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490A - 반송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5490A KR20100105490A KR1020100024164A KR20100024164A KR20100105490A KR 20100105490 A KR20100105490 A KR 20100105490A KR 1020100024164 A KR1020100024164 A KR 1020100024164A KR 20100024164 A KR20100024164 A KR 20100024164A KR 20100105490 A KR20100105490 A KR 201001054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utch
- motor
- gripping mechanism
- mechanism part
- engag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5—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disks are transferred from a fixed magazine to a fixed playing unit using a moving carriag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11B15/682—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with fixed magazines having fixed cassette storage cells, e.g. in racks
- G11B15/6835—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with fixed magazines having fixed cassette storage cells, e.g. in racks the cassettes being transferred to a fixed recorder or player using a moving carriage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라이브러리 장치, 반송 장치의 소형화를 과제로 한다. 라이브러리 장치(1000)가 구비하는 반송 장치(150)는, 자기 디스크 카트리지를 파지하는 파지 기구부(60)와, 이 파지 기구부(60)가 탑재되는 베이스부(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반송 장치(150)는, 베이스부(50)를 Y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Y 이동 기구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장치(150)는, Z 방향을 포함하는 면내에서 파지 기구부(60)를 동작시키는 구동 기구부(70)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구부(70)는, 파지 기구부(60)를 Z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회동시킬 수 있다. 구동 기구부(70)가 파지 기구부(60)의 Z 방향의 이동과 회동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반송 장치(150)의 소형화, 경량화가 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송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기 디스크 카트리지 등의 정보 기록 매체가 격납되는 격납 선반이 설치된 라이브러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이와 같은 라이브러리 장치는, 정보 기록 매체가 삽입되고, 기록의 읽기 쓰기가 행해지는 기록 재생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격납 선반과 기록 재생부간의 정보 기록 매체의 반송을 행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반송 장치는, 정보 기록 매체를 파지하기 위한 전용의 구동부를 갖는 매체의 파지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 장치는, 적어도 매체 파지 기구부의 승강 기구, 측방 이동 기구, 회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승강 기구는, 전용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파지 기구부와 격납 선반과의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파지 기구부를 승강 이동시킨다. 측방 이동 기구는, 전용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파지 기구부와 격납 선반과의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매체 파지 기구부를 측방으로 이동시킨다.
회동 기구는, 파지 기구부를 격납 선반과 정면으로 마주보는 방향과 기록 재생부에 정면으로 마주보는 방향과의 사이에서 회동시킨다. 파지 기구부는, 베이스부 상에 탑재된다. 그리고, 베이스부가 상기 승강 기구에 의해 승강함으로써, 파지 기구부의 승강 이동, 예를 들면 수직 방향의 이동이 실현된다. 또한, 파지 기구부는, 베이스부 상에서 상기 측방 이동 기구에 의해 측방으로 이동, 예를 들면 수평 이동한다.
그런데, 최근, 전자 기기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고, 라이브러리 장치, 또는, 매체의 반송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소형화의 요청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라이브러리 장치, 반송 장치는, 실현해야 할 동작마다 전용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송 장치의 소형화를 과제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반송 장치는, 반송 대상을 파지하는 파지 기구부와, 상기 파지 기구부가 탑재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제1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포함하는 면내에서 상기 파지 기구부를 동작시키는 구동 기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반송 장치에 따르면, 제2 방향을 포함하는 면내에서의 파지 기구부의 이동과 회동을 단일의 구동 기구부에 의해 실현하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반송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 기구부를 구비하였으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라이브러리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라이브러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라이브러리 장치가 구비하는 반송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Y 이동 기구부의 사시도.
도 5는 베이스부로부터 파지 기구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의 (a)는 파지 기구부의 측면도이며, 도 6의 (b)는 파지 기구부의 저면도.
도 7은 베이스부의 주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구동 기구부를 바닥판부에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구동 기구부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의 (a)는 제1 클러치의 샤프트 받이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0의 (b)는 샤프트 받이 부재의 측면도.
도 11은 제1 클러치의 확산 분해도.
도 12의 (a)는 제1 클러치가 전달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2의 (b)는 제1 클러치가 전달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의 (a)는 제1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3의 (b)는 제1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제2 클러치의 사시도.
도 15의 (a)는 제2 클러치의 샤프트 받이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5의 (b)는 샤프트 받이 부재의 저면도이며, 도 15의 (c)는 도 15의 (b)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16의 (a)는 제2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16의 (b)는 제2 클러치가 전달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7은 라이브러리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도.
