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9273B1 - Protrusive diffusion cover type recessed down light fixture - Google Patents

Protrusive diffusion cover type recessed down light fix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273B1
KR101459273B1 KR1020130052779A KR20130052779A KR101459273B1 KR 101459273 B1 KR101459273 B1 KR 101459273B1 KR 1020130052779 A KR1020130052779 A KR 1020130052779A KR 20130052779 A KR20130052779 A KR 20130052779A KR 101459273 B1 KR101459273 B1 KR 101459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ver
ceiling
buried
light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Priority to KR102013005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2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27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등에 설치되는 매립형 다운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운라이트를 천장 안쪽으로 매립하여 설치할 때 확산커버를 천장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하여 천장 부위까지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형 확산커버를 이용한 매립형 다운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천장 안쪽에 광원을 매립하게 설치되는 매립형 다운라이트로서, 엘이디 모듈을 구비한 라이트 본체와 이 라이트 본체의 하부에 조립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확산커버는 라이트 본체의 하부에 부착가능한 커버상단부와 이 커버상단부의 말단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라이트 본체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커버하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확산커버를 이용한 매립형 다운라이트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ied downlight installed on a ceiling or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ried downlight installed on a ceiling or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ruding diffusion cover for projecting a diffusion cover downward from the ceiling when the downlight is embedded in the ceiling, To a buried type down ligh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ried downlight provided to embed a light source inside a ceiling, the buried downlight including a light body having an LED module and a diffusion cover assemb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to diffuse light emitted from the LED module Wherein the diffusion cover includes a cover top portion which is attachable to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and a cover lower end portion integrally extended from an end of the cover top portion an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ight body, And provides a buried type down light.

Description

돌출형 확산커버를 이용한 매립형 다운라이트 {Protrusive diffusion cover type recessed down light fixtur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ssed down light fixture,

본 발명은 천장 등에 설치되는 매립형 다운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운라이트를 천장 안쪽으로 매립하여 설치할 때 확산커버를 천장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하여 천장 부위까지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형 확산커버를 이용한 매립형 다운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ied downlight installed on a ceiling or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ried downlight installed on a ceiling or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ruding diffusion cover for projecting a diffusion cover downward from the ceiling when the downlight is embedded in the ceiling, To a buried type down light.

일반적으로 실내에는 적절한 조도를 얻기 위해 조명기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조명기구는 보통 천장면 바깥쪽에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게 되는데, 최근 조명장치에 대한 개념이 다양하게 변화하면서 어둠을 밝히기 위한 본래의 목적 외에 실내의 장식적 효과와 미관을 높이기 위한 인테리어의 한 분야로 간주되어 그에 적합한 형태로 개발 및 시공되고 있다.Generally, a ligh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room to obtain an appropriate illumination. Such a lighting apparatus is usually installed outside a ceiling scene to illuminate a room.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lighting apparatus has changed variously. In addition to the original purpose of illuminating the darkness, a decorative field effect And is being developed and constructed in a form suitable for it.

근래에는 실내의 미관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천장 매립형 다운라이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매립형 다운라이트의 경우 본체가 천장면 안쪽으로 삽입되어 설치됨으로 인해 천장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구성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넓은 시야가 확보되어 상대적으로 실내 공간이 확장된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recent years, a ceiling-mounted down light has been used as a part of a room to enhance the aesthetics of a room. In the case of a buried down light, the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ceiling scene to minimize the structur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eiling scen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interior effect in which the interior space is relatively expanded.

도 1 및 도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매립형 다운라이트가 도시되어 있다.Figs. 1 and 2 show buried downligh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과 같은 기존의 전구 또는 콤팩트 형광등 타입의 매립형 다운라이트는 광원(1)의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커버 없이 라이트 본체(2)의 개구부(3)를 통해 광원(1)의 빛을 아래쪽으로 직접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buried type downlight of the conventional bulb or compact fluorescent lamp type as shown in Fig. 1 is constructed so that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1 is directed downward through the opening 3 of the light body 2 without a diffusion cover for diffusing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1 And to conduct direct examination.

