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368A - Vibration device - Google Patents
Vibra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11368A KR20100111368A KR1020090029752A KR20090029752A KR20100111368A KR 20100111368 A KR20100111368 A KR 20100111368A KR 1020090029752 A KR1020090029752 A KR 1020090029752A KR 20090029752 A KR20090029752 A KR 20090029752A KR 20100111368 A KR20100111368 A KR 201001113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
- case
- damping
- vibration device
- coi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553 magnetic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vibration device.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마그네트, 요크, 질량체가 포함되는 진동체; 상기 진동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코일; 상기 진동체가 상기 케이스에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댐핑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마그네트의 상기 마그네트를 대향하는 면의 자극은 상기 마그네트의 상기 댐핑 마그네트를 대향하는 면의 자극과 동일하다.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case; A vibrating body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including a magnet, a yoke and a mass body; A coil disposed below the vibrating body and supported by the case; A spr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vibrating body in the case; And a damping magnet installed in the case to face the magnet, and the magnetic pole of the face of the damping magnet facing the magnet is the same as the magnetic pole of the face of the magnet opposite the damping magnet.
Description
실시예는 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vibration device.
진동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피커, 비디오 게임장치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될 수 있다. The vibration device may be us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peaker, and a video game device.
대표적으로, 진동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 알림 또는 신호 입력 알림을 위한 진동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진동 장치는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질량체의 진동을 외부로 전달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진동을 발생시킨다.Typically, the vibration device provides a vibration function for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or signal input notific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vibration device generates vibr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ransmitting the vibration of the mass body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to the outside.
한편, 진동 장치는 스프링과 질량체의 공진 현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질량체가 케이스에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진동 장치의 작동이 중단되었을 때 질량체의 진동이 정지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댐핑(Damping) 수단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vibration device uses the resonance phenomenon of the spring and the mass body, damping to prevent the mass body from hitting the case and to shorten the time taken to stop the vibration of the mass body when the vibration device is stopped. Means are needed.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의 진동 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vibration device of a new structure.
실시예는 질량체의 진동이 정지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진동 장치를 제공한다. The embodiment provides a vibrating device capable of shortening the time at which vibration of the mass is stopped.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마그네트, 요크, 질량체가 포함되는 진동체; 상기 진동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코일; 상기 진동체가 상기 케이스에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댐핑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마그네트의 상기 마그네트를 대향하는 면의 자극은 상기 마그네트의 상기 댐핑 마그네트를 대향하는 면의 자극과 동일하다.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case; A vibrating body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including a magnet, a yoke and a mass body; A coil disposed below the vibrating body and supported by the case; A spr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vibrating body in the case; And a damping magnet installed in the case to face the magnet, and the magnetic pole of the face of the damping magnet facing the magnet is the same as the magnetic pole of the face of the magnet opposite the damping magnet.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마그네트, 요크, 질량체가 포함되는 진동체; 상기 진동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코일; 상기 진동체가 상기 케이스에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댐핑 자성체를 포함한다.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case; A vibrating body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including a magnet, a yoke and a mass body; A coil disposed below the vibrating body and supported by the case; A spr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vibrating body in the case; And a damping magnetic body installed in the case.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의 진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embodiment can provide a vibration device of a new structure.