도 18은 베이스부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9는 베이스부가 제2 위치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0은 베이스부가 더욱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라이브러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라이브러리 장치가 구비하는 반송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Y 이동 기구부의 사시도.
도 5는 베이스부로부터 파지 기구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의 (a)는 파지 기구부의 측면도이며, 도 6의 (b)는 파지 기구부의 저면도.
도 7은 베이스부의 주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구동 기구부를 바닥판부에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구동 기구부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의 (a)는 제1 클러치의 샤프트 받이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0의 (b)는 샤프트 받이 부재의 측면도.
도 11은 제1 클러치의 확산 분해도.
도 12의 (a)는 제1 클러치가 전달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2의 (b)는 제1 클러치가 전달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의 (a)는 제1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3의 (b)는 제1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제2 클러치의 사시도.
도 15의 (a)는 제2 클러치의 샤프트 받이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5의 (b)는 샤프트 받이 부재의 저면도이며, 도 15의 (c)는 도 15의 (b)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16의 (a)는 제2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16의 (b)는 제2 클러치가 전달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7은 라이브러리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도.
도 18은 베이스부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9는 베이스부가 제2 위치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0은 베이스부가 더욱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도면 중, 각 부의 치수, 비율 등은, 실제의 것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면에 따라서는 상세부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실시예>
도 1은 라이브러리 장치(10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라이브러리 장치(10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에서 방향을 나타내는 경우, 그 방향은, 도 2에 도시한 각각 직각으로 교차하는 3차원의 X 방향, Y 방향, Z 방향에 따라서 표현되는 것으로 한다.
라이브러리 장치(1000)는, 케이스(10)를 갖고 있다. 이 케이스(10) 내에는, 반송 대상물이며, 정보 기록 매체로서의 자기 디스크 카트리지가 격납되는 격납 선반(20)이 배치되어 있다. 격납 선반(20)은, 자기 디스크 카트리지가 격납되는 복수의 격납부를 갖고 있다. 격납부는, 상하 좌우에 배열되어 있다. 라이브러리 장치(1000)는, 서버(22)에 접속됨과 함께, 자기 디스크 카트리지가 삽입되고, 기록의 읽기 쓰기가 행해지는 기록 재생부(21)를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격납 선반(20)이 구비하는 격납부의 카트리지 삽입구와, 기록 재생부(21)가 구비하는 카트리지 삽입구와는 90° 회전한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라이브러리 장치(1000)는, 케이스(10) 내부에, 상기와 같은 위치 관계를 갖는 격납 선반(20)과 기록 재생부(21) 사이의 자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반송을 행하는 반송 장치(150)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장치(150)는, 케이스(10) 내부에 제어부(10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00)에는, 서버(22)가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반송 장치(15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반송 장치(150)는, 자기 디스크 카트리지를 파지하는 파지 기구부(60)와, 이 파지 기구부(60)가 탑재되는 베이스부(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반송 장치(150)는, 베이스부(50)를 제1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의 일례로서의 Y 이동 기구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제1 방향은, Y 방향이며, 연직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반송 장치(150)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포함하는 면내에서 파지 기구부(60)를 동작시키는 구동 기구부(7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은, Z 방향이며, 수평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수평 방향을 포함하는 면내에서의 파지 기구부(60)의 동작에는, Z 방향의 이동과, 회동 동작이 포함된다.
파지 기구부(60)는, 제2 모터(61)에 의해 구동되는 파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Y 이동 기구부(30), 구동 기구부(70)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격납부와 기록 재생부(21)와의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목적으로 하는 격납부, 기록 재생부(22)에 정면으로 마주보도록 회동한다.
도 4는, Y 이동 기구부(30)의 사시도이다. Y 이동 기구부(30)는, 프레임 부재(41)에 부착된 제1 모터(3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모터(31)는, 제어부(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모터(31)의 회전축에는, 제1 풀리(31a)가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41)에는, 제2 풀리(32), 제3 풀리(34)가 장착되어 있다. 제1 풀리(31a)와 제2 풀리(32)와의 사이에는, 제1 벨트(33)가 설치(張設)되어 있다. 제2 풀리(32)와 제3 풀리(34) 사이에는 제2 벨트(35)가 설치되어 있다. 제3 풀리(34)는, 전달 샤프트(42)의 일단(一端)에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41)에는, 제3 풀리(34)와 병렬시켜 제4 풀리(36)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41)에는, 제3 풀리(34)의 상방에 제5 풀리(37)가 장착되고, 제4 풀리(36)의 상방에 제6 풀리(38)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3 풀리(34), 제4 풀리(36), 제5 풀리(37), 제6 풀리(38)에 제3 벨트(39)가 설치되어 있다. 제3 벨트(39)에는, 제1 부착 부재(41)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제1 부착 부재(41)는, 베이스부(50)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50)의 각부(角部)에는 제1 부착부(51)가 설치되어 있고, 제1 부착 부재(41)는, 이 제1 부착부(51)에 부착된다.
