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327A - Fluorescent lamp unit - Google Patents
Fluorescent lamp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3327A KR20100103327A KR1020090070730A KR20090070730A KR20100103327A KR 20100103327 A KR20100103327 A KR 20100103327A KR 1020090070730 A KR1020090070730 A KR 1020090070730A KR 20090070730 A KR20090070730 A KR 20090070730A KR 20100103327 A KR20100103327 A KR 201001033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lector
- point
- pair
- fluorescent lamp
- curva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66 de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5—Reflectors for light sources with an elongated shape to cooperate with linear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bending, e.g. snap joi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9—Mounting arrangements for attaching lighting devices to the ceiling, the lighting devices being recessed in a false or stretched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46—Optical design with involute curv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체의 케이싱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발광 동작하는 한 쌍의 형광등을 가지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와 케이싱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의 빛을 외부의 대상 공간에 반사시키며 절곡된 플랜지를 가지는 반사갓을 포함하는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와 반사갓 사이에 상기 조명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소정 곡률로 만곡된 상태로 구비되는 반사체를 가지는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체는, 상기 형광등 각각에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형광등의 중심을 기준으로 이격 거리의 절반 부위에 대응되는 수직축과 상기 한 쌍의 형광등 중 어느 하나의 발광체의 외경 상측에 대응되는 수평축이 만나는 부위로 상기 반사면의 일단이 위치되는 제1점, 상기 한 쌍의 형광등 중 어느 하나의 중심축과 상기 반사갓의 하측면이 만나는 부위로 상기 기점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반사면의 일단이 위치되는 제2점 및 상기 한 쌍의 형광등 중 어느 하나의 외경 하측과 상기 플랜지가 만나는 부위로 상기 중간점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반사면의 타단이 위치되는 제3점을 순차적으로 지나는 곡률(또는 원호 길이)을 가지는 형광등기구가 제공된다.It includes a lighting unit having a pair of fluorescent lamp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ing of the main body to emit light, and a reflector having a bent flange provided between the lighting unit and the casing to reflect the light of the lighting unit to the external target space A fluorescent lamp comprising: a reflector having a reflector provided between the lighting unit and the reflector in a curved stat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based on a central portion of the lighting unit, wherein the reflector is formed to have the same curvature on each of the fluorescent lamps an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One end of the reflective surface is a portion where a vertical axis corresponding to a half portion of the separation distance based on the center of the pair of fluorescent lamps and a horizontal axis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upper side of any one of the pairs of fluorescent lamps meet. The first point, the central axis of any one of the pair of fluorescent lamps and the lower of the reflection shade A second point at which one end of the reflective surface extending from the starting point is located as a site where the surface meets, and an outer side lower side of any one of the pair of fluorescent lamps and the flange where the flange meets the portion of the reflective surface extending from the midpoint There is provided a fluorescent lamp having a curvature (or arc length) that sequentially passes through a third point at which the other end is loc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사물질이 도금 또는 증착된 반사부가 조명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소정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조명부와 대면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조명부로부터 발생된 빛의 반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광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orescent light fixture, and more particularly, a reflector plated or deposited with a reflective material has a curved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with respect to a central portion of the lighting unit, and is disposed to face the light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orescent lamp that can improve reflection efficiency.
일반적으로 형광등기구는 전원에 연결되어 발광되는 조명부재의 빛을 대상 물체 또는 대상 공간에 조사할 수 있는 장치이다. In general, the fluorescent lamp is a device that can be irradiated to the target object or the target space light of the lighting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to emit light.
이러한 형광등기구는 전원과 연결되어 발광하는 조명부재와, 상기 조명부재 주변을 감싸는 덮개 등과 같은 반사갓으로 구성되며, 상기 반사갓은 상기 조명부재를 소정면적으로 넓게 덮어 상기 조명부재에서 발생되는 빛을 일정량 반사시키도록 위치 고정된다. The fluorescent lamp is composed of a lighting member connected to a power source to emit light, and a reflection shade such as a cover surrounding the lighting member, and the reflection shade covers the lighting member in a predetermined area to reflect a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ing member. Position is fixed.
그러나 종래의 형광등기구에 의하면, 상기 조명부재 주변을 감싸는 덮개 즉, 반사갓은 상기 조명부재와 대면되는 면이 상기 조명부재에 대해 평면 또는 절곡면을 가지게 되어 상기 평면 또는 절곡면으로 입사되는 상기 조명부재의 빛은 상기 절곡면에서 난반사되어 상쇄 간섭 등에 의한 소멸 등으로 반사효율이 떨어져 조명 부재의 작동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fluorescent light fixture, the cover surrounding the lighting member, that is, the reflection shade is the illumination member which is incident on the plane or bent surface to the surface facing the lighting member has a flat or ben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lighting member Light is diffusely reflected at the bent surface and the reflection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extinction due to destructive interference or the like, which causes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lighting member to decrease.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형광등기구에 적용되는 반사갓은 통상적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는 금속 판넬의 일면 즉, 상기 조명부재에 대면되는 면에 반사물질을 코팅하거나 부가적인 반사판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어, 제조상이나 제품 부착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코팅 물질인 경우에도 일정기간 경과시 변질 등으로 인하여 조명도가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금속 판넬 또는 반사판을 교체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flection shade applied to the conventional fluorescent lamp as described above is typically used to install a reflective material or an additional reflector plate on one surface of the metal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lighting member. However, in addition to inconvenient when attaching the product, even in the case of a general coating materi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llumination degree is lowered due to deteriora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ch causes a high cost to replace the metal panel or the reflector.