이러한 종래의 매립형 다운라이트는 빛을 실내 공간에 고르게 확산시키지 못하여 눈부심 현상이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Such a conventional buried down light can not diffuse the light evenly in the indoor space, thus causing a serious problem of glare.

도 2에 도시한 매립형 다운라이트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다운라이트로서, 눈부심 현상을 개선하고 엘이디에 의해 발생하는 핫 스팟(hot spot)을 방지하기 위해, 광투과율 70 ~ 85% 정도의 평면형 확산커버(7)를 부착하여 라이트 본체(5) 내에 구비된 엘이디 모듈(6)의 빛을 넓게 확산시키도록 구성된다.The buried down light shown in Fig. 2 is a down light using an LED. In order to prevent glare and hot spots caused by the LED, a planar diffusion with a light transmittance of about 70 to 85% And the cover 7 is attached to diffuse the light of the LED module 6 provided in the light body 5 widely.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매립형 엘이디 다운라이트는 엘이디 모듈(6)에서 발광되는 빛이 아래쪽으로만 조사됨으로 천장부위가 조명되지 못하고 어두운 상태가 되어 조명기구에 의한 인테리어 효과가 감소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mbedded type LED down light,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module 6 is irradiated only downward, the ceiling is not illuminated and becomes dark, and the interior effect by the lighting device is reduced.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매립형 엘이디 다운라이트는 광투과율 70 ~ 85% 정도의 평면형 확산커버를 부착하여도 엘이디에 의한 핫 스팟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uried type LED down light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hot spot phenomenon due to the LED appears even if a planar diffusion cover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about 70 to 85% is attached.

이에 상기 평면형 확산커버로부터 엘이디 모듈을 더 멀리 배치하여 엘이디에 의한 핫 스팟 현상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나, 이 경우 확산커버와 엘이디 모듈 사이에 간격이 증가함에 의해 광효율이 감소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hot spot phenomenon caused by the LED by disposing the LED module further away from the planar diffusion cover, the spacing between the diffusion cover and the LED module is increased, thereby decreasing the light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라이트 본체의 하부에 부착되는 확산커버를 천장면의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하여 실내는 물론 천장부위까지 비출 수 있게 함으로써 심미성 및 상품성을 향상하게 되는 매립형 다운라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ing apparatus and a lighting apparatus which can improve aesthetics and commerciality by allowing a diffusion cover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a light body to protrude below a ceiling surfac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ried down ligh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장 안쪽에 광원을 매립하게 설치되는 매립형 다운라이트로서, 엘이디 모듈을 구비한 라이트 본체와 이 라이트 본체의 하부에 조립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확산커버는 라이트 본체의 하부에 부착가능한 커버상단부와 이 커버상단부의 말단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라이트 본체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커버하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확산커버를 이용한 매립형 다운라이트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ried downlight for embedding a light source in a ceiling, the light including a light body having an LED module, Wherein the diffusion cover includes a cover upper portion attachable to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and a cover lower end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cover upper portion and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ight body, A buried downlight using a protruding diffusion cover is provided.

이러한 본 발명의 매립형 다운라이트는, 상기 라이트 본체를 천장면 안쪽에 매립하여 설치할 때 상기 커버하단부가 천장면의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된다.In the buried down 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ight body is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ceiling, the lower end of the cover protrudes downward from the ceiling.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하단부는 커버상단부의 말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수직면부와 이 제2수직면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 및 안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을 덮어주게 되는 수평면부로 이루어진다.Preferably, the cover lower end portion includes a second vertical surface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 terminal end of the cover upper portion, and a horizontal surface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and i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surface portion to cover the LED module.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상단부는 라이트 본체를 천장면 안쪽으로 매립하여 설치할 때 상기 천장면에 밀착하게 되는 단차면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Preferably, the cover top portion includes a stepped surface portion tha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when the light body is embedded in the ceiling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상단부는 커버하단부의 상단에서 수평방향 및 안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단차면부와 이 단차면부의 안쪽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수직면부로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the cover upper end portion includes a stepped surface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and inward from an upper end of a lower end portion of the cover, and a first vertical surfac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inner edge of the stepped surfac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다운라이트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The buried down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엘이디 모듈의 빛을 실내 공간에 더욱 넓고 고르게 확산시켜 눈부심 현상을 개선하는 동시에 엘이디에 의한 핫 스팟(hot spot)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t spot caused by the LED while improving the glare phenomenon by spreading the light of the LED module more widely and evenly in the indoor space.