제3 풀리(34)가 부착된 전달 샤프트(42)의 타단에는, 제7 풀리(43)가 부착되어 있다. 제7 풀리(43)의 상측에는, 제8 풀리(4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8 풀리(44)의 측방에 제9 풀리(4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9 풀리(45)의 하방에 제10 풀리(4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7 풀리(43)∼제10 풀리(46)가 사각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7 풀리(43)∼제10 풀리(46)에는, 제4 벨트(47)가 설치되어 있다. 제4 벨트(47)에는, 제2 부착 부재(48)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제2 부착 부재(48)는, 베이스부(50)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50)에는 각부(角部)에 제2 부착부(52)가 설치되어 있고, 제2 부착 부재(48)는, 이 제2 부착부(52)에 부착된다.
베이스부(5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바닥판부(10a)에 세워 설치된 가이드 샤프트(11, 12)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착부(51)에 설치된 제1 가이드 구멍(51a)에 가이드 샤프트(11)를 삽통시키고, 제2 부착부(52)에 설치된 제2 가이드 구멍(52a)에 가이드 샤프트(12)를 삽통시킨다. 이에 의해, 베이스부(50)는, 제1 모터(31)에 의해 승강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베이스부(5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파지 기구부(60)가 탑재된다. 파지 기구부(60)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베이스부(50)에 탑재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50) 상에는, 격납 선반(21)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즉, Z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53)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스테이지 부재(62)가 가이드 부재(53)에 대해 섭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파지 기구부(60)는,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 받이 부재(72b)를 통하여 슬라이드 스테이지 부재(62)에 부착된다. 파지 기구부(60)는, 이와 같이 베이스부(50) 상에 탑재되는 것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샤프트 받이 부재(72b)는, 파지 기구부(60)를 회동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샤프트 받이 부재(72b)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구동 기구부(70)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동 기구부(7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파지 기구부(60)의 Z 방향의 이동과, 회동 동작을 행한다. 구동 기구부(7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모터(7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3 모터(7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50)의 측방, 구체적으로는, 케이스(10)의 바닥판부(10a)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모터(71)의 회전축에는, 제11 풀리(71a)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클러치(72), 제2 클러치(7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클러치(72)는, 그 전달 상태, 차단 상태에 따라서 파지 기구부(60)를 회동 상태와, 회동 정지 상태로 절환한다. 즉, 제1 클러치(72)는, 전달 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 제3 모터(71)에 의해 파지 기구부(60)를 회동시키는 회동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제2 클러치(73)는, 그 전달 상태, 차단 상태에 따라서 파지 기구부(60)를 이동 상태와, 이동 정지 상태로 절환한다. 즉, 제2 클러치(73)는, 전달 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제5 벨트(74), 부착 부재(74a), 제14 풀리(75)와 함께 제3 모터(71)에 의해 파지 기구부(60)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우선, 제1 클러치(72)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클러치(72)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풀리(72a)를 구비하고 있다. 제12 풀리(72a)는, 도 8에 도시한 바닥판부(10a)에 부착되어 있다. 제12 풀리(72a)에는, 제1 계합 샤프트(72a1)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제1 계합 샤프트(72a1)의 상단부에는, 단면 사각 형상의 제1 계합부(72a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계합 샤프트(72a1)는, 스프링 받이부(72a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계합부(72a2)가 계합하는 샤프트 받이 부재(72b)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파지 기구부(60)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샤프트 받이 부재(72b)에 대해서 도 10의 (a), 도 10의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의 (a)는, 샤프트 받이 부재(72b)의 사시도이며, 도 10의 (b)는, 샤프트 받이 부재(72b)의 측면도이다.
샤프트 받이 부재(72b)는, 계합 구멍(72b2)이 형성된 통 형상부(72b1)와, 평판부(72b3)를 구비하고 있다. 평판부(72b3)에는, 파지 기구부(60)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부착 구멍(72b31)이 형성되어 있다.