실시예는 질량체의 진동이 정지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진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embodiment can provide a vibration device capable of shortening the time at which vibration of the mass is stopped.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necessarily reflect the actual siz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서 상부 케이스(10)와 요크(14)는 일부분을 절개한 도면으로 도시하였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FIG. 2, the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는 상부 케이스(10), 하부 케이스(20), 스프링(30), 질량체(12), 마그네트(13), 요크(14), 코일(22)이 포함된다.1 and 2, the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n
상기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20)는 상호 결합되어 진동 장치의 내부공간을 한정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20)는 진동 장치의 내부 부품을 보호하며, 진동 장치에서 발생된 진동이 외부기기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2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케이스(10)는 비자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20)는 PCB(Printed Circuit Board)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스프링(30)은 일측이 상기 상부 케이스(10)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요크(14)와 결합된다.One side of the
상기 요크(14)의 외부에는 상기 질량체(12)가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요크(14)의 내부에는 상기 마그네트(13)가 결합되어 설치된다. The
상기 질량체(1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크(14)의 외측면에 결합되는데, 상기 요크(14)의 외측면 하부는 상기 질량체(12)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요크(14)의 외측면 하부는 외측면 상부에 비해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요크(14)의 일부와 상기 질량체(12)의 일부는 동일 수직 평면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요크(14)는 상기 질량체(12)를 보다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The
상기 마그네트(13)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마그네트(13)의 측면은 상기 요크(14)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t1) 이격된다. 상기 마그네트(13)와 요크(14) 내측면 사이의 간격(t1)은 링 형상의 코일(22)의 폭(t2) 보다 넓게 형성된다. The
한편, 상기 질량체(12), 마그네트(13) 및 요크(14)가 포함되는 진동체(40)가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진동체(40)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코일(22)이 상기 마그네트(13)와 요크(14) 사이의 공간으로 위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vibrating the
따라서, 상기 진동체(40)가 상하방향으로 진동하여도 상기 코일(22)과 충돌하지 않는다. 이것은 상기 코일(22)의 높이 만큼 상기 진동체(40)의 상하 진동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진동 장치를 보다 얇게 제작할 수 있으며, 진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다시 말해서, 상기 진동체(40)와 상기 코일(22)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진동체(40)의 진동 폭을 제한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진동체(40)의 진 동량이 증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22)의 높이에 의해 상기 진동체(40)의 진동 폭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진동 장치를 보다 얇게 제작할 수 있고 진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vibration width of the vibrating
상기 하부 케이스(20)에는 회로기판(21), 제1 댐핑 마그네트(23), 코일(22)이 설치된다.The
상기 회로기판(21)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22)에 구동 전원을 제공한다.The printed
상기 제1 댐핑 마그네트(23)는 원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트(13)와 대면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1 댐핑 마그네트(23)는 상기 마그네트(13)와 하부 케이스(20)가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진동체(40)의 진동이 정지되는 시간을 단축시킨다.The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네트(13)가 상하 방향으로 N극 및 S극이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댐핑 마그네트(23)는 상하 방향으로 S극 및 N극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 장치의 동작이 정지된 경우, 상기 마그네트(13)가 상기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때, 상기 제1 댐핑 마그네트(23)는 상기 마그네트(13)와 동일한 극성이 대면하기 때문에 상기 마그네트(13)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힘을 감소시키므로 상기 진동체(40)의 진동이 신속하게 정지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N and S pole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상기 스프링(30)이 연결된 상기 진동체(40)의 상면에는 자성유체(11)가 형성되며, 상기 자성유체(11)는 상하 운동시 발생되는 접촉 소음을 감소시킨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자성유체(11)는 상기 마그네트(13)의 하면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그네트(13)의 하면 및 상기 진동체(4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A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10)에는 개구(17), 차폐부재(18) 및 제2 댐핑 마그네트(19)가 형성된다.Meanwhile, an opening 17, a
상기 개구(17)는 진동 장치의 조립 공정에서 상기 스프링(30)과 요크(14)를 용접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상기 차폐부재(18)는 진동 장치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상기 개구(17)를 통해 이물질이 상기 진동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그리고, 상기 제2 댐핑 마그네트(19)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댐핑 마그네트(23)와 마찬가지로 상기 진동체(40)와 상부 케이스(10)가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진동체(40)의 진동이 정지되는 시간을 단축시킨다.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네트(13)가 상하 방향으로 N측 및 S극이 배치된 경우, 상기 제2 댐핑 마그네트(19)는 상하 방향으로 S극 및 N극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 장치의 동작이 정지된 경우, 상기 마그네트(13)가 상기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때, 상기 제2 댐핑 마그네트(19)는 상기 제1 댐핑 마그네트(19)와 마찬가지로 상기 진동체(40)의 진동이 신속하게 정지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상기와 같은 진동 장치는 상기 코일(22)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코일(22)에서 발생되는 소정 주파수의 전기력과 마그네트(13)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진동체(4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The vibra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vibrating