또한, 상기와 같은 반사물질 즉, 알루미늄이나 크롬 및 광반사 코팅액 등이 구비되지 않은 반사갓을 이용하는 형광등기구의 경우 반사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형광등기구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fluorescent lamp using a reflector which is not provided with the above reflective material, that is, aluminum, chromium, and a light reflection coating solution, it is troublesome to replace the entire fluorescent lamp for improving reflection ef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사물질이 도금된 반사부재가 조명부재와 반사갓 사이에 상기 조명부재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소정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조명부재와 대면되게 배치되어 상기 조명부재로부터 발생된 빛의 난반사를 최소화 하여 반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광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flective member plated with a reflective material has a curved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based on the center of the lighting member between the lighting member and the reflection shade and is disposed to face the lighting member and is generated from the lighting member. It is to provide a fluorescent lamp that can improve the reflection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diffuse reflection of ligh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사물질이 도금된 반사부재가 조명부재와 반사갓 사이에 구비되도록 하여 도금물질이 구비되지 않은 반사갓을 교체하지 않고도 반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광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uorescent light fixture that can improve the reflection efficiency without replacing the reflector is not provided with a plating material by providing a reflective member plated with a reflective material between the lighting member and the reflection shad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반사부재가 두께가 얇은 박막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반사부재의 다양한 곡률 가변을 통하여 최적의 반사효율을 가지도록 할 수 있는 형광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uorescent light fixture that can have an optimal reflection efficiency through the variable curvature of the reflective member so that the reflective member has a thin film form.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박막형태의 반사부재가 조명부재와 반사갓 사이에 구비시 상기 반사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통하여 상기 반사부재의 곡률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하여 반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광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reflection efficiency by stably fixing the curvature of the reflective member through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reflective member when the reflective member of the thin film form is provided between the lighting member and the reflection shade. It is to provide a fluorescent light fixture that can be.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케이싱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발광 동작하는 한 쌍의 형광등을 가지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와 케이싱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의 빛을 외부의 대상 공간에 반사시키며 절곡된 플랜지를 가지는 반사갓을 포함하는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와 반사갓 사이에 상기 조명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소정 곡률로 만곡된 상태로 구비되는 반사체를 가지는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체는, 상기 형광등 각각에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형광등의 중심을 기준으로 이격 거리의 절반 부위에 대응되는 수직축과 상기 한 쌍의 형광등 중 어느 하나의 발광체의 외경 상측에 대응되는 수평축이 만나는 부위로 상기 반사면의 일단이 위치되는 제1점, 상기 한 쌍의 형광등 중 어느 하나의 중심축과 상기 반사갓의 하측면이 만나는 부위로 상기 기점으로부터 연 장된 상기 반사면의 일단이 위치되는 제2점 및 상기 한 쌍의 형광등 중 어느 하나의 외경 하측과 상기 플랜지가 만나는 부위로 상기 중간점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반사면의 타단이 위치되는 제3점을 순차적으로 지나는 곡률(또는 원호 길이)을 가지는 형광등기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ing unit having a pair of fluorescent lamp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ing of the main body to emit light, and a flange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lighting unit and the casing to reflect the light of the lighting unit to an external object space and is bent. A fluorescent lamp comprising a reflector having: a reflector having a reflector provided in a curved state between the lighting unit and the reflector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ighting unit, wherein the reflector has the same curvature for each of the fluorescent lamps It is formed so as to be symmetrical, the half of the vertical axis corresponding to the half of the separation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air of fluorescent lamps and the horizontal axi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outer diameter of any one of the pair of fluorescent lamps meet the half A first point at which one end of a slope is positioned, and a central axis of any one of the pair of fluorescent lamps A second point where one end of the reflective surface extending from the starting point is positioned as a portion where the lower side of the reflecting shade meets, and an outer diameter lower side of any one of the pair of fluorescent lamps and a portion where the flange meets extending from the intermediate point A fluorescent lamp having a curvature (or arc length)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a third point at which the other end of the reflective surface is located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케이싱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발광 동작하는 한 쌍의 형광등을 가지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와 케이싱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의 빛을 외부의 대상 공간에 반사시키며 절곡된 플랜지를 가지는 반사갓을 포함하는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와 반사갓 사이에 구비되는 유연한(Flexible) 재질의 박막 형태로 이루어진 반사체를 가지는 반사부와; 상기 조명부와 반사갓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형광등 각각에 동일한 곡률을 가지며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형광등의 