제12 풀리(72a)와 샤프트 받이 부재(72b)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부재(53)의 하측에 제12 풀리(72a), 가이드 부재(53)의 상측에 샤프트 받이 부재(72b)가 위치한다. 가이드 부재(53)와 스프링 받이부(72a3)와의 사이에는 스프링(72c)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계합 샤프트(72a1)의 선단에 설치된 제1 계합부(72a2)는, 가이드 부재(53)에 설치된 관통 홀(53a)에 대해 출몰 가능한 상태로 된다. 즉, 가이드 부재(53)는, 베이스부(50)와 함께 승강하기 때문에, 이 승강 동작에 수반하여 제1 계합부(72a2)는, 관통 홀(53a)에 대해 출몰한다.
도 12의 (a) 및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계합부(72a2)가 관통 홀(53a)로부터 노출되면, 제1 계합부(72a2)가 샤프트 받이 부재(72b)에 설치된 계합 구멍(72b2)에 계합한다. 즉, 제1 클러치(72)는, 전달 상태로 된다. 한편, 도 13의 (a) 및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계합부(72a2)가 관통 홀(53a) 내에 매몰된 상태로 되면 제1 계합 샤프트(72a1)와 샤프트 받이 부재(72b)와의 계합 상태는 해제된다. 즉, 제1 클러치(72)는, 차단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제1 클러치(72)는, Y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는 베이스부(5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전달 상태로 된다. 또한, 제1 클러치(72)는, Y 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는 베이스부(50)가 제1 위치보다도 상측의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차단 상태로 된다. 제1 클러치(72)가 전달 상태로 되면, 파지 기구부(60)는 제3 모터(71)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위치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부(10a)와 베이스부(50)와의 간격이 h1로 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위치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부(10a)와 베이스부(50)와의 간격이 h2로 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h1과 h2는, h1<h2의 관계를 갖고 있다.
다음으로, 제2 클러치(73)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클러치(73)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3 풀리(73a)를 구비하고 있다. 제13 풀리(73a)는, 도 8에 도시한 바닥판부(10a)에 부착되어 있다. 제13 풀리(73a)에는, 도 9나,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계합 샤프트(73a1)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제2 계합 샤프트(73a1)는, 하단측이 원주 형상이며, 상단부에, 단면 사각 형상의 제2 계합부(73a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계합부(73a2)가 계합하는 샤프트 받이 부재(73b)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부(73d)에 지지되어 있다. 부착부(73d)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50)에 고정되어 있다. 샤프트 받이 부재(73b)는, 도 15의 (a)∼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원통부(73b1)와, 계합 구멍(73b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샤프트 받이 부재(73b)는, 외부에 파지 기구부(60)를 이동시키는 회전 전달 수단의 일례인 갓모양의 굽부(笠齒部)(73b3)를 구비하고 있다. 계합부(73b2)는, 제2 계합부(73a2)에 대응한 사각 형상을 갖고 있다.
샤프트 받이 부재(73b)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갓모양의 굽부(73b3)가 상측에 오도록 부착부(73d)에 지지되어 있다. 원통부(73b1)는, 샤프트 받이 부재(73b)가 이와 같이 부착부(73d)에 지지된 상태에서 계합 구멍(73b2)보다도 상측에 오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73b1)는, 그 내부에서 제2 계합부(73a2)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직경을 갖고 있다. 이, 원통부(73b1)는, 제2 계합부(73a2)와의 계합이 해제되는 자유 회전부의 일례이다.
도 16의 (a)는, 제2 계합부(73a2)가 원통부(73b1)에 존재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제2 클러치(73)가 차단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베이스부(5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이와 같은 상태가 창출된다. 즉, 제1 클러치(72)가 전달 상태로 될 때에, 제2 클러치(73)는, 차단 상태로 된다.
도 16의 (b)는, 제2 계합부(73a2)가 계합 구멍(73b2)에 계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제2 클러치(73)가 전달 상태로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베이스부(50)가 제1 위치보다도 상승한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이와 같은 상태가 창출된다. 즉, 제1 클러치(72)가 차단 상태로 될 때에, 제2 클러치(73)는, 전달 상태로 된다.
제2 클러치(73)는,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풀리(73c)를 구비하고 있다. 기어 풀리(73a)는, 샤프트 받이 부재(73b)가 갖는 갓모양의 굽부(73b3)와 맞물리는 갓모양의 굽부(73c1)와 풀리부(73c2)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이 제2 클러치(73)의 구성이다.
