로터리 동작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디렉셔널 틸팅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푸시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샤프트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로터리 엔코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디렉셔널 틸팅시 디렉셔널 리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절단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디렉셔널 틸팅 동작시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디렉셔널 스위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디렉셔널 틸팅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푸시 스위치부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디렉셔널 틸팅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8 내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 부분 측단면도 및 상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디렉셔널 스위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디렉셔널 스위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순한 반경 방향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디렉셔널 스위치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측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rotary operation operating state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directional tilting operation state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push operation state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 shaft portion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otary encoder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chematic partially cut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irectional return unit during directional tilting of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during a directional tilting operation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irectional switch of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chematic partial side view showing a directional tilting operation state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schematic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push switch portion of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bottom view of the directional bottom slide of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directional tilting operation process of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to 23 are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s,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s, and state diagrams of the configuration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and 26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the directional switch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7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directional switch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8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imple radially operated directional swi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9 is a schematic partial side view of the directional switch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rst,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부(100)와 기판(200)과 스위치 샤프트부(300)와 로터리 스위치부(400)와 디렉셔널 스위치부(500)와 푸시 스위치부(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10)는 차량에 사용되는 스위치 유니트로서 다양한 조작 상태 구현을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차량에 구비되는 오디오, 네비게이션, 공조 장치 등의 다양한 차량용 전장 장치 들의 작동 상태를 조정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10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ortion 100, a substrate 200, a switch shaft portion 300, a rotary switch portion 400, a directional switch portion 500, and a push switch portion 600. ) includes.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10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tch unit used in a vehicle and enables implementation of various operation states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of the vehicle, for example, various vehicle electronics such as audio, navigation, and air conditioning equipment provided in the vehicle. It can be used to coordinate and control the operating status of devices.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를 구비하는데,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는 서로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베이스(130)는 기판(200)을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하우징 커버(110)는 하우징 베이스(130)와 맞물리어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에는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가 형성되고,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에는 하기되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운전자 등의 사용자의 조작력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The housing unit 100 includes a housing cover 110 and a housing base 130, and the housing cover 110 and the housing base 13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ternal space. The housing base 130 forms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substrate 200, and the housing cover 110 is engaged and fastened with the housing base 130 to form an internal space. A housing cover through-hole 1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cover 110, and one end of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described below,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housing cover through-hole 111 to provide operating power for users such as drivers. Make it possible.

본 실시예의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홀더(120)를 더 구비하는데, 하우징 홀더(12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 사이에 배치되고, 하우징 홀더(120)는 하우징 베이스(130)와 함께 기판(200)을 지지할 수 있고, 하우징 홀더(12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가 이루는 공간을 분리하여 하기되는 로터리 스위치부(400)와 디렉셔널 스위치부(500)의 작동시 간섭 발생을 방지하는 공간 분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housing portion 100 of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housing holder 120, where the housing holder 120 is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cover 110 and the housing base 130, and the housing holder 120 is attached to the housing base ( It can support the substrate 200 together with 130, and the housing holder 120 separates the space formed by the housing cover 110 and the housing base 130 to form a rotary switch unit 400 and a directional switch unit. When operating 500, a space division function to prevent interference can be performed.

기판(200)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기판(200)에는 다양한 전기 소자가 배치될 수 있고 이들 전기 소자는 기판(200)에 형성되는 배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고 다른 요소, 예를 들어 플렉서블기판 내지 케이블과 같은 요소들을 통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기판(200)은 본 실시예에서 양면 기판으로 구현되어 양면에 각종 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The substrate 20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100. Various electrical elements may be placed on the substrate 200, and these electrical elements may be connected through wiring formed on the substrate 200 or other elements, e.g. For example, it may be structured to achieve electrical communication through elements such as flexible substrates or cables. In this embodiment, the substrate 200 is implemented as a double-sided substrate so that various devices can be placed on both sides.

기판(200)의 중앙에는 기판 관통구(202)가 형성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관통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기판(200)의 일단에는 기판 커넥터(201)가 형성되는데, 기판 커넥터(201)에는 커넥터(203)가 연결되고 커넥터(203)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와 같은 외부 전기 장치와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A substrate through-hole 20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bstrate 200 to enable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to be disposed therethrough. A board connector 20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ard 200. A connector 203 is connected to the board connector 201, and an external electrical device, such as a control unit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board connector 203. Connections to electrical devices can be made.

스위치 샤프트부(300)는 일단이 하우징부(100)에 수용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스위치 샤프트부(300)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와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를 포함한다.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는 사전 설정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타입으로 구현되고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단부에 배치되어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수용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는 스위치 노브(미도시)가 장착되어 운전자 등의 그립을 원활하게 하여 소정의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ortion 100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includes a switch shaft body 310 and a switch shaft hinge 320. do. The switch shaft body 310 is implemented as a rod typ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switch shaft hinge 320 is disposed at an end of the switch shaft body 310 and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100. Although not shown in this embodiment, a switch knob (not shown) is mounted on the externally exposed end of the switch shaft body 310 to provide a desired operating feeling by smoothing the grip of the driver, etc.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본 실시예에서 구형 형상을 취하는데 구체적 설계 사양에 따라 변형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회동 중심을 이루는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는 하우징 홀더(120)와 하기되는 로터리 스위치부(400)의 로터리 엔코더(410)에 형성되는 로터리 엔코더 수용부(411, 도 5 참조)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고, 하우징 홀더(120)에 형성되는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를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가 관통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The switch shaft hinge 32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witch shaft body 310 takes a spherical shape in this embodiment, but may have a modified shape depending on specific design specifications. The switch shaft hinge 320 form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The switch shaft hinge 320 is formed on the housing holder 120 and the rotary encoder 410 of the rotary switch portion 400 to be described below. It is dispos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rotary encoder receiving portion 411 (see FIG. 5), and forms a structure in which the switch shaft body 310 is disposed through the housing holder through hole 121 formed in the housing holder 120. do.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는 축방향 회전 운동, 수평 가압력을 통한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를 중심으로 하는 틸팅 운동, 및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를 하방향으로 압입하는 압입 푸시 운동 등의 복합적인 운동을 이룰 수 있다. Accordingly, by the user, the switch shaft body 310 performs an axial rotation movement, a tilting movement centered on the switch shaft hinge 320 of the switch shaft body 310 through horizontal pressing force, and a tilting movement centered on the switch shaft hinge 320 of the switch shaft body 310. It is possible to achieve complex movements such as press-fitting and push-fitting movements in one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디렉셔널 틸팅 운동의 회동 중심점으로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위치는 하우징부와 기판의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 기판(200)과 하우징 베이스(130)의 사이, 더욱 구체적으로, 기판(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홀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의 사이에 배치되고, 디렉셔널 스위치부(500)는 기판(200)과 하우징 커버(110)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여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회동 중심인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로부터 이격되어 상부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500)의 디렉셔널 스위치(560)의 가동을 위하여 요구되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디렉셔널 틸팅 운동을 최소화시켜 하우징 커버 등과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시켜 하우징 커버 등을 통한 내부로의 이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switch shaft hinge 320, which functions as the rotation center point of the directional tilting movement of the switch shaft body 3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between the housing portion and the substrate,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substrate 200 and the housing. It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130,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housing holder 120 and the housing base 130 disposed below the substrate 200, and the directional switch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200 and the housing base 130. The directional switch 560 of the directional switch unit 500 has a structure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cover 1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witch shaft hinge 320, which is the rotation center of the switch shaft body 310, and is disposed at the top. By minimizing the directional tilting movement of the switch shaft body 310 required for operatio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housing cover, etc. can be minimiz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terior through the housing cover, etc.

즉, 도 17에는 디렉셔널 틸팅 동작을 구현하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 및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동작 상태도가 도시되는데, 스위치 샤프트 바디의 단부에는 노브(109)가 배치된다. 정상 상태에서 스위치 샤프트 바디는 선 O-A 상에 배치되고, 본 발명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의 디렉셔널 틸팅 동작으로 디렉셔널 스위치(560)를 가동시키기 위한 위치를 선 I-I 상의 P라 할 때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가 위치 P에 도달할 때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길이는 선 O-B 상에 배치되며 이때 노브(109)의 단부는 도면 부호 Q로 지시된 위치를 점유한다. That is, FIG. 17 show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switch shaft body and the switch shaft hinge 320 that implement a directional tilting operation, and the knob 109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switch shaft body. In the normal state, the switch shaft body is disposed on the line O-A, and when the position for operating the directional switch 560 through the directional tilting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 on the line I-I, the switch shaft body 310 The length of the switch shaft body 310 when ) reaches position P is disposed on the line O-B, with the end of the knob 109 occupying the posi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Q.

반면, 본 발명의 구조와 달리 스위치 샤프트 힌지가 가상의 중심점(Ovrt)를 점유하는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위치 P까지 스위치 샤프트가 이동할 때의 스위치 샤프트는 선 Ovrt-C 상에 배치되고, 이 때 노브(109)의 단부는 Qvrt의 위치를 점하게 된다. 선 II-II를 소정의 기준선이라 할 때 선 II-II로부터 각각의 경우에 대한 노브(109)의 단부(Q,Qvrt)의 거리는 L1, L2로 표시되고, L1>L2(L1-L2=L3>0)의 관계를 이루게 된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witch shaft hinge occupies the virtual center point (Ovrt), the switch shaft is placed on the line Ovrt-C when the switch shaft moves to the position P required to operate the directional switch. And at this time, the end of the knob 109 occupies the position of Qvrt. When line II-II is a predetermined reference line, the distances of the ends (Q, Qvrt) of the knob 109 from line II-II in each case are expressed as L1 and L2, and L1>L2 (L1-L2=L3 >0).