중심을 기준으로 이격 거리의 절반 부위에 대응되는 수직축과 상기 한 쌍의 형광등 중 어느 하나의 발광체의 외경 상측에 대응되는 수평축이 만나는 부위로 상기 반사면의 일단이 위치되는 제1점, 상기 한 쌍의 형광등의 중심축과 상기 반사갓의 하측면이 만나는 부위로 상기 기점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반사면의 일단이 위치되는 제2점 및 상기 한 쌍의 형광등의 외경 하측과 상기 플랜지가 만나는 부위로 상기 중간점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반사면의 타단이 위치되는 제3점을 순차적으로 지나는 곡률(또는 원호 길이)을 가지도록 만곡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반사체가 삽입되는 반사체삽입구와, 상기 형광등의 양단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상기 반사체삽입구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반사체삽입구가 상기 조명부와 반사갓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반사체지지대로 구성된 반사체지지부를 포함하는 형광등기구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ing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air of fluorescent lamps for emitting light, and provided between the lighting unit and the casing is reflected by bending the light of the lighting unit to the external target space A fluorescent lamp comprising a reflector having a flange, comprising: a reflector having a reflector made of a thin film of a flexible material provided between the lighting unit and the reflector; Positioned between the lighting unit and the reflector, and having the same curvature and symmetry in each of the fluorescent lamps, the vertical axis corresponding to the half of the separation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air of fluorescent lamps and any one of the pair of fluorescent lamps A first point at which one end of the reflective surface is positioned at a portion where a horizontal axis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upper side of a light emitting body is met, a reflection surface extending from the origin at a portion where the central axis of the pair of fluorescent lamps meets a lower side of the reflection shade; Curvature (or arc length) which passes sequentially through the 2nd point where one end of is located, and the 3rd point where the other end of the said reflection surface extended from the said intermediate point is located in the site where the outer diameter lower side of the said pair of fluorescent lamps and the said flange meet. And a reflector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reflector is inserted inward and curved at both ends of the fluorescent lamp And a reflector support portion positioned inside the reflector insertion hole and supporting the reflector insertion hole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lighting unit and the reflecto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케이싱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발광 동작하는 한 쌍의 형광등을 가지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와 케이싱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의 빛을 외부의 대상 공간에 반사시키며 절곡된 플랜지를 가지는 반사갓을 포함하는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와 반사갓 사이에 구비되는 유연한(Flexible) 재질의 박막 형태로 이루어진 반사체를 가지는 반사부와; 상기 조명부와 반사갓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형광등 각각에 동일한 곡률을 가지며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형광등의 중심을 기준으로 이격 거리의 절반 부위에 대응되는 수직축과 상기 한 쌍의 형광등 중 어느 하나의 발광체의 외경 상측에 대응되는 수평축이 만나는 부위로 상기 반사면의 일단이 위치되는 제1점, 상기 한 쌍의 형광등의 중심축과 상기 반사갓의 하측면이 만나는 부위로 상기 기점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반사면의 일단이 위치되는 제2점 및 상기 한 쌍의 형광등의 외경 하측과 상기 플랜지가 만나는 부위로 상기 중간점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반사면의 타단이 위치되는 제3점을 순차적으로 지나는 곡률(또는 원호 길이)을 가지도록 만곡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반사체가 해당 곡률을 가지며 삽입되고 상기 형광등의 양단에 끼워진 상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반사체지지캡을 가지는 형광등기구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ing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air of fluorescent lamps for emitting light, and provided between the lighting unit and the casing is reflected by bending the light of the lighting unit to the external target space A fluorescent lamp comprising a reflector having a flange, comprising: a reflector having a reflector made of a thin film of a flexible material provided between the lighting unit and the reflector; Positioned between the lighting unit and the reflector, and having the same curvature and symmetry in each of the fluorescent lamps, the vertical axis corresponding to the half of the separation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air of fluorescent lamps and any one of the pair of fluorescent lamps A first point at which one end of the reflective surface is positioned at a portion where a horizontal axis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upper side of a light emitting body is met, a reflection surface extending from the origin at a portion where the central axis of the pair of fluorescent lamps meets a lower side of the reflection shade; Curvature (or arc length) which passes sequentially through the 2nd point where one end of is located, and the 3rd point where the other end of the said reflection surface extended from the said intermediate point is located in the site where the outer diameter lower side of the said pair of fluorescent lamps and the said flange meet. And the reflector is inserted with the curvature inside and fitted to both ends of the fluorescent lamp. Provided is a fluorescent lamp having a pair of reflector support caps provided in a state.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반사체지지캡 사이의 제1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워져 상기 반사체의 중앙부위가 지지되는 'Y'자 또는 'V'자 형상의 반사체고정대로 구성된 반사체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ncludes a reflector fixing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int between the pair of reflector support cap is configured as a 'Y' or 'V' shaped reflector fixing to support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flector desirable.