구동 기구부(70)는,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50) 상에 설치된 부착부(76)에 지지된 제14 풀리(75)를 구비하고 있다. 기어 풀리(73c)의 풀리부(73c2)와 제14 풀리(75)와의 사이에는 제5 벨트(74)가 설치되어 있다. 제5 벨트(74)에는, 부착 부재(74a)가 설치되어 있다. 제5 벨트(74)는, 부착 부재(74a)를 통하여 슬라이드 스테이지 부재(62)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5 벨트(74)에 회전에 기초하여 파지 기구부(60)가 Z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은 라이브러리 장치(1000)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 도 17에 설명한 플로우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제어부(100)가 서버(22)로부터 데이터의 백업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것이다.
<스텝 S1>
스텝 S1에서는, 파지 기구부(60)를 지정 격납부로 이동시킨다. 즉, 정보를 백업하는 자기 카트리지가 격납된 격납부의 앞까지 파지 기구부(60)를 이동시킨다.
파지 기구부(60)를 지정 격납부의 앞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제어부(100)는, 우선, Y 이동 기구부(30)에 가동 명령을 내린다. 구체적으로는, 제1 모터(31)를 가동시켜, 파지 기구부(60)의 Y 방향의 위치를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위치로 한다. 파지 기구부(60)를 제2 위치에 두는 것에 의해, 제2 클러치(73)가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달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파지 기구부(60)는, 도 19 중, 화살표 81로 나타내는 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 후, 제어부(100)는, 제1 클러치(72)의 샤프트 받이 부재(72b)가 제1 계합 샤프트(72a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제3 모터를 가동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Y 이동 기구부(30)에 가동 명령을 내리고, 파지 기구부(60)의 Y 방향의 위치를 제1 위치로 한다. 파지 기구부(60)를 제1 위치에 두는 것에 의해 제1 클러치(72)가 도 12의 (a)나 도 12의 (b)에 도시한 상태로 되고, 전달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파지 기구부(60)가 도 18 중, 화살표 8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제3 모터(71)에 명령을 내리고, 파지 기구부(60)가 격납 선반(20)의 카트리지 삽입구와 정면으로 마주보도록 파지 기구부(60)를 회동시킨다.
그 후, 제어부(100)는, 파지 기구부(60)의 Y 방향의 위치를 다시 제2 위치가 되도록 제1 모터(31)에 명령을 내린다. 그리고, 지정 격납부의 카트리지 삽입구의 Z 방향 위치까지 파지 기구부(60)를 이동시키도록 제3 모터(71)에 명령을 내린다.
그 후, 제어부(100)는, 도 20 중, 화살표 8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정 격납부의 카트리지 삽입구의 Y 방향 위치까지 파지 기구부(60)를 상승시키도록 제1 모터(31)에 명령을 내린다. 또한, 파지 기구부(60)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위치보다도 상승하면, 제1 클러치(72)와 제2 클러치(73)는, 모두 차단 상태로 된다.
이상으로, 스텝 S1의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S2>
스텝 S1에 이어서 행해지는 스텝 S2에서는, 자기 카트리지의 파지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는, 파지 기구부(60)가 구비하는 제2 모터(61)를 가동시켜, 자기 카트리지를 파지한다.
<스텝 S3>
스텝 S2에 이어서 행해지는 스텝 S3에서는, 자기 카트리지의 기록 재생부(21)에의 반송이 행해진다.
자기 카트리지를 기록 재생부(21)에 반송하기 위해, 제어부(100)는, 우선, 파지 기구부(60)의 Y 방향의 위치를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위치가 되도록 제1 모터(31)에 명령을 내린다. 파지 기구부(60)를 제2 위치에 두는 것에 의해, 제2 클러치(73)가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달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파지 기구부(60)가, 도 19 중, 화살표 81로 나타내는 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 후, 제어부(100)는, 제1 클러치(72)의 샤프트 받이 부재(72b)가 제1 계합 샤프트(72a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제3 모터(71)를 가동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Y 이동 기구부(30)에 가동 명령을 내리고, 파지 기구부(60)의 Y 방향의 위치를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 위치로 한다. 파지 기구부(60)를 제1 위치에 두는 것에 의해 제1 클러치(72)가 도 12의 (a)나 도 12의 (b)에 도시한 상태로 되고, 전달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파지 기구부(60)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제3 모터(71)에 명령을 내리고, 파지 기구부(60)가 기록 재생부(21)의 카트리지 삽입구와 정면으로 마주보도록 파지 기구부(60)를 회동시킨다.
그 후, 제어부(100)는, 파지 기구부(60)의 Y 방향의 위치를 다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위치가 되도록 제1 모터(31)에 명령을 내린다. 그리고, 기록 재생부(21)의 앞까지 파지 기구부(60)를 이동시키도록 제3 모터(71)에 명령을 내린다.