그리고, 상기 제1 댐핑 마그네트(23) 및/또는 제2 댐핑 마그네트(19)는 상기 진동체(40)에 댐핑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댐핑 마그네트(23) 및 제2 댐핑 마그네트(19)가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 댐핑 마그네트(23) 및 제2 댐핑 마그네트(19)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although the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서 상부 케이스(10)와 요크(14)는 일부분을 절개한 도면으로 도시하였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FIG. 4, the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에 대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owever, in describing the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the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는 상부 케이스(10), 하부 케이스(20), 스프링(30), 질량체(12), 마그네트(13), 요크(14), 코일(22), 댐핑 자성체(24)가 포함된다.3 and 4, the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n
상기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20)는 상호 결합되어 진동 장치의 내부공간을 한정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10)에는 개구(17), 차폐부재(18) 및 제2 댐핑 마그네트(19)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20)에는 회로기판(21), 댐핑 자성체(24), 코일(22)이 설치된다.The
상기 스프링(30)은 일측이 상기 상부 케이스(10)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요크(14)와 결합된다. One side of the
상기 요크(14)의 외부에는 상기 질량체(12)가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요크(14)의 내부에는 상기 마그네트(13)가 결합되어 설치된다. The
상기 마그네트(13)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마그네트(13)의 측면은 상기 요크(14)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t1) 이격된다. 상기 마그네트(13)와 요크(14) 내측면 사이의 간격(t1)은 상기 댐핑 자성체(24) 및 코일(22)의 폭(t2) 보다 넓게 형성된다. The
한편, 상기 질량체(12), 마그네트(13) 및 요크(14)가 포함되는 진동체(40)가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진동체(40)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댐핑 장성체(24) 및 코일(22)이 상기 마그네트(13)와 요크(14) 사이의 공간으로 위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vibrating the vibrating
상기 댐핑 자성체(24)는 상기 마그네트(13)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진동체(40)의 진동이 정지되는 시간이 단축되도록 한다.The damping
예를 들어, 상기 진동 장치의 동작이 정지된 경우, 상기 마그네트(13)가 상기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때, 상기 댐핑 자성체(24)는 상기 마그네트(1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마그네트(13)를 끌어당기는 힘을 발생시켜 상기 스프링(30)의 복원력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13)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특성을 나타내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device is stopped, when the
또한, 상기 댐핑 자성체(24)는 상기 마그네트(13)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마그네트(13)를 끌어당기는 힘을 발생시켜 상기 스프링(30)의 복원력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1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특성을 나타내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amping
결과적으로, 상기 댐핑 자성체(24)는 상기 마그네트(13)가 상하 방향으로 이 동하는 힘을 감소시켜 상기 진동체(40)의 진동이 신속하게 정지되도록 한다.As a result, the damping
한편,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프링(30)이 연결된 상기 진동체(40)의 상면에는 자성유체(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케이스(10)에는 상기 제2 댐핑 마그네트(19)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in the first embodiment, a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부 케이스(20)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댐핑 마그네트가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emplify the abov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is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any vari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And differences relating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will hav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의 단면도.3 is a sectional view of a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9752A KR20100111368A (en) | 2009-04-07 | 2009-04-07 | Vibr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9752A KR20100111368A (en) | 2009-04-07 | 2009-04-07 | Vibra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1368A true KR20100111368A (en) | 2010-10-15 |
Family
ID=4313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9752A Ceased KR20100111368A (en) | 2009-04-07 | 2009-04-07 | Vibra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11368A (en)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5508B1 (en) * | 2010-12-31 | 2011-08-08 | 삼성전기주식회사 | Linear vibration motor |
CN102480206A (en) * | 2010-11-30 | 2012-05-30 | 三星电机株式会社 | Device for generating vibrations |