또한, 상기 반사체지지캡의 하측 내부에 끼워지며 상기 제3점에 대응되는 부 분에 상기 반사체가 삽입되기 위한 반사체삽입홈이 형성된 투광판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light transmitting panel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reflector support cap and formed with a reflector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reflector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point.
따라서 상술한 바에 따르면, 반사물질이 도금된 반사체가 형광등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소정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거나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형광등과 대면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형광등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반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reflector plated with the reflective material has a curved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luorescent lamp or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disposed to face the fluorescent lamp to reflec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fluorescent lamp.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반사체가 제1점 내지 제3점을 지나는 곡률을 가지는 반사체지지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반사체의 곡률 형성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조립 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상기 반사체가 항상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하여 조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lector is inserted into the reflector support having a curvature passing through the first point to the third point,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curvature forming of the reflector separately so that the assembling work is easier and the reflector always has a constant curvature. The light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반사체가 제1점 내지 제3점에 대응되는 위치를 가지는 반사체고정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형광등들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반사효율을 향상되도록 하는 만곡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flector is provided in the reflector fixing part havi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ird points, the curved state for improving the reflection efficiency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fluorescent lamps can be maintained stably.
또한, 상기 반사체가 삽입되는 반사체고정부가 투광판넬을 통하여 형광등의 하측을 밀폐하는 밀폐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형광등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형광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flector fixing portion into which the reflector is inserted is formed in a hermetically sealed type sealing the lower side of the fluorescent lamp through the floodlight panel, the aesthetic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luorescent lamp can be improved and the fluorescent lamp can be protected from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형광등기구의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형광등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uorescent light fix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fluorescent light fixture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uorescent light fixture of Figure 1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기구는, 본체의 케이싱(C)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발광 동작하는 조명부(110), 상기 조명부(110)와 케이싱(C)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110)의 빛을 외부의 대상 공간에 반사시키는 반사갓(120), 상기 조명부(110)와 반사갓(120) 사이에 상기 조명부(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소정 곡률로 만곡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조명부(110)와 대면되는 면을 통하여 상기 조명부(110)에서 발생된 빛을 대상 물체 또는 대상 공간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130) 및 상기 반사부(130)의 곡률 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시키는 그립부(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fluorescent light fix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ing (C) of the main body, the
상기 조명부(110)는, 상기 케이싱(C)의 하측 브라켓 근처에 구비된 고정소켓(111)을 통하여 탈착 구비되는 형광등(112)을 포함하며, 상기 형광등(112)은, 상기 고정소켓(111)에 연결된 외부의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 아 빛을 발광시킨다.The
여기서, 상기 형광등(112)은 상기 케이싱(C)의 하측부에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케이싱(C)의 내부에는 상기 형광등(112)에 안정적인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공지의 안정기 등과 같은 동작전원부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상기 반사갓(120)은, 금속 판넬로 제작된 일종의 반사판 덮개로, 상기 케이싱(C)의 하측부에 절곡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조명부(110)의 형광등(112)의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케이싱(C)의 하측부에 상기 케이싱(C)의 양측으로 절곡된 플랜지(121)를 포함한다.The
상기 반사부(130)는, 유연한(Flexible) 재질의 박막 형태로 이루어진 용이한 변형이 가능한 반사체(131)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체(131)는 상기 형광등(11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소정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이룬다.The
여기서, 상기 반사체(131)는 상기 형광등(112)이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형광등(112) 각각에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체(131)는 사전에 열변형 등을 통하여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반사체(131)의 중앙부위를 접은 후 상기 중앙부위가 한 쌍의 형광등(112) 사이의 상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중앙부위에 대응되는 양단이 각각 한 쌍의 형광등(112)의 일측에 후술된 그립부(140)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소정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게 된다.Here, when the