그 후, 제어부(100)는, 도 20 중, 화살표 8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목표로 하는 기록 재생부(21)의 카트리지 삽입구의 Y 방향 위치까지 파지 기구부(60)를 상승시키도록 제1 모터(31)에 명령을 내린다.
이상으로, 스텝 S3의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S4>
스텝 S3에 이어서 행해지는 스텝 S4에서는, 기록 재생부(21)의 카트리지 삽입구에의 자기 카트리지의 삽입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는, 파지 기구부(60)가 구비하는 제2 모터(61)를 가동시켜, 파지하고 있는 자기 카트리지를 기록 재생부(21)의 카트리지 삽입구에 삽입한다.
<스텝 S5>
스텝 S4에 이어서 행해지는 스텝 S5에서는, 백업 작업이 행해진다. 제어부(100)는, 기록 재생부(21)에 백업 작업을 행하게 한다.
<스텝 S6>
스텝 S5에 이어서 행해지는 스텝 S6에서는, 자기 카트리지의 배출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는, 파지 기구부(60)가 구비하는 제2 모터(61)를 가동시켜, 자기 카트리지를 파지한다.
<스텝 S7>
스텝 S6에 이어서 행해지는 스텝 S7에서는, 자기 카트리지의 지정 격납부에의 반송이 행해진다. 즉, 자기 카트리지를 원래의 격납부로 되돌리는 동작이 행해진다.
자기 카트리지를 지정 격납부(21)에 반송하기 위해, 제어부(100)는, 우선, 파지 기구부(60)의 Y 방향의 위치를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위치가 되도록 제1 모터(31)에 명령을 내린다. 파지 기구부(60)를 제2 위치에 두는 것에 의해, 제2 클러치(73)가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달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파지 기구부(60)가 Z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 후, 제어부(100)는, 제1 클러치(72)의 샤프트 받이 부재(72b)가 제1 계합 샤프트(72a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제3 모터(71)를 가동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Y 이동 기구부(30)에 가동 명령을 내리고, 파지 기구부(60)의 Y 방향의 위치를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 위치로 한다. 파지 기구부(60)를 제1 위치에 두는 것에 의해 제1 클러치(72)가 도 12의 (a)나 도 12의 (b)에 도시한 상태로 되고, 전달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파지 기구부(60)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제3 모터(71)에 명령을 내리고, 파지 기구부(60)가 격납 선반(20)의 카트리지 삽입구와 정면으로 마주보도록 파지 기구부(60)를 회동시킨다.
그 후, 제어부(100)는, 파지 기구부(60)의 Y 방향의 위치를 다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위치가 되도록 제1 모터(31)에 명령을 내린다. 그리고, 지정 격납부의 카트리지 삽입구의 Z 방향 위치까지 파지 기구부(60)를 이동시키도록 제3 모터(71)에 명령을 내린다.
그 후, 제어부(100)는, 도 20 중, 화살표 8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정 격납부의 카트리지 삽입구의 Y 방향 위치까지 파지 기구부(60)를 상승시키도록 제1 모터(31)에 명령을 내린다.
이상으로, 스텝 S7의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S8>
스텝 S7에 이어서 행해지는 스텝 S8에서는, 자기 카트리지의 지정 격납부에의 격납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는, 파지 기구부(60)가 구비하는 제2 모터(61)를 가동시켜, 파지하고 있는 자기 카트리지를 지정 격납부 격납한다.