CN102480207A (en) * | 2010-11-30 | 2012-05-30 | 三星电机株式会社 | Device for generating vibrations |
KR101157396B1 (en) * | 2011-05-25 | 2012-06-25 | 최형규 | Linear vibration device |
CN102916553A (en) * | 2011-08-05 | 2013-02-06 | 三星电机株式会社 | Linear vibration device |
KR20130013077A (en) * | 2011-07-27 | 2013-02-0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Linear vibrator |
CN102916556A (en) * | 2011-08-04 | 2013-02-06 | 三星电机株式会社 | Linear vibration motor |
CN103872875A (en) * | 2012-12-12 | 2014-06-18 | 三星电机株式会社 | Linear motor |
US20140346927A1 (en) * | 2013-05-27 | 2014-11-27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
KR20150033411A (en) * | 2013-09-24 | 2015-04-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Linear vibration motor |
KR101638800B1 (en) * | 2015-01-23 | 2016-07-13 | 자화전자(주) | Apparatus for generating linear vibration |
WO2017166400A1 (en) * | 2016-03-28 | 2017-10-05 |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 Vibration motor and portable device |
JP2019134509A (en) * | 2018-01-29 | 2019-08-08 |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 Vibration motor |
JP2019134508A (en) * | 2018-01-29 | 2019-08-08 |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 Vibration motor |
-
2009
- 2009-04-07 KR KR1020090029752A patent/KR2010011136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480206A (en) * | 2010-11-30 | 2012-05-30 | 三星电机株式会社 | Device for generating vibrations |
CN102480207A (en) * | 2010-11-30 | 2012-05-30 | 三星电机株式会社 | Device for generating vibrations |
KR101055508B1 (en) * | 2010-12-31 | 2011-08-08 | 삼성전기주식회사 | Linear vibration motor |
KR101157396B1 (en) * | 2011-05-25 | 2012-06-25 | 최형규 | Linear vibration device |
KR20130013077A (en) * | 2011-07-27 | 2013-02-0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Linear vibrator |
US8860263B2 (en) | 2011-08-04 | 2014-10-14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Linear vibration motor |
CN102916556A (en) * | 2011-08-04 | 2013-02-06 | 三星电机株式会社 | Linear vibration motor |
KR101354773B1 (en) * | 2011-08-04 | 2014-01-23 | 삼성전기주식회사 | Linear Motor |
CN102916553A (en) * | 2011-08-05 | 2013-02-06 | 三星电机株式会社 | Linear vibration device |
CN103872875A (en) * | 2012-12-12 | 2014-06-18 | 三星电机株式会社 | Linear motor |
US20140346927A1 (en) * | 2013-05-27 | 2014-11-27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
CN104184359A (en) * | 2013-05-27 | 2014-12-03 | 三星电机株式会社 |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
US9455648B2 (en) | 2013-05-27 | 2016-09-27 | Mplus Co., Ltd. |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
KR20150033411A (en) * | 2013-09-24 | 2015-04-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Linear vibration motor |
KR101638800B1 (en) * | 2015-01-23 | 2016-07-13 | 자화전자(주) | Apparatus for generating linear vibration |
WO2017166400A1 (en) * | 2016-03-28 | 2017-10-05 |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 Vibration motor and portable device |
US10536063B2 (en) | 2016-03-28 | 2020-01-14 | Goertek, Inc. | Vibration motor and portable device |
JP2019134509A (en) * | 2018-01-29 | 2019-08-08 |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 Vibration motor |
JP2019134508A (en) * | 2018-01-29 | 2019-08-08 |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 Vibration mo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111368A (en) | Vibration device | |
KR100941292B1 (en) | Vibration mo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US10447129B2 (en) | Vibration motor | |
KR101242525B1 (en) | Haptic actuator | |
KR101004907B1 (en) | Linear oscill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
US10090744B2 (en) | Vibration motor | |
KR101055508B1 (en) | Linear vibration motor | |
US10367402B2 (en) | Vibration motor | |
US8742634B2 (en) | Linear vibration motor | |
KR101060813B1 (en) | Linear oscillator | |
KR100995000B1 (en) |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
JP2016073941A (en) | Linear vibration motor | |
US10381908B2 (en) | Vibration motor | |
KR20190038068A (en) |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
KR101133415B1 (en) | A linear vibrator | |
KR101133422B1 (en) | A linear vibrator | |
US20140103750A1 (en) | Vibrator | |
KR20140128525A (en) | Linear Actuator | |
US20120146433A1 (en) | Linear vibrator | |
KR20130031528A (en) | Linear vibration motor | |
KR101078597B1 (en) | Horizontal Vibrating Linear Motor | |
KR100994999B1 (en) | Linear vibration actuator | |
KR20170035464A (en) | Linear Actuator | |
KR101198077B1 (en) | Linear vibration actuator | |
KR101004134B1 (en) | Linear vibration mo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4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4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411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9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5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