따라서 상기 반사체(131)에 의하면, 상기 형광등(112)과 대면되는 반사면에 은이나 크롬 등과 같은 반사물질이 도금 또는 증착되어 상기 형광등(112)에서 발생 된 빛을 대상 물체 또는 대상 공간으로 반사시킬 수 있고, 상기 반사면이 형광등(11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소정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반사면이 형광등(112)에 대하여 평면 또는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것 보다 반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조명부(110)의 조명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또한, 상기 반사체(131)는, 상기 형광등(112)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상기 반사면에 집중 반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반사면이 소정 곡률을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10)와 반사갓(120)의 사이 공간에 제1점(1p) 내지 제3점(3p)이 연결된 타원 내지 원호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제1점(1p)은, 상기 한 쌍의 형광등(112)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수직축과 상기 한 쌍의 형광등(112) 중 어느 하나의 발광체의 외경 상측에 대응되는 수평축이 만나는 부위로 상기 반사면의 일단이 위치되는 기점(基点)이다. 이때, 상기 제1점(1p)은, 상기 형광등(112)의 중심축으로부터 8 내지 15 mm 정도 높이를 가지는 것이 좋다.Here, the first point 1p is a portion where the ver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air of
또한, 상기 제2점(2p)은, 상기 한 쌍의 형광등(112) 중 일측의 중심축과 상기 반사갓(120)의 하측면이 만나는 부위로 상기 기점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반사면의 일단이 위치되는 중간점(中間点)이다. 이때, 상기 제2점(2p)은, 상기 형광등(112)의 중심점으로부터 15 내지 23 mm 정도 높이를 가지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second point 2p is a portion where the central axis of one side of the pair of
또한, 상기 제3점(3p)은, 상기 한 쌍의 형광등(112) 중 어느 하나의 외경 하측과 상기 반사갓(120)의 플랜지(121)가 만나는 부위로 상기 중간점으로부터 연장 된 상기 반사면의 타단이 위치되는 종점(終点)이다. 이때, 상기 제3점(3p)은, 상기 형광등(112)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진다.In addition, the third point 3p is a portion where the outer diameter lower side of any one of the pair of
따라서 상기 반사체(131)는, 상기 반사면이 상기 한 쌍의 형광등(112)의 중심을 기준으로 이격 거리의 절반 부위에 대응되는 수직축과 상기 한 쌍의 형광등(112) 중 어느 하나의 발광체의 외경 상측에 대응되는 수평축이 만나는 부위로 상기 반사면의 일단이 위치되는 제1점(1p)과, 상기 한 쌍의 형광등(112) 중 어느 하나의 중심축과 상기 반사갓(120)의 하측면이 만나는 부위로 상기 기점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반사면의 일단이 위치되는 제2점(2p)과, 상기 한 쌍의 형광등(112) 중 어느 하나의 외경 하측과 상기 플랜지(121)가 만나는 부위로 상기 중간점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반사면의 타단이 위치되는 제3점(3p)을 순차적으로 지나는 곡률(또는 원호 길이)을 가짐으로써, 한 쌍으로 구비된 형광등(112)들로부터 발생되는 빛에 의한 난반사가 방지되어 넓은 범위를 조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여기서, 상기 반사체(131)의 반사면이 제1점(1p) 내지 제3점(3p)을 순차적으로 지나는 곡률(또는 원호 길이)을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131)는, 상기 3개의 기준점 중 어느 한 점을 고정시킨 후 다른 두 개의 점을 가변시켜 소정 곡률을 이루도록 하거나, 상기 3개의 기준점 중 두 개의 점을 고정시킨 후 다른 하나의 점을 가변시켜 소정 곡률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변되는 기준점은 모두 해당 지점의 위치를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즉, 상기 제1점(1p)과 제2점(2p)의 높이가 해당 범위 보다 높거나 낮게 위치되는 경우, 난반사로 인한 빛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해당 부 위 즉, 상기 제2점(2p)에 대응된 반사면의 부위가 어두워지게 되어 반사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Here, in the case where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그러므로 상기 반사체(131)는, 상기 제1점(1p) 내지 제3점(3p)을 순차적으로 지나는 곡률을 유지하는 경우에 한 쌍으로 구비된 형광등(112)들로부터 발생되는 빛에 의한 난반사가 방지되어 넓은 범위를 집중 조명할 수 있다. Therefore, the
상기 그립부(140)는, 상기 반사체(131)의 반사면이 상기 조명부(110)와 반사갓(120)의 사이 공간에 소정 곡률로 만곡된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반사갓(120)의 플랜지(121)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반사체(131)의 일단이 플랜지(121)에 결합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그립(141,142)을 가진다.The
상기 한 쌍의 그립(141,142)의 각 일측은 상기 플랜지(121)와 반사체(131)의 두께 합 보다 작은 소정의 크기만큼 서로 이격되고, 각 타측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그립(141,142)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그립(141,142)은 모두 탄성을 가진다. Each side of the pair of
상기와 같은 그립부(140)의 그립(141,142)에 의해 상기 반사체(131)가 플랜지(121)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ocess of coupling the
먼저, 상기 한 쌍의 그립(141,142)의 벌어진 측을 통해 상기 반사체(131)와 플랜지(121)가 삽입될 때, 외부로부터 가해진 외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그립(141,142) 사이가 이격되고 상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반사체(131)의 일단 즉, 상기 중앙부위에 대향되는 면과 플랜지(121)가 삽입된다. First, when the
이때, 상기 한 쌍의 그립(141,142)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탄성을 가지는 그립에 복원력이 축적되게 된다.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pair of
이후, 상기 반사체(131)와 플랜지(121)가 상기 한 쌍의 그립(141,142)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의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한 쌍의 그립(141,142) 중 적어도 하나에 축적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그립(141,142)은 원상태로 복귀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그립(141,142)의 탄성에 의해 상기 반사체(131)와 플랜지(121)가 조여지게 되어 상기 반사체(131)가 플랜지(121)에 안정적으로 결합 지지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while the
상기와 같이, 탄성을 가진 그립부(140)의 그립(141,142)에 의해 상기 반사체(131)가 플랜지(121)에 조임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반사체(131)의 반사면이 소정 곡률로 만곡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하면서 상기 형광등(112)과 반사부(130)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도록 하여 조명부(110)의 조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또한, 탄성을 가진 그립부(140)의 그립(141,142)에 의해 상기 반사체(131)가 플랜지(121)에 조임 결합 또는 탈거됨에 따라 상기 반사체(131)와 플랜지(121)의 결합 또는 해제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상기 반사체(131)의 설치작업과 교체 등에 따른 유지보수 작업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또한, 상기 한 쌍의 그립(141,142)은, 상기 반사체(131)와 플랜지(121)의 조임 결합시 상기 반사체(131)의 표면이 미끄러운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그립(141,142)이 결합 위치로부터 슬립(slip)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그립(141)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2 그립(142)의 내면에 형성되는 슬립방지턱(143)과 제2 그립(142)의 일단에 상기 제2 그립(142)의 곡률 각도에 대향되는 각도로 연장되는 결합플랜지(144)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air of