즉, 스위치 샤프트 힌지의 하부 배치 구조를 통하여 디렉셔널 스위치(560)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디렉셔널 틸팅 각도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노브(109)의 하우징부를 향한 이동 거리를 최소화시키고 이로부터 노브(109)와 하우징부의 하우징 커버와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하우징 커버 측을 통한 이물 유입 가능성을 저감시키고,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at is, by minimizing the directional tilting angle required to operate the directional switch 560 through the lower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witch shaft hinge, the moving distance of the knob 109 toward the housing is minimized, and from this, the knob 109 and By minimiz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housing portion and the housing cover, the possibility of foreign matter entering through the housing cover side can be reduced and a compact configuration can be achieved.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축회동을 감지하고 이를 신호로 제어부(미도시)와 같은 외부 장치로 출력 전달한다.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로터리 엔코더(410)와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를 포함하는데, 로터리 엔코더(410)는 기판(20))과 하우징부(100)의 하우징 베이스(130) 사이에 배치되고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즉, 로터리 엔코더(410)는 로터리 엔코더 수용부(411)가 포함되는데, 로터리 엔코더 수용부(411)는 로터리 엔코더(410)의 중앙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로터리 엔코더(4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홀더(120)와 함께 장착 공간을 형성하여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안착을 가능하게 한다. The rotary switch unit 400 detects the shaft rot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300 and transmits this as a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rotary switch unit 400 includes a rotary encoder 410 and a rotary switch sensor 420, where the rotary encoder 410 is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20 and the housing base 130 of the housing unit 100.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has a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witch shaft hinge 320. That is, the rotary encoder 410 includes a rotary encoder accommodating part 411. The rotary encoder accommodating part 411 is a spac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otary encoder 410 and is a housing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tary encoder 410. A mounting space is formed together with the holder 120 to enable seating of the switch shaft hinge 320.

로터리 엔코더(410)의 내측으로 로터리 엔코더 수용부(411)를 구획하는 내측부에 로터리 엔코더 수용 가이드(413)가 형성되고,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외주에 샤프트 힌지 가이드(321)가 형성되는데, 샤프트 힌지 가이드(321)는 로터리 엔코더 수용 가이드(413)에 수용 배치된다. A rotary encoder accommodating guide 413 is formed on the inner part that partitions the rotary encoder accommodating part 411 inside the rotary encoder 410, and a shaft hinge guid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witch shaft hinge 320 of the switch shaft part 300. 321 is formed, and the shaft hinge guide 321 is accommodated and arranged in the rotary encoder receiving guide 413.

로터리 엔코더 수용 가이드(413)와 샤프트 힌지 가이드(321)는 상대적인 축방향 회동을 방지하도록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엔도커 수용 가이드(413)와 샤프트 힌지 가이드(321)의 축방향, 측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축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의 상대 가동은 허용되는 구조를 취한다. 즉, 로터리 엔코더 수용 가이드(413)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축길이 방향으로 장방형 구조를 취하여 로터리 엔코더 수용 가이드(413)의 로터리 엔코더(410)의 원주 방향에 대한 길이보다 로터리 엔코더(410)의 회전축의 축길이 방향에 대한 길이가 큰 값을 갖는 구조를 취하는데, 로터리 엔코더 수용 가이드(413)의 로터리 엔코더(410)의 원주 방향에 대한 길이를 횡방향 길이 A, 로터리 엔코더(410)의 회전축의 축길이 방향에 대한 길이를 종방향 길이 B라 할 때, 종횡비(AR=B/A)는 1보다 큰 값을 갖도록 구성된다. The rotary encoder accommodating guide 413 and the shaft hinge guide 321 have an engaged structure to prevent relative axial rotation. In this embodiment, the axes of the rotary encoder accommodating guide 413 and the shaft hinge guide 321 The direction and side switch adopts a structure that allows a certain relative movement along the axi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shaft body 310. That is, the rotary encoder accommodating guide 413 has a rectangular structure in the axi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witch shaft body 310, and is loc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ry encoder 410 of the rotary encoder accommodating guide 413. It adopts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encoder 410 i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rotary encoder 410, and the length of the rotary encoder accommodation guide 41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ry encoder 410 is the transverse length. A, when the length of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encoder 410 in the axial direction is the longitudinal length B, the aspect ratio (AR=B/A) is configured to have a value greater than 1.

로터리 엔코더(410)의 외주에는 복수 개의 로터리 엔코더 슬릿(415)가 형성되는데, 로터리 엔코더 슬릿(415)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가 배치된다. 즉,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는 본 실시예에서 광센서로 형성되고,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는 기판(200)의 하면에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의 대응되는 위치에 로터리 엔코더(410)의 단부, 즉 로터리 엔코더 슬릿(415)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와 함께 축방향 회동을 이루는 로터리 엔코더(410)의 회전 상태를 로터리 엔코더 슬릿(415)의 이동 회수를 통하여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가 감지하고 이를 기판(200)을 거쳐 외부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rotary encoder slits 415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ry encoder 410, and a rotary switch sensor 42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ry encoder slit 415. That is, the rotary switch sensor 420 is formed as an optical sensor in this embodiment, and the rotary switch sensor 42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200. The end of the rotary encoder 410, that is, the rotary encoder slit 415, is movably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ry switch sensor 420, and the rotary encoder 410 rotates axially with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 can be detected by the rotary switch sensor 420 through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rotary encoder slit 415 and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ubstrate 200.

로터리 스위치부(400)의 원치 않는 회동 상태를 방지하고 보다 정확한 회전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스위치 샤프트부의 회전 동작을 통한 차량의 장치들의 작동 상태 설정에 있어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위치 샤프트부(300) 및 로터리 엔코더(410)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키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로터리 스위치부(400)는 로터리 디텐트부(430)를 포함하는데, 로터리 디텐트부(430)는 로터리 디텐트(431)와 로터리 디텐트 볼(433)과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5)를 포함하고, 하우징부(100)의 하우징 베이스(130)에는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131)가 구비된다.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131)에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5)가 수용 배치된다. In order to prevent malfunctions in set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devices through the rotation of the switch shaft portion by preventing unwanted rotation of the rotary switch portion 400 and generating a more accurate rotation signal,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and A component that deten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ry encoder 410 may be further provided. That is, the rotary switch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ry detent unit 430, which includes a rotary detent 431, a rotary detent ball 433, and a rotary detent elastic It includes a portion 435, and a base rotary detent receiving portion 131 is provided on the housing base 130 of the housing portion 100. The rotary detent elastic part 435 is accommodated and disposed in the base rotary detent receiving part 131.

로터리 디텐트(431)는 로터리 엔코더(410)의 저면에 형성되는데,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된 후 로터리 엔코더(410)의 저면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로터리 디텐트(431)는 로터리 엔코더(4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로터리 디텐트(431)는 하나 이상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돌기 및 요홈 형상으로 구현되고 소정의 사전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는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 로터리 엔코더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로터리 스톱퍼(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회전 제한 영역을 형성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회동 제한없이 무한회전을 이루되, 전원 오프시 로터리 스위치 센서의 회동 기준을 초기화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The rotary detent 431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otary encoder 410. It may be formed as a separate configuration and then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rotary encoder 410. However, the rotary detent 431 in this embodiment is a rotary detent 431. It has a structu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of the encoder 410. The rotary detent 431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protrusion and groove shapes and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though not shown in this embodiment, in some cases, a rotary stopper (not shown) to prevent excessive rotation of the rotary encoder may be further provided to form a rotation restriction area, and infinite rotation is achieved without rotation restriction,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structure that initializes the rotation standard of the rotary switch sensor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로터리 디텐트(431)의 대응되는 위치에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131)가 형성되고,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131)에는 코일 스프링 구조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5)가 배치된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5)는 볼 형상의 로터리 디텐트 볼(433)을 탄성 지지하는데, 로터리 디텐트 볼(433)은 로터리 디텐트(431)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었으나,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는 스파이럴 타입의 판 스프링으로 구현되고 펀칭 돌출된 부분이 로터리 디텐트와 접촉하여 디텐팅 동작을 이루는 등 로터리 디텐팅 동작을 구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A base rotary detent receiving portion 131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rotary detent 431, and a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435 having a coil spring structure is disposed in the base rotary detent receiving portion 131. The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435 elastically supports the ball-shaped rotary detent ball 433, and the rotary detent ball 433 is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rotary detent 431. In this embodiment, the rotary detent elastic part is implemented as a coil spring, but the rotary detent elastic part is implemented as a spiral-type leaf spring, and the punching protruding part contacts the rotary detent to achieve a detenting operation.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implementation.

한편, 본 발명의 디렉셔널 스위치부(50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디렉셔널 동작, 즉,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를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를 중심으로 측면 이동시키는 힘을 인가하는 경우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틸팅 동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기판(200)의 평행한 평면 상에서 볼 때 평면 상에서의 일방향으로의 운동 동작을 감지하여 이를 출력한다. Meanwhile, the directional switch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directional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300, that is, the switch shaft body 310 of the switch shaft unit 300 is moved from the side around the switch shaft hinge 320. When a moving force is applied, when viewed from a parallel plane of the substrate 200, which occurs due to a tilting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movement in one direction on the plane is detected and output.