이상으로, 일련의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라이브러리 장치(1000)는, 구동 기구부(70)가 파지 기구부(60)의 Z 방향의 이동과 회동 동작을 행하기 위해, 케이스 내의 스페이스 효율이 향상되어,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부품을 삭감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구동 기구부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제3 모터(71) 등, 구동 기구부(70)의 주요한 구성 요소는, 베이스부(50)의 측방에 배치하고 있다. 즉, 파지 기구부(60)를 Z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파지 기구부(6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베이스부(50) 상에 탑재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베이스부(50) 상에 탑재되는 구조물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격납 선반의 하부, 즉, 바닥판부(10a)에 가까운 위치의 격납부까지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위치에서 제1 클러치(72)가 전달 상태로 되고, 제2 위치에서 제2 클러치(73)가 전달 상태로 되지만, 제1 위치에서 제2 클러치(73)가 전달 상태로 되고, 제2 위치에서 제2 클러치가 전달 상태로 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 내에 설치되는 격납 선반(20)과 기록 재생부(21)는, 90° 회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양자가 병렬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도 상정된다. 이와 같은 경우, 파지 기구부(60)의 회동 동작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클러치(72)를 제거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X 방향의 이동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는, X 방향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제3 모터(71)의 회전의 전달 및 차단을 행하는 다른 클러치를 장비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3 모터(71)는, 케이스(10)의 바닥판부(10a) 상에 배치되어 있지만, 바닥판부(10a)에 매립하도록 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반송 장치(150)는, 정보 기록 매체인 카트리지를 반송 대상물로 하고 있지만, 반송 장치(150)는, 다른 반송 대상물에 대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10 : 케이스
10a : 바닥판부
11 : 가이드 샤프트
12 : 가이드 샤프트
20 : 기록 매체 수납 선반
21 : 기록 재생부
22 : 서버
30 : 수직 이동 기구부
31 : 제1 모터
60 : 매체 파지 기구부
61 : 제2 모터
70 : 구동 기구부
71 : 제3 모터
72 : 제1 클러치
73 : 제2 클러치
100 : 제어부
150 : 매체 반송 장치
1000 : 라이브러리 장치
10a : 바닥판부
11 : 가이드 샤프트
12 : 가이드 샤프트
20 : 기록 매체 수납 선반
21 : 기록 재생부
22 : 서버
30 : 수직 이동 기구부
31 : 제1 모터
60 : 매체 파지 기구부
61 : 제2 모터
70 : 구동 기구부
71 : 제3 모터
72 : 제1 클러치
73 : 제2 클러치
100 : 제어부
150 : 매체 반송 장치
1000 : 라이브러리 장치
Claims (9)
- 반송 대상을 파지하는 파지 기구부와,
상기 파지 기구부가 탑재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제1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포함하는 면내에서 상기 파지 기구부를 동작시키는 구동 기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부는, 모터와,
상기 파지 기구부를 회동시키는 회동 수단과,
상기 파지 기구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 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파지 기구부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제1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파지 기구부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제2 클러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부는, 모터와,
상기 파지 기구부를 회동시키는 회동 수단과,
상기 파지 기구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 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파지 기구부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제1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파지 기구부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제2 클러치를 구비하고,
승강 이동하는 상기 베이스부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클러치가 전달 상태로 됨과 함께 상기 제2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되고,
승강 이동하는 상기 베이스부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되고, 상기 제2 클러치가 전달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방에 배치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러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방에 배치되는 풀리(pulley)와, 상기 풀리에 세워 설치됨과 함께 제1 계합부가 설치된 제1 계합 샤프트(engagement shaft)와, 상기 제1 계합부가 계합됨과 함께, 상기 파지 기구부에 설치되는 샤프트 받이 부재(shaft receiving member)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클러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방에 배치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세워 설치됨과 함께 제2 계합부가 설치된 제2 계합 샤프트와, 상기 제2 계합부가 계합되는 계합 구멍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계합 구멍보다도 상측에 상기 제2 계합부와의 계합이 해제되는 자유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 기구부를 이동시키는 회전 전달 수단이 설치된 샤프트 받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정보 기억 매체가 격납되는 격납 선반과,
상기 정보 기록 매체를 파지하는 파지 기구부와,
상기 파지 기구부가 탑재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제1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포함하는 면내에서 상기 파지 기구부를 동작시키는 구동 기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부는, 모터와,
상기 파지 기구부를 회동시키는 회동 수단과,
상기 파지 기구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 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파지 기구부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제1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파지 기구부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제2 클러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부는, 모터와,
상기 파지 기구부를 회동시키는 회동 수단과,
상기 파지 기구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 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파지 기구부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제1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파지 기구부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제2 클러치를 구비하고,
승강 이동하는 상기 베이스부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클러치가 전달 상태로 됨과 함께 상기 제2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되고,