상기 제2 그립(142)에 형성되는 슬립방지턱(143)은, 상기 반사체(131)와 플랜지(121)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그립(141) 측으로는 플랜지(121)만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그립(142) 측으로는 상기 반사체(131)만이 위치되도록 한다. When the
따라서 상기 반사체(131)의 일단이 플랜지(121)의 일단 외부로 말려드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반사체(131)가 제1점(1p) 내지 제3점(3p)을 지나면서 상기 형광등(112)들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반사효율을 향상되도록 하는 만곡 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될 수 있다.Therefore, one end of the
상기 제2 그립(142)에 형성되는 결합플랜지(144)는, 상기 반사체(131)와 플랜지(121)가 끼워지는 경우 상기 제2 그립(142)의 내측으로 상기 반사체(131)의 일단이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As for the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그립(141,142) 중 제2 그립(142)의 내면에 슬립방지턱(143)이 형성되고 제2 그립(142)의 일단에 결합플랜지(144)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반사체(131)와 플랜지(121)의 조임 결합시 상기 반사체(131)의 곡률 변형이 방지되고 상기 반사체(131)가 미끄러운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그립(141,142)이 결합위치로부터 슬립(slip)되는 것이 방지되어 보다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기구를 나 타낸 분해사시도와 결합단면도이다. 4 and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uorescent light fixtur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는 상기 조명부(110)와 반사갓(120) 사이에 반사부(130)의 반사체(131)가 그립부(140)에 의해서 지지된 채 해당 곡률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그립부(140) 대신에, 상기 반사체(131)가 해당 곡률을 가지면서 상기 조명부(110)와 반사갓(120) 사이에 구비되는 경우 해당 곡률이 변화 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신속한 설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반사체지지부(150)를 더 포함한다.In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는 상기 반사체지지부(150)만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그립부(140)를 제외한 구성부와 동일한 구성과 도면부호를 가짐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상기 반사체지지부(15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Here,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reference numerals as the components except for the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반사체지지부(150)는, 상기 조명부(110)와 반사갓(12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점(1p) 내지 제3점(3p)을 연속적으로 지나는 곡률에 대응되도록 만곡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반사체(131)가 삽입되는 반사체삽입구(151)와, 상기 형광등(112)의 양단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상기 반사체삽입구(151)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반사체삽입구(151)가 상기 조명부(110)와 반사갓(120)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반사체지지대(152)를 포함한다.4 and 5, in the fluorescent lamp fixture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반사체삽입구(151)는, 상기 제1점(1p) 내지 제3점(3p)을 연속적으로 지나는 곡률에 대응되도록 만곡 형성된 몸체의 중앙부위와 양측단에 상기 제1점(1p)과 제3점(3p)에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반사체(131)가 해당 곡률을 가질 수 있도록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151a)을 포함한다. The
상기 반사체지지대(152)는, 상기 형광등(112)의 외경에 탄력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끼움편(152a)과 상기 끼움편(152a)의 상측에 연장되며 상기 반사체삽입구(151)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지지편(152b)을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지지편(152b)은,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체삽입구(151)의 제3점(3p)에 대응되는 위치의 삽입홈(151a)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해당 곡률로 연장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Here, the
또한, 상기 삽입홈(151a)과 지지편(152b)의 접촉부위에는 상호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돌기들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protrusions are formed at the contact portions of the
따라서 상기 반사체지지부(150)에 의하면, 상기 반사체(131)가 상기 반사체삽입구(151)의 내측에 해당 만곡 형상에 대응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반사체삽입구(151)의 내측면이 상기 형광등(112)에 끼움편(152a)을 통해 끼움 결합되는 반사체지지대(152)의 지지편(152b)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반사체(131)의 곡률 형성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조립 작업이 보다 용이하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반사체지지부의 반사체삽입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flector insertion opening of a reflector support in a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는 상기 반사체(131)가 끼움 결합된 반사체삽입구(151)가 상기 형광등(112)에 끼움 결합된 반사체지지대(152)를 통해서 형광등(112)의 상측부에 지지되도록 하고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형광등기구의 반사체지지부(150)에 의하면, 상기 반사체삽입구(151)의 상측부에 상기 반사갓(120)의 하측면을 천정 벽면 등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가 끼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151b)이 더 형성된다.In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따라서 상기 반사체지지부(150)에 의하면, 상기 반사체삽입구(151)가 반사체지지대(152)에 의해 지지되는 것 보다 더 안정적으로 반사갓(12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또한, 상기 반사체지지부(150)는, 상기 반사체삽입구(151)의 하측에 상기 제3점(3p)에 대응되는 부분이 끼워지기 위한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된 투광판넬(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상기 형광등(112)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형광등(112)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도 7과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결합단면도이다. 