디렉셔널 스위치부(500)는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와 디렉셔널 스위치(560)와 디렉셔널 리턴부(550)를 포함한다.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에 의하여 하우징부(100) 내에서 위치 가변 가능한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는 기판(200)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가동 운동을 이루어,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운동이 기판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평면 운동으로 전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500)의 디렉셔널 틸팅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irectional switch unit 500 includes a directional slide unit 510, a directional switch 560, and a directional return unit 550. The position of the directional slide unit 510 is variable within the housing unit 100 by the tilting directional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300, and the directional slide unit 510 moves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200. By performing the movement, a directional tilting movement of the directional switch unit 500 can be achieved, in which the tilting movement of the switch shaft unit is converted into a plane movement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기판(200)에 배치되고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의 위치 가변에 의하여 가동되어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접촉 스위치로 구현되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directional switch 560 is placed on the substrate 200 and is operat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directional slide part 510 to generate a changed signal.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al switch 560 is implemented as a contact switch.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depending on design specifications.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기판(200)의 일면으로 기판(200)의 하우징 커버(110)를 향한 상면에 배치되는데, 하우징 홀더(120)를 통하여 구획 분할되는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가동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The directional switch 56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200, on the upper surface facing the housing cover 110 of the substrate 200, and can be placed and operated in the upper area divided by the housing holder 120. forms a structur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는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520)와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와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를 포함하는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는 하우징 베이스(130)와 하우징 커버(110)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홀더(120) 사이에 배치되는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중앙에는 미디엄 관통구(533)가 구비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관통을 허용한다. Meanwhile, the directional slide unit 5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rectional top slide 520, a directional medium slide 530, and a directional bottom slide 540, where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530 is a housing. It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130 and the housing cover 110,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housing cover 110 and the housing holder 120, and a medium through hole 533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530. This allows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to penetrate the switch shaft body 310.

또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측면에는 미디엄 사이드(535)가 형성되는데, 미디엄 사이드(535)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측면에 제거된 홈을 형성하여 하기되는 디렉셔널 리턴부의 구성요소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In addition, a medium side 535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530, and the medium side 535 forms a groove removed on the side of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530 to form the directional return portion described below. Interference with elements can be excluded.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는 소정의 플레이트 구조를 형성하고, 디렉션러 미디엄 슬라이드(530)는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와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를 구비하는데,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일면, 즉 하우징 커버(110)를 향한 일면에 형성되고,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아랫면, 즉 하우징 홀더(120)를 향한 일면에 형성된다.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520, 도 13 점선 참조)는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으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를 향한 저면에 형성되고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는데,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520)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와 맞물리어 상대 운동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여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가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 및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520)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면 상에서의 가동을 이루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530 forms a predetermined plate structure, and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530 is provided with a medium upper guide 531 and a medium lower guide 537, and the medium upper guide 531 is a directional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edium slide 530, that is, one side facing the housing cover 110, and the medium lower guide 537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530, that is, one side facing the housing holder 120. . The directional top slide (520, see dotted line in FIG. 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cover 110 on the bottom facing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530 and is relatively movably engaged with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530. The directional top slide 520 is engaged with the medium upper guide 531 of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530 to form a structure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so that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530 is a medium upper guide inside the housing portion 100. It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movement on a horizontal pla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531) and the directional top slide (520).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520)는 요홈 형상으로 그리고 미디엄 어퍼 가이드(531)가 돌기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양자는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al top slide 520 has a groove shape and the medium upper guide 531 has a protrusion shape,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the two having opposite configurations.

또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의 타면, 즉 저면에는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가 형성되는데,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는 하기되는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바텀 가이드(541)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미디엄 로워 가이드(537)는 돌기 구조로 그리고 바텀 가이드(541)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는데, 반대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medium lower guide 537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at is, the bottom side, of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530. The medium lower guide 537 is a bottom guide ( 541) and forms a structure that is relatively movably engaged. In this embodiment, the medium lower guide 537 has a protrusion structure and the bottom guide 541 has a groove structure, but the opposite structure may be formed.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와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와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를 포함하는데,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는 일면 상에 상기 기술된 바텀 가이드(541)가 형성되고, 중앙에 바텀 관통구(542)가 형성된다. 바텀 관통구(542)는 상기 미디엄 관통구(533)와 동심 구조를 이루나, 바텀 관통구(542)의 내경은 미디엄 관통구(533)의 내경보다 작은 값을 구비하는데, 바텀 관통구(542)의 내경은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직경에 근사한 값을 구비하여 바텀 관통구(542)의 내측면은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틸팅 운동시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가 함께 수평면 상에서 이동하는 디렉셔널 틸팅 운동을 이룰 수 있다. The directional bottom slide 540 includes a bottom slide body 544, a bottom slide side 547, and a bottom slide movable part 545. The bottom slide body 544 has the bottom guide 541 described above on one side. is formed, and a bottom through hole 542 is formed in the center. The bottom through hole 542 has a concentric structure with the medium through hole 533, but the inner diameter of the bottom through hole 542 has a smaller value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medium through hole 533. The bottom through hole 542 The inner diameter of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has a value approximate to the diameter of the switch shaft body 310,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through hole 542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witch shaft body 310, so that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 the directional bottom slide 540 can achieve a directional tilting movement that moves on a horizontal plane together.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일면 상에는 바텀 슬라이드 돌기(543)가 형성되어 상면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530)와의 접촉면을 최소화시키는 점접촉 구조를 형성하여 접촉 저항을 줄이는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 측에 돌기 구조가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 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변형이 가능하다. A bottom slide protrusion 543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ttom slide body 544 to form a point contact structure that minimizes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53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thereby reducing contact resistance. there is. In this embodiment, a structure in which a protrusion structure is formed on the bottom slide body side is adopted, but modifications such as a structure disposed on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side are possible.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별개물로 형성되어 바텀 슬라이드 바디와 체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는 미디엄 사이드(535)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에는 하기되는 리턴 그루브(557)가 형성된다. The bottom slide side 547 has a structure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bottom slide body 544. In some cases, it may be formed as a separate piece and fastened to the bottom slide body. The bottom slide side 547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um side 535, and a return groove 557 described below is formed in the bottom slide side 547.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544)의 하부에 형성되고,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가 디렉셔널 틸팅 운동을 이루는 경우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는 기판 상으로 바텀 관통구(542)의 인근 외측 등반경 상으로 등간격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560)를 가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접촉 스위치로 구현되는데,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0)는 디렉셔널 스위치(560)와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돌출 구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4개가 구비되고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도 이에 대응하여 4개의 가동면을 갖는 사각형 돌출물 구조를 형성하는데, 각각의 할당된 가동면이 디렉셔널 스위치(560)와 접촉을 이루어 디렉셔널 스위치(560)의 변화된 신호 출력을 생성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는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의 저면에 배치되는데,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는 사각형 돌출물 구조로 형성되나, 접촉시 원활한 가동을 이루고 디렉셔널 동작시 안정적인 접촉 및 분리 동작을 통하여 디렉셔널 스위치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내곡된 원호 형상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bottom slide movable part 545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slide body 544, and when the directional bottom slide 540 performs a directional tilting movement, the bottom slide movable part 545 moves through the bottom through hole 542 on the substrate. The directional switch 560, which i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n the nearby outer climbing mirror, can be activated.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al switch 560 is implemented as a contact switch, and the bottom slide movable part 540 forms a protruding structure that enables contact with the directional switch 560. In this embodiment, four directional switches 560 are provided, and the bottom slide movable part 545 forms a rectangular protrusion structure with four movable surfaces corresponding thereto, and each assigned movable surface is a directional switch 560. ) is contacted to generate a changed signal output of the directional switch 560.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6, the bottom slide movable part 545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directional bottom slide 540. The bottom slide movable part 545 is formed in a square protrusion structure, but operates smoothly when contacted. It may be formed as a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curved arc shap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durability of the directional switch through stable contact and separation during directional operation.

한편,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스위치는 스위치 샤프트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가압되는 수평 이동 방식의 디렉셔널 스위치에 대하여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디렉셔널 스위치는 반경 방향으로의 가압 동작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더는 반경 반향으로의 수평 이동 동작을 이루나, 본 발명의 디렉셔널 스위치도 반드시 수평 이동 동작을 이루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al switch has been described as a horizontally moving directional switch that is presse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switch shaft, but the directional switch of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in the radial direction. It is not limited to movement. In other words, the directional bottom slider performs a horizontal movement in a radial direction, but the directional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 horizontal movement.