2. 엘이디 모듈의 빛을 실내와 더불어 천장부위까지 조사하게 됨으로써 인테리어 효과를 높여 심미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실내 공간이 상대적으로 확장된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2. By irradiating the light of the LED module to the ceiling along with the interio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nterior effect,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and the merchantability. In addition, the interior effect of the interior space can be relatively expanded.

3. 천장부위까지 밝게 비춰줌으로써 심미성을 높여주는 조명기구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기호에 적합함으로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3. By illuminating the ceiling part bright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ustomer satisfaction by adapting to the preference of the consumers who prefer the lighting fixtures that enhance the aesthetic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매립형 다운라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매립형 엘이디 다운라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다운라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다운라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매립형 다운라이트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buried type down ligh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howing a buried type LED down ligh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3 is a view illustrating a buried down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buried downligh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of the embedding type down 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various angles.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다운라이트는 천장 안쪽에 광원을 매립하게 설치되는 매립형 다운라이트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장 안쪽에 장착되어 실내를 조명하는 빛을 제공하기 위한 라이트 본체(10)와 이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라이트 본체(10)가 제공하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buried type down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ried type down light installed to embed a light source in a ceiling, and includes a light body 10 mounted inside the ceiling to provide light for illuminating the interior of the ceiling, And a diffusion cover 2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10 to diffuse the light provided by the light body 10.

상기 라이트 본체(10)는 내부에 엘이디 모듈(11)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엘이디 모듈(11)은 일정 높이를 갖는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때의 엘이디 모듈(11)은 전원 공급시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엘이디를 탑재한 기판일 수 있다.The light body 10 includes an LED module 11 and the LED module 11 is surrounded by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t this time, the LED module 11 may be a board having a plurality of LEDs for emitting light upon power supply.

상기 확산커버(20)는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 조립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11)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실내로 확산시키는 것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중공형의 확산커버로서 엘이디 모듈(11)의 빛을 직접 조사받을 수 있게 상단부가 개구되어 있다.The diffusion cover 20 is assemb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10 to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module 11 into the room. The diffusion cover 20 is a hollow diffusion cover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he upper end is opened so that light can be directly irradiated.

도 3에 보이듯이, 상기 확산커버(20)는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 부착가능한 커버상단부(20a)와 이 커버상단부(20a)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정 높이의 커버하단부(20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3, the diffusion cover 20 includes a cover upper portion 20a attachable to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10 and a cover lower end portion 20b having a constant height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upper portion 20a .

상기 커버상단부(20a)는 확산커버(20)를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해주는 부분으로, 커버하단부(20b)(구체적으로는, 제2수직면부임)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수평방향 및 안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연장되게 형성되는 단차면부(21)와 이 단차면부(21)의 안쪽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혹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수직면부(22)로 이루어진다.The cover upper portion 20a is a portion that detachably couples the diffusion cover 2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10 and is bent at the upper end of the cover lower end portion 20b (specifically, the second vertical surface portion) And a first vertical surface portion 22 formed to extend upward (or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inner edge of the step surface portion 21. The first vertical surface portion 22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tep portion 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리고, 상기 제1수직면부(22)의 상단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의 플랜지부(23)는 제1수직면부(22)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성형되어 있다.A flange portion 23 protruding outward is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surface portion 22. [ At this time, the flange portion 23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surface portion 22.