승강 이동하는 상기 베이스부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되고, 상기 제2 클러치가 전달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부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판부에 배치된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067261A JP4772886B2 (ja) | 2009-03-19 | 2009-03-19 | 搬送装置及びライブラリ装置 |
JPJP-P-2009-067261 | 2009-03-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5490A true KR20100105490A (ko) | 2010-09-29 |
Family
ID=42737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4164A Abandoned KR20100105490A (ko) | 2009-03-19 | 2010-03-18 | 반송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529182B2 (ko) |
JP (1) | JP4772886B2 (ko) |
KR (1) | KR20100105490A (ko) |
CN (1) | CN101840714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924105B2 (ja) * | 2012-05-07 | 2016-05-25 | 富士通株式会社 | ライブラリ装置 |
CN104778431A (zh) * | 2015-04-22 | 2015-07-15 | 成都博智维讯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全自动输送书店扫描器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82565A (en) * | 1971-12-23 | 1974-01-01 | J Doran | Automated handling system for container held material |
US3809259A (en) * | 1973-02-26 | 1974-05-07 | Kenway Eng Inc | Handle engaging tote pan retractor |
JP2961747B2 (ja) * | 1989-04-27 | 1999-10-12 | ソニー株式会社 |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
JPH06111439A (ja) * | 1992-09-30 | 1994-04-22 | Yonezawa Nippon Denki Kk | カートリッジ磁気テープ装置 |
JP3531460B2 (ja) * | 1998-03-19 | 2004-05-3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磁気記録再生装置 |
JP3615051B2 (ja) | 1998-05-06 | 2005-01-26 | 株式会社新興製作所 | 通帳等の繰出し装置 |
JP2000306301A (ja) | 1999-04-21 | 2000-11-02 | Sony Corp | 部材方向転換・搬送装置 |
JP3389180B2 (ja) | 1999-12-08 | 2003-03-24 | 米沢日本電気株式会社 | ライブラリ装置 |
JP2002175654A (ja) | 2000-12-07 | 2002-06-21 | Sony Corp | 記録媒体交換式記録再生装置 |
JP2003305681A (ja) | 2002-04-15 | 2003-10-28 | Mitsubishi Heavy Ind Ltd | ロボットハンド |
JP3634329B2 (ja) * | 2002-08-09 | 2005-03-30 | 株式会社ケンウッド | 記録媒体再生装置 |
US7101139B1 (en) * | 2003-05-06 | 2006-09-05 | Benedict Charles E |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with motorized transfer vehicles |
JP2005209312A (ja) * | 2004-01-26 | 2005-08-0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ディスク保持装置及び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装置 |
JP4268156B2 (ja) * | 2005-07-08 | 2009-05-27 | 富士通株式会社 | ライブラリ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
KR100815176B1 (ko) * | 2005-09-28 | 2008-03-19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멀티포트 메모리 장치 |
US7522373B2 (en) * | 2005-10-27 | 2009-04-2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Burst communications via a bus bar and bus bar relay for an automated data storage library |
DE102005054560B3 (de) * | 2005-11-14 | 2007-05-10 | Bdt Ag |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einen ausrichtbaren Bardcode-Scanner |
-
2009
- 2009-03-19 JP JP2009067261A patent/JP477288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03-03 US US12/716,625 patent/US852918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3-18 CN CN201010138229.3A patent/CN101840714A/zh active Pending
- 2010-03-18 KR KR1020100024164A patent/KR20100105490A/ko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772886B2 (ja) | 2011-09-14 |
JP2010218666A (ja) | 2010-09-30 |
US8529182B2 (en) | 2013-09-10 |
US20100238589A1 (en) | 2010-09-23 |
CN101840714A (zh) | 2010-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725796B (zh) | 库装置用盒架以及库装置 | |
EP1033709B1 (en) | Automatic splaying picker finger | |
JP5983045B2 (ja) | ライブラリ装置 | |
US9601150B1 (en) | Media library including storage media retrieval assembly | |
JPWO2009041375A1 (ja) | 収納セル及びマガジン | |
US8453168B2 (en) | Disk drive having a tray lock releasing unit and a method of releasing a tray lock using the tray lock releasing unit | |
JP2003196901A (ja) |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ライブラリ装置 | |
KR20100105490A (ko) | 반송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 | |
US20040117807A1 (en) | Disk drive device | |
JP5402937B2 (ja) | ライブラリ装置とライブラリ装置の棚移動方法 | |
JP4305505B2 (ja) | 収納装置、支持手段移動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 |
CN102376331B (zh) | 盘片库装置 | |
JP5065937B2 (ja) |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装置のトレイ搬出方法 | |
JP5863535B2 (ja) | ライブラリ装置 | |
JP4771008B2 (ja) | ライブラリ装置、ライブラリシステムおよびライブラリ装置の媒体搬送方法 | |
JP5035274B2 (ja) |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装置 | |
JP2009205745A (ja) |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の駆動切換装置 | |
JP4285327B2 (ja) | ディスク装置 | |
EP1691365A2 (en) | Compact picker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ed storage libraries | |
JP2008146703A (ja) | 収納装置、支持手段移動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 |
EP1365407A1 (en) | Disk drive device | |
JP4278453B2 (ja) | ディスクプレーヤ | |
US20070074232A1 (en) | Auto loading device for data storage cartridges | |
KR200262072Y1 (ko) | 디스크 플레이어 | |
JP2009205746A (ja) |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5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