도 24 내지 도 27에는 본 발명의 디렉셔널 스위치의 다른 일예가 도시된다.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부호와 명칭을 동일하게 유지한다. 디렉셔널 스위치(560)는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561)과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를 포함하고,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561)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접점(565,567)은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를 통하여 가동된다. 24 to 27 show another example of the directional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drawing symbols and names are kept the same. The directional switch 560 includes a directional switch housing 561 and a directional switch knob 563, and the directional switch contacts 565 and 567 disposed inside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561 are the directional switch knob. It operates through (563).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561)은 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스위치 샤프트(300)를 중심으로 등반경 등간격 배치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561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200, and is preferab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with the switch shaft 300 as the center.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561)은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 커버(5611)와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 바디(5613)를 포함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 커버(5611)와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 바디(5613)는 서로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 등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561 includes a directional switch housing cover 5611 and a directional switch housing body 5613, where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cover 5611 and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body 5613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ormed and at least a part of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etc., is accommodated and arranged in the internal space.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561)은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 커버(5611)와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 바디(5613)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 커버만 기판의 일면 상에 고정 장착 가능한 구조를 취하거나,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 바디와 기판이 일체화되어 사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561 has a structure including a directional switch housing cover 5611 and a directional switch housing body 5613, but in some cases, only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cover is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ly mounted, or a structure in which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body and the substrate are integrated and formed by injection.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561)의 일면으로 기판(200)이 향하는 일면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 노브 관통구(5612)이 배치된다. A directional switch housing knob through hole 561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56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ide toward which the substrate 200 faces.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은 적어도 일부가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일면 상에 노출 가능하록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561)에 배치된다.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의 노출된 부위는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와 접촉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는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561)의 내부 일지점을 중심으로 기판(200)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is disposed on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561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it can be exposed on one surface of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has a structure that allows contact with the directional slide portion.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has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substrate 200 with the inner point of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561 as the center.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정상 상태의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 노브 관통구(5612)의 일면 상으로 노출되어 배치된다.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의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의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545)가 기판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수평 이동하는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는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561)의 내부 일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561)의 내측으로 진입한다. As shown in FIG. 27,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is exposed and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knob through-hole 5612 in a normal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When the bottom slide movable part 545 of the directional bottom slide 540 of the directional slide part moves horizontally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is centered around the internal one point of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561. It rotates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561.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가 회동하는 일지점, 즉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의 회동점은 스위치 샤프트(300)의 중심을 향한 단부 측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The point at which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rotates, that is, the pivot point of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is disposed on the end side toward the center of the switch shaft 300. More specifically,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는 스위치 샤프트(30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는 스위치 샤프트(300)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로 배치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는 기판(200)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기판(300)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조를 취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의 회동 중심은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의 길이 방향 중 반경 상 먼 측이 아닌 스위치 샤프트의 중심을 향한 단부 측에 배치된다. 즉,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는 도면 부호 CO이 아닌 도면 부호 CI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반경상 내측 지점을 회동 중심으로 함으로써,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의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의 이동에 대하여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의 점짐적 회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디렉셔널 스위치 자체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is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switch shaft 300. That is,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is disposed longitudinally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switch shaft 300.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200 and It has a structure that rotates around a rotation axis disposed horizontally, and the rotation center of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is the center of the switch shaft, not the radially fa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It is placed on the facing end side. That is, as shown in FIG. 27,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rotatably arranged around CI rather than CO. By using this radial inner point as the center of rot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sign freedom of the directional switch itself by enabling gradual rotation of the directional switch knob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of the bottom slide movable part of the directional slide part.

또한,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에 인가되는 외력 제거시 원위치 복귀하기 위한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564)와 디렉셔널 스위치 접점부(565,567)이 구비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564) 및 디렉셔널 스위치 접점부(565,567)는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irectional switch elastic portion 564 and a directional switch contact portion 565 and 567 are provid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is removed. The directional switch elastic portion 564 and the direct switch contact portion 565 and 567 are provided. The directional switch contact portions 565 and 567 may be disposed inside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도 29에는 본 발명의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 및 디렉셔널 스위치 접점부에 대한 일예가 도시된다. 즉,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564)는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561)의 내부로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에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564)는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의 회동 중심(CI)에 직접 연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564)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현되어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의 초기 탄성력으로 지지하고 외력 제거시 복원력에 의하여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Figure 29 shows an example of the directional switch elastic portion and the directional switch contac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directional switch elastic portion 564 provides an elastic return force to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inside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561, and the directional switch elastic portion 564 provides an elastic return force to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 563)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rotation (CI).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al switch elastic portion 564 is implemented as a torsion spring to support the initial elastic force of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and to return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 restoring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ake structure.

디렉셔널 스위치 접점부(565,567)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565)와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567)를 포함하는데, The directional switch contact portions 565 and 567 include a directional switch movable contact 565 and a directional switch fixed contact 567.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565)은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에 의하여 가동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565)은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의 저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The directional switch movable contact point 565 is operated by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The directional switch movable contact point 565 may have a structur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567)는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에 의하여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565)이 가동되는 경우 접속 가능하게 대응 배치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567)은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 바디(5613)에 형성되고 모듈화된 디렉셔널 스위치의 커넥터(미도시)를 통하여 기판(200)을 거쳐 외부 전기 장치 등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 바디와 기판이 일체화되어 인서트 사출되는 경우 기판에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도 기판에 일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directional switch fixed contact point 567 is arranged to be accessible when the directional switch movable contact point 565 is operated by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The directional switch fixed contact point 567 is connected to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A structure may be adopted to achieve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electric device, etc. through the board 200 through a connector (not shown) of a modular directional switch formed on the body 5613. Additionally, in some cas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body and the substrate are integrated and insert-molded, the directional switch fixing contact may also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bstrate.

이와 같이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563)는 기판에 평행한 일면 상에 노출 배치되고 회동 방식을 통하여 가동되는 구조를 취하여, 단순한 반경 방향으로의 가동에 의하여 요구되는 스트로크 공간(dc, 도 27 및 도 28 참조)에 대비하여 가동 공간을 상당히 축소함으로써 보다 컴팩트한 장치 구성이 가능하다. In this way, the directional switch knob 563 has a structure that is exposed on one side parallel to the substrate and moves in a rotational manner, so that the stroke space (dc, Figures 27 and 28) required by simple movement in the radial direction is A more compact device configuration is possible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operating space compared to (reference).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의 디렉셔널 틸팅 운동, 즉 스위치 샤프트의 틸팅 운동에 의한 수평면 상에서의 수평 슬라이딩 운동인 디렉셔널 틸팅 운동은 디렉셔널 톱 슬라이드,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 및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의 상대 운동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와 미디엄 어퍼 가이드 간의 상대 운동, 미디엄 로워 가이드와 바텀 가이드 간의 상대 운동을 통하여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미디엄 어퍼 가이드와 미디엄 로워 가이드는 동일 평면 상에 투영되는 경우 각각의 길이가 이루는 방향이 90도 교차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여, 실질적으로 디렉셔널 틸팅 운동의 수평면 상에서의 어느 위치로의 운동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e directional tilting movement of the directional slide unit 510, that is, the directional tilting movement, which is a horizontal sliding movement on a horizontal plane due to the tilting movement of the switch shaft, is relative to the directional top slide, directional medium slide, and directional bottom slide.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exercise, such as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rectional top slide and the medium upper guide, and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medium lower guide and the bottom guide. In this embodiment, the medium upper guide and the medium lower guide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directions of their respective lengths are intersected by 90 degrees when projected on the same plane, so that the movement to a certain position on the horizontal plane of the directional tilting movement is substantially achieved. It can also be made possible.

한편,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디렉셔널 스위치부(500)는 디렉셔널 리턴부(550)를 포함하는데, 디렉셔널 리턴부(550)는 스위치 샤프트부에 인가되는 외력 제거후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 및 스위치 샤프트부(300)를 평면 상에서 원위치 복귀시킨다. 디렉셔널 리턴부(550)는 리턴 탄성부(553)와 리턴 플런저(555)와 리턴 그루브(557)를 포함하는데, 리턴 플런저(555)는 하우징부(100)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즉, 하우징부(100)의 하우징 커버(110)에는 리턴 장착부(551)가 형성되는데, 리턴 장착부(551)에 리턴 플런저(555)가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된다. 리턴 플런저(555)는 로드 타입으로 형성되고, 리턴 플런저(555)의 단부는 리턴 그루브(557)를 향하여 배치된다. 리턴 플런저(555)가 배치되는 리턴 장착부(551)에는 리턴 탄성부(553)가 배치되는데, 리턴 탄성부(553)는 리턴 장착부(551)의 내부 일면에 의하여 지지되고 타단은 리턴 플런저(555)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리턴 플런저(555)를 하우징 커버(110)에 대하여 탄성 지지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directional switch unit 500 includes a directional return unit 550, which is the directional slide unit 510 after removing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witch shaft unit. And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on a plane. The directional return portion 550 includes a return elastic portion 553, a return plunger 555, and a return groove 557, and the return plunger 555 is movably received in the housing portion 100. That is, a return mounting portion 551 is formed on the housing cover 110 of the housing portion 100, and a return plunger 555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return mounting portion 551. The return plunger 555 is formed as a rod type, and the end of the return plunger 555 is disposed toward the return groove 557. A return elastic portion 553 is disposed on the return mounting portion 551 where the return plunger 555 is disposed. The return elastic portion 553 is supported by one inner surface of the return mounting portion 551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return plunger 555. The return plunger 555 is elastically supported against the housing cover 110 by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

리턴 그루브(557)는 리턴 플런저(555)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외력이 제거되는 정상 상태의 경우 리턴 플런저(555)와 리턴 탄성부(553)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리턴 플런저(555)를 원위치 복귀시켜, 궁극적으로 디렉셔널 슬라이드부(510)를 원위치 복귀시키는데, 리턴 플런저(555)는 하우징부(100)의 리턴 장착부(551)에서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축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축길이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리턴 탄성부(553)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도록 배치되고, 리턴 그루브(557)는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540)의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547)에 형성된다. The return groove 557 forms a constant contact state with the return plunger 555, and in the normal state when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return plunger 555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return plunger 555 and the return elastic portion 553. Returns, ultimately returning the directional slide part 510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return plunger 555 is connected to the axis of the switch shaft body 310 of the switch shaft part 300 from the return mounting part 551 of the housing part 100. It is arrang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a return elastic portion 553 so as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eturn groove 557 is formed on the bottom slide side 547 of the directional bottom slide 540.