이러한 커버상단부(20a)는 상기 플랜지부(23) 또는 상기 플랜지부(23)와 제1수직면부(22)가 라이트 본체(10)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The cover upper portion 20a may be used in a structure for the flange portion 23 or the flange portion 23 and the first vertical surface portion 22 to engage with the light body 10. [

예를 들면, 상기 커버상단부(20a)는 상기 플랜지부(23) 또는 상기 플랜지부(23)와 제1수직면부(22)를 통해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 끼움식이나 강제 압입식으로 조립됨으로써 라이트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플랜지부(23) 또는 상기 플랜지부(23)와 제1수직면부(22)를 끼움식이나 강제 압입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마련된다.For example, the cover upper portion 20a can be f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10 through the flange portion 23 or the flange portion 23 and the first vertical surface portion 22, So that it can be combined with the light body 10. In this case, a structure for fixing the flange portion 23 or the flange portion 23 and the first vertical surface portion 22 to each other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10 by fitting or pressing force.

또는 상기 커버상단부(20a)는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한 별도의 결합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의 결합구조로는 공지되어 있는 조립식 탈착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ver upper portion 20a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eparate coupling structure detachabl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10, and a known assembly and removal structure may be applied to the coupling structure.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라이트 본체(10)와 확산커버(20) 간에 결합을 위해 별도의 체결부재를 추가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확산커버(20)를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coupling between the light body 10 and the diffusion cover 20. The diffusion cover 20 can b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10 by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상기 커버상단부(20a)는 라이트 본체(10)의 하부 구조에 따라 대략 링 구조를 가지며, 전술한 제1수직면부(22)와 단차면부(21)가 대략 'ㄴ' 모양의 종단면구조를 형성하며 일체로 되어 있다.The cover upper portion 20a has a substantially r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light body 10 and the first vertical surface portion 22 and the step surface portion 21 described above form a substantially vertical And is integrally formed.

한편, 커버하단부(20b)는 상기 커버상단부(20a)의 말단, 즉 단차면부(21)의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으로, 커버상단부(20a)를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 결합할 때 상기 라이트 본체(10)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된다.The cover lower end portion 20b is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cover upper end portion 20a or the outer edge of the stepped surface portion 21. The cover upper end portion 20a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end of the light main body 10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ight body 10 when the light is coupled.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하단부(20b)는 단차면부(21)의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또는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2수직면부(24)와, 이 제2수직면부(24)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수평면부(25)로 이루어진다.3, the cover lower end portion 20b includes a second vertical surface portion 24 formed to be bent and bent downward (or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outer edge of the stepped surface portion 21, And a horizontal surface portion 25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24 so as to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이때 상기 수평면부(25)는 제2수직면부(24)의 안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제2수직면부(24)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평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라이트 본체(10)의 엘이디 모듈(11)(또는 라이트 본체의 개구부)을 덮어주게 된다.The horizontal surface portion 25 is formed in a planar shape extending inwardly of the second vertical surface portion 24 and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vertical surface portion 24, 11 (or the opening of the light body).

또한 상기 수평면부(25)는 엘이디 모듈(11)과의 사이에 제2수직면부(24)의 높이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간격을 더 두게 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surface portion 25 is spaced apart from the LED module 11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econd vertical surface portion 24.

따라서, 상기 라이트 본체(10)를 천장에 매립하여 설치할 때 상기 커버하단부(20b)가 천장면(R, 실내에 노출되는 천장의 바깥면임)의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light body 10 is embedded in the ceiling, the cover lower end portion 20b protrudes below the ceiling sur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ceiling exposed to the room).

즉, 상기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확산커버(20)가 상기와 같은 커버하단부(20b)를 포함하는 돌출형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 상기 확산커버(20)를 부착할 시 상기 커버하단부(20b)가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되며, 이에 라이트 본체(10)를 천장면(R) 안쪽으로 설치할 때 상기 커버하단부(20b)가 천장면(R)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실내 쪽에 위치하게 된다.That is, the diffusion cover 2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10 is formed in a protruding structure including the cover lower end portion 20b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diffusion cover 20 The cover lower end portion 20b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10 so that when the light body 10 is installed inside the ceiling surface R,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scene R and is positioned on the indoor side.

다시 말해, 상기 확산커버(20)는 제1수직면부(22) 및 제2수직면부(24)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게 되며, 특히 상기 제2수직면부(24)의 높이에 상응하여 천장면(R)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구간이 결정된다.In other words, the diffusion cover 20 h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first vertical surface portion 22 and the second vertical surface portion 24, A sec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cene R is determined.