7 and 8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uorescent light fix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와 그 변형예는 상기 조명부(110)와 반사갓(120) 사이에 반사부(130)의 반사체(131)가 반사체지지부(150)에 의해서 지지된 채 해당 곡률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는, 상기 제2 실시예와 그 변형예의 반사체지지부(150) 대신에, 상기 반사체(131)가 해당 곡률을 가지면서 상기 조명부(110)와 반사갓(120) 사이에 구비되는 경우 해당 곡률이 변화 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신속한 설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반사체고정부(16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dification thereof, the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는 상기 반사체고정부(160)만 제외하고는, 상기 제2 실시예와 그 변형예의 구성부와 동일한 구성과 도면부호를 가짐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상기 반사체고정부(16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Here,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reference numerals as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its modifications except for the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반사체고정부(160)는, 상기 조명부(110)와 반사갓(120)의 사이에 상기 제1점(1p) 내지 제3점(3p)을 연속적으로 지나는 곡률에 대응되도록 만곡 형성되어 상기 반사체(131)가 해당 곡률을 가지며 삽입되며 상기 형광등(112)의 양단에 끼워진 상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반사체지지캡(161)과, 상기 한 쌍의 반사체지지캡(161) 사이의 제1점(1p)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워져 상기 반사체(131)의 중앙부위가 지지되는 'Y'자 또는 'V'자 형상의 쫄대 등과 같은 반사체고정대(16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in the fluorescent lamp fixture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반사체지지캡(161)은, 상기 반사체(131)의 일단을 고정 위치시켜 이탈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기 제1점(1p) 내지 제3점(3p)을 연속적으로 지나는 곡률에 대응되도록 만곡 형성된 몸체에 상기 형광등(112)의 일단이 끼워지는 형광등삽입공(161a)과 상기 반사체고정대(162)가 끼워지기 위한 고정대삽입홈(161b)을 포함한다. The
여기서, 상기 반사체지지캡(161)은 상기 제3점(3p)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반사체(131)가 삽입되기 위한 반사체삽입홈(161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따라서 상기 반사체고정부(160)에 의하면, 상기 형광등(112)의 양단이 반사체지지캡(161)의 형광등삽입공(161a)에 끼워진 상태에서 반사체지지캡(161)의 몸체 내측에 상기 반사체(131)가 삽입되며 상기 삽입된 반사체(131)의 중앙부위 즉, 제1점(1p)에 대응되는 반사체(131)가 위치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대삽입홈(161b)에 반사체고정대(162)가 끼워짐으로써,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반사체(131)의 곡률 형성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조립 작업이 보다 용이하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여기서, 상기 형광등(112)이 끼워지는 형광등삽입공(161a)의 내측에는 상기 형광등(112)에 끼움 결합될 때 상기 형광등(112)을 보호하기 위한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n elastic member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fluorescent
한편, 상기 반사체(131)가 상기 반사체지지캡(16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반사체고정대(162)의 설치는 생략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반사체고정대(162)가 끼워지는 고정대삽입홈(161b) 역시도 생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형광등기구의 반사체고정부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Fig. 9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the fixing part of the reflector of the fluorescent lamp fixture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는 상기 형광등(112)의 양단이 반사체지지캡(161)의 형광등삽입공(161a)에 끼워진 상태에서 반사체지지캡(161)의 몸체 내측에 상기 반사체(131)가 삽입되고 상기 반사체(131)의 중앙부위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대삽입홈(161b)에 반사체고정대(162)가 끼워지도록 하고 있으 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형광등기구의 반사체고정부(160)에 의하면, 상기 반사체지지캡(161)의 하측 내부에 끼워지며 상기 제3점(3p)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반사체(131)가 소정 곡률을 유지하며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 안내용 반사체삽입홈(163a)이 형성된 투광판넬(163)을 포함한다.In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상기 반사체지지캡(161)은, 상기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상기 제3점(3p)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반사체삽입홈(161c)이 생략되고 상기 반사체(131)의 일단을 고정 위치시켜 이탈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소정의 폭에 대응된 테두리 또는 플랜지만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투광판넬(163)이 상기 반사체지지캡(16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반사체고정대(162)의 설치는 생략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반사체고정대(162)가 끼워지는 고정대삽입홈(161b) 역시도 생략될 수 있다. Here, the
따라서 상기 반사체고정부(160)에 의하면, 상기 투광판넬(163)이 상기 반사체지지캡(161)의 하측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형광등(112)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형광등(112)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반사물질이 도금된 반사체(131)가 형광등(11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소정 곡률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거나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형광등과 대면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형광등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반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기 반사체(131)가 상기 제1점(1p) 내지 제3점(3p)을 지나는 곡률을 가지는 반사체지지부(15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반사체(131)의 곡률 형성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조립 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상기 반사체(131)가 항상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하여 조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반사체(131)가 상기 제1점(1p) 내지 제3점(3p)에 대응되는 위치를 가지는 반사체고정부(160)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형광등(112)들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반사효율을 