리턴 그루브(557)는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558)과 그루브 무빙 포지션(559)을 포함하는데,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558)은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리턴 플런저(555)의 단부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그루브 무빙 포지션(559)은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558)의 외측에 배치되고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에 외력이 인가되어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가 중심위치로부터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리턴 플런저(555)와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The return groove 557 includes a groove stable position 558 and a groove moving position 559. The groove stable position 558 is such that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witch shaft body 310 of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In a normal state, it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return plunger 555, and the groove moving position 559 is disposed outside the groove stable position 558 and the switch shaft body 310 of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he switch shaft body 310 moves laterally from the center position, it forms a contact state with the return plunger 555.

이와 같은 디렉셔널 리턴부(550)의 간결한 동작을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외력 성분이 인가후 제거되는 경우 스위치 샤프트 바디(310)가 원위치로 안정적으로 복귀 동작을 이룰 수 있다. Through this simple operation of the directional return unit 550, when the external force component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shaft body 310 is applied and then removed, the switch shaft body 310 can stabl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there is.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부(600)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데, 푸시 스위치부(600)는 푸시 홀더(610)와 푸시 스위치(620)와 푸시 리턴부(630)를 구비한다. The push switch unit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d outputs a press-fit push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300. The push switch unit 600 includes a push holder 610, a push switch 620, and a push return unit 630. is provided.

푸시 홀더(610)는 적어도 일부가 로터리 엔코더(4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와 접촉하여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함께 수직 가동된다. 푸시 스위치(620)는 광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기술되나, 경우에 따라 비접촉식 자기 센서 스위치 및 마그네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push holder 610 is disposed below the rotary encoder 410 and contacts the switch shaft hinge 320 of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to move vertically together when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moves vertically. . The push switch 620 may be implemented with an optical sensor. In this embodiment, the description is focused on the case where it is implemented as an optical sensor, but in some case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non-contact magnetic sensor switch and a magnet structure.

푸시 스위치 홀더(620)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 변동되는 경우 푸시 스위치 홀더(620)에 의하여 가동되어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데, 푸시 스위치(620)는 기판(200)의 저면으로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의 인근에 배치된다. 푸시 리턴부(630)는 푸시 홀더의 하부에 배치되고 푸시 홀더(610)를 탄성 지지하여 푸시 홀더(6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푸시 홀더(610)를 원위치 복귀시킨다.When the push switch holder 620 changes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operated by the push switch holder 620 to generate a changed signal. The push switch 620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ubstrate 200 by the rotary switch sensor 420. placed nearby. The push return unit 630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push holder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push holder 610 to return the push holder 610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ush holder 610 is removed.

보다 구체적으로 푸시 홀더(610)는 푸시 홀더 바디(611)와 푸시 홀더 사이드(615)와 푸시 홀더 가동부(617)를 포함하는데, 푸시 홀더 바디(611)는 중앙에 푸시 홀더 바디 관통구(613)를 구비하고 푸시 홀더 바디 관통구(613)를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가 관통 배치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푸시 홀더 사이드(615)는 푸시 홀더 바디(611)의 외측으로 푸시 홀더 바디(611)의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데, 푸시 홀더 사이드(615)에는 푸시 홀더 가동부(617)가 배치된다. 푸시 홀더 가동부(617)는 푸시 홀더 사이드(615)로부터 스위치 샤프트부(310)의 수직 가동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푸시 스위치(620)를 가동시키는데, 푸시 홀더 가동부(617)는 기판(200) 측을 향하여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푸시 홀더 가동부(617)의 단부가 푸시 스위치(620)의 수광부(미도시)와 발광부(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고, 푸시 압입력이 가해져 푸시 홀더 가동부(617)가 이동하는 경우 푸시 스위치(620)로부터 이격되어 소정의 신호 변화를 생성하도록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push holder 610 includes a push holder body 611, a push holder side 615, and a push holder movable part 617. The push holder body 611 has a push holder body through hole 613 in the center. It can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shaft hinge stopper 325 of the switch shaft hinge 320 is disposed through the push holder body through hole 613. The push holder side 615 extends from the side of the push holder body 611 to the outside of the push holder body 611, and a push holder movable part 617 is disposed on the push holder side 615. The push holder movable portion 617 is formed to extend parallel to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of the switch shaft portion 310 from the push holder side 615 and operates the push switch 620 when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is vertically moved. The push holder movable part 617 extends upward toward the substrate 200, and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end of the push holder movable part 617 is connected to the light receiving part (not shown) and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push switch 620. (not shown), and when a push press force is applied and the push holder movable part 617 moves, it is spaced apart from the push switch 620 to generate a predetermined signal change.

외력이 제거되고 난 후, 푸시 스위치부(600)의 원위치 복귀를 위하여 푸시 리턴부(630)가 더 구비되는데, 푸시 리턴부(630)는 푸시 리턴 바디(631)와 푸시 리턴 사이드(633)와 푸시 리턴 러버캡(635)를 포함한다. 푸시 리턴 바디(621)는 중앙에 푸시 리턴 바디 관통구(632)가 형성되어 소정의 링 형상을 구비하는데,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의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After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 push return unit 630 is further provided to return the push switch unit 600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push return unit 630 includes a push return body 631, a push return side 633, and Includes a push return rubber cap (635). The push return body 621 has a predetermined ring shape with a push return body through hole 632 formed in the center, which enables the shaft hinge stopper 325 to move.

푸시 홀더 바디(611)의 하부에 배치되어 푸시 홀더 바디(611)와 접촉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푸시 리턴 사이드(633)가 푸시 리턴 바디(621)의 외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데, 푸시 리턴 사이드(633)의 일면으로부터 푸시 리턴 러버캡(635)이 돌출 배치된다. 푸시 리턴 바디, 푸시 리턴 사이드 및 푸시 리턴 러버캡은 일체화될 수도 있고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t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push holder body 611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contacting the push holder body 611. A push return side 633 extend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push return body 621, and a push return rubber cap 635 is dispos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push return side 633. The push return body, push return side, and push return rubber cap can be integrated or form a structure fastened to each other,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푸시 리턴 러버캡(635)은 푸시 홀더 사이드(615)를 탄성 지지하여 수직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푸시 홀더를 원위치 복귀시킨다. The push return rubber cap 635 elastically supports the push holder side 615 and returns the push holder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vertical pressing force is removed.

또한, 푸시 리턴부를 통한 원위치 복귀하는 경우 푸시 홀더의 안정적인 원위치 복귀를 위한 안내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베이스(130)의 내측에는 베이스 푸시 가이드(133)가 형성되고, 베이스 푸시 가이드(133)를 따라 푸시 홀더 가동부(617)의 측단이 삽입되어 안정적인 상대 수직 가동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through the push return unit, a guiding component may be further provided to ensure a stable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push holder. That is, as shown in FIG. 5, a base push guide 133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base 130, and the side end of the push holder movable part 617 is inserted along the base push guide 133 to ensure stable relative vertical movement. A structure can be formed.

한편, 원치 않는 두 개의 동작이 동시에 구현되어, 예를 들어 푸시 동작과 디렉셔널 틸팅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져 신호 출력 혼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저면에 형성되는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135)가 형성되고,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135)의 외주에는 베이스 푸시 스톱퍼(137)가 형성된다. 베이스 푸시 톨러런스는 소정의 요홈 구조를 취하는데, 푸시 동작을 이루는 경우 스위치 샤프트 힌지(320)의 하단에 배치되는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를 수용을 허용한다. 반면, 디렉셔널 틸팅 동작시 스위치 샤프트 바디가 축 길이 방향 압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샤프트 힌지 스톱퍼(325)는 베이스 푸시 스톱퍼(137)와 접촉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여 스위치 샤프트 바디의 압입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a structure may be further provided to prevent signal output confusion from occurring when two unwanted operations are implemented simultaneously, for example, a push operation and a directional tilting operation. That is, the base push tolerance 135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haft hinge stopper 325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witch shaft hinge 320, and the base push stopper 137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push tolerance 135. is formed The base push tolerance has a predetermined groove structure, and allows accommodation of the shaft hinge stopper 325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witch shaft hinge 320 when performing a push operation. On the other hand, when a press-fitting force in the axial longitudin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switch shaft body during a directional tilting operation, the shaft hinge stopper 325 forms a structure capable of contacting the base push stopper 137 to prevent the press-fit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body. there is.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로터리 스위치부의 로터리 디텐트부는 로터리 엔코더의 저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디텐트부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8 내지 도 23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다른 일예들이 도시된다. 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rotary detent part of the rotary switch part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rotary encoder has been described, but the structure of the rotary detent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18 to 23 show other examples of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 및 도 19에는 로터리 디텐트부(430b)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즉, 로터리 디텐트부(430b)는 앞선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하부 측면에서 디텐팅되는 구조를 취한다. 로터리 디텐트부(430b)는 로터리 디텐트(431)와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3)와 로터리 디텐트 탄성 돌기(435)를 포함하는데, 로터리 엔코더(410)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나 로터리 디텐트(431)는 로터리 엔코더(410)의 하부 측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고, 로터리 디텐트는 하나 이상의 돌기/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3)는 하우징부(100)의 하우징 베이스(130)에 장착되는데,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3)는 판 스프링 타입으로 구현된다. 즉,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3)는 예를 들어 금속 플레이트와 같은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는 탄성편으로 형성되고, 로터리 디텐트 탄성 돌기(435)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3)와 일체로 형성되되,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3)의 중앙에서 돌출 절곡되어 형성되고 로터리 디텐트(431)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18 and 19 show a modified example of the rotary detent portion 430b. That is, the rotary detent portion 430b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detented from the lower side, unlike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rotary detent portion 430b includes a rotary detent 431, a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433, and a rotary detent elastic protrusion 435. The rotary encoder 410 is the sam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but has a rotary detent The detent 431 has a structur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encoder 410, the rotary detent is formed with one or more protrusion/groove structures, and the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433 is located on the housing portion 100. It is mounted on the housing base 130, and the rotary detent elastic part 433 is implemented as a leaf spring type. That is, the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433 is formed of an elastic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such as a metal plate, and the rotary detent elastic protrusion 435 is integral with the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433. It is formed by protruding and bending at the center of the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433 and is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rotary detent 431.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3) 및 로터리 디텐트 탄성 돌기(435)는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원활한 디텐팅 동작과 더불어 로터리 엔코더(410)의 회동시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형성하도록 3개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3) 및 로터리 디텐트 탄성 돌기(435)가 로터리 엔코더의 회동축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등각 분할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One or more rotary detent elastic parts 433 and rotary detent elastic protrusions 435 may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in addition to smooth detent operation, the rotary encoder 410 is not tilted to one side when rotating. To form a stable support state, three rotary detent elastic parts 433 and rotary detent elastic protrusions 435 are arranged in equal angles on a plane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encoder.