이러한 확산커버(20)는 커버상단부(20a)와 커버하단부(20b) 중에서도 특히 천장면(R)의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커버하단부(20b)가 실질적으로 엘이디 모듈(11)에서 발광되는 빛을 실내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하단부(20b)의 수평면부(25)와 더불어 제2수직면부(24)가 함께 엘이디 모듈(11)의 출력광을 실내로 확산시키게 된다.The cover 20 has a cover lower end portion 20b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eiling surface R of the cover upper portion 20a and the cover lower end portion 20b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ED module 11 The second vertical surface portion 24 together with the horizontal surface portion 25 of the cover lower end portion 20b diffuses the output light of the LED module 11 into the room, as shown in FIG. 3 .

이에 따라, 상기 엘이디 모듈(11)에서 발광되는 빛은 실내를 조명하여 밝히게 되는 동시에, 제2수직면부(24)를 통해 확산되는 빛이 천장면 주위를 조명하여 밝히게 된다.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module 11 is illuminated by illuminating the room, and light diffused through the second vertical surface portion 24 is illuminated around the ceiling scene.

또한, 상기의 확산커버(20)는 수평면부(25)와 더불어 제2수직면부(24)를 통해 빛을 확산시키므로 빛을 조사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엘이디 모듈(11)의 빛을 더욱 넓고 고르게 확산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엘이디 모듈(11)에서 발광되는 빛을 실내에 더욱 부드럽게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눈부심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ffusion cover 20 diffuses light through the second vertical surface portion 24 in addition to the horizontal surface portion 25, an area for irradiating the light increases so that the light of the LED module 11 can be broadly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module 11 can be more smoothly provided to the room, and as a result, the glare phenomenon can be improved.

또한 확산커버(20)는 수평면부(25)와 더불어 제2수직면부(24)를 통해 더 많은 빛을 실내로 투과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광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iffusion cover 20 transmits more light 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vertical surface portion 24 in addition to the horizontal surface portion 25, thereby improving the light efficiency.

아울러, 상기 확산커버(20)는 종래의 평면형 확산커버 대비, 엘이디 모듈(11)과의 사이에 제2수직면부(24)의 높이에 해당하는 간격을 더 형성하게 됨으로써 엘이디 모듈로 의한 핫 스팟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ffusion cover 20 further has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econd vertical surface portion 24 with respect to the LED module 11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lanar diffusion cover, so that the hot spot phenomenon by the LED module Can be prevented.

한편, 도 3에 보이듯이, 상기 확산커버(2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제1수직면부(22)와 제2수직면부(24)가 단차면부(21)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diffusion cover 2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surface portion 22 and the second vertical surface portion 24 having different diameters through the stepped surface portion 21.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수직면부(22)는 대략 라이트 본체(10)의 하부 직경과 유사한 또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면부(24)는 제1수직면부(22)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 타입으로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vertical surface portion 2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substantially equal to or the same as the lower diameter of the light body 10, and the second vertical surface portion 24 is formed of a first vertical surface portion 22 having a larger diameter.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수직면부(22) 및 제2수직면부(24)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일정 높이의 원통 타입으로 형성되나,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라이트 본체의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In other word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ertical surface portion 22 and the second vertical surface portion 24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a constant height having different diameter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ike.

이러한 확산커버(20)를 이용한 매립형 다운라이트는 라이트 본체(10)를 천장에 매립하여 설치할 때 상기 단차면부(21)가 천장면(R)에 밀착하게 됨으로써 기존에 라이트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젤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The recessed downlight using the diffuser cover 2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tepped surface portion 2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R when the light body 10 is embedded in the ceiling so that the bezel Can be omitted.

상기 베젤은 보통 라이트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서 천장면 안쪽에 상기 라이트 본체를 설치시 천장면에 밀착하게 되어 천장면과 라이트 본체 사이에 틈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The bezel is usual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to closely contact the ceiling scene when the light body is installed inside the ceiling scene, thereby preventing the gap from being exposed between the ceiling scene and the light body, thereby enhancing the interior effect.