향상되도록 하는 만곡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반사체(131)가 삽입되는 반사체고정부(160)가 투광판넬(163)을 통하여 형광등(112)의 하측을 밀폐하는 밀폐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형광등(112)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형광등(112)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기구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uorescent light fix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형광등기구의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fluorescent lamp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형광등기구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uorescent light fixture of FIG. 1;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결합단면도;4 and 5 are exploded perspective and combin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fluorescent light fixtur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형광등기구에 있어서 반사체지지부의 반사체삽입구를 나타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flector insertion opening of a reflector support in a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결합단면도; 및7 and 8 are exploded perspective and combin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fluorescent lamp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nd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형광등기구의 반사체고정부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Fig. 9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the fixing part of the reflector of the fluorescent lamp fixture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1890 | 2009-03-13 | ||
KR20090021890 | 2009-03-1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3327A true KR20100103327A (en) | 2010-09-27 |
Family
ID=430081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0732A KR101169776B1 (en) | 2009-03-13 | 2009-07-31 | fluorescent lamp unit |
KR1020090070730A KR20100103327A (en) | 2009-03-13 | 2009-07-31 | Fluorescent lamp unit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0732A KR101169776B1 (en) | 2009-03-13 | 2009-07-31 | fluorescent lamp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116977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951Y1 (en) * | 2013-01-11 | 2013-07-12 | 주식회사 브이테크놀로지 | Separable reflection shade of fluorescent lamp |
WO2014069857A1 (en) * | 2012-10-30 | 2014-05-08 |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 Led lighting apparatus |
KR101413631B1 (en) * | 2013-07-22 | 2014-07-07 | 김태환 | A reflection cover for fluorescent lamp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1839Y1 (en) | 2009-11-04 | 2012-08-08 | 이엔지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Reflector apparatus |
KR101883576B1 (en) * | 2016-12-30 | 2018-07-30 | 김영자 | Internal lamp for ceiling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0787Y1 (en) * | 2001-02-24 | 2001-07-19 | 최근대 | reflection mirror for compact fluorescent lamp of recessed light fittings |
-
2009
- 2009-07-31 KR KR1020090070732A patent/KR10116977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07-31 KR KR1020090070730A patent/KR20100103327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69857A1 (en) * | 2012-10-30 | 2014-05-08 |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 Led lighting apparatus |
US9810399B2 (en) | 2012-10-30 | 2017-11-07 | Kmw Inc. | LED lighting apparatus |
KR200467951Y1 (en) * | 2013-01-11 | 2013-07-12 | 주식회사 브이테크놀로지 | Separable reflection shade of fluorescent lamp |
KR101413631B1 (en) * | 2013-07-22 | 2014-07-07 | 김태환 | A reflection cover for fluorescent lam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3328A (en) | 2010-09-27 |
KR101169776B1 (en) | 2012-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55346C (en) | Lighting device and lens assembly | |
US20100277934A1 (en) | Retrofit kit and light assembly for troffer lighting fixtures | |
US20110170298A1 (en) | LED Downlight with Improved Light Output | |
US11131443B2 (en) | Horizontal light guide based lighting fixture | |
JP2012059461A (en) | Lighting fixture | |
KR20100103327A (en) | Fluorescent lamp unit | |
JP5254138B2 (en) | LED lighting equipment | |
JP2011076979A (en) | Mounting auxiliary member, and lighting system | |
KR200466428Y1 (en) | fluorescent lamp unit | |
KR200376109Y1 (en) | Frame construction for indirect lighting | |
KR20100121572A (en) | Fluorescent lamp unit | |
KR200466429Y1 (en) | Reflector for fluorescent lamp unit | |
KR20160124510A (en) | Lighting device for adjusting angle of lampshade | |
KR101459273B1 (en) | Protrusive diffusion cover type recessed down light fixture | |
JP4919506B2 (en) | lighting equipment | |
JP2010092611A (en) | Reflector,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 |
KR20130019190A (en) | Reflection aiding apparatus and lighting fixture using the same | |
KR200373584Y1 (en) | Inlaid lamp apparatus | |
JP4687405B2 (en) | lighting equipment | |
KR100975906B1 (en) | Reflective lampshade and luminaires having same | |
KR20090014749A (en) | Illumination light irradiation device | |
KR20100084766A (en) | Led lighting lamp | |
KR200397580Y1 (en) | Lighting apparatus | |
KR20120000215U (en) | Reflector for fluorescent lamp unit | |
JP5172423B2 (en) | light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01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