또한, 도 20 내지 도 23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의 하부 측면에서 로터리 엔코더의 회동에 대한 디텐팅 동작이 이루어지는 또 다른 변형예가 도시된다. 로터리 엔코더(410)의 외주에는 복수 개의 로터리 엔코더 슬릿(415)이 형성되는데, 로터리 엔코더 슬릿(415)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가 배치된다. In addition, Figures 20 to 23 show another modified example in which a detent operation in response to rotation of the rotary encoder is per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otary encoder slits 415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ry encoder 410, and a rotary switch sensor 42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ry encoder slit 415.

로터리 디텐트부(430a)는 로터리 스위치부의 원치 않는 회동 상태를 방지하고 보다 정확한 회전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스위치 샤프트부의 회전 동작을 통한 차량의 장치들의 작동 상태 설정에 있어 오작동을 방지하고 조작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위치 샤프트부(300) 및 로터리 엔코더(410)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키는데, 로터리 디텐트부(430a)는 로터리 디텐트(431a)와 로터리 디텐트 볼(433a)과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5a)를 포함한다. The rotary detent unit 430a prevents unwanted rotation of the rotary switch unit and generates a more accurate rotation signal to prevent malfunctions and provide a sense of operation in sett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vehicle devices through the rot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 to deten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and the rotary encoder 410, the rotary detent portion 430a includes a rotary detent 431a, a rotary detent ball 433a, and a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 435a).

하우징부(100)의 하우징 베이스(130)에는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131a,132a)가 구비된다.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131a,132a)는 하우징 베이스(130)의 하부 측부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131a,132a)에는 디텐트 홀더(436a)가 삽입 배치되고,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131a,132a)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디텐트 홀더(436a)의 내측에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5a)의 일단이 접촉하고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5a)의 타단은 로터리 디텐트 볼(433a)과 접촉하고,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5a)는 로터리 디텐트 볼(433a)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로터리 디텐트 볼(433a)과 로터리 디텐트(431a) 간의 상시 접촉 구조를 형성한다. The housing base 130 of the housing portion 100 is provided with base rotary detent receiving portions 131a and 132a. The base rotary detent receiving portions 131a and 132a are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base 130. A detent holder 436a is inserted into the base rotary detent receiving portions 131a and 132a, One end of the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435a is in contact with the base rotary detent receiving portions 131a and 132a, more specifically, the inside of the detent holder 436a,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435a is in contact with the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435a. It is in contact with the detent ball 433a, and the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435a provid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rotary detent ball 433a to ensure constant contact between the rotary detent ball 433a and the rotary detent 431a. forms a structure.

즉,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131a,132a)는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 홀더 관통구(132a)와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 가이드(131a)를 구비하는데,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 가이드(131a)는 하우징 베이스(130)의 하부 측부로 내측면에 형성되고,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 홀더 관통구(132a)는 하우징 베이스(130)의 하부 측부로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 가이드(131a)의 외측에 하우징 베이스(1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디텐트 홀더(436a)은 디텐트 홀더 장착부(347a)를 구비하고 디텐트 홀더 장착부(347a)는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 홀더 관통구(132a)에 삽입하여 디텐트 홀더(346a)가 하우징 베이스(130)에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형성 가능하게 한다. That is, the base rotary detent receiving portions 131a and 132a are provided with a base rotary detent receiving portion holder through hole 132a and a base rotary detent receiving portion guide 131a. The base rotary detent receiving portion guide 131a )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base 130, and the base rotary detent accommodating portion holder through hole 132a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base 130 of the base rotary detent accommodating guide 131a. It is formed to penetrate the housing base 130 on the outside. The detent holder 436a is provided with a detent holder mounting portion 347a, and the detent holder mounting portion 347a is inserted into the base rotary detent receiving portion holder through hole 132a so that the detent holder 346a is mounted on the housing base ( 130) to form a stable mounting state.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 가이드(131a)는 하우징 베이스(130)의 내측면에서 하우징 베이스(13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튜브 구조를 이루는데,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 가이드(131a)는 양단이 개방된 구조를 형성하여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5a)의 삽입 배치 조립 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435a)의 안정적인 압축 가동을 가능하게 하고, 로터리 디텐트 볼(43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로터리 디텐트 볼(433)의 로터리 엔코더(41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로터리 디텐트(431a)와의 상시 접촉을 통한 안정적인 가동 상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 가이드(131a)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돌기(136)가 형성되고 디텐트 홀더(436a)의 디텐트 홀더 장착부(437a)에는 디텐트 홀더 장착 수용부(438a)가 구비되는데, 가이드 돌기(136)는 디텐트 홀더 장착 숭요부(438a)와 맞물리어 디텐트 홀더(346a)가 하우징 베이스(130)로부터 원치 않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The base rotary detent accommodating guide 131a forms a tube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base 130 toward the center of the housing base 130. The base rotary detent accommodating guide 131a has both ends By forming this open structure, it facilitates the insertion, arrangement, and assembly process of the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435a, enables stable compression operation of the rotary detent elastic portion 435a, and enables the rotation of the rotary detent ball 433. By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otary detent ball 433, a stable operating state can be enabled through constant contact with the rotary detent 431a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encoder 410. A guide protrusion 136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rotary detent accommodating guide 131a, and a detent holder mounting accommodating portion 438a is provided on the detent holder mounting portion 437a of the detent holder 436a. The protrusion 136 may engage with the detent holder mounting portion 438a to prevent the detent holder 346a from being undesirably separated from the housing base 130.

디텐팅 구조에 대하여 부연하면, 로터리 디텐트(431)는 로터리 엔코더(410)의 하부 측면, 보다 구체적으로 로터리 엔코더(410)의 하부로 로터리 엔코더(41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에 수직한 외주면에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로터리 디텐트(431)는 소정의 사전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는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 로터리 엔코더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로터리 스톱퍼(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회전 제한 영역을 형성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회동 제한없이 무한회전을 이루되, 전원 오프시 로터리 스위치 센서의 회동 기준을 초기화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o elaborate on the detent structure, the rotary detent 431 is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encoder 410, more specifically, the lower part of the rotary encoder 410, and ha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ry encoder 410. It takes the structure formed in . The rotary detent 431 may have a structu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though not shown in this embodiment, in some cases, a rotary stopper (not shown) to prevent excessive rotation of the rotary encoder may be further provided to form a rotation restriction area, and infinite rotation is achieved without rotation restriction,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structure that initializes the rotation standard of the rotary switch sensor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한편, 이와 같은 로터리 디텐트부는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로터리 디텐트부는 푸시 리턴 기능을 부가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일예는 푸시 스위치부를 보다 간결한 구조로 전환하는 일예를 이룰 수도 있는데, 로터리 스위치부와 푸시 스위치부가 일체화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such a rotary detent part is configured to be arrange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rotary detent part may additionally implement a push return function. That is, in this case,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o convert the push switch unit into a more simple structure, and may form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ry switch unit and the push switch unit are integrated.

앞선 실시예에서 푸시 스위치부는 푸시 홀더(610)와 푸시 스위치(620)와 푸시 리턴부(630)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푸시 스위치부가 푸시 스위치와 푸시 가동부와 푸시 디텐트를 구비하되, 앞선 실시예에서의 푸시 리턴부의 복귀 기능은 푸시 디텐부와 함께 로터리 디텐트부에 의하여 대체 실행되고 로터리 엔코더 슬릿(돌기)가 푸시 가동부의 기능을, 그리고 로터리 스위치가 푸시 스위치의 스위칭 감지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push switch unit includes a push holder 610, a push switch 620, and a push return unit 6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sh switch unit includes a push switch, a push movable unit, and a push detent. In the embodiment, the return function of the push return unit is replaced by the rotary detent unit together with the push detent unit, the rotary encoder slit (protrusion)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push movable unit, and the rotary switch performs the switching detection function of the push switch. You can also take a structure that does.