도 4에는 라이트 본체의 하부에 베젤을 형성한 매립형 다운라이트가 도시되어 있다.Fig. 4 shows a buried down light in which a bezel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light body.

도 4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매립형 다운라이트는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 베젤(12)을 구비하여 상기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 확산커버(20)를 결합시, 상기 베젤(12)이 단차면부(21) 위에 안착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베젤(12)의 두께만큼 확산커버(20)와 천장면(R)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게 되며, 확산커버(20)의 수평면부(25)와 라이트 본체(10)의 엘이디 모듈(11) 간에 간격도 그만큼 더 증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buried down 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zel 12 at a lower portion of a light body 10, and when the diffusion cover 20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10, May be mounted on the step portion 21. In this cas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diffusion cover 20 and the ceiling surface R by the thickness of the bezel 12 and the horizontal surface portion 25 of the diffusion cover 20 and the LED module 11 of the light body 10 ) Is increased by that much.

또한, 도 5에는 본 발명의 매립형 다운라이트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와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5 shows a bottom perspective view and an incision perspective view of the embedding type down 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various angles.

도 5에 보이듯이, 상기의 매립형 다운라이트는 밑에서 볼 때 원형 구조를 갖는 확산커버(20)를 장착하고 있으며, 이때의 확산커버(20)는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buried type downlight includes a diffusion cover 20 having a circular structure as viewed from below. The diffusion cover 20 is assemb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10 in a fitting manner hav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확산커버를 이용한 매립형 다운라이트는, 종래의 평면형 확산커버를 이용한 매립형 다운라이트 대비, 엘이디 모듈의 빛을 더욱 넓고 고르게 확산시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엘이디로 인한 핫 스팟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핫 스팟을 방지하기 위해 확산커버와 엘이디 모듈 간 간격을 추가로 늘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에 따른 광효율 저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오히려 다량의 빛을 실내로 투과시킬 수 있게 되어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uried type downlight using the protruding type diffusion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ffuses the light of the LED module more widely and evenly to prevent glare, compared to the buried type downlight using the conventional flat type diffusion cover, Therefore, it is unnecessary to further increase the interval between the diffusion cover and the LED module to prevent hot spots, thereby reducing the deterioration of the light efficiency and allowing a large amount of light to pass through the room The light efficiency can be improv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Modified form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라이트 본체
11 : 엘이디 모듈
12 : 베젤
20 : 확산커버
20a : 커버상단부
20b : 커버하단부
21 : 단차면부
22 : 제1수직면부
23 : 플랜지부
24 : 제2수직면부
25 : 수평면부
10: Light body
11: LED module
12: Bezel
20: diffusion cover
20a: cover upper portion
20b: Cover lower part
21:
22: first vertical surface portion
23: flange portion
24: second vertical surface
25:

Claims (4)

천장 안쪽에 광원을 매립하게 설치되는 매립형 다운라이트로서,
엘이디 모듈(11)을 구비한 라이트 본체(10)와 이 라이트 본체의 하부에 조립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확산커버는 라이트 본체(10)의 하부에 부착가능한 커버상단부(20a)와 이 커버상단부(20a)의 말단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라이트 본체(10)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커버하단부(2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상단부(20a)는 천장면(R)에 상방으로 밀착되도록 수평 연장된 단차면부(21)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하단부(20b)는 상기 단차면부(21)의 외측단으로부터 하방 연장된 수직면부(24), 및 상기 엘이디 모듈(11)을 가리도록 상기 수직면부(24)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연장된 수평면부(25)를 포함하는, 돌출형 확산커버를 이용한 매립형 다운라이트.
As a buried down light to be embedded in a ceiling,
A light body 10 having an LED module 11 and a diffusion cover 20 assemb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to diffuse light emitted from the LED module,
The diffusion cover includes a cover upper portion 20a attachable to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body 10 and a cover lower portion 20b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cover upper portion 20a an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ight body 10 ≪ / RTI >
The cover upper portion 20a includes a step portion 21 extending horizontally to closely contact the ceiling surface R. The cover lower portion 20b includes a vertical surface extending downward from an outer end of the step portion 21, And a horizontal surface section (25) horizontally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vertical surface section (24) so as to cover the LED module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상단부(20a)는 상기 단차면부(21)의 안쪽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면부(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확산커버를 이용한 매립형 다운라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upper portion (20a) further includes a vertical surface portion (22) extending upward from an inner edge of the step portion (21).
KR1020130052779A 2013-05-09 2013-05-09 Protrusive diffusion cover type recessed down light fixture Active KR1014592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779A KR101459273B1 (en) 2013-05-09 2013-05-09 Protrusive diffusion cover type recessed down light fix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779A KR101459273B1 (en) 2013-05-09 2013-05-09 Protrusive diffusion cover type recessed down light fix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273B1 true KR101459273B1 (en) 2014-11-07