즉, 푸시 가동부는 로터리 엔코더에, 특히 상단에 배치되고, 스위치 샤프트부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가 로터리 엔코더를 가압하여 하방 이동되는 경우, 로터리 엔코더와 함께 수직 가동되어 기판에 배치되는 푸시 스위치의 신호 변화를 발생시키는데,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엔코더 슬릿이 푸시 가동부의 기능을 함께 담당하고, 로터리 스위치가 푸시 스위치의 기능을 함께 담당한다. That is, the push movable part is disposed on the rotary encoder, especially at the top, and when the switch shaft hinge of the switch shaft part moves downward by pressing the rotary encoder, it moves vertically together with the rotary encoder to generate a signal change in the push switch placed on the board. In this embodiment, the rotary encoder slit functions as a push movable part, and the rotary switch functions as a push switch.

푸시 디텐트(630a)는 로터리 엔코더(410a)의 하부 측면으로 로터리 디텐트(431a)의 상단에 형성된다. 푸시 디텐트(630a)는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길이 방향 및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 방향 상 로터리 디텐트(431a)와 층을 이루어 형성된다. 즉, 스위치 샤프트부(300)의 회동축이 관통하는 평면 상에서 볼 때 푸시 디텐트(630a)가 배치되는 평면과 로터리 디텐트(431a)가 배치되는 평면은 상이하고, 푸시 디텐트(630a)가 배치되는 평면이 로터리 디텐트(431a)가 배치되는 평면보다 하우징 커버(110)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The push detent 630a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encoder 410a and at the top of the rotary detent 431a. The push detent 630a is formed in layers with the rotary detent 431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an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plane through which the rotational axis of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passes, the plane in which the push detent 630a is placed and the plane in which the rotary detent 431a is placed are different, and the push detent 630a is A structure is formed in which the plane on which the rotary detent 431a is disposed faces the housing cover 110 rather than the plane on which the rotary detent 431a is disposed.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스위치(420)가 푸시 스위치의 기능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푸시 동작을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수직 가압되는 경우 푸시 가동부의 기능을 담당하는 로터리 엔코더 슬릿의 위치 변화가 푸시 스위치의 기능을 담당하는 로터리 스위치의 신호 변화를 야기시킨다. 이때, 푸시 동작을 통한 신호의 온/오프 주기는 통상적인 로터리 동작에서의 신호의 온/오프 주기의 변화와 다른 양상을 나타내므로 이를 구별하여 푸시 동작의 입력 상태 감지를 이루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경우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도 20 내지 도 23에서는 푸시 스위치부와 로터리 스위치부가 통합된 구성을 기술하였으나, 로터리 엔코더 슬릿(415)이 푸시 스위치의 신호 변화를 발생시키되 로터리 스위치와는 별개의 푸시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고, 푸시 디텐트 이외에 별개의 푸시 스위치 및 별개의 푸시 가동부가 로터리 스위치 및 로터리 엔코더 슬릿과 별개로 구비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rotary switch 420 can additionally perform the function of a push switch. When the switch shaft part 300 is vertically pressed through a push operation, the position of the rotary encoder slit that functions as the push movable part is. The change causes a signal change in the rotary switch, which functions as a push switch. At this time, since the on/off cycle of the signal through the push operation shows a different aspect from the change in the on/off cycle of the signal in a typical rotary operation, a configuration may be taken to detect the input state of the push operation by distinguishing this. However, this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case. That is, although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ush switch unit and the rotary switch unit are integrated is described in FIGS. 20 to 23, the rotary encoder slit 415 generates a signal change in the push switch, but a push switch separate from the rotary switch is further provide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depending on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a configuration in which, in addition to the push detent, a separate push switch and a separate push movable part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rotary switch and the rotary encoder slit.

이와 같은 실시예 구성을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부(300)가 수직 가압되는 경우 함께 이동하는 로터리 엔코더(410a)의 하부 측면은 로터리 디텐트 볼(433a)와 로터리 디텐트(431a)와 상시 접촉 상태를 이루는 상태에서 로터리 디텐트 볼(433a)은 로터리 디텐트(431a)와 접촉 상태가 해제되고 푸시 디텐트(630a)와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이때, 로터리 디텐트(431a)와 푸시 디텐트(630a) 사이에는 디텐트 경계(631a)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푸시 동작으로의 전환을 촉각적으로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즉, 디텐트 경계(631a)는 로터리 디텐트(431a)와 푸시 디텐트(630a)의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와 상이한 곡률 내지 돌출부를 형성하여 통상적인 위치로부터 수직 가압에 의한 푸시 동작으로의 전환시 촉각적 변화를 통한 조작자의 인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rough this embodiment configuration, when the switch shaft portion 300 is vertically pressed,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encoder 410a, which moves together, is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rotary detent ball 433a and the rotary detent 431a. In this state, the rotary detent ball 433a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rotary detent 431a and forms a contact state with the push detent 630a. At this time, a detent boundary 631a is formed between the rotary detent 431a and the push detent 630a,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ctilely detect the change to the push operation. That is, the detent boundary 631a is disposed between the rotary detent 431a and the push detent 630a to form a curvature or protrus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two, so that when switching from the normal position to the push operation by vertical pressure, It can enable operator recognition through tactile changes.

푸시 디텐트(630a)의 경우 로터리 엔코더(410)의 하단 측부로 소정의 곡률을 갖는 경사면 배치 구조를 이루어 언스테이블한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수직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로터리 디텐트부의 복원력에 의하여 푸시 가압 상태를 벗어나 원위치 복귀될 수 있다. 푸시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푸시 가동부는 적어도 일부가 로터리 엔코더(410)의 상단에 배치되고 스위치 샤프트부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가 상기 로터리 엔코더를 가압하여 하방 이동시키는 경우 로터리 엔코더와 함께 수직 가동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엔코더 슬릿(415)이 푸시 가동부의 기능을 대체하는 구성을 취하고, 푸시 가동부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푸시 스위치의 기능은 로터리 스위치가 함께 수행하는 구성을 취한다. 즉, 푸시 스위치는 기판(200)에 배치되고 푸시 가동부(610a)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 변동되는 경우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푸시 스위치는 로터리 스위치 센서(420)와 일체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푸시 로터리 스위치 센서와 별개로 푸시 스위치가 구비되는 경우 별개의 푸시 스위치 가동부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the push detent 630a, an inclined surface arrangement structur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encoder 410 to form an unstable state, so that when the vertical pressing force is removed, the push pressing state is maintain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otary detent portion. It can escape and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ush movable part that operates the push switch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rotary encoder 410, and when the switch shaft hinge of the switch shaft part presses the rotary encoder to move downward, it moves vertically together with the rotary encoder. In this embodiment, The rotary encoder slit 415 is configured to replace the function of the push movable part, and the rotary switch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push switch that generates a change in the electrical signal by the push movable part. That is, the push switch is placed on the substrate 200 and generates a changed signal when the push movable part 610a changes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mention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push switch is connected to the rotary switch sensor 420 and formed as a whole. In some cases, when a push switch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push rotary switch sensor, a separate push switch moving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 가이드(131a)의 단부에는 푸시 동작 시 다른 구성, 예를 들어 로터리 엔코더와의 불필요한 간섭을 방지하고 원활한 작동을 이루게 하는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 가이드(131a)의 내측 단부로 하우징 베이스(130)의 중심을 향한 단부 상단은 제거되는 챔퍼링되는 가이드 챔퍼링부(134a)를 더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가이드 챔퍼링부(134a)를 통하여 베이스 로터리 디텐트 수용부 가이드(131a)의 상단이 제거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로터리 디텐트 볼(433a)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여 푸시 디텐트(630a)와의 보다 용이하고 적절한 접촉 가능 상태를 형상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base rotary detent accommodating guide 131a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for example, a configuration to prevent unnecessary interference with the rotary encoder and achieve smooth operation during the push operation.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inner end of the base rotary detent accommodating guide 131a toward the center of the housing base 1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chamfering portion 134a that is removed and chamfered, and such a guide chamfering portion ( By form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base rotary detent accommodating guide 131a is removed through 134a),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detent ball 433a is exposed, making it easier and more appropriate to connect with the push detent 630a.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ontactable state.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외력이 스위치 샤프트부에 가해지는 경우, 로터리 엔코더(420)는 수직 가동되고 이와 동시에, 스위치 샤프트부의 수직 가동에 대한 푸시 디텐팅 동작을 이루는 푸시 디텐트부는 로터리 디텐트부와 구성을 공유하여, 로터리 디텐트 볼(433a)이 로터리 디텐트(431)와 접촉 상태로부터 푸시 동작을 통하여 수직 가동됨으로써 로터리 디텐트 볼(433a)은 로터리 디텐트(431)와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고 푸시 디텐트(630a)와의 접촉 상태가 형성되고, 이 과정에서 디텐트 경계(631a)를 넘어 접촉 상태가 변화됨으로써 소정의 디텐트 감이 조작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2 and 23, when a vertical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witch shaft portion, the rotary encoder 420 moves vertically and at the same time, a push detent that performs a push detent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witch shaft portion. The portion shares a configuration with the rotary detent portion, and the rotary detent ball 433a is moved vertically through a push operation from a state in contact with the rotary detent 431, so that the rotary detent ball 433a is connected to the rotary detent 431. The contact state is released and a contact state with the push detent 630a is formed, and in this process, the contact state changes beyond the detent boundary 631a, thereby providing a predetermined detent feeling to the operato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100..하우징부 110...하우징 커버
120...하우징 홀더 130...하우징 베이스
200...기판 300..스위치 샤프트부
400...로터리 스위치부 500...디렉셔널 스위치부
600...푸시 스위치부
10...Vehicle multi-operating switch unit
100...housing part 110...housing cover
120...housing holder 130...housing base
200...substrate 300...switch shaft part
400...rotary switch part 500...directional switch part
600...Push switch part