Family

ID=5228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779A Active KR101459273B1 (en) 2013-05-09 2013-05-09 Protrusive diffusion cover type recessed down light fix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27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336U (en) * 2017-01-24 2018-08-01 김민재 Downlight
US11067232B2 (en) 2017-06-15 2021-07-20 Signify Holding B.V. Modular ceiling kit
KR20240000304U (en) * 2022-08-10 2024-02-19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Assembly for line down-light, assembly set for line down-light and system for installing line down-ligh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645Y1 (en) * 2002-06-28 2002-10-04 김강철 frame of lamp within the ceiling
KR20100020748A (en) * 2008-08-13 2010-02-23 삼성전기주식회사 Illuminating systems
KR20100008550U (en) * 2009-02-19 2010-08-27 박종만 Lampshade of filling-up type lighting tool
KR101047989B1 (en) * 2008-08-20 2011-07-13 김윤배 LED fluorescent lamp and its driv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645Y1 (en) * 2002-06-28 2002-10-04 김강철 frame of lamp within the ceiling
KR20100020748A (en) * 2008-08-13 2010-02-23 삼성전기주식회사 Illuminating systems
KR101047989B1 (en) * 2008-08-20 2011-07-13 김윤배 LED fluorescent lamp and its driving system
KR20100008550U (en) * 2009-02-19 2010-08-27 박종만 Lampshade of filling-up type lighting too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336U (en) * 2017-01-24 2018-08-01 김민재 Downlight
KR200487775Y1 (en) * 2017-01-24 2018-10-30 김민재 Downlight
US11067232B2 (en) 2017-06-15 2021-07-20 Signify Holding B.V. Modular ceiling kit
KR20240000304U (en) * 2022-08-10 2024-02-19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Assembly for line down-light, assembly set for line down-light and system for installing line down-light
KR200499173Y1 (en) * 2022-08-10 2025-05-19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Assembly for line down-light, assembly set for line down-light and system for installing line down-ligh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7248B2 (en) lighting equipment
KR101706023B1 (en) LED lighting for fixing on ceiling
KR101425014B1 (en) LED lighting
KR101368254B1 (en) An easy installable illuminator
KR101604290B1 (en) Lighting for edge
ATE518096T1 (en) RECESSED LIGHT
JP2010010045A (en) Holding member and embedded apparatus
KR101459273B1 (en) Protrusive diffusion cover type recessed down light fixture
KR200456593Y1 (en) A lighting apparatus for being coupled with a post
JP2008270096A (en) Lighting fixture
KR20100103328A (en) Fluorescent lamp unit
KR100973917B1 (en) Decoration of cover for lamp
KR101555091B1 (en) LED floodlight offers multi-directional ceiling light luminaire
KR20090005671U (en) Interior lampshade for lighting fixture
JP5322292B2 (en) LED unit and lighting apparatus
KR20100008550U (en) Lampshade of filling-up type lighting tool
KR101778922B1 (en) Hanging lamp using L.E.D
KR20170001178U (en) Ceiling Type LED Illuminating Apparatus
JP2015076263A (en) Folding light fixture
KR20140132548A (en) Stand type LED lighting device
KR200470160Y1 (en) The Luminaire
KR101311961B1 (en) Lighting apparatus for multiple fixing-type
JP2009283198A (en) Embedded lighting device
KR200373584Y1 (en) Inlaid lamp apparatus
KR200269104Y1 (en) Lampshade for decorative illumin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