Claims (11)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노출되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샤프트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축회동을 감지 출력하는 로터리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텍셔널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 출력하는 푸시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위치 가변 가능한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의 위치 가변에 의하여 가동되어 변화된 신호를 생성하는 디렉셔널 스위치와,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를 평면 상에서 원위치 복귀시키는 디렉셔널 리턴부를 구비하되,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는: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일면 상에 노출 배치되고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와 접촉 가능하되,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 일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기판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가압되는 경우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로 수용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는 상기 기판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에 의한 외측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의 회동 중심은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의 일단 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 타단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 측을 향하여 수용되도록 회동 가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A housing portion,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switch shaft portion with one end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exposed to the housing and movably disposed, and a rotary switch that detects and outputs axis rotation of the switch shaft portion. a unit, a directional switch unit that detects and outputs a tilting detection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and a push switch unit that detects and outputs a press-in push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wherein the directional switch unit: detects and outputs a tilting detection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A directional slide part whose position is variable within the housing unit by a directional operation, a directional switch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operat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directional slide part to generate a changed signal, the directional slide part and It has a directional return part that returns the switch shaft to its original position on a plane, wherein the directional switch includes: a directional switch housing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exposed on one side of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and the direct switch. A directional switch knob that can be contacted with the directional slide unit and is accommodated inside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when pressed by rota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substrate around an internal point of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
The directional slide unit is movable in an outward direction by a tilting directional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unit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The rotation center of the directional switch knob is disposed on one end of the directional switch knob, and when the switch shaft portion is tilted and directional,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end of the directional switch knob is direct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otated to accommod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기판에 수평한 회동 중심은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의 길이 방향 중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중심을 향한 단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틸팅 디텍셔널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틸팅 디렉셔널 비동작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의 단부는 경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According to clause 1,
The directional switch knob is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switch shaft portion, and the center of rotation horizontal to the substrate is dir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switch shaf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rectional switch knob toward the inside of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disposed on the end side,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wherein an end of the directional switch knob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is inclined when the tilting directional operation of the switch shaft portion is not per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에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와,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에 의하여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과,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에 의하여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이 가동되는 경우 접속 가능하게 대응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According to clause 1,
A directional switch elastic portion that provides an elastic return force to the directional switch knob inside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A directional switch operation contact point operated by the directional switch knob,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comprising a directional switch fixed contact point disposed in a corresponding manner so that it can be connected when the directional switch movable contact point is operated by the directional switch knob.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리턴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턴 플런저와,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상기 리턴 플런저를 탄성지지하는 리턴 탄성부와,
상기 리턴 플런저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리턴 플런저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위치를 포함하는 리턴 그루브를 구비하되,
상기 리턴 플런저는 상기 하우징부에 대하여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축 길이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고, 상기 리턴 그루브는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According to clause 1,
The directional return part:
a return plunger movably disposed in the housing portion;
a return elastic portio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ortion to elastically support the return plunger;
A return groove is provided that is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return plunger and includes a position for returning the return plunger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wherein the return plunger is movable in the axi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shaf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portion, and the return groove is formed on the directional slide por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리턴 플런저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턴 장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In clause 4
The housing portion includes a housing base supporting the substrate,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ousing cover that engages with the housing base to form an internal space and has a return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return plunger is movably dispos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가 관통 배치되는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와,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 및 상기 하우징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의 외주에 관통 장착되는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와,
상기 하우징 커버의 일면으로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를 향한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는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According to clause 5,
The directional slide part:
a directional medium slide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base and the housing cover and through which the switch shaft portion is disposed;
A directional bottom slide disposed between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and the housing base and mounted through the outer periphery of the switch shaft portion,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comprising a directional top slid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facing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and movably engaged with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의 일면에는 상기 디렉셔널 탑 슬라이드와 맞물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미디엄 어퍼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디렉셔널 미디엄 슬라이드의 타면에는 미디엄 로워 가이드가 형성되되, 상기 미디엄 로워 가이드는 상기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에 형성되는 바텀 가이드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According to clause 6,
A medium upper guid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to engage with the directional top slide,
A medium lower guid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rectional medium slide, and the medium lower guide is formed to be relatively movably engaged with a bottom guide formed on the directional bottom slide.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바텀 슬라이드는:
상기 일면 상에 상기 바텀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가 관통되고 내측면이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와 접촉하는 바텀 관통구가 구비되는 바텀 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미디엄 어퍼 가이드와 상기 바텀 슬라이드 바디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리턴 그루브가 형성되는 바텀 슬라이드 사이드와,
상기 바텀 슬라이드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를 가동시킬 수 있는 바텀 슬라이드 가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According to clause 7,
The directional bottom slide is:
a bottom slide body on which the bottom guide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which is provided with a bottom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switch shaft part passes and whose inn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 shaft part;
a bottom slide side extending to a side of the medium upper guide and the bottom slide body and on which the return groove is formed;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bottom slide movable part formed on a lower part of the bottom slide body and capable of operating the directional switch.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엄 어퍼 가이드와 상기 미디엄 로워 가이드는 동일 평면 상에서 투영되는 경우 90도 교차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According to clause 8,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dium upper guide and the medium lower guide are intersected by 90 degrees when projected on the same plan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그루브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상기 리턴 플런저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과,
상기 그루브 스테이블 포지션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부에 외력이 인가되는 외력 인가 상태에서 상기 리턴 플런저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그루브 무빙 포지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According to clause 8,
The return groove is:
a groove stable position forming a contact state with the return plunger in a normal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witch shaft portion;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comprising a groove moving position disposed outside the groove stable position and forming a contact state with the return plung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witch shaft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노브는 상기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의 측방향 이동에 의해 가압될 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일면 상에 노출된 전면적이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하우징의 내부로 수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According to clause 1,
When the directional switch knob is pressed by the lateral movement of the directional slide portion, the entire area exposed on one side of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in a direction where it is accommodated inside the directional switch housing.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vehicles.
KR1020150152116A 2015-10-30 2015-10-30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Active KR1026037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116A KR102603759B1 (en) 2015-10-30 2015-10-30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EP16860303.3A EP3370242B1 (en) 2015-10-30 2016-10-28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 unit
JP2018521257A JP6674540B2 (en) 2015-10-30 2016-10-28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vehicles
US15/771,766 US10522308B2 (en) 2015-10-30 2016-10-28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vehicles
CN201690001313.1U CN208655476U (en) 2015-10-30 2016-10-28 Vehicle multioperation switch unit
PCT/KR2016/012293 WO2017074120A1 (en) 2015-10-30 2016-10-28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116A KR102603759B1 (en) 2015-10-30 2015-10-30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704A KR20170051704A (en) 2017-05-12
KR102603759B1 true KR102603759B1 (en) 2023-11-20

Family

ID=5874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116A Active KR102603759B1 (en) 2015-10-30 2015-10-30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7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479B1 (en) * 2017-09-19 2023-10-27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Switch knob and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having the same
KR102506453B1 (en) 2017-09-19 2023-03-07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102442657B1 (en) 2017-10-17 2022-09-1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Automotive Rotary Switch Unit
KR20190042834A (en) 2017-10-17 2019-04-25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102483176B1 (en) 2017-11-17 2022-12-30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Rotary detent device for rotary knob and vehicular rotary switch unit having the same
CN119744432A (en) * 2022-08-30 2025-04-01 Ck高新材料有限公司 Input and rotary load module and input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154B1 (en) * 2013-12-10 2015-04-2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972B1 (en) * 2011-12-12 2014-03-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Switching unit for a vehicular steering whe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154B1 (en) * 2013-12-10 2015-04-2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704A (en)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3759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US9536689B2 (en)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vehicles
JP6674540B2 (en)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vehicles
KR101698647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US11339872B2 (en) Lever type vehicular remote shift switching device
KR101096925B1 (en) Integrated switching unit with directional switch and apparatus with the same
KR101706426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101094034B1 (en) Composite switch unit and composite switch device having same
KR101514154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EP1959470B1 (en) In-vehicle knob switch
KR101435283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102675895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102442657B1 (en) Automotive Rotary Switch Unit
KR102565839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101481259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102506453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102644027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and operating module with the same
KR20190042834A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20160117792A (en) Vehicular multi-functional switching unit
KR20180046127A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and operating module with the same
KR20180046126A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101414293B1 (en) Vehicular lever switching apparatus
KR20200104113A (en) Vehicular multi-operational switching unit
KR20190032066A (en) Switch knob and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having the same
KR20220001640A (en) Rotary unit, operating switching unit and vehicular transmission range operating switch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0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